KR100193663B1 -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663B1
KR100193663B1 KR1019960051338A KR19960051338A KR100193663B1 KR 100193663 B1 KR100193663 B1 KR 100193663B1 KR 1019960051338 A KR1019960051338 A KR 1019960051338A KR 19960051338 A KR19960051338 A KR 19960051338A KR 100193663 B1 KR100193663 B1 KR 100193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support
inner panel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776A (ko
Inventor
이영무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5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663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663B1/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진동을 방지하고 도어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소음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되고, 걸림대와 지지대가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도어 이너 패널과 맞닿는 차체 패널에 장착되고, 가이드와 완충대 및 지지대로 구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차 도어 이너 패널에 걸림대가 형성된 삽입부를 장착하고,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이 맞닿는 차체 패널에 가이드가 형성된 고정부를 장착하여, 상기 삽입부와 고정부의 결합으로 도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충시킬수 있는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는 승용차나 트럭에 관계 없이 아웃 패널과 이너 패널이 주요부분을 이루고 있다. 아웃 패널과 이너 패널은 모두 강판제이며, 이너 패널이 도어의 골조로 작용하여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너 패널에는 창문을 위아래로 여닫는 윈도 레귤레이터와, 도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도어 록, 도어를 밀폐시키고 비나 물 또는 먼지 등이 차내로 침입하지 않도록 도어와 보디 사이에 부착된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 그리고 도어의 개폐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첩으로 도어 유지의 기능도 겸하는 도어 힌지 등을 장착하기 위한 단(턱)이나 구멍을 형성하며 하중이 걸리는 부분에는 보강판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너 패널에는 삽입구를 덮기 위한 커버 및 도어 트림 보드가 장치되어 있다.
종래의 자동차 도어에는 도어 록, 차일드 록, 도어 힌지등 개폐시 필요한 장치와,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사이드 윈도우 및 웨더스트립, 그리고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도어 트림에 형성된 암레스트등 여러가지 장치등이 장착되어 있으나 자동차의 비포장 도로 주행시 발생되는 차체 진동으로 인한 도어의 유동(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는 도어와 보디 사이에 장착되는 웨더 스트립과 도어를 록킹 시키는 도어록 및 도어의 개폐시 경첩 역할을 하는 도어 힌지가 있으나 이와 같은 장치 등은 도어의 진동을 방지하고자 장착한 것이 아니고 부수적 기능으로 도어의 진동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도어의 진동 방지에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자동차 도어에는 도어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않아 비포장 도로의 주행시 차체와 도어의 진동으로 차체와 도어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외부의 먼지가 차내로 유입되기도 하고, 도어 힌지와 도어 록에 진동으로 인한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어 그 수명을 단축시키며, 소음의 발생으로 탑승자의 신경을 자극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에 방해를 주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진동을 완충시킬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도어 이너 패널과 이와 맞닿는 차체 패널에 각각 장착하여 도어의 진동을 방지하고 도어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소음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되고 걸림대와 지지대가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도어 이너 패널과 맞닿는 차체 패널에 장착되고 가이드와 완충대 및 지지대로 구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고정부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삽입부의 장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이너 패널 (2) : 삽입부
(3) : 고정부 (4) : 스프링
(5) : 도어 (21) : 걸림대
(22, 32) : 지지대 (31) : 가이드
(33) : 완충대 (211) : 상부면
(212) : 하부면 (221, 321) : 볼트구
(311) : 가이드 홈 (312) : 공간부
(313) : 돌출부
도 1 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자동차 도어 이너 패널(1) 중 도어 트림이 경합되지 않는 평판상에 직교하게 장착되는 삽입부(2)와, 상기 삽입부(2)와 대응하는 차체 패널에 직교하게 장착되는 고정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2)는 자동차 도어 이너 패널(1)에 장착되어 차체 패널에 장착된 고정부(3)의 가이드(31)내로 삽입되는 것으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그리고, 상부면(211)과 하부면(212)이 전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걸림대(21)와, 이 걸림대(21)에 연결하여 걸림대 후부에 도어 이너 패널(1)중 도어 트림이 결합되지 않는 평판상에 장착되는 지지대(22)가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2)가 도어 이너 패널(1)의 평판상에 직교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22)의 상단과 하단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구(2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는 차체 패널에 장착되어 도어 이너 패널(1)에 장착된 삽입부(2)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면(211)과 하부면(212)이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부(2)의 걸림대(21)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그리고,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가이드(31)와, 이 가이드(31)에 연결하여, 가이드(31) 후방에 형성된 지지대(32)가 단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2)의 상단과 하단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구(2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2)의 하단면과 대응하는 가이드의 경사면에 가이드 홈(311)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홈(311)과 연결하여 가이드(31) 내면에 공간부(312)를 형성하며, 스프링(4)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311)을 따라 전·후 이동하고 일부분이 가이드 홈(311) 외부로 출몰하는 완충대(33)를 상기 공간부(312) 내에 삽입장착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고정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삽입부(2)의 걸림대(21)가 삽입되는 가이드(31)와 자동차 차체 패널에 장착되는 지지대(32)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걸림대(21)와 접촉하는 가이드(31)의 접촉면에 가이드 홈(311)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홈(311) 하단. 즉, 가이드(31) 내면에 공간부(312)를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부(3)를 자동차 차체 패널에 볼트를 이용하여 장착시킬 수 있도록 지지대(32) 상단과 하단에 각각 볼트구(321)를 형성한다.
상기 공간부(312) 내에는 일부분이 가이드 홈(311) 외부로 돌출되며 단면이 ' ㄷ' 자 형상인 완충대(33)와, 상기 완충대(33) 내에 한쪽 끝단이 삽입되며 다른 한쪽 끝단이 공간부(312) 내에 형성된 돌출부(313)에 삽입되는 스프링(4)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완충대(33)는 삽입부(2)의 걸림대(21)와 고정부(3)의 공간부(312) 내에 삽입된 스프링(4)에 의하여 가이드 홈(311)을 따라 공간부(312) 내에서 전후 이동하며 도어(5)를 닫을시 완충작용을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삽입부의 장착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어 이너 패널(1)의 A, B, C 세곳에 삽입부(2)를 장착하고, 이와 대응하는 차체 패널의 세곳에 고정부(3)를 각각 고정한다.
도어(5)의 오픈시, 공간부(312)내에 삽입·장착된 완충대(33)는 스프링(4)의 탄력에 의하여 가이드(31)의 가이드 홈(311)을 따라 공간부(312) 내에서 앞으로 전진하며 완충대(33)의 일부분이 가이드 홈(311) 외부로 돌출된다.
도어(5)를 닫을시, 도어 이너 패널(1)에 장착된 삽입부(2)의 걸림대(21)가 고정부(3)의 가이드(31)를 따라 이동하고, 가이드 홈(311) 외부로 돌출된 완충대(33)를 밀어 스프링(4)을 압축시킨다. 스프링(4)이 압축됨에 따라 완충대(33)는 공간부(312) 내에서 뒤로 이동하게 되며 삽입부(2)의 걸림대(21)는 가이드(31) 내에 삽입·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진동을 방지하는 삽입부와 고정부를 도어 이너 패널과 이와 맞닿는 차체 패널에 장착하여 비포장 도로의 주행시 발생되는 도어의 진동을 방지하고, 도어 힌지 및 도어 록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켜 도어의 수명을 연장시켰으며, 스프링에 의한 완충대의 작용으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는 걸림대의 후방면이 지지대와 단일체로 형성되며, 이 지지대가 도어 이너 패널중 도어 트림이 결합되지 않는 평판상에 직교하게 장착되는 삽입부와;
    이 삽입부의 걸림대 상하부면과 면접되게 경사면이 구비된 가이드의 후방면이 지지대와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의 경사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연결하여 가이드 내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이 공간부 내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출몰하는 완충대가 삽입장착되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
KR1019960051338A 1996-10-31 1996-10-31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 KR100193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338A KR100193663B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338A KR100193663B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76A KR19980031776A (ko) 1998-07-25
KR100193663B1 true KR100193663B1 (ko) 1999-06-15

Family

ID=6651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338A KR100193663B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6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76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9087B2 (ja) 車両のドア構造
KR100193663B1 (ko)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
KR100394949B1 (ko) 자동차용 썬바이저의 고정클립
KR200156078Y1 (ko) 자동차 휀더의 완충러버 체결구조
KR200152942Y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드바의 취부구조
KR200145032Y1 (ko) 충격흡수용 댐퍼가 구비된 도어 스트라이커
KR0131770Y1 (ko) 헤치백(Hatchback) 차량의 뒷문 충격 흡수용 범퍼의 체결구조
KR920004478Y1 (ko) 자동차 도어의 벨트웨더 스트립(belt weather strip) 고정장치
KR100210142B1 (ko) 차량용 도어의 임팩트 빔 장착구조
KR19990034956A (ko) 자동차의 도어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KR200147948Y1 (ko) 자동차의 플로워 패널 보강구조
KR100207209B1 (ko) 차량의 트림 장착용 클립
KR100209491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취부구조
KR200147676Y1 (ko) 자동차용 도어 스트라이커
KR0133906Y1 (ko) 사이드 도어용 가니쉬
KR200141343Y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구조
JP2000168364A (ja) スライドドア用センタレールのレールエンドガーニッシュ取付け構造
KR19990027187U (ko) 자동차용 도어 웨더스트립
KR200160360Y1 (ko) 자동차 아우트 도어 핸들용 심의 장착 구조
KR0173030B1 (ko) 자동차용 도어 장착 구조
KR200150762Y1 (ko)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고정구조
KR19990006283U (ko) 엔진후드의 스테로이드 결합구조
KR19990027189U (ko) 자동차용 도어 웨더스트립
KR19980036913U (ko) 자동차측면 충돌시 대응효과를 높인 임팩트빔 구조
KR19990006267U (ko) 충진폼 고정용 클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