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608Y1 -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608Y1
KR0139608Y1 KR2019960039353U KR19960039353U KR0139608Y1 KR 0139608 Y1 KR0139608 Y1 KR 0139608Y1 KR 2019960039353 U KR2019960039353 U KR 2019960039353U KR 19960039353 U KR19960039353 U KR 19960039353U KR 0139608 Y1 KR0139608 Y1 KR 0139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pring
handle assembly
door
doo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482U (ko
Inventor
은승기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39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60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6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4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 동작 시 스프링과 아우터 핸들 사이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회전 동작을 위해 핸들(55)에 연결된 회전축(53)과 스프링(54)으로 탄성지지된 핸들(55)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한 핸들(55)을 지지하는 회전축(53)과 이를 감싸는 스프링(54)의 사이에 상기한 스프링(54)의 내경중 2점 이상을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축(53)이 관통되도록 관통공(1)이 중심에 형성된 삼각형상의 지지 부재(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본 고안은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탑승자가 승하차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힌지로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래치 어셈블리와 스트라이커로 간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래치 어셈블리와 스트라이커에 의해 도어가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래치 어셈블리는 도어에 설치된 핸들 어셈블리에 의해 잠김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한 핸들 어셈블리는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장착부(50)가 형성된 아우터 패널(51)과, 상기한 장착부(50)에 위치되도록 고정된 핸들 베이스(52)와, 상기한 핸들 베이스(52)에 회전축(53)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스프링(54)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는 핸들(55)과, 상기한 핸들 베이스(52) 측부에 설치된 키 세트(5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핸들(55)을 당겨 상승시키게 되면 핸들(55)이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이와 연결된 래치 어셈블리(미 도시)를 동작시켜 도어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어 개방 후 핸들(55)은 상기한 스프링(54)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되어 핸들 베이스(52)에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핸들을 탄성 지지하기 위하여 회전축과 핸들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한 스프링 동작 시핸들에 일측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타측으로 스프링이 몰리게 되고, 상기한 스프링의 일측 쏠림에 의해 스프링이 아우터 패널과 접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스프링이 회전축의 중심에서 이탈되어 일측으로 몰리게 되면서 핸들 동작시 아우터 패널과 접촉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들 동작 시 스프링과 아우터 핸들 사이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회전 동작을 위해 핸들에 연결된 회전축과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된 핸들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한 핸들을 지지하는 회전축과 이를 감싸는 스프링의 사이에 상기한 스프링의 내경중 2점 이상을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중심에 형성된 삼각형상의 지지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회전축에 지지 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3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통공 2 : 지지 부재
53 : 회전축 54 : 스프링
제1도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와 스프링 지지 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로서, 핸들(55)을 지지하는 회전축(53)과 이를 감싸는 스프링(54)의 사이에 상기한 스프링(54)의 내경을 지지함과아울러 회전축(53)이 관통되도록 관통공(1)이 중심에 형성된 삼각형상의 지지 부재(2)가 삽입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핸들(55)은 핸들 베이스(52)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되는 바, 상기한 지지부재(2)는 삼각형상이 아니라도 스프링(54)의 내경을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탑승자가 승차하기 위하여 도어 핸들(55)을 당기게 되면 상기한 도어 핸들(55)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핸들(55)이 회전하게 된다.
핸들(55)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한 핸들(55)과 회전축(53)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54)이 압축되면서 핸들(55)에 탄성을 인가하게 되는 바, 상기한 스프링(54) 압축시 스프링(54)이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도 상기한 지지 부재(2)가 스프링(54)과 회전축(53)의 사이에 개재되어 스프링(54)의 내경과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54)이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게 된다.
즉, 지지 부재(2)가 회전축(53)과 스프링(54)의 사이에 개재됨과 아울러 스프링(54)의 내경과 2점 이상에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54)에 편향력이 인가되어도 편향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스프링(54)이 지지 부재(2)에 의해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게 되면 스프링(54)과 아우터 패널(51)간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핸들(55) 동작 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스프링(54)과 아우터 패널(51)이 접촉되지 않게 됨으로써 아우터 패널(51)의 긁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54)의 편향을 방지하게 되면 최초 설계 시 아우터 패널(51)과 회전축(53)간의 간격을 보다 좁힐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의 전체 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도어 핸들의 회전축과 스프링의 사이에 스프링의 내경을 지지하도록 지지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핸들 동작 시 소음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회전 동작을 위해 핸들에 연결된 회전축과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된 핸들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한 핸들을 지지하는 회전축과 이를 감싸는 스프링의 사이에 상기한 스프링의 내경중 2점 이상을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중심에 형성된 삼각형사의 지지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KR2019960039353U 1996-11-11 1996-11-11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KR0139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353U KR0139608Y1 (ko) 1996-11-11 1996-11-11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353U KR0139608Y1 (ko) 1996-11-11 1996-11-11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482U KR19980026482U (ko) 1998-08-05
KR0139608Y1 true KR0139608Y1 (ko) 1999-04-01

Family

ID=1947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353U KR0139608Y1 (ko) 1996-11-11 1996-11-11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6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482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608Y1 (ko)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JP4916555B2 (ja) ワイパピボット及びリヤワイパ装置
JP3468281B2 (ja) 自動車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100803425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KR200175405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의 노브조립구조(arrangement for fixing knob of inner handle assembly in a vehicle door)
KR0122766Y1 (ko) 승용차의 트렁크선반 진동방지장치
KR100380442B1 (ko) 자동차의 도어
KR0172215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KR200162563Y1 (ko) 자동차용 외측 도어 레버 구조
KR0139026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래치 장착구조
KR0181463B1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패널 고정구조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KR200141343Y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구조
JPH0880737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20010059881A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및 연료 필라의 도어 조작장치
KR200216210Y1 (ko) 자동차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가림막장치
KR19980029403U (ko) 자동차의 볼팅타입 도어 힌지구조
KR980008382U (ko)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아웃핸들커버
KR950031672A (ko) 자동차용 트렁크의 로크실린더 고정장치
KR19990046983A (ko) 자동차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KR19980030227A (ko) 트렁크용 키실린더의 유동방지구조
KR20020045283A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 조립체의 케이블 고정장치
KR19980048756U (ko) 자동차후드용 이차랫치장치
KR19980035960U (ko) 차량의 후드 개방장치
KR970027626A (ko) 자동차용 외측 도어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