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271U - 자동차의 도어 체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271U
KR19990021271U KR2019970034768U KR19970034768U KR19990021271U KR 19990021271 U KR19990021271 U KR 19990021271U KR 2019970034768 U KR2019970034768 U KR 2019970034768U KR 19970034768 U KR19970034768 U KR 19970034768U KR 19990021271 U KR19990021271 U KR 199900212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door
housing
lower surface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271U/ko
Publication of KR199900212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271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단은 자동차의 도어에 지지되고 타단은 자동차의 바디 패널에 지지되어 도어를 반쯤 열린 상태로 유지하며, 어느 한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을 중심을 관통하여 내부로 출입가능하고 소정의 폭을 갖는 스트랩(2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탄성러버(220)와, 삽입홈(232)을 갖는 홀더(230)와, 상기 삽입홈(23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소정의 폭을 갖는 롤러(240)가 상기 스트랩(260)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공간(270)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210)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되는 것으로, 바디 패널(1)과 도어 패널(14)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가 어느 한도 이상으로 개방되는 것을 제지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260)의 상면, 하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저유홈(26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롤러(240)와의 마찰부에 오일을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스트랩의 상면, 하면에 저유홈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랩의 상면, 하면이 매끄럽게 되어 도어 개폐시 조작감이 부드럽게 되고, 스트랩의 상면 하면에 오일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부품간의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체커
본 고안은 일단은 자동차의 도어에 지지되고 타단은 자동차의 바디 패널에 지지되어 도어를 반쯤 열린 상태로 유지하며, 어느 한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이 차를 타고 내리거나 화물을 적재할 때 사용하는 다수의 도어(door)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의 종류에는 앞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프론트 도어와 뒷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리어 도어가 있으며, 차량에 따라서는 후방의 트렁크와 차 실내 부분을 동시에 개방하는 백 도어를 설치하거나 측면에 사이드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도어는 힌지에 의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도어를 반쯤 열린 상태로 유지하며, 어느 한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도어 체커(door checker)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도어의 개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운전석의 전방에는 계기판이나 에어 벤트 등이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2)이 배치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프론트 도어(6)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론트 도어(6)는 통상, 2개의 힌지(8, 9)에 의해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으며, 도어(6)와 바디 패널(1)의 사이에는 상기한 도어 체커(20)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6)를 닫으면, 하단은 사이드 실(4) 위에 배치된다.
도 2는 종래의 도어 체커의 설치상태 및 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의 도어 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어 체커의 구성을 도 2를 참고로하여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도어 체커(20)의 일단은 볼트(10)와 너트(12)에 의해 도어 패널(14)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핀(30)에 의해 고정 브라켓(40)에 고정시킨 다음, 이 고정 브라켓(40)을 볼트(46)에 의해 바디 패널(1)에 체결한다.
한편, 도어 체커(20)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도어 체커(20)는 크게 하우징(21)과, 하우징(21)을 중심을 관통하여 내부로 출입가능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스트랩(26)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우징(21)의 내부에는 양측면으로부터 서로 대칭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러버(22)가 고정되며, 탄성러버(22)의 일측에는 일측면 중앙에 삽입홈(23a)을 갖는 홀더(23)가 배치된다. 또한, 홀더(23)의 삽입홈(23a)에는 스트랩(26)의 폭 만큼의 폭을 갖는 롤러(24)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한편,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홀더(23)사이에는 스트랩(26)이 출입가능하도록 출입공간(27)이 형성된다.
스트랩(26)은 일단에는 연결공(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고정공(26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공(26a)에는 연결핀(30)이 끼워져 고정 브라켓(4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트랩(26)이 하우징(21)의 관통한 후 외부로 노출된 스트랩(26)의 선단에는 스트랩(26)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 판(28)이 끼워지며 아울러 고정공(26b)에는 이탈방지 판(28)을 고정시키는 고정핀(29)이 삽입된다. 또한, 소정의 폭을 갖는 스트랩(26)의 상면, 하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홈(26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26c)에는 스트랩(26)이 하우징(21)의 출입공간(27)으로 출입 할 때에 홀더(23)의 롤러(24)가 걸리도록하여 도어의 열림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스트랩(26)의 상면, 하면에는 그레인(Grain)가공처리 즉,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미세한 홈(26d)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홈(26d)에는 점성이 강한 오일이 점착되어 유막이 형성되므로 홀더(23)의 롤러(24)가 스트랩(26)의 상면, 하면에 접할 때에의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줄여주어 스트랩(26)의 출입을 원활히 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도어 체커는 도어를 여닫을 시에 스트랩(26)은 일단이 바디 패널(1)에 고정되므로 하우징(21)내를 출입한다. 이 때, 홀더(23)의 롤러(24)는 스트랩(26)의 상면, 하면을 압착하며 회전하게 되고, 롤러(24)가 스트랩(26)의 걸림홈(26c)의 위치하였을 때에 스트랩(26)은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고정되며 소정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롤러(24)가 걸림홈(26c)으로부터 이탈하여 스트랩(26)은 자유로이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하우징(21)의 탄성러버(22)는 탄성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홀더(23)를 스트랩(26)의 상면, 하면으로 항상 가압하고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롤러(24)와 스트랩(26)의 사이에는 얇은 유막이 형성되므로 롤러(24)와 스트랩(26)의 상면, 하면에 발생되는 마찰력은 감소되어 스트랩(26)의 이동은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의 도어 체커는 도 4에서와 같이 스트랩의 상면, 하면의 그레인(Grain)으로 인해 도어 개폐시 그 조작감이 나쁘고,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스트랩에 도포된 오일이 건조되어 부품간의 마모가 발생되므로 스트랩의 내구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트랩의 상면, 하면을 매끄럽게하여 도어 개폐시 조작감을 부드럽게 함과 동시에 스트랩의 상면 하면에 오일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유막이 형성되도록하여 부품간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도어 체커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 체커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의 도어 체커의 구성을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의 도어 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도어 체커 210: 하우징
220: 탄성러버 230: 홀더
232: 삽입홈 240: 롤러
260: 스트랩 268: 저유홈
270: 출입공간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중심을 관통하여 내부로 출입가능하고 소정의 폭을 갖는 스트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탄성러버와, 삽입홈을 갖는 홀더와, 상기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소정의 폭을 갖는 롤러가 상기 스트랩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되는 것으로, 바디 패널과 도어 패널사이에 설치되어 도어가 어느 한도 이상으로 개방되는 것을 제지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상면, 하면에 다수개의 저유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롤러와의 마찰부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유홈은 상기 스트랩의 상면, 하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체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도어 체커(200)의 일단은 볼트(10)와 너트(12)에 의해 도어 패널(14)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핀(30)에 의해 고정 브라켓(40)에 고정시킨 다음, 이 고정 브라켓(40)을 볼트(46)에 의해 바디 패널(1)에 체결한다.
도어 체커(200)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도어 체커(200)는 크게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을 중심을 관통하여 내부로 출입가능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스트랩(26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양측면으로부터 서로 대칭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러버(220)가 고정되며, 탄성러버(220)의 일측에는 일측면 중앙에 삽입홈(232)을 갖는 홀더(230)가 배치된다. 또한, 홀더(230)의 삽입홈(232)에는 스트랩(260)의 폭 만큼의 폭을 갖는 롤러(24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한편,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홀더(230)사이에는 스트랩(260)이 출입가능하도록 출입공간(270)이 형성된다.
스트랩(260)은 일단에는 연결공(26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고정공(264)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공(262)에는 연결핀(30)이 끼워져 고정 브라켓(4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트랩(260)이 하우징(21)의 관통한 후 외부로 노출된 스트랩(260)의 선단에는 스트랩(260)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 판(280)이 끼워지며 아울러 고정공(264)에는 이탈방지 판(280)을 고정시키는 고정핀(290)이 삽입된다. 또한, 소정의 폭을 갖는 스트랩(260)의 상면, 하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홈(26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266)에는 스트랩(26)이 하우징(210)의 출입공간(270)으로 출입 할 때에 홀더(230)의 롤러(240)가 걸리도록하여 도어의 열림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스트랩(260)의 상면, 하면에는 저유홈(26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저유홈(268)은 스트랩(2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선으로 형성되며, 점성이 강한 오일이 저유되어 스트랩(260)의 상면, 하면과 홀더(230)의 롤러(240)의 섭동부에 공급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도어 체커는 도어를 여닫을 시에 스트랩(260)은 일단이 바디 패널(1)에 고정되므로 하우징(210)내를 출입한다. 이 때, 홀더(230)의 롤러(240)는 스트랩(260)의 상면, 하면을 압착하며 회전하게 되고, 롤러(240)가 스트랩(260)의 걸림홈(266)의 위치하였을 때에 스트랩(260)은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고정되며, 소정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롤러(240)가 걸림홈(266)으로부터 이탈하여 스트랩(260)은 자유로이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하우징(210)의 탄성러버(220)는 탄성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홀더(230)를 스트랩(260)의 상면, 하면으로 항상 가압하고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스트랩(260)의 상면, 하면에는 점성이 강한 오일이 도포되므로 홀더(230)의 롤러(240)가 스트랩(26)의 상면, 하면을 자연스럽게 구름운동하며 동시에 저유홈(268)의 오일이 스트랩(260)에 충분히 공급되므로 스트랩(260)의 상면, 하면에는 항상 유막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는 스트랩의 상면, 하면에 저유홈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랩의 상면, 하면이 매끄럽게 되어 도어 개폐시 조작감이 부드럽게 되고, 스트랩의 상면 하면에 오일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부품간의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을 중심을 관통하여 내부로 출입가능하고 소정의 폭을 갖는 스트랩(2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탄성러버(220)와, 삽입홈(232)을 갖는 홀더(230)와, 상기 삽입홈(23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소정의 폭을 갖는 롤러(240)가 상기 스트랩(260)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공간(270)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210)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되는 것으로, 바디 패널(1)과 도어 패널(14)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가 어느 한도 이상으로 개방되는 것을 제지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260)의 상면, 하면에 다수개의 저유홈(26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롤러(240)와의 마찰부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홈(266)은 상기 스트랩(260)의 상면, 하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2019970034768U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99900212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68U KR19990021271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도어 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68U KR19990021271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도어 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71U true KR19990021271U (ko) 1999-06-25

Family

ID=6967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768U KR19990021271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도어 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27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915B1 (ko) * 1999-12-29 2002-02-09 이계안 자동차용 소음방지 도어 체커
KR100878627B1 (ko) * 2007-10-09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체커
KR20200005815A (ko) * 2018-07-09 2020-01-17 김종열 롤러타입 엘라스토머 도어체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915B1 (ko) * 1999-12-29 2002-02-09 이계안 자동차용 소음방지 도어 체커
KR100878627B1 (ko) * 2007-10-09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체커
KR20200005815A (ko) * 2018-07-09 2020-01-17 김종열 롤러타입 엘라스토머 도어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0392A1 (en) Door checker for automobile
US7596831B2 (en) Automotive door hinge
KR19990021271U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9990021272U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JP4093005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開速度緩和構造
KR19990021273U (ko)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
KR100448766B1 (ko) 자동차의 도어체커
KR100326387B1 (ko) 자동차용 도어 첵커의 구조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KR100302438B1 (ko) 자동차 프런트 도어의 열림 장치
KR19990021228U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0348075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0376441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개폐장치
KR0128656Y1 (ko) 자동차 도어잠금 장치의 소음방지 구조
KR19980036358U (ko) 자동차용 도어체커
KR200141590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KR200144265Y1 (ko) 자동차 도어의 밀림방지구조
KR0122766Y1 (ko) 승용차의 트렁크선반 진동방지장치
KR19990034956A (ko) 자동차의 도어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KR0133578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아암 구조
KR19990021274U (ko) 차량의 도어 체커 고정구조
KR0125707Y1 (ko) 웨건 차량의 도어 체커 조립체
KR960001148Y1 (ko) 화물 자동차의 적재함 테일 게이트 고정장치
KR0112378Y1 (ko) 자동차의 쿼터 윈도우(Quater window)용 핸들구조
KR19990025393U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