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158A -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158A
KR19990007158A KR1019980023147A KR19980023147A KR19990007158A KR 19990007158 A KR19990007158 A KR 19990007158A KR 1019980023147 A KR1019980023147 A KR 1019980023147A KR 19980023147 A KR19980023147 A KR 19980023147A KR 19990007158 A KR19990007158 A KR 1999000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core
groove
ultrasonic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6511B1 (ko
Inventor
아키라 신치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1999000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49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simultaneous welding or soldering of a plurality of wire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without preliminary removing of insulation before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76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with molding of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 Y10T29/49178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with molding of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by shrinking of c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94Assembling elongated conductors, e.g., splicing, etc.
    • Y10T29/49201Assembling elongated conductors, e.g., splicing, etc. with overlapping orie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17Means to simultaneously assemble multiple, independent conductors to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접속방법은: 단자에 피복전선(18)을 배치시키고; 피복부(26)를 용융 및 이동시키기 위해 단자에 피복 전선(18)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초음파 진동을 가하며; 단자(17)에서 병렬로 복수의 심선(25)을 정렬하고; 심선(25) 및 단자(17)가 서로 전도성 접촉하도록 단자(17)에 정렬된 심선(25)을 가압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Description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
일본 특허 출원 공개번호 7-70345는 피복전선의 심선 및 단자를 전도성 접촉하기 위해, 초음파진동을 가하여 피복전선의 피복부가 용융(용해)되고 이동하는 접속구조를 나타낸다.
도 1a 및 1b는 수지로 만들어진 제 1 부재(1) 및 제 2 부재(2)가 대향하는 종래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도시한다.
제 1 부재(1)의 상면이 세로방향으로 홈(3)과 함께 형성되고, 작은 오목한 부분(4)은 소정의 간격으로 홈(3)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 단자(5)는 홈의 세로방향을 따라 제 1 부재(1)의 홈(3)로 삽입되고, 피복전선(6)은 단자(5)에 배치된다. 피복전선(6)은 많은 심선이 수지로 만들어진 피복부로 덮이는 상태로 단자(5)에 배치된다.
제 2 부재(2)의 하면은 세로방향을 따라 제 1 부재(1)의 홈(3) 및 홈(3)의 오목한 부분(4)으로 끼워지는 돌출부(7)와 함께 형성된다.
앞서 언급한 구조를 갖는 이 부재는 다음의 방식으로 조립된다. 좀더 상세하게, 단자(5) 및 피복전선(6)은 제 1 부재(1)의 홈(3)로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단자(5) 및 피복전선(6)이 제 1 및 제 2 부재에 의해 가압되도록 제 2 부재(2)의 돌출부(7)는 제 1 부재(1)의 홈(3)로 끼워진다. 이때, 단자(5) 및 피복전선(6)은 오목 부분(4) 및 볼록 부분(8)이 상호 끼워지는 곳에서 부분적으로 뒤틀리기에, 이 단자 및 피복전선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후, 이 단자(5)와 피복전선(6)이 제 1 부재(1) 및 제 2 부재(2)사이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이들을 가압하는 동안 초음파진동이 초음파 혼(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이 부재에 가해진다. 피복전선(6)의 피복부는 초음파진동으로 생성된 열에 의해 용융 및 이동하고, 내부 심선은 노출되며, 따라서, 노출된 심선 및 단자(5)는 서로 전도성 접촉한다. 이 전도성 접촉으로, 제 1 부재(1) 및 제 2 부재(2)는 완전히 접속되어, 단자(5) 및 전선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준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대한 전환된 예를 도시하며, 좀더 상세하게는, 소형 볼록부(8)가 제 1 부재(1)의 홈에 형성되고, 볼록부(8)에 맞춰진 소형 오목부(4)는 제 2 부재(2)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 초음파진동을 가하여 단자(5)와 피복전선(6)이 제 1 부재(1) 및 제 2 부재(2)사이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심선을 단자(5)와 전도성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다중극 커넥터 구조를 도시하고, 제 1 부재(1)는 다수의 홈(3)와 함께 형성되며; 반면, 제 2 부재(1)는 홈(3)와 접하는 다수의 돌출부(7)와 함께 형성된다. 단자가 대응하는 홈(3)에 내장된 후, 피복전선(6)은 단자에 배치되며, 그 뒤, 이 단자 및 전선이 제 1 부재(1) 및 제 2 부재(2)사이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이들을 가압하는 동안 초음파진동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커넥터가 만들어진다.
도 4는 단자(5) 및 피복전선(6)이 상기 설명된 구조를 구비하는 제 1 부재(1) 및 제 2 부재(2)사이에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그 후, 이 단자(5) 및 피복전선(6)은 제 2 부재(2)의 돌출부에 의해 아래로 가압되어 서로 겹쳐지며, 그 후, 볼록부분(8) 및 오목부분(4)에 대응하는 휘어진 부분(5a 및 6a)은 이 단자 및 피복전선이 분리되는 것을 막기위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구조에 따라, 피복전선의 심선은 단자와 충분히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 구조는 접촉 저장이 커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도 5는 피복전선의 심선(9)과 단자(5)가 초음파진동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이상적인 상태를 도시한다. 좀더 상세하게, 피복전선의 피복부는 용융 및 이동하며, 그 후, 심선(9)은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노출되어 단자(5)와 접촉한다. 게다가, 노출된 심선(9)은 이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 2 부재(2)의 돌출부(7)에 의해 아래로 유지된다.
실제로, 돌출부(7)은 피복전선의 피복부가 용융될때 생성된 열에 의해 연화된다; 그 결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7)의 끝단부(7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의 변형에 의해, 심선(9)을 누르는 것이 불가능하며, 심선(9)은 열에서 흐트러진다; 이러한 이유로, 이 심선(9)은 단자(5)와 충분히 접촉할 수 없다. 따라서, 접촉면은 감소되고, 접촉저항은 커진다.
이런 경우에, 고 열저항을 갖는 수지의 돌출부(7)를 포함하는 제 2 부재(2)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나, 고 열저항 수지는 비싸고, 수지를 성형하는 것은 어렵다. ; 이러한 이유로, 정밀도는 낮아진다. 게다가, 피복전선 및 제 2 부재(2)의 용융된 피복부는 충분히 효과적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이 부재가 확실히 조립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그런 점을 고려하여 달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 및 단자를 접속하는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단자에 다수의 피복전선이 일렬로 있기 위한 심선을 정렬할 수 있고, 심선 및 단자간 바람직한 접촉을 만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촉 저항을 줄인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에 제공되며, 수지로 만들어진 피복구로 덮인 다수의 심선을 구비하는 피복전선을 배치하는 것; 피복부를 용융 및 이동시키기 위해 단자에 피복전선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피복전선에 초음파진동 또는 초음파진동을 가하여 다수의 심선이 단자에 병렬로 정렬되는 것; 심선 및 단자가 서로 전도성 접촉하도록 병렬로 정렬된 심선을 단자에 가압하는 것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에 따라, 피복전선은 단자에 배치되고, 그 후, 단자에 피복전선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초음파진동 또는 초음파진동이 가해진다. 이 경우, 가압수단은, 예를 들어, 초음파진동용 혼 및 다른 가압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단자에 피복전선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초음파진동을 가하는 상태에서, 피복전선의 피복부는 용융 및 이동하고, 그 후, 가압에 의해, 심선은 단자에 병렬로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심선 및 단자가 서로 전도성 접촉하기 위해 심선은 단자에 가압된다.
본 발명의 접속방법에 따라, 초음파진동에 의해 피복전선의 피복부를 용융 및 이동시킬때 심선은 단자에서 병렬로 정렬되고, 그 후, 심선 및 단자가 서로 전도성 접촉하기 위해 정렬된 심선은 단자에 가압된다. 따라서, 심선 및 단자간 바람직한 접속이 이뤄질 수 있으며, 또한 접촉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라, 제 1 측면에 의존하기에, 단자 및 피복전선이 서로 겹쳐지는 상태인 제 1 수지 부재의 홈에 수용되는 곳에서; 초음파진동용 혼에 의한 초음파진동을 단자에 가압하는 상태에서 초음파진동이 가해지고; 단자에 심선을 가압하기 위해 제 2 수지 부재의 돌출부가 홈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접속방법에 따라, 피복전선은 제 1 수지 부재의 홈에 있는 단자에서 겹쳐지고, 이 상태에서, 초음파진동용 혼에 의해 가압하는 동안 피복전선 및 단자에 초음파진동을 가할 때, 피복전선의 피복부는 용융 및 이동하며, 그 후, 혼의 가압에 의해 심선은 단자에 병렬로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단자에 심선을 가압하기 위해 제 2 수지 부재의 돌출부는 홈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초음파진동으로 피복전선의 피복부를 용융 및 이동시킬때 심선은 가압에 의해 단자에 병렬로 정렬되며, 따라서 돌출부를 홈에 삽입함으로써 정렬된 심선은 단자에 가압되고, 이에 따라 심선 및 단자는 서로 전도성 접촉한다. 따라서, 심선 및 단자간 바람직한 접속이 이뤄질 수 있고, 또한 접촉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초음파진동 및 초음파 혼의 가압에 의해 심선 및 단자는 서로 전도성 접촉하며, 그 후, 제 2 수지 부재의 돌출부는 단자에 심선을 가압하여, 초음파진동에 의해 돌출부가 연화되지 않고 심선이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심선 및 단자간 접속의 신뢰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라서, 제 2 측면에 의존하기에, 제 1 수지 부재 및 제 2 수지 부재는 제 2 수지 부재가 제 1 수지 부재의 홈으로 삽입되는 상태에서 함께 성형된다.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에 따라, 단자 및 피복전선은 제 1 수지 부재의 홈에서 겹쳐지고, 단자 및 피복전선을 가압하는 동안 초음파진동이 단자 및 피복전선에 가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복전선의 피복부는 용융 및 이동하고, 심선 및 단자는 서로 전도성 접촉하며, 게다가, 심선은 단자에 병렬로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심선이 단자에 병렬로 정렬되기 위해 제 2 수지 부재의 돌출부는 홈으로 삽입된다. 그 후, 제 1 수지 부재 및 제 2 수지 부재는 초음파 용착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제 1 수지 부재 및 제 2 수지 부재를 함께 용융하여 쉽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라서, 이것은 제 2 측면에 의존하기에, 가압되는 동안 제 2 수지 부재의 돌출부가 제 1 수지 부재의 홈으로 삽입되는 상태에서 제 1 수지 부재는 기계적 또는 기하학적으로 제 2 수지 부재와 맞물리며; 초음파진동이 이 상태에서 가해진다.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에 따라서, 단자 및 전선은 서로 겹쳐지는 상태에서 하나의 수지 부재의 홈에 수용되며, 또다른 수지 부재의 돌출부가 홈으로 삽입된다. 그 후, 이 단자 및 전선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초음파진동이 가해진다. 이때, 제 1 수지 부재 및 제 2 수지 부재가 함께 용착되지 않고 단자와 겹쳐진 피복부가 용융 및 이동하는 범위에서 초음파진동이 가해진다. 이 경우에, 제 1 수지 부재 및 제 2 수지 부재는 기계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피복전선은 단자에 가압된다.
따라서, 제 1 수지 부재 및 제 2 수지 부재는 기계적 또는 기하학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보전에 있어서 파손을 유발하지 않고 제 2 수지 부재로부터 제 1 수지 부재를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로, 제 1 수지 부재 및 제 2 수지 부재는 반복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새로운 특성은 첨부된 도면에 함께 해석될 때 다음에 따르는 상세한 설명에서 잘 나타날 것이다.
도 1a는 종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종래 접속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또 하나의 종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다극 커넥터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접속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이상적인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바람직하지 않은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선과 단자의 접속방법에 따른 피복전선 및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접속 하우징 및 초음파용 혼(horn)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의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에 따라 피복전선 및 단자가 접속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하는 분해 투시도이다
도 9a, 9b, 9c, 및 9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의 과정을 도시한다.
도 9a는 단자 및 피복전선이 서로 겹쳐지는 상태인 홈으로 초음파용 혼을 삽입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b는 홈에서 겹쳐지는 단자 및 피복전선에 초음파진동을 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c는 피복전선의 피복부가 초음파진동을 가함으로써 용융되고 이동되며, 심선이 일렬로 있기 위해 단자에서 정렬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d는 일렬로 있기 위해 단자에 정렬되어 있는 심선이 피복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피복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에 따라 피복전선 및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투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피복의 배면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12a 및 12b는 일실시예에서 전선 및 피복간 접속관계를 도시한다.
도 12a는 구멍으로 정지장치 돌출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b는 정지장치 돌출부가 구멍으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 및 피복의 변경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미국 특허 번호 5,584,122의 내용은 여기서 참조에 의해 구체화된다.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하 설명될 것이다. 같은 항은 같은 참조 문자에 의해 지정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전선와 단자의 접속방법 및 초음파진동용 혼(전극)(24) 에 따라 피복전선(18) 및 단자(17)가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제 1 수지 부재)(11)을 도시한다. 도 8은 커넥터 하우징(11)의 전선도출부(13)를 덮는 커넥터 하우징(11) 및 커버(제 2 수지 부재)(19)를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11)은 끼워 넣음으로써 일치하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후드부(12) 및 후드부(12)의 일면에서 완전히 형성된 전선도출부(13)를 포함한다.
전선도출부(13)는 후드부(12)로부터 연장된 저벽부(14), 저벽부(14)의 상위 표면에서 형성되어 병렬로 돌출된 다수의 격벽부(15) 및 격벽부(15)사이에서 경계지어진 홈(16)를 구비한다. 홈(16)는 상위부분이 단면도로 볼 때 개방되어 있는 직각형태를 갖추며, 피복전선(18)과 접속하기위해 단자(17)는 각 홈(16)에 수용된다. 게다가, 반대방향에 있는 각 격벽부(15)은 바깥쪽의 정지장치 돌출부(30) 및 돌출부(30) 2개와 함께 형성된다. 이 정지장치 돌출부(30) 및 (30)은 전선도출부(13)를 덮는 커버(19)의 정지장치 구멍(23)으로 삽입(끼워진다)된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9)는 전선도출부(13)를 덮는 덮개(20), 덮개(20)에서 전선도출부(13)에 대응하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21), 및 돌출부(21)의 바깥쪽에 제공된 측벽부(22) 및 (22)를 포함한다. 이 측벽부(22) 및 (22) 각각은 앞서 언급한 정지장치 구멍(23) 및 (23)과 형성된다. 게다가, 이 측벽부(22) 및 (22)의 하벽부 각각은 정지장치 구멍(23) 및 (23)에 대응하는 부분 테이퍼(27) 및 (27)과 형성된다. 정지장치 돌출부(30)를 정지장치 구멍(23)으로 대체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정지장치 돌출부(30)의 경사면(29)과 접촉하는 상태에서 부분 테이퍼(27)는 미끄러진다.
돌출부(21)는 전선도출부(13)의 홈(16)로서 단면도에서 동일한 직각 형태로 형성되고, 홈(16)에 대응하기 위해 제공된다. 게다가, 돌출부(21)는 홈(16)보다 조금 작은 공간을 갖기 위해 형성되고, 커버(19)가 전선도출부(13)에 씌워질때 대응하는 홈(16)로 삽입(끼워진다)된다. 돌출부(21)가 홈(16)로 삽입될 때, 단자(17)에 피복전선(18)을 가압하기 위해 돌출부(16)는 홈(16)에 수용된 피복전선(18)과 접촉한다.
단자(17)의 일면은 일치하는 단자와 접속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11)의 후드부(12)로 삽입되는 접촉부(도시되지 않음)이다; 다른 면은 홈(16)에 수용되고 피복전선(18)과 전도성 접촉하는 평평한 전선 접촉부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전선(18)은 다수의 심선(25)이 비닐 염화물등과 같은 절연 수지로 만들어진 피복부(26)로 덮인 방식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따른 것은 이 실시예에서 조립에 관한 설명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7)의 전선 접촉부는 커넥터 하우징(11)의 홈(16)에 수용되어 있고, 일치하는 단자의 접촉부는 후드부(12)로 돌출된다. 그 후, 피복전선(18)은 각 단자(17)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초음파 혼(24)은 홈(16)로 삽입되고, 단자(17)에 피복전선(18)을 가압하는 동안 초음파진동 또는 초음파 진동이 여기에 가해진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전선(18)의 피복부(26)는 초음파진동에 의해 발열되고, 용융 및 이동한다. 그 후, 초음파 혼(24)으로부터 심선(25)을 가압함으로써, 다수의 심선(25)은 단자에 정렬, 즉, 병렬로 정렬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심선(25)은 초음파 혼(24)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단자(17)에 가압되고 압착되며, 그 후, 타원 형태로 변형된다.
다음으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혼(24)은 홈(16)로부터 꺼내지고, 그 후,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도출부(13)는 도 10에 도시된 커버(19)에 의해 밀폐된다.
커버(19)에 의해 전선도출부(13)를 밀폐시키기 위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커버(19)는 전선도출부(13)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정지장치 돌출부(30)는 정지장치(23)에 아직 삽입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9)의 양쪽 면부분은 수동으로 하향 가압된다. 커버(19)가 가압될 때, 커버(19)가 전선도출부(13)에 고정되도록 정지장치(30)는 정지장치 구멍(23)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19)의 돌출부(21)는 홈(16)로 삽입되고, 단자(17)에 정렬된 심선(25)와 접하며, 따라서, 심선(25)은 단자(17)에 가압된다.
이 실시예에 따라, 상시 설명되었듯이, 초음파진동용 혼(24)에 의해, 초음파진동이, 가압되는 동안 단자(17) 및 홈(16)에 수용된 피복전선(18)에 가해진다. 따라서, 피복전선(18)의 심선(25)은 병렬로 정렬되고, 이 상태에서, 커버(19)의 돌출부(21)에 의해 단자(17)에 가압된다. 따라서, 심선(25)은 느슨해지지 않고, 접촉 영역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저항은 감소될 수 있고, 전선 및 단자의 바람직한 접속상태가 얻어질 수 있다.
게다가, 혼(24)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모든 심선(25)은 타원 형태로 변형되고, 심선(25) 및 심선(25)과 단자(17)의 접촉 영역사이는 증가될 수 있다. 이곳에서 접촉저항이 감소될 수 있고, 바람직한 접속상태가 얻어질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 정지장치 돌출부(30)를 정지장치 구멍(23)으로 대체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정지장치 돌출부(30)의 경사면(29)과 접촉하는 상태로 부분 테이퍼(27)는 미끄러진다.
다음으로, 다음에 따르는 것은 도 13에 도시된 변경 예에 대한 설명이다. 이 변경 예에서, 정지장치 돌출부(31) 및 (31)은 중간 격벽부(15) 및 (15)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며, 완전히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덮개(20)의 중간 부분에서 커버(19)는 정지장치 구멍(32) 및 (32)와 함께 형성된다. 초음파 혼(24)에 의해 피복부(26)는 용융 및 이동하고, 심선(25)은 홈(16)에서 측면에서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19)는 전선도출부(13)에 배치되고, 정지장치 구멍(32)의 부근을 가압할 때, 정지장치 돌출부(31) 및 (31)은 정지장치 구멍(32) 및 (32)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정지장치 구멍(21) 및 (21)은 단자(17) 면에 심선(25)을 완전히 가압한다.
다음에 따르는 방식으로 정지장치 돌출부(30)와 정지장치 구멍(23) 대신, 커넥터 하우징(11) 및 커버(19)가 함께 용융되어 연결되는 바람직하다. 먼저, 단자(17) 및 피복전선(18)은 커넥터 하우징(11)의 홈(16)에서 겹쳐지고, 단자 및 피복전선을 가압하는 동안 초음파진동이 단자 및 피복전선에 가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복전선(18)의 피복부(26)는 용융 및 이동하고, 심선(25) 및 단자(17)는 서로 전도성 접촉하며, 게다가, 심선(25)은 단자(17)에 병렬로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19)의 돌출부(21)는 홈(16)로 삽입되어 심선(25)은 단자(17)에 병렬로 정렬된다. 그 후, 커넥터 하우징(11) 및 커버(19)는 초음파 용착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정지장치 돌출부(30) 및 정지장치 구멍(23)대신, 커넥터 하우징(11) 및 커버(19)를 함께 용융하여 쉽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런 설명은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에 따르는 청구의 사상 및 범위를 벗아나지 않고 변환 및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속방법에 따라, 초음파진동에 의해 피복전선의 피복부를 용융 및 이동시킬때 심선은 단자에서 병렬로 정렬되고, 그 후, 심선 및 단자가 서로 전도성 접촉하기 위해 정렬된 심선은 단자에 가압된다. 따라서, 심선 및 단자간 바람직한 접속이 이뤄질 수 있으며, 또한 접촉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초음파진동으로 피복전선의 피복부를 용융 및 이동시킬때 심선은 가압에 의해 단자에 병렬로 정렬되며, 따라서 돌출부를 홈에 삽입함으로써 정렬된 심선은 단자에 가압되고, 이에 따라 심선 및 단자는 서로 전도성 접촉한다. 따라서, 심선 및 단자간 바람직한 접속이 이뤄질 수 있고, 또한 접촉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초음파진동 및 초음파 혼의 가압에 의해 심선 및 단자는 서로 전도성 접촉하며, 그 후, 제 2 수지 부재의 돌출부는 단자에 심선을 가압하여, 초음파진동에 의해 돌출부가 연화되지 않고 심선이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심선 및 단자간 접속의 신뢰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수지 부재 및 제 2 수지 부재는 기계적 또는 기하학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보전에 있어서 파손을 유발하지 않고 제 2 수지 부재로부터 제 1 수지 부재를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로, 제 1 수지 부재 및 제 2 수지 부재는 반복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4)

  1. 전선 및 단자 접속방법에 있어서,
    수지로 만들어진 피복부로 덮인 다수의 심선을 갖는 피복전선을 단자에 배치하는 단계;
    다수의 심선이 단자에서 병렬로 정렬되기 위해 피복부를 용융 및 이동시키기위한 단자에 피복전선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피복전선에 초음파진동을 가하는 단계; 및
    심선 및 단자가 서로 전도성 접촉되기 위해 단자에서 병렬로 정렬된 심선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 및 피복전선이 제 1 수지부품의 홈에서 서로 겹치는 상태로 위치하고;
    초음파진동용 혼에 의해 단자에 피복전선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초음파진동이 가해지고; 및
    단자에 심선을 가압하기 위해 제 2 수지부품의 돌출부가 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수지부품의 돌출부가 제 1 수지부품의 홈으로 삽입되는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수지부품이 함께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가압되는 동안 제 2 수지부품의 돌출부가 제 1 수지부품의 홈으로 삽입되는 상태에서 제 1 수지부품이 기계적으로 제 2 수지부품과 맞물려 있고;
    이 상태에서 초음파진동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방법.
KR1019980023147A 1997-06-19 1998-06-19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 KR100276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62919 1997-06-19
JP16291997A JP3311645B2 (ja) 1997-06-19 1997-06-19 電線と端子との接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158A true KR19990007158A (ko) 1999-01-25
KR100276511B1 KR100276511B1 (ko) 2000-12-15

Family

ID=1576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147A KR100276511B1 (ko) 1997-06-19 1998-06-19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67616B1 (ko)
EP (1) EP0886338B1 (ko)
JP (1) JP3311645B2 (ko)
KR (1) KR100276511B1 (ko)
CN (1) CN1107997C (ko)
AU (1) AU709341B2 (ko)
CA (1) CA2240951C (ko)
DE (1) DE6982810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858B1 (ko) * 2014-11-04 2015-03-24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이어폰 연결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4179B2 (ja) * 1998-03-03 2003-04-07 矢崎総業株式会社 被覆電線の接続構造
US6549427B1 (en) * 1999-06-15 2003-04-15 Methode Development Company Circuit trace termination and method
JP3375571B2 (ja) * 1999-06-23 2003-0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へのケーブルの半田接続方法
US6607227B1 (en) * 2000-06-28 2003-08-19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Sawtooth terminal blade gripper and method of gripping
JP4504529B2 (ja) * 2000-08-07 2010-07-1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同士の接続方法
US6528731B2 (en) * 2000-11-24 2003-03-04 Yazaki Corporation Flat shield har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021157B2 (ja) * 2001-04-25 2007-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多芯シールド電線のシールド処理方法
CN1269260C (zh) * 2002-10-18 2006-08-09 矢崎总业株式会社 被覆线的止水结构
JP2006082479A (ja) * 2004-09-17 2006-03-30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の製造方法
JP4908411B2 (ja) * 2005-06-30 2012-04-04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圧力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8198344B2 (en) * 2008-06-20 2012-06-12 Adhezion Biomedical, Llc Method of preparing adhesive compositions for medical use: single additive as both the thickening agent and the accelerator
JP5437741B2 (ja) * 2009-08-24 2014-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超音波溶接装置及びその方法
JP5654242B2 (ja) * 2010-01-18 2015-01-1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端末処理方法
DE102013225803A1 (de) * 2013-07-16 2015-01-2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ntilspulenmodul und Verfahren zur Kontaktierung eines elektrischen Leiters einer Ventilspule
JP6598525B2 (ja) * 2015-06-19 2019-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超音波接合装置及び超音波接合方法
JP6614051B2 (ja) * 2016-07-12 2019-12-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JP6737195B2 (ja) 2017-02-02 2020-08-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JP6776918B2 (ja) 2017-02-02 2020-10-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DE102019134763B4 (de) * 2019-12-17 2021-08-19 Auto-Kabel Management Gmbh Schweißvorrichtung sowie Schweiß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offschlüssigen Verbindung zwischen einem Leiter und einem Anschlussteil
CN111361166B (zh) * 2020-03-19 2022-03-08 江苏博之旺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传感器线塑壳安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0118A (en) * 1965-12-17 1969-04-22 Branson Instr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 together a plurality of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s by sonic energy
US4730764A (en) * 1987-04-06 1988-03-15 American Technology, Inc. Ultrasonic welding wire termination apparatus
US4922072A (en) * 1988-06-22 1990-05-01 Methode Electronics, Inc. Wire connecting method
US5057661A (en) * 1989-10-26 1991-10-15 Globe Products Inc. Process for terminating insulated conductor wires
JPH0770345B2 (ja) 1990-06-28 1995-07-31 株式会社エーユーイー研究所 コネクタ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
US5114362A (en) * 1991-02-25 1992-05-19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a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DE4313608A1 (de) 1993-04-26 1994-10-27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aktieren von Wickelgütern an Anschlußelementen
US5372665A (en) * 1993-09-17 1994-12-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Thermoplastic terminal encapsu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5584122A (en) * 1994-04-01 1996-12-17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connection method for covered wire with resin encapsulation
US5857259A (en) * 1995-02-24 1999-01-12 The Wiremold Company Method for m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JP3311617B2 (ja) * 1996-12-17 2002-08-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と端子と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3311622B2 (ja) * 1996-12-26 2002-08-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電線接続構造
JP3311644B2 (ja) * 1997-06-18 2002-08-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と端子との接続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858B1 (ko) * 2014-11-04 2015-03-24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이어폰 연결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997C (zh) 2003-05-07
AU709341B2 (en) 1999-08-26
CA2240951A1 (en) 1998-12-19
CN1203468A (zh) 1998-12-30
DE69828106D1 (de) 2005-01-20
AU7197198A (en) 1998-12-24
JP3311645B2 (ja) 2002-08-05
JPH118037A (ja) 1999-01-12
CA2240951C (en) 2001-05-01
EP0886338A2 (en) 1998-12-23
EP0886338A3 (en) 1999-12-08
KR100276511B1 (ko) 2000-12-15
US6167616B1 (en) 2001-01-02
DE69828106T2 (de) 2005-11-03
EP0886338B1 (en) 200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6511B1 (ko)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
KR100277839B1 (ko) 도선과 단자의 접속 구조 및 그 접속 방법 그리고 단자
US7344408B2 (en) Waterproof packing, waterproof connector u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waterproof connector
US5869784A (en) Covered wire connection structure
JP3311604B2 (ja) 被覆電線の接合構造
EP0650226B1 (en) A molded circuit component unit for connecting lead wir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10199582A (ja) 電線接続構造
US5770818A (en) Connector for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electric wires and flat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0849834B1 (en)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electric wire and terminal
GB2321795A (en) Ultrasonic cable connection
JP3311644B2 (ja) 電線と端子との接続構造
CA2217146C (en) Covered wire connection method and structure
JP6743270B2 (ja) レーザー溶接接続部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構成部材複合体
US5947770A (en) Electric wire connection structure
JP3295330B2 (ja) 被覆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3121764B2 (ja) 被覆電線の接合方法及び被覆電線の接合構造
JP3160202B2 (ja) 被覆電線の接合構造
JPS6217971A (ja) 電線と接続子の結線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圧着型接続子の集合体
JP2002134244A (ja) 被覆電線の接合方法および被覆電線の接合構造並びにその接合構造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H0626154B2 (ja) 回路成型部品とリード線の接続部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