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467A -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467A
KR19990005467A KR1019970029664A KR19970029664A KR19990005467A KR 19990005467 A KR19990005467 A KR 19990005467A KR 1019970029664 A KR1019970029664 A KR 1019970029664A KR 19970029664 A KR19970029664 A KR 19970029664A KR 19990005467 A KR19990005467 A KR 19990005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ower supply
supply voltage
signal
inve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3675B1 (ko
Inventor
김승민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29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675B1/ko
Publication of KR1999000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3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 H03K19/00315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21Interface arrangemen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ram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버퍼의 동작을 제어하여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에 관한 것이며,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데이터를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직렬연결된 풀업 트랜지스터와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에 있어서, 전원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원전압과 이미 설정된 기준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로우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원전압 검출부와, 반전 데이터 신호 및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여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출력버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력버퍼의 동작을 제어하여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버퍼는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CMOS 인버터로 구성되어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부터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를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도록 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는 감지 증폭기(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출력된 반전 데이터(/DATA)를 각각 반전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인버터(IV1, IV2)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 3 인버터(IV3)와, 제 1 인버터(IV1)를 통해 반전된 데이터 신호(DATA) 및 제 3 인버터(IV3)를 통해 반전된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일입력단 및 타입력단으로 각각 입력하여 논리낸드하기 위한 낸드게이트(NAG)와, 제 2 인버터(IV2)를 통해 반전된 데이터 신호(DATA) 및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을 일입력단 및 타입력단으로 각각 입력하여 논리노아하기 위한 노아게이트(NOG)를 구비한다.
또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는 낸드 게이트(NAG)의 출력신호와 노아 게이트(NOG)의 출력신호가 각각 게이트에 인가되고 공통 접속된 드레인 단자에 연결된 출력단(OUT)을 통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직렬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M) 및 NMOS 트랜지스터(NM)를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 입력되는 어드레스가 변화되면 어드레스 전이신호가 발생되고, 어드레스 전이신호에 의해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가 발생되어 출력버퍼를 인에블시키게 된다.
하이상태의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가 인가되면, 제 3 인버터(IV3)는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반전시켜 하이상태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낸드게이트(NAG)로 입력하고, 낸드게이트(NAG)는 논리낸드된 하이신호를 PMOS 트랜지스터(PM)의 게이트로 인가하고, 노아게이트(NOG)는 논리노아된 로우신호를 NMOS 트랜지스터(NM)로 인가하므로써, PMOS 트랜지스터(PM) 및 NMOS 트랜지수터(NM)가 턴오프되어 출력버퍼는 데이터를 출력하지 못한다.
한편, 로우상태의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가 인가되면, 제 1 및 제 2 인버터(IV1, IV2)로부터 각각 출력된 데이터(DATA)에 따라 낸드 게이트(NAG) 및 노아 게이트(NOG)의 출력이 변화게된다. 즉, 제 1 및 제 2 인버터(IV1, IV2)로부터 로우상태의 데이터(DATA)가 각각 출력되어 낸드 게이트(NAG)와 노아 게이트(NOG)의 일입력단으로 각각 인가되면, 낸드 게이트(NAG)는 논리낸드된 하이신호를 PMOS 트랜지스터(PM)의 게이트로 인가하여 PMOS 트랜지스터(PM)를 턴오프시키고, 노아 게이트(NOG)는 논리노아된 하이신호를 NMOS 트랜지스터(NM)로 인가하여 NMOS 트랜지스터(NM)를 턴온시켜 입출력 패드(10)로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반대로, 제 1 및 제 2 인버터(IV1, IV2)로부터 하이상태의 데이터(DATA)가 각각 출력되어 낸드 게이트(NAG)와 노아 게이트(NOG)의 일입력단으로 각각 인가되면, 낸드 게이트(NAG)는 논리낸드된 로우신호를 PMOS 트랜지스터(PM)의 게이트로 인가하여 PMOS 트랜지스터(PM)를 턴온시키고, 노아 게이트(NOG)는 논리노아된 로우신호를 NMOS 트랜지스터(NM)로 인가하여 NMOS 트랜지스터(NM)를 턴오프시켜 출력단을 통해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는, 전원전압 변화에 따라 구동력이 좋은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가 동작되므로, 고전원전압에서 잡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전압의 변화를 검출하여 기준전압과 전원전압을 비교해서 출력버퍼의 동작을 제어하므로써,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의 회로도.
도 3A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의 특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원전압 검출부 20: 구동부
21, 22: 제 1 및 제 2 구동부 21-1: 앤드게이트
21-2, 22-1: 제 1 및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
22-2: 노아게이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데이터를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직렬연결된 풀업 트랜지스터와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에 있어서, 전원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원전압과 이미 설정된 기준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로우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원전압 검출부; 및 반전 데이터 신호 및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여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출력버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에 있어서, 구동부는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연결되어,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여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풀업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구동수단; 및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연결되어,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여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2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에 있어서, 제 1 구동수단은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와 반전 데이터 신호를 일입력단 및 타입력단으로 각각 입력하여 논리낸드하기 위한 낸드게이트; 및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낸드게이트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제 1 출력전압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에 있어서, 제 2 구동수단은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와 반전 데이터 신호를 일입력단 및 타입력단으로 각각 입력하여 논리노아하기 위한 노아게이트; 및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노아게이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제 1내지 제 3 인버터(IV1, IV2, IV3)와, 풀업 트랜지스터(PM)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NM)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는 전원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원전압과 이미 설정된 기준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로우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원전압 검출부(10)와, 반전 데이터 신호(/DATA) 및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입력하여 전원전압 검출부(10)의 출력신호에 따라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PM, NM)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0)를 더 구비한다.
구동부(20)는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연결되어,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여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풀업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구동수단(21)과,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연결되어,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입력하여 전원전압 검출부(10)의 출력신호에 따라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2 구동수단(22)을 구비한다.
제 1 구동수단(21)은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와 반전 데이터 신호(/DATA)를 일입력단 및 타입력단으로 각각 입력하여 논리낸드하기 위한 낸드게이트(21-1)와, 전원전압 검출부(10)의 출력신호에 의해 낸드게이트(21-1)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제 1 출력전압 제어수단(21-2)으로 이루어진다.
제 2 구동수단(22)은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와 반전 데이터 신호(/DATA)를 일입력단 및 타입력단으로 각각 입력하여 논리노아하기 위한 노아게이트(22-1)와, 전원전압 검출부(10)의 출력신호에 의해 노아게이트(22-1)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22-2)으로 이루어진다.
낸드게이트(21-1)는 제 1 인버터(IV1)를 통해 반전된 데이터 신호(DATA) 및 제 2 인버터(IV2)를 통해 반전된 출력 인에이블 신호(OE)가 각각 게이트에 인가되며, 전원전압에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병렬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M21, PM22)들과, 제 1 인버터(IV1)를 통해 반전된 데이터 신호(DATA) 및 제 2 인버터(IV2)를 통해 반전된 출력 인에이블 신호(OE)가 각각 게이트에 인가되며, PMOS 트랜지스터(PM21, PM22)들의 공통 접속된 드레인과 출력전압 제어수단(21-2) 사이에 직렬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NM21, NM22)들로 이루어진다.
제 1 출력전압 제어수단(21-2)은 전원전압 검출부(10)의 출력신호가 각각 게이트에 인가되며, 낸드게이트(21-1)의 NMOS 트랜지스터(NM22)의 소오스와 접지사이에 병렬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NM23) 및 PMOS 트랜지스터(PM23)로 이루어진다.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22-1)은 전원전압 검출부(10)의 출력신호가 각각 게이트에 인가되며, 전원전압과 노아게이트(22-2)사이에 병렬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M24) 및 NMOS 트랜지스터(NM24)로 이루어진다.
노아게이트(22-2)는 제 3 인버터(IV3)를 통해 반전된 데이터 신호(DATA)가 게이트에 인가되며, 소오스가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22-1)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M25)와,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가 게이트에 인가되며, 소오스가 PMOS 트랜지스터(PM25)의 드레인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M26)와, 제 3 인버터(IV3)를 통해 반전된 데이터 신호(DATA) 및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가 각각 게이트에 인가되며, PMOS 트랜지스터(PM26)의 드레인과 접지사이에 병렬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NM25, NM26)들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원전압 검출부(10)는 검출된 전원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크면, 출력전압 제어수단(21-2)에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22-1)에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반대로, 전원전압 검출부(10)는 검출된 전원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작으면, 출력전압 제어수단(21-2)에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22-1)에 오우신호를 출력한다.
로우상태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어 본 발명의 출력버퍼가 동작되는 상태에서, 전원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원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낮은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OE) 및 반전 데이터 신호(/DATA)에 따른 본 발명의 출력버퍼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에서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로우상태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OE)가 입력된 상태에서, 전원전압 검출부(10)에 의해 검출된 전원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낮은 경우에, 전원전압 검출부(10)는 하이신호를 제 1 출력전압 제어수단(21-2)의 NMOS 트랜지스터(NM23) 및 PMOS 트랜지스터(PM23)의 게이트에 각각 인가하여, NMOS 트랜지스터(NM23)를 턴온시키고 PMOS 트랜지스터(PM23)를 턴오프시킨다. 또한, 전원전압 검출부(10)는 로우신호를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21-1)의 NMOS 트랜지스터(NM24) 및 PMOS 트랜지스터(PM24)의 게이트에 각각 인가하여, NMOS 트랜지스터(NM24)를 턴오프시키고 PMOS 트랜지스터(PM24)를 턴온시킨다.
이때, 입력된 반전 데이터 신호(/DATA)가 로우상태이면, 제 1 구동수단(21)의 낸드게이트(21-1)는 풀업 트랜지스터(PM)의 게이트에 접지신호를 인가하여 턴온시키며, 또한 제 2 구동수단(22)의 노아게이트(22-2)의 풀다운 트랜지스터(NM)의 게이트에 접지신호를 인가하여 턴오프시킨다.
반대로, 로우상태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OE)가 입력된 상태에서, 전원전압 검출부(10)에 의해 검출된 전원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높은 경우에, 전원전압 검출부(10)는 로우신호를 제 1 출력전압 제어수단(21-2)의 NMOS 트랜지스터(NM23) 및 PMOS 트랜지스터(PM23)의 게이트에 각각 인가하여, NMOS 트랜지스터(NM23)를 턴오프시키고 PMOS 트랜지스터(PM23)를 턴온시킨다. 또한, 전원전압 검출부(10)는 하이신호를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21-1)의 NMOS 트랜지스터(NM24) 및 PMOS 트랜지스터(PM24)의 게이트에 각각 인가하여, NMOS 트랜지스터(NM24)를 턴온시키고 PMOS 트랜지스터(PM24)를 턴오프시킨다.
이때, 입력된 반전 데이터 신호(/DATA)가 로우상태이면, 제 1 구동수단(21)은 제 1 출력전압 제어수단(21-2)의 PMOS 트랜지스터(PM23)에 의해 PMOS 트랜지스터의 문턴전압(VTP)을 풀업트랜지스터(PM)의 게이트에 접지신호를 인가하여 턴온시킨다. 또한, 입력된 반전 데이터 신호(/DATA)가 하이상태이면, 제 2 구동수단(22)은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22-1)의 NMOS 트랜지스터(PM24)에 의해 전원전압에서 NMOS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뺀 전압을 풀다운 트랜지스터(NM)의 게이트에 접지신호를 인가하여 턴온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력버퍼는 전원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21-2, 22-1)을 통해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PM, NM)의 게이트 인가전압을 제어하므로써,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버퍼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준전압(a)이 전원전압(b) 보다 높은 K1구간에서는, 전원전압 검출부(10)는 하이상태의 (c)신호를 제 1 출력전압 제어수단(21-2)으로 인가하고, 로우상태의 (d)신호를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22-1)으로 인가한다.
기준전압(a)이 전원전압(b) 보다 낮은 L1구간에서는, 전원전압 검출부(10)는 로우상태의 (c)신호를 제 1 출력전압 제어수단(21-2)으로 인가하고, 하이상태의 (d)신호를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22-1)으로 인가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기준전압(a)이 전원전압(b) 보다 높은 K2구간에서는, 제 1 구동수단(21)은 접지레벨의 (e)신호를 출력한다.
기준전압(a)이 전원전압(b) 보다 낮은 L2구간에서는, 제 1 구동수단(21)은 PMOS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레벨의 (e)신호를 출력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 2 구동수단(21)은, 단지 기준전압(a)이 전원전압(b) 보다 낮은 L3구간에서만, 전원전압에서 NMOS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레벨이 감산된 (f)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는, 전원전압찌 기준전압 보다 높은 경우에 출력버퍼의 구성을 이루는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인가전압을 제어하므로써,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7)

  1.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데이터를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직렬연결된 풀업 트랜지스터와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에 있어서, 전원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원전압과 이미 설정된 기준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로우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원전압 검출부; 및 반전 데이터 신호 및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여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출력버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구동수단; 및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2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수단은 상기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반전 데이터 신호를 일입력단 및 타입력단으로 각각 입력하여 논리낸드하기 위한 낸드게이트; 및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낸드게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출력전압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압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가 각각 게이트에 인가되며, 상기 낸드게이트와 접지사이에 병렬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 및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상기 반전 출력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반전 데이터 신호를 일입력단 및 타입력단으로 각각 입력하여 논리노아하기 위한 노아게이트; 및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노아게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가 각각 게이트에 인가되며, 전원전압과 상기 노아게이트 사이에 병렬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는 상기 검출된 전원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보다 큰 경우, 상기 구동부의 출력전압 제어수단에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부의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에 하이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상기 검출된 전원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보다 작은 경우, 상기 구동부의 출력전압 제어수단에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부의 제 2 출력전압 제어수단에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
KR1019970029664A 1997-06-30 1997-06-30 반도체메모리소자의출력버퍼 KR100263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664A KR100263675B1 (ko) 1997-06-30 1997-06-30 반도체메모리소자의출력버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664A KR100263675B1 (ko) 1997-06-30 1997-06-30 반도체메모리소자의출력버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467A true KR19990005467A (ko) 1999-01-25
KR100263675B1 KR100263675B1 (ko) 2000-08-01

Family

ID=1951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664A KR100263675B1 (ko) 1997-06-30 1997-06-30 반도체메모리소자의출력버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4182A (zh) * 2018-09-28 2018-12-28 南京观海微电子有限公司 一种快速低功耗单端接口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4182A (zh) * 2018-09-28 2018-12-28 南京观海微电子有限公司 一种快速低功耗单端接口
CN109104182B (zh) * 2018-09-28 2024-01-05 南京观海微电子有限公司 一种快速低功耗单端接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3675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612B1 (ko) 데이터 입력 버퍼 회로
JPH06196998A (ja) 出力バッファ回路および出力プルダウンプレドライバ回路
KR19990003172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
KR19980076176A (ko) 데이터 출력 버퍼 회로
KR19990005467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출력버퍼
KR0179930B1 (ko) 출력 버퍼 제어 회로
JPH11312969A (ja) 半導体回路
KR100833400B1 (ko) 출력 버퍼
KR0179810B1 (ko) 메모리의 출력버퍼회로
KR0136421B1 (ko) 잡음을 억제시키는 출력 버퍼
KR100209747B1 (ko) 출력버퍼회로
KR19990062006A (ko) 전력 소모가 적은 반도체 장치의 출력 버퍼
KR100333696B1 (ko) 스탠바이전류감소를위한입력버퍼
KR100190303B1 (ko)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출력 버퍼
KR100608347B1 (ko)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 회로
JP3639050B2 (ja) 入力回路及び半導体装置
KR19990004896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프리셋 회로
KR10042281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KR100230374B1 (ko) 감지증폭기
KR0171949B1 (ko) 데이타 출력 버퍼
KR100236064B1 (ko) 데이타 출력버퍼
KR100206875B1 (ko) 트라이-스테이트구동회로를 갖는 출력버퍼
KR0147469B1 (ko) 출력 노이즈 감소회로
KR200303036Y1 (ko) 출력 전압 제어 회로
KR100198657B1 (ko) 출력 버퍼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