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813B1 -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813B1
KR100422813B1 KR1019970029035A KR19970029035A KR100422813B1 KR 100422813 B1 KR100422813 B1 KR 100422813B1 KR 1019970029035 A KR1019970029035 A KR 1019970029035A KR 19970029035 A KR19970029035 A KR 19970029035A KR 100422813 B1 KR100422813 B1 KR 100422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ense
enable signal
terminal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875A (ko
Inventor
최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7002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8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0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7Data input l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3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data buffers

Abstract

본 발명은 저입력전압(VIL) 및 고입력전압(VIH) 레벨을 향상시켜, 모든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적용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칩인에이블신호에 의해 래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신호 및 프리차아지와 감지증폭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스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센스인에이블신호에 의해 제 1 입력단으로 입력된 기준전압과 제 2 입력단으로 입력된 전압을 감지증폭하여 제 1 및 제 2 출력단을 통해 각각 출력하기 위한 감지증폭부;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센스인에이블신호에 의해 감지증폭부의 제 1 및 제 2 출력단을 각각 프리차아지시키기 위한 프리차아지부; 및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클럭신호에 의해 감지증폭부의 출력 데이터를 래칭시키는 래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발명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입력전압(VIL) 및 고입력전압(VIH) 레벨을 향상시켜, 모든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적용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력 버퍼는 패드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신호를 디램 소자로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2.0V/0.8V로 입력된 TTL(Transistor Transistor Logic)전위를 갖는 외부신호를 하이/로우상태로 판정하여 디램 소자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는 CMOS 레벨인 VCC/0V로 전환하여 입력시킨다.
종래의 입력 버퍼는 노아게이트(NOR GATE) 및 낸드게이트(NAND GATE)형태로 버퍼 로직 트레쉬홀드(BUFFER LOGIC THRESHOLD)를 VCC/2에 두어 하나의 입력 버퍼로 VIH/VIL의 특성을 만족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입력버퍼는, 노아게이트를 사용하므로 인하여 저입력전압 및 고입력전압의 향상을 위해선 많은 전류 소모되고, 면적의 커지며, 또한 입력 전압 레벨을 정확히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체적으로 래칭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신호와 감지증폭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스인에이블신호를 발생시켜, 전류소모를 줄이고, 입력전압레벨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감지증폭부 20: 프리차아지부
30: 제어부 40: 래칭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칩인에이블신호에 의해 래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신호 및 프리차아지와 감지증폭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스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센스인에이블신호에 의해 제 1 입력단으로 입력된 기준전압과 제 2 입력단으로 입력된 전압을 감지증폭하여 제 1 및 제 2 출력단을 통해 각각 출력하기 위한 감지증폭부;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센스인에이블신호에 의해 감지증폭부의 제 1 및 제 2 출력단을 각각 프리차아지시키기 위한 프리차아지부; 및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클럭신호에 의해 감지증폭부의 출력 데이터를 래칭시키는 래칭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칩인에이블신호(CE)에 의해 래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신호(CK) 및 프리차아지와 감지증폭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스인에이블신호(SE)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센스인에이블신호(SE)에 의해 제 1 입력단(IN1)으로 입력된 기준전압과 제 2 입력단(IN2)으로 입력된 전압을 감지증폭하여 제 1 및 제 2 출력단(OUT1, OUT2)을 통해 각각 출력하기 위한 감지증폭부(10)와, 센스인에이블신호(SE)에 의해 감지증폭부(10)의 제 1 및 제 2 출력단(OUT1, OUT2)을 각각 프리차아지시키기 위한 프리차아지부(20)와, 제어부(30)로부터 입력된 클럭신호(CK)에 의해 감지증폭부(10)의 출력 데이터를 래칭시키는 래칭부(40)를 구비한다.
감지증폭부(10)는 제 1 및 제 2 입력단(IN1, IN2)이 각각 게이트에 연결되는 감지 증폭용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NM11, NM12)와, 드레인 및 게이트가 제 1 출력단(OUT1) 및 제 1 NMOS 트랜지스터(NM11)의 드레인에 공통 접속되며, 소오스가 전원전압에 연결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PM11)와, 드레인 및 게이트가 제 2 출력단(OUT2)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NM12)의 드레인에 공통 접속되며, 소오스가 전원전압에 연결된 제 2 PMOS 트랜지스터(PM12)와, 게이트에 센스인에이블신호(SE)가 인가되며,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NM11, NM12)와 접지사이에 연결된 전류소오스용 NMOS 트랜지스터(NM13)로 구성된다.
프리차아지부(20)는 게이트에 센스인에이블신호(SE)가 인가되며, 전원전압과 감지증폭부(10)의 제 1 출력단(OUT1) 사이에 연결된 프리차아지용 제 1 PMOS 트랜지스터(PM21)와, 게이트에 센스인에이블신호(SE)가 인가되며, 전원전압과 감지증폭부(10)의 제 2 출력단(OUT2) 사이에 연결된 프리차아지용 제 2 PMOS 트랜지스터(PM22)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0)는 일입력단 및 타입력단이 감지증폭부(10)의 제 1 및 제 2 출력단(OUT1, OUT2)에 각각 연결된 낸드게이트(31)와, 일입력단이 낸드게이트(3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입력단에 칩인에이블신호(CE)가 인가되는 노아게이트(32)를 구비한다.
래칭부(40)는 일입력단이 감지증폭부(10)의 제 1 및 제 2 출력단(OUT1, OUT2)에 각각 연결되고,
타입력단이 제어부(30)의 낸드게이트(31)의 출력단에 연결된 낸드게이트(41, 42)들과, 일입력단이 낸드게이트(4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낸드게이트(44)의 출력단이 타입력단으로 궤환된 낸드게이트(43)와, 일입력단이 낸드게이트(4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낸드게이트(43)의 출력단이 타입력단으로 궤환된 낸드게이트(4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입력버퍼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로우상태의 칩인에이블신호(CE)가 인가되면, 제어부(30)의 노아게이트(32)는 하이상태의 센스인에이블신호(SE)를 프리차아지부(20)의 프리차아지용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PM21, PM22)의 게이트로 각각 출력하여 프리차아지부(2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또한 제어부(30)의 노아게이트(32)는 하이상태의 센스인에이블신호(SE)를 감지증폭부(10)의 전류소오스용 NMOS 트랜지스터(NM13)의 게이트로 출력한다.
이렇게, 제어부(30)로부터 하이상태의 센스인에이블신호(SE)가 인가되면, 프리차아지부(20)의 프리차아지용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PM21, PM22)가 턴오프되어 프리차아지가 정지되고, 대신에 감지증폭부(10)는 전류소오스용 NMOS 트랜지스터(NM13)가 턴오되어 제 1 및 제 2 입력단(IN1, IN2)을 통해 각각 입력된 신호의 전압차를 감지증폭하여 제 1 및 제 2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어 제어부(30) 및 래칭부(40)로 각각 전달된다.
이때, 제어부(10)의 낸드게이트(31)는 감지증폭부(10)로부터 일입력단 및 타입력단으로 각각 하이신호가 입력되어 로우상태의 클럭신호(CK)를 래칭부(40)로 출력하여 래칭부(4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외부로부터 하이상태의 칩인에이블신호(CE)가 인가되면, 제어부(30)의 노아게이트(32)는 로우상태의 센스인에이블신호(SE)를 프리차아지부(20)의 프리차아지용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PM21, PM22)의 게이트로 각각 출력하며, 이어 프리차아지부(20)는 감지증폭부(10)의 제 1 및 제 2 출력단(OUT1, OUT2)을 프리차아지시키며, 또한 제어부(30)의 노아게이트(32)는 로우신호를 감지증폭부(10)의 전류소오스용 NMOS 트랜지스터(NM13)의 게이트로 출력하여 감지증폭부(1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때, 제어부(10)의 낸드게이트(31)는 감지증폭부(10)로부터 일입력단 및 타입력단으로 각각 서로 상반된 신호가 입력되어 하이상태의 클럭신호(CK)를 래칭부(40)로 출력하며, 이어 래칭부(40)는 바로전에 감지증폭부(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는, 자체적으로 발생시킨 클럭신호에 의해 감지증폭부의 출력 데이터를 래칭시키므로써, 입력 전압 레벨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에러데이터 감지후 다시 정상적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칩의 디스에이블시 감지증폭부의 동작을 정지시켜 전류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외부로부터 입력된 칩인에이블신호에 의해 래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신호 및 프리차아지와 감지증폭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스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센스인에이블신호에 의해 제 1 입력단으로 입력된 기준전압과 제 2 입력단으로 입력된 전압을 감지증폭하여 제 1 및 제 2 출력단을 통해 각각 출력하기 위한 감지증폭부;
    상기 센스인에이블신호에 의해 상기 감지증폭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단을 각각 프리차아지시키기 위한 프리차아지부; 및
    상기 클럭신호에 의해 상기 감지증폭부의 출력 데이터를 래칭시키는 래칭부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증폭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단이 각각 게이트에 연결되는 감지 증폭용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
    드레인 및 게이트가 상기 제 1 출력단 및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공통 접속되며, 소오스가 전원전압에 연결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
    드레인 및 게이트가 상기 제 2 출력단 및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공통 접속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원전압에 연결된 제 2 PMOS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에 상기 센스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와 접지사이에 연결된 전류소오스용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아지부는
    게이트에 상기 센스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감지증폭부의 상기 제 1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프리차아지용 제 1 PMOS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에 상기 센스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감지증폭부의 상기 제 2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프리차아지용 제 2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입력단 및 타입력단이 상기 감지증폭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낸드게이트; 및
    일입력단이 상기 낸드게이트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입력단에 상기 칩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는 노아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부는
    일입력단이 상기 감지증폭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고, 타입력단이 상기 제어부의 상기 낸드게이트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낸드게이트;
    일입력단이 상기 제 1 낸드게이트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제 4 낸드게이트의 출력단이 타입력단으로 궤환된 제 3 낸드게이트;
    일입력단이 상기 제 2 낸드게이트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낸드게이트의 출력단이 타입력단으로 궤환된 제 4 낸드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KR1019970029035A 1997-06-30 1997-06-30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KR100422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035A KR100422813B1 (ko) 1997-06-30 1997-06-30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035A KR100422813B1 (ko) 1997-06-30 1997-06-30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875A KR19990004875A (ko) 1999-01-25
KR100422813B1 true KR100422813B1 (ko) 2004-05-24

Family

ID=3732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035A KR100422813B1 (ko) 1997-06-30 1997-06-30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581B1 (ko) * 2001-12-28 2008-03-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글리치 방지 기능을 갖는 입력 버퍼 회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2574A1 (en) * 1990-08-08 1992-02-20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es for producing shaped foamable parts
US5596539A (en) * 1995-12-28 1997-01-21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w power self-timed memory control system
KR970004343A (ko) * 1995-06-30 1997-01-29 개선된 동기형 메모리소자의 입력 버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2574A1 (en) * 1990-08-08 1992-02-20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es for producing shaped foamable parts
KR970004343A (ko) * 1995-06-30 1997-01-29 개선된 동기형 메모리소자의 입력 버퍼
US5596539A (en) * 1995-12-28 1997-01-21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w power self-timed memory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875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3140A (en) Data output buffer
KR100190763B1 (ko) 차동 증폭기
US7583110B2 (en) High-speed, low-power input buffer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KR920009058B1 (ko) 반도체기억장치
KR950010567B1 (ko) 반도체장치의 출력단회로
KR10042281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KR20020080918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적용되는 입력 버퍼의 노이즈면역성 향상장치
US6198319B1 (en) Power-on circuit built in IC
KR19980083434A (ko) 데이타 입력 버퍼 및 래치 회로의 제어장치
KR100233276B1 (ko) 반도체 장치용 버퍼
KR100263675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의출력버퍼
JP3639050B2 (ja) 入力回路及び半導体装置
KR100632550B1 (ko) 내부 전원전압 제어 회로
KR96001272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 버퍼 회로용 제어 회로
KR19990003863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감지증폭기 제어회로
KR100341156B1 (ko) 반도체 메모리
KR200204911Y1 (ko) 반도체메모리소자의감지증폭기
KR0147469B1 (ko) 출력 노이즈 감소회로
KR19990004897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감지 증폭기
KR20000000993A (ko) 데이타 입력버퍼
KR100980401B1 (ko) 반도체 장치용 데이타 처리 장치
JP3003376B2 (ja) 半導体装置
KR960008930B1 (ko) 출력회로
KR0120586B1 (ko) 데이타 출력버퍼
KR200291192Y1 (ko) 반도체장치의 저전력 인버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