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3153A -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3153A
KR19980703153A KR1019970706556A KR19970706556A KR19980703153A KR 19980703153 A KR19980703153 A KR 19980703153A KR 1019970706556 A KR1019970706556 A KR 1019970706556A KR 19970706556 A KR19970706556 A KR 19970706556A KR 19980703153 A KR19980703153 A KR 19980703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film
mold
film
molded articl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0398B1 (ko
Inventor
세이이치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히로시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히로시,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히로시
Publication of KR19980703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18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rimming the article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86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means for heating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5/1486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4967Injecting through an opening of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5/1486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4983Bursting or breakthrough of the insert by the injection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캐비티(10)와 사출게이트(14)를 둘러싼 것처럼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의 파팅면의 눌러 부착하는 제 1 클램프장치(4)와, 진공흡인구(16)와 용융수지(17)의 사출게이트(14)를 갖춘 고정형(11),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동시에 캐비티(10)로 통하는 런너(112)를 갖는 가동형(13)을 가지며, 이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의 사이에 인서트필름(7)을 끼워 넣어, 사출성형과 동시에 인서트필름(7)의 그림모양을 넣은 성형품에 형성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프장치(4)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의 표면에 부착한 후, 진공흡인에 따라 고정형(1)에 인서트필름(7)을 밀착시켜 사출게이트(14)에서 용융수지(17)를 사출하고 용융수지(17)가 인서트필름(7)에 형성된 구멍에서 가동형(13)의 런너(112)를 통과해서 캐비티(10)에 도달해서, 인서트필름(7)과 가동형(13)과의 사이에 용융수지(10)를 충진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종래, 고정형 및 가동형금형들 사이에 전사용 필름을 끼워 넣어 사출성형과 동시에 전사용 필름상의 그림 및 모양을 성형품에 전사하는 전사방법에 있어서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을 제조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는 바, 이 기술에서는 고정형측에서 수지를 사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전사용 필름을 가동형에 밀착시켜 전사용 필름과 고정형 사이에 수지를 충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고정형측에서 수지를 사출하는 것이라도, 전사용 필름을 고정형을 밀착시켜, 전사용 필름과 가동형 사이에 수지를 충진하도록 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소59-194848호에 공보에 기재된 것처럼, 코일에서 감아낸 전사용 필름에 구멍을 설치하여, 고정형측에서 이 전사용 필름의 구멍을 통해서 금형 성형부의 가동형과 전사용 필름 사이에 사출하여 수지를 충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사용 필름에 구멍을 설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1) 구멍 뚫는 장치를 고정형 내에 배치하여, 형틀을 체결한 후에 필름을 칼로 절단해서, 수지가 통과할 정도의 구멍을 형성한다.
(2) 형틀을 체결한 후에 전사용 필름을 사출노츨로 파탄한다.
(3) 형틀을 체결한 후에 사출되는 수지의 압력에 따라 전사용 필름을 파탄한다.
그러나, 상기 어느 것이라도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사용 필름의 절단시에 대량으로 발생하는 가스가 용융수지 속으로 섞어지며, 또 가스가 퇴적해서 런너의 개구부를 막아 버린다. 그리고, 가스가 파팅면에 퇴적해서 금형을 손상시키고 구멍 뚫는 장치를 금형내에 채워 넣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금형구조가 복잡해지거나 대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캐비티가 적어져 실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2)와 (3)에서는, 용융수지와 사출노즐에 따라 전사용 필름을 무리하게 뚫기 때문에, 전사용 필름에 작은 구멍을 확실하게 뚫는 것은 불가능한 뿐만 아니라 구멍이 뚫어 졌다 해도 큰 파편조각이 가동형형틀에 밀착해서 가동형에 설치된 런너의 개구부를 막아, 용융수지의 유동을 저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인서트 필름에 용융수지가 통과하기 위해 작은 구멍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콘솔판넬, 암레스트, 코인트레이, 센터필라, 호일캡, 미터판넬, 대쉬보드, 스위치베이스, 계기판넬, 조작보턴, 각종 용기 등과 같은 자동차의 내장·외장부품, AV 기기의 프론트판넬과 보작보턴, 또는 세탁기, 취반기, 정수기 등의 가전제품의 판넬과 조작보턴 등을 제조하기 위해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첨부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의 가동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의 가동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의 가동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의 고정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의 가동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의 가동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의 가동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의 가동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의 가동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2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일부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그림이나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는, 진공흡인구와 용융수지의 사출게이트를 갖는 고정형과, 상기 사출게이트에 마주보고 캐비티로 통하는 런너를 갖는 가동형을 갖춘 사출성형용 금형, 인서트 필름을 상기 고정형과 상기 가동형과의 사이에 도입한 필름도입장치, 상기 캐비티와 상기 사출게이트를 둘러싼 것처럼, 상기 필름도입장치에 따라 도입된 상기 인서트 필름를 상기 고정형의 표면에 눌러 부착하는 제 1 클램프장치와, 상기 고정형의 표면에 상류측의 소정위치 또는 상류측에 마주보는 상기 제 1 클램프장치의 소정위치에서 어느쪽이든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클램프장치에 따라 상기 인서트 필름이 상기 고정형에 눌러 부착될 때에, 상기 고정형의 표면의 상류측에서 상기 인서트 필름을 분단하는 절단장치 및 상기 고정형의 표면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서트 필름의 분단단부를 고정하는 제 2 클램프장치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도입장치가 상기 고정형의 상방에서 이동가능 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인구가 상기 고정형의 파팅면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제 1~3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가 히트 커터(heat cutter)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하면, 제 1~4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의 런너가 상기 고정형의 상기 사출게이트에 마주보는 위치에 있어서 폭이 좁아지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하면, 제 1~5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이 핫런너 금형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하면, 제 1~6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의 사출게이트 근방에 상기 인서트 필름을 눌러 부착하는 고정핀이 상기 가동형의 상기 런너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하면,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이 파팅면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동형내에 채워넣어 진 슬라이드바와, 상기 인서트 필름을 상기 고정형에 눌러 부착하는 면과 상기 런너내를 통과하는 상기 용융수지에 접촉하는 면과를 표리에서 헤드를 갖는 갈고리모양의 언더커트핀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형과 상기 가동형과의 형틀분리시에 상기 슬라이드바의 슬라이드에 따라 상기 헤드가 상기 런너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빗겨 나가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하면, 제 7~8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고정핀이, 상기 고정형의 상기 사출게이트에 마주보는 위치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관한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에 따르면, 진공흡인구와 용융수지의 사출게이트를 갖는 고정형과, 상기 사출게이트에 마주보는 동시에 캐비티로 통과하는 런너를 갖는 가동형과의 사이에 인서트 필름를 끼워 넣어, 사출성형 동시에 상기 인서트 필름의 그림이나 모양을 성형품에 형성하는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클램프장치에 따라 상기 인서트 필름을 상기 고정형의 표면에 눌러 부착한 후, 진공흡인구에 따라 상기 인서트필름을 상기 고정형에 밀착시켜, 형틀을 체결한 후, 상기 사출게이트에서 상기 용융수지를 사출하고, 상기 용융수지가 상기 인서트 필름에 형성된 구멍에서 상기 가동형의 상기 런너를 통해 상기 캐비티에 도달해서, 상기 인서트 필름과 상기 가동형과의 사이에 상기 용융수지를 충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의하면, 제 1~9의 실시예 중에서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를 사용하며, 우선, 상기 필름도입장치의 핀치장치로 인서트 필름의 분단단부를 뽑아낸 다음, 상기 인서트 필름의 분단단부를 뽑아낸 상기 핀치장치를 이동시키어, 상기 제 1 클램프장치와 상기 고정형과의 사이에 상기 인서트 필름를 도입하여, 상기 고정형의 상기 캐비티의 정면에 상기 인서트 필름의 그림이나 모양을 위치시키며, 상기 인서트 필름의 상기 분단단부를 상기 제 2 클램프장치에 고정시켜, 상기 핀치장치에서 상기 인서트 필름을 개방한 후, 상기 제 1 클램프장치와 상기 고정형 사이에서 상기 핀치장치를 발출하여, 상기 제 1 클램프장치에 따라 상기 고정형에 상기 인서트 필름을 눌러 부착할 때, 상기 캐비티의 상류측의 상기 절단장치로 상기 인서트 필름을 분단하고, 상기 인서트 필름을 진공흡인구로 진공흡인하여 상기 고정형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형과 상기 가동형을 형틀체결해서, 상기 사출게이트에서 상기 캐비티로 상기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인서트 필름과 상기 가동형 사이에 상기 용융수지를 충진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의하면,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과 상기 가동형 사이에서, 상기 절단장치의 상부의 인서트 필름을 상기 핀치장치에 따라 뽑아낸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의 상류측의 상기 절단장치에서 상기 인서트 필름을 분단한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의하면, 제 1~9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필름을 감아내는 감는장치 롤을 갖추고, 상기 감는장치 롤에서 감아낸 상기 인서트 필름을 상기 필름도입장치에서 상기 고정형과 상기 가동형 사이에 도입한다.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의하면, 제 1~9 및 제 13 중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프장치와 상기 제 2 클램프장치에 따라 고정된 상기 인서트 필름은, 상기 사출게이트에서 사출되는 상기 용융수지의 열과 사출압에 따라 뚫어져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을 관통해서 상기 사출된 용융수지가 상기 런너를 따라 상기 캐비티에 충진된다.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의하면, 제 13 또는 제 14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아 내는 롤 장치가 상기 고정형의 상방에서 이동가능 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의하면, 제 10~12 중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필름을 감아내는 감는장치 롤에서 감아낸 상기 인서트 필름을 상기 제 1 클램프장치에 따라 상기 고정형의 표면에 눌리어 지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의하면, 제 10~12 및 제 16 중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필름은, 상기 사출게이트에서 사출되는 상기 용융수지의 열과 사출압에 따라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을 관통해서 상기 사출된 용융수지가 상기 런너를 따라 상기 캐비티에 충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을 하기전에, 첨부도면에 있어서 똑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똑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는, 캐비티(10)와 사출게이트(14)를 둘러싼 것처럼,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의 파팅면에 눌러 부착하는 제 1 클램프장치(4)와, 진공흡인구(16)와 용융수지(17)의 사출게이트(14)를 갖는 고정형(11), 이 사출게이트(14)에 대향됨과 더불어 캐비티(10)로 통하는 런너(112)를 갖는 가동형(13)을 가지며,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의 사이에 인서트필름(7)을 끼워 넣어, 사출성형과 동시에 인서트필름(7)의 그림 및 모양을 성형품에 형성하는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에 있어서, 제 1 클램프장치(4)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의 표면에 눌러 부착한 후, 진공흡인에 따라 고정형(11)에 인서트필름(7)을 밀착시켜, 사출게이트(14)에서 용융수지(17)를 사출하여, 용융수지(17)가 인서트필름(7)에 형성된 구멍에서 가동형(13)의 런너(112)를 통해 캐비티(10)에 도달하여, 이 인서트필름(7)과 가동형(13)과의 사이에 용융수지(17)가 충진되어지는 것을 기본적 요소로 하고 있다.
또한, 도 1~도 25에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관한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관련된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의 사용시, 또는 본 실시예에 관한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서트필름(7)은, 상류측이 감아낸 롤 장치에 따라 감겨져 있고, 하류측이 감겨지는 롤 장치에 따라 감겨진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류측이 감아낸 롤 장치에 감겨져 있고, 하류측이 분단단부로 된 것이어도 좋다. 또난 매엽에 컷트한 것이라도 상관이 없다.
인서트필름(7)은, 기본시트상에 그림 및 모양층, 접착층 등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이고, 인서트필름(7)에 성형수지가 접착한 후에 기본시트를 박리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다.
여기서 기본시트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텔레프터레이트와 아크릴, 열가소성 에라스트머등의 각종 수지가 있으며, 그림 및 모양층은 성형품의 표면에 장식성과 기능성을 부여하는 층이고, 그림 및 모양층은 보통의 인쇄도 무늬와 도전재질로 형성된 도전패턴 등이 있다.
또한, 그림 및 모양층은 수지바인더와 안료 또는 염료를 사용하는데, 수지바인더와 은폐성 있는 금속안료 및 무기안료 등을 사용해도 좋다.
한편, 접착층은, 인서트필름(7)과 성형품을 접착시키기 위한 층으로서 접착층은, 성형수지의 소재에 적합한 감열성 또는 감압성의 수지를 적당히 사용하는데, 예를들면, 성형수지가 아크릴수지와 우레탄수지의 경우에는, 접착층으로서 염화비닐초산 비닐공중합수지를 사용하면 좋다.
그리고, 그림 및 모양층, 접착층은 각종 인쇄법으로 형성한다.
진공흡인구(16)는, 고정형(11)의 파팅면(118)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고정형(11) 또는 제 1 클램프장치(4)는 금형내에 도입된 인서트필름(7)을 적어도 제 1 클램프장치(4)를 덮는 큰 매엽의 부분과, 인서트필름롤에서 연속하는 띠모양의 부분으로 분단하기 위해 히트커터를 갖는 절단장치(5)를 갖고 있어도 된다.
런너(112)는 제 1 런너(113)와, 제 2 런너(114), 제 3 런너(115) 등을 갖추고 있는데,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가동형(13)의 제 1 런너(113)가,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에서 폭이 좁아지고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가동형(13)의 제 1 런너(113)가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에서 폭이 좁아지게 되고,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와 고정핀(111)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폭이 더 좁아지고 있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고정형(11)은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핫런너 금형이어도 상관은 없는 바, 여기서 핫런너 금형이라는 것은, 핫런너를 갖는 금형이며, 핫런너라는 것은 히터로 용융수지의 유동을 온도제어하여, 런너레스의 성형품을 얻는 방식을 말한다.
핫칩(12)의 선단이,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접근해 있기 때문에, 사출게이트에 마주보는 위치에서, 인서트필름(7)이 핫칩(12)이 선단의 열에 따라 연화 또는 용융되어 구멍의 형성이 손쉬어진다.
상기 가동형(13)은 런너(112)내에 고정핀(111)을 구비하여도 되는 바 (도 6~도 8, 도 10~도 20), 상기 고정핀(111)은,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 근방에 인서트필름(7)을 눌러 부착한 것이다. 또, 고정핀(111)은 도 10~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파팅면(118)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가동형(13)내에 채워넣어진 슬라이드바(120)와,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에 눌러 부착하는 면과 런너(112)내를 통과하는 용융수지(17)에 접촉하는 면과를 표리에서 헤드(121)를 갖는 언더커트핀으로서 상기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의 형틀분리시에 슬라이드바(120)의 미끄럼이동에 따라 헤드(121)가 런너(112)의 비스듬하게 윗방향으로 빗겨 나갈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고정핀(111)은 도 13과 도 14에 나타난 것처럼, 복수의 고정핀에서 이루어진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부분을 둘러싼 것처럼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로서는, 사출성형용 금형(1)과, 감아내는 롤 장치(2), 필름도입장치(3), 제 1 클램프장치의 한 예로서 기능하는 주클램프장치(4), 절단장치(5). 제 2 클램프장치의 한 예로서 기능하는 보조클램프장치(6), 필름가열겸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의 취출장치(9)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감아내는 롤 장치(2)에는 일련의 인서트필름(7)이 롤 모양으로 감겨지고 필름도입장치(3)는 핀치장치(30)와 구동장치(31)를 갖추고 있다(도 15~도 25).
사출성형용 금형(1)은, 후술하는 주클램프장치(4)에 따라 인서트필름(7)이 눌러 부착되는 파팅면(118)과, 진공흡인 또는 용융수지(17)의 압력으로 인서트필름(7)이 밀착하는 캐비티(10), 용융수지(17)의 사출게이트(14)를 갖는 고정형(11),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동시에 캐비티(10)에 통하는 런너(112)를 갖는 가동형(13)을 갖추고 있는 바, 상기 가동형(13)은 가동반(126)에 고정되고, 고정형(11)은 고정반(125)에 고정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반(126)과 고정반(125)은 타이버(19)에 가이드되어 가동반(126)이 고정반(125)에 대해서 접근, 이격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형(11)은 진공흡인 또는 용융수지(17)의 압력으로 인서트필름(7)이 밀착되는 캐비티(10)와, 용융수지(17)의 수지사출로(18) 및 사출게이트(14)를 갖추고 있으며, 수지사출로(18)에는 사출노즐(124)이 연결되고, 고정형(11)에는 캐비티(1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상기 가동형(13)에는 캐비티(10)를 갖는 것도 있다.
고정형(11)의 파팅면(118)에는 사출게이트(14)가 개구되어 있으며, 고정형(11)은 인서트필름(7)을 파팅면(118)에 눌러 부착하는 주클램프장치(4)를 갖추고 있다. 고정형(11)은 진공흡인(16)을 갖추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 고정형(11)에는 가동형(13)과의 성형품과의 파팅면에 진공흡인구(16)를 갖출 수도 있다(도 1~도 4, 도 21~도 23).
또한, 상기 고정형(11)은, 파팅면의 제 1 클램프장치(4)가 접하는 위치보다 내측으로 진공흡인구(16)가 형성되어, 적어도 진공흡인구(16)에서 캐비티(10)에 이르기까지 파팅면이 미세한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미세요철면은 캐비티(10)내의 공기를 파팅면의 진공흡인구(16)까지 쉽게 유도하기 위해 통기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미세요철면은, 사출게이트(14) 부근에 있어서 인서트필름(7)과 고정형(11)과의 사이에 공기를 캐비티(10)내와 파팅면(118)에 있는 진공흡인구(16)까지 쉽게 유도하기 위해 통기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미세요철면은 캐비티(10)내의 공기를 파팅면(118)의 진공흡인구(16)까지 유도하는 경로로서, 이 미세한 요철면은 화학적으로 금형 표면을 녹이는 엣칭가공과, 기계적으로 표면을 깍는 소위 NC 가공에 따라 형성된 면이어도 좋다.
NC 가공은 수직제어 연삭반과 수직제어 평삭반 등으로 수행하며, 미세요철면의 요부는 무수한 미세한 홈이 캐비티(10)에서 방사상태로 뻗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이 미세요철면은 고정형(11)의 캐비티(10)의 테두리 일부에 형성되어도 상관이 없으며, 고정형(11)의 캐비티(10)의 전체 테두리에 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이 미세요철면을 캐비티(10)의 전체 테두리에 형성하게 되면, 인서트필름(7)이 캐비티(10)내면과 파팅면(118)에 얼룩짐없이 밀착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형(11)은 복수의 진공흡인구(16)가 캐비티(10)를 둘러싼 홈내의 형성됨에 따라, 홈에서 캐비티(10)에 이르기까지 파팅면(118)이 미세한 요철면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고정형(11)은 핫런너 금형이어도 상관이 없는바,(도 9) 여기서 핫런너 금형이라는 것은 핫런너가 형성된 금형으로서 이 핫런너라는 것은 히터로 용융수지의 유동을 온도제어하여, 런너레스의 성형품을 얻는 방식을 말한다.
핫칩(12)의 선단이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의 접근해 있기 때문에 사출게이트(14)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있어서, 인서트필름(7)이 핫칩(12)의 선단의 열에 따라 연화 또는 용융되어 구멍이 쉽게 뚫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가동형(13)은, 고정형(11)측에서 사출된 용융수지(17)가 유동 통과하는 런너(112)와, 고정핀(111), 이젝터핀(116)등을 갖추고 있으며, 가동형(13)의 파팅면(118)에는 런너(112)가 개구되고, 파팅면(118)에서 이젝터핀(116)이 출입한다. 상기 가동형(13)의 파팅면(118)에서 이젝터핀(116)이 돌출하여, 가동형(13)에는 부착한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100)을 밀어 낸다. 상기 이젝터핀(116)은 사출성형장치에 내장된 유압실린더 등의 구동부(117)의 힘에 따라 파팅면(118)에서 출입하며, 상기 가동형(13)은 고정형(11)의 주클램프장치(4)와 보조클램프장치(6)를 수용한 클램프수용부(15, 도 15 등)를 갖추고 있어도 된다.
상기 런너(112)는 제 1 런너(113)와, 제 2 런너(114), 제 3 런너(115)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도 1 등), 상기 제 1 런너(113)는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고 설치하고, 제 3 런너(115)는 캐비티(10)에 마주보는 위치에서 개구부(119)를 갖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런너(114)는 제 1 런너(113)와 제 3 런너(115)를 연결하기 위한 런너로서 설치한다.
한편, 제 1 런너(113)에는 제 2 런너(114)의 개구부(1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런너(113)는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에 있어서 폭이 좁아지도록 되어 있으며(도 7), 또는, 상기 제 1 런너(113)는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에 있어서 폭이 좁아지게 되고,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와 고정핀(111)의 위치의 사이에 있어서 폭이 더 좁아지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도 8).
이 경우, 금형의 파팅면(118)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에 눌러 부착할 때에,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에 더 접근한 위치에서 눌러 부착할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금형의 형틀을 체결할 때 작용힘에 작용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보다 강하게 눌러 부착할 수 있으며, 용융수지(17)가 런너(112)내에 사출될 때, 인서트필름(7)에 핀포인트로 구멍을 뚫을 수 있기 때문에, 인서트필름(7)에 쓸데 없는 부분을 찢지 않아도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인서트필름(7)의 가스가 발생을 억제하고, 또 상기 큰 파편이 발생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유효하다.
상기 고정핀(111)은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 근방에 인서트필름(7)를 눌러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런너(113)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사출게이트 근방이라는 것은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근방이며, 고정핀(111)의 수는 1개이어도 좋고 2개 이상의 여러개수 이어도 상관은 없다.
상기 고정핀(111)의 배치는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를 둘러싼 것처럼 배치해도 좋은 바(도 13), 고정핀(111)은 용수철과 유압실린더와 에어실린더 등의 힘으로 가동형(13)의 제 1 런너(113)내에 돌출하거나, 가동형(13)내에 안으로 들어가 있거나, 전혀 움직이지 않아도 된다.
고정핀(111)은, 원주형 모양의 형상내지는, 원주형 모양으로 끝이 뾰족한 형상(도 1 등), 원추형 모양의 형상, 타원형 모양의 형상(도 14)등이 있고, 상기 고정핀(111)은 파팅면(118)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윗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가동형(13)내에 채워진 슬라이드바(120)와,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에 눌러 부착하는 면과 제 1 런너(113)내를 통하는 용융수지(17)에 접촉하는 면과를 표리에서 헤드(121)를 갖는 언더커트핀으로 이루어지며, 이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의 형틀분리시에 슬라이드바(120)가 삽입통로(123)를 슬라이드됨에 따라 헤드(121)가 제 1 런너(113)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빗겨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 경우는 고정핀(111)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에 눌러 부착하는 면이 넓게 차지하기 때문에, 인서트필름(7)을 보다 강하게 눌러 부착할 수 있으며, 용융수지(17)의 압력에 따라 인서트필름(7)에 형성되는 구멍이 보다 작아지게 되므로 유효한 이점을 갖는다.
감아내는 롤 장치(2)는 일련의 인서트필름(7)이 롤상태로 말아진 인서트필름롤(20)등을 갖춘 것으로, 사출성형용 금형(1)의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의 사이에 인서트필름(7)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감아내는 롤 장치(2)는 슬라이드테이블(22)을 끼워 고정형(11)의 상부에 직접 설치되어도 좋고, 나중에 설명할 필름도입장치(3)의 슬라이드테이블(22)위에 설치되어도 된다(도 15~도 20).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테이블(22)은 스테핑모터와 서보모터(35) 등에 따라 가이드레일(23) 상을 전후좌우로 슬라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감아내는 롤 장치(2)에서 감아낸 인서트필름(7)은 턴롤(21)과 가이드롤 등을 끼워 가동형(13)과 고정형(11)과의 사이에 도입되는 바, 상기 인서트필름롤(20)과 턴롤(21)과 가이드롤은 가로로 나열해도 좋고, 세로로 나열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필름도입장치(3)는 감아내는 롤 장치(2)에서 감아낸 인서트필름(7)을 가동형(13)과 고정형(11)과의 사이로 도입하는 것으로서, 이 필름도입장치(3)는 슬라이드테이블(22)을 끼워 고정반(125)의 상부에 직접 설치되거나(도 15~도 20), 또는 상기 필름도입장치(3)는 감아내는 롤 장치(2)등과 일체로 되어, 고정형(11)의 상방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해도 된다(도 25).
고정형(11)의 교환시와 인서트필름롤(20)의 교환시는 필름도입장치(3)와 감아내는 롤 장치(2)를 일시적으로 고정형(11)에서 떨어진 장소에 둘 수 있기 때문에 유효하다. 슬라이드테이블(22)은 스테핑모터와 서보모터(35) 등에 따라 가이드레일(23)상을 전후좌우로 슬라이드 된다.
필름도입장치(3)은 핀치장치(30)와 구동장치(31)를 갖추고 있는데, 이 핀치장치(30)는 인서트필름(7)의 분단단부(70)를 봅아내는 것으로, 핀치헤드(32)와 핀치롤(3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핀치헤드(32)와 핀치롤(33)이라는 것은 금속과 합성수지, 고무 등으로 형성되고 핀치헤드(32)와 핀치롤(33)은, 인서트필름(7)을 사이에 끼워 점접촉시키거나, 선접촉내지는, 면접촉되어도 상관이 없으며, 이 핀치헤드(32)와 핀치롤(33)은 구동장치(31)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장치(31)는 핀치헤드(32)와 핀치롤(33)을, 고정형(11) 또는 가동형(13)의 캐비티(10)의 상류측과 하류측과를 왕복이동 시키는 장치로서, 이 구동장치(31)는 구동부와 샤프트(34)등을 갖추고 있으며, 이 구동부의 한 예로서는, 스테핑모터와 서보모터(35) 등의 모터회전운동을 타이밍벨트 등을 매개로 볼나사의 회전에 연동시키고, 이 볼나사의 회전이 핀치헤드(32)와 핀치롤(33)과의 상하방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슬라이드테이블(22)의 끝에 고정된 프레임(36)에 고정되어 있는데 구동장치(31)를 구성하는 스테핑모터와 서보모터(35)는 모터의 정반대 회전과 회전속도 등의 미소조절이 가능하며, 인서트필름(7)을 캐비티(10) 위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필름도입장치(3)의 구동장치(31)는 구동부(52)와 변형성 있는 와이어(58)로 이루어지는 바, 여기서 상기 핀치장치(30)와 구동부(52)가 변형성 있는 와이어(58)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도 21~도 25).
상기 구동장치(31)는 안이 비어 있는 관모양의 와이어가이드(56)와 와이어릴(57)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와이어가이드(56)의 중공부로 통한 변형성 있는 와이어(58)의 한쪽 끝을 와이어릴(57)에 감고, 다른 쪽 끝은 핀치장치(30)에 고정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58)는 와이어릴(57)의 감아내는 힘 및 인장력과, 상기 핀치장치(30)의 자체의 무게와 밸런스를 조절하면서 핀치장치(3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52)의 스테핑모터와 서보모터, 와이어릴(57) 등은, 모터의 정반대회전과 회전속도 등의 미소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의 간격에 도입하는 속도를 조절하거나,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의 사이에 정확한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핀치장치(30)와 구동부(52)를 샤프트로 연결한 구조에 있어서는, 인서트필름(7)의 도입 행정이상의 길이의 직선상으로 뻗은 강성의 볼나사 샤프트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상방 또는 하방의 큰 공간을 필요로 할 경우가 있는 것에 반하여, 변형성 있는 와이어(58)를 사용하게 되면, 상방과 하방의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서 유효하다.
상기 주클램프장치(4)는 캐비티(10)와 사출게이트(14)를 둘러싼 것처럼, 고정형(11)과 가동형(13)의 사이로 도입된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에 눌러 부착시키도록 되어 있다(도 24A, 도 24B).
주클램프장치(4)는 캐비티(10)에 전체 테두리를 둘러싼 틀형상 또는 클램프헤드와, 클램프헤드를 고정형측으로 끌어당기는 로드(42) 등을 갖는다. 주클램프장치(4)는, 틀모양의 클램프부재에서 분리한 복수의 클램프부재 파편에서 캐비티(10)와 사출게이트(14)를 둘러싼 것처럼 인서트필름(7)을 파팅면에 차례로 클램프하는 것이어도 되는데, 이 주클램프장치(4)가 당접하는 부분에는 고무 등의 실드부재가 형성되어도된다.
이 경우는 고정형(11)의 캐비티(10)의 상류측에 있어서 고정형(11) 표면에 절단인수용부를 설치하여도 된다. 또는, 고정형(11)의 캐비티(10)의 상류측에 인서트필름(7)의 상류측을 분단하기 위해 절단인(50)을 설치해도 상관이 없다.
또한, 주클램프장치(4)의 상류측 클램프헤드(40)에 절단인수용부(41)를 설치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주클램프장치(4)에 절단인(50)으로서 인서트필름(7)을 열로 녹여서 절단하는 히트커터(51)를 설치해도 무방하다.
절단장치(5)는 고정형(11)과 가동형(13)의 사이에 도입된 인서트필름(7)을 캐비티(10)의 상류측에서 분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 절단장치(5)로서는 고정형(11)의 캐비티(10)의 상류측에 있어서 고정형(11) 표면에 절단인(50)을 설치하고, 한쪽 상기 주클램프장치(4)의 상류측 클램프헤드(40)에 절단인(50)이 설치된 절단인수용부(41)를 설치하여, 주클램프장치(4)가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에 눌러 부착함과 동시에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에 눌러 부착하고 인서트필름(7)을 분단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는 캐비티(10)의 상류측에 있어서 고정형(11) 표면에 절단인수용부를 설치하고, 한쪽 상기 주클램프장치(4)의 상류측 클램프헤드(40)에 절단인을 설치하여도 된다. 또는 캐비티(10)의 상류측에 있어서 고정형(11) 표면에 절단인(50)을 설치하여, 한쪽 상기 절단인수용부을 가동형(13)에 설치하여 고정형(11)과 가동형(13)이 형틀을 체결함과 동시에 인서트필름(7)을 분단하는 구조도 상관은 없다.
캐비티(10)의 상류측에 있어서 고정형(11) 표면에 설치하는 절단인(50)의 위치는, 주클램프장치(4)의 상류측 클램프헤드(40)가 고정형(11)과 접촉하는 위치보다 더 상류측에 설치해도 좋다.
절단장치(5)는 사출성형용 금형(1)과 주클램프장치(4)에 직접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절단장치로서 인서트필름을 열로 녹여서 절단하는 히트커터(51)를 설치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히트커터(51)는, 주클램프장치(4)의 상류측 클램프헤드(40)가 고정형(11)과 접촉하는 위치보다 더 상류측에 설치해도 되며(도 24A, 도 24B), 이 히트커터(51)는 사출성형용 금형(1)과 주클램프장치(4)에 직접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절단장치(5)는 구체적으로 절단인(50)의 선단이 고정형(11) 표면보다 돌출한 것이 있다.
보조클램프장치(6)는 필름도입장치(3)에 따라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의 사이에 도입되어온 인서트필름(7)의 분단단부(70)를 캐비티(10)의 하류측에서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 보조클램프장치(6)는 막대기 모양의 것으로 인서트필름(7)을 끼워 넣어도 좋고, 인서트필름(7)에 형성된 구멍에 거는 갈고리핀이어도 상관은 없다(도시하지 않음).
필름가열겸 그림 및 모양을 넣은 성형품 취출장치(9)는 주클램프장치(4)에 따라 고정된 인서트필름(7)을 가열하기 위해 히터(8)와, 캐비티(10)에서 형성된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100)을 취출하기 위한 성형품 보유지지기구가 표리에 배치되어,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의 사이에 출입하는 것이다.
히터(8)로서는 열판과 열풍기 등이 있는데 고정형의 진공흡인구(16)에서 공기를 흡인해서 고정형(11) 표면에 배치된 인서트필름(7)을 캐비티(10)의 내면등의 밀착시킬 때에 밀착하기 쉽도록 미리 인서트필름(7)을 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필름가열겸 그림 및 모양이 들어간 성형품 취출장치(9)는 슬라이드테이블(22)을 끼워 가동반(126)의 상부에 설치되어도 좋고(도 15~도 19), 또는 고정반(125)의 상부에 설치되어도 된다(도 20).
슬라이드테이블(22)은 스테핑모터와 서보모터(35) 등에 따라 가이드레일(23) 위를 전후좌우로 슬라이드 한다.
히터(8)와 성형품 보유지지기구는 구동장치(31)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구동장치(31)는 히터(8)와 성형품 보유지지기구를 고정형(11) 또는 가동형(13)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왕복이동 시키도록 된 것으로, 구동장치(31)는 구동부와 샤프트(34) 등을 갖추고 있다. 이 구동부의 한 예로서, 스테핑모터와 서보모터(35) 등의 모터의 회전을, 볼나사의 회전에 연통시키어, 볼나사의 회전이 히터(8)와 성형품 보유지지기구의 상하동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성형품 보유지지기구로서 상기 히터(8)의 표면에 흡수반(90) 등이 설치된 구조로서, 인서트필름(7)의 가열 전후에 가동형(13)에 잔류하고 있는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100)과 스풀(122)을 취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그림 및 모양을 넣는 성형품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은, 진공흡인구(16)와 용융수지(17)의 사출게이트(14)를 갖는 고정형(11)과,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동시에 캐비티(10)로 통하는 런너(112)를 갖는 가동형(13)의 사이에 인서트필름(7)을 끼워 넣어, 사출성형과 동시에 인서트필름(7)의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으로 형성하는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의 표면에 캐비티(10)의 전테두리에 눌러 부착한 후, 진공흡인에 따라 고정형(11)에 인서트필름(7)을 밀착시키고 형틀을 체결한 다음 사출게이트(14)에서 용융수지(17)를 사출하여, 용융수지(17)가 인서트필름(7)에 형성된 구멍에서 가동형(13)의 런너(112)를 통해 캐비티(10)에 도달하여 인서트필름(7)과 가동형(13)의 사이에 충진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인서트필름(7)은 상류측이 감아낸 롤 장치(2)에 감겨져 있고, 하류측이 분단단부가 된 것이어도 좋으며, 또는 매엽으로 커트한 것이어도 상관은 없다.
우선, 용융수지(17)의 사출게이트(14)를 갖는 고정형(11)과,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동시에 캐비티(10)로 통하는 런너(112)를 갖는 가동형(13)의 사이에 인서트필름(7)을 배치하고, 고정형(11)의 진공흡인구(16)에서 진공흡인하며,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에 밀착시키어, 고정형(11)과 가동형(13)을 형틀체결하여 인서트필름(7)을 끼운다(도 1).
가동형(13)의 런너(112)는 제 1 런너(113), 제 2 런너(114), 제 3 런너(115) 등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고정형(11)이 캐비티(10)를 형성하여도 되며, 또 상기 가동형(13)에 이 캐비티(10)를 형성해도 된다.
가동형(13)으로서,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에 있어서 폭이 좁아지고 있는 제 1 런너(113)를 갖는 것(도 7)을 사용해도 되며, 또는 가동형(13)으로서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에 있어서, 폭이 좁아지고,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와 고정핀(111)의 위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폭이 더 좁아지고 있는 제 1 런너(113)를 갖는 것(도 8)을 사용해도 된다.
도 7 및 도 8의 경우는, 금형의 파팅면(118)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에 눌러 부착할 때에,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에서 더 접근한 위치에서 눌러 부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금형의 형틀체결시의 힘에 작용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보다 강하게 눌러 부착할 수 있으며, 용융수지(17)가 런너(112)내에 사출될때, 인서트필름(7)에 핀포인트로 구멍을 뚫을 수 있기 때문에, 인서트필름(7)의 쓸데없는 부분을 찢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인서트필름(7)의 가스발생을 억제하고, 또 큰 파편조각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의 표면에 눌러 부착한다. 제 1 클램프장치(4)에 따라 눌러 부착하면 되고, 이 주클램프장치(4)는 캐비티(10)와 사출게이트(14)를 둘러싼 구조로서, 캐비티(10)에 따른 형상 또는 클램프헤드와, 클램프헤드를 고정형측에 끌어당기는 로드(42) 등을 갖는다. 눌러 부착할 때는 형틀모양의 클램프부재에서 분리한 복수의 클램프부재 파편으로, 인서트필름(7)을 파팅면에 차례로 클램프해도 좋다.
주클램프장치(4)가 당접하는 부분에는 고무등의 실드부재를 형성해서 기밀성을 갖게 한 누르는 방식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진공흡인해서,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 근방의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에 밀착시키는데, 여기서 사출게이트 근방이라는 것은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의 근방을 말한다.
다음으로,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를 형틀을 체결하는데, 이 때 가동형(13)에 설치된 고정핀(111)으로,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의 근방에 눌러 부착해도 된다.
1개의 고정핀(111)으로 눌러 부착해도 좋고, 2개이상의 여러개의 고정핀(111)으로 눌러 부착해도 된다. 여러개의 고정핀(111)으로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를 둘러 싼 것처럼 눌러 부착해도 무방하다(도 13, 도 14).
상기 고정핀(111)은 원주형 모양의 형태, 원주형 모양으로 끝이 뾰족한 형태, 원추형모양의 형태, 타원형모양의 형태(도 14)등이 있다.
상기 고정핀(111)은 상기 언더커트핀을 사용해서, 헤드(121)로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 근방의 인서트필름(7)을 눌러 부착해도 된다(도 10~도 12).
이 경우는, 이 고정핀(111)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보다 강하게 눌러 부착하는 면이 넓게 차지하므로 인서트필름(7)을 보다 강하게 눌러 부착할 수 있고, 용융수지(17)의 압력에 따라 인서트필름(7)에 형성되는 구멍이 더 작은 것이 되기 때문에 유효하다.
다음으로, 사출게이트(14)에서 용융수지(17)를 사출하여, 용융수지(17)가 인서트필름(7)에 형성된 구멍에서 가동형(13)의 런너(112)를 통해 캐비티(10)에 도달하여 인서트필름(7)과 가동형(13)의 사이에 충진된다(도 3).
인서트필름(7)은 용융수지(17)의 열과 사출압에 따라 찢어져 구멍이 형성된다. 또는, 고정핀(111)으로서 핫런너 금형(도 9)을 사용한 경우는, 히터(핫칩(12))의 상단을, 인서트필름(7)에 접근시키던가 접촉시키던가 해서, 히터(핫칩(12))의 열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녹여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인서트필름(7)에 형성된 구멍에서 용융수지(17)가 우선, 제 1 런너(113)에 들어가 제 2 런너(114), 제 3 런너(115)로 차례로 유동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캐비티(10)에 도달한다(도 3).
용융수지(17)를 캐비티(10){인서트필름(7)과 가동형(13)과의 사이}에 충진시키면서, 인서트필름(7)에 접촉시키어, 이 인서트필름(7)의 접착층과 용융수지(17)가 접촉시킨 상태에서 용융수지(17)가 냉각되어 고체화되어 성형품에 인서트필름(7)이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용융수지(17)의 사출은 가열 용융되어 가소화 상태로 한 성형재료에 사출장치에 따라 사출압력을 가하여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서 제 1 런너(113)로 사출한다. 성형재료로서는, 폴리스틸렌계수지, 폴리에틸렌계수지, 폴리플로필렌계수지, 폴리올레핀계수지, ABS수지, AS수지, AN수지등의 평범한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폴리페닐렌옥시드·폴리스틸렌계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수지, 폴리아세탈계수지, 아크릴계수지, 폴리카보네이트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수지 등의 범용 엔지니어링수지와 폴리술폰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수지, 폴리페닐렌옥시드계수지, 폴리아릴레이트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수지, 폴리이미드수지, 액정폴리에스텔수지, 폴리아릴계내열수지 등의 슈퍼엔지니어링 수지도 사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고정형(11)과 가동형(13)을 형틀을 분리해서(도 4), 성형품에 인서트필름(7)이 접착한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100)을 취출한다(도 5).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100)에 제 3 런너(115)에 따라 형성된 스플(122)이 붙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제 1 런너(113)과 제 2 런너(114)에서 스플(122)을 취출한다.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100)과 스플(122)의 취출은, 가동형(13)내에 설치된 이젝터핀(116)에 따라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100)과 스플(122)을 돌출해서 수행하여도 된다(도 5).
고정핀(111)으로서 언더커트핀을 사용한 경우는,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의 형틀분리시에 슬라이드바(120)의 슬라이드에 따라 헤드(121)가 제 1 런너(113)의 비스듬하게 윗방향으로 빗겨 나가게 하여(도 11), 제 1 런너(113)상에 위치하지 않은 곳까지 빗겨 나가도록 함으로서(도 12), 스플(122)을 취출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사출성형용 금형(1)과, 감아내는 롤 장치(2), 필름도입장치(3), 주클램프장치(4), 절단장치(5), 보조클램프장치(6), 필름가열겸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취출장치(9)를 구비한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를 사용한다.
우선, 고정형(11)의 상부에 설치된 필름도입장치(3)의 핀치장치(30)로 인서트필름(7)의 분단단부(70)을 뽑아낸다(도 15).
뽑아낸 쪽은, 인서트필름(7)의 분단단부(70)의 조금 위쪽을 뽑아내도 좋고, 분단단부(70)의 거의 끝쪽을 뽑아내도 좋다.
다음으로, 필름도입장치(3)의 구동장치(31)로 인서트필름(7)의 분단단부(70)을 뽑아낸 핀치장치(30)를 고정형(11)의 하류측에 이동시켜(도 16), 주클램프장치(4)와 고정형(11)과의 사이에 인서트필름(7)을 도입하여, 고정형(11)의 캐비티(10)의 정면에 인서트필름(7)의 그림 및 모양을 위치시킨 다음, 구동장치(31)를 위치고정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연통시켜, 인서트필름(7)을 캐비티(10)의 정확한 곳에 위치시킨다.
핀치장치(30)의 이동의 제 1 예는, 선단에 상기 핀치장치(30)을 갖춘 볼나사 샤프트의 회전에, 스테핑모터와 서보모터 등의 모터의 회전을 연동시켜, 이 볼나사 샤프트의 회전이 핀치장치(30)의 동작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있다.
상기 핀치장치(30)의 이동의 제 2 예(도 21~도 25)는, 속이 비어있는 관 모양의 와이어가이드(56)와 와이어릴(57)를 갖는 것을 사용해서 행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핀치장치(30)의 자체의 무게에 따라, 고정형(11)과 주클램프장치(4) 사이에 인서트필름(7)을 뽑아낸 핀치장치(30)가 들어가는 방법이다.
핀치장치(30)의 이동의 상기 제 1 예에서는, 강성의 볼나사 샤프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핀치장치(30)의 도입과 발출이동이 일직선상이 되고, 인서트필름(7)을 소정위치에 확실히 운반해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효하다.
또, 이 핀치장치(30)의 이동의 상기 제 2 예에서는, 변형성 있는 와이어(58)를 사용하기 때문에 핀치장치(30)의 도입과 발출이동은, 일직선적인 이동뿐만 아니라, 주클램프장치(4)의 변형한 형상과 금형의 파팅면(118)의 경사와 기복, 사출게이트 위치와 캐비티(10)의 단차 및 캐비티(10)의 내면에 복잡한 표면형상 등에 따라, 파팅면(118)에 대해 상하방향과 꼬이는 방향 등의 임의의 방향에 유연하게 방향전환을 하면서 무리없는 도입과 발출이동이 가능하며, 주클램프장치(4)와 고정형(11)과의 간격과, 고정형(11)과 가동형(13)의 간격을 임의의 형상의 공간으로 하거나, 아주 좁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유효하다(도 25 참조).
다음으로, 상기 인서트필름(7)의 분단단부(70)를 보조클램프장치(6)에 고정시킨다(도 16). 핀치장치(30)에서 개방된 인서트필름(7)이 고정형(11)에 대해 위치가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기 때문이다.
고정은 막대기모양의 것으로 인서트필름(7)을 끼워 넣어도 되고, 고정형(11)의 갈고리핀에 인서트필름(7)의 갈고리 구멍을 끼우도록 형성된 구멍에 걸어도 좋다.
다음으로, 주클램프장치(4)와 고정형(11)과의 사이에서 핀치장치(30)를 발출시키는데, 여기서 상기 발출방법은, 인서트필름(7)의 분단단부(5)가 보조클램프장치(6)에 고정된 채로 행한다. 상기 발출방법은 핀치장치(30)의 핀치헤드(32)와 핀치롤(33)을 떼어 놓은 인서트필름(7)을 개방해서 행해도 좋다(도 16). 이 핀치장치(30)는 적어도 주클램프장치(4)와 고정형(11)과의 간격에서 떨어져 있으면 좋고,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의 간격에서 완전히 떨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완료해도 좋다.
완전히 떨어져 있지 않은 경우이어도 핀치장치(30)는 가동형(13) 또는, 고정형(11)에 형성된 핀치장치(30)의 수납부(도시하지 않음)에 넣어지기 때문에 형틀체결 등의 장해가 되는 등의 문제는 없다.
다음으로, 주클램프장치(4)에 따라 고정형(11)에 인서트필름(7)을 눌러 부착한다(도 17). 이 때, 상기 주클램프장치(4)에 따라 고정형(11)에 인서트필름(7)을 눌러 부착하기 전에, 감아내는 롤 장치(2)와 보조클램프장치(6)에 따라, 인서트필름(7)에 일정한 장력을 가하기 때문에,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의 캐비티(10) 등의 밀착시킬때, 인서트필름(7)을 전면균일하게 얇게 펴 늘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서트필름(7)에 주름과 뒤틀림이 발생한 상태에서 고정형(11)에 밀착하는 것은 없다. 발출한 핀치장치(30)에서 인서트필름(7)을 다시 뽑아, 핀치장치(30)와 보조클램프장치(6)에 따라, 인서트필름(7)의 일정한 장력을 가하도록 조정해도 좋다.
상기 주클램프장치(4)에 따라 고정형(11)에 인서트필름(7)을 눌러 부착할 때에, 상기 캐비티(10)의 상류측에서 인서트필름(7)을 분단하는데, 이때 상기 분단은 절단인(50)이 설치된 고정형(11)과, 절단인수용부(41)가 상류측 클램프헤드(40)에 설치된 주클램프장치(4)에서 행해도 좋다. 또는, 주클램프장치(4)에 따라 고정형(11)에 인서트필름(7)을 눌러 부착한 후에, 절단인(50)이 설치된 고정형(11)과 절단인수용부가 설치된 가동형(13)으로 행해도 좋다. 고정형(11)과 가동형(13)의 에지(모서리)의 엇갈림에 따른 단재로 행해도 좋으며, 또 히트커터(51)를 사용해서 인서트필름(7)을 열로 녹여서 절단해도 좋은 바(도 24A, 도 24B), 히트커터(51)를 사용한 경우는 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유효하다. 또는, 핀치장치(30)에 절단인 등을 구비하는데 있어서, 핀치헤드(32)와 핀치롤(33)으로 뽑아 낼 때에 인서트필름(7)을 분단해도 좋다.
또, 고정형(11)과 가동형(13)과의 사이에, 절단장치(5)의 인서트필름(7)을 핀치장치(30)에 따라 뽑아낸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10)의 상류측의 절단장치(5)에서 인서트필름(7)을 분단해도 좋다(도 24A, 도 24B).
이 경우, 고정형(11)의 캐비티(10)의 상류측에서 인서트필름(7)을 분단하기 때문에 인서트필름(7)의 상류측의 한군데만을 분단하면 되고, 인서트필름(7)의 사방, 즉, 하류부, 양사이드부의 세군데는 절단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인서트필름(7)의 가스가 발생하기 어렵고, 사출성형 금형내에도 침입하기 어렵고, 가스가 부착된 그림이나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이 되지 않고, 좋은 품질의 성형품이 얻어진다.
그리고 분단된 인서트필름(7)은 다시 감겨져 빠지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인서트필름(7)의 양 사이드폭을 넓게 취할 필요는 없다. 또, 인서트필름(7)의 상류부를 분단해 버리기 때문에, 나중에 감아서 꺼낼 필요도 없으며, 인서트필름(7)의 감아서 꺼내는 롤이 불필요함에 따라 인서트필름(7)에 드는 코스트와 장치에 드는 코스트가 불필요함으로서 상대적으로 장치의 콤팩트화가 이루어진다.
또, 히트커터(51)를 사용한 경우는, 가스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정형(11)과 가동형(13) 사이에서 인서트필름(7)을 분단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이 가스를 빨아들이는 일 없이 또, 성형품에 가스가 부착하는 일도 없다.
또, 캐비티(10)의 근방에서 분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서트필름(7)의 쓸데없는 부분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도 24A, 도 24B).
또, 주클램프장치(4)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눌러 부착하는 것과, 인서트필름(7)을 분단하는 것과는, 동시에 행하여도 좋고, 별도로 행해도 상관은 없다.
여기서 별도로 행할 경우는 어느쪽을 먼저 행해도 좋다. 동시에 행할 경우는 캐비티(10)의 상류측에 절단인(50)과 히트커터(51)를 설치하고, 상기 주클램프장치(4)의 상류측 클램프헤드(40)에 절단인수용부(41)을 설치해서, 주클램프장치(4)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눌러 부착하는 동시에 인서트필름(7)을 분단하면 된다.
또, 상기 주클램프장치(4)에 따라. 인서트필름(7)이 고정형(11)에 눌러 부착된 후, 용융수지(17)를 사출하기 전에, 필름가열겸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의 취출장치(9)를 가동형(13)과 고정형(11)과의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형(11)측에 접근시켜, 인서트필름(7)을 가열해서 인서트필름(7)을 연화시키는 동시에, 인서트필름(7)을 진공흡인구(16)에 따라 진공흡인해서 캐비티(10)의 내면에 밀착시키면 된다(도 18).
또, 인서트필름 가열전후에, 필름가열겸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취출장치(9)를 가동형(13)측에 접근시켜, 가동형(13)에 달라 붙어 있는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100)과 스플(122)을 흡입반(90)에 흡착해서,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100)과 스플(122)을 가동형(13)에서 취출해도 좋다.
다음으로, 고정형(11)과 가동형(13)을 형틀을 체결해서(도 19, 도 3), 용융수지(17)를 사출한다. 용융수지(17)는, 우선, 가동형(13)의 런너(112)내에 설치된 고정핀(111)으로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 근방에서 눌러 부착된 인서트필름(7)을 찢어서 구멍을 형성한다. 또는, 고정형(11)으로서, 핫런너 금형(도 9)을 사용한 경우는, 히터(핫칩(12))의 선단을 인서트필름(7)에 접근시키던가, 접촉시키던가 해서, 인서트필름(7)을 히터(핫칩(12))의 열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녹여서 구멍을 형성해도 좋다.
인서트필름(7)에 형성된 구멍에서 용융수지(17)가 먼저 제 1 런너(113)에 들어가, 제 2 런너(114), 제 3 런너(115)와 순차 연동 통과해서, 최종적으로 캐비티(10)에 도달하게 되면, 인서트필름(7)과 가동형(13)과의 사이에 캐비티(10)에 충진된다. 용융수지(17)를 캐비티(10)에 충만해서, 인서트필름(7)에 접촉하여, 인서트필름(7)의 접촉층과 용융수지(17)가 접촉한 채, 용융수지(17)가 냉각되어 고화되어, 성형품에 인서트필름(7)이 접착된다.
다음으로, 주클램프장치(4)에 따라 눌러 부착된 인서트필름(7)을 해제하는 동시에 고정형(11)과 가동형(13)을 형틀분리한다.
인서트필름(7)이 형성된 성형품 즉,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100)은 고정형(11)에 잔류하도록 해도 좋고, 가동형(13)에 잔류하도록 해도 좋다.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의 취출은, 가동형(13)에 설치된 이젝터핀(116)에 따른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100)의 돌출(도 5)과, 필름가열겸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의 취출장치(9)의 흡수반(90)(도 18)으로 같이 행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흡인에 따라 인서트필름(7)을 고정형(11)에 밀착시킴에 따라,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 근방에 인서트필름(7)을 강하게 부착한 후, 형틀을 체결한 후,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서 용융수지(17)를 사출하여, 용융수지(17)가 인서트필름(7)에 형성된 구멍에서 가동형(13)의 런너(112)를 통해 캐비티(10)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는, 가동형(13)의 런너(112)내에 설치된 고정핀(111)으로,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 근방의 인서트필름(7)을 눌러 부착하고,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서 용융수지(17)를 사출하여, 용융수지(17)가 인서트필름(7)에 형성된 구멍에서 가동형(13)의 런너(112)를 통해 캐비티(10)에 도달하도록 해도 좋다.
이 때문에, 상기 주클램프장치(4)에서, 고정형(11)에 인서트필름(7)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도입장치(3), 절단장치(5), 주클램프장치(4), 보조클램프장치(6), 필름도입장치(3), 절단장치(5), 주클램프장치(4), 보조클램프장치(6), 필름가열겸 그림 및 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취출장치(9)의 어느 것도 고정형(11)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가동형(13)이 가벼워져, 부드럽게 형틀체결과 형틀분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진공흡인에 따라 인서트필름을 고정형에 밀착시킨 후, 형틀을 체결하고 고정형의 사출게이트에서 용융수지를 사출해서, 용융수지가 인서트필름에 형성된 구멍에서 가동형의 런너를 통해 캐비티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로인해, 종래의 인서트필름의 구멍 뚫는 장치는 불필요하고, 금형구조가 콤팩트되어, 캐비티가 커지기 때문에 실용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에서는, 진공흡인에 따라 인서트필름을 고정형에 밀착시킨후, 고정형의 사출게이트에서 용융수지를 사출한다. 또는, 고정핀이 고정형의 사출게이트 근방에 인서트필름을 눌러 부착한 후, 고정형의 사출게이트에서 용융수지를 사출한다. 따라서, 용융수지가 통과해서 빠지는 구멍을 인서트필름에 핀 포인트로 쉽게 뚫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스의 발생이 거의 없고, 가스가 퇴적해서 런너의 개구부를 막거나, 가스가 파팅면에 퇴적해서 금형을 파손시키지 않으며, 또 인서트필름의 파편조각이 가동형에 설치된 런너의 개구부를 막게 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가스의 발생이 없고 깨끗한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청구의 범위, 도면, 요약서를 포함한 1996년 1월 31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평8-38958호를 우선권으로 하여 출원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이 숙련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여러 종류의 변화와 수정은 명백하다. 또 이 변형과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따른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은 한에 있어서, 그 중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진공흡인구(19)와 용융수지(17)의 사출게이트(14)를 갖는 고정형(11)과, 상기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동시에 캐비티(10)로 통하는 런너(112)를 갖는 가동형(13)을 갖춘 사출성형용 금형, 인서트필름(7)을 상기 고정형(11)과 상기 가동형(13)과의 사이에 도입하는 필름장치(3), 상기 캐비티(10)와 상기 사출게이트(14)를 둘러싼 것처럼, 상기 필름도입장치(3)에 따라 도입된 상기 인서트필름(7)를 상기 고정형(11)의 표면에 눌러 부착하는 제 1 클램프장치(4)와, 상기 고정형(11)의 표면에 상류측의 소정위치 또는 상류측에 마주보는 상기 제 1 클램프장치(4)의 소정위치에서 어느 쪽이든 한쪽에 배치되고 또, 상기 제 1 클램프장치(4)에 따라 상기 인서트필름(7)이 상기 고정형(11)에 눌러 부착되어질 때에, 상기 고정형(11)의 표면의 상류측에서 상기 인서트필름(7)을 분단하는 절단장치(5) 및 상기 고정형(11)의 표면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또, 상기 인서트필름(7)의 분단단부(70)를 고정하는 제 2 클램프장치(6)를 갖춘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도입장치(3)가 상기 고정형(11)의 상방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인구(19)가 상기 고정형(11)의 파팅면(118)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5)가 히트커터(5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13)의 상기 런너(112)가 상기 고정형(11)의 상기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위치에 있어서 폭이 좁아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11)의 핫런너 금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 근방에 상기 인서트필름(7)을 눌러 부착하는 고정핀(111)이 상기 가동형(13)의 상기 런너(112)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111)이 파팅면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에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동형 내에 채워 넣어진 슬라이드바(12)와, 상기 인서트필름(7)을 상기 고정형(11)에 눌러 부착하는 면과 상기 런너(112)내를 통과하는 상기 용융수지(17)에 접촉하는 면을 표리에 헤드(121)를 갖춘 언더커트핀으로서, 상기 고정형(11)과 상기 가동형(13)과의 형틀분리시에 상기 슬라이드바(120)의 슬라이드에 따라 상기 헤드(121)가 상기 런너(112)의 비스듬하게 윗방향으로 빗겨 나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
  9. 제7항 및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11)의 사출게이트(14)에는 여러개의 고정핀(111)이 마주보는 위치로 둘러싸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
  10. 진공흡인구(19)와 용융수지(17)의 사출게이트(14)를 갖는 고정형(11)과, 상기 사출게이트(14)에 마주보는 동시에 캐비티(10)에 통하는 런너(112)를 갖는 가동형(13)과의 사이에 인서트필름(7)을 끼워 넣어, 사출성형과 동시에 상기 인서트필름(7)의 그림모양이 성형품에 형성한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클램프장치(4)에 따라 상기 인서트필름(7)을 상기 고정형(11)의 표면에 눌러 부착한 후, 진공흡인에 따라 상기 인서트필름(7)을 상기 고정형(11)에 밀착시키며, 형틀을 체결한 후, 상기 사출게이트(14)에서 상기 용융수지(17)를 사출하여, 상기 용융수지(17)가 상기 인서트필름(7)에 형성된 구멍에서 상기 가동형(13)의 상기 런너(112)를 통해 상기 캐비티(10)에 도달하여, 상기 인서트필름(7)과 상기 가동형(13)의 사이에 상기 용융수지(17)를 충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도입장치(3)의 핀치장치(30)로 상기 인서트필름(7)의 분단단부를 뽑아내고, 다음으로, 상기 인서트필름(7)의 상기 분단단부(70)를 뽑아낸 상기 핀치장치(30)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클램프장치(4)와 상기 고정형(11)과의 사이에 인서트필름(7)을 도입하여, 상기 고정형(11)의 상기 캐비티(10)의 정면에 상기 인서트필름(7)의 그림모양을 위치시키고, 상기 인서트필름(7)의 상기 분단단부(70)를 상기 제 2 클램프장치(6)에 고정시키어, 상기 핀치장치(30)에서 상기 인서트필름(7)을 개방한 후, 상기 제 1 클램프장치(4)와 상기 고정형(11)과의 사이에서 상기 핀치장치(30)를 발출하여, 상기 제 1 클램프장치(4)에 따라 상기 고정형(11)에 상기 인서트필름(7)을 눌러 부착할 때에, 상기 캐비티(10)의 상류측의 상기 절단장치로 상기 인서트필름(7)을 분단해서, 상기 인서트필름(7)을 상기 진공흡인구(19)에 따라 진공흡인하여 상기 고정형(11)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고정형(11)과 상기 가동형(13)을 형틀체결해서, 상기 사출게이트(14)에서 상기 캐비티(10)에 상기 용융수지(17)를 사출하여, 상기 인서트필름(7)과 상기 가동형(13)의 사이에 상기 용융수지(17)를 충진하도록 된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11)과 상기 가동형(13)의 사이에서 상기 절단장치(5)의 상부의 상기 인서트필름(7)을 상기 핀치장치(30)에 따라 뽑아낸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10)의 상류측의 상기 절단장치(5)로 상기 인서트필름(7)을 분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필름(7)을 감아내는 감는 롤장치(2)를 구비하고, 상기 감아내는 롤장치에서 감아낸 상기 인서트필름을 상기 필름도입장치에서 상기 고정형과 상기 가동형과의 사이에 도입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
  14. 제1항 내지 제9항 및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프장치와 상기 제 2 클램프장치에 따라 고정된 상기 인서트필름은 상기 사출게이트에서 사출된 상기 용융수지의 열과 사출압에 따라 찢어져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을 관통해서 상기 사출된 용융수지가 상기 런너를 끼워 상기 캐비티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아낸 롤장치가 상기 고정형(11)의 상방에 서 이동가능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
  16. 제10항 내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필름(7)을 감아내는 감는 롤장치(2)에서 감아낸 상기 인서트필름을 상기 제 1 클램프장치에 따라 상기 고정형의 표면에 누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2항 및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필름은 상기 사출게이트에서 사출되는 상기 용융수지의 열과 사출압력에 따라 찢어져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을 관통해서 상기 사출된 용융수지가 상기 런너를 끼워 상기 캐비티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방법.
KR1019970706556A 1996-01-31 1997-01-30 그림모양이새겨진성형품제조장치와이의제조방법 KR100440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895896 1996-01-31
JP1996/38958 1996-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153A true KR19980703153A (ko) 1998-10-15
KR100440398B1 KR100440398B1 (ko) 2004-10-26

Family

ID=1253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556A KR100440398B1 (ko) 1996-01-31 1997-01-30 그림모양이새겨진성형품제조장치와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89480A (ko)
EP (1) EP0818293B1 (ko)
JP (1) JP3862283B2 (ko)
KR (1) KR100440398B1 (ko)
CN (1) CN1070761C (ko)
CA (1) CA2216867C (ko)
DE (2) DE69735531D1 (ko)
WO (1) WO19970279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704B1 (ko) * 2001-07-27 2004-08-09 (주)신기기연 인몰딩코팅 장치 및 방법
KR102343547B1 (ko) * 2021-04-07 2021-12-28 한상용 금형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지 제품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지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2994A1 (de) * 2003-05-21 2004-12-09 Arvinmeritor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undbauteils, insbesondere eines Fahrzeugteils, sowie Karosserieanbauteil
US6132669A (en) * 1997-08-14 2000-10-17 The Elizabeth And Sandor Valyi Foundation, Inc. Process for preparing a molded article
JP3719482B2 (ja) 1998-07-29 2005-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装置
US6497567B1 (en) * 1999-10-04 2002-12-24 Serigraph Inc. Multi-purpose processing apparatus
BR0015273B1 (pt) * 1999-10-29 2011-11-16 processo para a fabricação de um tecido não-têxtil de elementos com estruturas de engate mútuo, tecido não-têxtil de elementos individuais e unidade de elementos para formar o dito tecido.
US7807247B1 (en) 1999-10-29 2010-10-05 Bromley Robert L Flexlock with headed pintle and conical buttressing
EP1127673A1 (en) * 2000-02-23 2001-08-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hell element provided with an opening in an angled part and a shell element manufactured by said method
US6964346B1 (en) * 2000-08-09 2005-11-15 White Cap, Inc. Closure cap with injection molded annular gaske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2086489A (ja) * 2000-09-18 2002-03-26 Nissha Printing Co Ltd フィルム導入装置と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4765225B2 (ja) * 2001-08-15 2011-09-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インモールド転写成形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成形型
US6793853B2 (en) * 2001-08-27 2004-09-21 Carroll Packaging Method of making slotted tubular dunnage
US6790396B2 (en) 2001-08-29 2004-09-14 Nokia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illuminated covers
US6821467B2 (en) * 2001-08-31 2004-11-23 Multi-National Resources Method of making a thin film keypad
US6816083B2 (en) 2002-02-04 2004-11-09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cover including a radio frequency indentification module
CN100457418C (zh) * 2003-08-27 2009-0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装饰成型品的成型装置和方法
US8257816B2 (en) 2004-02-05 2012-09-04 Lomont Molding, Inc. Signage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50244610A1 (en) * 2004-04-29 2005-11-0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jection molding of components for vehicles
JP4845180B2 (ja) * 2005-08-25 2011-12-28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US20070184273A1 (en) * 2006-02-09 2007-08-09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Overmolding of Inserts
JP5244426B2 (ja) * 2008-03-12 2013-07-2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表皮材インサート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CN101670651B (zh) * 2008-09-12 2012-07-04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模内装饰转印设备的成型模具
RU2384409C1 (ru) * 2008-11-06 2010-03-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Завод Упаковочных Изделий "Токк"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опластикового или бипластикового изделия,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укупорочного колпачка для бутылки
KR101021492B1 (ko) * 2009-02-05 2011-03-16 김학철 안경테의 사출 성형장치
JP2012250510A (ja) * 2011-06-06 2012-12-20 Seiko Epson Corp 射出成形金型、射出成形品及び射出成形方法
RU2467875C1 (ru) * 2011-08-05 2012-11-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Завод Упаковочных Изделий "Токк"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опластикового или бипластикового изделия инжекцией расплава пластика через стенку арматуры
CN103379753A (zh) * 2012-04-19 2013-10-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及其制造方法
US9370880B2 (en) * 2013-03-15 2016-06-21 Nike, Inc. Automated forming of cast polyurethane
JP5866398B2 (ja) 2013-05-15 2016-02-17 東芝機械株式会社 成形システム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5784168B2 (ja) * 2013-05-15 2015-09-24 東芝機械株式会社 成形品製造装置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5873887B2 (ja) * 2013-05-15 2016-03-01 東芝機械株式会社 成形品製造装置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EP3003678A1 (en) * 2013-06-03 2016-04-1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uxembourg IP Development S.à.r.l Injection molding of articles with incorporated inserts
DE102013016858A1 (de) * 2013-10-10 2015-04-16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mit faserverstärktem Träger und beidseitig angespritzten Funktionselementen
CN107030974A (zh) * 2016-02-04 2017-08-11 森田印刷厂股份有限公司 模内转印模具及其模具装置和模内转印方法
CN108944020B (zh) * 2018-04-27 2020-06-19 滁州晨润工贸有限公司 一种覆膜前薄膜平铺备料方法
CH715074A1 (de) * 2018-06-06 2019-12-13 Landis & Gy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ehäusebaugruppe für einen Verbrauchszähler und derselbe.
US11766812B2 (en) 2019-10-15 2023-09-26 King Steel Machinery Co., Ltd. Injection molding system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ES2811677B2 (es) 2020-07-21 2022-02-18 Moldcom Composites S L U Método de fabricación y decoración de un plato de ducha de resina con carga mineral con revestimiento exterior y plato de ducha obtenido mediante dicho método
KR102313013B1 (ko) * 2021-02-04 2021-10-14 한상용 사출 금형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사출 제품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사출 제품
US11731324B2 (en) * 2021-08-23 2023-08-22 King Steel Machinery Co., Ltd. Molding device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78462D1 (en) * 1982-08-17 1988-12-22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articles while simultaneously forming patterns thereon
JPS59194848A (ja) * 1983-04-21 1984-11-05 Japan Steel Works Ltd:The 転写成形方法及び装置
JPS6426420A (en) * 1987-07-23 1989-01-27 Nissha Print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and simultaneous decorating and manufacture of injection-molded and simultaneously decorated product
JPH0439335Y2 (ko) * 1989-07-24 1992-09-14
JPH03253317A (ja) * 1990-03-05 1991-11-12 Toppan Printing Co Ltd 同時絵付け成形方法並びにその方法に使用する金型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転写箔
JPH03256716A (ja) * 1990-03-08 1991-11-15 Toppan Printing Co Ltd 同時絵付け成形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金型
US5283028A (en) * 1990-05-02 1994-02-01 Penda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selectively reinforced thermoformed article
JP3253317B2 (ja) * 1991-05-22 2002-02-04 株式会社東芝 蒸気インジェクタ集合体
ATE141249T1 (de) * 1992-04-06 1996-08-15 Quest Int Herstellung von 8-hydroxy-p-cymol durch dehydrogenierung
FR2693146B1 (fr) * 1992-07-02 1994-08-19 Snecma Installation pour la fabrication par drapage de structures multicouches en matériaux composites.
CA2101300C (en) * 1992-08-04 1998-07-28 Emery I. Valyi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lor coated article
JPH0699457A (ja) * 1992-09-17 1994-04-12 Yoshida Kogyo Kk <Ykk> 両面転写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金型並びに射出成形品
SG44545A1 (en) * 1993-12-28 1997-12-19 Nissha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atterned molding arti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704B1 (ko) * 2001-07-27 2004-08-09 (주)신기기연 인몰딩코팅 장치 및 방법
KR102343547B1 (ko) * 2021-04-07 2021-12-28 한상용 금형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지 제품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지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16867C (en) 2006-11-21
EP0818293A4 (en) 2001-01-10
CN1070761C (zh) 2001-09-12
CA2216867A1 (en) 1997-08-07
WO1997027987A1 (fr) 1997-08-07
JP3862283B2 (ja) 2006-12-27
US5989480A (en) 1999-11-23
EP0818293A1 (en) 1998-01-14
DE69735531T2 (de) 2006-11-09
CN1183072A (zh) 1998-05-27
EP0818293B1 (en) 2006-03-22
DE69735531T8 (de) 2007-07-12
KR100440398B1 (ko) 2004-10-26
DE69735531D1 (de)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3153A (ko) 그림모양이 새겨진 성형품 제조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EP06864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lding product with pattern
US6045738A (en) Sheet-decorating injection molding method
EP0531977B1 (en) Process for producing multilayer molded article
JPS62227613A (ja) 両面転写成形品の製造法及び金型機構
JP2965971B1 (ja) クランプ装置と絵柄付成形品の製造方法
JPH1134104A (ja) クランプ装置と成形同時絵付け用金型
KR100978994B1 (ko) 성형 동시 가식장치 및 수평방향 가식시트 이송장치
JP2002086489A (ja) フィルム導入装置と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4721572B2 (ja) 両面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
JPH08267502A (ja) 両面絵付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3917065B2 (ja) 成形同時加飾装置および水平方向加飾シート送り装置
JP4167554B2 (ja) インモールド転写成形方法及び打痕除去フィルム
JP4247050B2 (ja) 連続フィルム及びインモールド転写成形方法
JP3220398B2 (ja) 積層成形品の成形装置及びその積層成形品の成形方法
JPH0577271A (ja) インモールド射出同時絵付装置及び射出同時絵付方法
JP3938433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製造方法
JP4765225B2 (ja) インモールド転写成形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成形型
JP3262270B2 (ja) クランプ装置と成形同時絵付け用金型
JPH06320579A (ja) 射出成形品成形用金型構造
JP4129409B2 (ja) 射出成形金型
JP2000043097A (ja) オーバーレイドインモールド成形品の製造方法
JPH10329171A (ja) フィルム導入装置
JPH06304945A (ja) スタンピング成形用型およびスタンピング成形方法
JPH09300409A (ja) 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