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977A -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86977A KR19980086977A KR1019980017048A KR19980017048A KR19980086977A KR 19980086977 A KR19980086977 A KR 19980086977A KR 1019980017048 A KR1019980017048 A KR 1019980017048A KR 19980017048 A KR19980017048 A KR 19980017048A KR 19980086977 A KR19980086977 A KR 199800869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printer
- housing
- output device
- ge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2—Pile receivers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2—Single-function printing machines, typically table-top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는 프린터의 출력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프린터의 상부에 다수의 용지출력장치를 적층시킨다. 각 용지출력장치는 프린터와 같이 동작하는 전환기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각 전환기의 위치는 전환기/구동 기구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전환기/구동 기구는 프린터의 상부에 적층된 용지출력장치내에 설치된다. 제1위치에서, 프린터 또는 용지출력장치의 전환기는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로부터 용지수급영역으로 공급되는 용지를 전환시킨다. 제2위치에서, 상기 전환기는 용지출력장치의 상부로 구동되는 공급롤러에 의해 용지를 공급한다. 상기 용지공급장치의 공급롤러는 프린터와 용지공급장치의 각 전환기가 제2위치에 있을 때만 구동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쇄되는 출력용지가 최소한 두 묶음 이상되는 프린터기에 이용되는 용지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 종이 출력장치가 추가되어질 수 있는 프린트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프린터기의 매체입력용량이 용적면에서 크게 증가하고 다양해지는 반면, 출력용량은 그다지 증가하지 못했다. 특별한 출력용량을 갖는 소수 몇가지 경우를 생각해 본다면, 이 장비들은 일반적으로 매우 큰 용량이거나, 단일상자로 된 장치이거나, 대개 적어도 1500장의 종이를 갖는 장비이다.
이러한 비교적 용량이 큰 장치들은 대개 용지의 적층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위치로 출력용지묶음을 승강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승강구조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현재 사용자들은 대개 프린터기의 출력용지가 하단부에 제공되는 작은 출력용량의 프린터기와, 고가의 승강구동방식으로 많은 양의 추가용량을 갖는 장비를 선택해야만 한다.
매체의 낱장을 위한 다양한 조작옵션을 갖는 프린터와 다른 매체용지를 취급하는 장치들은 두가지 주요한 기계적인 일을 요구한다. 첫째는 매체의 각 종이는 다양한 장치와 부가 기능들을 통해 전달되어야 하고, 둘째는 각 종이는 특별한 장치나 필요한 기능으로 유도되어지거나 전환되어져야 한다.
흔히, 이 두가지 기능들은 서로 개별적으로 독립 수행되며, 특별한 기계구조에서는 독립된 각 기능을 조절하도록 사용된다. 이런 장비들은 조절할 수 있는 최대양과 변경가능한 설계가 제공된다. 왜냐하면 각 기능은 그 자체로 조작되어질 수 있고, 각 기계구조는 다른 것과 독립적으로 설계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장비들은 두 개의 주요이동기구를 필요로 한다. 예들 들어 모터나 솔레노이드 같은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주요 이동장치의 운전을 위해 부가적으로 모터를 운전하거나, 조절하거나, 동력을 전달할 때 역시 비용이 들게 된다.
용지의 이동을 조절하거나 완전히 독립된 양식의 기능을 전환하기 위해 언제나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용지출력장치안으로 낱장을 공급하도록 하지 않는 용지공급장치등과 같은 전환구조라면, 그 장치의 용지이송기능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장치는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우선, 프린더기의 출력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더 낮은 비용의 용지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적층된 용지 출력장치를 갖는 프린터의 출력용량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적층된 용지출력장치의 용량이 현재 제공되는 고용량의 장치보다 작지만, 충분히 프린터의 기본 출력량보다 많다.
다음으로, 각 적층 용지출력장치는 각 용지를 이송 또는 공급하는 기능과 단지 하나의 주구동부에 사용되어지는 낱장 전환기능의 두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각 적층된 용지출력장치는 적층된 용지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적층된 용지출력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용지수납트래이에 용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프린터 또는 적층된 용지출력장치의 공급경로에 용지를 안내하거나, 프린터 또는 적층된 용지출력장치를 벗어나 출력되기 위한 매체의 낱장을 전환하는 적층된 용지공급장치의 전환기를 조절한다.
타워형태로 용지출력장치를 적층함에 있어, 증가된 출력용량은 출력위치를 주소로 불러오고 다각화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이러한 여분의 용량은 프린터 사용자가 주소로 불러올 수 있는 박스와 다각화를 통해서 인쇄작업을 할 수 있기에 프린터용량을 초과하는 많은 양의 문서라도 출력을 할 수 있게 한다.
복합적이고 주소인식가능한 박스는 또한 사용자가 각 작업자에 의해 분리된 작업 즉 메일박싱같은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의 프린터용 용지출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린터용 용지출력장치의 특별한 운전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환기의 용지공급경로를 이동시키고, 용지가 용지출력장치를 통해 공급되어졌을 때 각 용지를 출력하는 단일 수단을 갖는 용지출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에 기술하는 청구항과 도면으로부터 쉽게 알수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수개의 용지출력장치를 구비한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지출력장치중 하나와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로써, 다양한 용지공급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전환기가 용지출력장치의 상부로 공급되는 용지의 공급을 막는 전환기/구동기구의 위치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전환기가 용지출력장치의 상부로 공급되는 용지의 공급을 막지않는 전환기/구동기구의 위치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전환기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클러치기어와 후진구동기어와 전환기/구동 기구의 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전환기/구동 기구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프린터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용지출력장치의 하나와 하우징에 지지된 실장브라켓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프린트의 실장 브라켓과 적층튜브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린터 11 ; 용지출력장치
12 ; 커버 14 ; 하우징
15 ; 용지수급트래이 18,19 ; 공급경로
25,26,29,30 ; 하측 공급롤러 32,33,36,37 ; 상측 공급롤러
27,35 ; 전환기 48 ; 후진구동기어
50 ; 제1전진구동기어 51 ; 스터드볼트
52 ; 제2전진구동기어 53 ; 섹터기어
55 ; 제1스톱핀 56 ; 제2스톱핀
58 ; 걸림돌기 64 ; 전환구동암
66 ; 스토퍼 71 ; 합성기어
77 ; 링칼라 85 ; 실장브라켓
89 ; 적층튜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워형태로 프린터(10)에 적층된 다수개의 용지출력장치(11)를 구비한 프린터(10)를 도시한 것이다. 최상단의 용지출력장치(11)는 그 위에 지지되어진 커버(12)를 갖는다. 프린터(10)가 그 위에 적층된 용지출력장치(11)를 갖지 않을 때, 그 커버(12)는 장치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린터(10)의 최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각 용지출력장치(11)는 용지수급트래이(15)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14)을 갖는다. 각 용지출력장치(11)는 그 위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용지수급트래이(15)를 갖는다. 상기 프린터(10)는 프린터(10)로부터 용지(18)를 받기 위해 실제적으로 수직벽(16)과 상면굴곡벽(17)으로 이루어진 용지 수급영역을 갖는다. 각 용지출력장치(11)의 하우징(14)은 바닥(20)에서부터 상측부(21)까지 연결된 실제적으로 수직의 공급경로(19)를 갖는다.
하나의 용지출력장치(11)와 프린터(10)를 통한 용지(18)중 하나의 공급은 도 2에 실제적으로적으로 도시하였다. 프린터(10)는 공급롤러(25)(26)와, 상기 구동되는 공급롤러(25) 및 이와 조합되며 탄지되는 공급롤러(26)의 결합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프린터(10)는 중심부에 설치되며, 종이등과 같은 매체인 용지(18)를 전환하도록 도 2에 도시한 보인 위치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기(27)를 갖는다. 예를 들어 두 개로 이루어진 공급롤러(29)(30) 사이의 경로(28)를 따라 용지가 움직이게 된다. 상기 공급롤러(29)는 축(30A)에 설치되고(도 8에 도시됨), 상기 공급롤러(30)는 축(30B)에 설치된다. 상기 각 축(30A)(30B)은 공급롤러(29)(30)를 회전시키는 프린터(10)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전환기(27)가 도 2의 위치에 있을 때, 용지(18)는 프린터를 벗어나도록 공급롤러(29)(30)에 의한 공급경로(28)을 따라 출력된다. 상기 용지(18)는 용지수급영역 즉 앞서 언급한 격벽(16)(17)으로 이루어진 용지수급영역에 모여진다.
전환기(27)는 그것을 지지하는 축(31)(도 8에 도시됨)에 고정되고, 상기 축은 프린터(10)의 축지지부(31A)(31B)(도 8에 도시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전환기(27)와 상기 전환기를 지지하는 지지축(31)이 실제적으로 축상에서 시계방향(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용지(18)(도 2에 도시됨)는 하우징(14)의 공급경로(19)를 통해 충분히 수직으로 올라올 수 있게 된다.
용지출력장치(11)의 하우징(14)의 상기 수직 공급경로(19)는 수직으로 위치하며 하측의 공급롤러(32 및 32')조합과 상측의 공급롤러(33)(33')조합의 두 쌍에 의해 규정되어 진다. 상기 공급롤러(32)(33)는 제각기 구동되는 공급롤러(32 및 33)가 원상태로 조합되려고 하는 동안 구동된다.
상기 용지출력장치(11)의 하우징(14)은 중심부에 설치된 전환기(34)를 갖는다. 상기 전환기(34)는 도 2에 도시되며, 하우징(14) 상단면(21)으로 용지가 공급되는 것을 막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같은 전환기(34)의 막거나 전환시키는 위치에서 상기 용지(18)는 한짝을 이룬 공급롤러(36 및 37)에 의해 경로(35)를 따라 공급되어 진다.
상기 전환기(34)는 지지축(38)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축은 전환축(27)이 프린터(10)에 지지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하우징(14)에 지지되어 진다. 상기 전환기(34)와 지지축(38)이 실제적으로 지지축(38)의 축방향으로 도 2와 같은 전환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질 때, 전환기(34)는 하우징의 상단부(21)를 통해 다음 출력장치(11)로 배출될 수 있도록 더 이상 수직으로 공급되는 용지의 공급경로를 막지 않는다. 물론 도 2와 같이 용지출력장치의 상부에 설치된 다른 용지출력장치(11)가 없다면, 커버(12)(도 1에 도시됨)는 상기 용지출력장치(11)의 하우징(14) 상면에 지지되어 질 것이다.
상기 하우징(14)은 그 위에 지지된 전환기/운전브라켓(40)(도 3에 도시됨)을 갖는다. 상기 브라켓(40)은 실제적으로 수직벽(42)을 이루는 일측벽면에 설치된 전동모터(41)를 갖는다. 상기 모터(41)는 그와 함께 회전하도록 그 위에 고정된 출력기어(44)를 구비한 출력축(43)을 가지며 상기 수직벽(42)에 홀(45)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출력기어(44)는 클러치 기어(46)와 맞물린다. 상기 클러치기어(46)는 그 안에 압입되어 끼워진 일방향 클러치(47)(도 6에 도시됨)를 갖는다. 역구동기어(48)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4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49)을 갖는다. 상기 구동축(49)은 전환/구동 브라켓(40)의 격벽(42)에 있는 통로(49')내에 지지되어 진다.
상기 출력기어4(4)(도 3에 도시됨)는 또한 제1전진구동기어(50)와 맞물려 잇다. 상기 제1전진구동기어(50)는 전환/구동브라켓(40)의 격벽(42)에 의하여 지지되는 스터드볼트(51)위에 설치된다. 또한, 제2전진구동기어(52)는 상기 스터드볼트(51)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전진구동기어(50)와 같이 회전하기 위해서는 제1전진구동기어(50)와 함께 없어서는 안되는 필요한 구성이다.
상기 출력기어(44), 클러치기어(46), 제1전진구동기어(50)는 소음을 감소하기 위하여 헬리컬기어로 되어 있는 반면, 상기 제1전진구동기어(50)와 제2전진구동기어(52)는 일반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후진기어(48)와 제2전진구동기어(52)는 섹터기어(53)위에 기어가 맞물려 있다. 상기 섹터기어(53)는 전환/구동 브라켓(40)의 격벽(42)으로부터 연장된 스터트볼트(54)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섹터기어(53)는 스터드볼트(54)에 대하여 도 3과 도 4의 위치사이에서 회동한다. 도 3의 위치에서 상기 섹터기어(53)는 전환/구동 브라켓(40)의 격벽(42)위의 제1스톱핀(55)에 걸린다. 도 4의 위치에서 상기 섹터기어(53)는 제2스톱핀(56)에 걸린다.
빗장스프링(57)은 전환/구동 브라켓(40)위의 걸림돌기(58)와 섹터기어(53)위의 걸림돌기(59) 사이에서 탄성 연장된다. 상기 빗장스프링(57)은 도 3 또는 도 4의 위치에서 보듯이 섹터기어(53)를 붙잡고 있다.
상기 섹터기어(53)가 도 3의 위치에 있을 때, 후진구동기어(48)상의 기어와 섹터기어(53)상의 기어가 서로 맞물리지 않도록 섹터기어(53)의 기어들이 후진구동기어(48)와 조합하여 공간부(60)를 차단한다.
도 3의 위치에서, 상기 섹터기어(53)는 도 2와 같은 전환위치에 전환기(27)(도 2에 도시됨)가 위치하도록 배치된 인출핀(61)을 갖는다.
상기 출력핀(61)은 전환구동암(64)내에 배치되도록 연장형성된 푸시로드(63)(도 5에 도시됨)를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위치에서, 상기 푸시로드(63)는 전환기(27)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환기(27)는 도 2의 전환위치에 남게된다.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스프링(68)은 도 2의 위치에 전환기가 계속적으로 있을 수 있도록 작동한다. 상기 전환기 구동암(64)(도 5에 도시됨)은 전환기(27)의 축(31)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14)(도 1에 도시됨)는 스프링(65)에 의한 전환기(27)의 운동량을 제한하도록 한 스토퍼(66)(도 5에 도시됨)를 갖는다.
용지출력장치(11)의 하우징(14)내의 용지공급을 막지않는 위치로 상기 전환기(27)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 상기 섹터기어(53)(도 3에 도시됨)는 도 4의 위치로 반시계방향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은 프린터(10)(도 1에 도시됨)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은 신로를 통해 모터(41)를 구동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섹터기어(53)의 반시계방향의 회전 결과로 제2전진구동기어(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기어(4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후진기어(48)는 구동하지 않는다. 이것은 이 방향의 후진기어(48)에 클러치기어(46)의 회전을 전달하지 않는 일방향 클러치(47)(도 6에 도시됨)에 의한 것이다.
상기 섹터기어(53)(도 4에 도시됨)는 섹터기어(53)내에 가로막힌 기어공간(60)이 제2전진구동기어(52)에 위치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섹터기어(53)는 제2스톱핀(56)에 걸리게 된다. 상기 빗장스프링(57)은 제2스톱핀(56)에 걸려있는 위치의 섹터기어(53)를 잡아준다.
제2전진구동기어(52)와 섹터기어(53)내의 차단된 기어공간(60)의 조합은 섹터기어(53)가 제2스톱핀(56)에 걸린 후 제2전진구동기어(52)가 계속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전진구동기어(52)의 회전은 합성기어(71)의 외주부(70)를 회전시킨다. 상기 합성기어(71)는 다른 합성기어(74)의 외주부(73)와 맞물리는 내주부(72)를 갖는다.
상기 합성기어(71)는 스터드볼트(75)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합성기어(74)는 스터트볼트(76)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스터드볼드(75)는 전환/구동 브라켓(40)의 격벽(42)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스터드볼트(76)는 링칼라내에 지지된다. 상기 링칼라(77)는 스터드볼트(75)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프링(78)(도 4에 도시됨)은 전환/구동 브라켓(40)의 격벽(42)위의 걸림돌기와 링칼라(77)의 일측에 형성한 걸림공사이에서 탄성 연장된다. 상기 스프링(78)은 공급롤러(32)(도 2에 도시됨)가 설치된 축(83)의 일측단 위의 기어(82)와 맞물리는 합성기어(74)의 내주부(81)를 지속적으로 잡아당긴다.
상기 축(83)은 그 축의 타측단에 또 다른 기어를 갖는다. 이것은 공급롤러(33)를 구비한 축에 구동을 전달하고, 공급롤러(36 및 37)를 구비한 축에 구동을 전달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섹터기어(53)(도 3에 도시됨)의 변환 즉 도 3의 위치로부터 도 4의 위치로의 변환은 푸시로드(63)(도 5에 도시됨)가 전환구동암(64)을 움직이도록 한다. 이것은 용지출력장치(11)의 하우징(14)내의 수직용지공급경로(19)로의 용지출력을 더 이상 막지 않기 위하여 전환기의 위치를 변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급롤러(32,33,36 및 37)(도 2에 도시됨)는 전환기(27)가 용지출력장치(11)의 하우징(14)내의 수직용지공급경로(19)로 용지가 출력되는 것을 막지않는 위치가 아니라면 구동하지 않는다.
용지출력장치(11)의 하우징내의 전환기(3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린터(10)의 꼭대기에 있는 용지출력장치(11)의 상부에 또 다른 용지출력장치 있는지 없는지에 의해 조절되어짐을 이해할 수 있다. 만약 또 다른 용지출력장치(11)가 도 2와 같이 용지출력장치(11)의 상부에 있지 않는다면, 상기 전환기(34)는 항상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있을 것이다. 이 결과 공급롤러(36 및 37)의 구동에 의해 용지공급경로(35)를 따라 용지수급트래이(15)로 용지가 안내되어진다.
만약 하나의 용지정렬장치가 제공된다면, 상기 하우징(14)의 꼭대기(21)는 커버(12)(도 1에 도시된)에 의해 닫혀진다.
하우징(14)내의 수직용지공급경로(19)를 통해 나오는 용지를 막지않는 위치(이런 위치를 억세프트위치라함)로부터 변환기(27)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는 위치로 상기 전환기(27)의 위치를 변환시키려면, 프린터(10) 모터(41)(도 4에 도시됨)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야만 한다. 이 신호는 모터(41)의 출력축(4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축(43)의 시계방향의 회전은 클러치 기어(46)와 제1전진구동기어(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왜냐하면 상기 섹터기어(53)내의 차단된 기어공간(60)이 처음에 제2전진구동기어(52)로부터 섹터기어(53)까지 구동할수 없고 단지 섹터기어(53)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통해 후진구동기어(48)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섹터기어(53)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섹터기어(53)가 도 3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 상기 후진구동기어(48)는 더 이상 섹터기어와 기어가 맞물리지 않는다. 왜냐하며 차단된 기어공간(60)이 후진구동기어(48)와 결합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섹터기어(53)은 제1스톱핀(55)에 고정된다.
상기 섹터기어(53)의 이같은 위치는 전환구동암(64)에 더 이상 힘을 전달할 수 없는 위치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65)은 전환구동암(64)을 스토퍼(66)에 걸리도록 이동시킨다. 이것은 공급롤러(29 및 30)으로 용지(18)(도 2에 도시됨)을 전환시키는 위치로 전환기(27)를 되돌려 놓는다.
상기 모터(41)(도 3에 도시됨)는 섹터기어(53)(도 3에 도시됨)가 제1스톱핀(55)에 걸렸을 때 프린터(10)(도 1에 도시됨)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받은 신호에 의해 구동을 멈춘다. 상기 빗장스프링(57)은 모터가 다시 축(4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 힘을 받을 때 까지 이 위치에서 섹터기어(53)를 잡아준다.
용지출력장치(11)의 하우징(14)은 하우징(14)의 근접한 양측 수직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짝의 실장브라켓(85)을 갖는다. 상기 두 개의 실장브라켓(85)은 프린터(10)위에 또는 다른 용지출력장치(11)위에 용지출력장치를 지지하게 된다. 각 실장브라켓(85)은 바닥면에 슬롯(87)을 형성하며, 바닥부분(86)이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장브라켓(85)의 감소된 바닥부분(86)이 프린터(10)의 적층튜브(89)에 형성한 실장슬롯(88)내로 삽입될 때, 상기 슬롯(87)은 적층튜브(89)위의 탭(90)에 끼워진다. 각 실장브라켓(85)은 프린터(10)의 각 적층튜브(89) 수평면(93 및 94)에 걸리도록 한 감소되는 바닥부분(86)의 상단부에 한 쌍의 걸림턱(91 및 92)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용지출력장치(11)는 프린터(10)내로 수직으로 삽입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용지출력장치(11)는 용지(18)의 하중과 탭(90)가 결합된 슬롯(87)의 결합을 통한 다른 용지출력장치(11)에 의해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수평위치는 적층튜브(89)의 실제적으로 수평면(93 및 94)에 각각 결합되는 걸림턱(91 및 92)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하우지(14)(도 9에 도시됨)은 프린터(10)에 비슷하게 정렬된다. 상기 적층튜브(89) 대신에, 하우징(14)의 실장브라켓(85) 상부에 프린터에 지지된 하우징(14)의 상부에 위치한 용지출력장치(11)의 실장브라켓(85)의 슬롯(87)이 삽입되어지는 탭(95)이 형성된다.
프린터(10)위에 지지된 하우징(14)의 상부에 배치된 용지출력장치(11)의 하우징(14)에 의해서 지지되는 실장브라켓(85)의 걸림턱(91 및 92)은, 프린터(10)의 상부에 배치된 하우징(14)위에 지지되는 실장브라켓(85)의 상단부에 형성한 두 개의 플랜지(96 및 97)에 걸쳐진다.
상기 푸시로드(63)(도 5에 도시됨)는 전환기(27)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이며, 회전동작으로 상기 전환기(27)를 구동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푸시로드(63)에 의하여 선형으로 출력하는 대신 회전으로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섹터기어(53)의 회전량은 다음에 의하여 정의 될 수 있다. 섹터기어(53)와 전환기(27)의 거리관계의 변환와, 섹터기어(53)내에 있는 스터드볼트(54)(도 3에 도시됨)의 위치관계의 변화와, 섹터기어(53)와 연결되는 제1전진구동기어(50)와 클러치기어(46) 사이의 연결각의 변화에 의한 두 위치간의 섹터기어(53)의 회전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섹터기어의 회전량이 정의된다.
일방향 클러치(47)(도 6에 도시됨)가 클러치기어(46)와 후진구동기어(48)에 적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제1전진구동기어(50)와 제2전진구동기어(52) 사이에 일방향 클러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같은 장치에서, 사익 제1전진구동기어(50)(도 3에 도시됨)와 제2전진구동기어(52)사이에 사용되는 일방향클러치는 후진구동기어(48)의 동작에 반대되는 방향으로는 공회전과 예비구동을 하도록 방향지어져야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고가의 승강장치없이 프린터의 출력저장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며의 또 다른 효과는 전환기의 위치를 변환하는 수단과 용지를 공급하는 수단이 분리되어질 필요가 없는 것이다.
예를 들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구체적 실시예를 이해하기 쉽도록 기술하였고, 도면으로 나타내 보였다. 그러나, 장치와 부분적 구성내의 변경과 부분적 조절은 본 발명의 범위와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재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는 프린터의 출력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프린터의 상부에 다수의 용지출력장치를 적층시킨다. 각 용지출력장치는 프린터와 같이 동작하는 전환기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각 전환기의 위치는 전환기/구동 기구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전환기/구동 기구는 프린터의 상부에 적층된 용지출력장치내에 설치된다. 제1위치에서, 프린터 또는 용지출력장치의 전환기는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로부터 용지수급영역으로 공급되는 용지를 전환시킨다. 제2위치에서, 상기 전환기는 용지출력장치의 상부로 구동되는 공급롤러에 의해 용지를 공급한다. 상기 용지공급장치의 공급롤러는 프린터와 용지공급장치의 각 전환기가 제2위치에 있을 때만 구동된다.
Claims (19)
- 프린터나 다른 용지출력장치 위에 설치되는 용지출력장치에 있어서,하부에서 상부로 확장되는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구비한 하우징과,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프린터 또는 용지출력장치위에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한 지지수단과,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각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용지공급수단과,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용지수급수단과,프린터나 다른 용지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각 용지가 프린터나 다른 용지공급장치로부터 상기 하우징내에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것을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그 결정수단이 공급된 용지가 상기 하우징내에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것을 결정할때만 상기 용지공급수단을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프린터나 그 아래에 위치한 용지출력장치위에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한 지지수단은 프린터나 그 아래에 위치한 용지출력장치에 수직 삽입되고, 수직 삽입된 후 상기 용지출력장치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하방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프린터나 다른 용지출력장치 위에 설치되는 용지출력장치에 있어서,하부에서 상부로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형성한 하우징과,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프린터 또는 용지출력장치위에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한 지지수단과,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각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용지공급수단과,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용지수급수단과,제1위치에 있을 때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로 부터 상기 용지수급수단까지 각각 공급되는 용지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각각 공급되는 용지를 전환하도록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한 전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공급수단은 공급구동수단과,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로 용지가 공급될 때 상기 공급구동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용지가 공급되어 질 때에만 상기 용지공급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의 전환수단에 계속 힘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최소한 용지가 빠져나가도록 한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갖는 프린터와,상기 프린터에 설치되며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각각 공급되어지는 용지를 수급하기 위한 용지수급수단과,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연장 형성된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 용지출력장치와,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프린터의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와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의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맞추도록 상기 프린터상에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하우징의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각각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용지공급수단과,상기 프린터에 설치되며, 제1위치에서 용지가 빠져나가는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로부터 상기 프린터의 용지수급수단까지 각각 공급된 용지와, 제2위치에서 프린터에 지지된 용지출력장치의 하우징내에 위치한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통해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각각 공급되는 용지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수단과,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지지되는 용지수급수단과,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제1위치에서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용지수급수단까지 각각 공급된 용지와, 제2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각각 공급되는 용지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수단과,상기 프린터의 전환수단이 제1위치에 있는지 제2위치에 있는지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공급수단은 공급구동수단과,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로 용지가 공급될 때 상기 공급구동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전동수단과,상기 전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기어와,상기 출력기어가 하나의 회전방향으로 구동될 때, 실제적으로 수직인 프린터의 공급경로로부터 실제적으로 수직인 하우징의 공급경로까지 용지를 공급하도록 한 위치에서 프린터의 전환수단을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출력기어에 의해 구동하는 전진구동기어수단과,상기 출력기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질 때 실제적으로 수직인 상기 프린터의 공급경로로부터 실제적으로 수직인 하우징의 공급경로까지 공급되는 용지를 막기위한 위치로 상기 프린터의 전환수단을 위치시키는 상기 전진구동기어수단과 동일한 회전방향의 출력기어를 통해 구동되어 지는 후진구동기어와,상기 전진구동기어수단과 상기 후진구동기어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며, 일측에 차단기어공간을 형성한 섹터기어와,상기 차단기어공간이 전진구동기어수단과 후진구동기어중 하나에 맞물린 후 각 회전방향으로 상기 섹터기어의 운동을 정지키시기 위한 제1,2 정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전진구동기어수단이 섹터기어의 상기 차단기어공간과 맞물리고, 상기 섹터기어가 제1정지수단에 걸린 후, 상기 전진구동기어수단이 용지공급수단의 구동을 계속하도록 하고,상기 후진구동기어는 상기 출력기어가 역회전할 때 제2정지수단에 상기 섹터기어가 맞물릴 때까지 섹터기어를 구동하며, 지지수단을 통해 제1정지수단 또는 제2정지수단에 대하여 상기 섹터기어를 잡아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로 프린터의 전환수단에 계속 힘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프린터내에 설치한 수단과, 상기 제2위치로 하우징의 전환수단에 계속 힘을 전달하기 위해 하우징내에 설치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실제적으로 수직인 하우징의 공급경로를 따라 공급되도록 제2위치에 상기 프린터의 전환기가 위치할 때에만 상기 용지공급수단을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용지가 출력되는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갖는 프린터와,상기 프린터에 설치되며, 공급된 각 용지를 수급하기 위한 용지수급수단과,하나는 프린터위에 적층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적층된 용지출력장치 위에 적층되는 적어도 둘이상의 용지출력장치로 구성되고,상기 각 용지출력장치는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연장 형성된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 경로를 갖는 하우징과,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프린터 또는 하부에 용지출력장치를 구비한 용지출력장치의 위에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각 용지가 공급되도록 한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지지되는 용지공급수단과,상기 프린터에 설치되며, 제1위치에서 용지가 빠져나가는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로부터 상기 프린터의 용지수급수단까지 각각 공급된 용지와, 제2위치에서 프린터에 지지된 용지출력장치의 하우징내에 위치한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통해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각각 공급되는 용지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수단과,상기 용지출력장치에 설치되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용지수급수단과,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제1위치에서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로부터 상기 용지수급수단까지 각각 공급된 용지와, 제2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를 따라 각각 공급되는 용지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수단과,상기 프린터의 전환수단 또는 상기 하부 장착 용지출력장치가 제1위치에 있는지 제2위치에 있는지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용지출력장치를 위한 조절수단은 각 용지출력장치의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용지공급수단은 공급구동수단과, 실제적으로 수직인 공급경로로 용지가 공급될 때 상기 공급구동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전동수단과,상기 전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기어와,상기 출력기어가 하나의 회전방향으로 구동될 때, 실제적으로 수직인 프린터 또는 하방설치 용지출력장치의 공급경로로부터 실제적으로 수직인 하우징의 공급경로까지 용지를 공급하도록 한 위치에서 프린터 또는 상기 하방 설치 용지출력장치의 전환수단을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출력기어에 의해 구동하는 전진구동기어수단과,상기 출력기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질 때 실제적으로 수직인 상기 프린터 또는 하방설치 용지공급장치의 공급경로로부터 실제적으로 수직인 하우징의 공급경로까지 공급되는 용지를 막기위한 위치로 상기 프린터 또는 하방설치 용지공급장치의 전환수단을 위치시키는 상기 전진구동기어수단과 동일한 회전방향의 출력기어를 통해 구동되어 지는 후진구동기어와,상기 전진구동기어수단과 상기 후진구동기어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며, 일측에 차단기어공간을 형성한 섹터기어와,상기 차단기어공간이 전진구동기어수단과 후진구동기어중 하나에 맞물린 후 각 회전방향으로 상기 섹터기어의 운동을 정지키시기 위한 제1,2 정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전진구동기어수단이 섹터기어의 상기 차단기어공간과 맞물리고, 상기 섹터기어가 제1정지수단에 걸린 후, 상기 전진구동기어수단이 용지공급수단의 구동을 계속하도록 하고,상기 후진구동기어는 상기 출력기어가 역회전할 때 제2정지수단에 상기 섹터기어가 맞물릴 때까지 섹터기어를 구동하며, 지지수단을 통해 제1정지수단 또는 제2정지수단에 대하여 상기 섹터기어를 잡아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로 프린터의 전환수단에 계속 힘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프린터내에 설치한 수단과, 상기 제2위치로 상기 각 용지출력장치의 하우징의 전환수단에 계속 힘을 전달하기 위해 각 용지출력장치의 하우징내에 설치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실제적으로 수직인 하우징의 공급경로를 따라 공급되도록 상기 프린터의 전환수단과 하방설치 용지공급장치의 전환수단이 제2위치에 위치할 때에만 상기 용지공급수단을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8/854,318 | 1997-05-12 | ||
US08/854,318 US5810353A (en) | 1997-05-12 | 1997-05-12 | Modular output stackers for printers |
US08/854,318 | 1997-05-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86977A true KR19980086977A (ko) | 1998-12-05 |
KR100597878B1 KR100597878B1 (ko) | 2006-10-24 |
Family
ID=2531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17048A KR100597878B1 (ko) | 1997-05-12 | 1998-05-12 | 프린터용적층용지출력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5810353A (ko) |
EP (1) | EP0878427B1 (ko) |
JP (1) | JPH1160052A (ko) |
KR (1) | KR100597878B1 (ko) |
CN (1) | CN1160238C (ko) |
DE (1) | DE69809628T2 (ko) |
TW (1) | TW38694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43449B1 (en) * | 1998-01-27 | 2002-09-03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Paper sheet discharge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
US6308952B1 (en) * | 1998-01-27 | 2001-10-30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Paper sheet discharge apparatus |
US6331003B1 (en) | 1998-01-27 | 2001-12-18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Recording medium discharg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
JP3743197B2 (ja) | 1998-04-03 | 2006-02-0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記録媒体排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6724895B1 (en) | 1998-06-18 | 2004-04-20 | Supersensor (Proprietary) Limited |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source authenticity verification |
US6279899B1 (en) | 1999-09-03 | 2001-08-28 | Lexmark International, Inc. | Substrate sensing mechanism for use in a printer output bin |
US6612240B1 (en) * | 2000-09-15 | 2003-09-02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Drying of an image on print media in a modular commercial printer |
GB2390085B (en) * | 2000-11-28 | 2004-11-10 | Hewlett Packard Co | Sheet media output device |
JP3748382B2 (ja) * | 2001-03-05 | 2006-02-22 | シャープ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の排紙処理装置 |
US7137000B2 (en) | 2001-08-24 | 2006-11-14 | Zih Corp. | Method and apparatus for article authentication |
US6969134B2 (en) * | 2001-10-01 | 2005-11-29 | Zih Corp. | Printer or other media processor with on-demand selective media converter |
KR100545395B1 (ko) * | 2003-11-06 | 2006-01-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US7108260B2 (en) * | 2003-12-19 | 2006-09-19 |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 Flexible director paper path module |
EP1834797A1 (en) * | 2006-03-17 | 2007-09-19 | Seiko Epson Corporation | Stacker position changer and recording apparatus or liquid eject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
US20080174067A1 (en) * | 2007-01-24 | 2008-07-24 | Gilbertson James R | Modular sheet output system for imaging apparatus |
CN102514970A (zh) * | 2008-06-18 | 2012-06-27 | 株式会社东芝 | 薄片处理装置以及薄片处理装置的处理方法 |
KR101582912B1 (ko) * | 2009-01-08 | 2016-0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US8537383B2 (en) * | 2010-07-28 | 2013-09-17 | Kabushiki Kaisha Toshiba | Decoloring device and function management method |
US9309084B2 (en) * | 2014-03-31 | 2016-04-12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etal bracket attached to frame |
JP6128040B2 (ja) * | 2014-03-31 | 2017-05-17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9238562B2 (en) * | 2014-03-31 | 2016-01-19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
JP6380188B2 (ja) * | 2015-03-25 | 2018-08-29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394457B2 (ja) * | 2015-03-25 | 2018-09-2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9580266B1 (en) * | 2015-10-26 | 2017-02-28 | Lexmark International, Inc. | Multi-path media diverter system for an imaging device |
CN105883464A (zh) * | 2016-05-20 | 2016-08-24 | 庄健峰 | 一种具有转动式托盘的打印机装置 |
CN106006151A (zh) * | 2016-06-01 | 2016-10-12 | 邱龙海 | 一种打印后纸张的托盘装置及其使用方法 |
CN106044338A (zh) * | 2016-06-01 | 2016-10-26 | 王启先 | 一种可分拣的打印机后纸张托盘装置及其使用方法 |
CN106006152A (zh) * | 2016-06-01 | 2016-10-12 | 邱龙海 | 一种用于打印机的打印后纸张托盘装置及其使用方法 |
CN105858313B (zh) * | 2016-06-01 | 2018-08-07 | 永康市正祥五金制品科技有限公司 | 一种使用方便的纸张托盘装置及其使用方法 |
KR101979619B1 (ko) * | 2016-07-21 | 2019-05-17 | 디에스글로벌(주) | 포토 프린터 |
JP6801346B2 (ja) * | 2016-09-30 | 2020-12-1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搬送装置 |
JP6921531B2 (ja) * | 2016-12-28 | 2021-08-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積載装置 |
CN110092221B (zh) * | 2019-06-03 | 2021-04-16 | 江苏省捷达软件工程有限公司 | 一种医疗诊断图像打印设备 |
JP7443694B2 (ja) * | 2019-08-09 | 2024-03-06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記録媒体搬送方向切替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363214A (en) * | 1930-02-27 | 1931-12-17 |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le delivery devices for printing machines |
DE3441436A1 (de) * | 1984-02-10 | 1985-08-14 | Kienzle Apparate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 Ablagefach fuer belege |
NL8500929A (nl) * | 1985-03-29 | 1986-10-16 | Oce Nederland B V Patents And | Vellensorteerinrichting. |
FR2589789B1 (fr) * | 1985-11-08 | 1991-04-12 | Sagem | Machine imprimante equipee d'un dispositif de selection de trajet pour les documents imprimes |
JPH0517062A (ja) * | 1991-07-11 | 1993-01-26 | Ace Denken:Kk | 紙片の搬送スタツク装置 |
US5201505A (en) * | 1991-12-23 | 1993-04-13 | Xerox Corporation | Document feeder overlaid trays configuration |
-
1997
- 1997-05-12 US US08/854,318 patent/US5810353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
- 1998-05-12 EP EP98303715A patent/EP087842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5-12 KR KR1019980017048A patent/KR10059787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5-12 JP JP10169099A patent/JPH1160052A/ja not_active Withdrawn
- 1998-05-12 DE DE69809628T patent/DE69809628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5-12 CN CNB981098398A patent/CN116023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7-18 TW TW087107340A patent/TW38694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878427A3 (en) | 1999-04-21 |
TW386945B (en) | 2000-04-11 |
DE69809628D1 (de) | 2003-01-09 |
DE69809628T2 (de) | 2003-07-03 |
EP0878427B1 (en) | 2002-11-27 |
JPH1160052A (ja) | 1999-03-02 |
CN1203859A (zh) | 1999-01-06 |
US5810353A (en) | 1998-09-22 |
EP0878427A2 (en) | 1998-11-18 |
KR100597878B1 (ko) | 2006-10-24 |
CN1160238C (zh) | 2004-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80086977A (ko) | 프린터의 용지출력장치 | |
CN101324765B (zh) | 打印设备中的供纸装置 | |
US4843434A (en) | Random access sheet receiver | |
JP2019131344A (ja) | 画像読取装置 | |
US6330423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6703651B2 (ja) | 排紙経路変換可能な前面給紙かつ前面排紙プリンタ | |
JP4275544B2 (ja) | 給紙装置および該給紙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 |
AU649143B2 (en) | Multiple tray rotary paper feed system for an image reproduction machine | |
US10183819B2 (en) | Assembly for printer having damped media tray | |
JPH01275369A (ja) | 紙などのシート用分類装置 | |
US7093992B2 (en) | Versatile collator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 |
JP5537376B2 (ja) | 給紙装置 | |
JPH10211750A (ja) | プリンタ用ベースユニット | |
CN1141236C (zh) | 具有取纸及分纸机构的馈纸系统 | |
JPH07196229A (ja) | 用紙受け取り装置 | |
KR100286266B1 (ko) | 프린터용 용지의 지지장치 | |
CN219566736U (zh) | 推盒机构、撕膜装置及烹饪设备 | |
KR970007225B1 (ko) | 용지 정렬 장치 | |
KR960006810B1 (ko) |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 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 | |
JP2895333B2 (ja) | 給紙装置 | |
JP2634497B2 (ja) | 回転カセット型給紙装置 | |
JPH08282862A (ja) | 給紙装置 | |
KR0138457B1 (ko) | 광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이송장치 | |
KR0147923B1 (ko) | 빈 고정형 메일박스 소터의 배지가이드장치 | |
KR960006812B1 (ko) |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