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912B1 -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912B1
KR101582912B1 KR1020090001568A KR20090001568A KR101582912B1 KR 101582912 B1 KR101582912 B1 KR 101582912B1 KR 1020090001568 A KR1020090001568 A KR 1020090001568A KR 20090001568 A KR20090001568 A KR 20090001568A KR 101582912 B1 KR101582912 B1 KR 101582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ading
roller
print medium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198A (ko
Inventor
이주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912B1/ko
Priority to US12/620,719 priority patent/US8620204B2/en
Priority to EP09180571.3A priority patent/EP2210840B1/en
Publication of KR2010008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198A/ko
Priority to US14/086,058 priority patent/US902238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6Duplicate, alternate, selective, or coacting f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one or more rollers or balls and stationary pressing, supporting or gui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1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an entity as a function of which control, adjustment or change is performed, i.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9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that several of an entity are pres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2Spur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2Superpos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65H2513/42Rout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동력 전달 메카니즘이 개선된 다단 적재 구조의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인쇄매체 적재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배출 경로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화상형성장치에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의 적재유니트와; 복수의 적재유니트 가운데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에 의하여 상기 배출 대상 적재유니트와 화상형성장치 사이에 장착되는 다른 적재유니트의 이송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PRINTABLE MEDIUM STACKING UNIT, STA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동력 전달 메카니즘이 개선된 다단 적재 구조의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매체 적재유니트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며,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출되는 인쇄매체를 적재한다. 이 인쇄매체 적재유니트는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이송된 인쇄매체를 적재트레이로 배출하는 배출롤러와, 이송롤러 및 배출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한다.
이 인쇄매체 적재유니트는 복수 개 구비되어, 다단 구조로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종래의 다단 구조로 장착된 복수의 인쇄매체 적재유니트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상단의 인쇄매체 적재유니트로 인쇄매체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배출 대상 적재유니트의 구동원 뿐만 아니라 하단의 적재유니트 각각의 구동원을 구동하여 각 단의 적재유니트를 구성하는 이송롤러와 배출롤러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하단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을 모두 구동하고, 배출 대상 이외의 적재유니트에 설치된 배출롤러를 구동함으로써 전력 소모가 심하고,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출 대상 적재유니트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하단에 배치되는 하단 적재유니트의 인쇄매체 이송부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배출 경로 상에 장착되는 인쇄매체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의 적재유니트와; 상기 복수의 적재유니트 가운데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에 의하여 상기 배출 대상 적재유니트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사이에 장착되는 다른 적재유니트의 이송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적재유니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메인 적재유니트와; 상기 메인 적재유니트 상에 다단 구조로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보조 적재유니트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적재유니트 각각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는 구동원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출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상기 이송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트레이로 배출하는 배출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와; 자체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상기 복수의 기어와 상기 이송부로 전달하고, 다른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이 자체 배출롤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동력절환부와; 상단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은 하단 적재유니트의 이송롤러로 전달하고, 하단 적재유니트로부터 제공된 동력이 상단 적재유니트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동력절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적재유니트 각각은, 상기 트레이 상에 배출된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량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대상 트레이를 선택하는 셀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매체 적재유니트는,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구동원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출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트레이로 배출하는 배출롤러를 구비한 이송부와;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상기 이송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상기 이송부로 전달하고, 다른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이 상기 배출롤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동력절환부와; 상단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은 하단 적재유니트의 이송롤러로 전달하고, 하단 적재유니트로부터 제공된 동력이 상단 적재유니트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동력절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레이 상에 배출된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량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대상 트레이를 선택하는 셀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 공급유니트와; 공급된 토너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서 형성된 화상을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와; 인쇄매체 배출 경로 상에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의 적재유니트와; 상기 복수의 적재유니트 가운데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에 의하여 상기 배출 대상 적재유니트와 상기 정착유니트 사이에 장착되는 다른 적재유니트의 이송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 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적재유니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메인 적재유니트와; 상기 메인 적재유니트 상에 다단 구조로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보조 적재유니트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적재유니트 각각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는 구동원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출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상기 이송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트레이로 배출하는 배출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와; 자체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상기 복수의 기어와 상기 이송부로 전달하고, 다른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이 자체 배출롤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동력절환부와; 상단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은 하단 적재유니트의 이송롤러로 전달하고, 하단 적재유니트로부터 제공된 동력이 상단 적재유니트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동력절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 적재유니트 각각은, 상기 트레이 상에 배출된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량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대상 트레이를 선택하는 셀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배출 경로 상에 장착되는 인쇄매체 적재장치에 있어서, 인쇄경로 상에 마련되어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제1이송롤러와, 제1적재영역으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롤러를 포함하는 제1적재유니트와; 상기 제1적재유니트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적재유니트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제2이송롤러와, 제2적재영역으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제2배출롤러를 포함하는 제2적재유니트와; 상기 제2적재유니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적재유니트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제3이송롤러와, 제3적재영역으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제3배출롤러를 포함하는 제3적재유니트와; 인쇄매체가 상기 제3적재영역으로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 및 제3이송롤러와 상기 제3배출롤러에는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제2배출롤러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인쇄매체 적재장치에 대해 인쇄매체를 상기 제3적재영역으로 적재하는 인쇄매체 적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이송롤러를 통하여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및 제3이송롤러와 상기 제3배출롤러가 구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2배출롤러가 구동되지 않도록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이송롤러로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이송롤러에 인접한 제1동력전달부와 독립적으로 마련된 제2동력전달부의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2이송롤러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적재유니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형성되며,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제1이송롤러와, 이송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롤러를 포함하는 메인 적재유니트와; 상기 제1적재유니트 상에 마련되며, 제1동력전달부와 제2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1보조적재유니트와; 상기 제1보조적재유니트 상에 마련되며, 제2동력전달부와 제3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2보조적재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적재유니트의 제2이송롤러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의 구동원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보조적재유니트의 상기 제3배출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3층 구조의 기어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의 회전력은 상기 기어유니트로 전달되어, 상기 제3이송롤러를 회전구동한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보조적재유니트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보조적재유니트로 전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쇄매체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유니트에 마련된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인쇄매체 이송경로 상의 이송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단 적재유니트 각각의 구동원 전체를 구동하지 않고도 인쇄매체를 이송할 수 있다. 즉, 이동 경로 상의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의 구동이 불필요하므로, 전력 소모를 줄임과 아울러 구동원의 구동에 따른 소음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하우징(110)과, 인쇄매체 공급유니트(120)와,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니트(140)와, 현상유니트(160)와, 상기 현상유니트(160)에서 형성된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유니트(170), 기록매체(M)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180),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M)를 적재하는 적재장치를 포함한다.
공급유니트(120)는 현상유니트(160)에 인쇄매체(M)를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인쇄매체(M)의 자동 공급에 이용되는 제1공급부(121)와, 수동 공급에 이용되는 제2공급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유니트(160)는 내부에 소정 색상의 토너(T)가 수용되는 토너 콘테 이너(161)와, 이 토너 콘테이너(161)로부터 토너(T)를 공급받아 화상 형성에 기여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광주사유니트(140)에서 주사된 빔(L)에 감응하는 감광매체(163)와, 이 감광매체(163)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165)와, 상기 감광매체(163)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감광매체(163)의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대해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167) 및, 상기 현상롤러(167)에 토너(T)를 공급하는 공급롤러(169)를 포함한다.
상기 광주사유니트(140)는 상기 감광매체(163)에 광을 주사하여, 상기 감광매체(163)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전사유니트(170)는 이송경로(135)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쇄매체(M)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감광매체(163)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감광매체(163)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공급되는 인쇄매체(M)에 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 전사유니트(170)를 통하여 인쇄매체(M)에 전사된 화상은 상기 정착유니트(180)를 통하여 정착된다. 이어서,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M)는 인쇄매체 배출 경로를 통하여 적재장치로 배출된다.
상기 적재장치는 적재유니트(200)와, 적재유니트(20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 5의 300)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유니트(200)는 복수개 구비되며, 이들 각각은 인쇄매체(M)의 배출 경로 상에 다단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복수의 적재유니트(200) 가운데 인쇄매체(M)가 배출되는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에 의하여, 배출대상 적재유니트와 정착유니트(180) 사이에 장착되는 다른 적재유니트의 이송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적재유니트(200)는 메인 적재유니트(210)와, 메인 적재유니트(210) 상에 다단 구조로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보조 적재유니트(230)(2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보조 적재유니트의 일 예로서, 메인 적재유니트(210)의 상단에 순차로 장착되는 제1 및 제2보조 적재유니트(230)(250)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제1보조 적재유니트(230)와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그 위치를 바꾸어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제1 및 제2보조 적재유니트(230)(250)의 구성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 적재유니트(210)는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구동원(미도시)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으로, 정착유니트(180)에서 배출된 인쇄매체(M)를 이송하는 제1이송부(211)와, 제1이송부(211)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M)가 적재되는 제1트레이(215)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제1이송부(211)는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이송롤러(212)와, 제1이송롤러(212)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를 제1트레이(215)로 배출하는 제1배출롤러(214)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적재유니트(210)는 제1트레이(215) 상에 배출된 인쇄매체(M)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217)와, 인쇄매체의 적재 대상 트레이를 선택하는 제1셀렉터(2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셀렉터(219)는 제1센서부(217)에서 감지된 제1트레이(215) 상의 인쇄매체 적재량 또는 사용자의 선택을 기초로 적재 대상 트레이를 선택한다. 예컨대, 제1센서부(217)가 감지한 제1트레이(215)의 적재량이 적재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제1이송롤러(212)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가 상기 보조 적재유니트(230)(250)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1셀렉터(219)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제1 및 제2보조 적재유니트(230)(250)는 상기 메인 적재유니트(210)와는 달리 상기 메인 적재유니트(21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별도의 적재유니트이다. 이 제1 및 제2보조 적재유니트(230)(250) 각각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의 제1 및 제2보조 적재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제1보조 적재유니트의 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보조 적재유니트(230)는 제어부(300)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는 제1구동원(231)과, 정착유니트(180)에서 배출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제2이송부(233)와, 구동력을 제2이송부(233)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240)와, 제2이송부(233)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제2트레이(236)를 포함한다. 제2이송부(233)는 인쇄매체(M)를 이송하는 제2이송롤러(234)와, 제2이송롤러(234)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M)를 제2트레이(236)로 배출하는 제2배출롤러(235)를 포함한다.
제1동력전달부(240)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G11, …, G19)와, 제1 및 제2동력절환부(T11)(T12)를 포함한다. 제1동력절환부(T11)는 제1구동원(231)에서 제공된 동력을 복수의 기어와 상기 제2이송부(233)로 전달하고, 상단에 적재되는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의 제2구동원(251)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이 제2배출롤 러(235)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2동력절환부(T12)는 제2구동원(251)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은 제2이송롤러(234)로 전달하고, 제1보조 적재유니트(230)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1 및 제2동력절환부(T11)(T12)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동력절환부(T12)는 일 기어축 상에 상호 대향 되게 형성되어 일 방향 회전시 맞물리고 반대방향 회전시 결합 해제되는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 적재유니트(230)는 제2트레이(236) 상에 배출된 인쇄매체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제2센서부(237)와, 제2센서부(237)에서 감지된 인쇄매체의 적재량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인쇄매체 적재 대상 트레이를 선택하는 제2셀렉터(2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는 제어부(300)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는 제2구동원(251)과, 정착유니트(180)에서 배출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제3이송부(253)와, 구동력을 제3이송부(253)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260)와, 제3이송부(253)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제3트레이(256)를 포함한다. 제3이송부(253)는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제3이송롤러(254)와, 제3이송롤러(254)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를 제3트레이(256)로 배출하는 제3배출롤러(255)를 포함한다.
제2동력전달부(260)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G21, …, G29)와, 제3 및 제4동력절환부(T21)(T22)를 포함한다. 제3동력절환부(T21)는 제2구동원(251)에서 제공된 동력을 상기 복수의 기어와 상기 제3이송부(253)로 전달한다. 또한, 상단에 다른 보조 적재유니트(미도시)가 더 장착되는 경우, 이 상단에 적재되는 다른 보조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이 제3배출롤러(255)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4동력절환부(T22)는 다른 보조 적재유니트(미도시)의 제3구동원(미도시)로부터 제공된 동력은 제3이송롤러(254)로 전달하고,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상기한 다른 보조 적재유니트(미도시)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는 제3트레이(256) 상에 배출된 인쇄매체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제3센서부(257)와, 제3센서부(257)에서 감지된 인쇄매체의 적재량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인쇄매체 적재 대상 트레이를 선택하는 제3셀렉터(2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적재유니트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제2보조 적재유니트의 제3트레이로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 및 도 5 각각은 제1 및 제2보조 적재유니트의 요부를 보인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6은 적재유니트의 동력 전달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제2보조 적재유니트로 인쇄매체를 배출시, 제2구동원(251)의 동력에 의하여, 제1보조 적재유니트(230)의 제2이송롤러(234)가 구동된다. 즉, 제2구동원(251)에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은 기어 G21에 전달된다. 이 기어 G21은 3층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제1층기어 G21a는 제2구동원(251)에 맞물리고, 제2층기어 G21b는 기어 G22에 맞물린다. 따라서 기어 G21의 회전력이 기어 G22와 맞물리며 제3배출롤러(255)와 동축상에 마련된 기어 G23을 통하여 제3배출롤러(255)를 회전 구동한다.
기어 G21의 제2층기어(G21b)와 제3층기어(G21c) 사이에는 클러치 구조의 제3동력절환부(T21)가 마련되어 있어서, 제2층기어(G21b)에서 제3층기어(G21c)로는 동력을 전달한다. 한편, 제3층기어(G21c)로부터 제2층기어(G21b)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 여기서, 제3동력절환부(T21)의 구조 및 동작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어 G21의 제3층기어(G21c)로 전달된 동력은 기어 G24로 전달되어, 제3이송롤러(254)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2층기어(G21b)의 회전력은 제2층기어(G21b)에 순차로 맞물리는 기어 G27, G28 및 G29로 동력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제2층기어(G21b)와 기어 G27을 맞물림한 경우는 제2구동원(251)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제1보조 적재유니트(230)의 제2이송롤러(234) 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 상에 적재되는 별도의 구동원에서 제공되는 동력은 제3동력절환부(T21)에서 차단되는 바, 제1보조 적재유니트(230) 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3층 이상의 다단 적재구조를 감안하여, 제2층기어(G21b) 대신 제3층기어(G21c)에 기어 G27이 맞물리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어 G28의 회전축은 링크 L2에 의해 기어 G27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링크 L2가 기어 G27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L2의 위치에 따라 기어 G28과 기어 G29 사이의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기어 G28과 기어 G29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기어 G29는 제2동력절환부(T12)가 동축 상에 마련된 기어 G16의 제1층기어(G16a)에 맞물린다. 여기서, 기어 G16의 제1층기어(G16a)와 제2층기어(G16b) 사 이에는 클러치 구조의 제2동력절환부(T1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1층기어(G16a)에서 제2층기어(G16b)로는 동력을 전달하는 반면, 제2층기어(G16b)로부터 제1층기어(G16a)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 따라서,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로부터의 동력은 제1보조 적재유니트(230) 방향으로 전달하고, 제1보조 적재유니트(230)로부터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
기어 G16의 제2층기어(G16b)에 전달된 동력은 기어 G15, 기어 G11c, 기어 G14 순으로 전달되어 제2이송롤러(234)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기어 G11의 제2층기어(G11b)와 제3층기어(G11c) 사이에는 제1동력절환부(T11)가 마련되어, 제3층기어(G11c)로부터 제2층기어(G11b)로의 동력 전달은 차단한다. 따라서, 제2층기어(G11b)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2배출롤러(235)와, 기어 G17, G18 및 G19는 회전되지 않는다.
여기서, 보조 적재유니트를 구비함에 있어서, 동일 형상의 적재유니트를 3단 이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제2동력전달부(26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 G27의 구성과 같이 기어 G17은 제3층기어(G11c)에 맞물리게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어 G16의 회전력이 기어 G17과 G18에 전달된다. 이 경우, 링크 L1의 회동 위치에 따라 기어 G18은 기어 G19와의 사이에 기어 맞물림 해제 위치에 놓이는 바, 기어 G19는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기어 G25는 기어 G21의 제3층기어(G21c)와 기어 G26의 제2층기어(G26b) 각각에 맞물린다. 여기서, 기어 G26의 제1층기어(G26a)와 제2층기어(G26b) 사이에는 클러치 구조의 제4동력절환부(T22)가 마련되어 있어서, 제2층기 어(G26b)로부터 제1층기어(G26a)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 따라서,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로부터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 상단 방향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
여기서, 메인 적재유니트(210)의 제1이송롤러(212)는 화상형성장치 내에 마련된 별도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보조 적재유니트(230)(250)를 구성하고, 제2구동원(251)을 구동하여 제3트레이(256)에 대하여 인쇄매체를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및 제3이송롤러(234)(254)와, 제3배출롤러(255)에는 동력이 전달되는 반면, 제2배출롤러(235)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구동원(231)의 구동없이도 제3트레이(256)로 인쇄매체를 이송할 수 있다. 아울러, 인쇄매체의 이송에 기여하지 않는 제2배출롤러(235)에 동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제1보조 적재유니트의 제2트레이로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은 제1 및 제2보조 적재유니트의 요부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동력 전달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2트레이(236)로 인쇄매체를 배출시, 제1구동원(231)의 동력에 의하여, 제1동력전달부(240)가 구동된다. 즉, 제1구동원(231)에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은 기어 G11에 전달된다. 이 기어 G11은 3층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제1층기어 G11a는 제2구동원(231)에 맞물리고, 제2층기어 G11b는 기어 G12에 맞물린다. 따라서 기어 G11의 회전력이 기어 G12와 맞물리며 제2배출롤러(235)와 동축 상에 마련된 기어 G13을 통하여 제2배출롤러(235)를 회전 구동한다.
기어 G11의 제3층기어(G11c)로 전달된 동력은 기어 G14로 전달되어, 제2이송롤러(234)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2층기어(G11b)의 회전력은 제2층기어(G11b)에 순차로 맞물리는 기어 G17 및 G18로 동력을 전달한다. 이 때, 기어 G18과 기어 G19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기어 G19를 통하여 메인 적재유니트 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기어 G15는 기어 G11의 제3층기어(G11c)와 기어 G16의 제2층기어(G16b) 각각에 맞물린다. 여기서, 기어 G16의 제1층기어(G16a)와 제2층기어(G16b) 사이에는 클러치 구조의 제2동력절환부(도 5의 T12)가 마련되어 있어서, 제2층기어(G16b)로부터 제1층기어(G16a)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 따라서, 제1보조 적재유니트(230)로부터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 방향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구동원(231)을 구동하여 제2트레이(236)에 대하여 인쇄매체를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배출롤러(235)와 제2이송롤러(234)에는 동력이 전달되는 반면,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보조 적재유니트(230)(250)를 메인 적재유니트(210) 상에 2단으로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3개 이상의 보조 적재유니트를 포함하고, 이들을 3단 혹은 4단 이상 으로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제1보조 적재유니트(230)와 제2보조 적재유니트(250)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적재 위치에 따라서 레버 L1, L2의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조작을 수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인쇄매체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적재 대상인 보조 적재유니트의 구동원과 메인 유니트의 구동원에만 전원을 인가하더라도, 이송 경로 상의 모든 이송롤러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보조 적재유니트의 구동을 수반하고, 복수의 구동원과 비적재 대상 보조 적재유니트의 배출롤러의 회전 및 이 배출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기어에 인가되는 동력을 차단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임과 아울러, 소음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의 제1 및 제2보조 적재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보조 적재유니트의 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 각각은 제2보조 적재유니트의 제3트레이로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 및 도 5 각각은 제1 및 제2보조 적재유니트의 요부를 보인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6은 적재유니트의 동력 전달도이다.
도 7 및 도 8 각각은 제1보조 적재유니트의 제2트레이로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은 제1 및 제2보조 적재유니트의 요부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동력 전달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하우징 120: 인쇄매체 공급유니트
140: 광주사유니트 160: 현상유니트
170: 전사유니트 180: 정착유니트
200: 적재유니트 210: 메인 적재유니트
211: 제1이송부 212: 제1이송롤러
213: 제1배출롤러 215: 제1트레이
217: 제1센서부 219: 제1셀렉터
230: 제1보조 적재유니트 231: 제1구동원
233: 제2이송부 234: 제2이송롤러
235: 제2배출롤러 236: 제2트레이
237: 제2센서부 239: 제2셀렉터
240: 제1동력전달부 250: 제2보조 적재유니트
251: 제2구동원 253: 제3이송부
254: 제3이송롤러 255: 제3배출롤러
256: 제3트레이 257: 제3센서부
259: 제3셀렉터 260: 제2동력전달부
300: 제어부
G11, …, G19: 제1동력전달부의 기어
T11, …, T22: 제1 내지 제4동력절환부
G21, …, G29: 제2동력전달부의 기어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배출 경로 상에 장착되는 인쇄매체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다단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출된 인쇄매체를 이송하고 배출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트레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적재유니트와;
    상기 복수의 적재유니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재유니트에 상기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 상에 있는 상기 적재유니트의 이송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와 상기 인쇄매체를 트레이에 배출하는 배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을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 상에 있는 상기 이송 롤러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 상에 있지 않는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배출 롤러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재유니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메인 적재유니트와;
    상기 메인 적재유니트 상에 다단 구조로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보조 적재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적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적재유니트 각각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는 구동원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출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상기 이송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적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트레이로 배출하는 배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적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와;
    자체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상기 복수의 기어와 상기 이송부로 전달하고, 다른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이 자체 배출롤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동력절환부와;
    상단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은 하단 적재유니트의 이송롤러로 전달하고, 하단 적재유니트로부터 제공된 동력이 상단 적재유니트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동력절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적재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적재유니트 각각은,
    상기 트레이 상에 배출된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량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대상 트레이를 선택하는 셀렉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적재장치.
  7. 인쇄매체 적재유니트에 있어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구동원과;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출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통하여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트레이로 배출하는 배출롤러를 구비한 이송부와;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상기 이송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상기 이송부로 전달하고, 다른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이 상기 배출롤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동력절환부와;
    상단 적재유니트의 구동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은 하단 적재유니트의 이송롤러로 전달하고, 하단 적재유니트로부터 제공된 동력이 상단 적재유니트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동력절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상에 배출된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량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대상 트레이를 선택하는 셀렉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9. 삭제
  10. 삭제
  11.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배출 경로 상에 장착되는 인쇄매체 적재장치에 있어서,
    인쇄경로 상에 마련되어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제1이송롤러와, 제1적재영역으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롤러를 포함하는 제1적재유니트와;
    상기 제1적재유니트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적재유니트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제2이송롤러와, 제2적재영역으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제2배출롤러를 포함하는 제2적재유니트와;
    상기 제2적재유니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적재유니트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제3이송롤러와, 제3적재영역으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제3배출롤러를 포함하는 제3적재유니트와;
    인쇄매체를 상기 제3적재영역으로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 및 제3이송롤러와 상기 제3배출롤러에는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제2배출롤러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적재장치의 제3적재영역에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인쇄매체 적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이송롤러를 통하여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및 제3이송롤러와 상기 제3배출롤러가 구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2배출롤러가 구동되지 않도록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이송롤러로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이송롤러에 인접한 제1동력전달부와 독립적으로 마련된 제2동력전달부의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2이송롤러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적재방법.
  12. 복수의 적재유니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형성되며,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제1이송롤러와, 이송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롤러를 포함하는 메인 적재유니트와;
    상기 메인 적재유니트 상에 마련되며, 제1동력전달부와 제2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1보조적재유니트와;
    상기 제1보조적재유니트 상에 마련되며, 제2동력전달부와 제3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2보조적재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적재유니트의 제2이송롤러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의 구동원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적재유니트의 제3배출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3층 구조의 기어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의 회전력은 상기 기어유니트로 전달되어, 상기 제3이송롤러를 회전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보조적재유니트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보조적재유니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01568A 2009-01-08 2009-01-08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582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568A KR101582912B1 (ko) 2009-01-08 2009-01-08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2/620,719 US8620204B2 (en) 2009-01-08 2009-11-18 Print-medium storing unit having power switching units print-medium stor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EP09180571.3A EP2210840B1 (en) 2009-01-08 2009-12-23 Print-Medium Storing Unit, Print-Medium Stor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14/086,058 US9022387B2 (en) 2009-01-08 2013-11-21 Print-medium storing unit, print-medium stor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568A KR101582912B1 (ko) 2009-01-08 2009-01-08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198A KR20100082198A (ko) 2010-07-16
KR101582912B1 true KR101582912B1 (ko) 2016-01-07

Family

ID=4224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568A KR101582912B1 (ko) 2009-01-08 2009-01-08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620204B2 (ko)
EP (1) EP2210840B1 (ko)
KR (1) KR101582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2664A (ja) * 2012-06-07 2013-12-19 Canon Inc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82208B2 (en) * 2014-02-10 2016-03-08 Seiko Epson Corporation Facsimile device, option unit, and control device
JP6476698B2 (ja) * 2014-09-30 2019-03-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US9751713B2 (en) * 2014-12-18 2017-09-05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le edge media stapling system
US9580266B1 (en) * 2015-10-26 2017-02-28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ath media diverter system for an imaging device
CN107088862A (zh) * 2017-04-18 2017-08-25 成都福莫斯佰龙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能对工件定位的存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9569A (en) 1978-10-27 1980-12-16 Diamond International Corporation Heat transfer labeling machine
US5810353A (en) 1997-05-12 1998-09-22 Lexmark International, Inc. Modular output stackers for printers
US6308952B1 (en) 1998-01-27 2001-10-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aper sheet discharge apparatus
JP3783389B2 (ja) * 1998-02-16 2006-06-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媒体排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9790A (en) * 1985-11-22 1989-07-1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ADF with multiple detachable feed and discharge sections
US4789259A (en) 1986-01-13 1988-12-06 Canon Kabushiki Kaisha Cut sheet feed apparatus
US6443449B1 (en) 1998-01-27 2002-09-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aper sheet discharge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JP4545904B2 (ja) * 2000-08-29 2010-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外部装置、給紙装置、および、排紙装置
KR101335998B1 (ko) * 2008-08-20 201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9569A (en) 1978-10-27 1980-12-16 Diamond International Corporation Heat transfer labeling machine
US5810353A (en) 1997-05-12 1998-09-22 Lexmark International, Inc. Modular output stackers for printers
US6308952B1 (en) 1998-01-27 2001-10-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aper sheet discharge apparatus
JP3783389B2 (ja) * 1998-02-16 2006-06-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媒体排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198A (ko) 2010-07-16
US8620204B2 (en) 2013-12-31
EP2210840A3 (en) 2013-01-09
US9022387B2 (en) 2015-05-05
US20140077439A1 (en) 2014-03-20
US20100172679A1 (en) 2010-07-08
EP2210840B1 (en) 2019-03-13
EP2210840A2 (en)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912B1 (ko)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5887865A (en) Document feeder for image-forming apparatus and image-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441767B2 (en) Sheet feeder with stacking member lifted by planetary gear system
JP5769747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30170048A1 (en) Drive mechanism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97105A (ja) 画像形成装置
JP5325011B2 (ja)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2295824A (ja) 給紙装置
JP6399841B2 (ja) 画像形成装置
JP4128931B2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225158A (ja) 画像形成装置
JP5514761B2 (ja) シート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8655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196341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309798B1 (ko) 복합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5075554A (ja) 給紙装置
JP20040703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54880A (ja) 画像形成装置
JP3426814B2 (ja) 用紙給送装置
JP2023184209A (ja) 画像形成装置
JP5709772B2 (ja) シート積載装置、後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910209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40152A (ja) 画像形成装置
JPH0761613A (ja) 自動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335552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