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998B1 -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998B1
KR101335998B1 KR1020080081619A KR20080081619A KR101335998B1 KR 101335998 B1 KR101335998 B1 KR 101335998B1 KR 1020080081619 A KR1020080081619 A KR 1020080081619A KR 20080081619 A KR20080081619 A KR 20080081619A KR 101335998 B1 KR101335998 B1 KR 101335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locking
stopper
uni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895A (ko
Inventor
양천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1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998B1/ko
Priority to US12/481,752 priority patent/US8276912B2/en
Priority to CN200910160158.4A priority patent/CN101655677B/zh
Publication of KR2010002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9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that several of an entity are pres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10Modular constructions, e.g. using preformed element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4Driving mechanisms other
    • B65H2403/541Trigge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3Oscillating,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e.g. dive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 B65H2408/11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with stationary location in space of the bins and a diverter per b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50Ti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3Actuating means linear magnetic, e.g. induction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5Cost of application or use, e.g. energy, consu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21Discharging tray, e.g. devices stabilising the quality of the copy medium, postfixing-treatment, inverting, s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75Mechanical copy medium guiding means, e.g. mechanical 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전기적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인쇄매체의 이송경로를 전환하는 매체경로전환유닛은, 상기 인쇄매체를 제1경로로 안내하는 제1위치 및 제2경로로 안내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한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 및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제2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MEDIUM-PATH CONVERTING UNIT, MEDIUM TRANSPORT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적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복사기, 프린터, 복합기, 팩스 등이 여기에 속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에서부터 인쇄 후 배지에 이르기 까지 하나의 인쇄매체 이송경로를 갖는 경우도 있으나,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일면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를 다시 기내로 공급하기 위해 또 인쇄매체 이송경로를 구비한다.
또한,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를 복수의 적재대에 적재 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상기 복수의 적재대로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하기 위해 복수의 이송경로를 갖는다.
한편, 상기 인쇄매체를 이러한 복수의 인쇄매체 이송경로 중 어느 한 경로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이송경로의 합류지점에 경로전환유닛이 배치된다. 상기 경로전환유닛은 하나의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에 의해 구동되는 안내부재 및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안내부재는 디폴트상태로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제1경로는 개방하고 다른 제2경로는 폐쇄하도록 배치된다. 만약, 경로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플런저가 상기 안내부재를 밀어서,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제2경로는 개방하고 상기 제1경로는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시, 상기 제1경로로의 경로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플런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에 의한 외력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안내부재도 원위치로 복원된다.
그런데, 상기 경로전환유닛은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로 상기 제2경로를 계속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에 계속 전원을 공급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솔레노이드가 발열되고, 상기 플런저가 자화됨으로써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계속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력소모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 및 자화와 같은 전기적 스트레스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인쇄매체의 이송경로를 전환하는 매체경로전환유닛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를 제1경로로 안내하는 제1위치 및 제2경로로 안내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한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 및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제2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경로전환유닛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액츄에이터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하는 로킹위치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 해제하는 로킹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스톱퍼; 및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위치 및 상기 로킹해제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톱퍼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구동부는,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톱퍼 탄성부재; 및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구동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스톱퍼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돌기와;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스톱퍼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스톱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턱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이동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를 지지하는 유닛몸체와; 상기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플런저와; 일단은 상기 유닛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에 접촉되며,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는 아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를 제1배출경로로 안내하는 제1위치 및 제2배출경로로 안내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한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 상기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제2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하는 로킹위치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 해제하는 로킹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스톱퍼;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위치 및 상기 로킹해제위치 중 적어도 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톱퍼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구동부는,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이스 시키는 스톱퍼 탄성부재;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경로에서 상기 제1배출경로로 경로전환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스톱퍼로부터 로킹 해제 가능한 로킹해제시간동안 상기 스톱퍼 구동부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톱퍼 구동부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직전에 상기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에 소정시간동안 상기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출경로에서 상기 제2배출경로로 경로전환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로킹부에 로킹 가능한 로킹시간동안 상기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배출경로 및 상기 제2배출경로를 따라 이송된 인쇄매체를 각각 적재하는 제1 및 제2적재대; 및 상기 제1 및 제2적재대의 인쇄매체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 상기 제1적재대 및 상기 제2적재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인쇄매체 적재량이 소정치 이상인 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경로전환요청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적재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적재대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옵션배출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배출경로에서 제2배출경로로의 경로전환요청이 있는 경우, 액츄에이터를 이격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액츄에이터가 인쇄매체를 제1배출경로로 안내하도록 안내부재를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제1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하는 단계; 및 상기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배출경로에서 제1배출경로로의 경로 전환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가 로킹해제 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하는 로킹부에 로킹해제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부에 로킹해제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기 직전에 상기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에 소정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솔레노이드에 의한 발열 또는 플런저의 자화와 같은 전기적 스트레스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체 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부(110), 화상형성부(120) 및 매체경로전환유닛(200)을 포함한다.
급지부(110)는 인쇄대기 중인 인쇄매체(P)가 적재된 녹업플레이트(111), 상기 녹업플레이트(111)의 상기 인쇄매체(P)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13), 상기 픽업된 인쇄매체(P)를 상기 화상형성부(120)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롤러(115, 117)를 포함한다.
화상형성부(120)는 상기 급지부(110)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P)에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화상형성부(120)는 노광유닛(미도시)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121), 상기 상담지체(121)를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롤러(미도시), 상기 상담지체(121) 상의 토너를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롤러(122), 및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된 상기 토너를 열과 압력으로 정착시키는 정착롤러(123, 124)를 포함한다.
상술한 화상형성부(120)는 전자사진방식을 채용한 것으로서, 그 외에도 인쇄매체(P)에 잉크로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방식 및 특수한 인쇄매체(P)에 써멀 프린팅 헤드(Thermal Printing Head: TPH)로 열을 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열전사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채택될 수도 있다.
상기 화상형성부(120)에 의해 인쇄된 인쇄매체(M1, M2)는 복수의 배출롤러(131, 133)를 따라 제1적재대(170) 또는 제2적재대(340)로 이송된다. 여기서, 제2적재대(340)는 후술할 옵션배지장치(300)에 마련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101)에 별도의 제2적재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의 공통이송경로(S1)를 따라 급지부(110)에서 급지되어 상기 화상형성부(120)를 통과하면서 인쇄된 인쇄매체가 배출될 배출경로가, 상기 매체경로전환유닛(200)에 의해 상기 제1적재대(170)로 안내하는 제1이송경로(S2) 또는 상기 제2적재대(340)로 안내하는 제2이송경로(S3)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장치본체(101)에 착탈 가능한 옵션배지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션배지장치(300)는 상기 장치본체(10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장치본체(101)에 형성된 상기 제2이송경로(S3)와 연통되는 제2이송경로(S3)를 갖는다.
상기 옵션배지장치(300)는 상기 제2이송경로(S3)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배출롤러(310, 320)와; 제2적재대(340)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2적재대(340)에 적재된 인쇄매체(M2)의 적재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3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330)는 발광부(미도시); 수광부(미도시); 및 상기 발광부(미도시)와 상기 수광부(미도시) 사이의 광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의 일단이 상기 인쇄매체(M2)의 상측에 접촉하고 상기 레버의 타단은 상기 발광부의 광이 상기 수광부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위치에 있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사이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M2)의 적재량이 소정치 이상이 되는 경 우 상기 레버의 타단이 회동하게 되어 상기 발광부(미도시)의 광이 상기 수광부(미도시)에 도달된다. 상기 수광부의 수광여부를 통해 상기 인쇄매체(M2)의 적재량이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물론, 여기서 개시한 센서(330)는 일례에 불과하고 공지된 다른 인쇄매체 적재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330)와 동일한 인쇄매체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140)가 상기 제1적재대(170)에도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매체경로전환유닛(200)은 장치본체(101)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옵션배출장치(300)에 설치될 수 있다.
매체경로전환유닛(200)이 옵션배출장치(300)에 설치되는 경우, 옵션배출장치(300)의 장치본체(301)가 제1이송경로(S2) 및 제2이송경로(S3)가 분기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옵션배출장치(300)와 동일한 형상의 또 하나의 옵션배출장치(400)를 상기 옵션배출장치(300)의 상측에 배치함으로써 또 다른 적재대(410)에도 인쇄매체를 적재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3개 이상의 적재대(170, 340, 410)를 갖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를 확장할 수 있다.
매체경로전환유닛(200)의 세부적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를 상기 제1이송경로(S2) 및 상기 제2이송경로(S3) 중 어느 한 경로로 안내하도록 위치 이동이 가능한 안내부(210); 상기 안내부(210)의 위치를 변동시키는 액츄에이터(220);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구동솔레노이드(230); 및 상기 안내부(210)가 전환된 경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로킹하는 로킹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210)는 상기 화상형성부(120)를 거쳐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M1, M2)를 상기 제1이송경로(S2)로 안내하는 제1위치(C) 및 상기 제2이송경로(S3)로 안내하는 제2위치(D)로 이동 가능한 안내부재(211); 상기 액츄에이터(220)로부터 외력을 수령하는 외력수령부(213); 및 힌지축(215)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재(211)는 상기 힌지축(215)을 중심으로 상기 제1위치(C) 및 상기 제2위치(D) 사이를 시계 및 반시계방향(A)으로 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211)는 상기 액츄에이터(220)로부터의 외력이 없는 경우,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위치(C)에 있도록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탄성바이어스 된다. 상기 탄성부재(미도시)는 상기 힌지축(215)에 설치된 토션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체에이터(220)에 의해 상기 외력수령부(213)로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부재(211)는 상기 제2위치(D)로 이동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22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B)으로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액츄에이터(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력수령부(213)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의 이격위치(J)와, 도 5의 상기 외력수령부(213)에 외력을 가하도록 작동된 작동위치(K) 간을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20)는 후술할 액츄에이터 구동솔레노이드(23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23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이격위치(J)에서 작동 위치(도 5의 K)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부(210)의 상기 외력수령부(213)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안내부재(211)가 상기 제1위치(C)에서 상기 제2위치(D)로 이동되어, 상기 제1이송경로(S1)가 폐쇄되고 상기 제2이송경로(S3)가 개방되게 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20)는 액츄에이터 지지프레임(202)에 삽입되어 상기 액츄에이터 지지프레임(202)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규제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력(H)을 발생시키는 코일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부(233)에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력(H)에 의해 후술할 플런저(205)가 하향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205)와 연결된 아암(207)도 하향이동하면서 그 일단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하향 가압하여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작동위치(K)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런저(205)와 상기 아암(207)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면, 상기 아암(207)의 일단은 상기 솔레노이드(230)를 지지하는 유닛몸체(201)의 힌지축(201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아암(207)의 상기 일단에는 힌지축공(207a)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201a)은 상기 힌지축공(207a)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아암(207)은 상기 플런저(205)의 플런지핀(205a)이 삽입될 수 있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홈(207c)을 가지며, 상기 아암(207)의 타단은 상기 액츄에이터(240)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205) 및 상기 아암(207)은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 이드(230)의 구동력을 상기 액츄에이터(220)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수단에 불과하고, 이러한 전달수단은 도면에 도시된 것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플런저(205) 및 상기 아암(207)이 생략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가 직접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220)는 상기 플런저(205)와 같이 자성체의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솔레노이드(230)의 자기력(F)에 의해 직접 구동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로킹부(250)는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작동위치(K)를 유지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기구적으로 로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이송경로(S2)에서 상기 제2이송경로(S3)로의 경로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로킹부(25)에 로킹될 로킹시간동안만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작동위치(K)에서 유지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작동위치(K)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안내부(210)도 상기 제2위치(D)로 유지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1이송경로(S2)는 폐쇄되고 상기 제2이송경로(S3)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 상기 로킹시간동안만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로킹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계속적인 전원공급에 의해 발생하는 발열 및 상기 플런저(205)의 자화현상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킹부(25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로킹하는 로킹위치(N) 및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로킹 해제하는 로킹해제위치(R) 간을 이동 가능한 스톱퍼(251); 상기 스톱퍼(251)를 상기 로킹위치(N) 방향으로 탄성바이이스 시키는 스톱퍼 탄성부재(252); 및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해제위치(R)로 이동시키는 스톱퍼 구동부(254)를 포함한다.
상기 스톱퍼(251)는 상기 힌지축(255)을 중심으로 상기 로킹위치(N) 및 상기 로캥해제위치(R) 간을 회동하도록 마련되며, 필요에 따라는 회동이 아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스톱퍼 구동부(254)는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의 구동력(V)을 상기 스톱퍼(251)에 전달하여 상기 스톱퍼(251)를 상기 로킹해제위치(R)로 이동시킨다.
상기 스톱퍼 탄성부재(252)의 탄성력(G)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톱퍼(251)를 상기 로킹위치(N)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방향으로 작용된다. 상기 스톱퍼 탄성부재(252)는 상기 스톱퍼(251)와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 사이의 상기 스톱퍼 구동부(254)의 외주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부(250)는 상기 스톱퍼(251)에 마련된 걸림돌기(251a) 및 상기 액츄에이터(220)에 마련된 걸림턱(25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이격위치(J)에서 상기 작동위치(K)로 하향 이동하는 경우, 상기 걸림턱(255)이 상기 걸림돌기(251a)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251a)를 밀어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톱퍼(25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좀 더 하향이동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51a)의 하면과 상기 걸림턱(255)의 상면이 서로 접촉되어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스톱퍼(251)에 의해 로킹된 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251a)는 상기 액츄에이터(220)의 상기 하향이동에 따라 상기 스톱퍼(251)가 회동할 수 있도록 경사진 경사부(25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220)는 상기 걸림돌기(251a)를 수용하는 수용홈(2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251a), 걸림턱(255) 및 수용홈(256)은 도시된 것과 반대로 각각 액츄에이터(220) 및 스톱퍼(251)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51a) 및 걸림턱(255)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상기 걸림턱(255)도 상기 액츄에이터(220)의 외면에서 돌출된 돌기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인쇄매체 이송경로를 다시 상기 제2이송경로(S3)에서 상기 제1이송경로(S2)로 재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로킹부(250)가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로킹 해제하여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상기 이격위치(J)로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부(210)의 안재부재(211)가 다시 상기 제1위치(C)로 복귀됨으로써 상기 제1이송경로(S2)가 개방되고 상기 제2이송경로(S3)가 폐쇄된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상기 이격위치(J)로 복귀시키는 구동력은 액츄에이터 탄성부재(240)의 탄성력(F)에서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액츄에이터 탄성부재(240)는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상기 작동위치(K)에서 상기 이격위치(J)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상기 엑츄에이터 탄성부재(240)는 상기 액츄에이터(220)의 외주를 둘러싸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액츄에이터 탄성부재(240)로서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상기 이격위치(J)로 복귀시키는 구동력(F)은 상기 액츄에이터 탄성부재(240)외에도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 의해서 얻을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하향 가압하는 방향의 자기력(H)이 생기도록 상기 솔레노이드(230)에 공급한 전원과 반대극성의 반대전원을 상기 솔레노이드(230)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자기력(H)방향과 반대방향의 자기력이 발생하게 하여, 이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상기 이격위치(J)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이송경로(S2)로의 재전환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스톱퍼(251)가 도 6에서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즉, 상기 스톱퍼(251)가 상기 로킹위치(N)에서 상기 로킹해제위치(R)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탄성부재(240)의 탄성력(F)에 의해 상기 이격위치(J)로 복귀되며, 상기 안내부재(211)도 상기 제1위치(C)로 복원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로의 전원공급은 상기 스톱퍼(251)가 상기 로킹해제위치(R)로 이동 가능한 시간, 즉,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스톱퍼(251)로부터 로킹해제 가능한 로킹해제시간 동안만 수행된다. 상기 로킹해제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에 전원공급을 중단한다.
이에 따라, 로킹해제시간동안의 짧은 시간동안만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에 전원을 공급하면 다시 경로전환이 가능하므로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의 발열, 스톱퍼 구동부(254)의 자화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 및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0)와;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전환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이송경로(S2)에서 상기 제2이송경로(S3)로의 이송경로전환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로킹부(250)의 상기 스톱퍼(251)에 로킹 가능한 로킹시간(T1)동안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5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로킹시간(T1) 경과 후에는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5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로킹시간(T1)은 실험 또는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의 발열 및 상기 플런저(205)의 자화로 대표되는 전기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이송경로(S3)에서 상기 제1이송경로(S2)로의 이송경로전환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스톱퍼(251)로부터 로킹 해제 가능한 로킹해제시간(T2)동안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5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로킹해제시간(T2) 경과 후에는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 드(253)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50)를 제어한다. 이는 상기 전원공급부(150)를 On/Off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의 발열 및 상기 스톱퍼 구동부(254)의 자화로 대표되는 전기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톱퍼(251)의 걸림돌기(251a)와 상기 액츄에이터(220)의 걸림턱(255) 간의 마찰력이 커서 상기 스톱퍼(251)를 상기 로킹해제위치(R)로 이동시키기 위해 큰 용량의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가 요구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액츄에이터 탄성부재(240)에 의해 이격위치(J)로 탄성바이어스 되기 때문에 상기 마찰력이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251)를 상기 로킹해제위치(R)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액츄에이터(220)를 하향 가압하여 상기 걸림돌기(251a)와 상기 걸림턱(255)이 서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용량의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7의 상술한 2개의 솔레노이드(230, 253)의 작동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즉 상기 걸림돌기(251a)와 상기 걸림턱(255)이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직전에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 소정의 마찰 력감소시간(T3)동안 상기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마찰력감소시간(T3)보다 큰 시간(T4)동안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로의 전원공급시간(T4)과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로의 전원공급시간(T2)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3,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이송경로(S2)에서 제2이송경로(S3)로의 경로전환요청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S10). 이는 도 1에 도시된 센서(140, 330)의 감지결과, 제1적재대(170)의 인쇄매체 적재량이 상기 소정치 이상이고, 상기 제2적재대(340)의 인쇄매체 적재량이 상기 소정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적재대(170) 대신에 상기 제2적재대(340)로 인쇄매체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2이송경로(S3)로 경로전환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경로전환요청은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경로전환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10의 YES),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로킹부(250)에 로킹 가능한 로킹시간(도 7의 T1)동안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 전원을 공급한다(S20).
그 다음에, 상기 로킹시간(도 7의 T1) 경과 후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 상기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S30).
만약, 상기 경로전환요청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10의 NO), 제2이송경로(S3)에서 제2이송경로(S2)로의 경로전환요청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S10). 이는 도 1에 도시된 센서(140, 330)의 감지결과, 제2적재대(340)의 인쇄매체 적재량이 상기 소정치 이상이고, 상기 제1적재대(170)의 인쇄매체 적재량이 상기 소정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적재대(340) 대신에 상기 제1적재대(170)로 상기 인쇄매체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1이송경로(S3)로의 경로전환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경로전환요청은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경로전환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40의 YES), 먼저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 전원을 공급한다(S50).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톱퍼(251)의 걸림돌기(251a)와 상기 액츄에이터(220)의 걸림턱(255) 간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상기 걸림돌기(251a)와 상기 걸림턱(255)이 서로 이격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 다음에, 상기 액츄에이터(220)가 상기 로킹부(250)의 상기 스톱퍼(251)로부터 로킹해제 가능한 로킹해제시간(T2)동안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에 전원을 공급한다(S60).
그 다음에,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 상기 전원공급을 차단한다(S70).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230)에의 전원공급 차단시점(T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해제시간(T2) 중에 수행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에의 전원공급시점(T6)과 일 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S50단계 및 S70단계는 상기 마찰력을 줄여서 상기 스톱퍼(251)를 보다 작은 힘으로 상기 로킹해제위치(R)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상기 로킹해제시간(T2) 경과 후, 상기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253)에 상기 전원공급을 차단한다(S80).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230, 253)에 짧은 시간동안만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상기 매체경로전환유닛(200)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전환유닛(200)에 가해지는 전기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체경로전환유닛(2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도 줄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매체경로전환유닛(200)이 인쇄완료된 인쇄매체의 배출경로를 전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국한되지 않고 인쇄매체의 경로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매체경로전환유닛(200)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경로전환유닛의 확대도,
도 3은, 안내부가 인쇄매체를 제1이송경로로 안내하는 상태에서의 도 2의 매체경로전환유닛의 개략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안내부가 인쇄매체를 제2이송경로로 안내하는 상태에서의 도 2의 매체경로전환유닛의 개략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2의 매체경로전환유닛의 솔레노이드의 작동 타이밍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상형성장치 200: 매체경로전환유닛
205: 플런저 207: 아암
210: 안내부 211: 안내부재
213: 외력수령부 215: 힌지축
220: 액츄에이터 230: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
240: 액츄에이터 탄성부재 250: 로킹부
251: 스톱퍼 252: 스톱퍼 탄성부재
253: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 254: 스톱퍼 구동부
300: 옵션배출장치

Claims (22)

  1. 인쇄매체의 이송경로를 전환하는 매체경로전환유닛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를 제1경로로 안내하는 제1위치 및 제2경로로 안내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한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제2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하는 로킹부;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로킹부에 의해 로킹될 때까지 구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로킹부에 의해 로킹되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로킹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경로전환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액츄에이터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경로전환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하는 로킹위치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 해제하는 로킹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스톱퍼;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위치 및 상기 로킹해제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톱퍼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경로전환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구동부는,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톱퍼 탄성부재; 및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경로전환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구동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스톱퍼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돌기와;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스톱퍼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경로전환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스톱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경로전환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턱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이동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경로전환유닛.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를 지지하는 유닛몸체와;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플런저와;
    일단은 상기 유닛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에 접촉되며,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가압하는 아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경로전환유닛.
  9.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매체를 제1배출경로로 안내하는 제1위치 및 제2배출경로로 안내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한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제2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하는 로킹부; 및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로킹부에 의해 로킹될 때까지 구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로킹부에 의해 로킹되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로킹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하는 로킹위치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 해제하는 로킹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스톱퍼;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위치 및 상기 로킹해제위치 중 적어도 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톱퍼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구동부는,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이스 시키는 스톱퍼 탄성부재;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톱퍼를 상기 로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톱퍼구동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킹부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직전에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에 소정시간동안 상기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삭제
  15. 제9항 내지 제11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경로 및 상기 제2배출경로를 따라 이송된 인쇄매체를 각각 적재하는 제1 및 제2적재대; 및
    상기 제1 및 제2적재대의 인쇄매체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 상기 제1적재대 및 상기 제2적재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인쇄매체 적재량이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1배출경로에서 상기 제2배출경로 또는 상기 제2배출경로에서 상기 제1배출경로 중 어느 하나로의 경로전환요청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재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적재대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옵션배출장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배출경로에서 제2배출경로로의 경로전환요청이 있는 경우, 액츄에이터를 이격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액츄에이터가 인쇄매체를 제2배출경로로 안내하도록 안내부재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제2위치를 유지하도록 로킹부가 상기 액츄에이터를 로킹하는 단계;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배출경로에서 상기 제1배출경로로의 경로전환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가 로킹해제 되도록 상기 로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직전에 상기 액츄에이터구동 솔레노이드에 소정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1. 삭제
  22. 삭제
KR1020080081619A 2008-08-20 2008-08-20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35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619A KR101335998B1 (ko) 2008-08-20 2008-08-20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481,752 US8276912B2 (en) 2008-08-20 2009-06-10 Medium path convert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0910160158.4A CN101655677B (zh) 2008-08-20 2009-07-28 介质路径转换单元以及包括该单元的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619A KR101335998B1 (ko) 2008-08-20 2008-08-20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895A KR20100022895A (ko) 2010-03-03
KR101335998B1 true KR101335998B1 (ko) 2013-12-04

Family

ID=4169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619A KR101335998B1 (ko) 2008-08-20 2008-08-20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76912B2 (ko)
KR (1) KR101335998B1 (ko)
CN (1) CN1016556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842B1 (ko) * 2008-01-18 201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2912B1 (ko) * 2009-01-08 2016-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매체 적재유니트, 적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8376361B2 (en) * 2009-06-17 2013-02-1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ed media stack management in an image production device
US9926995B2 (en) 2015-01-29 2018-03-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pring loaded hydraulically damped strut
JP6365412B2 (ja) * 2015-05-26 2018-08-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580266B1 (en) * 2015-10-26 2017-02-28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ath media diverter system for an imaging device
JP6436108B2 (ja) * 2016-01-26 2018-12-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ソレノイ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DE102017131208A1 (de) * 2017-12-22 2019-06-27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Weichenanordnung für Vorrichtungen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872Y1 (ko) * 1991-09-17 1994-06-15 주식회사 신도리코 배지 트레이 장치
JP2002116589A (ja) * 2000-10-04 2002-04-19 Cycolor System Co Ltd プリンタ
KR100667831B1 (ko) * 2005-11-10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7111915A (ja) * 2005-10-18 2007-05-10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78212B (de) * 1967-08-16 1968-09-19 Windmoeller & Hoelscher Stellvorrichtung fuer Weichen an Papier- oder Kunststoffverarbeitungsmaschinen, insbesondere Schlauchziehmaschinen
GB1428807A (en) * 1972-06-15 1976-03-17 Windmoeller & Hoelscher Apparatus for diverting sheet articles
JPS5678763A (en) * 1979-11-27 1981-06-27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Deflecting device for sorter and the like
JPH0464567A (ja) * 1990-07-04 1992-02-28 Hitachi Ltd 紙葉類搬送装置の搬送路切換機構
US5228681A (en) * 1991-11-22 1993-07-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pparatus for diverting sheets
US5823529A (en) * 1995-10-05 1998-10-20 Xerox Corporation Single stack height sensor for plural sheet stacking bins system
SE9704023L (sv) * 1997-11-04 1998-07-27 De La Rue Cash Systems Ab Transportanordning
JP4064567B2 (ja) * 1999-03-13 2008-03-19 株式会社ファンケル 日焼け止め化粧料
JP3840365B2 (ja) * 2000-05-12 2006-11-0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搬送方向切換装置
JP4598591B2 (ja) * 2005-04-28 2010-12-1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搬送分岐装置
JP4897563B2 (ja) * 2007-05-09 2012-03-1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搬送分岐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US8002118B2 (en) * 2008-08-18 2011-08-23 Burroughs Payment Systems, Inc. Pocket selector gate with self locking geomet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872Y1 (ko) * 1991-09-17 1994-06-15 주식회사 신도리코 배지 트레이 장치
JP2002116589A (ja) * 2000-10-04 2002-04-19 Cycolor System Co Ltd プリンタ
JP2007111915A (ja) * 2005-10-18 2007-05-10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
KR100667831B1 (ko) * 2005-11-10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55677B (zh) 2014-10-29
US8276912B2 (en) 2012-10-02
US20100044957A1 (en) 2010-02-25
KR20100022895A (ko) 2010-03-03
CN101655677A (zh)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998B1 (ko)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29471B2 (ja) ユニット位置決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850276B1 (ko)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78508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독취장치.
US7207559B2 (en) Sheet treating apparatus
JP201610806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06854B2 (ja) 画像形成装置
US11767185B2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JP4209825B2 (ja) カード供給機構及びカード供給方法
JP579605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9735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複合装置
JP6805677B2 (ja) 開閉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US11708234B2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JP2020033115A (ja) 媒体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14363B2 (ja) 用紙反転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566572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1139962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674563B1 (ko)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6605289B2 (ja) 給紙装置、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および回転板のロック制御方法
JP2006096458A (ja) カード供給カセット及びその装着方法
JP2018047969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139964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040802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47568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47970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