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563B1 -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563B1
KR101674563B1 KR1020090130073A KR20090130073A KR101674563B1 KR 101674563 B1 KR101674563 B1 KR 101674563B1 KR 1020090130073 A KR1020090130073 A KR 1020090130073A KR 20090130073 A KR20090130073 A KR 20090130073A KR 101674563 B1 KR101674563 B1 KR 101674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uide plate
print medium
printing
conveyanc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092A (ko
Inventor
장흥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685,119 priority Critical patent/US8401458B2/en
Publication of KR2010008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092A/ko
Priority to US13/765,764 priority patent/US86260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Abstract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은,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제1이송경로 및 상기 제1이송경로에 교차하는 제2이송경로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된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제1위치 및 상기 적재된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 방향으로 전향시키는 제2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액츄에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자클러치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REVERSELY TRANSFERRING UNIT OF A PRINTING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소망하는 화상을 잉크 또는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장치로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및 이들의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중복으로 구비한 복합기가 여기에 속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유닛과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적재유닛을 구비한다.
*적재유닛은 통상 사용자가 상기 인쇄된 인쇄매체를 쉽게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측 전면부에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후면부를 향해 이송되는 경우, 이러한 인쇄매체를 다시 상기 전면부에 설치된 상기 적재유닛으로 이송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방향 즉, 상기 후면부를 향하는 방향을 유지하면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적재유닛까지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적재유닛 방향으로 U-턴시켜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U-턴 구조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U-턴 구조는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경로가 길어지기 때문에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데 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을 소형화 할 수 있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매체의 이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잼 없이 고속으로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에 있어서,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제1이송경로 및 상기 제1이송경로에 교차하는 제2이송경 로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된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제1위치 및 상기 적재된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 방향으로 전향시키는 제2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액츄에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자클러치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경로 상에 배치된 센서유닛과; 상기 센서유닛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를 E라 이송시키는 제1구동롤러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구동롤러에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구동롤러로부터 이격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는 아이들롤러, 미끄럼부 및 탄성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1이송경로를 이송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2구동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롤러와 상기 제2구동롤러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인쇄매체를 인쇄하는 인쇄유닛과;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된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적재유닛과;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적재유닛으로 역이송하는, 상술한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경로는 상기 인쇄유닛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2이송경로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적재유닛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품을 소형화 할 수 있다.
둘째, 인쇄매체의 이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인쇄매체를 고속으로 이송할 수 있어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잼 없이 고속으로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에 수용되며 인쇄매체를 인쇄하는 인쇄유닛(120)과; 상기 본체(101)의 상측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인쇄유닛(120)에 의해 인쇄된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적재유닛(130)과; 상기 인쇄유닛(120)에 의해 인쇄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적재유닛(130)으로 역이송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유닛(120)은 전자사진방식에 따른 인쇄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유닛(120)은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1); 상기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1)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노광유닛(124); 상기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1)에 수용된 후술할 상담지체(122)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복수의 전사롤러(123); 이송벨트(125); 상기 이송벨트(125)를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롤러(126); 및 정착유닛(127)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1)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색상의 현상제(토너)를 저장하며, 내부에 상담지체(122)를 각각 수용한다.
상기 복수의 노광유닛(124)은 각각 대응하는 현상카트리지(121)의 상담지체(122)를 노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상담지체(122)의 각 노광영역에 상기 현상카트리지(121) 내에 저장된 현상제가 도포됨으로써 그 표면에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벨트(125)는 후술할 급지유닛(110)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가 상기 상담지체(122)와 상기 전사롤러(233)를 통과하도록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담지체(122)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가시화상은 상기 전사롤러(233)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125) 상의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122)와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233)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색상의 가시화상이 상기 인쇄매체에 중첩적으로 전사된다. 이에 의해, 칼라가시화상이 상기 인쇄매체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칼라가시화상은 정착유닛(127)을 통과하면서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된다. 상기 정착유닛(127)은 상기 칼라가시화상에 열을 가하는 히트롤러(127a)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히트롤러(127a) 방향으로 가압하는 프레스롤러(127b)를 포함한다.
상기 정착유닛(127)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인쇄매체의 인쇄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인쇄유닛(120)은 한 예에 불과하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전자사진방식 대신에 또는 그와 함께 노즐을 통해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젯방식 및 써멀프린팅헤드(Thermal Printing Head: TPH)를 이용한 열전사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채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될 인쇄매체를 상기 인쇄유닛(120)으로 공급하는 급지유닛(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급지유닛(110)은 상기 인쇄매체가 다 소비된 경우 재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다.
상기 급지유닛(110)은 상기 인쇄될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녹업플레이트(111); 상기 녹업플레이트(111) 상의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인쇄유닛(120)으로 픽업하는 픽업롤러(115); 상기 녹업플레이트(111)를 상기 픽업롤러(115)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11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 가이드 플레이트(220); 및 플레이트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10)은 상기 인쇄유닛(120)을 통과한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제1이송경로(S1)와 상기 제1이송경로(S1)에 교차하는 제2이송경로(S2)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경로(S1)는 상기 인쇄유닛(120)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며, 상기 제2이송경로(S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와 상기 적재유닛(130)을 연결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이송경로(S1)는 상기 인쇄유닛(120)에서부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까지의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이고, 상기 제2이송경로(S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로부터 상기 적재유닛(130)까지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이송된 인쇄매체(P)를 적재하는 제1위치(c)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상기 제2이송경로 방향으로 전향시 키는 제2위치(d) 사이를 회동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1이송경로(S1)의 하류측에 설치된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221)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타단은 후술할 액츄에이터(231)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2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231)와; 상기 액츄에이터(231)를 구동하는 구동원(235)과; 상기 구동원(235)의 구동력을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자클러치(233)를 포함한다.
상기 액츄에이터(23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축(231a)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캠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캠 외에도 상기 플레이트(220)를 승강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동수단이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상기 제1이송경로(S1) 상에 배치된 센서유닛(240)과; 상기 센서(240)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230)를 제어하는 제어부(280)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이송경로(S1) 및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통해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가 상기 적재유닛(130)까지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센서유닛(24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경 로(S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에 접촉 가능한 레버(241)와; 상기 레버(241)의 자세변화에 따라 발광부의 광이 수광부로 전달 또는 차단되는 포토센서(243)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241)는 힌지축(242)을 중심으로 상기 발광부의 광을 차단하는 차단위치(도 3b)와, 상기 차단위치(도 3b)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광 차단을 해제하는 해제위치(도 3a) 사이를 회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유닛(240)은 상기 레버(241)가 상기 차단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버(241)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레버(241)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레버(241)가 도 3a에 도시된 상기 해제위치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발광부의 광이 상기 수광부에 전달되어 상기 포토센서(243)는 "ON"신호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한다. 반대로,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레버(241)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레버(241)는 도 1,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상기 차단위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광이 상기 수광부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포토센서(243)는 "OFF"신호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1에서 상기 포토센서(243)의 감지신호가 "OFF"에서 "ON"으로 전환된 경우, t1 시점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P)의 선단(a)이 상기 레버(241)에 접촉되어 상기 레버(241)를 회전시킨 것을 의미한다.
시간 t1 이후의 시간 t2에서와 같이 상기 포토센서(243)의 감지신호가 다시 "ON"신호에서 "OFF"신호로 전환되는 경우, t2시점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레버(241)를 막 통과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센서유닛(240)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전자클러치(233)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제1이송경로(S1)을 따라 이송된 상기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지지될 때까지 상기 전자클러치(233)를 OFF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231)로 상기 구동원(235)의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1위치(도 3a의 c)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지지되는 시점(t3)은 상기 포터센서(243)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포토센서(243)의 감지신호가 "ON"신호에서 "OFF"신호로 전환되는 시점(t2)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을 상기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지지되는 시점(t3)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레버(141)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사이의 거리만큼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가이드 프레이 트(220)에 지지되는 시점 이후, 예를 들어 상기 t3시점부터 상기 전자클러치(233)를 소정시간(△t1)만큼 ON시킨다.
상기 소정시간(△t1)동안 상기 구동원(235)의 구동력이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2위치(도 3c의 d)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P)도 상기 적재유닛(130)을 향하는 상기 제2이송경로(S2) 방향으로 전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이 전자클러치의 ON/OFF 동작에 의해 간단하게 전향될 수 있으므로 고속 인쇄 시 인쇄매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가 상기 제1위치(c) 및 상기 제2위치(d)의 회동 반경이 작기 때문에 고속으로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도 1,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매체(P)를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1구동롤러(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선택적으로 상기 제1구동롤러(253)에 접촉하거나 상기 제1구동롤러(253)로부터 이격되는 접촉부(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55)는, 상기 인쇄매체(P)를 상기 제2이송경로(S2)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인쇄매체(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구동롤러(253)에 접촉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상기 접촉부(255)의 일례로서 아이들 롤러(255)를 도시한다. 그러나, 반드시 아이들 롤러(255)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미끄럼부(미도시) 및 탄성패드(미도시) 중 어느 하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패드(미도시)는 스펀지 또는 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255)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들 롤러(255)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접촉부(255)는 상기 아이들롤러(255) 없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자체가 상기 접촉부(255)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가 상기 제1위치(c)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촉부(255)는 상기 제1구동롤러(253)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진행하는 인쇄매체(P)가 상기 제1구동롤러(253)와 상기 접촉부(255)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P)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270)는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대향하는 가압레버(273)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270)는 상기 가압레버(273)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이송된 인쇄매체(P)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레버(273)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가압레버(273)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 사이에 개재된 상기 인쇄매체(P)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인쇄매체(P)가 상기 가압레버(273)에 의해 가압되고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미도시)가 상기 가압레버(273)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력은 상기 인쇄매체(P)의 이송에 심각한 방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상기 인쇄매체(P)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도 1 및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롤러(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롤러(263)는 한 방향(G)으로 회전하여 상기 인쇄매체(P)를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이송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P)를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따라 이송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경로(S1)와 상기 제2이송경로(S2)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롤러(253) 및 상기 제2구동롤러(263)는 상기 구동원(235)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구동원(235)과 별 개의 구동원에 의해서 구동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센서유닛(240)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동원(235)을 제어하여 상기 제1구동롤러(253) 및 상기 제2구동롤러(263)를 구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센서유닛(240)의 감지결과, 상기 인쇄매체(P)의 선단(a)이 상기 센서유닛(240)을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원(235)을 ON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원(235)과 상기 제1구동롤러(253) 및 상기 제2구동롤러(263) 사이에는 상기 구동원(235)의 동력을 각각 상기 제1구동롤러(253) 및 상기 제2구동롤러(263)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롤러(253)는 상기 인쇄매체(P)를 상기 제2이송경로(S2)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일방향(F)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구동롤러(263)도 상기 일방향(G)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별도의 클러치 없이도 상기 제1구동롤러(253) 및 상기 제2구동롤러(263)를 상술한 일방향(F, G)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매체(P)를 상기 제1이송경로(S1) 및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이송하는 도중에 상기 구동원(235)의 구동축의 회전방향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속으로 상기 인쇄매체(P)를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는, 비록 상기 제1구동롤러(253)가 상기 일방향(F)으로 회전하더라도, 상 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와 상기 제1구동롤러(253)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상기 제1구동롤러(253)의 회전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270)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1구동롤러(253)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더욱 더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P)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단(b)부위까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가이드 프레이트(220)에 지지되는 시점 이후, 가령 상기 t3시점부터 상기 전자클러치(233)가 상기 소정시간(△t1)만큼 ON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위치(d)로 회동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설치된 상기 접촉부(255)도 상기 인쇄매체(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구동롤러(253)에 접촉된다. 상기 제1구동롤러(253)가 상기 일방향(F)으로 회전 구동되고 있으므로 상기 인쇄매체(P)는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따라 역방향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130)은 상기 제2이송경로(S2)의 하류측에 배치된 배출롤러(2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따라 역이송되는 상기 인쇄매체(P)는 상기 제2구동롤러(263)와 상기 제2구동롤러(263)에 의해 종동회전 하는 종동롤러(265)에 의해 상기 배출롤러(267)로 이송된다.
상기 배출롤러(267)는 상기 이송된 인쇄매체(P)를 상기 적재유닛(130)으로 배출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인쇄매체(P)가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따라 이송됨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P)의 상기 선단(a)(역이송방향에 대해서는 후단)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빠져나간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령, 시간 t5에서 시간 t6까지의 소정시간(△t2)동안 상기 전자클러치(233)를 ON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위치(도 3c의 d)에 있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다시 원래의 상기 제1위치(도 3c의 c)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신속하게 상기 제1위치(도 3c의 c)로 복원함으로써, 상기 인쇄매체(P)가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완전히 빠져나가지 않더라도 그 다음 인쇄매체를 다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 t5는 상기 실제 센싱시간 t2로부터 상기 제1구동롤러(253) 및 상기 제2구동롤러(263)의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추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2이송경로(S2) 중 상기 제2구동롤러(263)와 상기 배출롤러(267) 사이의 일부 구간(E)에 인쇄매체를 감지할 수 있는 상기 센서유닛을 별도로 배치하고, 상기 센서유닛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전자클러치(233)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술한 센서유닛(240)과 동일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복수매수의 상기 인쇄매체(P)를 인쇄하는 경우, 최종 인쇄매체(P)가 상기 배출롤러(26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후, 가령 t7시점에서, 상기 구동원(235)을 OFF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본체(101)에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버(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커버(103)의 하부에 배치되어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는 스캐너(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캐너(140)에 의해 스캐닝된 상기 화상데이터는 상기 인쇄유닛(120)에 의해 인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동원(235) 및 상기 전자클러치(23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의 외부, 즉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된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가령,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1)의 상측 전방에 설치된 조작패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50)은 입력창(미도시)과 입력키(미도시)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패널(150)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복사명령, 인쇄명령과 같은 명령을 입력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P)가 통과 가능한 관통공(104)이 형성된 본체(101a)와, 상기 관통공(104) 주위를 둘러싸는 관통공 차폐 커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 차폐커버(105)는 화상형성장치(101a)의 사이즈 등의 원인으로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구동롤러(263)에 의해 제1이송경로(도 1의 S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선단이 상기 관통공(104)을 통과하여 본체(101a) 외부로 빠져 나올 수도 있다. 인쇄매체의 이송경로의 일부를 본체(101a) 외부에 둠으로써 이송경로 전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것에 비해 화상형성장치(100a)의 크기를 줄이고 경량화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P)의 일부가 상기 관통공(104)을 통해 상기 본체(101a) 외부로 빠져 나오더라도 상기 인쇄매체(P)는 상기 이탈방지부(270)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로부터 이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 차폐커버(105)는 상기 본체(101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101a) 마련된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걸림결합방식 또는 끼움결합방식으로 상기 본체(101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의 인쇄매체 이송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포토센서, 전자클러치 및 구동원의 타이밍,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a: 화상형성장치 120: 인쇄유닛
130: 적재유닛 140: 스캐너
200: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210: 프레임
220: 가이드 플레이트 230: 플레이트 구동부
231: 액츄에이터 233: 전자클러치
235: 구동원 240: 센서유닛
241: 레버 243: 포토센서
253: 제1구동롤러 255: 접촉부
263: 제2구동롤러 265: 종동롤러
267: 배출롤러

Claims (12)

  1.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에 있어서,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제1이송경로 및 상기 제1이송경로에 교차하는 제2이송경로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된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제1위치 및 상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 방향으로 전향시키는 제2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액츄에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자클러치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1구동롤러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구동롤러에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구동롤러로부터 이격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중간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기 제1이송경로에 대한 후단부는 상기 인쇄매체가 역이송하는 경우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로 인입하기 위한 용지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경로 상에 배치된 센서유닛과;
    상기 센서유닛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아이들롤러, 미끄럼부 및 탄성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2구동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롤러와 상기 제2구동롤러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10. 본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인쇄매체를 인쇄하는 인쇄유닛과;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된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적재유닛과;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적재유닛으로 역이송하는,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경로는 상기 인쇄유닛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2이송경로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적재유닛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130073A 2009-01-12 2009-12-23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674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85,119 US8401458B2 (en) 2009-01-12 2010-01-11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eversing feeding unit
US13/765,764 US8626052B2 (en) 2009-01-12 2013-02-13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eversing feed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400 2009-01-12
KR20090002400 2009-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092A KR20100083092A (ko) 2010-07-21
KR101674563B1 true KR101674563B1 (ko) 2016-11-22

Family

ID=4264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073A KR101674563B1 (ko) 2009-01-12 2009-12-23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5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2104A (ja) 2000-02-25 2001-11-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20090067909A1 (en) 2007-09-06 200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517A (ko) * 2004-11-09 200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1460537B1 (ko) * 2007-02-01 2014-1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2104A (ja) 2000-02-25 2001-11-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20090067909A1 (en) 2007-09-06 200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092A (ko) 201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586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738997B2 (ja) 画像形成装置
US8752824B2 (en) Sheet inve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EP2009508B1 (en) 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US873053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auto document feeder
US8038143B2 (en) Sheet delivery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2008013352A (ja)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865383A1 (en) Image forming system having enhanced functionality
JP2008221543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219471A (ja) 画像形成装置
KR101330736B1 (ko) 화상형성장치
US84332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1533238B (zh) 成像设备
JP536538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33214A (ja) 画像形成装置
KR101674563B1 (ko)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5862173B2 (ja) 画像記録装置
US86260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eversing feeding unit
JP2009130722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13437A (ja) 記録装置
KR20190124014A (ko) 화성형성장치 이송장치상의 센서 클리닝
JP5857657B2 (ja) 着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362386B1 (ko)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404222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60228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