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831B1 -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831B1
KR100667831B1 KR1020050107639A KR20050107639A KR100667831B1 KR 100667831 B1 KR100667831 B1 KR 100667831B1 KR 1020050107639 A KR1020050107639 A KR 1020050107639A KR 20050107639 A KR20050107639 A KR 20050107639A KR 100667831 B1 KR100667831 B1 KR 10066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lock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831B1/ko
Priority to US11/588,350 priority patent/US7822360B2/en
Priority to CNB200610162735XA priority patent/CN100514222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26Regis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absence of articles, e.g. exhaustion of p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14Transfer ro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 본체; 착탈 가능한 롤러; 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로커 아암과 로커 프레임을 구비하는 로킹 유니트를 포함하며, 로커 아암은 로킹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손으로 밀면 해제 위치로 이동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되는 로커 프레임에 로커 아암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로킹 유니트가 미리 조립된 채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므로 조립 간편성과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ock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롤러, 지지 부재, 및 로킹 유니트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로킹 유니트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로커 아암이 로킹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로커 아암이 여유 공간 내에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로커 아암이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화상형성장치 본체 170...전사 롤러
171...회전축 200...제1 부시
210,310...고정대 220,320...고정대 가이드
230,330...스토퍼 240...삽입 구멍
250,350...압축 스프링 260,360...압축 스프링 보스
300...제2 부시 340...개구
400...로킹 유니트 410...로커 아암
411...걸림턱 412...경사부
413...여유 공간 414...제2 안내부
415...가이드 레일 417,427...인장 스프링 보스
418...손잡이 420...로커 프레임
425...제1 안내부 430...인장 스프링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팩시밀리, 및 이들을 통합한 복합기 등을 통칭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유니트를 구비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유니트의 인쇄 방식에 따라 전자사진방식, 잉크젯 방식, 염료 승화 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인쇄 유니트에는 화상의 인쇄 동작이나 기록 매체의 이송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수의 롤러가 마련된다.
롤러는 소정의 온도나 압력이 가해지며 대상물과 접촉 상태로 회전되므로 기계적 및 화학적 수명 시간이 한정되어 있는 소모품이다. 롤러의 수명 시간이 화상형성장치의 수명 시간보다 짧은 경우 롤러는 여러 번 교체될 필요가 있다.
롤러의 착탈을 위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에는 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로킹 유니트가 마련된다. 로킹 유니트는, 롤러의 장착시에는 지지 부재 에 롤러의 회전축을 로킹(locking)시키고 롤러의 분리시에는 상기 로킹을 해제한다. 로킹 유니트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시 롤러 회전축이 소정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낙하 시험이나 외부 충격시에 롤러를 지지 부재에 견고하게 밀착시킨다.
지지 부재 및 로킹 유니트의 구조가 복잡하면 서비스 시간 및 서비스 비용이 증가된다. 아울러, 제품 만족도를 높이려면 롤러의 교체를 위한 서비스 콜을 부르지 않더라도 일반 사용자가 간편하게 롤러를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지지 부재 및 로킹 유니트의 견고성이 떨어지는 경우, 일반 사용자의 롤러 착탈 동작시 부품이 파손될 우려가 있고, 낙하나 외부 충격에 관한 품질 표준에 미달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롤러의 회전축을 로킹하는 장치에 있어서, 낙하나 외부 충격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도록 강도가 보강되고, 누구든지 용이하게 롤러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과 조립성이 향상된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 본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롤러;
상기 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되는 로커 프레임과, 상기 로커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을 상기 지지 부재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 및 상기 로킹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로커 아암과, 상기 로커 아암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로킹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로킹 유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이 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부시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이 래디알 방향으로 삽입되는 'U' 자형 개구가 마련된 제2 부시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유니트는, 상기 개구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의 타측을 로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커 아암에는 상기 로킹 위치에서 상기 개구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의 이동을 방지하는 걸림턱과,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개구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을 밀어 올리는 경사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커 아암은, 상기 로커 프레임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며 안내되는 제1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커 아암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일 부분에 접촉되며 안내되는 제2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킹 유니트는, 상기 로커 프레임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체결하는 1개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부시는, 상기 롤러가 그 대향체에 가압력을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의 래디알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커 아암에는 상기 로킹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부시의 이동시에 상기 회전축이 상기 걸림턱 아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여유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부시의 이동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롤러는 전사 롤러이며, 상기 대향체는 감광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동일한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로킹 유니트가 마련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도시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기록매체에 토너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유니트와, 인쇄 유니트가 장착되는 프레임과 외장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1)를 포함한다. 인쇄 유니트는, 급지카세트(105, 106), 광주 사 유니트(110), 현상 카트리지(120), 정착기(175)를 포함한다.
광주사 유니트(11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L)을 감광체(130)에 주사하여 감광체(130)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광주사 유니트(110)는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광원(미도시)과,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112)를 포함한다.
현상 카트리지(12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현상 카트리지(120)는 현상롤러(140)와, 현상롤러(140)와 대면되는 감광체(130)를 포함한다. 현상 카트리지 하우징(122)은 현상 카트리지(120)의 외장을 이룬다. 현상 카트리지 하우징(122) 내부에는 감광체(130), 대전롤러(139), 클리닝부재(138), 현상롤러(140), 토너층 규제부재(158), 공급롤러(160) 및 교반기(162)가 마련된다. 아울러, 클리닝부재(38)에 의해 감광체(30)로부터 분리된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 저장부(123)와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저장부(125)가 마련된다. 현상 카트리지(120)는 토너 저장부(125)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감광체(130)는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원통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으로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된다. 감광체(130)는 대전롤러(139)에 의하여 소정의 전위로 대전되고, 광주사 유니트(110)에서 조사된 광(L)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현상롤러(140)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 체(13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40)에는 토너를 감광체(130)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롤러(140) 및 감광체(130)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되며 현상닙(Nip)을 형성하거나, 상기 외주면이 서로 이격되며 현상갭(Gap)을 형성한다. 현상닙(Nip) 또는 현상갭(Gap)은 현상롤러(140) 및 감광체(130)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크기로 균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공급롤러(160)는 현상롤러(140)에 토너가 부착되도록 토너를 공급해준다. 교반기(162)는 토너 저장부(125) 내의 토너가 굳지 않도록 토너를 교반시키며 공급롤러(160) 쪽으로 이송한다. 토너층 규제부재(158)는 현상롤러(14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두께를 규제한다.
클리닝부재(138)는 현상 카트리지 하우징(122)에 설치되며, 전사 후 감광체(130)에 남아있는 토너를 긁어내도록 감광체(130)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된다.
전사롤러(170)는 감광체(130)의 외주면에 대면되며, 감광체(130)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기록매체(P)로 전사되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130)와 전사롤러(14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 및 기구적인 접촉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기록매체(P)로 옮겨진다. 일 실시예로서, 전사롤러(170)는 금속성의 슬리브를 내주로 하며, 그 외주에 탄성층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롤러(170) 및 감광체(130)의 대향면에는 기록 매체(P)가 통과된다. 기록 매체(P)를 전사에 필요한 압력으로 가압하고 기록 매체(P)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사롤러(170)는 감광체(130)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면서 그 회전 축(171)이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전사롤러(170)의 회전축(171)을 지지하는 부시(20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압축 스프링(250)이 부시(200)에 탄성력을 작용한다. 전사롤러(170)에 탄성력이 작용하고 감광체(130) 및 전사롤러(170)가 맞붙어 회전되므로 전사롤러(170)의 수명 시간은 제한적이다. 수명시간에 도달한 전사롤러(17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서 분리되고 새 것으로 교체된다.
정착기(175)는 가열롤러(760) 및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770)를 구비하며, 기록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디컬부(178)는 정착기(175)의 열에 의해 발생된 기록매체(P)의 컬(curl)을 제거한다. 배지롤러(179)는 정착이 완료된 기록매체(P)를 화상형성장치(100) 밖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배지된 기록매체(P)는 배지대(102)에 적재된다.
기록매체(P)의 이동 경로는 다음과 같다. 화상형성장치(100)는 기록매체(P)가 적재되는 제1, 제2 급지카세트(105, 106)를 구비한다. 픽업롤러(180, 182)는 적재된 기록매체(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여 인출한다. 이송롤러(181)는 픽업된 기록매체(P)를 용지정렬기(190)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용지정렬기(190)는 기록매체(P)가 감광체(130)와 전사롤러(170)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기록매체(P)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기록매체(P)를 정렬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사진방식으로 컬러 인쇄를 하려면 복수의 현상 카 트리지가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감광체와 전사롤러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전사 작용 및 기록 매체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사롤러의 회전축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사롤러에 감광체 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한다. 수명 시간에 도달한 전사롤러는 새 것으로 교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는 전사롤러에 국한되지 않는다.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이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얼마든지 적용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기록 매체를 이송하는 롤러에도 본 발명의 로킹 유니트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롤러(170), 지지 부재, 및 로킹 유니트(400)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로킹 유니트(400)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롤러는 전사롤러이다. 이하에서 롤러와 전사롤러에는 참조부호 170이 혼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롤러의 실시예는 전사롤러에 국한되지 않으며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 마련되는 다양한 종류의 롤러를 포함한다.
롤러(17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170)의 양측에는 회전축(171)이 마련된다. 지지 부재는 롤러(170)의 회전축(171)을 지지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 부재와 회전축(171)의 접촉면에는 윤활제나 미끄럼 베어링 등의 윤활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는 제1 부시(200), 제2 부시(300), 고정대(210,310), 및 스토퍼(230,330)를 포함한다.
제1 부시(200)에는 회전축(171)의 일측이 삽입되는 원형의 삽입 구멍(240)이 마련된다. 회전축(171)의 일측은 축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삽입 구멍(240)에 삽입된 다. 제2 부시(300)에는 회전축(171)의 타측이 삽입되는 U 자형의 개구(340)가 마련된다. 회전축(171)의 타측은 래디알(radial)방향인 z축 방향으로 개구(340)에 삽입된다. 롤러(170)의 장착시 회전축(171)의 일측을 삽입 구멍(240)에 x축 방향으로 끼운 다음, 회전축(171)의 타측을 개구(340)에 z축 방향으로 밀어넣는다. 롤러(170)의 분리는 그 역순이다.
고정대(210,31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로서, 고정대(210,310)에는 고정대 가이드(220,320)가 마련된다. 고정대 가이드(220,320)는 제1 및 제2 부시(200,300)를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제1 및 제2 부시(200,300)와 화상형성장치 본체(101)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250,350)이 개재된다. 압축 스프링(250,350)의 일측은 압축 스프링 보스(260,360)에 끼워지며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 고정된다. 압축 스프링(250,350)의 타측은 제1 및 제2 부시(200,300)의 밑면에 접촉된다. 제1 및 제2 부시(200,300)는 압축 스프링(250,350)에 의하여 회전축(171)의 래디알 방향인 z축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고정대(210,310)에는 스토퍼(230,330)가 마련되어 제1 및 제2 부시(200,300)의 z축 방향 이동 위치를 규제한다. 롤러(170)는 제1 및 제2 부시(200,300)가 스토퍼(230,330)에 가로 막혀 그 이동이 규제되는 위치에서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 장착된다. 대향체가 접촉되면 롤러(170)는 z축 음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대향체에 탄성력을 작용한다. 즉, 제1 및 제2 부시(200,300)에 삽입되는 롤러(170)는 래디알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압축 스프링(250,350)에 의하여 그 대향체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롤러(170)가 전사롤러(170)이고 그 대향체가 감광체(130, 도 1 참조)인 경우, 상기 가압력에 의하여 기록 매체에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아울러, 다양한 두께의 기록 매체가 전사롤러(170)와 감광체(130)의 대향면을 통과하더라도, 전사롤러(170)가 이동되면서 상기 두께 변화에 대응한다.
로킹 유니트(400)는 로커 아암(410)과 로커 프레임(420)을 포함한다. 로커 아암(410)은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회전축(171)은 로킹 위치에서 지지 부재에 로킹되며 x축 및 z축 방향의 이동이 구속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전축(171)을 y축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별도의 로킹 수단이 마련된다. 따라서, 회전축(171)은 로킹 위치에서 x축, y축, 및 z축의 모든 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된다.
해제 위치에서 상기 로킹이 해제된다. 로커 아암(410)이 해제 위치로 이동되면, 회전축(171)의 타측을 개구(340)에서 들어내고 회전축(171)의 일측을 삽입 구멍(240)에서 빼내는 동작으로 롤러(17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서 분리할 수 있다.
로커 프레임(420)은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 고정된다. 로커 프레임(420)에는 로커 아암(410)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로커 아암(410)은 로킹 위치를 향하여 탄성 바이어스된다. 일 실시예로서, 로커 아암(410) 및 로커 프레임(420)에 마련된 인장 스프링 보스(417,427)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430)에 의하여, 로커 아암(410)은 로킹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손으로 밀면 로커 아암(410)이 해제 위치로 이동되며 회전축(171)의 로킹이 해제된다.
로킹 유니트(400)는 로커 프레임(420)에 마련된 체결 구멍(421)을 관통하는 1개의 체결 부재(422)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체결 구멍(421) 주변의 로커 프레임(420)에는 단차가 형성되며 체결 구멍(421) 주변의 화상형성장치 본체(101) 측과 맞물린다. 이는 1개의 체결 부재(422)가 체결된 상태에서 로커 프레임(420)의 Z축 회전을 방지한다. 로킹 유니트(400)는 로커 아암(410) 및 로커 프레임(420)이 결합된 상태로 1번의 체결 동작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 장착되므로 조립 구조가 간단하여 일반 사용자에 의한 롤러(170) 교체시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롤러(170) 교체시에 서비스 비용 및 서비스 시간이 절약되고 품질 만족도가 향상된다. 로킹 유니트(400)는 개구(340)를 구비한 제2 부시(300)에 가깝게 설치되며, 개구(340)에 삽입된 회전축(171)을 로킹시킨다.
로커 아암(410)에는 걸림턱(411)과 경사부(412)가 마련된다. 로커 아암(410)이 로킹 위치로 이동되면 걸림턱(411)은 회전축(171)의 상측 선단부에 접촉되며 회전축(171)이 개구(34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로커 아암(410)이 해제 위치로 이동되면 경사부(412)는 회전축(171)의 하측을 밀어 올려 회전축(171)을 개구(34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로커 아암(410)의 측면은 제1 안내부(425) 및 가이드 레일(415)의 결합에 의하여 그 이동이 안내된다. 일 실시예로서, 로커 아암(410)의 측면에는 제1 안내부(425)가 마련되며 로커 프레임(420)의 측면에는 가이드 레일(415)이 마련된다. 가이드 레일(415)에는 제1 안내부(425)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로커 아암 (410)에 마련된 제2 안내부(414)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 접촉 지지되며 이동된다. 걸림턱(411), 경사부(412), 제1 안내부(425), 제2 안내부(414) 및 가이드 레일(415)은 낙하나 외부 충격시에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구조로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며 로킹 유니트(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로커 아암(410)이 로킹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참조부호 A-A'직선을 따라 제2 부시(300) 및 회전축(171)이 래디알 방향으로 이동된다. 로킹 유니트(40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 장착되기 전에 로커 아암(410), 로커 프레임(420), 및 인장 스프링(430)이 서로 결합된다. 로커 아암(410)의 측면에 마련된 제1 안내부(425) 및 레일 고정판(426)은 로커 프레임(420)에 마련된 참조부호 416의 구멍을 통하여 삽입된다. 레일 고정판(426)은 로커 아암(410)이 y축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레일(415)의 측면에 밀착된다. 회전축(171)은 로킹 위치에서 그 상측 단부가 걸림턱(411)에 접촉되며, 그 하측 단부는 개구(340)의 곡면에 밀착되고, 그 양측 단부는 개구(340)의 양측면에 밀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로커 아암(410)이 여유 공간(413) 내에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롤러(170)는 대향체에 접촉되면서 z축 음의 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로서, 전사롤러(170)는 그 대향체인 감광체(130)와 접촉되며 z축 음의 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된다. 전사롤러(170)는 감광체(130)의 외주를 가압하며 대향면을 통과하는 기록 매체의 두께에 따라 이동 가능하다. 감광체(130)에 접촉된 롤러(170)가 탄력적으로 이동되면, 회전축(171)의 상측 단부 는 걸림턱(411)으로부터 접촉 분리된다. 로커 아암(410)에는 회전축(171)이 걸림턱(411)으로부터 분리된 후 래디알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로서, 로커 아암(410)에는 제1 및 제2 부시(200,300)의 이동시에 로킹 위치에서 회전축(171)이 걸림턱(411) 아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여유 공간(41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로커 아암(410)이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수명 시간에 도달하거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하여 롤러(17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로커 아암(410)이 해제 위치로 이동되면 회전축(171)의 로킹이 해제되면서 롤러(170)는 분리 가능하게 된다. 손잡이(418)를 밀면 인장 스프링(430)의 탄성력을 이기고 로커 아암(410)이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경사부(412)가 이동되면서 회전축(171)의 하측이 밀어 올려진다. 제2 부시(300)는 스토퍼(330)에 걸려서 z축 방향의 이동 위치가 규제된다. 경사부(412)가 더 이동되면 회전축(171)은 개구(340)에서 분리된다. 제1 부시(200)의 삽입 구멍(240)에서 회전축(171)을 빼내면 롤러(17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서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각 부품이 미리 조립된 채로 로킹 유니트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간단하게 장착되므로 조립 간편성과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되며, 롤러 교체시에 서비스 비용 및 서비스 시간이 절약되고 품질 만족도가 향상되며, 로킹 유니트의 강도가 보강되어 낙하나 외부 충격시에 파손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화상형성장치 본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롤러;
    상기 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되는 로커 프레임과, 상기 로커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을 상기 지지 부재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 및 상기 로킹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로커 아암과, 상기 로커 아암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로킹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로킹 유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이 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부시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이 래디알 방향으로 삽입되는 'U' 자형 개구가 마련된 제2 부시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유니트는, 상기 개구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의 타측을 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아암에는,
    상기 로킹 위치에서 상기 개구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의 이동을 방지하는 걸림턱과,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개구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을 밀어 올리는 경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아암은,
    상기 로커 프레임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며 안내되는 제1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아암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일 부분에 접촉되며 안내되는 제2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유니트는,
    상기 로커 프레임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체결하는 1개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시는,
    상기 롤러가 그 대향체에 가압력을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의 래디알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아암에는,
    상기 로킹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부시의 이동시에 상기 회전축이 상기 걸림턱 아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여유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부시의 이동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전사 롤러이며, 상기 대향체는 감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107639A 2005-11-10 2005-11-10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67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639A KR100667831B1 (ko) 2005-11-10 2005-11-10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588,350 US7822360B2 (en) 2005-11-10 2006-10-27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ocking unit
CNB200610162735XA CN100514222C (zh) 2005-11-10 2006-11-10 具有闭锁单元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639A KR100667831B1 (ko) 2005-11-10 2005-11-10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831B1 true KR100667831B1 (ko) 2007-01-11

Family

ID=3786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639A KR100667831B1 (ko) 2005-11-10 2005-11-10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22360B2 (ko)
KR (1) KR100667831B1 (ko)
CN (1) CN10051422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998B1 (ko) * 2008-08-20 201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941167A (zh) * 2018-09-25 2020-03-31 佳能株式会社 成像设备和显影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7844B2 (ja) * 2015-06-30 2018-06-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ブッシュ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3767A (ja) 1997-10-31 1999-05-21 Canon Inc ローラ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KR19990041159A (ko) 1997-11-21 1999-06-15 양재신 프론트시트의 시트백 허리받침대 조절장치
JP2000250310A (ja) * 1999-02-26 2000-09-1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感光体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3860950B2 (ja) 2000-05-01 2006-12-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848066B2 (ja) * 2000-08-21 2006-11-22 株式会社沖データ ベルトユニットと該ベルトユニットが装着される装置
JP4102011B2 (ja) * 2000-09-19 2008-06-18 株式会社リコー 転写ローラ装置
KR100453063B1 (ko) * 2002-12-10 200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장치
JP2005266126A (ja) * 2004-03-17 2005-09-29 Fuji Xerox Co Ltd 像形成ユニット及び像形成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4124153B2 (ja) * 2004-03-31 2008-07-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694099B1 (ko) * 2005-04-06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장탈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998B1 (ko) * 2008-08-20 201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경로전환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941167A (zh) * 2018-09-25 2020-03-31 佳能株式会社 成像设备和显影盒
US11550255B2 (en) 2018-09-25 2023-01-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cartridge
CN110941167B (zh) * 2018-09-25 2023-05-23 佳能株式会社 成像设备和显影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14222C (zh) 2009-07-15
US7822360B2 (en) 2010-10-26
US20070104508A1 (en) 2007-05-10
CN1963689A (zh)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8869A1 (en)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67461B2 (en) Developing cartridge with a restricted portion that contacts a restricting por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85714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artridge supporting member and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movement of cartridge supporting member
US8000630B2 (en)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245867B2 (en)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4621063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61565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7151202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00021532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EP2280315A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4091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remover to remove toner leaked from toner cartridge
JP2020170201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67774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70077594A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20100202796A1 (en) Development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67831B1 (ko)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983608B2 (en) Cleaning apparatus
US9409429B2 (en) Belt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belt member exchanging method
JP6828373B2 (ja) 画像形成装置
JP721520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16058A (ja) 像担持体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5323694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515307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34987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20576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