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810B1 -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 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 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810B1
KR960006810B1 KR1019930011892A KR930011892A KR960006810B1 KR 960006810 B1 KR960006810 B1 KR 960006810B1 KR 1019930011892 A KR1019930011892 A KR 1019930011892A KR 930011892 A KR930011892 A KR 930011892A KR 960006810 B1 KR960006810 B1 KR 960006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
rear end
trays
tray
bin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424A (ko
Inventor
정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19930011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810B1/ko
Publication of KR950001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 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채용한 소터의 일실시예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터의 일실시예 빈트레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터의 일실시예 빈트레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롯라이너 2 : 빈트레이
3 : 선단 빈편 4 : 래크
5 : 피니언 6 : 선단 스페이서
7 : 모터 8 : 워엄
9 : 워엄 기어 10 : 감속변환기어
11 : 감속종축기어 12,16 : 타이밍 벨트
13 : 회전레버 14 : 회전레버축
15 : 회전레버기어 17 : 빈분리기
18 : 링크 19 : 받침판
20,31 : 후단빈핀 21 : 빈캠
21a : 장공홈 22 : 캠가이드
23 : 가이드 슬롯 24 : 빈캠가이드핀
25 : 관절링크 26 : 관절링크핀
27 : 관절링크 슬롯 28 : 가이드편
29 : 절곡된 사각슬롯 30 : 후단빈핀 돌출판
본 발명은 다수의 빈트레이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페이지별 또는 페이지순으로 복사지를 분류하는 분류장치(이하, 간단히 ''소터''라 함)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사지 분류를 위한 용지수납시, 용지가 수납되는 빈트레이에 바로 인접된 상위 빈트레이의 후단부분을 일정간격만큼씩 들어올려주어 용지수납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터(sorter)는 다수의 빈트레이를 구비하고 있으며, 소정위치의 해당 빈트레이와 인접된 상위 빈트레이 전단(복사지 투입구측)을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주므로써, 복사기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복사지가 순차적으로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 각각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용지가 완전히 수납된 후에는 상기 해당 빈트레이와 인접된 상위 빈트레이를 다시 밀착시키면서 그 다음의 빈트레이 상에 상기한 바와 같은 용지수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빈트레이에 순차적으로 복사된 용지가 수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소터(SORTER)는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 후단이 최하위 빈트레이부터 최상위 빈트레이까지 서로 밀착되게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빈트레이 각각에 용지를 수납하기 위해 구동시킬 때, 구동 모터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고, 길이가 긴 복사용지의 경우는 그 수납자체가 불가능하여 배지잼등의 오동작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빈트레이 전단은 용지를 수납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있을 경우에도 그 후단이 밀착되어 있어 효과적인 용지적재(다량적재)가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또한, 각각의 빈트레이 후단 양측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는 분류 수납이 완료된 후에 각각의 빈트레이에 적재된 복사용지를 인출할때 매우 불편하고, 적층된 빈트레이 내부에 이물질이 끼었거나 잼(JAM)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각각의 빈트레이를 들어올릴 수 없기 때문에 트레이 전체를 분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각각의 빈트레이간의 간격을 넓게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데,이때에는 소터의 구조가 전체적으로 대형화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적층된 다수의 빈트레이들을 구비하고 있는 소형소터에 적용되며, 각각의 빈트레이 후단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개별적으로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구동력으로도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들을 상하이동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용지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빈트레이 후단부분이 소정간격만큼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용지제거등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고시키는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룰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척층된 다수의 빈트레이와,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 하단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복사기로부터 배지되는 복사용지를 순차적으로 분리적재하는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빈트레이 각각의 후단 양측에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후단빈핀 ; 상기 다수의 후만빈핀이 각각 하나씩 삽입되어 이송되도록 그 각각에 장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공홀의 개구 반대측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핀이 일체로 돌출성형되어 있는 다수의 빈캠 ; 및 상기 빈트레이 후단 양쪽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되, 상기 빈트레이를 지지하는 받침판에 그 하측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빈캠의 가이드핀이 각각 끼워져 결합된 상태로 소정간격만큼씩 상향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 슬롯(23)이 형성된 캠가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방편으로, 적층된 다수의 빈트레이와,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 하단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복사기로부터 배지되는 복사용지를 순차적으로 분리적재하는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빈트레이 각각의 후단 양측에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후단빈핀 ; 상기 다수의 후단빈핀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슬롯이 그 각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빈트레이 각각의 후단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할당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슬롯링크 ; 인접된 상하 빈트레이간의 후단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할당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연결링크 ;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에 각각 할당되는 다수의 슬롯링크와, 인접된 상하 빈트레이간에 각각 할당되는 다수의 연결링크가 교번적으로 배열되도록 연결하여, 상기 다수의 슬롯링크 및 디수의 연결링크가 포개지기도 하고, 지그재그형태로 펴질 수 있도륵 하는 다수의 관절링크핀을 포함하고 있는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의한 또다른 방편으로, 적층된 다수의 빈트레이와,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 하단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복사기로부터 배지되는 복사용지를 순차적으로 분리적재하는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빈트레이 각각의 후단 양측에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후단빈핀 ; 및 상기 빈트레이 후단 양쪽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되, 상기 빈트레이를 지지하는 받침판에 그 하측이 각각 고정되며, 적층된 다수의 빈트레이 후단을 각각 지지함과 동시에 빈트레이간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좌고우저형의 소정경사를 갖는 다수의 절곡된 사각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편을 포함하고 있는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채용한 소터의 일실시예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터의 일실시예 빈트레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1은 슬롯라이너, 2는 빈트레이, 3은 선단빈핀, 4는 래크, 5는 피니언,6은 선단 스폐이서, 7은 모터, 8은 워엄, 9는 워엄기어, 10은 감속변환기어, 11은 감속종축기어, 12 및 16은 타이밍벨트, 13은 회전레버, 14는 회전레버축, 15는 회전레버기어, 17은 빈분리기, 18은 링크, 19는 받침판, 20은 후단빈핀, 21은 빈캠, 21a는 장공홈,22는 캠가이드, 23은 가이드슬롯, 24는 비캠가이드핀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터는 제1도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측판상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슬롯라이너(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롯라이너(1)에는 다수의 빈트레이(2) 각각에 구비된 선단빈핀(3)들이 삽입되어 적층된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양측 측판상의 슬롯라이너(1) 외측에는 다수의 빈트레이(2)들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래크(4)가 대향되게 설치되는바, 상기 소터 양측 측판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되는 피니언(5)과 치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래크(4) 일측에 래크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피니언(5)의 회전에 따라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2) 전체가 상하로 서서히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빈트레이가 순차적으로 소정위치에 다다랐을 때 그 각각에 용지가 수납되도록 하기 위하여, 링크(18)에 연결되어 좌우로 수평 왕복운동하는 빈분리기(17)를 구비시켜 해당 위치의 빈트레이간에 용지수납 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 소터에서는 상기 링크(18)가 1회전하는 동안 상기 선단 스페이서(6) 외경만큼씩 서서히 상향 또는 하향이동되도록 하여 복사기로부터 배출되는 복사용지를 각각의 빈트레이(2)에 순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복사기로부터 배출되는 복사용지가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2)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도록 구동하기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비시킨다.
상기 소터이 일측에 하나의 모터(7)를 설치하여 상기 빈트레이(2) 상하이동 및 용지수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제반동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7)로부터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각 부위에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 구동축에 워엄(8)을 일체로 부착시키고, 그 일측에는 상기 워엄(8)에 맞물려 일정비로 감속회전하는 워엄기어(9)를 설치한다.
상기 래크(4)를 구동시키는 피니언(5)은 상기 워엄기어(9)로부터 소정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구동하도록되어 있는데, 상기 래크(4)의 적정한 이동거리(상기 링크(18)가 1회전하는 동안 상기 선단 스페이서(6)의 직경크기에 해당하는 이동거리임)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워엄기어(9)의 회전력을 소정비로 감속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 소터에서는 상기 워엄기어(9)의 회전축에 일체로 결합구성되어 상기 피니언(5)을 동일하게 회전시키되 상기 감속변환기어(10)의 회전속도를 소정의 감속비로 감속시켜 회진시키는 감속종축기어(11)와, 상기 감속변환기어(10)의 회진력을 상기 감속종축기어(11)에 전달하는 래크구동용 다이밍벨트(12)로 구성하였다.
회전레버(13)는 상기 양측 측판상의 소정위치에 각각 대향되게 구비되며, 서로 회전레버축(14)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일측에만 회전력이 전달되더라도 그 양측이 동일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레버(13)를 구동시키기 의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 소터에서는 상기 워엄기어(9)의 회전축에 일체로 결합구성되어 동일하게 회전하는 회전레버 구동기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회전레버 회전축(14)에 일체로 결합 구성되어 동일하게 회전하는 회전레버기어(l5)와, 상기 회전레버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레버기어(15)에 전달하는 회전레버구동용 타이밍벨트(16)를 채용하여 상기 회전레버(13)에 워엄기어(9)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소터 양측 측판상의 소정위치에는 슬라이드식 빈분리기(17)가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슬라이드식 빈분리기(17) 각각은 양측 측판에 각각 구비된 회전레버(14)가 1회전하는 동안 한주기의 수평왕복운동을 수행하여 일정시간 동안 용지가 수납되는 빈트레이(2) 바로 위에 위치하는 상위 빈트레이(2) 하나를 일정위치까지 들어올려 용지수납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양측 측판상의 회전레버(14) 및 빈분리기(17)간에는 소정크기의 링크(18)가 각각 연결되는데 빈분리기(17)와 결합되는 그 각각의 일측은 상기 빈분리기(17) 하부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회전레버(14)와 연결되는 각각의 타측은 회전레버(14)에 돌출형성된 연결핀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길이로 형성된 통공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적층된 다수의 빈트레이(2) 각각의 빈트레이 간격이 항상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선단빈핀(3)보다 큰 외경을 갖는 소정크기의 선단 스페이서(6)를 상기 선단빈핀(3)상에 각각 끼워 설치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2) 전체를 무리없이 들어올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래크(4)의 최하단에 받침봉(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시키고, 상기의 적층된 다수의 빈트레이(2) 하단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판(19)을 결합시켜 설치한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터의 일실시예 빈트레이 구조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빈트레이(2)의 후단 양측에 후단빈핀(20)이 각각 더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빈트레이의 우측후단을 상부로 돌출시켜 수납되는 용지가 좌측선단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는 상기 후단빈핀(20)이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장공홀(21a)이 형성된 빈캠(21)과, 상기 빈캠(22)이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빈트레이(2) 후단의 상,하간격이 자유롭게 조정되게 지지하는 빈캠 가이드핀(24)을 상기 장공홀(21a)의 개구 반대측 하단에 구비시켜, 상기 빈캠(21)이 상기 빈갬 가이드핀(24)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륵 한다.
그리고, 상기 빈캠(21)은 상기 빈트레이(2)가 슬롯라이너의 절곡된 부위 통과시 그 후단으로 밀쳐질 때,상기 빈캠 가이드핀(24)을 힌지로 하여 필요한만큼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빈트레이(2)와 상위 빈트레이가 상기 빈캠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유동가능하여 상기 빈트레이(2)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부하를 줄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9)에 그 하측이 고정되며, 상기 빈트레이(2)의 후단 양쪽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캠가이드(22)는 우측으로 경사지게 소정길이로 형성된 다수이 가이드슬롯(2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슬롯(23) 각각에 상기 빈캠 가이드핀(24)을 하나씩 삽입시켜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빈트레이(2)후단을 소정간격만큼씩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접된 상하위 빈트레이(2,2')간의 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제4도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터(7)가 정회전하도록 구동되면,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2)가 래크(4) 및 빈분리기(17)에 의해 이동되어 측판상의 슬롯라이너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 상기 빈트레이(2)의 후단 양측에 구비된 후단빈핀(20)이 상기 빈캠(21)의 일측에 형성된 장공홀(21a)의 안내를 받아 서서히 이동되면서 상기 빈분리기(17)에 의해 제공되는 빈트레이간의 간격을 통해 용지수납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빈캠(21)에 의해 해당 빈트레이(2)와 인접된 상위 빈트레이(2')간에 일정간격이 확보되며, 또한 상기 빈캠(21)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빈트레이 후단을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캠가이드(22)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23)을 타고 소정간격만큼 상승이동되어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시도로서, 관절링크 구조를 응용한 후단간격 지지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서 25는 관절링크로서 25a는 슬롯링크이고 25b는 연결링크이며, 26은 링크핀, 27은 관절링크 슬롯, 19는 받침판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장치는 빈트레이(2) 각각의 후단 양측에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후단빈핀(20)과, 상기 다수의 후단빈핀(20)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슬롯이 그 각각에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빈트레이(2) 각각의 후단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할당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슬롯링크(25a)와, 인접된 상하 빈트레이간의 후단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할당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연결링크(25b)와,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에 각각 할당되는 다수의 슬롯링크(25a)와 빈트레이간에 각각 할당되는 다수의 연결링크(25b)가 교번적으로 배열되도록 연결하여 상기 다수의 슬롯링크(25a) 및 다수의 연결링크(25b)가 포개지기도하고 지그재그형태로 펴질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관절링크핀(26)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빈트레이(2)의 후단 양측에 구비된 후단빈핀(20)이 삽입되어 일정간격만큼 이동되도록 소정길이로 형성된 슬롯(27)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빈트레이(2)의 후단이 항상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높이로 형성된 관절링크(25)가 하나의 빈트레이에 두개씩 그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며, 그 적층구조 전체를 받침판(19)이 지지하도록 하는 바, 상기 다수의 관절링크(25)는 그 양끝단이 링크핀(26)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평상시는 상기 관절링크(25)가 서로 포개진 상태로 있게 되어 상기 각각의 빈트레이(2) 후단이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빈트레이 후단을 들어올리게 되면, 해당 위치의 관절링크(25)가 상기 링크핀(26)을 중심으로 지그재그로 펴지면서 더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빈트레이(2)의 후단빈핀(20)이 상기 관절링크(25)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되며, 빈트레이(2)와 인접된 상위 빈트레이(2')간에 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시도이고, 제7도는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빈트레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28은 가이드편, 29는 절곡된 사각슬롯, 30은 후단빈핀 돌출판,31은 후만빈핀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된 다수의 빈트레이(2) 후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빈트레이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2) 후단 양쪽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편(28)을 구비시키는바, 상기 가이드편(28)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고우저형의 소정경사를 갖는 다수의 절곡된 사각슬룻21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2) 후단은 상기 절곡된 사각슬롯(29) 각각에 하나씩 할당되어 독립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소정의 후단 빈트레이 간격을 유지시켜, 인접된 상하 빈트레이간의 마찰을 제거하여 구동부하를 최소화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빈트레이 후단을 소정간격만큼 더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빈트레이(2)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단 양쪽에 후단빈핀(31)과, 상기 후단빈핀(31)이 상기 가이드편(28)의 슬롯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소정크기의 후단빈핀 돌출판(30)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단빈핀(31)은 회전이 가능토록 하여, 상기 가이드편(28)의 접촉 슬롯면과의 마찰력을 줄이면서 그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동부하를 감소시킴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 및 작용되는 본 발명은 빈트레이 후단이 각각 개별적으로 지지되어 항상 소정의 후단간격을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빈트레이 후단을 소정간격만콤큼 더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접된 상하 빈트레이간의 마찰을 제거하여 구동부하를 최소화하고, 상기 빈트레이 후단에 일정공간을 확보하여 길이가 긴 용지의 적재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적재된 용지제거 또는 잼제거등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고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적층된 다수의 빈트레이(2)와,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2) 하단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판(19)을 구비하고 있으며, 복사기로부터 배지되는 복사용지를 순차적으로 분리적재하는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빈트레이(2) 각각의 후단 양측에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후단빈핀(20) ; 상기 다수의 후단빈핀(20)이 각각 하나씩 삽입되어 이송되도록 그 각각에 장공홀(21a)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장공홀의 개구 반대측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핀(24)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빈캠(21) ; 및 상기 빈트레이(2) 후단 양쪽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실치되되, 상기 빈트레이(2)를 지지하는 받침판(19)에 그 하측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빈캠(21)의 가이드핀(24)이 각각 끼워져 결합된 상태로 소정간격만큼씩 상향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슬롯(23)이 형성된 캠가이드(2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
  2. 적층된 다수의 빈트레이(2)와,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2) 하단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판(19)을 구비하고있으며, 복사기로부터 배지되는 복사용지를 순차적으로 분리적재하는 소터이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위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빈트레이(2) 각각의 후단 양측에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후단빈핀(20) ; 상기 다수의 후단빈핀(20)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슬롯이 그 각각에 형성되어 있으머, 상기 빈트레이(2) 각각의 후단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할당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슬롯링크(25a) ; 인접된 상하 빈트레이간의 후단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할당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연결링크(25b) ;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에 각각 할당되는 다수의 슬롯링크(25a)와, 인접된 상하 빈트레이간에 각각 할당되는 다수의 연결링크(25b)가 교번적으로 배열되도록 연결하여, 상기 다수의 슬롯링크(25a) 및 다수의 연결링크(25b)가 포개지기도 하고 ,지그재그형태로 펴질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관절링크핀(26)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의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
  3. 적층된 다수의 빈트레이(2)와, 상기 다수의 빈트레이(2) 하단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판(19)을 구비하고 있으며, 복사기로부터 배지되는 복사용지를 순차적으로 분리적재하는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빈트레이(2) 각각의 후단 양측에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후단빈핀(31) ; 및 상기 빈트레이(2) 후단 양쪽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되, 상기 빈트레이(2)를 지지하는받침판(19)에 그 하측이 각각 고정되며, 적층된 다수의 빈트레이(2) 후단을 각각 지지함과 동시에 빈트레이간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좌고우저형의 소정경사를 갖는 다수의 절곡된 사각슬롯(29)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편(28)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
KR1019930011892A 1993-06-28 1993-06-28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 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 KR960006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1892A KR960006810B1 (ko) 1993-06-28 1993-06-28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 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1892A KR960006810B1 (ko) 1993-06-28 1993-06-28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 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24A KR950001424A (ko) 1995-01-03
KR960006810B1 true KR960006810B1 (ko) 1996-05-23

Family

ID=1935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1892A KR960006810B1 (ko) 1993-06-28 1993-06-28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 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8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24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7749B2 (ko)
JPH02110075A (ja) シートを振り分けるソーティング装置
EP0026562B1 (en) Sheet collection apparatus and sorters incorporating same
US4843434A (en) Random access sheet receiver
EP1072549B1 (en) Collating apparatus
US6062555A (en) Sheet sor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heet sorter
KR960006810B1 (ko) 소터의 빈트레이 후단 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장치
JP2608367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
GB2168037A (en) Sheet sorting apparatus
US5158275A (en) Multiple tray rotary paper feed system for an image reproduction machine
US4872663A (en) Sheet sorter apparatus
US4854571A (en) Sheet sorting device
KR0114339Y1 (ko) 용지정렬 장치
US5845901A (en) Parallel moving tray sorter
US4962920A (en) Sheet sorting device
JP2565364B2 (ja) シート分類装置
US5263707A (en) Combined stacker and sorter
KR950007529B1 (ko) 소터의 빈트레이 구동장치
KR960006812B1 (ko)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
KR970007225B1 (ko) 용지 정렬 장치
KR960006809B1 (ko) 소터의 빈트레이 구동장치
US4941657A (en) Sheet sorting device
JPS58183566A (ja) シ−ト分類装置
KR950012162A (ko) 소터
KR930006965B1 (ko) 복사지 분류장치(Compact S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