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450A -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 Google Patents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450A
KR19980065450A KR1019970000459A KR19970000459A KR19980065450A KR 19980065450 A KR19980065450 A KR 19980065450A KR 1019970000459 A KR1019970000459 A KR 1019970000459A KR 19970000459 A KR19970000459 A KR 19970000459A KR 19980065450 A KR19980065450 A KR 19980065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hin film
voltage
film transisto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2308B1 (ko
Inventor
김점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0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308B1/ko
Priority to US08/908,955 priority patent/US5909035A/en
Priority to GB9726756A priority patent/GB2321126B/en
Priority to JP00172498A priority patent/JP4236133B2/ja
Priority to FR9800080A priority patent/FR2758402B1/fr
Priority to DE19800655A priority patent/DE19800655B4/de
Publication of KR1998006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4Arrangements to prevent high voltage or static electricity fail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주사선과 신호선 및 그 교차부에 박막트랜지스터가를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에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안정적인 동작 및 검사를 위해 정전기방지회로의 단락배선을 각각 다른 단락배선에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액정패널의 제조공정 중에 발생하는 정전기에 대하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주사선과 신호선에 각각 정전기방지회로를 연결하고, 상기 정전기방지회로를 하나의 공통단락배선에 연결했었다. 그러나, 정전기방지회로를 하나의 공통단락배선에 연결하는 것은 정전기방지회로의 동작특성을 나쁘게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주사선에 연결된 정전기방지회로는 게이트단락배선에 연결하고, 신호선에 연결된 정전기방지회로는 데이터단락배선에 연결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게이트단락배선에는 주사전압의 로(low) 레벨의 전압을 인가하여 게이트단락배선과 주사선 사이의 전압차를 줄이고, 데이터단락배선에는 공통전압을 인가하여 데이터단락배선과 신호선 사이의 전압차를 최소로 줄임으로써 정전기방지회로의 동작특성을 안정화시킨다. 그래서, 주사선과 신호선에 전압을 인가할 때, 상기 각 주사선과 신호선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동작 및 하판 검사시 검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본 발명은 액정패널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정전기방지회로의 안정적인 동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사선과 연결된 정전기방지회로를 게이트단락배선에 연결하고, 신호선과 연결된 정전기방지회로를 데이터단락배선에 연결한 구조의 액정패널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게이트단락배선에는 주사전압에 준하는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데이터단락배선에는 공통전압에 준하는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정전기방지회로를 안정화시키고 패널검사시 검출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표시장치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CRT 브라운관은 색상구현이 쉽고, 동작속도가 빨라 TV와 컴퓨터모니터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을 받아 왔다. 그러나, CRT 브라운관은 전자총과 화면 사이의 거리를 어느정도 확보해야 하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두께가 두꺼울 뿐만 아니라, 전력소비가 크고, 게다가 무게도 상당히 무거워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CRT 브라운관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가 고안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실용화 되어 있는 장치가 바로 액정표시장치이다.
액정표시장치는 CRT 브라운관에 비해 화면이 어둡고 동작속도가 다소 느리지만, 전자총과 같은 장치를 갖추지 않아도 각각의 화소를 평면 상에서 주사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어 장차 벽걸이 TV와 같은 초박형 표시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액정표시장치는 무게가 가볍고, 전력소비도 CRT 브라운관에 비해 상당히 적어 배터리로 동작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등, 휴대용 표시장치로서 가장 적합하다는 평도 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도1에서와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12)과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드라이버IC(10, 11)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액정패널의 상세한 구조는 도2에 나타낸 것과 같다. 먼저 제1기판(21)에는 복수개의 주사선(14)과 복수개의 신호선(16)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교차점에는 화소전극(26)과 박막트랜지스터(13)(Thin Film Transistor:이하 TFT)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판과 대향하는 제2기판(22)에는 공통전극(24)과 칼라필터(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액정(25)이 주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액정을 사이에 두고 공통전극과 마주보고 있는 화소전극이 액정표시장치의 화소(畵素)로서의 역할을 하게된다. 또,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에 따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의 바깥면에는 외부 빛의 투과방향을 일정하게 해주는 편광판(2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TFT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알루미늄, 크롬, 몰리브덴 등의 금속으로 된 게이트전극(30)과 알루미늄, 크롬, 몰리브덴 등의 금속으로 된 소스전극(32)과 드레인전극(33), 및 반도체층(34)과 불순물반도체층(3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전극(30)은 도2에 나타낸 주사선(14)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스전극은 상기 도2에 나타낸 신호선(16)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드레인전극(33)은 화소전극(26)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상기 TFT는 주사선(14)을 통해 주사전압이 게이트전극(30)에 인가되면, 상기 신호선(16)에 흐르는 신호전압이 소스전극(32)에서 드레인전극(33)으로 반도체층(34)을 통해 인가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소스전극에 신호전압이 인가되면, 소스전극과 연결된 화소전극에 신호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화소의 화소전극(26)과 공통전극(24)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한다. 그러면, 이러한 전압차로 인해 상기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액정(25)의 분자배열이 변화되는데, 이 액정의 분자배열이 변화됨으로 인하여 화소의 광투과량이 변하게 되어 데이터전압이 인가된 화소와 인가되지 않은 화소의 시각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시각적인 차이가 있는 화소들이 모임으로써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도2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는 화소전극이 형성된 기판과 공통전극이 형성된 기판이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1기판에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제2기판의 전체에 걸쳐 공통전극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제1기판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 외부로부터 고압의 정전기가 발생하면, TFT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그 방지책이 필요하다. 그래서, 종래에는 주사선과 신호선 각각에 정전기방지회로를 설치하고, 상기 정전기방지회로를 하나의 공통단락배선에 연결한 구조로 제1기판을 제조하였다.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기판은 제조공정 중에 상기 TFT의 동작을 테스트하기 위한 데이터쇼팅바(42) 및 게이트쇼팅바(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쇼팅바와 게이트쇼팅바는 외부쇼팅바(40)에 의해 단락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쇼팅바와 게이트쇼팅바는 제1기판에 구성된 각각의 TFT가 정확하게 동작하는 지 검사하기 위한 신호를 인가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TFT의 동작을 검사하는 방법은 각각의 게이트쇼팅바와 데이터쇼팅바에 전압을 가하여 출력전압의 값을 구함으로써 TFT의 정상적인 동작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쇼팅바, 데이터쇼팅바와 주사선 및 신호선의 연결구조를 상세히 표현하면 도5과 같다. 게이트쇼팅바(50)는 주사선(55)에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쇼팅바(51)는 신호선(56)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사선(55)과 신호선(56)은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자 또는, 정전기방지회로(52)에 의해 공통단락배선(5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통단락배선은 기판에서 박막트랜지스터(54)가 형성된 영역의 주위를 둘러싸며, 각각의 주사선(55)과 신호선(56)의 양쪽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기방지회로(52)와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6는 정전기방지회로의 회로도이다. 이 정전기방지회로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박막트랜지스터어레이와 함께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정전기방지회로는 액정패널의 제조 또는, 검사공정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에 의해 박막트랜지스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다. 예를 들어, 주사선에 연결된 정전기방지회로는 상기 주사선 중 일부에 정전기가 발생했을 때, 인접한 다른 주사선과의 전압차에 의해 박막트랜지스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신호선에 연결된 정전기방지회로는 상기 신호선 중 일부에 정전기가 발생했을 때, 인접한 다른 신호선과의 전압차에 의해 박막트랜지스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주사선과 신호선이 공통단락배선에 의해 모두 연결됨으로써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의 어떤 부분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라도 모두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6에 나타낸 정전기방지회로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제1단자(60)에 정전기에 의한 고전압이 인가되었을 경우, 제1트랜지스터(62)가 도통되면서 제3트랜지스터(64)를 도통시킨다. 그래서, 제1단자(60)와 제2단자(61)가 도통되어 등전위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제2단자(61)에 정전기에 의한 고전압이 인가되었을 경우, 제2트랜지스터(63)가 도통되면서 제3트랜지스터(64)를 도통시킨다. 그래서, 결국 제1단자(60)와 제2단자(61)가 도통되어 등전위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제1단자 또는, 제2단자에 정전기가 인가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는 제1트랜지스터와 제2트랜지스터가 도통되지 않으므로, 극히 미세한 전류를 제외하면 제1단자와 제2단자는 절연상태를 유지한다.
정전기방지회로에 의해 연결된 전극 간에는 저전압에서는 전기가 통하지 않아 절연성을 띄고, 박막트랜지스터의 구동전압보다 월등히 높은 고전압에서는 도통성을 띄게 한다. 정전기는 매우 높은 고전압이므로, 저전압에서 동작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파괴시킨다. 그래서, 박막트랜지스터의 점검을 위한 전압이 인가되면 정전기방지회로에 의해 연결된 전극 사이가 절연되어 동작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하지만, 비정상적으로 높은 정전기전압이 인가되면 모든 전극이 도통되어 연결된 모든 배선 사이의 전위차를 없앰으로써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박막트랜지스터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하여 주사선과 신호선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정전기방지회로가 절연성을 유지하므로 주사선과 신호선이 서로 전압에 의해 받는 영향이 적다. 그러나, 정전기가 주사선, 또는 신호선의 배선에 침입하면, 정전기방지회로는 모든 배선을 도통시켜 등전위를 유지하게 하므로 제1기판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주사선 또는, 신호선과 공통단락배선 간의 전압차의 안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공통단락배선에 일정한 전위로 전압을 걸어 준다.
그런데, 주사선과 신호선의 정전기방지회로가 공통단락배선에 의해 모두 연결된 구조로 된 제1기판의 경우, 박막트랜지스터의 검사시 절연소자로 작용하는 정전기방지회로가 미세한 저항성을 띄게 되어 검출력을 감소시키고, 정전기방지회로 양단 간에 일어나는 전압차에 의해 누설전류가 발생되어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비록 정전기방지회로가 높은 저항에 의한 절연의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상기 정전기방지회로도 미세하게나마 전기적으로 도통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박막트랜지스터의 검사를 위해 주사선 또는, 신호선에 전압을 인가하면, 일부의 전류가 누설되어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박막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위해 주사선에 주사전압을 인가하면, 인가된 주사전압으로 인한 전류 일부가 정전기방지회로를 통해 공통단락배선으로 흐른다. 상기 공통단락배선으로 흘러 들어간 전류는 공통단락배선과 정전기방지회로에 의해 연결된 신호선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신호선에 인가된 신호전압도 공통단락배선을 통해 주사선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박막트랜지스터의 검출력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검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통단락배선을 분리하여 주사선에 연결된 정전기방지회로는 제1단락배선에 접속시키고, 신호선에 연결된 정전기방지회로는 제2단락배선에 접속시키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전압과 신호선에 인가되는 신호전압의 전위차가 다르므로, 주사선과 제1단락배선 사이의 전위차와 신호선과 제2단락배선 사이의 전위차가 다르게 되어 정전기방지회로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된다. 게다가 종래의 액정패널은 정전기방지회로의 안정화를 위해 공통단락배선 또는, 제1단락배선과 제2단락배선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야 하므로, 추가로 구동회로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는 액정패널의 제1기판과 제2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박막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는 액정패널의 제1기판의 데이터쇼팅바와 게이트쇼팅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종래의 액정패널의 게이트쇼팅바와 데이터쇼팅바 및 정전기방지회로와 공통단락배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정전기방지회로의 회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박막트랜지스터어레이에서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을 각각 분리한 액정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서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 사이를 정전기방지회로로 연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부호설명 *
10 : 드라이버IC 11 : 드라이버IC12 : 표시영역
13 : 박막트랜지스터14 : 주사선15 : 화소
16 : 신호선20 : 편광판21 : 제1기판
22 : 제2기판23 : 컬러필터24 : 공통전극
25 : 액정26 : 화소전극30 : 게이트전극
31 : 게이트절연막32 : 소스전극33 : 드레인전극
34 : 반도체층35 : 보호막36 : 불순물반도체층
40 : 외부쇼팅바41 : 게이트쇼팅바 42 : 데이터쇼팅바
43 : 연결부50 : 게이트쇼팅바51 : 데이터쇼팅바
52 : 정전기방지소자53 : 공통단락배선54 : 트랜지스터
55 : 주사선56 : 신호선60 : 제1단자
61 : 제2단자62 : 제1트랜지스터63 : 제2트랜지스터
64 : 제3트랜지스터
100 : 게이트쇼팅바110 : 데이터쇼팅바120 : 제1정전기방지회로
130 : 제2정전기방지회로140 : 주사선150 : 신호선
160 : 게이트단락배선170 : 데이터단락배선200 : 정전기방지소자
① : 제1전압인가수단② : 제2전압인가수단
본 발명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주사선과 신호선 및 그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가 제조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에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주사선에 형성한 정전기방지회로와 신호선에 형성한 정전기방지회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각각 별개의 단락배선에 접속시킨 것이다.
다시 말해,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주사선(140)은 게이트쇼팅바(100)와 게이트단락배선(160)에 연결하고, 신호선(150)은 데이터쇼팅바(110)와 데이터단락배선(170)에 연결하여 형성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전기방지회로(120)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게이트단락배선에는 일정한 전위의 제1전압(①)을 인가하고, 상기 데이터단락배선에도 일정한 전위의 제2전압(②)을 인가한다. 즉,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을 분리하고, 서로 다른 전압을 따로 인가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주사선과 신호선에 전압을 인가할 때, 상기 각 주사선과 신호선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정전기방지회로를 안정화시키고, 제1기판의 검사공정의 검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1)
본 발명을 이용한 액정패널은 주사선과 신호선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의 주위에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의 구조는 상술했던 도7와 같다.
절연기판(도면미도시) 위에 주사선(140)과 신호선(150)이 직교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교차부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사선의 한쪽 단에는 게이트쇼팅바(100)가 형성되어 있고, 신호선의 한쪽 단에는 데이터쇼팅바(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주사선단락배선(160)이 상기 주사선과 제1정전기방지회로(120)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단락배선이 상기 신호선과 제2정전기방지회로(13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정전기방지회로와 제2정전기방지회로는 동일한 소자를 사용한다. 즉, 상기 제1정전기방지회로와 제2정전기방지회로는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상기 제1정전기방지회로와 제2정전기방지회로는 도6에 나타낸 회로를 채용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단락배선의 전극에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해 주사선에 인가하는 주사전압 중, 로(low)레벨의 전압 Vgl을 인가하여 상기 주사선과 게이트단락배선 사이에 연결된 제1정전기방지회로를 안정화시킨다. 또, 상기 데이터단락배선의 전극에는 공통전극에 인가하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 Vcom을 인가하여 상기 신호선과 데이터단락배선 사이에 연결된 제2정전기방지회로를 안정화시킨다. 그러므로, 종래에 정전기방지회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공통단락배선에 연결하였던 별개의 전압인가수단이 필요없게 되어 액정패널의 구동회로가 간단해진다.
상기 게이트단락배선에 주사전압의 로(low)레벨의 전압 Vgl을 인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프레임단위로 구동하는 액정패널에서는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을 표시할 때, 모든 주사선에 소정의 기간동안 한 번씩 주사전압의 하이(high)레벨의 전압 Vgh가 인가되며, 한 프레임에서 상기 소정의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에는 각 주사선에 주사전압의 로(low)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만약 게이트단락배선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접지시켰을 때, 어떤 주사선에 주사전압이 인가된 후에는 그 주사선에 연결된 정전기방지회로의 양단에는 Vgl의 전압차가 생겨 정전기방지회로의 절연상태가 불안정해진다. 만약 이 때, Vgl에 불규칙한 신호변동(예를들어 노이즈)이나, 약한 정전기가 발생하여 순간적으로 Vgl보다 높은 전위차가 정전기방지회로의 양단에 발생했을 경우, 정전기방지회로의 절연상태가 파괴되어 다른 인접한 주사선의 박막트랜지스터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러나, 게이트단락배선에 상기 주사전압 Vgl과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여 주면, 주사선에 주사전압의 하이(high)레벨의 전압 Vgh가 인가되는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의 정전기방지회로의 양단은 전압차가 없게 되어 정전기방지회로의 절연상태가 안정적으로 보존된다. 그러므로, 게이트단락배선에 게이트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다.
데이터단락배선에 공통전압과 동일한 Vcom을 인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액정표시장치는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하는 액정분자의 광투과율의 변화에 의해 동작한다. 그런데, 상기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공통전압은 항상 일정한 주기와 전위차를 가지고 있으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화소전압은 표시하고자하는 영상신호에 따라 다른 값을 갖게 된다. 그래서, 화소전압과 공통전압의 차이에 의해 액정분자의 광투과율이 변화하는 것이다. 이 때, 데이터단락배선에 화소전압을 인가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화소전압은 외부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선에 인가하는 신호전압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므로, 항상 일정한 전위를 인가받아야 되는 데이터단락배선에 연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별도의 전압인가수단을 연결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전압과 비슷한 파형의 전압은 공통전압이다. 그러므로, 공통전압을 데이터단락배선에 인가하는 전압으로 사용하여 제2정전기방지회로의 절연특성을 안정화시킨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실시예1의 변형으로 도9과 같이 게이트단락배선(160)과 데이터단락배선(170)이 형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단락배선이 신호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주사선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데이터단락배선이 주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신호선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게이트단락배선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주사전압의 로(low)레벨의 전압 Vgl을 인가하고, 데이터단락배선에는 공통전압을 인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2의 게이트단락배선 및 데이터단락배선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8에 나타낸 실시예1과 비슷하다. 다만, 주사선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데이터단락배선을 형성하고, 신호선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게이트단락배선을 형성하는 것이 다르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실시예1은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이 분리되어 있다. 즉, 주사선과 신호선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정전기에 의해 주사선과 신호선 사이의 전위차가 크게 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3에서는 도10A 도10B와 같이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 사이에 정전기방지회로(200)를 설치한다. 그래서, 주사선 또는, 신호선에 정전기가 발생하더라도 주사선과 신호선 사이의 전위차는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액정패널의 제조공정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에 대하여 액정패널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한 정전기방지회로의 단락배선을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으로 각각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에 각각 다른 전위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박막트랜지스터를 보호하기 위한 정전기방지회로를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게이트단락배선에는 주사전압의 로(low)레벨의 전압을 인가하여 게이트단락배선과 주사선 사이에 연결된 정전기방지회로를 안정화시키고, 데이터단락배선에는 공통전압을 인가하여 데이터단락배선과 신호선 사이에 연결된 정전기방지회로를 안정화시킨다.
또, 상기 게이트단락배선은 주사선과 연결되고, 데이터 단락배선은 신호선과 연결되어 있지만, 상기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박막트랜지스터 점검을 위하여 주사선에 인가된 전압이 신호선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래서, 종래보다 정확한 검사치가 산출되는 효과도 있다.
뿐만 아니라, 게이트단락배선에 주사선전압인가수단을 연결시키고, 데이터단락배선에 공통전압인가수단을 연결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전압인가수단이 필요없게 되어 제1기판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그리고, 주사선과 게이트단락배선 사이 및 신호선과 데이터단락배선 사이의 전압차를 없애는 효과에 의해 종래보다 정전기로부터 액정패널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은 제1기판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 중에 함께 형성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공정 수가 늘어나지 않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 사이에 별도의 정전기방지회로를 형성시킴으로써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트단락배선 사이의 정전기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8)

  1.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행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주사선과;
    상기 기판 위에 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신호선과;
    상기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의 교차부에 형성된 화소전극과;
    상기 화소전극에 연결된 출력전극과, 상기 신호선에 연결된 입력전극과, 상기 주사선에 연결된 제어전극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주사선에 연결된 제1정전기방지수단과;
    상기 신호선에 연결된 제2정전기방지수단과;
    상기 제1정전기방지수단과 연결된 게이트단락배선과;
    상기 제2정전기방지수단과 연결된 데이터단락배선과;
    상기 게이트단락배선에 연결된 제1전압인가수단과;
    상기 데이터단락배선에 연결된 제2전압인가수단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인가수단은 주사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동일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인가수단은 공통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동일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에 각각 별개의 전압인가수단이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단락배선은 상기 기판에서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영역의 바깥 영역에 위치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단락배선은 상기 기판에서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영역의 바깥 영역에 위치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7. 제1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단락배선과 데이터단락배선이 분리된 구조로 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단락배선과 상기 데이터단락배선 사이가 비선형소자로 연결된 구조로 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단락배선과 상기 데이터단락배선 사이가 비선형소자로 연결된 구조로 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전기방지수단과 제2정전기방지수단은 동일한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전기방지수단은 비선형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소자는 상기 게이트단락배선에 연결된 제1게이트와 제1소스로 구성된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제1드레인에 연결된 제2소스와 주사선에 연결된 제2게이트와 제2드레인으로 구성된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드레인과 제2소스 사이의 접점에 연결된 제3게이트와, 상기 게이트단락배선에 연결된 제3소스와, 주사선에 연결된 제3드레인으로 구성된 제3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13.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전기방지수단은 비선형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소자는 상기 게이트단락배선에 연결된 제1게이트와 제1소스로 구성된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제1드레인에 연결된 제2소스와 주사선에 연결된 제2게이트와 제2드레인으로 구성된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드레인과 제2소스 사이의 접점에 연결된 제3게이트와, 상기 게이트단락배선에 연결된 제3소스와, 주사선에 연결된 제3드레인으로 구성된 제3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15.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행방향으로 연속하여 있는 복수개의 주사선과,
    상기 기판 위에 열방향으로 연속하여 있는 복수개의 신호선과,
    상기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의 교차부에 형성된 화소전극과,
    상기 화소전극에 연결된 출력전극과, 상기 신호선에 연결된 입력전극과, 상기 주사선에 연결된 제어전극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 부분의 바깥 영역의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주사선과 정전기방지소자로 연결된 제1단락배선과;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외부에 형성된 부분의 바깥 영역의 기판에 상기 제1단락배선과 접촉되지 않게 형성되어 상기 신호선과 정전기방지소자로 연결된 제2단락배선으로 이루어진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쇼팅바에 제1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데이터쇼팅바에 제2전압을 인가하는 액정패널의 구동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과 상기 제2전압의 전압값이 다른 액정패널의 구동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이 게이트전압과 동일한 액정패널의 구동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이 공통전압과 동일한 액정패널의 구동방법.
KR1019970000459A 1997-01-10 1997-01-10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KR100252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459A KR100252308B1 (ko) 1997-01-10 1997-01-10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US08/908,955 US5909035A (en) 1997-01-10 1997-08-08 Thin film transistor array having a static electricity preventing circuit
GB9726756A GB2321126B (en) 1997-01-10 1997-12-18 Thin film transistor array having a static electricity preventing circuit
JP00172498A JP4236133B2 (ja) 1997-01-10 1998-01-07 静電気防止回路を有する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FR9800080A FR2758402B1 (fr) 1997-01-10 1998-01-07 Matrice de transistors en couche mince presentant un circuit contre l'electricite statique
DE19800655A DE19800655B4 (de) 1997-01-10 1998-01-09 Dünnschichttransistoranordnung und Betriebsverfahren für eine Dünnschichttransistoranordn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459A KR100252308B1 (ko) 1997-01-10 1997-01-10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450A true KR19980065450A (ko) 1998-10-15
KR100252308B1 KR100252308B1 (ko) 2000-04-15

Family

ID=1949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459A KR100252308B1 (ko) 1997-01-10 1997-01-10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09035A (ko)
JP (1) JP4236133B2 (ko)
KR (1) KR100252308B1 (ko)
DE (1) DE19800655B4 (ko)
FR (1) FR2758402B1 (ko)
GB (1) GB232112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150B1 (ko) * 2002-04-17 2004-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15912B1 (ko) * 2002-06-27 2008-03-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5654A1 (en) * 1995-07-31 1997-02-13 Litton Systems Canada Limited Semiconductor switch array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JPH10268794A (ja) * 1997-03-26 1998-10-09 Sharp Corp 表示パネル
US6262830B1 (en) 1997-09-16 2001-07-17 Michael Scalora Transparent metallo-dielectric photonic band gap structure
US5907427A (en) 1997-10-24 1999-05-25 Time Domain Corporation Photonic band gap device and method using a periodicity defect region to increase photonic signal delay
US6304366B1 (en) 1998-04-02 2001-10-16 Michael Scalora Photonic signal frequency conversion using a photonic band gap structure
US6744552B2 (en) * 1998-04-02 2004-06-01 Michael Scalora Photonic signal frequency up and down-conversion using a photonic band gap structure
US6246074B1 (en) 1998-09-30 2001-06-12 Lg.Philips Lcd Co., Lt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with testing circuit
KR100336896B1 (ko) 1998-12-30 2003-06-12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액정표시소자
KR100304261B1 (ko) * 1999-04-16 2001-09-26 윤종용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그를 포함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그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 및 이들의 조립 방법
US6396617B1 (en) 1999-05-17 2002-05-28 Michael Scalora Photonic band gap device and method using a periodicity defect region doped with a gain medium to increase photonic signal delay
TW457690B (en) 1999-08-31 2001-10-01 Fujitsu Ltd Liquid crystal display
AU7734900A (en) 1999-09-30 2001-04-30 Mark J. Bloemer Efficient non-linear phase shifting using a photonic band gap structure
US6414780B1 (en) 1999-12-23 2002-07-02 D'aguanno Giuseppe Photonic signal reflectivity and transmissivity control using a photonic band gap structure
US6339493B1 (en) 1999-12-23 2002-01-15 Michael Scalor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s propagation based on a transparent metal stack
KR100596031B1 (ko) * 2000-07-24 2006-07-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KR100658526B1 (ko) * 2000-08-08 2006-12-1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정전 손상 보호장치
KR100604270B1 (ko) * 2000-09-19 2006-07-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소자
KR100695303B1 (ko) * 2000-10-31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신호부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3015175A (ja) 2001-04-27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固体光源装置
US20040065249A1 (en) * 2001-06-21 2004-04-08 Williams George L. Vehicle direction signal device
KR100386849B1 (ko) * 2001-07-10 2003-06-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장치의 정전방전 방지회로
KR100513656B1 (ko) * 2001-12-04 2005-09-09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
KR100800330B1 (ko) * 2001-12-20 2008-02-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라인 온 글래스형 신호라인 검사를 위한 액정표시패널
KR100455437B1 (ko) * 2001-12-29 2004-1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효율이 향상된 액정표시소자
KR100847817B1 (ko) * 2002-04-08 2008-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870013B1 (ko) * 2002-08-27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1631B1 (ko) * 2002-12-31 2008-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류전하를 제거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5049637A (ja) * 2003-07-29 2005-02-24 Seiko Epson Corp 駆動回路及びその保護方法、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4574158B2 (ja) * 2003-10-28 2010-11-0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表示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KR100965583B1 (ko) * 2003-12-30 201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정전기 방지 회로 및 그 제조 방법
KR101060346B1 (ko) * 2004-04-06 2011-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8355015B2 (en) 2004-05-21 2013-01-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gnal line
US7019796B2 (en) * 2004-06-29 2006-03-28 Wintek Corporation Thin film transist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ve circuit
JP4207858B2 (ja) * 2004-07-05 2009-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65284A (ja) * 2004-07-26 2006-03-09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051012B1 (ko) * 2004-08-06 201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패널용 모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80705B1 (ko) * 2004-12-28 2011-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칩 온 글라스 구조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US7429970B2 (en) * 2005-01-11 2008-09-30 Tpo Displays Corp. Method for testing drive circuit, tes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7429984B2 (en) * 2005-02-04 2008-09-30 Philip Morris Usa Inc. Display management system
KR101129438B1 (ko) * 2005-06-10 2012-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이를 구비한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방법
TWI281569B (en) * 2005-06-13 2007-05-21 Au Optronics Corp Display panels
JP4039446B2 (ja) * 2005-08-02 2008-01-30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TWI308248B (en) * 2005-11-09 2009-04-01 Au Optronics Corp Display device and configuration of common electrode thereof
KR20070054806A (ko) * 2005-11-24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2008264B1 (en) * 2006-04-19 2016-11-16 Ignis Innovation Inc. Stable driving scheme for active matrix displays
KR101238005B1 (ko) * 2006-05-17 2013-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977978B1 (ko) * 2006-05-25 2010-08-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305486B2 (ja) * 2006-09-28 2009-07-29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KR100922803B1 (ko) * 2006-11-29 2009-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788589B1 (ko) * 2007-01-19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TWI363896B (en) 2008-03-28 2012-05-1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916914B1 (ko) * 2008-04-25 2009-09-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WO2010029865A1 (en) * 2008-09-12 2010-03-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20110056542A (ko) 2008-09-12 2011-05-3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CN102160103B (zh) 2008-09-19 2013-09-11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
CN102160102B (zh) * 2008-09-19 2013-11-0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
EP2172804B1 (en) * 2008-10-03 2016-05-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WO2010038819A1 (en) 2008-10-03 2010-04-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CN101719493B (zh) 2008-10-08 2014-05-14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
US20120200482A1 (en) * 2009-10-08 2012-08-09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N102945846B (zh) * 2012-09-28 2016-03-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102000056B1 (ko) * 2013-07-22 2019-09-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 회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728515B (zh) * 2013-12-31 2017-01-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针对密集布线的阵列基板的线路检测设备和检测方法
WO2015166937A1 (ja) 2014-04-30 2015-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当該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を備える表示装置
CN105489596B (zh) * 2016-01-04 2019-05-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制作方法
CN106094374A (zh) 2016-06-17 2016-1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路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7844010A (zh) * 2017-11-21 2018-03-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以及显示装置
CN109445211A (zh) * 2018-11-06 2019-03-08 惠科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4139B2 (ja) * 1989-10-20 1998-06-11 ホシデン・フィリップス・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液晶表示素子
US5497146A (en) * 1992-06-03 1996-03-05 Frontec, Incorporated Matrix wiring substrates
KR100228520B1 (ko) * 1992-08-13 1999-11-01 가시오 가즈오 박막트렌지스터 어레이 및 박막트렌지스터 어레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713211B2 (ja) * 1994-03-30 1998-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US5852480A (en) * 1994-03-30 1998-12-22 Nec Corporation LC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hunt buses
GB9416899D0 (en) * 1994-08-20 1994-10-12 Philips Electronics Uk Ltd Manufacture of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thin-film circuitry
JP2715936B2 (ja) * 1994-09-30 1998-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型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3315829B2 (ja) * 1994-11-17 2002-08-1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5668032A (en) * 1995-07-31 1997-09-16 Holmberg; Scott H. Active matrix ESD protection and testing sche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150B1 (ko) * 2002-04-17 2004-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15912B1 (ko) * 2002-06-27 2008-03-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03431A (ja) 1998-11-13
KR100252308B1 (ko) 2000-04-15
FR2758402A1 (fr) 1998-07-17
JP4236133B2 (ja) 2009-03-11
US5909035A (en) 1999-06-01
GB2321126B (en) 1998-12-09
DE19800655B4 (de) 2004-07-29
FR2758402B1 (fr) 2001-11-09
GB2321126A (en) 1998-07-15
GB9726756D0 (en) 1998-02-18
DE19800655A1 (de) 199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308B1 (ko)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KR100353955B1 (ko) 신호라인 검사를 위한 액정표시장치
KR100474194B1 (ko) 액정장치및이를이용한전자기기
US698269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773331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structure for reducing corrosion of display signal lines
US683909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electrostatic protection circuits
US5946068A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dummy data driving to produce edge column compensation
US5841415A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an LCD to compensate for RC delay
KR20040062103A (ko) 잔류전하를 제거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355403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1051263A (ja) 液晶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576629B1 (ko) 액정표시장치의 tft어레이 기판 및 그 검사방법
US5596342A (en) Display device having separate short circuit wires for data and gate lines for protection against static discharges
US20020105508A1 (en) Display device
JPH10213816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US7480431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JP2004004754A (ja) 液晶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H11295712A (ja) 液晶表示装置
JP3332863B2 (ja) 光学的変調素子
JP3444540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2003302648A (ja) 液晶表示装置
EP0674304B1 (en) Liquid crystal device
KR100891999B1 (ko) 액정표시장치용 정전기 방지 장치
JP2796247B2 (ja) 電気光学素子
KR100356830B1 (ko) 리페어가용이한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