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104A -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104A
KR19980048104A KR1019960066645A KR19960066645A KR19980048104A KR 19980048104 A KR19980048104 A KR 19980048104A KR 1019960066645 A KR1019960066645 A KR 1019960066645A KR 19960066645 A KR19960066645 A KR 19960066645A KR 19980048104 A KR19980048104 A KR 19980048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platform
control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2716B1 (ko
Inventor
김연훈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6006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716B1/ko
Priority to SG1997004437A priority patent/SG72774A1/en
Priority to MYPI97006076A priority patent/MY115476A/en
Priority to IDP973895A priority patent/ID19140A/id
Priority to US08/992,219 priority patent/US5936211A/en
Priority to CN97120900A priority patent/CN1079777C/zh
Priority to JP9348067A priority patent/JP2882783B2/ja
Publication of KR19980048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기술에 관한 것으로, 종래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에 있어서는 통신 중계장치와 승강장 단말장치로의 전원 공급문제, 홀네트워크에 대한 통신 부하율에 대한 문제, 통신 중계장치에 대비한 시스템의 신뢰성 문제, 승강장 단말장치의 설치 위치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신호 부여방법의 문제점등이 해결과제로 남아 있어 제품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에 있어서, 신호전송선(GNW)을 통해서는 상기 호기 제어장치(21A-21N) 및 군관리 제어장치(22)와 운행정보를 송수신하고, 홀버튼이 취부된 열수별로 개별적인 신호 전송선(HNW1-HNWK)을 각기 접속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여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와 홀네트워크가 각기 쌍을 이루어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중계장치(23)와; 통신 중계장치(23)와 각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에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26)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에 대한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제4도는 제2도에서 통신 중계장치의 일실시 예시 상세 블록도.
제5도는 제2도에서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의 동작 신호 흐름도.
제6도는 제2도에서 승강장 신호전송 제어부의 동작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A-21N:호기 제어장치22:군관리 제어장치
23:통신 중계장치
24A-24N, 25A-25N:승강장 단말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관리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장에서 발생한 호출부름에 대해 응답할 수 있는 최적의 호기에서 부름을 할당하여 그룹운전을 제어하는 그룹 제어장치, 각 호기의 운행을 제어하는 호기 제어장치,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기기들이 입출력신호들을 제어하는 여러개의 승강장 단말장치들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각각 직렬로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 장치들간의 통신효율을 향상시키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적당하도록한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에 대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호기의 카에 대한 운행을 제어하는 호기 제어장치(11A-11N)와; 엘리베이터의 병렬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군관리 제어장치(12)와 그룹네트워크(GNW)와 홀네트워크(HNW)를 통해 상기 호기 제어장치(11A-11N) 및 군관리 제어장치(12), 각 승강장 열에 설치된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간의 데이타를 중계하는 통신 중계장치(13)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층 각 승강장열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들은 해당 층에 설치되어 있는 기기들의 입력신호를 홀네트워크(HNW)을 통해 직렬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통신 중계장치(13)에 전송하고, 그 통신 중계장치(13)는 수신된 정보가 어느 층의 정보(예:1열의 3층 입력신호)이며, 어떤 종류의 신호(예:일반 호출부름, 장애자용 호출부름, VIP 호출부름, 스위치 입력신호)인가를 구분하여 이를 그룹네트워크(GNW)를 통해 군관리 제어장치(12)측으로 직렬전송한다.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12)는 그 전송되어 온 정보를 수신한 후 호출부름에 대해서는 적당한 호기를 선정하여 호기 제어장치(11A-11N)로 부름을 할당하고, 운전 패턴을 요구하는 신호에 대해서는 그에 해당하는 제어지령을 결정하여 상기 그룹네트워크(GNW)를 통해 각 호기 제어장치(11A-11N)측으로 직렬전송한다.
또한, 상기 호기 제어장치(11A-11N), 군관리 제어장치(12)에서 승강장측으로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그룹네트워크(GNW)를 통해 통신 중계장치(13)측으로 직렬 전송되고, 그 통신 중계장치(13)는 수신된 정보를 홀네트워크(HNW)를 통해 해당하는 각 층의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로 직렬전송하며, 각 층의 승강장 단말장치들은 수신된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의 정보이면 각 정보를 해당 기기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통신정보의 예로써, 호출부름에 대한 응답신호(부름등록신호), 엘리베이터의 운행 방향신호, 엘리베이터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신호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호기 제어장치(11A-11N), 군관리 제어장치(12), 각 층의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들이 하나의 직렬전송로(GNW), (HNW)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경우, 그룹운전(또는 병렬운전) 해야 할 호기의 대수가 늘어나거나 건물의 층수가 높아질수록 통신 부하율이 증가, 통신 폭주현상 또는 통신데이타 충돌현상 등이 야기되어 궁극적으로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는데, 현재까지 제안된 기술에 의해 이와 같은 문제점을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다고는 하나, 여전히 다음과 같이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남게 된다.
첫째, 통신 중계장치(13)와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로의 전원 공급문제이다. 통신 중계장치(13)와 각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에 필요한 전원을 군관리 제어장치(12)나 각 호기 제어장치(11A-11N)중 어느 한 곳에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을 경우, 건물측 전원은 정상적으로 공급되나 해당 제어장치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면 통신 중계장치(13)도 함께 기능이 마비되므로 설령, 다른 제어장치들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을지라도 통신 중계장치(13)를 통해 각 승강장의 입력신호를 전송받을 수 없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군관리 제어장치(12)와 각 호기제어장치(14A-14N), (15A-15N)에 릴레이나 콘택터등을 구비하고 이 접점들을 조합하여 상기 제어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에서 전원이상이 발생되지 않는다면 그 제어장치의 전원으로 통신 중계장치(13)와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지만, 이와 같은 경우 조합이 상당히 복잡해지고 각 제어장치마다 항시 필요한 용량만큼의 전원장치를 내장하고 있어야 하므로 불필요한 비용손실이 수반된다.
둘째, 홀네트워크(HNW)에 대한 통신 부하율에 대한 문제이다. 병렬운전을 하는 호기수가 증가되고 건물의 층수가 높아지게 되면 자연히 홀 버튼의 취부 열 수도 많아질 수 밖에 없게 되며, 이로 인하여 통신폭주와 통신데이타의 충돌문제가 발생된다.
셋째, 통신 중계장치(13)에 대비한 시스템의 신뢰성 대책이다. 통신 중계장치(13)가 한개 또는 두개의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어 그룹네트워크(GNW)와 홀네트워크(HNW) 사이에서 통신 중계역활을 수행하는 경우 어느 한쪽에 있는 중앙처리장치의 오동작이나 영구적인 고장이 발생될 때 홀측과의 통신경로가 단절되어 홀부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네째,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의 설치 위치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번호(ID) 부여방법의 문제점이다. 건물의 층수만큼 또는 동일한 층내에서도 홀 버튼열이 취부된 열 수만큼의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각 층에 설치된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들을 한개의 직렬전송선로(HNW)에 접속하여 두면 통신 중계장치(13)로 전송된 정보가 어느 승강장 단말장치로 부터의 정보인가를 판별하기 위해 각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마다 식별번호(ID)를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며, 이를 위해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내에 식별번호(ID) 설정을 위한 스위치들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때, 설치자는 각 승강장 단말장치(14A-14N), (15A-15N)가 어느 층의 어느 홀 버튼열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일일이 설정해 주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따른다.
이와 같이 종래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에 있어서는 통신 중계장치와 승강장 단말장치로의 전원 공급문제, 홀네트워크에 대한 통신 부하율에 대한 문제, 통신 중계장치에 대비한 시스템의 신뢰성 문제, 승강장 단말장치의 설치 위치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번호 부여방법의 문제점등이 해결과제로 남아 있어 제품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중계장치와 각 승강장 단말장치를 위한 전용 전원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고, 통신 중계장치에서 홀 버튼의 설치 열별로 독립적인 직렬 전송선을 제어함과 아울러 여러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효율적으로 신호를 전송하며, 고장 발생시 시스템의 비 가동율을 최소화 하고, 승강장 단말장치의 개별적인 인식을 위한 식별번호 설정방법의 간소화를 실현한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2도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룹네트워크(GNW)를 통해 군관리 제어장치(22) 및 통신 중계장치(23)와 연결되어 그들과의 운행정보를 송수신하여 각 호기의 카에 대한 운행을 제어하는 호기 제어장치(21A-21N)와; 홀부름이 발생될때 최적의 운행조건에 있는 호기를 할당하여 해당 층으로 주행하도록 상기 호기 제어장치(21A-21N)에 운행정보를 송신하는 군관리 제어장치(22)와; 그룹네트워크(GNW)를 통해서는 상기 호기 제어장치(21A-21N) 및 군관리 제어장치(22)와 운행정보를 송수신하고, 홀버튼이 취부된 열수별로 개별적인 홀네트워크(HNW1-HNWK)를 각기 접속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여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와 홀네트워크가 각기 쌍을 이루어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중계장치(23)와; 상기 홀네트워크(HNW1-HNWK)를 통해 상기 통신 중계장치(23)와 승강장 부름신호 및 동작상태 표시신호등의 각종 운행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와; 통신 중계장치(23)와 각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장치(26)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전원장치(26)는 건물측에서 각 호기 제어장치(21A), (21N)로 공급하는 건물측의 전원을 입력받아 전원선(PW)을 통해 통신 중계장치(23)와 각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AC 또는 DC)을 공급한다.
이렇게 전원을 공급하는 이유는 각 호기 제어장치(21A-21N)로 부터 출력된 전원을 통신 중계장치(23)와 각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에 공급할 경우 호기 제어장치(21A-21N)의 전원장치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또는 보수/점검등의 목적으로 호기 제어장치(21A-21N)에 있는 주 전원 차단기를 오프하는 것에 의해 통신 중계장치(23)나 각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다른 호기 제어장치나 군관리 제어장치(22)가 홀측에서 발생되는 입력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통신 중계장치(23)내의 전원변환 회로부(23B)는 상기 전원장치(2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통신 중계장치(23)내 각부에서 필요로 하는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는 제1직렬 전송선에 해당하는 그룹네트 워크(GNW)를 통해 각 호기 제어장치(21A-21N)들과 군관리 제어장치(22)로 부터 승강장측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승강장 열별로 전송정보를 구분한 후 이들을 해당 다수의 승강장신호 전송제어부(23D1~23DK)에 출력하고, 그 승강장신호 전송제어부(23D1~23DK)를 통해 각 승강장 열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각 호기 제어장치(21A-21N)와 군관리 제어장치(22)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는 상기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로 부터 수신한 정보를 해당 열의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별로 각각 구분하여 송신하고, 각 층에서 발생되는 승강장 입력신호 즉,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신호들을 그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를 통해 전달받아 마스터 승강장 신호전송 제어부(23A)측으로 전송함으로써 각 제어 부분별로 효율적인 분산제어가 가능하고, 통신의 효율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적용예를 보인 것으로, 제2도와 비교해 볼때 군관리 제어장치(22)를 사용하지 않고 각 호기 제어장치(21A-21N)중에서 우선 순위에 있는 하나의 호기 제어장치를 마스터 호기 제어장치로 선정하여 군관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즉, 각 호기 제어장치(21A-21N) 중에서 미리 정해진 규약에 따라 어느 하나의호기 제어장치를 마스터 호기 제어장치로 선정하고, 그 마스터 호기 제어장치는 상기 통신 중계장치(23)를 통해 각 승강장에서 발생된 호출부름신호를 수신하여 소속된 호기들 중에서 그 부름에 응답하기에 가장 적합한 상태에 있는 호기를 선정하여 그 호기에 부름을 할당하여 해당 층으로 주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그룹 마스터 호기를 선정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 조건과 경우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일예로써, 현재 그룹에 소속된 병렬운전이 가능한 호기들 중에서 호기의 번호가 가장 낮은 호기를 그루 마스터 호기로 선정하는 방법과, 병렬운전 중 기 선정된 그룹 마스터 호기가 오동작하거나 고장 또는 그 이외의 이유로 인하여 정상적인 병렬운전을 수행할 수 없을때 나머지 호기를 대상으로 상기와 같이 그룹 마스터 호기로 선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계장치(23)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즉, 제2도에서와 같이 군관리 제어장치(22)를 중심으로 각 승강장 열(1열-K열)에서 발생한 신호에 대해 여러대의 호기 제어장치(21A-21N)를 병렬운전하는 경우와, 제3도와 같이 군관리 제어장치(22)을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호기 제어장치(21A-21N)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호기 제어장치를 그룹 마스터 호기로 선정하여 각 승강장 열(1열-K열)에서 발생한 신호에 대해 호기 제어장치(21A-21N)를 병렬운전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구성과 접속방법이 단순하고 호환성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중계장치(23)내에서 직렬전송로(GNW, HNW1-HNWK)를 통한 정보 송수신과정과,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의 식별번호(ID) 설정과정 및 정보 편집과정을 제4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변환 회로부(23B)는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통신 중계장치(23)내에 있는 회로들의 동작에 피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각 직렬전송로 즉, 그룹네트워크(GNW), 홀네트워크(HNW1-HNWK)의 정보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해 여러개의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와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와 각 승강장 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들은 버스(BUS1)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그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제어부(23A)는 그룹네트워크(GNW)로 부터 수신한 정보를 각 승강장열에 해당하는 전송정보로 구분하여 각 승강장 신호전송 제어부(23D1-23DK)에 출력하게 되며,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로 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각 승강장 열별로 편집한 후 그룹네트워크(GNW)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들은 상기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로 부터 수신한 승강장으로의 출력정보를 해당 열의 정보로 재 편집하여 각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K)측으로 송출하고,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를 통해 승강장에서 발생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승강장열 수신정보로 편집한 후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에 전송한다.
상기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와 각 열의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K)가 상기와 같이 동작할 때 각 직렬전송로(GNW, HNW1-HNWK)에 실리게 되는 전송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시 회로부(23C)는 상기 전원 변환회로부(23B)와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 각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로 부터의 입력신호를 근거로 각 부위의 이상상태를 감시하여 전원에 이상이 발견될때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와 각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의 기동을 제어하여 비 정상적인 정보가 직렬전송로(GNW, HNW1-HNWK)에 실리지 않게 되며,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와 각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의 동작이 정상적이 못할 경우에는 재기동신호(RESET)를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와 각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측으로 정해진 규정에 따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통신 중계장치(23)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의 동작신호 흐름과정을 제5도에 나타내었으며, 승강장신호 전송제어부(23D1-23DK)의 동작신호 흐름과정을 제6도에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통신 중계장치(23)의 동작에 있어서, 승강장으로 부터 전송되어온 정보가 몇층의 어느 버튼열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로 부터 발생된 정보인가를 구분하기 위하여, 그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들을 홀 버튼 취부열로 구분하여 해당하는 승강장신호 전송제어부(23D1-23DK)의 전송선에 접속하였으므로 종래와 같이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내에서 열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없고, 단지, 그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가 몇층에 설치되어 있는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만 설정하면 되므로 그만큼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의 식별번호(ID) 설정작업이 간단해 진다.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가 각 승강장 신호전송 제어부(23D1-23DK)로 부터 수신한 정보를 층별, 홀 버튼 취부열별로 구분하는 방법도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들면, 제4도에서 승강장 마스터 신호 전송 제어부(23A)는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와의 정보 송수신을 위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어드레스 맵(Address Map)을 구분하여 두고 각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가 어느 홀 버튼열을 제어하는지를 롬(403A), (403B) 또는 램(404A), (404B)에 미리 기억시켜 두면 각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로 부터 수신한 정보를 해당 승강장 신호전송 제어부(23D1-23DK)의 홀 버튼열을 이용하여 층별, 홀버튼 취부열별로 정보를 재 편집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롬(403A), (403B) 또는 램(404A), (404B)에 기억시켜 둔 각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가 제어해야 할 홀 버튼 취부열 정보를 해당 승강장 신호 전송제어부(23D1-23DK)로 미리 전송하여 기억시킨 후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들이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에 정보를 전송할때 승강장 발생신호와 기억해둔 홀 버튼열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가 각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들로 부터 수신한 정보를 재 편집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그룹네트워크(GNW)에 송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통신 중계장치(23)내 각부의 작용을 제4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에 있어서, 그룹네트워크(GNW)와의 송수신 및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와의 정보전송 제어가 가능하도록 중앙처리장치(401A)를 중심으로 정보 전송 및 송수신 정보를 가공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롬(403A),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작업공간인 램(404A), 주변기기와의 입출력 처리를 위한 병렬인터페이스부(405A), 주변기기를 제어하고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디코더 및 버스 절환회로부(406)들을 신호선 즉, 버스(BUS2)를 통해 서로 접속하여 두고, 그룹네트워크(GNW)와 정보전송을 할 수 있도록 송수신회로부(402A)를 상기 중앙처리장치(401A)와 연결하였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01A)는 병렬 인터페이스부(405A)를 통해 자신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출력신호(OUT3)를 발생함과 아울러, 승강장 신호전송 제어부(23D1-23DK)들의 오동작이나 고장 발생시 재기동을 위한 출력신호(OUT1)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401A)는 승강장 신호전송 제어부(23D1-23DK)에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와 수신하고자 하는 정보들을 디피램(DPRAM)(409A), (409B)을 통해 처리하고, 그 디피램(409A), (409B)으로 부터 수신한 정보중에서 상대방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들의 오동작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401A)의 오동작이나 고장등으로 인하여 군관리 제어장치(22), 각 호기 제어장치(21A-21N)들과 각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들간의 통신 단절상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그 중앙처리장치(401A)의 기능을 대행할 수 있는 회로를 구비한다.
즉, 중앙처리장치(401B)를 중심으로 정보 전송 및 송수신 정보를 가공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롬(403B),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작업공간인 램(404B), 주변 기기와의 입출력 처리를 위한 병렬인터페이스부(405B), 주변기기를 제어하고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디코더 및 버스 절환회로부(406)들을 신호선 즉, 버스(BUS3)를 통해 서로 접속하여 두고, 중앙처리장치(401A)와는 별도로 그룹네트워크(GNW)와 정보전송을 할 수 있도록 송수신회로부(402B)를 상기 중앙처리장치(401B)와 연결하였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401B)도 상기 중앙처리장치(401A)와 같이, 병렬 인터페이스부(405B)를 통해 자신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출력신호(OUT3)를 발생함과 아울러,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들의 오동작이나 고장 발생시 재기동을 위한 출력신호(OUT2)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401B)는 병렬인터페이스부(405B)를 통해 상기 중앙처리장치(401A)의 출력신호(OUT3)를 공급받아 그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고장이 발생할때 출력신호(OUT2)를 발생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401A)에 재기동신호(RESET)가 공급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중앙처리장치(401A)가 재기동 불능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그룹네트워크(GNW)와의 송수신 및 각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와의 정보 전송을 수행하게 되므로 통신 중계장치(23B)의 신뢰성이 종래에 비해 한층 향상된다.
각 승강장 신호전송 제어부(23D1-23DK)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407A), (407B)를 중심으로 정보 전송 및 가공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롬(408A), (408B)과,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와 정보전송을 수행하는 디피램(409A), (409B)을 버스(BUS4), (BUS5)를 통해 연결하고, 홀 버튼이 취부된 열마다 각 승강장 직렬 전송선 즉, 홀네트워크(HNW1~HNWK)들과 개별적인 정보전송을 위해 송수신회로부(410A), (401B)를 상기 중앙처리장치(407A), (407B)에 연결하여 승강장측과의 송수신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감시 회로부(23C)는 상기 병렬 인터페이스부(405A), (405B)의 출력신호(OUT1), (OUT2)와 전원단자전압(Vcc)을 입력받아 상기 각각의 중앙처리장치(401A,401B), (407A, 407B)에 재기동신호(RESET)를 출력하고, 디코더 및 버스절환 회로부(406)에 버스절환용 제어신호(CNTL1)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디코더 및 버스절환회로부(406)에 제어신호(CNTL1)를 출력하는 이유는 중앙처리장치(401A)가 정상일때 버스(BUS1)로 출력되는 신호가 중앙처리장치(401A)에 의해 제어되고, 그 중앙처리장치(401A)가 비정상일때 중앙처리장치(401B)에 의해 버스(BUS1)로 출력되는 신호가 제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장치(401A, 401B), (407A, 407B)로 공급되는 재기동신호(RESET)는 하나의 신호선을 이용하여 공급하거나 조건에 따라 개별적인 신호선을 통해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의 동작신호 흐름도를 제5도에 나타내었으며,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의 동작신호 흐름도를 제6도에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중계장치와 각 승강장 단말장치를 위한 전원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비용적인 측면에서 경제성을 갖고, 통신 중계장치에는 홀 버튼 설치열별로 독립적인 직렬 전송선을 제어함과 동시에 여러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신호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장 발생시 시스템의 비 가동율이 최소화 되고, 승강장 단말장치의 개별적인 인식을 위한 식별번호 설정방법을 간소화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건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운행 요구조건에 대해 하드웨어 증설시의 호환성이 우수하고 설치작업이 단순화 되며,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5)

  1. 호기 제어장치(21A-21N), 군관리 제어장치(22)와 각 층에 설치되어 주변기기의 입력을 제어하는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들이 공통의 신호전송선(GNW),(HNW)에 접속되어 직렬통신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에 있어서, 신호전송선(GNW)을 통해서는 상기 호기 제어장치(21A-21N) 및 군관리 제어장치(22)와 운행정보를 송수신하고, 홀버튼이 취부된 열수별로 개별적인 신호 전송선(HNW1-HNWK)을 각기 접속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승강장신호 전송제어부를 구비하여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와 홀네트워크가 각기 쌍을 이루어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중계장치(23)와; 통신 중계장치(23)와 각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에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26)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통신 중계장치(23)는 신호전송선(GNW)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회로를 개별적으로 구비함과 아울러, 복수개의 제어수단과 신호전송선로를 구비하여 어느 일측에 이상이 발생될 때 타측의 제어수단과 신호전송선로를 이용하여 송수신을 수행하는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장치(23A)와; 상기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장치(23A)와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 (23D1-23DK)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변환 회로부(23B)와; 시스템내의 전원상태와 상기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장치(23A)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이상 발생시 재기동신호를 공급하는 감시 회로부(23C)와; 홀버튼이 설치된 열별로 승강장 단말장치(24A-24N), (25A-25N)들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장치(23A)는 신호전송선(GNW) 및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와의 신호전송이 가능하도록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401A), 신호전송선(GNW)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회로부(402A), 정보 전송 및 송수신 정보를 가공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롬(403A),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작업공간인 램(404A), 주변기기와의 입출력 처리를 위한 병렬인터페이스부(405A), 상기 각부를 연결하는 신호선(BUS2)으로 구성된 제1신호 전송수단과; 상기 제1신호 전송수단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신호 전송수단과; 감시 회로부(23C)의 제어하에 상기 제1신호 전송수단과 연결되거나 제2신호 전송수단과 연결되어 주변기기를 제어하고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디코더 및 버스 절환회로부(40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는 단말장치내에서의 신호전송을 총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407A)와; 정보 전송 및 가공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롬(408A)와;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승강장 마스터 신호전송 제어부(23A)와 정보전송을 수행하는 디피램(409A)와; 상기 각 부를 연결하는 신호전송선(BUS4)와; 홀 버튼이 취부된 열마다 각 승강장 신호전송선(HNW1)과 개별적인 정보전송을 위한 송수신회로부(410A)로 구성된 전송 제어부를 복수개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각 승강장 단말장치가 접속된 승강장신호 전송 제어부(23D1-23DK)를 이용하여 각 승강장 단말장치들의 설치열 위치를 식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KR1019960066645A 1986-12-17 1996-12-17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KR100202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645A KR100202716B1 (ko) 1996-12-17 1996-12-17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SG1997004437A SG72774A1 (en) 1996-12-17 1997-12-13 Communication apparatus for elevator control system
MYPI97006076A MY115476A (en) 1996-12-17 1997-12-16 Elevator control system.
IDP973895A ID19140A (id) 1996-12-17 1997-12-16 Alat komunikasi untuk sistim pengendali lift
US08/992,219 US5936211A (en) 1986-12-17 1997-12-17 Elevator control system
CN97120900A CN1079777C (zh) 1996-12-17 1997-12-17 电梯控制系统
JP9348067A JP2882783B2 (ja) 1996-12-17 1997-12-17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のための通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645A KR100202716B1 (ko) 1996-12-17 1996-12-17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104A true KR19980048104A (ko) 1998-09-15
KR100202716B1 KR100202716B1 (ko) 1999-06-15

Family

ID=1948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645A KR100202716B1 (ko) 1986-12-17 1996-12-17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36211A (ko)
JP (1) JP2882783B2 (ko)
KR (1) KR100202716B1 (ko)
CN (1) CN1079777C (ko)
ID (1) ID19140A (ko)
MY (1) MY115476A (ko)
SG (1) SG72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4647B2 (ja) 1999-11-26 2007-0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6961363B1 (en) * 1999-12-02 2005-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requency look-ahead and link state history based scheduling in indoor wireless pico-cellular networks
JP2001206652A (ja) * 2000-01-28 2001-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情報通信システム
JP4476413B2 (ja) * 2000-02-21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用通信装置
WO2001072623A1 (fr) * 2000-03-28 2001-10-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ysteme de commande de groupe pour ascenseurs
AU2001242208B2 (en) * 2000-03-29 2006-02-16 Inventio Ag Targeted call control for lifts
WO2001074701A1 (fr) 2000-03-30 2001-10-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communication pour elevateur
JP4601888B2 (ja) * 2000-03-30 2010-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6848010B1 (en) 2000-03-31 2005-01-25 Intel Corporation Data collision detection in networks
WO2001079102A1 (fr) * 2000-04-12 2001-10-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ôleur de communication pour un système d'ascenseur
JP4803865B2 (ja) * 2000-05-29 2011-10-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群管理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2003108A (ja) * 2000-06-20 2002-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FR2813297B1 (fr) * 2000-08-24 2002-12-27 Otis Elevator Co Installation d'ascenseur avec acces prioritaire pour certains usagers a une des cabines d'ascenseur et procede d'isolation de cabine d'ascenseur correspondant
JP4727062B2 (ja) * 2001-05-01 2011-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通信制御装置
KR20030001046A (ko) * 2001-06-28 2003-01-06 (주)동광알파 승강기 모니터링 및 호출 시스템
JP4854882B2 (ja) * 2001-08-07 2012-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7110919B2 (en) * 2003-06-19 2006-09-19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Inc. Field panel trending on event in a building control system
JP4509522B2 (ja) * 2003-10-02 2010-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EP1710190B1 (en) * 2003-11-19 2012-10-31 Mitsubishi Denki K.K. Elevator controller
WO2006126270A1 (ja) * 2005-05-26 2006-11-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726587B2 (ja) * 2005-09-21 2011-07-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US7814756B2 (en) * 2006-09-20 2010-10-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system
US8964779B2 (en) * 2007-11-30 2015-02-24 Infineon Technologies Ag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controlling
KR101010211B1 (ko) * 2010-06-08 2011-01-21 유재혁 가변 프로토콜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이의 제어 방법
JP6781110B2 (ja) * 2017-06-26 2020-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ゲート連動システム及び群管理制御方法
CN109896371B (zh) * 2017-12-11 2021-08-27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电梯中的通信系统
CN111212404A (zh) * 2020-01-10 2020-05-29 北京猎户星空科技有限公司 机器人通信方法、系统、装置及机器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730A (en) * 1976-09-07 1978-09-19 Reliance Electric Company Transportation system with individual programmable vehicle processors
JPS5556968A (en) * 1978-10-19 1980-04-26 Hitachi Ltd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rescue operation
DE2926292A1 (de) * 1979-06-29 1981-01-08 Harnischfeger Gmbh Insbesondere mobiler teleskopauslegerkran
US4567560A (en) * 1983-09-09 1986-01-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ultiprocessor supervisory control for an elevator system
US4497391A (en) * 1983-10-27 1985-02-05 Otis Elevator Company Modular operational elevator control system
ATE86939T1 (de) * 1986-04-03 1993-04-15 Otis Elevator Co Zweirichtungsringverbindungssystem fuer aufzugsgruppensteuerung.
GB2208731B (en) * 1987-08-12 1991-10-16 Hitachi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in elevator equipment
JP2563963B2 (ja) * 1988-03-31 1996-12-1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735231B2 (ja) * 1988-08-05 1995-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群管理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US5058115A (en) * 1989-03-10 1991-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Fault tolerant computer memory systems and components employing dual level error correction and detection with lock-up feature
EP0440967B1 (de) * 1990-02-05 1994-03-16 Inventio Ag Gruppensteuerung für Aufzüge mit vom Rufeingabeort auf einem Stockwerk abhängiger Sofortzuteilung von Zielrufen
JP2509359B2 (ja) * 1990-03-01 1996-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信号伝送装置
JPH0449181A (ja) * 1990-06-15 1992-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36211A (en) 1999-08-10
JPH10182023A (ja) 1998-07-07
JP2882783B2 (ja) 1999-04-12
KR100202716B1 (ko) 1999-06-15
CN1187455A (zh) 1998-07-15
CN1079777C (zh) 2002-02-27
SG72774A1 (en) 2000-05-23
ID19140A (id) 1998-06-18
MY115476A (en) 200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716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CN101040264B (zh) 用于电设备的冗余控制的方法和装置
JPH11116155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KR100441914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시스템
KR0167196B1 (ko) 그룹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GB2274001A (en) Elevator hall call cross cancellation system
JP258182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CA1118124A (en) Elevator system
CN113460824A (zh) 电梯安全回路故障检测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20230026908A1 (en) Elevator communication system
JP2007062853A (ja) エレベータ
JP2001158578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システム
JP2006225068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H09267979A (ja) エレベーター情報制御システム
JPH033118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385828B2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JP447659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667557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JPH1045344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KR100558795B1 (ko) 분산형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0134828Y1 (ko) 엘리베이터 정보전송장치
KR19980027770A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신호 전송 제어장치
JPH01128640A (ja) ネットワーク監視パス切替方式
CN113227917A (zh) 模块化plc自动配置系统
JP2002320346A (ja) 分散形監視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