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886A - 키이탑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키이탑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886A
KR19980042886A KR1019970063869A KR19970063869A KR19980042886A KR 19980042886 A KR19980042886 A KR 19980042886A KR 1019970063869 A KR1019970063869 A KR 1019970063869A KR 19970063869 A KR19970063869 A KR 19970063869A KR 19980042886 A KR19980042886 A KR 19980042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op
resin film
synthetic resin
molded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2027B1 (ko
Inventor
야기노부유끼
이나가끼지로
오까무라다쓰야
Original Assignee
무라까미 아끼라
데이꼬꾸쓰신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까미 아끼라, 데이꼬꾸쓰신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까미 아끼라
Publication of KR1998004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28Prin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28Printed information
    • H01H2219/03Printed information in transparent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2Actuators integral with membr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Force concentrator; Actuating dimp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2La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01H2229/046Multi-colour or double shot injection mou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01H2229/047Preformed layer in mou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는 성형수지 (25) 와 합성수지막 (23) 이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되는 키이탑 (21) 들과, 이들 키이탑 (21) 에 부착되는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 (11) 를 포함한다. 방수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는 키이탑 (21) 들이 배치되는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에서 어떠한 관통공도 갖지 않는다.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가 그의 주연부에서 고정이 되어도 상기 키이탑 (21) 을 쉽게 누를 수 있다. 키이탑 (21) 이 합성 수지막 (23) 과 성형수지 (25) 로 만들어지므로, 키이탑 (21) 을 누를 때 경질 촉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키이탑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키이탑 플레이트(keytop plate)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부 전자장치들은 먼지나 습기가 침투할 수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전자장치용 제어부로서 사용되는 푸시버튼 스위치는, 먼지나 습기가 스위치의 접촉자안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조, 즉 먼지침투방지성 및 방습성 또는 방수성 구조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위와 같은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도 12 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성의 푸시버튼용 스위칭 플레이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 푸시버튼용 스위칭 플레이트는, 스위치 기판 (71) 위에 배치되며 어떠한 관통공도 갖지 않는 키이탑 플레이트 (85) 와, 이 키이탑 플레이트 (85) 위에 배치되는 케이싱 (95) 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키이탑 플레이트 (85) 는 그의 전 주연부 (C) 를 따라 케이싱 (95) 의 하측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키이탑 플레이트 (85) 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하, “PET”라고 약칭) 으로 된 합성 수지막 (87) 과, 규정된 위치에서 상기 합성 수지막 (87) 에 몰딩되어 있는 다수의 수지부 (88) 를 포함하며, 이렇게 해서 다수의 키이탑 (89) 이 형성되게 된다. 다수의 스위치 접촉부 (73) 들은 각 키이탑 (89) 의 맞은 편 위치에서 스위치 기판 (71) 상에 배치된다. 각각의 스위치 접촉부 (73) 위에는 클릭 플레이트 (75) 가 배치된다.
임의의 키이탑 (89) 을 누르면, 상기 키이탑 플레이트 (85) 가 휘어져, 눌려진 키이탑이 내려가게 된다. 이렇게 해서, 대응하는 클릭 플레이트 (75) 가 눌려저 역전된 모양으로 변형하게 된다. 동시에, 대응하는 스위치 접촉부 (73) 가 턴온(turn on)이 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케이싱 (95) 및/또는 키이탑 플레이트 (85) 에 부딪히게 되는 어떠한 물방울이나 불순물 또는 먼지도 기판 (71) 에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방수성 및/또는 먼지침투방지성을 갖는 스위치 플레이트가 얻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합성 수지막 (87) 이 가요성을 가져 쉽게 변형될 수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연성(ductility)은 없다.
따라서, 도 12 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경우에, 합성 수지막 (87) 이 그의 주연부 (C) 를 따라 케이싱 (95) 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키이탑 (89) 을 눌러 그의 함몰 스트로크만큼 내려 보낼 때, 합성 수지막 (87) 은 변형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때문에, 키이탑을 누르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전자장치의 소형화에 발맞춰 키이탑도 현저히 소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는 더욱 중요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3 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성의 키이탑 플레이트 (85-2) 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키이탑 플레이트 (85-2) 는 시이트 (87-2) 와 키이탑 (89-2) 를 포함한다. 시이트 (87-2) 와 키이탑 (89-2) 은 실리콘 고무로 일체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키이탑 플레이트 (85-2) 에서는, 실리콘 고무가 쉽게 신장될 수 있으므로, 키이탑 플레이트 (85-2) 가 그의 주연부를 따라 고정이 되더라도 키이탑 (89-2) 을 쉽게 누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키이탑이 가요성 실리콘 고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키이탑 (89-2) 을 누를 때 키이탑 플레이트 (85-2) 는 비교적 연질의 촉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경질의 촉감 - 이는 대부분의 사용가 선호하는 것으로 성형된 수지로 얻을 수 있다 - 은 얻을 수 없다.
상기 키이탑 플레이트 (85-2) 의 각 키이탑 (89-2) 의 표면에 원하는 마킹이나 문자를 인쇄할 때, 이러한 인쇄작업은 실질적으로 입방체인 각 키이탑 (89-2) 의 표면에 직접 실시해야 한다. 이러한 인쇄작업은, 마킹 등을 시이트상에 직접 인쇄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복잡하고 비능률적이다. 또한, 정교한 인쇄도 하기 어렵다. 또한, 키이탑 플레이트 (85) 가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마킹을 다수의 키이탑 (89-2) 에 동시에 인쇄할 때 키이탑 (89-2) 과 인쇄수단 사이에 부정합 (misregistration) 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키이탑 (89-2) 에 마킹 등을 동시에 인쇄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인쇄작업의 능률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이탑 플레이트의 주연부가 부착될 때도 키이탑이 쉽게 눌려질 수 있고, 키이탑을 누를 때 경질 촉감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마킹 등을 키이탑에 능률적으로 인쇄할 수 있는, 키이탑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 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 는 평면도이고, 도 1b 는 도 1a 에서 선 A-A 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 는 도 1b 중 부분 B 을 확대한 도면.
도 3 은 키이탑 플레이트 (10) 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는 키이탑 플레이트 (10) 를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는 키이탑 플레이트 (10) 를 제조하는 방법의 또 다른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은 키이탑 플레이트 (10) 가 사용되고 있는, 방수 구조의 푸시버튼용 스위치 플레이트 (50) 에 대한 일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2) 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3) 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4) 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5) 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6) 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 는 종래기술의 푸시버튼용 스위치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 은 종래기술의 다른 키이탑 플레이트 (85-2) 를 도시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키이탑 11 : 탄성중합체 시이트
21 : 키이탑 23 : 합성 수지막
25 : 성형된 수지 27 : 인쇄부
본 발명의 주 특징은, 상기 키이탑 플레이트가 성형수지와 합성 수지막이 일체로 성형되어 만들어지는 키이탑과, 이 키이탑에 부착되는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를 포함하는데 있다.
키이탑이 부착되는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는 가요성이 있기 때문에 쉽게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키이탑 플레이트에 방수성 및 먼지침투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의 주연부가 예컨데 케이싱에 고정될 때도, 키이탑을 쉽게 누를 수 있다. 키이탑은 성형 수지와 합성 수지막을 일체로 성형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키이탑은 경질 촉감을 주게된다. 따라서, 키이탑을 누르면 경질 촉감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주특징은, 상기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에서 키이탑이 부착되는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에는 어떠한 관통공도 없기 때문에 방수성을 갖게 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특징은,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는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특징은, 다음과 같은 제조단계를 갖는 키이탑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다. 본 제조방법은, 합성 수지막의 소정 위치에 성형 수지를 성형하여 다수의 키이탑을 만드는 단계와,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를 상기 키이탑에 부착하는 단계 및,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를 남기면서 합성 수지막에서 적어도 각 키이탑 주변의 부위 모두 또는 대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조방법이, 합성 수지막에 키이탑을 형성하는 단계에 앞서 미리 인쇄를 하여 인쇄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기술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본 발명을 더욱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 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 는 평면도이고, 도 1b 는 도 1a 에서 선 A-A 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이탑 플레이트 (10) 는 납작한 판상의 성형된탄성중합체 시이트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 (11) 와, 이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11) 의 상측표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키이탑 (21) 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두 20개의 키이탑 (21) 들이 5행 4열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 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지금부터 상술하도록 한다.
도 1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납작한 판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관통공은 하나도 없도록 성형되어 있다. 각 키이탑 (21) 의 아래 영역에서 가압 돌기부 (13) 가 상기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의 하측표면에 제공된다. 각각의 가압 돌기부 (13) 는 상기 영역의 중앙에 배치되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는 폴리에스테르기 탄성중합체 물질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열가소성 탄성중합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2 는 도 1b 에서 참조부호“ B”로 지시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키이탑 (21) 은 위쪽으로 볼록한 부위를 갖도록 성형된 합성 수지막 (23) 과, 이 합성 수지막 (23) 의 하측면에서 이 수지막과 일체로 성형되는 다수의 성형된 수지 (25) 를 포함한다. 상기 합성 수지막 (23) 의 상측표면에는, 원하는 문자(들), 기호(들) 및 또는 그래픽(들)이 있는 인쇄부 (27) 가 제공된다. 각 성형된 수지 (25) 는 그의 전 하측면에 걸쳐 상기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의 상측표면에 접착된다.
상기 합성 수지막 (23) 은 투명 PET 막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열가소성 수지막으로 될 수 있다. 성형된 수지 (25) 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PC/PET 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열가소성의 성형된 수지로될 수 있다.
지금부터 상기 키이탑 플레이트 (10) 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5 에는, 키이탑 플레이트 (10) 를 제조하는 방법의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하는 인쇄부 (27) 가 그의 상측표면에 있는 판상의 합성 수지막 (23) 을 제 1 몰드 (30) 와 제 2 몰드 (35) 사이에 클램핑시킨다. 상기 제 1 몰드 (30) 는 홈부 (31) 를 갖고 있으며, 각 홈부는 키이탑 (21) 의 상측표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 2 몰드 (35) 에는 핀게이트 (37) 가 있다.
용융된 성형 수지를 고온 (예컨데, 약 260℃) 에서 상기 핀게이트 (37) 를 통해 주입한다. 용융된 성형수지의 열과 압력 때문에, 상기 홈부 (31) 와 대향하는 합성 수지막 (23) 의 부위는 신장 및 변형되어, 도 3 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위로 올라가게 된다. 주입된 성형수지는 홈부 (31) 의 내측면과 밀접히 접촉하게 되며, 홈부 (31) 는 성형수지 (25) (도 2 참조) 로 채워지게 된다. 다음에, 성형수지 (25) 를 냉각 및 경화시킨다. 성형된 수지 (25) 와 변형된 합성 수지막 (23) 은 그들 사이에 접착제가 전혀 없어도 직접적으로 견고하게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물론, 성형된 수지 (25) 와 합성 수지막 (23) 은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접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핀게이트 (37) 를 통해 주입되는 용융된 성형수지의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합성 수지막 (23) 을 볼록한 모양으로 변형시키는 대신에, 이 합성 수지막 (23) 을 원하는 모양으로 미리 성형할 수도 있다 (예비성형). 이렇게 해서 미리 성형된 합성 수지막을 제 1, 2 몰드 (30, 35) 사이에 클램핑시킨다. 다음에, 합성 수지막 (23) 의 홈부 (31) 를 용융된 성형수지 (25) 로 채운다. 합성 수지막 (23) 의 예비성형은 예컨데 진공성형법 또는 압력성형법으로 실시되는데, 이들 성형법에 따르면, 합성 수지막 (23) 은 먼저 가열되어 연화되며, 연화가 되는 동안에 외력 (진공력 또는 압축공기력) 이 가해저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되고 이어서 냉각 및 경화된다. 이와 같은 예비성형법 이외에 프레스를 사용하는 예비성형법도 있다.
다음에,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몰드 (35) 를 제거하고, 제 3 몰드 (40) 를 제 1 몰드 (30) 와 대향시켜 배치한다. 제 1 몰드 (30) 와 대향하는 제 3 몰드 (40) 의 표면에는 홈부 (41) 와 핀게이트 (43) 가 있으며, 이 홈부는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도 2 참고) 의 하측표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용융된 탄성중합 재료는 상기 핀게이트 (43) 를 통해 홈부 (41) 안으로 주입된다. 이렇게 해서, 홈부 (41) 는 용융된 탄성중합 재료로 채워지게 된다. 다음에, 용융된 탄성중합 재료를 경화시킨다. 탄성중합체 수지와 성형된 수지 (25) 는 그들 사이에 접착제가 전혀 없어도 서로 직접 강하게 접착될 수 있다. 물론,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홈부 (41) 내의 탄성중합체 수지와 성형된 수지 (25) 를 서로 접착시킬 수도 있다. 홈부 (41) 내의 탄성중합체 수지와 합성 수지막 (23) 은 서로 접착되지 않는다.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몰드 (30) 와 제 3 몰드 (40) 을 제거한다. 다음에, 합성 수지막 (23) 에서 각 키이탑 (21) 주변의 부위 (참조부호“a”로 지시되어 있음) 를 레이저로 절단 및 제거한다. 이때,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의 표면층을 약간 절삭하면서 (성형된 시이트 (11) 의 두께의 절반 보다 작은 깊이로), 합성 수지막 (23) 을 완전히 절단하기 위해 레이저의 사용시간과 출력을 조절하게 된다.
다음에, 키이탑 (21) 상에 놓이지 않은 합성 수지막 (23) 의 모든 부위를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로 부터 벗겨낸다. 이렇게 해서 도 1, 2 에서 도시된 구성을 갖는 키이탑 플레이트 (10) 가 얻어지게 된다.
도 6 은 상기 키이탑 (10) 이 사용되고 있는 푸시버튼용 방수구조의 스위치플레이트 (50) 에 대한 일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이탑 (10) 은 그의 전 상부주연부 (b) 를 따라 케이싱 (51) 의 하측표면에 초음파용접된다.
상기 케이싱 (51) 은 각 키이탑 (21) 과 대향하는 부위에서 관통공 (53) 이 제공되어 있다. 각 키이탑 (21) 의 표면은 상기 관통공 (53) 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스위치 기판 (55) 은 키이탑 플레이트 (10) 밑에 배치된다. 이 스위치 기판 (55) 은 각 가압 돌기부 (13) 와 대향하는 부위에서 클릭 플레이트 (또는 가동 접촉부) (57) 가 제공되어 있다. 스위치 접촉부 (도시 안됨) 는 스위치 기판 (55) 의 각 클릭 플레이트 (57) 밑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기판 (55) 에는 발광목적으로 발광요소 (59) 가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에는 어떠한 관통공도 없다. 따라서,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의 주연부를 케이싱 (51) 에 간단히 용접함으로써, 케이싱 (51) 위에 존재하는 물 및/또는 먼지가 케이싱 (51)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방수성 및 먼지침투방지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키이탑 플레이트 (10) 를 그의 주연부에서 케이싱 (51) 에 접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키이탑 플레이트 (10) 의 외연부의 하측표면 밑에 스페이서 수단 (도시 안됨) 을 배치하여, 키이탑 플레이트 (10) 의 외연부를 상기 스페이서 수단과 케이싱 (51) 사이에 방수성 있게 클램핑시킬 수 있다.
임의의 키이탑 (21) 을 누르면,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는 그의 변형성 및 연성 때문에 밑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에 따라, 대응하는 클릭 플레이트 (57) 는 키이탑 (21) 의 가압 돌기부 (13) 에 의해 밑으로 힘을 받아 역전된 모양으로 변형하게 되며, 이로써 대응하는 스위치 접촉부가 턴온된다.
상기 키이탑 플레이트 (10) 가 그의 주연부에서 케이싱 (51) 에 고정되더라도, 키이탑 (21) 이 가요성과 연성을 갖는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상에 배치되므로, 각 키이탑 (21) 을 쉽게 누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키이탑 (21) 이 소형일 때도 얻을 수 있다.
합성 수지막 (23) 과 성형수지 (25) 가 서로 일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각 키이탑 (21) 은 딱딱하게 된다. 따라서, 키이탑 (21) 을 누르면 경질 촉감을 받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쇄부 (27) 는 합성 수지막 (23) 상에 제공된다. 합성 수지막 (23) 이 인쇄될 때 부정합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큰 크기의 합성 수지막 (23) 을 제공할 수 있어, 다수의 키이탑 플레이트 (10) 에 대한 인쇄부 (27) 들을 이와 같이 큰 크기의 합성 수지막에 동시에 인쇄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큰 크기의 합성 수지막은 성형수지와 일체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작업시 어떠한 부정합도 발생하지 않는다. 인쇄작업이 키이탑 플레이트 (85-2) 상의 각 키이탑 (89-2) 에 대해 실시되는 도 13 의 종래기술에 비해,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키이탑 플레이트를 쉽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합성 수지막 (23) 에 대한 인쇄작업은 다색인쇄 및/또는 미세인쇄도 쉽게 가능하다.
발광요소 (59) 가 빛을 발하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 성형된 수지 (25) 및 합성 수지막 (23) 을 통해 각 키이탑 (21) 의 후면을 비출 수 있다.
〔실시예 2〕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2) 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키이탑 플레이트 (10-2) 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키이탑 플레이트 (10) 와 다르다. 즉, 가압 돌기부 (13-2) 는 키이탑 (21-2) 을 형성하는 성형된 수지 (25-2) 의 하측면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가압 돌기부 (13-2) 는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2) 에 있는 관통공 (15-2) 을 통해 뻗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클릭 플레이트 (또는 가동 접촉부) 를 누르게 되는 가압 돌기부 (13-2) 는 성형된 수지 (25-2) 로도 만들 수 있으며, 따라서키이탑 (21-2) 을 누를 때 바람직하게 경질 촉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2) 에 있는 각 관통공 (15-2) 은 키이탑 (21-2) 으로 막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제 1 실시예에서 처럼 방수성 및 먼지침투방지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3) 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키이탑 플레이트 (10-3) 는 성형된 수지 (25-3) 의 하측표면에 인쇄부 (27-3) 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키이탑 플레이트 (10) 과 다르다. 성형된 수지 (25-3) 와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3) 가 그들 사이에 인쇄부 (27-3) 가 있음으로 해서 불완전하게 서로 접착되는 경우에는, 성형된 수지 (25-3) 와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 (11-3) 사이에 적절한 접착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 4〕
도 9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4) 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키이탑 플레이트 (10-4) 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제 2 실시예의 키이탑 플레이트 (10-2) 와 다르다. 즉, 키이탑 (21-4) 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막 (23-4) 은 볼록하게 되어 있지 않으며 각 키이탑 (21-4)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관통공 (29-4) 이 제공되며, 또한 성형된 수지 (25-4) 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합성 수지막 (23-4) 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쇄부는 합성 수지막 (23-4) 상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5) 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키이탑 플레이트 (10-5) 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키이탑 플레이트 (10) 와 다르다. 즉, 합성 수지막 (23-5) 에서 각 키이탑 (21-5) 주변의 부위 (e-5) 만 레이저에 의해 환상으로 잘려 제거되며, 또한 상기 부위 (e-5) 를 제외한 합성 수지막 (23-5) 의 나머지 부위는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도 12 의 종래기술과 비교해서, 적어도 각 키이탑 (21-5) 주변의 부위 (e-5) 가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키이탑 플레이트 (10-5) 의 주연부가 고정되더라도 키이탑 (21-5) 을 쉽게 누를 수 있다.
〔실시예 6〕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키이탑 플레이트 (10-6) 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키이탑 플레이트 (10-6) 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제 5 실시예의 키이탑 플레이트 (10-5) 와 다르다. 즉, 합성 수지막 (23-6) 에서 각 키이탑 (21-6) 주변의 부위 (e-6) 는 환상으로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힌지부 (28-6) 가 남게 되며, 이로써 각 키이탑 (21-6) 은 그 주변의 합성 수지막 (23-6) 에 연결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부위 (e-6) 를 제외한 합성 수지막 (23-6) 의 나머지 부위는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도 12 의 종래기술과 비교해서, 적어도 각 키이탑 (21-6) 주변의 부위 (e-6) 가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키이탑 플레이트 (10-6) 의 주연부가 고정되더라도 키이탑 (21-6) 을 쉽게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나 주요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뿐,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는 제한받지 않는다. 또한, 청구범위 내에서의 변형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이탑이 부착되는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는 가요성이 있기 때문에 쉽게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키이탑 플레이트에 방수성 및 먼지침투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의 주연부가 예컨데 케이싱에 고정될 때도, 키이탑을 쉽게 누를 수 있다. 키이탑은 성형 수지와 합성 수지막을 일체로 성형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키이탑은 경질 촉감을 주게된다. 따라서, 키이탑을 누르면 경질 촉감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에서 키이탑이 부착되는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에는 어떠한 관통공도 없기 때문에 방수성을 갖게 된다.

Claims (5)

  1. 성형수지와 합성수지막이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되는 키이탑들과, 이들 키이탑에 부착되는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탑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수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는 키이탑들이 배치되는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에서 어떠한 관통공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탑 플레이트.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는 성형된 탄성중합체 시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이탑 플레이트.
  4. 합성 수지막의 소정 위치에 성형 수지를 성형하여 다수의 키이탑을 만드는 단계와,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를 상기 키이탑에 부착하는 단계 및,
    성형된 탄성중합체 부재를 남기면서, 상기 합성 수지막에서 적어도 각 키이탑 주변의 부위 모두 또는 대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이탑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막에 키이탑을 형성하는 단계에 앞서 미리 인쇄를 하여 인쇄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63869A 1996-11-29 1997-11-28 키이탑플레이트및이의제조방법 KR100362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34600 1996-11-29
JP33460096A JP3151553B2 (ja) 1996-11-29 1996-11-29 キートップ板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86A true KR19980042886A (ko) 1998-08-17
KR100362027B1 KR100362027B1 (ko) 2003-02-19

Family

ID=1827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869A KR100362027B1 (ko) 1996-11-29 1997-11-28 키이탑플레이트및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23033A (ko)
EP (1) EP0845795B1 (ko)
JP (1) JP3151553B2 (ko)
KR (1) KR100362027B1 (ko)
DE (1) DE69727366T2 (ko)
TW (1) TW3548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218B1 (ko) * 2001-02-20 2005-05-17 데이꼬꾸 쓰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키탑판 및 그 키탑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7545B2 (en) * 1997-02-18 2004-01-13 Sunarrow Co., Ltd. Illumination ke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342959B1 (ko) * 1998-12-31 2002-07-05 양윤홍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TW498710B (en) 1999-01-22 2002-08-11 Taisei Plas Co Ltd Control panel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0215754A (ja) * 1999-01-26 2000-08-04 Nec Shizuoka Ltd 電子機器の操作ボタン構造
TW446616B (en) * 1999-01-27 2001-07-21 Taisei Plastics Co Ltd Control panel having sheet-formed pushbutton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GB2346739B (en) 1999-02-12 2002-12-18 Nokia Mobile Phones Ltd Keypad structure
EP1054420A1 (de) * 1999-05-18 2000-11-22 Molex Incorporated Tastenfeld für ein elektrisches oder elektronisches Gerät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WO2001016977A1 (fr) * 1999-08-27 2001-03-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Bouton-poussoir et dispositif de commutation
JP2001084863A (ja) * 1999-09-13 2001-03-30 Polymatech Co Ltd シート状キートップ
JP3810237B2 (ja) 1999-11-19 2006-08-16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部材の製造方法
DE10004093A1 (de) * 2000-01-31 2001-08-02 Basf Ag Tastaturelemente für mobile Kommunikationsgeräte
EP1128405A1 (en) 2000-02-21 2001-08-29 Cherry GmbH Microswitch module
US6576856B2 (en) * 2000-03-24 2003-06-10 Polymatech Co., Ltd. Sheet shaped key top
US6495784B2 (en) * 2000-05-16 2002-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JP2001345030A (ja) * 2000-05-31 2001-12-14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ノブ及びスイッチノブの製造方法
JP4414066B2 (ja) * 2000-06-15 2010-02-10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積層キーシート
FI108682B (fi) * 2000-06-30 2002-02-28 Nokia Corp Menetelmä elektroniikkalaitteen näppäimistön valmistuksessa
JP3419388B2 (ja) * 2000-07-17 2003-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操作キー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99904B2 (ja) * 2000-11-13 2010-07-14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JP2002197933A (ja) * 2000-12-26 2002-07-12 Taisei Plas Co Ltd キートップ、キー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126850C1 (de) * 2001-06-01 2003-02-06 Siemens Ag Tastaturmatte mit Hintergrundbeleuchtung
FI20011304A (fi) * 2001-06-19 2002-12-20 Nokia Corp Tiivis integroitu näppäimistö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JP4010355B2 (ja) * 2001-07-16 2007-11-21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4731059B2 (ja) * 2001-07-16 2011-07-2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加飾用物品支持シート、加飾用物品支持シートの製造方法、加飾物品の製造方法
US6821467B2 (en) * 2001-08-31 2004-11-23 Multi-National Resources Method of making a thin film keypad
JP4068913B2 (ja) * 2002-07-25 2008-03-26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キー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15897B2 (en) * 2002-09-17 2006-03-21 Taiwan Tri Gem Information Co., Ltd. Pushbutton of touch pad of electronic device
JP3900063B2 (ja) * 2002-10-30 2007-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機のケース
KR100539780B1 (ko) * 2003-02-20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7262379B2 (en) * 2003-04-11 2007-08-28 Polymatech Co., Ltd. Key sheet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040110827A (ko) * 2003-06-20 200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 버튼 장치
JP3871136B2 (ja) * 2003-10-03 2007-01-24 船井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TWI338208B (en) * 2004-02-06 2011-03-01 Asustek Comp Inc Casing with button portion which no through seam between them
KR100454203B1 (ko) * 2004-03-17 2004-10-26 (주)하운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US7070349B2 (en) * 2004-06-18 2006-07-04 Motorola, Inc. Thin keyboard and components for electronics devices and methods
US20060019053A1 (en) * 2004-07-23 2006-01-26 Jacoby Elliot G Field labeled button
JP2006244823A (ja) * 2005-03-02 2006-09-14 Fuji Photo Film Co Ltd 操作部材
US7745751B2 (en) 2005-05-02 2010-06-29 Shin-Etsu Polymer Co., Ltd Member for push-button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26870B2 (en) * 2005-08-04 2008-02-05 Silitech Technology Corp. Ke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151849B2 (ja) * 2006-04-20 2008-09-17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
JP2007294320A (ja) * 2006-04-26 2007-11-08 Sunarrow Ltd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を製造する方法
DE602007003232D1 (de) * 2007-09-28 2009-12-24 Research In Motion Ltd Tastatur für eine drahtlose Vorrichtung
US8280459B2 (en) * 2008-03-25 2012-10-02 Motorola Mobility, Inc. Integral housing and user interface
TW201025383A (en) * 2008-12-29 2010-07-01 Ichia Tech Inc Thin-type keycap structure, keypa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263887B2 (en) 2009-02-26 2012-09-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Backlit key assembly having a reduced thickness
US8723062B2 (en) 2009-02-26 2014-05-13 Blackberry Limited Key assembl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one-piece keycap
EP2226822B1 (en) 2009-02-26 2013-07-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A key assembl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one-piece keycap
WO2010144880A1 (en) * 2009-06-11 2010-12-16 Pelikon Limitted Molded key caps and methods of making
JP5310325B2 (ja) 2009-07-07 2013-10-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キーボード構造
US9075576B2 (en) 2010-02-25 2015-07-07 Blackberry Limited Keypads for mobile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362405B1 (en) * 2010-02-25 2016-05-04 BlackBerry Limited Keypads for mobile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0030911A1 (de) * 2010-07-02 2012-01-05 Kunststoff-Technik Scherer & Trier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und Formteil
US20120084966A1 (en) * 2010-10-07 2012-04-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n interactive keyboard
DE102010064357A1 (de) 2010-12-29 2012-07-05 Sms Siemag Ag Verfahren zur pyrometallurgischen Behandlung von Metallen, Metallschmelzen und/oder Schlacken
US9381706B2 (en) * 2012-07-12 2016-07-05 Inmusic Brands, Inc. Button matrix and method of molding thereof
US9916942B2 (en) * 2013-09-10 2018-03-13 Apple Inc. Sealed button for an electronic device
CN203837085U (zh) * 2014-04-22 2014-09-17 金卫群 平衡式高效户外取暖器
TWI609295B (zh) * 2016-03-11 2017-12-2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按鈕結構及其製造方法以及應用該按鈕結構的遊戲控制器
US10275069B2 (en) 2017-09-22 2019-04-30 Apple Inc. Pressure resistant force sensing enclosure
US10659866B2 (en) 2018-09-14 2020-05-19 Apple Inc. Elastomeric pressure transduction based user interface
CN114816078A (zh) 2021-01-29 2022-07-29 梅特勒-托莱多有限责任公司 具有静电放电耗散的键盘覆盖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523A (en) * 1980-03-11 1981-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producing keyboard switch
JPH01174820U (ko) * 1988-05-30 1989-12-12
EP1233436B1 (en) * 1990-10-30 2004-02-11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top
DE4107841A1 (de) * 1991-03-12 1992-09-17 Aeg Mobile Communication Tastenanordnung
JP2627692B2 (ja) * 1991-09-20 1997-07-09 サンアロー 株式会社 照光式キー
DE9201284U1 (ko) * 1991-11-21 1992-03-19 Silitek Corp., Taipeh/T'ai-Pei, Tw
US5475192A (en) * 1993-03-15 1995-12-12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Keytop sheet for push-button switches
US5399821A (en) * 1993-10-20 1995-03-21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Keytop for push-button switch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218B1 (ko) * 2001-02-20 2005-05-17 데이꼬꾸 쓰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키탑판 및 그 키탑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5795B1 (en) 2004-01-28
JPH10162689A (ja) 1998-06-19
DE69727366D1 (de) 2004-03-04
EP0845795A2 (en) 1998-06-03
US6023033A (en) 2000-02-08
JP3151553B2 (ja) 2001-04-03
TW354846B (en) 1999-03-21
DE69727366T2 (de) 2004-12-09
EP0845795A3 (en) 1999-01-20
KR100362027B1 (ko) 200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2886A (ko) 키이탑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0859388B1 (en) Illumination ke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5362934A (en) Push-button switch, keyto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keytop
EP1024510B1 (en) Control panel having sheet-formed pushbutton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04088694A1 (en) A cover for a push button switch
JP2001148214A (ja)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02854B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6120828A1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55586A (ja) 押釦スイッチ装置
JPH09259697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ングシート構造
JP4111607B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
JP3211127B2 (ja)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板
JP2001126577A (ja) シート成形押ボタンを備えた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US20220122788A1 (en) Keyswitch structure and keyboard therewith
JP2000182461A (ja) キートップ板の製造方法
WO1997038842A1 (en) Elastomeric keypad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H11126536A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および押釦スイッチ
JP2004227867A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347679B2 (ja) キーシート
JPH0644859A (ja)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06352A (ja) 電子機器のキー
JPH06267369A (ja)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板
JP4499903B2 (ja) キースイッチ
JP3954175B2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の製造方法
JP2004063155A (ja) フィルムキー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