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907A - 낚시대용 도사환 - Google Patents

낚시대용 도사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907A
KR19980041907A KR1019970050080A KR19970050080A KR19980041907A KR 19980041907 A KR19980041907 A KR 19980041907A KR 1019970050080 A KR1019970050080 A KR 1019970050080A KR 19970050080 A KR19970050080 A KR 19970050080A KR 19980041907 A KR19980041907 A KR 19980041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ring
guide ring
frame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5775B1 (ko
Inventor
류이찌 오오무라
Original Assignee
류이찌 오오무라
후지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이찌 오오무라, 후지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류이찌 오오무라
Publication of KR1998004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종래의 낚싯대용 도사환은 도사환에 엉킨 실을 쉽게 풀 수 없고 가이드링은 빠져나가기 쉬우며 대부분이 무방비로 노출하고 있어서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 해결수단으로서 가이드링(3)을 고착한 프레임(2)의 주요부를 위쪽으로 감에 따라 낚싯대 끝쪽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진 뒤쪽프레임(4)과 이 뒤쪽프레임(4)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의 앞쪽을 향해 연장한 앞쪽프레임(5)에 의해 구성하는 것으로서 프레임(2)에 엉켜붙은 낚시줄이 쉽게 풀어지도록 하고, 뒤쪽프레임(4)에 형성한 링부착공(9)에 장원형의 가이드링(3)을 부착하는 것으로 가이드링의 구경을 확보하고 이 가이드링(3)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연장하는 플랜지(13)를 마련하고 이 플랜지(13)를 링부착공(9)의 뒤쪽 둘레테두리부에 접촉시키고 그 나머지 부분을 링부착공(9)에 끼워맞춤으로써 가이드링(3)이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낚시대용 도사환
본 발명은 낚시대용 도사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낚싯대에 부착된 릴에서 풀려나오는 낚시줄을 통과하는 가이드링을 갖춘 낚시대용 도사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낚싯대에 부착하는 형식의 도사환은 일반적으로 경질인 가이드링과 이 가이드링을 고착한 프레임부와 낚싯대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링은 릴에서 풀려나오는 낚시줄을 스무스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둥근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낚싯대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세운 모양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이 타입의 도사환이 요구하는 성능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예를 들어 경량이면서 강도가 높을 것과 낚시줄이 도사환에 엉킨 것이 쉽게 풀릴 것과 가이드링이 튼튼하게 고착될 것등이다.
이들 성능중 낚시줄 엉킹이 쉽게 풀릴 수 있는 것은 중요한 성능이며 그 때문에 종래에 여러 가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 연구중 하나로서 프레임부의 상부 또는 중간부에서 낚싯대 끝쪽으로 아래를 향하여 경사지게 뻗은 브릿지를 마련한 것이 있고 이 브릿지에 의해 도사환에 엉켜붙은 낚시줄을 미끄러지도록 하고 있다.
또 프레임부 그 자체를 크게 경사시키는 것으로 낚시줄 엉킴이 쉽게 풀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도사환(a)은 일본국 실개소 61-167765호 공보에 기재된 것으로 이 도사환(a)에 있어서는 프레임(b)을 낚싯대 끝쪽으로 크게 기울게 함과 동시에 가이드링(c)에는 장원형 또는 타원형이 것을 이용하여 낚시줄의 통과구멍을 얻고 있다. 따라서 도사환의 프레임(b)에 엉켜붙은 낚시줄은 프레임(b)의 사면(d)과 가이드링(d)의 측면부를 미끄러져 도사환(a)에서 앞쪽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도사환(e)은 일본국 특개평 5-11134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다. 이 도사환(e)은 둥근모양으로 가이드링(f)이 장착된 대략 통형상의 유지부재(g)를 낚싯대(h)의 외부에 성형한 것으로서 유지부재(g)는 종단면으로 볼 때에 전후방향으로 대칭인 사다리꼴 모양을 하고 있다. 따라서 유지부재(g)에 엉킨 낚시줄은 유지부재(g)의 전후의 사면(i)을 미끄러져 도시환(e)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한 도사환(a)에는 가이드링(c)이 빠지기 쉽고 또한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즉 도사환(a)에서 가이드링(c)의 부착은 평판상태의 프레임(b)에 형성한 가이드 부착공(j)에 가이드링(c)을 압입했을 뿐이기 때문에 가이드링(c)의 대부분이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고 따라서 파손되기 쉬운 데다가 가이드링(c)에 어느 정도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빠질 염려가 있다.
특히 세라믹 등의 재료에 의해 가이드링(c)을 장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할 경우 그 치수를 정밀하게 가공한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가이드링(c)이 그 부착공(j)에 확실히 수장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낚은 고기를 들어 올릴 경우 큰 부하나 낚시줄을 매듭 또는 추 등이 닿았을 때의 충격이 가이드링(c)에 가해지면 의외로 간단하게 가이드링(c)이 빠져버리게 되는 것이다.
또 프레임(b)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재료의 판두께를 두껍게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중량이 늘어날 문제가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도사환(e)에 있어서는 가이드링(f)이 유지부재(g)의 안쪽 깊은 위치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파손의 염려는 거의 없고 또 가이드링(f)의 외주부가 유지부재(g)에 매립되므로 쉽게 빠지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이 도사환(e)은 제조가 번거롭고 교환이나 수리가 불가능한 데다가 유지부재(g)가 일정한 치수에 걸쳐져서 낚싯대(h)의 휘어짐을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한 것으로 낚시줄 엉킴을 쉽게 풀릴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장원형이 가이드링을 튼튼하게 고착할 수 있고 또한 중량을 늘리지 않고도 프레임의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가이드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대용 도사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낚시대용 도사환은 낚싯대에 부착한 릴에서 풀려나오는 낚시줄을 통과하는 가이드링을 갖춘 낚시대용 도사환으로서 장원형을 한 링부착공이 형성되고 낚싯대에서 멀어짐에 따라 낚싯대 끝쪽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진 뒤쪽프레임과 이 뒤쪽프레임의 선단에서 낚싯대쪽을 향해 뻗어 낚시줄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 앞쪽프레임과 뒤쪽프레임 및 앞쪽프레임의 측단부에 각각 따로 연결한 전후의 부착부와 뒤쪽프레임에 부착된 장원형의 가이드링을 갖추고, 이 가이드링은 그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를 갖추고 이 플랜지를 링부착공의 뒤쪽 둘레테두리부에 접촉시키고 그 나머지부분을 링부착공에 끼워맞춘 것이다.
또 본 발명 낚시대용 도사환은 뒤쪽프레임의 좌우양측부를 구부려서 보호벽을 형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시대용 도사환을 낚싯대에 올려놓은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낚시대용 도사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낚시대용 도사환을 장착한 이음대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1의 낚시대용 도사환 및 이와 다른 도사환을 장착한 이음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도 5에 장착된 도사환중 도 1의 도사환과 다른 도사환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낚시대용 도사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낚시대용 도사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낚싯대용 도사환3 : 가이드링
4 : 뒤쪽프레임5 : 앞쪽프레임
6 : 앞쪽부착부7 : 뒤쪽부착부
8 : 보호벽9 : 링부착공
12 : 실이 지나가는 구멍13 : 플랜지
14 : 낚싯대16 : 릴
18 : 낚시줄
다음에 본 발명 낚시대용 도사환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부호 1은 낚시대용 도사환 (주로 도 1에서 도 3을 참조)으로서 이 낚싯대용 도사환(1)은 금속제의 프레임(2)과 이 프레임(2)에 고착된 가이드링(3)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링(3)은 장원형 즉 전후양단부(3a)가 반원형이고 중간부(3b)가 직선형상을 이루고 있다.
프레임(2)은 위쪽으로 감에 따라 낚싯대 끝쪽(도면 1에 있어서 왼쪽 위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진 뒤쪽프레임(4)과 이 뒤쪽프레임(4)의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해 약간 앞쪽을 향해 뻗어 앞쪽프레임(5)과 뒤쪽프레임(4) 및 앞쪽프레임(5)의 하단에서 각기 따로 수평으로 뻗은 전후의 앞뒷쪽부착부(6)(7)가 금속판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 낚싯대용 도사환(1)은 좌후방향에서 볼 때 프레임(2)의 앞뒷쪽부착부(6)(7) 이외의 부분은 대략 산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앞쪽부착부(6)와 뒤쪽부착부(7)는 뒤쪽프레임(4) 및 앞쪽프레임(5)의 폭의 3분의 1정도의 폭을 갖는 비교적 폭이 좁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고 있다.
뒤쪽프레임(4)의 경사는 앞뒷쪽부착부(6)(7)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약 40°정도로 되어 있다.
뒤쪽프레임(4)은 그 경사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앞뒤로 길다란 직사각형을 이루고 그 좌우양측테두리의 후단부는 뒷단으로 감에 따라 폭이 감소하도록 호면을 그리면서 굴곡하여 뒤쪽부착부(7)에 이르고 있다.
또 뒤쪽프레임(4)의 좌우양측부는 각각 아래로 구부러져서 비교적 폭이 작은 보호벽(8)을 형성하고 있다. 이 보호벽(8)은 가이드링(3)을 보호할 뿐아니라 뒤쪽프레임(4)의 강도, 특히 그 판두께방향에서의 내곡강도를 높이는 데에 기여한다.
부호 9는 뒤쪽프레임(4)에 형성된 링부착공을 도시한다. 이 링부착공(9)은 뒤쪽프레임(4)의 긴쪽방향을 따라 길다란 장원형을 이루고 있고 가이드링(3)이 딱 맞게 끼워들어가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그 중앙이 뒤쪽프레임(4)의 중앙보다 앞쪽으로 기운곳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링(3)의 긴 축 치수는 짧은 축 치수의 약 1.5배가 되고 있다.
앞쪽프레임(5)은 앞뒷쪽부착부(6)(7)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대략 80°경사짐과 동시에 아래로 감에 따라 좌우폭을 좁히는 대략 역사다리꼴을 하고 있으며 그 상단이 뒤쪽프레임(4)의 상단과 연속하고 있다. 뒤쪽프레임(4)과 앞쪽프레임(5)이 연속하고 있는 정상부(10)는 원호형상으로 구부려져 있다.
앞쪽프레임(5)의 좌우양측부는 뒤를 향해 구부려져 폭이 작은 보강벽(11)을 형성하고 있다. 이 보강벽(11)에 의해 앞쪽프레임(5)의 내곡강도가 높아진다.
부호 12는 앞쪽프레임(5)의 중앙부에 형성된 낚시줄의 통과구멍이고 이 구멍(12)은 앞쪽프레임(5)의 외형과 비숫한 형상을 하고 있다.
가이드링(3)은 플랜지를 가진 장원형을 이루고 있다. 즉 가이드링(3)은 그 외형이 상기 링부착공(9)에 꼭 맞게 들어가는 크기의 장원형을 이루고, 그 외주면의 두께방향에서 대략 절반으로부터 돌출한 플랜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링(3)은 플랜지(13)를 링부착공(9)의 뒤쪽 들레테두리부에 접촉시키고 그 나머지 부분을 링부착공(9)에 압입시켜 끼워맞추는 것으로 뒤쪽프레임(4)에 부착된다.
또한 가이드링(3)의 부착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링(3)과 뒤쪽프레임(4)이 접촉하는 부분에 접착제를 부여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낚시대용 도사환(1)은 뒤쪽프레임(4)이 낚싯대 끝쪽에 위치하고 앞쪽프레임(5)이 낚싯대 끝쪽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그 앞뒷쪽부착부(6)(7)를 낚싯대(「블랭크」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외주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앞뒷쪽부착부(6)(7)에 낚싯대(14)와 함께 실을 감아묶어서 낚싯대(14)에 장착된다.
따라서 낚싯대(14)에 있어서는 앞뒷쪽부착부(6)(7)에 고정된 범위에 있어서는 휘임성이 억제되나 뒤쪽프레임(4) 및 앞쪽프레임(5)과 대응한 부분에 대해서는 휘임성이 남게 된다.
가이드링(3)의 구멍(3c)은 낚싯대(14)의 축방향에서 보아 대략 원혀을 이룬다. 따라서 가이드링(3)이 경사진 자세에서 마련되어도 낚시줄을 스무스하게 안내하는데 필요한 구멍은 충분히 확보된다.
이와 같이 낚싯대용 도사환(1)이 낚싯대(1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링(3)의 대부분 즉 뒤쪽프레임(4)에서 위로 돌출하고 있는 약간의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프레임(2)과 낚싯대(14)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링(3)이 파손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뒤쪽프레임(4)의 보호벽(8)은 가이드링(3)을 옆쪽에서 덮도록 위치하고 있어서 낚싯대를 가로로 넘어뜨려도 가이드링(3)에 어떠한 것이 직접 닿는 경우는 없다.
또 가이드링(3)은 그 플랜지(13)가 링부착공(9)의 테두리부에 뒤쪽프레임(4)의 뒤쪽에서 접하고 있기 때문에 낚은 고기의 부하가 걸린 낚시줄을 감아올릴 때 낚시줄의 매듭이나 꼬임 혹은 추 등이 가이드링(3)에 충돌해도 그로 인해 가이드링(3)이 뒤쪽프레임(4)에서 빠지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뒤쪽프레임(4)이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어서 낚시줄이 프레임(2)에 엉켜붙어도 그 낚시줄에 텐션을 걸면 엉켜붙은 부분은 뒤쪽프레임(4)의 경사면을 미끄러져 쉽게 앞쪽으로 빠져나간다.
도 4는 모든 도사환에 상기 낚싯대용 도사환(1)을 이용한 이음대의 일예(15)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중 부호 16은 릴시트(17)에 장착된 릴을 도시하고, 릴(16)에서 풀려나가는 낚시줄(18)은 도사환(1), (1)…의 가이드링(3) 구멍(12)을 통과한다. 이 경우 낚시줄(18)은 텐션이 걸려있는 한 낚시줄이 지나가는 구멍(12)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
부호 19는 톱가이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낚싯대(15)에 있어서는 모든 도사환(1), (1)…에 있어서 엉킨 낚시줄이 쉽게 풀리며 동시에 가이드링(3)이 튼튼하게 고착되며 보호된다. 도 5 및 도 6은 다른 이음대의 예(20)를 도시한 것이다. 이 낚싯대(20)에 있어서는 원래 가이드로서만 상기 낚싯대용 도사환(1)을 이용하고 그 나머지 도사환(21)에는 하나의 다리모양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도사환(21)은 낚싯대용 도사환(1)의 뒤쪽 절반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사환(21)은 금속제의 프레임(22)과 경질인 가이드링(23)으로 구성되고, 프레임(22)은 위쪽으로 감에 따라 낚싯대 끝쪽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진 프레임 주요부(24)와 이 프레임 주요부(24)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수평하게 뻗은 부착부(25)로 이루어지고 프레임 주요부(24)에 형성된 장원형의 링부착공(26)에 장원형의 가이드링(23)이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링(23)에는 플랜지(27)가 마련되어 있고, 이 플랜지(27)가 링부착공(26)의 뒤쪽 둘레테두리부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 주요부(24)의 외주부는 아래를 향해 구부러지는 것으로 보호벽(28)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사환(21)에 있어서도 낚싯대용 도사환(1)과 마찬가지로 엉킨 실이 쉽게 풀리는 기능을 가지며 아울러 프레임(22)의 강도가 높고 가이드링(23)이 단단히 고착되어 보호된다.
이와 같은 낚싯대(14)에 있어서는 모든 도사환(1) 및 (21), (21)…에 있어서 엉킨 실이 쉽게 풀림과 동시에 모든 가이드링(3)(23)이 튼튼하게 고착되어 보호된다. 특히 이 낚싯대(20)에 있어서는 첫머리의 가이드로서의 낚싯대용 도사환(1) 이외의 도사환(21)은 하나의 부착부로 되어 있으므로 낚싯대의 휘임성이 없어지지 않으며 모든 도사환이 마찬가지로 경사진 형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의장적 효과에도 뛰어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이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의 변경등이 있어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베이트릴을 사용하는 타입의 낚싯대에 적당한 도사환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스피닝릴을 사용하는 타입의 낚시대용 도사환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실시예에 있어서 기재한 각 부의 상하방향의 개념을 역으로 하면 된다.
이상 기재한 바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낚시대용 도사환에 있어서는 프레임이 대략 산모양을 이루도록 구부려져 있어서 프레임의 강도가 높으며 또한 엉킨 낚시줄을 쉽게 풀 수 있다.
또 가이드링의 대부분은 프레임과 낚싯대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내에 위치하므로 가이드링이 파손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링은 그 플랜지가 링부착공의 테두리부에 뒤쪽프레임의 뒤쪽에서 접하고 있으므로 낚은 고기의 부하가 걸린 낚시줄을 감아 올릴때에 낚시줄의 매듭이나 꼬임 혹은 추 등이 가이드링에 충돌해도 그로인해 가이드링이 프레임에서 빠지는 경우는 없다.
또한 본 발명 낚시대용 도사환에 있어서는 뒤쪽프레임의 좌우양측부에는 가이드링을 옆쪽에서 덮도록 위치한 보호벽이 마련되어 있어서 낚싯대를 옆으로 넘어뜨려도 가이드링에 어떠한 것이 닿는 경우가 없어 가이드링을 더욱더 보호할 수 있다.

Claims (2)

  1. 낚싯대에 부착한 릴에서 풀려나오는 낚시줄을 통과하는 가이드링을 갖춘 낚시대용 도사환으로서 장원형을 한 링부착공이 형성되어 낚싯대에서 멀어짐에 따라 낚싯대 끝쪽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진 뒤쪽프레임과 이 뒤쪽프레임의 선단에서 낚싯대쪽을 향해 뻗어 낚시줄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 앞쪽프레임과 뒤쪽프레임 및 앞쪽프레임의 낚싯대 측단부에 각각 따로 연결한 전후의 부착부와 뒤쪽프레임에 부착된 장원형의 가이드링을 갖추고 이 가이드링은 그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이 플랜지를 링부착공의 뒤쪽 둘레테두리부에 접촉시켜 그 나머지부분을 링부착공에 끼워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도사환.
  2. 제 1항에 있어서,
    뒤쪽프레임의 좌우양측부를 구부려서 보호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도사환.
KR1019970050080A 1996-11-12 1997-09-30 낚시대용 도사환 KR100235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37412A JP2916431B2 (ja) 1996-11-12 1996-11-12 釣竿用導糸環
JP96-337412 1996-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907A true KR19980041907A (ko) 1998-08-17
KR100235775B1 KR100235775B1 (ko) 1999-12-15

Family

ID=1830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080A KR100235775B1 (ko) 1996-11-12 1997-09-30 낚시대용 도사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02759A (ko)
JP (1) JP2916431B2 (ko)
KR (1) KR100235775B1 (ko)
AU (1) AU694080B2 (ko)
TW (1) TW3498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312B2 (ja) * 1996-02-28 2000-07-17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導糸環
TW371256B (en) * 1996-11-12 1999-10-01 Fuji Industries Co Ltd Line guide for fishing rod
USD409273S (en) * 1997-09-30 1999-05-04 Fuji Kogyo Co., Ltd. Line guide leading ring for fishing rod
US6016621A (en) * 1997-10-08 2000-01-25 Maeda; Masashi Fishing rod
US6430865B1 (en) * 1999-10-25 2002-08-13 Calvin L. Burton, Sr. Oval fishing line guide
JP5894554B2 (ja) * 2013-03-28 2016-03-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及び当該釣糸ガイドを備える釣竿
JP2015047079A (ja) * 2013-08-30 2015-03-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及び釣竿
USD750733S1 (en) * 2014-01-28 2016-03-01 Kigan Industry Co., Ltd. Fishing rod hook keeper
USD744608S1 (en) * 2014-01-28 2015-12-01 Kigan Industry Co., Ltd. Hook fixture for reel fishing rod
US9456594B2 (en) 2014-10-24 2016-10-04 James J. Hoffey Adjustable fly fishing rod system with transversely loadable line guides
US10897884B2 (en) * 2016-02-29 2021-01-26 Globeride, Inc. Fishing line guide, fishing rod having the fishing line guide, and guide ring for use in the fishing line guide
US11425870B1 (en) * 2018-09-06 2022-08-30 Clifford A. Goudey Macroalgae farming including attaching seaweed to a l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545A (en) * 1888-08-07 Line-guide for fishing-rods
US4060924A (en) * 1976-05-17 1977-12-06 Cunningham Leroy G Fishing pole eye
JPS58158119A (ja) * 1982-03-17 1983-09-20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用導糸環
JPH0829038B2 (ja) * 1990-08-01 1996-03-27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糸ガイドおよびその製法
US5419075A (en) * 1991-07-05 1995-05-30 Daiwa Seiko, Inc. Fishing line guide
US5417007A (en) * 1992-08-07 1995-05-23 Aftco Mfg. Co., Inc. Line guide for fishing rods, having high-strength mounting means
US5276991A (en) * 1992-08-07 1994-01-11 Aftco Mfg. Co., Inc. Lightweight roller guide and tip for fishing r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279497A (en) 1998-05-14
US5802759A (en) 1998-09-08
TW349838B (en) 1999-01-11
AU694080B2 (en) 1998-07-09
JP2916431B2 (ja) 1999-07-05
KR100235775B1 (ko) 1999-12-15
JPH10136843A (ja) 199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775B1 (ko) 낚시대용 도사환
JP2000253778A (ja) 釣竿用ラインガイドと釣竿
JPH09233977A (ja) 釣竿用導糸環
JPH10290649A (ja) 釣魚用投竿
KR100230699B1 (ko) 중통형(中通形)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Line guide for an interline fishing rod)
JP2916430B2 (ja) 釣竿用導糸環
US5419075A (en) Fishing line guide
JP2916429B2 (ja) 釣竿用導糸環
KR100257726B1 (ko) 낚싯대용 도사환
US4893429A (en) Top guide for a fishing rod
JP2844527B2 (ja) 釣竿用導糸環
US5283973A (en) Fishing line guide
EP0832559A2 (en) Telescopic type interline fishing rod
JP3652090B2 (ja) 釣糸ガイドを装着した釣竿と釣糸ガイド
JP7448374B2 (ja) 固定補助具及び釣竿
KR19980086637A (ko)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JP3691038B2 (ja) 釣糸補助ガイド装置
JP3770347B2 (ja) 釣り糸ガイド
JP3511357B2 (ja) 中通し釣竿
KR20240036444A (ko)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JPH10136844A (ja) 釣竿用導糸環
JP3614674B2 (ja) 中通し釣竿
JP2022100764A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3782746B2 (ja) リール釣竿及びリール釣竿の製造方法
JP2021058142A (ja) 釣糸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