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637A -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 Google Patents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637A
KR19980086637A KR1019980014425A KR19980014425A KR19980086637A KR 19980086637 A KR19980086637 A KR 19980086637A KR 1019980014425 A KR1019980014425 A KR 1019980014425A KR 19980014425 A KR19980014425 A KR 19980014425A KR 19980086637 A KR19980086637 A KR 19980086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ishing rod
line
tip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우이치 오오무라
Original Assignee
류우이치 오오무라
후지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우이치 오오무라, 후지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류우이치 오오무라
Publication of KR19980086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6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A01K87/005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comprising internal lin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종래의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에 있어서는 가이드링이 파손되기 쉽고 라인이 붙기쉬우며 라인도입공을 가리도록 피복되기 때문에 라인이 지나가기가 어려웠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띠판형상을 한 좌우의 사이드브릿지(29)에 의해 프레임(21)을 구성하고, 이를 낚싯대(5)에 부착한 상태에서 낚싯대(5)와 좌우양 사이드 브릿지(29)로 구획되는 공간(35)내에 돌출한 링지지편(25)을 마련하며, 이 링지지편(25)에 릴(11)에서 나온 라인(37)이 제일먼저 지나가는 가이드링(27)을 장착했다. 이로써 가이드링(27)을 외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프레임(21)의 면적크기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경량화가 가능하며 또한 라인도입공(15a)에 라인(37)이 지나가는 것이 쉬워진다.

Description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본 발명은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에 관하며 특히 릴에서 나온 라인이 낚싯대(브랭크)의 라인도입공에 이르는 사이의 라인주행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선단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중공통과형 낚싯대에 있어서는 낚싯대의 주벽중 릴시트에서 멀지않은 곳에 가이드링에 테두리를 없앤 라인도입공이 마련되어 있어서 릴에서 나온 라인을 라인도입공에서 낚싯대안으로 도입하도록 되어있다. 라인을 낚싯대안으로 지나가도록 하는 작업은 통상 전용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행하도록 되어있다.
최근 이런종류의 낚싯대에 있어서는 릴에서 나선형상의 실밀림에 따라 나오는 라인이 스무스하게 라인도입공으로 도입되어가도록 하기 위해 라인도입공 근처에 밖으로 부착하는 타입의 선단가이드를 배치하고, 릴에서의 라인을 먼저 이 선단가이드의 가이드링을 지나가게하여 여기서 나선형상의 실밀림을 쵸크시키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같은 선단가이드로서는 종래부터 여러형태의 것이 있지만 베이스부를 이루는 프레임의 형태에서 보면 통형상을 한 타입의 것(일본국 특개평 7-59492호 공보 등), 라인도입공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벽타입의 것(일본국 실개평 7-39651호 공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3000404호 등)과 라인도입공을 위에걸치는 브릿지타입의 것(일본국 특개평 8-107739호 공보 등)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이 통형상인 타입에 있어서는 라인도입공의 가이드링을 일체적으로 포함한 구조로 된 것이 많다.
또 이와같은 선단가이드를 라인도입공의 앞쪽 즉 릴시트쪽에 마련하는 경우가 있다.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에 요구되는 성능으로서는 라인도입공에 라인이 지나가는 것을 용이하게하고 또한 경량이면서 강도가 높고, 가이드링이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어 실엉킴이 일어나도 엉킴을 자동적으로 풀수 있어야 하는 등을 예로 들수 있다.
이런 점에서 종래의 선단가이드에 있어서는 상기한 어떤 타입에 있어서도 프레임이 어느정도의 면적크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고 젖은 라인이 붙기 쉽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브릿지타입의 대부분은 라인도입공을 가리기 위해 피복되기 때문에 라인도입공에 라인이 지나가는 작업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선단가이드에 마련된 가이드링 특히 릴에서 나온 라인이 제일먼저 지나가는 가이드링은 프레임의 릴쪽을 향하는 벽부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마련되기때문에 가이드링이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낚싯대용 가이드에 있어서 가이드링의 손상 등은 라인이 끊어지게 되어 선단가이드 전체를 교환하지 않는 한 낚시를 할 수 없게되는 사태가 되어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안쪽공간에 가이드링을 배치하는 것으로 가이드링을 외적충격으로부터 완전히 보호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의 면적 크기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가이드링이나 라인도입공에 라인이 지나가는 것이 용이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가이드링이 상기한 공간내로 들어감에 상관없이 이 공간에 릴에서 나온 라인이 스무스하게 들어가 가이드링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부림에 견디는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도 프레임의 재료를 얇고 가로폭을 작게할 수 있어 보다 경량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엉킴 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는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공간내에 가이드링을 배치한 경우 가이드링을 지지하기위한 부위의 돌출방향을 연구하는 것으로 이 부위에 라인이 엉켜도 그 엉킴이 자동적으로 풀릴 수 있는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가이드링을 지지하는 부위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보강할 수 있는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는 옆쪽에서 보아 라인도입공을 낚싯대의 긴쪽방향에서 갈라지도록 위치하는 프레임 또는 라인도입공의 뒤쪽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갖춘 것으로서 프레임을 띠판형상으로 한 좌우의 사이드브릿지에 의해 형성하고 이 프레임의 전후양단에 연속한 낚싯대 부착부가 낚싯대에 착좌한 상태에서 좌우양 브릿지로 나눠지는 공간내로 돌출한 링지지편을 마련하며 이 링지지편에 릴에서 나온 라인이 제일 먼저 지나가는 가이드링을 지지시킨 것이다.
이에 따라 가이드링을 외적충격으로부터 완전히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프레임의 면적 크기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라인도입공에 라인이 지나가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제 2항에 기재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에 있어서, 링지지편의 선단부를 프레임의 전후방향에 있어 중간보다 뒤쪽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프레임과 낚싯대로 형성되는 공간 중 가이드링에 이를 때 까지의 깊이를 비교적 얕게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제 3항에 기재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좌우의 사이드브릿지 중 가이드링과 대응한 위치에서 뒤쪽부위를 뒤를 향해 벌어진 테이퍼형상으로 한 것으로 이로써 가이드링이 상기한 공간내로 들어감에 상관없이 릴에서 나온 라인이 스무스하게 가이드링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에 기재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좌우양 사이드 브릿지의 전후양단부 이외의 부분을 재료인 금속판의 옆테두리가 상하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구부림에 견디는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도 프레임의 박형화와 가로폭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도록 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에 기재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링지지편을 프레임의 후단부 또는 그 근처에 돌출시켜 낚싯대에서 멀어짐에 따라 앞쪽으로 기운 모양으로 뻗어 선단부가 상기 좌우의 사이드 브릿지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마련하고 이 링지지편의 선단부에 가이드링을 지지시킨 것이다. 따라서 링지지편에 라인이 엉켜도 그 엉킴을 자동적으로 풀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에 기재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링지지편의 기단부를 좌우 양사이드 브릿지에 연결하고 이 링지지편의 선단부에 가이드링을 지지하도록 하고 가이드링을 지지하는 부위를 이용하는 것으로 프레임을 보강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에서 기재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사이드브릿지 중 라인도입공과 대응하는 부분을 등이 낮고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함으로써 라인도입공에 라인이 지나가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선단가이드를 장착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 - 도 1에 도시하는 선단가이드를 낚싯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도시하는 확대사시도.
도 3 - 도 1에 도시하는 선단가이드를 낚싯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확대평면도.
도 4 - 도 1에 도시하는 선단가이드를 낚싯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확대측면도.
도 5 - 도 1에 도시하는 선단가이드의 확대배면도.
도 6 -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선단가이드를 낚싯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7 - 도 6에 도시하는 선단가이드를 낚싯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 8 - 도 6에 도시하는 선단가이드의 확대배면도.
도 9 -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선단가이드를 낚싯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 - 도 9에 도시하는 선단가이드를 낚싯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 - 도 9에 도시하는 선단가이드의 확대배면도.
도 12 -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관한 선단가이드를 낚싯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도시 하는 사시도.
도 13 -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관한 선단가이드를 낚싯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 -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관한 선단가이드를 낚싯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선단가이드 3: 중공통과형 낚싯대
5: 낚싯대 11: 릴
15a: 라인도입공 21: 프레임
21b: (프레임의) 후단부 23: 낚싯대 부착부
25: 링지지편 25a: (링지지편의) 기단부
27: 가이드링 29: 사이드브릿지
29r: (사이드브릿지의) 뒤쪽부위
35: 공간 37: 라인
1A: 선단가이드 29': 사이드브릿지
29'r: (사이드브릿지의)뒤쪽부위 1B: 선단가이드
41: 사이드브릿지
41f: (사이드브릿지의)라인도입공과 대응하는 부분
43: 링지지편 43a: (링지지편의) 선단부
1C: 선단가이드 1D: 선단가이드
43': 링지지편 1E: 선단가이드
다음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를 지나가는 형태의 낚싯대용 선단가이드를 도면에 도시한 각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선단가이드(1)를 도시하는 것이다.
부호 3은 중공통과형 낚싯대를 도시한다(도 1참조). 부호 5는 중공인 낚싯대를 나타내고, 낚싯대(5)의 앞쪽단부에는 잡는부분(7)이 장착되고, 이 잡는부분(7)의 바로 앞쪽 위치에는 릴시트(9)가 장착되고, 이 릴시트(9)에 스피닝릴(11)이 자유롭게 부착,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 도면에서는 중공통과형 낚싯대(3)의 모양에서 스피닝릴(11)은 낚싯대(5)의 위쪽방향에 장착된다.
부호 13 (도 4참조)은 낚싯대(5)에 형성된 링부착공을 나타내고, 이 링부착공(13)은 낚싯대(5)의 긴쪽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여기에 장원형을 한 가이드링(15)이 끼워지게된다. 또한 이 가이드링(15)의 구멍이 라인도입공(15a)이다.
그리고 낚싯대(5)의 내부공간 중 라인도입공(15a)에서 낚싯대 뒤쪽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너가이드가 마련되어있고 낚싯대(5)의 끝쪽선단에는 나팔모양을 한 톱가이드(17)가 장착되어있다.
선단가이드(1)는 프레임(21)과, 전후(낚싯대 앞쪽을 앞쪽이라고 하고, 낚싯대 끝쪽을 뒤쪽이라 함.이하 동일)의 부착다리(23)와, 링지지편(25)과, 가이드링(2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레임(21)과 부착다리(23)와 링지지편(25)은 스테인레스나 티탄 등 녹이 잘 슬지 않는 금속판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또 가이드링(27)은 세라믹이나 서메트, 실리콘카바이트(Sic) 등 경질이며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다.
프레임(21)의 대부분은 좌우 2개의 사이드브릿지(29)만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사이드브릿지(29)는 전후방향으로 길다란 띠판형상을 하고 있고 그 앞단과 뒷단에 있어서 각각 서로 덮도록 연속하는 것으로서 프레임(21)의 전단부(21a)와 후단부(21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사이드브릿지(29)는 그 전 길이에 있어서 뒤쪽의 대략 5분의 1을 이루는 뒷부분(29r)이 뒤로 내려가는 급경사로 기울고 그 나머지 부분을 이루는 앞부분(29f)이 앞쪽으로 내려가는 완만한 경사로 이루어진다.
또 뒷부분(29r)은 그 뒷단에서 앞쪽으로 감에 따라 서로 바깥쪽을 향해 부푼 활을 그리면서 서로 간격을 늘리도록 벌어짐과 동시에 그 뒷면은 서로 약간 안쪽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비틀어져있다. 따라서 이 뒷부분(29r)은 뒤쪽에서 보아 거의 둥근 대략 U자형을 이룸과 동시에 그 대부분의 수평단면은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뒤쪽을 향해 테이퍼형상으로 벌어진 모양으로 되어있다.
사이드브릿지(29)의 앞부분(29f)은 앞쪽으로 감에 따라 좌우측을 좁혀가면서 스트레이트로 뻗어 프레임(21)의 전단부(21a)와 연속하고 그 뒷단은 뒷부분(29r)에 단차없이 연속되고 있다. 그리고 앞부분(29f)에 있어서는 밑면이 서로 안쪽을 향하도록 즉 재료인 금속판의 옆테두리가 상하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부러져있다.
부착다리(23)는 수평한 혀모양을 이루고 프레임(21)의 전후양단부(21a)(21b)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뻗어있다.
링지지편(25)은 옆쪽에서 보아 대략 역 L자모양을 하고 있고 그 상단부(25a)의 좌우양단이 좌우의 사이드브릿지(29)에 연속하고 있다. 이 연속이 이루어지는 위치는 사이드브릿지(29)에서 앞부분(29f)과 뒷부분(29r)이 연속하는 정점부보다 약간 앞쪽 부위이다. 따라서 사이드브릿지(29)의 앞부분(29f)과 링지지편(25)에 의해 앞쪽이 뾰족한 길고 가는 삼각형 모양을 한 큰 구멍(31)이 형성된다.
링지지편(25)중 상단부(25a)에서 아래쪽이나 뒤쪽을 향해 돌출한 부분이 링지지부(25b)이다. 이 링지지부(25b)는 옆쪽에서 보아 사이드브릿지(29)의 뒷부분(29r)보다 약간 앞쪽에 위치하며 뒷부분(29r)과 대략 평행한 모양으로 되어있고 그 선단은 전후의 부착다리(23)가 위치하는 평면에 비교적 근접한 곳까지 뻗어있다. 따라서 링지지부(25b)는 좌우 2개의 사이드브릿지(29)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링지지부(25b)에는 도시하지 않는 원형의 링부착공이 형성되고 그 링부착공에 상기 가이드링(27)이 끼워져 접착된다.
따라서 프레임(21)을 뒤쪽에서 보아 가이드링(27)은 사이드브릿지(22)의 뒷부분(29r)안에 위치하고 그 주위에는 약간의 여유를 갖는다.
선단가이드(1)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이 선단가이드(1)에 있어서는 프레임(21)의 대부분이 띠판형상을 한 좌우 2개의 사이드브릿지(29)만으로 구성되므로 중량이 가볍고, 면적크기도 매우 작아 젖은 라인이 붙을 염려도 적다. 또한 사이드브릿지(29)의 앞부분(29f) 및 뒷부분(29r)의 대부분은 비틀린모양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구부림에 견디는 강도도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좌우의 사이드브릿지(29)는 그 굴곡정점부 부근이 링지지편(25)에 의해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좌우방향에서의 구부림에 견디는 강도도 높아지고 있다.
이와같은 선단가이드(1)는 2개의 부착다리(23)가 라인도입공(15a)의 전후양옆에 따로 위치하도록 낚싯대(5)에 착좌하고 이 상태에서 부착다리(23)에 낚싯대(5)와 함께 묶는 실(33)(도 1참조)을 감아서 접착함으로써 낚싯대(5)에 장착된다. 따라서 좌우의 사이드브릿지(29)는 옆쪽에서 보아 라인도입공(15a)을 낚싯대(5)의 긴쪽방향으로 갈라지도록 위치되며, 라인도입공(15a)의 대부분은 프레임(21)의 구멍(31)을 지나 위쪽방향으로 노출된다.
이와같이 하여 선단가이드(1)가 낚싯대(5)에 부착되면 프레임(21)과 낚싯대(5)에 의해 옆쪽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 모양을 한 공간(35)(도 4참조)이 형성되고 이 공간(35)내에 가이드링(27)이 완전히 들어가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프레임(21)이 무언가에 부딪히는 경우가 있어도 그 충격이 가이드링(27)에 직접 가해질 염려는 전혀 없고 낚싯대(5)에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링(15)에 대해서도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는 없다.
이 중공통과형 낚싯대(3)의 사용에 있어서는 릴(11)에서 나온 라인(37)을 우선 선단가이드(1)의 가이드링(27)을 통과한 후 라인도입공(15a)을 거쳐 낚싯대(5)안으로 도입된다. 이 경우 선단가이드(1)의 가이드링(27)은 사이드브릿지(29)의 뒷부분(29r)에서 다소 안쪽으로 들어갈 뿐이므로 가이드링(27)에 라인(37)을 지나가게하는 작업은 프레임(21)에 특별히 방해를 주지않고 쉽게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라인도입공(15a)의 대부분은 위쪽을 향해서는 구멍(31)을 지나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링(27)을 지난 후의 라인(27)을 라인이 지나가는 구멍(15a)으로 지나가게 하는 것에 대해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중공통과형 낚싯대(3)에 의해 장치를 캐스터하면 라인(37)은 릴(11)에서 나선형상의 실밀림을 띠고 나온다. 그리고 이 라인(37)은 좌우의 사이드브릿지(29)사이에 들어간 후 가이드링(27)을 지나가는 것으로 나선형상의 실밀림을 쵸크된다. 이 때 사이드브릿지(29)의 뒷부분(29r)은 뒤쪽을 향해 테이터형상으로 벌어진 모양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나선형상으로 밀린 라인(37)은 사이드브릿지(29)의 안쪽으로 스무스하게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실이 노화되는 등의 어떠한 원인에 의해 사이드브릿지(29)의 뒷부분(29r)에 라인(37)이 감긴 경우는 장치를 가볍게 캐스터하는 등으로 라인(37)에 앞쪽으로의 장력을 부여하면 그 장력에 의해 감은 라인(37)은 뒷부분(29r)의 사면을 미끄러져 자동적으로 풀리게 된다.
도 6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1A)를 나타낸 것이다. 이 선단가이드(1A)가 상기 선단가이드(1)와 비교하여 다른 점은 주로 사이드브릿지의 전체에 큰 비틀림을 줄 뿐이다. 따라서 설명은 상기 차이점에 대해서만 행하고 그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의 각 부에 상기 선단가이드(1)에서 동일부위에 붙인 부호와 같은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같은 부호의 사용방법과 그 의미는 뒤에설명하는 제 3에서 6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사이드브릿지(29')의 전후양단을 제외한 대부분은 전후방향에서 보아 서로 위쪽으로 퍼지는 V자형을 이루도록 비틀어져있다.
따라서 사이드브릿지(29')의 구부림에 견디는 강도를 상당히 높게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재료로서의 금속판을 얇게할 수 있어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사이드브릿지(29')가 V자형을 이루도록 비틀어진 만큼 좌우폭을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옆쪽으로 나오는 것이 적어져 그 만큼 라인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관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의 선단가이드(1B)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선단가이드(1B)가 상기 선단가이드(1)와 비교하여 다른 점은 주로 사이드브릿지의 형상과 링지지편의 돌출방향뿐이다.
이 선단가이드(1B)에 있어서 프레임(21)도 전후방향으로 길다란 띠판형상을 한 좌우 2개의 사이드브릿지(41)로 이루어지고, 사이드브릿지(41)는 그 전단과 후단에 있어 각각 서로 덮도록 연속하여 프레임(21)의 전단부(21a)와 후단부(21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사이드브릿지(41)는 그 전후양단부를 제외한 전체에 있어서 재료인 금속판의 두께방향이 일치하는 모양으로 서로 평행하게 뻗도록 가공되어 있는 것으로 위쪽에서의 충격에 대한 구부림에 견디는 강도는 매우 높아지고 있다.
또 사이드브릿지(41)의 전 길이의 뒤쪽 대략 3분의 1을 이루는 뒷부분(41r) 은 옆쪽에서 보아 위쪽을 향해 부푼 반원형을 이루도록 구부러지며, 그 나머지부분을 이루는 앞부분(41f)은 등이 낮은 상태로 수평으로 뻗어있다. 그리고 뒷부분(41r)은 뒤쪽에서 보아 서로 바깥쪽을 향해 부푼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구부러져있다.
부호 43은 링지지편을 나타낸다. 이 지지편(43)은 프레임(21)의 뒷단부(21b)에서 위로 기울어져 앞쪽을 향해 돌출하고, 그 선단부(43a)는 좌우의 사이드브릿지(41)의 각 뒷부분(41r)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선단부(43a)에 가이드링(27)이 장착되어있다. 따라서 프레임(21)을 뒤쪽에서 보아 가이드링(27)은 사이드브릿지(41)의 뒷부분(41r)안에 위치하고 그 주위에는 약간의 여유를 두고 있다(도 11참조).
이와같이 구성된 선단가이드(1B)에 있어서는 사이드브릿지(41)의 앞부분(41f)은 등이 낮고 수평으로 뻗어있기 때문에 프레임(21)의 윗면에서 라인도입공(15a)까지의 깊이가 매우 얕고 따라서 라인도입공(15a)에 라인(37)을 지나가게 하기 위한 작업이 쉬우며 또한 가이드링(27)의 외적충격으로부터의 보호는 사이드브릿지(41)의 뒷부분(41r)이 하고 있다.
그리고 링지지편(43)은 위로 기울어져 앞쪽을 향해 돌출한 모양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이 링지지편(43)에 라인(37)이 엉켜도 라인(37)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는 자동적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관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1C)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선단가이드(1C)는 상기 선단가이드(1)에서 사이드브릿지(29)와, 상기 선단가이드(1B)에서 링지지편(43)을 짜 맞춘 것으로 링 지지편(43)의 선단부(43a)는 좌우 양 사이드브릿지(29) 사이에 위치하고 이 선단부(43a)에 가이드링(27)이 장착되어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관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1D)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선단가이드(1D)가 상기 제 3실시예에 도시한 선단가이드(1B)와 비교하여 다른 점은 링지지편을 사이드브릿지와 연속시킨 점뿐이다.
즉 이 선단가이드(1D)에 있어서 링지지편(43')은 그 좌우양측부의 전체가 좌우의 사이드브릿지(41)의 뒷부분(41r)과 연속된 벽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링지지편(43')의 선단부에 있어서 중간위치에 가이드링(27)이 장착되어있다. 따라서 사이드브릿지(41)의 뒷부분(41r) 및 지지편(43')은 서로 강도를 높이고 또한 링지지편(43')에 라인(37)이 엉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관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1E)를 나타낸 것이다. 이 선단가이드(1E)가 상기 제 3실시예에 도시한 선단가이드(1B)와 비교하여 다른 점은 링지지편의 일부만을 사이드브릿지와 연속시킨 점뿐이다.
즉 이 선단가이드(1E)에 있어서는 링지지편(43)의 좌우양측 테두리의 선단근처의 부분만을 작은 연결브릿지(45)를 통해 사이드브릿지(41)의 뒷부분(41r)과 연속시키고 있다. 이와같은 수단에 의해서도 사이드브릿지(41)의 뒷부분(41r) 및 링지지편(43)이 서로 강도를 높이고 링지지편(43)에 라인(37)이 엉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링지지편(43)의 전체를 사이드브릿지(41)와 연속시키는 경우에 비해 중량의 증가가 적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구체적은 구성은 본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의 변경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들어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레임을 좌우 2개의 사이드브릿지만으로 구성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좌우의 사이드브릿지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덧붙여서 보강하는 것 등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는 낚싯대 부착부를 묶는 식으로 했지만 이 낚싯대 부착부는 소위 파이프식이 아니라도 좋다. 그러나 중량을 될 수 있는 한 가볍게 하기 위해서는 묶는 식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사이드브릿지를 그 옆테두리가 상하방향의 성분을 포함한 방향으로 비튼 경우의 정도는 재료인 금속판의 두께나 강성 내지 사이드브릿지의 길이 등에 따라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정도로 규정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타입의 중공통과형 낚싯대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가운데를 지나가는 낚싯대용 선단가이드에 있어서는 릴에서 나온 라인이 제일 먼저 지나가는 가이드링은 프레임의 좌우 양 사이드 브릿지와 낚싯대로 형성되는 공간내에 들어가게 되므로 이 가이드링을 외적 충격에서 완전히 보호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이 라인도입공을 낚싯대의 긴쪽방향으로 갈라지도록 위치하는 타입의 것에 있어서는 라인도입공으로서의 가이드링도 보호할 수 있다.
또 프레임은 띠판형상을 한 사이드브릿지로 이루어지므로 프레임의 질량과 면적크기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중량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라인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도입공은 좌우의 사이드브릿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위쪽을 향해 노출되기 때문에 이 라인도입공에 라인을 지나가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링은 프레임의 전후방향에 있어 중간 및 뒤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프레임과 낚싯대로 형성된 공간중 뒷단에서 가이드링에 이를 때 까지의 깊이는 비교적 얕으며 따라서 가이드링이 상기한 공간내에 들어가 있음에 관계없이 릴에서 나온 라인을 가이드링에 지나가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좌우의 사이드브릿지 중 가이드링과 대응한 위치에서 뒤쪽 부위는 뒤쪽 즉 릴이 마련되는 쪽을 향해 테이퍼모양으로 벌어져 있기 때문에 가이드링이 상기한 공간내에 들어가 있음에 관계없이 릴에서 나온 라인은 프레임의 안쪽으로 스무스하게 들어가 가이드링을 지나갈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좌우양 사이드브릿지의 전후양단부 이외의 부분은 재료인 금속판의 옆테두리가 상하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띠판형상임에도 불구하고 구부림에 견디는 강도를 상당히 높일 수 있으며 그 만큼 재료를 얇게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사이드브릿지가 이와같은 모양으로 되는 것에 의해 좌우폭을 작게할 수 있어 그만큼 실이 잘엉키지 않게 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링지지편은 프레임의 뒷단부 또는 그 근처에서 돌출하고 또한 낚싯대에서 멀어짐에 따라 앞쪽으로 기운 모양으로 뻗어 있으며 선단부는 상기 좌우의 사이드브릿지의 안쪽에 위치하고 이 링지지편의 선단부가 가이드링을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링지지편에 라인이 엉켜도 대부분의 경우 그 엉킨 라인은 장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링지지편을 미끄러져 자동적으로 풀리게 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좌우양 사이드브릿지의 정점부 근처는 링지지편에 의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강도가 높아지고 또한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한 특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중량이 늘어나는 경우도 없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브릿지 중 적어도 라인도입공과 대응하는 부분은 등이낮고 수평으로 뻗기 때문에 이 부위에 있어서는 프레임의 안쪽 공간의 깊이가 얕고 따라서 라인도입공으로 라인을 도입하기 위한 작업을 프레임에 방해를 주지않고 쉽게할 수 있다.

Claims (8)

  1. 릴에서 나온 라인이 낚싯대의 라인도입공에 이르는 사이의 라인주행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로서, 띠판형상을 한 좌우의 사이드브릿지를 갖고 옆쪽에서 보아 라인도입공을 낚싯대의 긴쪽방향에서 갈라지도록 위치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전후양단에 따로 연속하는 낚싯대 부착부와, 이 낚싯대 부착부가 낚싯대에 착좌한 상태에서 낚싯대와 좌우양 브릿지로 구획되는 공간내에 돌출된 링지지편과, 이 링지지편에 고정되어 릴에서 나온 라인이 처음 지나가는 가이드링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2. 릴에서 나온 라인이 낚싯대에 형성된 라인도입공에 이르는 사이의 라인주행 경로를 안내하기위한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로서, 띠판형상을 한 좌우의 사이드브릿지를 갖고 라인도입공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전후양단에 따로 연속한 낚싯대 부착부와, 이 낚싯대 부착부가 낚싯대에 착좌한 상태에서 낚싯대와 좌우 양 브릿지로 구획되는 공간내에 돌출한 링지지편과, 이 링지지편에 고정되어 릴에서 나온 라인이 제일 먼저 지나가는 가이드링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링지지편의 선단부는 프레임의 전후방향에서 중간보다 뒤쪽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 사이드브릿지 중 가이드링과 대응한 위치에서 뒤쪽 부위를 뒤쪽으로 벌어진 테이퍼모양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양 사이드브릿지의 전후 양단부 이외의 부분은 재료인 금속판의 옆테두리가 상하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지지편은 프레임의 후단부 또는 그 근처에서 돌출하고 또한 낚싯대에서 멀어짐에 따라 앞쪽으로 기운 모양으로 뻗어 있으며 선단부가 상기 좌우의 사이드브릿지의 안쪽에 위치하고, 이 링지지편의 선단부에 가이드링을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지지편의 기단부를 좌우 양 사이드브릿지에 연결하고, 이 링지지편의 선단부에 가이드링을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8. 제 1항 또는 제 3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이드브릿지중 라인도입공과 대응하는 부분은 등이 낮고 수평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KR1019980014425A 1997-05-13 1998-04-23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KR19980086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9250A JPH10313736A (ja) 1997-05-13 1997-05-13 中通し型釣竿用の入口ガイド
JP97-139250 1997-05-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637A true KR19980086637A (ko) 1998-12-05

Family

ID=1524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425A KR19980086637A (ko) 1997-05-13 1998-04-23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313736A (ko)
KR (1) KR199800866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2136B2 (ja) * 2005-06-09 2011-03-16 富士工業株式会社 ラインガイド用フレームおよび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13736A (ja) 1998-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36388Y2 (ko)
JP2000253778A (ja) 釣竿用ラインガイドと釣竿
KR100235775B1 (ko) 낚시대용 도사환
JP3093986B2 (ja) 釣竿用トップガイド
JPH07284360A (ja) 中通し竿
KR19980086637A (ko) 중공통과형 낚싯대용 선단가이드
JP2916400B2 (ja) 釣竿用導糸環
US2775054A (en) Line guide for fishing rod
JPH10290649A (ja) 釣魚用投竿
JPH10127213A (ja) 中通し竿用糸導入ガイド
JP2579388B2 (ja) 中通し釣竿
GB2307386A (en) Fishing line guides
JP2844527B2 (ja) 釣竿用導糸環
JP2919798B2 (ja) 釣竿用導糸環
JP2916430B2 (ja) 釣竿用導糸環
JP2000333562A (ja) 釣糸ガイド
KR100257726B1 (ko) 낚싯대용 도사환
JP3652090B2 (ja) 釣糸ガイドを装着した釣竿と釣糸ガイド
JP3934452B2 (ja) 外ガイドを有する釣竿
JP2602626Y2 (ja) 中通し釣竿
JP2844526B2 (ja) 釣竿用導糸環
JP4129983B2 (ja) 釣竿
JP2004105006A (ja) 中通し竿
JP2605389Y2 (ja) 中通し釣竿
JP2586503Y2 (ja) 中通し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