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699B1 - 중통형(中通形)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Line guide for an interline fishing rod) - Google Patents

중통형(中通形)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Line guide for an interline fishing r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699B1
KR100230699B1 KR1019950017730A KR19950017730A KR100230699B1 KR 100230699 B1 KR100230699 B1 KR 100230699B1 KR 1019950017730 A KR1019950017730 A KR 1019950017730A KR 19950017730 A KR19950017730 A KR 19950017730A KR 100230699 B1 KR100230699 B1 KR 100230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guide
fishing
fishing ro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190A (ko
Inventor
게이스케 야베
히로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기가이샤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기가이샤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시조
Publication of KR960013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A01K87/005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comprising internal line guides

Abstract

중통형 낚싯대용의 낚싯줄 도입가이드에 있어서,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 낚싯줄 도입가이드는, 낚싯줄이 끼워통하는 내부경로를 가지는 중통형 낚싯대에 장착되고, 릴(3)로부터의 낚싯줄을 내부경로의 낚싯줄 도입구(1a)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로서, 앞뒤의 고정부(10,11)와, 연결부(12)를 가지고 있다.
앞뒤의 고정부(10,11)는 양 끝단에 형성되고, 밑대(1)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연결부(12)는 앞뒤의 고정부(10,11)를 연결함과 동시에, 릴(3)로부터의 낚싯줄이 끼우기 가능하고 이 낚싯줄을 낚싯줄 도입구(1a)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15)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중통형(中通形)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채용한 중통형 낚싯대의 측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낚싯줄 도입가이드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낚싯줄 도입가이드의 사시도,
제4도는 제2실시예의 제2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5도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3실시예의 제2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7도는 제4실시예의 제2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8도는 제5실시예의 사시도,
제9도는 각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낚싯줄 도입가이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밑대 1a : 낚싯줄 도입구
2 : 낚싯대 몸체 3 : 릴
4,20,35,50,65,70 : 낚싯줄 도입가이드
10,21,36,51,66a,71 : 앞고정부
11,22,37,52,66b,72 : 뒤고정부
12,23,38,53,67,73 : 연결부
15,24,27,40,41,58,59,60,68,74 : 가이드부
16 : 관통구멍 17,25,28,42,43 : 경질링
26,30 : 중간지지부재 27,41,59,60 : 부가이드부
31 : 수지 36a,66c : 개구
55 : 제1브리지부 56 : 제2브리지부
57 : 계곡부 66 : 고정부재
67a,67b : 개구부
본 발명은, 낚싯줄 도입가이드, 특히 낚싯줄이 끼워져서 통하는 내부경로를 가진 중통형(中通形) 낚싯대에 장착되고, 릴로부터의 낚싯줄을 내부경로의 낚싯줄 도입구로 안내하기 위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대 몸체의 내부에 낚싯줄의 내부경로를 가짐과 동시에, 앞쪽에 내부경로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낚싯줄 도입구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릴로부터의 낚싯줄은 낚싯줄 도입구를 통하여 낚싯대 몸체내부의 경로로 도입되고, 다시 낚싯대 몸체의 앞끝단쪽의 개구로 유도된다.
이 종류의 중통형 낚싯대에 잇어서, 스파이닝 릴을 사용하여 캐스트할 때에는, 낚싯줄이 릴에 감기는 습성에 의해 나선형상으로 되어서 나간다. 이 낚싯줄의 감기 기습성을 해소하고 낚싯줄 도입구로 낚싯줄을 유도하기 위하여, 일본국 실개소 61-60676호 공보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과 낚싯줄 도입구의 사이에 가이드가 설치된 낚싯대가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가이드는, 낚싯대에 장착된 다리부와 다리부의 앞끝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낚싯줄 끼움부를 가지고 있다. 다리부는 일반적으로 선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컨대 측면에서 보아 역 V자형상이다. 또 링형상의 낚싯줄 이탈하거나, 다리부가 부러지고 구부러지기 쉽다. 또 다리부와 낚싯줄 끼움부가 판자형상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낚싯대와의 고정부분이 1개소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싯줄 끼움부가 끼움부를 판자형상부재로 일체로 형성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다리부는 낚싯대에 대하여 1개소에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이드에서는, 특히 낚싯줄 끼움부가 낚싯대 몸체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므로, 낚싯줄 끼움부과 끼움부는 다리부의 앞끝단에 예컨대 납땜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와 낚싯줄 다른 부재에 걸리거나 충돌하기 쉽고, 선재로 형성된 다리부로부터 낚싯줄 끼움부가 다른 부재에 충돌하면 구부러지기 쉽다.
또한, 낚싯줄 끼움부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대하여, 낚싯줄 끼움부와 낚싯대 사이의 다리부는 역 V자형상 혹은 I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릴로부터 풀려나온 낚싯줄에, 이른바 흔들림이 생기면, 흔들린 낚싯줄이 링 형상의 낚싯줄 끼움부와 다리부 사이의 목부에 얽히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흔들린 낚싯줄이 가이드에 얽히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릴로부터의 낚싯줄의 감기 기습성을 보다 적게 하여 낚싯줄 도입구로 낚싯줄을 안내하는 것에 있다.
본 제1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는, 낚싯줄이 끼워 통하는 내부경로를 가지는 중통형 낚싯대에 장착되고, 릴로부터의 낚싯줄을 상기 내부경로의 낚싯줄 도입구로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도입가이드로서, 앞뒤의 고정부와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앞뒤의 고정부는 양 끝단에 형성되고, 중통형 낚싯대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연결부는 앞뒤의 고정부와 앞뒤의 고정부를 연결함과 동시에, 릴로부터의 낚싯줄이 끼우기 가능하고 이 낚싯줄을 낚싯줄 도입구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다.
본 제2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는, 제1발명의 낚싯줄 도입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앞뒤의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제3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는, 제1발명 또는 제2발명의 낚싯줄 도입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낚싯줄 도입구의 위편에서 바깥편으로 구부러지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릴쪽의 경사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제4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는, 제1발명 또는 제2발명의 어느 낚싯줄 도입가이드에 있어서, 한 끝단이 상기 연결부에, 다른 끝단은 상기 중통형 낚싯대의 앞고정부 부착부와 뒤고정부 부착부 사이에 각각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의 가이드부를 끼운 낚싯줄을 상기 낚싯줄 도입구로 안내하는 부가이드부를 가지는 중간지지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있다.
본 제5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는, 제4발명의 낚싯줄 도입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가이드부와 중간지지부재의 부가이드부는 각각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부가이드부의 관통구멍은 가이드부의 관통구멍보다도 내경이 작다.
본 제6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는, 제1발명 또는 제2발명의 낚싯줄 도입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낚싯줄 도입구보다는 릴쪽에서 아치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는 릴쪽의 경사부에 형성되고, 상기 아치형상연결부의 낚싯줄 도입구쪽의 경사부에 형성된 부가이드부를 더욱 구비하고 있다.
본 제7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는, 제6발명의 낚싯줄 도입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가이드부 및 부가이드부는 각각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부가이드부의 관통구멍은 가이드부의 관통구멍보다 내경이 작다.
본 제8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는, 제1발명 또는 제2발명의 낚싯줄 도입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뒤고정부에 연속해서 아치형상으로 형성된 제1브리지부와 상기 앞고정부 및 제1브리지부에 연속하고 또한 상기 낚싯줄 도입구의 위편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브리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1브리지부와 제2브리지부 사이의 계곡부의 하면은 중통형 낚싯대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브리지부의 릴쪽의 경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브리지부의 낚싯줄 도입구쪽의 경사부에 형성된 제1부가이드부와, 상기 제2브리지부의 릴쪽의 경사부의 형성된 제2부가이드부를 더욱 구비하고 있다.
본 제9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는, 제8발명의 낚싯줄 도입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제1부가이드부 및 제2부가이드부는 각각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각 가이드부의 관통구멍은 상기 도입구에 가까울수록 그 내경이 작게 되어 있다.
본 제10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는, 제1발명 또는 제2발명의 낚싯줄 도입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가이드부의 상부 및 하부의 적어도 한쪽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제1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앞뒤의 고정부가 낚싯대에 고정된다. 그리고 릴로부터의 낚싯줄은 앞뒤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안내되어서 중통형 낚싯대의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되고, 다시 내부경로를 통과하여 낚싯대 앞끝단의 개구로부터 도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앞 뒤 2곳에서 낚싯대의 고정되므로, 강도상 안정하고 있다. 더구나 앞뒤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부가 다른 부재에 충돌하더라도 가이드부가 꺽이고 구부러지는 일이 적다. 또한 종래구조와 같은 목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낚싯줄 흔들림이 생겨도 낚싯줄의 걸림을 적게 할수 있다.
본 제2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앞뒤의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 각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강도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요철을 적게 하고 낚싯줄의 걸림을 보다 적게 할수 있다.
본 제3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낚싯줄 도입구의 위편에서 바깥편으로 구부러지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낚싯줄은, 이 아치형상 연결부의 릴쪽 경사부에 형성된 가이부에 안내되고, 아치형상 연결부의 아래편에 위치하는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된다. 여기서는 연결부가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부가 매끄럽게 돌출하게 되며, 연결부로의 낚싯줄의 걸림이 보다 적어진다. 또 연결부가 강도가 높다.
본 제4발명에 관계된 중통 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앞뒤의 고정부 사이에 중간지지부재가 더욱 구비되어 있다. 낚싯줄은 연결부의 가이드부에 안내되고, 또한 중간 지지부의 부가이드부에 안내되어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된다. 여기서는 2개의 가이드부에 의해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적게하여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제5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낚싯줄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연결부의 가이드부 및 중간지지부재의 부가이드부의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된다. 이때 가이드부의 관통구멍 및 부가이드부의 관통구멍은 차례로 내경이 작아져 있다. 이 때문에 릴에 의하여 감기기습성이 붙은 낚싯줄은 서서히 그 감기기습성이 교정되어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된다. 따라서 낚싯줄의 뒤얽힘이 적어진다.
본 제6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낚싯줄 도입구보다도 릴쪽에서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낚싯줄은 아치형상 연결부의 릴쪽 경사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안내되고, 또한 낚싯줄 도입구쪽 경사부에 형성된 부가이드부에 안내되어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된다. 여기서는 2개의 가이드부에 의하여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적게 하여서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제7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제 5발명과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부의 가이드부 및 부가이드부의 관통구멍의 내경이 서서히 작게 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서서히 교정하면서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제8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상기 연결부가 2개의 연속하는 아치형상부분을 가지고 있다. 낚싯줄은 릴쪽의 브리지부의 양 경사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안내된 후, 다시 다른편의 브리지부의 릴쪽 경사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안내되어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한다. 여기서는 3개의 가이드부에 안내되므로, 낚싯줄의 감기기 습성을 보다 적게 하여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할 수 있다. 또 2개의 브리지부 사이의 계곡부가 낚싯대 외주면에 맞닿아 있으므로, 연결부의 강도가 높아진다.
본 제9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도입 가이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 가이드부의 관통구멍이 낚싯줄 도입구에 가까워짐에 따라 내경이 작게 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보다 적게 하여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제10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는, 연결부의 가이드부의 상부 및 하부의 적어도 한쪽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구부를 통하여 낚싯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연결부의 릴측의 경사부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앞고정부 부착부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면 개구에서 이어지는 낚싯줄을 확인하기 쉽다.
[실시예]
[제1실시예]
제1도에 도시한 중통형 낚싯대는 통형상의 밑대(1)와, 밑대(1)의 앞끝단쪽에 빼내기형식으로 연결된 복수의 통형상의 낚싯대 몸체(2)를 가지고 있다. 밑대(1)의 전단부에는 낚싯줄 도입구(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낚싯줄 도입구(1a)로부터 낚싯대 몸체의 내부로 도입된 낚싯줄은, 낚싯대 몸체의 내부경로를 통과하여 초릿대의 앞끝단 개구로부터 도출된다. 밑대(1)의 앞쪽에는 스파이닝 릴(3)이 장착가능하고, 또 밑대(1)의 앞끝단에는 낚싯줄 도입가이드(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밑대(1)에는 끝쪽의 복수의 낚싯대 몸체(2)를 수납가능하다.
제2도의 (a), (b)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도입가이드(4)는 파이프재의 축방향 중간부를 절결함과 동시에 절결된 부분을 바깥편으로 구부려 형성한 것으로서, 통형상의 앞고정부(10)와, 마찬가지로 통형상의 뒤고정부(11)와, 앞뒤의 고정부(10,11)를 연결하는 연결부(12)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12)는 앞뒤의 고정부(10,11)로부터 매끈하게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도의 (a)에서와 같이, 축방향 중간부는 그 앞뒤의 부분에 비교하여 서서히 폭이 좁아져 있다. 또 이 낚싯줄 도입가이드(4)는 낚싯줄 도입구(1a)의 위편에 아치형상 연결부(12)의 전방쪽 경사부가 위치하도록 밑대(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아치형상 연결부(12)의 릴쪽(후방쪽) 경사부에 가이드부(15)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15)는 연결부(12)에 형성된 관통구멍(16)과, 관통구멍(16)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진 경질링(17)을 가지고 있다.
이 낚싯줄 도입가이드(4)를 사용할 경우는, 릴(3)에서 풀려나온 낚싯줄을 가이드부(15)로 보낸 후에, 낚싯줄 도입구(1a)로 유도한다. 낚싯줄 도입구(1a)로부터 낚싯대 내부에 삽입된 낚싯줄은, 낚싯대 내부의 경로를 통과하여 끝쪽에 유도되고, 초릿대의 앞끝단 개구로부터 도출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낚싯줄 도입가이드(4)에서는,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앞뒤의 고정부(10,11) 및 연결부(12)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다. 또 제조공정도 간략화된다.
또, 앞뒤의 고정부(10,11)에 의해 낚싯대에 지지되므로, 연결부(12)가 다른 부재에 충돌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구부러지거나 하는 일이 적다. 또한 연결부(12)는 아치현상으로 형성되고, 앞뒤의 고정부(10,11)에 매끈하게 연속하고 있으므로, 릴로부터 풀려나온 낚싯줄이 움직였을 경우에도 연결부(12) 등에 흔들린 낚싯줄이 얽히는 일은 없다.
[제2실시예]
제4도에 도시한 낚싯줄 도입가이드(2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앞뒤의 고정부(21,22)와, 연결부(23)를 가지고 있다. 또 연결부(23)의 릴쪽 경사부에는 가이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4)는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경질링(25)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한 끝단이 연결부(23)의 전부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이 밑대(1)에 고정된 아치형상의 중간지지부재(26)를 가지고 있다. 중간지지부재(26)의 다른 끝단은 앞뒤의 고정부(21,22)가 고정된 부분의 중간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지지부재(26)의 릴쪽 경사부에는 부가이드부(27)가 설치되어 있다. 부가이드부(27)는 가이드부(24)와 마찬가지로,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경질링(28)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부가이드부(27)의 경질링(28)의 내경은, 가이드부(24)의 경질링(25)의 내경에 비하여 작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연결부(23)에 중간지지부재(26)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연결부(23)의 강도가 보다 높아진다. 또힌 낚싯줄은 2개의 가이드부(24,27)를 통하여 낚싯줄 도입구(1a)에 유도되므로,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적게 하여서 낚싯줄 도입구(1a)까지 유도할 수 있다. 더구나 가이드부(24)의 경질링(25)의 내경과 부가이드부(27)의 경질링(28)의 내경은 차례로 지름이 작게 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서서히 교정하면서 낚싯줄 도입구 (1a)까지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제5도에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연결부(23)에 중간지지부재(30)가 고정되어 있다. 중간지지부재(30)의 형상은 제4도에 도시한 것과 대략 마찬가지로서, 아치현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쪽의 한 끝단부는 연결부(23)의 하면에, 다른 끝단쪽은 밑대(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릴쪽 경사부의 아래면(이면)에는 수지(31)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낚싯꾼이 중간지지부재(30)와 밑대(1)의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낚싯대를 조작할 경우라도, 손가락이 중간지지부재(30)의 에지 등에 직접 닿아서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제6도에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낚싯줄 도입가이드(35)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파이프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통형상의 앞고정부(36) 및 뒤고정부(37)와, 앞뒤의 고정부(36,37)를 연결하는 연결부(38)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38)는 앞뒤의 고정부(36,37)로부터 매끈하게 바깥편으로 아치형상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축방향 중간부는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의 낚싯줄 도입가이드(35)는, 아치형상 연결부(38)가 낚싯줄 도입구(1a)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밑대(1)에 장착되어 있다. 앞고정부(36)에는 낚싯줄 도입구(1a)와 같은 칫수, 혹은 낚싯줄 도입구(1a)보다도 큰 칫수의 개구(3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애 개구(36a)와 낚싯줄 도입구(1a)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아치형 연결부(38)의 릴쪽(후방쪽) 경사부에는 가이드부(40)가 설치되고, 낚싯줄 도입구쪽(전방쪽) 경사부에는 부가이드부(41)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40)는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경질링(42)으 가지고 있다. 또 부가이드부(41)는 마찬가지로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경질링(43)을 가지고 있으며, 부가이드부(41)의 경질링(43)의 내경은 가이두부(40)의 경질링(42)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간단한 구조로 2개의 가이드부를 구성할 수 있고,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보다 적게하여 부드럽게 낚싯줄 도입구(1a)로 유도할 수 있다.
[제4실시예]
제7도에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낚싯줄 도입가이드(50)는, 각각 통형상의 앞고정부(51) 및 뒤고정부(52)와, 이들 고정부(51,52)를 연결하는 연결부(53)를 가지고 있다. 이들 각 부(51,52,53)는 파이브재를 사용하여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53)는 뒤고정부(52)에 연속하여 아치형상으로 형성된 제1브리지부(55)와, 앞고정부(56) 및 제1브리지부(55)에 연속하고 또한 낚싯줄 도입구(1a)의 위편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브리지부(56)를 가지고 있다. 제1브리지부(55)와 제2브리지부(56)와의 사이의 계곡부(57)의 하면은 밑대(1)의 외주면에 닿아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브리지부(55)의 릴쪽 경사부 및 낚싯줄 도입구쪽 경사부와, 제2브리지부(56)의 릴쪽 경사부에는, 각각 상기와 마찬가지의 가이드부(58,59,60)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부(58,59,60)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장착된 경질링을 가지고 있다. 각 가이드부(58,59,60)의 경질링의 내경은, 낚싯줄 도입구(1a)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게 되어 있다.
여기서는, 연결부(53)를 2개의 아치형상 브리지부(55,56)로 구성함과 동시에, 그 사이의 계곡부(57)를 밑대(1)의 외주면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제1실시예에 비교하여 강도가 보다 높아진다.
또, 3개의 가이드부에 의해 낚싯줄을 안내하므로, 낚싯줄을 낚싯줄 도입구(1a)에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가이드부의 경질링의 내경은 낚싯줄 도입구(1a)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게 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보다 해소할 수 있다.
[제5실시예]
제8도에 또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낚싯줄 도입가이드(65)는, 앞뒤의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낚싯줄 도입가이드(65)는, 통형상의 고정부재(66)와 고정부재(66)에 납땜된 아치형상의 연결부(67)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재(66)의 앞부분은 앞고정부(66a)로서 기능하고, 뒷부분은 뒤고정부(66b)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고정부재(66)의 윗면에는 밑대(1)의 낚싯줄 도입구(1a)와 같던가 혹은 그 보다 큰 칫수의 개구(66c)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67)는 전방쪽의 경사부가 개구(66c)의 뒤편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연결부(67)의 릴쪽 경사부에는 가이드부(68)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68)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경질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결부(67)의 릴쪽 경사부에 있어서, 가이드부(68)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개구부(67a,67b)가 형성되어,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다른예]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앞뒤의 고정부를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앞뒤의 고정부의 형상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9도에 도시한 낚싯줄 도입가이드(70)는,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앞뒤의 고정부(71,72)와, 이들을 연결하는 아치형상의 연결부(73)로 구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73)의 릴쪽 경사부에는 가이드부(7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앞뒤의 고정부(71,72)가 완전한 통형상은 아니라 원호형상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조립을 낚싯대의 대하여 위방향에서 행할 수 있어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제1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전후 2개소에서 낚싯대에 고정되므로 강도상 안정되어 있다. 더구나 연결부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가 다른부재에 충돌하더라도 가이드부의 손상이 적다. 또한 종래구조와 같은 목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낚싯줄의 걸림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제2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연결부와 앞뒤의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다. 또 각 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강도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요철을 적게 하여 낚싯줄의 걸림을 보다 적게 할수 있다.
본 제3발명에 관계된 중통현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연결부가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부가 매끈하게 돌출하게되며, 연결부로의 낚싯줄의 걸림이 보다 적어진다. 또 연결부의 강도가 높다.
본 제4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앞뒤의 고정부 사이에 중간지지부재가 더욱 구비되고, 낚싯줄은 가이드부 및 부가이드부에 안내되어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되므로,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적게 하여 낚싯줄 도입구로 안내할 수 있다.
본 제5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가이드부의 관통구멍 및 부가이드부의 관통구멍을 차례로 지름이 작게 되어 있으므로, 릴에 의해 감기기습성이 붙은 낚싯줄은 서서히 그 감기기습성이 교정되어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된다. 따라서 낚싯줄의 얽힘이 적어진다.
본 제6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낚싯줄은 아치형상 연결부의 릴쪽 경사부의 가이드부 및 낚싯줄 도입구쪽 경사부의 부가이드부에 안내되므로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제7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제5발명과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부의 가이드부 및 부가이드부의 관통구멍의 지름이 서서히 작게 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서서히 고정하면서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제8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연결부가 2개의 연속하는 아치형상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낚싯줄은 3개의 가이드부에 안내되므로,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 2개의 브리지부 사이의 계곡부가 낚싯대 외주면에 닿아 있으므로, 연결부의 강도가 높아진다.
본 제9발명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 가이드부의 관통구머이 낚싯줄 도입구에 가까워짐와 따라 지름이 작게 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의 감기기습성을 더욱 적게하여 낚싯줄 도입구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제10발명에 관계에 관계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에서는, 연결부의 가이드부의 상부 및 하부의 적어도 한쪽에 개구부가 현성되어 있으므로, 개구부를 통하여 낚싯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연결부의 릴측의 경사부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앞고정부 부착부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면 개구에서 이어지는 낚싯줄을 확인하기 쉽다.

Claims (10)

  1. (정정) 낚싯줄이 끼워통하는 내부경로를 가지는 중통형 낚싯대에 장착되고, 릴로부터의 낚싯줄을 상기 내부경로의 낚싯줄 도입구로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도입가이드로서, 양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중통형 낚싯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앞뒤의 고정부(10,11;21,22;36,37;51,52;66a,66b;71,72)와, 상기 앞뒤의 고정부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릴(3)로부터의 낚싯줄이 끼우기 가능하고 이 낚싯줄을 상기 낚싯줄 도입구(1a)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15,24,40,58,68,74)를 가지는 연결부(12,23, 38,53,67,73)를 구비한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23,38,53,67,73)는 상기 앞뒤의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
  3.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23,38,53,67,73)는 상기 낚싯대 도입구의 위편에서 바깥편으로 구부러지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릴쪽의 경사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
  4.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 끝단은 상기 연결부(23)에, 다른 끝단은 상기 중통형 낚싯대의 앞고정부(21)의 부착부와 뒤고정부(22)의 부착부 사이에 각각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의 가이드부를 끼워 통한 낚싯줄을 상기 낚싯줄 도입구로 안내하는 부가이드부(27)를 가지는 중간지지부재(26)를 더욱 구비하고 있는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
  5. (정정)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3)의 가이드부(24)와 중간지지부재(26)의 부가이드부(27)는 각각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부가이드부의 관통구멍의 가이드부의 관통구멍보다도 내경이 작은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
  6.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8)는 상기 낚싯줄 도입구보다도 릴쪽에서 아치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40)는 릴쪽의 경사부에 형성되고, 상기 아치형상 연결부의 낚싯줄 도입구쪽의 경사부에 형성된 부가이드부(41)를 더욱 구비하고 있는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
  7. (정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8)의 가이드부(40) 및 부가이드부(41)는 각각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부가이드부의 관통구멍은 가이드부의 관통구멍보다도 내경이 작은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
  8.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뒤고정부에 연속해서 아치형상으로 형성된 제1브리지부(55)와, 상기 앞고정부 및 제1브리지부(55)에 연속하고 또한 상기 낚싯줄 도입구의 위편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브리지부(56)를 가지며,
    상기 제1브리지부와 제2브리지부 사이의 계곡부(57)의 하면은 중통형 낚싯대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고,
    상기 가이드부(58)는 상기 제1브리지부(55)의 릴쪽의 경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브리지부의 낚싯줄 도입구쪽의 경사부에 형성된 제1부가이드부(59)와, 상기 제2브리지부(56)의 릴쪽의 경사부에 형성된 제2부가이드부(60)를 더욱 구비하고 있는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
  9. (정정)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8), 제1부가이드부(59) 및 제2부가이드부(60)는 각각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각 가이드부의 관통구멍은, 상기 낚싯줄 도입구에 가까울수록 그 내경이 작게 되어 있는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
  10. (신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67)의 가이드부(68)의 상부 및 하부의 적어도 한쪽에 개구부(67a,67b)가 형성되어 있는 중통형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
KR1019950017730A 1994-10-12 1995-06-28 중통형(中通形)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Line guide for an interline fishing rod) KR100230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46283 1994-10-12
JP6246283A JP2735111B2 (ja) 1994-10-12 1994-10-12 中通し竿用糸導入ガイ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190A KR960013190A (ko) 1996-05-22
KR100230699B1 true KR100230699B1 (ko) 1999-11-15

Family

ID=1714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730A KR100230699B1 (ko) 1994-10-12 1995-06-28 중통형(中通形)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Line guide for an interline fishing r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30940A (ko)
JP (1) JP2735111B2 (ko)
KR (1) KR100230699B1 (ko)
CN (1) CN110419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43Y1 (ko) * 2017-10-25 2018-07-31 주식회사 굿시아컴퍼니 베이트 릴 낚싯대의 낚싯줄 안내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4998A (en) * 1995-08-31 2000-12-05 Daiwa Seiko, Inc. Inter-line fishing rod with improved fishline lead-in portion
JP3770349B2 (ja) * 1996-09-06 2006-04-26 株式会社シマノ 中通し竿用糸導入ガイド
JP3691038B2 (ja) * 2000-12-27 2005-08-31 幸雄 高村 釣糸補助ガイド装置
JP2002354966A (ja) * 2001-05-31 2002-12-10 Shimano Inc 中通し竿
JP5474868B2 (ja) * 2011-04-26 2014-04-16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
US10292377B2 (en) 2014-07-31 2019-05-21 James Patrick Stewart Fishing system with dexterity portion
CN113825396A (zh) * 2019-05-16 2021-12-21 普罗特科近海有限责任公司 具有悬挂系统的钓竿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4429A (en) * 1942-06-26 1943-07-13 Rondelli Attilio Fishing pole
US3222811A (en) * 1963-04-04 1965-12-14 George A Henson Handle for fishing rods
US3432958A (en) * 1965-10-24 1969-03-18 Victor Stanley Bellinger Fishing pole
GB1259820A (en) * 1969-10-27 1972-01-12 Abraham Alan Cranst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shing rods
US3760524A (en) * 1972-03-07 1973-09-25 Columbia Prod Co Fishing line guide fastening and method of securing a fishing line guide
US3862509A (en) * 1973-05-30 1975-01-28 Jr John W Petersen Eyeless fishing pole
US4130960A (en) * 1975-11-28 1978-12-26 Bass Handler Products Co., Inc. Fishing rod and handle
US4156319A (en) * 1977-07-28 1979-05-29 Wood Hillyard D Fishing rod guide
US4183163A (en) * 1977-08-22 1980-01-15 Paul Reimer Versatile collapsible fishing rod
US4176488A (en) * 1977-10-28 1979-12-04 Fuji Kogyo Co., Ltd. Line guide ring
US4334379A (en) * 1980-02-11 1982-06-15 Pierre Nelli Fish line guide assembly
US4541197A (en) * 1981-05-08 1985-09-17 Leroue Lloyd J Hollow telescoping fishing rod
US4547991A (en) * 1984-03-26 1985-10-22 Searcy Albert P Fishing line system
JPS6160676A (ja) * 1984-08-30 1986-03-28 Takeda Chem Ind Ltd N−シクロヘキシル−n−メトキシ−2,5−ジメチルフラン−3−カルボキサミドの安定化方法
US5159776A (en) * 1990-07-24 1992-11-03 Dwayne Horton Breech guide
US5040323A (en) * 1990-08-06 1991-08-20 Loretta Hall Fishing device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JPH04100377A (ja) * 1990-08-20 1992-04-02 Toshiba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
JP2961845B2 (ja) * 1990-09-07 1999-10-1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JPH0482961U (ko) * 1990-11-29 1992-07-20
JP2579388B2 (ja) * 1991-02-04 1997-02-0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JPH0523866U (ja) * 1991-07-05 1993-03-3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糸ガイド
JP2522412Y2 (ja) * 1992-07-14 1997-01-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KR950014566B1 (ko) * 1993-04-28 1995-12-08 주식회사은성사 낚시줄 가이드가 결합된 낚시대
US5381619A (en) * 1993-08-06 1995-01-17 Watkins; Ty Hollow fishing rod
US5491881A (en) * 1994-03-28 1996-02-20 Collins; Stuart Process for forming roller guide frames for a fishing line
US5528848A (en) * 1994-03-30 1996-06-25 Shimano Inc. Coupling sleeve for a fishing r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43Y1 (ko) * 2017-10-25 2018-07-31 주식회사 굿시아컴퍼니 베이트 릴 낚싯대의 낚싯줄 안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015A (zh) 1996-09-04
CN1104190C (zh) 2003-04-02
KR960013190A (ko) 1996-05-22
US5930940A (en) 1999-08-03
JPH08107739A (ja) 1996-04-30
JP2735111B2 (ja) 199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1635A (en) Knitting needles with a flexible cord
KR100230699B1 (ko) 중통형(中通形) 낚싯대용 낚싯줄 도입가이드(Line guide for an interline fishing rod)
AU756210B2 (en) Fishing rod and line guide thereof
KR100254705B1 (ko) 낚싯대용 톱가이드
KR100235775B1 (ko) 낚시대용 도사환
JP3770349B2 (ja) 中通し竿用糸導入ガイド
US5598657A (en) Inter-line fishing rod
JP7376403B2 (ja) ワカサギ用釣竿
GB2282946A (en) Fishing rods
JPS6324886Y2 (ko)
JP2003088279A (ja) 中通し竿
JP3666670B2 (ja) 継式中通し釣竿
JP2735111C (ko)
JP4052448B2 (ja) 釣竿
EP0880891B1 (en) Fishing rod
KR100211300B1 (ko) 중통 대
KR0130833Y1 (ko) 릴낚시대의 낚시줄가이드에 사용하는 도사환
JPH1094348A (ja) 中通し竿用糸導入ガイド
JP3534376B2 (ja) 中通し釣竿
JP2003210077A (ja) 中通し竿
KR100257726B1 (ko) 낚싯대용 도사환
JP6694361B2 (ja) 釣竿
GB2317801A (en) Fisfing rod
JP4040771B2 (ja) 釣竿
GB2318962A (en) Inter-line fishing r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