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522B1 - 유화화장료 - Google Patents

유화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522B1
KR102659522B1 KR1020187027762A KR20187027762A KR102659522B1 KR 102659522 B1 KR102659522 B1 KR 102659522B1 KR 1020187027762 A KR1020187027762 A KR 1020187027762A KR 20187027762 A KR20187027762 A KR 20187027762A KR 102659522 B1 KR102659522 B1 KR 102659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mulsion
oil
silicone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476A (ko
Inventor
히로유키 모리야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화화장료로서, (A)모노머단위로서, (I)염기에 의해 중화된, 카르본산, 인산, 또는 설폰산을 갖는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 1~30질량%와, (II)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 또는, 실리콘덴드론기함유 중합성 모노머; 10질량% 이상을 포함하는 구조이며, 주쇄에 아크릴쇄를 갖는 음이온성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 (B)유제, 및 (C)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화장료이다. 이에 따라,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끈적임이 없는 유화화장료가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94938916-pct00017

Description

유화화장료
본 발명은, 유화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유제를 포함한 조성물의 유화에는 계면활성제가 필요하며, 실리콘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널리 검토가 행해져 왔다.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이나 폴리글리세린변성 실리콘이 있다(특허문헌 1~4). 또한, 주쇄에 아크릴구조를 갖는 그래프트형 아크릴실리콘폴리머는 피막형성제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특허문헌 5). 계면활성제로서의 검토도 시사되고 있다(특허문헌 6, 7).
그러나, 이들 실리콘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유화화장료는 안정성이 만족되는 것은 아니고, 경시로 분리나 사용감이 변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포시에 끈적임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어, 그 해결이 요구되고 있었다.
일본특허공개 S61-21232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H05-9313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H10-6685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0-5355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H10-18235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1-13941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2-7208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 유화화장료에 사용되어 왔던 실리콘계면활성제가 갖고 있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즉,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끈적임이 없는 유화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유화화장료로서,
(A)모노머단위로서, 적어도,
(I)염기에 의해 중화된, 카르본산, 인산, 또는 설폰산을 갖는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 1~30질량%과,
(II)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 또는, 실리콘덴드론기함유 중합성 모노머; 10질량%이상을 포함하는 구조이며, 주쇄에 아크릴쇄를 갖는 음이온성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18094938916-pct00001
[상기 식(1) 중, X는 탄소수 6~12의 2가의 방향족기 혹은 -COOR3-이며, 단 R3은 Si와 결합되어 있는 지방족기이며,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서로 동일 혹은 상이하거나, 불소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1가 알킬기, 혹은 아릴기이며, n은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B)유제, 및
(C)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화장료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화화장료이면, 유화안정성이 우수하고, 화장유지가 좋으며, 끈적임이 없는, 산뜻한 감촉의 유화화장료가 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B)유제가 실리콘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B)유제가 실리콘유이면, 유화화장료의 사용감이 더욱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B)유제가 극성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형태가 다상 에멀전인 유화화장료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B)유제가 극성유이면, 얻어지는 유화화장료를 다상 에멀전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D)수계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D)수계 증점제를 포함하는 유화화장료이면, 유화물의 분리를 억제하고, 산뜻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상기 (A)성분 이외의 (E)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A)성분 이외의 (E)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사용성이 우수한 유화화장료가 된다.
또한, 상기 실리콘덴드론기함유 중합성 모노머가 하기 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94938916-pc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8094938916-pct00003
이와 같이, 상기 (II)에 있어서의 실리콘덴드론기함유 중합성 모노머로는, 상기 식으로부터 선택되는 실리콘덴드론기함유 중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성분은 다양한 유제를 안정적으로 유화할 수 있고,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유화화장료를 얻을 수 있어, 이러한 (A)~(C)성분을 함유하는 유화화장료는, 유화안정성이 우수하고, 화장유지가 좋으며, 끈적임도 없고, 산뜻한 감촉의 유화화장료가 된다. 특히 (B)성분으로서 극성유를 배합한 경우, 다상 에멀전으로 할 수 있다. 통상, 다상 에멀전의 제조에는 다단계의 유화스텝이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 얻어진 다상 에멀전은 1단계로 유화가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크림의 W/O 에멀전의 현미경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5의 크림의 다상 에멀전의 현미경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7의 크림의 다상 에멀전의 현미경사진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검토를 행한 결과, 하기 (A)~(C)성분을 함유하는 유화화장료가, 유화안정성이 우수하고, 화장유지가 좋으며, 끈적임도 없고, 산뜻한 감촉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계면활성제로서의 (A) 중의 친수기의 카르본산, 인산, 설폰산이 염기성 물질로 중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 아크릴폴리머 중에서 실리콘이 랜덤으로 그래프트한 형태로 존재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유화화장료로서,
(A)모노머단위로서, 적어도,
(I)염기에 의해 중화된, 카르본산, 인산, 또는 설폰산을 갖는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 1~30질량%와,
(II)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 또는, 실리콘덴드론기함유 중합성 모노머; 10질량% 이상을 포함하는 구조이며, 주쇄에 아크릴쇄를 갖는 음이온성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
[화학식 4]
Figure 112018094938916-pct00004
[상기 식(1) 중, X는 탄소수 6~12의 2가의 방향족기 혹은 -COOR3-이며, 단 R3은 Si와 결합되어 있는 지방족기이며,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서로 동일 혹은 상이하거나, 불소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1가 알킬기, 혹은 아릴기이며, n은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B)유제, 및
(C)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화장료를 제공한다. 이하, (A)~(C)성분, 기타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A) 음이온성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의 (A)성분은, 모노머단위로서, 적어도, (I)염기에 의해 중화된, 카르본산, 인산, 또는 설폰산을 갖는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 1~30질량%, (II)하기에서 나타내는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 또는, 실리콘덴드론기함유 중합성 모노머; 10질량% 이상을 포함하는 구조이며, 주쇄에 아크릴쇄를 갖는 음이온성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이며, 주쇄에 아크릴구조를 갖고, 실리콘이 랜덤으로 그래프트한 구조를 갖는 음이온성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이다.
(I)염기에 의해 중화된, 카르본산, 인산, 또는 설폰산을 갖는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에 있어서의 (A)성분은, 모노머단위(I)로서, 카르본산, 인산, 또는 설폰산을 갖는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가 염기에 의해 중화된 구조단위를 갖는다.
카르본산을 함유하는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푸말산, 말레산 등의 카르본산함유 비닐형 단량체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이다.
인산을 함유하는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로는 애씨드포스폭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클로로-2-애씨드포스폭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애씨드포스폭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애씨드포스폭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애씨드포스폭시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애씨드포스폭시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아미드포스폰산, 아크릴아미드포스폰산, 메타크릴아미드디포스폰산, 아크릴아미드디포스폰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애씨드포스폭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애씨드포스폭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애씨드포스폭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애씨드포스폭시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애씨드포스폭시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이다.
설폰산을 함유하는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로는 비닐설폰산, p-스티렌설폰산, (메트)아크릴산부틸-4-설폰산, (메트)아크릴로옥시벤젠설폰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닐설폰산, p-스티렌설폰산 및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이며, 특히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설폰산기함유 불포화모노머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 유래의 모노머단위는, 음이온성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 중의 1~30질량%이다. 1질량% 미만, 3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안정적인 유화물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는, 이들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의 산부위가, 염기성 물질로 중화된 상태로 함유된다. 중화되지 않은 경우, 안정성이 높은 에멀전이 얻어지지 않는다. 염기성 물질로는, 염이 형성되면 하기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을 함유하는 염기성 화합물,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수소화나트륨, 나트륨알콕시드, 수산화칼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칼륨, 칼륨알콕시드,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2-에틸헥실아민, 3-메톡시프로필아민, 3-에톡시프로필아민, 디이소부틸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N,N-디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디메틸아미노)-2-메틸프로판올, N,N-디메틸에탄올아민, N,N-디에틸에탄올아민, N,N-디부틸에탄올아민, N-(2-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메틸에탄올아민, 3-아미노-1-프로판올, 모르폴린, n-메틸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II)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 또는, 실리콘덴드론기함유 중합성 모노머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에 있어서의 (A)성분은, 모노머단위(II)로서,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 또는, 실리콘덴드론기함유 중합성 모노머의 구조단위를 갖는다.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 유래의, 또는, 실리콘덴드론기함유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구성단위가 친유성기가 되고, 각종 유제에의 용해성을 높인다. 또한, 유화물 중에서 그래프트한 실리콘쇄가 유상 중에 안정적으로 존재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을 높인다.
(II)에 있어서의 실리콘매크로모노머는,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된다.
[화학식 5]
Figure 112018094938916-pct00005
[상기 식(1) 중, X는 탄소수 6~12의 2가의 방향족기 혹은 -COOR3-이며, 단 R3은 Si와 결합되어 있는 지방족기이며,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서로 동일 혹은 상이하거나, 불소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1가 알킬기, 혹은 아릴기이며, n은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의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나,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다.
또한, R2는 서로 동일 혹은 상이하거나, 불소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1가 알킬기, 혹은 아릴기이나, 피부에 대하여 보다 바람직한 것은 불소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6의 1가의 알킬기, 아릴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대한 저자극성, 미끌림성의 관점에서 메틸기, 페닐기,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메틸기이다.
X는, 탄소수 6~12의 2가의 방향족기 혹은 -COOR3-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8의 2가의 방향족기 혹은 -COOR3-이다. 2가의 방향족기로는, 페닐렌기, 톨릴렌기, 자일릴렌기, 메시틸렌기 등이 예시되고, 바람직하게는 페닐렌기이다. 또한, -COOR3-에 있어서, R3은 Si에 결합되어 있는 지방족기이며, 카르보닐기는 공중합체 주쇄의 탄소원자에 결합되어 있다. R3은 예를 들어 -(CH2)a-이며, 여기서 a는 1~9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7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의 정수이다.
n은 1~1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3~8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5~65의 정수이다. n이 상한값 100을 초과하면, (A)의 공중합체 제조시에 있어서 중합반응의 반응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II)에 있어서의 실리콘덴드론모노머로는, 하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18094938916-pct00006
[화학식 7]
Figure 112018094938916-pct00007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 또는, 실리콘덴드론기함유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모노머단위는, 음이온성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 중 10질량% 이상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이다.
(A)성분을 구성하는, 다른 모노머단위성분으로는, 라디칼중합성의 비닐기를 갖는 것이며, 이러한 비닐계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n-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tert-부틸, (메트)아크릴산n-헥실,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등의 저급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라우릴,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의 고급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카프로산비닐, 2-에틸헥산산비닐, 라우르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등의 지방산비닐에스테르; 스티렌, 비닐톨루엔,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이소부톡시메톡시(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피롤리돈, N-비닐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기함유 비닐형 단량체;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프로필, 글리세릴(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의 수산기함유 비닐형 단량체;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세틸비닐에테르, 2-에틸헥실비닐에테르 등의 에테르결합함유 비닐형 단량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메트)아크릴글리시딜에테르,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관능비닐계 단량체도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릴기봉쇄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불포화기함유 실리콘 화합물 등이 예시된다.
성분(A)을 제조하기 위한 중합은, 상기 모노머와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라디칼중합개시제의 존재하에 행할 수 있다. 중합방법은, 용액중합법, 유화중합법, 현탁중합법, 벌크중합법의 어느 방법이나 적용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용액중합법은, 얻어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을 조사할 때의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의 그래프의 분산과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적당히 조제하는 것이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한 방법이다. 중합시에, 이용되는 용매로는, 펜탄, 헥산, 데칸, 도데칸, 헥사데칸, 옥타데칸 등의 지방족계 유기용제,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유기용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산올, 데칸올 등의 알코올계 유기용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유기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유기용제를 들 수 있고, 유기용제 중에서 중합반응을 행해도 된다. 그러나, 화장품 용도로서 이용하는 관점에서는, 무용제,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 중에 포함되는 (A)성분은,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의 산부위(카르본산, 인산, 또는 설폰산)가, 염기성 물질로 중화된 상태에서 모노머단위로서 함유된다. 중화는, 유화화장료의 조제 전에 미리, 공중합체에 대하여 염기를 반응시킴으로써 행해도 되고, 또한, 유화화장료의 조제시에 염기와 혼합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성분(A)의 GPC에 있어서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은 700~300,000이 바람직하고, 특히 5000~200,000이 바람직하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8000~100,000이다.
(B)유제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B)유제를 포함한다. (B)유제로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고체, 반고체, 액상의 어느 유제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B)유제의 실리콘유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카프릴릴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헥실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저점도에서부터 고점도의 직쇄 혹은 분지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시클로테트라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오가노폴리실록산,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등의 분지상 오가노폴리실록산, 아미노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고중합도의 검상 디메틸폴리실록산, 검상 아미노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검상의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고무, 및 실리콘검이나 고무의 환상 실록산용액, 트리메틸실록시규산,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의 환상 오가노폴리실록산용액, 스테아록시실리콘 등의 고급알콕시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고급지방산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알킬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장쇄알킬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불소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실리콘수지 및 실리콘레진의 용해물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의 배합량으로는 1~60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3~40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질량%이다. 화장품에 배합이 허용되는 다른 유제를 병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극성유로는,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2-헥실데실,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2-에틸헥산산세틸,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옥탄산세틸, 옥틸도데실검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올레산옥틸도데실, 올레산데실,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구연산트리에틸, 석신산2-에틸헥실,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유산세틸, 유산미리스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2-에틸헥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라우르산에틸, 라우르산헥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라우로일살코신이소프로필에스테르,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세라이드유로서, 아세트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또한, 아보카도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충백랍, 들기름, 올리브유, 카카오지, 카폭랍, 카야유, 카나우바납, 간유, 캔데릴라납, 정제캔데릴라납,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우지, 행인유, 경납, 경화유, 소맥배아유, 참깨유, 쌀배아유, 쌀겨유, 사탕수수납, 산다화유, 사플라워유, 시어버터, 구중동유, 시나몬유, 호호바납, 스쿠알란, 스쿠알렌, 셸락납, 터틀유, 대두유, 차실유, 동백나무유, 월견초유, 옥수수유, 돈지, 유채씨유, 일본참오동나무유, 겨납, 배아유, 마지, 퍼식유,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경화피마자유, 피마자유지방산메틸에스테르, 해바라기유, 포도유, 베이베리납, 호호바유, 수첨호호바유, 마카다미아너트유, 밀납, 밍크유, 메도우폼유, 면실유, 면납, 목랍, 목랍핵유, 몬탄납, 야자유, 경화야자유, 트리야자유지방산글리세라이드, 양지, 낙화생유, 라놀린, 액상라놀린, 환원라놀린, 라놀린알코올, 경질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알코올,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POE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수소첨가라놀린알코올에테르, 난황유 등,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이소스테아르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헥실도데칸올, 옥틸도데칸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POE콜레스테롤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세라킬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파라아미노안식향산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흡수제, 안트라닐산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산메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흡수제,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흡수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우로카닌산에틸 등의 우로카닌산계 자외선흡수제,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계 자외선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단,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을 의미한다. 에스테르유의 배합량으로는 1~60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3~40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질량%이다. 화장품에 배합이 허용되는 다른 유제를 병용하여 사용해도 된다.
유제로서 극성유를 이용한 경우, 다상 에멀전이 얻어진다. 이 다상 에멀전은 유성 성분 중을 고전단믹서 등으로 교반하면서 수성 성분을 첨가, 혹은 유성 성분과 수성 성분을 동시에 고전단믹서 등으로 교반함으로써 얻어진다. 통상, 다상 에멀전의 제조에는 다단계의 유화스텝이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 얻어진 다상 에멀전은 1단계로 유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는, (B)유제로서, 탄화수소유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직쇄상, 분지상, 추가로 휘발성의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오조케라이트, α-올레핀올리고머, 경질이소파라핀, 이소도데칸, 경질유동이소파라핀, 스쿠알란, 합성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스쿠알렌,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왁스,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코폴리머, (부틸렌/프로필렌/스티렌)코폴리머, 유동파라핀, 유동이소파라핀, 프리스탄, 폴리이소부틸렌, 수첨폴리이소부텐,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바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는, (C)성분으로서, 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A)~(C)성분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이면, 유화안정성이 우수하고, 화장유지가 좋으며, 끈적임이 없는, 산뜻한 감촉의 유화화장료가 된다.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는, (D)수계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라비아고무, 트라가칸트, 갈락탄, 캐롭검, 구아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르멜로), 전분(쌀, 옥수수, 감자, 소맥), 앨지콜로이드(Algae Colloid), 트랜트검, 로커스트빈검 등의 식물계 고분자, 크산탄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분말의 셀룰로오스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염코폴리머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폴리머 등 다른 합성수용성 고분자,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몬모릴로나이트, 바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규산,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들 수 있다. 수계 증점제를 포함함으로써 유화물의 분리를 억제하고, 산뜻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배합량으로는 0.1~15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1~10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질량%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는, (A)성분 이외의 (E)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는 사용목적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보다 사용성이 우수한 화장료가 된다.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성의 계면활성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에 포함되는 (A)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E)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스테아르산나트륨이나 팔미트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산비누, 알킬에테르카르본산 및 그 염, 아미노산과 지방산의 축합물염, 알칸설폰산염, 알켄설폰산염, 지방산에스테르의 설폰산염, 지방산아미드의 설폰산염, 포르말린축합계 설폰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제2급고급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알킬 및 알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에스테르의 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알킬올아미드의 황산에스테르염, 로드유 등의 황산에스테르염류, 알킬인산염, 에테르인산염, 알킬알릴에테르인산염, 아미드인산염, N-아실유산염, N-아실살코신염, N-아실아미노산계 활성제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및 아미노알코올지방산유도체 등의 아민염, 알킬사급 암모늄염, 방향족 사급 암모늄염, 피리듐염, 이미다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메틸글루코시드지방산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시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타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타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롤에테르, 직쇄 혹은 분지상 폴리옥시알킬렌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직쇄 혹은 분지상 폴리옥시알킬렌·알킬공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직쇄 혹은 분지상 폴리글리세린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직쇄 혹은 분지상 폴리글리세린·알킬공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알칸올아미드, 당에테르, 당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베타인, 아미노카르본산염, 이미다졸린유도체, 아미드아민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분자 중에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갖는 직쇄 혹은 분지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 분자 중에 폴리글리세린쇄를 갖는 직쇄 혹은 분지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 혹은 각각의 알킬공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인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KF-6011, KF-6011P, KF-6043, KF-6012, KF-6013, KF-6015, KF-6016, KF-6017, KF-6028, KF-6028P, KF-6038, KF-6048, KF-6100, KF-6104, KF-6105(모두 신에쯔화학공업(주)제) 등이 있다. 또한, HLB가 2~10인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배합량은, 유화화장료 전체의 0.1~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2~10질량%의 범위가 호적하다.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에는 분체를 포함해도 된다. 분체로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그 형상(구상, 침상, 판상 등)이나 입자경(연무상, 미립자, 안료급 등), 입자구조(다공질, 무공질 등)를 불문하고,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분체, 유기분체, 계면활성제 금속염분체, 유색안료, 펄안료, 금속분말안료, 타르색소, 천연색소, 염료 등의 착색제를 들 수 있다.
무기분체의 구체예로는,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백운모, 합성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운모, 규산, 무수규산,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염금속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버미큘라이트, 하이디라이트,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스파우더, 제2인산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보론, 실리카, 실릴화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분체의 예로는, 폴리아미드파우더, 폴리아크릴산·아크릴산에스테르파우더, 폴리에스테르파우더, 폴리에틸렌파우더, 폴리프로필렌파우더, 폴리스티렌파우더, 폴리우레탄, 벤조구아나민파우더,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파우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파우더, 셀룰로오스, 실크파우더, 나일론파우더, 12나일론, 6나일론, 디메틸폴리실록산을 가교한 구조를 갖는 가교형 구상 디메틸폴리실록산미분말, 가교형 구상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미분말, 가교형 구상 오가노폴리실록산고무 표면을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입자로 피복하여 이루어진 미분말, 소수화실리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미결정섬유분체, 전분분말, 지방산전분유도체분말, 라우로일라이신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 금속염분체(금속비누)의 예로는, 운데실렌산아연, 이소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미리스트산아연, 미리스트산마그네슘, 세틸인산아연, 세틸인산칼슘, 세틸인산아연나트륨, 팔미트산아연, 팔미트산알루미늄, 라우르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유색안료의 구체예로는, 산화철, 수산화철, 티탄산철의 무기적색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블랙 등의 무기흑색안료, 망간바이올렛, 코발트바이올렛 등의 무기자색안료, 수산화크롬,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녹색안료, 감청, 군청 등의 무기청색계 안료, 타르계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천연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및 이들의 분체를 복합화한 합성수지분체 등을 들 수 있다.
펄안료의 구체예로는, 산화티탄피복운모, 산화티탄피복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피복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피복탈크, 어린박, 산화티탄피복착색운모 등; 금속분말안료로는, 알루미늄파우더, 카퍼파우더, 스테인레스파우더 등을 들 수 있다.
타르색소로는, 적색3호, 적색104호, 적색106호, 적색201호, 적색202호, 적색204호, 적색205호, 적색220호, 적색226호, 적색227호, 적색228호, 적색230호, 적색401호, 적색505호, 황색4호, 황색5호, 황색202호, 황색203호, 황색204호, 황색401호, 청색1호, 청색2호, 청색201호, 청색404호, 녹색3호, 녹색201호, 녹색204호, 녹색205호, 등색201호, 등색203호, 등색204호, 등색206호, 등색207호 등; 천연색소로는, 카르민산, 락카인산, 카르타민, 브라질린, 크로신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의 분체 중,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일부가 디메틸폴리실록산을 가교한 구조를 갖는 가교형 구상 디메틸폴리실록산미분말, 가교형 구상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미분말, 가교형 구상 폴리실록산고무표면을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입자로 피복하여 이루어진 미분말, 가교형 구상 디페닐폴리실록산고무표면을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입자로 피복하여 이루어진 미분말, 소수화실리카가 바람직하고, 또한, 불소기를 갖는 분체, 착색제도 이용된다. 시판품으로는, KMP-590, KSP-100, KSP-101, KSP-102, KSP-105, KSP-300(모두 신에쯔화학공업(주)제) 등이 있다.
이들의 분체는, 분체의 복합화나 일반유제, 실리콘유,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등으로 처리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소 화합물처리, 실리콘수지처리, 펜던트처리, 실란커플링제처리, 티탄커플링제처리, 유제처리, N-아실화라이신처리, 폴리아크릴산처리, 금속비누처리, 아미노산처리, 무기 화합물처리, 플라즈마처리, 메카노케미칼처리 등에 의해 사전에 표면처리되어 있어도 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분체의 배합량은, 유화화장료 전체의 99질량% 이하의 범위가 호적하다. 특히, 분말화장료의 경우의 배합량은, 유화화장료 전체의 80~99질량%의 범위가 호적하다.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는, 분자구조 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알코올, 솔비톨, 말토오스 등의 당알코올 등이 있고,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등의 스테롤,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 등이 있으나, 통상은 수용성 1가의 알코올, 수용성 다가알코올이 많이 이용된다. 분자구조 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의 배합량은, 유화화장료 전체의 98질량% 이하의 범위가 호적하다.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는, 친수성기를 갖지 않는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중합물과 액상유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포함해도 된다. 이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중합물은, 알킬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분자쇄 말단에 반응성 비닐성 불포화기를 갖는 가교제와 반응함으로써 얻어진다. 알킬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는 직쇄 내지 일부 분지단위를 갖는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탄소수가 6~20인 알킬쇄가 그래프트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규소원자에 결합한 수소원자는, 분자 중에 평균으로 2개 이상 필요하다. 가교제는, 메틸비닐폴리실록산이나 α,ω-알케닐디엔 등과 같이,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비닐성 반응부위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예로서 일본특허 제1925781호, 일본특허 1932769호, 국제공개 WO03-24413, 일본특허공개 2009-185296의 각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이 가교형 메틸폴리실록산을, 예를 들어 자중 이상의 0.65mm2/초(25℃)~100.0mm2/초(25℃)의 저점도실리콘,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이소도데칸 등의 탄화수소유나 트리옥타노인 등의 글리세라이드유, 에스테르유로 팽윤시킨다. 또한, 이들의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은 시판품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실리콘유로 페이스트상으로 한 KSG-15, KSG-16, KSG-18, KSG-1610, USG-103, 탄화수소유나 트리글리세라이드유로 페이스트상으로 한 USG-106, KSG-41, KSG-42, KSG-43, KSG-44, KSG-810(모두 신에쯔화학공업(주)제) 등이 있다. 이 친수성기를 갖지 않는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과 액상유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량에 대하여 0.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질량%이다.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는, 추가로 친수성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중합물과 액상유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포함해도 된다. 친수성기로는, 폴리에테르기, 폴리글리세린기가 바람직하다. 이 폴리에테르기 및/또는 폴리글리세린기를 갖는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중합물은, 알킬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분자쇄 말단에 반응성 비닐성 불포화기를 갖는 가교제와 반응함으로써 얻어진다. 알킬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서 폴리옥시에틸렌쇄가 그래프트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폴리글리세린쇄가 그래프트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규소원자에 결합한 수소원자는, 분자 중에 평균으로 2개 이상 필요하다. 가교제는, 메틸비닐폴리실록산이나 α,ω-알케닐디엔, 글리세린트리알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키닐화글리세린트리알릴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알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키닐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알릴에테르 등과 같이,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비닐성 반응부위를 갖는 것을 들 수 있으나, 이들을 반응시킨 가교물은, 적어도 1개의 친수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로는, 일본특허 2631772호, 일본특허공개 H9-136813호, 일본특허공개 2001-342255호, 국제공개 WO03/20828, 일본특허공개 2009-185296의 각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중합물을, 자중 이상의 0.65mm2/초(25℃2)~100.0mm2/초(25℃)의 저점도실리콘,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이소도데칸 등의 탄화수소유나 트리옥타노인 등의 글리세라이드유, 에스테르유에 팽윤시킨다. 또한, 이들의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은 시판품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실리콘유로 페이스트상으로 한 KSG-210, KSG-240, KSG-710, 탄화수소유나 트리글리세라이드유로 페이스트상으로 한 KSG-310, KSG-320, KSG-330, KSG-340, KSG-820, KSG-830, KSG-840(모두 신에쯔화학공업(주)제) 등이 있다. 또한, 이 친수성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과 액상유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량에 대하여 0.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질량%이다.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는, (A)성분 이외의 실리콘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실리콘수지는, SiO2단위 및/또는 RSiO1.5(R은 알킬기)를 포함하는 실리콘망상 화합물, 직쇄상의 아크릴/실리콘그래프트, 또는 이들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쇄상의 아크릴/실리콘그래프트 또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피롤리돈부분, 장쇄알킬부분, 폴리옥시알킬렌부분 및 플루오로알킬부분, 카르본산 등의 음이온부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갖고 있어도 된다. 시판품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실리콘유나 탄화수소유, 알코올에 용해한 KP-541, KP-543, KP-545, KP-549, KP-550, KP-571, KP-575, KP-581(모두 신에쯔화학공업(주)제) 등이 예시된다.
상기 실리콘망상 화합물은, MQ, MDQ, MT, MDT, MDTQ라 표시되는 실리콘망상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M, D, T, Q는, 각각, R3SiO0.5단위, R2SiO단위, RSiO1.5단위, SiO2단위를 나타낸다. 실리콘망상 화합물은, 피롤리돈부분, 장쇄알킬부분, 폴리옥시알킬렌부분 및 플루오로알킬부분, 아미노부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분자 중에 함유해도 된다. 시판품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KF-7312J, KF-7312K, KF-7312T(모두 신에쯔화학공업(주)제) 등이 예시된다.
상기 실리콘수지는, 저점도실리콘유나 휘발성 실리콘유, 및 기타 용제에 용해시킨 것이어도 된다. 모두, 상기 실리콘수지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의 총량에 대하여 수지량이 0.1~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질량%이다.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는, 실리콘왁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실리콘왁스는, 5원환 이상의 락톤 화합물의 개환중합물인 폴리락톤을 결합시킨 폴리락톤변성 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이 실리콘왁스는, 피롤리돈기, 장쇄알킬기, 폴리옥시알킬렌기, 플루오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분자 중에 함유하는 아크릴변성 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는, 장쇄알킬기를 갖는 왁스로서, KP-561P, KP-562P(모두 신에쯔화학공업(주)제) 등이 예시된다.
혹은, 이 실리콘왁스가, 올레핀왁스와 1분자 중 1개 이상의 SiH결합을 갖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부가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실리콘변성 올레핀왁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올레핀왁스는, 에틸렌과 적어도 1종의 디엔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 또는, 에틸렌과 탄소수 3~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올레핀과 적어도 1종의 디엔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며, 이 디엔으로는, 비닐노보넨이 호적하다.
어떤 실리콘왁스를 선택한다고 해도, 실리콘왁스를 이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의 총량에 대하여 0.1~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에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유용성 겔화제(유기변성 점토광물), 수지, 제한제, 보습제, 방균방부제, 항료, 염류, 산화방지제, pH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피부미용용 성분(미백제, 세포부활제, 피부거칠어짐개선제, 혈행촉진제, 피부수렴제, 항지루제 등),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핵산, 호르몬, 포접 화합물, 모발용 고형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겔화제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징크미리스테이트 등의 금속비누,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α,γ-디-n-부틸아민 등의 아미노산유도체, 덱스트린팔미트산에스테르, 덱스트린스테아르산에스테르, 덱스트린2-에틸헥산산팔미트산에스테르 등의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팔미트산에스테르, 자당스테아르산에스테르 등의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프락토올리고당스테아르산에스테르, 프락토올리고당2-에틸헥산산에스테르 등의 프락토올리고당지방산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솔비톨, 디벤질리덴솔비톨 등의 솔비톨의 벤질리덴유도체, 디메틸벤질도데실암모늄몬모릴로나이트클레이,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몬모릴로나이트클레이 등의 유기변성 점토광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용성 겔화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제한제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 염화알루미늄, 알루미늄세스퀴클로로하이드레이트, 지르코닐하이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지르코늄하이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착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한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글루코오스, 자일리톨, 말티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피롤리돈카르본산염,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보습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방균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옥시안식향산알킬에스테르,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페녹시에탄올 등, 항균제로는, 안식향산, 살리실산, 석탄산, 소르브산, 파라옥시안식향산알킬에스테르, 파라클로르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잘코늄, 염화클로르헥시딘,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염류로는, 예를 들어 무기염, 유기산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을 들 수 있다. 무기염으로는, 예를 들어, 염산, 황산, 탄산, 질산 등의 무기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지르코늄염, 아연염 등; 유기산염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디하이드로아세트산, 구연산, 사과산, 석신산,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르산 등의 유기산류의 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으로는,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류의 염, 글루타민산 등의 아미노산류의 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염류를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에,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등의 염,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착체 등이나, 더 나아가, 화장품처방 중에서 사용되는 산-알칼리의 중화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토코페롤,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피트산 등, pH조정제로는, 유산, 구연산, 글리콜산, 석신산, 주석산, dl-사과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등, 킬레이트제로는, 알라닌, 에데트산나트륨염,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등, 청량제로는, L-멘톨, 캠퍼 등, 항염증제로는, 알란토인, 글리시르리친산 및 그 염, 글리시르레틴산 및 글리시르레틴산스테아릴, 트라넥삼산, 아줄렌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피부미용용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태반추출액, 알부틴, 글루타티온, 바위취 추출물 등의 미백제, 로얄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유도체, 유우혈액추출액 등의 세포부활제, 피부거칠어짐개선제, 노닐산바레닐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저론, 칸타리스틴크, 이크타몰, 카페인,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사이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의 혈행촉진제, 산화아연, 탄닌산 등의 피부수렴제, 황, 티안트롤 등의 항지루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피부미용용 성분을 들 수 있다.
상기 비타민류로는, 예를 들어 비타민A유, 레티놀,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A류, 리보플라빈, 부티르산리보플라빈, 플라빈아데닌뉴클레오타이드 등의 비타민B2류, 피리독신염산염, 피리독신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트리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B6류, 비타민B12 및 그 유도체, 비타민B15 및 그 유도체 등의 비타민B류,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디팔미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황산나트륨, L-아스코르브산인산디에스테르디칼륨 등의 비타민C류,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D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아세트산dl-α-토코페롤, 니코틴산dl-α-토코페롤, 석신산dl-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E류, 비타민H, 비타민P, 니코틴산,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등의 니코틴산류, 판토텐산칼슘,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아세틸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의 판토텐산류, 비오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비타민류를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류로는, 예를 들어 글리신,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라이신,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트립토판 등, 핵산으로는, 디옥시리보핵산 등, 호르몬으로는, 에스트라디올, 에테닐에스트라디올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발고정용 고분자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양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의 각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고,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계 고분자 화합물,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산알킬하프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산성 비닐에테르계 고분자 화합물, 아세트산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 등의 산성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고분자, (메트)아크릴산/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산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N-메타크릴로일에틸-N, 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옥틸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양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발고정용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 케라틴 및 콜라겐 또는 그 유도체 등의 천연유래 고분자 화합물도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로는, 상기 화장료성분을 배합하여 이루어진, 유액, 크림, 클렌징, 팩, 마사지료, 미용액, 미용오일, 세정제, 탈취제, 핸드크림, 립크림, 주름커버 등의 스킨케어화장료, 메이크업하지, 컨실러, 백분, 리퀴드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화장료,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세트제 등의 모발화장료, 제한제, 자외선차단오일이나 자외선차단유액, 자외선차단크림 등의 자외선방어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합성예, 및 본 발명의 유화화장료의 실시예,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이하에 기재하는 「%」는 「질량%」를 의미하고, 각 예의 전체의 질량을 100%로 하여 각 성분의 질량%를 나타낸다. 점도는 25℃에서의 수치이다.
(합성예(1)~(6))
교반기, 온도계,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플라스크에, 이소프로판올 140.0g, 하기 표 1에 나타낸 각 모노머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4.0g을 넣고, 질소기류하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환류하였다. 5시간 중합을 행한 후, 감압하에서 휘발성 성분을 유거하여 실리콘 공중합체(합성예(1)~(6))를 얻었다. 단, 합성예(3)에 대해서는 휘발성분 유거 전에 수산화나트륨 0.6g을 정제수 5g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첨가하여, 인산부위를 중화하였다. 합성예(1), (2), (4)에서 얻어진 실리콘 공중합체는, 카르본산, 설폰산기를 가지나, 합성예(5), (6)에서 얻어진 실리콘 공중합체는, 카르본산, 인산, 설폰산 중 어느 부위도 가지지 않는 것이었다. 또한, GPC로 수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환산)을 구하였다.
[표 1]
Figure 112018094938916-pct00008
실리콘매크로머(1)
[화학식 8]
Figure 112018094938916-pct00009
실리콘매크로머(2)
[화학식 9]
Figure 112018094938916-pct00010
실리콘덴드론모노머
[화학식 10]
Figure 112018094938916-pct00011
(실시예 1~7 및 비교예 1~7)
상법(유성 성분에 수성 성분을 첨가하는 방법)에 따라,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의 크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크림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관능평가방법]
하기 표 2에 나타낸 크림을 피부에 2g 도부하고, 충분히 스며들게 한 후, 평가를 행하였다. 도포시의 산뜻한 감, 도포 후의 끈적임, 40℃ 1개월 후의 에멀전 안정성에 대하여 관능평가하였다. 결과를 「효과가 있다」고 회답한 패널러의 인수에 의해, 하기의 평가기준으로 나타낸다.
[평가기준]
◎: 4~5인이 효과가 있다고 회답
○: 3인이 효과가 있다고 회답
△: 2인이 효과가 있다고 회답
×: 효과가 있다고 회답한 것은 1인 또는 0인
[표 2]
Figure 112018094938916-pct00012
상기 결과에 의해, 아크릴실리콘의 산부위가 염기(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에 의해 중화된 것을 함유하는 실시예의 크림은 비교예의 크림에 비해, 유화경시안정성이 높고, 산뜻한 감이 있으며, 끈적임이 없는 가벼운 감촉의 화장료였다. 도 1에 실시예 1의 W/O 에멀전의 현미경사진을, 도 2에 실시예 5의 다상 에멀전의 현미경사진을, 도 3에 실시예 7의 다상 에멀전의 현미경사진을 나타냈다.
(실시예 8~10 및 비교예 8~10)
상법에 따라 하기 유중수형 리퀴드파운데이션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리퀴드파운데이션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평가방법]
리퀴드파운데이션의 50℃ 3개월 후의 유화안정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을 하기에 나타낸다.
◎: 분리없음
○: 상층에 약간 분리있음
△: 상층 분리
×: 상하층 분리
또한, 리퀴드파운데이션 조제 후, 피부에 2g 도부하고, 충분히 스며들게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색상의 균일성, 끈적임이 없음, 화장유지가 좋음, 도포시의 가벼움에 대하여 관능평가하였다. 결과를 「효과가 있다」고 회답한 패널러의 인수에 의해, 하기의 평가기준으로 나타낸다.
[평가기준]
◎: 4~5인이 효과가 있다고 회답
○: 3인이 효과가 있다고 회답
△: 2인이 효과가 있다고 회답
×: 효과가 있다고 회답한 것은 1인 또는 0인
[표 3]
Figure 112018094938916-pct00013
상기의 결과와 같이 아크릴실리콘의 산부위가 염기에 의해 중화된 것을 함유하는 실시예의 리퀴드파운데이션은 비교예의 리퀴드파운데이션에 비해, 유화경시안정성이 높고, 색상이 균일하며 분체의 분산안정성이 좋고, 끈적임이 없으며, 화장유지가 우수한, 가벼운 감촉의 화장료였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함유된다.

Claims (11)

  1. 유화화장료로서,
    (A)모노머단위로서,
    (I)염기에 의해 중화된, 인산, 또는 설폰산을 갖는 중합성 친수성 모노머; 1~30질량%,
    (II)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 1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 및
    (III)라디칼중합성의 비닐기를 갖는 모노머로서, 일부에 메타크릴 구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주쇄에 아크릴쇄를 가짐과 동시에, 실리콘이 그래프트한 구조를 갖는 음이온성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

    [상기 식(1) 중, X는 탄소수 6~12의 2가의 방향족기 혹은 -COOR3-이며, 단 R3은 Si와 결합되어 있는 지방족기이며,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서로 동일 혹은 상이한, 불소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1가 알킬기, 혹은 아릴기이며, n은 3~80의 정수를 나타낸다.]
    (B)유제, 및
    (C)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유제가 실리콘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화장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유제가 극성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화장료.
  4. 제3항에 있어서,
    형태가 다상 에멀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화장료.
  5.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D)수계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화장료.
  6. 제2항에 있어서,
    추가로, (D)수계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화장료.
  7. 제3항에 있어서,
    추가로, (D)수계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화장료.
  8. 제4항에 있어서,
    추가로, (D)수계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화장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A)성분 이외의 (E)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화장료.
  10. 삭제
  11. 삭제
KR1020187027762A 2016-04-28 2017-02-24 유화화장료 KR102659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0824A JP6641227B2 (ja) 2016-04-28 2016-04-28 乳化化粧料
JPJP-P-2016-090824 2016-04-28
PCT/JP2017/007090 WO2017187750A1 (ja) 2016-04-28 2017-02-24 乳化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476A KR20190003476A (ko) 2019-01-09
KR102659522B1 true KR102659522B1 (ko) 2024-04-22

Family

ID=6016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762A KR102659522B1 (ko) 2016-04-28 2017-02-24 유화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51107B2 (ko)
EP (1) EP3449904A4 (ko)
JP (1) JP6641227B2 (ko)
KR (1) KR102659522B1 (ko)
CN (1) CN109069395B (ko)
WO (1) WO2017187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0961B2 (ja) 2017-06-28 2022-11-30 ダウ・東レ株式会社 カルボシロキサンデンドリマー構造と酸性基を有する共重合体、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化粧料
WO2019182126A1 (ja) 2018-03-23 2019-09-26 株式会社 資生堂 コア-コロナ型ポリマー粒子
EP3854378A4 (en) * 2018-09-14 2022-07-20 Shiseido Company, Ltd. WATER-IN-OIL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KR102641156B1 (ko) * 2018-11-06 2024-02-28 주식회사 케이씨씨실리콘 에멀젼 조성물
JP7359568B2 (ja) * 2019-05-16 2023-10-11 株式会社マンダム 乳化クレンジング化粧料
US20200375855A1 (en) * 2019-05-29 2020-12-03 L'oréal One-step liquid lip com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861A (ja) * 2004-08-24 2006-03-02 Shiseido Co Ltd 皮膚化粧料
JP2008174504A (ja) * 2007-01-19 2008-07-31 Shin Etsu Chem Co Ltd シリコーン共重合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2324A (ja) 1985-03-15 1986-09-20 Shiseido Co Ltd シリコンオイルを含むゲル組成物
JPH0655897B2 (ja) 1988-04-22 1994-07-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組成物の製造方法
JPH0660286B2 (ja) 1989-02-15 1994-08-1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油性ペースト組成物
JP2631772B2 (ja) 1991-02-27 1997-07-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なシリコーン重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水分散能を有するペースト状シリコーン組成物
JP2544045B2 (ja) 1991-10-01 1996-10-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油中水型シリコ−ン乳化組成物
JPH06247835A (ja) * 1993-02-22 1994-09-06 Pola Chem Ind Inc 基礎化粧料
FR2739279B1 (fr) * 1995-09-29 1997-11-07 Oreal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silicone greffe a squelette polysiloxanique greffe par des monomeres organiques non-silicones et au moins un polymere anionique
JPH09136813A (ja) 1995-11-15 1997-05-27 Kose Corp ペースト状オイル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DE19624550A1 (de) 1996-06-20 1998-01-08 Goldschmidt Ag Th alpha,omega-Polyetherpolysiloxane als W/O-Emulgatoren
JP3508047B2 (ja) 1996-11-05 2004-03-22 株式会社コーセー メイクアップ化粧料
US6177063B1 (en) 1998-04-28 2001-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hydrous aerosol hairspray compositions containing silcone grafted copolymers
JP2000053554A (ja) 1998-08-10 2000-02-22 Kao Corp 油中水型乳化化粧料
FR2791257B1 (fr) * 1999-03-22 2001-05-11 Oreal Utilisation comme agent tenseur d'au moins un polymere silicone greffe
JP2001139414A (ja) 1999-11-11 2001-05-22 Kose Corp 皮膚化粧料
JP4341871B2 (ja) 2000-05-31 2009-10-1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重合物及びシリコーン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化粧料
FR2814673B1 (fr) * 2000-09-29 2003-04-1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mogene
DE60211532T2 (de) 2001-09-04 2007-05-10 Shin-Etsu Chemical Co., Ltd. Pastöse zusammensetzung und diese enthaltende kosmetika
WO2003024413A1 (fr) 2001-09-14 2003-03-27 Shin-Etsu Chemical Co., Ltd. Composition et preparation cosmetique contenant ladite composition
EP1907068B1 (en) 2005-06-21 2011-09-07 Dow Corning Toray Co., Ltd. Gelling agent comprising a modified organopolysiloxane
JP5004514B2 (ja) * 2006-06-16 2012-08-22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ゲル化剤、ゲル状組成物および化粧料
US8652493B2 (en) * 2006-04-05 2014-02-18 Elc Management, Llc Hydrophobic agents stably dispersed in oil-in-water emulsions
JP5305677B2 (ja) 2008-02-05 2013-10-02 株式会社 資生堂 洗浄料
JP5666773B2 (ja) * 2008-12-16 2015-02-12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
JP5015994B2 (ja) 2009-04-02 2012-09-0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その製法ならびに該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5570765B2 (ja) * 2009-07-07 2014-08-13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JP5508209B2 (ja) * 2010-09-28 2014-05-2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US8287632B1 (en) 2011-04-27 2012-10-16 Xerox Corporation Solid ink compositions comprising amorphous esters of citric acid
JP5797618B2 (ja) 2012-08-22 2015-10-21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カルボシロキサンデンドリマー構造を有する共重合体、並びに、それを含む組成物及び化粧料
JP6224557B2 (ja) * 2014-09-04 2017-11-0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膜形成性組成物及び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861A (ja) * 2004-08-24 2006-03-02 Shiseido Co Ltd 皮膚化粧料
JP2008174504A (ja) * 2007-01-19 2008-07-31 Shin Etsu Chem Co Ltd シリコーン共重合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476A (ko) 2019-01-09
US20190015318A1 (en) 2019-01-17
EP3449904A1 (en) 2019-03-06
CN109069395A (zh) 2018-12-21
US11351107B2 (en) 2022-06-07
JP6641227B2 (ja) 2020-02-05
CN109069395B (zh) 2021-06-29
EP3449904A4 (en) 2019-12-25
JP2017197490A (ja) 2017-11-02
WO2017187750A1 (ja)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9522B1 (ko) 유화화장료
JP4782025B2 (ja) シリコーン共重合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CN110128582B (zh) (甲基)丙烯酸硅酮接枝聚合体及其制造方法、以及化妆料
KR102635851B1 (ko) 오가노폴리실록산, 화장료, 및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제조방법
US10588849B2 (en) Cosmetic composition
JP6510435B2 (ja) シロキサン骨格を有する吸水性樹脂およびこれを含む化粧料
KR102236514B1 (ko) 화장료
KR20210020777A (ko) 분산성 분체 및 화장료
JP6531076B2 (ja) 化粧料
US10765619B2 (en) Silicone resin, making method, and cosmetics
KR102434731B1 (ko) 화장료 및 화장료의 제조방법
JP2009084187A (ja) 化粧料
JP7240345B2 (ja) 化粧料
JP7250655B2 (ja) 水分散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エマルション付加硬化組成物、及び化粧料
WO2017169278A1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化粧料、及び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の製造方法
JP6875256B2 (ja) 化粧料の製造方法
KR102502440B1 (ko) 화장료
WO2023223800A1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粉体処理剤、並びに該粉体処理剤で処理された処理粉体及び化粧料
WO2023106180A1 (ja) オイルゲル化剤及び化粧料
KR20240013782A (ko) 오일 겔화제 및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