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829B1 - 콤바인 및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 및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829B1
KR102652829B1 KR1020180154391A KR20180154391A KR102652829B1 KR 102652829 B1 KR102652829 B1 KR 102652829B1 KR 1020180154391 A KR1020180154391 A KR 1020180154391A KR 20180154391 A KR20180154391 A KR 20180154391A KR 102652829 B1 KR102652829 B1 KR 102652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connection case
grains
threshing
com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275A (ko
Inventor
가즈아키 나가오사
마사유키 다카기
데츠지 나가타
요시히로 스즈키
다이고 하마스나
류지 우메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37634A external-priority patent/JP68328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44644A external-priority patent/JP694204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7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Abstract

2번물의 훑기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을 제공한다.
2번 환원부(55)에는, 2번 회수부와 접속된 접속 케이스(57)가 구비되고, 접속 케이스(57)에, 제2 반송 스크루의 회전축(71)이 연장되는 회전축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회전축(71)의 축 단부 부분에 지지된 복수의 회전 톱니(75)와, 복수의 회전 톱니(75)에 대응하는 상태, 또한 회전축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접속 케이스(57)의 내주부(65a, 69a)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고정 톱니(81, 91)가 구비되고, 접속 케이스(57)는, 회전 톱니(75)와 고정 톱니(81, 91)에 의해, 2번물에 포함되는 지경과 곡립이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고정 톱니(81, 91)에 있어서의 회전 톱니(75)에 대향하는 제2 경사부(81β, 91β)에, 오목부(83, 93)가 형성되어 있다.
급실 내의 곡립이 입구 플레이트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기 어려운 탈곡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탈곡 장치에 있어서, 입구 플레이트(1022) 내 곡간 입구(1018)에 대응하는 전후 위치의 개소에 설치됨과 함께, 급실 내의 곡립(1G)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 둑부(1024)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및 탈곡 장치{COMBINE AND THRE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드 체인에 의해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실 내에서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콤바인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콤바인에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와, 탈곡부에서 탈곡 처리된 탈곡 처리물을 반송하면서 요동 선별하는 선별부와, 선별부로부터 유하한 1번물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와, 1번 회수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선별부로부터 유하한 2번물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콤바인에는, 2번 회수부에서 회수된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에 훑기 처리를 실시하는 접속 케이스(문헌에서는 「2번 처리통」)가 설치되어 있고, 접속 케이스에서 훑기 처리된 2번 선별 대상물은 선별부로 환원된다.
이와 같이 2번 회수부에서 회수된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에 접속 케이스에서 훑기 처리를 실시하여, 선별부로 환원함으로써, 곡립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탈곡 장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탈곡 장치가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피드 체인(문헌에서는 「피드 체인〔9〕」)에 의해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실(문헌에서는 「급실〔5〕」) 내에서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문헌에서는 「탈곡 장치〔1〕」)가 개시되어 있다. 당해 탈곡 장치에는, 탈곡 장치의 전방벽(문헌에서는 「전방벽〔22〕」)에 형성된 곡간 입구(문헌에서는 「곡간 공급구〔26〕」)와, 곡간 입구의 하부에 설치됨과 함께, 예취 곡간을 곡간 입구를 향해 안내하는 입구 플레이트와, 곡간 입구를 덮는 탄성 변형 가능한 커버(문헌에서는 「험프〔31〕」)가 구비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672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8751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접속 케이스에서의 훑기 처리에 의해서도 아직,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의 훑기 처리가 불충분하여, 2번물의 훑기 처리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2번물의 훑기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탈곡 장치에서는, 예취 곡간이 곡간 입구를 통과할 때에 커버에 접촉하여 커버가 말려 올라가게 되지만, 그렇게 하면, 급실 내의 곡립이 커버와 입구 플레이트의 간극으로부터 입구 플레이트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게 되기 쉽다.
상기 상황에 비추어, 급실 내의 곡립이 입구 플레이트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기 어려운 탈곡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은,
수확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 처리된 곡립을 상승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곡립을 상부로부터 수용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탈곡 장치에, 상기 탈곡 장치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반송 스크루를 갖고, 탈곡 처리 후의 1번물을 회수하여 상기 반송 장치에 전달하는 1번 회수부와, 상기 탈곡 장치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반송 스크루를 갖고, 또한 상기 1번 회수부보다 탈곡 처리 방향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탈곡 처리 후의 2번물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와, 상기 2번 회수부로부터 상기 2번물을 수취하고, 상승 반송하여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이송 방향 상측으로 환원하는 2번 환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2번 환원부에, 상기 2번 회수부와의 접속 개소에 설치된 접속 케이스와, 상기 접속 케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2번물을 상승 반송하는 종 반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 케이스에, 상기 제2 반송 스크루의 회전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상기 제2 반송 스크루의 회전축의 축 단부 부분에 지지된 복수의 회전 톱니와, 상기 복수의 회전 톱니에 대응하는 상태, 또한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상기 접속 케이스의 내주부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고정 톱니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 케이스는, 상기 회전 톱니와 상기 고정 톱니에 의해, 상기 2번물에 포함되는 지경과 곡립이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톱니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톱니에 대향하는 작용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접속 케이스에는, 복수의 회전 톱니와 복수의 고정 톱니가 구비되어 있고, 제2 반송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회전 톱니가 복수의 고정 톱니와 대향하도록 회전한다. 그리고 고정 톱니에는, 회전 톱니에 대향하는 작용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번물에 포함되는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은, 고정 톱니의 오목부에 걸려(걸려들어), 회전 톱니와 동반 회전하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회전 톱니와 고정 톱니의 훑기 처리에 의해, 지경 부착립 등이 지경과 곡립으로 효율적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이 오목부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이 상태에서 회전 톱니가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더 많은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이 훑기 처리되어, 훑기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고정 톱니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서 위치 어긋남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고정 톱니는, 회전축의 회전 방향, 즉 회전 톱니의 회전 방향에 대해 위치 어긋남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경 부착립 등이 오목부에 걸릴 수 있는 영역이 커진다. 이에 의해, 2번물에 포함되는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의 훑기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스의 주위부에 점검구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점검구를 개폐 가능한 덮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톱니는, 상기 덮개 부재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기존의 점검구에 설치된 덮개 부재에 고정 톱니를 형성함으로써, 덮개 부재를 벗기면, 고정 톱니를 넓게 개방한 상태로 할 수 있어, 오목부에 짚 부스러기 등이 차는 것을 제거하기 쉬워진다. 또한, 작물의 종류나 작물의 상황에 따라서, 덮개 부재를, 고정 톱니가 없는 것이나, 고정 톱니의 수나 레이아웃이 상이한 것, 오목부의 구성이 상이한 것으로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스의 내주부에 있어서의 상부측 부분에, 복수의 상기 고정 톱니로 구성되는 상부측 고정 톱니군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측 고정 톱니군은, 상기 접속 케이스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2번 회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축 단부에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부측 고정 톱니군은, 2번 회수부로부터 2번물이 접속 케이스에 도입될 때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따라서, 2번 회수부로부터 2번물을 효율적으로 접속 케이스에 도입하여, 더 많은 2번물에 대해 훑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스의 내주부에 있어서의 하부측 부분에, 복수의 상기 고정 톱니로 구성되는 하부측 고정 톱니군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접속 케이스의 내주부에 있어서의 상부측 부분에, 복수의 상기 고정 톱니로 구성되는 상부측 고정 톱니군이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하부측 고정 톱니군 및 상부측 고정 톱니군에 의해, 지경 부착립 등이 오목부에 걸릴 수 있는 영역이 확대됨과 함께, 오목부가 상향이 되는 하부측 고정 톱니군과, 오목부가 하향이 되는 상부측 고정 톱니군에 의해, 지경 부착립 등에 대한 오목부에 의한 작용 방법을 바꿀 수 있어, 더욱 효율적으로 훑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고정 톱니군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 톱니의 수는, 상기 상부측 고정 톱니군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 톱니의 수보다 많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2번물에 포함되는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은, 그 중력에 의해 접속 케이스의 상측보다 하측에 더 많이 체류되기 쉽다. 따라서, 하부측 고정 톱니군의 고정 톱니의 수를 상부측 고정 톱니군보다 많게 함으로써, 훑기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고정 톱니군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고정 톱니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서, 위상이 상이하도록 위치 어긋남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측 고정 톱니군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고정 톱니는, 상기 회전 방향에서, 동일 위상이 되도록 위치 어긋남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고정 톱니군을 설치하는 경우에, 각 고정 톱니군의 배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고정 톱니군에 있어서의 훑기 처리에 강약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피드 체인에 의해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실 내에서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이며,
탈곡 장치의 전방벽에 형성된 곡간 입구와,
상기 곡간 입구의 하부에 설치됨과 함께, 예취 곡간을 상기 곡간 입구를 향해 안내하는 입구 플레이트와,
상기 곡간 입구를 덮는 탄성 변형 가능한 커버와,
상기 입구 플레이트 중 상기 곡간 입구에 대응하는 전후 위치의 개소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급실 내의 곡립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 둑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실 내의 곡립이 입구 플레이트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려고 해도, 둑부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에 의해, 급실 내의 곡립이 입구 플레이트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둑부는, 상기 입구 플레이트로부터 올라가는 기립부를 갖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실 내의 곡립이 입구 플레이트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려고 해도, 기립부에 의해 저해되게 된다. 이에 의해, 급실 내의 곡립을 입구 플레이트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둑부는, 상기 기립부의 상단부로부터 전방 하향의 경사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갖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예취 곡간이 경사부의 경사를 따라 후방으로 흐르기 때문에, 둑부가 예취 곡간의 반송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둑부는,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면보다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실 내의 곡립이 둑부에 의해 가능한 한 급실의 내부측에서 막히게 된다. 이에 의해, 급실 내의 곡립이 입구 플레이트를 타고 외부로 더 누출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둑부는, 상기 입구 플레이트 중 횡폭 방향에서 상기 피드 체인이 위치하는 측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예취 곡간이 피드 체인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될 때, 예취 곡간 중 밑동측의 부분이 강하게 끼움 지지되어 있는 관계상, 예취 곡간 중 밑동측의 부분과 입구 플레이트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입구 플레이트 중 횡폭 방향에서 피드 체인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개소에 있어서의 입구 플레이트 상의 곡립은, 반송 중인 예취 곡간 중 이삭 끝측의 부분에 의해 급실의 내부측으로 쓸어져 복귀되기 쉬운 한편, 입구 플레이트 중 횡폭 방향에서 피드 체인이 위치하는 측의 개소에 있어서의 입구 플레이트 상의 곡립은, 반송 중인 예취 곡간 중 밑동측의 부분에 의해 급실의 내부측으로 쓸어져 되돌려지지 않고, 입구 플레이트 상에 남은 상태 그대로, 입구 플레이트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게 되기 쉽다.
그러나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입구 플레이트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기 쉬운, 입구 플레이트 중 횡폭 방향에서 피드 체인이 위치하는 측의 개소에 있어서의 입구 플레이트 상의 곡립을, 입구 플레이트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둑부는, 상기 입구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여기서, 「횡폭 방향의 전체 길이」라 함은, 「횡폭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실 내의 곡립이 입구 플레이트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둑부에 의해, 입구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막을 수 있다.
도 1은 탈곡 장치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일부 상면도이다.
도 2는 탈곡 장치의 내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의 외측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접속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우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접속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접속 케이스의 내부를 내려다보았을 때의 제1 덮개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7은 접속 케이스의 내부를 올려다보았을 때의 제2 덮개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8은 접속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우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탈곡 장치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입구 플레이트 및 둑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수확기의 일례로서의 자탈형 콤바인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콤바인의 주행 기체의 전후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작업 상태에 있어서의 기체 진행 방향을 따라 정의하고, 기체의 좌우 방향을 정의할 때는, 기체 진행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즉, 도 1 등에 부호 (F)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전방측, 부호 (B)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후방측, 부호 (L)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좌측, 부호 (R)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우측이다. 따라서, 기체 좌우 방향이 주행 기체 횡폭 방향에 대응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에는, 기체 전방 우측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부(1)의 후방부, 또한 기체 좌측에는, 운전부(1)의 전방의 예취부(2)에서 예취한 수확 대상물의 탈곡 처리를 행하는 탈곡 장치(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탈곡 장치(3)에서 탈곡 처리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5)가 운전부(1)의 후방부, 또한 기체 우측에 구비되고,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콤바인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짚 처리 장치(7)가 탈곡 장치의 후방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3)에는,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훑어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11), 탈곡부(11)에서 탈곡 처리된 탈곡 처리물을 반송하면서 요동 선별하는 선별부(13), 선별 처리로 얻은 곡립 등을 회수하는 회수부(16)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탈곡 장치(3)에는, 탈곡부(11)의 급실(C1)을 덮는 상부 프레임(14)과, 상부 프레임(14)의 하방에 연속 설치되고, 선별부(13) 및 회수부(16)의 선별실(C2)을 덮는 하부 프레임(15)이 구비되어 있다.
[탈곡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부(11)에서는, 예취부(2)(도 1 참조)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예취 곡간이, 피드 체인(4)에 의해 후방을 향해 끼움 지지 반송된다. 그리고 탈곡부(11)에는, 전후 방향을 따른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 구동되어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급날(18a)에 의해 훑어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드럼식 급동(18)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탈곡부(11)에는, 급동(18)에서 처리된 탈곡 처리물을 받아 새어 나가게 하는 수망(19)이 구비되어 있다.
급동(18)에서 예취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탈곡 처리물은, 수망(19)을 새어 나감으로써, 또는 급동(18)의 후단부 개소로부터 직접 낙하함으로써, 선별부(13)로 공급되고, 선별부(13)에 의해 선별 처리된 탈곡 처리물은, 회수부(16)에 의해 회수된다. 급동(18)에 의한 처리 후의 배출 짚은, 피드 체인(4)으로부터 배출 짚 반송 장치(6)에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그대로 기체 밖으로 배출되거나, 배출 짚 처리 장치(7)에 의해 세단되어 기체 밖으로 배출된다.
[선별부]
선별부(13)는, 탈곡부(11)로부터 공급된 탈곡 처리물을 후방을 향해 이송하면서 체로 쳐 선별하는 요동 선별 기구(23), 요동 선별 기구(23)에 있어서의 하측의 정 선별 영역 등에 선별풍을 공급하는 주 풍구(24), 요동 선별 기구(23)에 있어서의 상측의 조 선별 영역에 선별풍을 공급하는 제1 부 풍구(25), 요동 선별 기구(23)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선별 영역에 선별풍을 공급하는 제2 부 풍구(26) 등이 구비되어 있다.
요동 선별 기구(23)에는, 상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시브 케이스(27)에, 제1 그레인 팬(28), 복수의 제1 체선(29), 제2 그레인 팬(30), 복수의 제2 체선(31), 채프 시브(32), 스트로우 랙(33) 및 그레인 시브(35)가 구비되어 있다. 시브 케이스(27)는, 편심 캠식 구동부(36)에 의해 요동 구동된다.
[회수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수부(16)에는, 선별부(13)의 그레인 시브(35)로부터 유하한 1번물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44)와, 선별부(13)의 그레인 시브(35)의 후방으로부터 유하한 2번물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45)가 구비되어 있다. 2번 회수부(45)는, 1번 회수부(44)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 회수부(44)는, 탈곡 장치(3)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1번 횡 반송부(46)를 갖고 있다. 1번 횡 반송부(46)의 내부에는, 탈곡 장치(3)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1번 반송 스크루(제1 반송 스크루)(4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 횡 반송부(46)의 우측 단부에는, 1번 횡 반송부(4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반송 장치(50)가 접속되어 있다. 1번 반송 스크루(47)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1번 회수부(44)는, 탈곡 장치(3)에서 탈곡 처리되어 회수된 1번물을 우측에 접속되어 있는 반송 장치(50)에 전달한다.
반송 장치(50)는, 그 내부에 배치된 1번 리프팅 스크루(53)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1번 반송 스크루(47)와 연동함으로써, 1번 횡 반송부(46)로부터 반송된 1번물을 곡립 탱크(5)의 상부로 반송한다. 이에 의해, 곡립 탱크(5)는, 반송 장치(50)에 의해 반송된 1번물을, 그 상부로부터 수용하여 저류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번 회수부(45)는, 탈곡 장치(3)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번 횡 반송부(48)를 갖고 있다. 2번 횡 반송부(48)의 내부에는, 탈곡 장치(3)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번 반송 스크루(제2 반송 스크루)(49)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번 횡 반송부(48)의 우측 단부에는, 2번 환원부(55)가 배치되어 있다. 2번 환원부(55)는, 2번 횡 반송부(48)의 우측 단부에 접속된 접속 케이스(57)(「2번 처리통」이라고도 칭해짐)와, 접속 케이스(57)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 반송부(58)를 갖고 있다. 2번 반송 스크루(49)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2번 회수부(45)는, 탈곡 장치(3)에서 탈곡 처리되어 회수된 2번물을 우측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 케이스(57)에 도입한다.
접속 케이스(57)는, 2번 반송 스크루(49)와의 연동에 의해, 2번 반송 스크루(49)에 의해 반송된 2번물에 훑기 처리(세단 처리)를 실시하여, 종 반송부(58)에 도입한다. 종 반송부(58)에는, 그 내부에 2번 환원 스크루(5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종 반송부(58)와 탈곡 장치(3) 사이에는, 안내 슈트(56)가 접속되어 있다. 종 반송부(58)는, 2번 환원 스크루(59)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접속 케이스(57)에 의한 세단 처리 후의 2번물을, 안내 슈트(56)를 통해,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이송 방향 상측, 예를 들어 채프 시브(32)의 상방으로 환원한다.
[접속 케이스]
접속 케이스(57)에 대해, 이하에 더 설명한다. 접속 케이스(5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61)와, 본체부(61)의 하부측 부분에 설치된 제1 점검구(63)를 개폐 가능한 제1 덮개 부재(65)와, 본체부(61)의 상부측 부분에 설치된 제2 점검구(67)를 개폐 가능한 제2 덮개 부재(69)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케이스(57)는, 이들 본체부(61), 제1 덮개 부재(65) 및 제2 덮개 부재(69)에 의해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 형상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고, 2번 반송 스크루(49)와 연통되는 개구와, 종 반송부(58)와 연통되는 개구를 갖고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케이스(57)의 내부에는,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 톱니(75)와, 회전 톱니(75)와 대향하도록 접속 케이스(57)의 내벽에 지지된 고정 톱니(81, 91)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7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톱니(75)가 고정 톱니(81, 91)와 근접 위치에서 대향하도록 회전한다. 회전 톱니(75)와 대향하는 고정 톱니(81, 91)의 제2 경사부(81β, 91β)(본 발명의 「작용부」에 상당함)에는, 오목부(83, 9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3, 93)에 2번물에 포함되는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이 걸린 상태(걸려든 상태)에서, 회전 톱니(75)가 고정 톱니(81, 91)와 근접 위치에서 대향하도록 회전함으로써,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이 지경과 곡립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훑기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하에, 회전 톱니(75), 고정 톱니(81, 91) 및 이것들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 더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케이스(57)의 내부에는, 2번 반송 스크루(49)의 회전축(71)이 연장되어 있다. 이 회전축(71)의 우측 단부의 근방인 우측 축 단부 부분에, 회전축 방향(회전축(71)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판상 면을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73)가 회전축(7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도 4의 경우, 인접하는 블레이드 부재(73)가 서로 대략 90° 이격되도록, 4매의 블레이드 부재(73)가 회전축(71)의 우측 축 단부 부분에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각 블레이드 부재(73)는, 도 4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7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들 각 블레이드 부재(73)에는, 회전축(71)의 회전 방향 전방측과는 반대인 회전 방향 후방측의 면에, 직사각 형상이며 판상인 복수의 회전 톱니(75)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회전 톱니(75)는, 그 판상 면이 회전축 방향과의 교차 방향을 따르도록, 또한 회전축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각 블레이드 부재(51)의 선단부에는, 인접하는 회전 톱니(75) 사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절결 홈(77)이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블레이드 부재(51)는, 선단이 갈라진 갈퀴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각 회전 톱니(75)는, 절결 홈(77)이 형성되어 있는 선단부가, 회전축(71)의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 톱니(75)가 고정 톱니(81, 91)와 근접 위치에서 대향할 때, 회전 톱니(75)가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으로부터 받는 저항을 뒤로 빠지게 하여, 저항을 더 적게 한 상태에서 훑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4매의 블레이드 부재(73)는, 3개의 회전 톱니(75)가 설치된 블레이드 부재(73)와, 4개의 회전 톱니(75)가 설치된 블레이드 부재(73)를 포함하고, 이것들이 교대로 회전축(71)에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블레이드 부재(73)에는, 회전축(71)의 우측 단부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차례로, 제1 내지 제4 회전 톱니(75(75a 내지 75d))가 구비되어 있고, 다른 블레이드 부재(73)에는, 회전축(71)의 우측 단부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차례로, 제1 내지 제3 회전 톱니(75(75a 내지 75c))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절결 홈(77)으로서, 각 회전 톱니(75)의 사이에, 회전축(71)의 우측 단부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차례로, 제1 내지 제3 절결 홈(77(77a 내지 77c)) 또는 제1 및 제2 절결 홈(77(77a, 77b))이 구비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케이스(57)의 제1 덮개 부재(65)의 내주면(65a)(본 발명의 「내주부」에 상당함)에는, 복수의 하측 고정 톱니(81)(본 발명의 「하부측 고정 톱니군」에 상당함)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하측 고정 톱니(81)는, 삼각 형상, 또한 판상이며,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고정 톱니(81)는, 회전 방향 하측의 제1 경사부(81α)와, 회전 방향 상측에서, 제1 경사부(81α)보다 긴 제2 경사부(81β)에 의해, 제1 덮개 부재(65)의 내주면(65a)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경사부(81β)는, 제1 경사부(81α)보다 경사가 완만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하측 고정 톱니(81)는, 복수의 회전 톱니(75)에 대응하는 상태로, 또한 회전축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의 경우, 복수의 하측 고정 톱니(81)로서, 합계 5개의 제1 내지 제5 하측 고정 톱니(81a 내지 81e)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회전 톱니(75)가, 절결 홈(77)을 통해 복수의 하측 고정 톱니(81)를 통과하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하측 고정 톱니(81)는 전술한 바와 같이 5개의 하측 고정 톱니(81)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2개의 상측 고정 톱니(91)보다 수가 많다. 2번물에 포함되는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은, 그 중력에 의해 접속 케이스(57)의 상측보다 하측에 더 많이 체류되기 쉽다. 따라서, 하측 고정 톱니(81)의 수를 상측 고정 톱니(91)의 수보다 많게 함으로써, 훑기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 하측 고정 톱니(81)에는, 제2 경사부(81β)의 상부에, 하측 고정 톱니(81)의 판상 면을 따라(회전축(7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오목부(83)가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83)는, 판상의 하측 고정 톱니(81)를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경우, 각 하측 고정 톱니(81)에는, 예를 들어 4개의 오목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 고정 톱니(81)의 제2 경사부(81β)에는, 복수의 오목부(83)가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은,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열된 상태에서 복수의 오목부(83)에 걸린다(걸려든다). 이와 같이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이 나열된 방향을 따라, 회전 톱니(75)가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더 많은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이 훑기 처리되어, 훑기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부(81α)보다 긴 제2 경사부(81β)의 상부에 복수의 오목부(83)가 형성됨으로써, 더 많은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이 오목부(83)에 걸린다(걸려든다). 회전 톱니(75)의 회전에 의해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을 지경과 곡립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부(81α)보다 경사가 완만한 제2 경사부(81β)를 사용하여, 훑기 처리에 의한 저항을 작게 하여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에의 손상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측 고정 톱니(81a)와 제2 하측 고정 톱니(81b)는 회전축 방향(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하측 고정 톱니(81a)와 제2 하측 고정 톱니(81b)는,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상이 되도록 위치 어긋남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1 하측 고정 톱니(81a)는, 제1 회전 톱니(75a)와 제2 회전 톱니(75b) 사이의 제1 절결 홈(77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측 고정 톱니(81b)는, 제3 회전 톱니(75c)와 제4 회전 톱니(75d) 사이의 제3 절결 홈(77c)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하측 고정 톱니(81c)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제1 하측 고정 톱니(81a)와 제2 하측 고정 톱니(81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3 하측 고정 톱니(81c)는, 제1 하측 고정 톱니(81a) 및 제2 하측 고정 톱니(81b)와는,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위상이 상이하도록 위치 어긋남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3 하측 고정 톱니(81c)는, 일부가 제1 하측 고정 톱니(81a) 및 제2 하측 고정 톱니(81b)에 중복되어도 되지만, 제1 하측 고정 톱니(81a) 및 제2 하측 고정 톱니(81b)보다 회전 방향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3 하측 고정 톱니(81c)는, 제2 회전 톱니(75b)와 제3 회전 톱니(75c) 사이의 제2 절결 홈(77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4 하측 고정 톱니(81d) 및 제5 하측 고정 톱니(81e)는,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제1 하측 고정 톱니(81a) 및 제2 하측 고정 톱니(81b)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4 하측 고정 톱니(81d)와 제5 하측 고정 톱니(81e)는,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상이 되도록 위치 어긋남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4 하측 고정 톱니(81d) 및 제5 하측 고정 톱니(81e)는, 제3 하측 고정 톱니(81c)와는,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위상이 상이하도록 위치 어긋남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4 하측 고정 톱니(81d) 및 제5 하측 고정 톱니(81e)는, 일부가 제3 하측 고정 톱니(81c)에 중복되어도 되지만, 제3 하측 고정 톱니(81c)보다 회전 방향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4 하측 고정 톱니(81d)는, 제1 회전 톱니(75a)와 제2 회전 톱니(75b) 사이의 제1 절결 홈(77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5 하측 고정 톱니(81e)는, 제3 회전 톱니(75c)와 제4 회전 톱니(75d) 사이의 제3 절결 홈(77c)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하측 고정 톱니(81a) 및 제2 하측 고정 톱니(81b)와, 제3 하측 고정 톱니(81c)와, 제4 하측 고정 톱니(81d) 및 제5 하측 고정 톱니(81e)는,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위상이 상이하도록 위치 어긋남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톱니(75)와 하측 고정 톱니(81a 내지 81e)의 대향 영역이 커진다. 이에 의해, 2번물에 포함되는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의 훑기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케이스(57)의 제2 덮개 부재(69)의 내주면(69a)(본 발명의 「내주부」에 상당함)에는, 판상의 복수의 상측 고정 톱니(91)(본 발명의 「하부측 고정 톱니군」에 상당함)가 지지되어 있다. 각 상측 고정 톱니(91)는, 하측 고정 톱니(81)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회전 방향 전방측의 제1 경사부(91α)와, 회전 방향 후방측에서, 4개의 오목부(93)가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2 경사부(91β)에 의해, 제2 덮개 부재(69)의 내주면(69a)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상측 고정 톱니(91)는, 복수의 회전 톱니(75)에 대응하는 상태이며, 또한 회전축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7의 경우, 복수의 상측 고정 톱니(91)로서, 제1 상측 고정 톱니(91a) 및 제2 상측 고정 톱니(91b)가 구비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측 고정 톱니(91a)와 제2 상측 고정 톱니(91b)는 회전축 방향(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상측 고정 톱니(91a)와 제2 상측 고정 톱니(91b)는,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상이 되도록 위치 어긋남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상측 고정 톱니(91a)는, 제1 회전 톱니(75a)와 제2 회전 톱니(75b) 사이의 제1 절결 홈(77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상측 고정 톱니(91b)는, 제2 회전 톱니(75b)와 제3 회전 톱니(75c) 사이의 제2 절결 홈(77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회전 톱니(75)가, 절결 홈(77)을 통해 복수의 상측 고정 톱니(91)를 통과하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하측 고정 톱니(81) 중, 제2 하측 고정 톱니(81b) 및 제5 하측 고정 톱니(81e)는, 2번 회수부(45)측에 가장 인접하는 제4 회전 톱니(75d)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상측 고정 톱니(91) 중 제2 상측 고정 톱니(91b)는, 제3 회전 톱니(75c)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상측 고정 톱니(91)는, 복수의 하측 고정 톱니(81)보다, 전체적으로 회전축 방향(접속 케이스(57)의 폭 방향)에 있어서, 2번 회수부(45)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축(71)의 우측 축 단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측 고정 톱니(91)는, 2번 회수부(45)로부터 2번물이 접속 케이스(57)에 도입될 때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따라서, 2번 회수부(45)로부터 2번물을 효율적으로 접속 케이스(57)에 도입하여, 더 많은 2번물에 대해 훑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접속 케이스(57)에 있어서, 회전축(71)이 회전 구동되면, 2번 회수부(45)로부터 접속 케이스(57)로 도입된 2번물이,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73)에 의해 회전축(7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압박 반송된다. 2번물은 복수의 하측 고정 톱니(81)의 오목부(83) 및 복수의 상측 고정 톱니(91)의 오목부(93) 내로 압입되어 걸린다(걸려든다). 이 상태에서, 복수의 회전 톱니(75)가 복수의 하측 고정 톱니(81) 및 복수의 상측 고정 톱니(91)와 근접 위치에서 대향하도록 회전한다. 2번물이 오목부(83, 93) 내에 걸린(걸려든)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 톱니(75)로부터 2번물이 빠져나가는 것이 억제되어, 2번물에 포함되는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을 지경과 곡립으로 분리하도록, 훑기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가 실시된 2번물이, 2번 환원부(55) 및 안내 슈트(56)를 통해 탈곡 장치(3)의 선별부(13)로 환원된다. 따라서, 탈곡 장치(3)에서의 곡립 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하측 고정 톱니(81) 및 복수의 상측 고정 톱니(91)에 의해, 접속 케이스(57)의 하측 부분 및 상측 부분의 양쪽에 있어서 훑기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하측 고정 톱니(81)는 회전 방향에서 위상이 상이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톱니(75)와의 대향 영역이 비교적 크다. 한편, 복수의 상측 고정 톱니(91)는 회전 방향에서 위상이 동일하기 때문에, 회전 톱니(75)와의 대향 영역이 비교적 작다. 복수의 고정 톱니(81, 91)를 설치하는 경우에, 각 고정 톱니(81, 91)의 배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고정 톱니(81, 91)에 있어서의 훑기 처리에 강약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하측 고정 톱니(81) 및 복수의 상측 고정 톱니(91)는, 각각 제1 덮개 부재(65) 및 제2 덮개 부재(69)에 설치되어 있다. 기존의 점검구(63, 67)에 설치된 덮개 부재(65, 69)에 고정 톱니(81, 91)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부재에 고정 톱니(81, 91)를 형성하는 일 없이 훑기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톱니(81, 91) 및 회전 톱니(75)에 의해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의 훑기 처리가 과잉으로 행해져 곡립이 손상을 받는 경우에는, 고정 톱니(81, 9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덮개 부재, 고정 톱니(81, 91)의 수가 적은 덮개 부재, 또는 고정 톱니(81, 91)의 오목부(83, 93)의 수가 적은 등의 별도의 덮개 부재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 상기 실시 형태에 변경을 가한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다른 실시 형태는,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상기 실시 형태에 복수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고 있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블레이드 부재(73), 회전 톱니(75), 하측 고정 톱니(81), 상측 고정 톱니(91), 절결 홈(77)의 수나 레이아웃이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지경 부착립이나 2립 등이 적절하게 훑기 처리되어, 곡립에 손상을 미치지 않는 정도이면, 다양한 형태를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덮개 부재(65) 및 제2 덮개 부재(69)에 각각 하측 고정 톱니(81) 및 상측 고정 톱니(9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덮개 부재(65) 및 제2 덮개 부재(69) 중 어느 하나에 고정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고정 톱니의 형성 장소는 제1 덮개 부재(65) 및 제2 덮개 부재(69)에 한정되지 않고, 접속 케이스(57) 내의 회전 톱니에 대응한 임의의 장소에 고정 톱니를 형성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고정 톱니에는, 4개의 오목부(83, 93)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오목부(83, 93)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3개 이하여도, 4개보다 많아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의 접속 케이스(57)의 우측면에서 보아, 접속 케이스(57)와 종 반송부(58)의 저부의 접속 부분에서는, 종 반송부(58)의 저면은, 접속 케이스(57)가 종 반송부(58)에 접속하는 단부면에 대해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접속 케이스(57)의 단부면과 종 반송부(58)의 저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단차에 수반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케이스(57)의 단부면과 종 반송부(58)의 저면은, 단차가 없이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단차가 없어 단차에 수반되는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이 공간에 티끌, 곡립 및 배출 짚 등이 저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4)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추가하여, 접속 케이스(57)의 내주면에는, 마모되었을 때에 교환 가능한 라이너(도시하지 않음)가 적절한 개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탈곡 장치의 전체 구성〕
도 9에는, 탈곡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탈곡 장치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1F)이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는, 피드 체인(1F)에 의해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실(1001) 내에서 탈곡 처리한다. 탈곡 장치의 상부에는, 급실(1001)이 형성되어 있다. 급실(1001)에는, 급동(1002)이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1Y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급동(1002)의 하방에는, 수망(1003)이 설치되어 있다. 급동(1002)의 후방에는, 분리 드럼(1004)이 설치되어 있다. 분리 드럼(1004)은, 확산통이며, 선별 대상물을 풀어서 이것에 포함되는 단립화 곡립 등의 유하를 촉진한다. 분리 드럼(1004)의 후방에는,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1005)이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의 하부에는, 선별 대상물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1006)나, 요동 선별 장치(1006)에 있어서의 하부측의 선별 영역(정 선별 영역)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주 풍구(1007), 요동 선별 장치(1006)에 있어서의 상부측의 선별 영역(조 선별 영역)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제1 부 풍구(1008), 요동 선별 장치(1006)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선별 영역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제2 부 풍구(1009), 1번물의 곡립(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제1 회수부(1010), 2번물의 곡립(지경이 달린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1011)가 설치되어 있다.
1번 회수부(1010)에는, 1번물의 곡립을 우측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1012)가 설치되어 있다. 1번 스크루(1012)의 우측 단부에는, 1번물의 곡립을 곡립 저류 탱크(도시 생략)에 양곡 반송하는 양곡 장치(1013)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2번 회수부(1011)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우측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1014)가 설치되어 있다. 2번 스크루(1014)의 우측 단부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1006)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1015)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이 통과하는 급구(1016)가 형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의 전방벽(1017)에는, 예취 곡간이 도입되는 곡간 입구(1018)가 형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의 전방벽(1017)으로부터는, 급동축(1002a)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급동축(1002a) 중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는, 입력 풀리(1019)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 풀리(1019) 및 출력 풀리(도시 생략) 등에는,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1020)가 권회되어 있다. 탈곡 장치의 전방벽(1017)에는, 입력 풀리(1019)나 전동 벨트(1020)를 덮는 벨트 커버(1021)가 설치되어 있다.
곡간 입구(1018)의 하부에는, 예취 곡간을 곡간 입구(1018)를 향해 안내하는 입구 플레이트(1022)가 설치되어 있다. 입구 플레이트(1022)에는, 원호 면부(1022a)와, 입구 플레이트(1022)의 좌측 에지부측에 있어서, 좌측 하향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면부(1022b)와, 입구 플레이트(1022)의 좌측 에지부측에 있어서,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면부(1022c)와, 입구 플레이트(1022)의 후방 에지부에 있어서, 곡간 입구(1018)의 하부에 설치되는 설치부(1022d)가 형성되어 있다.
곡간 입구(1018)를 덮는 탄성 변형 가능한 커버(1023)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1023)는, 예를 들어 고무제의 부재이며, 벨트 커버(1021)의 전방면(1021a)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둑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실(1001) 내의 곡립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 둑부(1024)가 설치되어 있다. 둑부(1024)는, 입구 플레이트(1022) 내 곡간 입구(1018)에 대응하는 전후 위치의 개소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둑부(1024)는, 탈곡 장치의 전방면(벨트 커버(1021)의 전방면(1021a))보다 후방측이며, 또한 탈곡 장치의 전방벽(1017)보다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둑부(1024)는, 벨트 커버(1021)의 하방에 있어서, 벨트 커버(1021)의 두께(기체 전후 방향의 길이)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둑부(1024)는, 입구 플레이트(1022) 중 횡폭 방향에서 피드 체인(1F)이 위치하는 측의 개소(좌측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둑부(1024)는, 그 좌측 단부가 커버(1023)의 좌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둑부(1024)는, 기립부(1024a)와, 경사부(1024b)와, 저부(1024c)를 구비하고 있다. 둑부(1024)는, 판상 부재가 구부러져 구성되어 있다. 둑부(1024)는, 착탈 가능하도록, 입구 플레이트(1022) 중 제2 경사면부(1022c)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기립부(1024a)는, 입구 플레이트(1022)로부터 올라가는 부분이며, 측면에서 보아 전방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기립부(1024a)는, 제2 경사면부(1022c)에 대해 대략 직각(기립부(1024a)와 제2 경사면부(1022c)가 이루는 각도 1α가 대략 90도)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사부(1024b)는, 기립부(1024a)의 상단부로부터 전방 하향의 경사 형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경사부(1024b)에는, 입구 플레이트(1022)의 요철 형상을 따르도록 절결부(1024d)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024b)의 전단부에 연속하여, 입구 플레이트(1022)(제2 경사면부(1022c))를 따르도록 경사부(1024b)에 대해 구부러지는 구부러짐부(1024e)가 형성되어 있다.
저부(1024c)에는, 입구 플레이트(1022)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1025)가 설치되어 있다. 볼트(1025)는, 입구 플레이트(1022)에 대해 이면측으로부터 너트(102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볼트(1025)가 노출되지 않도록, 볼트(1025)가 경사부(1024b)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덮여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곡간(1S)이 곡간 입구(1018)를 통과할 때에 커버(1023)에 접촉하여 커버(1023)가 말려 올라가게 된다. 그러나 급실(1001) 내의 곡립(1G)이 입구 플레이트(1022)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려고 해도, 둑부(1024)(기립부(1024a))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에 의해, 급실(1001) 내의 곡립(1G)이 입구 플레이트(1022)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기 어렵다.
여기서, 예취 곡간(1S)이 피드 체인(1F)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될 때, 예취 곡간(1S) 중 밑동측의 부분이 강하게 끼움 지지되어 있는 관계상, 예취 곡간(1S) 중 밑동측의 부분과 입구 플레이트(1022)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입구 플레이트(1022) 중 횡폭 방향에서 피드 체인(1F)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개소(우측의 개소)에 있어서의 입구 플레이트(1022) 상의 곡립은, 반송 중인 예취 곡간(1S) 중 이삭 끝측의 부분에 의해 급실(1001)의 내부측으로 쓸어져 복귀되기 쉬운 한편, 입구 플레이트(1022) 중 횡폭 방향에서 피드 체인(1F)이 위치하는 측의 개소(좌측의 개소)에 있어서의 입구 플레이트(1022) 상의 곡립은, 반송 중인 예취 곡간(1S) 중 밑동측의 부분에 의해 급실(1001)의 내부측으로 쓸어져 되돌려지지 않고, 입구 플레이트(1022) 상에 남은 상태 그대로, 입구 플레이트(1022)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게 되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에 의하면, 입구 플레이트(1022)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기 쉬운, 입구 플레이트(1022) 중 횡폭 방향에서 피드 체인이 위치하는 측의 개소(좌측의 개소)에 있어서의 입구 플레이트(1022) 상의 곡립(1G)을, 입구 플레이트(1022)를 타고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둑부(1024)는, 경사부(1024b)를 구비하고 있지만, 경사부(1024b)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둑부(1024)는, 적어도 기립부(1024a)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둑부(1024)는, 입구 플레이트(1022)와는 다른 부재이지만, 입구 플레이트(1022)와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둑부(1024)는, 탈곡 장치의 전방면(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 커버(1021)의 전방면(1021a))보다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탈곡 장치의 전방면보다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탈곡 장치의 전방면과 동일한 전후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둑부(1024)는, 입구 플레이트(1022) 중 횡폭 방향에서 피드 체인(1F)이 위치하는 측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지만, 입구 플레이트(1022)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뿐만 아니라, 예취 곡간 전체를 탈곡 장치에 투입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콤바인(예를 들어, 자탈형 콤바인)에 이용 가능하다.
3 : 탈곡 장치
44 : 1번 회수부
45 : 2번 회수부
47 : 1번 반송 스크루
49 : 2번 반송 스크루
50 : 반송 장치
55 : 2번 환원부
57 : 접속 케이스
58 : 종 반송부
63, 67 : 점검구
65, 69 : 덮개 부재
65a, 69a : 내주면(내주부)
75 : 회전 톱니
81, 91 : 고정 톱니
81α, 91α : 제2 경사부(작용부)
83, 93 : 오목부
1001 : 급실
1017 : 탈곡 장치의 전방벽
1018 : 곡간 입구
1021a : 벨트 커버의 전방면(탈곡 장치의 전방면)
1022 : 입구 플레이트
1023 : 커버
1024 : 둑부
1024a : 기립부
1024b : 경사부
1F : 피드 체인
1G : 곡립

Claims (16)

  1. 수확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 처리된 곡립을 상승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곡립을 상부로부터 수용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탈곡 장치에, 상기 탈곡 장치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반송 스크루를 갖고, 탈곡 처리 후의 1번물을 회수하여 상기 반송 장치로 전달하는 1번 회수부와, 상기 탈곡 장치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반송 스크루를 갖고, 또한 상기 1번 회수부보다 탈곡 처리 방향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탈곡 처리 후의 2번물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와, 상기 2번 회수부로부터 상기 2번물을 수취하고, 상승 반송하여 상기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이송 방향 상측으로 환원하는 2번 환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2번 환원부에, 상기 2번 회수부와의 접속 개소에 설치된 접속 케이스와, 상기 접속 케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2번물을 상승 반송하는 종 반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 케이스에, 상기 제2 반송 스크루의 회전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상기 제2 반송 스크루의 회전축의 축 단부 부분에 지지된 복수의 회전 톱니와, 상기 복수의 회전 톱니에 대응하는 상태 또한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상기 접속 케이스의 내주부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고정 톱니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 케이스는, 상기 회전 톱니와 상기 고정 톱니에 의해, 상기 2번물에 포함되는 지경과 곡립이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톱니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톱니에 대향하는 작용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톱니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서 위치 어긋남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스의 주위부에 점검구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점검구를 개폐 가능한 덮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톱니는, 상기 덮개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스의 내주부에 있어서의 상부측 부분에, 상기 복수의 고정 톱니로 구성되는 상부측 고정 톱니군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측 고정 톱니군은, 상기 접속 케이스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2번 회수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축 단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스의 내주부에 있어서의 하부측 부분에, 상기 복수의 고정 톱니로 구성되는 하부측 고정 톱니군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접속 케이스의 내주부에 있어서의 상부측 부분에, 상기 복수의 고정 톱니로 구성되는 상부측 고정 톱니군이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고정 톱니군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 톱니의 수는, 상기 상부측 고정 톱니군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 톱니의 수보다 많은, 콤바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고정 톱니군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고정 톱니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서, 위상이 상이하도록 위치 어긋남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측 고정 톱니군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고정 톱니는, 상기 회전 방향에서, 동일 위상이 되도록 위치 어긋남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80154391A 2017-12-12 2018-12-04 콤바인 및 탈곡 장치 KR102652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37634 2017-12-12
JP2017237634A JP6832834B2 (ja) 2017-12-12 2017-12-12 コンバイン
JP2017244644A JP6942043B2 (ja) 2017-12-21 2017-12-21 脱穀装置
JPJP-P-2017-244644 2017-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275A KR20190070275A (ko) 2019-06-20
KR102652829B1 true KR102652829B1 (ko) 2024-04-01

Family

ID=6695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391A KR102652829B1 (ko) 2017-12-12 2018-12-04 콤바인 및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2829B1 (ko)
CN (1) CN10990675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5088A (ja) 2004-08-20 2006-03-02 Kubota Corp 脱穀装置
JP2007174996A (ja) 2005-12-28 2007-07-12 Kubota Corp 脱穀装置の選別処理物搬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20777Y1 (ko) * 1964-02-07 1968-09-02
JPS5432254U (ko) * 1977-08-04 1979-03-02
JPS598513Y2 (ja) * 1978-09-25 1984-03-16 株式会社クボタ 脱穀機における穀稈供給口の吹き返し防止装置
IT8153561V0 (it) * 1981-08-28 1981-08-28 Laverda Spa Pietro Macchina mietitrebbiatrice
JP3746322B2 (ja) * 1996-03-19 2006-02-15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用脱穀機
CN1327755C (zh) * 2003-09-05 2007-07-25 梨本工业株式会社 脱粒装置的稻草切割刀具的制造方法
JP2005304427A (ja) * 2004-04-23 2005-11-04 Kubota Corp 全稈投入型脱穀機
JP2006081467A (ja) * 2004-09-16 2006-03-30 Iseki & Co Ltd 脱穀装置
JP2008017762A (ja) * 2006-07-12 2008-01-31 Kubota Corp 脱穀装置の二番物処理装置
JP2009039037A (ja) * 2007-08-09 2009-02-26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5246953B2 (ja) * 2009-07-23 2013-07-2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400566B2 (ja) 2009-10-22 2014-01-29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におけるチャフシーブ構造
JP5174059B2 (ja) * 2010-02-15 2013-04-03 株式会社クボタ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粒穀稈排出構造
US8007353B1 (en) * 2010-04-01 2011-08-30 Deere & Company Clean grain conveyor for an agricultural combine
JP5752929B2 (ja) * 2010-12-01 2015-07-2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穀粒貯留構造
CN203840807U (zh) * 2014-06-25 2014-09-24 重庆旭田农业机械有限公司 小型联合收割机脱粒总成
JP6270680B2 (ja) 2014-09-26 2018-01-31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5088A (ja) 2004-08-20 2006-03-02 Kubota Corp 脱穀装置
JP2007174996A (ja) 2005-12-28 2007-07-12 Kubota Corp 脱穀装置の選別処理物搬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275A (ko) 2019-06-20
CN109906750A (zh) 201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61150B (zh) 非行敏感性谷物脱粒收割台
CN107535179B (zh) 联合收割机
WO2010095473A1 (ja) コンバイン
JP5809871B2 (ja) コンバイン
RU2709763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уборочная машина с вращающимся элеватором
JP4008980B2 (ja) コンバイン
JP5285673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EP3777515B1 (en) Crop flow guide vanes
JP6837393B2 (ja) 収穫機
JP6800033B2 (ja) 脱穀装置
JP2012060969A5 (ko)
KR102652829B1 (ko) 콤바인 및 탈곡 장치
JP6150829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選別構造
JP4528723B2 (ja) コンバイン
JP7169803B2 (ja) コンバイン
JP6832834B2 (ja) コンバイン
CN108419537A (zh) 联合收割机
JP5486446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6715890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5763457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6719516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CN107846844A (zh) 农业收割机的螺旋输送器组件
JP4051308B2 (ja) コンバイン
JP2017104048A (ja) コンバイン
JP5764599B2 (ja) 脱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