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279B1 - 에어백 모듈을 차량 스티어링 휠에 체결시키기 위한 스프링 요소, 및 그러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을 차량 스티어링 휠에 체결시키기 위한 스프링 요소, 및 그러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279B1
KR102577279B1 KR1020207009013A KR20207009013A KR102577279B1 KR 102577279 B1 KR102577279 B1 KR 102577279B1 KR 1020207009013 A KR1020207009013 A KR 1020207009013A KR 20207009013 A KR20207009013 A KR 20207009013A KR 102577279 B1 KR102577279 B1 KR 10257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pring element
steering wheel
access poin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233A (ko
Inventor
스테판 바흐만
Original Assignee
제트에프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에프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에프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7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12)을 차량 스티어링 휠(14)에 체결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로, 상기 스프링 요소는, 툴 액세스 포인트(P)로부터 제1 베어링 포인트(18)를 거쳐 제1 자유 스프링 단부(20)까지 연장하는 제1 스프링 섹션(16), 및 툴 액세스 포인트(P)에서 제2 베어링 포인트(24)를 거쳐 제2 자유 스프링 단부(26)까지 연장하는 제2 스프링 섹션(22)을 구비하고, 툴 액세스 포인트(P)는 두 자유 스프링 단부들(20, 26) 사이의 연결 섹션(2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연결 섹션(28)을 향해 작동 방향(x)으로 변위 가능한, 스프링 요소에 있어서, 스프링 섹션들(16, 22)은, 제1 베어링 포인트(18) 및 제2 베어링 포인트(24)가 작동 방향(x)으로 실질적으로 변위될 수 없게 유지되어 있는 경우, 작동 방향(x)으로 툴 액세스 포인트(P)가 변위하는 중에, 자유 스프링 단부들(20, 26)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거나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요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을 차량 스티어링 휠에 체결시키기 위한 스프링 요소, 및 그러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
본 발명은 툴 액세스 포인트에서 제1 베어링 포인트를 거쳐 제1 자유 스프링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1 스프링 섹션 및 툴 액세스 포인트에서 제2 베어링 포인트를 거쳐 제2 자유 스프링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2 스프링 섹션을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을 차량 스티어링 휠에 체결시키기 위한 스프링 요소로, 툴 액세스 포인트는 두 자유 스프링 단부들 사이의 연결 섹션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연결 섹션을 향해 작동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스프링 요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에도 관한 것이다.
에어백 모듈을 차량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기 위해, 자동차 업계에서는 현재 강직한 고정 후크가 에어백 모듈과 연관되어 있으며, 탄성 스프링 브래킷이 예컨대 차량 스티어링 휠의 스티어링 휠 골격체와 연관괴어 있는, 스냅-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티어링 휠 축과 관련하여, 스티어링 휠 골격체를 향해 축 방향 압력을 가함으로써 에어백 모듈이 차량 스티어링 휠에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듈이 신뢰성 있으면서 강력하게 체결된다.
필요에 따라 에어백 모듈을 교체하기 위해 그리고 차량 스티어링 휠 상에서 유지보수 또는 수리 작업을 하기 위해, 먼저 장착되어 있는 에어백 모듈이 분리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여러 이유로 이는 쉬운 작업이 아니다. 예를 들어, 특별한 툴만을 사용해서만이 이러한 분리가 가능하며, 이는 불필요하게 차량 스티어링 휠 내에 지나치게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거나 및/또는 작업자에게 시간과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게 한다.
예를 들면, EP 1 179 457 A1에, 스프링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중앙 암 및 관련된 고정 후크들에 의해 스프링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2개의 대향 사이드 암을 포함하되, 사이드 암 각각은 정지면과 인접하는 경사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을 차량 스티어링 휠에 체결하기 위한 포괄적인 스프링 요소가 개시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을 분해할 때, 경사 세그먼트들이 정지면에 대해 부하를 가하고 있으며 정지면을 따라 슬라이딩 하며, 스프링 요소 전체는 병진 운동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정 후크들을 해제하기 위해, 사이드 암들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거나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스프링 요소가 변형된다. 그러나 스프링 요소 전체가 병진 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 내에 작동 방향으로 불필요하게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스프링 요소의 마찰과 반드시 병행되는 변형으로 인해, 조립 기술자가 특히 많은 에너지를 쏟아야 하며, 고정 후크들이 전술한 방식으로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우 강건한 정지면들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냅-록을 통해 에어백 모듈이 차량 스티어링 휠에 신속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장착될 수 있으면서도, 적은 노력으로 차량 스티어링 휠에서 에어백 모듈을 분리할 수 있는, 스프링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언급되어 있는 유형의 스프링 요소로, 스프링 섹션들이, 제1 베어링 포인트 및 제2 베어링 포인트가 작동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변위될 수 없게 유지되어 있는 경우, 작동 방향으로 툴 액세스 포인트가 변위하는 중에, 자유 스프링 단부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거나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베어링 포인트들이 작동 방향으로 거의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어 있음으로 인해, 스프링 요소가 베어링 포인트들과 자유 스프링 단부들 사이에서 작동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지 않게 되어 스프링 요소를 위해 필요로 한 공간이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이러한 병진이 필요가 없고, 유지 후크들을 해제하기 위해 자유 스프링 단부들이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바람직하기로는, 두 스프링 섹션들이 툴 액세스 포인트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스프링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특히 작동 방향은 스프링 축의 축 방향과 일치한다.
스프링 요소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두 베어링 포인트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코일형 스프링 섹션이 제공되어 있다. 재료, 재료 두께, 코일형 스프링 섹션의 권선 수 및/또는 권선 직경에 의해 스프링 요소의 탄력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소망하는 작동력이 조정될 수 있다.
툴 액세스 포인트가 적어도 하나의 코일형 스프링 섹션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두 베어링 포인트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코일형 스프링 섹션이 제공되어 있고, 툴 액세스 포인트가 코일형 스프링 섹션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되, 특히 두 스프링 섹션들 사이의 실질적인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스프링 섹션 및 제2 스프링 섹션이 교차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 요소가 툴 액세스 포인트에서 작동할 때, 자유 스프링 단부들이 작동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스프링 요소의 디자인이 반경 방향으로 컴팩트해질 수 있다. 또한, 교차에 의해, 베어링 포인트와 각 관련 자유 스프링 단부 사이에 더 긴 레버 암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요소가 단편의 컴포넌트인 구부러진 와이어로 제작된다. 예를 들면, 와이어의 단면 또는 와이어의 재료 조성성분을 통해 와이어의 특성이 쉽게 수정될 수 있으며, 적은 노력으로 형상화할 수 있으며,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지 부분을 포함하는 스프링 레그 각각이 베어링 포인트들과 스프링 섹션들의 관련 자유 스프링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스프링 요소의 유지 부분이 자유 스프링 단부들 상에 바로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스프링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 단부들이 유지 부분들 바로 뒤에서 종료되기 때문에, 특히 작은 공간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 베어링 포인트들과 유지 부분 사이의 공간이 베어링 포인트들과 툴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공간보다 크데, 특히 적어도 3배 크다. 차량 스티어링 휠에서 에어백 모듈을 분리하기 위해 스프링 요소가 작동될 때, 결과적으로 툴 액세스 포인트에서 작동 거리가 짧아지며, 특히 유지 부분들의 해제 거리보다 상당히 짧다.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 레그가 실질적으로 Z-형이다. 이에 따라, 차량 스티어링 휠의 중앙 허브 영역이 스프링 요소에 의해 교차되지 않아서, 스프링 요소의 가스 발생기와 전기 리드들이 이 영역에서 방해받지 않고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머지 전술한 목적은, 에어백 모듈을 차량 스티어링 휠에 체결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로, 상기 스프링 요소는, 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베어링 포인트를 거쳐 제1 자유 스프링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1 스프링 섹션, 및 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베어링 포인트를 거쳐 제2 자유 스프링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2 스프링 섹션을 포함하고, 두 스프링 섹션들은, 툴 액세스 포인트와 스프링 단부들 사이에서 특히 베어링 포인트들과 스프링 단부들 사이에서 교차하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교차에 의해, 베어링 포인트와 각 관련 자유 스프링 단부 사이에 특히 긴 레버 암이 형성되어서, 자유 스프링 단부에서 짧은 작동 거리로부터 상대적으로 긴 해제 거리가 달성되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스프링 요소, 및 스프링 요소가 체결되는 어셈블리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 컴포넌트는 제1 베어링 포인트 상에 인접하는 스프링 베어링 및 제2 베어링 포인트 상에 인접하는 다른 스프링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선호되는 스프링 베어링들은 피봇 베어링 형태이거나, 스프링 요소가 배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레이디얼 베어링이다. 특히, 작동 방향으로 스프링 요소 전체가 병진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플레인 베어링은 제공되지 않는다.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의 일 실시형태에서, 어셈블리 컴포넌트는 스티어링 휠 골격체, 에어백 모듈, 또는 스티어링 휠 골격체나 에어백 모듈에 타이트하게 장착될 수 있는 별개의 체결 요소이다.
도 1은 에어백 모듈을 차량 스티어링 휠에 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프링 요소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스프링 요소가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잠금 상태에 있는, 도 3에 따른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와 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해제 상태에 있는, 도 3에 따른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와 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와 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스프링 요소가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툴 액세스 포인트에서, 도 8의 상세 절개도이다.
도면들을 참고로 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대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이 분명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툴 액세스 포인트(P)에서 제1 베어링 포인트(18)를 거쳐 제1 자유 스프링 단부(20)까지 연장하는 제1 스프링 섹션(16) 및 툴 액세스 포인트(P)에서 제2 베어링 포인트(24)를 거쳐 제2 자유 스프링 단부(26)까지 연장하는 제2 스프링 섹션(22)을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을 차량 스티어링 휠에 체결시키기 위한 스프링 요소로, 툴 액세스 포인트(P)는 두 자유 스프링 단부들(20, 26) 사이의 연결 섹션(2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연결 섹션(28)을 향해 작동 방향(x)으로 변위 가능한, 에어백 모듈(12)을 차량 스티어링 휠(14)에 체결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10)를 도시하고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이 경우, 스프링 요소(10)는 구부러진 스프링 와이어로 제작된 단편의 컴포넌트이며, 이에 따라 용이하면서도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다.
2개의 스프링 섹션들(16, 22)은 툴 액세스 포인트(P)를 통해 연장하는 스프링 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작동 방향(x)은 스프링 축(A)의 축 방향과 일치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스프링 요소(10)의 두 베어링 포인트들(18, 24) 사이에 2개의 스프링 섹션들(30)이 제공되어 있으며, 툴 액세스 포인트(P)가 상기 두 코일형 스프링 섹션들(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작동 방향(x)으로 소정의 작동력이 가해질 때 스프링 요소(10)가 원하는 대로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두 베어링 포인트들(18, 2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형 스프링 섹션(30)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 실시형태와는 다르게, 툴 액세스 포인트(P)가 적어도 하나의 코일형 스프링 섹션(30)에 제공되는 스프링 요소(10)의 실시형태도 상정 가능하다.
그 외에는, 도 2로부터 스프링 요소(10)의 제1 스프링 섹션(16)과 제2 스프링 섹션(22)이 교차하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발생하는 지렛대 비로 인해, 상기 교차는 작동 방향(x)으로 툴 액세스 포인트(P)가 조금 변위하는 경우에도 자유 스프링 단부들(20, 26)이 상대적으로 많이 변위하게 할 수 있다.
이 유리한 디자인으로 인해, 툴 액세스 포인트(P)로부터 제1 베어링 포인트(18)를 거쳐 제1 자유 스프링 단부(20)까지 연장하는 제1 스프링 섹션(16) 및 툴 액세스 포인트(P)로부터 제2 베어링 포인트(24)를 거쳐 제2 자유 스프링 단부(26)까지 연장하는 제2 스프링 섹션(22)을 포함하고, 두 스프링 섹션들(16, 22)이 툴 액세스 포인트(P)와 그들의 스프링 단부들(20, 26) 사이 특히 그들의 베어링 포인트들(18, 24)과 그들의 스프링 단부들(20, 26) 사이를 교차하는, 스프링 요소(10)는 그 자체가 이미 독창적이다.
도 2에 따른 측면도를 참고하면, 차량 스티어링 휠(14)의 스티어링 축(S)(도 8 참조)이 실질적으로 스프링 평면(E)과 수직으로 연장하는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10)가 실질적으로 스프링 평면(E)에서 연장하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스프링 평면(E)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스프링 요소(10)의 치수는 대체로 스프링 와이어의 직경에 대응한다. 다만 교차부와 적어도 하나의 코일형 스프링 섹션(30)의 영역에서, 스프링 평면(E)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치수는 스프링 와이어 치수의 약 2배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스티어링 축(S)과 관련하여, 축 방향으로 필요한 스프링 요소(10)의 공간이 최소가 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스프링 요소(10)가 어셈블리 컴포넌트에 장착되어 있는, 도 8 및 도 9에 따른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32)용 어셈블리 컴포넌트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시적 실시형태의 어셈블리 컴포넌트는, 예컨대 나사에 의해 에어백 모듈(12) 또는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32)의 스티어링 휠 골격체(36)에 타이트하게 연결될 수 있는 별개의 체결 요소(34)이다. 그러나 대안으로 체결 요소(34)가 에어백 모듈(12) 또는 스티어링 휠 골격체(36) 내에 통합 형성되어서 스프링 요소(10)가 에어백 모듈(12) 또는 스티어링 휠 골격체(36)에 직접 체결되는 구성도 상정할 수 있다.
유지 부분(42, 44)을 구비하는 각 스프링 레그(38, 40)가 베어링 포인트들(18, 24)과 스프링 섹션들(16,22)의 관련 자유 스프링 단부들(20, 26) 사이에서 연장한다. 본 경우에서, 유지 부분(42, 44)은 자유 스프링 단부들(20, 26) 상에 인접하고 있으며, 스프링 축(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유지 부분(42, 44) 영역에서, 스프링 요소(10)는 에어백 모듈(12)의 유지 후크들(56)(도 8 참조) 또는 차량 스티어링 휠(14)의 유지 후크들(56) 내에 체결되어서 에어백 모듈(12)과 차량 스티어링 휠(14) 사이에 스냅-록을 확립한다.
스프링 레그들(38, 40) 각각은 실질적으로 Z-형이다.
도 4에 따른 스프링 섹션들(16, 22)과 관련하여, 베어링 포인트들(18, 24)과 관련 유지 부분들(42, 44) 사이의 공간(46)이 베어링 포인트들(18, 24)과 툴 액세스 포인트(P) 사이의 공간(48)보다 더 큰데, 특히 적어도 3배 크다. 차량 스티어링 휠(14)로부터 에어백 모듈(12)을 분리하기 위해 스프링 요소(10)를 작동하면, 결과적으로 툴 액세스 포인트(P)에서의 작동 거리가 유지 부분(42, 44)의 해제 거리보다 상당히 짧다.
도 5 및 도 6은, 스프링 요소(10)의 각 툴 액세스 포인트(P) 상에 툴(50)이 작용하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유닛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작동 방향(x)으로 툴(50) 상에 아직 부하가 가해지지 않아서, 스프링 요소(10)는 작동하지 않는 휴식의 아이들 위치에 있다. 아이들 위치에서, 에어백 모듈(12)은 예를 들어 차량 스티어링 휠(14)에 안전하게 체결되어 있는데 특히 고정되어 있다. 도 6에서 툴(50)에 부하가 가해짐에 따라 툴 액세스 포인트(P)가 작동 방향(x)으로 변위되어 있다.
체결 요소(34)는 제1 베어링 포인트(18) 상에 인접하는 스프링 베어링(52) 및 제2 베어링 포인트(24) 상에 인접하는 다른 스프링 베어링(54)을 구비하는데, 각 스프링 베어링(52, 54)은 피봇 베어링 형태이다. 이는, 스프링 베어링(52, 54) 영역에서, 스프링 요소(10)가 작동 방향(x)으로는 변위할 수 없고, 단지 각 스프링 베어링(52, 54)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스프링 베어링(52, 54) 영역에서, 스프링 요소(10)는 전혀 병진 변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스프링 요소(10)는 툴 액세스 포인트(P)의 작동 방향(x)으로의 이동에 의해 텐션되어 있으며, 자유 스프링 단부들(20, 26)이 서로를 향해 움직이도록 탄성 변형된다. 도 8에 따른 유지 부분(42, 44)은 에어백 모듈(12)의 유지 후크들(56)을 해제시켜, 예를 들면, 에어백 모듈(12)이 스티어링 휠 골격체(36)에 고정되어 있는 체결 요소(3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작동 방향(x)으로 툴(50) 상에 더 이상 부하가 가해지지 않으면, 스프링 요소(10)가 완화되어(relax) 다시 도 5에 따른 위치로 된다.
도 5에 따른 유닛의 사시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체결 요소(34) 형태의 어셈블리 컴포넌트의 2개의 스프링 베어링들(52, 54)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에어백 모듈(12), 차량 스티어링 휠(14) 및 도 5 내지 도 7에 따른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32)를 도시하고 있는데, 유닛의 체결 요소(34)가 차량 스티어링 휠(14)의 스티어링 휠 골격체(36)에 타이트하게 연결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12)은 유지 후크들(56) 및 스프링 요소(10)의 유지 부분들(42, 44)을 통해 차량 스티어링 휠(14)에 체결되어 있다.
도 9에, 도 8에 따른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32)의 상세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로부터,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32)가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툴 액세스 포인트(P)가 툴(50) 의해 쉽게 도달될 수 있고, 단순히 압력을 가함에 따라 작동 방향(x)으로 변위되어서 적은 노력으로도 에어백 모듈(12)이 차량 스티어링 휠(14)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3)

  1. 에어백 모듈(12)을 차량 스티어링 휠(14)에 체결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로, 상기 스프링 요소는,
    툴 액세스 포인트(P)로부터 제1 베어링 포인트(18)를 거쳐 제1 자유 스프링 단부(20)까지 연장하는 제1 스프링 섹션(16), 및
    툴 액세스 포인트(P)에서 제2 베어링 포인트(24)를 거쳐 제2 자유 스프링 단부(26)까지 연장하는 제2 스프링 섹션(22)을 구비하고,
    툴 액세스 포인트(P)는 두 자유 스프링 단부들(20, 26) 사이의 연결 섹션(2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연결 섹션(28)을 향해 작동 방향(x)으로 변위 가능한, 스프링 요소에 있어서,
    두 베어링 포인트들(18, 2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코일형 스프링 섹션(30)이 제공되어 있고,
    제1 스프링 섹션(16) 및 제2 스프링 섹션(22)이 교차하며,
    스프링 섹션들(16, 22)은, 제1 베어링 포인트(18) 및 제2 베어링 포인트(24)가 작동 방향(x)으로 실질적으로 변위될 수 없게 유지되어 있는 경우, 작동 방향(x)으로 툴 액세스 포인트(P)가 변위하는 중에, 자유 스프링 단부들(20, 26)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거나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두 스프링 섹션들(16, 22)이 툴 액세스 포인트(P)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스프링 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작동 방향(x)은 스프링 축(A)의 축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요소.
  3. 제1항에 있어서, 툴 액세스 포인트(P)가 적어도 하나의 코일형 스프링 섹션(30)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요소.
  4. 제1항에 있어서, 두 베어링 포인트들(18, 24) 사이에 2개의 코일형 스프링 섹션(30)이 제공되어 있고, 툴 액세스 포인트(P)가 코일형 스프링 섹션(30)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요소.
  5.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10)가 단편의 컴포넌트인 구부러진 와이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요소.
  6. 제1항에 있어서, 유지 부분(42, 44)을 포함하는 스프링 레그(38, 40) 각각이 베어링 포인트들(18, 24)과 스프링 섹션들(16, 22)의 관련 자유 스프링 단부들(20, 26) 사이에서 연장하며, 유지 부분(42, 44)이 자유 스프링 단부들(20, 26) 상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요소.
  7. 제6항에 있어서, 베어링 포인트들(18, 24)과 유지 부분(42, 44) 사이의 공간(46)이 베어링 포인트들(18, 24)과 툴 액세스 포인트(P) 사이의 공간(48)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요소.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스프링 레그(38, 40)가 실질적으로 Z-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요소.
  9. 에어백 모듈(12)을 차량 스티어링 휠(14)에 체결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로, 상기 스프링 요소는,
    툴 액세스 포인트(P)로부터 제1 베어링 포인트(18)를 거쳐 제1 자유 스프링 단부(20)까지 연장하는 제1 스프링 섹션(16), 및
    툴 액세스 포인트(P)에서 제2 베어링 포인트(24)를 거쳐 제2 자유 스프링 단부(26)까지 연장하는 제2 스프링 섹션(22)을 포함하고,
    두 스프링 섹션들(16, 22)은, 툴 액세스 포인트(P)와 스프링 단부들(20, 26) 사이에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요소.
  10. 차량의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로,
    제1항 또는 제9항에 다른 스프링 요소(10), 및
    스프링 요소(10)가 체결되는 어셈블리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 컴포넌트는 제1 베어링 포인트(18) 상에 인접하는 스프링 베어링(52) 및 제2 베어링 포인트(24) 상에 인접하는 다른 스프링 베어링(54)을 포함하고, 스프링 베어링들(52, 54)은 피봇 베어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어셈블리 컴포넌트가 스티어링 휠 골격체(36), 에어백 모듈(12), 또는 스티어링 휠 골격체(36)나 에어백 모듈(12)에 타이트하게 장착될 수 있는 별개의 체결 요소(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
  12. 삭제
  13. 삭제
KR1020207009013A 2017-08-30 2018-08-10 에어백 모듈을 차량 스티어링 휠에 체결시키기 위한 스프링 요소, 및 그러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 KR102577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9886.5A DE102017119886A1 (de) 2017-08-30 2017-08-30 Federelement zur befestigung eines gassackmoduls an einem fahrzeuglenkrad sowie lenkradbaugruppe mit einem solchen federelement
DE102017119886.5 2017-08-30
PCT/EP2018/071769 WO2019042744A1 (de) 2017-08-30 2018-08-10 Federelement zur befestigung eines gassackmoduls an einem fahrzeuglenkrad sowie lenkradbaugruppe mit einem solchen feder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233A KR20200070233A (ko) 2020-06-17
KR102577279B1 true KR102577279B1 (ko) 2023-09-11

Family

ID=6325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013A KR102577279B1 (ko) 2017-08-30 2018-08-10 에어백 모듈을 차량 스티어링 휠에 체결시키기 위한 스프링 요소, 및 그러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65577B2 (ko)
EP (2) EP3676132B1 (ko)
JP (1) JP7209724B2 (ko)
KR (1) KR102577279B1 (ko)
CN (1) CN111148662B (ko)
DE (1) DE102017119886A1 (ko)
WO (1) WO2019042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3665B2 (en) * 2019-12-10 2022-07-12 Autoliv Asp, Inc. Driver airbag module coupling assemblies
DE202020101209U1 (de) * 2020-03-05 2020-03-12 ZF Automotive Safety Germany GmbH Kopplungs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Gassackmoduls an einem Fahrzeuglenkrad
KR102612866B1 (ko) * 2021-08-27 2023-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4810A1 (en) 2000-06-27 2001-12-27 Toyoda Gosei Co., Ltd. Air bag module mounting structure
JP2002087284A (ja) 2000-08-02 2002-03-27 Autoliv-Isodelta 係止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要素と、この要素を含む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7114260A (ja) 2015-12-24 2017-06-2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部品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783A (ja) * 1994-12-07 1996-08-13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ES1040263Y (es) * 1998-05-22 1999-07-16 Dalphi Metal Espana Sa Nuevo clipaje del modulo del air-bag con el volante.
JP2000318560A (ja) * 1999-05-12 2000-11-21 T S Tec Kk エアバッグ装置
DE19927032A1 (de) * 1999-06-04 2000-12-14 Petri Ag Anordnung zur Verrastung eines Airbagmoduls mit einem Lenkrad
US6276711B1 (en) * 2000-03-27 2001-08-2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Quick disconnect feature for snap-in driver air bag module
JP2002002433A (ja) * 2000-06-27 2002-01-09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GB2385834A (en) * 2002-03-01 2003-09-03 Autoliv Dev Air bag mounting arrangement on vehicle steering wheel
US7185915B2 (en) * 2003-02-27 2007-03-06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incorporating air bag device
US7159897B2 (en) * 2003-07-21 2007-01-09 Delphi Technologies, Inc. Isolated ground for horn mechanism
DE20311760U1 (de) * 2003-07-30 2003-12-1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Fahrzeuglenkrad
US7055854B2 (en) * 2004-03-03 2006-06-06 Autoliv Asp, Inc. Snap-in castanet airbag module for a vehicular steering wheel
CN1790574A (zh) * 2004-12-17 2006-06-21 高田株式会社 喇叭开关装置、气囊装置以及方向盘
JP2006228699A (ja) * 2004-12-17 2006-08-31 Takata Corp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7533897B1 (en) * 2005-02-16 2009-05-19 Key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 air bag
GB2433234A (en) * 2005-12-08 2007-06-20 Autoliv Dev A mounting arrangement for an airbag
KR101241506B1 (ko) * 2006-09-15 201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모듈의 마운팅부 구조
DE102008030757B4 (de) * 2008-07-01 2013-06-06 Carl Freudenberg Kg Bimodularer Airbag-Tilger
JP5432032B2 (ja) * 2010-03-30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202010016004U1 (de) * 2010-12-01 2012-03-02 Dalphi Metal España S.A.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Gassackmodul
DE102014012700A1 (de) * 2013-09-03 2015-03-05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Gassackmodul sowie Gassackmodul, Fahrzeuglenkrad und Insassenschutzsystem mit einer derartigen Befestigungsvorrichtung
DE202014002194U1 (de) * 2014-03-13 2015-06-17 Dalphi Metal Espana, S.A. Verbinderbauteil zur Befestigung eines Gassackmoduls an einem Lenkrad, Positionierhülse dafür, Set mit einem solchen Verbinderbauteil und einer Positionierhülse sowie Lenkrad, Gassackmodul und Lenkradbaugruppe
DE202014008432U1 (de) * 2014-10-23 2016-01-26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schwingfähigen Befestigung eines Gasgenerators in einem Airbagmodul
DE102015011828B4 (de) * 2015-09-17 2023-06-29 ZF Automotive Safety Germany GmbH Befestigungsvorrlchtung, Gassackmodul oder Lenkrad mlt elner solchen Befestigungsvorrlchtung und Montageverfahren
DE102015012700A1 (de) 2015-10-02 2017-04-06 Edwin Petry Klappbarer Wohn-, Schutz-, Transport- oder Versorgungscontainer oder dergleichen
DE102015015450B3 (de) * 2015-12-02 2017-04-20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Kabelführungseinrichtung für Anschlusskabel eines Gassackmoduls und Verkabelung, Gassackmodul sowie Lenkrad oder Fahrzeug mit einer derartigen Kabelführungseinreichtung
WO2018044254A1 (en) * 2016-08-29 2018-03-0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river airbag mounting verification system
DE102017120238A1 (de) * 2017-09-04 2019-03-07 Trw Automotive Gmbh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KR102521366B1 (ko) * 2018-03-09 2023-04-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10926698B2 (en) * 2018-12-17 2021-02-23 Key Safety Systems, Inc. Integrated steering wheel, vibration absorber, and driver airbag
KR20200119997A (ko) * 2019-04-11 2020-10-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장치
KR20220010182A (ko) * 2020-07-17 2022-01-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 장치
JP7410821B2 (ja) * 2020-08-19 2024-01-10 Joyson Safety Systems Japan合同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4810A1 (en) 2000-06-27 2001-12-27 Toyoda Gosei Co., Ltd. Air bag module mounting structure
JP2002087284A (ja) 2000-08-02 2002-03-27 Autoliv-Isodelta 係止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要素と、この要素を含む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7114260A (ja) 2015-12-24 2017-06-2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2866A1 (de) 2021-11-24
CN111148662A (zh) 2020-05-12
DE102017119886A1 (de) 2019-02-28
EP3676132A1 (de) 2020-07-08
US11465577B2 (en) 2022-10-11
EP3912866B1 (de) 2023-04-05
JP7209724B2 (ja) 2023-01-20
KR20200070233A (ko) 2020-06-17
EP3676132B1 (de) 2021-07-14
US20200384937A1 (en) 2020-12-10
JP2020531367A (ja) 2020-11-05
WO2019042744A1 (de) 2019-03-07
CN111148662B (zh)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7279B1 (ko) 에어백 모듈을 차량 스티어링 휠에 체결시키기 위한 스프링 요소, 및 그러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
CN107848511B (zh) 用于在车辆的操纵元件上进行力模拟的装置、尤其踏板力模拟器
CN108367772B (zh) 具有能量吸收装置的用于机动车辆的可调节式转向柱
JP5417427B2 (ja) 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ためのパーキングロックシステム
KR20180053707A (ko)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및 브레이크 시스템
US8016085B2 (en) Disk brake, in particular for commercial vehicles, and hold-down spring of such a disk brake
CN101438075B (zh) 带有防护隔板的盘式制动器
KR102542974B1 (ko)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101257972B1 (ko) 스티어링 기어
JP2020097401A (ja) 車両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のためのステアリング組立体
EP2951457A1 (de) Reibbelag mit einer stahldrahtbügelfeder
US7992693B2 (en) Vibration damper with a mounting
JP2008511491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組立体
KR20140109991A (ko) 시트 레일의 잠금 수단을 위한 해제 장치
US20160131211A1 (en) Brake Pad Retainer for a Disc Brake
JP5957603B2 (ja) 車両シート用作動ユニット
US20100044168A1 (en) Disc brake in particular for commercial vehicles and operating cylinder for a disc brake
CN113525324A (zh) 机电式制动力放大器
JP2007117704A (ja) 安全器のストッパ
US11459931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braking the displacement of a tailpipe cover
CN110753671B (zh) 用于电梯系统的制动器
KR101067458B1 (ko) 특히 차량의 유리 와이퍼 장치용 와이퍼 아암
FI3870781T3 (fi) Asennusjärjestely karan kiinnittämiseksi lukituslaitteeseen ja sellaisen asennusjärjestelyn käsittävä lukituslaite
US20080135682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A Component In An Aircraft
CN109342088B (zh) 一种用于固定汽车的立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