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510B1 - 광파이버 홀더 - Google Patents

광파이버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510B1
KR102554510B1 KR1020197006763A KR20197006763A KR102554510B1 KR 102554510 B1 KR102554510 B1 KR 102554510B1 KR 1020197006763 A KR1020197006763 A KR 1020197006763A KR 20197006763 A KR20197006763 A KR 20197006763A KR 102554510 B1 KR102554510 B1 KR 10255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holder
accommodating
fiber optic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554A (ko
Inventor
류이치로 사토
히로시 다카야나기
히로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3Adjustment or alignment devices for alignment prior to spli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홀더 본체와, 덮개부를 구비하고, 홀더 본체는 복수 개의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고, 홀더 본체 또는 덮개부는 수용부 내에 배치 가능한 적어도 1개의 돌조부를 갖고, 덮개부를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수용부의 내측의 면과 덮개부의 하면과 돌조부에 의해,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로 수용 가능한 복수의 구획이 병렬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광파이버 홀더
본 발명은 광파이버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9월 9일 출원된 일본 출원 제 2016-176353 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일본 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홀더 본체에 복수 개의 광파이버 심선을 정렬하기 위한 제 1 배열 홈과, 제 1 배열 홈의 길이 방향으로 광파이버 심선의 배열 피치를 변환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 결정 홈과, 위치 결정 홈의 길이 방향으로, 제 2차 피복층을 제거한 광파이버 심선을 정렬하기 위한 제 1 배열 홈보다 좁은 폭의 제 2 배열 홈을 갖고 있는 광파이버 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5-258129 호 공보
최근, 광파이버의 세경화가 진행되어, 통상 사용되고 있는 외직경이 0.25㎜인 광파이버를 세경화한, 예컨대 외직경이 0.20㎜인 광파이버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끼리(혹은 병렬시킨 복수의 광파이버끼리)를 융착하는 융착기 등의 V홈의 피치가 0.25㎜이기 때문에, 배열 피치가 0.20㎜인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끼리를 융착시키려고 하면, 광파이버와 V홈의 위치가 어긋나, 모든 광파이버를 확실하게 V홈에 탑재하는 것은 곤란하다. V홈의 피치를 0.20㎜로 하려면, 신규로 융착기 등을 설계하여 제조하거나, 기존 융착기 등의 V홈 부분을 개조 혹은 교환하는 등을 하여 V홈의 피치를 0.20㎜로 할 필요가 있어서, 수고나 비용이 들어버린다.
예컨대 특허문헌 1의 광파이버 홀더를 사용하더라도, 광파이버 홀더에 보지되기 전의 광파이버의 배열 피치와는 상이한 배열 피치에 대응한 융착기 등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광파이버를 병렬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본 개시는, 광파이버 홀더에 보지되기 전의 복수의 광파이버의 배열 피치와는 상이한 배열 피치의 V홈을 갖는 융착기 등을 이용해도, 모든 광파이버를 확실하게 V홈에 탑재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광파이버를 병렬시킬 수 있는 광파이버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는, 홀더 본체와,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 본체는 복수 개의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고,
상기 홀더 본체는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홀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직선 형상의 돌조부를 적어도 1개 가지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조부 및 상기 수용부의 내면 사이에,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로 수용 가능하며 홈 폭이 일정한 홈부를 복수 갖고,
상기 제 1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홈부에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시켜 파지 가능하며,
상기 제 2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홈부에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시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 가능하다.
본 개시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는, 홀더 본체와,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 본체는 복수 개의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홀더 본체 또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 가능한 적어도 1개의 돌조부를 갖고,
상기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면과 상기 덮개부의 하면과 상기 돌조부에 의해,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로 수용 가능한 복수의 구획이 병렬하여 형성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광파이버 홀더에 보지되기 전의 복수의 광파이버의 배열 피치와는 상이한 배열 피치의 V홈을 갖는 융착기 등을 이용해도, 모든 광파이버를 확실하게 V홈에 탑재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광파이버를 병렬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를 광파이버 관통 삽입 방향의 전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의 제 1 덮개부를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의 제 1 덮개부 및 제 2 덮개부를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에 관통 삽입하기 전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에 복수의 광파이버가 관통 삽입되며, 제 1 덮개부를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선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에 관통 삽입 후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융착기 등의 V홈의 피치와 광파이버의 배열 피치가 동일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b는 융착기 등의 V홈의 피치와 광파이버의 배열 피치가 상이한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a는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을 복수의 군으로 나누고, 각 군을 통과시키는 구획이 병렬하여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의, 융착기 등의 V홈의 피치와 각 광파이버의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b는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의 각 군마다의 간격을 도 12a보다 좁게 한 경우에 있어서의, 융착기 등의 V홈의 피치와 각 광파이버의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c는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의 각 군마다의 간격을 도 12a보다 넓게 한 경우에 있어서의, 융착기 등의 V홈의 피치와 각 광파이버의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를 광파이버 관통 삽입 방향의 전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홀더 본체에 마련된 돌조부와 홈을 도시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에 복수의 광파이버가 관통 삽입되며, 제 2 덮개부를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에 복수의 광파이버가 관통 삽입되며, 모든 덮개부를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최초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열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는,
(1) 홀더 본체와,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 본체는 복수 개의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고,
상기 홀더 본체는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홀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직선 형상의 돌조부를 적어도 1개 가지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조부 및 상기 수용부의 내면 사이에,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로 수용 가능하며 홈 폭이 일정한 홈부를 복수 갖고,
상기 제 1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홈부에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시켜 파지 가능하며,
상기 제 2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홈부에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시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의 홈부는, 돌조부의 폭의 분량만큼 옆의 홈부와 간격이 두어져 있으며, 수용된 복수의 광파이버는 복수의 광파이버마다 상기 간격을 두고 병렬된다.
이에 의해, 광파이버 열 전체의 폭이 넓어져, 광파이버 홀더에 보지되기 전의 복수의 광파이버의 배열 피치와는 상이한 배열 피치의 V홈을 갖는 융착기 등을 이용해도, 모든 광파이버를 확실하게 V홈에 탑재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광파이버를 병렬시킬 수 있다.
(2) 상기 돌조부의 높이는 0.15㎜ 이상 0.3㎜ 이하이다.
외직경이 0.20㎜인 광파이버를, 손가락 마디로 다루면서 밀어넣을 때에 가이드 기능이 얻어져 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홈부 내에서의 광파이버의 중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직경이 0.20㎜인 광파이버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3) 추가로 제 3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 3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덮이는 위치에는 상기 돌조부는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폭이 넓은 홈부로 되어 있다.
제 3 덮개부(41)도 폐쇄하는 것에 의해, 광파이버를 보다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는,
(4) 홀더 본체와,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 본체는 복수 개의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고,
상기 홀더 본체 또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 가능한 적어도 1개의 돌조부를 갖고,
상기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면과 상기 덮개부의 하면과 상기 돌조부에 의해,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로 수용 가능한 복수의 구획이 병렬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의 각 구획은 돌조부의 폭의 분량만큼 옆의 구획과 간격이 두어져 있으며, 각 구획에 관통 삽입된 복수의 광파이버는 복수의 광파이버마다 상기 간격을 두고 병렬된다.
이에 의해, 관통 삽입의 전후로 광파이버 열 전체의 폭이 넓어져, 관통 삽입 후에 평균한 광파이버의 배열 피치는 관통 삽입 전의 배열 피치보다 넓어진다. 따라서, 광파이버 홀더에 보지되기 전의 복수의 광파이버의 배열 피치와는 상이한 배열 피치의 V홈을 갖는 융착기 등을 이용해도, 모든 광파이버를 확실하게 V홈에 탑재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광파이버를 병렬시킬 수 있다.
(5) 상기 돌조부의 폭은 0.17㎜ 이상 0.27㎜ 이하이다.
돌조부의 폭을 0.17㎜ 이상 0.27㎜ 이하로 함으로써, 0.20㎜ 피치의 광파이버 심선을 0.25㎜ 피치의 융착기 등의 V홈에 탑재하는 경우에, 각 V홈의 경사면에는 1개의 광파이버 심선만이 접촉하여 경사면을 따라서 V홈에 끼워지므로, 각 V홈에 1개씩 광파이버 심선을 탑재할 수 있다.
(6) 인접한 상기 구획의 중심끼리의 거리는 0.95㎜ 이상 1.05㎜ 이하이다.
인접한 구획의 중심끼리의 거리를 0.95㎜ 이상 1.05㎜ 이하로 하는 함으로써, 0.20㎜ 피치의 광파이버 심선을 0.25㎜ 피치의 융착기 등의 V홈에 탑재하는 경우에, 각 V홈의 경사면에는 1개의 광파이버 심선만이 접촉하여 경사면을 따라서 V홈에 끼워지므로, 각 V홈에 1개씩 광파이버 심선을 탑재할 수 있다.
(7) 상기 홀더 본체는,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구획 외의 일방측에, 상기 돌조부로부터 연속하도록 마련된 구획 외 돌조부를 갖고,
상기 구획 외의 일방측의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양측면에, 상기 복수의 구획 중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양측면 측의 구획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속하는 확폭 측면(widening side surface)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확폭 측면은, 상기 확폭 측면끼리의 간격이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획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넓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확폭 측면은 수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구획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넓어지므로, 복수의 광파이버를 삽입하는 입구가 되는 확폭 측면과 구획 외 돌조부 사이의 폭이 수용부의 측면 측의 구획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할 복수의 광파이버의 폭에 대해 구획의 폭에 그다지 여유가 없는 경우라도, 상기 입구가 구획의 폭보다 넓으므로 복수의 광파이버를 이 입구로부터 삽입하기 쉽다.
(8) 상기 돌조부를 복수 갖고,
상기 홀더 본체는,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구획 외의 일방측에, 복수의 상기 돌조부로부터 각각 연속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구획 외 돌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구획 외 돌조부는, 인접한 상기 구획 외 돌조부끼리의 간격이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획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넓어지는 형상이다.
인접한 구획 외 돌조부끼리의 간격이 수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구획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넓어지므로, 인접한 구획 외 돌조부의 단부 사이의 폭이 구획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광파이버를 삽입하는 입구가 되는 구획 외 돌조부의 단부 사이의 폭이, 인접한 돌조부의 사이에 있는 구획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할 복수의 광파이버의 폭에 대해 구획의 폭에 그다지 여유가 없는 경우라도, 상기 입구가 구획의 폭보다 넓으므로 복수의 광파이버를 이 입구로부터 삽입하기 쉽다.
(9) 상기 덮개부는, 상기 구획의 길이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에, 상기 하면이 움푹한 테이퍼면이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에 마련된 상기 테이퍼면에 의해, 구획의 입구의 상면(천정)이 구획 외측을 향하여 높아진다. 이 때문에, 구획의 입구 부분이 구획 내부보다 상방으로넓어져, 복수의 광파이버를 입구로부터 삽입하기 쉬워진다.
(10) 추가로 제 2 덮개부를 갖고,
상기 제 2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구획 내에 관통 삽입된 복수 개의 광파이버를 상기 수용부에 보지 가능하게 한다.
제 2 덮개부를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에 수용되어 구획 내에 관통 삽입된 복수 개의 광파이버를 보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은 각 도면에 적절히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에 의한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홀더(1)는 홀더 본체(2)와 제 1 덮개부(3)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 본체(2)는, 예컨대 12심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 등의 복수 개의 광파이버(후술의 도 7 내지 도 10 참조)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5)를 갖고 있다. 수용부(5)는, 홀더 본체(2)의 상면(2c)에, 홀더 본체(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전방측의 단부(2b))로부터 타단부(후방측의 단부(2a))까지 마련된 홈 형상의 오목부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덮개부(3)는 힌지부(3a)를 거쳐서 홀더 본체(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며, 홀더 본체(2)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파이버 홀더(1)는, 제 1 덮개부(3)를 폐쇄했을 때에 수용부(5)가 덮이는 위치에, 적어도 1개의 돌조부(6)를 갖는다. 돌조부(6)는, 그 길이 방향이 홀더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2)에 복수의 돌조부(6a, 6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돌조부(6)는, 제 1 덮개부(3)를 폐쇄한 상태(도 4)에서 수용부(5) 내에 배치 가능하면, 홀더 본체(2)가 아니라 제 1 덮개부(3)의 하면(3b)에 마련된 것이어도 좋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홀더(1)는, 제 1 덮개부(3)를 홀더 본체(2)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수용부(5)의 내측의 면(측면(5a1, 5a2), 하면(5b))과 제 1 덮개부(3)의 하면(3b)과 돌조부(6)에 의해,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로 수용 가능한 복수의 구획(7(7a, 7b, 7c))이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구획(7(7a, 7b, 7c))의 높이(수용부(5)의 하면(5b)과 제 1 덮개부(3)의 하면(3b)과의 상하 방향의 간격)는, 삽입할 광파이버의 외직경보다 크고, 또한, 1개의 구획 내에서 광파이버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정도로 작다. 예컨대, (삽입할 광파이버의 외직경 + 0.02)㎜ 이상이며, (광파이버의 외직경의 2배 - 0.12)㎜ 이하이다. 외직경이 0.20㎜인 광파이버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구획(7(7a, 7b, 7c))의 높이는 0.22㎜ 이상, 0.28㎜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덮개부(3)의 하면(3b)에는, 구획(7(7a, 7b, 7c))의 길이 방향의 후단측(일방측)에서, 후단측을 향하여 움푹한 테이퍼면(3c)이 마련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3c)에 의해, 제 1 덮개부(3)를 폐쇄한 상태(도 4)로 했을 때, 구획(7(7a, 7b, 7c))의 입구(후단측)의 상면(천정)은, 구획(7) 외측을 향하여 높아진다. 또한, 돌조부(6)의 상부는, 홀더 본체(2)에 대해 제 1 덮개부(3)를 폐쇄한 상태에서 하면(3b)과 반드시 접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돌조부(6) 상부와 제 1 덮개부(3) 하면(3b)과의 간격은, 각 구획(7a, 7b, 7c) 각각의 사이를 광파이버가 자유롭게 이동하지 않을 정도로 좁게 되어 있으면 된다. 즉, 삽입될 광파이버의 외직경보다 좁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삽입될 광파이버의 외직경 - 0.02)㎜ 이하이다. 예컨대, 외직경이 0.20㎜인 광파이버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간격은 0.20㎜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0.18㎜ 이하이다.
나아가,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광파이버 홀더(1)는 제 2 덮개부(4)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덮개부(4)는 힌지부(4a)를 거쳐서 홀더 본체(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며, 홀더 본체(2)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힌지부(3a)와 힌지부(4a)는 별개로 회동 가능하며, 제 1 덮개부(3)와 제 2 덮개부(4)는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덮개부(4)의 하면(4b)에는, 제 2 덮개부(4)를 홀더 본체(2)에 대해 폐쇄한 상태(도 6)에서 수용부(5)에 대응하는 부분에 볼록부(4c1, 4c2)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덮개부(4)는, 구획(7) 내에 관통 삽입된 복수 개의 광파이버를, 이들 볼록부(4c1, 4c2)의 하면과 수용부(5)의 하면(5b)에 의해, 수용부(5) 내에 보지 가능하게 하도록 기능하는 덮개이다.
홀더 본체(2)는, 수용부(5)에 있어서의 구획(7) 외의 일방측(후방측)에, 돌조부(6)로부터 연속하도록 마련된 구획 외 돌조부(8)를 갖고, 구획(7) 외의 후방측의 수용부(5)의 내측의 양측면(5c1, 5c2)에, 복수의 구획(7) 중 양단의 구획(7a, 7c)의 측면(5a1, 5a2)으로부터 각각 연속하는 확폭 측면(5d1, 5d2)이 마련되어 있다. 확폭 측면(5d1, 5d2)은, 확폭 측면끼리(5d1와 5d2)의 간격이 수용부(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구획(7)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넓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덮개부(4)의 볼록부(4c1)는, 제 2 덮개부(4)를 홀더 본체(2)에 대해 폐쇄한 상태일 때에, 구획 외 돌조부(8) 및 확폭 측면(5d1, 5d2)에 부딪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확폭 측면(5d1, 5d2)의 형상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혹은 그 조합 등이어도 좋다. 또한, 확폭 측면(5d1, 5d2)의 구획(7)으로부터 먼 측의 단부를 각이 없는 면(곡면 등)으로 하면, 복수의 광파이버를 수용부(5)에 삽입할 때에, 광파이버의 선단이 상기 단부에 걸리기 어렵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조부(6)를 복수 갖는 경우는, 홀더 본체(2)는 복수의 구획 외 돌조부(8)를 마련해도 좋다. 복수의 구획 외 돌조부(8)는, 예컨대 인접한 구획 외 돌조부(8a와 8b)의 간격이 수용부(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구획(7)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넓어지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의 사용 방법)
다음에,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의 사용 방법의 일 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예에서 사용하는 복수의 광파이버는,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11a 내지 11l)을 포함하는 12심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이다.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11a 내지 11l)은 각각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며, 테이프 수지(12)에 의해 일괄하여 피복되어 있다.
우선,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의 선단측을 찢어, 이 선단측을 4심씩 3개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 10B, 10C)으로 한다(도 8 참조). 그리고,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 10B, 10C)의 각각 선단측의 테이프 수지(12)를 제거하여, 소정 길이만큼만 광파이버 심선(11a 내지 11l)을 노출시킨다. 이 소정의 길이는 융착기 등에 의해 융착 접속이 가능한 길이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광파이버 홀더(1)는, 도 4와 같이, 제 1 덮개부(3)를 홀더 본체(2)에 대해 폐쇄한 상태로 한다. 이 도 4의 상태의 광파이버 홀더(1)에, 광파이버 심선(11a 내지 11l)을 노출시킨 측을 선두로 하여,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을 홀더 본체(2)의 후방측의 단부(2a)로부터 수용부(5)에 삽입한다.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은, 선단측이 상기와 같이, 3개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 10B, 10C)으로 되어 있으므로, 수용부(5)의 구획(7) 외에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은 확폭 측면(5d1)과 구획 외 돌조부(8a) 사이로부터 삽입된다. 또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B)은 구획 외 돌조부(8a)와 구획 외 돌조부(8b) 사이로부터 삽입된다.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C)은 구획 외 돌조부(8b)와 확폭 측면(5d2) 사이로부터 삽입된다.
또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을 후방측으로부터 밀어 가면,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 10B, 10C)은 구획(7a, 7b, 7c) 내에 각각 삽입되며, 홀더 본체(2)의 전방측의 단부(2b)로부터 돌출하여, 도 8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도 8에 있어서 구획(7a, 7b, 7c) 내의 단면은 도 9와 같이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 2 덮개부(4)를 홀더 본체(2)에 대해 폐쇄한 상태(도 6 참조)로 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5) 내에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 10B, 10C))은, 제 2 덮개부(4)의 볼록부(4c1, 4c2)의 하면과 수용부(5)의 하면(5b)에 의해 끼워져 보지된다. 이에 의해,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 10B, 10C))을 용이하게 광파이버 홀더(1)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파이버 홀더(1)는, 인접한 구획 외 돌조부(8a와 8b)의 간격이 수용부(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구획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넓어지므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B)을 삽입하는 입구(구획 외 돌조부(8a, 8b)의 단부 사이)의 폭(W2B)이, 인접한 돌조부(6a, 6b)의 사이에 있는 구획(7b)의 폭(W1B)보다 넓게 되어 있다.
또한, 광파이버 홀더(1)는, 확폭 측면끼리(5d1와 5d2)의 간격이 수용부(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구획(7)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넓어진다. 이에 의해,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을 삽입하는 입구(확폭 측면(5d1)과 구획 외 돌조부(8a)의 단부와의 사이)의 폭(W2A),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C)을 삽입하는 입구(확폭 측면(5d2)과 구획 외 돌조부(8b)의 단부와의 사이)의 폭(W2C)은, 상기와 같이 구획 외 돌조부(8a, 8b)의 단부 사이의 폭(W2B)이 넓어져 있어도, 각각 구획(7a)의 폭(W1A), 구획(7c)의 폭(W1C)보다 넓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할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 10B, 10C)의 폭에 대해 구획(7(7a, 7b, 7c))의 폭에 그다지 여유가 없는 경우라도, 상기 입구의 폭(W2A, W2B, W2C)이 구획(7(7a, 7b, 7c))의 폭(W1A, W1B, W1C)보다 넓으므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 10B, 10C)을 이 입구로부터 삽입하기 쉽다.
또한, 광파이버 홀더(1)의 제 1 덮개부(3)의 하면(3b)에는, 제 1 덮개부(3)를 폐쇄한 상태로 했을 때에, 구획(7(7a, 7b, 7c))의 입구(후단측)의 상면(천정)은 구획(7) 외측을 향하여 높아지는 테이퍼면(3c)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획(7(7a, 7b, 7c))은, 입구(후단측) 부분이 내부보다 상방으로 넓게 되어 있으므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 10B, 10C)을 삽입하기 쉽다.
이상과 같이 하여, 광파이버 홀더(1)에 보지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에 있어서의, 홀더 본체의 전방측의 단부(2b)로부터 돌출한 부분의 사시도를 도 10에 도시한다.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와 10B)의 사이는, 돌조부(6a)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d1)의 간극을 두도록 정렬되어 있다. 또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B와 10C)의 사이는, 돌조부(6b)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d2)의 간극을 두도록 정렬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돌조부(6a와 6b)의 폭이 동일하므로, d1=d2이다.
그리고,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A, 10B, 10C)의 선단측은, 각각 테이프 수지(12)가 벗겨져 광파이버 심선이 노출되어, 12개의 광파이버 심선(11a 내지 11l)이 병렬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융착기 등을 사용하여 다른 광파이버와 융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끼리를 융착 접속할 때의 과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설명도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8심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을 상정한 모식도로 하고 있다.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끼리를 융착하는 융착기 등은, 통상, 광파이버 심선을 1개씩 V홈에 탑재하고 융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홈의 피치(Pv)는 광파이버 심선(21a~21h)의 배열 피치(P25)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통상, 사용되고 있는 광파이버 심선의 외직경은 0.25㎜이며, 이것을 간극 없이 병렬시킨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의 배열 피치는 0.25㎜가 된다. 이 때문에, 융착기 등의 V홈의 피치는 통상 0.25㎜이다.
그런데, V홈의 피치가 0.25㎜인 융착기 등을 사용하여, 배열 피치가 0.25㎜와는 상이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끼리를 융착시키려고 하면,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도 11b에 도시하는 예는, 광파이버 심선(21a~21h)의 배열 피치(P20)는 0.20㎜이며, V홈의 피치(Pv)(0.25㎜)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파이버 심선(21a~21h)의 배열의 중심을, 병렬 폭 방향의 중심 위치의 V홈 정상부(VC)에 맞추면, 광파이버 심선의 배열의 끝으로 갈수록, V홈과 광파이버 심선의 위치가 어긋나 버린다. 이 때문에, 도 11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양단의 광파이버 심선(21a과 21h)이, 넣어야 하는 V홈에 들어가지 않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의 배열 피치와는 상이한 배열 피치의 V홈에 대하여, 모든 광파이버 심선을 확실하게 V홈에 탑재할 수 있도록,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을 병렬시킬 수 있는 광파이버 홀더의 구성을 발견했다.
즉,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을 복수의 군으로 나누고, 각 군을 통과시키는 구획이 병렬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면, 각 구획은 옆의 구획과 간격이 있으므로, 각 구획에 관통 삽입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은 군마다 간격을 두고 병렬된다.
상기 군마다의 간격이 적절하면,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의 배열 피치가 융착기 등의 V홈의 피치와 다소 어긋나 있어도, 융착기 등의 각 V홈의 경사면에는, 각각의 V홈에 들어가야 하는 1개의 광파이버 심선만이 접촉하여 경사면을 따라서 V홈에 끼워지므로, 각 V홈에 1개씩 광파이버 심선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군마다의 간격의 범위에 대해 고찰을 진행했다.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군(T1)의 중심 위치(TC1)를 좌측의 4개의 V홈(V1 내지 V4)의 중심의 V홈 정상부(VC2)와 일치시키고, 옆의 군(T2)과의 간격(L1)을 두고, 군(T2)도 마찬가지로 우측의 4개의 V홈(V5 내지 V8)의 중심의 V홈 정상부(VC6)와 일치시키도록 하면, 모든 광파이버 심선(21a 내지 21h)을 1개씩 V홈(V1 내지 V8)에 탑재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을 복수의 군으로 나누고, 각 군을 통과시키는 구획이 병렬하여 형성되는, 보다 좁힌 L2가 된 시점에서, 군(T1)의 좌단의 광파이버 심선(21a)의 중심과 V홈 정상부(VC1)가 일치하며, 또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T2)의 우단의 광파이버 심선(21h)의 중심과 V홈 정상부(VC7)가 일치한다. 이 때문에, 광파이버 심선(21a)이 들어가야 할 V홈(V1)에, 광파이버 심선(21h)이 들어가야 할 V홈(V8)에 들어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L2보다 좁게 하면, 광파이버 심선(21a, 21h)은, 그 중심이 옆의 V홈(V2, V7) 측에 위치하게 되어, 들어가야 할 V홈(V1, V8)에 들어가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의 군마다의 간격을 상기의 L1보다 넓힌 L3가 된 시점에서, 군(T1)의 우단의 광파이버 심선(21d)의 중심과 V홈 정상부(VC3)가 일치하며, 또한, 군(T2)의 좌단의 광파이버 심선(21e)의 중심과 V홈 정상부(VC5)가 일치한다. 이 때문에, 광파이버 심선(21d)이 들어가야 할 V홈(V4)에, 광파이버 심선(21e)이 들어가야 할 V홈(V5)에 들어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L3보다 넓게 하면, 광파이버 심선(21d, 21e)은, 그 중심이 옆의 V홈(V3, V6) 측에 위치하게 되어, 들어가야 할 V홈(V4, V5)에 들어가지 않게 된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파이버 홀더(1)에 있어서의 돌조부(6)의 폭은, L2 이상 L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예컨대, 0.20㎜ 피치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혹은,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을 0.25㎜ 피치의 융착기 등의 V홈에 탑재하는 경우는, 돌조부의 폭을 0.17㎜ 이상 0.27㎜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0.20㎜ 피치의 광파이버 심선을 0.25㎜ 피치의 융착기 등의 V홈에 탑재하는 경우에, 각 V홈의 경사면에는, 1개의 광파이버 심선만이 접촉하여 경사면을 따라서 V홈에 끼워지므로, 각 V홈에 1개씩 광파이버 심선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의 군(T1)의 중심 위치(TC1)와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의 군(T2)의 중심 위치(TC2)와의 간격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파이버 홀더(1)에 있어서의 인접한 구획(7)(7a와 7b 또는 7b와 7c)의 중심끼리의 거리에 상당한다.
예컨대 도 12a의 TC1과 TC2의 간격을 넓혀서, 도 12c의 상태보다 넓어지면, 중앙부에 광파이버 심선이 들어가지 않는 V홈이 생긴다. 또한, TC1과 TC2의 간격을 좁혀서, 도 12b의 상태보다 좁아지면, 단부에 광파이버 심선이 들어가지 않는 V홈이 생긴다.
이 때문에, 예컨대, 0.20㎜ 피치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혹은,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을 0.25㎜ 피치의 융착기 등의 V홈에 탑재하는 경우는, 인접한 구획(7)의 중심끼리의 거리를 0.95㎜ 이상 1.0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광파이버 심선이 들어가지 않는 V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각 V홈의 경사면에는, 1개의 광파이버 심선만이 접촉하여 경사면을 따라서 V홈에 끼워지므로, 각 V홈에 1개씩 광파이버 심선을 탑재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홀더(31)는, 홀더 본체(32)와, 제 1 덮개부(33)와, 제 2 덮개부(34)와, 제 3 덮개부(41)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 본체(32)는, 예컨대 12심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 등의 복수 개의 광파이버(도 7 내지 도 10 참조)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35)를 갖고 있다. 수용부(35)는, 홀더 본체(32)의 상면(32c)에, 홀더 본체(3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전방측의 단부(32b))로부터 타단부(후방측의 단부(32a))까지 마련된 직선 홈 형상의 오목부이다.
제 1 덮개부(33), 제 2 덮개부(34) 및 제 3 덮개부(41)는, 홀더 본체(32)의 길이 방향의 전방측의 단부(32b)로부터 순서대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제 1 덮개부(33)는 힌지부(33a)를 거쳐서 홀더 본체(3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홀더 본체(32)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덮개부(34)도 마찬가지로, 힌지부(34a)를 거쳐서 홀더 본체(3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홀더 본체(32)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3 덮개부(41)도 마찬가지로, 힌지부(41a)를 거쳐서 홀더 본체(3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홀더 본체(32)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35)는, 제 1 덮개부(33) 및 제 2 덮개부(34)를 폐쇄했을 때에 수용부(35)가 덮이는 위치를 포함하는 전방측의 단부(32b) 측에서, 적어도 1개의 돌조부(36)를 갖는다. 돌조부(36)는, 그 길이 방향이 홀더 본체(32)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수용부(35)의 내면(35b)에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32)에 복수의 돌조부(36a, 36b)가 직선 형상으로 전방측의 단부(32b)에 도달할 때까지 마련되어 있다. 돌조부(36a, 36b) 및 수용부(35)의 양측의 내면(35b)과의 사이에는,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로 수용 가능한 홈 폭이 일정한 홈부(37a, 37b, 37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돌조부(36a, 36b)가 직선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홈부(37a, 37b, 37c)도 홀더 본체(3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35)는, 제 3 덮개부(41)를 폐쇄했을 때에 덮이는 위치를 포함하는 후방측의 단부(32a) 측에는 돌조부(36)는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폭이 넓은 홈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홀더 본체(32)의 상면(32c)에는, 수용부(35)의 바닥면(35a)으로부터의 높이가 상이한 영역이 있다(도 13 참조). 상면(32c)에 있어서, 제 1 덮개부(33)를 폐쇄한 개소와 제 2 덮개부(34)를 폐쇄한 개소 사이의 영역(32d)과, 제 2 덮개부(34)를 폐쇄한 개소와 제 3 덮개부(41)를 폐쇄한 개소 사이의 영역(32e)은, 다른 영역보다 높게 되어 있으며, 본 예에서는 0.3㎜로 되어 있다. 또한, 돌조부(36a, 36b)의 높이(수용부(35)의 바닥면(35a)으로부터의 높이)도 상이한 개소가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역(32d)(도 13 및 도 14 참조)에서는, 돌조부(36a, 36b)의 높이(H1)는 다른 개소보다 높게 되어 있으며, 본 예에서는 0.3㎜로 되어 있다. 그 이외의 개소에 있어서의 돌조부(36a, 36b)의 높이(H2)는, 본 예에서는 0.15㎜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홈부(37a, 37b, 37c)의 홈 폭(D)은, 본 예에서는 각각 0.9㎜로 되어 있다. 홈 폭(D)이 0.9㎜이므로, 예컨대, 외직경이 0.20㎜인 광파이버 4개의 삽입에 적합한 사이즈로 되어 있다.
제 1 덮개부(33)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했을 때에 수용부(35)가 덮이는 개소에 고무(33b)가 배치되어 있다. 고무(33b)는, 수용부(35)의 각 홈부(37a, 37b, 37c)에 각각 수용된 광파이버의 자세에의 영향을 방지하여, 홀더 본체(32)로부터의 광파이버의 튀어나옴을 억제하고 있다.
제 2 덮개부(34)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의 절단 길이의 조정 및 각 홈부(37a, 37b, 37c)에 광파이버가 들어간 것을 확인하기 위한 덮개로서, 홈부(37a, 37b, 37c)에 확실하게 들어가 있지 않으면 광파이버가 움직이지 않는다. 즉, 제 2 덮개부(34)는 홈부(37a, 37b, 37c)에 넣은 광파이버를 파지하지 않는다. 또한, 제 2 덮개부(34)는, 홀더 본체(32)의 길이 방향의 단부(34b)는, 제 2 덮개부(34)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광파이버를 삽입하기 쉽도록 R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3 덮개부(41)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했을 때에 수용부(35)가 덮이는 개소에 고무(41b)가 배치되어 있다. 광파이버가 세트되어 제 1 덮개부(33) 및 제 2 덮개부(34)가 폐쇄된 후, 제 3 덮개부(41)도 폐쇄하고, 고무(41b)에 의해 광파이버 심선을 확실하게 파지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의 사용 방법)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파이버 홀더의 사용 방법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예컨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7에서 도시한,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11a 내지 11l)을 포함하는 12심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을 사용한다.
우선, 광파이버 홀더(31)는, 모든 덮개부(33, 34, 41)를 개방한 상태로 한다.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 선단측의 테이프 수지(12)를 제거하여, 광파이버 심선(11a 내지 11l)을 노출시키고, 홀더 본체(32)의 상방으로부터 수용부(35)에 삽입한다.
다음에, 광파이버 심선(11a 내지 11l)을 예컨대 손가락 마디로 다루면서, 각 홈부(37a, 37b, 37c)에 각각 4개씩 밀어 넣는다(예컨대, 홈부(37a)에 광파이버 심선(11a 내지 11d), 홈부(37b)에 광파이버 심선(11e 내지 11h), 홈부(37c)에 광파이버 심선(11i 내지 11l)을 넣음). 각 홈부에 각각 광파이버 심선이 4개씩 들어가면, 제 2 덮개부(34)를 폐쇄하고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을 홀더 본체(32)의 길이 방향의 전후로 움직여, 각 홈부(37a, 37b, 37c)에 광파이버 심선이 중첩되지 않고 확실하게 4개씩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한다. 상기의 확인이 끝났으면, 홀더 본체(32)의 전방측의 단부(32b)로부터 돌출한 광파이버가 적절한 절단 길이가 될 때까지,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을 후방측으로부터 밀어 가서, 예컨대 도 17 상태로 한다. 그리고, 제 1 덮개부(33)와 제 3 덮개부(41)도 폐쇄하여, 모든 덮개부(33, 34, 41)가 폐쇄된 상태로 한다(도 18 참조).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의 선단측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12개의 광파이버 심선(11a 내지 11l)이 병렬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융착기 등을 사용하여 다른 광파이버와 융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홀더(31)는, 광파이버의 소정 개수(예컨대 4개) 분의 폭에 대해 홈부(37a, 37b, 37c)의 폭이 그다지 여유가 없는 경우라도, 홀더 본체(32)의 상측으로부터, 각 홈부(37a, 37b, 37c)에 광파이버가 소정 개수(예컨대 4개)씩 들어간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넣을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홀더(31)는, 제 2 덮개부(34)를 폐쇄하고,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10)을 홀더 본체(32)의 길이 방향의 전후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각 홈부(37a, 37b, 37c)에 광파이버가 중첩되지 않고 확실하게 소정 개수(예컨대 4개)씩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홀더(31)는, 전후 방향으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의 도입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홈부(37a, 37b, 37c)를 홀더 본체(3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할 수 있어서, 광파이버 홀더(31)에 세트된 광파이버가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커진다.
또한, 돌조부(36a, 36b)의 높이(H)를 최대 0.3㎜로 했으므로, 예컨대 외직경이 0.20㎜인 광파이버(광파이버 심선) 복수 개를, 손가락 마디로 다루면서 밀어 넣을 때에 가이드 기능이 얻어져 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홈부(37a, 37b, 37c)의 깊이도 최대 0.3㎜이다. 만일 홈부가 깊은 경우는, 홈부 내에 광파이버가 상하로 중첩되어 세트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지만, 본 예에서는 홈부(37a, 37b, 37c)의 깊이가 0.3㎜ 이하이므로, 홈부 내에서의 광파이버의 중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 1 덮개부(33) 및 제 3 덮개부(41)가 폐쇄된 부분의 홈부(37a, 37b, 37c)의 깊이가 0.15㎜이므로, 외직경이 0.20㎜인 광파이버 심선을 고무(33b) 및 고무(41b)로 가압하여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또한, 상기 설명한 구성 부재의 수, 위치, 형상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바람직한 수, 위치, 형상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광파이버 홀더에 대해 통상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이 병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인접한 광파이버 심선 사이가 연결된 연결부와, 인접한 광파이버 심선 사이가 연결되지 않은 비연결부가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이어도 좋다.
또한,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은 8심 이상이면 12심 이외의 심 수라도 좋다.
또한, 광파이버 홀더에 대해 병렬된 복수의 광파이버 심선을 사용해도 좋다.
1: 광파이버 홀더 2: 홀더 본체
2a: 후방측의 단부 2b: 전방측의 단부
2c: 상면 3: 제 1 덮개부(덮개부)
3a: 힌지부 3b: 하면
3c: 테이퍼면 4: 제 2 덮개부
4a: 힌지부 4b: 하면
4c1, 4c2: 볼록부 5: 수용부
5a1, 5a2: 측면 5b: 하면
5c1, 5c2: 측면 5d1, 5d2: 확폭 측면
6, 6a, 6b: 돌조부 7, 7a, 7b, 7c: 구획
8, 8a, 8b: 구획 외 돌조부 10: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
11a 내지 11l: 광파이버 심선
10A, 10B, 10C: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
21a 내지 21h: 광파이버 심선
T1, T2: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의) 군
31: 광파이버 홀더 32: 홀더 본체
32a: 후방측의 단부 32b: 전방측의 단부
32c: 상면 32d, 32e: 영역
33: 제 1 덮개부 33a, 34a, 41a: 힌지부
33b, 41b: 고무 34: 제 2 덮개부
34b: 단부 35: 수용부
35a: 바닥면 35b: 내면
36, 36a, 36b: 돌조부 37a, 37b, 37c: 홈부
41: 제 3 덮개부

Claims (16)

  1. 홀더 본체와,
    덮개부와, 다른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 본체는 복수 개의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고,
    상기 홀더 본체는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홀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직선 형상의 돌조부를 적어도 1개 가지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조부 및 상기 수용부의 내면 사이에, 동일 평면 상에서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로 수용 가능하며 홈 폭이 일정한 홈부를 복수 갖고,
    상기 복수의 홈부는 각각 적어도 2개의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하며,
    상기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홈부에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시켜 파지 가능하며,
    상기 다른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홈부에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시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 가능한
    광파이버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의 높이는 0.15㎜ 이상 0.3㎜ 이하인
    광파이버 홀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추가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추가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덮이는 위치에는 상기 돌조부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폭이 넓은 홈부로 되어 있는
    광파이버 홀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덮개부는, 상기 홀더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보다 광파이버의 선단측이 배치되는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광파이버 홀더.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덮개부는, 상기 홀더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 대하여 광파이버의 선단측이 배치되는 측과 반대측인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광파이버 홀더.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덮개부는, 상기 홈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광파이버 홀더.
  7. 홀더 본체와,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 본체는 복수 개의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고,
    상기 홀더 본체 또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상기 홀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직선 형상의 돌조부를 갖고,
    상기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면과 상기 덮개부의 하면과 상기 돌조부에 의해,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로 수용 가능하고 폭이 일정한 복수의 구획이 병렬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구획은 각각 적어도 2개의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광파이버 홀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의 폭은 0.17㎜ 이상 0.27㎜ 이하인
    광파이버 홀더.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구획의 중심끼리의 거리는 0.95㎜ 이상 1.05㎜ 이하인
    광파이버 홀더.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구획 외의 일방측에, 상기 돌조부로부터 연속하도록 마련된 구획 외 돌조부를 갖고,
    상기 구획 외의 일방측의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양측면에, 상기 복수의 구획 중 상기 수용부의 내측의 양측면 측의 구획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속하는 확폭 측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확폭 측면은, 상기 확폭 측면끼리의 간격이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획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넓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광파이버 홀더.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를 복수 갖고,
    상기 홀더 본체는,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구획 외의 일방측에, 복수의 상기 돌조부로부터 각각 연속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구획 외 돌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구획 외 돌조부는, 인접한 상기 구획 외 돌조부끼리의 간격이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획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넓어지는 형상인
    광파이버 홀더.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구획의 길이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에, 상기 하면이 움푹한 테이퍼면이 마련되어 있는
    광파이버 홀더.
  13.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른 덮개부를 갖고,
    상기 다른 덮개부를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구획 내에 관통 삽입된 복수 개의 광파이버를 상기 수용부에 보지 가능하게 하는
    광파이버 홀더.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홀더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다른 덮개부보다 광파이버의 선단측이 배치되는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광파이버 홀더.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홀더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다른 덮개부에 대하여 광파이버의 선단측이 배치되는 측과 반대측인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광파이버 홀더.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덮개부는,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를 각각 병렬로 수용 가능하며 홈 폭이 일정한 홈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광파이버 홀더.
KR1020197006763A 2016-09-09 2017-07-28 광파이버 홀더 KR102554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6353 2016-09-09
JPJP-P-2016-176353 2016-09-09
PCT/JP2017/027458 WO2018047513A1 (ja) 2016-09-09 2017-07-28 光ファイバホル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554A KR20190043554A (ko) 2019-04-26
KR102554510B1 true KR102554510B1 (ko) 2023-07-11

Family

ID=6156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763A KR102554510B1 (ko) 2016-09-09 2017-07-28 광파이버 홀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921527B2 (ko)
EP (1) EP3511750A4 (ko)
JP (2) JP7106805B2 (ko)
KR (1) KR102554510B1 (ko)
CN (2) CN109791254B (ko)
BR (1) BR112019004512A2 (ko)
CA (1) CA3036164C (ko)
WO (1) WO2018047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9620B2 (ja) * 2019-03-08 2022-02-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保持部材及び光ファイバ保持部材への光ファイバの配置方法
US11565378B2 (en) 2019-07-02 2023-01-31 Us Conec Ltd. Fiber handling tool with spring loaded doors
JP2021033206A (ja) * 2019-08-29 2021-03-01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製造用のピッチ変換治具、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7157026B2 (ja) * 2019-09-12 2022-10-1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整列方法、光ファイバ融着方法、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間欠連結型の光ファイバテープ
WO2021133737A1 (en) * 2019-12-23 2021-07-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CN113655571A (zh) * 2020-05-12 2021-11-16 富晋精密工业(晋城)有限公司 光缆治具、光纤连接器制作方法及光纤连接器
CN116940874A (zh) 2021-03-10 2023-10-24 住友电工光学前沿株式会社 光纤保持器以及光纤芯线的连接方法
JP2022183873A (ja) * 2021-05-31 2022-12-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リボ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8129A (ja) * 2004-03-12 2005-09-22 Hitachi Cable Ltd 光ファイバホルダおよび配列部材
JP2007041380A (ja) * 2005-08-04 2007-02-15 Hitachi Cable Ltd 光ファイバホルダ
JP2007298705A (ja) * 2006-04-28 2007-11-15 Fujikura Ltd 光ファイバ心線の一括融着接続方法、並びに光ファイバホルダ及び前記光ファイバホルダ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105U (ja) * 1991-12-26 1993-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ホルダー
JPH07218753A (ja) * 1994-02-04 1995-08-1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と融着接続機
JPH07218754A (ja) * 1994-02-04 1995-08-18 Fujikura Ltd リボンファイバ用ホルダ
JPH09197163A (ja) * 1996-01-22 1997-07-31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ホルダ
EP0864893A3 (en) 1997-03-13 1999-09-22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Packaging platform, optical module using the platform,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platform and the module
JP3635561B2 (ja) 1998-10-23 2005-04-0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ホルダ
JP2001343546A (ja) 2000-03-27 2001-12-14 Ngk Insulators Ltd 光ファイバアレイ用フェルール及び光ファイバアレイ
WO2003045663A1 (fr) * 2001-11-29 2003-06-0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Moule metall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ferrule pour connecteur optique, ferrule ainsi produite, connecteur et cablage optiques utilisant cette ferrule
JP4878833B2 (ja) 2005-12-26 2012-02-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ホルダ及び一括融着接続方法
CN102043203B (zh) * 2009-10-19 2013-03-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
US8270066B2 (en) 2009-11-06 2012-09-1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Optical spectrum splitting for black color display
JP5163631B2 (ja) * 2009-12-21 2013-03-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ホルダ及び光ファイバ心線の保持方法
JP5224413B2 (ja) 2010-12-15 2013-07-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保持構造、光ファイバのリボン化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の融着方法
CN103477259B (zh) * 2011-04-15 2016-02-24 Sei光学前沿株式会社 光纤支架
CN202502267U (zh) 2012-02-10 2012-10-24 一诺仪器(威海)有限公司 多功能切割夹具
US9459408B2 (en) 2013-09-04 2016-10-0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able splicing fixture
US9678281B2 (en) 2014-04-25 2017-06-13 US Conec,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terminating a multi-fiber ferrule
JP6215248B2 (ja) 2015-03-18 2017-10-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ターボチャージャ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8129A (ja) * 2004-03-12 2005-09-22 Hitachi Cable Ltd 光ファイバホルダおよび配列部材
JP2007041380A (ja) * 2005-08-04 2007-02-15 Hitachi Cable Ltd 光ファイバホルダ
JP2007298705A (ja) * 2006-04-28 2007-11-15 Fujikura Ltd 光ファイバ心線の一括融着接続方法、並びに光ファイバホルダ及び前記光ファイバホルダ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1750A1 (en) 2019-07-17
CN109791254B (zh) 2024-05-03
US11435529B2 (en) 2022-09-06
US10921527B2 (en) 2021-02-16
BR112019004512A2 (pt) 2019-05-28
US20190235173A1 (en) 2019-08-01
JP7322347B2 (ja) 2023-08-08
WO2018047513A1 (ja) 2018-03-15
CA3036164A1 (en) 2018-03-15
KR20190043554A (ko) 2019-04-26
CN109791254A (zh) 2019-05-21
CN114200586A (zh) 2022-03-18
JP7106805B2 (ja) 2022-07-27
US20210157059A1 (en) 2021-05-27
JP2022101649A (ja) 2022-07-06
EP3511750A4 (en) 2020-03-25
CA3036164C (en) 2024-01-02
JPWO2018047513A1 (ja)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510B1 (ko) 광파이버 홀더
CN106873084B (zh) 光连接器插芯用保护罩
US10170867B2 (en) Electrical connector
ES2328233T3 (es) Bloque de terminacion de fibras con corredera en angulo.
US4135783A (en) Device for forming a detachable connection between a waveguide and another optical component
US20040175090A1 (en) Optical fibre organiser
JP2019056920A (ja) 光コネクタフェルール
CN103477256A (zh) 光纤用被覆层去除工具以及被覆层去除方法
RU2538359C2 (ru) Вставка для оптоволоконной сборки и оптоволоконная сборка, использующая такую вставку
CN103457049A (zh) 端子保护罩以及电气接线箱
CN106249357B (zh) 光连接器插芯用保护罩
JP2009157143A (ja) 多心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JP5744628B2 (ja) 光ファイバ接続構造
KR100890688B1 (ko) 광섬유 단자 유니트
JP4491721B2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JP6586796B2 (ja) コネクタ用ブーツ、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心線
JP6633851B2 (ja) 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心線
JP3543319B2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KR101349529B1 (ko) 광 파이버 접속기
JP6483785B1 (ja) 把持部材
US20240012207A1 (en) Ferrule for optical connector,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connector
US20210098942A1 (en) Connector Shielding With A Guiding Protrusion
KR20230152042A (ko) 광 파이버 홀더 및 광 파이버 심선의 접속 방법
JP6919894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ガイド
JP2019110683A (ja) コード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