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770B1 - 학습 메모장 - Google Patents

학습 메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770B1
KR102542770B1 KR1020210088869A KR20210088869A KR102542770B1 KR 102542770 B1 KR102542770 B1 KR 102542770B1 KR 1020210088869 A KR1020210088869 A KR 1020210088869A KR 20210088869 A KR20210088869 A KR 20210088869A KR 102542770 B1 KR102542770 B1 KR 102542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ppermost
blocks
displayed
emp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8338A (ko
Inventor
윤대성
Original Assignee
윤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성 filed Critical 윤대성
Priority to KR102021008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77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8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86Sheet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은 제1 최상단 블록 및 상기 제1 최상단 블록 하단에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빈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1 블록열, 제2 최상단 블록 및 상기 제2 최상단 블록 하단에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빈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2 블록열, 및 제3 최상단 블록 및 상기 제3 최상단 블록 하단에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고 알파벳을 기재할 수 있는 사각형의 빈 칸이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3 블록열이 표시되는 메인 용지 및 상기 제1 블록열의 복수의 빈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열의 복수의 빈 블록을 상측에서 커버하여 가리는 가림 용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최상단 블록의 하측 모서리 및 상기 제2 최상단 블록의 하측 모서리에는 상기 가림 용지의 일측 부분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최상단 블록에는 하단의 빈 블록에 영어 단어 기재를 지시하는 내용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최상단 블록에는 하단의 빈 블록에 영어 단어 뜻 기재를 지시하는 내용이 표시되고, 상기 제3 블록열 및 상기 제2 블록열 사이에 상기 제1 블록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학습 메모장{STUDY NOTEAPAD}
본 발명은 학습 메모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림막이 구비되고 영단어의 첫단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영단어를 효율적으로 암기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메모장에 관한 것이다.
외국어를 잘 할 수 있기 위해서는 많은 단어, 숙어 등이 암기되어야 한다. 단어, 숙어 등의 암기가 잘되어 있는 경우 외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하지 못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암기되어 있는 단어들을 통해서 의사소통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외국어 실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단어 암기를 위해서 현재 많은 단어 암기 노트 등이 개발되고 있고, 효율적인 단어 암기를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도 이러한 단어 암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 메모장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선행문헌]
등록 실용신안 20-0466404
본 발명은 학습 메모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림막이 구비되고 영단어의 첫글자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영단어를 효율적으로 암기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메모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학습 메모장은 제1 최상단 블록 및 상기 제1 최상단 블록 하단에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빈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1 블록열, 제2 최상단 블록 및 상기 제2 최상단 블록 하단에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빈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2 블록열, 및 제3 최상단 블록 및 상기 제3 최상단 블록 하단에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고 알파벳을 기재할 수 있는 사각형의 빈 칸이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3 블록열이 표시되는 메인 용지, 및 상기 제1 블록열의 복수의 빈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열의 복수의 빈 블록을 상측에서 커버하여 가리는 가림 용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최상단 블록의 하측 모서리 및 상기 제2 최상단 블록의 하측 모서리에는 상기 가림 용지의 일측 부분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최상단 블록에는 하단의 빈 블록에 영어 단어 기재를 지시하는 내용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최상단 블록에는 하단의 빈 블록에 영어 단어 뜻 기재를 지시하는 내용이 표시되고, 상기 제3 블록열 및 상기 제2 블록열 사이에 상기 제1 블록열이 위치한다.
상기 메인 용지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블록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상기 제3 블록열의 복수의 블록들 각각에는 매칭되는 상기 제1 블록열의 블록들 각각에 기재되어 있는 영어 단어의 첫글자를 기입하도록 하는 내용이 표시된다.
상기 나머지 부분에는 이용자가 제3 블록열에 기입된 영어 단어 첫글자들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이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영어 단어가 기재되도록 하고, 세로로 기재된 영어 단어를 구성하는 알파벳 각각이 기재된 행에 매치되는 제1 블록열의 빈 블록에는 해당 알파벳으로 시작되고 이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단어를 기재하도록 하는 내용이 표시된다.
상기 제3 블록열의 복수의 블록들에는 해당 블록에 표시되어 있는 사각형의 빈 칸과 중첩된 화살표가 음영 처리되고, 상기 화살표는 해당 화살표가 표시된 블록으로부터 인접한 하단 블록까지 연장되고 인접한 하단 블록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해당 하단 블록의 행에 매칭되는 제1 블록열의 블록을 가리키고, 이용자는 세로 방향의 영어 단어에 인접한 하단 블록에 음영 처리된 화살표에 맞추어 화살표를 표시하고, 해당 화살표가 가리키는 제1 블록열의 블록에 세로로 기재된 영어 단어를 기입하고, 해당 행의 제2 블록열의 블록에는 세로로 기재된 영어 단어의 뜻을 기재함에 따라, 이용자는 세로 방향의 단어 및 세로 방향의 단어의 각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그룹화하여 해당 단어들을 암기한다.
본 발명의 학습 메모장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삽입된 가림 용지를 좌우로 이동시켜, 영어 단어의 철자를 가리고 뜻을 통해서 철자를 맞추거나 영어 단어의 뜻을 가리고 영어 단어를 통해서 뜻을 맞추는 과정을 통해서 효율적으로 영어단어를 암기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자신이 암기하고자 하는 단어를 세로 방향으로 기재하고, 세로 방향으로 기재된 단어 각각에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단어 중 자신이 암기하여야 하는 단어를 가로 방향으로 기재하며, 이를 그룹화시킴에 따라 영어 단어를 좀 더 쉽고 효율적으로 암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 용지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학습 메모장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블록열을 활용하여 영어 단어를 암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학습 메모장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 용지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학습 메모장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블록열을 활용하여 영어 단어를 암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학습 메모장의 평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10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 용지(200)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학습 메모장(100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블록열(103)을 활용하여 영어 단어를 암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학습 메모장(1000)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모장(1000)은 메인 용지(100) 및 가림 용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용지(100)에는 제1 블록열(101), 제2 블록열(102), 및 제3 블록열(103)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블록열(101)은 제1 최상단 블록(111) 및 제1 최상단 블록(111) 하단에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빈 블록들(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최상단 블록(111)에는 하단의 빈 블록(112)에 영어 단어 기재를 지시하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최상단 블록(111)에는 "WORD"가 표시되어 이용자가 아래 빈 블록(112)에 영어 단어를 기재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블록열(102)은 제2 최상단 블록(121) 및 제2 최상단 블록(121) 하단에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빈 블록들(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최상단 블록(121)에는 하단의 빈 블록(122)에 영어 단어 뜻 기재를 지시하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최상단 블록(121)에는 "MEANING"이 표시되어 이용자가 아래 빈 블록(122)에 제1 블록열(101)에 기재된 단어에 대한 뜻을 기재하도록 할 수 있다.
제3 블록열(103)은 제3 최상단 블록(131) 및 제3 최상단 블록(131) 하단에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고 알파벳을 기재할 수 있는 사각형의 빈 칸이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블록들(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블록열(103) 및 제2 블록열(102) 사이에는 제1 블록열(101)이 위치할 수 있다.
가림 용지(200)는 제1 블록열(101)의 복수의 빈 블록(112) 또는 제2 블록열(102)의 복수의 빈 블록(122)을 상측에서 커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 최상단 블록(111)의 하측 모서리 및 제2 최상단 블록(121)의 하측 모서리에는 가림 용지(200)가 일측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용자는 삽입된 가림 용지(20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이동시켜, 영어 단어의 철자를 가리고 뜻을 통해서 철자를 맞추거나 영어 단어의 뜻을 가리고 영어 단어를 통해서 뜻을 맞추는 과정을 통해서 효율적으로 영어단어를 암기할 수 있다.
이용자는 제3 블록열(103)의 복수의 블록(132)들 각각에는 매칭되는 제1 블록열(101)의 블록들 각각에 기재되어 있는 영어 단어의 첫글자를 기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영어 단어의 첫글자는 제3 블록열(103) 복수의 블록(132)의 사각형 빈 칸 내부에 기입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를 지시하는 내용은 메인 용지(100)에서 제1 내지 제3 블록열(103)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이용자는 제3 블록열(103)에 기입된 영어 단어 첫글자들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이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영어 단어가 기재되도록 하고, 세로로 기재된 영어 단어를 구성하는 알파벳 각각이 기재된 행에 매치되는 제1 블록열(101)의 빈 블록(112)에는 해당 알파벳으로 시작되고, 이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단어를 기재할 수 있다. 이를 지시하는 내용은 나머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3 블록열(103)의 복수의 블록들(132)에는 해당 블록에 표시되어 있는 사각형의 빈 칸과 중첩된 화살표(300)가 음영 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화살표(300)는 해당 화살표(300)가 표시된 블록으로부터 인접한 하단 블록(132)까지 연장되고 인접한 하단 블록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해당 하단 블록의 행에 매칭되는 제1 블록열(101)의 블록(112)을 가리킬 수 있다.
이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의 영어 단어에 인접한 하단 블록(132)에 음영 처리된 화살표(300)에 맞추어 화살표를 표시하고, 해당 화살표(300)가 가리키는 제1 블록열(101)의 블록(112)에 세로로 기재된 영어 단어를 기입하고, 해당 행의 제2 블록열(102)의 블록(122)에는 세로로 기재된 영어 단어의 뜻을 기재함에 따라, 이용자는 세로 방향의 단어 및 앞서 설명한 세로 방향의 단어의 각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그룹화하여 해당 단어들을 암기할 수 있다.
이처럼 이용자는 자신이 암기하고자 하는 단어를 제3 블록열(103)의 블록들(132)에 세로 방향으로 기재하고, 세로 방향으로 기재된 단어 각각에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단어 중 자신이 암기하여야 하는 단어를 제1 블록열(101)의 블록들(112)에 가로 방향으로 기재하며, 이를 그룹화시킴에 따라 영어 단어를 좀 더 쉽고 효율적으로 암기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학습 메모장 102: 제2 블록열
100: 메인 용지 103: 제3 블록열
101: 제1 블록열 200: 가림 용지

Claims (4)

  1. 제1 최상단 블록 및 상기 제1 최상단 블록 하단에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빈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1 블록열, 제2 최상단 블록 및 상기 제2 최상단 블록 하단에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빈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2 블록열, 및 제3 최상단 블록 및 상기 제3 최상단 블록 하단에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고 알파벳을 기재할 수 있는 사각형의 빈 칸이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3 블록열이 표시되는 메인 용지; 및
    상기 제1 블록열의 복수의 빈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열의 복수의 빈 블록을 상측에서 커버하여 가리는 가림 용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최상단 블록의 하측 모서리 및 상기 제2 최상단 블록의 하측 모서리에는 상기 가림 용지의 일측 부분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최상단 블록에는 하단의 빈 블록에 영어 단어 기재를 지시하는 내용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최상단 블록에는 하단의 빈 블록에 영어 단어 뜻 기재를 지시하는 내용이 표시되고,
    상기 제3 블록열 및 상기 제2 블록열 사이에 상기 제1 블록열이 위치하고,
    상기 메인 용지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블록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상기 제3 블록열의 복수의 블록들 각각에는 매칭되는 상기 제1 블록열의 블록들 각각에 기재되어 있는 영어 단어의 첫글자를 기입하도록 하는 내용이 표시되고,
    상기 나머지 부분에는 이용자가 제3 블록열에 기입된 영어 단어 첫글자들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이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영어 단어가 기재되도록 하고, 세로로 기재된 영어 단어를 구성하는 알파벳 각각이 기재된 행에 매치되는 제1 블록열의 빈 블록에는 해당 알파벳으로 시작되고 이용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단어를 기재하도록 하는 내용이 표시되고,
    상기 제3 블록열의 복수의 블록들에는 해당 블록에 표시되어 있는 사각형의 빈 칸과 중첩된 화살표가 음영 처리되고,
    상기 화살표는 해당 화살표가 표시된 블록으로부터 인접한 하단 블록까지 연장되고 인접한 하단 블록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해당 하단 블록의 행에 매칭되는 제1 블록열의 블록을 가리키고,
    이용자는 세로 방향의 영어 단어에 인접한 하단 블록에 음영 처리된 화살표에 맞추어 화살표를 표시하고, 해당 화살표가 가리키는 제1 블록열의 블록에 세로로 기재된 영어 단어를 기입하고, 해당 행의 제2 블록열의 블록에는 세로로 기재된 영어 단어의 뜻을 기재함에 따라, 이용자는 세로 방향의 단어 및 세로 방향의 단어의 각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그룹화하여 해당 단어들을 암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메모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88869A 2021-07-07 2021-07-07 학습 메모장 KR102542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869A KR102542770B1 (ko) 2021-07-07 2021-07-07 학습 메모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869A KR102542770B1 (ko) 2021-07-07 2021-07-07 학습 메모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338A KR20230008338A (ko) 2023-01-16
KR102542770B1 true KR102542770B1 (ko) 2023-06-14

Family

ID=8510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869A KR102542770B1 (ko) 2021-07-07 2021-07-07 학습 메모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7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0975B2 (ja) * 1995-12-28 2001-11-19 株式会社東芝 交流電動機のベクトル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194B1 (ko) * 2004-12-21 2006-07-31 길상복 학습보조기
KR102094671B1 (ko) * 2018-04-17 2020-03-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 및 이를 구비하는 단어장
JP3230975U (ja) * 2020-12-22 2021-03-04 瑠美子 佐佐木 フォニックス学習支援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0975B2 (ja) * 1995-12-28 2001-11-19 株式会社東芝 交流電動機のベクトル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338A (ko) 202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02310A (en) Teaching device
US20120315610A1 (en) International Alphabet Board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s with the Same
KR102542770B1 (ko) 학습 메모장
KR101376852B1 (ko)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KR20200001936U (ko) 음각 글자가 형성된 한글쓰기 글자판
KR200439592Y1 (ko) 외국어 학습용 노트 속지
KR20090000350U (ko) 영어학습교재
KR200393099Y1 (ko)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KR100733484B1 (ko) 영어 교육용 블럭 세트
KR100680169B1 (ko) 문자 획 순서를 색상으로 구별하는 학습구
JP3226728U (ja) 筆記用紙
JP2015089613A (ja) 漢字練習教材
CN209216366U (zh) 学习拼图
JP3210375U (ja) 英語練習用紙
KR200495324Y1 (ko) 숫자 학습용 교구
CN104637368A (zh) 语文教学方法及装置
JP3222878U (ja) 最時短習得用ドリル
KR200194261Y1 (ko) 학습효율을 극대화한 링크기억 학습교구재
Martín-Contreras Multiple Hands in the Marginal Annotations of the Hebrew Bible Codex Madrid M1:(Biblioteca Historica Marques de Valdecilla, BH MSS1)
JP3224567U (ja) 漢字ドリル
CN210925062U (zh) 一种识字卡
JP3216603U (ja) 英語の辞書引きのための学習用付箋紙
KR100346359B1 (ko)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KR200266958Y1 (ko) 문자 교습구
JP4938880B2 (ja) 韓日辞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