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099Y1 -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 Google Patents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099Y1
KR200393099Y1 KR20-2005-0015383U KR20050015383U KR200393099Y1 KR 200393099 Y1 KR200393099 Y1 KR 200393099Y1 KR 20050015383 U KR20050015383 U KR 20050015383U KR 200393099 Y1 KR200393099 Y1 KR 200393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ry
learning
children
function
phr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옥
Original Assignee
김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옥 filed Critical 김경옥
Priority to KR20-2005-0015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0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자, 요일 및 날씨을 체크하는 체크란과 내용을 기록하는 기록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수의 일기낱장이 제본되어 하나의 노트로 구성되는 통상의 일기장에 있어서, 상기 일기낱장에 소정의 학습문구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학습문구를 학습하여 익힐 수 있는 학습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은 종래의 일기장에 교육과 지적수준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학습문구를 삽입하고, 상기 학습문구를 매일 쓰는 일기와 병행하여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독서카드 또는 경제생활표를 부가적으로 삽입하여 어린 시절부터 올바른 독서습관 내지 소비습관을 지닐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THE MULTIFUNCTIONAL DIARY FOR A CHILD}
본 고안은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일기장에 교육과 지적수준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학습문구를 삽입하고, 상기 학습문구를 매일 쓰는 일기와 병행하여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독서카드 또는 경제생활표를 부가적으로 삽입하여 어린 시절부터 올바른 독서습관 내지 소비습관을 지닐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린이용 일기장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자, 요일 및 날씨를 체크하는 체크란(30), 내용을 기록하는 기록란(50), 그리고 선택적으로 부가되는 반성란(미도시) 및 계획란(미도시) 또는 선생님의 확인란(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일기낱장(70)이 제본되어 하나의 노트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기장을 가지고 매일 일기를 쓰는 어린이는 단순히 상기 체크란(30)에 일자, 요일 및 날씨를 체크하고, 당일의 일과 및 감상을 상기 기록란(50)에 기술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문장력 향상 및 사고력 증진을 기대할 수 있으나, 매일 반복적으로 투자하는 소중한 시간에 비하여 얻는 교육적 이득은 국어, 한자는 물론 외국어 교육이 매우 중시되는 현 교육현실에 비추어 매우 부족하다고 할 수 있었다.
또한, 학교에 의해서 반 강제적으로 일기를 쓰고 있는 많은 어린이들에게 있어 매일 일기를 쓰는 일이란 상당히 지루하고 재미없는 과제로 여겨지는 동시에 학습능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한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어린이용 일기장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일기장에 교육과 지적수준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학습문구를 삽입하여 상기 학습문구를 매일 쓰는 일기와 병행하여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개선된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독서관련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별도의 독서카드 또는 경제생활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별도의 경제생활표를 부가적으로 삽입하여 어린 시절부터 올바른 독서습관 내지 소비습관을 지닐 수 있도록 유도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기낱장에 각각 삽입된 학습문구가 모두 기재되어 진 별도의 종합문구장을 부가적으로 삽입하여 매일 일기쓰기와 병행하여 학습문구를 익히는데 멈추지 않고, 일기장을 모두 쓴 후 최종적으로 모든 학습문구를 재차 익힐 수 있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자, 요일 및 날씨을 체크하는 체크란과 내용을 기록하는 기록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수의 일기낱장이 제본되어 하나의 노트로 구성되는 통상의 일기장에 있어서, 상기 일기낱장에 소정의 학습문구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학습문구를 학습하여 익힐 수 있는 학습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학습문구는 한국어 또는 외국어로 이루어진 속담, 관용어, 격언, 명언 또는 회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두 개 이상으로 병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학습문구는 상기 일기낱장의 일정 페이지마다 동일한 내용으로 반복·삽입됨으로써, 반복학습에 의해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학습란은 내부가 빈 공란으로 구성되거나 내부가 상기 학습문구를 그림자 또는 테두리라인으로 표현한 가이드글씨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고안은 상기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에 책이름 및 감상내용 등의 독서관련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별도의 독서카드가 하나 이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에 수입 및 지출내용 등의 경제생활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별도의 경제생활표가 하나 이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에 상기 일기낱장에 각각 삽입된 상기 학습문구가 모두 기재되어 진 별도의 종합문구장이 하나 이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10)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일기낱장(70)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카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제생활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어린이용 일기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일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10)은 일자, 요일 및 날씨를 체크하는 체크란(30), 내용을 기록하는 기록란(50)을 가진 다수의 일기낱장(70)에 각각 소정의 학습문구(100)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학습문구(100)를 학습하여 익힐 수 있는 학습란(20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학습문구(100)는 한국어 또는 외국어로 이루어진 속담, 관용어, 격언, 명언 또는 회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두 개 이상으로 병기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학습문구(100)는 한국어는 물론, 외래어, 한자, 영어, 일어, 중국어, 불어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린이의 정서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림, 서예나 조각 등의 회화작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10)을 사용하는 어린이의 언어능력 및 관심분야에 따라 선택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학습문구(100)는 상기 다양한 언어로 이루어진 속담, 관용어, 격언, 명언 또는 회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단일 표기되거나 두 개 이상으로 병기하여 표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속담이나 상기 관용어, 그리고 상기 회화 등에 내포된 의미와 교훈을 설명하는 설명부분 역시 함께 기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학습문구(100)가 삽입되는 위치는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상기 일기낱장(70)의 기록란(5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일기를 다 쓴 후에 상기 학습문구(100)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반드시 상기 일기낱장(70)의 기록란(50)의 하부에 상기 학습문구(100)가 삽입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록란(50)의 상부나 측부에도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일기낱장(70)의 일부분에 배치되는 한 삽입위치는 크게 문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학습문구(100)는 각 일기낱장(70)에 개별적으로 모두 다른 내용을 기재하여 날마다 새로운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쉽게 잊혀져 장기기억을 얻지 못하는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동일한 내용의 학습문구(100)를 반복적으로 삽입하여, 즉 상기 일기낱장(70)의 일정 페이지마다 동일한 내용의 학습문구(100)를 반복하여 삽입함으로써 반복학습에 의한 장기기억을 촉진하는 동시에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학습란(200)은 내부가 빈 공란으로 구성되거나 내부가 상기 학습문구(100)를 그림자 또는 테두리라인으로 표현한 가이드글씨(300)로 구성되어 어린이의 연령 및 지적수준에 따라 맞춤별 학습수단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대적으로 연령 내지 지적수준이 높은 어린이의 경우에는 도 2c와 같이 상기 학습문구(100)를 혼자서 상기 학습란(200)에 써보고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학습란(200)을 공란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대적으로 연령 내지 지적수준이 낮은 어린이의 경우에는 상기 학습문구(100)를 혼자서 상기 공란으로 이루어진 학습란(200)에 쓸 수 없기 때문에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상기 학습란(200)의 내부를 상기 학습문구(100)를 그림자 또는 테두리라인으로 표현한 가이드글씨(300)로 구성하여 상기 가이드글씨(300)를 따라서 상기 학습문구(100)를 학습하여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학습문구(100)가 통상의 어린이들이 익숙하지 않은 한자로 이루어진 사자성어나 영어 등의 외국어인 경우에는 상기 학습란(200)의 내부를 공란으로 구성하기 보다는 상기 가이드글씨(300)로 구성하거나 상기 공란과 상기 가이드글씨(300)로 복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학습문구(100)가 한자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학습란(20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라인과 세로라인을 형성하여 한 글자씩 한자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학습문구(100)가 영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학습란(20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라인을 형성하여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하여 익히는 동시에 생소한 문자언어의 습득에 부담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기낱장(70)에 각각 삽입된 상기 학습문구(100)이외에 상기 학습문구(100)가 모두 기재되어 진 별도의 종합문구장(미도시)를 상기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10)의 내부, 즉 상기 일기낱장(70) 사이에 삽입하여 일체로 제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종합문구장(미도시)은 상기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10)의 각각의 일기낱장(70)에 삽입된 모든 학습문자(100)를 총망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일기낱장(70) 사이에 삽입·제본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10)의 맨 후미에 삽입·제본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매일 일기를 쓰면서 상기 학습문구(100)를 익힐 수 있는 동시에 일기를 모두 쓰고 난 후에도 지금까지 익힌 모든 학습문구(100)를 재차 확인하고 학습하여 더욱 높은 학습성과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카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제생활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기 독서카드는 책이름 및 감상내용 등의 독서관련내용을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제생활표는 수입 및 지출내용 등의 경제생활내용을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독서카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서, 책이름, 지은이, 읽은기간 또는 감상내용 등을 기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10)의 내부, 즉 상기 일기낱장(70) 사이에 삽입되어 일체로 제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제생활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날짜, 지출내용, 수입내역, 잔액 등을 주간 또는 월간으로 기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독서카드와 마찬가지로 상기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10)의 내부, 즉 상기 일기낱장(70) 사이에 삽입되어 일체로 제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10)은 일기장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현 교육실정에 부응하는 어학 및 지적수준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어린 시절부터 올바른 독서습관과 소비습관을 지닐 수 있도록 유도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자, 요일 및 날씨을 체크하는 체크란과 내용을 기록하는 기록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수의 일기낱장이 제본되어 하나의 노트로 구성되는 통상의 일기장에 있어서, 상기 일기낱장에 소정의 학습문구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학습문구를 학습하여 익힐 수 있는 학습란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고안의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소정의 학습문구를 상기 일기낱장의 각각에 삽입하고, 상기 삽입된 학습문구를 학습하여 익힐 수 있는 학습란을 상기 일기낱장의 일부에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시간을 중복투자하지 않고도 매일 일기를 쓰는 시간을 통하여 현 교육실정에 맞는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사항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상기 학습문구는 한국어 또는 외국어로 이루어진 속담, 관용어, 격언, 명언, 또는 회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두 개 이상으로 병기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일기장이라는 형식을 빌려 어린이들이 다소 거부감을 가질 수 있는 국내 속담이나 사자성어의 뜻풀이, 그리고 영어, 일어 또는 중국어 등 외국어의 중요단어나 문장의 해석 및 작문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학습성과를 투자하는 시간에 비하여 최대한 상승시키며, 회화작품을 통해 지식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정서발달에도 기여한다.
셋째, 상기 학습문구를 상기 일기낱장의 일정 페이지마다 동일한 내용으로 반복하여 삽입함으로써, 일회적인 학습에 그치지 않고 일정 기간마다 반복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학습문구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게 하여 학습효율을 극대화한다.
넷째, 상기 학습란은 내부가 빈 공란으로 구성되거나 내부가 상기 학습문구를 그림자 또는 테두리라인으로 표현한 가이드글씨로 구성됨으로써, 본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을 사용하는 어린이의 연령 및 지적수준에 따라 직접 상기 학습란의 공란에 스스로 상기 학습문구를 써서 익히도록 하거나, 상기 가이드글씨를 따라 상기 학습문구를 써서 익힐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의 연령별 또는 지적수준 별로 세분화된 학습수단을 제공한다.
다섯째, 독서관련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별도의 독서카드 또는 경제생활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별도의 경제생활표를 하나 이상 본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에 부가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어린 시절부터 올바른 독서습관 내지 소비습관을 지닐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섯째, 상기 일기낱장에 각각 삽입된 학습문구가 모두 기재되어 진 별도의 종합문구장을 부가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매일 일기쓰기와 병행하여 학습문구를 익히는데 멈추지 않고, 일기장을 모두 쓴 후 최종적으로 모든 학습문구를 재차 익힐 수 있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일기낱장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카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제생활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어린이용 일기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30; 체크란,
50; 기록란, 70; 일기낱장,
100; 학습문구, 200; 학습란,
300; 가이드글씨.

Claims (7)

  1. 일자, 요일 및 날씨을 체크하는 체크란과 내용을 기록하는 기록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수의 일기낱장이 제본되어 하나의 노트로 구성되는 통상의 일기장에 있어서,
    상기 일기낱장에 소정의 학습문구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학습문구를 학습하여 익힐 수 있는 학습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문구는 한국어 또는 외국어로 이루어진 속담, 관용어, 격언, 명언 또는 회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두 개 이상으로 병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문구는 상기 일기낱장의 일정 페이지마다 동일한 내용으로 반복·삽입됨으로써, 반복학습에 의해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란은 내부가 빈 공란으로 구성되거나 내부가 상기 학습문구를 그림자 또는 테두리라인으로 표현한 가이드글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에 책이름 및 감상내용 등의 독서관련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별도의 독서카드가 하나 이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에 수입 및 지출내용 등의 경제생활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별도의 경제생활표가 하나 이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에 상기 일기낱장에 각각 삽입된 상기 학습문구가 모두 기재되어 진 별도의 종합문구장이 하나 이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KR20-2005-0015383U 2005-05-31 2005-05-31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KR200393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383U KR200393099Y1 (ko) 2005-05-31 2005-05-31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383U KR200393099Y1 (ko) 2005-05-31 2005-05-31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099Y1 true KR200393099Y1 (ko) 2005-08-17

Family

ID=4369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383U KR200393099Y1 (ko) 2005-05-31 2005-05-31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0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912B1 (ko) 2011-12-02 2012-07-19 최영환 일기쓰기학습교재 및 일기쓰기학습방법
KR102277689B1 (ko) * 2020-01-30 2021-07-15 김자영 어제일기
KR20230120323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브레인힐 치매예방용 다이어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912B1 (ko) 2011-12-02 2012-07-19 최영환 일기쓰기학습교재 및 일기쓰기학습방법
KR102277689B1 (ko) * 2020-01-30 2021-07-15 김자영 어제일기
KR20230120323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브레인힐 치매예방용 다이어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mer et al. For a Better World: Reading and Writing for Social Action.
US4734036A (en) Method and device for learning a language
Eddy The shape of knowledge: Children and the visual culture of literacy and numeracy
Berninger Educating students in the computer age to be multilingual by hand
KR200393099Y1 (ko) 어린이용 다기능 일기장
CN208460248U (zh) 一种大学英语教学单词展示教具
KR20120109776A (ko) 영어학습교재
KR200439592Y1 (ko) 외국어 학습용 노트 속지
KR100815979B1 (ko) 악필교정용 단계별 맞춤학습 교재
Zhang Myth, reality and character instruction in the 21st century
US20130288209A1 (en) Booklet assembly with grid box and method to help children to write and create
Franklin Learning to read and write the natural way
JP2008051872A (ja) 言語学習用教材
KR102659668B1 (ko) 외래어 암기용 다이어리
JPH087409Y2 (ja) 文字練習用教材作成具
JP4046240B2 (ja) 単語帳用の単語シート及び単語帳
KR200407081Y1 (ko) 영어학습용노트용지.
JPH08192589A (ja) 習字練習帳
JP3134849U (ja) 英語暗記用筆記ノート
Zenger Visuality in academic writing: Reading textual difference in the work of multilingual student writers
KR200150504Y1 (ko) 투명 습자지를 간지로 한 연습용 노트
JP3086541U (ja) 自分でつくる英単語リソースブック
JP3138766U (ja) 単語帳用の単語シート及び単語帳
JP3190852U (ja) 暗記学習表及び冊子
Fang The Language of Schooling: A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