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671B1 -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 및 이를 구비하는 단어장 - Google Patents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 및 이를 구비하는 단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671B1
KR102094671B1 KR1020180044307A KR20180044307A KR102094671B1 KR 102094671 B1 KR102094671 B1 KR 102094671B1 KR 1020180044307 A KR1020180044307 A KR 1020180044307A KR 20180044307 A KR20180044307 A KR 20180044307A KR 102094671 B1 KR102094671 B1 KR 102094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lots
handle
cover port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919A (ko
Inventor
유승현
김건
박지호
차영주
황종석
정도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67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3/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of chart form
    • G09B3/045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of chart form with invisibly printed correct answer; the answer being rendered visible by special optical means, e.g. filters;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국어와 같이 표의문자 학습 시 능동적인 단어 학습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가림판 및 단어장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에 있어서, 판 형태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 및 복수 개의 슬롯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 및 이를 구비하는 단어장{BLOCK PANNEL FOR STUDYING REPRESENTATIVE IDEOGRAMS AND VOCABULARY LIST USING THE BLOCK PANNEL}
본 발명은 표의 문자를 학습하기 위한 가림판 및 이를 이용하는 단어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국어와 같이 단어의 형상, 의미 및 발음 세 가지를 능동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일부를 가릴 수 있는 가림판 및 이를 이용하는 단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어 단어 학습을 위해서는, 영어의 스펠링과 함께 해당 스펠링의 의미를 대응시켜 암기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즉, 암기해야 할 대상이, 스펠링과 의미 두 가지로 한정된다고 볼 수 있다. 간혹 발음이 특이한 경우 해당 발음을 추가적으로 암기하기는 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스펠링을 통하여 발음이 연상되기 때문에 발음을 별도로 학습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중국어와 같이 표의 문자를 학습하는 경우에 있어서, 문자의 형상, 발음 및 의미 세 가지를 함께 공부하여야 함. 특히 중국어의 경우 발음뿐만 아니라 성조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발음에 대한 별도의 암기 없이는 단어 공부에 의미가 매우 작아질 수 밖에 없음 그렇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영어와 같은 일반적인 언어에 대한 단어 학습 방법과는 상이해 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암기를 하는 것에 있어서, 수동적인 암기와 능동적인 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적인 암기 학습이란, 단순하게 외우고자 하는 단어와 의미를 함께 읽어 내려가는 것이고, 능동적인 암기 학습이란 단어 표기 또는 의미 중 어느 하나만을 본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고민하여 생각해 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영어의 경우 능동적인 암기 학습을 위하여, 단어장에 단어 표기 또는 의미 중 어느 하나를 가릴 수 있는 가림판을 제공하여 능동적인 학습을 보조해 줄 수 있는 단어장이 기존에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어와 같이 암기해야 할 것이 문자의 형상, 발음 및 의미 세 가지인 경우, 하나만을 가리고 공부할 것인지 두 개를 가리고 공부할 것인지 선택적으로 학습자의 의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단어장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표의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 및 그 것을 이용하는 단어장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에 있어서, 판 형태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 및 복수 개의 슬롯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소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은, 상기 복수 개의 슬롯 상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가 슬라이딩 이동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판 형상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가 돌출되는 형상은 아치(arch)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 중 제 1 가림부는, 제 1 손잡이가 제 1 모서리에 근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 중 제 2 가림부는, 제 2 손잡이가 제 2 모서리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모서리는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된 모서리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단어장에 있어서, 판 형태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 및 복수 개의 슬롯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림판; 및 상기 가림판과 단어장을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판을 구비하는 단어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소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은, 상기 복수 개의 슬롯 상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가 슬라이딩 이동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판 형상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가 돌출되는 형상은 아치(arch)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 중 제 1 가림부는, 제 1 손잡이가 제 1 모서리에 근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 중 제 2 가림부는, 제 2 손잡이가 제 2 모서리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모서리는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된 모서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소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은, 상기 복수 개의 슬롯 상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가 슬라이딩 이동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판 형상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가 돌출되는 형상은 아치(arch)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 중 제 1 가림부는, 제 1 손잡이가 제 1 모서리에 근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 중 제 2 가림부는, 제 2 손잡이가 제 2 모서리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모서리는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된 모서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림판 및 그것을 이용한 단어장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중국어와 같은 표의 문자의 학습 시, 3 개의 학습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효과적으로 가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표의 문자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능동적인 학습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림판(101) 및 단어장(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가림판(101)은 판 형태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가림부(102) 및 복수 개의 슬롯을 구비하는 프레임(2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국어와 같이 표의 문자를 학습하는 경우에 있어서, 문자의 형상, 발음 및 의미 세 가지를 함께 공부하여야 함. 특히 중국어의 경우 발음뿐만 아니라 성조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발음에 대한 별도의 암기 없이는 단어 공부에 의미가 매우 작아질 수 밖에 없음 그렇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영어와 같은 일반적인 언어에 대한 단어 학습 방법과는 상이해 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암기를 하는 것에 있어서, 수동적인 암기와 능동적인 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적인 암기 학습이란, 단순하게 외우고자 하는 단어와 의미를 함께 읽어 내려가는 것이고, 능동적인 암기 학습이란 단어 표기 또는 의미 중 어느 하나만을 본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고민하여 생각해 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중국어와 같이 암기해야 할 것이 문자의 형상, 발음 및 의미 세 가지인 경우, 하나만을 가리고 공부할 것인지 두 개를 가리고 공부할 것인지 선택적으로 학습자의 의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1) 상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가림부(102)를 통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통하여, 가림판의 활용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을 위하여 단어장(100)에 적히는 중국어의 단어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중국어 단어 학습을 위해서는, 표기(301), 발음(302)과 의미(303) 세 가지를 모두 암기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
Figure 112018037927168-pat00001
(301-1)'라는 단어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그 단어의 발음(302)이
Figure 112018037927168-pat00002
(301-2)라는 것과, 그 단어의 의미가 '너, 당신'(303-1) 이라는 세 가지 항목을 모두 학습하여야 한다. 특히,
Figure 112018037927168-pat00003
의 위치를 통하여 중국어 성조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발음의 표기(301)를 학습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어의 경우에는 성조를 잘못 말할 경우, 전혀 다른 의미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발음의 학습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세 가지 항목(표기(301), 발음(302) 및 의미(303))에 대한 학습 모두가 중요하다고 할 경우, 능동적인 단어 암기를 위한 학습의 경우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연상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즉, 학습자는
Figure 112018037927168-pat00004
(301-1)라는 표기를 보고 발음이
Figure 112018037927168-pat00005
(302-1)라는 것과 그 단어의 의미로 '너, 당신'(303-1)이라는 것을 떠올려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항목들 간에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는 가림부의 구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림판 활용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201)은 적어도 세 개의 슬롯(401-1 내지 40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가상으로 구분될 수도 있으며, 실제 프레임 상에 슬롯 간에 구분을 위한 추가 구성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가상의 슬롯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예시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201) 상에서 상기 가림부(102)이 첫 번째 슬롯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가림부(102)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201) 상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로 어느 하나의 슬롯 상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201)은, 상기 가림부(102)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소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홈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림부(102)는 첫 번째 슬롯(401-1)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림판(101)이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 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가림부(102)에 의해서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의 표기(301)가 가려지게 된다(나머지 발음(302)와 의미(303)은 가려지지 않은 채로).
이러한 상태에서, 발음(302)이
Figure 112018037927168-pat00006
(302-1)이고, 의미(303)가 '너, 당신'(303-1)인 단어의 표기를 학습자가 스스로 생각하여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능동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표기(301)에 대한 학습이 아니라, 의미(303)에 대한 학습을 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가림부(102)를 의미(303)에 해당하는 제 3 슬롯(401-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7에서와 같이). 이러한 경우, 표기(301)와 발음(302)을 보고 그 단어의 의미(303)를 생각할 수 있는 능동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하지만, 단어의 고차원 학습을 위해서는, 위 세 가지 항목(표기, 발음 및 의미)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보고도 나머지 두 개를 떠올릴 수 있도록 학습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림부(102)를 적어도 두 개 구비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림부(102)를 적어도 두 개 구비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가림부(102-1 및 10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림부는 각각 제 2 및 제 3 슬롯(401-2 및 401-3)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의 표기(301)를 제외한 발음(302) 및 의미(303)가 가려진 상태로 학습이 가능하다.
즉, 학습자는 '
Figure 112018037927168-pat00007
(301-1)'라는 표기만을 보고 발음(302)이
Figure 112018037927168-pat00008
(301-2)라는 것과, 그 단어의 의미가 '너, 당신'(303-1) 이라는 의미를 떠올리도록 능동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가림부(102-1 및 102-2)는 모두 상기 프레임(2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원하는 슬롯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9에서와 같이, '너, 당신'(303-1)이라는 의미 만으로 발음(302)이
Figure 112018037927168-pat00009
(301-2)라는 것과, 그 단어의 표기(301)가 '
Figure 112018037927168-pat00010
(301-1)'라는 것을 떠올리도록 능동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학습이 가능할 수 있는 프레임(201) 및 가림부(102)의 구조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가림부(102-1) 및 제 2 가림부(102-2)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을 참조하면 제 1 가림부(102-1)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제 1 및 제 4 모서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가림부(102-1)는 학습자가 손쉽게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손잡이(1001-1)가 돌출되는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돌출되는 손잡이(1001-1)는 아치(arch)형상일 수 있다. 이때 손잡이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부와 하부의 구분은, 학습자가 단어장(100) 및 가림판(101)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에서 학습자를 향하는 방향이 상부, 학습자 반대방향이 하부라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보조턱(1002-1 및 1002-2)을 더 형성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보조턱(1002-1 및 1002-2)은 어느 하나의 가림부가 슬라이딩될 때 다른 가림부가 함께 슬라이딩되도록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도면에서 제 1 가림부(102-1) 상에는 하부로 돌출되도록 제 1 보조턱(100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손잡이(1001-1)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제 2 가림부(102-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손잡이(1001-2)는 상기 제 1 가림부(102-1)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지만, 제 1 가림부(102-1)와는 달리 제 2 보조턱(1002-2)이 상부로 돌출된다. 즉, 제 2 가림부(102-2)에서는 제 2 손잡이(1001-2)와 제 2 보조턱(1002-2)가 같은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가림부(102-1, 102-2)가 제 1 및 제 2 보조턱(1002-1, 1002-2)에 의해서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는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학습자)는 제 2 가림부(102-2)의 제 2 손잡이(1001-2)를 이용하여 제 2 가림부(102-2)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및 제 2 보조턱(1002-1, 1002-2)가 서로 걸리기 전까지 제 2 가림부(102-2)만이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도 11 (a) 및 도 12 (a)).
제 1 및 제 2 보조턱(1002-1, 1002-2)가 접촉할 때까지 제 2 가림부(102-2)가 슬라이딩 이동되면, 제 1 및 제 2 보조턱(1002-1, 1002-2)가 서로 걸리게 되어 그 이후에 제 2 가림부(102-2)와 함께 제 1 가림부(102-1)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도 11 (b) 및 도 12 (b)).
즉, 사용자(학습자)는 간편하게 제 1 및 제 2 가림부(102-1, 102-2)를 함께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프레임의 구조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1)은,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1401-1, 140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부(1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1401-1, 1401-2)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홈(1401-1, 1401-2)의 개수가 상기 가림부(102)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제안한다. 왜냐하면, 가림부(102-1, 102-2)가 별개로 슬라이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시된 예시에서 가림부(102)는 두 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 홈(1401-1, 1401-2) 역시 두 개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1401-1, 1401-2)을 따라 가림부(102-1, 102-2)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복수 개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자리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가림판(101)은, 상기 단어장(100)과 체결되기 위한 탄성 고정부(1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고정부(140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복원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어장(100)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림판 및 이를 이용하는 단어장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8)

  1.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에 있어서,
    판 형태를 갖는 제 1 및 제 2 가림부; 및
    세 개의 슬롯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가림부는 상기 세 개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및 제 2 가림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소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홈은, 상기 세 개의 슬롯 상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림부가 슬라이딩 이동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림부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판 형상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가림부는 제 1 보조턱을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 2 가림부는 제 2 보조턱을 돌출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제 1 보조턱은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보조턱은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가림부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 이동되다가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턱이 서로 걸리게 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가림부 중 다른 하나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돌출되는 형상은 아치(arch)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판.
  8. 삭제
  9. 삭제
  10.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단어장에 있어서,
    판 형태를 갖는 제 1 및 제 2 가림부 및 세 개의 슬롯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림판; 및
    상기 가림판과 단어장을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가림부는 상기 세 개의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및 제 2 가림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소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홈은, 상기 세 개의 슬롯 상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림부가 슬라이딩 이동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림부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판 형상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가림부는 제 1 보조턱을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 2 가림부는 제 2 보조턱을 돌출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제 1 보조턱은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보조턱은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가림부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 이동되다가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턱이 서로 걸리게 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가림부 중 다른 하나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판을 구비하는 단어장.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돌출되는 형상은 아치(arch)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판을 구비하는 단어장.
  17. 삭제
  18. 삭제
KR1020180044307A 2018-04-17 2018-04-17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 및 이를 구비하는 단어장 KR102094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07A KR102094671B1 (ko) 2018-04-17 2018-04-17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 및 이를 구비하는 단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07A KR102094671B1 (ko) 2018-04-17 2018-04-17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 및 이를 구비하는 단어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919A KR20190120919A (ko) 2019-10-25
KR102094671B1 true KR102094671B1 (ko) 2020-03-30

Family

ID=6842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307A KR102094671B1 (ko) 2018-04-17 2018-04-17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 및 이를 구비하는 단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770B1 (ko) * 2021-07-07 2023-06-14 윤대성 학습 메모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6122B2 (en) 2003-11-18 2006-06-06 Lockett Dwight J Word isolating educational tool
KR100606194B1 (ko) 2004-12-21 2006-07-31 길상복 학습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4880A (ja) * 1990-11-30 1992-07-27 Shineiken:Kk 英単語集等の書籍における暗記用補助具
KR20080005288U (ko) * 2007-05-07 2008-11-12 박한식 한자 학습용 달력
KR200449410Y1 (ko) * 2009-10-09 2010-07-08 장기민 가림구가 구비된 단어암기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6122B2 (en) 2003-11-18 2006-06-06 Lockett Dwight J Word isolating educational tool
KR100606194B1 (ko) 2004-12-21 2006-07-31 길상복 학습보조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5288호(2008.11.12. 공개) 1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9410호(2010.7.8. 공고)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4-204880호(1992.7.27. 공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919A (ko)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rcía et al. The translanguaging current in language education
US20160018854A1 (en) Keyboard device
US201101716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pictographic languages
KR101432381B1 (ko)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JP2012212008A (ja) 生徒端末、電子黒板、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2094671B1 (ko) 표의 문자 학습을 위한 가림판 및 이를 구비하는 단어장
KR101870495B1 (ko) 슬라이딩형 한글 학습 교구
JP5138278B2 (ja) 机用の視界遮断具
CN103092822A (zh) 在电子文档中添加批注的方法及装置
US201600127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pre-keyboarding and keyboarding
Nash et al. The who, what, and why of scholarly personal narrative writing
US20230386358A1 (en) Reading tool
KR20160114965A (ko) 스토리 텔링을 위한 교재
KR100606194B1 (ko) 학습보조기
KR101814766B1 (ko) 문답 노트
JP6455455B2 (ja) 端末、電子黒板及びプログラム
Coyle et al. 1 A window on CLIL
CN211349790U (zh) 一种单词记忆卡
CN205384765U (zh) 企业管理培训演示板
KR102542770B1 (ko) 학습 메모장
CN203894985U (zh) 一种用于儿童思维阶梯训练的操作板
CN210691162U (zh) 一种收缩显示装置
KR20190030399A (ko) 슬라이드 앤 플립 타입 외국어 단어 학습카드
KR100606195B1 (ko) 학습보조기
JP4801128B2 (ja) 研修用教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