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311B1 - 장치 및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장치 및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311B1
KR102502311B1 KR1020217012002A KR20217012002A KR102502311B1 KR 102502311 B1 KR102502311 B1 KR 102502311B1 KR 1020217012002 A KR1020217012002 A KR 1020217012002A KR 20217012002 A KR20217012002 A KR 20217012002A KR 102502311 B1 KR102502311 B1 KR 10250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asing
switch device
under cov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388A (ko
Inventor
가즈요시 야마가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01H2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01H2009/04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using a sealing boot, e.g. the casing having separate elastic body surrounding the operating member and hermetically closing the opening for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Mimics of controlled apparatus or symb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01H23/143Tumblers having a generally flat elongated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08Application power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일방의 일면을 덮는 탄성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일방의 측의 일방 개구와 타방의 측의 타방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방 개구와 상기 타방 개구 사이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일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갖고, 상기 탄성 시트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벽부에 맞닿음으로써 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장치 및 스위치 장치
본 발명은, 장치 및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회로 기판의 표면을, 고무 등의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로 덮음으로써, 회로 기판의 방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에는, 스위치 장치에 관하여, 고정 접점, 발광 소자 등이 형성된 배선 기판의 상면 전체를, 고무 시트로 덮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2-98420호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케이싱의 내부에 있어서 커버의 표면 상에 침입한 물이, 커버의 가장자리부의 외측으로부터 커버의 뒤쪽으로 돌아 들어가, 회로 기판에 침입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회로 기판에 대한 방수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일 실시형태의 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일방의 일면을 덮는 탄성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일방의 측의 일방 개구와 타방의 측의 타방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방 개구와 상기 타방 개구 사이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일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갖고, 상기 탄성 시트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벽부에 맞닿음으로써 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회로 기판에 대한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러버 캡의 상면 측으로부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러버 캡의 하면으로부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4 에 나타내는 러버 캡의 A-A 단면도이다.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의 YZ 평면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의 XY 평면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언더 커버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에 규정되는 금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의 개요)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차량의 파워 시트의 좌고의 높이나 리클라이닝 각도의 조정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이다. 예를 들어,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차내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 (예를 들어, 운전석 측의 도어의 차내 측) 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의상, 도면 중 Z 축 정 (正) 방향을 상방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일방」의 일례) 으로 하고, 도면 중 Z 축 부 (負) 방향을 하방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타방」의 일례) 으로 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본체 (110) 를 구비한다. 본체 (110) 에는, 그 표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융기한 대좌부 (110A) 가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 (110A) 에는, 스위치 장치 (120) 및 슬라이드 조작체 (112) 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 (120)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장치」 및 「스위치 장치」의 일례) 는, 파워 시트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조작이 이루어지는 조작 부재임과 함께, 이른바 로커 스위치를 내장하고 있고 당해 로커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헤드 레스트의 각도 또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슬라이드 조작체 (112) 는, 파워 시트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조작 부재이다.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본체 (110) 의 측면에 형성된 차입구 (110B) 에 대해, 차량 측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도시 생략) 가 접속됨으로써, 커넥터 및 케이블을 개재하여, 차량 측에 탑재된 컨트롤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스위치 장치 (120) 및 슬라이드 조작체 (112) 의 조작에 따른 전기신호를, 컨트롤 유닛에 출력하여, 컨트롤 유닛에 파워 시트의 제어를 실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위치 장치 (120) 의 장착 구조)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 (120) 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 (120) 는, 본체 (110) 의 대좌부 (110A) 에 대해 장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대좌부 (110A) 에는, 원형상을 갖는 개구부 (110C, 110D)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 장치 (120) 는, 원통 형상을 갖는 통부 (126A, 126B) 가, 언더 커버 (126) (도 3 참조) 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통부 (126A) 는, 개구부 (110C) 로부터 대좌부 (110A) 내에 삽입되어, 대좌부 (110A) 의 내부에 형성된 다른 구성 부재 (도시 생략) 에 끼워 맞춰진다. 통부 (126B) 는, 개구부 (110D) 로부터 대좌부 (110A) 내에 삽입되어, 대좌부 (110A) 의 내부에 형성된 다른 구성 부재 (도시 생략) 에 끼워 맞춰진다. 이로써, 스위치 장치 (120) 는, 대좌부 (110A) 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버리지 않도록, 대좌부 (110A) 에 장착된다.
또한, 스위치 장치 (120) 는, 통부 (126B) 의 내부를 통과하여 통부 (126B) 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 (127) 을 가지고 있다. 또, 당해 케이블 (127) 의 선단에 형성된 커넥터 (127A) 가, 본체 (110) 의 내부에 있어서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커넥터 (도시 생략) 에 접속됨으로써, 본체 (110) 의 내부에 형성된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위치 장치 (120) 의 구조)
이하, 스위치 장치 (120) 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면 중 Z 축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하고, 도면 중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한다.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 (120) 는, 도면 중 상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조작 노브 (121), 케이싱 (122), 러버 캡 (123), 스페이서 (124), 회로 기판 (125), 언더 커버 (126), 및 케이블 (127) 을 구비한다.
조작 노브 (121) 는, 로커 스위치의 조작 부재이며, 케이싱 (122) 의 상방의 측에 형성된 상측 개구 (122A)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일방 개구」의 일례) 내에 배치되고, 케이싱 (122) 에 의해, 서로 상이한 회동 방향인 제 1 회동 방향 D1 및 제 2 회동 방향 D2 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는 조작 부재이다. 조작 노브 (121) 는, 회동축을 경계로 하여 일단 측과 타단 측의 각각에 대한 가압 조작이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해 일단 측 또는 타단 측의 가압 조작이 이루어지는 부재이다. 가압 조작됨으로써, 조작 노브 (121) 는, 제 1 회동 방향 D1 또는 제 2 회동 방향 D2 로 회동하고, 회로 기판 (125) 에 실장된 스위치 (125A) 또는 스위치 (125B) 를 가압하여, 파워 시트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 또는 위치의 조정 기능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조작 노브 (121) 는, 수지 소재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케이싱 (122) 은, 하방의 측에 하측 개구 (122C)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타방 개구」의 일례) (도 7 참조) 를 갖는 용기상의 부재이다. 케이싱 (122) 의 상방의 측에는,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대체로 사각형상의 상측 개구 (122A) 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개구 (122A) 에는, 당해 상측 개구 (122A) 와 대략 동일 형상의 조작 노브 (121) 가 배치된다. 상측 개구 (122A) 는, 도면 중 YZ 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내벽면과, 당해 내벽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벽부 (122D, 122E) (<0042>, <0043> 단락에서 설명한다) 의 상방 측의 단부 (端部)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당해 내벽면의 각각에는, 조작 노브 (121) 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하기 위한 볼록상의 축지부 (122B) 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 (122) 은, 수지 소재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러버 캡 (123) 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탄성 시트」의 일례이며, 회로 기판 (125) 의 상방의 측을 덮는 부재이다. 회로 기판 (125) 은, 러버 캡 (123) 에 의해 덮임으로써, 방수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러버 캡 (123) 은,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소재가 프레스 성형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러버 캡 (123) 은, 회로 기판 (125) 의 표면에 실장된 전자 부품 (예를 들어, 스위치 (125A, 125B), 커넥터 (125C)) 을 덮을 수 있도록, 당해 전자 부품과 겹치는 부분이 중공상으로 융기한 입체적 형상을 가지고 있다.
스페이서 (124) 는, 스위치 (125A, 125B) 의 상면과, 러버 캡 (123) 의 내천면 (內天面) 사이의 간극을 매립하기 위해, 당해 간극 내에 형성되는 평판상의 부재이다.
회로 기판 (125) 은,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평판상의 부재이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 (125) 에는, 유리 에폭시 등의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PWB (Printed Wiring Board) 가 사용된다. 회로 기판 (125) 의 표면에는, 스위치 (125A), 스위치 (125B), 및 커넥터 (125C) 가 실장되어 있다. 스위치 (125A) 는, 조작 노브 (121) 의 제 1 회동 방향 D1 로의 회동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파워 시트의 헤드 레스트를 사용자에 가깝게 하는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 (125B) 는, 조작 노브 (121) 의 제 2 회동 방향 D2 로의 회동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파워 시트의 헤드 레스트를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또는 가깝게 하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커넥터 (125C) 는, 케이블 (127) 의 타단부에 형성된 커넥터 (127B) 가 접속됨으로써, 스위치 (125A, 125B) 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신호를, 케이블 (127) 을 개재하여 본체 (110) 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언더 커버 (126) 는, 회로 기판 (125) 이 재치됨으로써 회로 기판 (125) 의 하면을 지지함과 함께, 케이싱 (122) 의 하측 개구 (122C) 에 장착됨으로써, 케이싱 (122) 의 하측 개구 (122C) 를 폐색하는, 평판상의 부재이다. 언더 커버 (126) 의 하면에는, 원통 형상을 갖는 통부 (126A, 126B) 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127) 은, 회로 기판 (125) 으로부터 본체 (110) 로, 스위치 (125A, 125B) 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배선 부재이다. 케이블 (127) 은, 언더 커버 (126) 에 형성된 통부 (126B) 의 내부를 관통하여, 케이싱 (122) 의 외부로 인출된다. 케이블 (127) 의 일단부에는, 커넥터 (127A)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127A) 는, 본체 (110) 의 내부에 형성된 커넥터 (도시 생략) 에 접속된다. 케이블 (127) 의 타단부에는, 커넥터 (127B)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127B) 는, 회로 기판 (125) 에 형성된 커넥터 (125C) 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케이블 (127) 은, 폴리에틸렌, 비닐 등의 절연성 소재로 피복된 구리선이 사용된다.
(러버 캡 (123) 의 구성)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러버 캡 (123) 의 상면 측으로부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러버 캡 (123) 의 하면 측으로부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4 에 나타내는 러버 캡 (123) 의 A-A 단면도이다.
도 4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러버 캡 (123) 은, 스커트부 (123A), 플랜지부 (123B), 플랜지부 (123C), 절결부 (123D), 규제부 (123E), 및 규제부 (123F) 를 갖는다.
스커트부 (123A) 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스커트부」의 일례이며, 러버 캡 (123) 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형성된 스커트상의 부분이다. 스커트부 (123A) 는, 러버 캡 (123) 의 하면의 측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125) 을 둘러싸도록 둘레벽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 (123B) 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플랜지부」의 일례이며, 러버 캡 (123) 의 스커트부 (123A) 의 도면 중 Y 축 부측의 일부를 따라 도면 중 X 축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도면 중 Y 축 부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수평인 평판상의 부분이다.
플랜지부 (123C) 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플랜지부」의 다른 일례이며, 러버 캡 (123) 의 스커트부 (123A) 의 도면 중 Y 축 정측의 일부를 따라 도면 중 X 축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도면 중 Y 축 정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수평인 평판상의 부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러버 캡 (123) 에 있어서의 도면 중 Y 축 부측에는, 플랜지부 (123B) 가 수평 또한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고, 또한, 플랜지부 (123B) 의 밑 부분으로부터 스커트부 (123A) 가 하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러버 캡 (123) 에 있어서의 도면 중 Y 축 정측에는, 플랜지부 (123C) 가 수평 또한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고, 또한, 플랜지부 (123C) 의 밑 부분으로부터, 스커트부 (123A) 가 하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절결부 (123D) 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 1 배수부」의 일례이며, 러버 캡 (123) 의 둘레가장자리부의 일부가 내측 (도면 중 Y 축 정측) 으로 절결된 부분이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결부 (123D) 는, 러버 캡 (123) 의 상면의 측에 물이 침입했을 때의 플랜지부 (123B) 의 상면에서의 물의 유로 상에 있어서의 하류 측 (도면 중 X 축 정측) 의 단부에, 플랜지부 (123B) 의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의 「하류측」이란,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를 소정의 자세로 차량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중력 방향에 있어서의 물체가 낙하하는 측을 의미하고, 즉, 중력에 의해 생기는 수류의 하류 측을 의미한다. 또한, 절결부 (123D) 는, 플랜지부 (123B) 에 인접하여, 상방 측으로부터 하방 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규제부 (123E, 123F) 는, 러버 캡 (123) 의 일부가 대좌상으로 높아짐으로써 형성되는 벽상의 부분이다. 규제부 (123E) 는, 스위치 (125A, 125B) 를 덮는 볼록상부 (123G) 보다 도면 중 X 축 부측에 있어서, 도면 중 Y 축을 따라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벽상의 부분이다. 규제부 (123E) 는, 러버 캡 (123) 에 있어서, 볼록상부 (123G) 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 (123H) 보다 도면 중 X 축 부측의 부분이, 대좌상으로 높아짐으로써 형성된다. 규제부 (123F) 는, 볼록상부 (123G) 보다 도면 중 X 축 정측에 있어서, 도면 중 Y 축을 따라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벽상의 부분이다. 규제부 (123F) 는, 러버 캡 (123) 에 있어서, 볼록상부 (123G) 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 (123H) 보다 도면 중 X 축 정측의 부분이, 대좌상으로 높아짐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 (123B) 는, 러버 캡 (123) 에 있어서의 규제부 (123E) 와 규제부 (123F) 사이에 끼인 영역 (123H) 의, 도면 중 Y 축 부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러버 캡 (123) 은, 케이싱 (122) 의 내부에 침입한 물을, 영역 (123H) 으로부터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규제부 (123E, 123F) 에 의해 규제하면서, 플랜지부 (123B) 에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 (120) 의 단면 구조)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의 YZ 평면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 (120) 는, 케이싱 (122) 의 상측 개구 (122A) 내에 조작 노브 (121) 가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싱 (122) 의 하측 개구 (122C) 로부터, 서로 겹친 상태의, 러버 캡 (123), 스페이서 (124), 회로 기판 (125), 및 언더 커버 (126) 가, 케이싱 (122) 내에 설치되고, 또한, 언더 커버 (126) 가 케이싱 (122) 에 대해 나사 고정된다. 이로써, 스위치 장치 (120) 는, 조작 노브 (121) 의 가압 조작에 의해, 러버 캡 (123) 및 스페이서 (124) 를 개재하여, 스위치 (125A, 125B) 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 에 나타내는 상태의 스위치 장치 (120) 에 있어서, 회로 기판 (125) 의 상방의 측의 면인 상면은, 전역에 걸쳐, 러버 캡 (123) 에 덮여 있다. 이로써, 스위치 장치 (120) 는, 만일, 상측 개구 (122A) 에 있어서의 조작 노브 (121) 의 주위의 간극으로부터, 케이싱 (122) 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러버 캡 (123) 에 의해, 상방으로부터의 회로 기판 (125) 의 침수를 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장치 (120) 는, 러버 캡 (123) 의 하면의 측에 형성된 둘레벽상의 스커트부 (123A) 에 의해, 회로 기판 (125) 이 둘러싸여 있다. 특히, 스커트부 (123A) 는, 회로 기판 (125) 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스위치 장치 (120) 는, 만일, 러버 캡 (123) 의 하면의 측에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측방으로부터의 회로 기판 (125) 으로의 침수를, 스커트부 (123A) 에 의해 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상태의 스위치 장치 (120) 의 도면 중 Y 축 부측에 있어서는, 케이싱 (122) 은 도면 중 Z 축 정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개구 (122A) 와 도면 중 Z 축 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하측 개구 (122C) 사이에 있어서, 회로 기판 (125) 의 도면 중 Z 축 정측, 또는, 도면 중 Z 축 부측의 일면이 연장되는 방향 (XY 평면 방향) 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 (122D)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벽부 (122D) 의 내표면에, 러버 캡 (123) 의 플랜지부 (123B) 가 충돌하고, 당해 플랜지부 (123B) 가 벽부 (122D) 에 가압되어 하방으로 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스위치 장치 (120) 는, 벽부 (122D) 와 플랜지부 (123B) 가 밀착하여, 양자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러버 캡 (123) 의 상면 상에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당해 물이 플랜지부 (123B) 의 하면의 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일 없이, 당해 물이 플랜지부 (123B) 의 상면을 따라 하류 방향 (도면 중 X 축 정 방향) 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스위치 장치 (120) 는, 플랜지부 (123B) 가 하방으로 휨으로써, 플랜지부 (123B) 의 상면과 벽부 (122D) 의 내표면에 의한 홈 d1 이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싱 (122) 내에 침입한 물이, 홈 d1 내를 흐르게 된다. 따라서, 케이싱 (122) 내에 침입한 물을 보다 확실하게 플랜지부 (123B) 의 하류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동일하게, 도 7 에 나타내는 상태의 스위치 장치 (120) 에 있어서, 도면 중 Y 축 정측에 있어서는, 케이싱 (122) 에 회로 기판 (125) 이 이루는 평면과 교차하는 벽부 (122E)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벽부 (122E) 의 내표면에, 러버 캡 (123) 의 플랜지부 (123C) 가 충돌하고, 당해 플랜지부 (123C) 가 벽부 (122E) 에 가압되어 하방으로 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스위치 장치 (120) 는, 벽부 (122E) 와 플랜지부 (123C) 가 밀착하여, 양자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러버 캡 (123) 의 상면 상에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당해 물이 플랜지부 (123C) 의 하면의 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일 없이, 당해 물이 플랜지부 (123C) 의 상면을 따라 하류 방향 (도면 중 X 축 정 방향) 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스위치 장치 (120) 는, 플랜지부 (123C) 가 하방으로 휨으로써, 플랜지부 (123C) 의 상면과 벽부 (122E) 의 내표면에 의한 홈 d2 가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싱 (122) 내에 침입한 물이, 홈 d2 내를 흐르게 된다. 따라서, 케이싱 (122) 내에 침입한 물을 보다 확실하게 플랜지부 (123C) 의 하류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부 (122D, 122E) 는, 플랜지부 (123B, 123C) 와 맞닿는 가압부 (122a, 122b)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압부 (122a, 122b) 는, 상방의 측 (Z 축 정측) 보다 하방의 측 (Z 축 부측) 이 러버 캡 (123) 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된 사면부 (122a1, 122b1)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면부」의 일례) 를 포함하고 있다. 가압부 (122a, 122b) 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가압부」의 일례이며, 케이싱 (122) 의 내부에 있어서의 벽부 (122D) 와 벽부 (122E) 의 간격을 부분적으로 좁히는 협폭부를 형성한다. 당해 협폭부는, 플랜지부 (123C) 의 상면과 약간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협폭부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러버 캡 (123) 이 압입되었을 때에, 협폭부가 플랜지부 (123B, 123C) 와 맞닿음으로써, 플랜지부 (123B, 123C) 를 하방으로 휘게 한다. 이로써, 스위치 장치 (120) 는, 케이싱 (122) 의 하측 개구 (122C) 로부터, 러버 캡 (123), 스페이서 (124), 회로 기판 (125), 및 언더 커버 (126) 를, 케이싱 (122) 의 내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압입하는 것만으로, 플랜지부 (123B, 123C) 를, 가압부 (122a, 122b) 에 의해 하방으로 휜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스위치 장치 (120) 는, 플랜지부 (123B, 123C) 에 의한 높은 지수성을 가지면서도, 각 구성 부품을 용이하게 케이싱 (122)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스위치 장치 (120) 는, 플랜지부 (123B, 123C) 가 하방으로 휘도록 한 것에 의해, 플랜지부 (123B, 123C) 의 제조 오차를, 플랜지부 (123B, 123C) 의 휨량에 의해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장치 (120) 는, 플랜지부 (123B, 123C) 의 밑 부분에 스커트부 (123A) 를 형성한 것에 의해 분기점이 된 플랜지부 (123B, 123C) 의 밑 부분은 보강되기 때문에, 러버 캡 (123) 의 플랜지부 (123B, 123C) 의 선단 측만을 선택적으로 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러버 캡 (123) 의 그 밖의 부분의 회로 기판 (125) 으로부터의 들뜸을 억제할 수 있다.
(스위치 장치 (120) 에 있어서의 수류)
도 8 을 참조하여, 스위치 장치 (120) 에 있어서의 수류를 설명한다. 도 8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의 XY 평면에 의한 단면도이다.
상측 개구 (122A) 로부터 케이싱 (122) 내로 침입한 물은, 러버 캡 (123) 의 상면에 있어서, 상측 개구 (122A) 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규제부 (123E) 와 규제부 (123F) 사이에 끼인 영역 (123H) 내에 흘러 떨어진다.
영역 (123H) 내에 흘러 떨어진 물은, 도 8 의 화살표 A1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력에 따라, 당해 영역 (123H) 내를, 당해 영역 (123H) 의 도면 중 Y 축 부측에 형성된 플랜지부 (123B) 로 흐른다. 또는, 영역 (123H) 내에 흘러 떨어진 물은, 도 8 의 화살표 A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력에 따라, 당해 영역 (123H) 내를, 당해 영역 (123H) 의 도면 중 X 축 정측에 형성된 규제부 (123F) 로 흐른다.
규제부 (123F) 로 흐른 물은, 도 8 의 화살표 B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력에 따라, 규제부 (123F) 를 따라, 하류 방향 (도면 중 Y 축 부 방향) 으로 흐르고, 규제부 (123F) 의 하류 측에 형성된 절결부 (123D) 로부터, 플랜지부 (123B) 를 관통하여, 언더 커버 (126) 의 상면으로 흘러 떨어진다.
한편, 플랜지부 (123B) 로 흐른 물은, 도 8 의 화살표 B1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력에 따라, 플랜지부 (123B) 를 따라, 하류 방향 (도면 중 X 축 정 방향) 으로 흐르고, 플랜지부 (123B) 의 하류 측에 형성된 절결부 (123D) 로부터, 플랜지부 (123B) 를 관통하여, 언더 커버 (126) 의 상면으로 흘러 떨어진다.
특히, 플랜지부 (123B) 와 벽부 (122D) 의 밀착부에는, 플랜지부 (123B) 가 하방으로 휨으로써 홈 d1 (도 7 참조) 이 형성되기 때문에, 플랜지부 (123B) 로 흐른 물은, 당해 홈 d1 내를 흐름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절결부 (123D) 로 유도된다.
언더 커버 (126) 의 상면으로 흘러 떨어진 물은, 도 8 의 화살표 C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더 커버 (126) 에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절결부 (123D) 보다 하류 측 (도면 중 X 축 정측) 에 형성된 배수구 (126C)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 2 배수부」의 일례) 로부터, 언더 커버 (126) 를 관통하여, 스위치 장치 (120) 의 외부로 흘러 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수구 (126C) 는, 러버 캡 (123) 의 절결부 (123D) 에 대응하는 위치에, 언더 커버 (126)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수구 (126C) 는, 언더 커버 (126) 의 상방의 측으로부터 하방의 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결부 (123D) 는, 벽부 (122D) 의 내표면에 형성된 리브 (122F) 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내측으로 절결되어 있다. 리브 (122F) 는, 언더 커버 (126) 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걸어맞춤홈 (126D) (도 3 참조) 과 걸어맞춤으로써, 케이싱 (122) 에 대한 언더 커버 (126) 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절결부 (123D) 는, 리브 (122F) 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기능과, 러버 캡 (123) 의 뒤쪽으로의 배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언더 커버 (126) 의 재치면 (126E) 의 구성)
도 9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언더 커버 (126) 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더 커버 (126) 는, 당해 언더 커버 (126) 의 재치면 (126E)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둑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방의 측이 회로 기판 (125) 의 하면에 맞닿고, 또한, 회로 기판 (125) 과의 맞닿음면이 회로 기판 (125) 의 하면에 형성된 배선 패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리브 (126F) 를 갖는다. 리브 (126F) 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리브」의 일례이며, 재치면 (126E) 보다 높이 위치가 높아져 있음으로써, 당해 리브 (126F) 에 둘러싸인 영역 내로의 물의 진입을 방지하는 지수벽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리브 (126F) 에 의해 둘러싸이는, 회로 기판 (125) 의 하면의 일부의 영역은, 보다 높은 방수성이 요구되는 영역이며, 예를 들어, 배선 패턴 및 스루홀이 형성되어도 되는 영역이다.
(금지 영역 (125D))
도 10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 (125) 에 규정되는 금지 영역 (125D)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에서는, 언더 커버 (126) 의 재치면 (126E) 에 재치된 상태의 회로 기판 (125) 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 에서는, 회로 기판 (125) 의 뒤쪽에 형성된 리브 (126F) 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회로 기판 (125) 의 하면에 규정된 금지 영역 (125D) 을, 해칭을 붙여 나타내고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125) 의 하면에는, 리브 (126F) 의 맞닿음면으로 둘러싸인 영역보다 외측의 영역이, 금지 영역 (125D) 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금지 영역 (125D) 은, 배선 패턴 및 스루홀의 설치가 금지된 영역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 (120) 는, 회로 기판 (125) 에 있어서의 금지 영역 (125D) 에, 배선 패턴 및 스루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 (120) 는, 만일, 회로 기판 (125) 의 금지 영역 (125D) 이 침수된 경우여도, 배선 패턴이 전식한다, 스루홀을 통하여 회로 기판 (125) 의 표면 측이 침수된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지 영역 (125D) 은, 리브 (126F) 보다 약간 내측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로써, 만일, 서로 맞닿는 리브 (126F) 의 상면과 회로 기판 (125) 의 하면의 간극으로부터, 리브 (126F) 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약간 침수한 경우여도, 미리 그 침수 부분에 배선 패턴 및 스루홀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배선 패턴이 전식한다, 스루홀을 통하여 회로 기판 (125) 의 표면 측이 침수된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금지 영역 (125D) 에는,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라운드 패턴은, 만일 침수된 경우여도,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식한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회로 기판 (125) 의 상방의 측의 표면을 덮는 러버 캡 (123) 이, 플랜지부 (123B, 123C) 를 갖고, 플랜지부 (123B, 123C) 는, 케이싱 (122) 의 벽부 (122D, 122E) 에 가압되어 휜 상태로 배치된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플랜지부 (123B, 123C) 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플랜지부 (123B, 123C) 가 벽부 (122D, 122E) 의 내표면에 압박되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플랜지부 (123B, 123C) 가 하방으로 휘도록 한 것에 의해, 플랜지부 (123B, 123C) 의 제조 오차를, 플랜지부 (123B, 123C) 의 휨량에 의해 허용하고, 플랜지부 (123B, 123C) 가 벽부 (122D, 122E) 의 내표면에 압박되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의하면, 러버 캡 (123) 에 의해 당해 러버 캡 (123) 의 상면의 측으로부터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플랜지부 (123B, 123C) 와 벽부 (122D, 122E) 사이로부터의 러버 캡 (123) 의 하면의 측으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케이싱 (122) 의 내부에 형성된 회로 기판 (125) 에 대한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있어서, 벽부 (122D, 122E) 는, 상방의 측보다 하방의 측이 러버 캡 (123) 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된 사면부 (122a1, 122b1) 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플랜지부 (123B, 123C) 와 맞닿는 가압부 (122a, 122b) 를 갖는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케이싱 (122) 의 하측 개구 (122C) 로부터, 러버 캡 (123) 및 회로 기판 (125) 을, 케이싱 (122) 의 내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압입하는 것만으로, 플랜지부 (123B, 123C) 를, 가압부 (122a, 122b) 에 의해 하방으로 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의하면, 케이싱 (122) 의 내부에 형성된 회로 기판 (125) 에 대한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또, 당해 스위치 장치 (120) 의 조립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있어서, 러버 캡 (123) 은, 러버 캡 (123) 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플랜지부 (123B, 123C) 의 밑 부분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 (123A) 를 갖는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만일, 플랜지부 (123B, 123C) 의 하면의 측에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회로 기판 (125) 의 측방으로부터의 회로 기판 (125) 으로의 침수를, 스커트부 (123A) 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스커트부 (123A) 를 형성한 것에 의해 분기점이 된 플랜지부 (123B, 123C) 의 밑 부분은 보강되기 때문에, 플랜지부 (123B, 123C) 의 선단 측만을 선택적으로 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러버 캡 (123) 의 회로 기판 (125) 으로부터의 들뜸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의하면, 케이싱 (122) 의 내부에 형성된 회로 기판 (125) 에 대한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있어서, 스커트부 (123A) 는, 회로 기판 (125) 을 둘러싸는 둘레벽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회로 기판 (125) 에 있어서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전역에 걸쳐, 회로 기판 (125) 의 측방으로부터의 회로 기판 (125) 으로의 침수를, 스커트부 (123A) 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의하면, 케이싱 (122) 의 내부에 형성된 회로 기판 (125) 에 대한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있어서, 러버 캡 (123) 은, 플랜지부 (123B, 123C) 가 연장되는 경로 상에, 상방의 측으로부터 하방의 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또는, 플랜지부 (123B, 123C) 의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된 절결부 (123D) 를 갖는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플랜지부 (123B, 123C) 상을 흐르는 물을, 절결부 (123D) 로부터, 플랜지부 (123B, 123C) 의 하면의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플랜지부 (123B, 123C) 상에 물이 고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플랜지부 (123B, 123C) 와 벽부 (122D, 122E) 사이로부터의 러버 캡 (123) 의 하면의 측으로의 침수를 보다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의하면, 케이싱 (122) 의 내부에 형성된 회로 기판 (125) 에 대한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있어서, 케이싱 (122) 의 하측 개구 (122C) 를 폐색하는 언더 커버 (126) 는, 절결부 (123D) 에 대응하여, 또는, 당해 언더 커버 (126) 의 상방의 측으로부터 하방의 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또는, 당해 언더 커버 (126) 의 가장자리부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된 배수구 (126C) 를 갖는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절결부 (123D) 로부터 언더 커버 (126) 상으로 흘러 떨어져 언더 커버 (126) 상을 흐르는 물을, 배수구 (126C) 로부터, 언더 커버 (126) 의 하면의 측 (즉, 스위치 장치 (120) 의 외부) 으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언더 커버 (126) 상에 물이 고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러버 캡 (123) 과 언더 커버 (126) 사이로부터의 회로 기판 (125) 으로의 침수를 보다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의하면, 케이싱 (122) 의 내부에 형성된 회로 기판 (125) 에 대한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있어서, 언더 커버 (126) 는, 당해 언더 커버 (126) 의 재치면 (126E)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둑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방의 측이 회로 기판 (125) 의 하면에 맞닿고, 또한, 회로 기판 (125) 과의 맞닿음면이 회로 기판 (125) 의 하면에 형성된 배선 패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리브 (126F) 를 갖는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만일, 언더 커버 (126) 의 재치면 (126E) 에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당해 물에 의해 회로 기판 (125) 의 하면의 일부의 영역 (예를 들어, 배선 패턴 및 스루홀이 형성되어도 되는 영역) 이 침수되어 버리는 것을, 리브 (126F) 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의하면, 케이싱 (122) 의 내부에 형성된 회로 기판 (125) 에 대한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에 있어서, 회로 기판 (125) 은, 당해 회로 기판 (125) 의 하면에 있어서의 리브 (126F) 로 둘러싸인 영역보다 외측의 영역 (금지 영역 (125D)) 에, 배선 패턴 및 스루홀의 어느 것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20) 는, 만일, 회로 기판 (125) 의 금지 영역 (125D) 이 침수된 경우여도, 배선 패턴이 전식한다, 스루홀을 통하여 회로 기판 (125) 의 표면 측이 침수된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파워 시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노브를 갖는 스위치 장치에 적용한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적어도 케이싱의 내부에 있어서 회로 기판의 일방 측을 탄성 시트로 덮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면, 어떤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국제 출원은, 2018년 12월 12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232646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당해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 원용한다.
100 : 파워 시트 스위치
110 : 본체
110A : 대좌부
120 : 장치
121 : 조작 노브
122 : 케이싱
122a, 122b : 가압부
122C : 하측 개구
122D, 122E : 벽부
123 : 러버 캡 (탄성 시트)
123A : 스커트부
123B, 123C : 플랜지부
123D : 절결부 (제 1 배수부)
124 : 스페이서
125 : 회로 기판
125D : 금지 영역
126 : 언더 커버
126C : 배수구 (제 2 배수부)
126E : 재치면
126F : 리브
127 : 케이블

Claims (9)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일방의 일면을 덮는 탄성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일방의 측의 일방 개구와 타방의 측의 타방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방 개구와 상기 타방 개구 사이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일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갖고,
    상기 탄성 시트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벽부에 맞닿음으로써 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방 개구를 폐색하는 언더 커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언더 커버는,
    일방으로 돌출되어 둑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회로 기판의 타방의 측에 맞닿고, 또한, 상기 회로 기판과의 맞닿음면이 상기 회로 기판의 타방의 측에 형성된 배선 패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일방의 측보다 타방의 측이 상기 탄성 시트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된 사면 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맞닿는 가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플랜지부의 밑 부분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회로 기판을 둘러싸는 둘레벽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플랜지부에 인접하여, 일방의 측으로부터 타방의 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또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된 제 1 배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커버는,
    상기 제 1 배수부에 대응하여, 당해 언더 커버의 일방의 측으로부터 타방의 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또는, 상기 제 1 배수부에 대응하여, 당해 언더 커버의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된 제 2 배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당해 회로 기판의 타방의 측의 상기 맞닿음면으로 둘러싸인 영역보다 외측의 영역에, 배선 패턴 및 스루홀의 어느 것도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217012002A 2018-12-12 2019-11-06 장치 및 스위치 장치 KR102502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2646 2018-12-12
JP2018232646 2018-12-12
PCT/JP2019/043507 WO2020121696A1 (ja) 2018-12-12 2019-11-06 装置および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388A KR20210063388A (ko) 2021-06-01
KR102502311B1 true KR102502311B1 (ko) 2023-02-21

Family

ID=7107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002A KR102502311B1 (ko) 2018-12-12 2019-11-06 장치 및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64009B2 (ko)
JP (1) JP7119120B2 (ko)
KR (1) KR102502311B1 (ko)
CN (1) CN113168979B (ko)
DE (1) DE112019006201T5 (ko)
WO (1) WO2020121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1688A1 (ja) * 2018-12-13 2020-06-18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装置および操作装置
CN111446096A (zh) * 2020-03-11 2020-07-24 法雷奥舒适驾驶辅助系统(广州)有限公司 一种带天线的紧凑型汽车启动开关
USD963594S1 (en) * 2021-01-29 2022-09-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Toggle switch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747Y2 (ko) * 1985-04-04 1991-04-02
JPH074843B2 (ja) 1988-10-05 1995-01-25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データ出力方法
JPH0716265Y2 (ja) 1989-01-24 1995-04-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JPH0656932U (ja) * 1993-01-08 1994-08-05 富士通テン株式会社 小型リモコン送信機
JPH08222066A (ja) * 1995-02-09 1996-08-30 Sumitomo Wiring Syst Ltd 発光表示機能を備えたスイッチ
JP3165019B2 (ja) * 1995-12-28 2001-05-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イッチの排水構造
JPH09265851A (ja) * 1996-03-28 1997-10-07 Niles Parts Co Ltd スイッチの防水用ケース
JP3718993B2 (ja) * 1998-04-23 2005-11-24 松下電工株式会社 防水スイッチ
JP2007073262A (ja) * 2005-09-05 2007-03-22 Alps Electric Co Ltd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JP4900068B2 (ja) * 2007-06-13 2012-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押圧操作装置
JP4958686B2 (ja) * 2007-08-27 2012-06-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構造
JP5256066B2 (ja) * 2009-02-02 2013-08-07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4956583B2 (ja) * 2009-06-15 2012-06-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可動接点部材およびスイッチ装置
JP2011073610A (ja) * 2009-09-30 2011-04-14 Honda Motor Co Ltd 鞍乗り車両用ユーテイリテイボックスの構造
JP2012203989A (ja) * 2011-03-23 2012-10-22 Brother Ind Ltd 操作パネルの防水構造
JP5669774B2 (ja) * 2012-02-28 2015-02-18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2014157694A (ja) * 2013-02-15 2014-08-28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16058290A (ja) * 2014-09-11 2016-04-21 日本精機株式会社 回動型スイッチ装置
JP6364401B2 (ja) * 2015-12-22 2018-07-2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6601770B2 (ja) * 2016-02-08 2019-1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6573078B2 (ja) * 2016-07-06 2019-09-11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の排水構造
WO2018232646A1 (zh) 2017-06-21 2018-12-27 深圳支点电子智能科技有限公司 具有自适应播放能力的移动终端和相关产品
JP2019043507A (ja) 2017-09-07 2019-03-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アダプ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04985A1 (en) 2021-09-30
JPWO2020121696A1 (ja) 2021-10-21
KR20210063388A (ko) 2021-06-01
JP7119120B2 (ja) 2022-08-16
US11764009B2 (en) 2023-09-19
WO2020121696A1 (ja) 2020-06-18
CN113168979A (zh) 2021-07-23
DE112019006201T5 (de) 2021-08-19
CN113168979B (zh)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2311B1 (ko) 장치 및 스위치 장치
US795093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with drainage portions
US7271773B2 (en) Antenna mounted on vehicle
US9509106B2 (en) Coaxial connector plug
EP1788669A2 (en)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US10356921B2 (en) Electronic component unit, wire harness, and ventilator waterproofing structure
US20140116771A1 (en) Electronic device casing
EP2060886A1 (en) Combined sensor
DE112009004314T5 (de)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e Frontscheinwerferlichtquelle
JP5686636B2 (ja) スイッチ装置
JP4947438B2 (ja) 車両用計器におけるスイッチ装置
CN100561812C (zh) 电连接盒
US20140233196A1 (en) Switch device
EP3499648A1 (en) Connector structure
CN206149617U (zh) 电子控制单元
EP2551873B1 (en) Switch unit
KR101846199B1 (ko) 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JP2006002658A (ja) 燃料供給装置
US20140231232A1 (en) Switch device
US9224557B2 (en) Switch device
KR102154281B1 (ko)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JP5471793B2 (ja) 電気接続箱
JP7322174B2 (ja) 電子装置
KR102073991B1 (ko) 성형 배선판용의 전기접속기
KR102499801B1 (ko) 가변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