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495B1 - 폴리머 첨가제의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머 첨가제의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495B1
KR102499495B1 KR1020177008942A KR20177008942A KR102499495B1 KR 102499495 B1 KR102499495 B1 KR 102499495B1 KR 1020177008942 A KR1020177008942 A KR 1020177008942A KR 20177008942 A KR20177008942 A KR 20177008942A KR 102499495 B1 KR102499495 B1 KR 102499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additive
chain
alkoxylated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386A (ko
Inventor
헤이셰 클라시나 스피커르만
Original Assignee
누리온 케미칼즈 인터내셔널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누리온 케미칼즈 인터내셔널 비.브이. filed Critical 누리온 케미칼즈 인터내셔널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70066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3Solid polymers with solid and/or liqu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r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J2331/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J23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8J23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10-80 wt% 의 열가소성 폴리머(thermoplastic polymer)중에 분산된 20-90 wt% 의 폴리머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 :
- 액체 형태의 첨가제를 제공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상기 첨가제를 가열하는 단계,
- 상기 액체 첨가제에 열가소성 폴리머의 고체 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 생성된 혼합물을 상기 폴리머의 용융 온도 범위 이내의 온도 또는 그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 고체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장비로 상기 혼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Description

폴리머 첨가제의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A MASTERBATCH OF POLYMER ADDITIVE}
본 발명은 폴리머 첨가제(polymer additive)의 마스터배치(masterbatch)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 첨가제는 폴리머의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머에 첨가된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흐림방지제(anti-fogging agents), 대전방지제(anti-stats), 미끄럼방지제(anti-slips) 등이 있다. 상기 첨가제들은 일반적으로 마스터배치의 형태로 폴리머에 주입된다. : 폴리머 중에 분산된 비교적 고농도의 첨가제. 마스터배치의 사용은 최종 폴리머에서의 첨가제의 분산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폴리머에 대한 첨가제 투여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상용화된 마스터배치들은 압출기 내에서 폴리머를 용융시키고 용융된 폴리머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첨가제의 농도가 약 20 wt% 이하인 마스터배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교반용기(stirred vessel)에서는 수행될 수 없다. 그 이유는, 첫째로, 용융된 폴리머의 높은 점도가 반응기 내용물의 교반을 방해할 수 있고, 둘째로, 폴리머가 반응기 벽 상에서 용융되어 바닥으로 흘러가서 반응기 벽과 반응기 내용물 사이의 필요한 열교환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통상적인 압출기는 용융된 폴리머와 액상 첨가제 간의 큰 점도 차이로 인해, 첨가제 농도를 약 20 wt% 보다 더 높일 수 없다. 압출기에서의 체류시간(residence time)은 일반적으로 1분 내지 최대 5분까지 다양한데, 이는 대량의 저점도 첨가제와 고점도 폴리머를 혼합하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이다.
본 발명은 리버스 프로세스(reverse process)에 관한 것이다. : 먼저, 액체 형태의 첨가제를 제공하고, 용융된 상기 첨가제에 고체 형태의 폴리머를 첨가한다. 이어서, 상기 폴리머는 액체 형태의 첨가제에 분산되어 용융된다. 이러한 공정은 더 많은 양의 첨가제가 혼입(incorporation)될 수 있게 함으로써 더 농축된 마스터배치가 제조되도록 한다. 나아가, 이 공정은 압출과정(extrusion)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공정은 간단한 용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공정은 압출과정을 수행할 때보다 더 저렴하고 더 간단하다. 게다가, 자유-유동성(free-flowing)이 더 양호한 마스터배치를 얻을 수 있다.
GB 1,056,507 에는, 고체 폴리머와 액체 첨가제를 블렌딩하는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정에서 폴리머는 용융되지 않는다. 아래의 실시예 부분(experimental section)에서 볼 수 있듯이, 폴리머의 용융 없이는 첨가제가 균일한 폴리머 상(homogeneous polymer phase)에 분포될 수 없다. 대신에, 첨가제는 폴리머 입자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어, 이는 높아진 온도에서 점착성(stickiness), 비균질성 및/또는 케이크 형성(caking)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10-80 wt% 의 열가소성 폴리머(thermoplastic polymer)에 분산된 20-90 wt% 의 폴리머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
- 액체 형태의 첨가제를 제공하는 단계,
- 임의적으로 상기 첨가제를 가열하는 단계,
- 상기 액체 첨가제에 열가소성 폴리머의 고체 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 생성된 혼합물을 상기 폴리머의 용융 범위 이내의 온도 또는 그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 고체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장비로 상기 혼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폴리머 첨가제는 대전방지제, 흐림방지제, 미끄럼방지제, 및 블로킹방지제, 항산화제, 커플링제, 광안정화제, 그리고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항산화제의 예는, 일차 및 이차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일차 항산화제의 예로는, 뷰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 옥타데실-3-(3,5-다이-터트.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및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터트-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테인(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과 같은 페놀류(phenols); 및 하이드록실아민(hydroxylamines)이 있다. 이차 항산화제의 예로는, 트리스(2,4-다이-터트-뷰틸페닐)아인산염(tris(2,4-di-tert-butylphenyl)phosphite); 및 트리스-노닐페닐아인산염(tris-nonylphenyl phosphite, TNPP)와 같은 유기아인산염(organophosphites); 및 티오에스테르(thioesters)가 있다.
커플링제의 예로는 말레산무수물-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maleic anhydride-grafted polyolefins) 및 실란(silanes)이 있다.
광안정화제의 예로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화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HALS);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2-hydroxy-4-methoxybenzophenone); 2-하이드록시-4-n-옥토시벤조페논(2-hydroxy-4-n-octoxybenzophenone)과 같은 벤조페논(benzophenones); 3-5-다이-t-뷰틸 4-하이드로벤조산 n-헥사데실 에스테르(3,5-di-t-butyl 4-hydrobenzoic acid n-hexadecyl ester)와 같은 페놀에스테르(phenolesters);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s); 및 트리아진(triazines)이 있다.
윤활제의 예로는 메탈릭 스테아르산염(metallic stearates); 지방산 아마이드(fatty amides); 지방산 비스아마이드(fatty bisamides); 석유 왁스(petroleum waxes); 폴리올레핀 왁스(polyolefin waxes); 미네랄 오일(mineral oils); 및 실리콘 오일(silicone oils)이 있다.
폴리머 첨가제로는, 바람직하게는, 미끄럼방지제, 흐림방지제, 및 대전방지제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배치에 혼입되는 첨가제로는, 알콕실화 아민(alkoxylated amines); 아마이드(amides); 알콕실화 아마이드(alkoxylated amides); 글리세롤 에스테르(glycerol esters); 알콕실화 글리세롤 에스테르(alkoxylated glycerol esters); 및 알콕실화 소르비탄 에스테르(alkoxylated sorbitan esters)가 있다.
알콕실화 화합물의 알콕시 체인(alkoxy chain)당 알콕시기의 평균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1-30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개이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10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개이다.
상기 알콕시 체인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사이드기(ethylene oxide groups)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기(propylene oxide groups),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기와 프로필렌 옥사이드기 모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알콕실화 아민은 하기의 일반식을 가진다.
Figure 112017031884758-pct00001
알콕실화 아마이드는 알콕실화 모노아마이드(alkoxylated monoamides), 알콕실화 비스아마이드(alkoxylated bisamides), 및 알콕실화 폴리아마이드(alkoxylated polyamides)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알콕실화 모노아마이드는 하기의 일반식을 가진다.
Figure 112017031884758-pct00002
바람직하게는, 알콕실화 비스아마이드는 하기의 일반식을 가진다.
Figure 112017031884758-pct00003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 에스테르는 하기의 화학식을 가진다.
Figure 112017031884758-pct00004
바람직하게는, 알콕실롸 글리세롤 에스테르는 하기의 화학식을 가진다.
Figure 112017031884758-pct00005
바람직하게는, 알콕실화 소르비탄 에스테르는 하기의 화학식을 가진다.
Figure 112017031884758-pct00006
상기의 모든 화학식에서, R1 은 11개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사슬이고, 선택적으로는, -OH, -O-, -(C=O)-O-, -NH-, -Si-, -S-, -P-, -SO2-, -S=O-, 또는 -SO3H 함유기로 치환된다.
R2 은 수소(H), 에틸렌 옥사이드 체인(ethylene oxide chains), 프로필렌 옥사이드 체인(propylene oxide chains),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또는 랜덤 코폴리머 체인(ethylene oxide-propylene oxide block- or random copolymer chains)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 화학식의 모든 R2 이 수소인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체인당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총 개수는 1-30개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개 범위이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10개 범위이며,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개 범위이다.
R3 은 2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칸디일 체인(alkanediyl chain)이고, 선택적으로는, -OH, -O-, =O, -S-, -SO2-, -Si-, 또는 -P- 함유기로 치환되며, n 은 1-8 범위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4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3 이다.
만약 n>1 이라면, 상기 (알콕실화) 글리세롤 에스테르는 (알콕실화)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이다.
알콕실화 아민의 더욱 구체적인 예로는, 에톡실화 탈로우 아민(ethoxylated tallow amine), 에톡실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탈로우 아민(ethoxylated hydrogenated tallow amine), 에톡실화 코코 아민(ethoxylated coco amine), 및 에톡실화 옥타데실 아민(ethoxylated octadecyl amine)이다.
아마이드는 모노아마이드(monoamieds), 비스아마이드(bisamides)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s)를 포함한다. 적절한 아마이드의 예로는, 올레아마이드(oleamide), 에루카아마이드(erucamide), 스테아르아마이드(stearamide), 에틸렌 비스(올레아마이드)(ethylene bis(oleamide)), 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마이드)(ethylene bis(stearamide)), 및 비스(2-하이드록시에틸) 도데칸아마이드(bis(2-hydroxyethyl) dodecanamide)가 있다. 적절한 글리세롤 에스테르의 예로는, (폴리)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poly)glycerol monostearate), (폴리)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poly)glycerol mono-oleate), 및 (폴리)글리세롤 모노 라우레이트((poly)glycerol mono laurate)가 있다.
적절한 알콕실화 글리세롤 에스테르의 예로는, 에톡실화 (폴리)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ethoxylated (poly)glycerol monostearate), 에톡실화 (폴리)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ethoxylated (poly)glycerol mono-oleate), 에톡실화 (폴리)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ethoxylated (poly)glycerol monolaurate), 프로폭실화 (폴리)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propoxylated (poly)glycerol monostearate), 프로폭실화 (폴리)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propoxylated (poly)glycerol mono-oleate), 및 프로폭실화 (폴리)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propoxylated (poly)glycerol monolaurate)가 있다.
소르비탄 에스테르의 적합한 예시는,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및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nan monolaurate)이다.
적합한 알콕실화 소르비탄 에스테르의 예시는, 에톡실화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ethoxylated sorbitan monostearate), 에톡실화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ethoxylated sorbitan mono-oleate), 에톡실화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ethoxylated sorbitan monolaurate), 프로폭실화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ropoxylated sorbitan monostearate), 프로폭실화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propoxylated sorbitan mono-oleate), 및 프로폭실화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ropoxylated sorbitan monolaurate)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정은 어떤 종류의 교반 용기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용기에서의 체류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시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시간이다. 이러한 체류시간은 폴리머의 용융 및 고점도 폴리머와 저점도 첨가제의 균일한 혼합물 획득에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류시간은 최대 6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4시간이다.
한편, 압출기는 훨씬 더 짧은 체류시간(5분 이내)을 가지고, 이는 상기 압출기가 본 발명의 공정에는 덜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용기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 또는 글래스-라이닝(glass-lined)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는 하부 밸브(bottom valve)를 가진다. 더 높은 전단력(shear)을 얻기 위해서는 배플(baffle)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교반기를 사용할 수 있다. 교반기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터빈 임펠러(turbine impeller)와 같은, 축방향 유동 임펠러(axial flow impeller)이다.
상기 반응기는 가열될 수 있어야 한다. 가열은 다양한 방법, 예를 들어, 오일 배쓰(oil bath)를 사용하거나, 스팀방식(steam), 전기 가열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시작시, 첨가제는 액체 형태이어야 한다. 만일 첨가제가 실온에서 아직 액체 형태가 아니라면, 용융 온도(melting temperature)보다 높은 온도까지 가열되어야 한다. 용융 온도는 용융점(melting point)로 정의되는데, 만일 분명한 용융점이 없다면, 용융 범위의 상한선으로 정의한다.
만약 첨가제가 상온에서 이미 액체 형태이더라도, 예를 들어 점도를 낮추기 위해 가열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열가소성 폴리머가 고체 입자의 형태로 액체 첨가제에 첨가된다. 폴리머는 한꺼번에 또는 두 부분이나 그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어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액체 첨가제는 고체 폴리머가 첨가되기 전에, 80-150°C 의 온도 범위로 가열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30°C 의 온도 범위로 가열된다. 이로 인해, 상기 폴리머가 따뜻한 액체 첨가제로 즉시 둘러싸이게 되어, 상기 첨가제로부터 상기 폴리머로 열이 전달되게 한다.
적합한 열가소성 폴리머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옥사이드 랜덤- 및 블록-코폴리머( random- and block-copolymers of ethylene and propylen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및 부텐(butene), 이소부틸렌(isobutylene), 아크릴산(acrylic acids), 아크릴산의 에스테르(esters of acrylic acids), 스티렌(styrene)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른 모노-올레핀 모노머(mono-olefinic monomers)의 최소량과 공중합된(copolymerized)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수득된 폴리머,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PB), 스티렌 아크릴로나이트릴(styrene acrylonitrile, SAN), 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을 포함한다.
폴리에틸렌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0.941 g/cm3 이상의 밀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됨),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0.926-0.940 g/cm3 범위의 밀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됨),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0.915-0.925 g/cm3 범위의 밀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됨),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0.910-0.940 g/cm3 범위의 밀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됨),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0.880-0.915 g/cm3 범위의 밀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열가소성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SAN, 및 EVA 를 포함한다. EVA 는 바람직하게는, 3-40% 의 비닐 아세테이트 함유량을 포함한다.
상기 액체 첨가제에 상기 고체 폴리머를 첨가한 후, 생성된 혼합물을 상기 폴리머의 용융 범위 이내의 온도 또는 그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한다. 이는 상기 첨가제와 폴리머가 단일상 시스템(single phase system)을 형성할 때까지 상기 혼합물이 블렌딩될 수 있게 한다. 단일상 시스템은 상기 첨가제와 폴리머가 균질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한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물이다. 혼합물이 단일상을 형성하는지 여부는 육안 검사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폴리머의 용융 범위는 폴리머마다 다른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폴리머-첨가제 혼합물이 가열되는 온도는 100-250°C 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230°C 의 범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225°C 의 범위이다.
대략적인 지침으로, HDPE는 일반적으로 110-140°C의 온도 범위에서, MDPE는 120-130°C의 온도 범위에서, LDPE는 100-130°C의 온도 범위에서, LLDPE는 115-140°C의 온도 범위에서, 폴리프로필렌은 130-175°C의 온도 범위에서 각각 용융되는데, 이러한 용융온도는 폴리머가 호모폴리머(homopolymer)인지, 코폴리머(copolymer)인지 여부 및 입체규칙성(tacticity)에 의존한다. 폴리스티렌은 일반적으로 150-135°C 의 온도 범위에서 용융되고, SAN 및 ABS 는 100-130°C의 온도 범위에서 용융된다.
상기 블랜드(blend)는 이어서 고체 입자를 형성하도록 성형된다. 성형은 임의의 적합한 성형 장비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속하여 과립화되는 스트랜드(strands)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냉각 벨트 상에 용융된 혼합물을 증착시킨 후, 고체화된 혼합물을 플레이크(flake)로 분쇄하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적절한 성형 장비는 패스틸레이터(pastillator)이다.
상기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수행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 분위기하에서 수행되는데, 폴리머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정에 따르면, 열가소성 폴리머 내에 첨가제를 20-90 wt% 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30-80 wt% 로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80 wt% 로 포함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0-80 wt% 로 포함하는 마스터배치가 제조된다.
상기 마스터배치는, 폴리머를 10-80 wt% 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20-70 wt% 로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0 wt% 로 포함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50 wt% 로 포함한다.
첨가제 및 열가소성 폴리머 외에도, 상기 마스터배치는 추가적인 화합물(compound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화합물은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와 함께 상기 액체 첨가제에 첨가될 수 있다.
제조된 마스터배치는 성질의 개선을 위해 첨가제를 필요로 하는 폴리머에, 상기 첨가제를 첨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성질의 예로는, 정전기로 대전되는 경향, 습한 조건하에서 그 표면상에 물방울을 형성하는 경향, 필름을 차단하는 경향, 고온 또는 햇빛 아래에서 분해되는 경향, 충전제 또는 다른 폴리머와 양립불가능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들은, 각각 대전방지제, 흐림방지제, 블로킹방지제, 도는 미끄럼방지제, UV안정제, 또는 커플링제를 상기 첨가제로서 사용하여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공정으로 제조된 마스터배치가 첨가될 수 있는 폴리머의 예는 상기 언급한 열가소성 폴리머이다.
상기 마스터배치에 존재하는 상기 폴리머는 물론, 마스터배치가 혼입되는 폴리머에서 용인될 수 있는 폴리머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폴리머는 동일하거나 동일한 유형이다.
하기 일반적인 과정에 따라 여러 가지 상이한 첨가제와 폴리머로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전체 과정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수행되었다.
상기 첨가제를 용융시켰다. 상기 용유된 첨가제를 포함하고, 6-블레이드 터빈 교반기(6-blaed turbine stirrer)가 설치된 반응기를 100°C 로 가열하였다. 교반하면서 고체 폴리머 파우더를 첨가한 후,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하고, 표1에 제시된 온도로 가열하였다.
육안 검사에 의해 상기 혼합물이 단일상인 것으로 판단되자마자, 다이(die)를 통해 반응기를 언로드(unload)하고, 스트랜드를 생성하고 이어서 과립화시켰다.
사용된 여러가지 첨가제, 폴리머, 온도에 관해서는 표1을 참조한다.
Figure 112017031884758-pct00007
비교 예시
Armostat® 300 을 용융시킨 후, 실시예 1 의 반응기로 펌핑하였다. 상기 반응기는 100 °C 로 가열되었다. 교반 하에 고체 폴리프로필렌 파우더를 첨가하였다. 24시간의 교반 후에도, 여전히 단일상 혼합물을 수득하지 못했다. 폴리머의 용융이 본 발명의 공정에 있어서, 중요하고 반드시 필요한 단계임을 보여준다.
내용물을 200 °C 로 가열한 후에, 단일상 혼합물이 수득되었다.

Claims (15)

10-80 wt% 의 열가소성 폴리머(thermoplastic polymer)중에 분산된 20-90 wt% 의 폴리머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으로서,
- 액체 형태의 첨가제를 제공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상기 첨가제를 가열하는 단계,
- 상기 액체 첨가제에 열가소성 폴리머의 고체 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 생성된 혼합물을 상기 폴리머의 용융 온도 또는 그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 고체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장비로 상기 혼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첨가제에 열가소성 폴리머의 고체 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생성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는 교반 용기에서 수행되는,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수행되는,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에서 상기 혼합물의 체류시간은 0.5시간 이상인, 제조방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류시간은 1시간 이상인,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의 고체 입자를 첨가하기 이전에, 상기 첨가제가 80 - 150℃의 온도 범위 또는 100 - 130℃의 온도 범위로 가열되는,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첨가제는 알콕실화 아민, 아마이드, 알콕실화 아마이드, 글리세롤 에스테르, 알콕실화 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알콕실화 소르비탄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첨가제는 하기의 일반식을 가지는 알콕실화 아민인, 제조방법:
Figure 112022096851300-pct00008

(상기 식에서, R1 은 11개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체인(hydrocarbon chain)이고, 선택적으로는, -OH, -O-, -(C=O)-O-, -NH-, -Si-, -S-, -P-, -SO2-, -S=O-, 또는 -SO3H 함유기로 치환되고, R2 은 수소, 에틸렌 옥사이드 체인, 프로필렌 옥사이드 체인,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또는 랜덤 코폴리머 체인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적어도 하나의 R2은 수소가 아니며, 체인당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총 개수는 1-30개 범위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첨가제는 하기의 일반식을 가지는 알콕실화 모노아마이드인, 제조방법:
Figure 112022096851300-pct00009

(상기 식에서, R1 은 11개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체인이고, 선택적으로는, -OH, -O-, -(C=O)-O-, -NH-, -Si-, -S-, -P-, -SO2-, -S=O-, 또는 -SO3H 함유기로 치환되고, R2 은 수소, 에틸렌 옥사이드 체인, 프로필렌 옥사이드 체인,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또는 랜덤 코폴리머 체인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적어도 하나의 R2 은 수소가 아니며, 체인당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총 개수는 1-30개 범위임).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첨가제는 하기의 일반식을 가지는 알콕실화 비스아마이드인, 제조방법:
Figure 112022096851300-pct00010

(상기 식에서, R2 은 수소, 에틸렌 옥사이드 체인, 프로필렌 옥사이드 체인,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또는 랜덤 코폴리머 체인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적어도 하나의 R2 은 수소가 아니며, 체인당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총 개수는 1-30개 범위이고, R3 은 2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칸디일 체인이고, 선택적으로는, -OH, -O-, =O, -S-, -SO2-, -Si-, 또는 -P- 함유기로 치환됨).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첨가제는 하기의 일반식을 가지는 알콕실화 글리세롤 에스테르인, 제조방법 :
Figure 112022096851300-pct00011

(상기 식에서, R1 은 11개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체인이고, 선택적으로는, -OH, -O-, -(C=O)-O-, -NH-, -Si-, -S-, -P-, -SO2-, -S=O-, 또는 -SO3H 함유기로 치환되고, R2 은 수소, 에틸렌 옥사이드 체인, 프로필렌 옥사이드 체인,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또는 랜덤 코폴리머 체인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적어도 하나의 R2 은 수소가 아니며, 체인당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총 개수는 1-30개 범위이고, n은 1-8 범위의 정수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첨가제는 하기의 일반식을 가지는 알콕실화 소르비탄 에스테르인, 제조방법:
Figure 112022096851300-pct00012

(상기 식에서, R1 은 11개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체인이고, 선택적으로는, -OH,-O-,-(C=O)-O-,-NH-,-Si-,-S-,-P-,-SO2-, -S=O-, 또는 -SO3H 함유기로 치환되고, R2 은 수소, 에틸렌 옥사이드 체인, 프로필렌 옥사이드 체인,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또는 랜덤 코폴리머 체인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적어도 하나의 R2 은 수소가 아니며, 체인당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총 개수는 1-30개 범위임).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배치는 50-80 wt% 의 상기 폴리머 첨가제 및 20-50 wt% 의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 및 액체 폴리머 첨가제의 혼합물을 150-250℃의 온도로 가열하는,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및 스티렌 아크릴로나이트릴로부터 선택되는, 제조방법.
삭제
KR1020177008942A 2014-09-26 2015-09-22 폴리머 첨가제의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KR102499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86591 2014-09-26
EP14186591.5 2014-09-26
PCT/EP2015/071636 WO2016046149A1 (en) 2014-09-26 2015-09-22 Process for preparing a masterbatch of polymer addit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386A KR20170066386A (ko) 2017-06-14
KR102499495B1 true KR102499495B1 (ko) 2023-02-13

Family

ID=5162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942A KR102499495B1 (ko) 2014-09-26 2015-09-22 폴리머 첨가제의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059816B2 (ko)
EP (1) EP3197939B1 (ko)
KR (1) KR102499495B1 (ko)
CN (1) CN107075130B (ko)
AR (1) AR101892A1 (ko)
BR (1) BR112017004938B1 (ko)
PL (1) PL3197939T3 (ko)
TW (1) TWI660986B (ko)
WO (1) WO2016046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065A (ko) * 2020-05-19 2023-01-26 이네오스 스티롤루션 그룹 게엠베하 스몰-셀 폴리스티렌 발포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6977A (ja) 2006-10-12 2010-03-04 サンカラ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リマー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6507A (en) 1965-11-29 1967-01-25 Shell Int Research Polymer compositions; and their manufacture
US3932323A (en) 1973-05-10 1976-01-13 Phillips Petroleum Company Selective addition of additives to solid polymer
JPS5858445B2 (ja) 1975-06-23 1983-12-26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エステルセイケイブツノセイゾウホウ
JPS51151739A (en) 1975-06-23 1976-12-27 Kuraray Co Ltd Method for mixing polymer and additives
US4137338A (en) * 1976-12-03 1979-01-30 Scm Corporation Stable fluent emulsifier concentrate containing solid phase emulsifier components
IT1084547B (it) 1977-09-30 1985-05-25 Snia Viscos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polimeri sintetici additivati.
JPS61188424A (ja) * 1985-02-15 1986-08-22 Asahi Chem Ind Co Ltd 液状添加剤含有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JPH0232363B2 (ja) 1985-04-16 1990-07-19 Unitika Ltd Yojuboshihoho
GB8621094D0 (en) 1986-09-01 1986-10-08 Ici Plc Loading of polymer additives
US5075359A (en) * 1989-10-16 1991-12-24 Ici Americas Inc. Polymer additive concentrate
JPH06239904A (ja) 1993-02-16 1994-08-30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重合用副原料の仕込方法
JP3361368B2 (ja) * 1993-10-06 2003-01-07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と添加物の混合方法および混合装置
US5516476A (en) 1994-11-08 1996-05-14 Hills, Inc, Process for making a fiber containing an additive
JPH08143860A (ja) 1994-11-22 1996-06-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蓄熱体の製造方法
DE19522475C1 (de) * 1995-06-21 1996-09-26 Byk Chemie Gmbh Verwendung rieselfähiger Additivzubereitungen in Pulverlacken
US5804625A (en) * 1996-05-21 1998-09-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uorochemical and hydrocarbon surfactant blends as hydrophilic additives to thermoplastic polymers
JPH115908A (ja) * 1997-06-17 1999-01-12 Asahi Chem Ind Co Ltd 液状添加剤含有成形材料
JPH11172009A (ja) * 1997-12-12 1999-06-29 Asahi Chem Ind Co Ltd 液状物質含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11189769A (ja) * 1997-12-26 1999-07-13 Lion Corp 帯電防止剤
US6284814B1 (en) 1998-08-31 2001-09-04 Chakra V. Gupta Method of making masterbatches of liquid additives and, in particular, antimicrobial masterbatches
GB0004044D0 (en) * 2000-02-21 2000-04-12 Borealis Polymers Oy Polymer
BRPI0410777A (pt) * 2003-05-19 2006-06-27 Polymers Australia Pty Ltd composição masterbach de poliéster
DE10357182A1 (de) * 2003-12-06 2005-06-30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m schonenden Eintragen von Additiven, Katalysatoren oder Inhibitoren in Polymerschmelzen
WO2006092605A1 (en) 2005-03-02 2006-09-08 Croda International Plc Compounds
EP2285872B1 (en) 2008-05-16 2019-07-03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Physically blown polyethylene foam
US8026188B2 (en) * 2009-06-25 2011-09-27 Techmer Pm, Llc Hydrophobic additive for use with fabric, fiber, and film
MX362770B (es) * 2012-03-13 2019-02-08 Basf Se Formulación concentrada líquida que contiene un insecticida de piripiropeno iii.
EP2660284A1 (en) 2012-05-04 2013-11-06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Electroconductive nanocomposi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6977A (ja) 2006-10-12 2010-03-04 サンカラ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リマー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101892A1 (es) 2017-01-18
PL3197939T3 (pl) 2020-09-21
TWI660986B (zh) 2019-06-01
US10059816B2 (en) 2018-08-28
US20170342222A1 (en) 2017-11-30
TW201619250A (zh) 2016-06-01
KR20170066386A (ko) 2017-06-14
EP3197939A1 (en) 2017-08-02
EP3197939B1 (en) 2020-04-22
CN107075130B (zh) 2019-06-14
BR112017004938A2 (pt) 2017-12-05
BR112017004938B1 (pt) 2022-03-03
CN107075130A (zh) 2017-08-18
WO2016046149A1 (en)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4201C (en) Stabilized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TWI532771B (zh) Resin additive masterbatch
JP2968373B2 (ja) 添加剤、充填剤または顔料の非押出し濃縮物
JP4867593B2 (ja) 亜リン酸エステ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46742B1 (ko) 폴리프로필렌의 압출 방법
US7262319B2 (en) Phenolic antioxidants in crystalline form
US4898616A (en) Aqueous additive systems, methods and polymeric particles
BRPI0716835A2 (pt) Concentrados aditivos pelotizados de alta concentração para polímero
CA1335136C (en) Aqueous additive systems, methods and polymeric particles
CN105102511A (zh) 树脂添加剂母料和配混有该树脂添加剂母料的聚烯烃树脂组合物
US4880470A (en) Aqueous additive systems, methods and polymeric particles
JP2986822B2 (ja) 水性添加剤系、方法及びポリマー粒子
KR101957075B1 (ko) 폴리프로필렌의 압출 방법
JPH05507103A (ja) 水性媒体中に分散可能な固体状添加剤系、その製造方法及びポリマー粒子へのその適用
KR102499495B1 (ko) 폴리머 첨가제의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EP0413647B1 (en) Solid-form additive systems dispersible in aqueous media,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EP1831299A2 (en) Liquid or low melting stabilizer formulations
US20220348697A1 (en) Additive containing liquid masterbatch formulations for polymer articles
CA2092952A1 (en) Dispersions of polymer additives in fatty acid esters
JPH0370755A (ja) ポリマー組成物
NO770871L (no) Ekstruderbare lavtrykks-polyetyl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