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112B1 - 열전사 시트, 및 인화물 - Google Patents

열전사 시트, 및 인화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112B1
KR102483112B1 KR1020217006054A KR20217006054A KR102483112B1 KR 102483112 B1 KR102483112 B1 KR 102483112B1 KR 1020217006054 A KR1020217006054 A KR 1020217006054A KR 20217006054 A KR20217006054 A KR 20217006054A KR 102483112 B1 KR102483112 B1 KR 102483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layer
layer
thermal transfer
transfer sheet
ethoxylated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010A (ko
Inventor
야스시 요네야마
이쿠미 와시에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14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23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compounds, e.g. w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9/00Photographic equipment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0Thermal donors, e.g. thermal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내찰과성이 매우 양호한 인화물을 제조할 수 있는 열전사 시트나, 내찰과성이 매우 양호한 인화물을 제공하는 것. 기재(1)의 한쪽 면 위에 전사층(10)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100)로서, 상기 전사층(10)은, 보호층(5)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 또는 상기 기재(1)측으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보호층(5)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보호층(5)이, 아크릴 수지 및 에톡시화 알콜을 함유하고 있다.

Description

열전사 시트, 및 인화물
본 발명은 열전사 시트, 및 인화물에 관한 것이다.
투명성이 우수하고, 중간색의 재현성이나 계조성이 높고, 종래의 풀컬러 사진 화상과 동등한 고품질 화상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승화형 열전사 방식을 이용하여 피전사체 위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피전사체 위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인화물로는,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이용되는 카드, 디지털 사진이나, 신분 증명서, 운전 면허증, 회원증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D 카드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열전사 화상은, 색재가 안료가 아니라, 비교적 저분자량의 염료이기 때문에, 상기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피전사체 위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인화물에는, 내찰과성 등의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피전사체 위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인화물에 대해서는, 열전사 화상 위에 보호층을 전사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보호층의 전사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로는, 예컨대 특허문헌 1, 2에서 제안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인화물의 사용 형태의 다양화에 따라, 사용되는 인화물에는 보다 높은 내찰과성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상기 아케이드 게임의 분야에서는, 그 게임에 있어서 보드 위에서 마찰되도록 인화물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어, 이러한 분야에서 이용되는 인화물에는 매우 높은 내찰과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62690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40404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찰과성이 매우 양호한 인화물을 제조할 수 있는 열전사 시트나, 내찰과성이 매우 양호한 인화물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전사 시트는, 기재의 한쪽 면 위에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보호층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 또는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보호층이, 아크릴 수지 및 에톡시화 알콜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에톡시화 알콜의 수평균 분자량(Mn)이 2000 이하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에톡시화 알콜의 HLB치가 12 이하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보호층의 총질량에 대한 상기 에톡시화 알콜의 함유량이 2 질량%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보호층이 폴리에틸렌 왁스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인화물은, 화상을 갖는 화상체 위에 보호층이 형성된 인화물이며, 상기 보호층이 아크릴 수지 및 에톡시화 알콜을 함유하고 있다.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내찰과성이 매우 양호한 인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인화물은 내찰과성이 매우 양호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인화물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열전사 시트>>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전사 시트(100)(이하,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라고 함)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100)는, 기재(1)와, 기재(1) 위에 형성된 전사층(10)을 구비한다. 전사층(10)은, 전사층(10)의 기재(1)측의 면에서 박리되어, 피전사체 위로 이행하는 층이다.
(기재)
기재(1)는,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100)에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전사층(10) 등을 유지한다. 기재(1)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고, 내열성이나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1)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나일론,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의 각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기재(1)의 두께는, 그 강도나 내열성이 적절해지도록, 기재(1)의 재료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2.5 μm 이상 100 μm 이하가 일반적이다.
(전사층)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1) 위에는 전사층(10)이 형성되어 있다. 전사층(10)은, 보호층(5)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거나(도 1 참조), 혹은, 기재(1)측으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보호층(5)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도 2 참조).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형태의 전사층(10)은, 기재(1)측으로부터, 보호층(5), 접착층(6)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적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형태의 전사층(10)은, 단층 구조 및 적층 구조의 쌍방을 포함하는 것이며, 보호층(5)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전사층(10)은, 도시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보호층(5)을 포함한다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면 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하는 형태에서, 보호층(5)과 접착층(6) 사이에, 보호층(5)과 접착층(6)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좋고, 보호층(5) 위에 각종 기능층을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전사층(10)을 구조하는 보호층(5)은, 피전사체 위에 전사층(10)을 전사했을 때에 최표면에 위치하는 층이다. 따라서, 전사층(10)이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경우, 보호층(5)은,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측으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보호층)
보호층(5)은,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아크릴 수지 및 에톡시화 알콜을 함유하고 있다. 전사층(10)을 구성하는 보호층(5)이, 아크릴 수지 및 에톡시화 알콜을 함유하고 있는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100)에 의하면, 피전사체 위에, 보호층(5)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내찰과성이 매우 양호한 인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100)에 의하면, 피전사체 위에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최표면에 보호층(5)이 위치하는 인화물을 제조할 수 있고, 이 보호층(5)에 매우 양호한 내찰과성을 부여함으로써, 인화물의 내찰과성을 매우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아크릴 수지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모노머의 중합체, 혹은 그 유도체,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모노머의 중합체, 혹은 그 유도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혹은 그 유도체,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혹은 그 유도체를 의미한다. 보호층(5)은, 아크릴 수지로서 1종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아크릴산에스테르나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모노머로는, 예컨대,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메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메틸), 에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에틸), 에틸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에틸), 부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부틸), 부틸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부틸), 라우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라우릴),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라우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모노머로는, 예컨대, 방향족 탄화수소, 아릴기 함유 화합물,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 및 염화비닐 등, 스티렌, 벤질스티렌,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모노머이어도 좋다.
또한, 아크릴 수지로서,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중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필요에 따라서 스티렌 등의 그 밖의 중합성 모노머 1종 또는 2종 이상을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아크릴폴리올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아크릴 수지 중에서도,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은, 보호층(5)의 내찰과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보호층(5)의 투명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한 아크릴 수지이다. 따라서, 보호층(5)은, 아크릴 수지로서,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5)이 함유하고 있는 아크릴 수지의 분자량은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수지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Mw)으로 25000 이상 300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27000 이상 100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5000 이상 1000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란, JIS-K-7252-1(2008)에 준거하고, GPC(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치를 의미한다. 후술하는 수평균 분자량(Mn)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보호층(5)은, 수지 성분으로서, 상기 아크릴 수지와 함께 다른 수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보호층(5)이, 아크릴 수지와 함께 다른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보호층(5)의 총질량에 대한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성분의 함유량은 50 질량%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성분의 함유량의 상한치는, 에톡시화 알콜의 함유량이나, 임의의 첨가재의 함유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성분의 함유량을, 보호층(5)의 총질량에 대하여, 50 질량%보다 많게 함으로써, 피전사체 위에 보호층(5)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을 전사했을 때의 피전사체와 전사층의 밀착성이나, 보호층의 막강도를,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성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아크릴 수지의 함유량은 50 질량%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성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아크릴 수지의 함유량을 50 질량%보다 많게 함으로써, 보호층(5)에 양호한 투명성을 부여하면서, 내찰과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보호층(5)이, 다른 수지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수지 성분으로서 아크릴 수지만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보호층(5)의 총질량에 대한 아크릴 수지의 함유량은 50 질량%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수지 성분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이들 각 수지를 실리콘 변성시킨 수지, 활성 광선 경화성 수지의 경화물, 이들 각 수지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에톡시화 알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에톡시화 알콜이란, 알콜을 에틸렌옥사이드로 에톡시화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하기 일반식(A)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R-O-(C2H4O)n-H … (일반식 A)
(식 중, R은 탄소수 10 이상 50 이하의 알킬기이다. n은 2 이상 50 이하이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이어도 좋고 분기쇄이어도 좋다.)
에톡시화 알콜은, 보호층(5)에 매우 양호한 내찰과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보호층이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지 않고 다른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보호층이 에톡시화 알콜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보호층에 매우 양호한 내찰과성을 부여할 수 없다. 또한, 보호층이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에톡시화 알콜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보호층에 매우 양호한 내찰과성을 부여할 수 없다. 즉,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100)에서는, 보호층(5)에 아크릴 수지와 에톡시화 알콜의 쌍방을 함유시킴으로써, 이들 성분의 상승 효과에 의해, 상기 보호층(5)에 매우 양호한 내찰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보호층(5)이 함유하고 있는 에톡시화 알콜의 분자량은, 수평균 분자량(Mn)으로 2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에톡시화 알콜로서, 수평균 분자량(Mn)이 2000 이하인 에톡시화 알콜을 이용함으로써, 아크릴 수지 및 에톡시화 알콜을 적당한 용매, 예컨대 메틸에틸케톤 등의 유기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하여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공액을 조제할 때에, 이 도공액을 용이하게 잉크화할 수 있고, 보호층을 형성할 때의 제조 적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점에서, 보호층(5)이 함유하고 있는 에톡시화 알콜의 HLB치는 12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호층(5)은, 에톡시화 알콜로서 1종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수평균 분자량(Mn)이나 HLB치 등이 상이한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HLB치란, 그리핀법으로 측정되는 HLB치이다.
또한, 수평균 분자량(Mn)이 500 이상 2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700 이상 2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1800 이하인 에톡시화 알콜을 함유하는 보호층(5)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조 적성의 향상과 더불어, 내찰과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HLB치가 1 이상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1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이상 12 이하인 에톡시화 알콜을 함유하는 보호층(5)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조 적성의 향상과 더불어, 내찰과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에톡시화 알콜은, 소량의 첨가로 보호층(5)에 매우 양호한 내찰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층(5)의 총질량에 대한 에톡시화 알콜의 함유량은 한정되지 않지만, 2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4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함유량으로 함유되는 에톡시화 알콜이, 수평균 분자량(Mn)이나 HLB치가 상기 범위의 에톡시화 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톡시화 알콜의 함유량의 상한은, 아크릴 수지의 함유량이나 임의의 성분의 함유량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며, 일례로는 50 질량% 이하이다.
또한, 보호층(5)은 각종 첨가재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재로는, 폴리에틸렌 왁스, 각종 실리콘 오일,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릴인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의 금속 비누류, 지방산아미드, 폴리에틸렌 왁스, 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등의 이형제,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에이트계, 트리아진계,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공지의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Ni 킬레이트계 등의 광안정제, 힌더드 페놀계, 황계, 인계, 락톤계 등의 산화 방지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왁스는, 보호층(5)에 함유시키는 아크릴 수지나 에톡시화 알콜의 설계의 자유도, 예컨대, 아크릴 수지나, 에톡시화 알콜의 물성, 및 이들의 함유량의 자유도를 높이면서도, 보호층(5)에 양호한 내찰과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한 첨가재이다. 폴리에틸렌 왁스의 함유량은, 보호층(5)의 총질량에 대하여 0.5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보호층(5)의 형성 방법에 관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 수지, 에톡시화 알콜, 필요에 따라서 이용되는 각종 수지 성분이나, 각종 첨가재를, 적당한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한 보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기재(1) 위, 혹은 기재(1) 위에 형성되는 임의의 층(예컨대, 후술하는 이형층 위)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도포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각종 도공액의 도포 방법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보호층(5)의 두께에 관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 μm 이상 8 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0.3 μm 이상 5 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층(5)의 두께를 바람직한 두께로 함으로써, 보호층의 내찰과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면서도, 보호층(5)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의 전사층(10)의 호일 분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보호층(5)은, 피전사체와의 양호한 접착성이나 박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사층(10)을 보호층(5)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로 한 경우에도, 상기 전사층(10)을 기재(1)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또한, 박리한 전사층(10)을 피전사체 위에 밀착할 수 있다. 특히, 보호층(5)이 함유하고 있는 에톡시화 알콜은, 상기 보호층(5) 위에 다른 임의의 층을 형성한 경우에, 즉, 전사층(10)을 보호층(5)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로 한 경우에, 상기 다른 임의의 층의 호일 유지성을 저하시키기 쉽다고 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10)을 보호층(5)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사층(10)을, 기재(1)측으로부터, 보호층(5), 접착층(6)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적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접착층을 갖는 성분에 관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우레탄 수지, α-올레핀-무수말레산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수지 성분을 예시할 수 있다.
접착층(6)의 두께는, 0.5 μm 이상 10 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접착층의 형성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에서 예시한 접착제나,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첨가재를, 적당한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한 접착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보호층(5) 또는 보호층(5) 위에 형성되는 임의의 층 위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형층)
기재(1)와 전사층(10) 사이에 이형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해도 좋다. 이형층의 성분으로는, 왁스류, 실리콘 왁스,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불소 수지, 불소 변성 수지, 폴리비닐알콜, 아크릴 수지, 열가교성 에폭시-아미노 수지 및 열가교성 알키드-아미노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형층의 두께는 0.5 μm 이상 5 μm 이하가 일반적이다. 이형층의 형성 방법은 한정되지 없고, 예컨대, 상기 성분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한 이형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도공액을 기재(1) 위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재(1) 위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경우, 기재(1)와 이형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재(1)의 이형층측의 면에 접착 처리를 해도 좋다. 접착 처리로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방사선 처리, 조면화 처리, 화학 약품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프라이머 처리, 그래프트화 처리 등 공지의 수지 표면 개질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처리를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색재층)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 면 위에, 상기에서 설명한 전사층(10)과 면순차로 색재층(7)을 형성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기재(1)의 한쪽 면 위에 단일 색재층(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재의 한쪽 면 위에 복수의 색재층, 예컨대,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 블랙 색재층 등을 면순차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색재층(7)과 전사층(10)을 「1 유닛」으로 했을 때에, 기재(1)의 한쪽 면 위에 「1 유닛」을 반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피전사체 위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것과, 형성된 열전사 화상 위에 전사층(10)을 전사하는 것을 하나의 열전사 시트(100)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의 색재층(7)은, 바인더 수지와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고 있다.
(색재 프라이머층)
기재(1)와 색재층(7) 사이에, 기재(1)와 색재층(7)의 밀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색재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해도 좋다. 색재 프라이머층의 두께에 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0.02 μm 이상 1 μm 이하가 일반적이다.
(배면층)
또한, 기재(1)의 다른쪽 면에 배면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해도 좋다. 배면층은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에서의 임의의 구성이다. 배면층의 두께는, 내열성 등의 향상 등의 점에서, 0.1 μm 이상 5 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0.3 μm 이상 2 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피전사체)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100)의 전사층(10)이 전사되는 피전사체로는, 예컨대, 열전사 수상 시트, 보통지, 상질지, 트레이싱 페이퍼, 플라스틱 필름, 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는 플라스틱 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피전사체로서 소정의 화상을 갖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피전사체는 착색된 것이어도 좋고 투명성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전사층의 전사 방법)
피전사체 위에 전사층을 전사하는 방법에 관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서멀헤드 등의 가열 디바이스를 갖는 열전사 프린터나, 핫스탬프, 히트롤 등의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인화물>>
다음으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인화물(이하, 본 개시의 인화물이라고 함)에 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인화물(200)은 화상체(150) 위에 보호층(5)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체)
화상체(150)는 화상(130)을 갖는다. 화상체(150)가 갖는 화상(130)에 관해서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체(150)가 갖는 화상(130)으로는, 승화형 열전사 방식, 용융형 열전사 방식, 잉크젯 인쇄 방식, 토너 인쇄 방식(레이저 인쇄 방식) 등으로 형성된 화상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외의 방법으로 형성된 화상이어도 좋다. 도 4에 도시하는 형태의 화상체(150)는, 지지체(110)와, 화상(130)이 형성된 화상층(120)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체(150)는, 화상을 갖는 화상층(120)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형태에서, 지지체(110)를 복수의 구성 부재로 이루어진 적층 구조로 해도 좋다. 지지체(110)로는, 상기 피전사체로서 설명한 것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화상층(120)의 구성은, 화상(130)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보호층)
화상체(150) 위에 형성된 보호층(5)은, 아크릴 수지 및 에톡시화 알콜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보호층(5)을 갖는 본 개시의 인화물(200)에 의하면, 인화물(200)의 내찰과성을 매우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인화물(200)을 구성하는 보호층(5)은, 상기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100)에서 설명한 보호층(5)의 각종 구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화상체(150) 위에 보호층(5)이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화상체(150)와 보호층(5) 사이에 다른 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화상체(150)와 보호층(5) 사이에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인화물(200)의 최표면에 보호층(5)이 위치하고 있지만, 보호층(5) 위에 다른 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인화물(200)의 내찰과성을 고려하면, 인화물(200)의 최표면에 보호층(5)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인화물(200)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화상체(150) 위에, 상기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100)(도 1, 도 2 참조)의 전사층(10)(보호층(5))을 전사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나, 화상체(150)와 보호층(5)(전사층(10)이어도 좋음)을 접착층(접착제나 접착 필름, 접착 시트이어도 좋음) 등으로 접합하여 제조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방법으로 제조해도 좋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 등에 관해 예시적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이들 수지는, 각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이어도 좋고, 각 수지를 구성하는 주성분의 모노머와, 하나 혹은 복수의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혹은 그 유도체이어도 좋다. 예컨대, 상기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모노머나,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모노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이들 수지의 변성물이어도 좋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예시 기재되어 있는 것 이외의 수지를 이용해도 좋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 또는 %는 질량 기준이며, 고형분으로 환산하기 전의 배합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두께 4.5 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위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1을 도포·건조하여 두께가 1 μm인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 위에, 보호층만으로 이루어진 전사층이 형성된 실시예 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1>
·아크릴 수지 94부
(다이아날(등록상표) BR-83 미쯔비시 케미컬(주))
·에톡시화 알콜(Mn : 1400, HLB치 : 10) 1부
(UNITHOX(등록상표) 750 에톡실레이트 BAKER HUGHES사)
·폴리에틸렌 왁스 5부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실시예 2)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2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2>
·아크릴 수지 85부
(다이아날(등록상표) BR-83 미쯔비시 케미컬(주))
·에톡시화 알콜(Mn : 1400, HLB치 : 10) 10부
(UNITHOX(등록상표) 750 에톡실레이트 BAKER HUGHES사)
·폴리에틸렌 왁스 5부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실시예 3)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3으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3>
·아크릴 수지 90부
(다이아날(등록상표) BR-83 미쯔비시 케미컬(주))
·에톡시화 알콜(Mn : 575, HLB치 : 4) 10부
(UNITHOX(등록상표) 420 에톡실레이트 BAKER HUGHES사)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실시예 4)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4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4>
·아크릴 수지 90부
(다이아날(등록상표) BR-83 미쯔비시 케미컬(주))
·에톡시화 알콜(Mn : 920, HLB치 : 10) 10부
(UNITHOX(등록상표) 450 에톡실레이트 BAKER HUGHES사)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실시예 5)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5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5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5>
·아크릴 수지 85부
(다이아날(등록상표) BR-80 미쯔비시 케미컬(주))
·에톡시화 알콜(Mn : 1400, HLB치 : 10) 10부
(UNITHOX(등록상표) 750 에톡실레이트 BAKER HUGHES사)
·폴리에틸렌 왁스 5부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실시예 6)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6으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6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6>
·아크릴 수지 85부
(다이아날(등록상표) BR-87 미쯔비시 케미컬(주))
·에톡시화 알콜(Mn : 1400, HLB치 : 10) 10부
(UNITHOX(등록상표) 750 에톡실레이트 BAKER HUGHES사)
·폴리에틸렌 왁스 5부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실시예 7)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7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7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7>
·아크릴 수지 95부
(다이아날(등록상표) BR-83 미쯔비시 케미컬(주))
·에톡시화 알콜(Mn : 1400, HLB치 : 10) 5부
(UNITHOX(등록상표) 750 에톡실레이트 BAKER HUGHES사)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실시예 8)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8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8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8>
·아크릴 수지 90부
(다이아날(등록상표) BR-83 미쯔비시 케미컬(주))
·에톡시화 알콜(Mn : 1400, HLB치 : 10) 10부
(UNITHOX(등록상표) 750 에톡실레이트 BAKER HUGHES사)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실시예 9)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9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9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9>
·아크릴 수지 70부
(다이아날(등록상표) BR-83 미쯔비시 케미컬(주))
·에톡시화 알콜(Mn : 1400, HLB치 : 10) 30부
(UNITHOX(등록상표) 750 에톡실레이트 BAKER HUGHES사)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기재 위에 보호층을 형성하고, 이 보호층 위에 하기 조성의 접착층용 도공액을 도포·건조하여 두께가 1 μm인 접착층을 형성하여, 기재 위에, 보호층, 접착층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전사층이 형성된 실시예 10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접착층용 도공액>
·아크릴 수지 16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4부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실시예 11)
보호층용 도공액 1을 상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5로 변경하여 두께가 0.5 μm인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2)
보호층용 도공액 1을 상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5로 변경하여 두께가 2 μm인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2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3)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10으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3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10>
·아크릴 수지(고형분 45%) 190부
(비니블란(등록상표) 2580 닛신 화학 공업(주))
·에톡시화 알콜(Mn : 2300, HLB치 : 16) 10부
(UNITHOX(등록상표) 480 에톡실레이트 BAKER HUGHES사)
·폴리에틸렌 왁스 5부
·물 350부
·이소프로필알콜 145부
(비교예 1)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A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A>
·아크릴 수지 100부
(다이아날(등록상표) BR-83 미쯔비시 케미컬(주))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비교예 2)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B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B>
·아크릴 수지 90부
(다이아날(등록상표) BR-83 미쯔비시 케미컬(주))
·폴리에틸렌 왁스 10부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비교예 3)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C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C>
·아크릴 수지 95부
(다이아날(등록상표) BR-83 미쯔비시 케미컬(주))
·탈크 5부
(미크로에이스(등록상표) P-3 일본 탈크(주))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비교예 4)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D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D>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5부
(솔바인(등록상표) CNL 닛신 화학 공업(주))
·에톡시화 알콜(Mn : 1400, HLB치 : 10) 5부
(UNITHOX(등록상표) 750 에톡실레이트 BAKER HUGHES사)
·메틸에틸케톤 250부
·톨루엔 250부
(인화물의 작성)
옐로우 염료층, 마젠타 염료층, 시안 염료층, 보호층이 이 순으로 반복하여 나란히 형성된,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DS620 다이니폰 인쇄(주))의 순정 리본의 보호층 부분을 컷트하고, 컷트한 보호층 부분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를 위치시키고, 보호층 부분에 위치시킨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를, 각각 인접하는 염료층 부분과 결합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를 준비했다. 즉, 순정 리본의 보호층 부분만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로 치환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를 준비했다. 이어서,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DS620 다이니폰 인쇄(주))와, 상기에서 준비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피전사체로서의 상기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의 순정 수상지 위에, 0/255 계조(화상 계조)의 솔리드 블랙 화상을 인화하여 화상체를 얻었다. 이어서, 상기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화상체 위에, 55/255 계조(화상 계조)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을 얻었다.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의 작성에서, 화상체 위에 전사층을 밀착성 좋게 전사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내찰과성 평가)
상기에서 얻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의 솔리드 블랙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을 3 cm 폭으로 잘라내고, JIS-L-0849(2013)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상기 인화물 위에 시험천을 개재하여 200 g의 추를 놓고, 마찰 시험기에 의해 시험천을 왕복시켜, 상기 왕복시킨 영역에서 솔리드 블랙 화상이 깎이기 시작했을 때의 왕복 횟수를 구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내찰과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마찰 시험기 II형(학진형)으로는, 마찰 시험기(마찰 시험기 FR-II 스가 시험기(주))를 이용하고, 시험천은 카나킨 3호(JIS-L-0803(2011))를 이용했다.
「평가 기준」
S : 왕복 횟수 3500회에서 전사층의 손상을 확인할 수 없다.
A : 왕복 횟수 2750회 이상 3500회 미만에서 전사층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다.
B : 왕복 횟수 2250회 이상 2750회 미만에서 전사층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다.
C : 왕복 횟수 1500회 이상 2250회 미만에서 전사층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다.
D : 왕복 횟수 700회 이상 1500회 미만에서 전사층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다.
NG : 왕복 횟수 1회 이상 700회 미만에서 전사층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다.
(가공 적성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를 손으로 쥐었을 때의 상태를 확인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가공 적성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 열전사 시트로부터 전사층이 박리되지 않는다.
B : 열전사 시트로부터 전사층이 박리된다.
[표 1]
Figure 112021023545286-pct00001
1 : 기재
5 : 보호층
6 : 접착층
7 : 색재층
10 : 전사층
100 : 열전사 시트
110 : 지지체
120 : 화상층
150 : 화상체
200 : 인화물

Claims (6)

  1. 기재의 한쪽 면 위에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보호층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 또는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보호층이, 아크릴 수지, 에톡시화 알콜, 및 폴리에틸렌 왁스를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에톡시화 알콜의 수평균 분자량(Mn)이 500 이상 2000 이하인 것인 열전사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톡시화 알콜의 HLB치가 1 이상 12 이하인 것인 열전사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총 질량에 대한 상기 에톡시화 알콜의 함유량이 2 질량% 이상인 것인 열전사 시트.
  4. 기재의 한쪽 면 위에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보호층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 또는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보호층이, 아크릴 수지, 에톡시화 알콜, 및 폴리에틸렌 왁스를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에톡시화 알콜의 HLB치가 1 이상 12 이하인 것인 열전사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총 질량에 대한 상기 에톡시화 알콜의 함유량이 2 질량% 이상인 것인 열전사 시트.
  6. 화상을 갖는 화상체 위에,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전사층이 전사된 인화물.
KR1020217006054A 2018-09-28 2019-09-26 열전사 시트, 및 인화물 KR102483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85350 2018-09-28
JPJP-P-2018-185350 2018-09-28
PCT/JP2019/037822 WO2020067272A1 (ja) 2018-09-28 2019-09-26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010A KR20210041010A (ko) 2021-04-14
KR102483112B1 true KR102483112B1 (ko) 2022-12-29

Family

ID=6995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054A KR102483112B1 (ko) 2018-09-28 2019-09-26 열전사 시트, 및 인화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32674A1 (ko)
JP (1) JP6680429B1 (ko)
KR (1) KR102483112B1 (ko)
CN (1) CN112437726B (ko)
TW (1) TWI822867B (ko)
WO (1) WO202006727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1459A (ja) * 2010-10-28 2012-05-17 Dainippon Printing Co Ltd 中間転写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051A (ja) * 1991-11-18 1993-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転写記録方法、熱転写シートおよび熱転写記録装置
US6123990A (en) * 1998-05-26 2000-09-26 Henkel Corporation Anti-static lubric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2240404A (ja) 2001-02-19 2002-08-28 Dainippon Printing Co Ltd 保護層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
JP4192242B2 (ja) 2004-03-19 2008-12-10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保護層転写シート
JP4319964B2 (ja) * 2004-10-25 2009-08-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2007237438A (ja) * 2006-03-06 2007-09-20 General Technology Kk 熱転写受像シート
JP2009132142A (ja) * 2007-10-31 2009-06-18 Jsr Corp 金属パターン形成用転写フィルムおよび金属パターン形成方法
JP5139051B2 (ja) * 2007-12-26 2013-02-06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101793884B1 (ko) * 2010-08-31 2017-11-0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중간 전사 매체
JP2014139269A (ja) * 2013-01-21 2014-07-31 Toyo Ink Sc Holdings Co Ltd 水性難燃撥水剤
CN103770492B (zh) * 2014-01-14 2015-05-20 汕头市龙湖昌丰化工有限公司 转移膜及转移镀铝纸的制作方法
US9889694B2 (en) * 2014-03-27 2018-02-13 Dai Nippon Printing Co., Ltd. Support for thermal transfer image-receiving sheet, thermal transfer image-receiving sheet, and producing method therefor
JP6481572B2 (ja) * 2014-09-30 2019-03-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転写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1459A (ja) * 2010-10-28 2012-05-17 Dainippon Printing Co Ltd 中間転写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067272A1 (ja) 2021-02-15
CN112437726A (zh) 2021-03-02
US20220032674A1 (en) 2022-02-03
WO2020067272A1 (ja) 2020-04-02
KR20210041010A (ko) 2021-04-14
TWI822867B (zh) 2023-11-21
TW202031503A (zh) 2020-09-01
JP6680429B1 (ja) 2020-04-15
CN112437726B (zh)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1765B2 (en)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and combination of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and thermal transfer sheet
JP2008213199A (ja) 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容器、容器の製造方法
JP2001105747A (ja) 熱転写染料受像シート及び受容層転写シート
KR20180104750A (ko) 열전사 시트, 및 전사박과 열전사 시트의 조합
JP5516805B2 (ja) 中間転写媒体
JP5370517B2 (ja) 中間転写媒体
JP5904247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
KR102483112B1 (ko) 열전사 시트, 및 인화물
WO2013129415A1 (ja) 中間転写媒体
JP2017052124A (ja) 転写箔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JP6917017B2 (ja) 熱転写シート
JP6024513B2 (ja) 中間転写媒体
JP2014065271A (ja) 熱転写箔
JP7098905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
JP5794084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
JP5370518B2 (ja) 中間転写媒体
JP5003563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2013180447A (ja) 中間転写媒体
JP4840316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
WO2019187869A1 (ja) 保護層転写シート
JP6770699B2 (ja) 中間転写媒体上に透明な凸形状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印画物の形成方法
JP2014065166A (ja) 転写シート
JP2013169716A (ja) 画像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熱転写シート
JP2020147013A (ja) 熱転写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中間転写媒体及びこれらの組合せ
JP2006327069A (ja) 転写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