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178B1 - 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178B1
KR102480178B1 KR1020217003462A KR20217003462A KR102480178B1 KR 102480178 B1 KR102480178 B1 KR 102480178B1 KR 1020217003462 A KR1020217003462 A KR 1020217003462A KR 20217003462 A KR20217003462 A KR 20217003462A KR 102480178 B1 KR102480178 B1 KR 10248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everage supply
nozzle
unit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660A (ko
Inventor
겐야 나가요시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47J31/20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immersible, e.g. rotatabl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분쇄된 원료와 뜨거운 물이 투입됨으로써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기(37)와, 추출기(37)로 추출된 음료를, 음료 공급부(22)를 향하는 양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노즐(45)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라인(38)을 구비하고, 음료 공급부(22)에 배치된 용기(C)에 대하여, 노즐(45)로부터 음료를 토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음료 공급 라인(38)과 접속된 상태의 노즐(45)이 음료 공급부(22)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노즐 검출부(25)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기에 대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추출기, 노즐 및 음료 공급 라인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추출기는, 장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분쇄된 원료와 뜨거운 물로 음료를 추출하는 것이다. 노즐은, 장치 본체의 전방 부분에 구성된 음료 공급부를 향하는 양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음료 공급 라인은, 복수의 배관을 접속하여 구성된 것으로, 추출기로 추출된 음료를 노즐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추출기로 추출된 음료가 음료 공급 라인을 통해 노즐까지 공급되고,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용기에 대하여 상기 노즐로부터 음료를 토출하여 공급할 수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90238호 공보
전술한 특허문헌 1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각부(各部)의 청소 작업이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 작업에 있어서는, 노즐도 부착 부위로부터 해체과 더불어, 음료 공급 라인과의 접속도 해제되어 세정된다.
그러나, 세정 후의 노즐이 음료 공급 라인과의 접속이 불충분한 상태에서 음료 공급부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되는 경우가 있어, 추출기로 추출된 음료가 노즐까지 공급되지 않고 새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노즐과 음료 공급 라인과의 접속에 기인한 음료의 누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분쇄된 원료와 뜨거운 물이 투입됨으로써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기와, 상기 추출기로 추출된 음료를, 음료 공급부를 향하는 양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노즐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용기에 대하여, 상기 노즐로부터 음료를 토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음료 공급 라인과 접속된 상태의 상기 노즐이 상기 음료 공급부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는, 직방체형의 본체 캐비닛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양태로 상기 본체 캐비닛에 설치된 전면 도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전면 도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음료 공급 라인에 설치된 조인트 부재의 차광부에 의해 차광된 경우에, 상기 노즐이 상기 음료 공급부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음료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음료와 함께 공급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기 음료 공급부의 외부에 마련된 배출로를 향하는 양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 수단이, 음료 공급 라인과 접속된 상태의 노즐이 음료 공급부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된 것을 검출하기 때문에, 노즐이 음료 공급 라인과의 접속이 불충분한 상태에서 음료 공급부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되는 것이 회피되어, 노즐과 음료 공급 라인과의 접속에 기인한 음료의 누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의 각 구성 요소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 캐비닛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면 도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원료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원료 상자 및 그 주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분쇄기 및 그 주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원료 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실린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실린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실린더의 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실린더의 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 블록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필터 블록 및 그 주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필터 블록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2에 도시된 필터 블록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수용 상자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2에 도시된 노즐의 부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2에 도시된 노즐의 부착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노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노즐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3에 도시된 팬 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팬 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팬 박스의 레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판매 제어부에 의한 음료의 공급 절차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6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판매 제어부에 의한 음료의 공급 절차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7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판매 제어부에 의한 음료의 공급 절차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8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판매 제어부에 의한 음료의 공급 절차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9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판매 제어부에 의한 음료의 공급 절차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0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판매 제어부에 의한 음료의 공급 절차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1은 도 2에 도시된 설정 제어부가 실시하는 페이퍼 필터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각 구성 요소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으로서, 예컨대 커피 원두 그라인딩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를 행하여, 예컨대 컵 등의 용기(C)에 커피 등의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1)는, 본체 캐비닛(10) 및 전면 도어(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 캐비닛(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개구(이하, 전면 개구라고도 함)(11)를 가진 대략 직방체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료(예컨대 커피)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30) 및 제어부(제어 수단)(60)가 마련되어 있다.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면 개구(11)를 폐색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도어체이다. 이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방측의 좌측 연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축부의 중심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본체 캐비닛(10)의 전면 개구(11)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면 도어(20)는, 전면이 접객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1), 음료 공급부(22), 개폐 도어(23)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21)는, 예컨대 액정 터치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6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각종 정보를 표시함과 더불어, 터치 조작 등의 입력 조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표시부(21)는, 터치 조작 등의 입력 조작이 행해진 경우, 판매 신호를 제어부(60)에 송출하는 것이다.
음료 공급부(22)는, 표시부(21)의 하방측에 마련되어 있고, 스테이지(22a)를 갖고 있다. 스테이지(22a)는, 용기(C)를 배치시키는 것으로, 원호형의 스토퍼(22b)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도어(23)는, 예컨대 투명한 수지 등의 투광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c)를 덮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 개폐 도어(23)는, 좌측 단부가 전면 도어(20)에 피봇 지지되어 있고,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것이다. 즉, 개폐 도어(23)는, 음료 공급부(22)에 근접 이격되는 양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며, 음료 공급부(22)에 근접하는 양태로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c)를 폐쇄시킬 수 있고, 음료 공급부(22)로부터 이격되는 양태로 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c)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음료 생성부(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음료 생성부(30)는, 원료 상자(31), 분쇄기(33), 급탕 수단(35), 추출기(37), 수용 상자(39), 가압 공기 공급 라인(41), 배수 라인(43) 및 노즐(4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원료 상자(31)는, 음료 원료인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는 것으로, 일부가 본체 캐비닛(10)의 상판부(12)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원료 상자(31)는, 도 5 및 도 6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 공급 구동부(3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원료 공급 구동부(311)는, 제어부(60)로부터 구동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구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료 공급 구동부(311)는, 구동 지령에 포함되는 미리 정해진 양의 커피 원두를 불출(拂出)하는 것이다.
또한 원료 상자(31)에는, 좌우 양단부에 홈통(홈통 부재)(312)이 마련되어 있다. 홈통(312)은, 그 바닥면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이 홈통(312)은, 본체 캐비닛(10)의 상판부(12)의 간극(13), 즉 상판부(12)보다 위쪽으로 돌출되는 원료 상자(31)의 일부와, 상판부(12)의 개구 연부(12a)와의 간극(13)의 아래쪽 영역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간극(13)으로부터 진입한 액체를 수용하여 음료 생성부(30)의 외부가 되는 영역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홈통(312)에는, 복수의 리브(312a)가 부착되어 있고, 강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원료 상자(31)에는, 원료 공급 구동부(311)에 의한 커피 원두의 불출에 있어서, 커피 원두가 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판(313)이 부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커피 원두의 불출이 아래쪽을 향해 행해진다.
분쇄기(33)는, 소위 밀이라 불리는 것으로, 제어부(60)로부터 구동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구동하는 것이다. 이 분쇄기(33)는, 원료 상자(31)의 아래쪽 영역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료 상자(31)에 원료 슈트(3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원료 슈트(3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 부분에 원료 상자(31)로부터 불출된 커피 원두를 도입하는 도입구(321)가 형성되어 있고, 아래쪽 부분에 도입된 커피 원두를 투하하는 투하구(3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료 슈트(32)는, 투하구(322)가, 분쇄기(33)의 입구 부분에 연통하는 양태로 상기 분쇄기(33)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원료 슈트(32)에는, 아래쪽 부분에 판스프링(323)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판스프링(323)이 분쇄기(33)에 있어서의 입구 부분의 주연부에 접촉함으로써, 자신의 복원력으로 원료 슈트(32)를 위쪽을 향해 편향시키고 있다. 즉, 판스프링(323)은, 원료 슈트(32)와 분쇄기(33) 사이에 개재하고, 또한 원료 슈트(32)를 상기 분쇄기(33)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원료 상자(31)에 근접하는 양태로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이다.
상기 분쇄기(33)는, 구동하는 경우에, 원료 상자(31)로부터 불출됨과 더불어 원료 슈트(32)에 의해 안내된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가루 슈트(34)를 통해 분쇄한 커피 원두(이하, 커피 분쇄 원두라고도 함)를 추출기(37)에 투입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루 슈트(34)는, 수지에 의해 각 구성 요소가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급탕 수단(35)은, 추출기(37)에 뜨거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뜨거운 물 탱크(351), 정량 펌프(제1 송출부)(352), 보조 탱크(353), 급탕 펌프(제2 송출부)(354) 및 체크 밸브(355)가, 급탕 배관에 의해 구성되는 급탕 라인(356)에 순차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뜨거운 물 탱크(351)는, 도시하지 않은 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수돗물 등의 물을 히터(351a)에 의해 가열하여 뜨거운 물로서 저류하는 것이다. 정량 펌프(352)는, 제어부(6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것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뜨거운 물 탱크(351)로부터 보조 탱크(353)에 정량의 뜨거운 물을 송출하는 것이다. 보조 탱크(353)는, 뜨거운 물 탱크(351)보다 용적이 작은 것으로, 정량 펌프(352)에 의해 송출된 뜨거운 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것이다. 급탕 펌프(354)는, 제어부(6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것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보조 탱크(353)의 뜨거운 물을 가압하여 추출기(37)에 송출하는 것이다. 이 급탕 펌프(354)는, 송출량이 정량 펌프(352)의 송출량보다 커지도록 되어 있다. 체크 밸브(355)는, 급탕 펌프(354)로부터 송출된 뜨거운 물이 추출기(37)를 향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추출기(37)로부터 보조 탱크(353)를 향해 뜨거운 물이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밸브체이다. 이 체크 밸브(355)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뜨거운 물 탱크(351)에 열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추출기(37)는, 소위 브루잉 유닛이라 불리는 것으로, 분쇄기(33)로부터 가루 슈트(34)를 통해 투입된 커피 분쇄 원두와, 급탕 수단(35)에 의해 공급된 뜨거운 물로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추출기(37)에는, 음료 공급 라인(38)이 접속되어 있다. 음료 공급 라인(38)은, 단독 음료 공급 배관에 의해, 혹은 복수의 음료 공급 배관을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고, 추출기(37)로 추출된 커피를 노즐(45)까지 공급하는 것이다.
이 음료 공급 라인(38)에는, 그 중간에 제1 핀치 밸브(38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핀치 밸브(381)는, 제어부(6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개폐되는 것으로, 개방 상태가 되는 경우에,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폐쇄 상태가 되는 경우에, 유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추출기(37)는, 실린더(371), 덮개체(372) 및 필터 블록(37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추출기(37)를 구성하는 실린더(37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71)는, 대략 원통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고, 본체 캐비닛(10)[장치 본체(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실린더(371)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개구(371a) 및 하면 개구(371b)의 개구 연부에 형성된 부착 오목부(371c, 371d)에, 각각 패킹 등의 원환형의 시일재(374)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개구 연부가 시일되어 있다.
그러한 시일재(374)는, 내주면에 복수의 무단(無端)형 돌출편(374a)이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외주면의 일부에 직경 방향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37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재(374)는, 실린더(371)의 상면 개구(371a) 및 하면 개구(371b)의 개구 연부에 있어서의 부착 오목부(371c, 371d)에 형성된 걸림 구멍(371c1, 371d1)에, 걸림 돌기(374b)가 내부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상기 부착 오목부(371c, 371d)에 장착되어, 개구 연부를 시일하고 있다.
덮개체(372)는, 예컨대 모터 등의 구동 기구(372a)가 제어부(6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실린더(371)의 상면 개구(371a)에 대하여 근접 이격되는 양태로 이동하는 것으로, 실린더(371)의 상면 개구(371a)를 개폐하는 것이다. 이 덮개체(372)에는, 도면에 명시하지 않지만, 가루 슈트(34)를 통해 공급된 커피 분쇄 원두가 실린더(371)에 투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구멍이나, 급탕 수단(35)에 의해 공급된 뜨거운 물이 실린더(371)에 투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 블록(373)은, 실린더(371)의 아래쪽 영역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료 공급 라인(38)에 접속되어 있다. 이 필터 블록(373)은, 제어부(6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모터(373a)가 구동함으로써, 실린더(371)에 근접 이격되는 양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 블록(373)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캐비닛(10)에 부착된 필터 수납부(47)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필터 블록(373)은, 장치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필터 수납부(47)는, 페이퍼 필터(PF)를 감는 필터롤(FR)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수납하는 것이다. 이 필터 수납부(47)에는, 회전 검출부(471)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검출부(471)는, 예컨대 인코더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필터롤(FR)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이다. 이 회전 검출부(471)는, 필터롤(FR)의 회전을 검출한 경우에, 제어부(60)에 대하여 회전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 블록(373)의 후단부에는 홈부(373b)가 형성되어 있고, 필터 수납부(47)에 형성된 돌출부(472)가 홈부(373b)에 삽입되어 장치 본체(1)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 블록(373)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퍼 롤러부(375), 제1 커터부(376) 및 제2 커터부(377)가 설치되어 있다.
페이퍼 롤러부(375)는, 필터롤(FR)로부터 인출되고, 가이드 롤러(GR)에 의해 안내된 페이퍼 필터(PF)를 협지하는 것이다. 이 페이퍼 롤러부(375)는, 제어부(60)로부터 동작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회전하는 것이다.
제1 커터부(376)는, 페이퍼 롤러(75)의 하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페이퍼 필터(PF)를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1 커터부(376)는, 페이퍼 필터(PF)를 절단하기 위한 칼날부(376a)가 하단 연부에 설치되어 있고,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이다.
제2 커터부(377)는, 페이퍼 롤러부(375)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페이퍼필터(PF)를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2 커터부(377)는, 페이퍼 필터(PF)를 절단하기 위한 칼날부(377a)가 상단 연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그러한 필터 블록(373)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롤(FR)로부터 인출된 페이퍼 필터(PF)가, 파선(가)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371)와 필터 블록(373) 사이를 통과하는 양태로 미리 정해진 경로에 세팅된 경우에는, 페이퍼 롤러(375)의 회전에 의해 필터롤(FR)로부터 페이퍼 필터(PF)를 조출하는 것이다. 즉, 페이퍼 롤러부(375)가 필터롤(FR)로부터 페이퍼 필터(PF)를 조출하는 조출 동작을 허용하고 있다.
한편, 필터롤(FR)로부터 인출된 페이퍼 필터(PF)가, 일점쇄선(나) 및 이점쇄선(다)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경로에 세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아진다. 즉, 일점쇄선(나)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팅된 경우에는, 홈부(373b)에 삽입되는 돌출부(472)에 의해 페이퍼 필터(PF)의 변위를 규제하는 결과, 페이퍼 롤러(375)가 회전하여도 필터롤(FR)로부터 페이퍼 필터(PF)가 조출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이점쇄선(다)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팅된 경우에는, 페이퍼 롤러(375)의 회전에 의해 페이퍼 필터(PF)가 제2 커터부(377)에 의해 절단되어, 필터롤(FR)로부터 페이퍼 필터(PF)가 조출되는 것이 규제된다.
즉, 필터 블록(373)은, 장치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페이퍼 필터(PF)가 미리 정해진 경로에 세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페이퍼 필터(PF)의 조출을 규제하는 것이다.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수용 상자(39)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수용 상자(39)는, 추출기(37)의 아래쪽 영역에 설치되어 있고, 추출기(37)에 의한 음료의 추출에 의해 생긴 추출 찌꺼기를 페이퍼 필터(PF)와 함께 수용하는 것이다. 이 수용 상자(39)는, 칸막이 부재(391)를 구비하고, 이러한 칸막이 부재(391)에 의해 추출 찌꺼기를 수용하는 영역(39a)과, 페이퍼 필터(PF)를 수용하는 영역(39b)으로 구획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압 공기 공급 라인(41)은, 복수의 가압 공기 공급 배관을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고, 일단이 덮개체(372)에 접속됨과 더불어, 타단이 음료 공급 라인(38)의 중간에 접속되어 있다. 이 가압 공기 공급 라인(41)에는, 에어 펌프(411), 제2 핀치 밸브(412) 및 제3 핀치 밸브(413)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 펌프(411)는, 제어부(6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것으로, 공기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것이다. 제2 핀치 밸브(412)는, 에어 펌프(411)보다 일단측[덮개체(372)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핀치 밸브(412)는, 제어부(6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개폐하는 것으로, 개방 상태가 되는 경우에,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폐쇄 상태가 되는 경우에, 유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것이다. 제3 핀치 밸브(413)는, 에어 펌프(411)보다 타단측[음료 공급 라인(38)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3 핀치 밸브(413)는, 제어부(6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개폐되는 것으로, 개방 상태가 되는 경우에,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폐쇄 상태가 되는 경우에, 유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것이다.
배수 라인(43)은, 단수 혹은 복수의 배수 배관을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고, 음료 공급 라인(38) 중간으로부터 분기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배수 라인(43)에는, 제4 핀치 밸브(4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4 핀치 밸브(431)는, 제어부(6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개폐하는 것으로, 개방 상태가 되는 경우에,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폐쇄 상태가 되는 경우에, 유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것이다.
노즐(45)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도어(20)에 설치된 노즐 장착부(2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이다. 이 노즐(45)은, 노즐 장착부(24)에 장착됨 으로써,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공급부(22)를 향하는 양태로 설치된다. 즉, 노즐(45)은, 음료 공급부(22)를 향하는 양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노즐(45)은, 음료 공급 라인(38)을 통해 공급된 음료를, 스테이지(22a)에 배치된 용기(C)에 대하여 토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즐(45)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451a)를 갖는 노즐 본체부(451)에 대하여, 상기 개구(451a)가 덮개부(452)에 의해 폐색되어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덮개부(452)에 형성된 관통 구멍(452a)을 연통하는 양태로 음료 공급 라인(38)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음료 공급 라인(38)의 단부에는, 조인트 부재(4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인트 부재(46)에 차광부(461)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 장착부(24)에는, 노즐 검출부(검출 수단)(25)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검출부(25)는, 소위 광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노즐 검출부(25)는, 노즐(45)에 접속된 음료 공급 라인(38)의 조인트 부재(46)의 차광부(461)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발광부에서 발생한 광이 차단된 경우에만, 온 상태가 되어, 음료 공급 라인(38)에 접속된 상태의 노즐(45)이 음료 공급부(22)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즐 검출부(25)는, 검출 결과를, 신호로서 제어부(60)에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 노즐 본체부(451)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부분에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451b)를 갖고 있고, 상기 토출구(451b)로부터 이격되는 후방 부분에, 음료와 함께 공급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451c)를 갖고 있다. 이 배출구(451c)는, 노즐(45)이 음료 공급부(22)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된 경우에,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공급부(22)의 외부가 되는 전면 도어(20)의 이면에 마련된 배출로(26)를 향하는 것이다. 이 배출로(26)는, 음료 공급부(22)의 아래쪽 영역에 형성된 배수 트레이(27)로 연통되고 있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캐비닛(10)에는, 음료 생성부(30)가 인접한 양태로 팬 박스(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팬 박스(50)는, 본체 캐비닛(10)의 내부에 있어서의 좌측 바닥부에 설치된 배기팬(F)의 작용에 의해, 음료 생성부(30)에서 생긴 증기를 흡인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 캐비닛(10)의 좌측 내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배기로(55)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팬 박스(50)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의 형태를 이루어 그 전면에 필터 개구(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 개구(51)를 통해 팬 필터(52)가 삽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팬 박스(50) 상부의 하면 및 하부의 상면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일부(53)는, 일부가 만곡된 부위가 형성됨으로써, 삽입 도중, 혹은 이탈 도중의 팬 필터(52)를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 음료 공급 장치의 각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60)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IC(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병용하여 실현하여도 좋다.
이러한 제어부(60)는, 판매 제어부(61) 및 설정 제어부(62)를 갖고 있다. 판매 제어부(61)는, 음료 생성부(30)에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다. 설정 제어부(62)는, 페이퍼 필터(PF)의 세팅이 정상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페이퍼 필터 판정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음료 공급부(22)의 스테이지(22a)에 배치된 용기(C)에 대하여, 커피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제로서, 뜨거운 물 탱크(351)에서는, 미리 정해진 온도의 뜨거운 물이 생성되어 저류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제1 핀치 밸브(381), 제2 핀치 밸브(412) 및 제4 핀치 밸브(431)가 폐쇄 상태일 때, 제3 핀치 밸브(413)가 개방 상태인 것으로 한다.
이용자에 의해 표시부(21)가 터치 조작됨으로써, 선택된 음료의 판매 신호가 부여된 제어부(60)의 판매 제어부(61)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블록(373)을 위쪽을 향해 이동시킨 후, 원료 공급 구동부(311)에 구동 지령을 부여하여 상기 음료에 대응한 양의 커피 원두를 분쇄기(33)에 불출시키고, 분쇄기(33)에 구동 지령을 부여하여 커피 원두를 분쇄시켜 추출기(37)에 투입시킨다. 그 후, 원료 공급 구동부(31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는, 용기(C)에 대한 공급량이 추출기(37)[실린더(371)]의 용적 이상인 것으로 한다.
판매 제어부(61)는, 정량 펌프(352)를 구동시켜 뜨거운 물 탱크(351)로부터 정량의 뜨거운 물을 보조 탱크(353)에 송출하면서, 급탕 펌프(354)를 구동시켜 보조 탱크(353)의 뜨거운 물을 가압하여 추출기(37)에 송출함으로써, 뜨거운 물을 추출기(37)에 투입시킨다. 그 후, 정량 펌프(352) 및 급탕 펌프(35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판매 제어부(61)는, 에어 펌프(411)를 구동시킴으로써,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공급 라인(38)의 일부를 이용하여, 실린더(371)에 가압 공기(교반용 가압 공기)를 공급하여 커피 분쇄 원두와 뜨거운 물을 교반(강제 교반)시킨다. 그 후, 에어 펌프(41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와 같이 하여 커피 분쇄 원두와 뜨거운 물을 강제 교반시킨 판매 제어부(61)는, 덮개체(37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실린더(371)의 상면 개구(371a)를 폐쇄시키고, 제3 핀치 밸브(413)를 폐쇄 상태로 하여, 제1 핀치 밸브(381) 및 제2 핀치 밸브(412)를 개방 상태로 하게 하여, 에어 펌프(411)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4 핀치 밸브(431)는 폐쇄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71)에 가압 공기(추출용 가압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커피가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가 음료 공급 라인(38)을 통해 노즐(45)까지 공급되며, 노즐(45)의 토출구(451b)로부터 용기(C)에 토출된다.
여기서 노즐(45)에는, 음료 공급 라인(38)을 통해 커피와 함께 공급되는 가압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451c)가 토출구(451b)로부터 이격되어, 또한 음료 공급부(22)의 외부에 마련된 배출로(26)를 향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 공기를 배출로(26)에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가 용기(C)에 대한 공급량이 추출기(37)[실린더(371)]의 용적 이상의 것이기 때문에, 판매 제어부(61)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45)로부터 용기(C)로 커피를 토출 중에, 정량 펌프(352)를 구동시켜 뜨거운 물 탱크(351)로부터 정량의 뜨거운 물을 보조 탱크(353)에 송출하면서, 급탕 펌프(354)를 구동시켜 보조 탱크(353)의 뜨거운 물을 가압하여 추출기(37)에 송출한다.
보조 탱크(353)에 일시적으로 저류된 뜨거운 물이 추출기(37)에 가압된 상태로 송출되고, 이러한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추출된 커피가 노즐(45)로부터 용기(C)에 토출됨으로써, 미리 정해진 양의 커피가 용기(C)에 공급되면, 판매 제어부(61)는, 정량 펌프(352), 급탕 펌프(354) 및 에어 펌프(41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개폐 도어(23)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요동시켜 음료 공급부(22)로부터 용기(C)를 꺼낼 수 있다.
그 후, 판매 제어부(61)는, 덮개체(372)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실린더(371)의 상면 개구(371a)를 개방시킴으로써, 실린더(371)의 내압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판매 제어부(61)는, 추출기(37)에 급탕 수단(35)으로부터 뜨거운 물을 공급하여 실린더(371)의 내부를 세정하고, 제4 핀치 밸브(431)를 개방 상태로 하게 하여,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라인(43)을 경유하여 추출기(37)에 남은 수분을 배출시킨다.
그와 같이 하여 수분을 배출시킨 판매 제어부(61)는, 제4 핀치 밸브(431)를 폐쇄 상태로 하게 하여,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블록(373)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판매 제어부(61)는, 페이퍼 롤러부(375)에 동작 지령을 부여하여 페이퍼 필터(PF)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조출 동작시켜, 커피 음료의 추출에 의해 생긴 추출 찌꺼기를 페이퍼 필터(PF)와 함께 수용 상자(39)에 수용시키고, 이번 커피의 공급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부(60)[판매 제어부(61)]는, 용기(C)에 대한 커피의 공급량이 추출기(37)[실린더(371)]의 용적 이상인 경우, 커피를 추출 중인 추출기(37)에 대하여 급탕 수단(35)에 의해 뜨거운 물을 첨가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정기적으로 청소 작업이나 찻잔을 음료 생성부(30)에 유통시키는 린스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청소 작업 후에 판매 신호가 부여된 경우나, 린스 작업이 행해지는 경우에, 제어부(60)의 설정 제어부(62)는, 전술한 음료의 공급이나 린스 작업 전에, 다음과 같은 페이퍼 필터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
도 31은 도 2에 도시된 설정 제어부(62)가 실시하는 페이퍼 필터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페이퍼 필터 판정 처리에 있어서 설정 제어부(62)는, 페이퍼 롤러부(375)에 대하여 동작 지령을 송출하고(단계 S101), 회전 검출부(471)로부터의 회전 신호의 입력 대기가 된다(단계 S102).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 블록(373)은, 장치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페이퍼 필터(PF)가 미리 정해진 경로에 세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페이퍼 필터(PF)의 조출을 규제하는 것이다.
그래서, 회전 검출부(471)로부터의 회전 신호를 입력한 경우(단계 S102: Yes), 설정 제어부(62)는, 페이퍼 필터(PF)의 세팅이 정상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103), 페이퍼 롤러부(375)에 동작 정지 지령을 송출하고(단계 S104), 그 후에 절차를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여도 회전 검출부(471)로부터의 회전 신호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단계 S102: No), 설정 제어부(62)는, 페이퍼 필터(PF)의 조출이 규제되어 있음으로써 필터롤(FR)이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페이퍼 필터(PF)의 세팅이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고(단계 S105), 이상이 발생한 취지를 표시부(21)에 표시시키는 표시 지령을 송출한다(단계 S106). 그리고, 설정 제어부(62)는, 페이퍼 롤러부(375)에 동작 정지 지령을 송출하고(단계 S107), 그 후에 절차를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노즐 검출부(25)가, 음료 공급 라인(38)에 접속된 상태의 노즐(45)이 음료 공급부(22)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된 것을 검출하기 때문에, 노즐(45)이 음료 공급 라인(38)과의 접속이 불충분한 상태에서 음료 공급부(22)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되는 것이 회피되어, 노즐(45)과 음료 공급 라인(38)과의 접속에 기인한 커피(음료)의 누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노즐(45)의 배출구(451c)가 토출구(451b)로부터 이격되어, 또한 음료 공급부(22)의 외부에 설치된 배출로(26)를 향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피와 함께 공급된 가압 공기를 배출로(26)에 배출할 수 있어, 용기(C)에 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C)에의 이물 혼입의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팬 박스(50)에 형성된 레일부(53)는, 삽입 도중, 혹은 이탈 도중의 팬 필터(52)를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안내하기 때문에, 팬 박스(50)의 전방 영역에 설치되는 기기의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팬 박스(50)에 대한 팬 필터(52)의 삽탈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수용 상자(39)는, 칸막이 부재(391)에 의해 추출 찌꺼기를 수용하는 영역(39a)과, 페이퍼 필터(PF)를 수용하는 영역(39b)으로 구획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추출 찌꺼기와 페이퍼 필터(PF)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원료 슈트(32)와 분쇄기(33) 사이에 개재하는 판스프링(323)이, 원료 슈트(32)를 상기 분쇄기(33)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원료 상자(31)에 근접하는 양태로 편향하기 때문에, 원료 상자(31)의 설치 높이와 분쇄기(33)의 설치 높이에 편차가 생겨도, 원료 슈트(32)를 원료 상자(31)에 압착시킬 수 있어, 원료 상자(31)와 분쇄기(33)의 연결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원료 상자(31)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홈통(312)이, 본체 캐비닛(10)의 상판부(12)의 간극(13)으로부터 진입한 액체를 수용하여 음료 생성부(30)의 외부가 되는 영역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상기 액체가 음료 생성부(30)에 적하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60)[판매 제어부(61)]가, 용기(C)에 대한 커피의 공급량이 추출기(37)[실린더(371)]의 용적 이상인 경우, 커피를 추출 중인 추출기(37)에 대하여 급탕 수단(35)에 의해 뜨거운 물을 첨가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뜨거운 물을 재차 공급하여 교반하는 것에 반해, 커피의 공급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추출기(37)를 구성하는 실린더(371)는, 상면 개구(371a) 및 하면 개구(371b)의 개구 연부가 시일재(374)에 의해 시일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덮개체로부터 시일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추출기(37)의 청소 작업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급탕 수단(35)에 있어서, 정량 펌프(352)가 뜨거운 물 탱크(351)로부터 정량의 뜨거운 물을 보조 탱크(353)에 송출하고, 급탕 펌프(354)가 보조 탱크(353)의 뜨거운 물을 가압하여 추출기(37)에 송출하기 때문에, 추출기(37)에 대하여 뜨거운 물을 가압한 상태여도 미리 정해진 양을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다.
필터 블록(373)은, 장치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페이퍼 필터(PF)가 미리 정해진 경로에 세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페이퍼 필터(PF)의 조출을 규제하는 것으로, 제어부(60)가,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페이퍼 롤러부(375)에 의해 페이퍼 필터(PF)를 조출시키고, 회전 검출부(471)가 필터롤(FR)의 회전을 검출한 경우에는 페이퍼 필터(PF)의 세팅이 정상이라고 판정하는 한편, 회전 검출부(471)가 필터롤(FR)의 회전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페이퍼 필터(PF)의 세팅이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기 때문에, 페이퍼 필터(PF)의 세팅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
필터 블록(373)을 구성하는 제1 커터부(376)가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커터부(376)에 커피 분쇄 원두 등이 퇴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검출부(25)가, 조인트 부재(46)의 차광부(461)에 의해 발광부에서 발생한 광이 차단된 경우에만, 온 상태가 되어, 음료 공급 라인(38)에 접속된 상태의 노즐(45)이 음료 공급부(22)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차광부가 노즐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조인트 부재가 설치된 음료 공급 라인의 단부가 노즐 장착부에 항상 접속되어 있고, 노즐이 노즐 장착부에 부착될 때에, 조인트 부재가 노즐에 걸어 맞춰지고, 노즐의 차광부가 검출 수단의 광을 차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검출 수단이, 음료 공급 라인과 접속된 상태의 노즐이 음료 공급부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된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면,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상자(39)가, 칸막이 부재(391)에 의해 추출 찌꺼기를 수용하는 영역(39a)과, 페이퍼 필터(PF)를 수용하는 영역(39b)으로 구획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획하는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용 상자의 내부에 페이퍼 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소형의 상자를 설치함으로써, 추출 찌꺼기를 수용하는 영역과, 페이퍼 필터를 수용하는 영역으로 구획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홈통(312)이 원료 상자(31)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홈통 부재의 설치 지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본체 캐비닛의 상판부에 매달리는 양태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급탕 수단(35)에 의한 추출기(37)에의 뜨거운 물의 공급밖에 설명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할 수도 있다. 즉, 공급하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 급탕 수단에 의한 추출기에의 뜨거운 물의 공급 속도를 변화시켜도 좋다. 이것에 의해, 원료와 뜨거운 물의 교반의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어, 추출되는 음료의 맛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급탕 수단은, 실린더의 내벽면에 접촉하는 양태로, 뜨거운 물을 선회시켜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뜨거운 물을 추출기에 투입된 원료 전체와 교반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추출기(37)에의 가압 공기의 공급밖에 설명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어 펌프에 의한 압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추출기에 공급되는 교반용 가압 공기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원료와 뜨거운 물의 교반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어, 추출되는 음료의 맛을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정량 펌프(352)가 뜨거운 물 탱크(351)로부터 정량의 뜨거운 물을 보조 탱크(353)에 송출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량 펌프에 한정되지 않고, 밸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미리 정해진 시간 계속해서 밸브를 개방 상태로 하도록 하여 정량의 뜨거운 물을 보조 탱크에 송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블록(373)의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터 블록이, 항균 재료가 적절하게 배합된 수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잡균의 번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페이퍼 필터 판정 처리에 있어서, 페이퍼 필터(PF)의 세팅이 이상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표시부(21)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를 표시시키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페이퍼 필터의 세팅이 이상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통지부에서 버저음 등의 알람을 출력시켜, 점포의 종업원 등의 작업자에게 페이퍼 필터의 세팅의 재시도를 재촉하도록 하여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터 수납부에의 필터롤의 보충을 전방에서 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후방에서 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1 : 장치 본체 10 : 본체 캐비닛
20 : 전면 도어 22 : 음료 공급부
30 : 음료 생성부 31 : 원료 상자
33 : 분쇄기 35 : 급탕 수단
37 : 추출기 39 : 수용 상자
41 : 가압 공기 공급 라인 43 : 배수 라인
45 : 노즐 50 : 팬 박스
60 : 제어부 C : 용기
FR : 필터롤 PF : 페이퍼 필터

Claims (4)

  1. 분쇄된 원료와 뜨거운 물이 투입됨으로써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기와,
    상기 추출기로 추출된 음료를, 음료 공급부를 향하는 양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노즐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라인
    을 구비하고,
    상기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용기에 대하여, 상기 노즐로부터 음료를 토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음료 공급 라인과 접속된 상태의 상기 노즐이 상기 음료 공급부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된 것만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는, 직방체형의 본체 캐비닛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양태로 상기 본체 캐비닛에 설치된 전면 도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전면 도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음료 공급 라인에 설치된 조인트 부재의 차광부에 의해 차광된 경우에, 상기 노즐이 상기 음료 공급부를 향하는 양태로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음료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음료와 함께 공급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
    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기 음료 공급부의 외부에 설치된 배출로를 향하는 양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KR1020217003462A 2018-09-14 2019-09-02 음료 공급 장치 KR102480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73067 2018-09-14
JP2018173067A JP6696545B2 (ja) 2018-09-14 2018-09-14 飲料供給装置
PCT/JP2019/034449 WO2020054482A1 (ja) 2018-09-14 2019-09-02 飲料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660A KR20210025660A (ko) 2021-03-09
KR102480178B1 true KR102480178B1 (ko) 2022-12-21

Family

ID=6977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462A KR102480178B1 (ko) 2018-09-14 2019-09-02 음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96545B2 (ko)
KR (1) KR102480178B1 (ko)
CN (1) CN112584726B (ko)
WO (1) WO20200544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332A (ja) * 2002-03-15 2003-09-24 Hoshizaki Electric Co Ltd コーヒミル装置
JP2016113188A (ja) * 2014-12-16 2016-06-23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262B2 (ja) * 1990-09-26 2000-03-06 ブイケーアイ・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飲料抽出装置
JP3050003B2 (ja) * 1993-08-11 2000-06-05 富士電機株式会社 コーヒーサーバーの飲料注出ノズル
JPH07313368A (ja) * 1994-05-30 1995-12-05 Sharp Corp 空気圧送式飲料抽出装置
JPH0969190A (ja) * 1995-08-31 1997-03-11 Sanyo Electric Co Ltd 飲料貯蔵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自動販売機
JPH09178095A (ja) * 1995-12-28 1997-07-11 Meiko Sangyo Kk ガス充填装置
JPH1048222A (ja) * 1996-08-06 1998-02-20 Aloka Co Ltd ノズルチップの装着制御機構
JP2001120438A (ja) * 1999-10-26 2001-05-08 Sanyo Electric Co Ltd 抽出器
JP2006190238A (ja) 2004-12-07 2006-07-2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抽出装置および飲料抽出方法
JP4227126B2 (ja) * 2005-08-03 2009-02-18 麒麟麦酒株式会社 飲料注出装置の洗浄システム
JP2007091232A (ja) * 2005-09-27 2007-04-12 Sanden Corp 飲料ディスペンサ
EP2071988B1 (en) * 2007-12-18 2011-03-02 Nestec S.A.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removable injection member
JP2009166052A (ja) * 2008-01-11 2009-07-30 Tdk Corp 導電性部材溶着装置
JP5450152B2 (ja) * 2010-02-19 2014-03-26 三洋電機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
JP6455233B2 (ja) * 2015-03-03 2019-01-23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CA2982166A1 (en) * 2015-04-08 2016-10-13 Bunn-O-Matic Corporation Cold brew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107592797B (zh) * 2015-05-20 2020-05-01 卡菲塔利系统股份有限公司 用于制备饮料的设备的输送单元和包括该输送单元的设备
JP6489699B2 (ja) * 2015-12-07 2019-03-27 株式会社ヰゲタ 飲料サーバ用スパウトノズルの脱落防止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332A (ja) * 2002-03-15 2003-09-24 Hoshizaki Electric Co Ltd コーヒミル装置
JP2016113188A (ja) * 2014-12-16 2016-06-23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45120A (ja) 2020-03-26
CN112584726B (zh) 2024-03-01
KR20210025660A (ko) 2021-03-09
WO2020054482A1 (ja) 2020-03-19
JP6696545B2 (ja) 2020-05-20
CN112584726A (zh)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93733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KR102480178B1 (ko) 음료 공급 장치
WO2021140769A1 (ja) 飲料供給装置
JP6635162B1 (ja) 飲料供給装置
KR102480177B1 (ko) 음료 공급 장치
WO2020054489A1 (ja) 飲料供給装置
JP6702383B2 (ja) 飲料供給装置
JP6702382B2 (ja) 飲料供給装置
JP6702381B2 (ja) 飲料供給装置
JP2022107459A (ja) 飲料供給装置
JP2020043932A (ja) 飲料供給装置
JP2020043934A (ja) 飲料供給装置
CA2782680C (en) Modular infuser with continuous filter belt
JP2020043933A (ja) 飲料供給装置
JP2021180713A (ja) 飲料供給装置
JP7485131B1 (ja) 飲料供給装置
KR102668603B1 (ko) 음료 공급 장치
JP2005073868A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3785346B2 (ja) 原料液注出装置および飲料提供装置
JP2022107389A (ja) 飲料供給装置
JP7414180B1 (ja) 飲料供給装置
JP7468561B2 (ja) 飲料供給装置
JP2023172232A (ja) 飲料供給装置
JP2021108958A (ja) 飲料供給装置
JP2021145772A (ja) 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