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805B1 - 나노파이버 시트 그리고 그 사용 방법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나노파이버 시트 그리고 그 사용 방법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805B1
KR102471805B1 KR1020227022340A KR20227022340A KR102471805B1 KR 102471805 B1 KR102471805 B1 KR 102471805B1 KR 1020227022340 A KR1020227022340 A KR 1020227022340A KR 20227022340 A KR20227022340 A KR 20227022340A KR 102471805 B1 KR102471805 B1 KR 10247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fiber
layer
sheet
membranous
nanofib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739A (ko
Inventor
스구루 이케야마
나오미 아마리
히로야 스즈키
다케히코 도조
데루유키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3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 esters (polyvinylace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2Pigment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4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containing carbon black
    • C09D11/326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containing carbon black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dispersa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Abstract

나노파이버 시트는, 나노파이버의 퇴적체로 이루어지는 나노파이버층을 갖는다. 나노파이버 시트는, 나노파이버 사이에 걸친 막상 영역을 복수 갖는다. 나노파이버 시트가 갖는 막상 영역은 수불용성 폴리머 및 안료를 포함한다. 나노파이버 시트가 갖는 막상 영역에 포함되는 수불용성 폴리머는 나노파이버의 구성 재료와 상이하다. 섬유를 개재하여 이웃하는 복수의 상기 막상 영역의 집합체인 막상 집합 영역을 복수 갖고, 이웃하는 막상 집합 영역과 막상 집합 영역 사이에 비막상 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나노파이버 시트 그리고 그 사용 방법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나노파이버 시트 그리고 그 사용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파이버 시트를 인간의 피부에 첩부하여, 붉은기나 주근깨 등의 색 불균일을 은폐하거나, 모공이나 잔주름 등의 피부의 미세한 요철을 눈에 띄지 않게 하거나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착색 안료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의 나노파이버 시트를 갖는 메이크업용 시트상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이 시트상 화장료는, 착색 안료가 액 매체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슬러리와, 고분자 화합물의 용액을 혼합하여 분무액을 조제하고, 그 분무액을 사용하여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 나노파이버의 퇴적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된다.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3/142852호 명세서
본 발명은, 나노파이버의 퇴적체를 구비한 나노파이버층을 갖는 나노파이버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는, 상기 나노파이버 사이에 걸친 막상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는, 상기 막상 영역을 복수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상 영역은 수불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상 영역은 안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불용성 폴리머는 상기 나노파이버의 구성 재료와는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용 방법은,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를 대상물에 첩부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용 방법은,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 또는 상기 대상물에 액체를 입히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전계 방사법에 의해 나노파이버의 퇴적체로 이루어지는 나노파이버층을 형성하는, 나노파이버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불용성 폴리머 및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를 사용한 잉크젯 인쇄법에 의해 상기 나노파이버층에 인쇄를 실시하여, 착색 영역을 그 나노파이버층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불용성 폴리머는 상기 나노파이버의 구성 재료와는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 영역의 색은 상기 나노파이버의 퇴적체의 바탕색과는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청구의 범위 및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a) 내지 (c) 는 각각 막상 영역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d) 는 막상 집합 영역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a) 는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진 촬영 이미지이고, 도 2(b) 는 실시예 2 에서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진 촬영 이미지이고, 도 2(c) 는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진 촬영 이미지이고, 도 2(d) 는 비교예 1 에서 얻어진 부직포의 사진 촬영 이미지이다.
도 3(a) 는 도 2(a) 의 주요부 확대 현미경 이미지이고, 도 3(b) 는 도 2(b) 의 주요부 확대 현미경 이미지이고, 도 3(c) 은 도 2(c) 의 주요부 확대 현미경 이미지이고, 도 3(d) 는 도 2(d) 의 주요부 확대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4 는 도 3(a) 의 주요부 확대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5 는 실시예 5 에서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진 촬영 이미지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치의 상한값 혹은 하한값 또는 상하한값이 규정되어 있는 경우, 상한값 및 하한값 그 자체의 값도 포함된다. 또 특별히 명시가 없어도, 수치의 상한값 이하 혹은 하한값 이상 또는 상하한값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모든 수치 또는 수치 범위가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a」및「an」등은,「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의미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개시 및 이하의 개시에 비추어 보면,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형태나 개변 형태가 가능한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기초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명기되어 있지 않은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및 이하의 특허문헌의 기재 내용은, 그들의 모든 내용이 본 명세서의 내용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본원은, 2019년 12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9-231573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출원이고, 일본 특허출원 2019-231573호의 기재 내용은, 그 모두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시트상 화장료는, 착색 안료에 의해 소정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므로, 피부에 첩부했을 때의 피부와의 외관상의 일체감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일렉트로스피닝법의 원리상, 복수색으로 착색된 나노파이버 시트나 농담색으로 착색된 나노파이버 시트를 제조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 어느 특정한 영역만을 착색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색된 나노파이버 시트의 개량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착색 부위의 발색이 양호한 나노파이버에 관한 것이고, 및 그와 같은 나노파이버 시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나노파이버 시트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는, 나노파이버층을 갖는다.
나노파이버 시트는, 나노파이버층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나노파이버층과, 나노파이버층 이외의 다른 층의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층으로는, 섬유층, 접착제층 및 필름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을 들 수 있다.
나노파이버층은 나노파이버의 퇴적체를 구비한다. 나노파이버란, 그 굵기를 원 상당 직경으로 나타낸 경우, 일반적으로 10 ㎚ 이상 3000 ㎚ 이하의 섬유를 말한다. 나노파이버의 굵기는, 예를 들어 주사형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해, 섬유를 10000 배로 확대하여 관찰하고, 그 이차원 화상으로부터 결함 (예를 들어, 섬유의 덩어리, 섬유의 교차 부분 및 폴리머 액적) 을 제외한 섬유를 임의로 10 개 선출하고, 섬유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선을 그어 섬유 직경을 직접 판독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나노파이버층은, 나노파이버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나노파이버의 제조상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나노파이버보다 굵은 섬유, 나노파이버의 덩어리, 폴리머의 액적의 응고물 등이, 나노파이버층에 미량 포함되는 것은 허용된다.
또, 나노파이버층을 구성하는 나노파이버는, 그 나노파이버를 구성하는 원료 (예를 들어 실리콘유 등의 유성 성분) 의 블리드 아웃에 의해, 그 표면에 그 원료의 일부가 존재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와 같은 형태의 나노파이버도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에 포함된다.
나노파이버층에 있어서는, 나노파이버가 랜덤하게 퇴적되어 있다. 그 결과, 나노파이버층은 다공체로 되어 있다. 따라서 나노파이버층은 통기성 또는 통액성을 갖고 있다.
나노파이버층은 그 두께가 50 ㎛ 이하인 것이 현실적이다. 특히, 시트를 피부에 첩부했을 때, 시트가 피부에 추종하는 관점, 이로써 피부에 첩부해도 붙어 있는 감각이 적다는 관점에서, 상기의 두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점을 한층 현저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나노파이버층은 그 두께가 3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한편, 나노파이버층은 그 두께가 1 ㎛ 이상인 것이 현실적이다. 특히, 기재층과 나노파이버층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재층을 나노파이버층으로부터 박리하기 쉬운 관점에서, 상기의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점을 한층 현저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나노파이버층은 그 두께가 3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이상을 종합하면, 나노파이버층은 그 두께가 1 ㎛ 이상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상 3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 ㎛ 이상 20 ㎛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나노파이버층의 두께란,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를 구성하는 나노파이버층 중, 후술하는 막상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나노파이버층의 두께를 말한다. 나노파이버층의 두께는, 접촉식의 막후계〔주식회사 미츠토요 제조 라이트매틱 VL-50A (R 5 ㎜ 초경구면 측정자)〕를 사용함으로써 측정된다. 측정시에 측정 대상에 가하는 하중은 0.01 Pa 로 한다.
나노파이버층은 그 평량이 8 g/㎡ 이하인 것이 현실적이다. 특히, 나노파이버층에 액체를 입히는 경우에는, 액체가 입혀졌을 때에 나노파이버층이 투명화되기 쉬워, 나노파이버층에 형성된 후술하는 착색 영역이 시각적으로 한층 선명해지는 관점에서, 상기의 평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점을 한층 현저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나노파이버층은 그 평량이 6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 g/㎡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한편, 나노파이버층은 그 평량이 0.01 g/㎡ 이상인 것이, 막상 영역에 후술하는 착색료를 시인하기 쉬운 정도로 담지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이점을 한층 현저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나노파이버층은 그 평량이 0.1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 g/㎡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이상을 종합하면, 나노파이버층은 그 평량이 0.01 g/㎡ 이상 8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g/㎡ 이상 6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 g/㎡ 이상 4 g/㎡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나노파이버층의 평량이란,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를 구성하는 나노파이버층 중, 후술하는 막상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나노파이버층의 평량을 말한다. 나노파이버층의 평량은, 나노파이버층으로부터 10 ㎜ × 10 ㎜ 의 측정편을 잘라내고, 그 측정편의 질량을 계량하고, 10000 을 곱함으로써 산출된다.
나노파이버는 일반적으로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다. 이 폴리머는 수용성의 것이어도 되고, 수불용성의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다란, 주성분이 폴리머이고,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나노파이버가 수용성의 것인지, 혹은 수불용성의 것인지는,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를 예를 들어 인간의 피부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메이크업용 시트상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나노파이버는 수불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간의 피부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나노파이버 시트의 용도로는, 예를 들어 메이크업용 시트상 화장료, 장식용 시트, 특수 메이크업용 시트, 보디 아트용 시트 및 피부 보호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나노파이버층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나노파이버가 랜덤하게 퇴적되어 있으므로, 나노파이버 사이에 공극이 발생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공극에 막상 영역이 존재하고 있다.
막상 영역은 수불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가 물과 접한 경우에도 막상 영역이 용해되지 않아, 그 막상 영역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막상 영역은, 그것이 물에 용해되어 소실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수불용성 폴리머에 더하여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지장받지 않는다.
막상 영역은 나노파이버의 구성 재료, 예를 들어 나노파이버를 구성하는 폴리머와 상이한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나노파이버의 구성 재료와는 상이한 폴리머」란, 측사슬의 종류, 말단기의 종류, 분자량 분포, 평균 분자량, 분기의 유무, 분기수, 가교의 유무, 가교도, 폴리머 주사슬의 모노머 유닛의 종류, 복수의 모노머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모노머 유닛의 구성 비율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폴리머를 말한다.
또한, 막상 영역을 구성하는 폴리머와 나노파이버를 구성하는 폴리머가 상이한지의 여부는, 막상 영역을 많이 포함하는 부위를 많이 모은 샘플과, 막상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부위를 모은 샘플에 대해, NMR (핵자기 공명 장치), 크로마토그래피, IR 분석 등의 공지된 기술이나 그 조합으로 측정을 실시하고, 측사슬의 종류, 말단기의 종류, 분자량 분포, 평균 분자량, 분기의 유무, 분기수, 가교의 유무, 가교도, 폴리머 주사슬의 모노머 유닛의 종류, 복수의 모노머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모노머 유닛의 구성 비율의 동정을 실시한다. 여기서, 막상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부위를 모은 샘플에 대해, 상이한 부위에 있어서 5 점 이상 측정을 실시하고, 막상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부위에 있어서의 폴리머 성분의 측정값 범위를 산출한다. 그 후, 막상 영역을 구성하는 폴리머 성분의 측정값이, 상기 막상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부위에 있어서의 폴리머 성분의 측정값 범위 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막상 영역을 구성하는 폴리머와 나노파이버를 구성하는 폴리머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막상 영역이 갖는 폴리머가「수불용성 폴리머」인지는 이하와 같이 하여 판단된다. 나노파이버 시트 중 후술하는 착색 영역을 갖는 7 ㎜ × 5 ㎜ 의 측정편을 잘라내고, 그 측정편을 마이크로스코프 등으로 확대하여 사진 촬영한다. 사진 촬영 이미지로부터 착색되어 있는 영역의 면적을 계측한다 (면적 A 로 한다). 그 후 나노파이버 시트를 25 ℃, 100 mL 의 탈이온수에 5 분 함침한 후, 탈이온수로부터 꺼낸 후에 상기 서술한 것과 동일한 사이즈로 잘라낸 측정편을 24 시간 방치함으로써 건조시킨다. 건조시킨 측정편을 마이크로스코프 등으로 확대하여 사진 촬영한다. 사진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착색되어 있는 영역의 면적을 계측한다 (면적 B 로 한다). 탈이온수로의 침지 전후에서의 면적 변화율 (침지 후의 면적 B/침지 전의 면적 A × 100) 이 20 % 이상인 경우, 막상 영역이 갖는 폴리머는 수불용성 폴리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수용성 폴리머」란 이하와 같이 하여 판단된다. 상기와 동일한 순서에 의해 측정된, 침지 전후에서의 면적 변화율 (침지 후의 면적 B/침지 전의 면적 A × 100) 이 20 % 미만인 경우, 막상 영역이 갖는 폴리머는 수용성 폴리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막상 영역이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그 막상 영역이 수불용성인지의 여부를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판단하기에 앞서, SEM-EDS 를 사용한 원소 분석에 의해 판단한다. 원소 분석의 결과, 막상 영역이 C, O, H 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그 막상 영역은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막상 영역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노파이버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A)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상 영역 (M1) 은, 2 개의 나노파이버 (F1, F2) 의 교점을 포함하고 또한 나노파이버 사이를 중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혹은 (B)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상 영역 (M2) 은, 3 개 또는 그 이상의 나노파이버 (F1, F2, F3) 에 의해 획정되는 닫힌 공극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혹은 (C) 도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상 영역 (M3) 은, 2 개의 나노파이버 (F1, F2) 사이를 중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나노파이버층을 그 두께 방향을 따라 봤을 경우, 막상 영역은, 두께 방향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막상 영역은, 나노파이버층의 일방의 면에만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나노파이버층의 양방의 면에만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혹은 나노파이버층의 두께 방향 중앙 부위에만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 막상 영역은, 나노파이버층의 일방의 면에서 타방의 면까지의 두께 방향 전역에 걸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존재 형태 중, 막상 영역이, 나노파이버층의 일방의 면에서 타방의 면까지의 두께 방향 전역에 걸쳐 존재하고 있으면, 후술하는 착색 영역이 한층 선명한 것이 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막상 영역은, 상기 서술한 (A) 내지 (C) 중 어느 형태 또는 그 이외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막상 영역은, 상기 서술한 (A) 내지 (C) 의 형태 및 그 이외의 형태에서 선택되는 2 이상의 형태를 조합한 막상 집합 영역으로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도 1(d) 참조). 막상 집합 영역이란, 복수의 상기 막상 영역이 섬유를 개재하여 이웃하여 집합체를 구성하고 있는 영역이다.
나노파이버층을 구성하는 나노파이버는 랜덤하게 퇴적되어 있으므로, 막상 영역의 형상도 랜덤이다. 한편, 막상 집합 영역의 형상은 평면에서 봤을 때에 랜덤이거나, 또는 일정할 수 있다. 복수의 막상 집합 영역이 일정한 형상인 경우, 그 막상 집합 영역은 그 형상이 평면에서 봤을 때에 예를 들어 도트상이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상 집합 영역이 나노파이버층 중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막상 집합 영역은 모두 대략 도트상의 형상을 하고 있다.
각 막상 집합 영역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복수의 막상 영역은, 그들이 간극 없이 배치되어 상기의 막상 집합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이웃하는 막상 집합 영역 사이에 간극, 즉 비막상 영역이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상기의 막상 집합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비막상 영역이 존재함으로써, 복수의 막상 집합 영역을 갖는 나노파이버층이 통기성을 갖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를 예를 들어 피부에 첩부한 경우에, 땀이 차는 것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 피부 호흡이 방해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복수의 막상 집합 영역의 크기는,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자연스러운 색채와 투명감을 갖게 하는 관점에서, 막상 집합 영역의 크기는, 평면에서 봤을 때의 평균 면적으로 나타내어 2800 ㎛2 이하인 것이, 후술하는 착색 영역을 선명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1600 ㎛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50 ㎛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막상 집합 영역의 평균 면적의 하한값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잉크젯 인쇄법으로 막상 집합 영역을 형성한 경우에는 300 ㎛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평균 면적은, 막상 집합 영역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예를 들어 주사형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해, 막상 집합 영역을 1000 배로 확대하여 관찰하고, 그 이차원 화상으로부터 임의로 5 개 지점을 선출하고, 그 원 상당 직경을 직접 판독하고, 직경으로부터 원 상당 면적을 계산하여, 그 평균을 구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이웃하는 막상 집합 영역끼리가 일부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결합되어 있지 않는 부분으로부터 원 상당 직경을 판독하고, 막상 집합 영역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을 때와 동일한 순서로 산출할 수 있다.
막상 영역에 포함되는 수불용성 폴리머는, 나노파이버를 구성하는 폴리머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막상 영역에 포함되는 수불용성 폴리머는, 나노파이버에 결착되는 바인더로서의 기능, 및 안료를 분산시키는 기능을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2 종 이상의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불용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비닐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천연계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 (PHB),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PHA),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PBS), 폴리락트산 (PLA),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PBN)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로는, 나일론, 아라미드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수지로는, 폴리사불화에틸렌 수지 (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PCTFE, CTFE), 폴리불화비닐리덴 (PVDF), 폴리불화비닐 (PVF), 퍼플루오로알콕시불소 수지 (PFA), 사불화에틸렌·육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FEP)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비닐계 수지로는, 염화비닐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염화비닐리덴 수지, 섬유 형성 후에 불용화 처리할 수 있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함으로써 섬유 형성 후에 가교 처리할 수 있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미드계 수지로는,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수지로는, 실리콘 수지, 폴리(N-프로파노일에틸렌이민) 그래프트-디메틸실록산/γ-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천연계 수지로는, 제인 (옥수수 단백질의 주요 성분), 로진, 셸락, 콜라겐, 젤라틴, 피브린 및 카세인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 막상 영역에 포함되는 폴리머로는, 에멀션의 형태로 되어 있는 입자인 것도 포함되고, 상기 서술한 폴리머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2 종 이상의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 아크릴계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의 아크릴계 모노머로는, 아크릴산, 그리고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아미드,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옥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아크릴산알킬, 아크릴산2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아미드,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옥틸, 메타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아크릴계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로는, 스티렌, 아세트산비닐, 실리콘 매크로머, 불소계 모노머, 알콕시실란 불포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에는 착색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착색 영역은, 복수의 막상 집합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막상 집합 영역이 예를 들어 도트상인 경우에는, 복수의 도트로 착색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착색 영역은, 문자, 도형 및 기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문자」란, 언어 또는 언어음을 눈에 보이는 형태로 기호화한 것을 말한다. 「도형」이란, 평면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한 덩어리로 형성한 것을 말하고, 색을 나누어 칠한 모양이나 색 농담 모양도 포함된다. 「기호」란, 문자 이외의 표시를 말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막상 집합 영역은, 나노파이버층의 바탕색과 상이한 색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막상 집합 영역이 복수 집합하여 이루어지는 착색 영역은, 나노파이버층의 바탕색과 상이한 색으로서 지각되고, 그것에 의해 문자, 도형 및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는, 착색 영역은, 이것을 거시적으로 본 경우, 나노파이버의 퇴적체의 바탕색과 상이한 색을 나타내고 있다. 「거시적으로 본다」란 예를 들어 나노파이버 시트를 현미경 등으로 확대하지 않고, 육안으로 시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노파이버의 퇴적체의 바탕색이란, 나노파이버의 퇴적체를 구성하는 나노파이버 그 자체에서 기인하여 지각되는 색을 말하고, 형성된 나노파이버의 퇴적체에 아무런 착색 가공도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 나노파이버층이 나타내는 색을 말한다. 예를 들어, 나노파이버가 합성 수지로 구성되고, 그 합성 수지가 착색료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나노파이버의 퇴적체의 바탕색은 일반적으로 백색 또는 유백색 (반투명 백색) 이다. 나노파이버가 합성 수지로 구성되고, 그 합성 수지가 착색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나노파이버의 퇴적체의 바탕색은 그 착색료에서 기인하는 색이 된다.
상기의「나노파이버의 퇴적체의 바탕색과 상이한 색」이란, 나노파이버의 퇴적체의 바탕색과, 후술하는 착색 영역의 색의 RGB 값의 차 ΔRGB 가 10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RGB 값의 차는 이하와 같이 구한다. 착색 영역의 위치 X1 의 RGB 값을 (R1, G1, B1) 로 측정하고, 나노파이버의 퇴적체의 위치 (즉 바탕색의 위치) X2 의 RGB 값을 (R2, G2, B2) 로 측정하여, 이하의 식 (1) 로부터 산출한다.
ΔRGB = √((R1 - R2)2 + (G1 - G2)2 + (B1 - B2)2) (1)
ΔRGB 의 산출에 사용하는 RGB 는 주식회사 키엔스 제조 마이크로스코프 VHX-5000 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장치를 사용하여, 배율 50 배로 확대한 화상으로부터 X1, X2 의 RGB 값을 측정한다. 조도에 따라 RGB 값은 상이하므로, 화상 보정용 컬러 차트 카스 매치 (CA010V001-1) 의 3 × 3 의 9 색으로부터 그린색을 선택하여 컬러 바운서로서 사용한다. 이 그린색이 RGB 값으로 (110, 200, 120) ∼ (190, 255, 210) 의 범위에 들어가는 조도의 조건하에서 측정한다.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는 예를 들어 메이크업 등에 사용되는 시트상 화장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색 영역의 형태에 따라 그 시트상 화장료를 다양한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착색 영역에 주목한 경우, 그 착색 영역이 복수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거나, 또는 색 농담 모양을 갖는 나노파이버 시트는, 예를 들어 피부의 포인트 메이크 또는 기미 은폐를 위한 메이크업용 시트상 화장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한편, 문자 또는 도형으로 이루어지는 착색 영역을 구비한 나노파이버 시트는, 예를 들어 페이스 페인팅이나 보디 페인팅을 위한 메이크업용 시트상 화장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착색 영역이 나타내는 색은 막상 영역에서 기인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막상 영역이 착색료를 포함함으로써, 그 막상 영역이 복수 집합하여 이루어지는 막상 집합 영역이, 그 착색료에서 기인하는 색을 나타내고, 그 막상 집합 영역이 복수 집합하여 이루어지는 착색 영역 또한, 그 착색료에서 기인하는 색을 나타낸다. 착색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막상 집합 영역, 예를 들어 도트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막상 집합 영역은, 이웃하는 막상 집합 영역끼리가 이간되어 있으면, 착색 영역을 한층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착색료로는, 예를 들어 안료, 및 염료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착색 영역의 색이 한층 선명해지는 관점이나, 착색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막상 영역이 안료를 포함함으로써, 그 안료에서 기인하는 색을 착색 영역에 부여할 수 있다.
안료란, 대상물을 착색하는 성질을 갖고 또한 물 및 기름 중 어느 것에도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착색료로서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를 액체, 특히 물로 습윤시켜도, 착색 영역이 번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안료로는, 무기 또는 유기 안료 및 분말을 들 수 있다. 유기 안료로는, 천연 착색제, 그리고 합성 모노머 착색제 및 합성 폴리머 착색제를 들 수 있다. 무기 안료로는, 예를 들어, 탤크, 카올린, 마이카, 세리사이트, 금운모,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에폭시 처리 알루미늄, 알루미늄 분말, 인산칼슘, 무수 규산, 무수 규산알루미늄, 파이로페라이트질 클레이,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버미큘라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하이디라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산화철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γ-산화철), 황토, 흑산화티탄, 저차 산화티탄, 티탄산철, 산화아연,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코발트, 산화크롬,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탄, 산화티탄졸, 산화철·이산화티탄 소결물,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수산화크롬, 티탄·이산화티탄 소결물, 티탄산코발트,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탄산칼슘, 탄산바륨, 탄산마그네슘, 텅스텐산 금속염,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 (소석고), 옥시염화비스무트, 칼라민, 로진산나트륨 처리 산화마그네슘, 불소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등)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에서 선택되는 2 종 이상의 복합화 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 피복 알루미늄 분말, 산화티탄 피복 나일론 분말 등의 유기-무기 복합화 분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각 막상 영역은 모두 동일한 종류의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요하지 않고, 막상 영역마다 포함되어 있는 안료의 종류가 상이해도 된다. 또, 각 막상 영역에 포함되는 안료의 농도는 모두 동일한 것을 요하지 않고, 막상 영역마다 포함되어 있는 안료의 농도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막상 영역에 포함되는 안료의 종류는 1 종에 한정되지 않고, 2 종 이상의 안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안료를 동정하는 경우, SEM-EDS 또는 형광 X 선 분석 등의 공지된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착색되어 있는 부분을 원소 매핑함으로써 함유 원소의 종류 및 양의 분석을 실시한다. 게다가 X 선 회절 (XRD) 분석에 의해, 착색되어 있는 부분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검출 피크 위치에 기초한 화합물의 종류의 동정, 및 측정되는 검출 피크의 강도에 기초한 각 화합물의 함유량의 분석 등의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함으로써 안료를 동정할 수 있다.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는, 막상 영역에 포함되는 착색료와, 그 막상 영역에 포함되는 수불용성 폴리머의 비율을 특정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막상 집합 영역이 복수 집합하여 이루어지는 착색 영역을 한층 선명하게 할 수 있다.
잉크 점도의 상승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막상 영역에 포함되는 수불용성 폴리머의 질량에 대한, 그 막상 영역에 포함되는 착색료의 질량의 비율 (이하, 이 비율을「착색료/폴리머 비율」이라고도 한다) 이,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유지하고, 잉크를 토출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착색료/폴리머 비율은, 5.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착색료/폴리머 비율은, 1 이상 5.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는, 나노파이버층을 구성하는 나노파이버 사이에 착색된 막상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그 막상 영역이 복수 집합하여 막상 집합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막상 집합 영역이 복수 집합하여 착색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착색 영역은, 문자, 도형 또는 기호를 구성하고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나노파이버층을 구성하는 나노파이버 자체를 착색하여 착색 영역을 형성하고 있지 않으므로, 착색 영역의 형성의 자유도가 매우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색으로 착색된 착색 영역이나, 농담색으로 착색된 착색 영역을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다. 또, 나노파이버층에 있어서의 특정한 영역에만 착색 영역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막상 영역에서 기인하는 착색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나노파이버층을 구성하는 나노파이버 자체에 착색이 실시되어 있는 것은 지장받지 않는다.
나노파이버층에 착색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나노파이버층의 둘레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또한 그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내방을 향하는 소정폭의 둘레 가장자리역에는 착색 영역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나노파이버층이, 착색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중심역과, 그 착색 영역을 둘러싸는 비착색 영역을 포함하고, 그 비착색 영역이, 나노파이버층의 둘레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또한 그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내방을 향하는 소정폭의 둘레 가장자리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나노파이버층을 구비한 나노파이버 시트를, 예를 들어 피부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시트상 화장료로서 사용하면, 나노파이버층과 피부의 경계가 시인하기 어려워지고, 나노파이버층이 마치 피부의 일부와 같이 자연스러운 느낌으로 보이므로 유리하다.
둘레 가장자리역에 착색 영역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려면, 예를 들어 전계 방사 공정과 인쇄 공정을 조합한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계 방사 공정에 있어서, 노즐이 평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기구를 갖는 전계 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둘레 가장자리역과 중심역을 갖는 나노파이버층을 제조하고, 노즐의 이동 궤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둘레 가장자리역의 위치 데이터, 및 중심역의 위치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 후, 인쇄 공정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심역 상에만 인쇄함으로써, 둘레 가장자리역에 착색 영역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노파이버층에 막상 영역, 나아가서는 착색 영역을 형성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의 검토의 결과, 막상 영역의 형성에 잉크젯 인쇄법을 채용하면, 막상 영역을 한층 순조롭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잉크젯 인쇄법이란, 잉크를 매우 미소한 액적으로 하여, 기록 매체에 대해 그 액적을 직접 분사하는 방식의 인쇄법이다.
잉크젯 인쇄법을 채용하여 막상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불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수불용성 폴리머는 나노파이버의 구성 재료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수불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막상 영역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잉크는 2 종 이상의 수불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수불용성 폴리머는 잉크의 매체 중에 용해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에멀션의 형태와 같이, 미립자의 상태로 분산되어 있어도 된다. 잉크에는 착색료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착색료로서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안료를 포함하는 막상 영역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수불용성 폴리머 및 착색료를 포함하는 잉크를 사용하여, 나노파이버층에 대해 잉크젯 인쇄를 실시함으로써, 나노파이버의 퇴적체와 상이한 착색 영역을 그 나노파이버층에 형성할 수 있다. 잉크젯 인쇄법에는, 피에조 소자의 변형을 이용하여 잉크를 액적화하는 피에조법, 및 가열에 의해 잉크에 기포를 발생시켜 그 잉크를 분사하는 서멀법이 대표적인 인쇄 방식으로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느 인쇄 방식도 사용할 수 있다.
잉크젯 인쇄법에 의해 잉크를 토출하여 나노파이버층에 분사함으로써, 잉크의 액적이 나노파이버층의 구성 섬유에 부착되고, 도 1(a) 내지 도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 사이를 중개하도록 막상 영역이 형성된다.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유지하고, 잉크를 토출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잉크에 포함되는 수불용성 폴리머의 농도는 0.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잉크 점도의 상승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잉크에 포함되는 수불용성 폴리머의 농도는 8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잉크에 포함되는 수불용성 폴리머의 농도는 0.5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4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원하는 착색을 실현하기 위한 농도를 구비하는 관점, 바꾸어 말하면, 예정하고 있던 색보다 색이 연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잉크에 포함되는 착색료의 농도는 2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안료가 잉크 중에 분산되기 쉬운 관점에서, 잉크에 포함되는 착색료의 농도는 8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잉크에 포함되는 착색료의 농도는 2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질량% 이상 7.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잉크의 매체는 물이어도 되고, 유기 용매여도 되고, 혹은 양자의 혼합액이어도 된다. 잉크의 매체는, 나노파이버의 용해성을 갖지 않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한 매체로는, 예를 들어 탈이온수 등을 들 수 있다. 나노파이버의 용해성을 갖지 않는 물질을 잉크의 매체로서 사용함으로써, 막상 영역에 있어서 나노파이버는 섬유의 형태가 유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노즐의 막힘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잉크의 매체는, 물이거나, 또는 물 및 수용성 유기 용매의 혼합액인 것이 바람직하고, 물과 20 ℃ 에서 액체인 폴리올의 조합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잉크의 매체가 물 및 수용성 유기 용매의 혼합액인 경우, 잉크에 있어서의 물의 농도는 3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나노파이버가 수불용성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에는, 막상 영역과 나노파이버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7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잉크의 매체가 물 및 수용성 유기 용매의 혼합액인 경우, 잉크에 있어서의 물의 농도는, 다른 성분과의 밸런스로부터 9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유기 용매로서 에탄올 및 아세톤에서 선택되는 휘발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잉크젯 인쇄에 있어서의 노즐의 막힘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그 휘발성 유기 용매의 비율은, 물에 대해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술한 잉크에 포함되는 폴리올로는,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잉크에 포함되는 폴리올의 농도는, 나노파이버가 수불용성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에는, 나노파이버층에 있어서의 인쇄의 정착성의 관점에서, 잉크 중 20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8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잉크의 토출구에 있어서의 건조를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잉크 중에 폴리올을 5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나노파이버층의 퇴적체 중에서 최대의 질량% 를 차지하는 성분을 말한다.
이상의 잉크를 사용하여, 잉크젯 인쇄법에 의해 나노파이버층에 인쇄를 실시함으로써 그 나노파이버층에 막상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나노파이버층은, 그것을 구성하는 나노파이버의 섬유간 거리가 짧은 점에서 높은 모관력을 갖는다. 따라서, 나노파이버층에 분사된 잉크의 액적은 나노파이버 사이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한 확산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잉크의 뒤배임이 방지되고, 또 나노파이버층의 일면에서 타면까지의 두께 방향 전역에 걸쳐 막상 영역이 형성된다.
나노파이버층에 인쇄를 실시한 후, 그 나노파이버층을 부가적인 공정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각종 인쇄법에 의해 나노파이버층에 인쇄를 실시한 후에, 그 나노파이버층에 있어서의 인쇄면 상에 커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층은, 인쇄된 나노파이버층을 보호할 목적에서 형성된다. 혹은 커버층은,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에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할 목적에서 형성된다.
이들 목적을 위해, 커버층은 나노파이버층일 수 있다. 커버층이 나노파이버층임으로써, 인쇄된 나노파이버층이 커버층에 의해 보호된다.
커버층은 접착제층일 수도 있다. 커버층이 접착제층임으로써,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에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커버층이 나노파이버층인 경우, 그 나노파이버층의 형성에는, 예를 들어 전계 방사법 및 멜트 블론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파이버 시트는, 막상 영역을 갖는 제 1 나노파이버층과, 막상 영역을 갖지 않는 제 2 나노파이버층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 나노파이버층은 제 1 나노파이버층에 있어서의 인쇄면 상에 전계 방사법에 의해 나노파이버를 퇴적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재층을 형성하고, 그 기재층의 일면에 전계 방사법에 의해 나노파이버를 퇴적시켜 나노파이버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이란 나노파이버 시트의 보형성을 유지 가능한 층으로서, 단일의 층이어도 되고, 다층이어도 된다.
기재층의 일면에 나노파이버층을 퇴적시키고, 거기에 추가로 제 2 나노파이버층을 퇴적시키는 경우, 최초의 나노파이버층, 요컨대 제 1 나노파이버층은, 기재층이 위치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막상 영역을 갖지 않는 제 2 나노파이버층을 구비한다. 이 다층 구조의 나노파이버 시트는, 제 1 나노파이버층이 대상물의 표면에 맞닿도록 그 표면에 첩부해도 되고, 혹은 제 2 나노파이버층이 대상물의 표면에 맞닿도록 그 표면에 첩부해도 된다.
커버층이 접착제층인 경우, 그 접착제층의 형성에는, 예를 들어 전계 방사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층 형성을 위한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나노파이버층의 용매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 형성을 위한 용액에 있어서의 용매와 접착제의 조합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과 아크릴계 비수용성 아니온 수지의 조합, 에탄올과 아크릴계 비수용성 논이온 수지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층을 전계 방사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그 방사 조건은, 나노파이버층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잉크젯 인쇄법에 의해 막상 영역이 형성되는 나노파이버층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나노파이버의 제조 기술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계 방사법이나 멜트 블론법에 의해 나노파이버의 퇴적체로 이루어지는 나노파이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전계 방사법에서는, 원료액을 토출하기 위한 노즐과, 노즐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위치에 대향하여 설치된 포집용 전극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한 상태하에 원료액을 토출한다. 노즐로부터 토출된 원료액은, 쿨롱력으로 연신되면서 냉각 고화됨으로써, 보다 세경의 섬유가 형성되는 것이다.
멜트 블론법에서는 방사 노즐로부터 토출된 용융 수지를, 가열한 기체에 수반시킴으로써, 용융 수지를 섬유상으로 잡아 늘여, 포집 네트 상에 퇴적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계 방사법 및 멜트 블론법 중 어느 방법도 사용할 수 있지만, 한층 세경의 섬유를 한층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관점에서, 전계 방사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계 방사법에 의해 나노파이버층을 형성하는 경우, 포집 네트 상에 나노파이버를 퇴적시켜도 되고, 혹은 기재층의 일면에 나노파이버를 퇴적시켜 나노파이버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기재층으로는, 합성 수지 필름이나 나노파이버층 이외의 섬유층을 사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섬유층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으로서 섬유층을 사용하는 경우, 그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직경은 나노파이버의 영역보다 굵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섬유층의 평균 섬유 직경은 나노파이버층의 평균 섬유 직경보다 굵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는, 나노파이버층의 일면에 기재층을 구비하는 것이 된다. 이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는, 기재층으로부터 나노파이버층이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나노파이버층을 대상물의 표면에 첩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나노파이버층의 첩부 방법은, 나노파이버 시트를 대상물에 첩부하는 공정과, 나노파이버 시트 또는 대상물에 액체를 입히는 공정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나노파이버층을, 첩부 대상물의 표면에 맞닿게 하고, 그 표면과 나노파이버층을 융합시킨다. 이 경우, 첩부 대상물의 표면에 액체를 입히고 그 표면을 습윤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나노파이버층을 기재층으로부터 박리하여, 나노파이버층을 첩부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시킴과 함께, 기재층을 제거한다. 첩부 대상물의 표면에 고정된 나노파이버층은 투명화되어, 그 나노파이버층에 형성된 착색 영역이 시각적으로 선명한 것이 된다.
이들 일련의 조작에 의해, 나노파이버층을 대상물의 표면에 용이하게 첩부할 수 있다. 첩부된 나노파이버층으로부터의 착색료의 이행은 일어나기 어렵다. 게다가 첩부된 나노파이버층은 가벼운 힘으로는 박리되지 않고 또한 간단히 벗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의 다른 사용 방법으로서, 첩부 대상물에 액체를 입혀 습윤시키고, 그 대상물에 있어서의 그 액체를 입힌 부위에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를 첩부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나노파이버층을 첩부 대상물에 대향시킨다.
또 다른 사용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에 액체를 입혀 습윤시키고, 그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그 액체를 입힌 면이 첩부 대상물에 대향하도록, 그 나노파이버 시트를 그 대상물에 첩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나노파이버층을 첩부 대상물에 대향시킨다.
추가로 또 다른 사용 방법으로서, 첩부 대상물에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를 첩부한 후, 나노파이버 시트에 액체를 입혀 습윤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나노파이버층을 첩부 대상물에 대향시킨다.
액체로는, 물이나,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의 혼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혼합액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화장액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상의 각종 방법에 의해, 나노파이버층이 한층 투명화되고, 수불용성인 막상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착색 영역을 시각적으로 한층 선명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막상 영역은 수불용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또한 안료를 포함하고 있으면, 액체, 특히 물과 접촉해도 착색 영역이 번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첩부 대상물로는, 예를 들어 인간의 피부, 손톱, 혹은, 벽, 식기, 가지나 잎 등의 식물 표면 등의 요철이 있는 대상물의 표면 등을 들 수 있다.
나노파이버 시트가, 상기 서술한 커버층과 나노파이버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인 경우에는, 기재층을, 막상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나노파이버층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재층의 일면에 나노파이버층을 형성하고, 그 나노파이버층에 인쇄를 실시하여 막상 영역을 형성한 후에, 나노파이버층 상에 커버층을 형성하면 된다.
이 형태의 나노파이버 시트는, 커버층을 첩부 대상물의 표면에 맞닿게 한 후에, 나노파이버층과 기재층을 박리함으로써, 커버층 및 나노파이버층을 대상물의 표면에 첩부할 수 있다.
첩부 상태에 있어서는, 막상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나노파이버층과, 대상물의 표면이 커버층에 의해 가로막혀 있으므로, 막상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착색료가 대상물의 표면으로 이행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이 이점은 대상물이 인간의 피부인 경우에 안전성의 관점에서 한층 유리한 것이 된다.
기재층은, 커버층측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기재층의 일면에 커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커버층 상에 나노파이버층을 형성한 후에, 나노파이버층에 인쇄를 실시하여 그 나노파이버층에 막상 영역을 형성하면 된다.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 나노파이버를 구성하는 수불용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비닐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천연계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PET,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PHB, PHA, PBS, PLA, PBN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로는, 나일론, 아라미드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수지로는, PTFE, PCTFE, CTFE, PVDF, PVF, PFA, FEP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비닐계 수지로는, 염화비닐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염화비닐리덴 수지, 섬유 형성 후에 불용화 처리할 수 있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함으로써 섬유 형성 후에 가교 처리할 수 있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미드계 수지로는,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수지로는, 실리콘 수지, 폴리(N-프로파노일에틸렌이민) 그래프트-디메틸실록산/γ-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천연계 수지로는, 제인 (옥수수 단백질의 주요 성분), 로진, 셸락, 콜라겐, 젤라틴, 피브린 및 카세인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들 수불용성 폴리머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안정적으로 나노파이버층을 형성하기 쉬운 관점에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바람직하다.
한편, 나노파이버를 구성하는 수용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분자나 합성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천연 고분자로는, 풀루란,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 황산, 폴리-γ-글루탐산, 변성 콘 스타치, β-글루칸, 글루코 올리고당, 헤파린, 케라토황산 등의 무코 다당, 셀룰로오스, 펙틴, 자일란, 리그닌, 글루코만난, 갈락투론, 사일리움씨드검, 타마린드 종자 검, 아라비아검, 트라간트검, 대두 수용성 다당, 알긴산, 카라기난, 라미나란, 한천 (아가로오스), 후코이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합성 고분자로는, 아크릴산계 폴리머, 비닐계 폴리머, 에틸렌글리콜계 폴리머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아크릴산계 폴리머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비닐계 폴리머로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하지 않는 경우), 저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에틸렌글리콜계 폴리머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수용성 폴리머로는 수용성 나일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용성 폴리머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미용의 목적에서 인간의 피부에 첩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름이나 기미 등을 갖는 피부의 부위에 그들의 영역보다 넓혀서 첩부된다. 이와 같은 사용 방법에 의해, 피부에 존재하는 주름이나 기미 등을 은폐하는 것이 가능해져, 피부를 겉보기에 좋게 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를 주름 또는 기미의 은폐용의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이외에,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 시트를, 예를 들어 특수 메이크업용 시트 및 보디 아트용 시트 등으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는「질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1) 나노파이버층의 제조
기재층으로서, 아사히 화성 주식회사 제조의 부직포인「벰리제 (등록상표) SE103」을 사용하였다. 이 기재층의 일면에 전계 방사법에 의해 나노파이버층을 형성하였다. 전계 방사법에 제공하는 원료액으로서, 폴리비닐부티랄 12 %, 1,3-부탄디올 6.8 %, 에탄올 81.2 % 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전계 방사법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인가 전압 : 30 ㎸
·캐필러리-컬렉터간 거리 : 150 ㎜
·용액 토출량 : 3 mL/h
·환경 : 23 ℃, 습도 : 40 % RH
상기의 조건에서 평균 섬유 직경 700 ㎚, 평량 3.2 g/㎡ 의 나노파이버층을 기재층 상에 형성하였다. 얻어진 나노파이버층의 바탕색은 백색이었다.
(2) 잉크젯 인쇄
나노파이버층의 표면에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인쇄를 실시하였다. 잉크젯 프린터로서 주식회사 리코 제조의「핸디 프린터」(상품명) 를 사용하여, 나노파이버층에 마젠타색의 알파벳 문자를 인쇄하였다. 잉크로서, 이하의 표 1 의 잉크 1 의 조성 (질량%) 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동 표 중, 안료의 농도가, 잉크에 포함되는 착색제의 농도에 상당한다. 또, 동 표 중, 모든 폴리머의 농도의 합계량이, 잉크에 포함되는 수불용성 폴리머의 농도에 상당한다.
인쇄 후의 나노파이버층에 있어서의 착색료/폴리머 비율은 2.3 이었다. 또한, 표 1 에 표시된 각 성분의 함유량은 유효량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나노파이버층의 두께는 15 ㎛ 이고, 평량은 3.2 g/㎡ 였다.
〔실시예 2〕
잉크로서 표 1 의 잉크 2 의 조성을 사용하여, 나노파이버층에 시안색의 알파벳 문자를 인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1) 나노파이버층의 제조와 (2) 잉크젯 인쇄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잉크로서 표 1 의 잉크 3 의 조성을 사용하여, 나노파이버층에 옐로색의 알파벳 문자를 인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1) 나노파이버층의 제조와 (2) 잉크젯 인쇄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서 인쇄한 나노파이버층을 대신하여, 아사히 화성 주식회사 제조의 부직포인「벰리제 (등록상표) SE103」에 인쇄하였다. 이 부직포는 큐프라 100 % 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평균 섬유 직경은 15 ㎛ 였다. 이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이 부직포에 알파벳 문자를 인쇄하였다.
〔평가 1〕
실시예 1, 2 및 3 그리고 비교예 1 의 인쇄의 상태를 사진 촬영한 것을 도 2(a), (b), (c) 및 (d) 에 나타낸다. 또, 그들의 인쇄의 상태를 관찰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중, 착색 영역의 RGB 값 및 바탕색의 RGB 값은, 모두 조도 200 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도 2(a) 내지 (c) 와 도 2(d) 의 대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2 및 3 쪽이, 비교예 1 보다 알파벳 문자가 선명하게 인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착색 부위의 발색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인쇄된 알파벳 문자의 확대 이미지를 도 2(a), (b), (c) 및 (d)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2 및 3 에서는, 도트 형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막상 집합 영역으로 형성된 착색 영역을 갖고, 복수의 그 착색 영역으로 문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막상 집합 영역 사이에 인쇄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막상 집합 영역의 평균 면적을 상기 서술한 평균 면적의 산술 순서에 의해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에서는 1332 ㎛2, 실시예 2 에서는 1232 ㎛2, 실시예 3 에서는 1294 ㎛2 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에서는, 잉크에 번짐이 발생하고 있어, 도트상의 인자 부분이 관찰되지 않았다.
도 2(a) 의 확대 이미지를 도 3 에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막상 집합 영역은, 복수의 막상 영역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에 있어서 나노파이버층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일방의 표면에서 타방의 표면까지의 두께 방향 전역에 걸쳐 막상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22068137115-pct00008
Figure 112022068137115-pct00009
〔실시예 4〕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를, 인간의 피부에 첩부하였다.
먼저 피부를 물로 습윤시켰다. 이어서,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나노파이버층을 습윤시킨 피부에 맞닿게 하였다. 나노파이버층과 피부가 융합되면, 나노파이버층과 기재층을 박리하여, 나노파이버층을 피부 상에 고정시켰다. 나노파이버층은 투명화되어 있어, 나노파이버층에 인쇄된 알파벳 문자는 명료하게 시인되었다. 그 후, 나노파이버층 상에 화장액 (상품명 : 라이즈 로션 II (산뜻함), 카오 주식회사 제조) 을 적하하였다. 이로써 나노파이버층은 한층 투명화되어, 알파벳 문자는 한층 선명하게 시인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를, 인간의 피부에 첩부하였다.
먼저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나노파이버층을 물로 습윤시켰다. 이어서,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나노파이버층을, 습윤시킨 피부에 맞닿게 하였다. 나노파이버층과 피부가 융합되면, 나노파이버층과 기재층을 박리하여, 나노파이버층을 피부 상에 고정시켰다. 나노파이버층은 투명화되어 있어, 나노파이버층에 인쇄된 알파벳 문자는 명료하게 시인되었다. 그 후, 나노파이버층 상에 실시예 4 와 동일한 화장액을 적하하였다. 이로써 나노파이버층은 한층 투명화되어, 알파벳 문자는 한층 선명하게 시인되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를, 인간의 피부에 첩부하였다.
먼저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나노파이버층을 피부에 맞닿게 하였다. 나노파이버층과 기재층을 박리하여, 나노파이버층을 피부 상에 고정시켰다. 이어서, 나노파이버층을 물로 습윤시켰다. 나노파이버층은 투명화되어 있어, 나노파이버층에 인쇄된 알파벳 문자는 명료하게 시인되었다. 그 후, 나노파이버층 상에 실시예 4 와 동일한 화장액을 적하하였다. 이로써 나노파이버층은 한층 투명화되어, 알파벳 문자는 한층 선명하게 시인되었다.
〔실시예 7〕
나노파이버층에 3.8 ㎜ × 3.2 ㎜ 의 도형 ("■") 을 인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1) 나노파이버층의 제조와, (2) 잉크젯 인쇄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의 인쇄의 상태를 사진 촬영한 것을 도 5 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를, 인간의 피부에 첩부하였다.
먼저 피부를 물로 습윤시켰다. 이어서,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나노파이버층을 습윤시킨 피부에 맞닿게 하였다. 나노파이버층과 피부가 융합되면, 나노파이버층과 기재층을 박리하여, 나노파이버층을 피부 상에 고정시켰다. 나노파이버층은 투명화되어 있어, 나노파이버층에 인쇄된 도형은 명료하게 시인되었다. 그 후, 나노파이버층 상에 화장액 (상품명 : 라이즈 로션 II (산뜻함), 카오 주식회사 제조) 을 적하하였다. 이로써 나노파이버층은 한층 투명화되어, 도형은 한층 선명하게 시인되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 에서 얻어진 부직포를, 인간의 피부에 첩부하였다.
먼저 피부를 물로 습윤시켰다. 이어서, 부직포를 피부에 맞닿게 하였다. 부직포는 투명화되지 않아, 부직포에 인쇄된 알파벳 문자는 불명료한 그대로였다. 그 후, 부직포 상에 화장액 (상품명 : 라이즈 로션 II (산뜻함), 카오 주식회사 제조) 을 적하하였지만, 부직포는 투명화되지 않아, 알파벳 문자는 불명료한 그대로였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탈이온수로의 침지 전후에서의 막상 영역의 면적 변화율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90 % 이상이었다. 또, 표 1 에 기재된 잉크 1 내지 3 을 대신하여 수용성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를 실시한 결과,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탈이온수로의 침지 전후에서의 막상 영역의 면적 변화율은 0 % 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노파이버 시트에 있어서의 착색 부위의 발색이 양호한 나노파이버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그와 같은 나노파이버 시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38)

  1. 나노파이버의 퇴적체를 구비한 나노파이버층을 갖는 나노파이버 시트로서,
    상기 나노파이버 사이에 걸친 막상 영역을 복수 갖고,
    상기 막상 영역은 수불용성 폴리머 및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수불용성 폴리머는 상기 나노파이버의 구성 재료와는 상이하고,
    상기 나노파이버는, 그 굵기를 원 상당 직경으로 나타낸 경우, 10 ㎚ 이상 3000 ㎚ 이하이고,
    상기 나노파이버층의 두께가 1 ㎛ 이상 50 ㎛ 이하이고,
    상기 나노파이버층의 평량이 0.01 g/㎡ 이상 8 g/㎡ 이하이고,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파이버층은 상기 막상 영역 이외가 투명하고, 상기 막상 영역이 착색되어 있는, 나노파이버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파이버가, 수용성 폴리머 또는 수불용성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는, 나노파이버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의 평면에서 봤을 때에, 섬유를 개재하여 이웃하는 복수의 상기 막상 영역의 집합체인 막상 집합 영역을 복수 갖고,
    이웃하는 상기 막상 집합 영역과 상기 막상 집합 영역의 사이에 비막상 영역을 구비하는, 나노파이버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파이버층이 다공체인, 나노파이버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파이버의 퇴적체는 그 바탕색이 백색 또는 유백색인, 나노파이버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파이버층과, 그 나노파이버층 이외의 다른 층의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는, 나노파이버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파이버층의 일면에 기재층을 구비하는, 나노파이버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상 화장료인, 나노파이버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를 대상물에 첩부하는 공정과,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 또는 상기 대상물에 액체를 입히는 공정을 갖는,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용 방법.
  10. 나노파이버의 퇴적체를 구비한 나노파이버층을 갖고,
    상기 나노파이버 사이에 걸쳐 잉크젯 인쇄법으로 형성된 막상 영역을 복수 갖고,
    상기 막상 영역은 수불용성 폴리머 및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수불용성 폴리머는 상기 나노파이버의 구성 재료와는 상이한,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를 대상물에 첩부하는 공정과,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 또는 상기 대상물에 액체를 입히는 공정을 갖는,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용 방법.
  11. 나노파이버의 퇴적체를 구비한 나노파이버층을 갖는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는,
    상기 나노파이버 사이에 걸친 막상 영역을 복수 갖고,
    상기 막상 영역은 수불용성 폴리머 및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수불용성 폴리머는 상기 나노파이버의 구성 재료와는 상이하고,
    상기 나노파이버는, 그 굵기를 원 상당 직경으로 나타낸 경우, 10 ㎚ 이상 3000 ㎚ 이하이고,
    상기 나노파이버층의 두께가 1 ㎛ 이상 50 ㎛ 이하이고,
    상기 나노파이버층의 평량이 0.01 g/㎡ 이상 8 g/㎡ 이하이고,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를 대상물에 첩부하는 공정과,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 또는 상기 대상물에 액체를 입히는 공정을 갖는,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용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에 상기 액체를 입히고, 그 대상물에 있어서의 그 액체를 입힌 부위에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를 첩부하는,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용 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에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를 첩부하고,
    상기 나노파이버 시트에 상기 액체를 입히는,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용 방법.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나노파이버 시트가 액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나노파이버층이 투명해지는, 나노파이버 시트의 사용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나노파이버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계 방사법에 의해 나노파이버의 퇴적체로 이루어지는 나노파이버층을 형성하고,
    수불용성 폴리머 및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를 사용한 잉크젯 인쇄법에 의해 상기 나노파이버층에 인쇄를 실시하여, 착색 영역을 그 나노파이버층에 형성하고,
    상기 수불용성 폴리머는 상기 나노파이버의 구성 재료와는 상이하고,
    상기 착색 영역의 색은 상기 나노파이버의 퇴적체의 바탕색과는 상이한, 나노파이버 시트의 제조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227022340A 2019-12-23 2020-12-22 나노파이버 시트 그리고 그 사용 방법 및 그 제조 방법 KR102471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31573 2019-12-23
JPJP-P-2019-231573 2019-12-23
PCT/JP2020/047982 WO2021132249A1 (ja) 2019-12-23 2020-12-22 ナノファイバシート並びにその使用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739A KR20220101739A (ko) 2022-07-19
KR102471805B1 true KR102471805B1 (ko) 2022-11-28

Family

ID=7654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340A KR102471805B1 (ko) 2019-12-23 2020-12-22 나노파이버 시트 그리고 그 사용 방법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33405A1 (ko)
EP (1) EP4083292A4 (ko)
JP (1) JP7045442B2 (ko)
KR (1) KR102471805B1 (ko)
CN (1) CN114901883B (ko)
TW (1) TWI801787B (ko)
WO (1) WO2021132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1659B (zh) * 2021-07-02 2022-06-14 南通大学 一种纳米纤维膜孔隙结构调控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6550A (ja) 2011-12-28 2013-07-11 Kao Corp 肌貼付用ナノファイバ積層体
WO2019009002A1 (ja) 2017-07-03 2019-0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化粧料インク、これを含む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インク、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化粧用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167640A (ja) 2018-03-22 2019-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合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1620A1 (ja) * 2007-09-05 2009-03-12 Taiyokagaku Co., Ltd. 水溶性電界紡糸シート
JP5563817B2 (ja) * 2008-12-26 2014-07-30 花王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シートの付着方法
JP2011173851A (ja) * 2010-02-25 2011-09-08 Kazki International:Kk 美容用貼付材
WO2012002390A1 (ja) 2010-06-29 2012-01-05 花王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積層シート
JP5514014B2 (ja) * 2010-06-30 2014-06-04 花王株式会社 メイクアップ用シート状化粧料
JP2013230653A (ja) * 2012-05-02 2013-11-14 Ricoh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被記録媒体
JP6043570B2 (ja) * 2012-10-03 2016-12-14 紀伊産業株式会社 シート状化粧料およびその製法
JP6444075B2 (ja) 2014-06-30 2018-12-26 株式会社キコーコーポレーション 貼付剤
KR102142839B1 (ko) * 2017-04-19 2020-08-10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피부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CN108578752A (zh) * 2018-04-26 2018-09-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敷料及其基膜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6550A (ja) 2011-12-28 2013-07-11 Kao Corp 肌貼付用ナノファイバ積層体
WO2019009002A1 (ja) 2017-07-03 2019-0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化粧料インク、これを含む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インク、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化粧用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167640A (ja) 2018-03-22 2019-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合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3292A1 (en) 2022-11-02
JP7045442B2 (ja) 2022-03-31
KR20220101739A (ko) 2022-07-19
US20230033405A1 (en) 2023-02-02
WO2021132249A1 (ja) 2021-07-01
TW202140883A (zh) 2021-11-01
EP4083292A4 (en) 2023-12-27
TWI801787B (zh) 2023-05-11
CN114901883B (zh) 2023-09-15
CN114901883A (zh) 2022-08-12
JP2021098693A (ja)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805B1 (ko) 나노파이버 시트 그리고 그 사용 방법 및 그 제조 방법
CN103906820B (zh) 自粘型膜及最小化或消除此种膜中的印刷缺陷的方法
US7753680B2 (en) Water-discoloring drawing toy and water-discoloring drawing toy set including the same
JP6606502B2 (ja) 絵画の複製物の製造方法
EP0512114B1 (en) Sheet for recording
JP2003048280A (ja) 防汚性プリン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169373B (zh) 复合颗粒,其生产方法及其用途
KR20220100058A (ko) 착색 부직포의 제조 방법
JP2019081257A (ja) マイクロ流路シート
JP6181761B2 (ja) 水性のカラー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印刷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21774B1 (ko)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이용한 다목적 잉크젯 출력소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9137327A1 (zh) 液液印刷方法
JP5369025B2 (ja) 展示用不織布
JPS61237682A (ja) 被記録材
CN109868044A (zh) 一种打印介质保护层及其制备方法
JP2015208903A (ja) 潜像印刷物
JPS62152779A (ja) 被記録材
JP2019137022A (ja) 印刷物
KR102622517B1 (ko) 착색 부직포
JP6702791B2 (ja) 隠蔽ラベル用シート及び隠蔽ラベル
JP6702774B2 (ja) 隠蔽ラベル
TW592841B (en) Method of making image receptive coating for oily inks by utilizing gravure coating
JP6638404B2 (ja) スクラッチシート
JP2017121767A (ja) 多層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67902A (ja) 無機固化層上に顔料が固定された意匠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