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113B1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113B1
KR102464113B1 KR1020200016731A KR20200016731A KR102464113B1 KR 102464113 B1 KR102464113 B1 KR 102464113B1 KR 1020200016731 A KR1020200016731 A KR 1020200016731A KR 20200016731 A KR20200016731 A KR 20200016731A KR 102464113 B1 KR102464113 B1 KR 102464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information
manufacturer
produc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934A (ko
Inventor
히로미치 도지시
마사키 시타라
게이지 야마시타
노조미 가네코
나오키 야마무로
슌스케 다니모리
šœ스케 다니모리
료이치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4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system universality, reconfigurability, modulari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9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ensuring the processing of the whole working su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05D1/025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extracting 3D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images taken from different locations, e.g. stereo vi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0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assemb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9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 G05B19/4189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using automatic guided vehicles [AG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 accordance with safety or protection criteria, e.g. avoiding hazardous are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3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speed control of the vehic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5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a rada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59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7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satellite positioning signals, e.g. G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60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means for production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운행 지령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행하는 이동체(10)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30)는, 물품을 제작하는 의뢰를 유저로부터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물품의 제작자를 특정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물건을 특정하는 것과, 특정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취득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10)가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상기 이동체(10)의 운행 지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3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자율 주행하는 이동체에 의한 하물의 배송 방법을 지정하였을 때, 자율 주행하는 이동체에 의한 배송의 가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24676 참조).
물품을 제작하는 경우에, 물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물건을 공장 등에 1개소에 모으면, 그 물건을 보관할 장소가 필요하거나, 그 물건을 모으기 위해 비용이 들거나 하였다. 또한, 소정의 물품을 제작할 때,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미리 목적지로서 설정된 제작상 필요한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차량을 자율 주행시켜 물품을 제작하는 것이 상정되지만, 미리 설정된 목적지에 제작 가능한 물품이 제약을 받거나, 제작할 물품을 변경할 때마다 어쩔 수 없이 목적지의 설정 변경을 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자율 주행하는 이동체를 이용하여 물품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운행 지령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행하는 이동체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물품을 제작하는 의뢰를 유저로부터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의 제작자를 특정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물건을 특정하는 것과, 특정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특정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취득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상기 이동체의 운행 지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상기 제작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상기 물건으로서, 상기 물품을 구성하는 부품을 특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 중, 동일한 부품을 복수의 소재지로부터 공급 가능한 경우, 소정의 룰에 따라서 상기 동일한 부품 중 하나의 부품을 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상기 물건으로서,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도구를 특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상기 운행 지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할 때,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의 조합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유저가 선택할 조합을 상기 유저에게 문의하고, 상기 유저가 선택하는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로부터 취득한 의뢰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에 상기 유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물건에 상기 유저가 제공하는 물건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할 때,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의 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수 없음을, 상기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운행 지령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행하는 이동체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물품을 제작하는 의뢰를 유저로부터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의 제작자 및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물건을 특정하는 것과, 특정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특정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취득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상기 이동체의 운행 지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작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제작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상기 물건으로서, 상기 물품을 구성하는 부품을 특정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부품 중, 동일한 부품을 복수의 소재지로부터 공급 가능한 경우, 소정의 룰에 따라서 상기 동일한 부품 중 하나의 부품을 선정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상기 물건으로서,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도구를 특정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할 때,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의 조합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유저가 선택할 조합을 상기 유저에 문의하고, 상기 유저가 선택하는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상기 운행 지령을 생성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유저로부터 취득한 의뢰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에 상기 유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물건에 상기 유저가 제공하는 물건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할 때,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의 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수 없음을, 상기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이하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능은, 물품을 제작하는 의뢰를 유저로부터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의 제작자를 특정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물건을 특정하는 것과, 특정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특정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취득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행하는 이동체가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상기 이동체의 운행 지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율 주행하는 이동체를 이용하여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및 산업적 의의는 유사 요소를 유사 도면 부호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후술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운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물품을 제작할 때의 차량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운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 제1 단말기, 제2 단말기 및 서버의 각각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서버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물품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차량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작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차량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단말기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유저가 물품의 제작을 의뢰할 때에 제1 단말기의 출력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2 단말기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유저가 부품 또는 제작자의 선정의 가부를 등록할 때에 제2 단말기의 출력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운행 지령을 송신하는 처리의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을 주행시키는 처리의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15는 물품 정보 DB에 있어서의 물품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1 유저가 물품의 제작을 의뢰한 후이며, 부품을 선택할 때에 제1 단말기의 출력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제작 정보 DB에 있어서의 제작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운행 지령을 송신하는 처리의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19는 제1 유저가 물품의 제작을 의뢰할 때에 제1 단말기의 출력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물품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운행 지령을 송신하는 처리의 흐름도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양태의 하나인 정보 처리 장치가 제어하는 이동체는, 운행 지령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하는 차량이다. 이동체가 운행 지령에 따라서 주행함으로써,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동체에는, 예를 들어 제작 과정에 있는 물품, 제작이 완료된 물품, 물품의 제작에 필요한 부품이나 도구, 설비 등을 탑재할 수 있다. 물품에는, 자동차, 엔진, 트랜스미션, 시트, 섀시, 차량의 내장, 차량의 외장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는, 물품의 제작자를 특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제작자는, 유저로부터 제작 의뢰에 대응하는 제작자이며, 특히 유저로부터 제작 의뢰가 있는 물품에 대응하는 제작자이다. 물품의 제작자란, 제작 과정에 있는 물품을 완성에 가깝게 하는 사람, 또는 기계(예를 들어 로봇)이며, 예를 들어 제작 과정에 있는 물품에 부품을 설치하거나, 제작 과정에 있는 물품을 가공하거나, 제작 과정에 있는 물품에 설치할 부품을 가공하거나 하는 사람 또는 기계이다. 이 물품의 제작자는, 예를 들어 특정한 기술, 특정한 기능, 특정한 기교, 특정한 기량 등을 가진 사람 또는 기계여도 된다. 물품의 제작자는, 이동체를 타고 이동체와 함께 이동해도 된다. 또한, 이동체에는 출발 시부터 물품의 제작자가 타고 있어도 된다. 물품의 제작자는, 복수 존재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는,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물건을 특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물건은, 유저로부터 제작 의뢰에 대응하는 물건이며, 특히 유저로부터 제작 의뢰가 있는 물품에 대응하는 물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물품」은 유저로부터의 의뢰에 의해 제작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물건」은 유저로부터의 의뢰에 의해 제작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하는 물건에는, 물품을 구성하는 부품 또는,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하는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하는 상기 물건으로서, 상기 물품을 구성하는 부품을 특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하는 상기 물건으로서,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하는 도구를 특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하는 물건이란, 제작 과정에 있는 물품을 완성에 가깝게 하는 물건이며, 예를 들어 제작 과정에 있는 물품에 설치하거나, 제작 과정에 있는 물품에 설치할 부품에 설치하거나, 제작 과정에 있는 물품을 가공하거나 하는 물건이다. 또한, 제작 과정에 있는 물품에 부품 등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나 소재 등, 제작 과정에 있는 물품을 가공 등 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나 소재 등도 「물건」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품에 따라서는, 제작자 및 물건 중 어느 한쪽만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즉, 물품에 따라서는, 제작할 때에 제작자 또는 물건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제어부는 제작자 및 물건의 각각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어 제작자의 거처나 제작자의 작업 장소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그 제작자가 물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이동체가 향하는 장소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어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의 장소나 물건을 물품에 설치하는 장소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그 물건을 입수하기 위해 이동체가 향하는 장소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소재지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한 제작자의 거처나 제작자의 작업 장소,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의 장소, 물건을 물품에 설치하는 장소 자체를 나타내는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그러한 장소들로부터 소정 범위 내의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 범위는, 이동체가 향함으로써 물품을 제작 가능한 범위이다. 제작자 및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제작자나 물건을 관리하는 유저나, 물품의 제작에 대응하는 그 제작자 자신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소재지에 관한 정보에는, 예를 들어 세계 측지계에 의해 표시되는 위치(위도 및 경도)에 관한 정보, 또는 주소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동체가 제작자 및 물건의 각각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이동체의 운행 지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운행 지령은, 예를 들어 서버 또는 이동체가 생성한다. 운행 지령에는, 예를 들어 이동체의 경유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이동체의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동체가 운행 지령에 따라서 제작자의 소재지나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여 주행함으로써, 각 경유지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작 도중의 물품에 부품을 설치하거나, 물품이나 부품을 가공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체가 각 경유지를 경유하여 주행을 종료한 후에는, 물품이 완성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이동체가 제작자 및 물건을 경유하면서 물품을 완성시킴으로써, 하나의 공장에서 물품을 제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많은 부품을 재고로서 확보해 둘 필요가 없다. 또한, 예를 들어 특정한 장소 이외의 장소에서는 제조가 곤란한 물건(예를 들어, 제조 시에 큰 소리가 나기 때문에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만 제조할 수 있는 물건, 제조 시에 특정한 성분의 물이나 불순물이 적은 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물을 입수 가능한 장소에서만 제조할 수 있는 것), 소량만 생산할 수 있는 물건(예를 들어, 장인의 수공에 의한 물건)이 필요한 경우라도, 이동체가 그 장소로 가기 때문에, 그러한 물건들을 공장에서 생산할 필요도 없고, 공장에 확보해 둘 필요도 없다.
또한, 예를 들어 물품을 완성시키기 위해, 제작자가 직접적으로 물품을 가공하거나 하여 제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제작자가 공장까지 일부러 나가는 일 없이, 그 제작자는 자신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작자는, 이동체에 의해 운반되어 오는 부품 등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그 제작자 자신도 부품의 재고를 확보해 둘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제작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작자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어 물품의 제작자를 유저가 선택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 물품의 제작자를 유저가 선택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정보, 또는 운행 지령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이다. 제작자에 관한 정보에, 예를 들어 제작자를 특정 가능한 정보, 그 제작자가 물품의 제작에 관계되는 순서에 관한 정보, 그 제작자에 물품의 제작을 의뢰한 경우에 요하는 요금에 관한 정보, 과거에 그 제작자에게 물품의 제작을 의뢰했던 이용자에 의한 그 제작자의 평가에 관한 정보, 그 제작자의 능력의 레벨에 관한 정보, 그 제작자가 물품을 제작 가능한 시각에 관한 정보, 그 제작자가 물품을 제작하는 데 요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물건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어 그 물건을 유저가 선택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 그 물건을 유저가 선택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정보, 또는 운행 지령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이다. 물건에 관한 정보에, 예를 들어 그 물건을 이용하기 위해 요하는 요금에 관한 정보, 과거의 그 물건의 이용자에 의한 그 물건의 평가에 관한 정보, 그 물건의 성능의 레벨에 관한 정보, 그 물건을 이용 가능한 시간에 관한 정보, 또는 그 물건을 이용하여 물품을 제작하였을 때에 걸리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제작자들에 관한 정보 및 물건에 관한 정보는, 유저에게 제공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상기 운행 지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물품을 제작할 때, 차례에 따라서 부품을 설치하거나 가공하거나 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 차례에 따라서 이동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물품을 순서대로 제작할 수 있다. 이 순서는, 의뢰된 물품이나, 이 물품에 대응하는 제작자 및 물건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할 때,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의 조합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유저가 선택할 조합을 상기 유저에게 문의하고, 상기 유저가 선택하는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그렇게 하면, 복수의 제작자 및 물건의 조합 중에서, 유저의 기호에 맞는 조합을 유저 자신이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의 요구에 맞는 부품이나 기능자에 의해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로부터 취득한 의뢰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에 상기 유저를 포함해도 되고, 또는 상기 물건에 상기 유저가 제공하는 물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그렇게 하면, 유저가 물품의 제작에 관여할 수 있으므로, 유저가 즐기면서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의 구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가능한 한 조합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운전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자동 운전 시스템(1)은, 제1 유저가 제1 단말기(20A)를 통해 물품의 제작을 의뢰하면, 이동 중인 차량(10) 내 또는 각 경유지에 있어서 물품을 제작하는 시스템이다. 서버(30)는, 제작을 의뢰 받은 물품에 따라서 물건이나 사람을 선정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주로, 「물건」의 일례로서 물품을 구성하는 부품에 대해 설명한다. 단, 「물건」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물건」은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하는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는, 부품이나 제작자의 소재지를 차량(10)이 경유하도록 차량(10)의 운행 지령을 생성한다. 운행 지령은, 예를 들어 차량(10)이, 기지를 출발하여 각 경유지를 경유하여 물품을 완성시키고, 완성된 물품을 납품한 후에 기지로 돌아가도록 생성된다. 생성된 운행 지령은, 서버(30)로부터 차량(10)으로 송신된다. 운행 지령을 수신한 차량(10)은, 이 운행 지령에 따라서 자율 주행한다.
자동 운전 시스템(1)은, 예를 들어 차량(10), 제1 단말기(20A), 제2 단말기(20B), 서버(30)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10)의 대수는 도 1에 예시한 1대에 한정되지 않고, 2대 이상이어도 된다. 차량(10)은, 서버(30)가 생성한 운행 지령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가능한 이동체이다. 차량(10)은, 제작 과정의 물품 및 완성된 물품을 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10)의 내부에는 물품을 제작할 때에 이용할 수 있는 공구나 설비 등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물품의 제작은, 차량(10)의 내부에서 행해도 되고, 외부에서 행해도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완성한 물품을 「완성물」이라고 하고, 제작 과정에 있는 물품을 「미완성물」이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완성물은, 그 후의 공정에 있어서 부품이나 구성 부품(어셈블리)으로서 기능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의 제1 유저는, 제1 단말기(20A)를 조작하는 유저이며, 물품의 제작을 의뢰하는 유저이다. 제1 유저가 제1 단말기(20A)에 입력한 물품에 따라서, 서버(30)가 부품 및 제작자를 선정하고, 그 부품 및 제작자의 소재지를 차량(10)이 경유하도록 운행 지령을 생성한다. 제1 유저는 복수 존재해도 되고, 제1 유저의 수에 따라서 제1 단말기(20A)도 복수 존재해도 된다. 또한, 1인의 제1 유저가, 복수의 물품의 제작을 의뢰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의 제2 유저는, 제2 단말기(20B)를 조작하는 유저이며, 의뢰된 물품의 제작자, 및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물건에 관계된 유저이다. 제2 유저는, 예를 들어 부품의 제조, 가공, 판매, 조립, 관리를 하는 유저, 부품의 제조, 가공, 조립 등에 필요한 도구를 관리하는 유저, 미완성물을 가공하는 유저, 미완성물에 부품을 설치하는 유저, 기능을 제공하는 유저, 제작자에게 기능의 제공을 의뢰하는 유저 등이다. 제2 유저는 복수 존재할 수 있고, 제2 유저의 수에 따라서 제2 단말기(20B)도 복수 존재한다. 부품의 제조, 가공, 판매를 하는 제2 유저와, 그 부품을 미완성물에 설치하는 제2 유저가, 다른 유저여도 된다. 물품의 제작은, 차량(10)의 경유지에 차량(10)이 정차하고 있을 때에 행해도 되고, 다음 경유지를 향해 차량(10)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 행해도 된다.
제2 유저는, 차량(10) 내로부터 미완성물을 일단 빼내어, 차량(10)의 외부에서 미완성물에 부품을 설치하거나 미완성물을 가공하거나 한 후에, 미완성물 또는 완성물을 차량(10)으로 복귀시켜도 된다. 또한, 물품의 제작은, 차량(10)에 탑재되는 설비가 자동으로 행해도 되고, 차량(10)의 외부에 설치된 설비가 자동으로 행해도 된다. 또한, 제2 유저와는 다른 유저이며, 부품의 수취나 부품의 설치를 행하는 유저가 차량(10)에 승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한 제작자는, 물품을 제작하기 위해 스킬을 제공하는 유저이며, 자신 또는 다른 사람이 제작한 부품을 미완성물에 설치하는 유저여도 되고, 차량(10)에 탑재되어 있는 미완성물을 가공하거나 하는 유저여도 되고, 차량(10)에 탑재되어 있는 부품을 미완성물에 설치하는 유저여도 된다. 또한, 제작자는, 예를 들어 판금 가공, 용접, 도장 등의 기능을 갖는 유저여도 되고, 미완성물에 필름이나 스티커 등을 붙이는 유저여도 된다. 또한, 제작자는, 완성물로부터 부품을 떼어 내어 다른 부품으로 교환하는 유저여도 된다. 이 교환에는, 수리 및 개조가 포함된다.
차량(10), 제1 단말기(20A), 제2 단말기(20B), 서버(30)는, 네트워크 N1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N1은,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의 세계 규모의 공중 통신망이며 WAN(Wide Area Network)이나 그 밖의 통신망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N1은, 휴대 전화 등의 전화 통신망, WiFi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해도 된다.
자동 운전 시스템의 개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운전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물품을 제작할 때의 차량(10)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차량(10)은, 출발지 A1로부터 A2, A3, A4, A5의 각 경유지를 차례로 경유하여 출발지 A1로 돌아간다. 또한, B1 및 B2는, 차량(10)이 경유하지 않는 지점이다. 출발지 A1은, 예를 들어 차량(10)의 기지이다.
도 2에 있어서, A10은, 제1 유저가 제1 단말기(20A)에 입력한 물품이며, 차량(10)이 출발지 A1로 돌아간 시점에서 완성되어 있는 물품이다. 또한, A20, A30, A40, A50, B10, B20은, 각 지점에 존재하는 부품 또는 제작자를 나타내고 있다. A20, A30, A40, A50은, 물품 A10을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 또는 제작자이다. 한편, B10 및 B20은, 물품 A10의 제작에는 필요하지 않은 부품 또는 제작자이다. 그 때문에, B1 및 B2의 각 지점은, 차량(10)의 경유지로부터 제외된다. 여기서, 도 2는 물품 A10을 완성시키기 위해, A20, A30, A40, A50 모두 필요해지고, 또한 A20, A30, A40, A50의 순으로 부품 또는 제작자가 필요해지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차량(10)은, 출발지 A1로부터 출발하여, A2, A3, A4, A5의 각 경유지를 차례로 경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A20이 부품을 나타내고, A30이 A20의 부품을 미완성물에 설치하는 제작자인 경우, 경유지 A2에서 당해 경유지 A2에 관한 제2 유저가 부품 A20을 차량(10)에 탑재하고, 경유지 A3에서 제작자 A30이 부품 A20을 미완성물에 설치한다. 또한, 예를 들어 A20이 부품을 나타내고, A30이 부품 A20을 가공하는 제작자이고, A40이 제작자 A30에 의해 가공된 부품 A20을 미완성물에 설치하는 제작자인 경우, 경유지 A2에서 당해 경유지 A2에 관한 제2 유저가 부품 A20을 차량(10)에 탑재하고, 경유지 A3에서 제작자 A30이 부품 A20을 가공하고, 경유지 A4에서 제작자 A40이 부품 A20을 미완성물에 설치한다. 또한, 예를 들어 A20이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하는 도구를 나타내고, A30이 A20의 도구를 사용하여 미완성물을 가공하는 제작자인 경우, 경유지 A2에서 당해 경유지 A2에 관한 제2 유저가 도구 A20을 차량(10)에 탑재하고, 경유지 A3에서 제작자 A30이 도구 A20을 사용하여 미완성물을 가공한다.
서버(30)는, A1, A2, A3, A4, A5, A1의 순으로 차량(10)이 경유하도록 운행 지령을 생성한다. 이 운행 지령에는, A1, A2, A3, A4, A5, A1의 순으로 차량(10)이 경유하는 이동 경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완성물은, 차량(10)이 출발지 A1로 돌아갔을 때에 제1 유저에게 건네진다. 단, 차량(10)의 출발지 A1과 완성물의 납품 장소가 상이해도 된다. 이 경우, 서버(30)는, 차량(10)이 경유지 A5의 이후에 완성물의 납품 장소를 경유하여, 출발지 A1로 돌아가도록 이동 경로를 생성한다.
하드웨어 구성
도 3에 기초하여, 차량(10), 제1 단말기(20A), 제2 단말기(20B) 및 서버(3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운전 시스템(1)을 구성하는 차량(10), 제1 단말기(20A), 제2 단말기(20B) 및 서버(30)의 각각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제1 단말기(20A)와 제2 단말기(20B)를 구별하지 않을 때에는 단순히 단말기(20)라고 칭한다.
서버(30)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성을 갖고 있다. 서버(30)는, 프로세서(31), 주 기억부(32), 보조 기억부(33), 통신부(34)를 갖는다. 이들은,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서버(30)는,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이다.
프로세서(3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다. 프로세서(31)는, 서버(30)를 제어하여, 다양한 정보 처리의 연산을 행한다. 프로세서(31)는, 「제어부」의 일례이다. 주 기억부(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이다. 보조 기억부(33)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리무버블 미디어 등이다. 보조 기억부(33)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OS), 각종 프로그램, 각종 테이블 등이 저장된다. 보조 기억부(3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31)가 주 기억부(32)의 작업 영역에 로드하여 실행하고, 이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각 구성부 등이 제어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목적에 합치한 기능을 서버(30)가 실현한다. 주 기억부(32) 및 보조 기억부(33)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또한, 서버(30)는, 단일의 컴퓨터여도 되고, 복수 대의 컴퓨터가 연계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보조 기억부(33)에 저장되는 정보는, 주 기억부(32)에 저장되어도 된다. 또한, 주 기억부(32)에 저장되는 정보는, 보조 기억부(33)에 저장되어도 된다.
통신부(34)는, 네트워크 N1 경유로 차량(10), 제1 단말기(20A), 제2 단말기(20B)와 통신을 행하는 수단이다. 통신부(34)는,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보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회로이다. LAN 인터페이스 보드나 무선 통신 회로는, 네트워크 N1에 접속된다.
또한, 서버(30)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서버(3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서버(30)의 일부 또는 모든 구성이, 차량(10)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차량(10)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10)은, 프로세서(11), 주 기억부(12), 보조 기억부(13), 입력부(14), 출력부(15), 통신부(16), 위치 정보 센서(17), 환경 정보 센서(18), 구동부(19)를 갖는다. 이들은,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프로세서(11), 주 기억부(12), 보조 기억부(13)에 대해서는, 서버(30)의 프로세서(31), 주 기억부(32), 보조 기억부(33)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입력부(14)는, 유저가 행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수단이며,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누름 버튼 등이다. 출력부(15)는, 유저에 대해 정보를 제시하는 수단이며,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EL(Electro luminescence) 패널, 스피커, 램프 등이다. 입력부(14) 및 출력부(15)는, 하나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구성해도 된다. 통신부(16)는, 차량(10)을 네트워크 N1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통신부(16)는, 예를 들어 이동체 통신 서비스(3G(3rd Generation)나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전화 통신망, WiFi 등의 무선 통신)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N1 경유로 다른 장치(예를 들어, 서버(30) 등)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위치 정보 센서(17)는, 소정의 주기로, 차량(10)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도, 경도)를 취득한다. 위치 정보 센서(17)는,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 WiFi 통신부 등이다. 위치 정보 센서(17)에 의해 취득된 정보는, 예를 들어 보조 기억부(13) 등에 기록되어, 서버(30)로 송신된다.
환경 정보 센서(18)는, 차량(10)의 상태를 센싱하거나 차량(10)의 주변을 센싱하거나 하는 수단이다. 차량(10)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로서, 가속도 센서, 속도 센서, 방위각 센서를 들 수 있다. 차량(10)의 주변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로서, 스테레오 카메라, 레이저 스캐너, LIDAR, 레이더 등을 들 수 있다.
구동부(19)는, 프로세서(11)가 생성한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차량(10)을 주행시킨다. 구동부(19)는, 예를 들어 차량(10)이 구비하는 차륜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나 인버터, 브레이크, 스티어링 기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 지령에 따라서 모터나 브레이크 등이 구동됨으로써, 차량(10)의 자율 주행이 실현된다.
다음으로, 단말기(20)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기(2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휴대 전화, 태블릿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 웨어러블 컴퓨터(스마트 시계 등),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같은 소형의 컴퓨터이다. 단말기(20)는, 프로세서(21), 주 기억부(22), 보조 기억부(23), 입력부(24), 출력부(25), 통신부(26)를 갖는다. 이들은,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프로세서(21), 주 기억부(22), 보조 기억부(23), 입력부(24), 출력부(25), 통신부(26)는, 차량(10)의 프로세서(11), 주 기억부(12), 보조 기억부(13), 입력부(14), 출력부(15), 통신부(16)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말기(20)는, 단일의 컴퓨터여도 되고, 복수 대의 컴퓨터가 연계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단말기(20A)의 일부 또는 모든 구성이, 차량(10)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기능 구성: 서버
도 4는, 서버(3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버(30)는, 기능 구성 요소로서, 차량 관리부(301), 차량 선정부(302), 제작 의뢰 취득부(303), 물품 정보 취득부(304), 부품 선정부(305), 운행 지령 생성부(306), 유저 정보 DB(311), 물품 정보 DB(312), 차량 정보 DB(313), 제작 정보 DB(314), 지도 정보 DB(315)를 포함한다. 차량 관리부(301), 차량 선정부(302), 제작 의뢰 취득부(303), 물품 정보 취득부(304), 부품 선정부(305), 운행 지령 생성부(306)는, 예를 들어 서버(30)의 프로세서(31)가, 보조 기억부(33)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공되는 기능 구성 요소이다.
유저 정보 DB(311), 물품 정보 DB(312), 차량 정보 DB(313), 제작 정보 DB(314), 지도 정보 DB(315)는, 프로세서(31)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의 프로그램이, 보조 기억부(33)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구축되는, 예를 들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또한, 서버(30)의 각 기능 구성 요소 중 어느 것, 또는 그 처리의 일부는, 네트워크 N1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차량 관리부(301)는, 차량(10)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관리한다. 차량 관리부(301)는, 예를 들어 소정의 주기로 차량(10)으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하거나, 또는 서버(3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차량(10)으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한다. 차량 관리부(301)는, 위치 정보를 차량 ID와 관련시켜 차량 정보 DB(313)에 저장한다. 또한, 차량 관리부(301)는, 차량(10)의 가동 상황을 관리한다. 이 가동 상황은, 차량(10)이 물품의 제작을 위해 가동 상태에 있는지, 또는 차량(10)이 물품의 제작을 위해 가동되고 있지 않은 대기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차량 관리부(301)는, 가동 상황을 차량 ID와 관련시켜 차량 정보 DB(313)에 저장한다. 이 가동 상황은, 예를 들어 소정의 주기로 차량(10)으로부터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차량(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관리부(301)가 가동 상황을 판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차량(10)의 현재지가 차량(10)의 기지이면, 차량(10)이 대기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차량(10)의 현재지가 차량(10)의 기지 이외이면, 차량(10)이 가동 상태에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한, 차량 관리부(301)는, 예를 들어 차량(10)에 있어서 제작 가능한 물품(대응 물품)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대응 물품에 관한 정보는 차량(10)마다, 제1 단말기(20A)의 입력부(24) 또는 차량(10)의 입력부(14)를 통해 미리 취득되는 정보이며, 차량 관리부(301)는, 각 차량(10)의 대응 물품에 관한 정보를 차량 ID와 관련시켜 차량 정보 DB(313)에 저장한다.
차량 선정부(302)는, 예를 들어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물품을 제작하기 위한 차량(10)을 선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조건이란, 차량(10)에 있어서 완성물을 제작 가능한 조건이다. 예를 들어, 소정의 조건은, 제1 유저로부터 의뢰된 물품의 제작에 차량(10)이 대응하고 있을 것, 및 차량(10)이 대기 상태일 것 등이다. 즉, 차량 선정부(302)는, 제1 유저로부터 의뢰된 물품의 제작에 대응하고 있고, 또한 대기 상태인 차량(10)을, 물품의 제작에 사용할 차량(10)으로서 선정한다.
제작 의뢰 취득부(303)는, 예를 들어 제1 유저의 제1 단말기(20A)로부터 송신되는 제작 의뢰를 취득한다. 제작 의뢰란, 제1 유저가 물품의 제작을 의뢰하기 위한 정보이다. 제작 의뢰에는, 제1 유저가 제작을 의뢰한 물품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작 의뢰는, 제1 유저가 제1 단말기(20A)의 입력부(24)에 소정의 입력을 행함으로써, 제1 단말기(20A)에 있어서 생성된다.
물품 정보 취득부(304)는, 예를 들어 제2 유저의 제2 단말기(20B)로부터 부품 또는 제작자를 선택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나, 부품 또는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등을 취득한다. 이들 정보(물품 정보)는, 서버(30)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20B)로부터 서버(30)로 송신되어도 되고, 소정의 주기로 제2 단말기(20B)로부터 서버(30)로 송신되어도 된다. 이들 정보에는, 제2 유저와 결부되어 있는 유저 ID, 부품 또는 제작자와 결부되어 있는 부품 ID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유저 ID는, 유저에 고유한 식별자이다. 부품 ID는, 부품 및 제작자에 고유한 식별자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의상, 제작자에 대응하는 ID도 부품 ID라고 칭한다. 물품 정보는, 제2 단말기(20B)로부터 서버(30)로 송신되어, 서버(30)에 등록된다. 물품 정보 취득부(304)는, 물품 정보를 취득하면, 그 물품 정보를 후술하는 물품 정보 DB(312)에 저장한다.
부품 선정부(305)는, 물품을 제작하기 위한 부품 및 제작자를 선정한다. 부품 선정부(305)는, 제작 정보 DB(314)를 참조하여 물품을 완성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부품 및 제작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취득된 부품 및 제작자 중, 물품 정보 DB(312)를 참조하여 선정 가능한 부품 및 제작자를 선정한다. 여기서, 동일한 부품을 복수의 제2 유저로부터 공급 가능한 경우에는, 소정의 룰에 따라서, 그 중 하나의 부품을 선정해도 된다. 소정의 룰은, 예를 들어 가격이나 품질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소정의 룰에 따라서, 예를 들어 가격이 가장 낮은 부품이 선정되도록 해도 된다. 가격이나 품질의 정보는, 유저 ID 및 부품 ID와 관련시켜 제2 단말기(20B)로부터 미리 취득해 두어도 되고, 서버(30)에 기억되어 있는 과거의 데이타에 기초하여 취득해도 된다. 또한, 서버(30)는, 차량(10)의 이동 경로가 가장 짧아지도록, 부품 및 제작자를 선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부품 및 제작자의 조합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조합에 대해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그 중에서 이동 경로가 가장 짧아지는 부품 및 제작자를 선정해도 된다. 또한, 서버(30)는, 물품의 제작에 걸리는 시간이 가장 짧아지도록 부품 및 제작자를 선정해도 된다.
운행 지령 생성부(306)는, 예를 들어 차량(10)이 출발지(기지)로부터 출발하여, 부품 선정부(305)에 의해 선정된 부품 및 제작자의 소재지인 경유지와, 완성된 물품을 납품하는 지점을 경유하여, 차량(10)이 출발지(기지)로 돌아가도록 운행 지령을 생성한다. 이 운행 지령은, 물품을 제작하는 순서에 따라서 차량(10)이 각 경유지를 경유하도록 결정된다. 물품을 제작하는 순서는, 부품 ID와 관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행 지령 생성부(306)는, 후술하는 지도 정보 DB(315)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경로를 생성한다. 이동 경로는, 차량(10)의 이동 거리가 최단이 되는 경로나, 차량(10)의 이동 시간이 최단이 되는 경로 등의 미리 결정된 룰에 따른 경로가 되도록 생성된다. 운행 지령 생성부(306)는,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 지령을 차량(10)에 송신한다.
유저 정보 DB(311)는, 상기한 보조 기억부(33)에 제1 유저의 유저 정보 및 제2 유저의 유저 정보가 저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거기서는 각 유저와 유저 정보의 관련짓기가 행해진다. 유저 정보에는, 예를 들어 제1 유저 및 제2 유저와 결부되어 있는 유저 ID, 이름, 주소 등이 포함된다.
물품 정보 DB(312)는, 보조 기억부(33)에 상기한 물품 정보가 저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거기서는 제2 유저의 유저 ID와, 부품 ID의 관련짓기가 행해진다. 여기서, 물품 정보 DB(312)에 저장되는 물품 정보의 구성에 대해,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물품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물품 정보 테이블은, 유저 ID, 부품 ID, 선정 가부, 소재지의 각 필드를 갖는다. 유저 ID 필드에는, 제2 유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제작자가 제2 유저여도 된다. 부품 ID 필드에는, 부품 또는 제작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하나의 유저 ID에 대해 복수의 부품 ID가 대응되어 있어도 된다. 선정 가부 필드에는, 부품 ID에 대응하는 부품 또는 제작자를 선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부품의 재고가 없는 경우에는, 선정 가부 필드에는 선정 가능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부」가 입력된다. 한편, 예를 들어 부품의 재고가 있는 경우에는, 선정 가부 필드에는 선정 가능함을 나타내는 「가」가 입력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작자가 물품을 제작 가능한 경우에는, 선정 가부 필드에 「가」가 입력되고, 제작자가 물품을 제작 가능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다른 의뢰가 있는 경우, 제작자가 부재인 경우 등)에는, 선정 가부 필드에 「부」가 입력된다. 선정 가부는, 제2 단말기(20B)를 통해 등록된다. 소재지 필드에는, 부품 또는 제작자의 소재지가 입력된다. 부품 또는 제작자의 소재지는, 차량(10)이 향하는 장소로서 제2 단말기(20B)를 통해 등록된다.
차량 정보 DB(313)는, 보조 기억부(33)에 차량 정보가 저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거기서는 차량 ID와 차량 정보의 관련짓기가 행해진다. 여기서, 차량 정보 DB(313)에 저장되는 차량 정보의 구성에 대해,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차량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차량 정보 테이블은, 차량 ID, 위치 정보, 가동 상황, 대응 물품의 각 필드를 갖는다. 차량 ID 필드에는, 차량(10)을 특정하는 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위치 정보 필드에는, 차량(10)이 송신한 위치 정보가 입력된다. 이 위치 정보는, 차량(10)의 현재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가동 상황 필드에는, 차량(10)이 완성물을 제작하기 위해 가동되고 있는지, 아니면 대기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된다. 가동 상황은, 예를 들어 차량(10)으로부터 송신되어도 된다. 대응 물품 필드에는, 차량(10)에 대응하는 완성물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즉, 대응 물품 필드에는, 차량(10)에 의해 제작 가능한 물품을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된다. 대응 물품은, 예를 들어 차량(10)으로부터 미리 송신된다.
제작 정보 DB(314)는, 보조 기억부(33)에 완성물에 대응하는 부품 또는 제작자의 정보(이하, 단순히 「제작 정보」라고도 함)가 저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작 정보 DB(314)에 저장되는 제작 정보의 구성에 대해,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작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제작 정보 테이블은, 물품 ID 및 부품 ID의 각 필드를 갖는다. 물품 ID 필드에는, 완성물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부품 ID 필드에는, 완성물을 제작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부품 및 제작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부품 ID 필드에 입력되는 부품 ID에는, 완성물을 제작할 때에 부품 및 제작자가 필요해지는 순서가 관련되어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각 필드에 있어서, 부품 ID의 #1, #2, #3···의 순으로 부품 또는 제작자가 제공되도록 부품 ID 필드가 생성된다.
지도 정보 DB(315)에는, 지도 데이터, 당해 지도 데이터 상의 각 지점의 특성을 나타내는 문자나 사진 등의 POI(Point of Interest)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지도 정보 DB(315)는, 네트워크 N1에 접속되는 다른 시스템, 예를 들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로부터 제공되어도 된다.
기능 구성: 차량
도 8은, 차량(1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10)은, 기능 구성 요소로서, 운행 계획 생성부(101), 환경 검출부(102), 주행 제어부(103), 위치 정보 송신부(104)를 포함한다. 운행 계획 생성부(101), 환경 검출부(102), 주행 제어부(103), 위치 정보 송신부(104)는, 예를 들어 차량(10)의 프로세서(11)가, 보조 기억부(13)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공되는 기능 구성 요소이다.
운행 계획 생성부(101)는, 서버(30)로부터 운행 지령을 취득하고, 차량(10)의 운행 계획을 생성한다. 당해 운행 지령에는, 차량(10)이 경유하는 경유지 및 최종 목적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운행 계획 생성부(101)는, 서버(30)로부터 부여된 운행 지령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이동 경로를 이동하는 운행 계획을 생성한다.
환경 검출부(102)는, 환경 정보 센서(18)가 취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에 필요한 차량(10)의 주위의 환경을 검출한다. 검출의 대상은, 예를 들어 차선의 수나 위치, 차량(10)의 주위에 존재하는 다른 이동체의 수나 위치, 자신의 주위에 존재하는 장애물(예를 들어, 보행자, 자전거, 구조물, 건축물 등)의 수나 위치, 도로의 구조, 도로 표지 등이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율적인 주행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면, 검출의 대상은 어떠한 것이든 좋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 센서(18)가 스테레오 카메라인 경우에는, 그것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함으로써 차량(10)의 주위의 물체 검출이 행해진다. 환경 검출부(102)가 검출한, 차량(10)의 주위 환경에 관한 데이터(이하, 환경 데이터)는, 후술하는 주행 제어부(103)로 송신된다.
주행 제어부(103)는, 운행 계획 생성부(101)가 생성한 운행 계획과, 환경 검출부(102)가 생성한 환경 데이터, 그리고 위치 정보 센서(17)가 취득한 차량(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자율적인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지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주행 제어부(103)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 주행하고, 또한 차량(10)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안전 영역 내에 장애물이 진입하지 않도록 차량(10)을 주행시키기 위해 제어 지령을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 지령은, 구동부(19)로 송신된다. 차량(10)을 자율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송신부(104)는, 위치 정보 센서(17)로부터 취득되는 위치 정보를, 통신부(16)를 통해 서버(30)로 송신한다. 위치 정보 송신부(104)가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은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정기적으로 송신해도 되고, 무언가의 정보를 서버(30)로 송신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송신해도 되고, 서버(3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송신해도 된다. 위치 정보 송신부(104)는, 자차량을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식별 정보(차량 ID)와 함께, 위치 정보를 서버(30)로 송신한다. 또한, 차량(10)을 식별하는 차량 ID는, 미리 할당된다.
기능 구성: 제1 단말기
도 9는, 제1 단말기(20A)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단말기(20A)는, 기능 구성 요소로서, 제작 의뢰 송신부(201A)를 포함한다. 제작 의뢰 송신부(201A)는,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0A)의 프로세서(21)가, 보조 기억부(23)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공되는 기능 구성 요소이다. 제작 의뢰 송신부(201A)는,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0A)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물품의 제작을 의뢰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출력하고, 당해 아이콘을 제1 유저가 클릭한 경우에 제작 의뢰를 생성한다. 제작 의뢰에는, 제1 유저가 제작을 의뢰한 물품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작 의뢰 송신부(201A)는, 생성된 제작 의뢰를, 유저 ID와 결부하여 서버(30)로 송신한다.
도 10은, 제1 유저가 물품의 제작을 의뢰할 때에 제1 단말기(20A)의 출력부(25)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유저가, 「의뢰할 것」 중에서 제작을 의뢰할 물품을 클릭하고, 그 후에, 「송신」을 클릭하면, 제작 의뢰 송신부(201A)는 제작 의뢰를 생성하고, 당해 제작 의뢰를 서버(30)로 송신한다.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물품으로서, 도어, 시트, 섀시, 또는 엔진을 선택할 수 있다.
기능 구성: 제2 단말기
도 11은, 제2 단말기(20B)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단말기(20B)는, 기능 구성 요소로서, 물품 정보 송신부(201B)를 포함한다. 물품 정보 송신부(201B)는, 예를 들어 제2 단말기(20B)의 프로세서(21)가, 보조 기억부(23)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공되는 기능 구성 요소이다. 물품 정보 송신부(201B)는, 예를 들어 제2 단말기(20B)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부품 또는 제작자를 선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을 출력하고, 당해 아이콘을 제2 유저가 클릭함으로써 부품 또는 제작자를 선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제2 유저는, 부품의 재고가 없는 경우에는, 당해 부품의 선정이 불가능한 것을 입력한다. 또한, 제2 유저는, 제작자가 부재인 경우나 제작자에게 다른 제작 의뢰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제작자의 선정이 불가능한 것을 입력한다. 또한, 물품 정보 송신부(201B)는, 부품 또는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부(24)를 통해 취득한다. 제2 유저는, 부품 또는 제작자의 소재지(예를 들어, 주소)에 관한 정보를, 입력부(24)를 통해 입력한다. 물품 정보 송신부(201B)는, 이러한 물품 정보들을, 유저 ID 및 부품 ID와 결부하여 서버(30)로 송신한다. 물품 정보 송신부(201B)가 물품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은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물품 정보에 변경이 있을 때에 송신해도 되고, 정기적으로 송신해도 되고, 서버(3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송신해도 된다. 또한, 부품 또는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는, 초회에 서버(30)에 등록해 두면 다음회 이후에는 변경이 있는 경우에만 송신하면 된다.
도 12는, 제2 유저가 부품 또는 제작자의 선정의 가부를 등록할 때에 제2 단말기(20B)의 출력부(25)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유저가, 각각의 「부품 ID」에 대응하는 선정의 가부를 「가」 또는 「부」중 어느 것을 클릭함으로써 선택하고, 그 후에, 「송신」을 클릭하면, 물품 정보 송신부(201B)는 물품 정보를 생성한다.
(처리의 흐름: 서버)
다음으로, 서버(30)가 차량(10)에 운행 지령을 송신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행 지령을 송신하는 처리의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처리는, 서버(30)의 프로세서(31)에 의해 소정의 시간마다 실행된다. 또한, 여기서는, 물품 정보 DB(312), 차량 정보 DB(313), 및 제작 정보 DB(314)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차량(10), 제1 단말기(20A), 및 제2 단말기(20B)로부터 서버(30)가 이미 수신한 것으로 한다.
스텝 S101에서는, 제작 의뢰 취득부(303)가, 제1 단말기(20A)로부터 제작 의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02로 진행하고,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본 루틴을 종료시킨다.
스텝 S102에서는, 부품 선정부(305)가, 제작 의뢰에 관한 물품을 제작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부품 및 제작자를 특정한다. 그 때문에, 부품 선정부(305)는, 제작 의뢰에 관한 물품을 제작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부품 및 제작자에 대응하는 부품 ID의 조합을 취득한다. 부품 선정부(305)는, 제작 정보 DB(314) 및 물품 정보 DB(312)에 액세스하고, 제작 의뢰에 관한 물품 ID에 대응하는 부품 ID의 조합 중에서, 선정 가부가 모두 「가」인 부품 ID의 조합을 선정한다.
즉, 부품 선정부(305)는, 제작 의뢰에 관한 완성물의 물품 ID에 대응하는 부품 ID를 제작 정보 DB(314)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부품 선정부(305)는, 취득한 부품 ID의 각각에 대해, 선정 가부가 「가」인지, 아니면 「부」인지를 물품 정보 DB(312)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부품 선정부(305)는, 제작 의뢰에 관한 물품의 물품 ID에 대응하는 부품 ID의 조합 중, 선정 가부가 모두 「가」인 조합을 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부품 선정부(305)가, 제작자 및 부품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선정 가부가 모두 「가」인 부품 ID의 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부품 선정부(305)는, 부품 또는 제작자가 부족하기 때문에 물품을 제작할 수 없음을 제1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스텝 S103에서는, 차량 선정부(302)가, 완성물을 제작하기 위한 차량(10)을 선정한다. 차량 선정부(302)는, 차량 정보 DB(313)에 액세스하여, 제작 의뢰에 관한 물품에 대응하고 있는 차량(10)이며, 가동 상황이 「대기」인 차량(10)을 선정한다.
스텝 S104에서는, 운행 지령 생성부(306)가, 스텝 S102에서 부품 선정부(305)가 특정한 제작자 및 부품에 대응하는 소재지를 취득한다. 운행 지령 생성부(306)는, 부품 선정부(305)가 특정한 제작자 및 부품에 대응하는 부품 ID에 결부된 유저 ID에 대응하는 소재지를 물품 정보 DB(312)로부터 취득한다.
스텝 S105에서는, 운행 지령 생성부(306)가, 차량(10)의 운행 지령을 생성한다. 운행 지령 생성부(306)는, 스텝 S103에 있어서 선정된 차량(10)의 현재지, 스텝 S104에 있어서 취득된 소재지에 기초하여, 차량(10)이 물품의 제작순으로 부품 및 제작자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차량(10)의 이동 경로를 생성한다. 운행 지령 생성부(306)는, 물품의 제작 순서를 제작 정보 DB(314)로부터 취득한다. 제작한 물품을 납입하는 장소를, 제1 유저가 제1 단말기(20A)를 통해 지정해도 된다. 그리고 스텝 S106에서는, 스텝 S103에 있어서 선정된 차량(10)에 대해, 운행 지령 생성부(306)가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 지령을 송신한다. 또한, 운행 지령 생성부(306)는, 차량 정보 DB(313)에 액세스하고, 선정한 차량(10)의 가동 상황을 「가동」으로 갱신해도 된다.
또한, 서버(30)는, 선정된 부품 ID에 대응하는 제2 유저의 제2 단말기(20B)에 대해, 물품의 제작을 의뢰할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서버(30)는, 제2 단말기(20B)에 대해 차량(10)의 현재지를 통지해도 된다. 이 통지는, 제2 유저의 요구에 따라서 행해도 되고, 소정 시간마다 행해도 된다.
(처리의 흐름: 차량)
다음으로, 차량(10)을 주행시키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10)을 주행시키는 처리의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처리는, 차량(10)의 프로세서(11)에 의해 소정의 시간마다 실행된다. 또한, 본 흐름도는, 대기 상태에 있는 차량(10)에 대해 실행된다.
스텝 S201에서는, 운행 계획 생성부(101)가, 서버(30)로부터의 운행 지령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02로 진행하고,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본 루틴을 종료시킨다. 스텝 S202에서는, 운행 계획 생성부(101)가 운행 지령에 따라서 운행 계획을 생성한다.
운행 계획의 생성이 완료되면, 스텝 S203에 있어서, 주행 제어부(103)가 제어 지령을 생성하고, 이 제어 지령에 따라서, 구동부(19)가 제어되어, 차량(10)이 경유지까지 주행한다. 그리고 경유지에 있어서 제2 유저가 부품의 설치 등의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 S204에 있어서, 주행 제어부(103)는, 제2 유저에 의한 작업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제2 유저에 의한 작업이 종료되면, 제2 유저가 차량(10)의 입력부(14)에 그 취지를 입력한다. 이 입력이 있는 경우에, 주행 제어부(103)는, 작업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다. 이 작업에는, 납품 작업도 포함할 수 있다. 스텝 S204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05로 진행하고,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04의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스텝 S205에서는, 주행 제어부(103)는, 물품의 납품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주행 제어부(103)는, 차량(10)의 현재지가 마지막 경유지인 경우에, 물품의 납품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한다. 스텝 S205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06으로 진행하고,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03으로 돌아가서 다음 경유지까지 차량(10)을 주행시킨다. 스텝 S206에서는, 주행 제어부(103)는, 차량(10)을 기지까지 주행시키고, 그 후, 본 루틴을 종료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율 주행하는 차량(10)을 이용하여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장에 부품을 확보해 둘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물품의 제작자는, 물품의 제작에 적합한 장소에서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에 대응하는 부품 및 제작자의 조합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그 중에서 제1 유저가 부품 및 제작자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부품인데, 서로 다른 제2 유저로부터의 부품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유저가 그 중에서 하나의 부품을 선택한다. 또한, 서로 다른 부품인데, 호환성은 있는 부품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유저가 그 중에서 하나의 부품을 선택한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가진 복수의 제작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유저가 그 중에서 하나의 제작자를 선택한다.
도 15는, 물품 정보 DB(312)에 있어서의 물품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정보 테이블은, 유저 ID, 부품 ID, 선정 가부, 소재지의 각 필드를 갖는다. 도 5와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 부품 ID 필드에, 부품 또는 제작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A30_1, A30_2, A30_3은, 다른 부품 또는 다른 제작자에 대응하는 부품 ID이지만, 서로 교환 가능한 부품 또는 서로 교환 가능한 제작자를 나타내고 있다. A30_1, A30_2, A30_3은, 부품 ID가 A30인 부품 또는 제작자에 대응 가능한 부품 ID이다. 제1 유저는, 물품의 제작에 부품 ID가 A30인 부품 또는 제작자가 필요해지는 경우에, 부품 ID가 A30_1, A30_2, A30_3인 부품 또는 제작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30)는, 제1 유저에 대해 A30_1, A30_2, A30_3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를 문의한다.
도 16은, 제1 유저가 물품의 제작을 의뢰한 후이며, 부품을 선택할 때에 제1 단말기(20A)의 출력부(25)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제1 유저가 예를 들어 엔진의 제작을 의뢰한 경우에, 엔진의 배기량을 선택 가능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엔진의 배기량을, 1000cc, 1500cc, 2000cc, 2500cc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이 화면은, 서버(3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제1 유저는, 제작을 의뢰할 엔진의 배기량을 클릭하고, 그 후에, 「송신」을 클릭하면, 제작 의뢰 송신부(201A)는 입력된 배기량에 관한 정보를 서버(30)로 송신한다.
도 17은, 제작 정보 DB(314)에 있어서의 제작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제작 정보 테이블은, 물품 ID 및 부품 ID의 각 필드를 갖는다. 도 7과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물품 ID가 C01인 물품을 제작할 경우에는, 제작 순서 1번(#1)으로, 부품 ID가 A20인 부품 또는 제작자가 필요하고, 제작 순서 2번(#2)으로, 부품 ID가 A30인 부품 또는 제작자가 필요하고, 제작 순서 3번(#3)으로, 부품 ID가 A40인 부품 또는 제작자가 필요하다. 부품 ID가 A30인 부품 또는 제작자에는, 부품 ID가 A30_1, A30_2, A30_3인 부품 또는 제작자가 대응 가능하고, 부품 ID가 A40인 부품 또는 제작자에는, 부품 ID가 A40_1, A40_2인 부품 또는 제작자가 대응 가능하다. 단, 부품 또는 제작자의 조합에 제한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유저가 A30_1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1 유저는 A40_2를 선택할 수 없다. 한편, 제1 유저가 A30_2 또는 A30_3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1 유저는 A40_1을 선택할 수는 없다. 즉, 도 17에 나타낸 예에서는, 물품 ID 「C01」인 물품의 제작을 의뢰하는 경우에는, 부품 ID가 A20, A30_1, A40_1···인 조합과, 부품 ID가 A20, A30_2, A40_2···인 조합과, A20, A30_3, A40_2···인 조합의 세 조합 중에서,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게 된다.
처리의 흐름: 서버
다음으로, 서버(30)가 차량(10)에 운행 지령을 송신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행 지령을 송신하는 처리의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처리는, 서버(30)의 프로세서(31)에 의해 소정의 시간마다 실행된다. 또한, 여기서는, 물품 정보 DB(312), 차량 정보 DB(313) 및 제작 정보 DB(314)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차량(10), 제1 단말기(20A) 및 제2 단말기(20B)로부터 서버(30)가 이미 수신한 것으로 한다.
스텝 S301에서는, 제작 의뢰 취득부(303)가, 제1 단말기(20A)로부터 제작 의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0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02로 진행하고,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본 루틴을 종료시킨다.
스텝 S302에서는, 부품 선정부(305)가, 제작 의뢰에 관한 물품을 제작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부품 및 제작자에 대응하는 부품 ID의 조합을 모두 취득한다. 부품 선정부(305)는, 제작 정보 DB(314) 및 물품 정보 DB(312)에 액세스하여, 제작 의뢰에 관한 물품 ID에 대응하는 부품 ID의 조합 중에서, 선정 가부가 모두 「가」인 부품 ID의 조합을 모두 취득한다. 또한, 선정 가부가 모두 「가」인 부품 ID의 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부품 선정부(305)는, 부품 또는 제작자가 부족하기 때문에 물품을 제작할 수 없음을 제1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스텝 S303에서는, 부품 선정부(305)가, 스텝 S302에서 취득한 조합이 복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03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04로 진행하고,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05로 진행한다. 스텝 S305에서는, 부품 ID의 조합이 하나밖에 없으므로, 그 부품 ID의 조합으로 물품을 제작하는 것이 부품 선정부(305)에 의해 확정된다. 즉, 부품 선정부(305)에 의해 제작자 및 부품이 특정된다.
한편, 스텝 S304에서는, 부품 선정부(305)가, 제1 단말기(20A)에 대해 복수의 부품 ID의 조합 중에서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라는 요구(선택 요구)를 송신한다. 즉, 부품 선정부(305)는, 선택할 조합을 제1 유저에게 문의한다. 이 선택 요구는, 부품 선정부(305)가 생성하여 제1 단말기(20A)로 송신한다. 선택 요구에는, 부품 또는 제작자의 선택을 촉구하는 화면을 제1 단말기(20A)에 표시시키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스텝 S306에서는, 부품 선정부(305)가, 제1 단말기(20A)로부터 선택 요구에 대한 회답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06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07로 진행하고,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06의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
스텝 S307에서는, 부품 선정부(305)가, 제1 단말기(20A)로부터 회답이 있는 부품 ID의 조합으로 물품을 제작하는 것을 확정한다. 즉, 부품 선정부(305)에 의해 제작자 및 부품이 특정된다. 스텝 S308에서는, 물품을 제작하기 위한 차량(10)이 선정된다. 차량 선정부(302)는, 차량 정보 DB(313)에 액세스하여, 스텝 S305 또는 스텝 S307에서 확정된 부품 ID의 조합에 대응하고 있는 차량(10)이며, 가동 상황이 「대기」인 차량(10)을 선정한다.
스텝 S309 내지 스텝 S311에 대해서는, 상기 스텝 S104 내지 스텝 S106까지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10)을 주행시키는 처리의 흐름도는, 도 14에 나타낸 흐름도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율 주행하는 차량(10)을 이용하여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장에 부품을 확보해 둘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물품의 제작자는, 물품의 제작에 적합한 장소에서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의 제작에 대해 제1 유저가 부품 또는 제작자의 선택에 관여할 수 있으므로, 제1 유저의 요구에 맞출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서버(30)는, 물품의 제작자 중 1인으로서, 제1 유저를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30)는, 물품의 부품 중 하나로서, 제1 유저가 제공하는 부품을 선정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제1 유저 자신이 관여하는 공정을 제1 유저가 제1 단말기(20A)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해 둔다. 이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서버(30)는, 제1 유저를 이 공정에 있어서의 제작자로서 선정하거나, 제1 유저가 제공하는 부품을 이 공정에 있어서의 부품으로서 선정하거나 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0A)의 제작 의뢰 송신부(201A)가 제작 의뢰를 생성할 때, 제1 유저가 관여하는 공정에 관한 정보를 제작 의뢰에 포함시킨다. 제1 유저는, 자신이 관여하는 공정을 제1 단말기(20A)에 입력할 수 있다. 단, 제1 유저는 일부의 공정에 관여할 수는 있지만, 모든 공정에 관여하는 일은 없다. 공정은, 예를 들어 도 7에 있어서 설명한 순서(#1, #2, #3…)에 대응한다. 제1 유저가 관여할 수 있는 공정은, 물품마다 정해져 있어도 된다.
제작 의뢰 송신부(201A)는,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0A)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물품의 제작을 의뢰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출력하고, 당해 아이콘을 제1 유저가 클릭한 후에, 또한 제1 유저가 관여하는 공정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출력한다. 당해 아이콘을 제1 유저가 클릭하면, 제작 의뢰 송신부(201A)는 제작 의뢰를 생성한다. 제작 의뢰에는, 제1 유저가 제작을 의뢰한 물품의 정보, 및 제1 유저가 관여를 희망하는 공정(이하, 관여 희망 프로젝트라고도 함)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제작 의뢰 송신부(201A)는, 생성한 제작 의뢰를, 유저 ID와 결부하여 서버(30)로 송신한다.
도 19는, 제1 유저가 물품의 제작을 의뢰할 때에 제1 단말기(20A)의 출력부(25)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화면은, 물품의 제작을 의뢰하기 위한 화면(도 10 참조)에 제1 유저가 입력을 완료한 후에 표시된다. 제1 유저가, 「스스로 행할 공정」 중에서 스스로 행하기를 희망하는 공정을 클릭한다. 도 19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공정, 제2 공정, 제3 공정 중 어느 것을 선택 가능하다. 또한, 물품의 제작에 대한 관여를 제1 유저가 희망하지 않는 경우에는, 「없음」을 클릭한다. 그 후에, 「송신」을 클릭하면, 제작 의뢰 송신부(201A)는 제작 의뢰를 생성하고, 당해 제작 의뢰를 서버(30)로 송신한다.
제작 의뢰를 취득한 서버(30)의 부품 선정부(305)는, 제작 정보 DB(314)로부터 부품 ID의 조합을 취득한 후에, 제작 정보 DB(314)로부터 취득한 부품 ID 중, 관여 희망 프로젝트에 관한 부품 ID를, 제1 유저에 대응하는 부품 ID로 바꾼다. 제1 유저에 대응하는 부품 ID는 물품 정보 취득부(304)에 의해 부여된다.
물품 정보 취득부(304)는, 예를 들어 제작 의뢰에 관여 희망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제1 유저에 대응하는 부품 ID, 및 제1 유저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등을 물품 정보 DB(312)에 저장한다. 도 20은, 물품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의 유저 ID는, 제2 유저에만 대응하고 있지만, 도 20에 있어서의 유저 ID는, 제1 유저에도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어 「U101」로 표시되는 유저 ID는, 제작에 관여하기를 희망하는 제1 유저에 대응하는 유저 ID이다. 이 레코드에 있어서의 부품 ID 필드에는, 제1 유저에 대응하는 부품 ID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도 20에서는 「A201」)가 입력된다. 선정 가부 필드에는, 「가」가 입력된다. 소재지 필드에는, 제1 유저의 소재지(도 20에서는 「L101」)가 입력된다.
제1 유저가, 예를 들어 도 7에 있어서의 물품 ID가 C01인 물품의 제작을 의뢰하고, 또한 제1 공정(#1)에 있어서 제1 유저가 관여하기를 희망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작 의뢰 취득부(303)가, 제1 단말기(20A)로부터 제작 의뢰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 제작 의뢰에는, 물품 ID 「C01」에 관한 정보 및 관여 희망 프로젝트 「#1」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부품 선정부(305)는 제작 의뢰에 관한 물품을 제작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부품 및 제작자에 대응하는 부품 ID의 조합을 제작 정보 DB(314)로부터 취득하여 선정한다. 이 경우,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A20, A30, A40, ···의 조합이 선정된다. 여기서, 제1 유저가 공정 「#1」에 관여하기를 희망하고 있으므로, 부품 선정부(305)는, 공정 「#1」에 대응하는 부품 ID를 「A20」로부터, 제1 유저에 대응하는 부품 ID인 「A201」로 바꾼다. 운행 지령 생성부(306)는, 각 부품 ID에 결부된 유저 ID에 대응하는 소재지를 물품 정보 DB(312)로부터 취득하여 운행 지령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10)은 제1 유저를 경유하여 이동한다.
처리의 흐름: 서버
다음으로, 서버(30)가 차량(10)에 운행 지령을 송신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행 지령을 송신하는 처리의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처리는, 서버(30)의 프로세서(31)에 의해 소정의 시간마다 실행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동일한 처리가 실행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흐름도에서는, 스텝 S102의 처리가 종료하면 스텝 S401에 진행한다. 스텝 S401에서는, 부품 선정부(305)는 제작 의뢰에 관여 희망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아니냐 판정한다. 스텝 S40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402에 진행하고,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402에서는, 부품 선정부(305)는, 제작 정보 DB(314)로부터 취득한 부품 ID 중, 관여 희망 프로젝트에 관한 부품 ID를, 제1 유저에 대응하는 부품 ID로 바꾼다. 그 후의 스텝 S104에 있어서, 제1 유저에 대응하는 부품 ID가 포함되는 경우에도, 운행 지령 생성부(306)는 부품 ID에 결부된 유저 ID에 대응하는 소재지를 물품 정보 DB(312)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스텝 S105에 있어서 운행 지령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유저의 소재지가 경유지에 포함된 상태에서 운행 지령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차량(10)이 제1 유저의 소재지를 경유하게 되므로, 제1 유저는, 물품을 제작하거나 부품을 제공하거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유저 자신도 물품의 제작에 참여함으로써, 제1 유저가 즐기면서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유저가 부품을 만들 수는 있지만, 미완성물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부품의 설치를 숙련된 작업자에게 의뢰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한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물품을 제작하는 것에는, 제1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물품의 개조, 수리, 데코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처리나 수단은, 기술적인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자유롭게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가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가, 복수의 장치에 의해 분담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혹은, 서로 다른 장치가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가,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행되어도 상관없다.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능을 어떠한 하드웨어 구성(서버 구성)에 의해 실현할지는 유연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서버(3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10)에 탑재되어 있는 단말기가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해도 되고, 제1 단말기(20A)가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해도 된다. 또한, 서버(30)와, 차량(10)에 탑재되어 있는 단말기 또는 제1 단말기(20A)가,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30)가, 기능 구성 요소로서, 차량 관리부(301), 차량 선정부(302), 제작 의뢰 취득부(303), 물품 정보 취득부(304), 부품 선정부(305), 운행 지령 생성부(306), 유저 정보 DB(311), 물품 정보 DB(312), 차량 정보 DB(313), 제작 정보 DB(314), 지도 정보 DB(315)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 기능 구성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량(10)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단말기(20A)는, 차량(10)에 탑재되어 있는 단말기여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컴퓨터에 공급하고, 당해 컴퓨터가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도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명령은, 컴퓨터의 시스템 버스에 접속 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에 의해 저장되어 컴퓨터에 제공되어도 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제공되어도 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등), 광 디스크(CD-ROM, DVD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등) 등 임의의 타입의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EPROM, EEPROM, 자기 카드, 플래시 메모리, 광학식 카드, 전자적 명령을 저장하기 위해 적합한 임의의 타입의 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19)

  1. 운행 지령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행하는 이동체(10)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30)이며,
    물품을 제작하는 의뢰를 유저로부터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의 제작자를 특정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물건을 특정하는 것과,
    특정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특정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취득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10)가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상기 이동체(10)의 운행 지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3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1)는,
    상기 제작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취득한, 상기 제작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1)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상기 물건으로서, 상기 물품을 구성하는 부품을 특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1)는, 상기 부품 중, 동일한 부품을 복수의 소재지로부터 공급 가능한 경우, 소정의 룰에 따라서 상기 동일한 부품 중 하나의 부품을 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1)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상기 물건으로서,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도구를 특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1)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이동체(10)가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상기 운행 지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1)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할 때,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의 조합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유저가 선택할 조합을 상기 유저에 문의하고, 상기 유저가 선택하는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1)는, 상기 유저로부터 취득한 의뢰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에 상기 유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물건에 상기 유저가 제공하는 물건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1)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할 때,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의 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수 없음을, 상기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운행 지령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행하는 이동체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물품을 제작하는 의뢰를 유저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의 제작자를 특정하고,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물건을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특정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취득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10)가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상기 이동체(10)의 운행 지령을 생성하고,
    상기 제작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제작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상기 물건으로서, 상기 물품을 구성하는 부품을 특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중, 동일한 부품을 복수의 소재지로부터 공급 가능한 경우, 소정의 룰에 따라서 상기 동일한 부품 중 하나의 부품을 선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상기 물건으로서,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도구를 특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이동체(10)가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상기 운행 지령을 생성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할 때,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의 조합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유저가 선택할 조합을 상기 유저에게 문의하고, 상기 유저가 선택하는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로부터 취득한 의뢰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에 상기 유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물건에 상기 유저가 제공하는 물건을 포함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할 때,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의 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수 없음을 상기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9.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이하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기억 매체이며,
    상기 기능은,
    물품을 제작하는 의뢰를 유저로부터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의 제작자를 특정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의뢰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을 제작할 때에 사용할 물건을 특정하는 것과,
    특정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특정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 및 취득한 상기 물건의 소재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행하는 이동체(10)가 상기 제작자의 소재지 및 상기 물건의 소재지를 경유하도록, 상기 이동체(10)의 운행 지령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작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취득한, 상기 제작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물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작자 및 상기 물건을 특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억 매체.
KR1020200016731A 2019-02-22 2020-02-12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2464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0581A JP7095623B2 (ja) 2019-02-22 2019-02-22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JP-P-2019-030581 2019-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934A KR20200102934A (ko) 2020-09-01
KR102464113B1 true KR102464113B1 (ko) 2022-11-08

Family

ID=6964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731A KR102464113B1 (ko) 2019-02-22 2020-02-12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72158A1 (ko)
EP (1) EP3699707A1 (ko)
JP (1) JP7095623B2 (ko)
KR (1) KR102464113B1 (ko)
CN (1) CN111736590B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9711A (ja) * 2000-01-28 2001-08-03 Amada Co Ltd 商品製造先自動決定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商品製造先自動決定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2342505A (ja) * 2001-05-11 2002-11-29 Canon Inc 保守部品物流支援システム、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20080091301A1 (en) * 2004-11-26 2008-04-17 Abb Research Ltd.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An Industrial Robot
JP2013200647A (ja) * 2012-03-23 2013-10-03 Nec Corp 生産システムおよび生産方法
US20170235297A1 (en) * 2016-02-12 2017-08-17 The Boeing Company Systems for intelligent batch processing
US20180205682A1 (en) * 2017-01-13 2018-07-19 Wal-Mart Stores, Inc. Electronic communications in connection with a package delivery
US20180276595A1 (en) * 2017-03-27 2018-09-27 Clearpath Robo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lineside parts delivery to an assembly line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1213A (en) * 1987-09-30 1989-04-10 Toyota Motor Corp Unmanned carrier
JP3344692B2 (ja) * 1997-04-28 2002-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提供装置
JP2002362748A (ja) * 2001-06-05 2002-12-18 Toyota Motor Corp 運搬ルート指示装置
JP2005134429A (ja) * 2003-10-28 2005-05-26 Pioneer Electronic Corp 交通状況報知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251559A (ja) * 2006-03-15 2007-09-27 Omron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入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100092B2 (ja) * 2006-11-27 2012-1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作業指示管理システム、作業指示管理方法、作業指示管理プログラム、作業指示管理装置、および電子ペーパ
JP2010160668A (ja) * 2009-01-08 2010-07-22 Nec Corp 情報処理装置
US20130022950A1 (en) * 2011-07-22 2013-01-24 Muniz Simas Fernando Moreir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behavioral studies of an individual
US9111323B2 (en) * 2012-02-02 2015-08-18 Layers, LLC Methods for predictive consumer item ordering and devices thereof
ES2769797T3 (es) * 2012-08-09 2020-06-29 Abb Schweiz Ag Fabricación de producción ultraflexible
US9058583B2 (en) * 2012-09-06 2015-06-16 Sap Se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access to item information
DE102013000569B4 (de) * 2013-01-15 2020-07-23 Audi Ag Fertigungsanlage zur Serienfertigung von Kraftfahrzeugen
EP2817170A4 (en) * 2013-04-15 2015-11-04 ACCESS TO USER PROFILES STORED IN THE FORM OF MODELS AND PORTABILITY OF THESE USER PROFILES
JP2017500635A (ja) * 2013-11-08 2017-01-05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ンデマンドでの3d製造を介するアイテム配送のためのベンダ・インタフェース
JP2015141110A (ja) * 2014-01-29 2015-08-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並びに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WO2016051524A1 (ja) * 2014-09-30 2016-04-07 日立建機株式会社 運転支援システム、車両、運転支援端末装置、及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US10437435B2 (en) * 2014-11-21 2019-10-08 Deliveright Logistics, Inc Deliver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zero-inventory distribution
DE102014224082A1 (de) * 2014-11-26 2016-06-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zeugs und zum Betreiben eines Fertigungssystems
KR20170060809A (ko) * 2015-11-25 2017-06-02 이영빈 네트워크 기반의 차량 정비 방법 및 시스템
DE102016010983A1 (de) * 2016-09-10 2018-03-15 Audi Ag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Objekts
JP6676559B2 (ja) 2017-01-30 2020-04-0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管理装置、配送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09990B1 (ja) * 2018-02-01 2018-10-24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124576A (ja) 2018-04-26 2018-08-09 住友化学株式会社 液晶硬化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9711A (ja) * 2000-01-28 2001-08-03 Amada Co Ltd 商品製造先自動決定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商品製造先自動決定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2342505A (ja) * 2001-05-11 2002-11-29 Canon Inc 保守部品物流支援システム、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20080091301A1 (en) * 2004-11-26 2008-04-17 Abb Research Ltd.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An Industrial Robot
JP2013200647A (ja) * 2012-03-23 2013-10-03 Nec Corp 生産システムおよび生産方法
US20170235297A1 (en) * 2016-02-12 2017-08-17 The Boeing Company Systems for intelligent batch processing
US20180205682A1 (en) * 2017-01-13 2018-07-19 Wal-Mart Stores, Inc. Electronic communications in connection with a package delivery
US20180276595A1 (en) * 2017-03-27 2018-09-27 Clearpath Robo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lineside parts delivery to an assembly line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5629A (ja) 2020-08-31
CN111736590A (zh) 2020-10-02
JP7095623B2 (ja) 2022-07-05
CN111736590B (zh) 2023-09-19
KR20200102934A (ko) 2020-09-01
EP3699707A1 (en) 2020-08-26
US20200272158A1 (en)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19930B (zh) 配送状态信息的查询方法、装置和介质
US20230237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Provision Replenishment
CN111736584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存储介质
CN111052171A (zh) 为自动驾驶车辆安排停靠位置
US11043129B2 (en) Mobile objec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object system
US20190228664A1 (en) Vehicle calling system
JP7043242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配達管理システム
JP6270953B1 (ja) 配達管理サーバ及び配達管理方法
US117603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202003555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obile-shop vehicle
JP2018124900A (ja) 運転管理装置、運転管理方法および運転管理システム
KR102464113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CN111538325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201617334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18124899A (ja) 運転管理装置、運転管理方法および運転管理システム
JP707046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707562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49699A (ja) ソフトウェア書換装置
CN113219959A (zh) 信息处理装置、系统以及信息处理方法
US113648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9139684A (ja) 移動体システム、および運行制御方法
JP7052739B2 (ja)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49707A (ja) 収容領域管理装置
JP2021149714A (ja) 報知装置
JP2021149698A (ja) ソフトウェア書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