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305B1 - 광 프린트 헤드, 화상 형성 장치, 및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 프린트 헤드, 화상 형성 장치, 및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305B1
KR102410305B1 KR1020207000519A KR20207000519A KR102410305B1 KR 102410305 B1 KR102410305 B1 KR 102410305B1 KR 1020207000519 A KR1020207000519 A KR 1020207000519A KR 20207000519 A KR20207000519 A KR 20207000519A KR 102410305 B1 KR102410305 B1 KR 102410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rray
delete delete
print head
optical print
hold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950A (ko
Inventor
야스아키 오토구로
유타 오카다
다이스케 아루가
히토시 이와이
신이치로 호소이
유이치로 이마이
도시키 모모카
요시타카 오츠보
사이몬 고큐
다케히로 이시다테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03G15/04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by introducing an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path, e.g. a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ight-emitting diode [LED] or laser arrays
    • B41J2/451Special optical means therefor, e.g. lenses, mirrors, focus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03G15/04054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by LED ar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6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exposure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32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reproduction
    • H04N1/036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reproduction for optical reprod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Facsimile Head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유 지지체(505)는,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에 대향하는 제1 대향부(제1 내벽면)와 제2 대향부(제2 내벽면)를 구비한다. 렌즈 어레이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렌즈 어레이의 양단측의 측벽면은 제1 대향부의 양단과 제2 대향부의 양단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Description

광 프린트 헤드, 화상 형성 장치, 및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광 프린트 헤드, 광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 드럼을 노광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광 프린트 헤드를 갖는다. 광 프린트 헤드로서는, 발광 소자의 예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나 유기 EL(EIectro Luminescence) 등을 이용하는 것이 있으며, 이들 발광 소자가 감광 드럼의 회전축선 방향을 따라, 예를 들어 1열이나 지그재그형의 2열로 복수 배열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광 프린트 헤드는,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감광 드럼에 집광시키기 위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다. 복수의 렌즈는, 복수의 발광 소자와 감광 드럼 사이에 있어서, 발광 소자의 배열 방향을 따르도록 감광 드럼 표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은 렌즈를 통하여 감광 드럼 표면에 집광된다. 이것에 의하여 감광 드럼 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은 소모품이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교환된다. 유저나 메인터넌스자 등의 작업자는, 감광 드럼을 갖는 교환 유닛을 교환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교환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삽발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광 프린트 헤드가 감광 드럼을 노광할 때, 렌즈와 감광 드럼 표면의 간격은 3㎜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교환 유닛의 교환 시에는, 광 프린트 헤드를 감광 드럼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광 프린트 헤드와 감광 드럼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화상 형성 장치는, 광 프린트 헤드를, 감광 드럼을 노광할 때의 노광 위치와, 교환 유닛 착탈을 위하여 노광 위치보다도 감광 드럼으로부터 멀어진 이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광 프린트 헤드와 같은 노광 수단은 대전기와 현상기 사이에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감광 드럼이나 광 프린트 헤드, 대전기, 현상기 등의 상호 간의 거리를 가능한 한 접근시키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광 프린트 헤드 주위에서는 감광 드럼이나 현상기로부터 토너가 비산하고 있다. 그 때문에, 비산한 토너 등이 광 프린트 헤드의 내부에 유입되면 발광 소자가 오염되어,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부분적으로 차광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출력 화상의 화질 저하를 낳는 일 원인이다. 따라서 렌즈는 광 프린트 헤드 본체에 대하여 간극 없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이상적이다. 렌즈와 광 프린트 헤드 본체의 설치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5125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51250호 공보의 도 3이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56)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62)와 대향하도록 하우징(58)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56)와 하우징(58)은 밀봉제(70)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주위를 비산하는 토너 등이 렌즈 어레이(56)와 하우징(58)의 간극으로부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프레임에 렌즈 어레이(56)를 삽입한 상태에서 접촉부(78A 및 78B)를 따라 밀봉제(70)를 도포함으로써 렌즈 어레이(56)를 하우징(58)에 설치한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12-51250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에는,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과제가 있다. 렌즈 어레이(56)를 보유 지지체(하우징(58))에 설치할 때, 감광 드럼 표면에 집광되는 광의 스폿 직경이 임의의 값으로 되도록 렌즈 어레이(56)의 배치 위치를 발광 소자의 광 출사면과 감광 드럼 표면 사이에 있어서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렌즈 어레이(56)를 어떠한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체에 대한 설치 위치를 미세 조정한 후, 렌즈 어레이(56)와 보유 지지체를 접착제 등으로 설치한다. 렌즈 어레이(56)를 보유 지지하는 데에 있어서, 렌즈 어레이(56)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 렌즈 어레이(56)를 보유 지지해서는 렌즈 어레이(56)를 절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렌즈 어레이(56)를 렌즈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 보유 지지하는 방법에서는, 렌즈 어레이(56)를 보유 지지체에 설치할 때에, 렌즈 어레이(56)의 하면을 보유 지지하는 부분이 보유 지지체의 상면과 간섭한다. 렌즈 어레이의 양 측벽면(감광 드럼의 회전축선 방향과 렌즈의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과 공차되는 면)의 일부를 어떠한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할 필요가 있지만, 일본 특허 공개 제2012-51250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도 1 참조)에서는, 렌즈 어레이의 측벽면 중, 보유 지지체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이 충분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따라서 렌즈 어레이와 보유 지지체를 설치할 때에, 렌즈 어레이(56)의 일부를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그 설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상기 과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광 프린트 헤드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광 프린트 헤드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감광 드럼을 노광하기 위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상기 광 프린트 헤드의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발광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에 집광시키는 복수의 렌즈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렌즈 어레이와, 상기 발광부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와,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긴 쪽 방향과 상기 광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방측의 측벽면인 제1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1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1 대향부와, 상기 출사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타방측의 측벽면인 제2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2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2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단측과 타단측 중 적어도 상기 일단측의 상기 제1 측벽면은,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대향부의 단부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단측과 타단측 중 적어도 상기 타단측의 상기 제2 측벽면은,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대향부의 단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프린트 헤드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광 프린트 헤드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감광 드럼을 노광하기 위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상기 광 프린트 헤드의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발광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에 집광시키는 복수의 렌즈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렌즈 어레이와, 상기 발광부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와,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긴 쪽 방향과 상기 광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방측의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1 대향부와, 상기 출사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타방측의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2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측벽면은,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대향부의 양단과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대향부의 양단 중 어느 것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프린트 헤드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광 프린트 헤드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감광 드럼을 노광하기 위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상기 광 프린트 헤드의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발광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에 집광시키는 복수의 렌즈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렌즈 어레이와, 상기 발광부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를 갖고, 상기 보유 지지체는, 상기 긴 쪽 방향과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방측의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1 대향부와,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타방측의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2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 중 적어도 한쪽 대향부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측벽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 드럼과 광 프린트 헤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광 프린트 헤드는, 상기 감광 드럼을 노광하기 위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상기 광 프린트 헤드의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발광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에 집광시키는 복수의 렌즈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렌즈 어레이와, 상기 발광부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와,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긴 쪽 방향과 상기 광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방측의 측벽면인 제1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1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1 대향부와, 상기 출사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타방측의 측벽면인 제2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2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2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단측과 타단측 중 적어도 상기 일단측의 상기 제1 측벽면은,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대향부의 단부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단측과 타단측 중 적어도 상기 타단측의 상기 제2 측벽면은,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대향부의 단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 드럼과 광 프린트 헤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감광 드럼을 노광하기 위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상기 광 프린트 헤드의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발광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에 집광시키는 복수의 렌즈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렌즈 어레이와, 상기 발광부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와,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긴 쪽 방향과 상기 광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방측의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1 대향부와, 상기 출사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타방측의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2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측벽면은,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대향부의 양단과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대향부의 양단 중 어느 것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 드럼과 광 프린트 헤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광 프린트 헤드는, 상기 감광 드럼을 노광하기 위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상기 광 프린트 헤드의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발광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에 집광시키는 복수의 렌즈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렌즈 어레이와, 상기 발광부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를 갖고, 상기 보유 지지체는, 상기 긴 쪽 방향과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방측의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1 대향부와,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타방측의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2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 중 적어도 한쪽 대향부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측벽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광 프린트 헤드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감광 드럼을 노광하기 위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상기 광 프린트 헤드의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발광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입사되어 출사되는 출사면을 갖는 렌즈이자, 상기 광을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에 집광시키는 복수의 상기 렌즈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렌즈 어레이와, 상기 발광부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와,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긴 쪽 방향과 상기 광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방측의 측벽면인 제1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1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1 대향부와, 상기 출사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타방측의 측벽면인 제2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2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2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측벽면의 양단측은,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대향부의 단부로부터 각각 노출되고, 또한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측벽면의 양단측은,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대향부의 단부로부터 각각 노출되어 있는,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양단측의 측벽면이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상기 수직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는 보유 지지 공정과,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된 상기 렌즈 어레이가,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부가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는 부분이,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대향부의 단부와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대향부의 단부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되도록 상기 보유 지지체에 대하여 배치되는 배치 공정과, 상기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고, 상기 입사면에 입사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 장치에서 수광하는 수광 공정과, 상기 수광 공정에 있어서의 수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된 상태의 상기 렌즈 어레이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 공정과,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부의 간격이 조정된 상기 렌즈 어레이를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에 접착 고정하는 접착 공정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광 프린트 헤드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감광 드럼을 노광하기 위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상기 광 프린트 헤드의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발광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입사되어 출사되는 출사면을 갖는 렌즈이자, 상기 광을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에 집광시키는 복수의 상기 렌즈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렌즈 어레이와, 상기 발광부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와,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광의 출사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긴 쪽 방향과 상기 광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방측의 측벽면인 제1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1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1 대향부와, 상기 출사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타방측의 측벽면인 제2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2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2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단측과 타단측 중 적어도 상기 일단측의 상기 제1 측벽면은,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대향부의 단부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단측과 타단측 중 적어도 상기 타단측의 상기 제2 측벽면은,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대향부의 단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측벽면이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는 보유 지지 공정과,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된 상기 렌즈 어레이가,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부가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대향부의 단부와 상기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대향부의 단부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되도록 상기 보유 지지체에 대하여 배치되는 배치 공정과, 상기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고, 상기 입사면에 입사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 장치에서 수광하는 수광 공정과, 상기 수광 공정에 있어서의 수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된 상태의 상기 렌즈 어레이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 공정과,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부의 간격이 조정된 상기 렌즈 어레이를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에 접착 고정하는 접착 공정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광 프린트 헤드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감광 드럼을 노광하기 위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상기 광 프린트 헤드의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발광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입사되어 출사되는 출사면을 갖는 렌즈이자, 상기 광을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에 집광시키는 복수의 상기 렌즈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렌즈 어레이와, 상기 발광부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를 갖고, 상기 보유 지지체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긴 쪽 방향과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방측의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1 대향부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타방측의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2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대향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제2 대향부에 형성된 오목부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측벽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측벽면이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는 보유 지지 공정과,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된 상기 렌즈 어레이가,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부가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제1 대향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제2 대향부에 형성된 오목부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되도록 상기 보유 지지체에 대하여 배치되는 배치 공정과, 상기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고, 상기 입사면에 입사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 장치에서 수광하는 수광 공정과, 상기 수광 공정에 있어서의 수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된 상태의 상기 렌즈 어레이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 공정과,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부의 간격이 조정된 상기 렌즈 어레이를 상기 보유 지지체에 접착 고정하는 접착 공정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광 프린트 헤드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감광 드럼을 노광하기 위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상기 광 프린트 헤드의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발광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입사되어 출사되는 출사면을 갖는 렌즈이자, 상기 광을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에 집광시키는 복수의 상기 렌즈가, 상기 긴 쪽 방향으로 늘어세워진 렌즈 어레이와, 상기 발광부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를 갖고, 상기 보유 지지체는, 상기 긴 쪽 방향과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방측의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1 대향부와,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타방측의 측벽면에 대향하여, 상기 측벽면이 접착 고정되는 제2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부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측벽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어레이의 측벽면이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는 보유 지지 공정과,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된 상기 렌즈 어레이가,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부가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오목부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되도록 상기 보유 지지체에 대하여 배치되는 배치 공정과, 상기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고, 상기 입사면에 입사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 장치에서 수광하는 수광 공정과, 상기 수광 공정에 있어서의 수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된 상태의 상기 렌즈 어레이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 공정과, 상기 입사면과 상기 발광부의 간격이 조정된 상기 렌즈 어레이를 상기 보유 지지체에 접착 고정하는 접착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 프린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렌즈 어레이의 긴 쪽 방향 양단측이자 양 측벽면을 파지 기구에 의하여 파지한 상태에서 렌즈 어레이를, 보유 지지체에 형성된 제1 대향부와 제2 대향부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어레이를 파지 기구로 파지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체에 대한 렌즈 어레이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드럼 유닛 주위의 사시도.
도 3은 노광 유닛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광 프린트 헤드의 기판, LED 칩, 및 렌즈 어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렌즈 어레이 및 기판을 도시하고 있지 않은 보유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렌즈 설치부의 형상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보유 지지체에 대한 접착제의 도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렌즈 설치부의 일단측의 확대도.
도 9는 접착제를 보유 지지체 상에 머물게 하기 위한 볼록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광 프린트 헤드의 측면도.
도 11은 광 프린트 헤드가 드럼 유닛에 맞닿은 상태와 퇴피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드럼 유닛의 후측에 설치되는 부시의 사시도.
도 13은 제1 지지부 및 제3 지지부의 사시도.
도 14는 제2 지지부, 후측판, 및 제2 지지부에 설치되는 노광 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제1 지지부를 도시하고 있지 않은 이동 기구의 사시도.
도 16은 λ형의 제1 링크 기구의 측면도.
도 17은 노광 유닛의 개략 사시도.
도 18은 이동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X형의 이동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캠 기구를 이용한 이동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커버의 사시도.
도 22는 커버가 닫힐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커버의 사시도.
도 23은 커버가 닫힐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커버의 측면도.
도 24는 커버가 개방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커버의 사시도.
도 25는 커버가 개방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커버의 측면도.
도 26은 보유 지지체의 양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7은 보유 지지체의 타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실시예)
(화상 형성 장치)
먼저, 화상 형성 장치(1)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는, 판독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컬러 프린터(SFP: Small Function Printer)이지만, 실시 형태는, 판독 장치를 구비하는 복사기여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감광 드럼(103)을 구비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감광 드럼(103)을 구비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나, 모노크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여도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는,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4기의 화상 형성부(102Y, 102M, 102C, 102K)(이하, 총칭하여 간단히 「화상 형성부(102)」라고도 칭함)를 구비한다. 또한 화상 형성부(102Y, 102M, 102C, 102K)는 각각 감광 드럼(103Y, 103M, 103C, 103K)(이하, 총칭하여 간단히 「감광 드럼(103)」이라고도 칭함)을 구비한다. 또한 화상 형성부(102Y, 102M, 102C, 102K)는, 감광 드럼(103Y, 103M, 103C, 103K)을 각각 대전시키는 대전기(104Y, 104M, 104C, 104K)(이하, 총칭하여 간단히 「대전기(104)」라고도 칭함)를 구비한다. 또한 화상 형성부(102Y, 102M, 102C, 102K)는, 감광 드럼(103Y, 103M, 103C, 103K)을 노광하는 광을 출사하는 노광 광원으로서의 LED(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기재) 노광 유닛(500Y, 500M, 500C, 500K)(이하, 총칭하여 간단히 「노광 유닛(500)」이라고도 칭함)을 구비한다. 또한, 화상 형성부(102Y, 102M, 102C, 102K)는, 감광 드럼(103) 상의 정전 잠상을 토너에 의하여 현상하여, 감광 드럼(103) 상에 각 색의 토너 상을 현상하는 현상기(106Y, 106M, 106C, 106K)(이하, 총칭하여 간단히 「현상기(106)」라고도 칭함)를 구비한다. 부호에 붙여진 Y, M, C, K는 토너의 색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1)는, 감광 드럼(103)에 형성된 토너 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107), 각 화상 형성부(102)의 감광 드럼(103)에 형성된 토너 상을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순차 전사시키는 1차 전사 롤러(108)(Y, M, C, K)를 구비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는, 중간 전사 벨트(107) 상의 토너 상을, 급지부(101)로부터 반송되어 온 기록지 P에 전사시키는 2차 전사 롤러(109), 2차 전사된 화상을 기록지 P에 정착시키는 정착기(100)를 구비한다.
(드럼 유닛)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착탈 가능한 교환 유닛의 일례인 드럼 유닛(518)(Y, M, C, K) 및 현상 유닛(641)(Y, M, C, K)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는, 화상 형성 장치(1)가 구비하는 드럼 유닛(518) 및 현상 유닛(641) 주위의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2의 (b)는, 화상 형성 장치(1)에 대하여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삽입 도중인 상태의 드럼 유닛(518)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는, 판금으로 형성되는 전측판(642)과 후측판(643)을 구비한다. 전측판(642)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측에 마련된 측벽이다. 한편, 후측판(643)은, 화상 형성 장치(1)의 배면측에 마련된 측벽이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판(642)과 후측판(643)은 대면하여 배치되며, 그들 사이에는 빔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판금이 가교되어 있다. 전측판(642), 후측판(643), 및 도시하지 않은 빔은 각각 화상 형성 장치(1)의 프레임체의 일부를 구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측으로부터 드럼 유닛(518) 및 현상 유닛(641)을 삽발할 수 있도록 전측판(642)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드럼 유닛(518) 및 현상 유닛(641)은, 개구를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의 소정의 위치(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는, 장착 위치에 장착된 드럼 유닛(518)과 현상 유닛(641)의 정면측을 덮는 커버(558)(Y, M, C, K)를 구비한다. 커버(558)는, 일단이 힌지에 의하여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힌지에 의하여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작업자가 커버(558)를 개방하고 본체 내의 드럼 유닛(518) 혹은 현상 유닛(641)을 취출하고, 새로운 드럼 유닛(518) 혹은 현상 유닛(641)을 삽입하고 커버(558)를 닫음으로써 유닛의 교환 작업이 완료된다. 커버(558)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측판(642)측을 전측, 후측판(643)측을 후측으로 정의한다. 또한 블랙의 토너 상에 관한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103K)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옐로의 토너 상에 관한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103Y)이 배치되어 있는 측을 우측으로 정의한다. 또한 옐로의 토너 상에 관한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103Y)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블랙의 토너 상에 관한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103K)이 배치되어 있는 측을 좌측으로 정의한다. 또한, 여기서 정의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자 연직 방향 상향을 상측 방향, 또한 여기서 정의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자 연직 방향 하향을 하측 방향으로 정의한다. 정의한 전측 방향, 후측 방향, 우측 방향, 좌측 방향, 상측 방향, 하측 방향을 도 2에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본문에서 기재하는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은 여기서 정의하는 전측을 의미하고, 타단측은 여기서 정의하는 후측을 의미한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관해서도 여기서 정의하는 전측 및 후측에 대응한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은 여기서 정의하는 우측을 의미하고, 타단측은 여기서 정의하는 좌측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는 드럼 유닛(518)이 설치된다. 드럼 유닛(518)은 교환되는 카트리지이다. 본 실시예의 드럼 유닛(518)은, 드럼 유닛(518)의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감광 드럼(103)을 구비한다. 드럼 유닛(518)은 감광 드럼(103), 대전기(104), 및 도시하지 않은 클리닝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감광 드럼(103)이, 예를 들어 클리닝 장치에 의한 클리닝에 의하여 마모되거나 하여 수명이 다 되었을 때에,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작업자가 드럼 유닛(518)을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고 감광 드럼(103)을 교환한다. 드럼 유닛(518)은, 대전기(104) 및 클리닝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감광 드럼(103)을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는 드럼 유닛(518)과는 별체의 현상 유닛(641)이 설치되어 있다. 현상 유닛(641)은, 도 1에 도시하는 현상기(106)를 포함한다. 현상기(106)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인 현상 슬리브를 구비한다. 현상 유닛(641)에는,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하기 위한 스크루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들 기어가 경년 열화되거나 하였을 때에는,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작업자가 현상 유닛(641)을 화상 형성 장치(1)의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고 교환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 유닛(641)은, 현상 슬리브를 구비하는 현상기(106)와, 스크루가 마련된 토너 수용부가 일체화된 카트리지이다. 또한 드럼 유닛(518) 및 현상 유닛(641)의 실시 형태는, 상기 드럼 유닛(518)과 현상 유닛(641)이 일체화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여도 된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
다음으로,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광 프린트 헤드(105Y)는, 대전기(104Y)에 의하여 대전된 감광 드럼(103Y)의 표면을 노광한다. 이것에 의하여 감광 드럼(103Y)에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현상기(106Y)는, 감광 드럼(103Y)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옐로의 토너에 의하여 현상한다. 감광 드럼(103Y)의 표면에 현상된 옐로의 토너 상은, 1차 전사부 Ty에 있어서1차 전사 롤러(108Y)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107)에 전사된다. 마젠타, 시안, 블랙의 토너 상도 마찬가지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로 중간 전사 벨트(107)에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107) 상에 전사된 각 색의 토너 상은 중간 전사 벨트(107)에 의하여 2차 전사부 T2까지 반송된다. 2차 전사부 T2에 배치된 2차 전사 롤러(109)에는, 토너 상을 기록지 P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있다. 2차 전사부 T2까지 반송된 토너 상은 2차 전사 롤러(109)의 전사 바이어스에 의하여, 급지부(101)로부터 반송되어 온 기록지 P에 전사된다.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지 P는 정착기(100)로 반송된다. 정착기(100)는 열과 압력에 의하여 기록지 P에 토너 상을 정착시킨다. 정착기(100)에 의하여 정착 처리가 이루어진 기록지 P는 배지부(111)로 배출된다.
(노광 유닛)
다음으로, 광 프린트 헤드(105)를 포함하는 노광 유닛(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채용되는 노광 방식의 일례로서, 반도체 레이저의 출사 빔을, 회전하는 폴리곤 미러 등으로 주사하고, f-θ 렌즈 등을 통하여 감광 드럼을 노광하는 레이저 빔 주사 노광 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광 프린트 헤드(105)」는,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 방향을 따라 배열된 LED 등의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감광 드럼(103)을 노광하는 LED 노광 방식에 이용되는 것이지, 상기에서 말하는 레이저 빔 주사 노광 방식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도 3의 (a)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가 구비하는 노광 유닛(50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의 (b)가, 도 3의 (a)에 도시하는 노광 유닛(500)을 하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노광 유닛(500) 및 노광 유닛(5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감광 드럼(103)을,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 방향에 수직인 면으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노광 유닛(500)은 광 프린트 헤드(105)와 이동 기구(640)를 포함한다. 광 프린트 헤드(105)는, 렌즈 어레이(506), 기판(502)(발광부), 및 렌즈 어레이(506)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505)와, 맞닿음핀(514)과, 맞닿음핀(515)을 구비한다. 이동 기구(640)는 링크 부재(651)와 링크 부재(652)와 슬라이드부(525)와 제1 지지부(527)와 제2 지지부(528)와 제3 지지부(526)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맞닿음핀(514) 및 맞닿음핀(515)은 원기둥형 핀으로 하고 있지만, 그 형상은 원기둥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기둥이나, 단부일수록 그 직경이 가늘어지는 원추와 같은 형상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맞닿음핀(514) 혹은 맞닿음핀(515) 중 한쪽은 핀일 필요는 없으며, 그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보유 지지체(505)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이더라도 상관없다.
먼저, 보유 지지체(505)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유 지지체(505)는, 기판(502), 렌즈 어레이(506), 맞닿음핀(514) 및 맞닿음핀(515)을 보유 지지하는 홀더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보유 지지체(50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맞닿음핀(514)의 길이는 7㎜, 보유 지지체(50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맞닿음핀(515)의 길이는 11㎜, 보유 지지체(505)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맞닿음핀(514)의 길이는 22㎜, 보유 지지체(505)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맞닿음핀(515)의 길이는 22㎜로 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체(505)는, 렌즈 어레이(506)가 설치되는 렌즈 설치부(701)와, 기판(502)이 설치되는 기판 설치부(702)를 구비한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보유 지지체(505)는 스프링 설치부(661(662)), 핀 설치부(632(633))를 구비한다. 보유 지지체(505)는, 렌즈 설치부(701)와 기판 설치부(702)와 스프링 설치부(661)와 스프링 설치부(662)가 일체적으로 사출 성형된 수지제의 성형물이다. 또한 보유 지지체의 재질은 수지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금속제이더라도 상관없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651)가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부(661)는, 렌즈 어레이(506)의 전측의 단부와 기판(502)의 전측의 단부의 양쪽보다도 전측이고, 핀 설치부(632)보다도 후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링크 부재(652)가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부(662)는, 렌즈 어레이(506)의 후측의 단부와 기판(502)의 후측의 단부의 양쪽보다도 후측이고, 핀 설치부(633)보다도 전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보유 지지체(505)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렌즈 어레이(506)와 맞닿음핀(514) 사이에서 링크 부재(651)에 의하여 지지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렌즈 어레이(506)와 맞닿음핀(515) 사이에서 링크 부재(652)에 의하여 지지된다. 링크 부재(651)와 링크 부재(652)에 의하여 보유 지지체(505)에 대하여 바이어스력이 부여되는 부분이 렌즈 어레이(506)와 상하 방향으로 겹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바이어스력에 의한 렌즈 어레이(506)의 휨이 저감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노광 유닛(500)과, 그리고 노광 유닛(5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감광 드럼(103)을,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 방향에 수직인 면으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렌즈 설치부(701)는 보유 지지체(505)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렌즈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향하여 보유 지지체(505)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렌즈 설치부(701)는 제1 내벽면(507)(제1 대향부)과 제2 내벽면(508)(제2 대향부)을 구비한다. 제1 내벽면(507)은 보유 지지체(505)의 긴 쪽 방향으로 뻗어 있고, 또한 제2 내벽면(508)은 보유 지지체(505)의 긴 쪽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내벽면(507)은 보유 지지체(505)의 수직 방향(렌즈 어레이(506)의 긴 쪽 방향과 렌즈의 광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방향)의 일방측에 마련되고, 제2 내벽면(508)은, 보유 지지체(505)의 수직 방향(렌즈 어레이(506)의 긴 쪽 방향과 렌즈의 광축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방향)의 타방측에 마련된 면이다. 즉, 렌즈 설치부(701)로부터 렌즈 어레이(506)가 분리되어 있을 때, 제1 내벽면(507)과 제2 내벽면(508)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광 프린트 헤드(105)의 조립 시에 제1 내벽면(507)과 제2 내벽면(508) 사이에 렌즈 어레이(506)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1 내벽면(507)과, 상기 제1 내벽면(507)에 대향하는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제1 측벽면)의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또한 제2 내벽면(508)과, 상기 제2 내벽면(508)에 대향하는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제2 측벽면)의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것에 의하여 렌즈 어레이(506)는 보유 지지체(505)에 고정된다. 노광 유닛(500)은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보다도 연직 방향 하측에 마련되어 있어, 광 프린트 헤드(105)가 갖는 LED(503)가 감광 드럼(103)을 하방으로부터 노광한다. 또한 상기 노광 유닛(500)은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보다도 연직 방향 상측에 마련되어, 광 프린트 헤드(105)가 갖는 LED(503)가 감광 드럼(103)을 상방으로부터 노광하는 구성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접착제는, 토너나 진애 등의 분체가 보유 지지체(505)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제의 기능을 갖는 것이더라도 상관없다. 즉, 여기서의 접착제는,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의 간극을 밀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그 보조적인 역할로서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를 접착하는 것이더라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보유 지지체(505)에 보유 지지되는 기판(50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는 기판(502)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의 (b1)은, 기판(502)에 마련된 복수의 LED(503)의 배열을 도시하고, 도 4의 (b2)는 도 4의 (b1)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기판(502)에는 LED 칩(639)이 실장되어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502)의 한쪽 면에는 LED 칩(639)이 마련되고 이면측에 커넥터(504)가 마련되어 있다. 기판(502)에는, 각 LED 칩(639)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504)에는,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의 일단이 접속된다.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에는 기판이 마련되어 있다. 기판(502)은 제어부와 커넥터를 구비한다. FFC의 타단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다. 기판(502)에는,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의 제어부로부터 FFC 및 커넥터(504)를 통하여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LED 칩(639)은, 기판(502)에 입력된 제어 신호에 의하여 구동된다.
기판(502)에 실장된 LED 칩(639)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의 (b1) 및 (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502)의 한쪽 면에는, 복수의 LED(503)가 배치된 복수의 LED 칩(639-1 내지 639-29)(29개)이 배열되어 있다. 각 LED 칩(639-1 내지 639-29)은 각각, 그 긴 쪽 방향으로 516개의 LED(발광 소자)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LED 칩(639)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LED의 중심 간 거리 k2는 화상 형성 장치(1)의 해상도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의 해상도는 1200dpi이므로, LED 칩(639-1 내지 639-29) LED 칩(639)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 LED는, 인접하는 LED의 중심 간 거리가 21.16㎛로 되도록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광 프린트 헤드(105)의 노광 범위는 약 316㎜로 된다. 감광 드럼(103)의 감광층은 316㎜ 이상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A4 사이즈의 기록지의 긴 변의 길이 및 A3 사이즈의 기록지의 짧은 변의 길이는 297㎜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광 프린트 헤드(105)는 A4 사이즈의 기록지 및 A3 사이즈의 기록지에 화상 형성 가능한 노광 범위를 갖고 있다.
LED 칩(639-1 내지 639-29)은,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 방향을 따라 2열로 되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즉, 도 4의 (b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세어 홀수 번째의 LED 칩(639-1, 639-3, … 639-29)이 기판(502)의 긴 쪽 방향으로 일렬로 실장되고, 짝수 번째의 LED 칩(639-2, 639-4, … 639-28)이 기판(502)의 긴 쪽 방향으로 일렬로 실장되어 있다. LED 칩(639)을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도 4의 (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칩(639)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이한 LED 칩(639)에 있어서의 한쪽 LED 칩(639)의 일단과 다른 쪽 LED 칩(639)의 타단에 배치된 LED의 중심 간 거리 k1을, 하나의 LED 칩(639) 상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LED의 중심 간 거리 k2와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노광 광원에 LED를 이용하는 구성을 예시하지만, 노광 광원으로서 유기 EL(Organic Electro Luminescence)을 이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렌즈 어레이(50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c1)은, 렌즈 어레이(506)를 감광 드럼(103)측에서 보았을 때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4의 (c2)는 렌즈 어레이(506)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의 (c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복수의 렌즈는 복수의 LED(503)의 배열 방향을 따라 2열로 늘어세워져 있다. 각 렌즈는, 한쪽 열의 렌즈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렌즈의 양쪽에 접하도록 다른 쪽 열의 렌즈 중 하나가 배치되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각 렌즈는, 원기둥형의 유리제의 로드 렌즈이며, LED(503)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입사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갖는다. 또한 렌즈의 재질은 유리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스틱제이더라도 상관없다. 렌즈의 형상에 대해서도 원기둥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육각기둥 등의 다각기둥이더라도 상관없다.
도 4의 (c2)에 나타내는 점선 Z는 렌즈의 광축을 나타낸다. 광 프린트 헤드(105)는 전술한 이동 기구(640)에 의하여, 상기 점선 Z로 나타내는 렌즈의 광축을 대략 따른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말하는 렌즈의 광축이란, 렌즈의 광 출사면의 중심과 상기 렌즈의 초점을 잇는 선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로부터 출사된 광은, 렌즈 어레이(506)가 구비하는 렌즈에 입사된다. 렌즈에 입사된 광은 감광 드럼(103)의 표면 상에 집광된다. 렌즈 어레이(506)는, LED의 발광면과 렌즈의 광 입사면 사이의 거리와, 렌즈의 광 출사면과 감광 드럼(103)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대략 동등해지도록, 광 프린트 헤드(105)의 조립 시의 렌즈 설치부(701)에 대한 설치 위치가 조정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기판(502)과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는, 보유 지지체(505)의 전측을 하측에서 본 도면이다. 기판(502) 및 렌즈 어레이(506)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체(505)에는, 보유 지지체(505)의 긴 쪽 방향에 걸쳐 뻗어 있는 관통 구멍(906)이 형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보유 지지체(505)에는, 렌즈 어레이(506)가 끼워지는 관통 구멍(906)이 마련되어 있다.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관통 구멍(906)에 렌즈 어레이(506)가 삽입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체(505)에 대한 렌즈 어레이(506)의 설치 위치가 조정된다. 그 후, 접착제(907)가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의 경계 부분에 도포되어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가 접착 고정된다. 이때, 경계 부분의 모든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할 필요는 없으며, 이산적으로 수 개소를 접착함으로써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를 고정하더라도 상관없다.
도 5의 (b1)은, 렌즈 어레이(506)를 도시하고 있지 않은 보유 지지체(505)의 전측의 개략 사시도, 도 5의 (b2)는, 렌즈 어레이(506)를 도시하고 있지 않은 보유 지지체(505)를,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에 수직인 면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전측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5의 (c1)은, 렌즈 어레이(506)가 접착 고정된 보유 지지체(505)의 전측의 개략 사시도, 도 5의 (c2)는, 렌즈 어레이(506)가 접착 고정된 보유 지지체(505)를,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에 수직인 면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전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의 (b1) 및 (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체(505)의 상측에는, 렌즈 어레이(506)가 설치되는 렌즈 설치부(701)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 설치부(701)는, 렌즈 어레이(506)가 삽입되는 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관통 구멍(906)을 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이며, 관통 구멍(906)의 에지를 따라 전후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b1) 및 (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설치부(701)는 제1 내벽면(507)과 제2 내벽면(508)과 제1 경사면(703)과 제2 경사면(704)을 구비한다. 제1 내벽면(507)과 제2 내벽면(508)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벽면(507) 및 제2 내벽면(508)의 상측에는, 상측을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703) 및 제2 경사면(704)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c1) 및 (c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506)는, 우측(일방측)의 측벽면(제1 측벽면)이 제1 내벽면(507)과 대향하는 위치에, 좌측(타방측)의 측벽면(제2 측벽면)이 제2 내벽면(508)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관통 구멍(906)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즉, 렌즈 어레이(506)의 좌우 방향(짧은 쪽 방향))의 양 측벽면은 각각 제1 내벽면(507) 및 제2 내벽면(508)에 대향한다. 관통 구멍(906)에 삽입된 렌즈 어레이(506)는, 그 일부가 렌즈 설치부(70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접착 고정된다.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의 렌즈 설치부(701)의 접착은, 렌즈 어레이(506)가 관통 구멍(906)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제1 경사면(703) 및 제2 경사면(704)에 접착제(907)가 도포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접착제(907)가 도포되는 면이 하측을 향함에 따라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음으로써, 도포된 접착제(907)가 자중에 의하여 제1 경사면(703)(제2 경사면(704))을 타고 렌즈 어레이(506)를 향하여 흘러간다. 따라서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의 렌즈 설치부(701)가 용이하게 접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벽면(507)(제2 내벽면(508))과 제1 경사면(703)(제2 경사면(704))은 연속된 면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벽면(507)(제2 내벽면(508))과 제1 경사면(703)(제2 경사면(704)) 사이에 다른 면이 마련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도 5의 (d)는, 보유 지지체(505)가 구비하는 렌즈 설치부(701)에, 제1 경사면(703)과 제1 내벽면(507) 사이에 제1 저면부(715)가, 제2 경사면(704)과 제2 내벽면(508) 사이에 제2 저면부(716)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저면부(715)는 렌즈의 광축 방향에 대략 수직인 면이며, 제1 내벽면(507)의 상단으로부터 제1 경사면(703)의 하단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저면부(716)도 렌즈의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이며, 제2 내벽면(508)의 상단으로부터 제2 경사면(704)의 하단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렌즈 어레이(506)가 관통 구멍(906)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저면부(715) 및 제2 저면부(716)에 접착제(907)가 도포됨으로써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의 렌즈 설치부(701)가 접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 저면부(715) 및 제2 저면부(716)를 마련함으로써, 이들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접착제(907)를 유입시킬 스페이스가 넓어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접착제(907)를 유입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기판(502)과 보유 지지체(505)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도 5의 (a) 및 (b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에는, 기판(502)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908)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908)의 내부에는, 기판(502)이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으로부터 개구(908)에 삽입되어 가면 기판(502)의 일부가 맞닿는 기판 맞닿음부(9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맞닿음부(911)는, 보유 지지체(505)의 좌측과 우측의 각각에 형성된 기판 설치부(702)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2개소의 기판 맞닿음부(911) 사이의 폭은 기판(502)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좁다. 따라서 기판(502)이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으로부터 개구(908)에 삽입되면, 기판(502)의 좌우 방향 양측의 단부가 기판 맞닿음부(911)에 맞닿아, 보유 지지체(505)에 대한 기판(502)의 설치 위치가 정해진다.
설치 위치가 정해진 기판(502)은 기판 맞닿음부(911)에 맞닿은 상태에서, 접착제(907)가 기판(502)과 기판 설치부(702)의 경계 부분에 도포된다. 이것에 의하여 기판(502)과 기판 설치부(702)가 접착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6의 (a) 내지 (c)를 이용하여, 렌즈 어레이(506)가 보유 지지체(505)의 렌즈 설치부(701)에 설치될 때에 있어서의, 렌즈 어레이(506)의 렌즈 설치부(701)에 대한 설치 위치의 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 내지 (c)는, 렌즈 어레이(506)가 관통 구멍(906)에 삽입된 상태의 보유 지지체(505)를 우측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6의 (a)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체(505)의 모식도이다. 도 5의 (a)로부터, 렌즈 설치부(701)의 전측의 단부로부터 후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렌즈 어레이(506)의 전측의 단부로부터 후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짧다. 그 때문에, 보유 지지체(505)의 관통 구멍(906)에 삽입된 렌즈 어레이(506)는, 전측 및 후측이 렌즈 설치부(701)로부터 노출된다(노출부(912)). 또한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설치부(701)의 전측과 후측은, 단부에 접근함에 따라 하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경사 구조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노출부(912)를 마련하는 이유는, 보유 지지체(505)에 대한 렌즈 어레이(506)의 위치 조정을 행하기 위하여 렌즈 어레이(506)를 움직일 때, 렌즈 어레이(506)를 확실히 보유 지지할 영역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기판(502)에 마련된 LED(503)의 광 출사점으로부터, 렌즈 어레이(506)가 구비하는 LED(503)의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까지의 거리는, 렌즈의 제작 완성 시에 정해지며, 그 값은, 제작 오차 등을 고려하면 모든 렌즈에서 동일한 값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광 프린트 헤드(105)의 조립 시에, LED(503)의 광 출사점으로부터, 렌즈 어레이(506)의 LED(503)의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까지의 거리가 적절한 거리로 되도록, 렌즈 어레이(506)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조립 장치 등의 보유 지지 기구에 렌즈 어레이(506)의 노출부(912)를 보유 지지시킨 상태에서 렌즈 어레이(506)를 관통 구멍(906)에 삽입하고, 보유 지지체(505)에 대한 렌즈 어레이(506)의 설치 위치를 조정한다. 보유 지지 기구의 예로서는, 렌즈 어레이(506)의 양 측벽면을 좌우 방향에서 압박함으로써 협지하는 구성이나 흡착함으로써 보유 지지하는 구성이 있다. 흡착에 의하여 보유 지지하는 경우에는 렌즈 어레이(506)의 양 측벽면 중 한쪽 측벽면만을 흡착하여 보유 지지하더라도 상관없다. 즉, 반드시 렌즈 어레이(506)의 양 측벽면이 노출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렌즈 어레이(506)의 일방측의 측벽면은 제1 내벽면(507)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지만 렌즈 어레이(506)의 타방측의 측벽면은 제2 내벽면(508)로부터 노출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렌즈 어레이(506)의 일방측의 측벽면이, 제1 내벽면(507)의 전측의 단부와 후측의 단부 중 전측의 단부로부터만 노출되고, 렌즈 어레이(506)의 타방측의 측벽면이, 제2 내벽면(508)의 전측의 단부와 후측의 단부 중 후측의 단부로부터만 노출된 구성이더라도 상관없다.
이하, 광 프린트 헤드(105)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렌즈 어레이(506)의 노출부(912)가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좌우 방향에서 협지된다(보유 지지 공정). 협지된 렌즈 어레이(506)는 보유 지지체(505)의 관통 구멍(906)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된다(배치 공정). 이때, 노출부(912)는 렌즈 설치부(701)의 전후 양단으로부터 노출되기 때문에, 보유 지지 기구와 보유 지지체(505)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다음으로, 렌즈 어레이(506)가 관통 구멍(906)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판 맞닿음부(911)에 맞닿는 위치에 배치된 기판(502)이 구비하는 LED(503)가 발광한다. 렌즈 어레이(506)로부터 출사된 광을 수광 장치 등에 의하여 수광하고(수광 공정), 그 수광 결과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50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렌즈 어레이(506)와 기판(502)의 간격을 조정, 즉, 보유 지지체(505)에 대한 설치 위치를 조정한다(조정 공정). 조정 종료 후, 접착제(907)에 의하여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가 접착 고정된다.
또한 노출부(912)는, 도 6의 (a)에 도시하는 부분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6의 (b)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이더라도 상관없다.
도 6의 (b)는, 렌즈 설치부(701)의 전후 양단측이 계단형으로 되어 있으며, 단부에 가까울수록 렌즈 설치부(701)의 상면이 감광 드럼(103)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렌즈 설치부(701)의 전후 양단측에 있어서 렌즈 어레이(506)의 일부가 노출된다(노출부(922)). 상기 노출부(922)가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좌우 방향에서 파지되고, 렌즈 어레이(506)의 보유 지지체에 대한 설치 위치가 미세 조정된다. 그 후, 접착제(907)에 의하여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가 접착 고정된다.
또한 도 6의 (c)는, 렌즈 설치부(701)의 상측의 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된 구성이다. 이것에 의하여,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506)의 좌우 양측의 측벽면이 상기 오목부로부터 노출된다(노출부(932)). 노출부(932)가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좌우 방향에서 보유 지지되고, 보유 지지체(505)에 대한 렌즈 어레이(506)의 설치 위치가 미세 조정된다. 그 후, 접착제(907)에 의하여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505)가 접착 고정된다. 여기서, 오목부는 반드시 제1 내벽면(507)과 제2 내벽면(508)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 내벽면(507)에만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오목부로부터 노출되는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을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여 흡착함으로써 보유 지지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하여, 렌즈 어레이(506)를 렌즈 설치부(701)에 설치할 때의 접착제(907)의 도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렌즈 어레이(506)가 보유 지지체(505)의 관통 구멍(906)에 삽입된 상태의 일례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506)를 렌즈 설치부(701)에 접착 고정할 때, 접착제(907)를 토출하는 디스펜서(645)의 선단이 렌즈 어레이(506)와 제1 경사면(703) 사이, 및 렌즈 어레이(506)와 제2 경사면(704) 사이에 향해진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보유 지지체의 예와 같이, 제1 저면부(715) 및 제2 저면부(716)를 구비하는 보유 지지체(505)의 경우, 디스펜서(645)의 선단은 상기 제1 저면부(715) 및 상기 제2 저면부(716)에 향해지더라도 상관없다. 이 상태에서 디스펜서(645)가 접착제를 토출하면서 렌즈 어레이(506)의 긴 쪽 방향(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접착제(907)가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과 제1 경사면(703) 및 제2 경사면(704)의 사이에 유입된다. 또한 디스펜서(645)의 이동은, 조립 장치가 자동적으로 행하더라도 상관없고 조립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상관없다.
제1 내벽면(507)과 제2 내벽면(508) 사이에 렌즈 어레이(506)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제1 내벽면(507)과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제1 측벽면) 사이에는 0.2㎜ 정도의 간극이, 제2 내벽면(508)과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제2 측벽면) 사이에도 0.2㎜ 정도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유 지지체(505)는, 제1 내벽면(507)과 제2 내벽면(508)의 간격의 폭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렌즈 어레이(506)의 두께의 차가 0.4㎜ 정도로 되도록 설계된다. 달리 말하면, 제1 내벽면(507)과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제1 측벽면)은 0.2㎜의 간극을 갖고 대향하고 있다. 또한 제2 내벽면(508)과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제2 측벽면)은 0.2㎜의 간극을 갖고 대향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내벽면(507)과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제1 측벽면), 및 제2 내벽면(508)과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제2 측벽면)이 각각 근접해서 대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렌즈 어레이(506)와 제1 경사면(703) 사이, 및 렌즈 어레이(506)와 제2 경사면(704) 사이에 토출된 접착제는, 제1 내벽면(507)과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제1 측벽면) 사이, 및 제2 내벽면(508)과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제2 측벽면) 사이로부터 연직 방향 하방으로 흘러 떨어지지 않는다.
도 8의 (a)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체(505)의 렌즈 설치부(701)의 전측의 확대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설치부(701)의 전측은 단부에 접근함에 따라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경사부(904)). 도 8의 (a)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렌즈 설치부(701)의 후측도 마찬가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 경사부(904)를 마련함으로써, 접착제(907)가 자중에 의하여 경사부(904)의 경사를 따라 흐른다. 이것에 의하여, 렌즈 설치부(701)의 전측 및 후측에 있어서 접착제(907)의 도포 누락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체(505)의 상면 중, 렌즈 어레이(506)의 노출부(912)와 겹쳐져 있는 부분에는 홈부(903)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903)는 보유 지지체(505)의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되어 있다. 홈부(903)가 경사부(904) 바로 아래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경사를 흘러 떨어진 접착제(907)가 홈부(903) 내에 머문다. 이것에 의하여, 접착제(907)가 보유 지지체(505)로부터 그 주위로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907)를 보유 지지체(505) 상에 머물게 해 두는 구성으로서, 도 9에 도시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체(505)의 상측의 면에서 관통 구멍(906)보다도 우측 및 좌측에는, 상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913)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 어레이(506)와 제1 경사면(703)(제2 경사면(704)) 사이로부터 넘친 접착제(907)는 렌즈 어레이(506)와 볼록부(913) 사이에 체류한다. 렌즈 어레이(506)와 제1 경사면(703)(제2 경사면(704)) 사이로부터 넘친 접착제(907)를 확실히 보유 지지체(505) 상에 체류시키기 위하여, 볼록부(913)의 상단은 렌즈 어레이(506)의 광 출사면보다도 감광 드럼(103)에 가까운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부터, 광 프린트 헤드(105)를 이동시킬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 유닛(518)을 교환할 때에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 방향이자 장치 본체의 전측으로 드럼 유닛(518)을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광 프린트 헤드(105)가 감광 드럼(103) 표면 근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럼 유닛(518)을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이동하는 감광 드럼(103) 표면에 접촉해 버려서, 장착하는 감광 드럼(103)의 표면에 흠집이 나 버린다. 또한 드럼 유닛(518)의 프레임체에 렌즈 어레이(506)가 접촉하여 렌즈 어레이(506)에 흠집이 나 버린다. 그 때문에, 감광 드럼(103)을 노광하는 노광 위치(도 10의 (a))와, 상기 노광 위치보다도 교환 유닛으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도 10의 (b)) 사이에서, 광 프린트 헤드(105)가 왕복 이동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도 10의 (a))인 상태에서 슬라이드부(525)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광 프린트 헤드(105)는 퇴피 위치(도 10의 (b))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광 프린트 헤드(105)가 퇴피 위치(도 10의 (b))인 상태에서 슬라이드부(525)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광 프린트 헤드(105)는 노광 위치(도 10의 (a))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세는 후술한다.
도 11의 (a1)은, 노광 위치에 위치하는 광 프린트 헤드(105)의 후측, 및 드럼 유닛(518)의 후측에 마련된 부시(67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a2)는, 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에 위치할 때의 제2 지지부(528) 및 드럼 유닛(518)의 후측에 마련된 부시(67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의 (b1)은,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광 프린트 헤드(105)의 후측, 및 드럼 유닛(518)의 후측에 마련된 부시(67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b2)는, 광 프린트 헤드(105)가 퇴피 위치에 위치할 때의 제2 지지부(528), 및 드럼 유닛(518)의 후측에 마련된 부시(67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이용하여, 광 프린트 헤드(105)의 후측에 마련된 맞닿음핀(515)이, 드럼 유닛(518)측에 마련된 부시(671)에 맞닿는 모습을 설명한다. 드럼 유닛(518)의 전측에도, 맞닿음핀이 맞닿는 부시(671)에 상당하는 부품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구조는 부시(671)의 구조와 마찬가지이고 기능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여기서는, 맞닿음핀(515)이, 드럼 유닛(518)측에 마련된 부시(671)에 맞닿는 모습만 설명한다.
도 11의 (a1) 및 도 11의 (b1)로부터, 링크 부재(652)가 보유 지지체(505)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은, 상하 방향(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방향: 왕복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맞닿음핀(515)의 양단 중 교환 유닛측(드럼 유닛(518)이 배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보다 감광 드럼(103)측이다. 링크 부재(652)가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부(662)가 맞닿음핀(515)과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링크 부재(651)가 보유 지지체(505)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도, 상하 방향(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와 퇴피 사이를 이동하는 방향: 왕복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맞닿음핀(514)의 양단 중 교환 유닛측(드럼 유닛(518)이 배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보다 감광 드럼(103)측이다. 링크 부재(651)가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부(661)가 맞닿음핀(514)과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노광 유닛(500)이 상하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도 11의 (a2) 및 도 11의 (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528)는 제2 시트면(587), 규제부(128), 제1 벽면(588), 제2 벽면(589)을 구비한다. 제2 시트면(587)은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다.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이 제2 시트면(587), 및 후술하는 제1 지지부(527)의 제1 시트면(586)에 대하여 연직 방향 상측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광 프린트 헤드(105)가 퇴피 위치로 된다. 규제부(128)는, 제2 지지부(528)에 형성된, 전측으로 개방된 역ㄷ자형 오목부이며, 보유 지지체(505)에 대하여 드럼 유닛(518)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맞닿음핀(51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맞닿음핀(515)보다 후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된 맞닿음핀(515)은, 규제부(128)에 의하여 형성된 간극 내를 이동하면서 보유 지지체(505)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1 지지부(527)도 규제부(127)를 구비한다. 규제부(127)는, 제1 지지부(527)에 형성된, 전측으로 개방된 역ㄷ자형 오목부이며, 보유 지지체(505)에 대하여 드럼 유닛(518)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맞닿음핀(514)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맞닿음핀(514)보다 전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된 맞닿음핀(514)은, 규제부(127)에 의하여 형성된 간극 내를 이동하면서 보유 지지체(505)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규제부(127)는, 맞닿음핀(514)과의 접촉에서 생기는 마찰력을 가능한 한 저감시키기 위하여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맞닿음핀(514)은 규제부(127)의 간극에 있어서 매끄럽게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맞닿음핀(515) 및 맞닿음핀(514)과 일체의 보유 지지체(505)는, 전후 방향(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 방향)과 상하 방향(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방향: 왕복 이동 방향)의 양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규제부(127)는, 맞닿음핀(514)이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더라도 상관없고, 규제부(128)는, 맞닿음핀(515)이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더라도 상관없다.
제1 벽면(588)과 제2 벽면(589)은 좌우 방향으로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데에 있어서, 보유 지지체(505)는, 제1 벽면(588)과 제2 벽면(589)에 의하여 형성된 간극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사이, 보유 지지체(505)는 제1 벽면(588)과 제2 벽면(589)에 의하여, 전후 방향(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 방향)과 상하 방향(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방향: 왕복 이동 방향)의 양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광 프린트 헤드(105)는, 전후 방향(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 방향)과 상하 방향(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방향: 왕복 이동 방향)의 양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노광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규제부(127)과 규제부(128)는, 적어도 한쪽이 제1 지지부(527) 또는 제2 지지부(528)에 마련되어 있으면 상관없다. 즉, 규제부(127)가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제1 지지부(527)에 마련되어 있거나 규제부(128)가 제2 지지부(528)에 마련되어 있거나 하면 충분하다.
도 11의 (a1) 및 도 11의 (a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닿음핀(515)이, 드럼 유닛(518)의 후측에 마련된 부시(671)에 맞닿고, 또한 맞닿음핀(514)(도시하지 않음)이, 드럼 유닛(518)의 전측에 마련된 부시(671)에 상당하는 부품에 맞닿은 위치가, 광 프린트 헤드(105)의 노광 위치이다. 맞닿음핀(514) 및 맞닿음핀(515)이, 부시(671) 및 부시(671)에 상당하는 부품에 각각 맞닿음으로써, 렌즈 어레이(506)와 감광 드럼(103) 표면 사이의 거리가 설계 호칭으로 된다.
한편, 도 11의 (b1) 및 도 11의 (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닿음핀(515)이, 드럼 유닛(518)의 후측에 마련된 부시(671)로부터 퇴피한 위치가, 광 프린트 헤드(105)의 퇴피 위치에 상당한다. 광 프린트 헤드(105)가, 도 11의 (b1) 및 도 11의 (b2)에 도시하는 퇴피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교환을 위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드럼 유닛(518)과 광 프린트 헤드(105)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드럼 유닛(518)이 구비하는 부시(67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부시(67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부시(671)는, 드럼 유닛(518)의 하우징에 비스 혹은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된 부재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시(671)에는 개구(91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916)에는 감광 드럼(103)의 타단측의 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즉, 부시(671)는 감광 드럼(103)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한다.
감광 드럼(103)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알루미늄관의 외벽면에 감광층이 형성되어 있다. 알루미늄관의 양단에는 플랜지(673)가 압입되어 있다. 부시(671)에 형성된 개구(916)에는 감광 드럼(103)의 타단측의 플랜지(67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플랜지(673)는, 부시(671)에 형성된 개구(916)의 내벽면에 미끄럼 마찰되면서 회전한다. 즉, 부시(671)는 감광 드럼(103)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한다. 또한 맞닿음핀(514)이 맞닿는, 드럼 유닛(518)의 전측에 마련된 부시(671)에 상당하는 부품의 중앙부에도, 부시(671)와 마찬가지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부시(671)에 상당하는 부품에 형성된 개구에는 감광 드럼(103)의 일단측(전측)의 플랜지(67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플랜지(673)는 상기 개구의 내벽면에 미끄럼 마찰되면서 회전한다. 즉, 드럼 유닛(518)의 후측과 마찬가지로 전측에 있어서도 부시(671)는 감광 드럼(103)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한다.
부시(671)는, 맞닿음핀(515)이 끼워지는 끼워맞춤부(685)를 구비한다. 끼워맞춤부(685)는 맞닿음면(551)과 후측벽면(596)과 테이퍼부(585)를 구비한다. 끼워맞춤부(685)는, 부시(671)에 대하여 움푹 패어 있더라도 상관없고 기립 설치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맞닿음면(551)에는,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맞닿음핀(515)이 맞닿는다. 끼워맞춤부(685)의 하단의 에지는, 테이퍼 형상인 테이퍼부(585)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585)는,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맞닿음핀(515)이 맞닿음면(551)에 맞닿도록 그 이동을 안내한다. 후측벽면(596)과 맞닿음핀(515)의 접촉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끼워맞춤부(685)의 맞닿음면(551)에 맞닿은 맞닿음핀(515)은 끼워맞춤부(685)에 의하여, 전후 방향(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 방향)과 상하 방향(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방향: 왕복 이동 방향)의 양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노광 위치에 위치하는 광 프린트 헤드(105)(도 11의 (a2) 참조)에 있어서, 맞닿음핀(515)의 상단은 끼워맞춤부(685)에 의하여,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의 양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맞닿음핀(515)의 하단은 규제부(128)에 의하여,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의 양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여기서, 끼워맞춤부(685)의 좌우 방향의 직경과 맞닿음핀(515)의 상단의 좌우 방향의 직경의 차와, 규제부(128)의 좌우 방향의 직경과 맞닿음핀(515)의 하단의 좌우 방향의 직경의 차는, 제1 벽면(588)과 제2 벽면(589)의 좌우 방향의 간격과, 제1 벽면(588)과 제2 벽면(589) 사이에 위치하는 보유 지지체(505)의 차보다도 작다. 따라서 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일 때, 제1 벽면(588)과 제2 벽면(589)은, 보유 지지체(505)의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의 양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규제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이동 기구)
이하, 광 프린트 헤드(105)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640)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지지부(527)에 있어서 설명한다. 도 13의 (a)는 제1 지지부(527)의 개략 사시도이다. 제1 지지부(527)에는, 부딪힘부(정지 기구)의 일례로서의 제1 시트면(586), 끼워넣음부의 일례로서의 개구부(700), 맞닿음부(529), 규제부(127), 돌기(601), 비스 구멍(602), 위치 결정 보스(603), 위치 결정 보스(604), 비스 구멍(60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527)는, 개구부(700)와 제1 시트면(586)이 일체적으로 사출 성형된 성형물이더라도 상관없고, 서로 별개의 부재이더라도 상관없다.
제1 시트면(586)은,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이 연직 방향 상측으로부터 맞닿는 부분이며,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에 유지되어 있다.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이 제1 시트면(586)에 맞닿아서 광 프린트 헤드(105)가 퇴피 위치로 된다.
개구부(700)에는, 토너 등에 의하여 오염된 렌즈 어레이(506)의 광 출사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부재(572)가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끼워넣어진다. 청소 부재(572)는 긴 봉형의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700)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나타내지만, 구멍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부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맞닿음부(529)는, 도 13의 (a)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부(527)의 후측의 면이자, 개구부(700)의 상측과 하측의 영역이다. 맞닿음부(529)의 기능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를 설명한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부(127)는, 제1 지지부(527)에 형성된, 후측으로 개방된 역ㄷ자형 오목부이다.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된 맞닿음핀(514)의 일부는, 규제부(127)에 의하여 형성된 간극 사이를 보유 지지체(505)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규제부(127)는, 맞닿음핀(514)과의 접촉으로 생기는 마찰력을 가능한 한 저감시키기 위하여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맞닿음핀(514)에 접근함에 따라 상하 방향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맞닿음핀(514)은 규제부(127)의 간극에 있어서 매끄럽게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제1 지지부(527)는 전측판(642)의 전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전측판(642)에는 위치 결정 보스(603), 위치 결정 보스(604), 고정용 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위치 결정 보스(603) 및 위치 결정 보스(604)는, 마련된 복수의 구멍에 삽입되어 있으며, 그 상태에서 제1 지지부(527)의 비스 구멍으로부터 통과된 비스에 의하여 제1 지지부(527)는 전측판(642)에 고정되어 있다.
후술하는 제3 지지부(526)는, 역ㄷ자형으로 절곡된 판금이다. 도 13의 (b)는, 제3 지지부(526)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일 단부가, 도 13의 (a)에 나타내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삽입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도 13의 (c)는, 제3 지지부(526)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일 단부가, 도 13의 (a)에 나타내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삽입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3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지지부(526)의 일 단부에는 절결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 지지부(527)측의 돌기(601)가 제3 지지부(526)의 절결에 걸림 결합된다. 돌기(601)가 제3 지지부(526)의 절결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제1 지지부(527)에 대하여 제3 지지부(526)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정해진다. 제3 지지부(526)는, 비스 구멍(602)으로부터 삽입된 비스에 의하여 도 13의 (c)의 하측으로부터 가압되어 제1 지지부(527)의 접촉면(681)에 맞닿음으로써, 제1 지지부(527)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지지부(52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a)는 제2 지지부(528)의 개략 사시도이다. 제2 지지부(528)에는 제2 시트면(587)과 제1 벽면(588)과 제2 벽면(589)과 규제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시트면(587)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이 맞닿는 부분이다. 제2 시트면(587)은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이 제2 시트면(587)에 맞닿아서 광 프린트 헤드(105)가 퇴피 위치로 된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528)는 후측판(643)의 전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지지부(528)는, 제1 지지부(527)가 전측판(642)에 고정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위치 결정 보스 및 비스에 의하여 후측판(643)에 고정되어 있다. 도 14의 (c)는, 제3 지지부(526)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제3 지지부(526)의 타단측(후측)이, 도 14의 (a)에 나타내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즉, 제3 지지부(526)는, 일 단부가 제1 지지부(527)에 지지되고, 타 단부가 제2 지지부(528)에 지지되고, 제1 지지부(527) 및 제2 지지부(528)가 각각 전측판(642) 및 후측판(643)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3 지지부(526)는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게 된다.
또한 제2 지지부(528)는,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비스 등에 의하여 고정되고 후측판(643)과는 비스 고정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더라도 상관없다. 그 경우, 예를 들어 제2 지지부(528)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후측판(643)에 형성된 볼록부에 끼워짐으로써 후측판(643)에 대한 제2 지지부(528)의 위치가 정해지는 구조로 한다. 제2 지지부(528)의 제1 벽면(588), 제2 벽면(589)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부(128)는, 제2 지지부(528)에 형성된, 전측으로 개방된 역ㄷ자형 오목부이다. 보유 지지체(505)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된 맞닿음핀(515)의 일부는, 규제부(128)에 의하여 형성된 간극 사이를 보유 지지체(505)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규제부(128)는, 맞닿음핀(515)과의 접촉으로 생기는 마찰력을 가능한 한 저감시키기 위하여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맞닿음핀(515)에 접근함에 따라 상하 방향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맞닿음핀(515)은 규제부(128)의 간극에 있어서 매끄럽게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를 이용하여 제3 지지부(526) 및 슬라이드부(525)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지지부(526) 및 슬라이드부(525)는 보유 지지체(505)에 대하여 감광 드럼(103)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5의 (a)는, 제1 지지부(527)를 도시하고 있지 않은 이동 기구(640)의 전측을 좌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의 (b)는, 제1 지지부(527)를 도시하고 있지 않은 이동 기구(640)의 전측을 우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이동 기구(640)는 링크 부재(651)와 슬라이드부(525)와 제3 지지부(526)를 구비한다. 제3 지지부(526)는 지지축(531)과 E형 멈춤 링(533)을 구비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531)은, 역ㄷ자형으로 가공된 제3 지지부(526)의 대향하는 면(좌측면과 우측면)에 마련된 개구에 삽입되어 있다. 지지축(531)은 제3 지지부(526)의 우측면 및 좌측면을 관통하고 있다. 지지축(531)은, 제3 지지부(526)의 개구로부터 빠져서 떨어지지 않도록 좌측면의 외측에서 E형 멈춤 링(533)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25)에는,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개구인, 긴 구멍(691)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531)은 슬라이드부(525)의 긴 구멍(691)에 삽입되어 있으며, 긴 구멍(691)에 대하여, 예를 들어 상하 방향에 있어서 0.1 내지 0.5㎜ 정도의 간극을 두고 헐겁게 끼워져 있다. 그 때문에 슬라이드부(525)는,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긴 구멍(691)의 전후 방향의 길이분만큼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슬라이드부(525)의 일단측에는, 좌측으로부터 하측에 걸쳐 수납 스페이스(562)를 갖는 슬라이드 보조 부재(539)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보조 부재(539)는 슬라이드부(525)에 대하여 좌측으로부터 비스 고정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수납 스페이스(562)에는, 후술하는 커버(558)가 구비하는 가압부(561)가 수납된다. 수납 스페이스(562)와 가압부(561)의 관계 및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는, 나중의 커버(558)에 대한 설명과 함께 기재한다.
이하, 도 3, 도 15 및 도 16을 이용하여 이동 기구(6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이동 기구(640)를 구비하는 노광 유닛(50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기구(640)는 제1 링크 기구(861)와 제2 링크 기구(862)와 슬라이드부(525)와 제1 지지부(527)와 제2 지지부(528)와 제3 지지부(526)를 구비한다. 제1 링크 기구(861)는 링크 부재(651)와 링크 부재(653)를 구비하고 제2 링크 기구(862)는 링크 부재(652)와 링크 부재(654)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651)와 링크 부재(653), 링크 부재(652)와 링크 부재(654)는 각각 λ형의 링크 기구를 구성한다.
도 15의 (a)는, 제1 지지부(527)를 도시하고 있지 않은 이동 기구(640)의 전측을 좌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의 (b)는, 제1 지지부(527)를 도시하고 있지 않은 이동 기구(640)의 전측을 우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도 15의 (a), 도 15의 (b), 도 16의 (a) 및 도 16의 (b)를 이용하여 제1 링크 기구(86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는, 제1 링크 기구(861)를,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을 따른 면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우측에서 본 도면이다. 제1 링크 기구(861)는 링크 부재(651)와 링크 부재(653)를 구비한다. 제1 링크 기구(861)를 구성하는 링크 부재(651) 및 링크 부재(653)는 각각 단일의 링크 부재이지만, 복수의 링크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도 1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653)의 긴 쪽 방향의 길이는 링크 부재(651)의 긴 쪽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다.
링크 부재(651)는 베어링부(610), 돌기(655) 및 접속축부(538)를 구비한다. 베어링부(610)는 링크 부재(651)의 긴 쪽 방향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돌기(655)는, 링크 부재(651)의 긴 쪽 방향의 타단측에 마련된, 링크 부재(651)의 회동축선 방향으로 기립 설치된 원기둥형 돌기이며, 광 프린트 헤드(105)의 보유 지지체(505)측에 마련된 스프링을 변형시키기 위한 돌기이다. 접속축부(538)는, 링크 부재(651)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 베어링부(610)와 돌기(655)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돌기(655)에 한하지 않고, 링크 부재(651)의 긴 쪽 방향의 일단측이 회동축선 방향으로 굴곡된 구조이더라도 상관없다.
베어링부(610)에는, 도 16의 (a)의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형의 중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525)에는 끼워맞춤축부(534)가 마련되어 있다. 끼워맞춤축부(534)는, 슬라이드부(525)로부터 도 16의 (a)의 좌측 방향으로 기립 설치된 원기둥형 돌기이다. 끼워맞춤축부(534)는 베어링부(610)의 구멍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짐으로써 제1 접속부를 형성한다. 즉, 링크 부재(651)는, 제1 접속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부(52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끼워맞춤축부(534)가 링크 부재(651)측에 형성되고 베어링부(610)가 슬라이드부(525)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링크 부재(653)는 접속축부(530)를 구비한다. 접속축부(530)는 링크 부재(653)의 긴 쪽 방향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축부(530)는, 링크 부재(653)로부터 도 16의 (a)의 좌측으로 기립 설치된 원기둥형 돌기이다. 접속축부(530)는, 제3 지지부(526)에 형성된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3 접속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접속축부(530)는, 링크 부재(653)가 아니라 제3 지지부(526)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즉, 링크 부재(653)에 형성된 구멍에, 제3 지지부에 형성된 접속축부(530)가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링크 부재(653)의 긴 쪽 방향의 타단측에는, 도 16의 (a)의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에는 링크 부재(651)의 접속축부(538)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접속축부(538)와 링크 부재(653)의 구멍은 제4 접속부를 형성한다. 즉, 링크 부재(653)는, 제3 접속부를 회동 중심으로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고 제4 접속부를 회동 중심으로 링크 부재(65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축부(538)는, 링크 부재(651)가 아니라 링크 부재(653)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즉, 링크 부재(651)에 형성된 구멍에, 링크 부재(653)에 형성된 접속축부(538)가 삽입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링크 기구(862)의 구성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한 제1 링크 기구(861)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2 링크 기구(862)가 구비하는 링크 부재(652) 및 링크 부재(654)는 각각 링크 부재(651) 및 링크 부재(653)에 대응한다. 또한 제1 접속부에 대응하여, 링크 부재(652)의 긴 쪽 방향의 일단측과 슬라이드부(525)의 접속 부분은 제2 접속부를 구성한다. 또한 이동 기구(640)의 실시 형태는, 링크 부재(653)와 링크 부재(654) 중 어느 한쪽을 생략해도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슬라이드부(525)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525)와 함께, 끼워맞춤축부(534)에 끼워맞춰진 베어링부(610)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링크 기구(861)를 우측에서 보았을 때, 링크 부재(651)는 끼워맞춤축부(534)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또한 링크 부재(653)는 접속축부(530)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돌기(655)가,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슬라이드부(525)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링크 부재(651) 및 링크 부재(653)는, 도 16의 (a)에 기재된 화살표와는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부(525)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525)와 함께, 끼워맞춤축부(534)에 끼워맞춰진 베어링부(610)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링크 기구(861)를 우측에서 보았을 때, 링크 부재(651)는 끼워맞춤축부(534)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또한 링크 부재(653)는 접속축부(530)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돌기(655)는,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1) 접속축부(538)의 회동 중심축과 베어링부(610)의 회동 중심축 사이의 거리를 L1, (2) 접속축부(538)의 회동 중심축과 접속축부(530)의 회동 중심축 사이의 거리를 L2, (3) 접속축부(538)의 회동 중심축과 돌기(655)의 회동 중심축 사이의 거리를 L3이라 한다. 이동 기구(640)에 있어서 제1 링크 기구(861)는, L1, L2, L3은 서로 동등한 스콧 러셀 기구를 형성한다(도 16의 (b) 참조). 거리 L1, L2, L3은 동등하게 함으로써, 끼워맞춤축부(534)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하여 돌기(655)가 수직으로 이동(도 16의 (b)의 점선 A 상)하기 때문에, 상기 링크 기구에 있어서 광 프린트 헤드(105)를 렌즈의 대략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링크 기구(861)와 제2 링크 기구(862)의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반대의 구조로 하고 슬라이드부(525)를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광 프린트 헤드(105)가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고, 슬라이드부(525)를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 후술하는 커버(558)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의 이동 시에 슬라이드부(525)를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밀어 넣고,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이동 시에 슬라이드부(525)를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끌어 당긴다.
광 프린트 헤드(105)를 이동시키는 기구는 이동 기구(640)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7에 도시하는 이동 기구(140)이더라도 상관없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이용하여 이동 기구(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동 기구(640)를 구성하는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 도 17의 (a), 도 17의 (b) 및 도 18의 (a), 도 18의 (b)를 이용하여, 이동 기구(140)가 보유 지지체(505)를 이동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의 (a)는, 보유 지지체(505)와 도 18의 (b)에 도시하는 이동 기구(140)를,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을 따른 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151)는 베어링부(110)와 돌기(155)를 구비한다. 베어링부(110)는 링크 부재(151)의 긴 쪽 방향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도 1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55)는, 링크 부재(151)의 긴 쪽 방향의 타단측에 마련된, 링크 부재(151)의 회동축선 방향으로 기립 설치된 원기둥형 돌기이며, 광 프린트 헤드(105)의 보유 지지체(505)측에 마련된 스프링을 변형시키기 위한 돌기이다. 여기서, 돌기(155)에 한하지 않고, 링크 부재(151)의 긴 쪽 방향의 일단측이 링크 부재(151)의 회동축선 방향으로 굴곡된 구조이더라도 상관없다.
베어링부(110)에는,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형의 중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25)에는 끼워맞춤축부(534)가 마련되어 있다. 끼워맞춤축부(534)는, 슬라이드부(525)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기립 설치된 원기둥형 돌기이다. 베어링부(110)의 구멍이 끼워맞춤축부(53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짐으로써 제1 접속부를 형성한다. 즉, 링크 부재(151)는 제1 접속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부(52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끼워맞춤축부(534)가 링크 부재(151)측에 형성되고 베어링부(110)가 슬라이드부(525)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제3 지지부(526)의 후측에는 지지축(531)과 마찬가지의 축이 마련되고, 슬라이드부(525)의 후측에는 긴 구멍(691)과 마찬가지의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동 기구(140)의 후측은 전측과 마찬가지의 구조이다. 또한 링크 부재(152)의 구조에 대해서도, 링크 부재(151)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접속부에 대응하여, 링크 부재(152)의 긴 쪽 방향의 일단측과 슬라이드부(525)의 접속 부분은 제2 접속부를 구성한다.
보유 지지체(505)의 일단보다 전측에는 제1 지지부(527)(도시하지 않음)의 맞닿음부(529)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슬라이드부(525)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525)와 함께, 끼워맞춤축부(534)에 끼워맞춰진 베어링부(110)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에 수반하여, 돌기(155)가 설치된 보유 지지체(505)도 전측으로 이동하고자 하지만, 보유 지지체(505)의 일단은 맞닿음부(529)에 맞닿아 있어서 전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링크 부재(151)는, 돌기(155)를 구비하는 일단측이, 베어링부(110)를 구비하는 타단측보다 드럼 유닛(518)측에 위치하도록 감광 드럼(103)의 회전축선 방향과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에서 보면 끼워맞춤축부(534)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보유 지지체(505)는, 보유 지지체(505)의 일단이 맞닿음부(529)에 맞닿으면서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한편, 슬라이드부(525)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525)와 함께, 끼워맞춤축부(534)에 끼워맞춰진 베어링부(110)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링크 부재(151)는,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에서 보면 끼워맞춤축부(534)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돌기(155)는,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겠지만, 슬라이드부(525)는 커버(558)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여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이동하고 커버(558)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이동한다. 즉, 커버(558)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동하면 보유 지지체(505)가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커버(558)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동하면 보유 지지체(505)가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광 프린트 헤드(105)가 렌즈의 대략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보유 지지체(505)의 후측은, 상기한 제2 지지부(528)가 구비하는 제1 벽면(588)과 제2 벽면(589)이 형성하는 간극을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보유 지지체(505)가 좌우 방향으로 경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링크 부재(151) 및 링크 부재(152)는, 타단측이 일단측보다 전측에 배치되고, 맞닿음부(529)가 보유 지지체(505)의 타단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즉, 슬라이드부(525)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525)와 함께, 끼워맞춤축부(534)에 끼워맞춰진 베어링부(110)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에 수반하여, 돌기(155)가 설치된 보유 지지체(505)도 후측으로 이동하고자 하지만, 보유 지지체(505)의 타단은 맞닿음부(529)에 맞닿아 있어서 후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링크 부재(151)를 우측에서 보았을 때, 링크 부재(151) 및 링크 부재(152)는 슬라이드부(525)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보유 지지체(505)는, 타단이 맞닿음부(529)에 맞닿으면서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 경우, 커버(558)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의 이동 시에 슬라이드부(525)를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밀어 넣고,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이동 시에 슬라이드부(525)를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끌어 당긴다.
광 프린트 헤드(105)를 이동시키는 기구는 이동 기구(640)나 이동 기구(140)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9에 도시하는 이동 기구(840)이더라도 상관없다. 이하, 도 19를 이용하여 이동 기구(8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동 기구(640(140))를 구성하는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9의 (a1) 및 도 19의 (a2)는 이동 기구(840)이다. 도 19의 (a1) 및 도 19의 (a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기구(840)는 제1 링크 기구(858)와 제2 링크 기구(859)와 슬라이드부(825)와 제3 지지부(526)를 구비한다. 제1 링크 기구(858)는 링크 부재(843)와 링크 부재(844)를 구비하고 제2 링크 기구(859)는 링크 부재(845)와 링크 부재(846)를 구비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843)와 링크 부재(844), 링크 부재(845)와 링크 부재(846)는 각각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하여 X형의 링크 기구를 구성한다. 링크 부재(843)의 돌기(847), 링크 부재(844)의 돌기(848), 링크 부재(845)의 돌기(849), 링크 부재(846)의 돌기(850)가 각각, 도시하지 않은 보유 지지체(80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9의 (a1)에 있어서 슬라이드부(825)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링크 부재(843 내지 846)가 슬라이드부(825)에 대하여 회동하여 돌기(847 내지 850)가 하측으로 이동한다(도 19의 (a2)). 한편, 도 19의 (a2)에 있어서 슬라이드부(825)를 화살표 B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링크 부재(843 내지 846)가 슬라이드부(825)에 대하여 회동하여 돌기(847 내지 850)가 상측으로 이동한다(도 19의 (a1)).
도 19의 (b)는, 이동 기구(840)의 전측을 보유 지지체(805)의 전측과 아울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9의 (b)를 이용하여, 이동 기구(840)가 보유 지지체(805)를 이동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링크 기구(858)와 제2 링크 기구(859)의 동작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제1 링크 기구(858)에 대하여 도 19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링크 기구(858)는 링크 부재(843)와 링크 부재(844)를 구비한다. 제1 링크 기구(858)를 구성하는 링크 부재(843) 및 링크 부재(844)는 각각 단일의 링크 부재이지만, 복수의 링크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도 19의 (b)에 있어서의 이동 기구(840)는 제1 링크 기구(858), 슬라이드부(825)를 구비한다.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825)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뻗은 긴 개구인, 긴 구멍(863)을 구비한다.
링크 부재(843)는 돌기(810), 돌기(847) 및 접속축부(538)를 구비한다. 돌기(810)는 링크 부재(843)의 긴 쪽 방향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돌기(847)는, 링크 부재(843)의 긴 쪽 방향의 타단측에 마련된, 링크 부재(843)의 회동축선 방향이자 우측으로 기립 설치된 원기둥형 돌기이다. 접속축부(538)는, 링크 부재(843)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 돌기(810)와 돌기(847)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돌기(847)에 한하지 않고, 링크 부재(843)의 긴 쪽 방향의 일단측이 회동축선 방향으로 굴곡된 구조이더라도 상관없다.
돌기(810)는 슬라이드부(825)의 긴 구멍(86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짐으로써 제1 접속부를 형성한다. 즉, 링크 부재(843)는 제1 접속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부(82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돌기(810)는, 긴 구멍(863)에 있어서 긴 구멍(863)의 전후 방향의 범위 내(개구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긴 구멍(863)의 후측의 에지와 돌기(810)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860)이 배치되어 있다.
링크 부재(844)는 접속축부(530)와 돌기(848)를 구비한다. 접속축부(530)는 링크 부재(844)의 긴 쪽 방향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축부(530)는, 링크 부재(844)로부터 도 19의 (b)의 우측으로 기립 설치된 원기둥형 돌기이다. 접속축부(530)는, 제3 지지부(526)에 형성된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3 접속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접속축부(530)는, 링크 부재(844)가 아니라 제3 지지부(526)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즉, 링크 부재(844)에 형성된 구멍에, 제3 지지부에 형성된 접속축부(530)가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돌기(848)는, 링크 부재(844)의 긴 쪽 방향의 타단측에 마련된, 링크 부재(844)의 회동축선 방향이자 우측으로 기립 설치된 원기둥형 돌기이다.
또한 링크 부재(844)의 돌기(848)와 제3 접속부 사이에는, 도 19의 (b)의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에는 링크 부재(843)의 접속축부(538)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접속축부(538)와 링크 부재(844)의 구멍은 제4 접속부를 형성한다. 즉, 링크 부재(844)는 제3 접속부를 회동 중심으로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고, 제4 접속부를 회동 중심으로 링크 부재(84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축부(538)는, 링크 부재(843)가 아니라 링크 부재(844)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관없다. 즉, 링크 부재(843)에 형성된 구멍에, 링크 부재(844)에 형성된 접속축부(538)가 삽입되어도 된다.
또한 이동 기구(840)의 실시 형태는, 링크 부재(843)와 링크 부재(844) 중 어느 한쪽을 생략해도 된다.
보유 지지체(805)는 렌즈 어레이(506), 링크 설치부(851), 링크 설치부(852), 핀 설치부(855)를 구비한다. 링크 설치부(851) 및 링크 설치부(852)는 모두,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805)에 설치되는 핀(514)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2 링크 기구(859)를 구성하는 링크 부재(845) 및 링크 부재(846)가 설치되는 링크 설치부(853) 및 링크 설치부(854)도 모두, 렌즈 어레이(506)와 보유 지지체(805)의 타단측에 설치되는 핀(515) 사이에 마련된다. 링크 설치부(851)는, 렌즈 어레이(506)와 핀 설치부(855) 사이에 있어서 보유 지지체(805)에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이다. 또한 링크 설치부(852)는, 렌즈 어레이(506)와 링크 설치부(851) 사이에 있어서 보유 지지체(805)에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이다.
링크 설치부(851)에는 링크 부재(843)의 돌기(847)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링크 설치부(852)에는 링크 부재(844)의 돌기(848)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848)는 링크 설치부(85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 부재(844)는 돌기(848)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링크 설치부(852)의 전후 방향의 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슬라이드부(825)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825)와 함께, 돌기(810)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 19의 (a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링크 기구(858)를 우측에서 보았을 때, 링크 부재(843)는 돌기(810)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또한 링크 부재(844)는 접속축부(530)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돌기(848)는 링크 설치부(852)에 있어서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돌기(847) 및 돌기(848)가,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슬라이드부(825)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825)와 함께, 돌기(810)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 19의 (a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링크 기구(858)를 우측에서 보았을 때, 링크 부재(843)는 돌기(810)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또한 링크 부재(844)는 접속축부(530)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돌기(848)는 링크 설치부에 있어서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돌기(847) 및 돌기(848)가,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닿음핀(514)이 맞닿음면(550)에 맞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드부(825)가 전측으로 더 슬라이드 이동하면, 코일 스프링(860)이 긴 구멍(863)의 후측의 에지와 돌기(810) 사이에 끼여 수축한다. 수축한 코일 스프링(860)의 복원력에 의하여 돌기(810)는 전측으로 바이어스된다. 이것에 의하여 보유 지지체(805)에, 상측을 향하는 방향의 바이어스력이 부여된다.
여기서, 제1 링크 기구(858)와 제2 링크 기구(859)의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반대의 구조로 하고 슬라이드부(825)를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광 프린트 헤드(105)가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고, 슬라이드부(825)를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 후술하는 커버(558)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의 이동 시에 슬라이드부(825)를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밀어 넣고,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이동 시에 슬라이드부(825)를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끌어 당긴다.
또한 광 프린트 헤드(105)를 이동시키는 기구는 이동 기구(640), 이동 기구(140), 이동 기구(840)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20에 도시하는 이동 기구(940)이더라도 상관없다. 이하, 도 20을 이용하여 이동 기구(9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동 기구(640(140이나 840을 포함함))를 구성하는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25)의 전측 및 후측에는 제1 캠부(112) 및 제2 캠부(113)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보유 지지체(905)의 하측이자 전측 및 후측에는 이동 지지부(114) 및 이동 지지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캠부(112) 및 제2 캠부(113)는 보유 지지체(905)측에,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면을 구비한다.
도 20의 (a)는, 노광 위치에 위치하는 광 프린트 헤드(105) 및 이동 기구(940)를 우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일 때에 슬라이드부(525)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525)와 함께, 슬라이드부(525)에 마련된 제1 캠부(112) 및 제2 캠부(113)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보유 지지체(905)에 마련된 이동 지지부(114) 및 이동 지지부(115)의 하단이 제1 캠부(112) 및 제2 캠부(113)에 맞닿고, 이동 지지부(114) 및 이동 지지부(115)가 제1 캠부(112) 및 제2 캠부(113)를 따라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0의 (b)는,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광 프린트 헤드(105) 및 이동 기구(940)를 우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광 프린트 헤드(105)가 퇴피 위치일 때에 슬라이드부(525)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525)와 함께, 슬라이드부(525)에 마련된 제1 캠부(112) 및 제2 캠부(113)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보유 지지체(905)에 마련된 이동 지지부(114) 및 이동 지지부(115)의 하단이 제1 캠부(112) 및 제2 캠부(113)를 따라,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올려져서 이동한다.
여기서, 제1 캠부(112) 및 제2 캠부(113)의 각각이 구비하는 경사면의 경사 방향을 전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구조로 하고 슬라이드부(525)를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광 프린트 헤드(105)가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고, 슬라이드부(525)를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 후술하는 커버(558)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의 이동 시에 슬라이드부(525)를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밀어 넣고,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이동 시에 슬라이드부(525)를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끌어 당긴다.
다음으로, 도 21을 이용하여 커버(558)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버(558)는, 슬라이드부(525)를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슬라이드부(525)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성은 커버(558)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프런트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슬라이드부(525)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커버(558)나 도어와 같은 피복 부재가 아니라 레버와 같은 회동 부재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부(525)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21의 (a)는 커버(558)의 사시도이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558)는 회동축부(559)와 회동축부(560)를 구비한다. 회동축부(559)는, 커버(558)의 우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이다. 한편, 회동축부(560)는, 커버(558)의 좌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이다.
도 21의 (b)에, 전측판(642)에 커버(558)가 설치되는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21의 (c)는, 전측판(642)에 설치된 커버(558)의 사시도이다.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판(642)에는, 커버(558)의 회동축부(559)가 끼워맞춰지는 베어링 부재(621)와, 회동축부(560)가 끼워맞춰지는 베어링 부재(622)가 마련되어 있다.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558)의 회동축부(559)가 전측판(642)의 베어링 부재(621)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회동축부(560)가 전측판(642)의 베어링 부재(622)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축부(559)의 회동축선과 회동축부(560)의 회동축선은 회동축선(563) 상에 있다. 커버(558)는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에 대하여 회동축선(56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개폐된다. 닫힌 커버(558)는 드럼 유닛(518), 현상 유닛(641)의 삽발 경로 상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커버(558)가 폐쇄 상태이면 작업자는 드럼 유닛(518), 현상 유닛(641)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없다. 작업자는 커버(558)를 개방함으로써 드럼 유닛(518)을 교환할 수 있으며, 작업 종료 후에 커버(558)를 닫는다.
다음으로, 도 22 내지 도 25를 이용하여, 커버(558)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드부(525)가 감광 드럼(103)의 회동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2의 (a) 내지 (d)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를 향하여 회동하는 커버(558)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의 (a) 내지 (d)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를 향하여 회동하는 커버(558)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의 (a) 및 도 23의 (a)는 커버(558)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의 (d) 및 도 23의 (d)는 커버(558)의 폐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의 (b) 및 도 23의 (b), 그리고 도 22의 (c) 및 도 23의 (c)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하는 커버(558)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2의 (d) 및 도 23의 (d)에 도시하는 폐쇄 상태의 커버(558)는, 본체에 걸림 결합되는 스냅핏 기구나 회동 방지의 스토퍼 등에 의하여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도 22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558)는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에 대하여 회동축선(563)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에 수반하여, 도 23의 (a) 내지 (d)의 회동 궤적(564)과 같이 가압부(561)도 회동축선(563)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커버(558)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원통형의 가압부(561)를 구비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561)는, 슬라이드부(525)의 일단에 설치된 수납 스페이스(562)에 위치한다.
도 23의 (a) 내지 (d)를 이용하여, 가압부(561)의 슬라이드부(525)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의 (a)의 상태로부터 커버(558)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가압부(561)가 회동 궤적(564) 상에 위치하여, 회동 궤적(564)과 교차하는 맞닿음면(566)에 맞닿는다(도 23의 (b)). 이 상태로부터 커버(558)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하면, 가압부(561)는 맞닿음면(566)에 미끄럼 마찰되면서 맞닿음면(566)을 전측으로 압박한다. 그것에 의하여 슬라이드 보조 부재(539)가 전측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 보조 부재(539)는 슬라이드부(52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부(525)도 슬라이드 보조 부재(539)의 이동에 연동하여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한, 커버(558)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가압부(561)는 맞닿음면(566) 상으로부터 맞닿음면(567) 상으로 이동한다(도 23의 (c)). 맞닿음면(567)은, 가압부(561)의 회동 궤적(564)을 대략 따르는 형상의 곡면을 이루고 있다. 그 때문에, 도 23의 (c)의 상태로부터 커버(558)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한 경우, 가압부(561)는 맞닿음면(567)에 접촉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지만, 가압부(561)로부터 슬라이드 보조 부재(539)를 전측으로 더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힘은 부여되지 않는다.
도 22의 (c) 및 도 23의 (c)로부터, 커버(558)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를 향하여 회동하여 보유 지지체(505)가 노광 위치로 된 직후, 가압부(561)는 수납 스페이스(562)의 전측의 맞닿음면(567)에 맞닿아 있다. 맞닿음면(567)은, 가압부(561)의 회동 궤적(564)을 대략 따르는 형상, 즉, 회동축선(56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때문에, 도 23의 (c)의 상태로부터 커버(558)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한 경우, 가압부(561)는 맞닿음면(567)에 맞닿은 상태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한다. 그러나 가압부(561)로부터 슬라이드 보조 부재(539)를 전측으로 더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힘은 부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가압부(561)가 맞닿음면(567) 상을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드 보조 부재(539)가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일은 없다. 즉, 본 실시예의 이동 기구(640)는, 가압부(561)가 맞닿음면(566) 상에 맞닿은 상태에서 커버(558)가 회동하면, 슬라이드부(525)는 가압부(561)의 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지만, 가압부(561)가 맞닿음면(567) 상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커버(558)가 회동하더라도 슬라이드부(525)는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3의 (c)의 상태로부터 커버(558)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하면, 커버(558)는, 도 23의 (d)에 도시하는 폐쇄 상태로 된다.
도 24의 (a) 내지 (d)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를 향하여 회동하는 커버(558)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의 (a) 내지 (d)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를 향하여 회동하는 커버(558)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4의 (a) 및 도 25의 (a)는 커버(558)의 폐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의 (d) 및 도 25의 (d)는 커버(558)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의 (b) 및 도 25의 (b), 그리고 도 24의 (c) 및 도 25의 (c)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하는 커버(558)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의 (a)에 도시하는 커버(558)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광 프린트 헤드(105)의 자중, 및 후술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드부(525)에는, 제1 링크 기구(861) 및 제2 링크 기구(862)를 통하여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슬라이드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폐쇄 상태의 커버(558)는 회동하지 않도록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어서, 가압부(561)가 슬라이드 보조 부재(539)의 후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부(525)가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는다.
도 25의 (a)로부터 커버(55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561)가 맞닿음면(568)에 맞닿는다. 도 25의 (b)의 상태로부터 커버(558)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하면, 도 25의 (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561)가 맞닿음면(568)을 전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압박하기 때문에 슬라이드부(525)가 후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 후, 커버(558)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하면, 도 2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558)가 개방 상태로 된다.
가압부(561)가 맞닿음면(568)을 압박하는 기구는 다음의 이유에 의하여 마련되어 있다. 즉, 도 24의 (a)의 상태로부터 커버(55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가압부(561)에 의한 슬라이드 보조 부재(539)에 대한 이동의 제한이 해제되더라도, 각 링크 부재끼리의 마찰력이나, 링크 부재(651) 또는 링크 부재(653)와 슬라이드부(525) 사이의 마찰력, 링크 부재(652) 또는 링크 부재(654)와 제3 지지부(526) 사이의 마찰력이 크면, 슬라이드부(525)가 후측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즉, 커버(558)를 개방하더라도 슬라이드부(525)가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에 비해, 커버(558)를 개방함으로써 슬라이드부(525)가 후측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본 실시예의 이동 기구(640)는, 가압부(561)가 맞닿음면(568)을 압박하는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작업자가 커버(558)를 개폐시킴으로써, 커버(558)의 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부(525)가 제3 지지부(526)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한다.
다음으로, 보유 지지체(505)와 링크 부재(651)의 접속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의 (a), (c)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체(505)의 일단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의 (b), (d)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체(505)의 타단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체(505)는, 렌즈 어레이(506)가 설치되는 렌즈 설치부(701)와, 코일 스프링(547)이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부(661)와, 코일 스프링(548)이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부(662)와, 맞닿음핀(514)이 설치되는 핀 설치부(632)와, 맞닿음핀(515)이 설치되는 핀 설치부(633)를 구비한다. 보유 지지체(505)는, 렌즈 설치부(701), 기판 설치부(702)(도시하지 않음), 스프링 설치부(661), 스프링 설치부(662)가 일체적으로 사출 성형된 수지제의 성형물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렌즈 설치부(701)의 일단측에 스프링 설치부(661)가 배치되고, 스프링 설치부(661)보다도 보유 지지체(505)의 더 단부측에 핀 설치부(63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렌즈 설치부(701)의 타단측에 스프링 설치부(662)가 배치되고, 스프링 설치부(662)보다도 보유 지지체(505)의 더 단부측에 핀 설치부(632)가 배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체(505)에 있어서, 렌즈 설치부(701), 스프링 설치부(661), 핀 설치부(632)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를 도시하면, 도 26의 (a)에 있어서 C의 영역, B의 영역, A의 영역으로 나타내는 개소로 된다. 보유 지지체(505)는, 렌즈 어레이(506)보다 전측, 맞닿음핀(514)보다 후측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547)을 통하여 링크 부재(651)의 돌기(655)에 의하여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바이어스력이 부여된다. 또한 도 26의 (c)를 이용하여, 렌즈 설치부(701), 스프링 설치부(662), 핀 설치부(633)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를 도시하면, 각각 C의 영역, D의 영역, E의 영역으로 나타내는 개소로 된다. 보유 지지체(505)는, 렌즈 어레이(506)보다 후측, 맞닿음핀(515)보다 전측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548)을 통하여 링크 부재(652)의 돌기(656)에 의하여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바이어스력이 부여된다.
먼저, 스프링 설치부(661)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프링 설치부(661)는 제1 벽부(751), 제2 벽부(752), 제1 걸림 결합부(543), 제2 걸림 결합부(544)를 포함한다. 제1 벽부(75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체(505)의 일단측에 배치되고, 제2 벽부(75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체(505)의 타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1 벽부(751) 및 제2 벽부(752)는 맞닿음핀(514)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751)와 제2 벽부(752)는 각각, 서로 대면하는 내벽면을 포함한다. 제1 벽부(751)에는 개구(755)가 형성되고 제2 벽부(752)에는 개구(75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755) 및 개구(756)는,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이다. 개구(755) 및 개구(756)에는 돌기(655)가 삽입되어 있다. 돌기(655)는 개구(755) 및 개구(756)에 대하여 끼워맞춰져 있지 않으며, 전후 방향에 있어서 가장 좁은 곳에서 0.5㎜ 정도의 간극을 두고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돌기(655)는, 개구(755) 및 개구(756)의 내벽면으로부터 큰 마찰력을 받는 일 없이 개구(755) 및 개구(756)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그 이동 방향을 안내받는다.
도 26의 (b)는, 도 26의 (a)로부터 제1 벽부(751)를 제거한 도면이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1 벽부(751)와 제2 벽부(752) 사이에 제1 걸림 결합부(543)와 제2 걸림 결합부(54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걸림 결합부(543)와 제2 걸림 결합부(544)는 각각 개구(755)와 개구(75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걸림 결합부(543)는 제2 걸림 결합부(544)보다도 보유 지지체(505)의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걸림 결합부(543) 및 제2 걸림 결합부(544)는, 보유 지지체(505)의 제1 벽부(751)와 제2 벽부(752)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이다. 제1 걸림 결합부(543)에는 코일 스프링(547)의 일단이 걸림 결합되고 제2 걸림 결합부(544)에는 코일 스프링(547)의 타단이 걸림 결합된다. 제1 걸림 결합부(543)와 제2 걸림 결합부(544)에 걸림 결합된 코일 스프링(547)이 개구(755) 및 개구(756)를 횡단하도록, 제1 걸림 결합부(543) 및 제2 걸림 결합부(544)는 스프링 설치부(661)에 배치되어 있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걸림 결합부(543)와 제2 걸림 결합부(544)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걸림 결합부(543)가 제2 걸림 결합부(544)보다도 감광 드럼(103)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걸림 결합부(543)와 제2 걸림 결합부(544)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게 마련해도 되고, 제2 걸림 결합부(544)가 제1 걸림 결합부(543)보다도 감광 드럼(103)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655)는 제2 벽부(752)의 외벽면측으로부터 개구(756)에 삽입되고, 제1 걸림 결합부(543)와 제2 걸림 결합부(544)에 가설된 코일 스프링(547) 아래를 통과하여 제1 벽부(751)의 개구(755)에 삽입되어 있다.
다음으로, 스프링 설치부(66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설치부(662)는 제3 벽부(753), 제4 벽부(754), 제3 걸림 결합부(545), 제4 걸림 결합부(546)를 포함한다. 제3 벽부(753)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체(505)의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4 벽부(75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체(505)의 타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3 벽부(753) 및 제4 벽부(754)는 맞닿음핀(515)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벽부(751)와 제3 벽부(753)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측, 즉, 제1 벽부(751)와 제3 벽부(753)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보유 지지체(505)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벽부(752)와 제4 벽부(75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측, 즉, 제2 벽부(752)와 제4 벽부(75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보유 지지체(505)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벽부(753)와 제4 벽부(754)는 각각, 서로 대면하는 내벽면을 포함한다. 제3 벽부(753)에는 개구(757)가 형성되고 제4 벽부(754)에는 개구(758)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757) 및 개구(758)는,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이다. 개구(757) 및 개구(758)에는 돌기(656)가 삽입되어 있다. 돌기(656)는 개구(757) 및 개구(758)에 대하여 끼워맞춰져 있지 않으며, 전후 방향에 있어서 가장 좁은 곳에서 0.5㎜ 정도의 간극을 두고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돌기(656)는, 개구(757) 및 개구(758)의 내벽면으로부터 큰 마찰력을 받는 일 없이 개구(757) 및 개구(758)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그 이동 방향을 안내받는다.
도 26의 (d)는, 도 26의 (c)로부터 제3 벽부(753)를 제거한 도면이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3 벽부(753)와 제4 벽부(754) 사이에 제3 걸림 결합부(545)와 제4 걸림 결합부(54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3 걸림 결합부(545)와 제4 걸림 결합부(546)는 각각 개구(757) 및 개구(75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4 걸림 결합부(546)는 제3 걸림 결합부(545)보다도 보유 지지체(505)의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걸림 결합부(545) 및 제4 걸림 결합부(546)는, 보유 지지체(505)의 제3 벽부(753)와 제4 벽부(754)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이다. 제3 걸림 결합부(545)에는 코일 스프링(548)의 일단이 걸림 결합되고 제4 걸림 결합부(546)에는 코일 스프링(548)의 타단이 걸림 결합된다. 제3 걸림 결합부(545)와 제4 걸림 결합부(546)에 걸림 결합된 코일 스프링(548)이 개구(757) 및 개구(758)를 횡단하도록, 제3 걸림 결합부(545) 및 제4 걸림 결합부(546)는 스프링 설치부(662)에 배치되어 있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3 걸림 결합부(545)와 제4 걸림 결합부(546)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걸림 결합부(545)가 제4 걸림 결합부(546)보다도 감광 드럼(103)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3 걸림 결합부(545)와 제4 걸림 결합부(546)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게 마련해도 되고, 제4 걸림 결합부(546)가 제3 걸림 결합부(545)보다도 감광 드럼(103)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656)는 제4 벽부(754)의 외벽면측으로부터 개구(758)에 삽입되고, 제3 걸림 결합부(545)와 제4 걸림 결합부(546)에 가설된 코일 스프링(548) 아래를 통과하여 제3 벽부(753)의 개구(757)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547) 및 코일 스프링(548)의 일례로서 코일형 스프링을 나타내지만, 판 스프링을 이용하더라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링크 부재(651)에 마련된 돌기(655)의 코일 스프링(547)에 대한 작용, 및 링크 부재(652)에 마련된 돌기(656)의 코일 스프링(548)에 대한 작용을 도 2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돌기(655)의 코일 스프링(547)에 대한 작용과 돌기(656)의 코일 스프링(548)에 대한 작용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므로, 도 27에서는 돌기(656)의 코일 스프링(548)에 대한 작용을 예시한다.
도 27의 (a)는, 보유 지지체(505)에 마련된 맞닿음핀(515)이 드럼 유닛(518)의 맞닿음면(551)으로부터 퇴피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의 (b)는, 맞닿음핀(515)이 드럼 유닛(518)의 맞닿음면(551)에 맞닿은 시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의 (c)는, 도 27의 (b)의 상태로부터 링크 부재(65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의 (a)의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드부(525)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그에 연동하여 링크 부재(65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돌기(656)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돌기(656)가 코일 스프링(548)을 상측을 향하여 압박한다. 돌기(656)가 코일 스프링(548)을 상측을 향하여 압박하면, 제3 걸림 결합부(545) 및 제4 걸림 결합부(546)를 통하여 보유 지지체(505)에 대하여 상측으로 힘이 작용한다. 맞닿음핀(515)은 드럼 유닛(518)에 비접촉이어서, 광 프린트 헤드(105)에 작용하는 중력을 제외하고 돌기(656)가 코일 스프링(548)을 압박하는 힘에 저항하는 힘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3 걸림 결합부(545) 및 제4 걸림 결합부(546)에 상측을 향하여 작용하는 힘이, 광 프린트 헤드(105)에 작용하는 중력보다도 커지면, 보유 지지체(505)가 제3 걸림 결합부(545) 및 제4 걸림 결합부(546)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보유 지지체(505)가 퇴피 위치일 때, 맞닿음핀(515)(514)의 하단이나 보유 지지체(505)를 장치 본체로 지지하여 링크 부재(652(651))의 돌기(656(655))가 코일 스프링(548(547))과 비접촉으로 되도록 하더라도 상관없다.
보유 지지체(505)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닿음핀(515)이 드럼 유닛(518)의 맞닿음면(551)에 맞닿는다. 도 27의 (b)는, 광 프린트 헤드(105)가 노광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광 프린트 헤드(105)에 작용하는 드럼 유닛(518)에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스력이 불충분하다. 그 때문에, 광 프린트 헤드(105)에 상기 바이어스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이동 기구(640)는, 도 27의 (b)의 상태로부터 링크 부재(652)가 더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7의 (b)의 상태로부터 링크 부재(652)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하더라도, 맞닿음핀(515)이 드럼 유닛(518)의 맞닿음면(551)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보유 지지체(505)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한편, 돌기(656)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코일 스프링(548)은 제3 걸림 결합부(545)와 제4 걸림 결합부(546) 사이를 돌기(656)에 의하여 압박받아서, 도 2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하여 신장한다.
도 27의 (c)의 상태는 도 23의 (c) 및 (d)의 커버(558)의 상태에 대응한다. 즉, 슬라이드부(525)는 그 이상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슬라이드부(525)가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링크 부재(652)는, 도 27의 (c)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일은 없으며, 돌기(656)도 상측으로 이동하는 일 없이 도 27의 (c)의 위치에 정지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548)은, 수축하는 힘이 제3 걸림 결합부(545) 및 제4 걸림 결합부(546)에 작용한다. 제3 걸림 결합부(545) 및 제4 걸림 결합부(546)에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548)의 수축력의 분력이 상측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보유 지지체(505)에는, 드럼 유닛(518)측으로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스력이 작용하여, 보유 지지체(505)는 맞닿음핀(515)을 통하여 드럼 유닛(518)에 바이어스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3 걸림 결합부(545)가 제4 걸림 결합부(546)보다도 감광 드럼(103)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548)에는 돌기(656)로부터 화살표 N 방향의 항력이 작용한다. 화살표 N 방향의 항력의 분력이 보유 지지체(505)에 작용한다. 그 때문에, 맞닿음핀(515)에는 전후 방향의 후측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여, 맞닿음면(551)에 맞닿은 맞닿음핀(515)은 끼워맞춤부(685)의 안쪽의 후측벽면(596)에 바이어스되어 맞닿는다. 제1 걸림 결합부(543)는 제2 걸림 결합부(544)보다도 감광 드럼(103)측에 배치되어 있는 이유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프린트 헤드(105)가 구비하는 보유 지지체(505)에는 렌즈 설치부(7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 설치부(701)는,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에 대향하는 대향면(제1 내벽면(507) 및 제2 내벽면(508))과, 상기 대향면보다도 감광 드럼(103)측에 마련되어, 감광 드럼(103)측을 향함에 따라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제1 경사면(703) 및 제2 경사면(704))을 구비하고, 경사면과 렌즈 어레이(506)의 측벽면에 의하여 형성된 홈에 충전제가 충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 어레이를 갖는 광 프린트 헤드 및 화상 형성 장치이며, 렌즈 어레이를 파지 기구로 파지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체에 대한 렌즈 어레이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음을 제공할 수 있다.
502: 기판
505: 보유 지지체
506: 렌즈 어레이
507: 제1 내벽면(제1 대향부)
508: 제2 내벽면(제2 대향부)
701: 렌즈 설치부
702: 기판 설치부
703: 제1 경사면
704: 제2 경사면
906: 관통 구멍
907: 접착제

Claims (38)

  1.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광 프린트 헤드이며,
    감광 부재를 노광하기 위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상기 광 프린트 헤드의 긴 쪽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감광 부재에 집광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회로 기판이 설치되는 기판 설치부와, 상기 기판 설치부로부터 상기 감광 부재를 향해 제2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상기 렌즈 어레이의 양 측벽면이 설치되는 렌즈 어레이 설치부를 구비하는 보유 지지체와;
    상기 렌즈 어레이가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양 측벽면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제2 방향에서 상기 기판 설치부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길이 범위 내의 영역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렌즈 어레이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의 일부이고, 상기 제2 영역은 타측의 일부이며,
    상기 렌즈 어레이의 길이는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단은 제1 방향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의 일단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타단은 제1 방향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의 타단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광 프린트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제2 방향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로부터 상기 감광 부재를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광 프린트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는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의 중앙으로부터 제1 방향의 일단측에 제1 절결부를 구비하고, 제1 방향의 타단측에 제2 절결부를 구비하고,
    제3 방향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를 보았을 때, 상기 렌즈 어레이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의 상기 제1 절결부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의 상기 제2 절결부로부터 노출되는, 광 프린트 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는 상기 양 측벽면의 일 측벽면에 대향하는 제1 대향부 및 상기 양 측벽면의 타 측벽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어레이는 상기 제1 대향부 및 제2 대향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절결부는 상기 제1 대향부 및 제2 대향부에 형성되는, 광 프린트 헤드.
  5. 화상 형성 장치이며,
    감광 부재와,
    감광 부재를 노광하기 위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광 프린트 헤드의 긴 쪽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감광 부재에 집광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회로 기판이 설치되는 기판 설치부와, 상기 기판 설치부로부터 상기 감광 부재를 향해 제2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상기 렌즈 어레이의 양 측벽면이 설치되는 렌즈 어레이 설치부를 구비하는 보유 지지체와;
    상기 렌즈 어레이가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양 측벽면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제2 방향에서 상기 기판 설치부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길이 범위 내의 영역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렌즈 어레이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의 일부이고, 상기 제2 영역은 타측의 일부이며,
    상기 렌즈 어레이의 길이는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일단은 제1 방향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의 일단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타단은 제1 방향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의 타단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제2 방향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로부터 상기 감광 부재를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는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의 중앙으로부터 제1 방향의 일단측에 제1 절결부를 구비하고, 제1 방향의 타단측에 제2 절결부를 구비하고,
    제3 방향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를 보았을 때, 상기 렌즈 어레이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의 상기 제1 절결부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의 상기 제2 절결부로부터 노출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 설치부는 상기 양 측벽면의 일 측벽면에 대향하는 제1 대향부 및 상기 양 측벽면의 타 측벽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어레이는 상기 제1 대향부 및 제2 대향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절결부는 상기 제1 대향부 및 제2 대향부에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207000519A 2017-06-16 2018-06-15 광 프린트 헤드, 화상 형성 장치, 및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 KR102410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19008 2017-06-16
JP2017119008 2017-06-16
PCT/JP2018/023715 WO2018230745A1 (ja) 2017-06-16 2018-06-15 光プリントヘッド、画像形成装置および光プリントヘッド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950A KR20200016950A (ko) 2020-02-17
KR102410305B1 true KR102410305B1 (ko) 2022-06-22

Family

ID=6465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519A KR102410305B1 (ko) 2017-06-16 2018-06-15 광 프린트 헤드, 화상 형성 장치, 및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66405B2 (ko)
EP (1) EP3640036B1 (ko)
JP (1) JP7130642B2 (ko)
KR (1) KR102410305B1 (ko)
CN (1) CN110785287B (ko)
WO (1) WO20182307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8101B2 (ja) 2019-05-14 2023-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プリント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7423263B2 (ja) * 2019-11-01 202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4307A1 (en) * 2014-02-17 2015-08-20 Konica Minolta, Inc. Optical writ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3071A (ja) * 1982-05-21 1983-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発光ダイオ−ドアレイ
US4875057A (en) * 1988-09-01 1989-10-17 Eastman Kodak Company Modular optical printhead for hard copy printers
JP2001080110A (ja) * 1999-09-16 2001-03-27 Canon Inc 露光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露光装置ならびに露光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1277586A (ja) * 2000-03-30 2001-10-09 Kyocera Corp 光プリンタヘッド
TW527817B (en) * 2000-08-11 2003-04-11 Canon Kk Image sensor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7061518B2 (en) 2001-05-16 2006-06-13 Suzuka Fuji Xerox Co., Ltd. LED print head and production method of LED print head and method of producing LED substrate and method of pasting LED substrate
US7154525B2 (en) * 2002-06-26 2006-12-26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and device for focus adjustment of optical writ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focus adjustment device
JP2004148748A (ja) * 2002-10-31 2004-05-27 Kyocera Mita Corp 露光ユニット自動焦点調整及び傾き補正装置
JP2005059300A (ja) * 2003-08-08 2005-03-1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リントヘッド
JP2005059298A (ja) * 2003-08-08 2005-03-1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リントヘッド
JP2007055060A (ja) * 2005-08-24 2007-03-08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印刷装置
JP2010184392A (ja) 2009-02-10 2010-08-26 Seiko Epson Corp ラインヘッド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203678A (ja) * 2010-03-26 2011-10-13 Fuji Xerox Co Ltd 露光装置、露光装置の信号伝達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5206753B2 (ja) 2010-09-01 2013-06-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230252A (ja) 2011-04-26 2012-11-22 Oki Data Corp レンズアレイ、レンズユニット、露光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読み取り装置
JP2013025187A (ja) 2011-07-22 2013-02-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874259B2 (ja) * 2011-09-14 2016-03-02 株式会社リコー 光プリント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5962909B2 (ja) 2012-07-20 2016-08-03 株式会社リコー 結像光学系、プリントヘッド、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5874619B2 (ja) * 2012-12-10 2016-03-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プリント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5991262B2 (ja) * 2013-04-25 2016-09-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露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6182681A (ja) * 2015-03-25 2016-10-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光学装置の製造装置
JP7027121B2 (ja) 2017-10-27 2022-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10928746B2 (en) 2017-10-27 2021-02-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optical print head
JP2019082504A (ja) 2017-10-27 2019-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664370B2 (ja) 2017-12-07 2020-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9197178A (ja) 2018-05-11 2019-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195975A (ja) 2018-05-11 2019-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4307A1 (en) * 2014-02-17 2015-08-20 Konica Minolta, Inc. Optical writ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0036B1 (en) 2023-10-25
WO2018230745A1 (ja) 2018-12-20
EP3640036A1 (en) 2020-04-22
KR20200016950A (ko) 2020-02-17
EP3640036A4 (en) 2021-06-09
JPWO2018230745A1 (ja) 2020-05-07
US20200192236A1 (en) 2020-06-18
US11366405B2 (en) 2022-06-21
CN110785287A (zh) 2020-02-11
JP7130642B2 (ja) 2022-09-05
CN110785287B (zh)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93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ptical print head
JP7098794B2 (ja)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1042979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ptical print head
US1073969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ptical print head
US1040175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ptical print head
US104297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ptical print head
JP7039189B2 (ja)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CN110998459B (zh) 具备光打印头的图像形成装置
CN109143826B (zh) 具有光学打印头的成像设备
JP7263064B2 (ja) 光プリントヘッド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用の清掃部材および光プリントヘッド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2410305B1 (ko) 광 프린트 헤드, 화상 형성 장치, 및 광 프린트 헤드의 제조 방법
JP2019082504A (ja)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7309391B2 (ja) 光プリントヘッド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用及び当該光プリントヘッドを清掃する清掃部材
JP7146752B2 (ja)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CN110959140B (zh) 具备光打印头的图像形成装置
JP7171379B2 (ja)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9074572A (ja)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9001102A (ja) 発光装置
JP2020118786A (ja)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