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144B1 - 빌딩의 현대화 방법 및 빌딩에 형성된 리프트 시스템을 구비한 구조체 - Google Patents

빌딩의 현대화 방법 및 빌딩에 형성된 리프트 시스템을 구비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144B1
KR102359144B1 KR1020187036690A KR20187036690A KR102359144B1 KR 102359144 B1 KR102359144 B1 KR 102359144B1 KR 1020187036690 A KR1020187036690 A KR 1020187036690A KR 20187036690 A KR20187036690 A KR 20187036690A KR 102359144 B1 KR102359144 B1 KR 102359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rwell
building
access
new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646A (ko
Inventor
레나르트 슈펜쏜-힐포르트
죈케 메슈테마허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1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05Lift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에서, 빌딩 (1) 의 이전 계단통 (3) 이 전환되어, 형성될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가 상기 이전 계단 통 (3) 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엘리베이터 카 (27) 로부터 상기 빌딩 (1) 의 특정 층들 (42-46) 에 무단 접근이 용이하게 되도록 상기 빌딩 (1) 의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가 제공되고, 상기 카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전 계단통 (3) 의 외측에 새로운 계단 (17) 이 형성된다. 상기 이전 계단통 (3) 으로부터 이전 계단 (4) 이 제거된다.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옆에 접근 브리지들 (24) 이 배치되고, 그럼으로써 새로운 계단으로부터 상기 특정 층들 (42-46) 로의 동일 높이의 접근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빌딩의 현대화 방법 및 빌딩에 형성된 리프트 시스템을 구비한 구조체
본 발명은 빌딩을 현대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환은 빌딩의 계단통의 영역에서 발생하고, 이러한 전환은 계단통 외측의 영역, 특히 빌딩 외측의 영역과 관련되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계단통에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빌딩 내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갖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출발점은 계단통을 통해서만 특정 층들에 접근할 수 있는 기존 빌딩, 예를 들어 아파트 빌딩, 사무용 빌딩, 관리 빌딩 등이다. 이는 예를 들어 빌딩의 현대식 또는 이미 현대화된 부분이 이미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고 빌딩의 구식 또는 현대화되지 않은 부분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비하는 상황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갖는 빌딩이 업그레이드될 때, 형성된 엘리베이터에 근접한 계단을 통한 접근성이 동시에 여전히 보장되어야 한다. 이 경우, 빌딩의 개별 층들은 형성될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통해 평평하고 바람직하게는 장벽이 없는 방식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하나의 특정 응용분야는 개별 층들이 기존의 계단을 통해서만 도달할 수 있는 이런 종류의 빌딩과 관련된다. 이는, 특히 계단이 부분적으로 파괴된 경우, 전환이 빌딩의 접근성을 제한할 수 있어서 전환 과정에서 빌딩의 유용성을 보장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 범위를 크게 제한하기 때문이다.
DE 10 2011 115 217 A1 은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없는 이중-런 계단통을 전방에 단일-런 계단, 브리지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갖는 계단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에서는 이전 빌딩 외부에 연장부가 형성되는데, 이 연장부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이전 계단통의 확장부를 포함하며, 이 확장부는 이전 계단통쪽으로 열려 있다. 이러한 확장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배치된 엘리베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랜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계단 층계를 확장하여 연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계단 층계가 제거될 수 있고, 개개의 레벨을 위한 브리지들이 그 지점에 삽입될 수 있다.
DE 10 2011 115 217 A1 에 공지된 방법은 각각의 특정 경우에서 구현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어서 적용 범위를 제한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 관련한 문제는, 특히 계단통을 확장하고 이전 빌딩 외측의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필요한 연장 부의 큰 밀폐된 공사량이다. 이는 실제적으로 이용가능한 공간 및 심미적인 이유로 인해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또는 적어도 실제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해결책을 배제하는 법적 규정도 준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관측되는 거리 공간에 관한 규정은 건설 프로젝트가 법적인 이유로 승인될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대안으로, 이는 원하는 것보다 작은 엘리베이터 승강로로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빌딩 규정과 관련하여 촉진 또는 면제가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한 거리 공간에 관한 촉진과 관련된 이러한 종류의 면제는 회귀 구조의 계단통에만 관련될 수 있지만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포함한 광범위한 구조에는 관련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 연장에서 계단통을 연결하거나 직접 공간적으로 확장하는 것과 관련하여 또 다른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빌딩의 외부 절연부에 연장부를 완전히 통합해야 할 수도 있다.
DE 10 2014 114 904 A1 은 기존 빌딩의 계단통에 엘리베이터를 배치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 알려진 구조에 대한 전환의 출발점은 여러 층에 걸쳐 지하로부터 연장되고 각 층의 중간에 중간 랜딩이 있는 계단통을 포함하는 빌딩이다. 전환하기 전에, 층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각 중간 랜딩으로부터 계단의 하나의 층계를 올라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중간 랜딩 지점에서 정지하는 빌딩 외부에 배치된 엘리베이터는 개별 층들에의 장애물이 없는 접근을 허용할 수 없다. 따라서 새로운 계단의 구성요소가 되는 원래의 계단 안쪽에 배치된 이전의 외부 벽, 이전의 중간 랜딩을 넘어서 계단통을 확장시키는 연장부에 부착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로써 가능해진 계단의 층계를 제거하면 이전 계단통 내부에 배치된 엘리베이터를 위한 공간이 생긴다.
DE 10 2014 114 904 A1 에 공지된 구조는, 전환 중에 이전 계단통을 외부로 개방하면 연장부를 외부 절연부에 완전히 통합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수평 단면은 나머지 중간 랜딩과 이용가능한 계단의 층계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광범위한 전환 조치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경우에 작은 엘리베이터만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지는 과제는 빌딩을 현대화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빌딩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갖는 개선된 구조체를 규정하는 것이다. 특히, 건축 및 빌딩 규정에 관한 요건이 보다 쉽게 충족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전환 작업과 관련하여, 비교적 큰 엘리베이터 시스템,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비교적 큰 수평 단면을 구현하는 특정 과제가 고려될 수 있으며, 이는 보다 큰 적용 범위를 유도한다. 더욱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기존 빌딩에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 목적을 위해 빌딩이 적어도 대체로 사용가능하게 유지되고 특히 전환중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필요한 빌딩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 과제가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빌딩에 대한 필요한 전환 및 확장 작업을 비교적 단순한 건설 및 철거 작업으로 제한하고, 특히 외부 벽이나 외부 표면에 대한 변경을 최소화하는 또 다른 특정 과제가 고려될 수 있다.
다음에, 전술한 과제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대응 방법 및 빌딩 내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갖는 대응 구조체에 대한 해결책이 특정된다. 또한, 유리한 개선예 및 실시형태들이 특정된다.
제안된 해결책은 다음의 빌딩의 현대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이 방법에서는, 빌딩의 이전 계단통이 전환되어, 형성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이전 계단통에 제공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빌딩의 특정 층들에 무단 접근 (stepless access) 이 용이하게 되도록 빌딩의 이전 계단통에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제공되고, 카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제공될 수 있고, 이전 계단통의 외측에 새로운 계단이 형성되고, 적어도 특정 층들에 걸쳐 연장하는 이전 계단통의 영역에서 이전 계단통으로부터 이전 계단이 제거되고, 이전 계단통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옆에 접근 브리지들이 배치되고, 그럼으로써 새로운 계단으로부터 특정 층들로의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의 접근 (substantially flush access) 이 가능해진다. 접근 브리지들은 실질적으로 무단형이다. 이는, 접근 브리지들이 수평방향의 종방향 지지체로서 설계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개별 랜딩이나 문턱이 필요한 경우에 전환 영역과 도어 영역에 존재할 수 있음을 실질적으로 의미한다. 따라서 새로운 계단으로부터 각 층으로의 연결은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이다. 접근 브리지들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이다.
또 다른 해결책은 다음의 빌딩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비한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이 구조체에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빌딩의 전환된 이전 계단통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빌딩의 특정 층들에 무단 접근이 용이하게 되도록 빌딩의 이전 계단통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배치되고, 카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제공되고, 이전 계단통의 외측에 새로운 계단이 형성되고, 이전 계단통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옆에 접근 브리지들이 제공되고, 접근 브리지들을 통한 새로운 계단으로부터 특정 층들로의 접근, 바람직하게는 동일 높이의 접근이 용이해진다.
이전 계단이 이전 계단통으로부터 제거될 때, 이전 계단의 기능적 목적, 즉 계단을 통해 개별적으로 결정된 층들에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제거 후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전 계단은, 이전 계단의 설계에 따라, 예를 들어 철거 수단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예를 들어 접근 브리지들을 위한 지지 베어링으로서 또는 형성될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체결 지점으로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이전 계단의 부분들은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새로운 계단은 이전 계단통의 외부에 있다. 따라서 이전 계단통 및 새로운 계단이 형성되는 새로운 계단통은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열 절연부는 선택적으로 갱신된 형태로 이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새로운 계단통이 포함된 확장부의 비용-최적화된 구현이 가능하다. 각 적용에서, 외부 및/또는 비상구 계단을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계단이 빌딩의 벽에 의해 이전 계단통으로부터 분리되고, 바람직하게는 도어에 의해 바람직하게 폐쇄될 수 있고 새로운 계단으로부터 특정 층들로의 또는 접근 브리지들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벽에 통로들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어에 의해 벽의 통로를 폐쇄할 수 있는, 옵션으로서 고려되는 조치는 빌딩 외측에 요구되는 열 절연을 특히 수고를 덜 들이고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빌딩의 벽은 빌딩의 외부 벽 또는 이전 외부 벽의 지점에 있는 것이 유리하다. 도어는 화재 도어로 설계되어서, 화재 발생시에 새로운 계단통이 피난 계단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피난 사다리 등을 배치하는데 필요한 저장 공간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접근 브리지들이나 특정 층들이 벽의 폐쇄가능한 통로를 통해 새로운 계단으로부터 접근될 수 있다면, 새로운 계단통에 대한 더 낮은 접근이 열릴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새로운 계단으로부터 접근 브리지들로의 접근이 물론 개방될 수 있으며, 메인 도어에 의해서 오직 더 낮은 접근이 폐쇄될 수 있거나, 또는 층의 개별 아파트먼트에 대한 접근 도어가 외부 도어로서 설계되면, 새로운 계단통의 영역에서의 임의의 폐쇄가능한 도어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새로운 계단은 부착된 콜드 계단통으로서 설계된 새로운 계단통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어느 정도 추가적으로 부착된 새로운 계단통이 새로운 계단을 완전하게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장부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이 각 적용에서 요구되는 최소 공간으로 동시에 제한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빌딩 규정을 고려한 특수한 배치가 회귀적으로 부착된 계단 공간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오직 필요한 거리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시트 유리 및/또는 기타 조립식 부품이 장착된 조립식 부품 및/또는 보강 콘크리트 부품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계단을 날씨에 대해 거의 수고를 들이지 않고 보호할 수 있다. 새로운 계단의 구조와 치수는 이 경우에 원하는 특성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의 경우에 들것이 계단을 통해 운반될 수 있다는 요건이 고려된다. 더욱이, 요소들, 특히 접근 브리지들이 전환을 위해 새로운 계단을 통해 이전 계단통에 위치하는 것이 필요하거나 요망될 수 있다. "새로운 계단을 통해" 라는 말은 계단통을 통해 접근 브리지들을 들어올려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새로운 계단의 계단 구성은, 예를 들어, 접근 브리지들을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팅 장치를 체결할 수 있는 지지 지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접근 브리지들은 새로운 계단의 계단 외관을 따라 들어올려져 해당 층의 높이에서 빌딩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 물론, 접근 브리지들은 이동식 호이스팅 크레인에 의해 들어올져질 수도 있다.
특정 층들의 층 위치와 정렬되는 새로운 계단통은 유리하게는 전환 과정의 시작시에 들어올져질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계단통은 유리하게는 계단의 계단 구조와 빌딩의 벽 단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벽 단부는 열 절연부, 접근 브리지들이 설치되는 지지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로부터 시작하여, 계단들의 층계들 및 오래된 빌딩 외부 벽의 선택적 부분들은 층 단위로 (floor by floor) 제거될 수 있고, 접근 브리지들은 관련 층에 삽입될 수 있다. 접근 브리지들은 새로운 계단통으로부터 관련 층으로 동일 높이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방식으로 이어진다.
접근 브리지들은 계단과 관련 층 랜딩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통과하는 적어도 접근 부분을 따라 최소한의 허용가능한 접근 폭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접근 브리지는, 예를 들어, 0.9 m 내지 1.0 m 의 최소 접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최소 접근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접근 브리지가 탈출 경로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특정된다. 접근 브리지를 최소 접근 크기로 설계하면, 가능한 가장 큰 엘리베이터 카를 설치할 수 있도록 미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가능한 가장 큰 열린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접근 브리지를 설치한 후, 해당 층에 즉시 접근할 수 있다. 필요한 전환 조치, 특히 계단의 층계를 철거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개별 층에 대한 접근은 불과 몇 시간 동안만 차단된다. 따라서 빌딩은, 전환이 수행되는 방식에 따라 각각의 경우에 한 층에만 관련될 수 있는 임시 제한 사항은 배제하고, 전환 작업 중에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련 계단의 층계를 제거하고 해당 접근 브리지를 설치할 때, 하부 계단을 보호하고 그리고/또는 이러한 종류의 하부 계단을 통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임시 보호 지붕을 조립할 수 있다. 간혹, 안전을 이유로 계단의 하부 층계를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
접근 브리지는 계단과 관련 층 랜딩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통과하는 접근 부분을 적어도 따르는 접근 폭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며, 접근 폭은 이전 계단의 이전 층계의 폭보다 작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제공되는 공간이 그에 따라 크게 될 수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계단의 개별적인 층계의 수평 단면을 넘어서 돌출하는 단면에 걸쳐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전 계단은 적어도 특정 층에 걸쳐 연장하는 이전 계단통의 영역에서 이전 계단통으로부터 제거되고 접근 브리지는 이전 계단통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새로운 계단은 처음에 또는 적어도 벽, 특히 외부 벽에 필요한 개구가 형성된 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근 브리지를 통해 이미 연결된 개별 층들에 그리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계단을 통한 접근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새로운 계단이 상응하게 적절한 방식으로 형성된 경우, 접근 브리지는 새로운 계단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접근 브리지는 특정 층의 최상층으로부터 특정 층의 최하층까지 이전 계단통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특정 층들 중의 일부는 그라운드 층으로부터 계속 접근할 수 있는 한편, 다른 층들은 상부에서부터 바닥으로 접근 브리지를 통해 새로운 계단에 점진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몇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는 그리고 한 층에만 영향을 줄 수 있는 일시적인 중단을 제외하고는, 전환 작업 중에도 빌딩의 모든 층에는 여전히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중에 또는 빌딩에 거주하는 동안 전환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특정 층들 중의 하나의 층에 대한 접근 브리지가 각각의 경우 계단 형태로 이전 계단통에 배치되고, 이 특정 층과 그 아래의 특정 층 사이의 이전 계단이 제거되는 것이 유리하다. 계단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보호 지붕을 임시로 삽입할 수 있다. 계단 부분이 제거될 때, 계단의 두 개의 층계 및 예를 들어 층의 중간에 위치하여 그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플랫폼이 예를 들어 제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특히 빌딩이 전환 단계에서 점유되지 않은 경우에는, 접근 브리지는 당연히 특정 층들의 최하층으로부터 특정 층들의 최상층까지 역순으로 연속적으로 이전 계단통에 배치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때로는, 계단통이 비어 있고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위한 벽과 함께 접근 브리지가 계단통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첫 번째 단계에서 이전 계단들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이전 계단통에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위한 벽이 형성되고, 이전 계단이 적어도 특정 층들에 걸쳐 연장하는 이전 계단통의 영역에서 이전 계단통으로부터 제거되고, 이전 계단통에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위한 벽이 형성되기 전에 접근 브리지들이 이전 계단통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새로운 계단이 형성되고 모든 계획된 접근 브리지들이 도입된 후, 필요한 경우에 모든 층들이 새로운 계단을 통해 연결되도록 전환이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라운드 층은 특히 빌딩으로의 입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생된 먼지 및 철거 중의 소음 공해로 인해 발생하는, 전환 작업으로 인한 주요 장애가 짧은 기간, 특히 며칠로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작업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개별 트레이드를 계획하고 조정하는 것이 더 쉬워진다.
이전의 계단통에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용의 벽은 유리하게는 벽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벽 요소들은 이들 벽 요소들이 각각의 경우에 서로 위 아래로 배치된 2 개의 접근 브리지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접근 브리지들은 벽 요소들을 보다 쉽게 설치하기 위해 그에 따라 준비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특정 층들의 최하층으로부터 특정 층들의 최상층까지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용의 벽은 이러한 종류의 벽 요소들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개별 벽 요소들은 설치 중에 점차적으로 서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접근 브리지에 대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벽 브리지들은 특히 수평 단면에서 U 자형인 각도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이전 계단통의 벽에 오픈될 수 있다. 벽 요소들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 벽에 체결된다. 벽 요소들은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료로 부분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는 층 공간으로의 빛의 침투를 개선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용의 벽을 위한 벽 요소들은 또한 상부로부터 시작하여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접근 브리지들 옆의 공간에 의해 생성되는 계단통의 자유 하부 공간이 벽 요소들을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조립 순서를 선택하는 것은 예를 들어 벽 요소들의 설계에 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로 용의 부품들은 이전 계단통에 배치되는 동안 접근 브리지에 이미 부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종류의 부품들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장래 벽의 부분들, 도어 부착 부분들 또는 가이드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구조체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접근 브리지가 빌딩 현장에 전달되기 전에 필수 예비 작업이 이미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하면 빌딩에 설치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부품이 이미 접근 브리지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공구 및 부품이 떨어지는 위험과 기술자 또는 빌더가 떨어질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늦어도 이전 계단통에 배치한 후에 그리고 적어도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위해 벽이 형성될 때까지 접근 브리지에 핸드레일이 체결되는 것이 유리한데, 이 핸드레일은 엘리베이터 승강로로의 낙하를 방지한다. 이 핸드레일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용의 벽을 제작한 후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적용에 따라, 이러한 종류의 핸드레일은 선택적으로 접근 브리지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사전-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핸드레일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용의 벽의 부품일 수도 있다. 핸드레일은, 예를 들어 벽을 후속하여 완성하는 동안에 유리 벽이 배치될 수 있는 고정된 난간일 수 있다.
따라서 접근 브리지는 장래 엘리베이터 또는 장래 벽의 부속 부품이나 적어도 핸드레일을 위한 요소를 이미 가질 수 있다.
새로운 계단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접근 브리지들이 적어도 새로운 계단을 통해 특정 층들에 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접근 브리지를 더욱 쉽게 들어올리는 장치를 새로운 계단통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계단통은 이 목적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새로운 계단 옆에 있는 접근 브리지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전 계단통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새로운 계단통의 전방은 접근 브리지가 이전 계단통에 삽입될 때에만 폐쇄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접근 브리지는 종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접근 브리지로서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접근 브리지는 텔레스코픽 설계에 따라 종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설치 위치에서 정확한 길이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접근 브리지를 설치 위치로 보내는 것이 더 쉬워진다.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평형추의 이동을 위해 예비된 평형추 공간이 새로운 계단에 가까운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 또는 새로운 계단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에 구현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에 제공되는 수평 단면이 최적화될 수 있다.
대안적인 배치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평형추 공간은 새로운 계단통에 설치된다. 평형추 공간은 엘리베이터 카에 가까운 새로운 계단통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평형추 공간은 새로운 계단통을 설치할 때에 형성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빌딩의 이전 외부 벽의 구역을 통과하는 통로는 계단통의 최상부 영역에만 제공되며, 이 통로를 통해 평형추와 엘리베이터 카를 연결하는 서스펜션 수단이 안내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시스템 또는 편향 롤러의 구동장치가 이 최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검사용 개구가 새로운 계단통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개구를 통해 평형추를 정비할 수 있다. 이 대안을 통해, 새로운 계단통이 빌딩에 부착될 때에 평형추를 사전-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빌딩 자체의 조립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며,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 는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에 의한 가능한 전환에 따른 상이한 상태들에 있는 빌딩의 부분적, 개략적, 3 차원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흐름도는 여기서 두 부분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커넥터 A-B 에 연결이 있다. 흐름도는 빌딩 (1) 이 초기 상태에 있는 상태 Z1 으로 시작한다. 빌딩 (1) 은 이전 계단 (4) 을 갖는 이전 계단통 (3) 을 포함한다. 이전 계단통 (3) 및 이전 계단 (4) 은 참조가 일관성있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이 경우 "이전" 으로 언급된다. 빌딩 (1) 에 대한 계획된 전환 작업과 관련하여, 이전 계단 (4) 은 적어도 실질적인 부분에서 제거되어, 더 이상 계단처럼 기능하지 않는다.
전 계단 (4) 은 계단 층계 (5, 6, 7) 를 포함한다. 상태 Z1 의 도면은 계단 층계 (5, 6) 를 나타낸다. 계단 층계 (5, 6) 는 이전 계단 (4) 의 중간 랜딩 (8) 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여기에 이전 계단 (4) 과는 독립적으로 관찰되는 층 랜딩 (9) 이 제공된다. 이는, 층 랜딩 (9) 이 이전 계단 (4) 의 계단 랜딩 기능을 가지고 있더라도, 층 랜딩 (9) 이 전환 작업의 맥락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빌딩 (1) 내부의 룸 (12, 13) 은 도어 (10, 11) 를 통해 층 랜딩 (9) 으로부터 접근가능하다. 룸 (12, 13) 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층 랜딩 (9) 으로의 접근이 필수적이다.
빌딩 (1) 은 이 실시형태에서 외부 벽 (15) 인 벽 (15) 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윈도우 (16) 가 외부 벽 (15) 에 삽입되어, 일광이 이전 계단통 (3) 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태 Z2 에서는, 이전 계단통 (3) 의 외측에 새로운 계단 (17) 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새로운 계단 (17) 은 벽 (15) 에 의해 이전 계단통 (3) 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경우, 새로운 계단 (17) 은 측벽들 (18, 19, 20) 에 의해 날씨 영향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으며, 이들 중 측벽들 (18, 19) 은 벽 (15) 에 연결되어 있다. 측벽들 (18 내지 20) 은 새로운 계단 (17) 을 위한 새로운 계단통 (21) 을 둘러싸고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측벽 (18 내지 20) 이 이후의 시점에서만 부착되는 것이 또한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특히, 측벽 (20) 은 필요한 빌딩 재료 또는 부품을 새로운 계단 (17) 을 통해 개별적인 층들에 가져오기 위해 초기에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태 Z3 에서는, 벽 (15) 이 전환되어서, 윈도우 (16) 가 없어지고 상응하여 부분적으로 폐쇄되며, 도어 (22) 는 벽 (15) 에 도입된 통로 (14) 에서 벽 (15) 에 통합되고, 이 도어를 통해 새로운 계단 (17) 으로부터 이전 계단통 (3) 으로의 접근이 용이해진다. 또한, 새로운 계단 (17) 과 층 랜딩 (9) 사이에는 수평 접근 브리지 (24) 가 배치된다. 도어 (22) 가 개방될 때, 새로운 계단 (17), 통로 (14) 및 접근 브리지 (24) 를 통해 새로운 계단 (17) 으로부터 층 랜딩 (9) 으로의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의 접근이 가능하다. 두 계단 층계 (5, 6) 는 거의 동시에 철거될 수 있다. 접근 브리지 (24) 는 실질적으로 기존의 층 랜딩 (9) 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새로운 계단 (17) 의 계단 랜딩 (23) 에 연결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이전 계단통 (3) 의 기존 측벽에 지지될 수 있다.
상태 Z3 를 참조하여 기술된 조치는 이전 계단 (4) 이 완전히 철거될 때까지 각 층에 대하여 상응하게 반복된다. 이는 예컨대 상태 Z4 에서 개방 공간 (25) 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 개방 공간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삽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태 Z5 에서, 개방 공간 (25) 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에 의해 부분적으로 사용되며,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엘리베이터 카 (27) 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내에 배치된다. 또한, 평형추 공간 (29) 이 새로운 계단 (17) 에 가까운 측면 (28) 에 제공되며, 이 평형추 공간에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평형추 (30) 가 배치된다. 또한, 접근 브리지 (24) 는 랜딩 (31) 까지 연장된다.
변형된 실시형태에서, 평형추 공간 (29) 은 또한 새로운 계단통 (21) 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엘리베이터 카 (27) 의 측면 (32) 에 배치될 수 있다.
상태 Z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 브리지 (24) 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를 통과하는 접근 부분 (35) 을 포함한다. 접근 부분 (35) 은 이 경우 최소 허용가능 접근 폭 (36) 을 갖도록 설계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접근 부분 (35) 은 상태 Z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계단 (4) 의 이전 계단 층계 (6) 의 폭 (37) 보다 작은 접근 폭 (36) 을 가질 수도 있다. 그 결과,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의 폭 (38) 은 최적으로 크다.
이는, 접근 브리지 (24) 및 층 랜딩 (9) 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 (27) 로부터 공간 (12, 13) 으로 무단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장벽이 없이 접근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카 도어는 층 랜딩 (9) 에 더 가까운 측면 (32) 에 또는 접근 브리지 (24) 에 더 가까운 측면 (39) 에 제공될 수 있다.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룸 (12, 13) 에 대해 도어 (10, 11) 에 가까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 도어를 측면 (32) 상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측면 (39) 상에 배치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상응하게 큰 엘리베이터 카 도어로 인해 더 큰 도어 개구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정 배치에서,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도어 리브는 또한 엘리베이터 카 (27) 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코너는 바람직하게는 측면 (32, 39) 과 관련되고, 그럼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27) 에 대한 매우 넓은 접근을 허용한다.
평형추 (30) 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27) 의 측면 (32) 상에 배치되는 수정된 실시형태에서, 측면 (28) 을 통해 플랫폼 (31) 으로 빠져 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그라운드 층에서 엘리베이터 카 (27) 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새로운 계단통 (21) 의 구조 및 배치는 빌딩 (1) 의 인접한 윈도우 (40, 41) 에 적절한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화재 안전 요건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소화 용수를 위한 라이저, 통신 라인 등과 같은 현대화 요소가 새로운 계단통 (21) 및/또는 이전 계단통 (3) 에 배치될 수 있다.
화재 안전과 관련된 보조 수단은 새로운 계단통 (21) 및 접근 브리지 (24) 에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접근 브리지 (24) 는 새로운 계단통 (21) 에 통합된 소화 용수를 위한 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또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구비할 수 있다. 동시에, 접근 브리지 (24) 는 필요하다면 소화 용수를 새로운 계단통 (21) 으로 바깥쪽으로 전환시키는 배수 채널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접근 브리지 (24) 는 보호 영역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27)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의 큰 카 치수를 동시에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공간-절약 설계가 달성될 수 있다. 동시에 화재 안전과 관련된 요건과 같은 빌딩에 대한 추가 안전 요건을 쉽게 충족시킬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f 는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구성에 의한 가능한 전환에 따른 상이한 상태에 있는 빌딩 (1) 의 부분적, 개략적, 3 차원 도면이다. 여기서,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대한 수정이 도시되어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전환은 일반적으로 전환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통상적으로 특정되는 특정 층들 (42 내지 46) 과 관련된다. 이에 대응하여, 특정 층들 (42 내지 46) 에 걸쳐 연장하는 이전 계단통 (3) 의 영역 (61) 이 생성되고, 이 영역에서 계획에 따라 이전 계단 (4) 이 이전 계단통 (3) 으로부터 제거된다. 이 경우, 도시된 모든 층들 (42 내지 46) 은 예를 들어 특정되고, 영역 (61) 은 이전 계단 (4) 전체에 관련된다.
도 2a 는 기존 빌딩 (1) 으로서의 빌딩 (1) 을 도시한다. 이 경우, 이전 계단통 (3) 이 접근할 수 있는 입구 도어 (50) 가 제공된다. 전환의 맥락에서, 입구 도어 (50) 는 장애물없이 변환될 수 있거나, 이러한 종류의 장애물없는 입구 도어 (50) 가 다른 위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이전 계단통 (3) 은 지붕 슬로프 (51) 에 의해 상부가 폐쇄된다.
도 2b 는 제 1 변환 조치를 도시한다. 이 경우, 새로운 계단통 (21) 이 빌딩 (1) 의 외부 벽 (15) 앞에 생성된다. 새로운 계단통 (21) 은 측벽 (18, 19, 20) 및 새로운 지붕 요소 (52) 에 의해 날씨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개방 도시로 인해, 측벽 (19)은 도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상기 측벽은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도면에 따라 측면 (18) 에 대향하여 구현된다. 일광이 새로운 계단통 (21) 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 유리 요소가 유리하게는 측면 벽 (18 내지 20) 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화재 방지를 제공하기 위해, 상응하는 내화 재료로 이루어진 디자인이 몇몇 경우에 가능할 수도 있다. 지붕 요소 (52) 는 빌딩 (1) 이 전환된 후에 이전 계단통 (3) 의 상부 단부로서 동시에 기능한다. 이 경우, 부품 (53, 54),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요소 (53, 54) 는 사전에 제작된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는 지붕 요소 (52) 에 체결될 수 있다.
새로운 계단 (17) 은 새로운 계단통 (21) 에 구성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환이 벽 (15) 에서 수행되고, 윈도우 (16) 는 도어 (22) 에 의해 그리고 윈도우 (56) 는 조합 요소 (55) 에 의해 대체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이는 이전의 외부 벽 (15) 의 전방에 추가 벽 (55) 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외부 벽 (15) 은 이전 계단통 (3) 의 영역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파괴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전환 조치를 또한 상상할 수 있다.
전환의 맥락에서, 지붕 슬로프 (51) 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도 2c 는 전환 중의 빌딩 (1) 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지붕 피치 (51) 는 이미 해체되어 있고, 접근 브리지 (24) 는 이전 계단통 (3) 에 삽입되어 있다. 접근 브리지 (24) 에는 핸드레일 (60) 이 설치되어, 승객이 기존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로 낙하할 수 없다. 이 상태에서, 빌딩 (1) 의 모든 층 (42 내지 46) 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이 접근은 구체적으로 층 랜딩 (9) 의 레벨에 관하여 접근 브리지 (24) 및 새로운 계단 (17) 을 통해 또는 이전 계단 (4) 을 통해 가능하다. 이는, 오직 층 랜딩 (9) 상에서의 빌딩 (1) 의 레벨이 전환 작업으로 인해 일시적인 접근 제한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 계단 층계 (5, 6) 및 이전 계단 (4) 의 중간 랜딩 (8) 이 철거된다.
도 2d 는 빌딩 (1) 을 도시하고, 다른 접근 브리지 (24A) 는 하부 층에 대해 이미 삽입되어 있다. 새로운 계단 (17) 으로부터 접근 브리지 (24A) 를 통해 층 랜딩 (9A) 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상응하게, 이전 계단 (4) 의 또 다른 계단 층계, 특히 계단 층계 (7) 는 단계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철거되며, 이에 관련된 접근 브리지 (24B, 24C) 는 이전 계단통 (3) 에 도입된다.
도 2e 는 이전 계단 (4) 이 층 단위로 해체된 후의 빌딩 (1) 을 도시한다. 이전 계단 (4) 이 해체되는 영역 (61) 은 이전 계단 (4) 전체에 걸쳐 있다. 그러나, 영역 (61) 은 이전 계단 (4) 의 일부에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전 계단 (4) 은 베이스먼트를 유도할 수 있고, 그것에 관계되는 이전 계단 (4) 의 일부가 유지된다. 베이스먼트는 영향을 받지 않는 층이며 따라서 특정 층들, 즉 여기서는 층들 (42 내지 46) 에 속하지 않는다.
또한, 벽 요소 (62) 는 바람직하게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전 계단통 (3) 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접근 브리지 (24, 24A 내지 24C) 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f 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을 갖는 전환된 빌딩 (1) 을 도시한다. 이 경우, 벽 요소 (62) 는 벽 (63) 을 형성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 (27) 와 평형추 (30) 는 벽 (63) 및 빌딩 벽 (64) (도 1b 참조) 에 의해 둘러싸인,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수단 (65) 으로부터 현수된다. 구동 시브 (66) 를 갖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동 기계 유닛 (66) 이 부품들 (53, 54) 에 체결될 수 있는데, 이 구동 시브 주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수단 (65) 이 안내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 (27) 및 평형추 (30) 를 위한 가이드 레일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접근 브리지 (24, 24A 내지 24C) 가 이전 계단통 (3) 에 배치될 때에 접근 브리지 (24, 24A 내지 24C) 에는 부품들, 특히 가이드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구조체 또는 도어 어태치먼트, 벽 요소 (62) 의 상응하게 치수설정된 부분이 이미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드레일 (60) 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의 벽 (62) 의 일부로서 설계될 수 있거나, 또는 샤프트 도어의 도어 문턱이 접근 브리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형태, 가능한 설계 및 수정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5)

  1.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으로서,
    상기 빌딩 (1) 의 이전 계단통 (3) 이 전환되어, 형성될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가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엘리베이터 카 (27) 로부터 상기 빌딩 (1) 의 특정 층들 (42-46) 에 무단 접근 (stepless access) 이 용이하게 되도록 상기 빌딩 (1) 의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가 제공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내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이전 계단통 (3) 의 외측에 새로운 계단 (17) 이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특정 층들 (42-46) 에 걸쳐 연장하는 상기 이전 계단통 (3) 의 영역 (61) 에서 상기 이전 계단통 (3) 으로부터 이전 계단 (4) 이 제거되고,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옆에 접근 브리지들 (24) 이 배치되고, 그럼으로써 새로운 계단으로부터 상기 특정 층들 (42-46) 로의 접근이 가능해지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계단 (17) 은 상기 빌딩 (1) 의 벽 (15, 57) 에 의해 상기 이전 계단통 (3) 으로부터 분리되는 새로운 계단통 (21) 에 형성되고, 접근 브리지들 (24) 을 통해 상기 새로운 계단 (17) 으로부터 상기 특정 층들 (42-46) 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통로들 (14) 이 상기 벽 (15, 57) 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브리지들 (24) 은 상기 새로운 계단 (17) 과 관련 층 랜딩 (9) 사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를 통과하는 적어도 접근 부분 (35) 을 따라 최소한으로 허용가능한 접근 폭 (36) 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브리지들 (24) 은 상기 새로운 계단 (17) 과 관련 층 랜딩 (9) 사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를 통과하는 적어도 접근 부분 (35) 을 따라 접근 폭 (36) 을 갖도록 설계되고, 상기 접근 폭은 이전 계단 (4) 의 스테어 (6) 의 이전 층계의 폭 (37)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특정 층들 (42-46) 에 걸쳐 연장하는 상기 이전 계단통 (3) 의 영역 (61) 에서 상기 이전 계단통 (3) 으로부터 상기 이전 계단 (4) 이 제거되기 전에 상기 새로운 계단 (17) 이 형성되고, 상기 접근 브리지들 (24) 은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브리지들 (24) 은 상기 특정 층들 (42-46) 중의 최상층 (46) 으로부터 상기 특정 층들 (42-46) 중의 최하층 (42) 까지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층들 (42-46) 중의 하나의 층 (46) 을 위한 접근 브리지 (24) 가 각각의 경우에 계단형 방식으로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 배치되고, 특정 층 (46) 과 그 아래의 특정 층 (45) 사이의 상기 이전 계단 (4) 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를 위한 벽 (63) 이 형성되고, 상기 이전 계단 (4) 은 적어도 상기 특정 층들 (42-46) 에 걸쳐 연장하는 상기 이전 계단통 (3) 의 영역 (61) 에서 상기 이전 계단통 (3) 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를 위한 상기 벽 (63) 이 형성되기 전에 상기 접근 브리지들 (24) 이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특정 층들 (42-46) 중의 최하층 (42) 으로부터 특정 층들 (42-46) 중의 최상층 (46) 까지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를 위한 벽 (63) 은 벽 요소 6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용의 부품들은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 배치될 때에 상기 접근 브리지들 (24) 에 이미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늦어도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 배치된 후에 그리고 적어도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용의 벽 (63) 이 형성될 때까지 상기 접근 브리지들 (24) 에 핸드레일 (60) 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계단 (17) 은 적어도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새로운 계단 (17) 을 통해 상기 접근 브리지들 (24) 이 상기 특정 층들 (42-46) 로 올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접근 브리지들 (24) 이 종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접근 브리지들 (24) 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평형추 공간 (29) 이 상기 새로운 계단 (17) 에 가까운 상기 엘리베이터 카 (27) 의 측부 (28) 또는 상기 계단 (17) 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엘리베이터 카 (27) 의 측부 (32) 에 구현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평형추 공간 (29) 이 새로운 계단통 (21) 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27) 에 가까운 새로운 계단통 (21) 의 측부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근 브리지 (24) 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클러 헤드가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는 새로운 계단통 (21) 에 통합된 소화 용수를 위한 라인에 의해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접근 브리지 (24) 는 소화 용수를 상기 새로운 계단통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1) 의 현대화 방법.
  15. 빌딩 (1) 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을 구비한 구조체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는 상기 빌딩 (1) 의 전환된 이전 계단통 (3) 에 배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엘리베이터 카 (27) 로부터 빌딩 (1) 의 특정 층들 (42-46) 에 무단 접근이 용이하게 되도록 빌딩 (1) 의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이 배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내에 제공되고, 상기 이전 계단통 (3) 의 외측에 새로운 계단 (17) 이 형성되고,
    상기 이전 계단통 (3) 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26) 옆에 접근 브리지들 (24) 이 제공되고, 상기 접근 브리지들 (24) 을 통한 상기 새로운 계단 (17) 으로부터 상기 특정 층들 (42-46) 로의 동일 높이의 (flush) 접근이 용이해지는, 빌딩 (1) 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을 구비한 구조체.
KR1020187036690A 2016-06-21 2017-06-21 빌딩의 현대화 방법 및 빌딩에 형성된 리프트 시스템을 구비한 구조체 KR102359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5551.7 2016-06-21
EP16175551 2016-06-21
PCT/EP2017/065241 WO2017220653A1 (de) 2016-06-21 2017-06-21 Verfahren zum modernisieren eines gebäudes und anordnung mit einer in einem gebäude errichteten aufzugs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646A KR20190018646A (ko) 2019-02-25
KR102359144B1 true KR102359144B1 (ko) 2022-02-04

Family

ID=5614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690A KR102359144B1 (ko) 2016-06-21 2017-06-21 빌딩의 현대화 방법 및 빌딩에 형성된 리프트 시스템을 구비한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77808B2 (ko)
EP (1) EP3472402B1 (ko)
KR (1) KR102359144B1 (ko)
CN (1) CN109415905A (ko)
AU (1) AU2017281305B2 (ko)
BR (1) BR112018075127A2 (ko)
WO (1) WO2017220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18407C (en) * 2018-11-14 2023-10-03 Innovative Building Technologies, Llc Modular stairwell and elevator shaft system and method
DE102019107165A1 (de) * 2019-03-20 2020-09-24 Manfred Greschbach Verfahren zum Nachrüsten eines Gebäudes mit einer Aufzugsanlage, Bauteilsatz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ufzugsanlage und vorgefertigter Schacht für die Aufzugsanlage
CN111042571A (zh) * 2020-01-07 2020-04-21 陈艳彬 一种平层入户加装电梯及其施工方法
CN111395793A (zh) * 2020-03-24 2020-07-10 北京工业大学 一种既有住宅室外加装电梯的方式
JP7502222B2 (ja) * 2021-03-16 2024-06-18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建物
CN113202326A (zh) * 2021-05-11 2021-08-03 北京和筑科技有限公司 带有电梯的建筑结构及建筑物
US20230037268A1 (en) * 2021-07-27 2023-02-02 James J. D'Elia Vertical Fitness Center Stair Tower System
DE102022107589A1 (de) * 2022-03-30 2023-10-05 Manfred Greschbach Fundamentrahmen und Verfahren zum Nachrüsten eines Gebäudes mit einer Aufzugsanl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934A (ja) 2000-03-30 2001-10-10 Kajima Corp 既存建物へのエレベータの構築方法
JP2002013298A (ja) 2000-06-29 2002-01-18 Okumura Corp 既設階段室型積層住宅に対するエレベータ付設工法とエレベータ付積層住宅
JP2011241569A (ja) 2010-05-17 2011-12-01 Daiken Co Ltd 建築物の改築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改築された建築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567B2 (ja) * 1997-11-26 2001-04-25 佐藤工業株式会社 住戸アクセス用昇降設備の増設方法およびその施工手順
JP2002012379A (ja) 2000-06-29 2002-01-15 Okumura Corp 既設階段室型積層住宅に対するエレベーター付設工法及びエレベーター付積層住宅
JP2003013615A (ja) 2001-07-03 2003-01-15 Chikashi Soda 既存階段室型集合住宅へのエレベータ設置方法
KR20060070123A (ko) * 2004-12-20 2006-06-23 김도균 외장형 승강공간을 갖는 건축물구조
DE102011052727A1 (de) * 2011-08-16 2013-03-07 Rico Müller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 deren Anbindung an das Treppenhaus eines bestehenden Gebäudes
DE102011115217A1 (de) * 2011-09-28 2013-03-28 BFS GmbH & Co. KG Verfahren zum Umbau eines zweiläufigen Treppenhauses ohne Aufzugsschacht in ein Treppenhaus mit einer einläufigen Treppe, Brücke und vorgestelltem Aufzugsschacht
IL222887A (en) * 2012-11-05 2017-02-28 Baruch Yarmolinsky Escape and rescue stairs and a method for providing safety to building occupants in an emergency
CN203247867U (zh) * 2013-05-09 2013-10-23 刘启辉 一种旧楼加装电梯的建筑结构
CN203667761U (zh) * 2013-12-24 2014-06-25 苏州台菱电梯有限公司 现有建筑物中的简易型加装电梯
DE202014101953U1 (de) * 2014-04-25 2014-09-16 Thorsten Fichtler Anordnung eines Fahrstuhles in das Treppenhaus eines bestehenden Gebäudes
CN105600647A (zh) * 2016-03-28 2016-05-25 北京安泰鸿源电梯设计有限公司 既有多层住宅建筑加装电梯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934A (ja) 2000-03-30 2001-10-10 Kajima Corp 既存建物へのエレベータの構築方法
JP2002013298A (ja) 2000-06-29 2002-01-18 Okumura Corp 既設階段室型積層住宅に対するエレベータ付設工法とエレベータ付積層住宅
JP2011241569A (ja) 2010-05-17 2011-12-01 Daiken Co Ltd 建築物の改築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改築された建築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75127A2 (pt) 2019-03-12
US20190323245A1 (en) 2019-10-24
WO2017220653A1 (de) 2017-12-28
KR20190018646A (ko) 2019-02-25
AU2017281305A1 (en) 2019-01-17
EP3472402A1 (de) 2019-04-24
EP3472402B1 (de) 2024-06-26
CN109415905A (zh) 2019-03-01
US10577808B2 (en) 2020-03-03
AU2017281305B2 (en)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144B1 (ko) 빌딩의 현대화 방법 및 빌딩에 형성된 리프트 시스템을 구비한 구조체
CN111719815A (zh) 用电梯设备改造建筑物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结构组件
US8544238B2 (en)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floor buildings
US1185877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onstruction site device and construction site device
CN104929353A (zh) 可拆卸楼梯式电梯井自动爬升操作平台
WO2024033415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and installing an elevator unit in the building
CN111946084A (zh) 加装电梯四分之一层入户式楼梯改造结构及施工方法
CN106401210A (zh) 装配式建筑电梯井工具式竖向交通楼梯
JP6586490B2 (ja) 人荷昇降装置付き移動昇降式足場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施工方法及びこれらの設置方法
CN109019256A (zh) 先建走道直达原大门外挂加装电梯
JP2006265835A (ja) 階段装置
JP2001295479A (ja) 中低層建物にエレベーターを付設する方法
KR101203134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JP3760133B2 (ja) 住戸アクセス用昇降設備の増設方法
CN112681792A (zh) 一种交叉式楼梯增设电梯实现平层入户的楼道改造方法
JP4617918B2 (ja) 階段の改修方法
JPH10280555A (ja) ユニット型エレベータ
JP4037735B2 (ja) エレベータ構築方法
JP3684946B2 (ja) エレベータの塔屋の構造
JP3695281B2 (ja) エレベータの塔屋の構造
JP4489879B2 (ja) 中低層集合住宅用エレベータ装置
JP3107639U (ja) 外部枠組足場昇降用スライドステップ
CN110550523A (zh) 一体式加装电梯及其施工方法
CN109025362A (zh) 走道直达原大门外挂加装电梯
JPH02138091A (ja) 仮設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