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766B1 -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766B1
KR102358766B1 KR1020200061804A KR20200061804A KR102358766B1 KR 102358766 B1 KR102358766 B1 KR 102358766B1 KR 1020200061804 A KR1020200061804 A KR 1020200061804A KR 20200061804 A KR20200061804 A KR 20200061804A KR 102358766 B1 KR102358766 B1 KR 102358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ethylene resin
tert
butyl
mel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438A (ko
Inventor
한예은
김동진
한재혁
박지용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766B1/ko
Priority to CN202110504496.6A priority patent/CN113717451B/zh
Publication of KR2021014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상대적으로 높은 고부하 용융흐름지수를 갖는 에틸렌 단독 중합체(A) 20 내지 80중량%; 및 상대적으로 낮은 고부하 용융흐름지수를 갖는 에틸렌 단독 중합체(B) 2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의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의 비(A/B)가 3~500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가공성을 발휘하면서도, 이를 적용한 성형품의 공극율 등의 기계적 물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and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y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우수한 가공성을 발휘하면서도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이중모달성(bimodal)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 특히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이차전지의 양/음극 사이에 존재하는 다공성 박막으로서, 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전해액과 리튬 양이온의 투과를 용이하게 하면서 양/음극 간의 직접적인 단락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리튬 이차전지 분리막의 요구 특성은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면서도, 높은 기공도를 통하여 리튬 이온의 투과성을 높여 이온전도를 높이는 것이다. 또한 외부 충격이나 전지의 조립 시 고속의 권취 과정에서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지녀야 하고, 과충전, 고온 노출 등으로 분리막의 열수축 현상이 발생하여 전지가 발화 및 폭발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미세기공성 분리막 필름으로의 성형시 우수한 가공성을 발휘하면서도, 분리막의 기계적 물성, 특히, 높은 공극율 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가공성을 발휘하면서도, 이를 적용한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이중모달성(bimodal)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높은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를 갖는 높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A) 20 내지 80중량%; 및 상대적으로 낮은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를 갖는 낮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B) 2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높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A)와 상기 낮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B)의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의 비(A/B)가 3~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가공성을 발휘하면서도, 이를 적용한 성형품의 공극율 등의 기계적 물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높은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를 갖는 높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A) 20 내지 80중량%; 및 상대적으로 낮은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를 갖는 낮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B) 2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높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A)와 상기 낮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B)의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의 비(A/B)가 3~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높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A)"는, 상대적으로 높은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를 갖는 에틸렌 단독 중합체(A)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낮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B)"는 상대적으로 낮은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를 갖는 에틸렌 단독 중합체(B)를 의미한다.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들(A, B)의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의 비가 3보다 낮으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500보다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틸렌 단독 중합체들(A, B)의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의 비는 3 ~ 500, 바람직하게는 5 ~ 100 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A)는 용융흐름지수가 21.6kg의 하중으로 190℃ 에서 측정했을 때 0.3g/10분 이상 내지 5.0g/10분이다.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A)의 고부하(21.6kg, 190℃) 용융흐름지수가 0.3g/10분 미만이면 필름 압출 가공시 수지의 흐름성이 저하되어 가공성이 저하되는 어려움이 있고 압출 가공된 필름의 밀도가 너무 높아서 연신 시 본 발명의 목적인 미세기공이 제대로 생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고부하 용융흐름지수가 5.0g/10분을 초과하면, 연신 가공 시 기공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필름의 인장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낮을 우려가 있다.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A)는 총 조성물 100 중량% 대비 20 내지 80 중량%, 예를 들어, 30 내지 60 중량% 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A)가 20% 중량 미만일 경우 가공성 개선이 제한되고, 80% 중량 이상일 경우 물성의 저하를 가져온다.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B)는 용융흐름지수가 21.6kg의 하중으로 190℃ 에서 측정했을 때 0.01g/10분 내지 0.1g/10분이다.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B)의 21.6kg 용융흐름지수가 0.01g/10분 미만이면 가공성이 저하되고, 은점 (fish eye) 등 필름 외관이 불량해질 우려가 있고, 용융흐름지수가 0.1g/10분 이상이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B)는 조성물 100 중량% 대비 20 내지 80 중량% 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B)가 20 중량% 미만일 경우, 가공성이 우수하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80 중량% 이상일 경우 기계적 물성은 우수하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에틸렌 단독 중합체(A) 및 에틸렌 단독 중합체(B)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고부하 용융흐름지수가 21.6kg의 하중으로 190℃ 에서 측정했을 때 0.3g/10분 내지 2.0g/10분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0.935 내지 0.960g/cm3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밀도가 낮을 경우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질 우려가 있고, 상기 범위보다 밀도가 높을 경우 분리막 성형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 대비 산화방지제 0.01~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2 중량부 및 중화제 0.01~0.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2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가공 중 점도 변화, 필름표면 불균일 등의 문제가 있고,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표면으로 산화방지제가 이행(migration) 되어 필름표면 외관, 롤오염 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1,3,5-Trimethyl-2,4,6-tris(3,5-di- tert-butyl-4-hydroxybenzyl)benzene), 1,6-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도]헥산(1,6-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mido]hexane), 1,6-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도]프로판(1,6-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mido]propane),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시나메이트)]메탄(tetrakis[methylene(3,5-di-tert-butyl-4-hydroxyhydrocinnamate)]methane),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Bis(2,6-di-tert-butyl-4-methylphenyl)pentaerythritoldi-phosphite),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Bis(2,4-di-tert-butylphenyl)Pentaerythritol-di-phosphit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중화제 0.01~0.3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화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가공 중 변색 및 점도변화가 생기고, 0.3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표면으로 중화제가 이행(migration) 되어 필름표면 외관, 롤오염 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중화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알루미늄 하이드록시 카보네이트, 산화아연, 마그네슘 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통상적으로 알려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제R10-1826447호에 언급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조제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미세다공성 분리막으로 제조되어 이차전지용 분리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일례로, 리튬이차전지일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1 내지 100㎛, 예를 들면, 1 내지 50 ㎛의 두께와, 20 내지 99 %, 예를 들면, 40 내지 70 % 의 공극률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1)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파라핀계 오일과 함께 압출하고 캐스팅 롤(casting roll)과 닙 롤(nip roll) 사이를 지나게 하여 겔상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겔상 시트를 연신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필름 내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단계, (4) 열고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트윈 스크류의 압출기를 사용하고 180~250 ℃의 온도 범위에서 수지 조성물을 파라핀계 오일과 함께 투입하여 용융시키고, T 다이를 이용해 겔 상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2) 단계에서는, 상기 (1) 단계에서 제조된 겔 상 시트를 세로방향(machine direction) 및 가로방향(transverse direction)으로 각각 5~15배 축차연신 또는 동시 연신하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3) 단계에서는, 연신된 필름을 펜탄, 헥산, 헵탄 등의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사염화 탄소 등의 염소화 탄화수소, 불화 탄화수소, 디에틸 에테르 등의 추출용매에 침적하여 파라핀계 오일을 제거함으로써 필름 내 미세기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4) 단계에서는, 110~150 ℃로 열고정하여 잔류 응력을 제거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리막 제조예 :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세다공성 필름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에서 이용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하기 표 1및 2에 정리하였다. 총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로서 이가녹스 1010(i-1010), 이가포스 168(i-168), 및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을 각각 2000, 2000, 2000중량ppm씩 포함하여 헨셀믹서에 한번에 모두 투입하고 혼련하였다. 혼련된 파우더상 수지 조성물을 혼련압출기(한국이엠, 32mm twin extruder)에 파라핀계 오일(극동유화 LP350F)과 함께 투입(수지 30wt%, 파라핀계 오일 70wt%)하고 200℃ 혼련하여 T-다이로 압출하여 겔상 시트를 제조하였다. 겔상 시트를 세로방향(machine direction) 및 가로방향(transverse direction)으로 각각 8배 동시연신하여 필름을 제조한 후 염화메틸렌 추출용매에 침적하여 파라핀계 오일을 제거하여 미세다공성 필름(분리막)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051988625-pat00001
Figure 112020051988625-pat00002
물성 측정/평가 항목 및 그 시험법
각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분리막에서의 제반 물성의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
고부하 용융흐름지수(HLMI)
ASTM D1238에 따라서 190℃에서 21.6kg 하중으로 측정하였다.
밀도(density)
ASTM D1505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두께
ASTM D374에 의거하여 막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통기도
일본 산업 표준(JIS) 걸리 측정법에 따라, 상온에서 100mL의 공기가 4.8 inch H2O의 일정한 압력하에 1평방인치(inch2)의 미세다공성 필름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초)을 측정하였다.
찌름강도(Puncture)
일본 카토 테크(Kato Tech)의 KES-G5 기기를 이용하여, 말단부 지름 1mm의 팁(tip)을 이용하여 10mm/sec의 속도로 찌름강도를 측정하였다.
공극율
가로/세로 50m로 다공성 필름을 자르고, 두께와 무게를 측정하여 밀도를 계산한다. 즉, 부피는 가로×세로×두께로 측정하고, 밀도(ρ1)는 측정한 무게를 부피로 나눠서 계산한다. 공극률(P)은 수지의 진밀도(ρ0)와 위에서 측정한 필름 밀도(ρ1)를 통해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본 발명에서 확인된 폴리에틸렌의 진밀도는0.946g/cm3이었다.
P(%) = (ρ0 - ρ1)/ ρ0 ×100
인장강도
ASTM D3763에 의거하여 인스트론사 만능시험기(UTM)에서 측정하였다.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의 분리막은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내면서도 비교예들 대비 동등 이상의 공극율과 기계적 강도 등의 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교예 2 및 3은 각각 높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A) 및 낮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B)의 비(A/B)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3~500)를 벗어나는 것으로, 분리막의 물성이 매우 열세한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과 실시예 4 내지 6을 비교하면, 바람직한 고부하 용융흐름지수를 갖는 수지의 경우, 가공성이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상대적으로 높은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를 갖는 높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A) 30 내지 60 중량%; 및 상대적으로 낮은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를 갖는 낮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B) 4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높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A) 및 낮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B)의 고부하 용융흐름지수(190℃, 21.6kg)의 비(A/B)가 3~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A)의 고부하 용융흐름지수가 0.3 내지 5.0 g/10분(190℃, 21.6kg)이고,
    상기 낮은 에틸렌 단독 중합체(B)의 고부하 용융흐름지수가 0.01 내지 0.1 g/10분(190℃, 21.6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고부하 용융흐름지수가 0.3 내지 2.0g/10분(190℃, 21.6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0.935 내지 0.960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01 내지 0.5 중량부, 중화제 0.01 내지0.3 중량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가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di-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1,3,5-Trimethyl-2,4,6-tris(3,5-di-tert-butyl-4-hydroxybenzyl)benzene), 1,6-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도]헥산(1,6-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mido]hexane), 1,6-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도]프로판(1,6-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mido]propane),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시나메이트)]메탄(tetrakis[methylene(3,5-di-tert-butyl-4-hydroxyhydrocinnamate)]methane),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Bis(2,6-di-tert-butyl-4-methylphenyl)pentaerythritol-di-phosphite) 및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Bis(2,4-di-tert-butylphenyl)Pentaerythritol-di-phosphite)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가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알루미늄 하이드록시 카보네이트, 산화아연, 마그네슘 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KR1020200061804A 2020-05-22 2020-05-22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KR102358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804A KR102358766B1 (ko) 2020-05-22 2020-05-22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CN202110504496.6A CN113717451B (zh) 2020-05-22 2021-05-10 聚乙烯树脂组合物及由其制备的二次电池用分离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804A KR102358766B1 (ko) 2020-05-22 2020-05-22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438A KR20210144438A (ko) 2021-11-30
KR102358766B1 true KR102358766B1 (ko) 2022-02-04

Family

ID=7867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804A KR102358766B1 (ko) 2020-05-22 2020-05-22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8766B1 (ko)
CN (1) CN113717451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159B1 (ko) * 1999-01-20 2005-08-08 에스케이 주식회사 전지격리막용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6758B1 (ko) 2008-09-25 2017-12-07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내충격성 lldpe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필름
KR101892870B1 (ko) * 2017-10-23 2018-08-28 한화토탈 주식회사 무광 필름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KR101970492B1 (ko) * 2018-05-11 2019-04-19 더블유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다공성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41453A1 (de) * 1990-12-21 1992-06-25 Huels Troisdorf Formmasse und verfahren zum kalandrieren von folien auf basis von polyethylen
KR100357840B1 (ko) * 1994-11-02 2002-12-18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성형조성물,그의제조방법,성형방법및성형품
AU758413B2 (en) * 1998-11-27 2003-03-20 Ineos Sales (Uk) Limited Polymer composition for bottle screw caps
JP4986199B2 (ja) * 2001-05-18 2012-07-25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製微多孔膜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
JP2003206364A (ja) * 2001-11-12 2003-07-22 Sekisui Film Kk 微多孔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63482B1 (ko) * 2003-06-18 2006-03-27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JP4804079B2 (ja) * 2004-09-30 2011-10-26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製微多孔膜
US20090099315A1 (en) * 2005-11-28 2009-04-16 Basell Polyolefine Gmbh Polyethylene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Preparation of Film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0943236B1 (ko) * 2006-02-14 2010-02-18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용융파단 특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막 및 그제조방법
KR100743916B1 (ko) * 2006-03-08 2007-07-30 삼성토탈 주식회사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TWI427114B (zh) * 2008-05-09 2014-02-21 Tosoh Corp 聚乙烯樹脂組成物及由此構成的積層體
US9493641B2 (en) * 2011-06-10 2016-11-1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Resin compositions for extrusion coating
JP5840743B2 (ja) * 2013-09-05 2016-01-0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微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池用セパレーター
KR101625753B1 (ko) * 2014-11-05 2016-05-30 한화토탈 주식회사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성형품
WO2017186728A1 (en) * 2016-04-26 2017-11-02 Total Research & Technology Feluy Polyolefin compositions
KR20190061407A (ko) * 2017-11-28 2019-06-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159B1 (ko) * 1999-01-20 2005-08-08 에스케이 주식회사 전지격리막용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6758B1 (ko) 2008-09-25 2017-12-07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내충격성 lldpe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필름
KR101892870B1 (ko) * 2017-10-23 2018-08-28 한화토탈 주식회사 무광 필름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KR101970492B1 (ko) * 2018-05-11 2019-04-19 더블유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다공성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438A (ko) 2021-11-30
CN113717451A (zh) 2021-11-30
CN113717451B (zh)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275B1 (ko) 폴리올레핀제 미다공막
JP5572334B2 (ja) ポリオレフィン製微多孔膜
JP6231745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52130A1 (en) Microporous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JP7283080B2 (ja) ポリオレフィン製微多孔膜、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二次電池
JPH08138644A (ja) 電池セパレータ
JPWO2019163935A1 (ja) 多孔性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JP4698078B2 (ja) ポリオレフィン製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95629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多孔膜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セパレータ
JP5235324B2 (ja) ポリオレフィン製微多孔膜
KR102358766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JP2004323820A (ja)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063006B (zh) 一种聚烯烃微多孔膜及其制备方法
US7662518B1 (en) Shutdown separators with improved properties
KR102260536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JP5295857B2 (ja) 非水電解液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電解液電池
JP4033546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ーの製造方法
JP3121047B2 (ja) 均質なポリエチレン製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6598911B2 (ja)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59332A (ja) 均質な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製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20453A (ja) 電池セパレーターに適した微多孔膜
JPH06336535A (ja) ポリオレフィン微孔性多孔膜の製造方法
JP6347801B2 (ja)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20240026878A (ko)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및 전지용 세퍼레이터
JP4136008B2 (ja) 非水溶媒系電池セパレーター用微多孔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