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916B1 -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916B1
KR100743916B1 KR1020060021563A KR20060021563A KR100743916B1 KR 100743916 B1 KR100743916 B1 KR 100743916B1 KR 1020060021563 A KR1020060021563 A KR 1020060021563A KR 20060021563 A KR20060021563 A KR 20060021563A KR 100743916 B1 KR100743916 B1 KR 100743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melt index
polyethylen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용
홍승환
김경현
Original Assignee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첨가하므로써 투명성이 우수하고, 기계방향의 인열강도가 낮아 개봉특성이 우수한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투명, 인열강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for infusion solution bag packing film}
본 발명은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하, HDPE)에 저밀도 폴리에틸렌(이하, LDPE)을 첨가하므로써 투명성이 우수하고, 기계방향의 인열강도가 낮아 개봉특성이 우수한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액제 포장재는 유리병이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으나, 유리병은 무겁고 이동시 깨지기 쉬운 단점이 있어 최근 필름으로 제조된 수액백을 이용한 수액제 포장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환경측면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액백의 사용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수액백으로 포장된 수액제는 오염방지 등을 위해 외장 포장필름으로 한번 더 포장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포장재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필름이 대부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포장필름은 불투명하여 수액제의 검사시 내용물이 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기계방향의 인열강도가 높아 개봉 시 잘 찢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과 기계방향의 인열강도가 낮은 특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70~95중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5~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기상공정 또는 슬러리 공정에서 중합된 것으로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측정된 분자량 분포가 5 이하이며, ASTM D1238에 따른 2.16kgf/㎠ 하중하에서 190℃에서 측정했을때의 용융지수가 0.1~4g/10분, ASTM D1505에 의한 23℃에서의 밀도가 0.95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 분포가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하는 단점이 있고, 상기 용융지수가 4g/10분을 초과하면 블로운 필름 성형시 버블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용융지수가 0.1g/10분 미만인 경우에는 수지압이 과다하게 형성되어 성형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밀도가 0.950g/㎤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방향의 인열강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ASTM D1238에 따른 2.16kgf/㎠ 하중하에서 190℃에서 측정했을때의 용융지수가 0.1~10g/10분, ASTM D1505에 의한 23℃에서의 밀도가 0.920~0.94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지수가 0.1g/10분 미만인 경우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점도차이로 혼련성이 불량하게 되며, 용융지수가 1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블로운 필름 성형시 용융강도의 저하로 필름 성형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도가 0.920g/㎤ 미만인 경우에는 기계방향의 인열강도 향상효과가 크지 않으며, 0.940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명성 향상 효과가 크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5~30중량%가 바람직한데,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살균공정에서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인열 및 투명성의 효과가 크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150∼220℃의 온도에서 용융압출하여 혼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조성물은 압출된 펠렛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름의 물성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필름의 투명도는 ASTM D1003에 의거, 헤이즈미터(Haze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기계방향의 인열강도는 ADTM D192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살균공정후의 변형여부는 필름을 살균처리기에 121℃, 30분간 방치후 필름의 변형여부를 관 능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용융지수 1.0g/10분, 밀도 0.960g/㎤, 분자량 분포 4.5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95중량%에 용융지수가 0.5g/10분, 밀도가 0.930g/㎤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5중량%를 용융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50mm 스크류(screw)의 블로운 필름 성형기에서 가공온도 190℃, B.U.R. 2.0, 필름두께 0.1mm의 조건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 헤이즈(Haze)는 51%, 인열강도는 110g이었으며, 살균후에 변형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2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중량비를 70/3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 헤이즈는 43%, 인열강도는 95g이었으며, 살균후에 변형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3
용융지수가 3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 헤이즈는 53%, 인열강도는 120g이었으며, 살균후에 변형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4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중량비를 70/3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 헤이즈는 41%, 인열강도는 100g이었으며, 살균후에 변형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5
용융지수가 10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 헤이즈는 48%, 인열강도는 120g이었으며, 살균후에 변형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6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중량비를 70/3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 헤이즈는 42%, 인열강도는 105g이었으며, 살균후에 변형은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1
용융지수 1.0g/10분, 밀도 0.960g/㎤, 분자량 분포 4.5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만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여 물성을 평가한 결과, 헤이즈는 65%, 인열강도는 150g이었으며, 살균후에 변형은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용융지수 0.045g/10분, 밀도 0.956g/㎤, 분자량 분포 24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만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한 후, 물성을 평가한 결과, 헤이즈는 80%, 인열강도는 168g이었으며, 살균후에 변형은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3
용융지수 1.0g/10분, 밀도 0.960g/㎤, 분자량 분포 4.5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60중량%에 용융지수가 3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40중량%를 용융 혼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로 필름을 제조한 후, 물성을 평가한 결과, 헤이즈는 38%, 인열강도는 90g이었으며, 살균후에 필름의 변형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4
용융지수 1.0g/10분, 밀도 0.960g/㎤, 분자량 분포 7.8을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70중량%에 용융지수가 3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30중량%를 용융 혼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로 필름을 제조한 후, 물성을 평가한 결과, 헤이즈는 60%, 인열강도는 120g이었으며, 살균후의 변형은 발생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의 조성 및 필름의 물성을 하기 표 1과 표 2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HDPE/LDPE 혼합비 헤이즈 (%) 기계방향 인열강도(g) 살균후 변형유무
용융지수(g/10분) 밀도 (g/㎤) 분자량 분포 용융지수(g/10분) HDPE (중량%) LDPE (중량%)
실시예 1 1.0 0.960 4.5 0.5 95 5 51 110 없음
실시예 2 1.0 0.960 4.5 0.5 70 30 43 95 없음
실시예 3 1.0 0.960 4.5 3 95 5 53 120 없음
실시예 4 1.0 0.960 4.5 3 70 30 41 100 없음
실시예 5 1.0 0.960 4.5 10 95 5 48 120 없음
실시예 6 1.0 0.960 4.5 10 70 30 42 105 없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HDPE/LDPE 혼합비 헤이즈 (%) 기계방향 인열강도(g) 살균후 변형유무
용융지수(g/10분) 밀도 (g/㎤) 분자량 분포 용융지수(g/10분) HDPE (중량%) LDPE (중량%)
비교예 1 1.0 0.960 4.5 - 100 0 65 150 없음
비교예 2 0.045 0.956 24.0 - 100 0 80 168 없음
비교예 3 1.0 0.960 4.5 3 60 40 38 90 있음
비교예 4 1.0 0.960 7.8 3 70 30 60 120 없음
상기 표 1과 표 2의 결과로부터, 분자량 분포가 좁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5~30중량% 첨가된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필름은 비교예 1과 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조된 필름과 비교시 현저히 낮은 인열강도와 우수한 투명성을 나타내었으며,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3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된 비교예 3의 필름과 비교시 살균시의 변형도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분자량 분포가 넓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비교예 4의 필름과 비교시 투명도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수액백 포장 필름으로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기존의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보다 우수한 투명성과 개봉성을 발현하게 된다.

Claims (2)

  1. 분자량 분포가 5 이하이며, 용융지수가 0.1~4g/10분, 23℃에서의 밀도가 0.950g/㎤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70~95중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5~30중량%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액백 포장 필름용 블로운 필름 성형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0.1~10g/10분, 밀도가 0.920~0.940g/㎤인 수액백 포장 필름용 블로운 필름 성형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20060021563A 2006-03-08 2006-03-08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0743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563A KR100743916B1 (ko) 2006-03-08 2006-03-08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563A KR100743916B1 (ko) 2006-03-08 2006-03-08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916B1 true KR100743916B1 (ko) 2007-07-30

Family

ID=3849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563A KR100743916B1 (ko) 2006-03-08 2006-03-08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9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7451A (zh) * 2020-05-22 2021-11-30 韩华道达尔有限公司 聚乙烯树脂组合物及由其制备的二次电池用分离膜
JP6998766B2 (ja) 2014-12-19 2022-01-18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低ヘイズポリエチレンポリマー組成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296A (ko) * 1995-03-29 1996-10-22 고다 시게노리 중포장백용 폴리에틸렌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제조한 폴리에틸렌수지필름
JPH1045922A (ja) 1996-07-31 1998-02-17 Chisso Corp ポリエチレン包装用フィルム
JPH10212378A (ja) 1997-01-30 1998-08-11 Chisso Corp 土木用シート
KR20010010884A (ko) * 1999-07-23 2001-02-15 남창우 우수한 가공성 및 투습도를 갖는 통기성 필름용 조성물
JP2005280749A (ja) 2004-03-29 2005-10-13 Nakamoto Pakkusu Kk 輸液バッグ用積層フイル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296A (ko) * 1995-03-29 1996-10-22 고다 시게노리 중포장백용 폴리에틸렌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제조한 폴리에틸렌수지필름
JPH1045922A (ja) 1996-07-31 1998-02-17 Chisso Corp ポリエチレン包装用フィルム
JPH10212378A (ja) 1997-01-30 1998-08-11 Chisso Corp 土木用シート
KR20010010884A (ko) * 1999-07-23 2001-02-15 남창우 우수한 가공성 및 투습도를 갖는 통기성 필름용 조성물
JP2005280749A (ja) 2004-03-29 2005-10-13 Nakamoto Pakkusu Kk 輸液バッグ用積層フイル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8766B2 (ja) 2014-12-19 2022-01-18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低ヘイズポリエチレンポリマー組成物
CN113717451A (zh) * 2020-05-22 2021-11-30 韩华道达尔有限公司 聚乙烯树脂组合物及由其制备的二次电池用分离膜
CN113717451B (zh) * 2020-05-22 2023-11-28 韩华道达尔能源有限公司 聚乙烯树脂组合物及由其制备的二次电池用分离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939B1 (ko) 파렛트 포장용 비닐 포장재
CN102395468A (zh) 包含含有C4-10α烯烃的聚烯烃的组合物和薄膜
KR100889220B1 (ko) 화학용기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0814984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0743916B1 (ko) 수액백 포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JP2007106851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レトルト食品包装用積層体
KR20210067265A (ko)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축필름
KR101871072B1 (ko) 이지필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0054594A1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積層体および医療容器
EP1670410B1 (en) Polyethylene squeezable pouches
JPS60228550A (ja) 殺菌可能な包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60833A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20150062548A (ko) 저온 열봉합 특성이 우수한 어텍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396153B2 (ja) 熱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シート
KR101812888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봉합 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2440779B1 (ko)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12887B1 (ko) 일반 공업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EP0601631A1 (en) Container made from a polyethylene composition
WO2023110463A1 (en) Polyethylene composition
JPH0812817A (ja) レトルト包装用フィルム
KR101786588B1 (ko) 레토르트용 기체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EP3676327B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WO1988010281A1 (en) Transparent, sterilisable package of plastic
KR20200077148A (ko) 찢김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
JP2022077261A (ja) 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包装材及び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