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888B1 -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봉합 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 Google Patents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봉합 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888B1
KR101812888B1 KR1020160097323A KR20160097323A KR101812888B1 KR 101812888 B1 KR101812888 B1 KR 101812888B1 KR 1020160097323 A KR1020160097323 A KR 1020160097323A KR 20160097323 A KR20160097323 A KR 20160097323A KR 101812888 B1 KR101812888 B1 KR 10181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olyethylene
film
polyethylene resin
low density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윤보상
임현빈
서정민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08Low density, i.e. < 0.91 g/c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08L2203/162Applications used for films sealable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Abstract

실런트 필름(연포장 필름 내층, 열봉합 층) 용도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저온 열봉합성과 투명도가 우수하면서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충격강도 등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실런트 필름 용도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A) 하기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b)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 수지 70~90중량%; 및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1.0~2.8g/10분 및 밀도가 0.900~0.910g/㎤인 메탈로센 촉매하에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30중량%;를 포함하는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고, 상기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 시, 성형된 50㎛ 두께를 갖는 필름의 헤이즈가 9% 이하이고, 열봉합 특성이 108℃(압력 2㎏/㎤, 시간 1초) 이하에서 1kgf 이상의 열봉합 접착 강도를 갖고, 인장강도가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00kg/㎠ 이상이고, 인열강도가 MD 방향으로 150g 이상 및 TD 방향으로 600g 이상이고, 낙하 충격 강도가 25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0.5~1.9g/10분, 밀도가 0.910~0.930g/㎤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90중량%.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0.5~5g/10분, 밀도가 0.918~0.928g/㎤ 및 단봉분자량 분포를 가지고 고압 튜블라 프로세스에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30중량%.

Description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봉합 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RESIN COMPOSITION OF SEALANT FILM WITH GOOD MECHANICAL PROPERTIES AND FILM HAVING THE SAME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포장 필름의 내층 필름으로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포장 제품에 사용되는 필름은 다양한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기능이 부여된 여러 가지 필름이 적층된 다층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열접착 적합성, 방습성, 가스차단성, 내한성, 내열성, 인쇄적합성, 고시성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필름, 알루미늄박, 종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나일론 필름 등을 적층하여 연포장 필름을 성형하며, 특히 최내측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이 열봉합 층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틸렌은 압출, 사출 등의 성형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용도에 널리 사용되는 범용 고분자로서 밀도에 따라서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VLDPE)으로 구분된다. 그 중 연포장 필름의 열봉합 층 용도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적용할 경우, 열봉합 층으로 양호한 특성을 구현하지만, 열접착 온도(Heat Sealing Temperature)를 낮추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이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아질수록 저밀도 폴리에틸렌보다 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지고 열접착 온도가 높아져 가공 시 열봉합 불량, 접착강도 저하 등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적용할 경우, 투명성과 저온 열봉합 특성이 우수하나, 일정 밀도 수준 이하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적용할 경우, 밀도 저하에 따른 필름의 기계적 물성, 즉, 인장강도, 인열강도, 충격강도 등이 저하되는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흐름 특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공개특허 제1996-269257호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적층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해 언급하고 있으나, 필름 성형성, 안정성, 저온 열봉합성 특성 및 필름의 투명성 개선에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996419호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조성물 및 조성물로 제조된 필름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나, 저온 열봉합 특성에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19454호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와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조성물 및 조성물로 제조된 필름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나, 필름 성형 안정성 및 필름의 투명도 개선에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504434호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조성물에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한 실런트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필름의 기계적 물성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최적 조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실런트 필름(연포장 필름 내층, 열봉합 층) 용도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저온 열봉합성과 투명도가 우수하면서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충격강도 등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실런트 필름 용도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연포장 실런트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우수한 특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A) 하기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b)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 수지 70~90중량%; 및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1.0~2.8g/10분 및 밀도가 0.900~0.910g/㎤인 메탈로센 촉매하에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30중량%;를 포함하는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고, 상기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 시, 성형된 50㎛ 두께를 갖는 필름의 헤이즈가 9% 이하이고, 열봉합 특성이 108℃(압력 2㎏/㎤, 시간 1초) 이하에서 1kgf 이상의 열봉합 접착 강도를 갖고, 인장강도가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00kg/㎠ 이상이고, 인열강도가 MD 방향으로 150g 이상 및 TD 방향으로 600g 이상이고, 낙하 충격 강도가 25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0.5~1.9g/10분, 밀도가 0.910~0.930g/㎤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90중량%.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0.5~5g/10분, 밀도가 0.918~0.928g/㎤ 및 단봉분자량 분포를 가지고 고압 튜블라 프로세스에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30중량%.
또한 본 발명은, (A) 하기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b)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 수지 70~90중량%; 및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1.6~2.5g/10분 및 밀도가 0.905~0.910g/㎤인 메탈로센 촉매하에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30중량%;를 포함하는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고, 상기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 시, 성형된 50㎛ 두께를 갖는 필름의 헤이즈가 8% 이하이고, 열봉합 특성이 108℃(압력 2㎏/㎤, 시간 1초) 이하에서 1.1kgf 이상의 열봉합 접착 강도를 갖고, 인장강도가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20kg/㎠ 이상이고, 인열강도가 MD 방향으로 165g 이상 및 TD 방향으로 625g 이상이고, 낙하 충격 강도가 27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0.7~1.5g/10분, 밀도가 0.915~0.925g/㎤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80중량%.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2~4g/10분, 밀도가 0.920~0.925g/㎤ 및 단봉분자량 분포를 가지고 고압 튜블라 프로세스에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20~30중량%.
상기 다른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폴리에틸렌의 실런트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b)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상기 압출기의 사이드 피더(side feeder)를 이용하여 투입하는 단계; 상기 (B) 메탈로센 촉매하에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상기 압출기의 사이드 피더(side feeder)를 이용하여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기에서 150~230℃ 온도에서 용융상태로 혼합하여 펠렛상의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 시, 성형된 50㎛ 두께를 갖는 필름의 헤이즈가 9% 이하이고, 열봉합 특성이 108℃(압력 2㎏/㎤, 시간 1초) 이하에서 1kgf 이상의 열봉합 접착 강도를 갖고, 인장강도가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00kg/㎠ 이상이고, 인열강도가 MD 방향으로 150g 이상 및 TD 방향으로 600g 이상이고, 낙하 충격 강도가 250g 이상인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포장 필름의 실런트 필름으로 적용 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메탈로센 촉매하에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최적 조성으로 조합함으로써, 투명성과 저온 열봉합성이 우수하면서도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실런트용 폴리에틸렌 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A) 하기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b)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 수지 70~90중량%; 및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1.0~2.8g/10분 및 밀도가 0.900~0.910g/㎤인 메탈로센 촉매하에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30중량%;를 포함한다.
(a)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0.5~1.9g/10분, 밀도가 0.910~0.930g/㎤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90중량%.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0.5~5g/10분, 밀도가 0.918~0.928g/㎤ 및 단봉분자량 분포를 가지고 고압 튜블라 프로세스에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20~30중량%.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A)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b)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혼합 수지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본 발명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고, 에틸렌 단독 중합, 에틸렌과 프로필렌, 부텐-1, 헥센-1, 옥텐-1 등의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기상법, 솔루션법, 슬러리법 등 어느 방법을 사용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ASTM D1238, 온도 190℃, 하중 2.16㎏)가 0.5~1.9g/10분이고, 바람직하게는 0.7~1.5g/10분일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가 0.5g/10분 미만일 경우 압출기 부하가 상승하고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용융지수가 1.9g/10분을 초과할 경우 필름 성형 후 버블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10~0.930g/㎤이고, 바람직하게는 0.915~0.925g/㎤일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10g/㎤ 미만일 경우 필름 제품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과도한 끈적임(sticky)으로 인해 필름 성형 후 필름끼리 달라붙는 경향이 있어 마찰 특성 및 투명도가 저하될 수 있고, 밀도가 0.930g/㎤을 초과할 경우 필름의 다트(Dart)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열접착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 혼합 수지 중량 기준으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함량 비율은 70~90중량%이고, 전체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49~81중량%이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 비율이 낮을 경우 폴리에틸렌 필름의 다트(Dart) 충격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함량 비율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폴리에틸렌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열접착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b) 저밀도 폴리에틸렌
본 발명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ASTM D1238, 온도 190℃, 하중 2.16㎏)가 0.5~5g/10분이고, 바람직하게는 2~4g/10분일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가 0.5g/10분 미만일 경우 필름 성형기의 압출 부하가 커지고 수지온도가 상승하여 열변성 및 겔(Gel) 발생 가능성이 있고, 용융지수가 5g/10분을 초과할 경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필름의 버블안정성 및 열접착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18~0.928g/㎤이고, 바람직하게는 0.920~0.925g/㎤일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18g/㎤ 미만일 경우 제품의 과도한 끈적임(sticky)으로 인해 마찰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0.928g/㎤을 초과할 경우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분자량 분포 곡선은 단봉 분포를 가진다. 단봉분자량 분포는 본 발명의 목적상 분자량 분포가 최대치 외에 다른 변곡점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분자량 분포가 단일봉 이외의 쌍봉 혹은 삼봉 등 변곡점이 많은 분포를 가지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블렌드할 경우 투명성과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고압 튜블라 프로세스에서 제조된 것이다. 고압 오토클레이브 프로세스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블렌드할 경우 투명성이 떨어지고 겔 발생이 많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 혼합 수지 중량 기준으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함량 비율은 10~30중량%이고, 전체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7~27중량%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 비율이 낮을 경우 폴리에틸렌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 시 버블 불안정이 발생할 수 있고, 함량 비율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폴리에틸렌 필름의 다트(Dart) 충격강도와 열접착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B) 메탈로센 촉매하에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본 발명에서 메탈로센 촉매하에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ASTM D1238, 온도 190℃, 하중 2.16㎏)가 1.0~2.8g/10분이고, 바람직하게는 1.6~2.5g/10분일 수 있다.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용융지수가 0.5g/10분 미만일 경우 필름 성형기의 압출 부하가 커지고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용융지수가 2.8g/10분을 초과할 경우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 시 버블 안정성과 열접착 강도가 저하되며, 역시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상기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00~0.910g/㎤이고, 바람직하게는 0.905~0.910g/㎤일 수 있다.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00g/㎤ 미만일 경우 제품의 열접착 강도와 다트(Dart) 충격강도의 저하 및 필름의 끈적임 현상이 있고, 밀도가 910g/㎤를 초과할 경우 열접착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고, 에틸렌 단독 중합, 에틸렌과 프로필렌, 부텐-1, 헥센-1, 옥텐-1 등의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기상법, 솔루션법, 슬러리법 등 어느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체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 비율은 10~30중량%이다.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 비율이 10중량% 미만일 경우 실런트 필름의 열접착 온도가 높아질 수 있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 시 버블이 불안정하고 열접착 강도가 저하되며, 필름의 끈적거림이 증가하고 폴리에틸렌 조성물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폴리에틸렌 필름에 적용하기 위해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첨가제를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색소 마스터배치, 산화방지제, 열 및 광 안정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블록킹 방지제, 방부제, 가공조제, 슬립제, 점착방지제, 안료, 난연제, 발포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조성 내지 물성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촉매하에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조합된 수지 조성물로부터 일반적인 필름 성형방법을 이용하여 필름의 버블안정성, 열봉합 특성, 투명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 시, 성형된 50㎛ 두께를 갖는 필름의 헤이즈가 9% 이하이고, 열봉합 특성이 108℃(압력 2㎏/㎤, 시간 1초) 이하에서 1kgf 이상의 열봉합 접착 강도를 갖고, 인장강도가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00kg/㎠ 이상이고, 인열강도가 MD 방향으로 150g 이상 및 TD 방향으로 600g 이상이고, 낙하 충격 강도가 250g 이상인 실런트 필름을 제공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 시, 성형된 50㎛ 두께를 갖는 필름의 헤이즈가 8% 이하이고, 열봉합 특성이 108℃(압력 2㎏/㎤, 시간 1초) 이하에서 1.1kgf 이상의 열봉합 접착 강도를 갖고, 인장강도가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20kg/㎠ 이상이고, 인열강도가 MD 방향으로 165g 이상 및 TD 방향으로 625g 이상이고, 낙하 충격 강도가 270g 이상인 실런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압출기에 상기 특정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투입하고, 압출기의 사이드 피더(side feeder)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메탈로센 촉매하에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투입하여, 압출기 내에서 용융상태로 혼합하여 펠렛상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통해 수행된다. 여기서,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용융 혼합할 때의 온도는 150~230℃로 한다.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단순 드라이 블렌드하여 필름을 제조할 경우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분산성이 떨어져 투명성, 저온 열봉합 특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는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따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6074238993-pat00001
Figure 112016074238993-pat00002
Figure 112016074238993-pat00003
실시예 1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1) 72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B1) 18중량%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C1) 10중량%를 텀블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2축 압출기로 210℃에서 압출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1) 63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B1) 27중량%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C1) 10중량%를 텀블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2축 압출기로 210℃에서 압출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1) 56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B1) 14중량%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C1) 30중량%를 텀블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2축 압출기로 210℃에서 압출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1) 49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B1) 21중량%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C1) 30중량%를 텀블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2축 압출기로 210℃에서 압출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1) 76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B1) 19중량%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C1) 5중량%를 텀블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2축 압출기로 210℃에서 압출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1) 40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B1) 10중량%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C1) 50중량%를 텀블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2축 압출기로 210℃에서 압출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3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1) 56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B1) 14중량%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C2) 30중량%를 텀블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2축 압출기로 210℃에서 압출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4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1) 56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B1) 14중량%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C3) 30중량%를 텀블 믹서로 5분간 믹싱한 후 40㎜ 2축 압출기로 210℃에서 압출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따라 제조된 펠렛상의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1) 용융지수: ASTM D1238법으로 측정하였다.
2) 밀도: ASTM D792법으로 측정하였다.
3) 폴리에틸렌 조성물 필름 제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길이대 직경비가(L/D) 30인 50㎜ 블로운 필름 압출기를 사용하여 두께 50㎛, 폭 1.0m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다이 직경은 300㎜이고, 다이갭은 2㎜이고, 결빙선 높이는 30㎝이다.
4) 헤이즈: ASTM D1003법으로 측정하였다.
5) 열접착 온도: 필름 두 장을 겹쳐서 1㎝×2㎝ 크기의 실링바로 압력 2㎏/㎠, 시간 1초의 조건에서 열접착 후 열접착된 두 필름을 박리하는데 1㎏f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6) 열접착 강도: 열접착된 두 장의 필름을 박리하기 위하여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였다.
7) 인장강도: ASTM D882법으로 측정하였다.
8) 인열강도: ASTM D1922법으로 측정하였다.
9) 낙하충격강도: ASTM D1709법으로 측정하였다.
Figure 112016074238993-pat00004
연포장 필름에 사용되는 실런트 용도 필름은 투명성과 저온 열봉합성이 요구된다. 해당되는 물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같이 밀도가 낮은 수지를 혼합한다. 하지만 요구 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수지를 혼합할 경우,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실런트 용도 필름으로 적용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표 4의 측정 결과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다른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투명성과 저온 열봉합성은 유지하되,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필름들보다 물성의 균형이 현저히 우수한 폴리에틸렌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이 최적 범위에 미치지 못할 경우(비교예 1)에는 투명성 및 열봉합 온도가 상승하여 저온 열봉합 특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비교예 2)에는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 및 밀도가 최적 범위에 미치지 못하거나 과도할 경우(비교예 3 및 4)에는 필름의 인장강도, 인열강도, 열접착 강도 등 기계적 특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A) 하기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b)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 수지 70~90중량%; 및
    (a)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0.7~1.5g/10분, 밀도가 0.915~0.925g/㎤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70~80중량%.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2~4g/10분, 밀도가 0.920~0.925g/㎤ 및 단봉분자량 분포를 가지고 고압 튜블라 프로세스에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20~30중량%.
    (B) 용융지수(ASTM D1238, 190℃, 2.16㎏)가 1.0~2.8g/10분 및 밀도가 0.900~0.910g/㎤인 메탈로센 촉매하에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30중량%;
    를 포함하는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고,
    상기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 시, 성형된 50㎛ 두께를 갖는 필름의 헤이즈가 8% 이하이고, 열봉합 특성이 108℃(압력 2㎏/㎤, 시간 1초) 이하에서 1.1kgf 이상의 열봉합 접착 강도를 갖고, 인장강도가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20kg/㎠ 이상이고, 인열강도가 MD 방향으로 165g 이상 및 TD 방향으로 625g 이상이고, 낙하 충격 강도가 27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3. 제2항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폴리에틸렌의 실런트 필름.
  4. 제2항의 상기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제2항의 상기 (b)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상기 압출기의 사이드 피더(side feeder)를 이용하여 투입하는 단계;
    제2항의 상기 (B) 메탈로센 촉매하에 제조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상기 압출기의 사이드 피더(side feeder)를 이용하여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기에서 150~230℃ 온도에서 용융상태로 혼합하여 펠렛상의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 시, 성형된 50㎛ 두께를 갖는 필름의 헤이즈가 8% 이하이고, 열봉합 특성이 108℃(압력 2㎏/㎤, 시간 1초) 이하에서 1.1kgf 이상의 열봉합 접착 강도를 갖고, 인장강도가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20kg/㎠ 이상이고, 인열강도가 MD 방향으로 165g 이상 및 TD 방향으로 625g 이상이고, 낙하 충격 강도가 270g 이상인 실런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60097323A 2016-07-29 2016-07-29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봉합 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181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323A KR101812888B1 (ko) 2016-07-29 2016-07-29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봉합 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323A KR101812888B1 (ko) 2016-07-29 2016-07-29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봉합 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888B1 true KR101812888B1 (ko) 2017-12-28

Family

ID=6093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323A KR101812888B1 (ko) 2016-07-29 2016-07-29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봉합 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148A (ko) 2018-12-20 2020-06-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찢김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148A (ko) 2018-12-20 2020-06-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찢김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8708C (en) Multilayer film
US8637607B2 (en) Polyethylene blends and films
KR101504434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H09502473A (ja) バッチ包含パッケージ
JPH10500157A (ja) 中モジュラスのフィルムおよび製造方法
EP0045455B1 (en) Blends of butene-1-ethylene copolymer and polypropylene
WO2012115847A1 (en) Multilayer films containing polyolefin-interpolymer resin particle blends
KR101384507B1 (ko) 스트레치 랩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US20120217682A1 (en) Methods of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olefin Films
CN103009761B (zh) 一种高收缩率聚烯烃热收缩薄膜及其制造方法
US5344714A (en) LLDPE composite film free of melt fracture
WO2006021081A1 (en) Polyethylene blends
KR101762095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6610084B2 (ja) 易引裂性多層フィルム及び重量物包装用フィルム
EP1332868B1 (en) Multilayer film
KR101019656B1 (ko) 엘라스토머 및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업용 포장재 강화 필름
KR101634456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1812888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봉합 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1700528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EP2918409B1 (en) Stretch wrapping film
KR102404680B1 (ko) 농업용 필름 제조를 위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CN109760393B (zh) 一种缓冲杀菌气垫膜及其制备方法
KR101812887B1 (ko) 일반 공업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2179755B1 (ko) 고충격 강도 폴리에틸렌 및 지글러 나타 촉매화된 폴리에틸렌과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다층 필름
KR20200077148A (ko) 찢김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