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860B1 -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및 유기 el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및 유기 el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860B1
KR102339860B1 KR1020187030433A KR20187030433A KR102339860B1 KR 102339860 B1 KR102339860 B1 KR 102339860B1 KR 1020187030433 A KR1020187030433 A KR 1020187030433A KR 20187030433 A KR20187030433 A KR 20187030433A KR 102339860 B1 KR102339860 B1 KR 102339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layer
organic
preferabl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836A (ko
Inventor
료헤이 사와자키
마사미치 마츠모토
아츠시 야스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5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9J1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51/529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과,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m2·day) 이하인 점접착제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은,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되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을 형성하지 않고, 보다 우수한 저투습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및 유기 EL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와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에 점착제층을 더 형성한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또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을 사용한 유기 EL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패널을 탑재한 유기 EL 표시 장치(OLED)가, 휴대 전화, 카 내비게이션 장치,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텔레비전 등의 각종 용도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통상, 외광이 금속 전극(음극)에서 반사되어 경면과 같이 시인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유기 EL 패널의 시인측 표면에 원 편광판이 배치된다. 상기 원 편광판 등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구성 부재는, 통상,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 등의 접합 재료를 통해 적층된다.
상기 원 편광판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편광판과 λ/4판의 적층체가 사용되고 있지만, 예를 들어 편광자와, 특정 굴절률 특성을 갖는 2장의 위상차층을 적층한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에 탑재된 유기 EL 소자는, 대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통상, 유기 EL 패널 표면에는 배리어층이나 배리어 기능을 갖는 광학용 필름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필름이나 이들을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층 등에도 수분 등을 투과시키지 않을 것(저투습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근년, 휘어지는 표시 장치로서, 플렉시블 유기 EL 표시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플렉시블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최외층이 유리가 아니고, 필름이 사용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는, 대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에 매우 약하여, 최외층이 저투습 특성이 우수한 유리로부터 필름으로 변경되면, 유기 EL 소자가 대미지를 받을 것이 우려되어, 플렉시블 유기 EL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광학 필름이나 점착제층에 있어서, 더욱 높은 저투습성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제5528606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시야각 특성과 표시 특성의 변화를 억제하는 위상차층 구비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며,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필름에 저투습성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검토되지 않은 것이었다.
광학 필름에 저투습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EL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원 편광판(반사 방지 필름)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λ/4판)에 배리어층의 증착을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위상차 필름에 배리어층을 증착하는 방법에서는, 비용의 관점에서 충분하지 않으며, 또한, 배리어층을 위상차 필름에 증착할 때 위상차 필름에 열이 가해져서, 위상차 필름이 파단하거나, 위상차값이 변화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어, 충분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되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을 형성하지 않고, 보다 우수한 저투습성을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와,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이나,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과 점착제층을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또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을 사용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과,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day) 이하인 점접착제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점접착제층이, 폴리이소부틸렌, 및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와,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와,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과,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day) 이하인 점접착제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있어도 되며, 상기 편광자와,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day) 이하인 점접착제층과,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의 편광자측에, 점착제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또는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은, 위상차 필름과, 특정 투습도를 갖는 점접착제층을 가짐으로써,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되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을 형성하지 않고, 우수한 저투습성을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은, 편광자와 함께,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 방지 필름(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은, 비용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저투습성을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이나,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또는 점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광학 신뢰가 우수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는,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은,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과,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day) 이하인 점접착제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1)은,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3a)의 적어도 편면에, 점접착제층(2)을 갖는 것이다. 도 1에서는, 위상차 필름(3a)의 편면에만 점접착제층(2)을 갖는 형태를 개시하고 있지만, 위상차 필름(3a)의 양면에 점접착제층(2)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서는, 각 구성 요소가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양태를 기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각 층의 사이에 다른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2 내지 4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1)은,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3a)(제1 위상차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 외에, 제2 위상차 필름(3b)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3a))/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4)/제2 위상차 필름(3b)/점접착제층(2)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의 투습도는, 50g/(㎡·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g/(㎡·day)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g/(㎡·day)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15g/(㎡·day)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투습도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상적으로는, 수증기를 전혀 투과시키지 않는 것(즉, 0g/(㎡·day))이 바람직하다.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의 투습도가 상기 범위이면, 당해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을 유기 EL 소자에 적용했을 때, 당해 유기 EL 소자로 수분이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유기 EL 소자의 수분에 의한 열화 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투습도의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1)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위상차 필름
(1-1)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위상차 필름(3a)은, λ/4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필름이다. 이와 같은 위상차 필름(3a)의 23℃에서의 파장 550㎚의 광에서 측정한 면내 위상차 Re(550)는, 100 내지 180㎚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 내지 1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내지 16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35 내지 15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면내 위상차 Re는, Re=(nx-ny)×d(d: 필름의 두께(㎚))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 위상차 필름(3a)은, 대표적으로는, nx>ny=nz, 또는 nx>ny>nz의 굴절률 타원체를 갖는다. 여기서,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ny=nz는 엄밀하게 동등한 경우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등한 것을 포함한다.
위상차 필름(3a)의 Nz 계수는, 예를 들어 0.9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5가 보다 바람직하며, 1 내지 1.3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Nz 계수는, Nz=Rth/Re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Rth는,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며, Rth=(nx-nz)×d(d: 필름의 두께(㎚))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위상차 필름(3a)의 두께는, 원하는 면내 위상차가 얻어지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 내지 5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3a)은,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서 커지는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되고,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서 작아지는 양의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도 되며,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의해서도 거의 변화되지 않은 편평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되지만, 편평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평한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λ/4판을 채용함으로써,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 및 경사 방향의 반사 색상을 실현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3a)의 Re(450)/Re(550)는, 0.85 내지 1.03인 것이 바람직하고, Re(650)/Re(550)는 0.98 내지 1.02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Re(λ)는, 23℃에서의 파장 λ㎚의 광에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며, 예를 들어 Re(450)는, 23℃에서의 파장 450㎚의 광에서 측정한 면내 위상차를 나타낸다.
상기 위상차 필름(3a)은, 상기와 같은 광학적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노르보르넨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노르보르넨,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노르보르넨이란, 출발 원료(모노머)의 일부 또는 전부에, 노르보르넨환을 갖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노르보르넨으로서는, 다양한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구체예로서는, 닛폰 제온(주) 제조의 상품명 「제오넥스」, 「제오노아」, JSR(주) 제조의 상품명 「아톤(Arton)」, TICONA사 제조의 상품명 「토파스」, 미츠이 가가쿠(주) 제조의 상품명 「아펠(APEL)」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는,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결합 구조를 갖는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성단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며,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 「-CH2-O-」를 갖는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적어도 포함하는 디히드록시 화합물과, 탄산디에스테르를,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01
상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결합 구조를 갖는 디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2개의 알콜성 수산기를 갖고, 분자 내에 연결기 「-CH2-O-」를 갖는 구조를 포함하고,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 탄산디에스테르와 반응하여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이면 어떠한 구조의 화합물이어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복수 종 병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에 사용하는 디히드록시 화합물로서, 구조식 (1)로 표시되는 결합 구조를 갖지 않는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이하, 구조식 (1)로 표시되는 결합 구조를 갖는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디히드록시 화합물 (A), 구조식 (1)로 표시되는 결합 구조를 갖지 않는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디히드록시 화합물 (B)라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디히드록시 화합물 (A))
디히드록시 화합물 (A)에서의 연결기 「-CH2-O-」란,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와 서로 결합하여 분자를 구성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 연결기에 있어서, 적어도 산소 원자가 결합할 수 있는 원자 또는 탄소 원자와 산소 원자가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원자로서는, 탄소 원자가 가장 바람직하다. 디히드록시 화합물 (A) 중의 연결기 「-CH2-O-」의 수는 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히드록시 화합물 (A)로서는, 예를 들어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2-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이소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5-디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tert-부틸-6-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등의, 측쇄에 방향족기를 갖고, 주쇄에 방향족기에 결합한 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 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메탄, 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디페닐메탄, 1,1-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에탄, 1,1-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1-페닐에탄, 2,2-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1,1-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시클로헥산, 1,4-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시클로헥산, 1,3-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페닐페닐]프로판, 2,2-비스[(2-히드록시에톡시)-3-이소프로필페닐]프로판, 2,2-비스[3-tert-부틸-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부탄, 2,2-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4-메틸펜탄, 2,2-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옥탄, 1,1-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데칸, 2,2-비스[3-브로모-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3-시클로헥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등의, 비스(히드록시알콕시아릴)알칸류; 1,1-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3-시클로헥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시클로펜탄 등의, 비스(히드록시알콕시아릴)시클로알칸류; 4,4'-비스(2-히드록시에톡시)디페닐에테르, 4,4'-비스(2-히드록시에톡시)-3,3'-디메틸디페닐에테르, 4,4'-디히드록시-2,5-디에톡시디페닐에테르 등의, 디히드록시알콕시아릴에테르류; 4,4'-비스(2-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피드, 4,4'-비스[4-(2-디히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술피드 등의, 비스히드록시알콕시아릴술포시드도류; 4,4'-비스(2-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폭시드, 4,4'-비스[4-(2-디히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술폭시드 등의, 비스히드록시알콕시아릴술폭시드류; 4,4'-비스(2-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폰, 4,4'-비스[4-(2-디히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술폰 등의, 비스히드록시알콕시아릴술폰류; 1,4-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1,3-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1,2-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1,3-비스[2-[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필]벤젠, 1,4-비스[2-[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필]벤젠, 4,4'-비스(2-히드록시에톡시)비페닐, 1,3-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5,7-디메틸아다만탄,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디히드록시 화합물로 대표되는 무수당 알코올, 및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스피로글리콜 등의 환상 에테르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02
Figure 112018103828195-pct00003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디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입체 이성체의 관계에 있는,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이디드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디히드록시 화합물 (A)로서, 예를 들어 옥시알킬렌글리콜류, 환상 에테르 구조를 갖는 디올류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옥시알킬렌글리콜류로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환상 에테르 구조를 갖는 디올류로서는, 예를 들어 스피로글리콜류, 디옥산글루콜류를 들 수 있다.
이들 디히드록시 화합물 (A) 중, 자원으로서 풍부하게 존재하고,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다양한 전분으로 제조되는 소르비톨을 탈수 축합하여 얻어지는 이소소르비드가, 입수 및 제조의 용이함, 광학 특성, 성형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도 바람직하다.
또한, 디히드록시 화합물 (A)를, 후술하는 탄산디에스테르와의 반응에 제공하는 경우,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분말 형상, 플레이크 형상이어도, 용융 상태나 수용액 등의 액상이어도 된다.
(디히드록시 화합물 (B))
디히드록시 화합물 (B)로서는, 예를 들어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원환 구조 또는 6원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6원환 구조는 공유 결합에 의해 의자형 혹은 보트형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이 5원환 또는 6원환 구조임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내열성을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수는, 통상 70 이하이고, 50 이하가 바람직하며,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값이 커질수록, 내열성이 높아지지만, 합성이 곤란해지거나, 정제가 곤란해지거나, 비용이 고가이기도 하다. 탄소 원자수가 작아질수록, 정제하기 쉽고, 입수하기 쉬워진다.
5원환 구조 또는 6원환 구조를 포함하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 (I) 또는 (Ⅱ)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04
(식 (Ⅰ), (Ⅱ) 중, R1, R2는 각각, 탄소수 4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기를 나타냄)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인 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서는, 일반식 (I)에 있어서, R1이 하기 일반식 (Ⅰa)(식 중, R3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다양한 이성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05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펜타시클로펜타데칸디메탄올로서는, 일반식 (I)에 있어서, R1이 하기 일반식 (Ⅰb)(식 중, n은 0 또는 1을 나타냄)로 표시되는 다양한 이성체를 포함한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06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인 데칼린디메탄올 또는, 트리시클로테트라데칸디메탄올로서는, 일반식 (I)에 있어서, R1이 하기 일반식 (Ⅰc)(식 중, m은 0, 또는 1을 나타냄)로 표시되는 다양한 이성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6-데칼린디메탄올, 1,5-데칼린디메탄올, 2,3-데칼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07
또한,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인 노르보르난 디메탄올로서는, 일반식 (I)에 있어서, R1이 하기 일반식 (Ⅰd)로 표시되는 다양한 이성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3-노르보르난디메탄올, 2,5-노르보르난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08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인 아다만탄디메탄올로서는, 일반식 (I)에 있어서, R1이 하기 일반식 (Ⅰe)로 표시되는 다양한 이성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1,3-아다만탄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09
또한, 상기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인 시클로헥산디올은, 일반식 (Ⅱ)에 있어서, R2가 하기 일반식 (Ⅱa)(식 중, R3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다양한 이성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1,2-시클로헥산디올, 1,3-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2-메틸-1,4-시클로헥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10
상기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인 트리시클로데칸디올, 펜타시클로펜타데칸디올로서는, 일반식 (Ⅱ)에 있어서, R2가 하기 일반식 (Ⅱb) (식 중, n은 0 또는 1을 나타냄)로 표시되는 다양한 이성체를 포함한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11
상기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인 데칼린디올 또는 트리시클로테트라데칸디올로서는, 일반식 (Ⅱ)에 있어서, R2가 하기 일반식 (Ⅱc)(식 중, m은 0, 또는 1을 나타냄)로 표시되는 다양한 이성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6-데칼린디올, 1,5-데칼린디올, 2,3-데칼린디올 등이 사용된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12
상기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인 노르보르난디올로서는, 일반식 (Ⅱ)에 있어서, R2가 하기 일반식 (Ⅱd)로 표시되는 다양한 이성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3-노르보르난디올, 2,5-노르보르난디올 등이 사용된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13
상기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인 아다만탄디올로서는, 일반식 (Ⅱ)에 있어서, R2가 하기 일반식 (Ⅱe)로 표시되는 다양한 이성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1,3-아다만탄디올 등이 사용된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14
상기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구체예 중, 특히, 시클로헥산디메탄올류,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류, 아다만탄디올류, 펜타시클로펜타데칸디메탄올류가 바람직하고, 입수의 용이함, 취급의 용이함이라는 관점에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부탄디올, 1,5-헵탄디올, 1,6-헥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에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페닐)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2,4'-디히드록시-디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5-니트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3,3-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2,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피드, 4,4'-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4,4'-디히드록시-3,3'-디클로로디페닐에테르,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2-메틸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 화합물은,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일례로서,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디히드록시 화합물 (B)를 사용함으로써, 용도에 따른 유연성의 개선, 내열성의 향상, 성형성의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디히드록시 화합물에 대한 디히드록시 화합물 (A)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4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0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100몰% 이하가 바람직하다. 디히드록시 화합물 (B)에서 유래되는 구성단위의 함유 비율이 지나치게 많으면, 광학 특성 등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환식 디히드록시 화합물,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폴리카르보네이트를 구성하는 전체 디히드록시 화합물에 대한 디히드록시 화합물 (A)와 이들 각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합계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비율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히드록시 화합물 (A)에서 유래되는 구성단위와 이들 각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성단위의 함유 비율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비율로 선택할 수 있다.
(탄산디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탄산디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디페닐카르보네이트, 디트릴카르보네이트로 대표되는 치환 디페닐카르보네이트, 디메틸카르보네이트, 디에틸카르보네이트 및 디-t-부틸카르보네이트 등이 예시되고, 이들 중에서도, 디페닐카르보네이트 및 치환 디페닐카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탄산디에스테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탄산디에스테르는, 반응에 사용되는 전체 디히드록시 화합물에 대해서, 0.90 내지 1.10의 몰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6 내지 1.04의 몰 비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몰비가 0.90보다 작아지면,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말단 OH기가 증가하여, 폴리머의 열 안정성이 악화하거나, 원하는 고분자량체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몰비가 1.10보다 커지면, 동일 조건하에서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속도가 저하되거나, 원하는 분자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가 곤란해지기도 할 뿐만 아니라,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 중의 잔존 탄산디에스테르양이 증가하고, 이 잔존 탄산디에스테르가, 성형 시, 또는 성형품의 악취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필름 용도에서는 통상 유연성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내지 130℃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는, 상기 디히드록시 화합물 (A)를 포함하는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 탄산디에스테르와 반응시키는 용융 중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중합 촉매의 종류나 그 첨가량은, 종래 공지된 것이나 첨가량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고, 용액 중합법에 대해서도, 종래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3a)은, 예를 들어 상기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수지로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성형 가공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압축 성형법, 트랜스퍼 성형법,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분말 성형법, FRP 성형법, 캐스트 도공법(예를 들어, 유연법), 캘린더 성형법, 열 프레스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도, 얻어지는 필름의 평활성을 높여, 양호한 광학적 균일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압출 성형법 또는 캐스트 도공법이 바람직하다. 성형 조건은, 사용되는 수지의 조성이나 종류, 위상차 필름에 요망되는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는, 많은 필름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므로, 당해 시판 필름을 그대로 연신 처리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필름의 연신 배율은, 위상차 필름(3a)에 요망되는 면내 위상차값 및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필름의 두께, 연신 온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배율은 1.75배 내지 3.00배 정도가 바람직하고, 1.80배 내지 2.80배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며, 1.85배 내지 2.60배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의 연신 온도는, 위상차 필름(3a)에 요망되는 면내 위상차값 및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필름의 두께, 연신 배율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온도는 125℃ 내지 150℃ 정도가 바람직하고, 130℃ 내지 140℃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의 연신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연신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유단 연신, 고정단 연신, 자유단 수축, 고정단 수축 등의 다양한 연신 방법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연신 방향에 관해서도,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두께 방향, 대각 방향 등, 다양한 방향이나 차원으로 행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 필름(3a)은, 수지 필름을 자유단 1축 연신 혹은 고정단 1축 연신함으로써 형성된다. 자유단 1축 연신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주속이 서로 다른 롤 사이에서 연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고정단 1축 연신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폭 방향(가로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 필름(3a)은, 긴 형상의 수지 필름을 길이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함으로써 제작된다. 경사 연신을 채용함으로써,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의 배향각(소정의 각도 방향에 지상축)을 갖는 긴 형상의 연신 필름이 얻어지고, 예를 들어 편광자와의 적층 시에 롤 투 롤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롤 투 롤이란, 필름을 롤 반송하면서 긴 방향을 정렬시켜 적층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경사 연신에 사용하는 연신기로서는, 예를 들어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좌우 서로 다른 속도의 이송력 혹은 인장력 또는 인취력을 부가할 수 있는 텐터식 연신기를 들 수 있다. 텐터식 연신기에는, 가로 1축 연신기, 동시 2축 연신기 등이 있지만, 긴 형상의 수지 필름을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연신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은, 무기 박막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갖지 않는 것으로서, 상기 위상차 필름(3a)은, 무기 박막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갖지 않는다. 이러한 무기 박막은 통상 스퍼터 등에 의해 형성되고, 형성 과정에 있어서 열을 발생한다. 이러한 무기 박막을 상기 위상차 필름(3a)에 설치함으로써, 위상차 필름(3a)의 위상차값이 열에 의해 변경되어버리는 경우나, 위상차 필름(3a)이 파단되어버리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무기 박막으로서는, 산화물, 질화물, 수소화물 및 그 복합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무기 박막을 형성하는 무기 화합물의 일례로서는,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DLC), 규소 질화물(SiNx), 규소 산화물(SiOy), 알루미늄 산화물(AlOz), 알루미늄 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1-2) 제2 위상차 필름
상기 제2 위상차 필름(3b)은, 굴절률 특성이 nz>nx≥ny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굴절률 특성을 갖는 제2 위상차 필름을 구비함으로써, 반사광을 흡수하는 효과의 각도 의존성이 저감되어, 다양한 각도로 반사된 반사광에 대해 그 출사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위상차 필름(3b)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는, -260㎚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230㎚ 내지 -15㎚가 보다 바람직하며, -215㎚ 내지 -20㎚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임으로써, 상기 효과가 현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위상차 필름(3b)은, 그 굴절률이 nx=ny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nx=ny」는, nx와 ny가 엄밀하게 동등한 경우뿐만 아니라, nx와 ny가 실질적으로 동등한 경우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Re(550)가 10㎚ 미만임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위상차 필름(3b)은, 그 굴절률이 nx>ny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위상차 필름(3b)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10㎚ 내지 150㎚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80㎚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위상차 필름(3b)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호메오트로픽 배향으로 고정된 액정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킬 수 있는 액정 재료(액정 화합물)는, 액정 모노머여도 액정 폴리머여도 된다. 당해 액정 화합물 및 당해 액정층의 형성 방법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제2002-333642호 공보의 [0020] 내지 [0042]에 기재된 액정 화합물 및 형성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두께는 0.1㎛ 내지 5㎛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3㎛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제2 위상차 필름(3b)은, 일본 특허공개 제2012-32784호 공보에 기재된 푸마르산 디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된 위상차 필름이어도 된다. 이 경우, 두께는 5㎛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3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위상차 필름(3a) 및 제2 위상차 필름(3b)으로 구성되는 적층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120㎚ 내지 160㎚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 내지 150㎚가 보다 바람직하며, 135㎚ 내지 145㎚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위상차 필름(3a)과 제2 위상차 필름(3b)으로 구성되는 적층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는, 4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90㎚가 보다 바람직하며, 60㎚ 내지 8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위상차 필름(3a)과 제2 위상차 필름(3b)은, 임의의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4)을 통해 적층할 수 있다.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4)은,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며, 적당한 습윤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공지된 어떠한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도 사용할 수 있다.
(2) 점접착제층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접착제층은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day) 이하이면 되고, 그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점접착제층」이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의미한다.
상기 점접착제층의 투습도는 50g/(㎡·day) 이하이고, 30g/(㎡·day) 이하가 바람직하고, 20g/(㎡·day)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5g/(㎡·day)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투습도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상적으로는 수증기를 완전히 투과시키지 않는 것(즉, 0g/(㎡·day))이 바람직하다. 점접착제층의 투습도가 상기 범위이면, 당해 점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위상차 필름)을 유기 EL 소자에 적용했을 때, 당해 유기 EL 소자로 수분이 이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유기 EL 소자의 수분에 의한 열화 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투습도는, 점접착제층의 두께 50㎛에서의 40℃, 92% R.H. 조건하에서의 수증기 투과율(투습도)이며, 그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2-1) 접착제층
접착제층으로서는,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day) 이하이면 되고, 그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 접착제, α-올레핀계 접착제,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수지 에멀션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수지계 핫 멜트 접착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염화비닐 수지 용제계 접착제, 클로로프렌 고무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용제계 접착제, 니트릴 고무계 접착제, 니트로셀룰로오스계 접착제,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페놀 수지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핫 멜트 접착제, 폴리아미드 수지 핫 멜트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폴리우레탄 수지 핫 멜트 접착제, 폴리올레핀 수지 핫 멜트 접착제, 폴리아세트산 비닐 수지 용제계 접착제, 폴리스티렌 수지 용제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계 접착제, 폴리비닐부티랄계 접착제, 폴리벤즈이미다졸 접착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용제계 접착제, 멜라민 수지계 접착제, 우레아 수지계 접착제, 레조르시놀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접착 형태로 분류하면, 예를 들어 열경화형 접착제, 핫 멜트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열경화형 접착제는, 가열에 의해 열경화하여 고화함으로써 접착력을 발현한다. 열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계 열경화형 접착제, 우레탄계 열경화형 접착제, 아크릴계 열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형 접착제의 경화 온도는, 예를 들어 100 내지 200℃이다.
핫 멜트 접착제는, 가열에 의해 용융 또는 연화되어, 피착체에 열 융착되고, 그 후의 냉각에 의해 고화됨으로써 피착체에 접착된다. 핫 멜트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고무계 핫 멜트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핫 멜트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핫 멜트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수지계 핫 멜트 접착제, 폴리아미드 수지 핫 멜트 접착제, 폴리우레탄 수지 핫 멜트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핫 멜트 접착제의 연화 온도(환구법)는, 예를 들어 100 내지 200℃이다. 또한, 핫 멜트 접착제의 용융 점도는 180℃이며, 예를 들어 100 내지 30000mPa·s이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0.01 내지 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8㎛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2) 점착제층
점착제층으로서는,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day) 이하이면 되며, 그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투습도의 관점에서,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고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면 되며, 그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폴리머는, 실온 부근의 온도 영역에 있어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폴리머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이소부틸렌계 폴리머 등을 들 수는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후성의 관점에서, 이소부틸렌의 단독중합체인 폴리이소부틸렌(PIB)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폴리이소부틸렌은, 주쇄 중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내광성이 우수한 것이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으로서는, 예를 들어 BASF사 제조의 오파놀(OPPANOL)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만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70만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00만 이하가 바람직하고, 300만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00만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10만 이상으로 함으로써 고온 보관 시의 내구성이 보다 우수한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 중, 5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5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90중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이소부틸렌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99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8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이소부틸렌을 상기 범위에서 포함함으로써, 저투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이외의 폴리머나 엘라스토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소부틸렌과 노르말부틸렌의 공중합체, 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의 공중합체(예를 들어, 레귤러 부틸 고무, 염소화 부틸 고무, 브롬화 부틸 고무, 부분 가교 부틸 고무 등의 부틸 고무류), 이들의 가황물이나 변성물(예를 들어,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의 관능기에 의해 변성한 것) 등의 이소부틸렌계 폴리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SIS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SEP,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BS),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등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부틸 고무(IIR), 부타디엔 고무(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EPR(2원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T(3원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과 EPT(3원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폴리머 블렌드 등의 블렌드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지만,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100중량부에 대해서 10중량부 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이소부틸렌과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란,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개시제 자신은 개열되지 않고,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으로부터 수소를 인발하여, 폴리이소부틸렌에 반응점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당해 반응점 형성에 의해, 폴리이소부틸렌의 가교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것이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 외에,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광중합 개시제 자신이 개열 분해하여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개열형 광중합 개시제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이소부틸렌에, 개열형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면, 라디칼이 발생한 광중합 개시제에 의해 폴리이소부틸렌의 주쇄가 절단되어버려 가교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이소부틸렌의 가교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4-페닐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틸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파이드, 아크릴화 벤조페논,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아미노 벤조페논계 화합물;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2-에틸안트라퀴논, 9,10-페난트렌퀴논, 캄포퀴논 등; 아세토나프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방향족 케톤 화합물; 테레프탈알데히드 등의 방향족 알데히드, 메틸안트라퀴논 등의 퀴논계 방향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성의 관점에서, 벤조페논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벤조페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100중량부에 대해서, 0.00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를 상기 범위에서 포함함으로써, 가교 반응을 목적하는 밀도까지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개열형 광중합 개시제를 상기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와 함께 사용해도 되지만, 전술한 이유에 의해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폴리이소부틸렌의 가교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라디칼 중합성의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이다.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2-부틸프로판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옥산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EO 변성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화물, 9,9-비스[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이소부틸렌에 대한 상용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화물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로일기를 2개 갖는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기를 3개 이상 갖는 3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며,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100중량부에 대해서 2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어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100중량부에 대해서 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중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얻어진 고무계 점착제층의 내구성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0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이하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테르펜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 로진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점착 부여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에 점착 부여제를 포함함으로써, 각종 피착체에 대해서 높은 접착성을 가지며, 또한, 고온 환경하에서도 높은 내구성을 갖는 고무계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테르펜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어 α-피넨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디펜텐 중합체 등의 테르펜 중합체나, 상기 테르펜 중합체를 변성(페놀 변성, 스티렌 변성, 방향족 변성, 수소 첨가 변성, 탄화수소 변성 등)한 변성 테르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성 테르펜 수지의 예에는, 테르펜페놀 수지, 스티렌 변성 테르펜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수소화 테르펜 수지)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의 예에는, 테르펜 중합체의 수소화물 및 다른 변성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의 수소 첨가물이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도,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한 상용성이나 점착 특성의 관점에서, 테르펜페놀 수지의 수소 첨가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진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로서는, 로진 수지, 중합 로진 수지, 수소 첨가 로진 수지, 로진 에스테르 수지,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 수지, 로진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 등의 미변성 로진(생 로진)이나, 이들을 수소 첨가화, 불균화, 중합, 그 밖의 화학적으로 수식된 변성 로진, 이들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어 야스하라케미컬(주) 제조의 클리어론 시리즈, 폴리스타 시리즈, 아라카와 가가쿠 고교(주) 제조의 슈퍼에스테르 시리즈, 펜셀 시리즈, 파인크리스탈 시리즈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가 수소 첨가물인 경우, 수소 첨가는, 부분적으로 수소 첨가되어 있는 부분 수소 첨가물이어도 되고, 화합물 중의 모든 이중 결합에 수소 첨가가 되어 있는 완전 수소 첨가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점착 특성, 내후성이나 색상의 관점에서 완전 수소 첨가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가, 시클로헥산올 골격을 포함하는 것이 점착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세한 원리는 불분명하지만, 페놀 골격보다 시클로헥산올 골격 쪽이, 베이스 폴리머인 폴리이소부틸렌과의 상용성의 밸런스가 취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시클로헥산올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어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 페놀 수지 등의 수소 첨가물이 바람직하고,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 페놀 수지 등의 완전 수소 첨가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연화 온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80℃ 이상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이 80℃ 이상임으로써, 고온에 있어서도 점착 부여제가 연화되지 않고 점착 특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연화점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분자량이 보다 높아져서, 상용성이 악화되어, 백화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200℃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은, JIS K5902 및 JIS K2207 중 어느 것으로 규정되는 연화점 시험 방법(환구법)에 의해 측정된 값으로서 정의된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만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5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 부여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폴리이소부틸렌과의 상용성이 좋아, 백화 등의 결함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첨가량은,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100중량부에 대해서, 4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부여제의 첨가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중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의 사용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부여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해서 다량 첨가하게 되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어버리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상기 테르펜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 로진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 이외의 점착 부여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당해 점착 부여제로서는,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석유계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지방족 환상 석유 수지),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지환족계 석유 수지, 수소 첨가 석유 수지, 쿠마론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100중량부에 대해서, 30중량부 이하 정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희석제로서 유기 용매를 첨가할 수 있다. 희석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n-헵탄, 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희석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중에 50 내지 95중량% 정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내지 9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희석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지지체 등에 대한 도포 시공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제의 구체예로서는, 연화제, 가교제(예를 들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화합물, 알킬에테르화 멜라민 화합물 등), 충전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의 종류, 조합, 첨가량 등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에서의 상기 첨가제의 함유량(총량)은,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고,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종 지지체 등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 건조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등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로서, 폴리이소부틸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점착제 조성물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을 가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통상,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을 각종 지지체 등에 도포하고, 얻어진 도포층에 조사된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도포층에(다른 부재 등을 접합하지 않고) 직접 조사해도 되고, 도포층에 세퍼레이터 등의 광학 필름이나 유리 등의 각종 부재를 접합한 후에 조사해도 된다. 상기 광학 필름이나 각종 부재에 접합한 후에 조사하는 경우에는, 당해 광학 필름이나 각종 부재를 사이에 두고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도 되고, 당해 광학 필름이나 각종 부재를 박리하여, 당해 박리한 면으로부터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도 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각종 방법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롤 코트, 키스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딥 롤 코트, 바 코트, 나이프 코트, 에어나이프 코트, 커튼 코트, 립 코트,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트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층을 가열 건조하는 경우, 가열 건조 온도는, 30℃ 내지 200℃ 정도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180℃가 더욱 바람직하며, 80℃ 내지 150℃가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점착 특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건조 시간은, 적당하게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5초 내지 20분 정도가 바람직하고, 30초 내지 10분이 보다 바람직하며, 1분 내지 8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접착제 또는 점착제 조성물이, 희석제로서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도포 후,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 가열 건조 등에 의해 용매 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건조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잔존 용매를 적게 하는 관점에서, 30℃ 내지 90℃ 정도가 바람직하고, 60℃ 내지 80℃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 시간은, 적당하게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5초 내지 20분 정도가 바람직하고, 30초 내지 10분이 보다 바람직하며, 1분 내지 8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가시광선, 자외선, 전자선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조사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교시키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의 조성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조사 적산 광량이 100mJ/㎠ 내지 2000mJ/㎠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어 박리 처리한 시트(세퍼레이터)나, 전술한 위상차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천,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금속박, 및 이들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체 등을 들 수 있지만,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통상 5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정도이다.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혹은 지방산 아미드계의 이형제, 실리카분 등에 의한 이형, 및 방오 처리나, 도포형, 혼련형, 증착형 등의 대전 방지 처리를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장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박리 처리를 적절히 행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점접착제층을, 박리 처리한 시트(세퍼레이터) 상에 형성한 경우, 당해 점착제층을 위상차 필름 상에 전사하여, 본 발명의 점접착제층 구비 광학 필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점착제층 구비 광학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사용한, 박리 처리한 시트는, 그대로 고무계 점착제층 구비 광학 필름의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정면에서의 간략화가 가능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98% 정도가 바람직하고, 25 내지 98%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며, 45 내지 9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겔 분율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내구성과 점착력을 양립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겔 분율의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3) 그 밖의 층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과,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day) 이하인 점접착제층은, 이들이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이들 사이에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그 밖의 층으로서는, 상기 접 점착제층 이외의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즉,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day)을 초과하는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 하도층(프라이머층) 등의 개재층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접착제로서는 수계, 용제계, 핫 멜트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등의 각종 형태의 것이 사용되지만, 수계 접착제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적합하다.
또한, 상기 위상차 필름과 접 점착제층의 적층에 있어서, 이들 사이에 접착 용이층을 설치할 수 있다. 접착 용이층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골격, 폴리에테르 골격, 폴리카르보네이트 골격, 폴리우레탄 골격, 실리콘계, 폴리아미드 골격, 폴리이미드 골격, 폴리비닐알코올 골격 등을 갖는 각종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들 폴리머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 용이층의 형성에는 다른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추가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유기 EL 표시 장치용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편광자와 함께,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 방지 필름(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을 구성할 수 있다.
2.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은, 편광자와,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은, 편광자와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면,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3a)과, 점접착제층(2)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구성이나, 상기 편광자와, 점접착제층(2)과, 위상차 필름(3a)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자(5a)는, 당해 편광자(5a)의 편면에만 보호 필름을 갖는 편면 보호 편광 필름이나, 편광자(5a)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양면 보호 편광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의 상기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편광자(5a)를 포함하는 편면 보호 편광 필름(5A)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5b)/편광자(5a)/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4)/위상차 필름(3a)/점접착제층(2)으로 구성되는 편광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5a)를 포함하는 양면 보호 편광 필름(5B)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5b)/편광자(5a)/보호 필름(5b)/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4)/위상차 필름(3a)/점접착제층(2)으로 구성되는 편광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위상차 필름(3a)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편광자(5a)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3a)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35°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고, 38°내지 52°가 보다 바람직하고, 40°내지 50°가 더욱 바람직하고, 42°내지 48°가 더욱 바람직하며, 44°내지 46°가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각도가 이러한 범위이면, 원하는 원 편광 기능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도로 언급할 때에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당해 각도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양쪽의 방향 각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위상차 필름은, 제1 위상차 필름(3a)만을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위상차 필름(3b)을 사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 경우, 상기 각각의 구성은, 보호 필름(5b)/편광자(5a)/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4)/위상차 필름(3a)/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4)/위상차 필름(3b)/점접착제층(2), 보호 필름(5b)/편광자(5a)/보호 필름(5b)/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4)/위상차 필름(3a)/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4)/위상차 필름(3b)/점접착제층(2)으로 된다.
상기 구성(위상차 필름(3a과 3b)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편광자(5a)의 흡수축과 제1 위상차 필름(3a)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65°내지 85°가 바람직하고, 72°내지 78°가 보다 바람직하며, 74°내지 76°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자(5a)의 흡수축과 제2 위상차 필름(3b)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10°내지 20°가 바람직하고, 13°내지 17°가 보다 바람직하며, 14°내지 16°가 더욱 바람직하다. 2개의 위상차 필름을 상기와 같은 축 각도로 배치함으로써, 광대역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원 편광 특성(결과적으로, 매우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갖는 원 편광판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에 사용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은, 전술한 것을 들 수 있다.
(편광자)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적합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 내지 80㎛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내지 7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행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며, 또한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또한, 박막화의 관점에서, 두께가 15㎛ 이하인 박형 편광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의 박형 편광자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형화의 관점에서 말하자면 당해 두께는, 1 내지 7㎛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박형의 편광자는, 두께 불균일이 적고, 시인성이 우수하며, 또한 치수 변화가 적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편광 필름으로서의 두께도 박형화가 도모되는 점이 바람직하다.
박형의 편광자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일본 특허공개 소51-069644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제2000-338329호 공보나, 국제 공개 제2010/100917호 팸플릿, 또는 일본 특허공개 제2014-59328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제2012-7356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박형 편광막을 들 수 있다. 이들 박형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이하, PVA계 수지라고도 함)층과 연신용 수지 기재를 적층체의 상태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제법이라면, PVA계 수지층이 얇아도, 연신용 수지 기재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연신에 의한 파단 등의 결함없이 연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박형 편광막으로서는, 적층체의 상태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 중에서도,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어 편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 공개 제2010/100917호 팸플릿, 또는 일본 특허공개 제2014-059328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제2012-07356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으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일본 특허공개 제2014-059328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제2012-07356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기 전에 보조적으로 공중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
상기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설치되는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카르보네이트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피드계 폴리머,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 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아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보호 필름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 경화층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편광자의 양측에 보호 필름을 설치하는 경우, 그 표리가 동일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되고, 서로 다른 폴리머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막성 등의 점에서 1 내지 500㎛ 정도이다.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은 통상, 수계 접착제 등을 통해 밀착되어 있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우레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외에,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접착제로서는, 자외 경화형 접착제,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선 경화형 편광 필름용 접착제는, 상기 각종 보호 필름에 대해서, 적합한 접착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제에는, 금속 화합물 필러를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는 면에는, 하드 코트층이나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나,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된다.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
편광 필름(5)과 위상차 필름(3a)의 접착이나, 위상차 필름(3a)과 위상차 필름(3b)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4)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상차 필름(3a)과 위상차 필름(3b)의 접착에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며, 적당한 습윤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5)과 위상차 필름(3a)의 접착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접착에 사용되는 상기 수계 접착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그 밖의 층)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에는, 상기 이외의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 하도층(프라이머층) 등의 개재층이나, 접착 용이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개재층이나 접착 용이제층은, 전술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에는, 기능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기능층을 형성함으로써, 편광자에 발생하는 관통 크랙 및 나노 슬릿 등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기능층은, 각종 형성재로 형성할 수 있다. 기능층은, 예를 들어 수지 재료를 편광자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PVA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재료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PVA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의 형태는, 수계, 용제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수지의 형태는, 수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PVA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계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 수용액이나 우레탄 수지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광학 신뢰성과 내수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기능층의 두께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3㎛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기능층의 두께는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7㎛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두께의 기능층에 의해,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 필름의 총 두께(편광자, 투명 보호 필름 외에, 개재층, 기능층을 포함함)는, 박형화의 관점에서, 3 내지 115㎛가 바람직하고, 43 내지 60㎛가 보다 바람직하며, 14 내지 48㎛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은,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저투습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을, 상기 점접착제층(2)을 통해 유기 EL 소자에 접합하기 때문에, 상기 점접착제층(2)이, 유기 EL 소자 가까이에 배치되고, 유기 EL 소자로의 수분 등의 이행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3.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본 발명의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은,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의 편광자측에, 점착제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8)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6)의 편광 필름(5)측에 점착제층(7)을 갖는 것이다.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으로서는, 전술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7)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으로서, 전술한 저투습의 점착제층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며, 적당한 습윤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탄소수 4 내지 24의 알킬기를 에스테르기의 말단에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하며, 본 발명의 (메트)는 마찬가지의 의미이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탄소수 4 내지 24의 알킬기를 갖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탄소수 4 내지 9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점착 특성의 밸런스를 취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에는, 단관능성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공중합 모노머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환상 질소 함유 모노머,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환상 에테르기를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에는, 상기 단관능성 모노머 외에, 점착제의 응집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다관능성 모노머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모노머이며, 예를 들어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는, 용액 중합, 자외선 중합 등의 방사선 중합, 괴상 중합, 유화 중합 등의 각종 라디칼 중합 등의 공지된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유화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분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공지된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 반응 조건에 의해 제어 가능하며, 이들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그 사용량이 조정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만 내지 4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을 40만보다 크게 함으로써, 점착제층의 내구성을 충족시키거나,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작아져서 점착제 잔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만보다도 커지면 접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점착제가 용액계에 있어서,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도포 시공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 투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고,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산출된 값을 의미한다. 또한, 방사선 중합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대해서는, 분자량 측정은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실리콘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실란계 가교제, 알킬에테르화 멜라민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과산화물 등의 가교제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가교제를 0.01 내지 10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점착제층의 유리 등의 친수성 피착체에 적용하는 경우에서의 계면에서의 내수성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그 밖의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착색제, 안료 등의 분체, 염료, 계면 활성제, 가소제, 점착성 부여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 금속분, 입자 형상, 박 형상물 등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환원제를 첨가한 산화 환원계를 채용해도 된다.
점착제층(7)의 형성 방법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4. 유기 EL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판 또는 상기 점착제층 구비 편광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판 또는 점착제층 구비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점접착제층(2)을 통해 유기 EL 소자에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유기 EL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판 또는 상기 점착제층 구비 편광판을 포함하기 때문에, 높은 광학 신뢰성을 갖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예 중의 부 및 %는 모두 중량 기준이다.
제조예 1(제1 위상차 필름의 제작)
이소소르비드(ISB) 37.5질량부,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BHEPF) 91.5질량부, 평균 분자량 4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8.4질량부, 디페닐카르보네이트(DPC) 105.7질량부, 및 촉매로서 탄산세슘(0.2질량% 수용액) 0.594질량부를 각각 반응 용기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반응의 제1단째의 공정으로서, 반응 용기의 열매체 온도를 150℃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 교반하면서, 원료를 용해시켰다(약 15분).
다음으로,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을 상압으로부터 13.3kPa로 하고, 반응 용기의 열매체 온도를 190℃까지 1시간에 상승시키면서, 발생되는 페놀을 반응 용기 밖으로 빼냈다. 반응 용기 내 온도를 190℃에서 15분 유지한 후, 제2단째의 공정으로서,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을 6.67kPa로 하고, 반응 용기의 열매체 온도를 230℃까지, 15분에 상승시켜, 발생하는 페놀을 반응 용기 밖으로 빼냈다. 교반기의 교반 토크가 상승되게 되므로, 8분에 250℃까지 승온하고, 또한 발생되는 페놀을 제거하기 위해서,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을 0.200kPa 이하로 감압하였다. 소정의 교반 토크에 도달 후, 반응을 종료하고, 생성한 반응물을 수중으로 압출한 후에 펠릿화를 행하고, BHEPF/ISB/PEG=42.9몰%/52.8몰%/4.3몰%의 비율로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의 유리 전이 온도는 126℃이고, 환원 점도는 0.372dL/g이었다.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를 80℃에서 5시간 진공 건조한 후, 단축 압출기(스크루 직경: 25㎜, 실린더 설정 온도: 220℃, 이스즈 가코기(주) 제조), T다이(폭: 300㎜, 설정 온도: 220℃), 냉각 롤(설정 온도: 120 내지 130℃) 및 권취기를 구비한 필름 제막 장치를 사용하여, 길이 3m, 폭 300㎜, 두께 120㎛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필름의 흡수율은 1.2%였다.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필름을, 길이 300㎜, 폭 300㎜로 잘라내고, 라보 스트레처 KARO IV(Bruckner사 제조)를 사용하여, 온도 136℃, 배율 2배로 세로 연신을 행하고,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Re(550)는 141㎚, Rth(550)는 141㎚이며(nx: 1.5969, ny: 1.5942, nz: 1.5942), nx>ny=nz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Re(450)/Re(550)는 0.89였다(또한, 환경 시험에 의한 위상차 변동은 5㎚였음).
제조예 2(제2 위상차층(제2 위상차 필름)의 제작)
하기 화학식 (Ⅰ)(식 중의 숫자 65 및 35는 모노머 유닛의 몰%를 나타내고, 편의적으로 블록 폴리머체로 나타내고 있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00)로 나타내어지는 측쇄형 액정 폴리머 20중량부,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상품명: 팔리오컬러(Paliocolor) LC 242, BASF사 제조) 80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5중량부를 시클로펜타논 200중량부에 용해해서 액정 도포 시공액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기재 필름(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 상품명: 제오넥스, : 닛폰 제온(주) 제조)에 당해 도포 시공액을 바 코터에 의해 도포 시공한 후, 80℃에서 4분간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액정을 배향시켰다. 이 액정층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액정층을 경화시킴으로써, 기재 상에 제2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고화층(두께: 0.58㎛)을 형성하였다. 이 층의 Re(550)는 0㎚, Rth(550)는 -71㎚이며(nx: 1.5326, ny: 1.5326, nz: 1.6550), nz>nx=ny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15
제조예 3(위상차 필름 A의 제작)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제1 위상차 필름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통해,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제2 위상차층(액정 고화층)을 접합한 후, 상기 기재 필름을 제거하여, 제1 위상차 필름에 액정 고화층이 전사된 적층체(위상차 필름 A)를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 A는, 제1 위상차 필름/아크릴계 점착제층/제2 위상차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 A의 Re(550)는 141㎚이며, Rth(550)는 70㎚였다.
제조예 4(위상차 필름 B의 제작)
긴 형상의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상품명: 제오노아, 두께: 50㎛, 닛폰 제온사 제조)을 1.52배로 연신함으로써, Re(550)가 140㎚인 위상차 필름 B(두께: 35㎛)를 얻었다.
제조예 5(위상차 필름 C의 제작)
위상차 필름 A를 기재로 하여, Al, SiO2 및 ZnO를 포함하는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에 의해 상기 기재의 제1 위상차 필름 상에 제1 산화물층(두께: 30㎚)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Si 타깃을 사용하여, 기재/제1 산화물층의 적층체의 제1 산화물층 상에 제2 산화물층(두께: 50㎚)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위상차층/아크릴계 점착제층/제1 위상차 필름/제1 산화물층(AZO)/제2 산화물층(SiO2)의 구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 C를 제작하였다.
제조예 6(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작)
비정질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에, 9㎛ 두께의 폴리비닐알코올(PVA)층이 제막된 적층체를, 연신 온도 130℃의 공중 보조 연신에 의해 연신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이어서, 연신 적층체를 염색에 의해 착색 적층체를 생성하고, 또한 착색 적층체를 연신 온도 65℃의 붕산 수중 연신에 의해 총 연신 배율이 5.94배가 되도록 비정질성 PET 기재와 일체로 연신된 5㎛ 두께의 PVA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2단 연신에 의해 비정질성 PET 기재에 제막된 PVA층의 PVA 분자가 고차로 배향되고, 염색에 의해 흡착된 요오드가 폴리요오드 이온 착체로서 일 방향으로 고차로 배향된 고기능 편광막(편광자)을 구성하는, 두께 5㎛의 PVA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제조예 7(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폴리이소부틸렌(상품명: 오파놀 B80, Mw: 약 75만, BASF사 제조) 100중량부와,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의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NK 에스테르 A-DCP, 2관능 아크릴레이트, 분자량: 304, 신나카무라 가가쿠 고교(주) 제조) 5중량부,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인 벤조페논(와코 준야쿠 고교(주) 제조) 0.5부,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 10중량부를 배합한 톨루엔 용액(점착제 용액)을 고형분이 15중량%로 되도록 조정하고,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조제하였다.
제조예 8(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폴리이소부틸렌(상품명: 오파놀 B80, Mw: 약 75만, BASF사 제조) 100중량부와,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의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NK 에스테르 A-DCP, 2관능 아크릴레이트, 분자량: 304, 신나카무라 가가쿠 고교(주) 제조) 10중량부,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인 벤조페논(와코 준야쿠 고교(주) 제조) 0.5부,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 10중량부를 배합한 톨루엔 용액(점착제 용액)을 고형분이 15중량%로 되도록 조정하고,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조제하였다.
제조예 9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관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모노머 성분으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BA) 99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1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 에틸을 고형분이 20%가 되도록 투입한 후, 질소 가스를 흘리고, 교반하면서 약 1시간 질소 치환을 행하였다. 그 후, 60℃에서 플라스크를 가열하고, 7시간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Mw) 110만의 아크릴계 폴리머를 얻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고형분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상품명: 코로네이트 L,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 제조) 0.8중량부, 실란 커플링제(상품명: KBM-403, 신에츠 가가쿠(주) 제조)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제작)
상기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포일 MRF, 미츠비시 쥬시(주) 제조)의 박리 처리면에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도포층을 120℃에서 3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점착제층의 두께가 50㎛인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 시트의 점착면에는, 상기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포일 MRF, 미츠비시 쥬시(주) 제조)을, 박리 처리면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도록 접합하고, 아크릴계 점착 시트를 얻었다. 점착제층의 양면에 피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박리 라이너(세퍼레이터)로서 기능한다.
실시예 1
(점착 시트의 제작)
제조예 7에서 얻어진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포일 MRF, 미츠비시 쥬시(주) 제조)의 박리 처리면에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도포층을 80℃에서 3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점착제층의 두께가 50㎛인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 시트의 점착면에는, 상기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포일 MRF, 미츠비시 쥬시(주) 제조)을, 박리 처리면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도록 접합하였다. 점착제층의 양면에 피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박리 라이너(세퍼레이터)로서 기능한다.
한쪽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측으로부터, 실온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고, 고무계 점착제층/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얻었다. 상기 자외선 조사는, UVA 영역에서, 광량 1000mJ/㎠였다.
(점착제층 구비 위상차 필름의 제작)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위상차 필름 A의 제2 위상차층에, 상기 얻어진 고무계 점착 시트를 접합하여, 위상차 필름 A/고무계 점착제층/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편광 필름의 제작 방법)
제조예 6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적층체의 편광막(편광자, 두께: 5㎛)의 표면에, 접착제층의 두께가 0.1㎛로 되도록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보호 필름(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상품명: KC4UYW, 두께: 40㎛, 코니카 미놀타사 제조))을 접합한 다음, 50℃에서 5분간의 건조를 행하였다. 이어서, 비정질성 PET 기재를 박리하고, 박형 편광자를 사용한 편 보호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 보호 편광 필름의 편광막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적층체의 위상차 필름 A를 접합하였다. 여기서, 위상차 필름 A의 지상축이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45°로 되도록 접합하였다. 얻어진 편광 필름은, TAC 필름/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위상차 필름 A/고무계 점착제층/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2
(점착제층 구비 위상차 필름의 제작)
위상차 필름으로서,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위상차 필름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위상차 필름 B/고무계 점착제층/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편광 필름의 제작 방법)
상기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 필름은, TAC 필름/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위상차 필름 B/고무계 점착제층/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비교예 1
(점착제층 구비 위상차 필름의 제작)
고무계 점착제층 대신에 제조예 9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위상차 필름 A/아크릴계 점착제층/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편광 필름의 제작 방법)
상기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 필름은, TAC 필름/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위상차 필름 A/아크릴계 점착제층/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 적층체, 또는 편광 필름을 사용하여, 이하의 측정을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점착제층의 투습도 측정>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점착제층의 두께: 50㎛)의 점착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AC 필름, 두께: 25㎛, 코니카 미놀타(주) 제조)에 접합하였다. 그 후, 점착 시트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측정용 샘플을 얻었다. 이어서, 이 측정용 샘플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 JIS Z 0208에 준함)에 의해, 투습도(수증기 투과율)를 측정하였다.
측정 온도: 40℃
상대 습도: 92%
측정 시간: 24시간
측정 시에는, 항온항습조를 사용하였다.
<점착제층 구비 위상차 필름의 투습도 측정>
실시예,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점착면을 노출시켜,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이어서, 이 측정용 샘플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 JIS Z 0208에 준함)에 의해, 투습도(수증기 투과율)를 측정하였다.
측정 온도: 40℃
상대 습도: 92%
측정 시간: 24시간
측정 시에는, 항온항습조를 사용하였다.
<내구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시험편을 유리판에 접합하여, 이것을 85℃의 환경하에서 300시간 투입 후의 상태를 눈으로 보거나 또는 돋보기(20배)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돋보기로 확인하여도, 결함(발포, 박리 등)의 발생이 없었다.
○: 눈으로 봐서는 결함이 확인되지 않았지만, 돋보기로 확인하면 사용에 문제가 없을 정도의 다소의 결함이 발생하였다.
×: 눈으로 보아 결함이 확인되었다.
<시야각 특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 필름을 치수 50㎜×50㎜로 잘라내었다. 유기 EL 디스플레이(제품명: 15EL9500, LG사 제조)로부터 유기 EL 패널을 취출하고, 이 유기 EL 패널에 점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을 박리해 취하고, 그 대신에 잘라낸 편광 필름을 접합하여 유기 EL 패널을 얻었다. 이 유기 EL 패널의 반사 색상의 측정 결과를 표에 나타낸다. 또한, 「시야각 특성」은, CIE 표색계의 xy 색도도상에서의, 정면 방향의 반사 색상과 경사 방향의 반사 색상(극각 45°에서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의 2점간 거리 Δxy를 나타낸다.
얻어진 유기 EL 패널에 흑색 화상을 표시시키고, Auoronic-MERCHERS사 제조의 시야각 측정 평가 장치 코노스코프를 사용하여 반사 색상을 측정하였다.
○: 0.07 이하이고, 반사 특성이 양호하며, 유기 EL 디바이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 0.07을 초과하고 반사 특성이 좋지 않아, 유기 EL 디바이스로서 사용할 수 없다.
Figure 112018103828195-pct00016
표 1 중의 표기는 이하와 같다.
<고무계 폴리머>
오파놀 B80: 폴리이소부틸렌(Mw: 약 75만, BASF사 제조)
<아크릴계 폴리머>
제조예 9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DCP: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NK 에스테르 A-DCP, 2관능 아크릴레이트, 분자량: 304, 신나카무라 가가쿠 고교(주) 제조)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
<점착 부여제>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 연화점이 160℃, 수산기가가 60인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
1: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
2: 점접착제층
3a: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제1 위상차 필름)
3b: λ/2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제2 위상차 필름)
4: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
5A: 편면 보호 편광 필름
5B: 양면 보호 편광 필름
5a: 편광자
5b: 보호 필름
6: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7: 점착제층
8: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Claims (8)

  1.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과,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day) 이하인 점접착제층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위상차 필름과 상기 점접착제층은 접해 있고,
    상기 점접착제층이, 폴리이소부틸렌, 및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
  2. 삭제
  3. 편광자와, 제1항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와,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과,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day) 이하인 점접착제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와, 40℃, 92% R.H.에서의 투습도가 50g/(㎡·day) 이하인 점접착제층과,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7. 제3항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의 편광자측에, 점착제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8.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또는 제7항에 기재된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0187030433A 2016-05-10 2017-04-05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339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4475 2016-05-10
JP2016094475A JP6940930B2 (ja) 2016-05-10 2016-05-10 有機el表示装置用光学フィルム、有機el表示装置用偏光フィルム、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PCT/JP2017/014222 WO2017195506A1 (ja) 2016-05-10 2017-04-05 有機el表示装置用光学フィルム、有機el表示装置用偏光フィルム、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836A KR20190005836A (ko) 2019-01-16
KR102339860B1 true KR102339860B1 (ko) 2021-12-16

Family

ID=6026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433A KR102339860B1 (ko) 2016-05-10 2017-04-05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및 유기 el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940930B2 (ko)
KR (1) KR102339860B1 (ko)
CN (1) CN109121431B (ko)
SG (1) SG11201809771SA (ko)
TW (1) TWI744308B (ko)
WO (1) WO2017195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2197B (zh) * 2017-12-28 2022-05-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板
JP2019159311A (ja) * 2018-03-12 2019-09-1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19176718A1 (ja) * 2018-03-12 2019-09-1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19176717A1 (ja) * 2018-03-12 2019-09-19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20098317A (ja) * 2018-03-12 2020-06-25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9200413A (ja) * 2018-05-11 2019-11-2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JP7334253B2 (ja) 2019-01-16 2023-08-28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リチウム二次電池
WO2020179372A1 (ja) * 2019-03-05 2020-09-10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及びガラス板付き円偏光板
JP2020149036A (ja) * 2019-03-05 2020-09-17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及びガラス板付き円偏光板
JP6725037B1 (ja) * 2019-05-14 2020-07-1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層、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並びに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1063972A (ja) * 2019-10-10 2021-04-22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および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CN114502999A (zh) * 2019-10-10 2022-05-13 日东电工株式会社 带相位差层及粘合剂层的偏振片以及使用了该偏振片的有机场致发光显示装置
JP2022013327A (ja) * 2020-07-03 2022-01-18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板
JP2022013326A (ja) * 2020-07-03 2022-01-18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板
JP2022020349A (ja) * 2020-07-20 2022-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042216A (ja) * 2020-09-02 2022-03-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CN116391001A (zh) * 2020-11-11 2023-07-04 日产化学株式会社 固化性组合物及其固化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1773A (ja) 2005-02-10 2006-09-21 Nitto Denko Corp 粘着型ポリカーボネート系光学補償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2050019A1 (ja) 2010-10-13 2012-04-1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前面板付き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前面板付き液晶表示装置
JP2013022920A (ja) 2011-07-25 2013-02-04 Lintec Corp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電子部材
JP2016066074A (ja) 2014-09-19 2016-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5735B2 (ja) * 2001-08-10 2011-08-24 三菱樹脂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用基材
JP4800247B2 (ja) * 2002-06-17 2011-10-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封止用接着剤、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封止用粘着テープ、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封止用両面粘着テープ、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封止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177077B2 (ja) * 2002-10-25 2008-11-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補償板、それを用いた光学補償層付偏光板、前記光学補償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6235571A (ja) * 2005-01-28 2006-09-07 Victor Co Of Japan Ltd 投射型表示装置
JP4905799B2 (ja) * 2006-05-23 2012-03-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282020A (ja) * 2008-05-12 2008-11-20 Nitto Denko Corp 光学補償板、それを用いた光学補償層付偏光板、前記光学補償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CN103930503B (zh) * 2011-11-14 2017-12-12 Lg化学株式会社 粘合膜
JP2014043546A (ja) * 2012-07-31 2014-03-13 Nitto Denko Corp 放射線硬化型粘着剤層及び放射線硬化型粘着シート
CN104938025A (zh) * 2013-03-08 2015-09-23 富士胶片株式会社 有机el层叠体
JP6332268B2 (ja) * 2013-04-19 2018-05-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ラス積層体
JP2015202620A (ja) * 2014-04-14 2015-11-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1773A (ja) 2005-02-10 2006-09-21 Nitto Denko Corp 粘着型ポリカーボネート系光学補償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2050019A1 (ja) 2010-10-13 2012-04-1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前面板付き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前面板付き液晶表示装置
JP2013022920A (ja) 2011-07-25 2013-02-04 Lintec Corp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電子部材
JP2016066074A (ja) 2014-09-19 2016-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07128A (zh) 2018-03-01
SG11201809771SA (en) 2018-12-28
CN109121431A (zh) 2019-01-01
TWI744308B (zh) 2021-11-01
CN109121431B (zh) 2021-07-30
KR20190005836A (ko) 2019-01-16
WO2017195506A1 (ja) 2017-11-16
JP2017203835A (ja) 2017-11-16
JP6940930B2 (ja)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860B1 (ko)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339532B1 (ko)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고무계 점착제층, 점착 필름, 고무계 점착제층을 구비한 광학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US10613263B2 (en) Circular polarization plate for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JP4803035B2 (ja)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EP3324706B1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or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JP6905343B2 (ja) 粘接着剤層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積層体、及び有機el表示装置
JPWO2019003679A1 (ja) 偏光板
TW201423172A (zh) 積層體及其製造方法、相位差薄膜、偏光板及ips液晶面板
KR102580624B1 (ko)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고무계 점착제층, 고무계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광학 부재, 화상 표시 장치 및 고무계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JP2003232930A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80431A1 (ja) 有機el表示装置用円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6777399B2 (ja) 光硬化性接着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積層光学部材
JP7240938B2 (ja) 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WO2020218060A1 (ja) 硬化性組成物、硬化物層、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2041637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WO2017110913A1 (ja) ゴム系粘着剤組成物、ゴム系粘着剤層、ゴム系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及びゴム系粘着剤層の製造方法
WO2020218061A1 (ja) 硬化性組成物、硬化物層、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7096066B2 (ja) 偏光板
JP2023073124A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該位相差層付偏光板を含む画像表示装置
KR20230152587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22041639A (ja)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