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909B1 - 외장 구조 - Google Patents

외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909B1
KR102329909B1 KR1020160099938A KR20160099938A KR102329909B1 KR 102329909 B1 KR102329909 B1 KR 102329909B1 KR 1020160099938 A KR1020160099938 A KR 1020160099938A KR 20160099938 A KR20160099938 A KR 20160099938A KR 102329909 B1 KR102329909 B1 KR 102329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late
horizontal direction
joint
decorative
join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837A (ko
Inventor
요시오 오치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2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7Outer coverings for walls with ventil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6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rabbets, e.g. being step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30Dovetail-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과제] 간소한 구성에 의해 빗물에 의한 단열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외벽의 외관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외장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외장 구조는, 각 화장판(2)에서의 수평 방향의 일단부(2L) 및 타단부(2R)에 형성된 바깥쪽 좌우 접합부(21) 및 안쪽 좌우 접합부(22)와, 각 화장판에서의 하단부(2D) 및 상단부(2U)에 형성된 바깥쪽 상하 접합부(23) 및 안쪽 상하 접합부(24)와, 바깥쪽 좌우 접합부(21)와 안쪽 좌우 접합부(22)가 서로 겹침으로써, 수평 방항에 인접하는 화장판(2)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좌우 접합부(26)와, 바깥쪽 상하 접합부(23)와 안쪽 상하 접합부가 서로 겹침으로써,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화장판(2)끼리 사이에 형성된 상하 접합부(25)를 구비한다.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적어도 4장의 화장판(2)에서, 각 좌우 접합부(26)는 수직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속한 접합 영역(E1)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외장 구조{EXTERIOR STRUCTURE}
본 발명은 건물의 외장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내지 3에 종래의 외장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외장 구조는 구조체와, 단열재와, 복수의 지지 부재와, 복수의 사변형상의 화장판을 구비하고 있다. 구조체는 예를 들어 철근 콘크리트나 벽돌 등으로 만들어지며,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고 있다. 단열재 및 각 지지 부재는 구조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화장판은 단열재 및 각 지지 부재보다도 구조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인접하도록 각 지지 부재에 부착되어 있다. 각 화장판은 구조체, 단열재 및 각 지지 부재를 덮음으로써 외벽을 장식한다. 각 화장판의 사변을 구성하는 상하 좌우의 각 단부에는 화장판의 표면 및 이면과 직교하는 평탄한 단면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USP8667763 특허문헌 2: US2010/0325997 특허문헌 3: US2015/0096251
그런데, 각 외장 구조에서는 인접하는 화장판끼리의 단면과 단면이 단순히 맞대어져 있을 뿐이지, 인접하는 화장판끼리의 사이에 틈이 발생한다. 이 점,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외장 구조에서는 단열재와 각 화장판 사이에 통기를 위한 틈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외장 구조에서는 수평 방향에 인접하는 화장판끼리의 틈의 뒤쪽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각 외장 구조에서는 인접하는 화장판끼리의 틈으로부터 빗물이 들어오고, 단열재에 빗물이 스며듦으로써 단열재가 열화될 우려가 있다. 이 점,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외장 구조에서는 통기를 위한 틈을 넓게 하거나, 단열재의 표면에 방수 시트를 부설하거나 함으로써, 단열재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외장 구조에서는 수평 방향에 인접하는 화장판끼리의 틈으로부터 침입한 빗물을 통로를 타고 아래쪽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단열재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지만, 통로의 구조가 복잡화되기 쉽다.
또한, 각 외장 구조에서는 인접하는 화장판끼리의 틈을 개재하여, 구조체, 단열재 및 각 지지 부재의 일부가 보일 우려가 있어, 외벽의 외관 품위가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소한 구성에 의해 빗물에 의한 단열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외벽의 외관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외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외장 구조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의 외측에 배치된 단열재와,
상기 구조체의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 부재와,
상기 단열재 및 상기 각 지지 부재보다도 상기 구조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부착되는 복수의 사변형상의 화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각 화장판이 상기 구조체, 상기 단열재 및 상기 각 지지 부재를 덮는 외장 구조로서,
상기 각 화장판에서의 수평 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장판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깥쪽 좌우 접합부와,
상기 각 화장판에서의 수평 방향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장판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 좌우 접합부와,
상기 각 화장판에서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장판의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표면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깥쪽 상하 접합부와,
상기 각 화장판에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장판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 상하 접합부와,
상기 바깥쪽 좌우 접합부와 상기 안쪽 좌우 접합부가 서로 겹침으로써, 수평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화장판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좌우 접합부와,
상기 바깥쪽 상하 접합부와 상기 안쪽 상하 접합부가 서로 겹침으로써,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화장판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상하 접합부를 구비하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적어도 4장의 상기 화장판에 있어서, 상기 각 좌우 접합부는 수직 방향에 직선상으로 연속한 접합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장 구조에서는, 각 화장판은 바깥쪽 좌우 접합부, 안쪽 좌우 접합부, 바깥쪽 상하 접합부 및 안쪽 상하 접합부를 구비한다. 소위 「사방 반턱쪽매 이음 구조」인 판재이며, 바깥쪽 좌우 접합부, 안쪽 좌우 접합부, 바깥쪽 상하 접합부 및 안쪽 상하 접합부가 서로 겹쳐 형성되는 좌우 접합부 및 상하 접합부에 의해, 인접하는 화장판끼리의 틈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바깥쪽 좌우 접합부와 안쪽 좌우 접합부가 서로 겹치고, 바깥쪽 상하 접합부와 안쪽 상하 접합부가 서로 겹침으로써, 빗물이 화장판의 표면측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단열재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적어도 4장의 화장판에 있어서, 각 좌우 접합부는 수직 방향에 직선상으로 연속한 접합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빗물이 좌우 접합부를 개재하여 화장판의 이면측에 침입하는 경우에, 빗물이 그 간소한 접합 영역을 타고 아래쪽으로 배출되므로, 단열재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고, 또한, 화장판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단열재와 각 화장판 사이에 마련되는 통기를 위한 간격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장 구조에서는 간소한 구성에 의해 빗물에 의한 단열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외벽의 외관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단열재와 각 화장판 사이에 마련되는 통기를 위한 간격을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건물의 구조를 불필요하게 크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단열재의 표면에 방수 시트를 부설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로서, 외장 구조는 지지 부재에 형성되고,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한쪽 측에 위치하는 화장판의 상하 접합부와,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다른쪽 측에 위치하는 화장판의 상하 접합부를 화장판에 덮여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화장판을 지지구에 의해 지지 부재에 확실히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지지구가 화장판의 표면측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벽의 외관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3 형태로서, 지지구는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한쪽 측에 이간되어 배치되는 제 1 계지부와,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다른쪽 측에 이간되어 배치되는 제 2 계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계지부는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한쪽 측에 위치하는 화장판의 상하 접합부를 지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계지부는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다른쪽 측에 위치하는 화장판의 상하 접합부를 지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구의 제 1 계지부와 제 2 계지부가 접합 영역을 가로지르지 않는다. 따라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빗물이 좌우 접합부를 개재하여 화장판의 이면측에 침입하는 경우에, 빗물의 아래쪽으로의 흐름이 지지구에 막히거나, 지지구에서 빗물이 정체되거나 하지 않고, 접합 영역을 타고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단열재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고, 또한, 화장판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4 형태로서, 지지 부재는 화장판의 이면측에서 접합 영역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세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좌우 접합부를 개재하여 화장판의 이면측에 침입하는 빗물은 접합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는 세로 지지 부재에 가로막혀서, 단열재로 스며드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그 빗물은 접합 영역뿐 아니라, 세로 지지 부재를 타고 내려오는 것에 의해서도 아래쪽으로 배출되므로, 단열재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고, 또한, 화장판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5 형태로서, 세로 지지 부재는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한쪽 측에 이간되는 위치에서 화장판을 향하여 돌출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볼록부와,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다른쪽 측에 이간되는 위치에서 화장판을 향하여 돌출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볼록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세로 지지 부재를 타고 내려오는 빗물은 제 1 볼록부와 제 2 볼록부에 의해 옆쪽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하향으로 안내되므로, 단열재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다. 또한, 화장판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6 형태로서, 상하 접합부의 수직 방향의 길이는 좌우 접합부의 수평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 외장 구조에서는 빗물이 상하 접합부를 개재하여 화장판의 이면측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단열재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고, 또한, 화장판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7 형태로서, 화장판은 시멘트를 포함하는 요업계재이며, 지지 부재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 외장 구조에서는 화장판이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요업계재이므로, 금속제의 지지 부재를 사용해도 지지 부재가 부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장 구조에서는 간소한 구성에 의해 빗물에 의한 단열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외벽의 외관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외장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화장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것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화장판끼리의 접합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것으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화장판의 부착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것으로, 4장의 화장판과 지지구의 상대 위치 관계를 나나태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것으로, 지지구를 사용한 화장판의 부착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요부(要部)를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에 따른 것으로, 지지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G-G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H-H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I-I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1에 따른 것으로, 지지구와 화장판의 위치 맞춤 방법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E-E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1의 F-F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1에 따른 각 좌우 접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2의 외장 구조에 따른 것으로, 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3의 외장 구조에 따른 것으로, 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3에 따른 것으로, 4장의 화장판과 지지구의 상대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J-J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4의 외장 구조에 따른 것으로, 세로 지지 부재의 제 1, 제 2 볼록부를 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5는 실시예 4에 따른 것으로, 세로 지지 부재의 제 1, 2 볼록부를 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 내지 4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수직 방향의 상측을 상(위)으로 표시하고, 수직 방향의 하측을 하(아래)로 표시하고, 건물의 외측 방향을 옥외로 표시하고, 건물의 내측 방향을 옥내로 표시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옥외로부터 벽면(8F)에 대면한 상태에서의 수평 방향의 좌측을 좌(왼)로 표시하고, 옥외로부터 벽면(8F)에 대면한 상태에서의 수평 방향의 우측을 우(오른)로 표시한다. 그리고, 도 2 이후의 각 도면에 도시한 각 방향은 도 1에 대응시켜서 표시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외장 구조는 본 발명의 외장 구조의 구체적 형태의 일례이다. 이 외장 구조는 주택, 시설, 창고 등인 건물의 외벽(9)을 외장함으로써, 외관 품위나 단열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외장 구조는 구조체(8), 단열재(7), 방수 시트(6), 복수의 지지 부재(5), 복수의 지지구(10) 및 복수의 화장판(2)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도 6,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8)는, 본 실시예에서는,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것이나 벽돌로 만들어진 것 등의 강고한 골조이다. 또한, 구조체(8)는 예를 들어 철근이나 목조 등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도 좋다. 구조체(8)는 건물의 외벽(9)을 구성하며, 옥외와 옥내를 구획하고 있다. 구조체(8)의 옥외 방향을 향한 벽면(8F)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8F)은 건물의 외형상에 맞춰 굴곡되어 있다.
도 1, 도 6,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7)는 벽면(8F)을 옥외에서 덮도록 구조체(8)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단열재(7)는 본 실시예에서는 록 울(rock wool)이다. 또한, 단열재(7)는 예를 들어 글래스 울(glass wool) 등의 섬유계 단열재나, 경질 우레탄 폼 등의 발포계 단열재 등이라도 좋다.
도 1,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시트(6)는 단열재(7)를 옥외에서 덮도록 단열재(7)의 표면을 따라 부설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수 시트(6)는 필름계의 시트이다. 또한, 방수 시트(6)는 부직포계의 시트 등이라도 좋고, 방수성 외에 투습성을 갖춘 시트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외장 구조에서는, 방수 시트는 필수가 아니고, 본 실시예의 방수 시트(6)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8F)의 하단부에는 상방으로부터 흘러온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물빠짐판(6A)이 고정 나사(6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나사(6B)는 물빠짐판(6A)을 벽면(8)에 고정하는 부착구의 일례로서, 고정 나사(6B) 대신에 리벳(rivet)이나 못 등을 사용해도 좋다. 물빠짐판(6A)은 좌우 방향으로 길다란 판재가 절곡(折曲) 가공되어 이루어진다. 물빠짐판(6A)은 고정 나사(6B)보다도 아래쪽의 위치에서 굴곡되어, 옥외 방향을 향해 내리막 경사진 후, 재차 굴곡되어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6에서는 물빠짐판(6A)의 우측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물빠짐판(6A)은 벽면(8F)을 따라 오른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도 6,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5)로서는 형상, 크기, 길이 등이 다른 복수 종류의 부재가 적절히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5)는 알루미늄이나 철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 부재(5)의 재질은 금속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경질 플라스틱이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수지계 재료나, 목재 등이 적절히 선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5)에는 브래킷(bracket)(57), 가로 지지 부재(53), 세로 지지 부재(50) 및 하단 지지 부재(55)가 포함되어 있다. 브래킷(57), 가로 지지 부재(53), 세로 지지 부재(50) 및 하단 지지 부재(55)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압출형재가 소정 길이로 절단되거나, 강판이 타발(打拔; blanking) 가공이나 절곡(bending) 가공되거나 해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6에서는 가로 지지 부재(53) 및 하단 지지 부재(55)의 우측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가로 지지 부재(53) 및 하단 지지 부재(55)는 벽면(8F)을 따라 오른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세로 지지 부재(50)의 상측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세로 지지 부재(50)는 벽면(8F)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57)은 판재가 단면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 가공되어 이루어진다. 복수의 브래킷(57)은 앵커 볼트(57B)에 의해 벽면(8F)의 여러 곳에 고정된다. 그 후, 단열재(7) 및 방수 시트(6)가 벽면(8F)에 부설되면, 브래킷(57)의 선단부(57A)는 단열재(7) 및 방수 시트(6)를 관통하여, 옥외 방향을 향해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앵커 볼트(57B)는 브래킷(57)을 벽면(8F)에 고정하는 부착구의 일례로서, 앵커 볼트(57B) 대신에 고정 나사나 못 등을 사용해도 좋다.
도 1, 도 6,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지지 부재(53)는 좌우 방향으로 길다란 단면 L형의 형재(型材)이다. 복수의 가로 지지 부재(53)가 단열재(7) 및 방수 시트(6)보다도 구조체(8)의 외측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되어 있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지지 부재(53)는 수직 방향에서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브래킷(57)의 선단부(57A)에 고정 나사(53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나사(53B)는 가로 지지 부재(53)를 브래킷(57)의 선단부(57A)에 고정하는 부착구의 일례로서, 고정 나사(53B) 대신에 리벳이나 볼트 및 너트 등을 사용해도 좋다.
도 1, 도 6,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지지 부재(50)는 수직 방향으로 길다란 모자 형상(hat-shaped)의 형재이다. 복수의 세로 지지 부재(50)가 단열재(7) 및 방수 시트(6)보다도 구조체(8)의 외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되어 있다.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지지 부재(50)는 복수의 가로 지지 부재(53)에 고정 나사(50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나사(50B)는 세로 지지 부재(50)를 가로 지지 부재(53)에 고정하는 부착구의 일례로서, 고정 나사(50B) 대신에 리벳이나 볼트 및 너트 등을 사용해도 좋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 지지 부재(55)는 좌우 방향으로 길다란 판재가 단면 대략 J자 형상으로 절곡 가공되어 이루어진다. 하단 지지 부재(55)는 복수의 세로 지지 부재(50)의 하단부에 고정 나사(55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나사(55B)는 하단 지지 부재(55)를 세로 지지 부재(50)에 고정하는 부착구의 일례로서, 고정 나사(55B) 대신에 리벳이나 볼트 및 너트 등을 사용해도 좋다. 하단 지지 부재(55)의 하단부는 옥외 방향을 향해 굴곡한 후,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가로 지지 부재(53), 세로 지지 부재(50) 및 하단 지지 부재(55)는 단열재(7) 및 방수 시트보다도 구조체(8)의 외측에 배치되어, 격자상으로 조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지지구(10)는 복수의 세로 지지 부재(50)의 각각에 복수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각 지지구(10)는 복수의 화장판(2)을 각 세로 지지 부재(50)에 부착할 때에, 각 세로 지지 부재(50)에서의 각 화장판(2)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도 1에서는 가장 아래쪽의 2장의 화장판(2)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된 각 지지구(10)에 대해서는 실선으로 도시한다. 그 한편으로, 아직 부착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화장판(2)에 대응하는 각 지지구(10)가 각 세로 지지 부재(50)에 고정되는 위치(P10)를 2점 쇄선의 원으로 둘러싸서 도시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지지구(10)는 좌우 방향 및 수직 방향에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간되어 고정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지지구(10)는 각 세로 지지 부재(50)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 나사(10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나사(10B)는 지지구(10)를 세로 지지 부재(50)에 고정하는 부착구의 일례로서, 고정 나사(10B) 대신에 리벳이나 볼트 및 너트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지지 부재(5)에 있어서, 예를 들어, 세로 지지 부재(50)를 생략하고, 각 지지구(10)를 복수의 가로 지지 부재(53) 각각에 복수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 부재(5)에 있어서, 세로 지지 부재(50) 및 가로 지지 부재(53)를 생략하고, 각 지지구(10)를 복수의 브래킷(57)의 선단부(57A)에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구(1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지지구(10)의 자세에 대하여, 지지구(10)가 세로 지지 부재(50)에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구(10)는 철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판재가 타발 가공이나 절곡 가공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구(10)의 재질이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재료나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지지구(10)는 기판부(16), 횡 변위 방지부(lateral-displacement stopper portion)(19), 제 1 계지부(11), 제 2 계지부(12), 제 1 씰 유지부(13) 및 제 2 씰 유지부(14)를 갖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부(16)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부(16)의 상단부는 굴곡되어 옥내 방향을 향해 오르막 경사지도록 연장된 후, 더 굴곡되어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판부(16)의 하단부는 굴곡되어 옥내 방향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후, 더 굴곡되어 하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부(16)의 하단부에서의 우측 부분은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된 부분의 좌단 가장자리에 횡 변위 방지부(19)가 형성되어 있다. 횡 변위 방지부(19)는 옥외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편(片)이다. 횡 변위 방지부(19)는 화장판(2)이 부착된 후에 좌우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기판부(16)에서의 수직 방향의 중간부에는 부착 오목부(17)가 옥내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착 오목부(17)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부착 오목부(17)의 바닥부에 3개의 부착 구멍(17H)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관통 설치되어 있다. 도 9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 구멍(16H)에는 고정 나사(10B)가 삽통(揷通)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 변위 방지부(19)는 한가운데의 부착 구멍(16H)보다도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계지부(11), 제 2 계지부(12), 제 1 씰 유지부(13) 및 제 2 씰 유지부(14)는 각각 기판부(16)에서의 부착 오목부(17)보다도 아래쪽의 위치로부터 옥외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계지부(11), 제 2 계지부(12), 제 1 씰 유지부(13) 및 제 2 씰 유지부(14)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제 1 씰 유지부(13)는 한가운데의 부착 구멍(16H)보다도 왼쪽에 위치해 있다. 제 1 계지부(11)는 제 1 씰 유지부(13)보다도 왼쪽에 위치해 있다. 제 2 씰 유지부(14)는 한가운데의 부착 구멍(16H) 및 횡 변위 방지부(19)보다도 오른쪽에 위치해 있다. 제 2 계지부(12)는 제 2 씰 유지부(14)보다도 오른쪽에 위치해 있다.
도 13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계지부(11)는 측면에서 본 경우에 기판부(16)로부터 옥외 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그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선단에 정점(頂点)이 접속하고, 바닥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등변 삼각형상의 부분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2 계지부(12)의 단면 형상은 도 13에 도시하는 제 1 계지부(1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다.
도 14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씰 유지부(13)는 측면에서 본 경우에 기판부(16)로부터 옥외 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한 후, 굴곡되어 내리막 경사지고, 더 굴곡되어 상향으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2 씰 유지부(14)의 단면 형상은 도 14에 도시한 제 1 씰 유지부(13)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다.
도 13, 도 14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씰 유지부(13) 및 제 2 씰 유지부(14)는 각각 씰재(18)를 유지하고 있다. 씰재(18)는 제 1 씰 유지부(13) 및 제 2 씰 유지부(14)를 옥외에서 덮으면서 위쪽으로 연장된 후, 제 1 씰 유지부(13) 및 제 2 씰 유지부(14)를 따라 하향으로 연장되고, 옥내 방향을 향해 더욱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씰재(18)는 발포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제의 소편(小片)이다. 또한, 씰재(18)의 재질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압축 변형되기 쉬운 재료가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외장 구조에서는, 씰재는 필수가 아니고, 본 실시예의 씰재(18), 제 1 씰 유지부(13) 및 제 2 씰 유지부(14)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계지부(11)가 기판부(16)로부터 옥외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길이를 L11로 한다. 제 2 계지부(12)가 기판부(16)로부터 옥외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길이는 길이 L11과 같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씰 유지부(13)가 기판부(16)로부터 옥외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길이를 L13으로 한다. 제 2 씰 유지부(14)가 기판부(16)로부터 옥외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길이는 길이 L13과 같다. 길이 L13은 씰재(18)가 압축 변형한 후의 두께를 고려하여, 길이 L11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장판(2)은 사변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판(2)은 시멘트를 포함하는 요업계 재료이다. 또한, 화장판(2)의 재질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금속계재, 목질계재, 수지계재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장판(2)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에서, 단열재(7), 방수 시트(6), 브래킷(57)의 선단부(57A), 가로 지지 부재(53), 세로 지지 부재(50), 하단 지지 부재(55) 및 지지구(10)보다도 구조체(8)의 외측에 배치되어, 그것들을 덮고 있다. 우선, 각 화장판(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 후, 각 화장판(2)이 각 지지구(10) 및 각 지지 부재(5)에 지지되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화장판(2)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판상의 부재이다. 화장판(2)의 표면(2F)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벽돌무늬 등의 화장면으로 되어 있다. 화장판(2)에서의 좌단부(2L)에는 바깥쪽 좌우 접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좌단부(2L)는 「각 화장판에서의 수평 방향의 일단부」의 일례이다. 각 화장판(2)에서의 우단부(2R)에는 안쪽 좌우 접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우단부(2R)는 「각 화장판에서의 수평 방향의 타단부」의 일례이다. 각 화장판(2)에서의 하단부(2D)에는 바깥쪽 상하 접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각 화장판(2)에서의 상단부(2U)에는 안쪽 상하 접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좌우 접합부(21)는 화장판(2)의 이면(2B)에서 표면(2F)을 향해 단상(段狀)으로 움푹 패이고, 수직 방향, 즉, 좌단부(2L)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안쪽 좌우 접합부(22)는 화장판(2)의 표면(2F)으로부터 이면(2B)을 향해 단 상으로 움푹 패이고, 수직 방향, 즉, 우단부(2R)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안쪽 좌우 접합부(22)에서의 옥외 방향을 향하는 평탄면에는 코킹(22S)이 형성되어 있다. 코킹(22S)은 안쪽 좌우 접합부(22)를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장 구조에서는 코킹은 필수가 아니고, 본 실시예의 코킹(22S)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상하 접합부(23)는 화장판(2)의 이면(2B)으로부터 표면(2F)을 향해 단상으로 움푹 패이고, 좌우 방향, 즉, 하단부(2D)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바깥쪽 상하 접합부(23)에는 상향으로 대략 테이퍼형상으로 움푹 패인 계합 오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안쪽 상하 접합부(24)는 화장판의 표면(2F)으로부터 이면(2B)을 향해 단상으로 움푹 패이고, 좌우 방향, 즉, 상단부(2U)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안쪽 상하 접합부(24)에서의 옥외 방향을 향하는 평탄면에는 코킹(24S)이 형성되어 있다. 코킹(24S)은 안쪽 상하 접합부(24)를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장 구조에서는, 코킹은 필수가 아니고, 본 실시예의 코킹(24S)을 생략할 수도 있다. 안쪽 상하 접합부(24)에는 코킹(24S)보다도 위쪽서 상향으로 대략 테이퍼 형상으로 돌출되는 계합 볼록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1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좌우 접합부(21)와 안쪽 좌우 접합부(22)가 서로 겹침으로써, 수평 방향에 인접하는 화장판(2)끼리의 사이에 좌우 접합부(26)가 형성된다. 도 8,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상하 접합부(23)와 안쪽 상하 접합부(24)가 서로 겹침으로써,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화장판(2)끼리의 사이에 상하 접합부(25)가 형성된다. 즉, 각 화장판(2)은 바깥쪽 좌우 접합부(21), 안쪽 좌우 접합부(22), 바깥쪽 상하 접합부(23) 및 안쪽 상하 접합부(24)를 구비하는, 소위 「사방 반턱쪽매 이음 구조」인 판재이며, 바깥쪽 좌우 접합부(21), 안쪽 좌우 접합부(22), 바깥쪽 상하 접합부(23) 및 안쪽 상하 접합부(24)가 서로 겹쳐서 좌우 접합부(26) 및 상하 접합부(25)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접합부(25)의 수직 방향의 길이 L25는 좌우 접합부(26)의 수평 방향의 길이 L26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인 각 화장판(2)은 이하와 같이 하여 각 지지구(10) 및 각 지지 부재(5)에 지지된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벽면(8F)의 가장 아래쪽의 위치에 복수의 화장판(2)을 좌우 방향으로 인접시킨 상태에서 부착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화장판(2)에서의 하단부(2D)는 바깥쪽 상하 접합부(23)의 계합 오목부(23A)에 하단 지지 부재(55)의 하단부가 아래쪽으로부터 감입(嵌入; 박아넣음)함으로써, 각 지지 부재(5)에 지지된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화장판(2)의 좌우 접합부(26)에 지지구(10)의 횡 변위 방지부(19)를 각 화장판(2)의 상단부(2U)측 및 이면(2B)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구(1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고정 나사(10B)에 의해 지지구(10)를 세로 지지 부재(50)에 고정한다. 이로써, 이들 화장판(2)에서의 안쪽 상하 접합부(24)의 계합 볼록부(24A)에 대하여, 지지구(10)의 제 1 계지부(11) 및 제 2 계지부(12)가 위쪽으로부터 계합한다.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8F)의 가장 아래쪽에 부착된 각 화장판(2)의 위쪽에 복수의 화장판(2)을 좌우 방향에 인접시킨 상태에서 부착한다. 이때,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화장판(2)에서의 하단부(2D)는 바깥쪽 상하 접합부(23)의 계합 오목부(23A)에 지지구(110)의 제 1 계지부(11) 및 제 2 계지부(12)가 아래쪽으로부터 감입함으로써 각 지지 부재(5)에 지지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화장판(2)에서의 바깥쪽 상하 접합부(23)의 계합 오목부(23A)에 대하여, 지지구(10)의 제 1 씰 유지부(13) 및 제 2 씰 유지부(14)에 지지된 씰재(18)가 당접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들 화장판(2)에서의 상단부(2U)는 별도의 지지구(10)에 의해, 상술한 수순으로 각 지지 부재(5)에 지지된다. 이러한 작업을 다른 화장판(2)에 대해서도 실시함으로써, 각 화장판(2)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상태에서 각 지지구(10) 및 각 지지 부재(5)에 부착되어 벽면(8F) 전체를 덮는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늘어선 임의의 2개의 지지구(10) 사이에 추가적으로 다른 지지구를 배치하여,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화장판(2)끼리의 상하 접합부(25)를 보다 강고히 지지시켜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7) 및 방수 시트(6)와, 각 화장판(2)의 이면(2B)과의 사이에 통기를 위한 틈(S1)이 확보되어 있다. 통기를 위한 틈(S1)은 외벽(9)의 설치 상황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예를 들어, 통기를 위한 틈(S1)은 통기성 확보의 관점에서는 7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외국의 사정에 따라서는 40mm 정도 확보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기를 위한 틈(S1)은 15mm 이상 확보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장 구조에서는 통기를 위한 틈은 필수가 아니며, 본 실시예의 통기를 위한 틈(S1)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1, 도 16,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적어도 4장의 화장판(2)에 있어서, 각 좌우 접합부(26)는 수직 방향에 직선상으로 연속한 접합 영역(E1)을 형성하고 있다. 접합 영역(E1)은 바깥쪽 좌우 접합부(21)와 안쪽 좌우 접합부(22)가 당접함으로써 형성되는 극히 좁은 틈이다. 접합 영역(E1)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에서 보아 대략 크랭크(crank)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서는 접합 영역(E1)의 두께를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9 및 도 1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계지부(11)와, 제 1 씰 유지부(13)와, 제 1 씰 유지부(13)에 유지된 씰재(18)는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왼쪽으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 1 계지부(11)는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왼쪽에 위치하는 화장판(2)의 상하 접합부(25)를 지지하고 있다.
제 2 계지부(12)와, 제 2 씰 유지부(14)와, 제 2 씰 유지부(14)에 유지된 실재(18)는,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 2 계지부(12)는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오른쪽에 위치하는 화장판(2)의 상하 접합부(25)를 지지하고 있다.
즉, 지지구(10)의 제 1 계지부(11), 제 2 계지부(12), 제 1 씰 유지부(13) 및 제 2 씰 유지부(14)와, 제 1 씰 유지부(13) 및 제 2 씰 유지부(14)에 각각 지지된 씰재(18)는 좌우 방향에서 접합 영역(E1)을 가로지르지 않는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지지 부재(50)는 화장판(2)의 이면(2B)측에서 접합 영역(E1)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작용 효과>
실시예 1의 외장 구조에서는,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장판(2)은 바깥쪽 좌우 접합부(21), 안쪽 좌우 접합부(22), 바깥쪽 상하 접합부(23) 및 안쪽 상하 접합부(24)를 구비하는, 소위 「사방 반턱쪽매 이음 구조」인 판재이며, 바깥쪽 좌우 접합부(21), 안쪽 좌우 접합부(22), 바깥쪽 상하 접합부(23) 및 안쪽 상하 접합부(24)가 서로 겹쳐서 형성되는 좌우 접합부(26) 및 상하 접합부(25)에 의해, 인접하는 화장판(2)끼리의 틈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도 8, 도 11 및 도 17 내지 도 19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좌우 접합부(21)와 안쪽 좌우 접합부(22)가 서로 겹치고, 바깥쪽 상하 접합부(23)와 안쪽 상하 접합부(24)가 서로 겹침으로써, 빗물이 화장판(2)의 이면(2B)측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로 겹침에 개재하는 코킹(22S, 24S)에 의해서도, 빗물이 화장판(2)의 이면(2B)측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단열재(7)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도 8 내지 도 11, 도 16,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적어도 4장의 화장판(2)에 있어서, 각 좌우 접합부(26)는 수직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속한 접합 영역(E1)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빗물이 좌우 접합부(26)를 개재하여 화장판(2)의 이면(2B)측에 침입할 경우에, 도 18 및 도 19에 화살표(Y1)로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이 그 간소한 접합 영역 E1을 타고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또한, 접합 영역(E1)으로부터 상하 접합부(25)에 빗물이 침입할 것 같이 되어도, 씰재(18)에 의해 그 빗물의 침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단열재(7)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고, 또한, 화장판(2)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외장 구조에서는 단열재(7)와 각 화장판(2) 사이에 마련되는 통기를 위한 틈(S1)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외장 구조에서는 간소한 구성에 의해 빗물에 의한 단열재(7)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외벽(9)의 외관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통기를 위한 틈(S1)을 적합하게 조절함으로써, 건물의 구조를 불필요하게 크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단열재(7)의 표면에 방수 시트(6)를 부설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지지구(10)에 의해, 도 9 내지 도 11,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장판(2)을 각 지지 부재(5)에 확실히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지지구(10)가 화장판(2)의 표면(2F)측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벽(9)의 외관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도 9 및 도 1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구(10)의 제 1 계지부(11)와 제 2 계지부(12)가 좌우 방향에서 접합 영역(E1)을 가로지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외장 구조에서는, 빗물이 좌우 접합부(26)를 개재하여 화장판(2)의 이면(2B)측에 침입할 경우에, 도 18 및 도 19에 화살표 Y1로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의 아래쪽으로의 흐름이 지지구(10)에 막히거나, 지지구(10)에서 빗물이 정체되거나 하지 않고, 접합 영역(E1)을 타고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단열재(7)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고, 또한, 화장판(2)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래쪽으로 흐른 빗물은 물빠짐판(6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지지 부재(50)는 화장판(2)의 이면(2B)측에서 접합 영역(E1)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좌우 접합부(26)를 개재하여 화장판(2)의 이면(2B)측에 침입하는 빗물은 접합 영역(E1)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세로 지지 부재(50)에 막혀서, 단열재(7)로 스며드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그 빗물은 접합 영역(E1)뿐 아니라, 세로 지지 부재(50)를 타고도 아래쪽으로 배출되므로, 단열재(7)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고, 또한, 화장판(2)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접합부(25)의 수직 방향의 길이(L25)는 좌우 접합부(26)의 수평 방향의 길이(L26)보다도 길다. 따라서, 이 외장 구조에서는 빗물이 상하 접합부(25)를 개재하여 화장판(2)의 이면(2B)측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단열재(7)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고, 또한, 화장판(2)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화장판(2)이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요업계재이므로, 금속제의 지지 부재(5)를 사용해도, 지지 부재(5)가 부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외장 구조는 실시예 1의 외장 구조에서의 지지구(10) 대신에 지지구(210)를 채용하고 있다. 실시예 2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기재한다.
지지구(210)의 재질이나 제조 방법은 실시예 1에 따른 지지구(10)와 동일하다. 지지구(210)는 기판부(216), 제 1 계지부(211) 및 제 2 계지부(212)를 갖고 있다. 그 한편으로, 지지구(210)는 실시예 1에 따른 지지구(10)의 제 1 씰 유지부(13), 제 2 씰 유지부(14) 및 횡 변위 방지부(19)에 상당하는 것을 갖고 있지 않고, 실시예 1에 따른 씰재(18)에 상당하는 것도 유지하고 있지 않다.
제 1 계지부(211)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기판부(216)의 좌측 부분이 굴곡됨으로써 옥외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 1 계지부(211)의 선단측에는 상향으로 굴곡되는 소편과, 하향으로 굴곡되는 소편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계지부(212)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기판부(216)의 우측 부분이 굴곡됨으로써 옥외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 2 계지부(212)의 선단측에는 상향으로 굴곡되는 소편과, 하향으로 굴곡되는 소편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계지부(211)와 제 2 계지부(212)는 좌우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고, 쌍방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지지구(210)는 실시예 1에 따른 지지구(10)와 마찬가지로 세로 지지 부재(50)에 부착된다. 그리고, 제 1 계지부(211)는 실시예 1에 따른 지지구(10)의 제 1 계지부(11)와 마찬가지로,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왼쪽으로 이간되어 배치된다. 제 1 계지부(211)는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왼쪽에 위치하는 화장판(2)의 상하 접합부(25)를 지지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2 계지부(212)는 실시예 1에 따른 지지구(10)의 제 2 계지부(12)와 마찬가지로,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이간되어 배치된다. 제 2 계지부는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오른쪽에 위치하는 화장판(2)의 상하 접합부(25)를 지지한다.
즉, 지지구(210)의 제 1 계지부(211) 및 제 2 계지부(212)는 좌우 방향에서 접합 영역(E1)을 가로지르지 않는다. 따라서, 빗물이 좌우 접합부(26)를 통하여 화장판(2)의 이면(2B)측에 침입할 경우에, 그 빗물이 지지구(210)에 막히거나, 지지구(210)에서 빗물이 정체되거나 하지 않고, 접합 영역(E1)을 타고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외장 구조에서는, 실시예 1의 외장 구조와 마찬가지로, 간소한 구성에 의해 빗물에 의한 단열재(7)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외벽(9)의 외관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지지구(210)가 실시예 1에 따른 지지구(10)보다도 간소화되어 있으므로, 부품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2)의 지지구(210)는 횡 변위 방지부(19)에 상당하는 것을 갖고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지지구(210)와는 별개로, 판상의 횡 변위 방지 부재를 인접하는 화장판(2)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외장 구조는 실시예 1의 외장 구조에서의 지지구(10) 대신에 지지구(310)를 채용하고 있다. 실시예 3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기재한다.
지지구(310)의 재질이나 제조 방법은 실시예 1에 따른 지지구(10)와 동일하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구(310)는 기판부(316), 계지부(311)를 갖고 있다. 그 한편으로, 지지구(310)는 실시예 1에 따른 지지구(10)의 제 1 씰 유지부(13), 제 2 씰 유지부(14) 및 횡 변위 방지부(19)에 상당하는 것을 갖고 있지 않고, 실시예 1에 따른 씰재(18)에 상당하는 것도 유지하고 있지 않다.
기판부(316)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되고, 그 중앙부에 부착 구멍(316H)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부착 구멍(316H)에는 도 23에 도시한 부착구로서의 고정 나사(310B)가 삽통된다.
계지부(311)는 기판부(316)에서의 부착 구멍(316H)보다도 아래쪽의 위치로부터 옥외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또한, 기판부(316)의 좌단에서 우단까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311)는 측면에서 본 경우에 기판부(316)로부터 옥외 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그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선단에 정점이 접속하고, 바닥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등변 삼각형상의 부분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지지구(310)는 고정 나사(310B)에 의해 세로 지지 부재(50)에 부착되어 있다. 이때,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구(310)가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왼쪽으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그 지지구(310)의 계지부(311)가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왼쪽에 위치하는 화장판(2)의 상하 접합부(25)를 지지한다. 또한, 또 하나의 지지구(310)가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그 지지구(310)의 계지부(311)가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오른쪽에 위치하는 화장판(2)의 상하 접합부(25)를 지지한다.
즉,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왼쪽으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지지구(310)와,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지지구(310)는 좌우 방향에서 접합 영역(E1)을 가로지르지 않는다. 따라서, 빗물이 좌우 접합부(26)를 개재하여 화장판(2)의 이면(2B)측에 침입할 경우에, 도 23에 화살표 Y1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빗물의 아래쪽으로의 흐름이 각 지지구(310)에 막히거나, 각 지지구(310)에서 빗물이 정체되거나 하지 않고, 접합 영역(E1)을 타고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실시예 3의 외장 구조에서는, 실시예 1, 2의 외장 구조와 마찬가지로, 간소한 구성에 의해 빗물에 의한 단열재(7)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외벽(9)의 외관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장 구조에서는, 지지구(310)가 실시예 1에 따른 지지구(10)보다도 간소화되어 있으므로, 부품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3도 필요에 따라 판상의 횡 변위 방지 부재를 인접하는 화장판(2)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외장 구조는 실시예 1의 외장 구조에서의 세로 지지 부재(50) 대신에 세로 지지 부재(450)를 채용하고 있다. 실시예 4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기재한다.
세로 지지 부재(450)는 실시예 1에 따른 세로 지지 부재(50)에 대하여 단면 형상이 변경되어 있고, 제 1 볼록부(451)와 제 2 볼록부(452)를 갖고 있다. 세로 지지 부재(450)는 실시예 1에 따른 세로 지지 부재(50)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에 의해 가로 지지 부재(53)에 부착되어도 좋다. 또한, 세로 지지 부재(450)에서의 옥외 방향을 향한 부착면(450F)에는 실시예 1에 따른 세로 지지 부재(50)와 마찬가지로, 지지구(10)가 고정 나사(10B)에 의해 부착된다.
제 1 볼록부(451)는 부착면(450A)의 좌단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볼록부(451)는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왼쪽으로 이간되는 위치에서 화장판(2)의 이면(2B)을 향해 돌출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볼록부(451)는 지지구(10)에 대해서도 왼쪽으로 이간되어 있다. 제 1 볼록부(451)의 선단은 화장판(2)의 이면(2B)의 근방에서 우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제 2 볼록부(452)는 부착면(450A)의 좌단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볼록부(452)는 접합 영역(E1)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이간되는 위치에서 화장판(2)의 이면(2B)을 향해 돌출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볼록부(452)는 지지구(10)에 대해서도 오른쪽으로 이간되어 있다. 제 2 볼록부(452)의 선단은 화장판(2)의 이면(2B)의 근방에서 좌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세로 지지 부재(450)의 부착면(450F)은 화장판(2)의 이면(2B)측에서 접합 영역(E1)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 접합부(26)를 개재하여 화장판(2)의 이면(2B)측에 침입하는 빗물은 접합 영역(E1)의 안쪽에 위치하는 부착면(450F)에 가로막혀서, 단열재(7)로 스며드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그 빗물은 부착면(450F)을 타고 내려옴으로써도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이때, 부착면(450F)을 타고 내려오는 빗물은 제 1 볼록부(451)와 제 2 볼록부(452)에 의해 하향으로 안내되고,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비산(飛散)하지 않으므로, 단열재(7)에 빗물이 도달하기 어렵고, 또한, 화장판(2)의 내부에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4의 외장 구조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의 외장 구조와 마찬가지로, 간소한 구성에 의해 빗물에 의한 단열재(7)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외벽(9)의 외관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 1 내지 4에 입각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9: 외벽
8: 구조체
7: 단열재
5: 지지 부재
10, 210, 310: 지지구
50, 450: 세로 지지 부재
2: 화장판
2L: 화장판에서의 수평 방향의 일단부(좌단부)
2R: 화장판에서의 수평 방향의 타단부(우단부)
2U: 화장판에서의 상단부
2D: 화장판에서의 하단부
2F: 화장판의 표면
2B: 화장판의 이면
21: 바깥쪽 좌우 접합부
22: 안쪽 좌우 접합부
23: 바깥쪽 상하 접합부
24: 안쪽 상하 접합부
25: 상하 접합부
26: 좌우 접합부
E1: 접합 영역
11, 211: 제 1 계지부
12, 212: 제 2 계지부
451: 제 1 볼록부
452: 제 2 볼록부
L25: 상하 접합부의 수직 방향의 길이
L26: 좌우 접합부의 수평 방향의 길이

Claims (7)

  1.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의 외측에 배치된 단열재와,
    상기 구조체의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 부재와,
    상기 단열재 및 상기 각 지지 부재보다도 상기 구조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계지부를 갖는 지지구를 통해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부착되는 복수의 사변형상의 화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각 화장판이 상기 구조체, 상기 단열재 및 상기 각 지지 부재를 덮는 외장 구조로서,
    상기 각 화장판에서의 수평 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장판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깥쪽 좌우 접합부와,
    상기 각 화장판에서의 수평 방향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장판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 좌우 접합부와,
    상기 각 화장판에서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장판의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표면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깥쪽 상하 접합부와,
    상기 각 화장판에서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장판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 상하 접합부와,
    상기 바깥쪽 좌우 접합부와 상기 안쪽 좌우 접합부가 서로 겹침으로써, 수평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화장판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좌우 접합부와,
    상기 바깥쪽 상하 접합부와 상기 안쪽 상하 접합부가 서로 겹침으로써,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화장판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상하 접합부를 구비하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적어도 4장의 상기 화장판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상기 계지부가 상기 좌우 접합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상기 화장판을 계지함으로써, 상기 각 좌우 접합부는 상측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2장의 상기 화장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좌우 접합부의 아래쪽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2장의 상기 화장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좌우 접합부의 상단을 향해서, 개재하는 것 없이, 수직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속한 접합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한쪽 측에 위치하는 상기 화장판의 상기 상하 접합부와, 상기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다른쪽 측에 위치하는 상기 화장판의 상기 상하 접합부를 상기 화장판에 덮여진 상태로 지지하고 있는 외장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한쪽 측에 이간되어 배치되는 제 1 계지부와, 상기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다른쪽 측에 이간되어 배치되는 제 2 계지부를 갖고,
    상기 제 1 계지부는 상기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한쪽 측에 위치하는 상기 화장판의 상기 상하 접합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 2 계지부는 상기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다른쪽 측에 위치하는 상기 화장판의 상기 상하 접합부를 지지하고 있는 외장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화장판의 상기 이면측에서 상기 접합 영역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세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외장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 부재는 상기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한쪽 측에 이간되는 위치에서 상기 화장판을 향하여 돌출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볼록부와, 상기 접합 영역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다른쪽 측에 이간되는 위치에서 상기 화장판을 향하여 돌출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볼록부를 갖고 있는 외장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접합부의 수직 방향의 길이는 상기 좌우 접합부의 수평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외장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판은 시멘트를 포함하는 요업계재(窯業系材)이며,
    상기 지지 부재는 금속제인 외장 구조.
KR1020160099938A 2015-09-15 2016-08-05 외장 구조 KR102329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2159 2015-09-15
JP2015182159A JP6283335B2 (ja) 2015-09-15 2015-09-15 外装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837A KR20170032837A (ko) 2017-03-23
KR102329909B1 true KR102329909B1 (ko) 2021-11-24

Family

ID=5712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938A KR102329909B1 (ko) 2015-09-15 2016-08-05 외장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70000B1 (ko)
JP (1) JP6283335B2 (ko)
KR (1) KR102329909B1 (ko)
CN (1) CN106522496B (ko)
AU (1) AU2015230870B2 (ko)
CA (1) CA2905998C (ko)
RU (1) RU269465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2433B2 (ja) * 2015-10-05 2021-09-29 ニチハ株式会社 取付具及び外装構造
TWI681102B (zh) * 2016-03-16 2020-01-01 日商日吉華股份有限公司 壁材的安裝件及壁構造
JP6302114B2 (ja) 2016-03-25 2018-03-28 Thk株式会社 運動案内装置用のキャップ
JP1584602S (ko) * 2017-03-27 2017-08-28
US11156001B2 (en) * 2017-04-10 2021-10-26 II Harold C Attebery System for mechanical attachment of stone veneer to structures
EP3415701A1 (de) * 2017-06-12 2018-12-19 Stöcker, Winfried Abdeckung für eine bauwerkswand mit wenigstens zwei plattenförmigen bauelementen
EP3795773A1 (fr) * 2019-09-20 2021-03-24 Saint-Gobain Isover Patte de fixation pour un ensemble de construction
FR3101086B1 (fr) * 2019-09-20 2021-10-29 Saint Gobain Isover Patte de fixation pour un ensemble de construction
JP2021055525A (ja) * 2019-09-30 2021-04-08 ニチハ株式会社 取付具及び壁構造
JP1679083S (ko) 2020-07-22 2021-02-15
JP1679082S (ko) 2020-07-22 2021-02-15
US11851877B2 (en) 2020-11-17 2023-12-26 Tremco Cpg Inc. Structural insulated finished cladding assemblies
US20230028102A1 (en) * 2020-12-15 2023-01-26 Sekisui House, Ltd. Exterior wall member attachment member, lower end exterior wall member attachment member, and exterior wall member attachment structure
KR102273739B1 (ko) * 2020-12-28 2021-07-06 주식회사 차본 건축용 외장패널 설치용 고정장치 및 외장패널 구조체
WO2022174286A1 (en) * 2021-02-16 2022-08-25 FVA Group Pty Ltd A batten, batten assembly, method of installing a batten assembly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 batt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3796B2 (ja) * 2001-08-28 2004-07-21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942A (ja) 1996-12-26 1998-07-14 Nichiha Corp 水誘導板および外壁構造
CN1043801C (zh) * 1997-04-07 1999-06-23 赵一兴 一种预制外墙外侧保温防渗装饰构件
CN1299262A (zh) * 1998-05-08 2001-06-13 宝洁公司 改善了整体性和收集性能的吸湿用品
JP3921003B2 (ja) 1999-01-22 2007-05-30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金具
JP2000291225A (ja) * 1999-04-02 2000-10-17 Nichiha Corp 外壁板の留め付け金具と該金具を使用した外壁板の横張り留め付け工法
JP3884888B2 (ja) * 1999-09-17 2007-02-21 旭トステム外装株式会社 外装材の取付け構造および横ずれ防止部材
JP3444275B2 (ja) * 2000-06-13 2003-09-08 ニチハ株式会社 シール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外壁施工方法
JP3381710B2 (ja) * 2000-06-30 2003-03-04 ニチハ株式会社 外壁施工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シール金具,外壁板,外壁施工方法
JP2002121880A (ja) * 2000-10-12 2002-04-26 Nichiha Corp 外壁施工構造及びスタータ金具
JP3438723B2 (ja) 2001-01-24 2003-08-18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US6973756B2 (en) 2003-05-07 2005-12-13 Michael Hatzinikolas Connector and system for supporting veneer panels
JP3767596B2 (ja) * 2003-10-23 2006-04-19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ユニット及び外壁施工構造
JP3867719B2 (ja) 2004-07-28 2007-01-10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並びに外壁施工方法
JP2006200131A (ja) * 2005-01-18 2006-08-03 Nichiha Corp 横ずれ防止金具
JP2006249796A (ja) * 2005-03-11 2006-09-21 Ig Tech Res Inc 外壁材
JP4684797B2 (ja) * 2005-08-10 2011-05-18 ニチハ株式会社 外壁施工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下地金具
RU62131U1 (ru) * 2006-11-14 2007-03-27 Азат Хайдарович Гельманов Кляммер скрытного типа для крепления толстостенных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ES2338192B1 (es) * 2007-12-13 2011-03-28 Eclad Limited Sistema de anclaje de fachadas ventiladas.
US8979052B2 (en) * 2009-09-30 2015-03-17 Kmew Co., Ltd. External material clamp and external material clamping structure
RU93426U1 (ru) * 2009-11-02 2010-04-27 Владимир Борисович Долинеев Комплект пластин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навесных вентилируемых фасадов
US8291672B2 (en) * 2010-01-15 2012-10-23 Mitek Holdings, Inc. Anchor system for composite panel
KR101331396B1 (ko) * 2011-08-01 2013-11-20 주식회사 케이씨씨 패널 마감형 외단열 구조
GB2497796A (en) 2011-12-21 2013-06-26 Hardie James Technology Ltd Thermally Efficient Façade
KR101590093B1 (ko) * 2013-10-21 2016-01-29 주식회사 삼선알미늄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RU143202U8 (ru) * 2013-12-09 2016-10-27 Сергей Вячеславович Архангельский Система навесного вентилируемого фасада (нвф) для облицовки зданий, подсистема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ой плитки и облицовочная плитк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3796B2 (ja) * 2001-08-28 2004-07-21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30870A1 (en) 2017-03-30
KR20170032837A (ko) 2017-03-23
US9470000B1 (en) 2016-10-18
JP6283335B2 (ja) 2018-02-21
RU2015141328A3 (ko) 2019-05-20
CN106522496B (zh) 2020-07-24
JP2017057603A (ja) 2017-03-23
AU2015230870B2 (en) 2020-07-16
CN106522496A (zh) 2017-03-22
RU2694650C2 (ru) 2019-07-16
CA2905998C (en) 2018-09-18
RU2015141328A (ru) 2017-04-04
CA2905998A1 (en)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909B1 (ko) 외장 구조
US20090241458A1 (en) Siding Panel Assembly With Splicing Member and Insulating Panel
KR20160033389A (ko)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 긴결장치
JP2010095956A (ja) 外断熱パネルおよび外断熱構造
JP6222144B2 (ja) 外壁目地の防水構造
JP6393605B2 (ja) 目地構造
JP6694257B2 (ja) 排水構造および水路構成部材
KR101269488B1 (ko)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
JP5683821B2 (ja) サイディングの防水構造
JP2009084811A (ja) 縦張り押出成形セメント板の防水構造
RU2608369C2 (ru) Стыковоч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внешних стен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JP6820709B2 (ja) デッキ
JP6942433B2 (ja) 取付具及び外装構造
JP6533414B2 (ja) 屋根上における設置物の取付け構造、設置物付き屋根および屋根上における設置物の取付け方法
JP6162026B2 (ja) 建物の壁構造
WO2021065966A1 (en) Ventilation member and wall material construction structure
JP6591799B2 (ja) 建物の外壁構造
JP4891141B2 (ja) 床部の支持構造および胴差パネル
JP7005869B2 (ja) 建物の止水構造
KR101922896B1 (ko) 패널의 사방향 인터록킹 시스템
JP5358483B2 (ja) 格子体
JP2006249676A (ja) パネル体
JP2019060083A (ja) 防水装置
JP2017014892A (ja) 他物固定具
JP2018040234A (ja) 表面材付き発泡樹脂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