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823B1 - 자탈형 콤바인 - Google Patents
자탈형 콤바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3823B1 KR102313823B1 KR1020140116827A KR20140116827A KR102313823B1 KR 102313823 B1 KR102313823 B1 KR 102313823B1 KR 1020140116827 A KR1020140116827 A KR 1020140116827A KR 20140116827 A KR20140116827 A KR 20140116827A KR 102313823 B1 KR102313823 B1 KR 1023138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tch
- feed chain
- state
- holding
- operation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8—Control devices; Brakes; Bea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피드 체인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는 자탈형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피드 체인 클러치의 전달 상태에 대응하는 온 위치와 피드 체인 클러치의 차단 상태에 대응하는 오프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오프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피드 체인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조작 부재(40)와, 조작 부재(40)를 오프 위치로 전환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63)과, 조작 부재(40)를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는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와,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에 의한 조작 부재(40)의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 기구(80)를 구비한다.
피드 체인 클러치의 전달 상태에 대응하는 온 위치와 피드 체인 클러치의 차단 상태에 대응하는 오프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오프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피드 체인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조작 부재(40)와, 조작 부재(40)를 오프 위치로 전환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63)과, 조작 부재(40)를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는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와,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에 의한 조작 부재(40)의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 기구(8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로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피드 체인으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피드 체인 클러치를 구비하는 자탈형(自脫型)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탈형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탈형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 콤바인은,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로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피드 체인으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피드 체인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콤바인에서는, 피드 체인 클러치를 온 오프 조작하기 위한 캠 구동식의 클러치 조작 장치가 채용되어 있다. 이 클러치 조작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와, 그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캠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캠 기구가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피드 체인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탈형 콤바인에서는, 피드 체인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캠 기구(캠판)를 소정의 위치까지 구동시켜야만 한다. 즉, 피드 체인 클러치의 차단 상태로의 전환을 빠르게 행하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피드 체인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는 자탈형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로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상기 피드 체인으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피드 체인 클러치와,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의 상기 전달 상태에 대응하는 온 위치와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의 상기 차단 상태에 대응하는 오프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되도록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는 위치 보유 지지 기구와,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 기구를 구비하는 데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가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해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 부재에 의해 오프 위치로 전환되도록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조작 부재의 온 위치로의 보유 지지가 해제 기구에 의해 해제되면, 조작 부재가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오프 위치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피드 체인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축을 구비하고,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는, 상기 전달축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맞물림 가능한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은, 상기 전달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전달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을, 맞물림 해제측으로 이동시키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를 오프 위치로 전환하는 것만으로,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이 맞물림 해제측으로 이동하고, 피드 체인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조작 부재측에 연결되는 제1 보유 지지 아암과, 상기 해제 기구측에 연결되는 제2 보유 지지 아암을 갖고,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은, 상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대 요동이 저지되도록 서로 접촉 가능한 부분을 갖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을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과 접촉하는 측으로 요동하도록 가압하고,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과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이 접촉하여 상대 요동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1 보유 지지 아암과 제2 보유 지지 아암이 접촉하여 상대 요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제1 보유 지지 아암이 가압 부재에 의해 제2 보유 지지 아암과 접촉하는 측으로 요동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제1 보유 지지 아암과 제2 보유 지지 아암이 접촉하여 상대 요동이 저지되고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하고, 나아가서는 조작 부재를 온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 기구는,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을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해제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1 보유 지지 아암과 제2 보유 지지 아암이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제2 보유 지지 아암을 제1 보유 지지 아암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측으로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조작 부재의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 기구는,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측에 연결되는 선상 부재와, 상기 선상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을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측으로 요동하도록 조작하는 작동기를 가지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2 보유 지지 아암을 수동으로 요동시키는 것에 비해, 조작 부재의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편안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가 오프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선상 부재에 느슨함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제2 보유 지지 아암을 수동으로 요동시켜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상승한 경우에,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오토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오토 클러치 기구는, 상기 조작 부재에 연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오토 클러치 기구를 연계시키는 부재로서, 조작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를 연계 가능한 연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계 부재에, 상기 가압 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연계 부재는,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상기 조작 부재로 전달하지 않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가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해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는, 가압 부재의 가압력이 연계 부재를 통하여 조작 부재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 부재가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해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되고 있음에도,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오프 위치로 전환된다고 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조작 부재측에 연결되는 제1 보유 지지 아암과, 상기 해제 기구측에 연결되는 제2 보유 지지 아암을 갖고,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의 일단부측은, 상기 조작 부재측에 제1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의 일단부측은,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의 타단부측에 제2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의 타단부측은, 상기 해제 기구측에 제3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요동 축심, 상기 제2 요동 축심 및 상기 제3 요동 축심의 축심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요동 축심과 상기 제2 요동 축심과 상기 제3 요동 축심을 연결하는 선이 일직선상이 되는 위치를 경계로, 상기 연계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상기 조작 부재로 전달하는 상태와 상기 조작 부재로 전달하지 않는 상태가 전환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1 보유 지지 아암과 제2 보유 지지 아암을 상대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제1 요동 축심과 제2 요동 축심과 제3 요동 축심을 연결하는 선이 일직선상이 되는 위치를 경계로, 연계 부재가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조작 부재로 전달하는 상태와 조작 부재로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상승한 경우에,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오토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온 위치와 상기 오프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요동편을 갖고,
상기 요동편에, 상기 오토 클러치 기구가 연계되어,
상기 연계 부재는, 상기 요동편에 대하여 상기 오프 위치측으로의 요동력을 부여 가능한 작용부를 갖고,
상기 작용부는,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요동편에 대하여 상기 오프 위치측으로의 요동력을 부여하지 않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위치 보유 지지 기구가 조작 부재를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작용부가 요동편에 대하여 오프 위치측으로의 요동력을 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요동편에 대하여 오토 클러치 기구와 연계 부재의 양 부재를 연계시키는 경우에도, 오토 클러치 기구를 단독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동편을 상기 온 위치측으로 요동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상기 가압 부재와는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요동편이 다른 가압 부재에 의해 온 위치측으로 요동하도록 가압되고 있으므로, 온 위치에 있어서의 요동편의 자세가 안정된다. 따라서, 갑자기 요동편이 오프 위치측으로 요동하여 피드 체인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고 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를 연계 가능한 연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연계 부재 중 상기 조작 부재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연계 부재에 대한 가압 부재의 연결 위치가 조작 부재의 근방에 위치하므로, 가압 부재의 가압력이 연계 부재를 통하여 조작 부재로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축을 구비하고,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는, 상기 전달축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맞물림 가능한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은, 상기 전달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전달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온 위치와 상기 오프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요동편과, 상기 요동편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에 대하여 접촉 이격 가능한 축체를 갖고,
상기 축체는, 상기 요동편이 상기 오프 위치측으로 요동됨으로써,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에 대하여 맞물림 해제측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접촉하고, 또한 상기 요동편이 상기 온 위치측으로 요동됨으로써,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으로부터 이격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요동편이 오프 위치로 요동함으로써, 축체가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에 대하여 맞물림 해제측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이 맞물림 해제측으로 이동하고, 피드 체인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요동편이 온 위치로 요동함으로써, 축체가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으로부터 이격한다. 이에 의해,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이 클러치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맞물림측으로 이동하고, 피드 체인 클러치가 전달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요동편을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에서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축체의 접촉 이격이 전환되므로, 피드 체인 클러치를 전달 상태와 차단 상태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에, 상기 전달축의 축 방향에서 볼 때 대략 원 형상의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다른 쪽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는, 상기 전달축에 대하여 수직인 제1 수직면 및 제2 수직면이 상기 제1 수직면보다도 상기 제2 수직면이 타방측에 위치하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달축의 축 방향 주위에서 상기 제1 수직면의 외주부와 상기 제2 수직면의 외주부에 걸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축체는,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제1 수직면 상에 접촉하는 상태로부터 상기 경사면을 통하여 상기 제2 수직면 상에 접촉하는 상태로 이행함으로써,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에 대하여 맞물림 해제측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축체가 제1 수직면 상에 접촉하는 상태로부터 경사면을 통하여 제2 수직면 상에 접촉하는 상태로 이행함으로써,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의 회전력이, 자신을 맞물림 해제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을 맞물림 해제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자신의 회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와,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로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상기 피드 체인으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피드 체인 클러치와,
상기 예취부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상승한 경우에,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오토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조작 부재를, 상기 오토 클러치 기구와는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오토 클러치 기구와는 다른 조작 부재에 의해, 오토 클러치 기구와는 다른 타이밍에서, 피드 체인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할 수 있다. 즉, 자탈형 콤바인에 있어서의 다양한 작업 형태에 따라, 피드 체인 클러치를 보다 적절한 타이밍에서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탈곡 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Ⅳ-Ⅳ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전달통 중 제1 수직면에 축체가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전달통 중 경사면에 축체가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는 전달통 중 제2 수직면에 축체가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조작 부재가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조작 부재와 위치 보유 지지 기구의 연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조작 부재의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모터 및 포텐시오미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모터 및 포텐시오미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오토 클러치 기구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탈곡 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Ⅳ-Ⅳ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전달통 중 제1 수직면에 축체가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전달통 중 경사면에 축체가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는 전달통 중 제2 수직면에 축체가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조작 부재가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조작 부재와 위치 보유 지지 기구의 연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조작 부재의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모터 및 포텐시오미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모터 및 포텐시오미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오토 클러치 기구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에는, 자탈형 콤바인을 나타내고 있다. 이 콤바인은,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1)와, 주행 장치(1)에 의해 지지되는 기체 프레임(2)을 구비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2)의 전방부에는,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3)가 구비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2)의 후방부에는,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4)와 곡물을 저류하는 글렌 탱크(5)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2)의 전방부이며 글렌 탱크(5)의 전방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6)이 구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4)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4)로 반송하는 피드 체인(7)이 구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4)의 후방에는, 탈곡 장치(4)로부터의 배고(排藁)를 절단하는 배고 커터(8)가 구비되어 있다. 글렌 탱크(5)에는, 글렌 탱크(5) 내의 곡물을 배출하는 언로더(9)가 구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4)의 상부에는 곡간 탈곡용의 급동(扱胴)(11)이 설치되어 있다. 급동(11)의 하방에는,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탈곡 처리물)을 누설시키는 수망(受網)이 설치되어 있다. 급동(11)의 후방에는,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12), 배고를 배고 커터(8)로 반송하는 배고 체인(13)이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4)의 하부에는, 요동 선별용의 요동 선별 장치(14), 바람 선별용의 풍구(15)가 설치되어 있다. 풍구(15)의 후방에는, 전방으로부터 차례로, 첫 번째 회수부(16) 및 두 번째 회수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첫 번째 회수부(16)에는, 첫 번째 곡물을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첫 번째 횡 스크류(18)가 설치되어 있다. 첫 번째 횡 스크류(18)에는, 첫 번째 곡물을 글렌 탱크(5)로 양곡 반송하는 첫 번째 양곡 장치(19)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두 번째 회수부(17)에는, 두 번째 곡물을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두 번째 횡 스크류(20)가 설치되어 있다. 두 번째 횡 스크류(20)에는, 두 번째 곡물을 요동 선별 장치(14)로 환원 반송하는 두 번째 환원 장치(21)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취 곡간이 급동(11)에 의해 탈곡 처리되어, 탈곡 처리물이 상기 수망으로부터 누설된다. 그리고, 상기 수망으로부터 누설된 탈곡 처리물에 대하여, 요동 선별 장치(14)에 의한 요동 선별, 풍구(15)에 의한 바람 선별이 실시된다. 이에 의해, 비중이 큰 단립화 곡물은, 전방의 첫 번째 회수부(16)로 첫 번째 곡물로서 회수되고, 첫 번째 횡 스크류(18) 및 첫 번째 양곡 장치(19)에 의해 글렌 탱크(5)로 반송된다. 한편, 비중이 작은 지경(枝梗)이 달린 곡물은, 후방의 두 번째 회수부(17)로 두 번째 곡물로서 회수되고, 두 번째 횡 스크류(20) 및 두 번째 환원 장치(21)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14)로 반송된다.
[동력 전달 경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E)의 출력축(Ea)의 동력은, 벨트(22)를 거쳐 변속 장치(M)의 입력축(Ma)로 전달된다. 변속 장치(M)의 출력축(Mb)의 동력은, 벨트(23)를 거쳐 예취부(3)의 예취 입력축(3a)으로 전달된다. 예취 입력축(3a)으로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는, 예취부(3)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예취부(3)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예취 클러치(예를 들어, 벨트 텐션식 클러치)가 구비되어 있다.
엔진(E)의 출력축(Ea)의 동력은, 벨트(24)를 거쳐 카운터축(25)으로 전달된다. 카운터축(25)의 동력은, 급동(11), 풍구(15) 및 첫 번째 횡 스크류(18)로 전달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카운터축(25)의 동력은 분기축(26) 및 벨트(27)를 통하여 급동(11)으로 전달된다. 카운터축(25)의 동력은, 벨트(28)를 거쳐 풍구(15)로 전달된다. 카운터축(25)의 동력은, 벨트(29)를 거쳐 첫 번째 횡 스크류(18)로 전달된다.
첫 번째 횡 스크류(18)의 동력은, 벨트(30)를 거쳐, 두 번째 횡 스크류(20), 요동 선별 장치(14)의 입력축(14a) 및 전달 장치(50)의 입력축(51)으로 전달된다. 전달 장치(50)의 입력축(51)의 동력은, 배진 팬(12)의 입력축(12a)으로 전달된다. 전달 장치(50)의 입력축(51)의 동력은, 벨트(31)를 거쳐 배고 커터(8)로 전달된다.
전달 장치(50)의 출력축(52)(본 발명에 관한「전달축」에 상당)의 동력은, 피드 체인(7)으로 전달된다. 전달 장치(50)에는, 피드 체인 클러치(53)가 구비되어 있다.
[피드 체인 클러치]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드 체인 클러치(53)는, 피드 체인(7)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피드 체인(7)으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피드 체인 클러치(53)는, 출력축(52)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맞물림 가능한 출력 기어(54)(본 발명에 관한「제1 클러치 부재」,「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다른 쪽」에 상당) 및 전달통(55)(본 발명에 관한「제2 클러치 부재」,「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에 상당)을 갖고 있다.
출력 기어(54)는 출력축(5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출력 기어(54)에는, 입력 기어(56)의 동력이 제1 중계 기어(57), 제2 중계 기어(58) 및 제3 중계 기어(59)를 통하여 전달된다. 출력 기어(54)의 동력은, 전달통(55)을 통하여, 출력축(52)으로 전달된다. 출력 기어(54) 중 전달통(55)에 대향하는 측의 면(좌측면)에는, 전달통(55)[갈고리부(55a)]과의 맞물림용의 갈고리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전달통(55)은 출력축(52)에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출력축(52)의 축 방향(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전달통(55)은 출력축(52)에 스플라인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전달통(55)은 스프링(60)에 의해 출력 기어(54)측(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전달통(55) 중 출력 기어(54)에 대향하는 측의 면(우측면)에는, 출력 기어(54)[갈고리부(54a)]와의 맞물림용의 갈고리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전달통(55)의 좌측단부에는, 출력축(52)의 축 방향에서 볼 때(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 형상의 플랜지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55A) 중 출력 기어(54)에 대향하는 측의 면(우측면)에는, 제1 수직면(55b)과, 제2 수직면(55c)과, 경사면(55d)(도 6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직면(55b) 및 제2 수직면(55c)은 출력축(52)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직면(55b) 및 제2 수직면(55c)은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수직면(55c)은 출력축(52)의 축 방향(좌우 방향)에서 제1 수직면(55b)보다도 출력 기어(54)측(우측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경사면(55d)은 출력축(52)의 축 방향 주위에서 제1 수직면(55b)의 외주부와 제2 수직면(55c)의 외주부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55d)은 소정의 캠 프로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는 피드 체인 클러치(53)의 전달 상태에 대응하는 온 위치와 피드 체인 클러치(53)의 차단 상태에 대응하는 오프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40)는 오프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피드 체인 클러치(53)를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한다. 즉, 조작 부재(40)는 오프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전달통(55)을 맞물림 해제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조작 부재(40)는 요동편(41)과, 축체(42)를 갖고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조작 부재(40)에는 오토 클러치 기구(32)(도 12 참조)가 연계되어 있다.
요동편(41)은 좌우 방향의 요동 축심(X4) 주위에 있어서,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요동편(41)은 스프링(45)(본 발명에 관한「별도의 가압 부재」에 상당)에 의해 온 위치측으로 요동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요동편(41)은 좌우 방향의 요동축(43)을 거쳐 전달 장치(50)의 전달 케이스(50A)의 좌측부에 지지되고 있다. 요동편(41)에는, 제1 요동 아암부(41a) 및 제2 요동 아암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편(41) 중 제2 요동 아암부(41b)에는, 스프링(45)이 연결되어 있다.
축체(42)는 제1 요동 아암부(41a)에 좌우 방향의 연결 핀(44)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축체(42)는 출력축(52)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전달통(55)에 대하여 접촉 이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축체(42)는 전달 장치(50)의 전달 케이스(50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편(41)이 오프 위치측으로 요동됨으로써, 축체(42)가 전달통(55)에 대하여 맞물림 해제측(좌측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접촉한다.
[피드 체인 클러치의 전환 형태]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체(42)가 제1 수직면(55b) 상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전달통(55)이 회전해도 출력축(52)의 축 방향(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즉, 피드 체인 클러치(53)는, 전달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어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체(42)가 경사면(55d) 상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전달통(55)이 회전에 수반하여 맞물림 해제측(좌측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즉, 피드 체인 클러치(53)는,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이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체(42)가 제2 수직면(55c) 상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전달통(55)이 회전해도 출력축(52)의 축 방향(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즉, 피드 체인 클러치(53)는, 차단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그 후, 요동편(41)이 온 위치측으로 요동됨으로써, 축체(42)가 전달통(55)으로부터 이격한다. 이에 의해, 전달통(55)이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출력 기어(54)측(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드 체인 클러치(53)가 전달 상태로 전환된다.
[위치 보유 지지 기구]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는 조작 부재(40)를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한다.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는 연계 로드(61)(본 발명에 관한「연계 부재」에 상당)를 통하여 조작 부재(40)와 연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는 조작 부재(40)측에 연결되는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 해제 기구(80)측에 연결되는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을 갖고 있다.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체 횡 내측(우측 방향)으로부터, 제1 보유 지지 아암(71),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 아암(71) 및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은 상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대 요동이 저지되도록 서로 접촉 가능한 부분을 갖고 있다.
[제1 보유 지지 아암]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일단부에는, 보스부(71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보스부(71a)는 연계 로드(61)의 연결축(61a)에 제1 요동 축심(X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보스부(71a)에 연계 로드(61)의 연결축(61a)이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 연계 로드(61)가 볼트(73)에 의해 빠짐 방지 고정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타단부에는, 보스부(71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보스부(71b)는,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연결축(72a)에 제2 요동 축심(X2)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보스부(71b)에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연결축(72a)이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이 볼트(74)에 의해 빠짐 방지 고정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타단부에는, 제2 보유 지지 아암(72)에 접촉 가능한 부분으로서의 제1 접촉부(71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촉부(71c)는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제1 접촉부(71c)는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타단부 중 보스부(71b)[제2 요동 축심(X2)]를 사이에 두고 한쪽 부분이 다른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보유 지지 아암]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타단부에는, 보스부(72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보스부(72b)는 요동축(75)에 제3 요동 축심(X3)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보스부(72b)에 요동축(75)이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제2 보유 지지 아암(72)과 요동축(75)이 볼트(76)에 의해 빠짐 방지 고정되어 있다.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보스부(72b)에는, 핸들(77) 및 조작편(78)이 각각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보유 지지 아암(72)에는, 제1 접촉부(71c)에 접촉 가능한 부분으로서의 제2 접촉부(72c)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접촉부(72c)는 제2 보유 지지 아암(72)과는 다른 부재(평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접촉부(72c)는 제2 보유 지지 아암(72)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상태에서, 제2 보유 지지 아암(72) 중 기체 횡 내측(우측 방향)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접촉부(72c)는 측면에서 보아 제2 요동 축심(X2)과 제3 요동 축심(X3)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접촉부(72c)는 측면에서 보아, 그 일단부가 제2 요동 축심(X2)을 사이에 두고 한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요동축(75)은 고정 플레이트(75a)를 통하여 탈곡 장치(4)의 좌측벽(4A)에 볼트(7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요동축(75) 및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보스부(72b)는 왼쪽 외측 사이드 커버(4B)(도 1 참조)의 내측에서 탈곡 장치(4)의 좌측벽(4A)을 덮는 왼쪽 내측 사이드 커버(4C)로부터, 기체 횡 외측(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왼쪽 내측 사이드 커버(4C)의 외측에 있어서의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보스부(72b)에는, 핸들(77)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계 로드]
연계 로드(61)는 조작 부재(40)와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를 연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연계 로드(61)는 요동편(41) 및 제1 보유 지지 아암(71)에 대하여 기체 횡 외측(좌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연계 로드(61)는 좌우 방향의 요동 축심(X4)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연계 로드(61)는 스프링(63)(본 발명에 관한「가압 부재」에 상당)에 의해 좌측면에서 보아 요동 축심(X4)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연계 로드(61)는 연계 로드 본체(61A)와, 연계편(61B)을 갖고 있다.
연계 로드 본체(61A)의 일단부에, 연계편(61B)이 고정되어 있다. 연계 로드(61) 중 조작 부재(40)측의 단부[연계편(61B)]에, 스프링(63)이 연결되어 있다. 연계편(61B)에는, 제1 연계 아암부(61b) 및 제2 연계 아암부(61c)가 형성되어 있다. 연계 로드 본체(61A)의 일단부에, 제1 연계 아암부(61b)의 좌측면이 고정되어 있다. 제2 연계 아암부(61c)에, 스프링(63)이 연결되어 있다.
연계편(61B)은, 좌우 방향의 요동축(43)을 거쳐 전달 장치(50)의 전달 케이스(50A)의 좌측부에 지지되고 있다. 즉, 연계 로드(61)는 조작 부재(40)와 동일한 요동축(43)에 지지되고 있다. 또한, 연계편(61B)에는, 좌우 방향의 작용 핀(64)(본 발명에 관한「작용부」에 상당)이 기체 횡 내측(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작용 핀(64)은 요동편(41)에 대하여 오프 위치측으로의 요동력을 부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작용 핀(64)은 요동편(41) 중 제2 요동 아암부(41b)의 후방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해제 기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기구(80)는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을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에 의한 조작 부재(40)의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해제한다. 해제 기구(80)는 와이어(82)(본 발명에 관한「선상 부재」에 상당)와, 모터(81)(본 발명에 관한「작동기」에 상당)와, 포텐시오미터(83)를 갖고 있다. 모터(81) 및 포텐시오미터(83)는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모터(81) 및 포텐시오미터(83)는 설치 플레이트(84)에 설치되어 있다.
모터(81)는 와이어(82)를 통하여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을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측으로 요동하도록 조작한다. 모터(81)는 모터 스위치에 의해 구동 조작된다. 모터(81)는 설치 플레이트(84)에 대하여 기체 횡 내측(우측 방향)으로부터 설치되어 있다. 모터(81)는 좌우 방향의 모터축(81a)을 갖고 있다. 모터축(81a)은 설치 플레이트(84)로부터 기체 횡 외측(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모터축(81a)에는, 제1 모터 아암(90) 및 제2 모터 아암(91)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82)는 제2 보유 지지 아암(72)측에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82)는 이너 와이어(82a)와, 아우터 와이어(82b)를 갖고 있다. 아우터 와이어(82b)의 양단부는, 와이어 스테이(93A, 93B)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너 와이어(82a)의 일단부는, 조작편(78)에 연결되어 있다. 이너 와이어(82a)의 타단부는, 제1 모터 아암(90)에 연결되어 있다.
포텐시오미터(83)는 제2 모터 아암(91)의 요동 각도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포텐시오미터(83)에 의해 검출된 제2 모터 아암(91)의 요동 각도에 의거하여, 제2 모터 아암(91)이 초기 위치 P0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포텐시오미터(83)는 설치 플레이트(84)에 대하여 기체 횡 내측(우측 방향)으로부터 설치되어 있다. 포텐시오미터(83)는 포텐셔축(83a)을 갖고 있다. 포텐셔축(83a)은 설치 플레이트(84)로부터 기체 횡 외측(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포텐셔축(83a)에는, 포텐셔 아암(92)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포텐셔 아암(92)에는, 제2 모터 아암(91)에 접촉하는 접촉부(92a)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 플레이트]
설치 플레이트(84)에는, 모터(81)가 인입하는 절결부(84a) 및 포텐시오미터(83)가 인입하는 절결부(84b)가 형성되어 있다. 설치 플레이트(84)는 전방 지지 다리(86) 및 상하 한 쌍의 후방 지지 다리(85)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지지 다리(85)는 설치 플레이트(84)의 후단부에 볼트(8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후방 지지 다리(85)는 탈곡 장치(4)의 좌측벽(4A)의 세로 프레임(4a)에 고정되어 있다. 후방 지지 다리(85)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상 부재가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절곡선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지지 다리(86)는 설치 플레이트(84)의 전단부에 볼트(8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방 지지 다리(86)는 왼쪽 내측 사이드 커버(4C)에 볼트(8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방 지지 다리(86)는 왼쪽 내측 사이드 커버(4C)로부터 설치 플레이트(84)를 향하여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연장되고, 연장 선단부가 기체 횡 내측(우측 방향)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위치 보유 지지의 형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이 접촉하여 상대 요동이 저지됨으로써, 조작 부재(40)가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에 의해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계 로드(61)가 스프링(63)에 의해 좌측면에서 보아 요동 축심(X4)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가압되고 있음으로써, 제1 보유 지지 아암(71)도 제2 보유 지지 아암(72)과 접촉하는 측[좌측면에서 보아 제2 요동 축심(X2)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즉, 스프링(63)의 가압력에 의해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제1 접촉부(71c)와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제2 접촉부(72c)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가 보유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제1 접촉부(71c)와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제2 접촉부(72c)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연계 로드(61)가 좌측면에서 보아 요동 축심(X4)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는 일은 없다. 즉, 연계 로드(61)는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제1 접촉부(71c)와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제2 접촉부(72c)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 즉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가 조작 부재(40)를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프링(63)의 가압력을 조작 부재(40)로 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작용 핀(64)은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가 조작 부재(40)를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요동편(41)에 대하여 오프 위치측으로의 요동력을 부여하지 않는다.
[해제 기구에 의한 위치 보유 지지 해제의 형태]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기구(80)가 작동하면,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에 의한 조작 부재(40)의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가 해제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터(81)가 상기 모터 스위치에 의해 구동 조작되면, 제1 모터 아암(90)이 좌측면에서 보아 모터축(81a)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렇게 하면, 와이어(82) 및 조작편(78)을 거쳐,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이 좌측면에서 보아 제3 요동 축심(X3)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제1 접촉부(71c)와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제2 접촉부(72c)의 접촉이 해제된다. 즉,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이 모터(81)에 의해 와이어(82)를 통하여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측[좌측면에서 보아 제3 요동 축심(X3)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조작된다.
여기서,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이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측[좌측면에서 보아 제3 요동 축심(X3)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할 때, 측면에서 보아, 제1 요동 축심(X1)과 제2 요동 축심(X2)과 제3 요동 축심(X3)을 연결하는 선이 일직선상이 되는 위치(사점)를 경계로, 연계 로드(61)가 스프링(63)의 가압력을 조작 부재(40)로 전달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40)로 전달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즉, 스프링(63)은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제1 접촉부(71c)와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제2 접촉부(72c)를 접촉시키는 가압력으로서의 기능과, 요동편(41)을 오프 위치측으로 요동시키는[조작 부재(40)를 오프 위치로 전환함] 가압력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들 두 가지의 기능이 상기 사점을 경계로 전환된다.
그리고, 연계 로드(61)가 스프링(63)의 가압력에 의해 좌측면에서 보아 요동 축심(X4)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작용 핀(64)이 요동편(41)[제2 요동 아암부(41b)]의 후방면에 접촉하고, 요동편(41)에 대하여 오프 위치측으로의 요동력을 부여한다. 그리고, 요동편(41)이 오프 위치측으로 요동됨으로써, 피드 체인 클러치(53)가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핸들(77)을 수동으로 좌측면에서 보아 제3 요동 축심(X3)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제1 접촉부(71c)와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제2 접촉부(72c)의 접촉을 해제하여, 조작 부재(40)의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해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조작 부재(40)가 오프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와이어(82)에 느슨함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핸들(77)을 수동으로 좌측면에서 보아 제3 요동 축심(X3)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켜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핸들(77)을 수동으로 좌측면에서 보아 제3 요동 축심(X3)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제1 보유 지지 아암(71)의 제1 접촉부(71c)와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의 제2 접촉부(72c)를 접촉시켜서, 조작 부재(40)를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오토 클러치 기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토 클러치 기구(32)는 예취부(3)가 소정의 높이 위치(비예취 작업 위치)까지 상승한 경우에, 피드 체인 클러치(53)를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한다. 오토 클러치 기구(32)는 요동편(41)에 연계되어 있다. 오토 클러치 기구(32)는 클러치 아암(33)과, 와이어(34)를 갖고 있다.
클러치 아암(33)은 좌우 방향의 요동 축심(X5)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아암(33)은 예취부(3)의 승강에 따라서 상승 위치 Pr과 하강 위치 Pd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아암(33)은 예취부(3)가 비예취 작업 위치까지 상승하면, 상승 위치 Pr로 전환되고, 예취부(3)가 예취 작업 위치까지 하강하면, 하강 위치 Pd로 전환된다.
와이어(34)는 이너 와이어(35)와, 아우터 와이어(36)를 갖고 있다. 아우터 와이어(36)의 양단부는, 와이어 스테이(37A, 37B)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너 와이어(35)의 일단부는, 클러치 아암(33)에 연결되어 있다. 이너 와이어(35)의 타단부는, 스프링(38)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38)의 타단부는, 요동편(41) 중 제2 요동 아암부(41b)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취부(3)가 비예취 작업 위치까지 상승하면, 클러치 아암(33)이 상승 위치 Pr로 전환된다. 그렇게 하면, 와이어(34)를 통하여 요동편(41)이 요동 축심(X4) 주위로 오프 위치측으로 요동된다. 이에 의해, 피드 체인 클러치(53) 및 상기 예취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예취부(3)가 예취 작업 위치까지 하강하면, 클러치 아암(33)이 하강 위치 Pd로 전환된다. 그렇게 하면, 요동편(41)이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 요동 축심(X4) 주위로 온 위치측으로 요동된다. 이에 의해, 피드 체인 클러치(53)가 전달 상태로 전환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는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을 갖고,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이 해제 기구(80)에 의해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측으로 요동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위치 보유 지지 기구」를, 좌우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하고, 돌출 상태에서 조작 부재(40)를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요동편(41)의 온 위치측으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핀으로 구성하고,「해제 기구」를, 핀을 은퇴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핀이 돌출됨으로써, 조작 부재(40)가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핀이 은퇴 기구에 의해 은퇴됨으로써, 핀에 의한 조작 부재(40)의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가 해제되어, 피드 체인 클러치(53)가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해제 기구(80)는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에 대하여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위치 보유 지지 기구(70)에 대하여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보유 지지 아암(71) 및 제2 보유 지지 아암(72)은 도 7에 나타내는 자세와는 반대측으로 절곡되는 자세로, 서로 접촉하게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드 체인 클러치(53)는 출력축(52) 상에서 구성되어 있지만, 입력축(51) 그 밖의 축 상에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달통(55)이 출력축(52)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지만, 출력 기어(54)가 출력축(52)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접촉부(71c)는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 일체 성형되어 있지만, 제1 보유 지지 아암(71)과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접촉부(72c)는 제2 보유 지지 아암(72)과는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제2 보유 지지 아암(72)과 일체 성형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작동기」는 모터(81)로 구성되어 있지만, 유압 실린더 등의 각종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선상 부재」는 와이어(82)로 구성되어 있지만,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에 이용 가능하다.
3 : 예취부
7 : 피드 체인
32 : 오토 클러치 기구
40 : 조작 부재
41 : 요동편
42 : 축체
45 : 스프링(다른 가압 부재)
52 : 출력축(전달축)
53 : 피드 체인 클러치
54 : 출력 기어(제1 클러치 부재,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다른 쪽)
55 : 전달통(제2 클러치 부재,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
55A : 플랜지부
55b : 제1 수직면
55c : 제2 수직면
55d : 경사면
61 : 연계 로드(연계 부재)
63 : 스프링(가압 부재)
64 : 작용 핀(작용부)
70 : 위치 보유 지지 기구
71 : 제1 보유 지지 아암
72 : 제2 보유 지지 아암
80 : 해제 기구
81 : 모터(작동기)
82 : 와이어(선상 부재)
X1 : 제1 요동 축심
X2 : 제2 요동 축심
X3 : 제3 요동 축심
7 : 피드 체인
32 : 오토 클러치 기구
40 : 조작 부재
41 : 요동편
42 : 축체
45 : 스프링(다른 가압 부재)
52 : 출력축(전달축)
53 : 피드 체인 클러치
54 : 출력 기어(제1 클러치 부재,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다른 쪽)
55 : 전달통(제2 클러치 부재,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
55A : 플랜지부
55b : 제1 수직면
55c : 제2 수직면
55d : 경사면
61 : 연계 로드(연계 부재)
63 : 스프링(가압 부재)
64 : 작용 핀(작용부)
70 : 위치 보유 지지 기구
71 : 제1 보유 지지 아암
72 : 제2 보유 지지 아암
80 : 해제 기구
81 : 모터(작동기)
82 : 와이어(선상 부재)
X1 : 제1 요동 축심
X2 : 제2 요동 축심
X3 : 제3 요동 축심
Claims (14)
-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로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상기 피드 체인으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피드 체인 클러치와,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의 상기 전달 상태에 대응하는 온 위치와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의 상기 차단 상태에 대응하는 오프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되도록 상기 오프 위치 측으로 요동 가압 가능한 가압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는 위치 보유 지지 기구와,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오프 위치 측으로 가압하지 않고, 또한,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가 해제되면,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오프 위치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해제 기구에 의해,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가 해제되면,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되는 자탈형 콤바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축을 구비하고,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는, 상기 전달축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맞물림 가능한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은, 상기 전달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전달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을, 맞물림 해제측으로 이동시키는, 자탈형 콤바인. -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로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상기 피드 체인으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피드 체인 클러치와,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의 상기 전달 상태에 대응하는 온 위치와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의 상기 차단 상태에 대응하는 오프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되도록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는 위치 보유 지지 기구와,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조작 부재측에 연결되는 제1 보유 지지 아암과, 상기 해제 기구측에 연결되는 제2 보유 지지 아암을 갖고,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은, 상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대 요동이 저지되도록 서로 접촉 가능한 부분을 갖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을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과 접촉하는 측으로 요동하도록 가압하고,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과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이 접촉하여 상대 요동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되는, 자탈형 콤바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기구는,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을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자탈형 콤바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기구는,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측에 연결되는 선상 부재와, 상기 선상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을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측으로 요동하도록 조작하는 작동기를 갖는, 자탈형 콤바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상승한 경우에,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오토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오토 클러치 기구는, 상기 조작 부재에 연계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로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상기 피드 체인으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피드 체인 클러치와,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의 상기 전달 상태에 대응하는 온 위치와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의 상기 차단 상태에 대응하는 오프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되도록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는 위치 보유 지지 기구와,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 기구와,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를 연계 가능한 연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계 부재에, 상기 가압 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연계 부재는,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상기 조작 부재로 전달하지 않는, 자탈형 콤바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조작 부재측에 연결되는 제1 보유 지지 아암과, 상기 해제 기구측에 연결되는 제2 보유 지지 아암을 갖고,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의 일단부측은, 상기 조작 부재측에 제1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의 일단부측은, 상기 제1 보유 지지 아암의 타단부측에 제2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유 지지 아암의 타단부측은, 상기 해제 기구측에 제3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요동 축심, 상기 제2 요동 축심 및 상기 제3 요동 축심의 축심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요동 축심과 상기 제2 요동 축심과 상기 제3 요동 축심을 연결하는 선이 일직선상이 되는 위치를 경계로, 상기 연계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상기 조작 부재로 전달하는 상태와 상기 조작 부재로 전달하지 않는 상태가 전환되는, 자탈형 콤바인. - 제7항에 있어서,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상승한 경우에,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오토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온 위치와 상기 오프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요동편을 갖고,
상기 요동편에, 상기 오토 클러치 기구가 연계되고,
상기 연계 부재는, 상기 요동편에 대하여 상기 오프 위치측으로의 요동력을 부여 가능한 작용부를 갖고,
상기 작용부는,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요동편에 대하여 상기 오프 위치측으로의 요동력을 부여하지 않는, 자탈형 콤바인.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편을 상기 온 위치측으로 요동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상기 가압 부재와는 별도로 구비하고 있는, 자탈형 콤바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를 연계 가능한 연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연계 부재 중 상기 조작 부재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축을 구비하고,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는, 상기 전달축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맞물림 가능한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은, 상기 전달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전달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온 위치와 상기 오프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요동편과, 상기 요동편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에 대하여 접촉 이격 가능한 축체를 갖고,
상기 축체는, 상기 요동편이 상기 오프 위치측으로 요동됨으로써,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에 대하여 맞물림 해제측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접촉하고, 또한 상기 요동편이 상기 온 위치측으로 요동됨으로써,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으로부터 이격하는, 자탈형 콤바인. -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로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상기 피드 체인으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피드 체인 클러치와,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의 상기 전달 상태에 대응하는 온 위치와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의 상기 차단 상태에 대응하는 오프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오프 위치로 전환되도록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온 위치에 위치 보유 지지하는 위치 보유 지지 기구와,
상기 위치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온 위치로의 위치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 기구와,
상기 피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축을 구비하고,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는, 상기 전달축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맞물림 가능한 제1 클러치 부재 및 제2 클러치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은, 상기 전달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전달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온 위치와 상기 오프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요동편과, 상기 요동편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에 대하여 접촉 이격 가능한 축체를 갖고,
상기 축체는, 상기 요동편이 상기 오프 위치측으로 요동됨으로써,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에 대하여 맞물림 해제측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접촉하고, 또한 상기 요동편이 상기 온 위치측으로 요동됨으로써,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에, 상기 전달축의 축 방향에서 볼 때 원 형상의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다른 쪽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는, 상기 전달축에 대하여 수직인 제1 수직면 및 제2 수직면이 상기 제1 수직면보다도 상기 제2 수직면이 타방측에 위치하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달축의 축 방향 주위에서 상기 제1 수직면의 외주부와 상기 제2 수직면의 외주부에 걸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축체는,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제1 수직면 상에 접촉하는 상태로부터 상기 경사면을 통하여 상기 제2 수직면 상에 접촉하는 상태로 이행함으로써, 상기 제1 클러치 부재 및 상기 제2 클러치 부재 중 한쪽에 대하여 맞물림 해제측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자탈형 콤바인. -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 10항 및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상승한 경우에,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오토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오토 클러치 기구와는 별도로 구비하고 있는, 자탈형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78055A JP6280793B2 (ja) | 2014-04-04 | 2014-04-04 | 自脱型コンバイン |
JPJP-P-2014-078055 | 2014-04-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5601A KR20150115601A (ko) | 2015-10-14 |
KR102313823B1 true KR102313823B1 (ko) | 2021-10-18 |
Family
ID=5435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6827A KR102313823B1 (ko) | 2014-04-04 | 2014-09-03 | 자탈형 콤바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280793B2 (ko) |
KR (1) | KR10231382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3958B1 (ko) | 2017-12-18 | 2024-07-12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콤바인 |
JP6837421B2 (ja) * | 2017-12-18 | 2021-03-03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JP7101591B2 (ja) * | 2018-10-23 | 2022-07-15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KR20200045945A (ko) | 2018-10-23 | 2020-05-06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콤바인 |
KR20200078327A (ko) | 2018-12-21 | 2020-07-01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콤바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1941A (ja) | 2000-03-15 | 2001-09-18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 |
JP2010166866A (ja) | 2009-01-23 | 2010-08-05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のクラッチ操作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43137A (en) * | 1980-08-25 | 1982-08-10 | Sperry Corporation | Crop elevator decelerating means |
JPH063045U (ja) * | 1992-06-19 | 1994-01-18 |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 脱穀機のフィ−ドチエン電動式クラッチ装置 |
JPH08154466A (ja) * | 1994-12-12 | 1996-06-18 | Iseki & Co Ltd | 脱穀装置 |
-
2014
- 2014-04-04 JP JP2014078055A patent/JP6280793B2/ja active Active
- 2014-09-03 KR KR1020140116827A patent/KR1023138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1941A (ja) | 2000-03-15 | 2001-09-18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 |
JP2010166866A (ja) | 2009-01-23 | 2010-08-05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のクラッチ操作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5198580A (ja) | 2015-11-12 |
KR20150115601A (ko) | 2015-10-14 |
JP6280793B2 (ja) | 2018-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3823B1 (ko) | 자탈형 콤바인 | |
JP6108945B2 (ja) | コンバイン | |
JP4690981B2 (ja) | 作業車 | |
JP2011177075A (ja) | コンバイン | |
JP5185795B2 (ja) |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 |
JP2020065472A (ja) | コンバイン | |
JP4778294B2 (ja) | コンバイン | |
KR102075171B1 (ko) | 콤바인 | |
JP7190970B2 (ja) | コンバイン | |
JP6333127B2 (ja) | コンバイン | |
KR102422584B1 (ko) | 수확기 | |
JP6731886B2 (ja) | 収穫機 | |
KR102683958B1 (ko) | 콤바인 | |
JP6851222B2 (ja) | 収穫機 | |
JP6280845B2 (ja) | 収穫機 | |
KR102406944B1 (ko) | 콤바인 | |
JP2020014484A (ja) | コンバイン | |
JP6837421B2 (ja) | コンバイン | |
JP2010227019A (ja) |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構造 | |
JP6832838B2 (ja) | コンバイン | |
JP7201234B2 (ja) | 収穫機 | |
JP2007330168A (ja) | コンバインの分草装置 | |
JP6280843B2 (ja) | 収穫機 | |
JP4241723B2 (ja) |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駆動構造 | |
JP6280844B2 (ja) | 収穫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