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310B1 - 샤워 헤드, 및 미스트 발생 유닛 - Google Patents

샤워 헤드, 및 미스트 발생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310B1
KR102283310B1 KR1020207006404A KR20207006404A KR102283310B1 KR 102283310 B1 KR102283310 B1 KR 102283310B1 KR 1020207006404 A KR1020207006404 A KR 1020207006404A KR 20207006404 A KR20207006404 A KR 20207006404A KR 102283310 B1 KR102283310 B1 KR 102283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hole
valve body
switch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2217A (ko
Inventor
야스히로 미즈카미
마사테루 히라에
다카히로 오쿠무라
히데타케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이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이엔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이엔스
Publication of KR20200032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05B1/185Roses; Shower heads characterised by their outlet element; 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27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05B1/163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by relative rotative movement of the valve elements
    • B05B1/164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by relative rotative movement of the valve elements the outlets being rotated during selection
    • B05B1/165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by relative rotative movement of the valve elements the outlets being rotated during selection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quid passage in the stationary valv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05B1/342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 B05B1/343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the channels being formed at the interface of cooperating elements, e.g. by means of grooves
    • B05B1/344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the channels being formed at the interface of cooperating elements, e.g. by means of grooves the interface being a cone having the same axis as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25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out any source of compressed gas, e.g. the air being sucked by the pressuris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0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producing a swirling discharge

Landscapes

  • Nozzl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한 기포가 혼입된 미스트상의 액적을 분사하는 미스트 발생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살수 노즐, 살수 노즐을 관통하여 유출로에 연통되는 복수의 미스트 조임공, 원추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동일 소용돌이상의 복수의 소용돌이면을 갖는 복수의 미스트 가이드를 구비한다. 미스트 조임공은, 유출로측으로부터 축경하면서 살수 노즐을 관통하는 원추공에 형성되고, 소용돌이면은,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측면에 교차하여 원추 바닥 평면 및 원추 상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원추 바닥 평면으로부터 원추 상면을 향하여 축경하면서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미스트 가이드는, 원추 측면 및 미스트 조임공의 원추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원추 상면으로부터 미스트 조임공 내에 삽입된다.

Description

샤워 헤드, 및 미스트 발생 유닛
본 발명은, 액체에 공기 (기포) 를 혼입하여 기포 혼입 액체로 하거나, 또는 액체로부터 기포를 혼입한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하여, 기포 혼입 액체 또는 미스트상의 액적을 분사하는 샤워 헤드에 관한 것이다.
액체에 공기를 혼입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 은, 샤워 장치를 개시한다. 샤워 장치는, 복수의 노즐부로부터 액체를 축소 테이퍼부에 분사한다. 각 노즐부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면,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가 축소 테이퍼부에 도입된다.
특허문헌 1 의 샤워 장치에서는, 액체 및 공기를 축소 테이퍼부에 충돌시킴으로써, 기포를 액체에 혼입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02100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서는, 액체 및 공기를 축소 테이퍼부에 충돌시켜, 기포를 액체에 혼입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기포를 액체에 혼입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충분한 기포를 액체에 혼입할 수 있는 샤워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액체로부터 기포를 혼입한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하는 샤워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1 은, 일단으로 개구되어,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로, 및 타단으로 개구되어, 상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액체를 유출하는 유출로를 갖는 샤워 본체와,
상기 샤워 본체의 타단에 장착되고, 살수 노즐판, 일방의 통단을 상기 살수 노즐판으로 폐색하여 상기 유출로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출로로부터 유출된 상기 액체가 타방의 통단으로부터 유입되는 기포 혼입 공소를 형성하는 살수 원통부, 상기 기포 혼입 공소에 개구하여 상기 살수 노즐판에 형성되고, 상기 기포 혼입 공소로부터 기포 혼입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기포액 분사공을 갖는 살수 노즐과, 상기 액체에 공기를 혼입하여 기포 혼입 액체를 발생시키는 기포액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포액 발생 수단은, 상기 살수 원통부의 상기 기포 혼입 공소 내에 배치되는 정류 피스와, 상기 살수 노즐에 형성되고, 상기 기포 혼입 공소 내에 공기를 유입하는 복수의 공기 도입로를 구비하고, 상기 정류 피스는, 상기 살수 노즐판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기포 혼입 공소 내에 배치되고, 타방의 통단을 폐색하여 상기 살수 원통부에 고정되는 정류 노즐 원판과, 상기 정류 노즐 원판에 형성되고, 상기 살수 노즐판 및 상기 정류 노즐 원판 사이의 상기 기포 혼입 공소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정류 피스판과, 상기 각 정류 피스판 사이의 상기 정류 노즐 원판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로로부터 유출된 상기 액체를 상기 기포 혼입 공소 내에 분사하는 복수의 액 조임공을 구비하고, 상기 각 액 조임공은, 구멍 중심선을 상기 살수 원통부의 통 중심선과 평행하게 배치하여, 상기 정류 노즐 원판을 관통하고, 상기 정류 피스판은, 상기 정류 노즐 원판으로부터 상기 살수 노즐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살수 노즐판에 혼입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정류 노즐 원판의 판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살수 원통부로 연장되고, 상기 살수 노즐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단측에서 상기 액 조임공으로부터 분사되는 액체를 난류로 하여 상기 혼입 간극으로 유출하고, 상기 각 공기 도입로는, 상기 살수 노즐에 개구되고, 상기 각 정류 피스판의 돌출단 및 상기 정류 노즐 원판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살수 원통부의 통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살수 원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기포 혼입 공소 내에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2 는, 상기 각 정류 피스판은, 상기 정류 노즐 원판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샤워 헤드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3 은, 상기 정류 피스는, 4 개의 상기 정류 피스판을 구비하고, 4 개의 상기 각 정류 피스판은, 상기 정류 노즐 원판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샤워 헤드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4 는, 상기 각 정류 피스판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류 노즐 원판의 둘레 방향으로 판 두께를 사이에 두고 평행한 사각형상의 각 정류판 평면과, 상기 각 정류 피스판의 상기 돌출단으로부터 일방의 상기 정류판 평면, 및 상기 정류 노즐 원판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경사되는 흐름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샤워 헤드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5 는, 상기 각 액 조임공은, 상기 정류 노즐 원판의 판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원 반경이 상이한 복수의 원 상에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샤워 헤드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6 은, 상기 각 공기 도입로는, 상기 살수 원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샤워 헤드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7 은, 상기 각 공기 도입로는, 상기 정류 노즐 원판에 인접하여, 상기 기포 혼입 공소 내에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샤워 헤드이다.
청구항 7 에서는, 상기 각 공기 도입로는, 상기 살수 원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살수 원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각 정류 피스판의 판 폭보다 넓은 유로폭을 가지고, 상기 기포 혼입 공소 내에 개구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8 은, 상기 기포액 발생 수단 및 상기 유출로의 사이, 및 상기 샤워 본체의 상기 유출로 내에 배치되는 유로 전환 수단과, 상기 각 기포액 분사공의 외측의 상기 살수 노즐판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 전환 수단을 통하여 유입되는 상기 액체를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미스트 발생 수단은, 상기 각 기포액 분사공의 외측의 상기 살수 노즐판을 관통하여, 상기 살수 노즐판 및 상기 유로 전환 수단 사이에 개구되는 복수의 미스트 조임공과, 원추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동일 소용돌이상의 복수의 소용돌이면을 갖는 복수의 미스트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각 미스트 조임공은, 상기 유출로측으로부터 축경하면서 상기 살수 노즐판을 관통하는 원추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소용돌이면은,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측면에 교차하여 원추 바닥 평면 및 원추 상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원추 바닥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추 상면을 향하여 축경하면서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미스트 가이드는, 상기 원추 측면 및 상기 미스트 조임공의 원추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상기 원추 상면으로부터 상기 각 미스트 조임공 내에 삽입되고, 상기 각 소용돌이면 및 상기 원추 내주면의 사이에, 소용돌이상의 복수의 미스트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각 미스트 조임공 내에 장착되고, 상기 각 미스트 유로는, 상기 미스트 조임공 내에 개구되고, 상기 살수 노즐 및 상기 유로 전환 수단 사이에 개구되고, 상기 유로 전환 수단은, 상기 각 액 조임공 및 상기 유출로를 접속하거나, 또는 상기 각 미스트 조임공 및 상기 유출로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샤워 헤드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9 는, 상기 미스트 발생 수단은, 원추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동일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을 갖는 복수의 미스트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은,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측면에 교차하여 상기 원추 바닥 평면 및 상기 원추 상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중심선을 대칭점으로 하여 점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추 바닥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추 상면을 향하여 축경하면서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미스트 가이드는, 상기 원추 측면 및 상기 미스트 조임공의 원추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상기 원추 상면으로부터 상기 각 미스트 조임공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및 상기 원추 내주면의 사이에,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는, 상기 미스트 조임공 내에 개구되고, 상기 살수 노즐 및 상기 유로 전환 수단의 사이에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 에 기재된 샤워 헤드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10 은, 상기 각 미스트 조임공은, 상기 살수 원통부의 통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각 기포액 분사공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 상에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 및 청구항 9 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샤워 헤드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11 은, 상기 미스트 발생 수단은, 상기 각 미스트 조임공을 배치한 원과 동일한 원 반경의 가이드 링을 구비하고, 상기 각 미스트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링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원추 바닥 평면을 상기 가이드 링 상에 맞닿음하여, 상기 가이드 링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링은, 타방의 통단으로부터 상기 살수 원통부에 외부 끼움되어, 상기 각 기포액 분사공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각 미스트 가이드의 상기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의 삽입에 수반하여, 상기 유출로측으로부터 상기 살수 노즐판에 맞닿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 에 기재된 샤워 헤드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12 는, 일단으로 개구되어,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로, 및 타단으로 개구되어, 상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액체를 유출하는 유출로를 갖는 샤워 본체와, 상기 샤워 본체의 타단에 장착되는 살수 노즐과, 상기 살수 노즐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로로부터 유출된 상기 액체를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미스트 발생 수단은, 상기 살수 노즐을 관통하여, 상기 유출로에 연통되는 복수의 미스트 조임공과, 원추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동일 소용돌이상의 복수의 소용돌이면을 갖는 복수의 미스트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각 미스트 조임공은, 상기 유출로측으로부터 축경하면서 상기 살수 노즐을 관통하는 원추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소용돌이면은,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측면에 교차하여 원추 바닥 평면 및 원추 상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원추 바닥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추 상면을 향하여 축경하면서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미스트 가이드는, 상기 원추 측면 및 상기 미스트 조임공의 원추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상기 원추 상면으로부터 상기 각 미스트 조임공 내에 삽입되고, 상기 각 소용돌이면 및 상기 원추 내주면의 사이에, 소용돌이상의 복수의 미스트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각 미스트 조임공 내에 장착되고, 상기 각 미스트 유로는, 상기 미스트 조임공 내에 개구되고, 상기 유출로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13 은, 상기 미스트 발생 수단은, 원추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동일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을 갖는 복수의 미스트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은,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측면에 교차하여 상기 원추 바닥 평면 및 상기 원추 상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중심선을 대칭점으로 하여 점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추 바닥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추 상면을 향하여 축경하면서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미스트 가이드는, 상기 원추 측면 및 상기 미스트 조임공의 원추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상기 원추 상면으로부터 상기 각 미스트 조임공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및 상기 원추 내주면의 사이에,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는, 상기 미스트 조임공 내에 개구되고, 상기 유출로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 에 기재된 샤워 헤드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1 에서는, 샤워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액체를 유입로에 유입하고, 유입로로부터 유출로에 액체를 유입한다. 액체는, 유출로로부터 정류 피스의 각 액 조임공 내로 유출된다. 각 액 조임공은, 유출로로부터 유출된 액체를 기포 혼입 공소 내에 분사한다. 각 액 조임공은, 액체를 살수 노즐판을 향하여 기포 혼입 공소 내에 분사한다. 액체는, 기포 혼입 공소 내 (살수 원통부 내) 에 있어서, 살수 원통부의 통 중심선과 평행한 흐름 (정류) 으로 살수 노즐 및 정류 노즐 원판의 사이로 분사된다.
기포 혼입 공소에 액체를 분사하면, 액체의 흐름에 의해, 각 공기 도입로로부터 공기가 기포 혼입 공소 내에 도입된다. 공기는, 각 정류 피스판의 돌출단 및 정류 노즐 원판 사이의 기포 혼입 공소 내로 유출 (분사) 된다. 공기는, 기포 혼입 공소 내에 있어서, 각 정류 피스판의 사이로 유입 (분사) 된다.
각 액 조임공으로부터 분사되는 액체, 및 각 공기 도입로로부터 유출 (분사) 되는 공기는, 기포 혼입 공소 내에서 혼합된다. 기포 혼입 공소 내에 있어서, 액체 및 공기는, 각 정류 피스판의 돌출단측에서 난류가 되어, 각 정류 피스판 및 살수 노즐판 사이에 혼입 간극으로 유출된다.
이에 의해, 기포 혼입 공소 내의 혼입 간극에 있어서, 액체에 혼합된 공기는 난류에 의해,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로 분쇄 (전단) 된다.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는, 액체에 혼입 및 용해된다.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가 혼입된 기포 혼입 액체는, 각 기포액 분사공으로부터 외부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청구항 1 에서는, 정류 피스의 각 액 조임공, 각 정류 피스판, 및 각 공기 도입로에 의해, 충분한 마이크로 단위 및 나노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울트라 파인 버블) 를 액체에 혼입,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국제 표준화 기구 (ISO) 의 국제 규격 「ISO20480-1」 에는, 1 마이크로 미터 이상 ∼ 100 마이크로 미터 (㎛) 의 기포를 「마이크로 버블」, 1 마이크로 미터 미만의 기포를 「울트라 파인 버블」 이라고 정하고 있다 (이하, 동일).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2 에서는, 각 액 조임공으로부터 각 정류 피스판의 사이에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3 에서는, 각 액 조임공으로부터 4 개의 각 정류 피스판의 사이에 액체를 균등하게 분사할 수 있고, 4 개의 각 정류 피스판에 의해, 충분한 마이크로 단위 및 나노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울트라 파인 버블) 를 액체에 혼입, 용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4 에서는, 각 정류 피스판의 흐름 경사면에 의해, 각 액 조임공으로부터 분사되는 액체 (정류) 를 각 정류 피스판의 돌출단에 유도함으로써, 액체 및 공기를 난류로 하여 혼입 간극에 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5 에서는, 각 액 조임공으로부터 기포 혼입 공소의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6 에서는, 각 공기 도입로로부터 각 정류 피스판의 사이에 균등하게 공기를 유출 (분사)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7 에서는, 각 공기 도입로로부터 정류 노즐 원판에 인접하여 공기를 기포 혼입 공소 내로 유출 (분사) 할 수 있고, 공기를 각 액 조임공으로부터의 분사와 동시에 액체에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8 에서는, 유로 전환 수단에 의해, 각 액 조임공 및 유출로를 접속 (연통) 하거나, 또는 각 미스트 조임공 및 유출로를 접속 (연통) 할 수 있다.
각 미스트 조임공 및 유출로를 접속하여, 샤워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액체를 유입로에 유입하고, 유입로로부터 유출로에 액체를 유입한다. 액체는, 유출로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 유출된다. 액체는, 각 미스트 조임공 내에 있어서, 소용돌이상의 각 미스트 유로를 흘러,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 유출된다. 또한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부터 미스트상의 액적을 외부로 분사한다.
액체는, 소용돌이상의 각 미스트 유로를 흐르는 것에 의해 승압되어, 각 미스트 유로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 분사된다. 이에 의해, 각 미스트 유로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 분사되는 액체는, 고압이고 난류가 된다. 또한, 각 미스트 조임공으로부터 미스트상의 액적이 분사되면, 각 미스트 조임공의 출구측 (미스트상의 액적을 분사한 측) 에서 부압 상태가 된다.
각 미스트 조임공의 출구측을 부압 상태로 함으로써, 각 미스트 유로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 분사된 고압 및 난류의 액체는, 각 미스트 조임공의 출구 부분을 통과할 때, 감압에 의한 기포 석출과, 분사시에 혼입된 공기가 난류에 의해 분쇄 (전단) 되어,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가 혼입, 용해된 미스트상의 액적이 된다.
기포가 혼입된 미스트상의 액적은, 각 미스트 조임공으로부터 외부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청구항 8 에서는, 각 미스트 가이드 및 각 미스트 조임공에 의해,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가 혼입, 용해된 미스트상의 액적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9 에서는, 복수이고 최소의 미스트 유로 (소용돌이면) 에 의해, 액체를 충분한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을 점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는, 원추 상면에서 대향 (대치) 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 분사되는 고압 상태의 액체를 원추 상면에서 서로 충돌시킴으로써, 충분한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가 혼입, 용해된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10 에서는, 유출로로부터 유출된 액체를 살수 원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산하여, 각 미스트 조임공 내 (각 미스트 유로 내) 로 유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11 에서는, 각 미스트 가이드를 가이드 링에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유출로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내에 액체를 유입해도, 각 미스트 가이드는, 액체의 흐름에 의해,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 들어가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12 에서는, 샤워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액체를 유입로에 유입하고, 유입로로부터 유출로에 액체를 유입한다. 액체는, 유출로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 유출된다. 액체는, 각 미스트 조임공 내에 있어서, 소용돌이상의 각 미스트 유로를 흘러,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 유출된다. 또한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부터 미스트상의 액적을 외부로 분사한다.
액체는, 소용돌이상의 각 미스트 유로를 흐르는 것에 의해 승압되어, 각 미스트 유로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 분사된다. 이에 의해, 각 미스트 유로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 분사되는 액체는, 고압이고 난류가 된다. 또한, 각 미스트 조임공으로부터 미스트상의 액적이 분사되면, 각 미스트 조임공의 출구측 (미스트상의 액적을 분사한 측) 에서 부압 상태가 된다.
각 미스트 조임공의 출구측을 부압 상태로 함으로써, 각 미스트 유로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내에 분사된 고압 및 난류의 액체는, 각 미스트 조임공의 출구 부분을 통과할 때, 감압에 의한 기포 석출과, 분사시에 혼입된 공기가 난류에 의해 분쇄 (전단) 되어,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가 혼입, 용해된 미스트상의 액적이 된다.
기포가 혼입된 미스트상의 액적은, 각 미스트 조임공으로부터 외부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청구항 12 에서는, 각 미스트 가이드 및 각 미스트 조임공에 의해,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가 혼입, 용해된 미스트상의 액적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구항 13 에서는, 복수이고 최소의 미스트 유로 (소용돌이면) 에 의해, 액체를 충분한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을 점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는, 원추 상면에서 대향 (대치) 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내로 분사되는 고압 상태의 액체를 원추 상면에서 서로 충돌시킴으로써, 충분한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가 혼입, 용해된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 은 샤워 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샤워 위치 (P1)).
도 2 는 도 1 의 A-A 단면도이다 (샤워 위치 (P1)).
도 3 은 도 2 의 B-B 화살표도이다 (샤워 위치).
도 4 는 샤워 헤드에 있어서, 샤워 본체, 유로 전환 수단 (전환 핸들, 전환 베이스, 시일 패킹, 각 시일 링, 전환 밸브 시트체, 전환 밸브체, 고정 볼트 나사, 코일 스프링), 살수 노즐, 기포액 발생 수단 (정류 피스), 미스트 발생 수단 (미스트 가이드, 가이드 링) 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샤워 본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은 샤워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샤워 본체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C-C 단면도이다.
도 9 는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측 사시도, (b) 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10 은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핸들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 은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측면도, (b) 는 도 10 의 D-D 단면도이다.
도 12 는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핸들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13 은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측 사시도, (b) 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14 는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면도, (b) 는 하면도이다.
도 15 는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측면도, (b) 는 도 14 의 E-E 단면도이다.
도 16 은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밸브 시트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측 사시도, (b) 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17 은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밸브 시트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면도, (b) 는 하면도이다.
도 18 은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밸브 시트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측면도, (b) 는 도 17(a) 의 F-F 단면도이다.
도 19 는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밸브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측 사시도, (b) 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20 은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밸브체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1 은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밸브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각 원통 밸브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하면도, (b) 는 제 1 및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22 는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밸브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제 1 핸들 규제 돌기부로부터 본 측면도, (b) 는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23 은 도 20 의 G-G 단면도이다.
도 24 는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밸브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도 20 의 H-H 단면도, (b) 는 도 20 의 I-I 단면도이다.
도 25 는 도 22(b) 의 J-J 단면도이다.
도 26 은 유로 전환 수단의 핸들 유닛 (전환 핸들 및 전환 베이스) 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7 은 유로 전환 수단의 핸들 유닛 (전환 핸들 및 전환 베이스) 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28 은 유로 전환 수단의 핸들 유닛 (전환 핸들 및 전환 베이스) 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9 는 도 26 의 K-K 단면도이다.
도 30 은 유로 전환 수단의 핸들 유닛 (전환 핸들 및 전환 베이스) 을 샤워 본체 내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1 은 도 30 의 L-L 화살표도이다.
도 32 는 도 30 의 M-M 단면도이다.
도 33 은 유로 전환 수단의 고정 볼트 나사, 및 코일 스프링을 샤워 본체 내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4 는 도 33 의 N-N 화살표도이다.
도 35 는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밸브 시트체를 전환 베이스 내 (샤워 본체 내) 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6 은 도 35 의 O-O 화살표도이다.
도 37 은 도 35 의 P-P 단면도이다.
도 38 은 유로 전환 수단의 전환 밸브체를 전환 핸들 내 (샤워 본체 내) 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9 는 도 38 의 Q-Q 화살표 시각도이다.
도 40 은 도 38 의 R-R 단면도이다.
도 41 은 도 38 의 S-S 단면도이다.
도 42 는 살수 노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측 사시도, (b) 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43 은 살수 노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면도, (b) 는 도 43(a) 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4 는 살수 노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측면도, (b) 는 도 43(a) 의 T-T 단면도이다.
도 45 는 살수 노즐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46 은 기포액 발생 수단의 정류 피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측 사시도, (b) 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47 은 기포액 발생 수단의 정류 피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면도, (b) 는 도 46(a) 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8 은 기포액 발생 수단의 정류 피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정류 피스판, 흐름 경사면을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 (b) 는 측면도, (c) 는 도 48(b) 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9 는 기포액 발생 수단의 정류 피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하면도, (b) 는 도 47(a) 의 U-U 단면도이다.
도 50 은 정류 피스를 살수 노즐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면도, (b) 는 하면도이다.
도 51 은 도 50(a) 의 V-V 단면도로서, (a) 는 정류 피스 및 살수 원통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정류 피스판 및 살수 노즐판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2 는 미스트 발생 수단의 미스트 링체 (가이드 링 및 미스트 가이드)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측 사시도, (b) 는 도 52(a) 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3 은 미스트 발생 수단의 미스트 링체 (가이드 링 및 미스트 가이드) 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54 는 미스트 발생 수단의 미스트 링체 (가이드 링 및 미스트 가이드)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면도, (b) 는 측면도이다.
도 55 는 미스트 발생 수단의 미스트 링체 (가이드 링 및 미스트 가이드)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하면도, (b) 는 도 54(a) 의 W-W 단면도이다.
도 56 은 미스트 링체 (가이드 링 및 미스트 가이드) 를 살수 노즐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면도, (b) 는 하면도이다.
도 57 은 미스트 링체 (가이드 링 및 미스트 가이드) 를 살수 노즐에 조립한 상태의 도면으로서, (a) 는 도 56(a) 의 X-X 단면도, (b) 는 도 57(a) 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8 은 도 2 의 일부 확대도이다 (샤워 위치 (P1)).
도 59 는 도 2 의 일부 확대도이다 (샤워 위치 (P1)).
도 60 은 도 59 의 일부 확대도이다 (샤워 위치 (P1)).
도 61 은 샤워 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미스트 위치 (P2)).
도 62 는 도 61 의 a-a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미스트 위치 (P2))
도 63 은 도 62 의 b-b 단면도이다 (미스트 위치 (P2)).
도 64 는 도 62 의 c-c 단면도이다 (미스트 위치 (P2)).
도 65 는 도 62 의 d-d 단면도이다 (미스트 위치 (P2)).
도 66 은 도 62 의 일부 확대도로서, 미스트 조임공 및 미스트 가이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스트 위치 (P2)).
도 67 은「샤워 시험」 에 있어서, 실시예 1 의 정류 피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면도, (b) 는 하면도이다.
도 68 은「샤워 시험」 에 있어서, 실시예 2 의 정류 피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면도, (b) 는 하면도이다.
도 69 는「샤워 시험」 에 있어서, 실시예 3 의 정류 피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상면도, (b) 는 하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샤워 헤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9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샤워 헤드 (X) 는, 액체에 공기 (기포) 를 혼입하여 기포 혼입 액체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액체로부터 기포를 혼입한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하여, 기포액 혼입 액체 또는 미스트상 (박무상) 의 액적을 분사한다.
액체는, 물 또는 탕이다 (이하, 동일). 기포 혼입 액체는, 물 또는 탕에 공기를 혼입한 기포 혼입수 또는 기포 혼입탕으로서, 마이크로 버블 또는 울트라 파인 버블을 혼입한 물 또는 탕이다 (이하, 동일).
샤워 헤드 (X) 는, 도 1 내지 도 6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유로 전환 수단 (2), 살수 노즐 (3), 기포액 발생 수단 (4), 및 미스트 발생 수단 (5) 을 포함하여 구비한다.
샤워 본체 (1) 는,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샤워 본체 (1) 는, 핸들부 (6) 및 헤드부 (7) 를 구비하고, 핸들부 (6) 및 헤드부 (7) 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핸들부 (6) 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헤드부 (7) 는, 반구상으로 형성된다.
헤드부 (7) 는, 도 5 내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구단 (7A) 측을 핸들부 (6) 의 타단 (6B) 에 위치시켜 배치된다. 헤드부 (7) 는, 핸들부 (6) 측으로 기울여 핸들부 (6) 의 타단 (6B) 에 고정된다.
헤드부 (7) 는, 도 5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공간 (7C), 및 샤워 원통부 (8) 를 갖는다.
샤워 공간 (7C) 은, 도 5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 (7) 에 동심으로 배치되어, 헤드부 (7) 의 원형단 (7B) (샤워 본체 (1) 의 타단 (1B)) 으로 개구된다. 샤워 공간 (7C) 은, 헤드부 (7) 의 중심선의 방향에 있어서, 원형단 (7B) 으로부터 반구단 (7A) 측으로 연장된다. 샤워 공간 (7C) 은,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에서 폐색된다.
샤워 원통부 (8) 는, 도 5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공간 (7C) 내에 배치된다. 샤워 원통부 (8) 는, 샤워 공간 (7C) 에 동심으로 배치된다. 샤워 원통부 (8) 는, 샤워 공간 (7C) 내에 있어서,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측에 고정되어, 헤드부 (7) 에 일체로 형성된다. 샤워 원통부 (8) 는,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측으로부터 원형단 (7B) 측으로 연장된다. 샤워 원통부 (8) 의 일방의 통단 (8A) 은, 샤워 공간 (7C) 내 (샤워 본체 (1) 의 타단 (1B)) 로 개구된다. 샤워 원통부 (8) 의 타방의 통단 (8B) 은,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에서 폐색된다.
샤워 본체 (1) 는, 도 5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로 (9), 유출로 (10), 복수 (3 개) 의 고정 돌기부 (11), 가이드 돌기부 (12), 베이스 돌기부 (13), 및 기준 돌기부 (14) 를 갖는다.
유입로 (9) 는, 도 5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공의 유로로서, 핸들부 (6) 에 형성된다. 유입로 (9) 는, 샤워 본체 (1) 의 일단 (1A) (핸들부의 일단 (6A)) 으로 개구된다. 유입로 (9) 는, 핸들부 (6) 의 통 중심선의 방향에 있어서, 핸들부 (6) 를 관통하여, 핸들부 (6) 의 타단 (6B) 으로 개구된다.
유입로 (9) 는,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측에서 유출로 (10) 내로 개구된다.
핸들부 (6) 의 일단 (6A) (샤워 본체 (1) 의 일단 (1A)) 은, 급수 호스 (도시되지 않음) 에 접속되어, 급수 호스를 통하여 액체가 유입로 (9) 에 유입된다.
유출로 (10) 는, 도 5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공의 유로로서, 헤드부 (7) 의 샤워 원통부 (8) 내에 형성된다. 유출로 (10) 는, 샤워 본체 (1) 의 타단 (1B) (샤워 원통부 (8) 의 일방의 통단 (8A)) 으로 개구된다. 유출로 (10) 는, 샤워 원통부 (8) 와 동심으로 배치되어,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측으로 연장된다. 유출로 (10) 는,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에서 폐색된다. 유출로 (10) 는,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측에서 유입로 (9) 에 연통된다. 유출로 (10) 는, 도 5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로 (9) 보다 샤워 본체 (1) 의 타단 (1B) 측 (샤워 원통부 (8) 의 일방의 통단 (8A) 측) 에 있어서, 구멍 단차부 (10A) 를 가지고 축경되어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유출로 (10) 는, 유입로 (9) 를 통하여 액체가 유입되고, 액체가 샤워 본체 (1) 의 타단 (1B) (헤드부 (7) 의 원형단 (7B)) 으로부터 유출된다.
복수의 고정 돌기부 (11) 는, 도 5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출로 (10) 내에 배치된다. 각 고정 돌기부 (11) 는, 유출로 (10) (샤워 원통부 (8)) 의 내주면으로부터 유출로 (10) 의 중심선 (A) 을 향하여 돌출되고, 및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측으로 연장된다. 각 고정 돌기부 (11) 는, 샤워 원통부 (8) 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1 의 고정 돌기부 (11) 는, 헤드부 (7) 의 최상 정상점 (7a) 에 배치된다. 다른 2 개의 고정 돌기부 (11) 는, 유출로 (10) 의 둘레 방향 (원주 방향) 에 있어서, 최상 정상점 (7a) 의 양측으로 각도 : 90 도의 간격을 두고 각 측 점에 배치된다.
가이드 돌기부 (12) 는, 도 5 내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샤워 본체 (1) 의 타단 (1B) (헤드부 (7) 의 타단 (7B)) 에 일체로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부 (12) 는, 유출로 (10) 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샤워 본체 (1) 의 타단 (1B) (헤드부 (7) 의 타단 (7B)) 으로부터 돌출된다.
베이스 돌기부 (13) 는, 도 5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원형의 원기둥으로서, 헤드부 (7) 의 유출로 (10) 내에 배치된다. 베이스 돌기부 (13) 는, 유출로 (10) 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일단을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측에 고정시켜 지지된다. 베이스 돌기부 (13) 는, 유출로 (10) 내에 있어서,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측으로부터 샤워 본체 (1) 의 타단 (1B) (헤드부 (7) 의 원형단 (7B)) 을 향하여 돌출된다.
베이스 돌기부 (13) 는, 나사공 (15) 을 갖는다. 나사공 (15) 은, 도 2, 도 5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출로 (10) 와 동심으로 배치되어, 베이스 돌기부 (13) 에 형성된다. 나사공 (15) 은, 유출로 (10) 의 중심선 (A) 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유출로 (10) 내에 개구된다.
기준 돌기부 (14) 는, 도 5 내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 (7) 에 일체로 형성된다. 기준 돌기부 (14) 는, 헤드부 (7) 의 최상 정상점 (7a) 에 배치된다. 기준 돌기부 (14) 는, 유출로 (10) 의 중심선 (A)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헤드부 (7) 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유로 전환 수단 (2) (유로 전환 유닛) 은, 도 1 내지 도 4, 도 9 내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핸들 (21), 전환 베이스 (22), 시일 패킹 (23), 시일 링 (24), 전환 밸브 시트체 (25) (전환 밸브 시트), 시일 링 (26), 전환 밸브체 (27) (전환 밸브), 복수 (1 쌍) 의 시일 링 (28), 고정 볼트 나사 (29) 및 코일 스프링 (30) 을 갖는다.
전환 핸들 (21) 은, 도 9 내지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로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전환 핸들 (21) 은, 제 1 핸들 원통부 (31), 제 2 핸들 원통부 (32), 핸들공 (33), 나사부 (34) , 복수 (1 쌍) 의 제 1 유지 홈 (35), 복수 (1 쌍) 의 제 2 유지 홈 (36), 및 핸들 돌기 (37) 를 갖는다.
제 1 핸들 원통부 (31) (소직경 원통부) 및 제 2 핸들 원통부 (32) (대직경 원통부) 는,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핸들 원통부 (31) 는, 제 2 핸들 원통부 (32) 의 일방의 통단 (32A) 으로부터 축경하여,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핸들 원통부 (32) 는, 도 9 내지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위치 (P1) 를 나타내는 샤워 돌기부 (38), 미스트 위치 (P2) 를 나타내는 미스트 돌기부 (39), 및 핸들 홈 (40) 을 갖는다.
샤워 돌기부 (38) 및 미스트 돌기부 (39) 는, 도 9 내지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핸들 (21) (제 2 핸들 원통부 (32))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9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샤워 돌기부 (38), 및 미스트 돌기부 (39) 는,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2 핸들 원통부 (32) 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핸들 홈 (40) 은, 도 9(b) 및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 홈으로서, 제 2 핸들 원통부 (32) 에 형성된다. 핸들 홈 (40) 은,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핸들 원통부 (32)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핸들 홈 (40) 은,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1 핸들 원통부 (31) 의 외측에 배치된다. 핸들 홈 (40) 은, 제 2 핸들 원통부 (32) 의 일방의 통단 (32A) 으로 개구하여 형성된다.
핸들 홈 (40) 은, 제 2 핸들 원통부 (32) 의 일방의 통단 (32A) 으로부터 타방의 통단 (32B) 을 향하여 형성되고,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의 방향으로 홈 깊이를 갖는다.
핸들공 (33) 은, 도 9, 도 10, 도 11(b)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공으로 형성된다. 핸들공 (33) 은, 전환 핸들 (21) (제 1 핸들 원통부 (31) 및 제 2 핸들 원통부 (32)) 의 통 중심선 (B) 을 중심으로 하여, 각 핸들 원통부 (31, 32)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핸들공 (33) 은,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핸들 원통부 (31) 및 제 2 핸들 원통부 (32) 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핸들공 (33) 은, 제 1 핸들 원통부 (31) 의 일방의 통단 (31A), 및 제 2 핸들 원통부 (32) 의 타방의 통단 (32B) 으로 개구한다.
핸들공 (33) 은, 도 9, 도 10, 도 11(b)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직경 구멍부 (33A), 중직경 구멍부 (33B) 및 소직경 구멍부 (33C) 를 갖는다.
대직경 구멍부 (33A) 는, 제 2 핸들 원통부 (32) 의 타방의 통단 (32B) 으로 개구된다. 중직경 구멍부 (33B) 는, 대직경 구멍부 (33A) 및 소직경 구멍부 (33C) 의 사이에 형성된다. 중직경 구멍부 (33B) 는, 대직경 구멍부 (33A) 로부터 제 1 구멍 단차부 (33D) 를 가지고 축경되어, 소직경 구멍부 (33C) 에 연속된다.
소직경 구멍부 (33C) 는, 중직경 구멍부 (33B) 로부터 제 2 구멍 단차부 (33E) 를 가지고 축경되어, 제 1 핸들 원통부 (31) 의 일방의 통단 (31A) 으로 개구한다.
나사부 (34) 는, 도 9, 도 10 및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공 (33) 의 대직경 구멍부 (33A) 에 형성된다. 나사부 (34) 는,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구멍 단차부 (33D) 로부터 제 2 핸들 원통부 (32) 의 타방의 통단 (32B) 측에 배치된다.
각 제 1 유지 홈 (35) 은, 도 9, 도 10 및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공 (33) 의 중직경 구멍부 (33B) 에 형성된다. 각 제 1 유지 홈 (35) 은, 전환 핸들 (21) (제 2 핸들 원통부 (32))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18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1 의 제 1 유지 홈 (35) 은, 전환 핸들 (21)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샤워 돌기부 (38)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각 제 1 유지 홈 (35) 은,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구멍 단차부 (33D) 및 제 2 구멍 단차부 (33E) 의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각 제 1 유지 홈 (35) 은, 전환 핸들 (21) 의 둘레 방향 (원주 방향) 으로 홈 폭 (H1) 을 가지고, 중직경 구멍부 (33B) 의 내주면으로 개구된다.
각 제 2 유지 홈 (36) 은, 도 9, 도 10 및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공 (33) 의 중직경 구멍부 (33B) 에 형성된다. 각 제 2 유지 홈 (36) 은, 전환 핸들 (21) (제 2 핸들 원통부 (32))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18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1 의 제 2 유지 홈 (36) 은, 전환 핸들 (21)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미스트 돌기부 (39)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각 제 2 유지 홈 (36) 은, 전환 핸들 (21)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각 제 1 유지 홈 (35) 의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여, 각 제 1 유지 홈 (35) 에 각도 : 9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제 2 유지 홈 (36) 은,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구멍 단차부 (33D) 로부터 제 2 구멍 단차부 (33E)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각 제 2 유지 홈 (36) 은, 전환 핸들 (21) 의 둘레 방향으로 홈 폭 (H2) 을 가지고, 중직경 구멍부 (33B) 의 내주면으로 개구된다. 제 2 유지 홈 (36) 의 홈 폭 (H2) 은, 제 1 유지 홈 (35) 의 홈 폭 (H1) 보다 협폭이다 (홈 폭 (H2) < 홈 폭 (H1)).
핸들 돌기 (37) 는, 도 9(b),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1 핸들 원통부 (31) 의 외측에 배치된다. 핸들 돌기 (37) 는, 전환 핸들 (21)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샤워 돌기부 (38)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핸들 돌기 (37) 는, 제 1 핸들 원통부 (31) 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핸들 돌기 (37) 는,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1 핸들 원통부 (31) 의 외주면으로부터 핸들 홈 (40) 까지 돌출된다.
핸들 돌기 (37) 는,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핸들 원통부 (31) 의 일방의 통단 (31A) 및 제 2 핸들 원통부 (32) 의 일방의 통단 (32A) 사이로 연장된다. 핸들 돌기 (37) 는, 제 1 핸들 원통부 (31) 의 일방의 통단 (31A) 과 면일이 되는 돌기 단면 (37A) (평단면) 을 갖는다.
전환 베이스 (22) 는, 도 13 내지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로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전환 베이스 (22) 는,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대직경 원통부),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소직경 원통부), 베이스 원환판 (47), 베이스공 (48), 고정 원통부 (49), 복수 (1 쌍) 의 제 1 리브부 (50), 복수 (1 쌍) 의 제 2 리브부 (51), 및 복수 (1 쌍) 의 베이스 돌기 (59, 60) 를 갖는다.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및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는,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으로 배치된다.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및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는,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는, 도 13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시일 홈 (53, 54) 을 갖는다.
시일 홈 (53) 은, 도 13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 홈으로 형성되고,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일방의 통단 (45A) 측에 배치된다. 시일 홈 (53) 은, 전환 베이스 (22)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통 중심선 (C)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서 형성된다. 시일 홈 (53) 은,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홈 깊이를 가지고,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외주면으로 개구된다.
시일 홈 (54) 은, 도 13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 홈으로 형성되고,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타방의 통단 (45B) 측에 배치된다. 시일 홈 (54) 은,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타방의 통단 (45B) 및 시일 홈 (53) 의 사이에 배치된다.
시일 홈 (54) 은,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서 형성되고, 시일 홈 (54) 은,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홈 깊이를 가지고,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외주면으로 개구된다.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는, 도 13(b), 도 14(b)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일방의 통단 (45A) 으로부터 축경하여,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로부터 돌출된다.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는, 복수 (3 개) 의 베이스 규제 홈 (55, 56, 57) 을 갖는다.
각 베이스 규제 홈 (55 ∼ 57) 은, 도 13, 도 14(b)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베이스 (22)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9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베이스 규제 홈 (55 ∼ 57) 은, 전환 베이스 (22)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1 의 베이스 규제 홈 (55) 의 양측에, 다른 2 의 베이스 규제 홈 (56, 57) 을 배치한다. 각 베이스 규제 홈 (56, 57) 은, 전환 베이스 (22)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 규제 홈 (55) 에 각도 : 9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베이스 규제 홈 (55, 56, 57) 은,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일방의 통단 (45A), 및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의 일방의 통단 (46A) 의 사이로 연장되고,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의 일방의 통단 (46A) 으로 개구된다.
각 베이스 규제 홈 (55 ∼ 57) 은,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홈 깊이를 가지고,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의 외주면으로 개구된다.
베이스 원환판 (47) 은, 도 13 내지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베이스 (22)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통 중심선 (C) 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베이스 원환판 (47) 은,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타방의 통단 (45B) 에 고정되고,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에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 원환판 (47) 은,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베이스공 (48) 은, 도 13(a), 도 14 및 도 1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공으로 형성된다. 베이스공 (48) 은,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및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베이스공 (48) 은,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을 중심으로 하여,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베이스공 (48) 은, 소직경 구멍부 (48A) 및 대직경 구멍부 (48B) 를 갖는다. 소직경 구멍부 (48A) 는,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를 관통하여, 베이스 원환판 (47) 으로 개구된다. 대직경 구멍부 (48B) 는, 소직경 구멍부 (48A) 로부터 구멍 단차부 (48C) 를 가지고 확경하여,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의 일방의 통단 (46A) 으로 개구된다.
고정 원통부 (49) 는, 도 13 내지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내에 배치된다. 고정 원통부 (49) 는, 전환 베이스 (22)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의 통 중심선 (C) 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고정 원통부 (49) 는,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환상 공간 (Y) 을 두고,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내에 배치된다. 고정 원통부 (49) 는,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의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공 (48) 의 구멍 단차부 (48C) 로부터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의 일방의 통단 (46A) 측으로 연장되고,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의 일방의 통단 (46A) 으로부터 돌출된다. 고정 원통부 (49) 는, 베이스공 (48) 의 구멍 단차부 (48C) 와 면일이 되는 통 단면 (49A) (평단면) 을 갖는다.
고정 원통부 (49) 는, 도 13(b), 도 14 및 도 1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 수납공 (58) 을 갖는다. 볼트 수납공 (58) 은,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 원통부 (49)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볼트 수납공 (58) 은,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의 방향에 있어서, 고정 원통부 (49) 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볼트 수납공 (58) 은, 도 13(b), 도 14 및 도 1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직경 구멍부 (58A), 소직경 구멍부 (58B) 및 중직경 구멍부 (58C) 를 갖는다.
볼트 수납공 (58) 에 있어서, 대직경 구멍부 (58A) 는, 고정 원통부 (49) 의 일방의 통 단면 (49A) 으로 개구하여, 베이스공 (48) 의 소직경 구멍부 (48A) 에 연통된다. 소직경 구멍부 (58B) 는, 대직경 구멍부 (58A) 및 중직경 구멍부 (58C) 의 사이에 배치된다. 소직경 구멍부 (58B) 는, 대직경 구멍부 (58A) 로부터 축경하여 형성된다. 중직경 구멍부 (58C) 는, 소직경 구멍부 (58B) 로부터 확경하여, 고정 원통부 (49) 의 타방의 통단 (49B) 으로 개구된다.
각 제 1 리브부 (50) 는, 도 13, 도 14 및 도 1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공 (48) 의 대직경 구멍부 (48B) 에 있어서,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및 고정 원통부 (49) 의 사이 (환상 공간 (Y)) 에 배치된다.
각 제 1 리브부 (50) 는, 전환 베이스 (22)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18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제 1 리브부 (50) 에 있어서, 1 의 제 1 리브부 (50) 는, 베이스 규제 홈 (55) (1 의 베이스 규제 홈) 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각 제 1 리브부 (50) 는,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의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공 (48) 의 구멍 단차부 (48C) 및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의 일방의 통단 (46A) 의 사이로 연장된다. 각 제 1 리브부 (50) 는,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및 고정 원통부 (49) 에 고정되어,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및 고정 원통부 (49) 와 일체로 형성된다. 각 제 1 리브부 (50) 는, 전환 베이스 (22) 의 둘레 방향으로 리브 폭 (hA) 을 가지고 형성된다.
각 제 1 리브부 (50) 는, 고정 원통부 (49) 의 통 단면 (49A) (구멍 단차부 (48C)) 과 면일이 되는 리브 평면 (50A) 을 갖는다.
각 제 2 리브부 (51) 는, 도 13, 도 14 및 도 1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공 (48) 의 대직경 구멍부 (48B) 에 있어서,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및 고정 원통부 (49) 의 사이 (환상 공간 (Y)) 에 배치된다.
각 제 2 리브부 (51) 는, 전환 베이스 (22)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18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제 2 리브부 (51) 는, 전환 베이스 (22)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각 제 1 리브부 (50)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고, 각 베이스 규제 홈 (56, 57) (다른 2 의 베이스 규제 홈) 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각 제 2 리브부 (51) 는,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의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공 (48) 의 구멍 단차부 (48C) 및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의 일방의 통단 (46A) 의 사이로 연장된다. 각 제 2 리브부 (51) 는,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및 고정 원통부 (49) 에 고정되어, 각 베이스 원통부 (45, 46) 및 고정 원통부 (49) 와 일체로 형성된다. 각 제 2 리브부 (51) 는, 전환 베이스 (22) 의 둘레 방향으로 리브 폭 (hB) 을 가지고 형성된다. 각 제 2 리브부 (51) 의 리브 폭 (hB) 은, 각 제 1 리브부 (50) 의 리브 폭 (hA) 보다 광폭이다 (리브 폭 (hB) > 리브 폭 (hA)).
각 제 2 리브부 (51) 는, 고정 원통부 (49) 의 통 단면 (49A) (구멍 단차부 (48C)) 과 면일이 되는 리브 평면 (51A) 을 갖는다.
이에 의해, 환상 공간 (Y) 에 있어서, 각 제 1 리브부 (50) 및 제 2 리브부 (51) 의 둘레 방향의 사이에는, 도 13(b) 및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4 개) 의 베이스 유입로 (Z) 가 구획된다. 각 베이스 유입로 (Z) 는,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공 (48) 의 대직경 구멍부 (48B) 및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의 일방의 통단 (46A) 으로 개구한다.
각 베이스 돌기 (59, 60) 는, 도 13(a), 도 14(a) 및 도 1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타방의 통단 (45B) 측, 및 베이스 원환판 (47) 에 고정되어,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및 베이스 원환판 (47) 에 일체로 형성된다.
각 베이스 돌기 (59, 60) 는,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공 (48) (소직경 구멍부 (48A)) 및 베이스 원환판 (47) 의 외주면의 사이에 배치된다.
각 베이스 돌기 (59) 는, 전환 베이스 (22)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18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베이스 돌기 (59, 60) 는,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을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공 (48) 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 상 (동심원 상) 에 배치된다.
각 베이스 돌기 (59, 60) 는,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타방의 통단 (45B) 및 베이스 원환판 (47) 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1 의 베이스 돌기 (59) 는, 도 1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베이스 (22) 의 둘레 방향 (원주 방향) 에 있어서, 각 베이스 규제 홈 (55, 56) 의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 돌기 (59) 는,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에 직교하여 베이스 규제 홈 (55) 의 중심을 통과하는 베이스 세로 직선 (LX) 에 베이스 간격 (HA) 을 사이에 두는 제 1 베이스 규제 평면 (59A) 을 갖는다. 제 1 베이스 규제 평면 (59A) 은, 베이스 세로 직선 (LX) 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베이스 돌기 (59) 는, 전환 베이스의 통 중심선 (C) (베이스 세로 직선 (LX)) 에 직교하여 각 베이스 규제 홈 (56, 57) 의 중심을 통과하는 베이스 가로 직선 (LY) 에 베이스 간격 (HA) 을 사이에 두는 제 2 베이스 규제 평면 (59B) 을 갖는다. 제 2 베이스 규제 평면 (59B) 은, 베이스 가로 직선 (LY) 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다른 1 의 베이스 돌기 (60) 는, 도 1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베이스 (22) 의 둘레 방향 (원주 방향) 에 있어서, 각 베이스 규제 홈 (56, 57) 의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 돌기 (60) 는, 베이스 가로 직선 (LY) 에 베이스 간격 (HB) 을 사이에 두는 제 3 베이스 규제 평면 (60A) 을 갖는다. 제 3 베이스 규제 평면 (60A) 은, 베이스 가로 직선 (LY) 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베이스 돌기 (60) 는, 베이스 세로 직선 (LX) 에 베이스 간격 (HB) 을 사이에 두는 제 4 베이스 규제 평면 (60B) 을 갖는다. 제 4 베이스 규제 평면 (60B) 은, 베이스 세로 직선 (LX) 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베이스 간격 (HB) 은, 베이스 간격 (HA) 과 동일한 치수 (간격) 이다 (베이스 간격 HA = HB).
시일 패킹 (23) 은, 도 4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고무 등의 탄성재로 원환상으로 형성된다. 시일 패킹 (23) 은, 전환 베이스 (22) 의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에 외부 끼움되어, 시일 홈 (54) 내에 장착된다. 시일 패킹 (23) 은,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시일 홈 (54) 내에 배치된다.
시일 링 (24) 은, 도 4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고무 등의 탄성재로 원환상으로 형성된다. 시일 링 (24) 은, 전환 베이스 (22) 의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에 외부 끼움되어, 시일 홈 (53) 내에 장착된다. 시일 링 (24) 은,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시일 홈 (53) 내에 배치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전환 밸브 시트) 는, 도 16 내지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로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는, 밸브 시트 원통부 (62), 밸브 시트 원판 (63), 복수 (1 쌍) 의 밸브 시트공 (64, 65), 복수 (1 쌍) 의 제 1 규제 돌기 (66), 복수 (1 쌍) 의 제 2 규제 돌기 (67), 복수 (1 쌍) 의 스프링 수납 돌기부 (68) 를 갖는다.
밸브 시트 원통부 (62) 는, 도 16, 도 17(b) 및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외직경 : D1 은, 도 15(b) 및 도 1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공 (48) (전환 베이스 (22)) 의 소직경 구멍부 (68A) 의 구멍 직경 : d1 보다 소직경이다 (외직경 : D1 < 구멍 직경 : d1).
밸브 시트 원통부 (62) 는, 도 16 내지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홈 (69) 을 갖는다. 시일 홈 (69) 은, 환상 홈으로 형성되고, 전환 밸브 시트체 (25)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통 중심선 (D)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여, 밸브 시트 원통부 (62)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시일 홈 (69) 은,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서 형성된다. 시일 홈 (69) 은, 전환 밸브 시트체 (25)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통 중심선 (D)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홈 깊이를 가지고,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외주면으로 개구된다.
밸브 시트 원판 (63) 은, 도 1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외직경 : D1 과 동일한 판 직경을 가지고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밸브 시트 원판 (63) 은, 전환 밸브 시트체 (25)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통 중심선 (D) 을 중심으로 하여, 밸브 시트 원통부 (62)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밸브 시트 원판 (63) 은,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일방의 통단 (62A) 을 폐색하여, 밸브 시트 원통부 (62) 에 일체로 형성된다.
각 밸브 시트공 (64, 65) 은, 도 1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 직경 : d4 의 원형공으로서, 밸브 시트 원판 (63) 에 형성된다. 각 밸브 시트공 (64, 65) 은, 도 1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통 중심선 (D) 을 중심으로 하는 원 직경 : D5 의 원 (CA) 상 (동심원 상) 에 배치된다. 각 밸브 시트공 (64, 65) 은, 구멍 중심선 (E) 을 원 (CA) 상에 위치시켜 배치된다.
각 밸브 시트공 (64, 65) 은, 도 16(a) 및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 시트체 (25)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18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밸브 시트공 (64, 65) 은,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통 중심선 (D) 의 방향에 있어서, 밸브 시트 원판 (63) 을 관통하여, 밸브 시트 원판 (63) 의 판 표면 평면 (63A) 및 판 이면 평면 (63B) 으로 개구된다. 각 밸브 시트공 (64, 65) 은, 밸브 시트 원통부 (62) 내로 연통된다.
각 제 1 규제 돌기 (66) 는, 도 16, 도 17(b) 및 도 1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 시트체 (25)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통 중심선 (D) 을 중심으로 하여, 각 밸브 시트공 (64) 및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외주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원 상 (동심원 상) 에 배치된다. 각 제 1 규제 돌기 (66) 는, 밸브 시트공 (64) 측에 위치하여,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타방의 통단 (62B) 에 일체로 형성된다.
각 제 1 규제 돌기 (66) 는,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통 중심선 (D) 에 직교하여, 각 밸브 시트공 (64, 65) 의 구멍 중심선 (E) 을 통과하는 밸브 시트 직선 (LB) 의 양측에 배치된다. 각 제 1 규제 돌기 (66) 는, 도 1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 직선 (LB) 에 간격 : HC/2 를 두고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각 제 1 규제 돌기 (66) 는, 도 1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둘레 방향으로 삽입 간격 : HC 를 두고 배치된다. 삽입 간격 (HC) 은, 각 제 1 리브부 (50) (전환 베이스 (22)) 의 리브 폭 (hA) 보다 넓고, 및 각 제 2 리브부 (51) 의 리브 폭 (hB) 보다 좁은 간격이다 (리브 폭 (hA) < 삽입 간격 (HC) < 리브 폭 (hB)).
각 제 1 규제 돌기 (66) 는,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통 중심선 (D) 의 방향에 있어서,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타방의 통단 (62B) 으로부터 돌출되어, 밸브 시트 원판 (63) 으로부터 이간하면서 연장된다.
각 제 2 규제 돌기 (67) 는, 도 17(b) 및 도 1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규제 돌기 (66) 와 동일 원 상에 배치되고, 각 제 2 규제 돌기 (67) 는,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각 제 1 규제 돌기 (66) 에 각도 : 18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밸브 시트공 (65) 측에 위치한다.
각 제 2 규제 돌기 (67) 는, 밸브 시트 직선 (LB) 의 양측에 배치된다. 각 제 2 규제 돌기 (67) 는, 밸브 시트 직선에 간격 : HC/2 를 두고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각 제 2 규제 돌기 (67) 는,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둘레 방향으로 삽입 간격 : HC 를 두고 배치된다.
각 제 2 규제 돌기 (67) 는,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통 중심선 (D) 의 방향에 있어서,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타방의 통단 (62B) 으로부터 돌출되어, 밸브 시트 원판 (63) 으로부터 이간하면서 연장된다.
각 스프링 수납 돌기부 (68) 는, 도 16(b), 도 17(b) 및 도 1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 원통부 (62) 내에 위치하여, 각 밸브 시트공 (64, 65) 의 사이에 배치된다. 각 스프링 수납 돌기부 (68) 는,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18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스프링 수납 돌기부 (68) 는,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통 중심선 (D) 을 중심으로 하여, 밸브 시트 원통부 (62)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각 스프링 수납 돌기부 (68) 는, 도 1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통 중심선 (D) (중심선) 으로부터 반경 : r2 를 갖는 호상으로 형성된다. 각 스프링 수납 돌기부 (68) 의 반경 : r2 는,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통 중심선 (D) 및 밸브 시트공 (64) 의 사이의 간격 (거리) 보다 소직경이다.
각 스프링 수납 돌기부 (68) 는, 밸브 시트 원판 (63) 에 일체로 형성된다. 각 스프링 수납 돌기부 (68) 는,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통 중심선 (D) 의 방향에 있어서, 밸브 시트 원판 (63) 의 판 이면 평면 (63B) 으로부터 밸브 시트 원통부 (62) 내로 돌출된다.
시일 링 (26) 은, 도 4 및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고무 등의 탄성재로 원환상으로 형성된다. 시일 링 (26) 은,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밸브 시트 원통부 (62) 에 외부 끼움되어, 시일 홈 (69) 내에 장착된다. 시일 링 (26) 은,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시일 홈 (69) 내에 배치된다.
전환 밸브체 (27) 는, 도 19 내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로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전환 밸브체 (27) 는,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대직경 원통부), 밸브체 원환판 (72),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소직경 원통부), 밸브체 원판 (74), 중심 원통부 (75), 복수 (1 쌍) 의 원통 밸브체 (76, 77), 복수 (1 쌍) 의 밸브체 유로 (78, 79), 복수 (1 쌍) 의 제 1 밸브체 돌기부 (80), 복수 (1 쌍) 의 제 2 밸브체 돌기부 (81), 복수의 외측 유출공 (82), 복수 (1 쌍) 의 제 1 핸들 규제 돌기부 (83), 및 복수 (1 쌍) 의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 (85) 를 갖는다.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는, 도 19 내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외직경 : D2 는, 도 10 및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공 (33) (전환 핸들 (21)) 의 중직경 구멍부 (33B) 의 구멍 직경 : d2 보다 소직경이다 (외직경 : D2 < 구멍 직경 : d2).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내직경 : d3 은, 도 17(a) 및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 원통부 (62) 및 밸브 시트 원판 (63)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외직경 : D1 보다 대직경이다 (내직경 : d3 > 외직경 : D1).
밸브체 원환판 (72) 은, 도 19 내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상으로 형성된다. 밸브체 원환판 (72) 은,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와 동일한 외직경 : D2 를 갖는다.
밸브체 원환판 (72) 은, 전환 밸브체 (27)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통 중심선 (F)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밸브체 원환판 (72) 은,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일방의 통단 (71A) 을 폐색하여,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는, 도 19 내지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체 (27)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통 중심선 (F) 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에 동심으로 배치된다.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는, 밸브체 원환판 (72) 의 내주를 따라 배치되어, 밸브체 원환판 (72) 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는,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의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 원환판 (72) 으로부터 돌출된다.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의 외직경 (D3) 은,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내직경 : d3 보다 소직경이다 (외직경 : D3 < 내직경 : d3).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는, 샤워 유출공 (87) 을 갖는다. 샤워 유출공 (87) 은,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샤워 유출공 (87) 은, 전환 밸브체 (27)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통 중심선 (F) 의 방향에 있어서,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샤워 유출공 (87) 은,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의 일방의 통단 (73A), 및 타방의 통단 (73B) 으로 개구한다.
샤워 유출공 (87) 은, 도 19(a), 도 20, 도 23 및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직경 구멍부 (87A) 및 소직경 구멍부 (87B) 를 갖는다. 대직경 구멍부 (87A) 는,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의 돌출측의 통단 (73A) (일방의 통단) 으로 개구된다. 소직경 구멍부 (87B) 는, 대직경 구멍부 (87A) 로부터 구멍 단차부 (87C) 를 가지고 축경되어,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의 타방의 통단 (73B) 으로 개구된다.
밸브체 원판 (74) 은, 도 19 내지 도 21, 및 도 23 내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밸브체 원판 (74) 은,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밸브체 원판 (74) 은,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의 소직경 구멍부 (83B) 내에 배치되어,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의 타방의 통단 (73B) 을 폐색한다. 밸브체 원판 (74) 은,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에 일체로 형성된다.
중심 원통부 (75) 는, 도 19(b), 도 20, 및 도 23 내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을 중심으로 하여, 각 밸브체 원통부 (71, 73)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중심 원통부 (75) 는,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내 (샤워 유출공 (87) 내) 에 배치된다. 중심 원통부 (75) 는,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환상 공간을 두고 각 밸브체 원통부 (71, 73) 의 중심에 배치된다.
중심 원통부 (75) 는, 도 23 및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통단 (75A) 을 밸브체 원판 (74) 의 판 이면 평면 (74B) 에 고정시켜, 밸브체 원판 (74) 과 일체로 형성된다. 중심 원통부 (75) 는,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의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 원판 (74) 의 판 이면 평면 (74B) 으로부터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내로 연장된다. 중심 원통부 (75) 는,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로부터 돌출된다.
각 원통 밸브체 (76, 77) 는, 도 19(b), 및 도 21 내지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각 원통 밸브체 (76, 77) 는,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내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내) 에 배치된다.
각 원통 밸브체 (76, 77) 는, 도 2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체 (27)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통 중심선 (F) 을 중심으로 하여, 중심 원통부 (75) 및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의 사이에 위치하는 원 직경 : D6 의 원 (CB) 상 (동심원 상) 에 배치된다. 각 원통 밸브체 (76, 77) 는, 통 중심선 (G) 을 원 (CB) 에 위치시켜, 중심 원통부 (75) 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각 원통 밸브체 (76, 77) 를 배치하는 원 (CB) 의 원 직경 : D6 은, 각 밸브 시트공 (64, 65) 을 배치하는 원 (CA) 의 원 직경 : D5 와 동일하다 (원 직경 (D6) = 원 직경 : (D5)).
각 원통 밸브체 (76, 77) 는, 중심 원통부 (75) 와 일체로 형성된다.
각 원통 밸브체 (76, 77) 는, 밸브체 원판 (74) 의 판 이면 평면 (74B) 에 고정되어, 밸브체 원판 (74) 과 일체로 형성된다. 각 원통 밸브체 (76, 77) 는, 전환 밸브체 (27)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통 중심선 (F) 의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 원판 (74) 의 판 이면 평면 (74B) 으로부터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내로 연장된다. 각 원통 밸브체 (76, 77) 는,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로부터 돌출된다.
각 원통 밸브체 (76, 77), 및 중심 원통부 (75) 에 있어서,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로부터 돌출되는 통단 (76A, 77A, 75A) 은, 면일의 평단면에 형성된다.
원통 밸브체 (76) 는, 도 19(b), 도 20, 도 21(a) 및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공 (88) 및 시일 홈 (89) 을 갖는다.
밸브체공 (88) 은, 도 19(b), 도 20, 도 21(a),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 직경 : d5 의 원형공으로 형성된다. 밸브체공 (88) 은, 원통 밸브체 (76) 의 통 중심선 (G) 을 중심으로 하여, 원통 밸브체 (76)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밸브체공 (88) 은, 원통 밸브체 (76) 의 통 중심선 (G) (중심선) 의 방향에 있어서, 원통 밸브체 (76) 의 일방의 통단 (76A) 으로부터 밸브체 원판 (74) 까지 연장되어, 원통 밸브체 (76) 의 일방의 통단 (76A) 으로 개구한다. 밸브체공 (88) 은, 원통 밸브체 (76) 의 통 중심선 (G)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 원판 (84) 으로 폐색된다.
밸브체공 (88) 의 구멍 직경 : d5 는, 각 밸브 시트공 (64, 65) 의 구멍 직경 : d4 보다 대직경이다 (구멍 직경 : d5 < 구멍 직경 : d4).
시일 홈 (89) 은, 도 19(b) 및 도 2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 홈으로서, 원통 밸브체 (76) 의 일방의 통단 (76A) 측에 형성된다. 시일 홈 (89) 은, 원통 밸브체 (76) 의 통 중심선 (G) 을 중심으로 하여, 원통 밸브체 (76)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시일 홈 (89) 은, 원통 밸브체 (76) 의 통 중심선 (G)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공 (88) 의 외측에 배치된다. 시일 홈 (89) 은, 원통 밸브체 (76) 의 통 중심선 (G) 의 방향으로 홈 깊이를 가지고, 원통 밸브체 (76) 의 일방의 통단 (76A) 으로 개구된다.
원통 밸브체 (77) 는, 도 19(b), 도 20, 도 21(a),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공 (90) 및 시일 홈 (91) 을 갖는다.
밸브체공 (90) 은, 도 19(b), 도 20, 도 21(a),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 직경 : d5 의 원형공으로 형성된다. 밸브체공 (90) 은, 원통 밸브체 (77) 의 통 중심선 (G) 을 중심으로 하여, 원통 밸브체 (77)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밸브체공 (90) 은, 원통 밸브체 (77) 의 통 중심선 (G) (중심선) 의 방향에 있어서, 원통 밸브체 (77) 의 일방의 통단 (77A) 으로부터 밸브체 원판 (74) 까지 연장되어, 원통 밸브체 (77) 의 일방의 통단 (77A) 으로 개구한다. 밸브체공 (90) 은, 원통 밸브체 (77) 의 통 중심선 (G) 의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 원판 (74) 으로 폐색된다.
시일 홈 (91) 은, 도 19(a) 및 도 2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 홈으로서, 원통 밸브체 (77) 의 일방의 통단 (77A) 측에 형성된다. 시일 홈 (91) 은, 원통 밸브체 (77) 의 통 중심선 (G) 을 중심으로 하여, 원통 밸브체 (77)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시일 홈 (91) 은, 원통 밸브체 (77) 의 통 중심선 (G)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공 (90) 의 외측에 배치된다. 시일 홈 (91) 은, 원통 밸브체 (77) 의 통 중심선 (G) 의 방향으로 홈 깊이를 가지고, 원통 밸브체 (77) 의 일방의 통단 (77A) 으로 개구된다.
밸브체 유로 (78) 는, 도 19(a), 도 20, 도 21(a), 및 도 22 내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유출공 (87) 의 소직경 구멍부 (87B) 내에 있어서, 밸브체 원판 (74) 에 형성된다. 밸브체 유로 (78) 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과 직교하여 각 원통 밸브체 (76, 77) 의 통 중심선 (G) 을 통과하는 밸브체 가로 직선 (LC) 에 있어서, 밸브체 가로 직선 (LC) 을 경계로 하는 일방측의 밸브체 원판 (74) (위 절반의 밸브체 원판 (74)) 에 형성된다.
밸브체 유로 (78) 는, 원통 밸브체 (76) 의 일방의 통단 (76A) 측에 있어서, 밸브체공 (88) 내에 개구된다. 밸브체 유로 (78) 는, 밸브체공 (88) 으로 개구하는 원통 밸브체 (76) 의 일방의 통단 (76A) 측으로부터 밸브체 원판 (74) 의 판 표면 평면 (74A) 을 향하여 경사지면서, 중심 원통부 (75) 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연장된다.
밸브체 유로 (78) 는, 전환 밸브체 (27)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공 (88) 으로 개구하는 원통 밸브체 (76) 의 일방의 통단 (76A) 측으로부터 각도 : 90 도의 간격을 사이에 두는 원통 밸브체 (77) 상 (밸브체공 (90) 상) 까지 연장되어, 원통 밸브체 (77) 상에서 밸브체 원판 (74) 의 판 표면 평면 (74A) 에 위치한다.
밸브체 유로 (78) 는, 원통 밸브체 (76) 의 일방의 통단 (76A) 측 및 원통 밸브체 (77) 의 사이에 있어서, 밸브체 원판 (74) 의 판 표면 평면 (74A) 으로 개구되어, 샤워 유출공 (87) 의 소직경 구멍부 (87B) 에 연통된다.
밸브체 유로 (78) 는, 밸브체 원판 (74) 의 위 절반에 있어서, 중심 원통부 (75) 에 인접하는 밸브체 원판 (74) 의 일부분을, 중심 원통부 (75) 의 외주면을 따라 원통 밸브체 (76) 의 일방의 통단 (76A) 측으로 나선상으로 오목하게 하여 (또는 나선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밸브체 유로 (78) 는, 원통 밸브체 (76) 의 일방의 통단 (76A) 측으로부터 중심 원통부 (75) 의 외주면을 따라 원통 밸브체 (77) 상 (밸브체공 (90) 상) 에 이르는 나선상의 유로로 형성된다.
밸브체 유로 (79) 는, 도 19(a), 도 20, 도 21(a), 및 도 22 내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유출공 (87) 의 소직경 구멍부 (87B) 내에 있어서, 밸브체 원판 (74) 에 형성된다. 밸브체 유로 (79) 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 가로 직선 (LC) 을 경계로 하는 타방측의 밸브체 원판 (74) (아래 절반의 밸브체 원판 (74)) 에 형성된다.
밸브체 유로 (79) 는, 원통 밸브체 (77) 의 일방의 통단 (77A) 측에 있어서, 밸브체공 (90) 내에 개구된다. 밸브체 유로 (79) 는, 밸브체공 (90) 으로 개구하는 원통 밸브체 (77) 의 일방의 통단 (77A) 측으로부터 밸브체 원판 (74) 의 판 표면 평면 (74A) 을 향하여 경사지면서, 중심 원통부 (75) 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연장된다.
밸브체 유로 (79) 는, 전환 밸브체 (27)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공 (90) 으로 개구하는 원통 밸브체 (77) 의 일방의 통단 (77A) 측으로부터 각도 : 90 도의 간격을 사이에 두는 원통 밸브체 (76) 상 (밸브체공 (88) 상) 까지 연장되어, 원통 밸브체 (76) 상에서 밸브체 원판 (74) 의 판 표면 평면 (74A) 에 위치한다.
밸브체 유로 (79) 는, 원통 밸브체 (77) 의 일방의 통단 (77A) 측 및 원통 밸브체 (76) 의 사이에 있어서, 밸브체 원판 (74) 의 판 표면 평면 (74A) 으로 개구되어, 샤워 유출공 (87) 의 소직경 구멍부 (87B) 에 연통된다.
밸브체 유로 (79) 는, 밸브체 원판 (74) 의 아래 절반에 있어서, 중심 원통부 (75) 에 인접하는 밸브체 원판 (74) 의 일부분을, 중심 원통부 (75) 의 외주면을 따라 원통 밸브체 (77) 의 일방의 통단 (77A) 측에 나선상으로 오목하게 하여 (또는 나선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밸브체 유로 (79) 는, 원통 밸브체 (77) 의 일방의 통단 (77A) 측으로부터 중심 원통부 (75) 의 외주면을 따라 원통 밸브체 (76) 상 (밸브체공 (88) 상) 에 이르는 나선상의 유로로 형성된다.
각 제 1 밸브체 돌기부 (80) 는, 도 19 내지 도 22,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에 형성된다. 각 밸브체 돌기부 (80) 는, 전환 밸브체 (27)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180 도의 간격을 두고, 밸브체 가로 직선 (LC) 에 배치된다. 각 제 1 밸브체 돌기부 (80) 는,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중심선) 과 직교하는 방향 (밸브체 가로 직선 (LC) 의 방향) 에 있어서,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각 제 1 밸브체 돌기부 (80) 의 돌출량은, 각 제 1 유지 홈 (35) (전환 핸들 (21)) 의 홈 깊이보다 작게 된다.
각 제 1 밸브체 돌기부 (80) 는, 전환 밸브체 (27)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 가로 직선 (LC) 의 양측으로 hC/2 를 가지고, 돌기 폭 : hC 로 형성된다. 각 제 1 밸브체 돌기부 (80) 의 돌기 폭 (hC) 은, 각 제 1 유지 홈 (35) (전환 핸들 (21)) 의 홈 폭 (hA) 보다 작게 된다.
각 제 1 밸브체 돌기부 (80) 는, 도 19, 도 22 및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로부터 각 원통 밸브체 (76, 77) 의 일방의 통단 (76A, 77A) 측으로 연장된다.
각 제 2 밸브체 돌기부 (81) 는, 도 19 내지 도 23,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에 형성된다. 각 제 2 밸브체 돌기부 (81) 는, 전환 밸브체 (27)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180 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제 2 밸브체 돌기부 (81) 는,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및 밸브체 가로 직선 (LC) 과 직교하는 밸브체 세로 직선 (LD) 에 배치된다. 각 제 2 밸브체 돌기부 (81) 는,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과 직교하는 방향 (밸브체 세로 직선 (LD) 의 방향) 에 있어서,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각 제 2 밸브체 돌기부 (81) 의 돌출량은, 각 제 2 유지 홈 (36) (전환 핸들 (21)) 의 홈 깊이보다 작게 된다.
각 제 2 밸브체 돌기부 (81) 는, 전환 밸브체 (27)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 세로 직선 (LD) 의 양측으로 hD/2 를 가지고, 돌기 폭 ; hD 로 형성된다. 각 제 2 밸브체 돌기부 (81) 의 돌기 폭 : hD 는, 각 제 2 유지 홈 (36) (전환 핸들 (21)) 의 홈 폭 : hB 보다 작게 된다.
복수의 외측 유출공 (82) 은, 도 19 내지 도 21, 및 도 23 내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2 구멍을 밸브체 원환판 (72) 에 형성하여 구성된다. 각 외측 유출공 (82) 은,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는 원 상 (동심원 상) 에 배치된다. 각 외측 유출공 (82) 은, 전환 밸브체 (27) 의 둘레 방향으로 등 각도 (등 피치), 예를 들어, 각도 : 30 도의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외측 유출공 (82) 은,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의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 원환판 (72) 을 관통하여, 밸브체 원환판 (72) 의 판 표면 평면 (72A) 및 판 이면 평면 (72B) 으로 개구된다.
이에 의해, 각 외측 유출공 (82) 은, 각 원통 밸브체 (76, 77) 의 외측에 있어서,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내에 연통된다.
각 제 1 핸들 규제 돌기부 (83) 는, 도 19(b), 도 21(b), 도 22, 도 24(b)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 원환판 (72) 의 판 이면 평면 (72B), 및 밸브체 원판 (74) 의 판 이면 평면 (74B) 에 걸쳐서 형성된다.
각 제 1 핸들 규제 돌기부 (83) 는, 원통 밸브체 (76) 의 외주면 및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내주면의 사이로 연장되어, 원통 밸브체 (76) 및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와 일체로 형성된다.
각 제 1 핸들 규제 돌기부 (83) 는, 전환 밸브체 (27)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 가로 직선 (LC) 의 양측에 배치된다. 각 제 1 핸들 규제 돌기부 (83) 는, 밸브체 가로 직선 (LC) 에 밸브체 간격 (HD) 을 사이에 두는 밸브체 규제 평면 (83A) 을 갖는다. 밸브체 규제 평면 (83A) 은, 밸브체 가로 직선 (LC) 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밸브체 간격 (HD) 은, 각 베이스 돌기 (59, 60) (전환 베이스 (22)) 의 베이스 간격 (HA, HB) 과 동일하다.
각 제 1 핸들 규제 돌기부 (83) 는,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의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 원환판 (72) 의 판 이면 평면 (72B) 및 밸브체 원판 (74) 의 판 이면 평면 (74B) 으로부터 원통 밸브체 (76) 의 일방의 통단 (76A) 측으로 돌출된다.
각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 (85) 는, 도 19(b), 도 21(b), 도 22(b)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 원환판 (72) 의 판 이면 평면 (72B), 및 밸브체 원판 (74) 의 판 이면 평면 (74B) 에 걸쳐서 형성된다.
각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 (85) 는, 원통 밸브체 (77) 의 외주면 및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의 내주면의 사이로 연장되어, 원통 밸브체 (77) 및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와 일체로 형성된다.
각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 (85) 는, 전환 밸브체 (27)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 가로 직선 (LC) 의 양측에 배치된다. 각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 (85) 는, 밸브체 가로 직선 (LC) 에 밸브체 간격 (HD) 을 사이에 두는 밸브체 규제 평면 (85A) 을 갖는다. 밸브체 규제 평면 (85A) 은, 밸브체 가로 직선 (LC) 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각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 (85) 는,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의 방향에 있어서, 밸브체 원환판 (72) 의 판 이면 평면 (72B) 및 밸브체 원판 (74) 의 판 이면 평면 (74B) 으로부터 원통 밸브체 (77) 의 일방의 통단 (77A) 측으로 돌출된다.
각 시일 링 (28) 은, 도 4 및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고무 등의 탄성재로 원환상으로 형성된다.
각 시일 링 (28) 은, 각 원통 밸브체 (76, 77) 의 시일 홈 (89, 91) 내에 장착된다. 각 시일 링 (28) 은, 각 원통 밸브체 (76, 77) 의 통단 (76A, 77A) 으로부터 돌출되어 각 시일 홈 (89, 91) 내에 배치된다.
유로 전환 수단 (2) 은, 도 30 내지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의 샤워 공간 (7C) 내, 및 유출로 (10) 내 (샤워 원통부 (8) 내) 에 수납 (배치) 된다.
유로 전환 수단 (2) 에 있어서, 전환 베이스 (22) 는, 도 26 내지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핸들 (21) 내에 삽입하여 핸들 유닛 (HU) 에 조립된다.
전환 베이스 (22) 는, 도 26, 도 27 및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의 일방의 통단 (46A) 으로부터 전환 핸들 (21) 의 핸들공 (33) 내 (대직경 구멍부 (33A) 내) 에 삽입된다.
전환 베이스 (22) 는, 베이스 원환판 (47) 을 전환 핸들 (21) 의 중직경 구멍부 (33B) 내에 삽입하고, 제 1 베이스 원통부 (45) 및 시일 패킹 (23) 을 전환 핸들 (21) 의 소직경 구멍부 (33C) 내에 삽입하여 배치된다. 전환 베이스 (22) 는, 도 26 내지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의 제 1 리브부 (50) 및 베이스 규제 홈 (55) 을 전환 핸들 (21) 의 핸들 돌기 (37) 에 위치하는 제 1 유지 홈 (35), 핸들 돌기 (37) 및 샤워 돌기부 (38)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여, 핸들공 (33) 내에 삽입된다.
전환 베이스 (22) 는, 핸들공 (33) 의 중직경 구멍부 (33B) 내에 있어서, 베이스 원환판 (47) 을 전환 핸들 (21) 의 제 2 구멍 단차부 (33E) 에 맞닿음하여, 전환 핸들 (21) 과 동심으로 재치 (載置) 된다.
전환 베이스 (22) 를 전환 핸들 (21) 에 재치하면, 전환 베이스 (22) 의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의 일방의 통단 (46A), 및 시일 링 (24) (시일 홈 (54)) 은, 전환 핸들 (21) 의 제 1 핸들 원통부 (31) 의 일방의 통단 (31A) 으로부터 돌출되어,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전환 베이스 (22) 를 전환 핸들 (21) 에 재치하면, 시일 패킹 (23) 은,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핸들 (21) 의 소직경 구멍부 (33C) (핸들공 (33)) 의 내주면에 압접되어, 핸들공 (33) 의 소직경 구멍부 (33C) 를 액밀하게 한다. 시일 패킹 (23) 은, 탄성력에 의해, 전환 베이스 (22) 의 베이스 원환판 (47) 의 외주면, 및 전환 핸들 (21) 의 중직경 구멍부 (33B) 의 사이에 간극을 갖는다.
이에 의해, 전환 핸들 (21) 은, 전환 베이스 (22) 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전환 핸들 (21) 은, 핸들공 (33) 의 소직경 구멍부 (33C) 를 전환 베이스 (22) 의 시일 패킹 (23) 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회전된다.
전환 핸들 (21) 의 대직경 구멍부 (33A) (핸들공 (33)) 는,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베이스 (22) 의 소직경 구멍부 (48A) (베이스공 (48)) 를 통하여 각 베이스 유입로 (Z) 에 연통된다.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돌기 (59, 60) 는, 도 26 및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핸들 (21) 의 중직경 구멍부 (33B) 내 (핸들공 (33) 내) 에 돌출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유로 전환 수단 (2) 은, 전환 베이스 (22) 를 전환 핸들 (21) 에 재치하여, 핸들 유닛 (HU) 에 조립한다.
유로 전환 수단 (2) 에 있어서, 핸들 유닛 (HU) (전환 핸들 (21) 및 전환 베이스 (22)) 은, 도 30 내지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의 샤워 공간 (7C) 및 유출로 (10) 내 (샤워 원통부 (8) 내) 에 배치된다.
핸들 유닛 (HU) 은,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베이스 (22) 의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로부터 샤워 본체 (1) (헤드부 (7)) 의 샤워 공간 (7C) 내, 및 유출로 (10) 내에 삽입된다. 핸들 유닛 (HU) 은, 유출로 (10) (샤워 원통부 (8)) 의 중심선 (A) 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핸들 유닛 (HU) 은, 도 30 내지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핸들 (21) 의 샤워 돌기부 (38), 핸들 돌기 (37), 1 의 제 1 유지 홈 (35), 및 전환 베이스 (22) 의 베이스 규제 홈 (55) 을 헤드부 (7) 의 기준 돌기부 (14) (최상 정상점 (7a))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여, 샤워 본체 (1) 내에 삽입된다.
핸들 유닛 (HU) 은, 전환 베이스 (22) 의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를 통단 (46A) 으로부터 샤워 원통부 (8) 내 (유출로 (10) 내) 에 삽입하고, 전환 핸들 (21) 의 제 1 핸들 원통부 (31) 를 가이드 돌기부 (12) 내 및 샤워 공간 (7C) 내에 삽입한다.
핸들 유닛 (HU) 에 있어서, 전환 베이스 (22) 의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는,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베이스 규제 홈 (55, 56, 57) 내에 샤워 본체 (1) 의 각 고정 돌기부 (11) 를 삽입하여, 샤워 원통부 (8) 내 (유출로 (10) 내) 에 수납된다.
이에 의해, 전환 베이스 (22) 는, 헤드부 (7) 에 회전 불능으로 하여, 샤워 본체 (1) 에 장착된다.
전환 베이스 (22) 의 제 1 리브부 (50) 는, 도 30 내지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의 기준 돌기부 (14)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핸들 유닛 (HU) 에 있어서, 전환 베이스 (22) 의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는, 시일 링 (24) 을 샤워 원통부 (8) (유출로 (10)) 의 내주면에 압접하여 유출로 (10) 내에 삽입된다. 핸들 유닛 (HU) 은,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의 일방의 통단 (46A) 을 유출로 (10) 의 구멍 단차부 (10C) 에 맞닿음하여, 핸들부 (6) 에 재치된다.
핸들 유닛 (HU) 에 있어서, 전환 베이스 (22) 의 고정 원통부 (49) 는,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출로 (10) 내 (샤워 원통부 (8) 내) 에 삽입되어, 볼트 수납공 (58) 의 중직경 구멍부 (58C) 내에 샤워 본체 (1) 의 베이스 돌기부 (13) 를 압입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전환 베이스 (22) 의 볼트 수납공 (58) 은, 베이스 돌기부 (13) 의 나사공 (15) 에 연통된다.
핸들 유닛 (HU) 에 있어서, 전환 핸들 (21) 은,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핸들 원통부 (31) 를 샤워 본체 (1) 의 가이드 돌기 (12) 내 및 샤워 공간 (7C) 내에 삽입한다. 전환 핸들 (21) 은, 핸들 홈 (40) 내에 샤워 본체 (1) 의 가이드 돌기부 (12) 를 삽입하여 배치된다. 샤워 본체 (1) 의 가이드 돌기 (12) 는, 전환 핸들 (21) 에 접촉하지 않고, 핸들 홈 (40) 내에 삽입된다. 전환 핸들 (21) 은, 핸들 돌기 (37) 의 돌기 단면 (37A) 을 샤워 원통부 (8) 의 일방의 통단 (8A) 에 맞닿음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핸들 유닛 (HU) 을 샤워 본체 (1) 의 샤워 공간 (7C) 내 및 유출로 (10) 내에 배치하면,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유입로 (Z) 는, 도 30 내지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 (7) 의 반구단 (7A) 측에서 유출로 (10) 내에 연통되고, 및 유출로 (10) 를 통하여 핸들부 (6) 의 유입로 (9) 내에 연통된다.
핸들 유닛 (HU) 에 있어서, 전환 핸들 (21) 의 중직경 구멍부 (33B) 는, 도 30 내지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유입로 (Z) 및 소직경 구멍부 (48A) (베이스공 (48)) 를 통하여 유출로 (10) 내에 연통된다.
유로 전환 수단 (2) 은, 도 33 및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유닛 (HU) (전환 핸들 (21) 및 전환 베이스 (22)) 을 샤워 본체 (1) 내 (샤워 공간 (7C) 내 및 유출로 (10) 내) 에 배치하면, 고정 볼트 나사 (29) 로 전환 베이스 (22) 를 샤워 본체 (1) (헤드부 (7)) 에 고정시킨다.
고정 볼트 나사 (29) 는, 도 33 및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베이스 (22) 의 고정 원통부 (49) 내에 삽입된다.
고정 볼트 나사 (29) 는, 볼트 나사 (29A) 를 고정 원통부 (49) 의 대직경 구멍부 (58A) 및 소직경 구멍부 (58B) (볼트 수납공 (58)) 에 삽입하여, 베이스 돌기부 (13) (샤워 본체 (1)) 의 나사공 (15) 에 나착한다. 고정 볼트 나사 (29) 는, 볼트 헤드부 (29B) 를 고정 원통부 (49) 의 대직경 구멍부 (58A) 에 삽입하여, 구멍 단차부 (58D) 에 맞닿음하여 배치된다.
고정 볼트 나사 (29) 를 회동하여, 전환 베이스 (22) 의 제 2 베이스 원통부 (46) 를 베이스 돌기부 (13) 에 단단히 조인다.
이에 의해, 핸들 유닛 (HU) 에 있어서, 전환 베이스 (22) 는,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볼트 나사 (29) 로 샤워 본체 (1) (헤드부 (7)) 에 고정된다.
핸들 유닛 (HU) 에 있어서, 전환 핸들 (21) 은, 샤워 본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핸들 유닛 (HU) 의 전환 베이스 (22) 에 있어서, 베이스 돌기 (59) 의 제 1 베이스 규제 평면 (59A) 은,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의 샤워 돌기부 (38) 에 베이스 간격 (HA) 을 두고 배치된다.
유로 전환 수단 (2) 은, 도 33 및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유닛 (HU) 의 전환 베이스 (22) 를 고정 볼트 나사 (29) 로 샤워 본체 (1) 에 고정시키면, 코일 스프링 (30) 을 전환 베이스 (22) 에 배치한다.
코일 스프링 (30) 은, 도 33 및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출로 (10) 의 중심선 (A) 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전환 베이스 (22) 내에 삽입된다. 코일 스프링 (30) 은, 고정 원통부 (49) (전환 베이스 (22)) 에 있어서, 볼트 수납공 (58) 의 대직경 구멍부 (58A) 내에 삽입된다. 코일 스프링 (30) 은, 고정 볼트 나사 (29) 의 볼트 헤드부 (29B) 에 외부 끼움되어, 볼트 수납공 (58) 의 대직경 구멍부 (58A) 내에 삽입된다. 코일 스프링 (30) 은, 일방의 스프링단을 볼트 수납공 (58) 의 구멍 단차부 (58D) 에 맞닿음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코일 스프링 (30) 은, 도 33 및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출로 (10) 의 중심선 (A)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의 방향에 있어서, 고정 원통부 (49) 의 구멍 단차부 (58D) 로부터 전환 베이스 (22) 의 소직경 구멍부 (48A) 내 (베이스공 (48) 내) 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유로 전환 수단 (2) 에 있어서, 전환 밸브 시트체 (25) 는, 도 35 내지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내에 배치된 핸들 유닛 (HU) (전환 베이스 (22)) 에 수납 (배치) 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는, 도 35 내지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선 (C) 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제 1 및 제 2 규제 돌기 (66, 67) 로부터 전환 베이스 (22) 의 소직경 구멍부 (48A) 내 (베이스공 (48) 내) 에 삽입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는, 각 제 1 규제 돌기 (66) 의 사이 (베이스 간격 (HA)), 및 각 제 2 규제 돌기 (67) 의 사이 (베이스 간격 (HA)) 에 전환 베이스의 각 제 1 리브부 (50) 를 위치시켜, 전환 베이스 (22) 의 소직경 구멍부 (48A) 내에 삽입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는, 도 35 내지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 원판 (63) 및 밸브 시트 원통부 (61) 를 전환 베이스 (22) 의 소직경 구멍부 (48A) 내 (베이스공 (48) 내) 에 삽입하여, 전환 베이스 (22) 내에 배치된다. 이 때, 전환 밸브 시트체 (25) (밸브 시트 원통부 (62)) 의 시일 링 (26) 은, 베이스공 (48) 의 소직경 구멍부 (48A) 의 내주면에 압접되어, 소직경 구멍부 (48A) 를 액밀하게 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는, 도 35 및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30) 의 타방의 스프링단측을 각 스프링 수납 돌기부 (68) 내에 수납하고, 및 코일 스프링 (30) 의 타방의 스프링단을 밸브 시트 원판 (63) 의 판 이면 평면 (63B) 에 맞닿음하여, 전환 베이스 (22) 의 소직경 구멍부 (48A) 내에 삽입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는, 각 스프링 수납 돌기부 (68) 내에 수납한 코일 스프링 (30) 을 전환 베이스 (22) 측으로 압축하여, 전환 베이스 (22) 의 소직경 구멍부 (48A) 내에 삽입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는, 도 35 및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규제 돌기 (66) 의 사이에 전환 베이스 (22) 의 제 1 리브부 (50) 를 압입하고, 및 각 제 2 규제 돌기 (67) 의 사이에 전환 베이스 (22) 의 제 1 리브부 (50) 를 압입하여, 전환 베이스 (22) 의 소직경 구멍부 (48A)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전환 밸브 시트체 (25) 는, 전환 베이스 (22) 및 샤워 본체 (1) (헤드부 (7)) 에 회전 불능이 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는, 전환 베이스 (22) 의 통 중심 (C) 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은, 도 5 내지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의 기준 돌기부 (14), 및 전환 핸들 (21) 의 샤워 돌기부 (38)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전환 베이스 (22) 의 소직경 구멍부 (48A) 에 연통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은, 도 36 및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유입로 (Z) 를 통하여 유출로 (10), 및 유입로 (9) 에 연통된다.
유로 전환 수단 (2) 에 있어서, 전환 밸브체 (27) (전환 밸브) 는, 도 38 내지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에 장착한 핸들 유닛 (HU) 내 (전환 핸들 (21) 내) 에 배치된다.
전환 밸브체 (27) 는, 도 38 내지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각 원통 밸브체 (76, 77) (각 제 1 및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 (83, 85)) 로부터 전환 핸들 (21) 의 대직경 구멍부 (33A) 내 및 중직경 구멍부 (33B) 내 (핸들공 (33) 내) 에 삽입된다.
전환 밸브체 (27) 는, 도 38 및 도 3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밸브체 원통부 (71) 를 전환 핸들 (21) 의 중직경 구멍부 (33B) 내 (핸들공 (33) 내) 에 삽입하여, 핸들 유닛 (HU) 의 전환 핸들 (21) 내에 배치된다.
전환 밸브체 (27) 는, 도 38, 도 39 및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밸브체 돌기부 (80) 를 전환 핸들 (21) 의 각 제 1 유지 홈 (35) 내에 삽입하고, 및 각 제 2 밸브체 돌기부 (81) 를 전환 핸들 (21) 의 각 제 2 유지 홈 (36) 내에 삽입하여, 핸들 유닛 (HU) 의 전환 핸들 (21)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전환 밸브체 (27) 는, 전환 핸들 (21) 에 회전 불능으로 장착되고, 전환 핸들 (21) 과 함께 회전된다.
전환 밸브체 (27) 는, 도 38 및 도 4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원통 밸브체 (76, 77) 를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밸브 시트 원판 (63) 의 판 표면 평면 (63A) 에 맞닿음하여, 전환 핸들 (21) 내에 배치된다. 각 원통 밸브체 (76, 77) 는, 각 시일 링 (28) 을 개재하여 밸브 시트 원판 (63) 의 판 표면 평면 (63A) 에 맞닿음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에 있어서, 밸브 시트 원판 (63) 은, 도 6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30) 의 스프링 힘에 의해, 각 원통 밸브체 (76, 77) 의 시일 링 (28) 에 탄성 지지된다.
전환 밸브체 (27) 는, 도 38 내지 도 4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밸브체 돌기부 (80) 를 전환 핸들 (21) 의 각 제 1 유지 홈 (35) 내에 삽입함으로써, 각 원통 밸브체 (76, 77) 를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전환 밸브체 (27) 의 각 원통 밸브체 (76, 77) 는, 도 68 및 도 7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밸브체공 (88, 90) 을 각 밸브 시트공 (64, 65) 으로 개구한다.
각 원통 밸브체 (76, 77) (각 밸브체공 (88, 90)) 는,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유로 (Z) 를 통하여, 유출로 (10) 및 유입로 (9) 에 연통된다.
전환 밸브체 (27) 는, 도 38, 도 39 및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밸브체 돌기부 (80) 를 전환 핸들 (21) 의 각 제 1 유지 홈 (35) 내에 삽입함으로써, 1 의 제 1 핸들 규제 돌기부 (83) 의 밸브체 규제 평면 (83A) 을 전환 베이스 (22) 의 베이스 돌기 (59) (제 1 베이스 규제 평면 (59A)) 에 맞닿음하고, 및 1 의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 (85) 의 밸브체 규제 평면 (85A) 을 전환 베이스 (22) 의 베이스 돌기 (60) (제 4 베이스 규제 평면 (60B)) 에 맞닿음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전환 핸들 (21) 및 전환 밸브체 (27) 는,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돌기 (59, 60) 의 사이에 있어서, 각도 : 90 도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전환 밸브체 (27) 에 있어서,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는, 도 38 및 도 3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핸들 (21) 의 대직경 구멍부 (33A) 내에 개구되고, 각 밸브체 유로 (78, 79) (밸브체 원판 (74) 의 판 표면 평면 (74A)) 를 전환 핸들 (21) 의 대직경 구멍부 (33A) 내 (핸들공 (33) 내) 에 연통한다.
전환 밸브체 (27) 의 각 밸브체 유로 (78, 79) 는, 각 밸브체공 (88, 90),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및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유로 (Z) 를 통하여, 유출로 (10) 및 유입로 (9) 에 연통된다.
각 밸브체 유로 (78, 79) 는,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의 샤워 유출공 (87) 을 통하여, 전환 핸들 (21) 의 대직경 구멍부 (33A) (핸들공 (33)) 에 연통된다.
전환 밸브체 (27) 에 있어서, 각 외측 유출공 (82) 은, 도 38 및 도 3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 원환판 (72) 및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밸브체 원판 (74) 의 사이에 개구되고, 및 전환 핸들 (21) 의 대직경 구멍부 (33A) 내 (핸들공 (33) 내) 로 개구된다.
이에 의해, 각 외측 유출공 (82) 은, 전환 밸브체 (27)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유입로 (Z) 를 통하여, 유출로 (10) 및 유입로 (9) 에 연통된다.
이와 같이, 유로 전환 수단 (2) 은, 도 30 ∼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내 (헤드부 (7) 내) 에 배치되어, 샤워 본체 (1) 에 장착된다.
샤워 헤드 (X) 에 있어서, 살수 노즐 (3) (산액 노즐) 은, 도 1 내지 도 4, 도 42 내지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의 타단 (1B) (헤드부 (7) 의 원형단 (7B)) 에 장착된다.
살수 노즐 (3) 은, 도 42 내지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로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살수 노즐 (3) 은, 노즐 외측 원통부 (95), 살수 노즐판 (96), 살수 원통부 (97) (노즐 내측 원통부), 복수의 기포액 분사공 (98) 및 시일 링 (103) 을 갖는다.
노즐 외측 원통부 (95) 는, 도 42, 도 44 및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직경으로 형성되고,
시일 홈 (99) 및 나사부 (100) 를 갖는다.
시일 홈 (99) 은, 도 42 및 도 4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 홈으로 형성되고,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에 있어서,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일방의 통단 (95A) 측에 배치된다. 시일 홈 (99) 은, 살수 노즐 (3)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통 중심선 (H)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여, 노즐 외측 원통부 (95) 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서 형성된다. 시일 홈 (99) 은,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홈 깊이를 가지고,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외주면으로 개구된다.
나사부 (100) 는, 도 42, 도 44 및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에 있어서,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타방의 통단 (95B) 측에 배치된다. 나사부 (100) 는,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에 있어서, 시일 홈 (99) 및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타방의 통단 (95B) 의 사이에 배치된다. 나사부 (100) 는,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서 형성된다.
살수 노즐판 (96) (산액 노즐판) 은, 도 42 내지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판으로 형성된다. 살수 노즐판 (96) 은,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을 중심으로 하여, 노즐 외측 원통부 (95)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살수 노즐판 (96) 은,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외직경과 동일한 판 직경 : D7 을 가지고,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일방의 통단 (95A) 을 폐색한다.
살수 노즐판 (96) 은,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일방으로 통단 (95A) 에 고정되고, 노즐 외측 원통부 (95) 와 일체로 형성된다.
살수 원통부 (97) 는, 도 42(b), 도 44(b) 및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살수 원통부 (97) (산액 원통부) 는,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을 중심으로 하여, 노즐 외측 원통부 (95) 및 살수 노즐판 (96) 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살수 원통부 (97) 는,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내주면의 사이에 미스트 환상 공간 (YM) 을 두고, 노즐 외측 원통부 (95) 내에 배치된다.
살수 원통부 (97) 는, 일방의 통단 (97A) 을 살수 노즐판 (96) 으로 폐색하여, 살수 노즐판 (96) 에 일체로 형성된다. 살수 원통부 (97) 는,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에 있어서, 살수 노즐판 (96) 의 판 이면 평면 (96B) 으로부터 노즐 외측 원통부 (95) 내로 돌출된다.
살수 원통부 (97) 는, 도 42(b), 도 44(b) 및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판 (96) 측에 있어서, 시일 단차부 (101) 를 가지고 확경하여 형성된다. 시일 단차부 (101) 는, 원상으로 형성되어,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을 중심으로 하여, 살수 원통부 (97)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살수 원통부 (97) 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서 형성된다.
살수 원통부 (97) 는, 도 42(b), 44(b) 및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공 (102) 을 갖는다.
노즐공 (102) 은, 도 44(b) 및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공으로 형성된다. 노즐공 (102) 은,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여, 살수 원통부 (97)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노즐공 (102) 은,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에 있어서, 살수 노즐판 (96) 의 판 이면 평면 (96B) 으로부터 살수 원통부 (97) 의 타방의 통단 (97B) 까지 연장되어, 타방의 통단 (97B) 으로 개구된다.
노즐공 (102) 은, 도 42(b), 도 44(b) 및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직경 구멍부 (102A), 중직경 구멍부 (102B) 및 소직경 구멍부 (102C) 를 갖는다.
대직경 구멍부 (102A) 는, 살수 원통부 (97) 의 일방의 통단 (97B) 으로 개구된다. 중직경 구멍부 (102B) 는, 대직경 구멍부 (102A) 및 소직경 구멍부 (102C) 의 사이에 배치된다. 중직경 구멍부 (102B) 는, 대직경 구멍부 (102A) 로부터 제 1 구멍 단차부 (102D) 를 가지고 축경되어, 살수 노즐판 (96) 측으로 연장된다. 소직경 구멍부 (102C) 는, 중직경 구멍부 (102B) 로부터 제 2 구멍 단차부 (102E) 를 가지고 축경되어, 살수 노즐판 (96) (판 이면 평면 (96B)) 까지 연장된다.
이에 의해, 살수 원통부 (97) 는, 액체가 타방의 통단 (97B) 으로부터 유입되는 기포 혼입 공소 (BR) 를 형성한다. 기포 혼입 공소 (BR) 는, 노즐공 (102) 으로 살수 원통부 (97) 내에 형성된다.
살수 원통부 (97) 는, 도 4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직경 구멍부 (102C) (노즐공 (102)) 의 구멍 직경 : d5, 및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으로 소직경 구멍부 (102C) 의 구멍 길이 : L1 을 갖는다.
복수의 기포액 분사공 (98) 은, 도 42, 도 43, 도 44(b) 및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의 조임공 (노즐 조임공) 으로 형성되고, 기포 혼입 공소 (BR) 내로부터 기포 혼입 액체를 분사한다.
각 기포액 분사공 (98) 은, 살수 노즐판 (96) 에 형성된다. 각 기포액 분사공 (98) 은,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에 있어서, 살수 노즐판 (96) 을 관통하여, 살수 원통부 (97) 내의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개구한다.
각 기포액 분사공 (98) 은,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여, 원 반경 (r3, r4, r5) (r3 < r4 < r5) 이 상이한 복수의 원 (CD, CE, CF) 상 (동심원 상) 에 복수 배치된다. 각 원 (CD, CE, CF) 상에 있어서, 각 기포액 분사공 (98) 은, 살수 노즐 (3) 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 (등 피치) 을 두고 배치된다.
시일 링 (103) 은, 도 44 및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고무 등의 탄성재로 원환상으로 형성된다.
시일 링 (103) 은, 노즐 외측 원통부 (95) 에 외부 끼움되어, 시일 홈 (99) 내에 장착된다. 시일 링 (103) 은,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시일 홈 (99) 내에 배치된다.
샤워 헤드 (X) 에 있어서, 기포액 발생 수단 (4) (기포 발생 유닛) 은, 액체에 공기 (기포) 를 혼입하여 기포 혼입 액체를 발생시킨다.
기포액 발생 수단 (4) 은, 도 2, 도 4 및 도 42 내지 도 4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 피스 (111), 및 복수 (3 개) 의 공기 도입로 (112) 를 구비한다.
정류 피스 (111) 는, 도 46 내지 도 4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정류 피스 (111) 는, 정류 원통부 (113), 정류 노즐 원판 (114), 정류 원환판 (115), 복수 (4 장) 의 정류 피스판 (116), 및 복수의 액 조임공 (117) 을 갖는다.
정류 원통부 (113) 는, 도 46 내지 도 4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정류 노즐 원판 (114) 은, 도 46 내지 도 4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판으로서, 정류 원통부 (113) 의 외직경과 동일한 판 직경으로 형성된다. 정류 노즐 원판 (114) 은, 정류 피스 (111) (정류 원통부 (113)) 의 통 중심선 (J)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여, 정류 원통부 (113)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정류 노즐 원판 (114) 은, 정류 원통부 (113) 의 일방의 통단 (113A) 을 폐색하여, 정류 원통부 (113) 에 고정된다. 정류 노즐 원판 (114) 은, 정류 원통부 (113) 와 일체로 형성된다.
정류 원환판 (115) 은, 도 46 내지 도 4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상으로 형성된다. 정류 원환판 (115) 은, 정류 피스 (111) 의 통 중심선 (J) 을 중심으로 하여, 정류 원통부 (113) 및 정류 노즐 원판 (114) 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정류 원환판 (115) 은, 정류 원통부 (113) 의 타방의 통단 (113B) 측에 배치된다.
정류 원환판 (115) 은, 정류 원통부 (113) 의 타방의 통단 (113B) 에 있어서, 정류 원통부 (113) 의 전체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정류 원통부 (113) 에 일체로 형성된다. 정류 원환판 (115) 은, 정류 피스 (111) (정류 원통부 (113)) 의 통 중심선 (J)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정류 원통부 (113) 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4 장의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도 46 내지 도 4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 노즐 원판 (114) 에 형성된다.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사각형상 (장방형) 으로 형성된다.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정류 노즐 원판 (114) (정류 피스 (111))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90 도의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정류 피스 (111) 의 통 중심선 (J) (중심선) 의 방향에 있어서,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표면 평면 (114A) 으로부터 판 폭 : HS 를 가지고 돌출된다.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정류 노즐 원판 (114) 에 직교하여 정류 원통부 (113) 의 타방의 통단 (113B) 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도 46(a) 및 도 4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중심선 (J) (정류 피스 (111) 의 통 중심선) 으로부터 판 길이 : LS 를 가지고,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외주면측 (정류 원통부 (113) 의 외주면측) 으로 연장된다.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중심선 (J)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외주면에 간극을 두고 연장된다.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 (정류 피스 (111) 의 둘레 방향) 으로 판 두께 : TS 를 갖는다.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도 46(a), 도 47, 도 48 및 도 4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판 평면 (116A, 116B), 및 흐름 경사면 (118) 을 갖는다.
각 정류판 평면 (116A, 116B) 은,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판 두께 : TS 를 두고 평행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흐름 경사면 (118) 은, 도 4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 피스 (111) 의 통 중심선 (J) 의 방향에 있어서,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돌출단 (116D) (일방의 판 폭단) 으로부터 일방의 정류판 평면 (116A), 및 정류 노즐 원판 (114) (판 표면 평면 (114A)) 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경사져 형성된다. 흐름 경사면 (118) 은, 예를 들어,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돌출단 (116D) 및 일방의 정류판 평면 (116A) 의 사이에 있어서, 반경 : rX 로 돌출되는 호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액 조임공 (117) 은, 도 46, 도 47 및 도 4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정류 피스판 (116) 사이의 정류 노즐 원판 (114) 에 형성된다. 각 액 조임공 (117) 은, 정류 피스 (111) 의 통 중심선 (J)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중심선 (J)) 의 방향에 있어서, 정류 노즐 원판 (114) 을 관통하여,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표면 평면 (114A) 및 판 이면 평면 (114B) 으로 개구된다. 각 액 조임공 (117) 은, 구멍 중심선 (M) 을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중심선 (J) 과 평행하게 배치하여, 정류 노즐 원판 (114) 을 관통한다. 각 액 조임공 (117) 은,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이면 평면 (114B) 으로 개구하여, 정류 원통부 (113) 내로 연통된다.
각 액 조임공 (117) 은,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중심선 (J) (정류 피스 (111) 의 통 중심선) 의 방향에 있어서,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이면 평면 (114B) 으로부터 판 표면 평면 (114A) 을 향하여 점점 축경하는 원추공으로 형성된다.
각 액 조임공 (117) 은, 도 4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중심선 (J) 을 중심으로 하여, 원 반경 : r6, r7, r8 (r6 < r7 < r8) 이 상이한 복수의 원 (CG, CH, CI) 상에 복수 배치된다.
각 원 (CG, CH, CI) 상에 있어서, 각 액 조임공 (117) 은, 정류 노즐 원판 (114) (정류 피스 (111)) 의 둘레 방향 (원주 방향) 으로 등간격 (등 피치) 으로 복수 배치된다.
정류 피스 (111) 는, 도 4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 피스 (111) 의 통 중심선 (J) 의 방향에 있어서,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돌출단 (116D) 및 정류 원통부 (113) 의 타방의 통단 (113B) 의 사이의 피스 높이 : HP 로서, 살수 원통부 (97) 의 소직경 구멍부 (102C) 의 구멍 길이 : L1 보다 작게 되어 있다.
기포액 발생 수단 (4) 에 있어서, 복수 (3 개) 의 공기 도입로 (112) 는, 도 42 내지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에 형성된다.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여, 각 기포액 분사공 (98) 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 (CJ) 상에 배치된다.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살수 노즐 (3) (살수 원통부 (97))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120 도의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살수 노즐판 (96) 의 판 표면 (96A) 으로 개구된다.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도 4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에 있어서, 살수 노즐판 (96) 의 판 표면 (96A) 으로부터 살수 원통부 (97) 의 타방의 통단 (97B) 측으로 연장된다.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살수 원통부 (97) 의 통단 (97B) 측에 있어서,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살수 원통부 (97) 를 관통한다.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살수 원통부 (97) 내의 기포 혼입 공소 (BR) 로 개구된다.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살수 원통부 (97) 의 제 2 구멍 단차부 (112E) 에 인접하여, 중직경 구멍부 (102B) 내 (노즐공 (102) 내) 로 개구된다.
기포액 발생 수단 (4) 에 있어서, 정류 피스 (111) 는, 도 50 및 도 5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내에 조립된다.
정류 피스 (111) 는,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을 중심으로 하여, 살수 원통부 (97)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정류 피스 (111) 는, 살수 원통부 (97) 의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배치된다. 정류 피스 (111) 는, 각 정류 피스판 (116) 으로부터 살수 원통부 (97) 의 노즐공 (102) 내 (대직경 구멍부 (102A) 내 및 중직경 구멍부 (102B) 내) 에 압입 (삽입) 된다.
정류 피스 (111) 에 있어서, 정류 원통부 (113) 는, 살수 원통부 (97) 의 중직경 구멍부 (102B) 내에 압입 (삽입) 된다. 정류 원통부 (113) 는,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에 있어서,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이면 평면 (114B) 및 노즐공 (102) 의 제 2 구멍 단차부 (102E) 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살수 원통부 (97) 의 중직경 구멍부 (102B) (노즐공 (102)) 에 압입 (삽입) 된다. 이 때, 정류 피스 (111) 는, 도 5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1 의 정류 피스판 (116) 을 1 의 공기 도입로 (112) 의 중앙에 배치하여, 살수 원통부 (97) 내에 압입된다.
정류 피스 (111) 에 있어서, 정류 원환판 (115) 은, 살수 원통부 (97) 의 대직경 구멍부 (102A) 에 압입 (삽입) 되어, 제 1 구멍 단차부 (102D) 에 맞닿음된다.
이에 의해, 정류 피스 (111) 에 있어서, 정류 노즐 원판 (114) 은, 도 5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에 있어서, 살수 노즐판 (96) 의 판 이면 평면 (96B) 에 간격을 두고, 살수 원통부 (97) 의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배치된다. 정류 노즐 원판 (114) 및 정류 원환판 (115) 은, 살수 원통부 (97) 의 타방의 통단 (97B) 을 액밀하게 폐색하여, 살수 원통부 (97) 에 고정된다.
정류 피스 (111) 에 있어서,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도 5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판 (96) 및 정류 노즐 원판 (114) 사이의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배치된다.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도 5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정류 피스 (111) 의 통 중심선 (J)) 의 방향에 있어서, 정류 노즐 원판 (114) 으로부터 살수 노즐판 (96) 을 향하여 돌출되어, 살수 노즐판 (96) 의 판 이면 평면 (96B) 및 돌출단 (116D) 의 사이에 혼입 간극 (GP) 을 두고 배치된다.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도 5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중심선 (J)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으로부터 살수 원통부 (97) 에 연장된다.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살수 원통부 (97) 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정류 피스 (111) 에 있어서, 각 액 조임공 (117) 은, 도 5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 중심선 (M) 을 살수 원통부 (97)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중심선) 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 액 조임공 (117) 은, 살수 노즐판 (96) 및 정류 노즐 원판 (114) 사이의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개구된다.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도 5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의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돌출단 (116D) 및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표면 평면 (114A) 의 사이에 있어서, 살수 원통부 (97) 의 통 중심선 (H)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기포 혼입 공소 (BR) 로 개구된다.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도 5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표면 평면 (114A) 에 인접하여, 기포 혼입 공소 (BR) 로 개구된다.
이에 의해,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각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중심선 (M)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공기를 유입한다.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도 44(b) 및 도 5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원통부 (97) (살수 노즐 (3)) 의 둘레 방향으로 개구 폭 (구멍 폭) (AH), 및 살수 원통부 (97)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 (H) 으로 개구 높이 (구멍 높이) : AL 을 갖는 사각형상 구멍 (장방형 구멍) 으로 하여, 기포 혼입 공소 (BR) 로 개구된다. 각 공기 도입로 (112) 에 있어서, 개구 폭 (AH) 은,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판 폭 : HS 보다 광폭이다.
이와 같이, 기포액 발생 수단 (4) 은, 도 50 및 도 5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 피스 (111) 를 살수 노즐 (3) 내 (살수 원통부 (97) 내) 에 조립하여 배치한다.
샤워 헤드 (X) 에 있어서, 미스트 발생 수단 (5) (미스트 발생 유닛) 은, 액체로부터 기포를 혼입한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한다.
미스트 발생 수단 (5) 은, 도 1 내지 도 5, 도 43 내지 도 45 및 도 52 내지 도 5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미스트 조임공 (121), 미스트 링체 (122) 및 시일 링 (130) 을 갖는다.
복수의 미스트 조임공 (121) 은, 도 42(a), 도 43, 도 44(b) 및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판 (96) (살수 노즐 (3)) 에 형성된다. 미스트 조임공 (121) 의 구멍 수는, 예를 들어, 12 구멍이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도 4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기포액 분사공 (98) 의 외측의 살수 노즐판 (96) 에 배치된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살수 노즐 (3) (살수 원통부 (97)) 의 통 중심선 (H)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여, 각 기포액 분사공 (98) 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 (CK) 상 (동심원 상) 에 배치된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살수 원통부 (97))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30 도의 등간격 (등 피치) 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미스트 조임공 (121) 은, 각 기포액 분사공 (98) (기포액 발생 수단 (4)) 의 외측의 살수 노즐 (3) 에 배치된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도 42, 도 43, 도 44(b) 및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에 있어서, 살수 노즐판 (96) 을 관통하여, 살수 노즐판 (96) 의 판 표면 (96A) 및 판 이면 평면 (96B) 으로 개구된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 방향 (H)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각 공기 도입로 (112) (각 기포액 분사공 (98)) 의 외측에 배치되어, 미스트 환상 공간 (YM) 으로 개구한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도 4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에 있어서, 살수 노즐판 (96) 의 판 이면 평면 (96B) 으로부터 판 표면 (96A) 을 향하여 점점 축경하는 원추공으로 형성된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도 4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으로 구멍 길이 : ML 을 갖는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판 (96) 의 판 표면 (96A) 에 구멍 직경 : dM, 판 이면 평면 (96B) 에 구멍 직경 : dF 를 갖는다 (구멍 직경 (dM) > 구멍 직경 : (dF)).
미스트 링체 (122) 는, 도 52 내지 도 5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 (123), 및 복수의 미스트 가이드 (124) 를 갖는다.
가이드 링 (123) 은, 도 52 내지 도 5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로 원환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링 (123) 은, 도 43 및 도 5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을 배치한 원 (CK) 과 동일한 링 직경 : D8 의 중심 원 (CL) 을 갖는다.
가이드 링 (123) 은, 도 52 내지 도 5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 돌기 (125) 를 갖는다. 가이드 돌기 (125) 의 개수는, 예를 들어, 미스트 조임공 (121) 과 동일한 수 (12 개) 이다.
각 가이드 돌기 (125) 는, 가이드 링 (123) 의 원 (CL) 상에 배치된다. 각 가이드 돌기 (125) 는, 가이드 링 (123)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30 도의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가이드 돌기 (125) 는, 미스트 링체 (122) (가이드 링 (123)) 의 중심선 (K)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링 (123) 에 일체로 형성된다.
복수의 미스트 가이드 (124) 는, 도 52 내지 도 5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로 원추 소용돌이 (원추 나선상, 또는 원추대의 소용돌이상) 로 형성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도 5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추 상면 (124A), 원추 바닥 평면 (124B), 원추 측면 (124C) 및 복수의 소용돌이면으로서,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127, 128) (나선상면) 을 구비한다. 미스트 가이드 (124) 의 개수는, 미스트 조임공 (121) 과 동일한 수 (12 개) 이다.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127, 128) 은, 동일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127, 128) 은, 원추 측면 (124C) 에 교차하여 원추 바닥 평면 (124B) 및 원추 상면 (124A) 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127, 128) 은, 원추 중심선 (L) 을 대칭점으로 하여 점 대칭으로 배치된다. 제 2 소용돌이면 (128) 은, 원추 중심선 (L) 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소용돌이면 (127) 의 위치로부터 각도 : 180 도만큼 회전하여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127, 128) 은, 원추 바닥 평면 (124B) 으로부터 원추 상면 (124A) 을 향하여 축경하면서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어, 원추 상면 (124A) 까지 연장된다.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127, 128) 은, 원추 상면 (124A) 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도 5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추 중심선 (L) 의 방향으로 가이드 높이 : GL 을 갖는다. 가이드 높이 : GL 은,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의 구멍 길이 : ML 보다 낮게 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도 5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추 바닥 평면 (124B) 의 최대 바닥 폭 : GH 를 갖는다. 최대 바닥 폭 : GH 는,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의 구멍 직경 : dM 보다 협폭이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도 52 내지 도 5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 (123) 에 고정되어, 가이드 링 (123) 과 일체로 형성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도 5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 (123) 의 원 (CL) 상에 배치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원추 중심선 (L) (가이드 중심선) 을 가이드 링 (123) 의 원 (CL) 상에 위치시켜 배치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가이드 링 (123)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30 도의 등간격을 두고, 각 가이드 돌기 (125) 의 사이에 배치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원추 바닥 평면 (124B) 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127, 128) 의 면단을 가이드 링 (123) 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위치 (일치) 시켜 배치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도 52, 도 54(b) 및 도 5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추 바닥 평면 (124B) 을 가이드 링 (123) 상에 맞닿음하여, 가이드 링 (123) 에 일체로 고정 (형성) 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에 있어서, 원추 바닥 평면 (124B) 은, 도 5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스트 링체 (122) (가이드 링 (123)) 의 중심선 (K)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 링 (123) 의 내주면 및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가이드 링 (123) 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및 가이드 링 (123) 은, 미스트 링체 (122) 를 구성한다. 미스트 링체 (122) 는, 가이드 링 (123),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및 각 가이드 돌기 (125) 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미스트 발생 수단 (5) 에 있어서, 미스트 링체 (122) (가이드 링 (123) 및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도 56 및 도 5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내에 조립된다.
미스트 링체 (122) 는, 도 56 및 도 5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살수 원통부 (97)) 의 통 중심선 (H)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하여, 살수 원통부 (97) 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미스트 링체 (122) 는, 가이드 링 (123) 을 살수 원통부 (97) 에 외부 끼움하여, 미스트 환상 공간 (YM)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링 (123) 은, 각 기포액 분사공 (98) 의 외측에 배치된다.
미스트 링체 (122) 는, 도 56 및 도 5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를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에 삽입하여 배치된다. 미스트 링체 (122) 는, 미스트 환상 공간 (YM) 에 있어서, 각 미스트 가이드 (124) 의 원추 상면 (124A) 을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을 향하여 배치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원추 상면 (124A) 으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에 삽입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원추 중심선 (L) 을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의 구멍 중심선 (N) 에 일치시켜,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에 배치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원추 측면 (124C) 및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의 원추 내주면 (121A) 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원추 상면 (124A) 으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에 삽입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원추 바닥 평면 (124B) 측 (원추 바닥 평면 (124B) 측의 원추 측면 (124C)) 을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의 원추 내주면 (121A) 에 맞닿음하여,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127, 128),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의 원추 내주면 (121A), 및 원추 측면 (124C) 의 사이에,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 (δ1, δ2) 를 형성하여,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에 장착된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및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127, 128) 을 따라 소용돌이상 (나선상) 의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 (δ1, δ2) 를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 (δ1, δ2) 는, 도 5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127, 128), 미스트 조임공 (121) 의 원추 내주면 (121A) 및 미스트 가이드 (124) 의 원추 측면 (124C) 의 사이에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 (δ1, δ2) 는,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의 방향에 있어서, 미스트 가이드 (124) 의 원추 바닥 평면 (124B) 으로부터 원추 상면 (124A) 으로 소용돌이상으로 연장되어,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 및 살수 노즐판 (96) 의 판 이면 평면 (96B) 으로 개구된다.
가이드 링 (123) 및 각 가이드 돌기 (125) 는, 도 56 및 도 5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미스트 가이드 (124) 의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로의 삽입에 수반하여, 미스트 환상 공간 (YM) 내로부터 살수 노즐판 (96) 으로 판 이면 평면 (126B) 에 맞닿음된다.
시일 링 (130) 은, 도 5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의 살수 원통부 (97) 에 외부 끼움되어, 시일 단차부 (101) 에 맞닿음된다. 시일 링 (130) 은, 살수 노즐 (3) 의 통 중심선 (H) 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살수 원통부 (97) 의 외주면으로부터 미스트 환상 공간 (YM) 에 돌출되어, 살수 원통부 (97) 에 외부 끼움된다.
이에 의해, 시일 링 (130) 은, 미스트 링체 (122) 의 가이드 돌기 (125) 에 자유롭게 맞닿음할 수 있어, 미스트 링체 (122) 의 빠짐 방지가 된다.
살수 노즐 (3), 기포액 발생 수단 (4) 및 미스트 발생 수단 (5) 은, 도 50, 도 51, 도 56 및 도 5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 피스 (111) 및 미스트 링체 (122) (가이드 링 (123) 및 미스트 가이드 (124)) 를 살수 노즐 (3) 내에 조립하여 노즐 유닛 (NU) 을 구성한다.
노즐 유닛 (NU) (살수 노즐 (3), 기포액 발생 수단 (4) 및 미스트 발생 수단 (5)) 은, 도 58 내지 도 6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헤드부 (7)) 에 장착한 유로 전환 수단 (2) 내 (전환 핸들 (21) 내) 에 배치된다.
노즐 유닛 (NU) 은, 도 5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 피스 (111)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판 이면 평면 (114B)) 를 전환 핸들 (21) 의 대직경 구멍부 (33A) (핸들공 (33)) 를 향하여 배치한다. 노즐 유닛 (NU) 은, 전환 핸들 (21) 의 통 중심선 (B) 을 중심으로 하여, 전환 핸들 (21) 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노즐 유닛 (NU) 은, 도 5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 (3) 의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타방의 통단 (95B) 으로부터 전환 핸들 (21) 의 대직경 구멍부 (33A) 내에 삽입된다.
노즐 유닛 (NU) 은, 살수 노즐 (3) 의 나사부 (100) 를 전환 핸들 (21) 의 나사부 (34) 에 나착하여 배치된다. 노즐 유닛 (NU) 을 회전하여, 살수 노즐 (3) 의 노즐 외측 원통부 (95) 를 전환 핸들 (21) 의 대직경 구멍부 (33A) 내 (핸들공 내) 에 수납한다. 살수 노즐 (3) 은, 노즐 외측 원통부 (95) 의 타방의 통단 (95B) 이 전환 밸브체 (27) 의 각 제 1 밸브체 돌기부 (80) 에 맞닿을 때까지 회전된다.
이 때, 살수 노즐 (3) 의 시일 링 (103) 은, 전환 핸들 (21) 의 대직경 구멍부 (33A) 에 압접되어, 대직경 구멍부 (33A) 를 액밀하게 한다.
이에 의해, 노즐 유닛 (NU) 의 살수 노즐 (3) 은, 전환 핸들 (21) 에 고정되고, 샤워 본체 (1) 의 타단 (1B) 에 장착된다.
살수 노즐 (3) 에 있어서, 살수 노즐판 (96) 은, 액 유입 공간 (RP) 을 유출로 (10) 의 사이에 형성한다. 액 유입 공간 (RP) 은, 액밀 공간으로서, 유출로 (10) 를 통하여 액체가 유입된다.
노즐 유닛 (NU) 에 있어서, 살수 노즐 (3) 의 살수 원통부 (97), 및 정류 피스 (111) 는, 도 5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유입 공간 (RP) 내에 있어서, 전환 밸브체 (27) 의 대직경 구멍부 (87A) 내 (샤워 유출공 (87) 내/제 2 밸브체 원통부 (73) 내) 에 삽입된다. 살수 원통부 (97) 및 정류 피스 (111) 는, 전환 밸브체 (27) 의 통 중심선 (F) 의 방향에 있어서, 타방의 통단 (97B) 및 밸브체 원판 (74) (판 표면 평면 (74A)) 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살수 노즐 (3) 의 시일 링 (130) 은, 액 유입 공간 (RP) 내에 있어서, 전환 밸브체 (27) 의 대직경 구멍부 (87A) 내 (샤워 유출공 (87) 내) 에 삽입되어, 전환 밸브체 (27) 의 구멍 단차부 (87C) 에 맞닿음된다. 시일 링 (130) 은, 대직경 구멍부 (87A) 내에 있어서,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의 내주면에 압접되어, 전환 밸브체 (27) 의 대직경 구멍부 (87A) 를 액밀하게 한다.
이에 의해, 살수 노즐 (3) 의 살수 원통부 (97) 는, 유출로 (10) 측 (액 유입 공간 (RP) 내) 으로 돌출되어, 전환 밸브체 (27) 의 대직경 구멍부 (87A) 내 (샤워 유출공 (87)) 에 삽입된다. 살수 원통부 (97) 는, 유출로 (10) 로부터 유출된 액체 (액 유입 공간 (PR) 내의 액체) 로서, 전환 밸브체 (27) 로부터 유출된 액체가 타방의 통단 (97B) (정류 피스 (111) 의 각 액 조임공 (117)) 으로부터 기포 혼입 공소 (BR) 에 유입된다.
노즐 유닛 (NU) 에 있어서, 살수 노즐 (3) 을 전환 핸들 (21) 에 고정시키면, 살수 노즐 (3), 정류 피스 (111) (기포액 발생 수단 (4)), 미스트 링체 (122) (미스트 발생 수단 (5)), 및 전환 밸브체 (27) 는, 전환 밸브 시트체 (25), 전환 베이스 (22) 및 샤워 본체 (1) 에 대하여, 전환 핸들 (21) 과 함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기포액 발생 수단 (4) 에 있어서, 정류 피스 (111) 는, 도 5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체 (27) 의 밸브체 원판 (74) (판 표면 평면 (74A)) 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전환 밸브체 (27) 대직경 구멍부 (87A) 내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내) 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각 액 조임공 (117) 은, 도 6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출로 (10) 측 (액 유입 공간 (RP) 내) 으로 개구하여, 전환 밸브체 (27) 의 대직경 구멍부 (87A) 및 기포 혼입 공소 (BR) 로 개구된다. 각 액 조임공 (117) 은, 유출로 (10) 로부터 유출된 액체 (액 유입 공간 (RP) 내의 액체) 로서, 전환 밸브체 (27) 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분사한다.
유로 전환 수단 (2) 은, 도 5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포액 발생 수단 (4) 의 정류 피스 (111) 및 유출로 (10) 의 사이, 및 샤워 본체 (1) 의 유출로 (10) 내에 배치된다.
유로 전환 수단 (2) 에 있어서, 전환 밸브 시트체 (25) 및 전환 밸브체 (27) 는, 정류 피스 (111) 및 유출로 (10) 의 사이이고, 액 유입 공간 (RP) 내에 배치되고, 전환 베이스 (22) 는 유출로 (10) 내에 배치된다.
미스트 발생 수단 (5) 은, 도 5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 전환 수단 (2) (전환 밸브체 (27)) 을 통하여 유입되는 액체 (유출로 (10) 로부터 유출되는 액체) 로부터 기포가 혼입되는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한다.
미스트 발생 수단 (5) 에 있어서,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유출로 (10) 측으로서, 살수 노즐판 (96) 및 유로 전환 수단 (2) (전환 밸브체 (27)) 사이의 액 유입 공간 (RP) 내로 개구된다.
이에 의해,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유출로 (10) 측 (액 유입 공간 (BR) 측) 으로부터 점점 축경하면서 살수 노즐판 (96) 을 관통한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전환 밸브체 (27) 의 각 외측 유출공 (82),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및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유입로 (Z) (액 유입 공간 (PR)) 를 통하여, 유출로 (10) 에 연통된다.
미스트 발생 수단 (5) 에 있어서, 미스트 링체 (122) 는, 도 5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 (123) 을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의 일방의 통단 (73A) 에 맞닿음하여 배치된다.
가이드 링 (123) 및 가이드 돌기 (125) 는, 유출로 (10) 측 (액 유입 공간 (PR) 측, 미스트 환상 공간 (YM) 측) 으로부터 살수 노즐판 (96) 의 판 이면 평면 (96B) 에 맞닿음된다.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 (δ1, δ2) 는, 도 5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 전환 수단 (2) 의 사이로 개구하여, 유출로 (10) 에 연통된다.
살수 노즐 (3) 을 회전하면, 전환 밸브체 (27) 및 전환 밸브 시트체 (25) 는, 전환 베이스 (22) 측으로 밀려, 코일 스프링 (30) 을 압축한다. 압축된 코일 스프링 (30) 은, 스프링 힘으로 전환 밸브 시트체 (25) 를 전환 밸브체 (27) 에 탄성 지지하여, 밸브 시트 원판 (63) (판 표면 평면 (63A)) 을 각 원통 밸브체 (76, 77) 의 시일 링 (28) 에 압접한다.
이에 의해, 각 시일 링 (28) 은, 각 원통 밸브체 (76, 77) 의 밸브체공 (88, 90) 및 각 밸브 시트공 (64, 65) 를 액밀하게 연결한다.
이와 같이, 노즐 유닛 (NU) (살수 노즐 (3), 기포액 발생 수단 (4) 및 미스트 발생 수단 (5)), 및 유로 전환 수단 (2) (전환 핸들 (21), 전환 베이스 (22), 전환 밸브 시트체 (25) 및 전환 밸브체 (27)) 을 샤워 본체 (1) (헤드부 (7)) 에 장착하면, 샤워 헤드 (X) 는, 도 1 내지 도 3, 도 58 내지 도 6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위치 (P1) 가 된다.
샤워 위치 (P1) 에 있어서, 전환 핸들 (21) 은, 도 1 내지 도 3, 도 58 내지 도 6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돌기부 (38) 를 샤워 본체 (1) 의 기준 돌기부 (14) (최상 정상점 (7a)) 에 위치시켜 배치된다.
샤워 위치 (P1) 에 있어서, 전환 밸브체 (27) 는, 도 4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원통 밸브체 (76, 77) 의 밸브체공 (88, 90) 을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으로 개구 (밸브 열림) 하여 배치된다.
샤워 위치 (P1) 에 있어서, 유로 전환 수단 (2) 은, 기포액 발생 수단 (4) 의 각 액 조임공 (117) 을 유출로 (10) 에 접속한다. 정류 피스 (111) 의 각 액 조임공 (117) 은, 전환 밸브체 (27) 의 각 밸브체 유로 (78, 79), 밸브체공 (88, 90),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및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유입로 (Z) 를 통하여, 샤워 본체 (1) 의 유출로 (10) 에 연통된다.
샤워 위치 (P1) 에 있어서, 전환 밸브체 (27) 는,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 (83, 85) 의 밸브체 규제 평면 (83A, 85A) 을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돌기 (59, 60) 의 제 1 및 제 4 베이스 규제 평면 (59A, 60B) 에 맞닿음하여 배치된다.
샤워 위치 (P1) 의 샤워 헤드 (X) 는, 도 2, 도 58 및 도 5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핸들부 (6)) 의 유입로 (9) 에 액체를 유입한다.
유입로 (9) 내에 유입된 액체는, 유출로 (10) 내로 유출된다. 유출로 (10) 는, 유입로 (9) 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를 유출한다. 액체는, 도 37 및 도 5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출로 (10) 로부터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유입로 (Z) 내를 흘러, 액 유입 공간 (PR) 으로서,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내에 유입된다.
각 밸브 시트공 (64, 65) 내에 유입된 액체는, 도 5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체 (27) 의 각 원통 밸브체 (76, 77) 의 밸브체공 (88, 90) 내로 흐른다.
전환 밸브체 (27) 에 있어서, 액체는, 도 3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밸브체공 (88, 90) 으로부터 나선상의 각 밸브체 유로 (78, 79) 를 흘러,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내의 샤워 유출공 (87) 으로 유출된다.
이 때, 액체는, 도 3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선상의 각 밸브체 유로 (78, 79) 에 의해, 나선상으로 흘러, 제 2 밸브체 원통부 (73) 의 샤워 유출공 (87) 의 전체에 걸쳐서 유출된다.
샤워 유출공 (87) 내로 유출된 액체는, 정류 피스 (111) (기포액 발생 수단 (4)) 의 각 액 조임공 (117) 으로부터 기포 혼입 공소 (BR) 로 분사된다. 이에 의해, 각 액 조임공 (117) 은, 유출로 (10) 로부터 유출된 액체를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분사한다.
이 때, 정류 피스 (111) 의 각 액 조임공 (117) 은, 도 6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유출공 (87) 내 (액 유입 공간 (PR) 내) 의 액체를 살수 노즐판 (96) 의 각 기포액 분사공 (98) 을 향하여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분사한다. 액체는,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있어서, 의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로 분사된다. 각 액체는,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있어서, 살수 원통부 (97) (살수 노즐 (3)) 의 원통 중심선 (H) 과 평행한 흐름 (정류) 으로 살수 노즐판 (96) 및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사이에 분사된다.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액체를 분사하면, 액체의 분사 흐름에 의해, 각 공기 도입로 (112) 로부터 공기가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도입된다. 공기는, 각 공기 도입로 (112) 로부터 기포 혼입 공소 (BR) 내의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로 유출된다.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도 6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있어서, 공기를 정류 피스 (111) 의 각 액 조임공 (117) 에 인접하는 밸브체 원판 (74) 의 판 표면 평면 (74A) 으로 유출한다. 공기는,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있어서, 각 공기 도입로 (112) 로부터 정류 피스 (111) 의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로 유출 (분사) 된다. 공기는, 각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중심선 (M)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기포 혼입 공소 (BR) 내로 유출 (분사) 된다.
이에 의해,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도입된 공기는, 각 액 조임공 (117) 으로부터의 분사와 동시에 액체에 혼합된다.
기포 혼입 공소 (BR) 내에 있어서, 액체 및 공기는,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흐름 경사면 (118) 을 따라 돌출단 (116D) 으로 유도되어 난류가 되고,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돌출단 (116D) 및 살수 노즐판 (96) 사이의 혼입 간극 (GP) 으로 유출된다.
이에 의해, 각 정류 피스판 (116) 은, 살수 노즐 (3) (살수 노즐판 (96)) 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단 (116D) 측에서 각 액 조임공 (117) 으로부터 분사되는 액체를 난류로 하여 혼입 간극 (GP) 에 유출한다.
기포 혼입 공소 (BR) 내의 혼입 간극 (GP) 에 있어서, 액체에 혼합된 공기는 난류에 의해,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로 분쇄 (전단) 된다.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는, 액체에 혼입 및 용해된다.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및 나노 단위의 기포를 혼입하는 액체 (기포 혼입 액체) 는, 살수 노즐판 (96) 의 각 기포액 분사공 (98) 으로부터 외부로 분사된다. 각 기포액 분사공 (98) 은, 기포 혼입 공소 (BR) 로부터 기포 혼입 액체를 분사한다.
샤워 위치 (P1) 의 샤워 헤드 (X) 는, 도 6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핸들 (21) 을 샤워 본체 (1) (전환 베이스 (22), 전환 밸브 시트체 (25)) 에 대하여 각도 : 90 도 회전하여, 미스트 돌기부 (39) 를 샤워 본체 (1) 의 기준 돌기부 (14) 에 배치한다.
전환 밸브체 (27) (유로 전환 수단 (2)), 살수 노즐 (3), 정류 피스 (111) (기포액 발생 수단 (4)) 및 미스트 링체 (122) (미스트 발생 수단 (5)) 는, 전환 핸들 (21) 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된다.
이에 의해, 샤워 헤드 (X) 는, 샤워 위치 (P1) 로부터 미스트 위치 (P2) 가 된다.
미스트 위치 (P2) 에 있어서, 전환 밸브체 (27) 는, 도 63 및 도 6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원통 밸브체 (76, 77) 의 밸브체공 (88, 90) 을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밸브 시트 원판 (63) (판 표면 평면 (63A)) 으로 폐색 (밸브 닫힘) 한다.
이 때, 각 원통 밸브체 (76, 77) 는, 전환 밸브체 (27) 의 회전에 수반하여, 각 시일 링 (28) 을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밸브 시트 원판 (63) (판 표면 평면 (63A))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밸브 닫힘된다.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밸브 시트 원판 (63) 은, 코일 스프링 (30) 의 스프링 힘에 의해, 밸브 닫힘된 각 원통 밸브체 (76, 77) 의 시일 링 (28) 에 압접된다.
이에 의해, 시일 링 (28) 은, 각 밸브체공 (88, 90) 을 액밀로 하여,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으로부터 차단 (밸브 닫힘) 한다.
미스트 위치 (P2) 에 있어서, 유로 전환 수단 (2) 은, 미스트 발생 수단 (5) 의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미스트 링체 (122)) 을 유출로 (10) 에 접속한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미스트 링체 (122)) 은, 전환 밸브체 (27) 의 사이의 액 유입 공간 (RP), 전환 밸브체 (27) 의 각 외측 유출공 (82),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및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유입로 (Z) 를 통하여, 샤워 본체 (1) 의 유출로 (10) 에 연통된다.
미스트 위치 (P2) 에 있어서, 전환 밸브체 (27) 는, 도 6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 (83, 85) 의 밸브체 규제 평면 (83A, 85A) 을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돌기 (59, 60) 의 제 2 및 제 3 베이스 규제 평면 (59B, 60A) 에 맞닿음하여 배치된다.
미스트 위치 (P2) 의 샤워 헤드 (X) 는, 도 6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워 본체 (1) (핸들부 (6)) 의 유입로 (9) 에 액체를 유입한다.
유입로 (9) 에 유입된 액체는, 유출로 (10) 내로 유출된다. 유출로 (10) 는, 유입로 (9) 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를 유출한다. 액체는, 도 37 및 도 6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출로 (10) 로부터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유입로 (Z) 내를 흘러, 액 유입 공간 (PR) 내이고, 전환 밸브 시트체 (25) 의 각 밸브 시트공 (64, 65) 내로 유입된다.
각 밸브 시트공 (64, 65) 내로 유입된 액체는, 도 6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체 (27) 의 각 외측 유출공 (82) 으로부터 살수 노즐판 (96) 의 사이의 액 유입 공간 (PR) 으로 흐른다.
액체는, 액 유입 공간 (PR) 으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에 유입된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에 유입된 액체는, 도 6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 (δ1, δ2) 를 흘러,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로 유출된다. 또한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으로부터 미스트상의 액적을 외부로 분사한다.
액체는,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 (δ1, δ2) 를 흐르는 것에 의해 승압되어,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 (δ1, δ2) 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로 분사된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 (δ1, δ2) 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에 분사되는 액체는, 고압이고 난류가 된다. 또한,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으로부터 미스트상의 액적이 분사되면,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의 출구측 (미스트상의 액적을 분사한 측) 에서 부압 상태가 된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의 출구측을 부압 상태로 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 (δ1, δ2) 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에 분사된 고압 및 난류의 액체는,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의 출구 부분을 통과할 때, 감압에 의한 기포 석출과, 분사시에 혼입된 공기가 난류에 의해 분쇄 (전단) 되어,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가 혼입, 용해된 미스트상의 액적이 된다.
또한, 액체는, 각 미스트 가이드 (124) 의 원추 상면 (124A) 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 (δ1, δ2) 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로 분사되어, 충돌되어, 충분한 기포를 혼입한 미스트상의 액적이 된다. 기포를 혼입한 미스트상의 액적은,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으로부터 분사된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기포를 혼입한 미스트상의 액적을 외부로 분사한다.
이에 의해, 미스트 발생 수단 (5) 은, 유출로 (10) 로부터 유출된 액체로부터 기포를 혼입한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샤워 헤드 (X) 는, 전환 핸들 (21) 을 각도 : 90 도의 범위에서 정역 회전함으로써, 샤워 위치 (P1) 또는 미스트 위치 (P2) 가 된다.
이 때, 전환 베이스 (22) 의 각 베이스 돌기 (59, 60), 및 전환 밸브체 (27) 의 제 1 및 제 2 핸들 규제 돌기부 (83, 85) 는, 도 41 및 도 6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핸들 (21) 의 회전을 각도 : 90 도로 규제한다.
샤워 헤드 (X) 는, 샤워 위치 (P1) 또는 미스트 위치 (P2) 로 전환함으로써, 샤워 위치 (P1) 에서 기포 혼입 액체를 분사할 수 있고, 및 미스트 위치 (P2) 에서 기포를 혼입한 미스트상의 액적을 분사할 수 있다.
샤워 헤드 (X) 에서는, 정류 피스판 (116) 의 장 수는, 4 장으로 한정되지 않고, 3 장, 5 장, 6 장, ··· 의 복수이면 된다. 복수의 정류 피스판 (116) 은,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정류 노즐 원판 (114) 에 형성한다.
샤워 헤드 (X) 에서는, 미스트 가이드 (124) 의 소용돌이면은, 2 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3 면, 4 면, 5 면, ··· 의 복수이면 된다. 복수의 소용돌이면은, 미스트 가이드 (124) 의 원추 중심선 (L) 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미스트 가이드 (124) (원추 측면 (124C)) 에 형성한다.
실시예
샤워 헤드 (X) 에 있어서, 살수 노즐 (3) 및 액 발생 수단 (4) (정류 피스 (111) 및 공기 도입로 (112)) 을 사용하여, 기포 혼입 액체 (기포 혼입수) 를 발생시킨 「샤워 시험」 을 실시하였다.
샤워 헤드 (X) 에 있어서, 미스트 발생 수단 (5) (미스트 조임공 (121) 및 미스트 가이드 (124)) 을 사용하여, 미스트상의 액적 (미스트상의 물방울) 을 발생시킨 「미스트 시험」 을 실시하였다.
또한, 「샤워 시험」 및 「미스트 시험」 에서는, 도 26 내지 도 41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로 전환 수단 (2) (전환 핸들 (21), 전환 베이스 (22), 전환 밸브 시트체 (25) 및 전환 밸브체 (27)) 을 샤워 본체 (1) 에 배치하였다.
<1> 「샤워 시험」
「샤워 시험」 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의 양태로 실시하였다.
(1) 살수 노즐
「살수 노즐 (3)」 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에서 공통 (동일) 으로 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의 「살수 노즐 (3)」 에 대하여, 도 43 내지 도 4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은,
기포액 분사공 (98) 의 구멍 총수 : 36 개
기포액 분사공 (98) (원추공) 의 구멍 직경 : 1.4 ㎜ (판 표면 (96A) 의 개구)
1.8 ㎜ (판 이면 평면 (96B) 의 개구)
원 (CD) 의 원 반경 (r3) : 3.5 ㎜
원 (CE) 의 원 반경 (r4) : 6.2 ㎜
원 (CF) 의 원 반경 (r5) : 8.7 ㎜
원 (CD) 상에 배치한 기포액 분사공 (98) 의 구멍 수 : 6 개
(살수 원통부 (97)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원 (CE) 상에 배치한 기포액 분사공 (98) 의 구멍 수 : 12 개
(살수 원통부 (97)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원 (CF) 상에 배치한 기포액 분사공 (98) 의 구멍 수 : 18 개
(살수 원통부 (97)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핸들공 (33) 의 소직경 구멍부의 내직경 (d5) : 6.2 ㎜
이다.
(2) 정류 피스
실시예 1 의 「정류 피스 (111)」 에 대하여, 도 47, 도 48 및 도 6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의 「정류 피스 (111)」 는,
액 조임공 (117) 의 총 구멍 수 : 40 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직경 (da) : 0.6 ㎜ (판 표면 평면 (114A) 의 개구)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직경 (db) : 1.0 ㎜ (판 이면 평면 (114B) 의 개구)
원 (CG) 의 원 반경 (r6) : 4.0 ㎜
원 (CH) 의 원 반경 (r7) : 6.0 ㎜
원 (CI) 의 원 반경 (r8) : 9.0 ㎜
원 (CG) 상에 배치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수 : 8 구멍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에 2 구멍,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원 (CH) 상에 배치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수 : 12 구멍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에 3 구멍,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원 (CI) 상에 배치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수 : 20 구멍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에 5 구멍,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정류 피스 (111) 의 피스 높이 : 8.2 ㎜
정류 피스판 (116) 의 장 수 : 4 장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90 도의 등간격으로 배치)
정류 피스판 (116) 의 판 폭 (HS) : 4.0 ㎜
정류 피스판 (116) 의 판 길이 (LS) : 9.2 ㎜
정류 피스판 (116) 의 판 두께 (TS) : 1.4 ㎜
흐름 경사면 (118) 의 반경 (rX) (호상) : 1.0 ㎜
이다.
실시예 2 의 「정류 피스 (111)」 에 대하여, 도 47, 도 48 및 도 6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 의 「정류 피스 (111)」 는,
액 조임공 (117) 의 총 구멍 수 : 48 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직경 (da) : 0.6 ㎜ (판 표면 평면 (114A) 의 개구)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직경 (db) : 1.0 ㎜ (판 이면 평면 (114B) 의 개구)
원 (CG) 의 원 반경 (r6) : 2.0 ㎜
원 (CH) 의 원 반경 (r7) : 4.0 ㎜
원 (CI) 의 원 반경 (r8) : 6.0 ㎜
원 (CM) 의 원 반경 (r9) : 9.0 ㎜
원 (CG) 상에 배치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수 : 4 구멍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에 1 구멍,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원 (CH) 상에 배치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수 : 8 구멍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에 2 구멍,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원 (CI) 상에 배치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수 : 16 구멍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에 4 구멍,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원 (CM) 상에 배치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수 : 20 구멍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에 5 구멍,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이다.
실시예 2 의 「정류 피스 (111)」 는, 정류 피스 (111) 의 피스 높이, 정류 피스판 (116) 의 장 수, 정류 피스판 (116) 의 판 폭 (HS), 정류 피스판 (116) 의 판 길이 (LS), 정류 피스판 (116) 의 판 두께 (TS), 흐름 경사면 (118) 의 반경 (rX) (호상) 에 대하여, 실시예 1 의 「정류 피스 (111)」 와 동일하다.
실시예 3 의 「정류 피스 (111)」 에 대하여, 도 47, 도 48 및 도 69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 의 「정류 피스 (111)」 는,
액 조임공 (117) 의 총 구멍 수 : 52 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직경 (da) : 0.6 ㎜ (판 표면 평면 (114A) 의 개구)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직경 (db) : 1.0 ㎜ (판 이면 평면 (114B) 의 개구)
원 (CG) 의 원 반경 (r6) : 2.0 ㎜
원 (CH) 의 원 반경 (r7) : 4.0 ㎜
원 (CI) 의 원 반경 (r8) : 6.0 ㎜
원 (CM) 의 원 반경 (r9) : 9.0 ㎜
원 (CG) 상에 배치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수 : 4 구멍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에 1 구멍,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원 (CH) 상에 배치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수 : 8 구멍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에 2 구멍,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원 (CI) 상에 배치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수 : 16 구멍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에 4 구멍,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원 (CM) 상에 배치한 액 조임공 (117) 의 구멍 수 : 24 구멍
(각 정류 피스판 (116) 의 사이에 6 구멍, 정류 노즐 원판 (114) 의 둘레 방향으로 등 피치로 배치)
이다.
실시예 3 의 「정류 피스 (111)」 는, 정류 피스 (111) 의 피스 높이, 정류 피스판 (116) 의 장 수, 정류 피스판 (116) 의 판 폭 (HS), 정류 피스판 (116) 의 판 길이 (LS), 정류 피스판 (116) 의 판 두께 (TS), 흐름 경사면 (118) 의 반경 (rX) (호상) 에 대하여, 실시예 1 의 「정류 피스 (111)」 와 동일하다.
비교예 1 의 「정류 피스」 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의 「정류 피스」 와 같이, 정류 노즐 원판에 정류 피스판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정류 피스판 없음의 정류 피스」 이다.
비교예 1 의 「정류 피스」 는, 액 조임공의 구멍 수, 액 조임공의 구멍 직경, 각 원 (CG ∼ CI) 의 원 반경 (r6 ∼ r8), 및 각 원 (CG ∼ CI) 상에 배치한 액 조임공의 구멍 수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였다.
(3) 공기 도입로
「공기 도입로 (112)」 는,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에서 공통 (동일) 으로 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의 「공기 도입로 (112)」 에 대하여, 도 43 및 도 4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의 「공기 도입로 (112)」 는,
공기 도입로의 구멍 수 : 3 구멍
원 (CJ) 의 원 반경 : 12.25 ㎜
이다.
각 공기 도입로 (112) 는, 원 (CJ) 상에 배치하여, 원 (CJ) (살수 노즐 (3))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120 도의 등간격 (등 피치) 을 두고 배치하였다.
(4) 기포 혼입 공소, 및 혼입 간극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의 「정류 피스」 는, 도 50 및 도 51 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기포 혼입 공소 (BR) 내 (살수 원통부 (97) 내) 에 삽입하여, 살수 노즐 (3) 에 고정시켰다.
「기포 혼입 공소 (BR)」 는,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에서 공통 (동일) 으로 하였다.
기포 혼입 공소의 구멍 직경 (d5) : 6.2 ㎜
기포 혼입 공소의 구멍 길이 (LK) : 7.0 ㎜
이다.
「혼입 간극 (GP)」 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에서 공통 (동일) 으로 하였다.
혼입 간극 (GP) : 2.8 ㎜
이다.
(5) 공기 도입로의 배치, 및 개구 치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의 「공기 도입로」 는, 도 44 및 도 51 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정류 노즐 원판 (114) (판 표면 평면 (114A)) 에 인접하여 개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의 「공기 도입로」 는,
개구 폭 (AH) : 5.05 ㎜
개구 높이 (AL) : 0.8 ㎜
이다.
또한, 개구 폭은, 살수 원통부의 둘레 방향의 치수이다. 개구 높이는, 살수 원통부의 통 중심선의 방향의 치수이다.
(6) 액체, 액체의 정액압 (정수압) 및 급액량 (급수량)
「액체」, 「액체의 정액압 (정수압)」, 및 「급액량 (급수량)」 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에서 동일하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은,
액체 : 수도물 (물),
액체 (물) 의 정액압 (정수압) : 0.2 ㎫ (메가 파스칼)
액체 (물) 의 급액량 (급수량) : 9.2 리터/분 (매분, 9.2 리터)
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에서는, 「정수압」 : 0.2 ㎫ 및 「급수량」 : 9.2 리터/분의 수도물을 유입로에 유입하여, 각 기포액 분사공으로부터 분사하였다.
(7) 기포 수량의 측정
「샤워 시험」 은, 각 기포액 분사공으로부터 기포 혼입수를 분사하여, 기포 혼입수에 혼입된 기포 수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에서는, 기포 혼입수 : 8 리터/분, 10 리터/분에 대하여,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의 기포 수량 (버블 수량) 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에서는, 기포 혼입수 : 10 리터/분에 대하여, 마이크로 버블 및 울트라 파인 버블의 기포 수량 (버블 수량) 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 에서는, 기포 혼입수 : 10 리터/분에 대하여, 마이크로 버블 및 울트라 파인 버블의 기포 수량 (버블 수량) 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에서는, 기포 혼입수 : 10 리터/분에 대하여, 마이크로 버블 및 울트라 파인 버블의 기포 수량 (버블 수량) 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에서는, 기포 혼입수의 밀리리터 (㎖) 당에 포함되는 기포 수량 (버블 수량) 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에서는, 마이크로 버블 총 수량, 최대 마이크로 버블 수량이 되는 마이크로 버블 직경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에서는, 울트라 파인 버블 총 수량, 및 최대 울트라 파인 버블 수량이 되는 울트라 파인 버블 직경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에서는, 최소 마이크로 버블 직경, 및 최소 마이크로 버블 직경이 되는 마이크로 버블 수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에 대하여, 마이크로 버블의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022947987-pct00001
실시예 1 에서는, 최소 마이크로 버블 직경 : 4.44 마이크로 미터 (㎛) 이고, 최소 마이크로 버블 수량 : 1200 개/밀리리터이다.
실시예 1 은,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 리터/분에 있어서, 최대 수량의 마이크로 버블 직경 : 28.67 마이크로 미터 (㎛), 최대 마이크로 버블 수량 : 6060 개/밀리리터, 마이크로 버블 총 수량 : 8492 개/밀리리터이다.
실시예 1 은,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 리터/분에 있어서, 최대 수량의 마이크로 버블 최대 직경 : 29.12 마이크로 미터 (㎛), 최대 마이크로 버블 수량 : 3918 개/밀리리터, 마이크로 버블 총 수량 : 4634 개/밀리리터이다.
실시예 2 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수량의 마이크로 버블 직경 : 27.92 마이크로 미터 (㎛), 최대 마이크로 버블 수량 : 2653 개/밀리리터, 마이크로 버블 총 수량 : 3509 개/밀리리터이다.
실시예 3 은,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수량의 마이크로 버블 직경 : 27.92 마이크로 미터 (㎛), 최대 마이크로 버블 수량 : 4707 개/밀리리터, 최대 마이크로 버블 수량 : 4707 개/밀리리터, 마이크로 버블 총 수량 : 6023 개/밀리리터이다.
비교예 1 은,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수량의 마이크로 버블 직경 : 7.19 마이크로 미터 (㎛), 최대 마이크로 버블 수량 : 595 개/밀리리터, 마이크로 버블 총 수량 : 1722 개/밀리리터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에서는,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최대 마이크로 버블 수량이 되는 마이크로 버블 직경을 대직경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에서는,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충분한 최대 수량의 마이크로 버블을 물 (액체) 에 혼입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은, 10 리터/분에 있어서, 최대 수량의 마이크로 버블 직경 : 28.67 마이크로 미터 (㎛), 최대 마이크로 버블 수량 : 6060 개/밀리리터로서,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충분한 최대 수량의 마이크로 버블을 물 (액체) 에 혼입할 수 있어, 현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에서는,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충분한 마이크로 버블을 물 (액체) 에 혼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의 「정류 피스」 와 같이, 정류 노즐 원판 (114) 에 복수의 정류 피스판 (116) 을 형성함으로써, 충분한 마이크로 버블을 물 (액) 에 혼입할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에 대하여, 울트라 파인 버블의 측정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023282935-pct00074
실시예 1 은,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 리터/분에 있어서, 최대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 직경 : 98 나노미터 (㎚), 최대 울트라 파인 버블 수량 : 14 만개/밀리리터, 울트라 파인 버블 총 수량 : 2700 만개/밀리리터이다.
실시예 1 은,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 리터/분에 있어서, 최대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 직경 : 136.9 나노미터 (㎚), 최대 울트라 파인 버블 수량 : 73 만개/밀리리터, 울트라 파인 버블 총 수량 : 1300 만개/밀리리터이다.
실시예 2 는,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 직경 : 134.5 나노미터 (㎚), 최대 울트라 파인 버블 수량 : 29 만개/밀리리터, 울트라 파인 버블 총 수량 : 540 만개/밀리리터이다.
실시예 3 은,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 직경 : 128.8 나노미터 (㎚), 최대 울트라 파인 버블 수량 : 16 만개/밀리리터, 울트라 파인 버블 총 수량 : 380 만개/밀리리터이다.
비교예 1 은,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 직경 : 150.8 나노미터 (㎚), 최대 울트라 파인 버블 수량 : 44 만개/밀리리터, 울트라 파인 버블 총 수량 : 650 만개/밀리리터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에서는, 최대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 직경 : 90 ∼ 136.9 나노미터, 최대 울트라 파인 버블 수량 : 14 만개 ∼ 73 만개/밀리리터로서, 충분한 최대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물 (액체) 에 혼입할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에서는, 울트라 파인 버블 총 수량 : 73 만개 ∼ 2700 만개/밀리리터로서, 충분한 울트라 파인 버블을 물 (액체) 에 혼입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에서는,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충분한 최대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물 (액체) 에 혼입할 수 있다.
실시예 1 에서는,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충분한 울트라 파인 버블 총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물 (액체) 에 혼입할 수 있다.
<2>「미스트 시험」
미스트 시험은, 실시예 4 및 비교예 2 의 양태로 실시하였다.
(1) 미스트 조임공
「미스트 조임공」 은, 실시예 4 및 비교예 2 에서 공통 (동일) 으로 하였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2 의 「미스트 조임공 (121) (원추공)」 에 대하여, 도 43 및 도 4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4 의 「미스트 조임공 (121)」 은,
미스트 조임공 (121) 의 구멍 수 : 12 구멍
원 (CK) 의 원 반경 : 18.4 ㎜
미스트 조임공 (121) 의 구멍 직경 (dM) : 0.96 ㎜ (판 표면 (96A) 의 개구)
미스트 조임공 (121) 의 구멍 직경 (dF) : 4.0 ㎜ (판 이면 평면 (96B) 의 개구)
미스트 조임공 (121) 의 구멍 길이 : 5.8 ㎜
이다.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은, 원 (CK) 상에 배치하여, 원 (CK) (살수 노즐 (3))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30 도의 등간격 (등 피치) 을 두고 배치하였다.
(2) 미스트 가이드 (원추 소용돌이), 및 가이드 링
실시예 4 의 「미스트 가이드 (124)」 에 대하여, 도 52 내지 도 5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4 의 「미스트 가이드 (124)」 는,
미스트 가이드수 : 12 개
소용돌이면의 면수 : 2 면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가이드 높이 (GL) : 3.5 ㎜
최대 바닥 폭 (GH) : 8.95 ㎜
가이드 링 (123) 의 원 (CL) 의 링 직경 (D8) : 18.4 ㎜
이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원추 중심선 (L) 을 원 (CL) 에 위치시켜, 가이드 링 (123) 에 일체로 형성하였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원 (CL) 의 둘레 방향으로 각도 : 30 도의 등간격을 두고, 가이드 링 (123) 상에 배치하였다.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는, 원추 상면 (124A) 으로부터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에 삽입하여, 원추 측면 (124C) 및 미스트 조임공 (121) 의 원추 내주면 (121A) 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각 미스트 조임공 (121) 내에 장착하였다.
이에 의해, 각 미스트 가이드 (124) 를 살수 노즐 (3) (살수 노즐판 (96)) 에 장착하여,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127, 128) 및 각 미스트 조임공 (121) 의 원추 내주면 (121A) 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 (δ1, δ2) 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2 는, 각 미스트 조임공 내에 미스트 가이드를 삽입하지 않는, 「미스트 가이드 없음」 의 미스트 발생 수단이다.
(3) 액체, 액체의 정액압 (정수압), 및 급액량 (급수량)
실시예 4 및 비교예 2 는,
액체 : 수도물 (물)
액체 (물) 의 정액압 (정수압) : 0.2 ㎫ (메가 파스칼)
액체 (물) 의 급액량 (급수량) : 7.4 리터/분 (매분, 7.4 리터)
이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2 에서는, 「정수압」 : 0.2 ㎫ 및 「급수량」 : 7.4 리터/분의 수도물을 유입로에 유입하여, 각 미스트 조임공으로부터 분사하였다.
(4) 기포 수량의 측정
「미스트 시험」 에서는, 각 미스트 조임공으로부터 분사한 미스트상의 물방울 (액적) 에 혼입된 기포 수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2 에서는, 미스트상의 물방울 : 4 리터/분에 대하여, 마이크로 단위의 기포 (마이크로 버블), 및 나노 단위의 기포 (울트라 파인 버블) 의 총 수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2 에서는, 미스트상의 물방울의 밀리리터 (㎖) 당에 포함되는 기포 수량 (버블 수량) 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2 에서는, 울트라 파인 버블 총 수량, 및 최대 울트라 파인 버블 수량이 되는 울트라 파인 버블 직경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2 에 대하여, 마이크로 버블의 측정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022947987-pct00003
실시예 4 에서는,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수량의 마이크로 버블 직경 : 11.52 마이크로 미터, 최대 마이크로 버블 수량 : 21079 개/밀리리터, 마이크로 버블 총 수량 : 27022 개/밀리리터이다.
비교예 2 는,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수량의 마이크로 버블 직경 : 3.24 마이크로 미터, 최대 마이크로 버블 수량 : 1680 개/밀리리터, 마이크로 버블 총 수량 : 2637 개/밀리리터이다.
실시예 4 에서는, 비교예 2 와 비교하여, 충분한 최대 수량의 마이크로 버블을 미스트상의 물방울 (액적) 에 혼입할 수 있다.
실시예 4 에서는, 비교예 2 와 비교하여, 충분한 마이크로 버블 총 수량의 마이크로 버블을 미스트상의 물방울 (액적) 에 혼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미스트 시험」 에서는, 각 미스트 조임공 내에 원추 소용돌이상 (원추대 소용돌이상) 의 미스트 가이드를 장착함으로써, 충분한 마이크로 버블을 미스트상의 물방울 (액적) 에 혼입할 수 있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2 에 대하여, 울트라 파인 버블의 계측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022947987-pct00004
실시예 4 에서는,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 직경 : 124.1 나노미터, 최대 울트라 파인 버블 수량 : 71 만개/밀리리터, 울트라 파인 버블 총 수량 : 1400 만개/밀리리터이다.
비교예 2 는,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 직경 : 128.1 나노미터, 최대 울트라 파인 버블 수량 : 36 만개/밀리리터, 울트라 파인 버블 총 수량 : 660 만개/밀리리터이다.
실시예 4 에서는, 비교예 2 와 비교하여, 충분한 최대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미스트상의 물방울 (액적) 에 혼입할 수 있다.
실시예 4 에서는, 비교예 2 와 비교하여, 충분한 울트라 파인 버블 총 수량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미스트상의 물방울 (액적) 에 혼입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기포 혼입 액체, 미스트상의 액적을 분사하는 데에 최적이다.
X ; 샤워 헤드
1 ; 샤워 본체
2 ; 유로 전환 수단
3 ; 살수 노즐
4 ; 기포액 발생 수단
5 ; 미스트 발생 수단
9 ; 유입로
10 ; 유출로
96 ; 살수 노즐판
97 ; 살수 원통부
98 ; 기포액 분사공
111 ; 정류 피스
112 ; 공기 도입로
114 ; 정류 노즐 원판
116 ; 정류 피스판
117 ; 액 조임공
BR ; 기포 혼입 공소
GP ; 혼입 간극

Claims (4)

  1. 일단으로 개구되어,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로, 및 타단으로 개구되어, 상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액체를 유출하는 유출로를 갖는 샤워 본체와,
    상기 샤워 본체의 타단에 장착되는 살수 노즐과,
    상기 살수 노즐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로로부터 유출된 상기 액체를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미스트 발생 유닛은,
    상기 살수 노즐을 관통하여, 상기 유출로에 연통되는 복수의 미스트 조임공과,
    원추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동일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을 갖는 복수의 미스트 가이드를 구비하고,
    각 상기 미스트 조임공은,
    상기 유출로측으로부터 축경하면서 상기 살수 노즐을 관통하는 원추공으로 형성되고,
    각 상기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은,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측면에 교차하여 원추 바닥 평면 및 원추 상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중심선을 대칭점으로 하여 점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추 바닥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추 상면을 향하여 축경하면서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스트 가이드는,
    상기 원추 측면 및 상기 미스트 조임공의 원추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상기 원추 상면으로부터 각 상기 미스트 조임공 내에 삽입되고,
    각 상기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상기 원추 내주면 및 상기 원추 측면의 사이에,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를 형성하여, 각 상기 미스트 조임공 내에 장착되고,
    각 상기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는,
    각 상기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상기 미스트 조임공의 상기 원추 내주면, 및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상기 원추 측면의 사이에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바닥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추 상면으로 소용돌이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미스트 조임공 내에 개구되고, 상기 유출로에 연통되고,
    상기 액체는, 소용돌이상의 각 상기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를 흘러, 각 상기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로부터 상기 미스트 조임공 내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
  2. 살수 노즐에 배치되고, 유출로로부터 유출된 액체를 미스트상의 액적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 유닛으로서,
    상기 살수 노즐을 관통하여, 상기 유출로에 연통되는 미스트 조임공과,
    원추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동일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을 갖는 미스트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미스트 조임공은,
    상기 유출로측으로부터 축경하면서 상기 살수 노즐을 관통하는 원추공으로 형성되고,
    각 상기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은,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측면에 교차하여 원추 바닥 평면 및 원추 상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중심선을 대칭점으로 하여 점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추 바닥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추 상면을 향하여 축경하면서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스트 가이드는,
    상기 원추 측면 및 상기 미스트 조임공의 원추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상기 원추 상면으로부터 상기 미스트 조임공 내에 삽입되고,
    각 상기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상기 원추 내주면 및 상기 원추 측면의 사이에, 소용돌이상의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미스트 조임공 내에 장착되고,
    각 상기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는,
    각 상기 제 1 및 제 2 소용돌이면, 상기 미스트 조임공의 상기 원추 내주면, 및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상기 원추 측면의 사이에 소용돌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스트 가이드의 원추 바닥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추 상면으로 소용돌이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미스트 조임공 내에 개구되고, 상기 유출로에 연통되고,
    상기 액체는, 소용돌이상의 각 상기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를 흘러, 각 상기 제 1 및 제 2 미스트 유로로부터 상기 미스트 조임공 내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발생 유닛.
  3. 삭제
  4. 삭제
KR1020207006404A 2018-07-20 2019-02-18 샤워 헤드, 및 미스트 발생 유닛 KR102283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36811A JP6775552B2 (ja) 2018-07-20 2018-07-20 シャワーヘッド、及び気泡発生ユニット
JPJP-P-2018-136811 2018-07-20
PCT/JP2019/005866 WO2020017080A1 (ja) 2018-07-20 2019-02-18 シャワーヘッド、及びミスト発生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217A KR20200032217A (ko) 2020-03-25
KR102283310B1 true KR102283310B1 (ko) 2021-07-28

Family

ID=691635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403A KR102187724B1 (ko) 2018-07-20 2018-09-28 샤워 헤드 및 기포 발생 유닛
KR1020207006404A KR102283310B1 (ko) 2018-07-20 2019-02-18 샤워 헤드, 및 미스트 발생 유닛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403A KR102187724B1 (ko) 2018-07-20 2018-09-28 샤워 헤드 및 기포 발생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980898B2 (ko)
EP (2) EP3824778A4 (ko)
JP (1) JP6775552B2 (ko)
KR (2) KR102187724B1 (ko)
CN (2) CN111343891B (ko)
SG (2) SG11202008990WA (ko)
TW (3) TWI712387B (ko)
WO (2) WO20200170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4224B (zh) * 2020-07-30 2023-06-3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喷淋装置和洗涤系统
CN114054229B (zh) * 2020-07-30 2023-07-1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喷淋装置和洗涤系统
JP7291420B2 (ja) * 2021-11-24 2023-06-15 株式会社サイエンス 洗浄用ガン装置
JP7176803B1 (ja) * 2022-01-11 2022-11-22 株式会社サイエンス ミスト発生ノズル
JP7111413B1 (ja) 2022-02-15 2022-08-02 株式会社アルベ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微小気泡発生器具およびシャワーヘッド
CN114433372A (zh) * 2022-02-17 2022-05-06 安徽理工大学 一种煤矿井下用降尘喷嘴
JP7214277B1 (ja) * 2022-04-27 2023-01-30 株式会社サイエンス バブル液発生ノズル
CN115228634A (zh) * 2022-07-29 2022-10-25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出水组件和龙头
CN117085589B (zh) * 2023-10-20 2024-02-27 天津市迈特耐斯科技有限公司 一种切削液自动配比及智能供液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9328A (ja) * 2012-10-15 2014-05-08 San-Ei Faucet Mfg Co Ltd シャワー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1368A (en) * 1975-06-09 1980-07-08 Legros Francis R Device for aerating and chemically activating shower water
JPS5286858A (en) * 1976-01-10 1977-07-19 Tsd Kk Shower
JP2902897B2 (ja) 1993-04-28 1999-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ーボモータ
US5862985A (en) * 1996-08-09 1999-01-26 The Rival Company Showerhead
JPH11267059A (ja) * 1998-03-25 1999-10-05 Twinbird Corp シャワーヘッド
EP1115495A4 (en) * 1998-08-26 2004-10-06 Water Pik Inc MULTIFUNCTIONAL SHOWERHEAD
JP4438209B2 (ja) 2000-10-04 2010-03-24 Toto株式会社 シャワー装置
JP2004181328A (ja) * 2002-12-02 2004-07-02 Toto Ltd シャワーヘッド
JP2005052754A (ja) * 2003-08-05 2005-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噴霧ノズル
JP2010142336A (ja) * 2008-12-17 2010-07-01 Toto Ltd シャワー装置
NL2002917C2 (nl) * 2009-05-22 2011-01-25 Inno B V Douchekop, doseereenheid en werkwijze.
JP4933582B2 (ja) * 2009-06-15 2012-05-16 株式会社 フクシマ化学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およびシャワーヘッド
JP2011115771A (ja) * 2009-12-03 2011-06-16 Uratani Masao マイクロバブルシャワー用微細気泡発生器
CN201949957U (zh) * 2011-01-18 2011-08-31 佛山市爱迪雅卫浴实业有限公司 一种沐浴花洒
KR101237119B1 (ko) * 2011-02-01 2013-02-25 이강문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포함하는 샤워기
KR101390947B1 (ko) * 2011-06-29 2014-06-03 김문화 버블 샤워기의 헤드
CN202212285U (zh) * 2011-08-12 2012-05-09 厦门建霖工业有限公司 可调水花的花洒
EP2907431B1 (en) * 2012-10-11 2018-06-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hower head
JP5435415B1 (ja) * 2013-01-11 2014-03-05 Toto株式会社 シャワーヘッド
JP6074719B2 (ja) * 2013-04-11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シャワーヘッド
JP6124068B2 (ja) * 2013-07-08 2017-05-10 Toto株式会社 キッチン用水栓
CN104667769A (zh) * 2013-11-29 2015-06-03 托客乐思股份有限公司 微细气泡发生装置
JP3191351U (ja) * 2014-03-28 2014-06-19 宏彦 佐藤 気泡混合形シャワーヘッド
JP6315248B2 (ja) * 2014-03-31 2018-04-25 Toto株式会社 吐水装置
JP6209483B2 (ja) * 2014-04-28 2017-10-04 株式会社ケーブイケー シャワーヘッドにおける散水構造
JP6358613B2 (ja) * 2014-06-16 2018-07-18 株式会社micro−bub 散水板を備えなくてもシャワー体感を得られるシャワーヘッド
JP6394314B2 (ja) * 2014-11-20 2018-09-26 Toto株式会社 吐水装置
JP2016129634A (ja) * 2015-01-15 2016-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洗浄水生成装置
WO2017029835A1 (ja) * 2015-08-19 2017-02-23 株式会社Toshin 泡沫吐水装置及び泡沫吐水ユニット
JP6268135B2 (ja) * 2015-09-28 2018-01-24 株式会社タカギ マイクロバブルシャワー装置
CN107149991B (zh) * 2016-03-04 2019-05-03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产生慢速涡流旋转水的出水装置和花洒
GB2553110A (en) 2016-08-22 2018-02-28 Kelda Showers Ltd Shower head producing a suspension of water droplets in air
JP6312768B2 (ja) * 2016-10-06 2018-04-18 俊一 武藤 ファインバブル発生装置
JP2018089612A (ja) * 2016-11-25 2018-06-14 ガードナー株式会社 洗浄ヘッド、本体装置及び洗浄システム
CN206343297U (zh) * 2016-12-23 2017-07-21 福建欣宇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气泡喷溅水的出水结构
CN106823873A (zh) * 2017-01-13 2017-06-13 山东明睿环保科技有限公司 免外力高效气水混溶装置
TWM545557U (zh) * 2017-03-21 2017-07-21 Yu-Wei Lin 蓮蓬頭總成
TWM543667U (zh) * 2017-03-29 2017-06-21 Jing Yang International Co Ltd 蓮蓬頭結構改良
TWM560875U (zh) * 2018-02-09 2018-06-01 Wu Shan Elementary School 手調式蓮蓬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9328A (ja) * 2012-10-15 2014-05-08 San-Ei Faucet Mfg Co Ltd シャワー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217A (ko) 2020-03-25
WO2020017066A1 (ja) 2020-01-23
SG11202008990WA (en) 2020-10-29
CN111356390B (zh) 2021-06-11
TWI693054B (zh) 2020-05-11
CN111356390A (zh) 2020-06-30
TW202007341A (zh) 2020-02-16
KR102187724B1 (ko) 2020-12-07
TWI712387B (zh) 2020-12-11
JP6775552B2 (ja) 2020-10-28
EP3824779A4 (en) 2022-05-04
CN111343891B (zh) 2021-08-17
US11980898B2 (en) 2024-05-14
JP2020010962A (ja) 2020-01-23
SG11202008994QA (en) 2020-10-29
TWI705785B (zh) 2020-10-01
TW202007339A (zh) 2020-02-16
CN111343891A (zh) 2020-06-26
EP3824779A1 (en) 2021-05-26
TW202007340A (zh) 2020-02-16
KR20200033333A (ko) 2020-03-27
WO2020017080A1 (ja) 2020-01-23
US20210229116A1 (en) 2021-07-29
US20210162429A1 (en) 2021-06-03
EP3824778A4 (en) 2022-06-01
EP3824778A1 (en)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3310B1 (ko) 샤워 헤드, 및 미스트 발생 유닛
JP6717991B2 (ja) シャワーヘッド、及びミスト発生ユニット
WO2014057660A1 (ja) シャワーヘッド
JP5573879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6075674B1 (ja) 流体混合装置
JP2010155191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7053047B2 (ja) バブル発生装置
JP2022116684A (ja) 気泡発生装置、シャワーノズルおよび圧力調整器
JP2021177811A (ja) シャワーノズル及び液体流通構造
JP7214277B1 (ja) バブル液発生ノズル
JP7395152B2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本体
JP2020081995A (ja) 噴霧ノズル
TWI834202B (zh) 霧滴產生噴嘴
JP7285176B2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TW202327732A (zh) 霧滴產生噴嘴
KR101927612B1 (ko) 노즐장치
JP2023114280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20150115117A (ko) 샤워기 헤드
JP2023086210A (ja) バブル発生装置、及びバブル発生器
JP2008100189A (ja) リアクタ
JP2020195930A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KR20190138679A (ko) 미세 버블 분사용 유체노즐
JP2007098310A (ja) 二流体ノズルとそれを用いた噴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