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117A - 샤워기 헤드 - Google Patents

샤워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117A
KR20150115117A KR1020140039574A KR20140039574A KR20150115117A KR 20150115117 A KR20150115117 A KR 20150115117A KR 1020140039574 A KR1020140039574 A KR 1020140039574A KR 20140039574 A KR20140039574 A KR 20140039574A KR 20150115117 A KR20150115117 A KR 20150115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ead
holes
head body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4234B1 (ko
Inventor
조희성
Original Assignee
(주)포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에스텍 filed Critical (주)포에스텍
Priority to KR102014003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23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 B01F23/21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 B01F23/21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using nozzles
    • B01F23/21322Internal mixer atomization, i.e. liquid and gas are mixed and atomized in a jet nozzle before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05B1/185Roses; Shower heads characterised by their outlet element; 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유체 유출측은 여타 부위에 비해 확장된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향해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헤드본체; 일단은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입측에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헤드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급수관로에 연결되면서 중앙으로 유체가 유동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연결커넥터;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입측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연결커넥터에 의해 고정되며, 후방은 연결커넥터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됨과 더불어 전방은 폐쇄된 관체로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복수의 통과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볼텍스부;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출측인 확장된 공간 내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며, 면상에는 복수의 확장 출수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버블생성막; 그리고,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출측 끝단을 덮도록 설치되면서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커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미세 버블이 원활히 생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대량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샤워기 헤드{shower head}
본 발명은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 버블의 대량 생성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 헤드는 급수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로를 통해 급수되는 수돗물을 분무 형태로 분사하여 제공하는 기구물이다.
이와 같은 샤워기 헤드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물을 분무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최근에는 목욕 효과의 향상을 위해 미세 버블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샤워기 헤드의 구조적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13-7107호, 공개특허 제10-2103-37070호 및 등록특허 제10-135077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경우 유체가 토출되는 커버의 분사공에 대한 직경을 미세하게 형성하는 등의 구조를 통해 유체의 부딪힘에 따른 충격으로 상기 유체가 미세하게 분쇄되면서 미세 버블이 생성될 수 있도록 유도함에 따라 실질적인 미세 버블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다량의 미세 버블이 생성되지 못하였던 단점이 있다.
특히, 전술된 종래 기술들은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분사공을 그 토출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은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분사공을 통과한 유체가 직격으로 분사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상기 생성된 미세 버블량이 오히려 줄어들었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물론,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116697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 헤드의 헤드본체 내부에 미세 버블 발생기를 내장함에 따라 미세 버블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헤드본체 내부에 미세 버블 발생기를 내장하는 기술은 단순히 어느 하나의 버블 발생기로만 제공될 경우 미세 버블이 생성되지 못하였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 버블이 원활히 생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대량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샤워기 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유체 유출측은 여타 부위에 비해 확장된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향해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헤드본체; 일단은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입측에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헤드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급수관로에 연결되면서 중앙으로 유체가 유동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연결커넥터;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입측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연결커넥터에 의해 고정되며, 후방은 연결커넥터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됨과 더불어 전방은 폐쇄된 관체로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복수의 통과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볼텍스부;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출측인 확장된 공간 내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며, 면상에는 복수의 확장 출수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버블생성막; 그리고,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출측 끝단을 덮도록 설치되면서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커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볼텍스부의 전방측 부위는 그의 외경이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입측 내부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서로 간의 사이에 유체의 유동을 위한 틈새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볼텍스부의 후방측 외주면에는 상기 헤드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대한 기밀 유지를 위한 씰링부재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텍스부에 형성되는 각 통과공은 상기 볼텍스부의 내주면 각 부위로부터 법선 방향을 향하여 관통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블생성막에는 상기 커버체를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커버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복수의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확장 출수공은 상기 각 돌출리브의 중앙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블생성막에 형성되는 각 확장 출수공은 총 10개 이하로 상기 버블생성막의 전체 면적에 비해 극소수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그의 유체 유입측으로부터 유체 유출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헤드본체 내의 버블생성막과 커버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버블생성막의 각 확장 출수공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다량의 미세 버블을 가지는 유체의 출수 위치를 상기 커버체의 둘레측이나 중앙측 혹은, 상기 둘레측과 중앙측 사이의 위치로 변동시키는 출수 변경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는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여 그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제조 단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는 볼텍스부를 통과하는 유체 간이 서로 부딪히면서 일차적인 버블의 생성이 이루어진 후 버블생성막의 각 확장 출수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력차이에 의해 상기 버블이 더욱 미세하면서도 대량으로 생성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는 출수 조작부의 추가적 제공에 의해 대량의 미세 버블을 사용자가 원하는 출수 형태로 변형하여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기능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 역시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볼텍스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볼텍스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볼텍스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횡단면도
도 6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7은 도 2의 “B”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헤드는 크게 헤드본체(100)와, 연결커넥터(200)와, 볼텍스부(300)와, 버블생성막(400)과, 커버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볼텍스부(300)를 통과하는 유체 간이 서로 부딪히면서 일차적인 버블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상기 버블생성막(400)의 각 확장 출수공(4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력차이로써 상기 버블을 미세하면서도 대량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헤드본체(100)는 샤워기 헤드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헤드본체(100)는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된 관체부(110)와, 상기 관체부(110)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됨과 더불어 유체 유출측은 여타 부위에 비해 확장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확장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확장부(120)는 상기 관체부(110)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향해 상기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커넥터(200)는 상기 헤드본체(100)를 급수관로(도시는 생략됨)에 연결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연결커넥터(200)는 일단이 상기 헤드본체(100)를 이루는 관체부(110)의 유체 유입측에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헤드본체(100) 외부로 돌출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급수관로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중앙으로 유체가 유동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볼텍스부(300)는 상기 헤드본체(100) 내로 유입된 유체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서로 부딪힐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버블을 일차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볼텍스부(300)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은 연결커넥터(2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됨과 더불어 전방은 폐쇄된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헤드본체(100)를 이루는 관체부(110)의 유체 유입측 내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커넥터(200)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함께, 상기 볼텍스부(300)의 선단 둘레면에는 복수의 통과공(310)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커넥터(200)를 통과하여 볼텍스부(30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각 통과공(310)을 통해 상기 헤드본체(100)의 관체부(11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볼텍스부(300)의 전방측 부위는 그의 외경이 상기 헤드본체(100)의 유체 유입측 내부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서로 간의 사이에 유체의 유동을 위한 틈새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볼텍스부(300)의 후방측 외주면에는 상기 헤드본체(100)의 내주면 사이에 대한 기밀 유지를 위한 씰링부재(320)가 개재되며, 상기 각 통과공(310)은 상기 볼텍스부(300)의 내주면으로부터 그 법선 방향을 향하여 관통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각 통과공(310) 서로 간은 상기 볼텍스부(300)의 내주면 중 서로 대칭되는 둘 이상의 부위에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연결커넥터(200) 내로 유입되어 유동되는 유체가 볼텍스부(300)의 내부 전면에 부딪히면서 일차적인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각 통과공(310)을 통해 상기 볼텍스부(300)의 법선 방향으로 유도된 유체가 상기 각 통과공(310)을 통과하여 헤드본체(100)를 이루는 관체부(110)의 유체 유입측 내주면에 부딪힘에 의해 재차적인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며, 계속해서 상기 각 통과공(310)을 통과한 유체가 관체부(110) 내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부딪힘을 유도함으로써 버블의 추가적인 발생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 제시되는 버블 발생기와 같이 유체를 나선형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버블이 발생되도록 한 구조의 경우는 단순히 유체가 선회하면서 유동될 뿐 유체 간의 부딪힘이나 상기 유동되는 유체가 각종 벽면에의 부딪힘 발생이 극히 적어 버블의 생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지만,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체가 반복적인 부딪힘을 유도함에 따라 버블의 발생량을 확연히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버블생성막(400)은 상기 볼텍스부(300)를 통과하여 다량의 버블이 포함된 유체로부터 상기 버블을 더욱 미세화하면서 더욱 대량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버블생성막(400)은 상기 헤드본체(100)의 유체 유출측인 확장된 공간 내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며, 면상에는 복수의 확장 출수공(410)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확장 출수공(410)은 대략 10여개 이하로 버블생성막(400)의 전체 면적에 비해 극소수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버블생성막(40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유체 유입측과 유체 유출측 간의 압력 차이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 확장 출수공(410)은 그의 유체 유입측으로부터 유체 유출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각 확장 출수공(410)을 통과하는 유체가 그 유입측과 유출측 간의 매우 큰 압력 차이로 인해 다량의 미세 버블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버블생성막(400)에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체(500)를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커버체(50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복수의 돌출리브(420)가 형성되고, 상기 각 확장 출수공(410)은 상기 각 돌출리브(420)의 중앙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하며, 이를 통해 상기 확장 출수공(410)을 이루는 유체 유입측과 유출측 간의 압력 차이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각 확장 출수공(410)을 통과하여 발생된 다량의 미세 버블이 상기 돌출리브(420)의 출구측에 인접되게 위치되는 후술될 커버체(500)와의 부딪힘을 유도하여 더욱 많은 미세 버블이 추가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체(500)는 상기 볼텍스부(300) 및 버블생성막(400)에 의해 생성된 다량의 미세 버블을 포함하는 유체의 분사 방향 및 분사 형태를 안내하는 부위이다.
상기한 커버체(500)는 상기 헤드본체(100)를 이루는 확장부(120)의 유체 유출측을 가로막도록 설치되며, 그의 면상에는 다수의 분사공(5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분사공(510)의 수는 상기 버블생성막(400)을 통과한 유체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다수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헤드본체(100) 내의 버블생성막(400)과 커버체(500) 사이의 공간에 출수 변경부(600)가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상기한 출수 변경부(600)는 상기 버블생성막(400)의 각 확장 출수공(410)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다량의 미세 버블을 가지는 유체의 출수 위치를 상기 커버체(500)의 둘레측이나 중앙측 혹은, 상기 둘레측과 중앙측 사이의 위치로 변동시키기 위한 구조로써 상기 커버체(500)의 각 위치별 분사공(510)들 중 일부의 위치에 형성된 분사공(510)들과 대응되는 연통공(611,621)이 형성된 복수의 회전 조작 가능한 플레이트(610,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각 플레이트(610,620)의 회전 조작을 통해 각 플레이트(610,620) 중 어느 한 플레이트에 형성된 연통공(611,621)과 상기 커버체(500)에 형성된 분사공(510)들만을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해당 부위로만 유체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 7에서는 상기한 출수 변경부(600)를 이루는 각 플레이트(610,620)에 형성되는 연통공(611,621)이 서로 일치되는 방향에 위치됨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상기 각 연통공(611,621)들은 서로 일치되지 않고 각 플레이트(610,620)의 조작에 의해 일부의 연통공들만이 서로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헤드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급수관로를 통한 유체가 공급된다면 상기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급수관로를 통해 샤워기 헤드를 이루는 연결 커넥터(200)를 통과하여 헤드본체(100)의 관체부(110)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관체부(110) 내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관체부(110) 내에 위치된 볼텍스부(300) 내로 유입된 후 상기 볼텍스부(300)의 전방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각 통과공(310)을 통해 상기 볼텍스부(300)의 법선 방향으로 토출된다.
특히, 상기 유체는 상기 각 통과공(310)의 형성 방향에 따른 안내에 의해 선회력을 부여받게 되며, 이렇듯 선회력을 가지면서 상기 관체부(110) 내의 내주면을 향해 토출되는 유체는 상기 관체부(110)의 내주면에 부딪힘과 더불어 그 선회에 의한 여타 통과공(310)을 통해 토출된 유체와의 재차적인 부딪힘 발생이 이루어지면서 미세 버블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볼텍스부(300)를 통과한 유체는 상기 발생된 미세 버블과 함께 헤드본체(100)의 관체부(110)를 따라 상기 헤드본체(100)의 확장부(120)로 유동되며, 계속해서 상기 확장부(120) 내에 위치된 버블생성막(400)의 각 확장 출수공(41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블생성막(400)의 각 확장 출수공(410)은 상기 버블생성막(400)의 전체 표면적에 비해 극히 일부의 부위에만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확장부(120) 내의 확장 출수공(410)이 이루는 유체 유입측 공간은 급격히 저항이 증가되며, 더욱이 상기 각 확장 출수공(410)은 유체 유출측으로 갈수록 점차 유로가 커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유체 및 버블이 상기 각 확장 출수공(4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각 확장 출수공(410)의 유체 유입측 공간과 유체 유출측 공간의 큰 압력차에 의해 더욱 미세하면서도 대량의 버블로 생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각 확장 출수공(410)을 통과하면서 발생된 대량의 미세 버블과 유체는 상기 각 확장 출수공(410)의 유체 유출측 부위인 돌출리브(420)의 끝단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던 커버체(500)와의 부딪힘이 발생되면서 미세 버블을 추가로 생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 과정에 의해 생성된 다량의 미세 버블은 상기 커버체(500)의 각 분사공(510)을 통과하여 샤워기 헤드의 외부로 분사됨으로써 사용자는 대량의 미세 버블에 의한 샤워를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출수 변경부(600)를 이루는 각 플레이트(610,620)의 조작이 이루어진다면 상기 버블생성막(400)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대량의 미세 버블은 상기 출수 변경부(600)의 조작에 의한 방향측에 위치된 각 분사공(510)을 통해 출수되며, 이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로의 샤워를 즐길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는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여 그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제조 단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는 볼텍스부(300)를 통과하는 유체 간이 서로 부딪히면서 일차적인 버블의 생성이 이루어진 후 버블생성막(400)의 각 확장 출수공(4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력차이에 의해 상기 버블이 더욱 미세하면서도 대량으로 생성될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
100. 헤드본체 110. 관체부
120. 확장부 200. 연결커넥터
300. 볼텍스부 310. 통과공
320. 씰링부재 400. 버블생성막
410. 확장 출수공 420. 돌출리브
500. 커버체 510. 분사공
600. 출수 변경부 610,620. 플레이트
611,621. 연통공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유체 유출측은 여타 부위에 비해 확장된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향해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헤드본체;
    일단은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입측에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헤드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급수관로에 연결되면서 중앙으로 유체가 유동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연결커넥터;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입측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연결커넥터에 의해 고정되며, 후방은 연결커넥터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됨과 더불어 전방은 폐쇄된 관체로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복수의 통과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볼텍스부;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출측인 확장된 공간 내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며, 면상에는 복수의 확장 출수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버블생성막; 그리고,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출측 끝단을 덮도록 설치되면서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커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텍스부의 전방측 부위는 그의 외경이 상기 헤드본체의 유체 유입측 내부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서로 간의 사이에 유체의 유동을 위한 틈새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볼텍스부의 후방측 외주면에는 상기 헤드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대한 기밀 유지를 위한 씰링부재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텍스부에 형성되는 각 통과공은 상기 볼텍스부의 내주면 각 부위로부터 법선 방향을 향하여 관통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생성막에는 상기 커버체를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커버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복수의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각 확장 출수공은 상기 각 돌출리브의 중앙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생성막에 형성되는 각 확장 출수공은 총 10개 이하로 상기 버블생성막의 전체 면적에 비해 극소수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그의 유체 유입측으로부터 유체 유출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 내의 버블생성막과 커버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버블생성막의 각 확장 출수공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다량의 미세 버블을 가지는 유체의 출수 위치를 상기 커버체의 둘레측이나 중앙측 혹은, 상기 둘레측과 중앙측 사이의 위치로 변동시키는 출수 변경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KR1020140039574A 2014-04-02 2014-04-02 샤워기 헤드 KR101584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574A KR101584234B1 (ko) 2014-04-02 2014-04-02 샤워기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574A KR101584234B1 (ko) 2014-04-02 2014-04-02 샤워기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117A true KR20150115117A (ko) 2015-10-14
KR101584234B1 KR101584234B1 (ko) 2016-01-12

Family

ID=5435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574A KR101584234B1 (ko) 2014-04-02 2014-04-02 샤워기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5669B2 (ja) * 2019-03-22 2023-06-21 日東精工株式会社 シャワー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709Y1 (ko) * 2004-05-07 2004-07-30 신아에이티(주) 샤워기 헤드
KR101031033B1 (ko) * 2008-03-17 2011-04-25 고재덕 빗살형 샤워기 헤드
JP6081770B2 (ja) * 2012-05-28 2017-02-15 株式会社ホットアルバム炭酸泉タブレット マイクロバブル混合水の製造方法及びマイクロバブル混合水の製造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234B1 (ko)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342966U (zh) 一种用于水龙头的喷头组件
WO2020017080A1 (ja) シャワーヘッド、及びミスト発生ユニット
JP5854186B2 (ja) シャワー装置
US20220040713A1 (en) Atomiser and showerhead
US11248368B2 (en) Faucet aerator with center stream
CN106938223B (zh) 吐水装置
WO2014057660A1 (ja) シャワーヘッド
JP2020011034A (ja) シャワーヘッド、及びミスト発生ユニット
KR101584234B1 (ko) 샤워기 헤드
JP6681770B2 (ja) バブル発生器およびバブル発生器具
JP2008000685A (ja) 気水混合流発生装置
WO2016031464A1 (ja) ガス混合装置
JP5557016B2 (ja) ミスト発生装置
JP6418904B2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170071933A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JP6032442B2 (ja) シャワー装置
JP5938794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CN212791473U (zh) 出水装置
JP5821081B2 (ja) 節水型の散水吐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水栓
KR102232705B1 (ko) 3차원 트렌지언트 분무 인젝터가 구비된 샤워 헤드
JP5105227B2 (ja) ミスト発生装置
US20200032498A1 (en) Nozzle assembly
JP7386549B2 (ja) 水栓用吐出具および水栓
JP2006035081A (ja) 薬液散布用ノズル及び散布器
US9974709B2 (en) Nozz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