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695B1 - 전해 동박, 이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및 이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면 처리 동박 - Google Patents

전해 동박, 이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및 이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면 처리 동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695B1
KR102272695B1 KR1020197000401A KR20197000401A KR102272695B1 KR 102272695 B1 KR102272695 B1 KR 102272695B1 KR 1020197000401 A KR1020197000401 A KR 1020197000401A KR 20197000401 A KR20197000401 A KR 20197000401A KR 102272695 B1 KR102272695 B1 KR 102272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electrolytic copper
tensile strength
mpa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075A (ko
Inventor
사키코 도모나가
고이치 미야케
가즈타카 호즈미
히로아키 나카하라
야스히로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0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3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Electroplating And Plating Baths Therefor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전해 동박을 뛰어넘는 고온 가열 후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집전체 용도에도 적합한 전해 동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등을 채용한다. 또한, 이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으로서, 20mg/L 내지 100mg/L의 농도이며 분자량 10000 내지 70000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고, 또한 염소 농도가 0.5mg/L 내지 2.5mg/L인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해 동박, 이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및 이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면 처리 동박{ELECTROLYTIC COPPER FOIL, PROCESSES FOR PRODUCING SAID ELECTROLYTIC COPPER FOIL, AND SURFACE-TREATED COPPER FOIL OBTAINED USING SAID ELECTROLYTIC COPPER FOIL}
본건 출원은, 전해 동박, 이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및 이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면 처리 동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고온 가열을 받았을 때의 고온 내열 특성이 우수한 전해 동박에 관한 것이다.
전해 동박은, 프린트 배선판 분야,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집전체 등의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프린트 배선판에 있어서, 동박과 절연층 구성재를 맞댈 때의 가공 온도로서 250℃를 초과하는 매우 높은 온도가 채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고온 부하를 받은 전해 동박이 연화되어 물리적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집전체로서 전해 동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해 동박의 표면에 부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층을 형성할 때에 300℃ 전후의 고온이 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부극 집전체에 사용한 전해 동박이 연화되면, 충전·방전을 행할 때의 팽창·수축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단명화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고온 가열을 받았을 때의 고온 내열 특성이 우수한 전해 동박에 관한 연구가 행해져 왔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장시간 보관 후에도 고강도를 유지하고, 가열 후에도 고강도이고, 또한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전해 동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A) 디티오카르밤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 (B) 티오 요소, (C) 머캅토기를 갖는 수용성 황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의 염, (D)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E) 염소 이온을 첨가제로서 함유하는 황산 산성 구리 도금액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 동박을 제조한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의 청구항 1을 보면, 「전착 종료 후 120분 이내에 240℃에서 10분간 가열 후, 20℃에 있어서 인장 강도 및 전기 전도성을 측정했을 때, 인장 강도가 650MPa 이상이고, 전기 전도성이 80% IACS 이상이며, 전착 종료로부터 168시간 후에 측정한 20℃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전착 종료 후 120분 이내에 측정한 20℃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의 90% 이상이며, 전착 종료 후 120분 이내에 측정한 20℃에 있어서의 신장률이 3% 이상인 전해 동박」이 얻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테이프 오토메이티드 본딩(Tape Automated Bonding) 공법에 사용하는 전해 동박 재료로서 적합한 저조면(低粗面)을 갖고, 또한 고항장력을 구비하고 있으며, 주석 도금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전해 동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황산-황산구리 수용액을 전해액으로 하고, 백금족 원소 또는 그의 산화물로 피복한 티타늄을 포함하는 불용성 양극과 상기 양극에 대향하는 티타늄제 음극 드럼을 사용하여, 당해 양극간에 직류 전류를 통하는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에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활성 유기 황 화합물의 술폰산염, 티오 요소계 화합물 및 염소 이온을 존재시킴으로써 조면 거칠기가 2.0㎛ 이하이며, 조면측의 X선 회절에 의해 측정한 220 구리 회절선 상대 강도로부터 구해지는 오리엔테이션 인덱스가 5.0 이상인 결정 조직이며, 180℃·1시간 가열 후의 항장력이 500MPa인 전해 동박을 얻는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조면이 저조도화되어, 시간 경과 또는 가열 처리에 따른 항장력의 저하율이 낮고, 게다가 고온에 있어서의 신장률이 우수한 저조면 전해 동박 및 그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황산-황산구리 수용액을 포함하는 전해액에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이민, 아세틸렌글리콜, 활성 유기 황 화합물의 술폰산염 및 염소 이온의 5개의 첨가제를 존재시킴으로써, 전해 동박의 조면 거칠기 Rz가 2.5㎛ 이하이며, 전착 완료 시점으로부터 20분 이내에 측정한 25℃에 있어서의 항장력이 500MPa 이상임과 함께, 전착 완료 시점으로부터 300분 경과시에 측정한 25℃에 있어서의 항장력의 저하율이 10% 이하이며, 또는 전착 완료 시점으로부터 100℃에서 10분간 가열 처리를 실시한 후에 측정한 25℃에 있어서의 항장력의 저하율이 10% 이하이며, 또한 180℃에 있어서의 신장률이 6% 이상인 저조면 전해 동박을 얻는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동박의 제박(製箔) 완료시로부터 다음 제조 공정으로 이동할 때까지의 상온 보관, 또는 다음 공정에 있어서의 200 내지 300℃ 정도의 가열 처리에 의해서도 동박이 연화되지 않고, 높은 항장력을 유지하는 전해 동박, 및 그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동박의 제박 완료시로부터 상기 동박의 특성 안정시 이후의 25℃에서 측정한 항장력이 400N/mm2 이상인 고항장력 전해 동박」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특허문헌 4의 청구항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박의 제박을 완료하고, 상기 동박의 특성이 안정된 후, 상기 동박을 300℃에서 1시간 가열 처리하고, 상기 가열 처리 후에 25℃에서 측정한 항장력이 400N/mm2 이상인 고항장력 전해 동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충방전 사이클을 반복하여도 용량 유지율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고 고수명이며, 부극 집전체가 변형되지 않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작 가능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전해 동박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200 내지 400℃에서 가열 처리 후에 0.2% 내력이 250N/mm2 이상, 신장이 2.5% 이상이며, 상기 전해 동박의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표면은 방청 처리가 실시되거나, 또는 조면화 처리되어 방청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해 동박을 집전체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이 개시되어 있다. 즉,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집전체로서 전해 동박을 사용하고, 이때의 전해 동박의 240℃×10분의 가열 후의 「0.2% 내력」을 규정하고 있다.
특허문헌 6에는, 파인 피치 회로의 형성용의 전해 동박이며, 또한 코르손 합금박의 대체 사용이 가능한 고강도 전해 동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구리 전해액을 전해하여 얻어지는 전해 동박에 있어서, 당해 전해 동박은 황을 110ppm 내지 400ppm, 염소를 150ppm 내지 650ppm 함유하고, 도전율이 48% IACS 이상, 정상 상태 인장 강도의 값이 70kgf/m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7에는, 종래의 저프로파일 전해 동박과 동등한 저프로파일의 표면을 구비하고, 또한 매우 큰 기계적 강도를 구비하는 전해 동박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구리의 석출 결정 입자가 미세하고, 그의 입경의 변동을 종래에 없는 정도로 작게 한 전해 동박이며, 저프로파일로 광택을 갖는 표면을 구비하고, 또한 정상 상태 인장 강도의 값이 70kgf/mm2 내지 100kgf/mm2로 매우 큰 기계적 강도를 갖고, 가열(180℃×60분간) 후에도 정상 상태 인장 강도의 값 85% 이상의 인장 강도의 값을 구비하는 전해 동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8에는, 염소 함유량이 변동하여도, 안정된 여러 특성을 나타내는 전해 동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구리 전해액을 전해함으로써 얻어지는 전해 동박이며, 전해 동박 중의 요오드 함유량이 0.003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요오드 함유량이 0.003질량% 내지 0.03질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이 전해 동박은,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48kgf/mm2 내지 72kgf/mm2, 350℃×60분의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27.5kgf/mm2 내지 46.3kgf/mm2라는 물리적 특성을 발휘하고 있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집전체 용도에 적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406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741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395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8572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511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215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01267호 공보 WO2012/002526호 공보
그러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집전체에 사용하는 전해 동박에 대하여, 충방전시에 발생하는 부극 집전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성능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의 경우, 충방전에 따른 부피 변화가 큰 합금계 부극 활물질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당해 합금계 부극 활물질을 부극 집전체에 담지시키기 위해서는, 강고한 결합제를 사용하여 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충방전시의 큰 부피 변화에 의한 활물질의 붕락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 결합제의 중합 반응을 일으킬 때에 300℃ 이상의 고온이 부하된다. 따라서, 부극 집전체에 사용하는 전해 동박은, 300℃ 이상의 가열을 받은 후에도 고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온 내열 특성을 구비하지 않으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장수명화가 도모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전해 동박이면, 충분한 고온 내열 특성을 구비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동 문헌에 있어서의 전해 동박은, 고온 내열 특성을 「300℃에서 1시간 가열 처리한 후의 항장력이 400N/mm2 이상」이라고 하고 있지만, 그의 실시예의 기재 내용을 상세하게 확인하면, 제박 완료시로부터 72시간 후의 300℃×1시간 가열 후의 항장력(인장 강도)은 430MPa 내지 500MPa의 범위이며, 당해 항장력이 500MPa을 초과하는 것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최근의 전해 동박은 프린트 배선판 분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박층화가 현저하다. 전해 동박은 얇아질수록 취급시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취급시의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전해 동박의 고온 가열 후 뿐만 아니라, 정상 상태에 있어서도 높은 물리적 특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건 출원에서는 양호한 고온 내열 특성을 구비하고, 프린트 배선판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집전체에 사용 가능한 전해 동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건 발명자들의 예의 연구의 결과, 종래의 전해 동박에 비해 「정상 상태의 물리적 특성」과 「고온 가열 후의 물리적 특성」의 양쪽이 우수한 전해 동박에 상도하였다. 그리고, 이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집전체 용도에 적합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건 출원에 관한 발명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해 동박: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350℃×1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370MPa 이상이라는 높은 물리적 특성을 구비한다.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정상 상태 신장률이 2.5% 이상이며, 실용상 지장이 없는 신장률을 구비한다.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미량 성분으로서 C 함유량이 100μg/g 내지 450μg/g, N 함유량이 50μg/g 내지 620μg/g, O 함유량이 400μg/g 내지 3200μg/g, S 함유량이 110μg/g 내지 720μg/g, Cl 함유량이 20μg/g 내지 115μg/g의 범위에 있으며, 또한 {Cl/(C+N+O+S+Cl)}×100≤5질량%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안정된 고온 내열 특성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이며, 구리 전해액으로서 20mg/L 내지 100mg/L의 농도이며 분자량 10000 내지 70000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고, 또한 염소 농도가 0.5mg/L 내지 2.5mg/L인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면 처리 동박: 본건 출원에 관한 표면 처리 동박은, 상술한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이며, 또한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이라는 물리적 특성을 동시에 구비한다. 즉,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정상 상태의 물리적 특성」 및 「고온 가열 후의 물리적 특성」이 모두 우수하다. 따라서, 얇은 전해 동박이어도 주름의 발생이 적고, 양호한 취급 특성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전해 동박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집전체로서 사용하여도, 부극 활물질을 담지시킬 때의 인장 강도의 저하가 적기 때문에, 충전·방전을 행할 때의 팽창·수축에 대한 저항력이 높고, 전지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전해 동박은, 조면화 처리, 방청 처리 등을 용도에 따라 실시한 표면 처리 동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프린트 배선판,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분야에 있어서 널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종래의 전해 동박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고 있었던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에 비해 단순한 욕(浴) 조성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용액 안정성이 우수하고, 폐액 처리의 부하도 경감 시킬 수 있어, 전해 동박 제조시의 욕 관리 및 관리 비용의 삭감이 용이해진다.
이하,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형태」, 「전해 동박의 제조 형태」,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면 처리 동박의 형태」에 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전해 동박의 형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방청 처리, 조면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동박이며, 그의 두께에 관하여 특별한 한정은 없다. 또한, 여기서 명기하여 두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하는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물리적 특성에 의해 특정하고 있다. 이 물리적 특성의 값은, 「전해 동박」과, 후술하는 표면 처리를 실시한 「표면 처리 동박」 사이에서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낸다.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이며,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이라는 물리적 특성을 동시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인 전해 동박은, 종래에 있어서도 존재한다. 그러나, 동시에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이라는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전해 동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이라는 물리적 특성을 구비하는 전해 동박을 얻기 위해서는,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이라는 물리적 특성을 구비하는 전해 동박을 사용한다.
전해 동박이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이면, 두께가 9㎛ 이하인 전해 동박에 있어서도, 취급시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작업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동시에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이라는 물리적 특성을 구비하는 전해 동박을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집전체로서 사용하면, 전지 수명이 긴 고품질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공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리적 특성을 구비하는 전해 동박을 부극 집전체에 사용하면, 합금계 부극 활물질을 담지하기 위해, 300℃ 이상의 온도에서 결합제의 중합 반응을 행하여도 당해 전해 동박의 강도 저하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에 관하여 말하면,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500MPa을 초과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처리 시간이 더욱 장시간이 되어도, 안정적으로 높은 인장 강도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고온 내열 특성을 구비하는 전해 동박이면, 두께가 얇은 부극 집전체로 하는 설계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350℃×1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37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철 재료인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동박의 경우, 응력-왜곡 곡선 중에 철재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항복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철 재료로서의 객관적 평가를 행할 때에, 항복점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0.2% 내력」이 사용된다. 또한, 이 「0.2% 내력」과, 상술한 「인장 강도 」는 완전한 상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지만, 0.2% 내력의 값이 높으면, 인장 강도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350℃×1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370MPa 이상」이면, 가열 후의 전해 동박의 인장 강도의 변동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고, 상술한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이라는 물리적 특성이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따라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경우, 「가열 후의 0.2% 내력」과 「가열 후의 인장 강도」를 별개의 지표로서 분리하여 평가함으로써, 가열에 대한 고온 내열 특성의 평가를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더욱 엄격한 고온 부하를 가했을 때의,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이 나타내는 고온 내열 특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350℃×1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410M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500MPa을 초과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얻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350℃×4시간이라는 고온 부하를 가하여도,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350℃×4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이라는 높은 인장 강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경우, 「350℃×4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500MPa 이상」이라는 높은 인장 강도를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350℃×4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370MPa 이상」이라는 높은 0.2% 내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경우, 「350℃×4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410MPa 이상」이라는 높은 0.2% 내력을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정상 상태 신장률이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정상 상태 신장률이 2.5% 미만인 경우, 부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층을 전해 동박 표면에 형성할 때에 전해 동박이 파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물리적 성질은,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미량 성분에 의해 얻어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미량 성분은, 전해 동박의 질량당의 함유량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C 함유량이 100μg/g 내지 450μg/g(「100μg/g 이상 450μg/g 이하」를 의미하며, 이하 마찬가지임), N 함유량이 50μg/g 내지 620μg/g, O 함유량이 400μg/g 내지 3200μg/g, S 함유량이 110μg/g 내지 720μg/g, Cl 함유량이 20μg/g 내지 115μg/g의 범위에 있고, 또한 {Cl/(C+N+O+S+Cl)}×100≤5질량%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량 성분 함유량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고온 부하에 의해 전해 동박의 결정 조직의 재결정화가 현저하게 진행되어, 당해 결정 조직 내에 보이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미량 성분 함유량은, 동박 1g당의 함유량으로서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μg/g」의 단위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Cl/(C+N+O+S+Cl)}×100은,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Cl 함유량(μg/g)의 값을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C(탄소) 함유량, N(질소) 함유량, O(산소) 함유량, S(황) 함유량, Cl(염소) 함유량의 총량(μg/g)의 값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얻어지는 100분율 환산값(질량%)이다.
그리고,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N(질소)의 미량 성분 비율이 {N/(N+S+Cl)}×100≥20질량%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관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고온 부하에 의해 전해 동박의 결정 조직의 재결정화가 현저하게 진행되어, 당해 결정 조직 내에 보이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350℃×1시간 이상의 가열에서, 인장 강도 및 0.2% 내력의 변동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N/(N+S+Cl)}×100은,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N 함유량(μg/g)의 값을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C 함유량, S 함유량, Cl 함유량의 총량(μg/g)의 값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얻어지는 100분율 환산값(질량%)이다.
또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Cl(염소)의 미량 성분 비율이 {Cl/(N+S+Cl)}×100≤20질량%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값이 20질량%를 초과하면, 고온 부하에 의해 전해 동박의 결정 조직 재결정화가 현저하게 진행되고, 당해 결정 조직 내에 보이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값에 관하여 특별히 하한값을 마련하고 있지 않지만, 3.0질량%로 생각된다. 3.0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 강도 및 0.2% 내력의 변동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Cl/(N+S+Cl)}×100은,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Cl 함유량(μg/g)의 값을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N 함유량, S 함유량, Cl 함유량의 총량(μg/g)의 값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얻어지는 100분율 환산값(질량%)이다.
전해 동박의 제조 형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이며, 구리 전해액으로서 「20mg/L 내지 100mg/L의 농도이며 분자량 10000 내지 70000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고, 또한 염소 농도가 0.5mg/L 내지 2.5mg/L인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의 구리 농도 및 프리 황산 농도에 관해서는 특별한 한정은 없지만, 구리 농도가 70g/L 내지 90g/L, 프리 황산 농도가 100g/L 내지 200g/L의 범위인 것이 일반적이다.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이민은, 제1급 아민, 제2급 아민, 제3급 아민을 포함하는 분자량 10000 내지 70000(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쇼꾸바이제의 상품명 에포민(제품 번호 SP-200, P-1000) 등)인 것이다. 그리고, 이 폴리에틸렌이민을, 전해 동박의 제조에 사용하는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에 첨가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폴리에틸렌이민을 첨가한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은 용액 수명이 길고, 전해시의 용액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장시간의 연속 전해를 필요로 하는 전해 동박의 제조에 적합하다. 또한, 폴리에틸렌이민을 첨가한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전해 동박은, 고온 내열 특성이 안정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폴리에틸렌이민의 분자량이 10000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에틸렌이민의 첨가량을 증가시켜도, 얻어지는 전해 동박에 충분한 고온 내열 특성을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폴리에틸렌이민의 분자량이 70000을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여도, 얻어지는 전해 동박의 고온 내열 특성의 변동이 커지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 폴리에틸렌이민의 구조식을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1478161-pat00001
그리고, 이 폴리에틸렌이민은,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 중에서 20mg/L 내지 100mg/L의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폴리에틸렌이민 농도가 20mg/L 미만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전해 동박에 충분한 고온 내열 특성을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당해 폴리에틸렌이민 농도가 100mg/L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상술한 미량 성분 함유량이 과잉이 되는 경향이 있고, 전해 동박으로서의 인장 강도 및 0.2% 내력은 향상되어도, 경화되어 신장률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하는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은, 염소 농도가 0.5mg/L 내지 2.5mg/L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소 농도가 0.5mg/L 미만인 경우에는, 정상 상태 인장 강도는 높지만, 고온 내열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염소 농도가 2.5mg/L를 초과하면, 정상 상태 인장 강도 및 고온 내열 특성 모두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 밖의 제조 조건으로서는, 전해 동박의 제조시의 전류 밀도 40A/dm2 내지 90A/dm2, 액온 40℃ 내지 55℃의 범위에서의 전해가 적합하다. 이 전해 조건의 범위 내이면 안정된 전해가 가능하고, 고품질의 전해 동박의 제조가 가능하다.
표면 처리 동박의 형태: 본건 출원에 관한 표면 처리 동박은, 상술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표면 처리란, 조면화 처리, 방청 처리, 실란 커플링제 처리 등의 화학적 밀착성 향상 처리 등을 말한다. 이때의 조면화 처리의 방법 및 종류에 관해서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구리, 구리 합금, 니켈, 니켈 합금 등의 미세 입자를 동박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 동박의 표면을 에칭 가공하여 미세한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 등의 채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방청 처리로서는, 전해 동박의 표면에 도포, 부착, 석출시키는 등에 의해 방청 처리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면 어떠한 방청 처리를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유기 방청 처리(벤조트리아졸, 이미다졸 등을 사용한 처리), 무기 방청 처리(아연, 아연 합금, 니켈 합금 등을 사용한 처리)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 무기 방청 처리의 경우, 본건 출원의 출원인 등이 출원한 국제 출원(국제 공개 번호WO2012/070589, 국제 공개 번호WO2012/070591)의 명세서 내에 기재한 방청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에 기재된 방청 처리를 채용한 경우에는, 전해 동박시에 나타내는 고온 내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란 커플링제 처리 등의 화학적 밀착성 향상 처리에 관해서도 특별한 한정은 없고, 본건 출원에 관한 표면 처리 동박을 맞대는 기재의 구성 수지의 성질이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활물질 및 결합제의 성질에 따라, 공지된 실란 커플링제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나타내어, 이들을 대비하면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이 구비하는 양호한 고온 내열 특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구리 농도가 80g/L, 프리 황산 농도가 140g/L, 분자량이 70000인 폴리에틸렌이민 농도가 55mg/L, 염소 농도가 2.2mg/L인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여, 전류 밀도 70A/dm2, 액온 50℃의 조건으로 전해하여, 15㎛ 두께의 전해 동박을 얻었다. 이 전해 동박의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 내지 표 4에 비교예와의 대비가 가능하도록 나타낸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0]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0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의 조성이 상이할 뿐이기 때문에, 각각의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의 조성을 표 1 중에 통합하여 나타낸다. 그리고,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전해 동박의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 내지 표 4에 비교예와의 대비가 가능하도록 나타낸다.
비교예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리 농도와 프리 황산 농도를 채용하고,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해하여 15㎛ 두께의 전해 동박을 얻었다.
[비교예 8]
비교예 8에서는, 상술한 특허문헌 1의 실시예 6에 기재된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고, 전류 밀도 40A/dm2, 액온 50℃의 조건으로 전해하여, 15㎛ 두께의 전해 동박을 얻었다.
[비교예 9]
비교예 9에서는, 상술한 특허문헌 3의 실시예 5에 기재된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고, 전류 밀도 40A/dm2, 액온 40℃의 조건으로 전해하여, 15㎛ 두께의 전해 동박을 얻었다.
[비교예 10]
비교예 10에서는, 상술한 특허문헌 6의 실시예에 기재된 시료 8을 얻기 위한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고, 전류 밀도 60A/dm2, 액온 50℃의 조건으로 전해하여, 15㎛ 두께의 전해 동박을 얻었다.
[비교예 11]
비교예 11에서는, 상술한 특허문헌 8의 실시예에 기재된 시료 1을 얻기 위한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고, 용액 온도 50℃, 전류 밀도 75A/dm2의 조건으로 전해하여, 두께 15㎛의 전해 동박을 얻었다.
[비교예 12]
비교예 12에서는, 상술한 특허문헌 8의 실시예에 기재된 시료 4를 얻기 위한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고, 용액 온도 50℃, 전류 밀도 75A/dm2의 조건으로 전해하여, 두께 15㎛의 전해 동박을 얻었다.
[비교예 13]
비교예 13은, 미쯔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의 VLP 동박의 제조에 사용하는 두께 15㎛의 전해 동박을 사용하였다.
[평가 방법 등]
전해 동박 중의 미량 성분 함유량: 전해 동박 중의 O 함유량 및 N 함유량은, 묽은 질산으로 동박 표면의 산화물 제거를 행한 후, 가부시끼가이샤 호리바 세이사꾸쇼의 EMGA-62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O 함유량은 「불활성 가스 융해-피분산형 적외선 흡수법(NDIR)」으로 측정하고, N 함유량은 「불활성 가스 융해-열전도법(TCD)」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전해 동박 중의 C 함유량 및 S 함유량은, 묽은 질산으로 동박 표면의 산화물 제거를 행한 후, 가부시끼가이샤 호리바 세이사꾸쇼의 EMIA-920V를 사용하여, 「산소 기류 중 고주파 가열-적외선 흡수법」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전해 동박 중의 Cl 함유량은, 브롬화은 공침-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전해 동박을 질산으로 가온 용해하고, 질산은을 일정량 가한다. 이어서, KBr 용액을 일정량 가하여, 브롬화은과 함께 염화물 이온을 공침시킨다. 그 후, 암소에서 15분간 정치한 후, 침전물을 여과 분별하여, 이 침전물을 세정한다. 그 후, 당해 침전물을 비커에 넣고, 티오 요소 용액으로 침전물을 용해하고, 암소에서 밤새 방치하였다. 그 후, 이 용액을 희석, 정용(定容)하고, 다이오넥스(Dionex)사제 ICS-2000 전기 전도도 검출기(용리액 KOH, 칼럼 AS-20)를 사용하여, 이온 크로마토 분석법으로 염화물 이온 농도를 측정하고, Cl 함유량을 산출하였다.
인장 강도, 0.2% 내력 및 신장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전해 동박을 길이 10cm, 폭 1cm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내고, 이것을 인장 강도 등 측정용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그리고, 인스트론형의 인장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인장 강도, 0.2% 내력 및 신장률을 측정하였다.
시료의 가열 조건: 인장 강도 등의 측정에 사용하는 직사각형의 시료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가열 오븐 내에서 300℃×1시간, 350℃×1시간, 350℃×4시간의 각 온도에서 가열하고, 로 내에서 실온 근방까지 로를 냉각하여 가열 후의 시료를 얻었다. 이 가열 후의 당해 직사각형의 시료를 사용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인장 강도, 0.2% 내력 및 신장률을 측정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대비]
실시예와 비교예의 대비를 행할 때, 실시예와 비교예의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배합의 대비가 용이하도록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01478161-pat00002
이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관해서는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적정으로 하는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이 「20mg/L 내지 100mg/L의 농도이며 분자량 10000 내지 70000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것」 및 「염소 농도가 0.5mg/L 내지 2.5mg/L인 것」의 2점의 요건을 만족하고 있다. 이에 비해, 비교예에서는,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적정으로 하는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의 첨가제 요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완전히 상이한 첨가제를 포함한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명확하다. 그리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미량 성분 함유량을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01478161-pat00003
이 표 2로부터, 실시예와 비교예에 관한 전해 동박이 함유하는 미량 성분 함유량의 관점에서 대비해 보면, 이하를 이해할 수 있다. 표 2로부터, 실시예에 관한 모든 전해 동박은, 미량 성분 함유량(C 함유량, N 함유량, O 함유량, S 함유량, Cl 함유량)의 조건 및 미량 성분 구성 비율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비교예에 관한 전해 동박은, 이 미량 성분 함유량의 조건 또는 미량 성분 구성 비율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2의 비교예 1은 미량 성분 함유량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염소 구성 비율의 조건은 만족하고 있다. 그리고, 비교예 3 및 비교예 6을 보면, 미량 성분 함유량의 조건은 만족하고 있지만, 염소 구성 비율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 비교예에서 얻어진 전해 동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호한 고온 내열 특성을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염소를 제외한 미량 성분 구성 비율, 및 염소 구성 비율의 조건 양쪽을 만족하지 않으면, 양호한 고온 내열 특성을 구비하는 전해 동박이 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질소와 황과 염소의 합계 함유량을 기준으로 하여, 미량 성분으로서의 질소 및 염소의 미량 성분 비율에 착안하면, 실시예와 비교예에 관한 전해 동박의 차이가 보다 명확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의 질소의 미량 성분 비율은 {N/(N+S+Cl)}×100의 값이며, 염소의 미량 성분 비율은 {Cl/(N+S+Cl)}×100의 값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질소 및 염소의 미량 성분 비율을 이하의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01478161-pat00004
이 표 3에 나타낸 전해 동박 중의 미량 성분 비율로부터 이하를 이해할 수 있다. 우선, {N/(N+S+Cl)}×100의 값을 보면, 실시예는 20.3질량% 내지 45.8질량%, 비교예는 6.2질량% 내지 27.3질량%이며, 일부 중복된 범위는 있지만, 실시예 쪽이 큰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실시예는, {N/(N+S+Cl)}×100≥20질량%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지만, 비교예의 경우에는 이 관계를 만족하지 않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고온 내열 특성을 구비하는 전해 동박인 경우에는, 미량 성분이 {N/(N+S+Cl)}×100≥20질량%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어서, 표 3에 나타내는 {Cl/(N+S+Cl)}×100의 값을 보면, 실시예는 3.0질량% 내지 15.9질량%, 비교예는 7.1질량% 내지 86.2질량%이며, 일부 중복된 범위는 있지만, 비교예 쪽이 큰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실시예는 {Cl/(N+S+Cl)}×100≤20질량%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지만, 비교예의 경우에는 이 관계를 만족하지 않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여기서, 염소 농도가 본건 출원에 있어서 적합한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의 조성 범위의 하한값 미만 또는 상한값을 초과한 것인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7의 전해 동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호한 고온 내열 특성을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해 동박이 상술한 「{Cl/(C+N+O+S+Cl)}×100의 값」 및 「{N/(N+S+Cl)}×100」의 값을 만족하고, 또한 「{Cl/(N+S+Cl)}×100」의 값이 적정한 범위에 있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며, 양호한 고온 내열 특성을 구비하는 조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관한 전해 동박과 비교예에 관한 전해 동박의 물리적 특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물리적 특성을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대비가 용이해지도록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01478161-pat00005
표 4에 나타낸 정상 상태 인장 강도 및 0.2% 내력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 관한 전해 동박의 경우,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610MPa 내지 774MPa, 정상 상태 0.2% 내력이 442MPa 내지 574MPa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비해, 비교예의 경우,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395MPa 내지 791MPa, 정상 상태 0.2% 내력이 358MPa 내지 501MPa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관한 전해 동박은,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이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어서, 표 4에 나타낸 30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 및 0.2% 내력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 관한 전해 동박의 경우, 30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502MPa 내지 613MPa, 300℃×1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384MPa 내지 460MPa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비해, 비교예의 경우, 30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162MPa 내지 538MPa, 300℃×1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118MPa 내지 396MPa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300℃×1시간 가열 후에 있어서도,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 쪽이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비교예 중에서, 정상 상태에서 가장 높은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던 비교예 10은, 30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199MPa로 급격하게 저하되고, 300℃×1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을 보아도 179MPa로 급격하게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양호한 고온 내열 특성을 나타내는 전해 동박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상세히 보면, 비교예 12의 경우에는 「30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500MPa 이상」 및 「300℃×1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380MPa 이상」인 실시예와 동등한 고온 내열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표 4에 나타낸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 및 0.2% 내력에 관하여 보면,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의 전해 동박의 고온 내열 특성이 크게 우수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전해 동박의 경우,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3MPa 내지 583MPa, 350℃×1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371MPa 내지 446MPa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비해, 비교예의 경우,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71MPa 내지 455MPa, 350℃×1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64MPa 내지 359MPa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350℃×1시간 가열 후에 있어서는, 인장 강도 및 0.2% 내력 모두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 쪽이 명백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실시예에 관한 전해 동박은, 비교예에 비해 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가열을 받았을 때에, 종래의 전해 동박에 대한 우위성이 현저해지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30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 및 0.2% 내력이 실시예와 동등한 특성을 구비하는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11 및 비교예 12를 보아도, 350℃×1시간 가열 후에 있어서는 인장 강도가 455MPa 이하, 0.2% 내력이 359Pa 이하까지 저하되어 있다. 즉, 비교예의 경우,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이 명확하다.
이하, 더욱 큰 열량을 부하한 케이스로서, 350℃×4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 및 0.2% 내력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가열 시험에는, 실시예 8과 실시예 10의 전해 동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8에 관한 전해 동박의 경우, 350℃×4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533MPa, 350℃×4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416MPa, 350℃×4시간 가열 후의 신장률 2.2%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시예 10에 관한 전해 동박의 경우, 350℃×4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520MPa, 350℃×4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423MPa, 350℃×4시간 가열 후의 신장률 1.7%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값은, 매우 가혹한 가열을 받은 후의 값인 것을 생각하면, 매우 양호한 값이다. 따라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이면, 「350℃×4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 「350℃×4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370MPa 이상」인 2 조건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은,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이라는 물리적 특성을 동시에 구비한다. 따라서, 얇은 전해 동박이어도 주름의 발생이 적고, 양호한 취급 특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해 동박은, 고온 부하를 받아도 양호한 고온 내열 특성을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각종 표면 처리를 실시한 표면 처리 동박으로서, 프린트 배선판,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분야에 있어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건 출원에 관한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은 전해 동박의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변경할 뿐이며, 종래의 전해 동박의 제조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설비 투자를 불필요로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Claims (8)

  1. 전해 동박에 포함되는 미량 성분으로서, C 함유량이 100μg/g 내지 450μg/g, N 함유량이 50μg/g 내지 620μg/g, O 함유량이 400μg/g 내지 3200μg/g, S 함유량이 110μg/g 내지 720μg/g, Cl 함유량이 20μg/g 내지 115μg/g이며,
    또한 {Cl/(C+N+O+S+Cl)}×100≤5질량%의 관계를 만족하는 전해 동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 함유량이 {N/(N+S+Cl)}×100≥20질량%의 관계를 만족하는 전해 동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l 함유량이 {Cl/(N+S+Cl)}×100≤20질량%의 관계를 만족하는 전해 동박.
  4. 제1항에 있어서, 정상 상태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 350℃×1시간 가열 후의 인장 강도가 47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5. 제1항에 있어서, 350℃×1시간 가열 후의 0.2% 내력이 370MPa 이상인 전해 동박.
  6. 제1항에 있어서, 정상 상태 신장률이 2.5% 이상인 전해 동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이며,
    구리 전해액으로서 20mg/L 내지 100mg/L의 농도이며 분자량 10000 내지 70000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고, 또한 염소 농도가 0.5mg/L 내지 2.5mg/L인 황산 산성 구리 전해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처리 동박.
KR1020197000401A 2013-01-31 2014-01-30 전해 동박, 이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및 이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면 처리 동박 KR102272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17620 2013-01-31
JP2013017620 2013-01-31
PCT/JP2014/052069 WO2014119656A1 (ja) 2013-01-31 2014-01-30 電解銅箔、その電解銅箔の製造方法及びその電解銅箔を用いて得られる表面処理銅箔
KR1020157020495A KR102227681B1 (ko) 2013-01-31 2014-01-30 전해 동박, 이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및 이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면 처리 동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495A Division KR102227681B1 (ko) 2013-01-31 2014-01-30 전해 동박, 이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및 이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면 처리 동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075A KR20190006075A (ko) 2019-01-16
KR102272695B1 true KR102272695B1 (ko) 2021-07-05

Family

ID=512623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401A KR102272695B1 (ko) 2013-01-31 2014-01-30 전해 동박, 이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및 이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면 처리 동박
KR1020157020495A KR102227681B1 (ko) 2013-01-31 2014-01-30 전해 동박, 이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및 이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면 처리 동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495A KR102227681B1 (ko) 2013-01-31 2014-01-30 전해 동박, 이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및 이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면 처리 동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2) JP6373764B2 (ko)
KR (2) KR102272695B1 (ko)
CN (1) CN104955988B (ko)
MY (2) MY174169A (ko)
PH (1) PH12015501706A1 (ko)
TW (1) TWI518210B (ko)
WO (1) WO2014119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425B1 (ko) 2015-06-18 2020-06-12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897474B1 (ko) 2015-06-26 2018-09-12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6067910B1 (ja) * 2015-11-04 2017-01-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解銅箔、その電解銅箔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6440656B2 (ja) * 2016-07-12 2018-12-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解銅箔
KR102646185B1 (ko) 2017-02-27 2024-03-08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6757773B2 (ja) * 2018-09-26 2020-09-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解銅箔
JP6827022B2 (ja) * 2018-10-03 2021-02-10 Jx金属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用銅箔、それを用いた銅張積層体、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電子機器
US10581081B1 (en) * 2019-02-01 2020-03-03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Copper foil for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N111455414A (zh) * 2020-03-09 2020-07-28 深圳市惟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渐变式电解铜箔的添加剂
KR20220043617A (ko) * 2020-09-29 2022-04-05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고강도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0589A1 (ja) * 2010-11-22 2012-05-3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
WO2013002279A1 (ja) * 2011-06-30 2013-01-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解銅箔、該電解銅箔の製造方法及び該電解銅箔を集電体とす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685A (ja) * 1999-06-30 2001-01-1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電解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54270B1 (ko) * 2002-11-29 2004-10-26 엘지전선 주식회사 저조도 전해동박의 제조방법 및 전해동박
CN100554527C (zh) * 2003-04-03 2009-10-28 福田金属箔粉工业株式会社 低粗糙面电解铜箔及其制造方法
JP4273309B2 (ja) 2003-05-14 2009-06-03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低粗面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JP5255229B2 (ja) 2006-04-28 2013-08-07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電解銅箔、その電解銅箔を用いた表面処理銅箔及びその表面処理銅箔を用いた銅張積層板並びにその電解銅箔の製造方法
KR101154203B1 (ko) * 2006-04-28 2012-06-18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해 동박, 그 전해 동박을 이용한 표면 처리 동박 및 그 표면 처리 동박을 이용한 동박 적층판 및 그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JP2008285727A (ja) 2007-05-18 2008-11-27 Furukawa Circuit Foil Kk 高抗張力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JP5588607B2 (ja) 2007-10-31 2014-09-1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電解銅箔及びその電解銅箔の製造方法
EP2312020A4 (en) * 2008-07-07 2014-05-28 Furukawa Electric Co Ltd ELECTROLYTIC COPPER FOIL AND LAMINATE COATED WITH COPPER
JP5598700B2 (ja) 2010-02-25 2014-10-01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85760B1 (ko) * 2010-07-01 2014-04-17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전해 동박 및 그 제조 방법
TWI466367B (zh) 2010-12-27 2014-12-21 Furukawa Electric Co Lt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 electrode for the secondary battery, an electrode for an electrolytic copper foil
JP5771392B2 (ja) 2010-12-28 2015-08-26 日本電解株式会社 電解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01046B1 (ko) * 2012-05-22 2020-04-14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구리박, 부극 집전체 및 비수계 2차 전지의 부극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0589A1 (ja) * 2010-11-22 2012-05-3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
WO2013002279A1 (ja) * 2011-06-30 2013-01-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解銅箔、該電解銅箔の製造方法及び該電解銅箔を集電体とす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55988B (zh) 2018-01-30
JP6529646B2 (ja) 2019-06-12
WO2014119656A1 (ja) 2014-08-07
PH12015501706A1 (en) 2015-10-12
JP6373764B2 (ja) 2018-08-15
TWI518210B (zh) 2016-01-21
MY173524A (en) 2020-01-31
TW201437435A (zh) 2014-10-01
MY174169A (en) 2020-03-12
CN104955988A (zh) 2015-09-30
JP2018165411A (ja) 2018-10-25
KR20190006075A (ko) 2019-01-16
KR20150114484A (ko) 2015-10-12
JPWO2014119656A1 (ja) 2017-01-26
KR102227681B1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695B1 (ko) 전해 동박, 이 전해 동박의 제조 방법 및 이 전해 동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면 처리 동박
KR101385760B1 (ko) 전해 동박 및 그 제조 방법
TWI530590B (zh) Electrolytic copper foil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lytic copper foil
KR101386093B1 (ko) 전해동박 제조용 구리전해액, 전해동박의 제조방법 및 전해동박
EP3239363B1 (en) Fe-ni alloy metal foil having excellent heat resilie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077479B1 (ja) コンタク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
KR20170061717A (ko) 고강도, 고내열 전해 동박 및 그 제조방법
TWI514937B (zh) 佈線電路基板
WO2013176115A1 (ja) 銅箔、負極集電体及び非水系二次電池の負極材
CN107604197B (zh) 电解铜箔
KR20200057102A (ko) 표면 처리 구리박, 부극 집전체 및 비수계 이차 전지의 부극재
JP7326668B2 (ja) シワの発生が防止された銅箔、それを含む電極、それを含む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937501B (zh) 在低温下具有优异的物理性能的二次电池用电解铜箔、及其生产方法
KR101851515B1 (ko) 전해 구리박, 그 전해 구리박을 사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JP2015045092A (ja) 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JP5503814B1 (ja) 電解銅箔と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負極電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20220223314A1 (en) Carbon-nanotubes copper composite conductors
JP7061120B2 (ja) 耐屈曲性に優れた二次電池用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JP6757773B2 (ja) 電解銅箔
KR20200050769A (ko) 이차전지용 전해 철-니켈 합금박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4098181A (ja) 電解銅合金箔、その製造方法、その製造に用いる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集電体、二次電池及びその電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