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440B1 -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를 갖는 캐리어 및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를 갖는 캐리어 및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440B1
KR102263440B1 KR1020180166173A KR20180166173A KR102263440B1 KR 102263440 B1 KR102263440 B1 KR 102263440B1 KR 1020180166173 A KR1020180166173 A KR 1020180166173A KR 20180166173 A KR20180166173 A KR 20180166173A KR 102263440 B1 KR102263440 B1 KR 102263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lamping
gap
window glass
clamp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714A (ko
Inventor
우도 토브먼
프랭크 바그너
크리스티안 샘
크리스티안 야거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19008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E05F2011/387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using arrangements in the window glass, e.g.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02Clam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Abstract

특히,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가 제안되며, 이 캐리어는, 2개의 대향하는 클램핑부(3a, 3b)를 포함하는 유리 홀더(3)를 포함하고, 클램핑부 사이에는 창문 유리(F)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틈(g)이 제공되어 있고, 창문 유리(F)가 틈(g) 안으로 삽입될 때 클램핑부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5)를 통해 서로에 연결된다. 유리 홀더(3)는 클램핑부(3a, 3b) 중의 하나를 위한 베어링부(30)를 형성하며, 이 베어링부에는 한 클램핑부(3a)를 위한 회전 축선(S)이 규정되며, 틈(g) 안으로 들어가는 회전 요소(301)가 제공되고, 창문 유리(F)를 틈(g) 안으로 삽입하면, 한 클램핑부(3a)는 회전 요소에 의해 다른 클램핑부(3b)의 방향으로 회전 축선(S)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를 갖는 캐리어 및 조립 방법{CARRIER WITH PIVOTABLE CLAMPING PART AND ASSEMBLY METHOD}
본 발명은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 및 창문 유리를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에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창문 유리의 하측 가장자리의 영역 또는 창문 유리의 측면 가장자리의 영역에서 조절되는 창문 유리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다. 그런 다음에 캐리어는, 창문 유리를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예컨대 보우덴(Bowden) 케이블 형태의 차량 창문 리프터의 가요성 견인 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는 예컨대 차량 창문 리프터의 안내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지만, 이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원리적으로, 창문 유리를 조절하기 위해 그러한 캐리어는 예컨대 기전 구동기를 통해 발생되는 조절력을 그에 연결된 창문 유리에 전달한다.
창문 유리에의 연결을 위해, 캐리어에 있는 2개의 대향하는 클램핑부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그들 클램핑부 사이에는 창문 유리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틈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클램핑부 사이에서, 틈 안으로 삽입되는 창문 유리의 일부분이 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목적으로, 2개의 대향하는 클램핑부를 서로에 연결하고 이를 틈 안으로 삽입되어 있는 창문 유리의 일부분에 클램핑부를 가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가 제공되며, 그래서 상기 부분이 클램핑부 사이에 죄여 유지된다.
창문 유리를 그러한 캐리어에 조립하는 동안에, 창문 유리의 삽입 후에 2개의 클램핑부가 서로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게 배향되고 그래서 그 후에 두 클램핑부를 연결하고 창문 유리를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해 장착되는 체결 요소는 잘못 위치됨이 없이 쉽게 장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창문 유리의 삽입을 위해, 어떤 최소한의 조치로 두 클램핑부는 처음에 서로 이격되어야 하고, 그래서 창문 유리 또는 이를 위해 예컨대 유리 하측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있는 부분은 두 클램핑부 사이의 틈 안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창문 리프터의 조립시에, 예컨대, 차량 창문 리프터가 제공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내부로부터 보통 클램핑부의 단지 하나에만 여전히 접근할 수 있다. 내부로부터 외측 클램핑부의 가능한 잘못된 위치가 거의 수정될 수 없고, 또한 두 클램핑부의 서로에 대한 정확한 스크류 연결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핑부에 제공되어 있는 나사산이 손상될 수 있고 작동시 차량 창문 리프터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유사한 캐리어가 예컨대 DE 10 2005 025 281 A1에 알려져 있다. 여기서 제안된 캐리어는, 창문 유리가 캐리어에 고정될 때 창문 유리가 안내 레일에 대해 경사 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웨브 연결부를 통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술한 조립 문제는 DE 10 2005 025 281 A1에서는 다루어 지지 않고 있다. 여기서 단지 고려되는 것은, 캐리어의 유리 홀더를 통한 균형 잡기 경사 운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안된 해결 방안의 목적은, 창문 유리를 캐리어에 장착할 때의 전술한 어려움을 2개의 대향하는 클램핑부로 피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는 캐리어 및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캐리어 및 청구항 10에 따른 조립 방법으로 달성된다.
따라서,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가 제안되고, 이 캐리어는 2개의 대향하는 클램핑부를 갖는 유리 홀더를 포함한다. 클램핑부 사이에는 창문 유리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틈이 제공되어 있고, 창문 유리가 상기 틈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클램핑부는 예컨대 스크류 또는 볼트의 형태로 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를 통해 서로에 연결된다. 제안된 해결 방안에서, 유리 홀더는 상기 클램핑부 중의 하나를 위한 베어링부를 또한 형성하며, 그 베어링부에는 한 클램핑부를 위한 회전 축선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틈 안으로 들어가는 회전 요소가 제공되고, 상기 창문 유리를 틈 안으로 삽입하면, 그 한 클램핑부는 회전 요소에 의해 다른 클램핑부의 방향으로 상기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창문 유리의 삽입에 따라 한 클램핑부를 다른 대향하는 클램핑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요소를 통해 일종의 레버 기구가 캐리어에 제공된다. 따라서, 창문 유리의 결합시 한 클램핑부는 베어링부에 규정된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요소에 의해 예비 조립 위치로부터 조립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예비 조립 위치에서 두 클램핑부가 특정된 최소한의 조치로 서로 이격되고 또한 창문 유리의 일부분이 틈 안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게 예컨대 한 클램핑부는 다른 클램핑부에 대해 경사져 있는 중에, 두 클램핑부를 서로에 연결하는 체결 요소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조립 위치에서 두 클램핑부는 서로에 접근한다. 예컨대, 조립 위치에서, 클램핑부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틈으로 들어가는 회전 요소는, 틈 안으로 적절히 삽입된 창문 유리의 일부분에 의해 변위되어 한 클램핑부를 베어링부에 의해 규정된 회전 축선 주위로 다른 클램핑부의 방향으로 (조립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제공된다. 이렇게 해서, 예컨대, 창문 유리를 캐리어의 틈 안으로 삽입하면, 장착될 체결 요소를 위해 한 클램핑부에 제공되어 있는 체결 개구가 다른 클램핑부의 대응하는 체결 개구와 적절히 정렬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설계예에서, 한 클램핑부의 체결 개구 또는 두 클램핑부의 두 체결 개구에는, 스크류 볼트 또는 체결 요소의 체결 스크류를 위한 내부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설계예에서, 나사산 슬리브가 클램핑부의 체결 개구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나사산 슬리브는 스크류 볼트 또는 체결 요소의 체결 스크류를 위한 내부 나사산을 갖는다.
한 설계에서, 회전 요소는 상기 베어링부에 몰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요소는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의 회전 축선을 규정하는 베어링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클램핑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 안으로 상기 창문 유리를 삽입하면, 상기 회전 베어링 요소는 상기 베어링부의 탄성 및/또는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한 클램핑부를 다른 클램핑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축선을 특정하고 창문 유리가 틈 안으로 삽입될 때 한 클램핑부가 그 특정된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한 베어링부에서는 재료 및 구성으로 인해 변형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베어링부는 일 영역에서 선택적으로 탄성적으로 그리고/또는 소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어 회전 축선을 특정하며, 유리의 삽입시 변위되는 회전 요소에 의해 한 클램핑부가 조립 중에 그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된다.
한 설계예에서, 창문 유리가 상기 틈 안으로 적절히 삽입될 수 있는 삽입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회전 요소는 상기 회전 축선 아래에 배치된다. 그래서, 회전되는 한 클램핑부는 베어링부의 회전 축선 위쪽에 제공될 수 있고, 그래서 창문 유리의 삽입시에 변위되는 회전 요소의 지렛대 효과를 사용하여, 이 클램핑부는 다른 대향하는 클램핑부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 설계예에서, 베어링부는, 절취부를 규정하는 베어링 브라켓을 형성하고, 회전 요소는 베어링 브라켓의 절취부에 배치된다. U-형 베어링 브라켓의 경우에, 회전 요소는 예컨대 베어링 브라켓의 기부로부터, 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베어링 브라켓의 두 다리부 사이에 형성된 절취부 안으로 연장되고 동시에 캐리어의 틈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예컨대 베어링 브라켓을 갖는 설계는, 두 다리부를 연결하는 기부의 영역에서 의도하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게 해주고, 그래서, 틈 안으로 삽입된 창문 유리의 일부분을 변위시키면 기부에 몰딩된 회전 요소가 회전 축선을 규정하는 기부의 영역에서 베어링 브라켓을 변형시키고 그리하여 마찬가지로 기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클램핑부를 다른 클램핑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 요소는 예컨대 핀형 또는 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캐리어는 유리 홀더의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되는, 특히 부착되거나 몰딩되는 캐리어 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캐리어 본체는 차량 창문 리프터의 안내 레일 상에서 상기 캐리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특히, 2개의 대향하는 클램핑부는 캐리어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설계예에서, 한 클램핑부는 캐리어 본체에 몰딩될 수 있고, 특히, 다른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유리 홀더의 일부분은 캐리어 본체에 부착된다. 마지막에 언급된 설계예에서, 예컨대, 개별적으로 제조된 부품(캐리어 본체와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음)이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를 갖는 캐리어 본체에 장착되고, 그 캐리어 본체에는 다른 클램핑부가 일체적인 부품으로서 몰딩된다. 여기서 캐리어 본체에 장착되어 부착되는 부품은 회전 요소를 포함하는 베어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설계예에서, 예컨대, 캐리어 본체와는 별개로 형성되는 부분(회전 가능한 클램핑부를 포함함)의 부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 핀 또는 웨브가 형성되고, 조립 조건에서, 적어도 2-부분 캐리어는 적절히 부착된 부분의 대응하는 연결 개구 안에 결합한다.
캐리어 본체에는, 예컨대 보우덴 케이블의 형태로 된 차량 창문 리프터의 가요성 견인 수단에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예컨대 차량 창문 리프터의 보우덴 케이블의 케이블 니플에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니플 챔버를 포함한다.
제안된 해결 방안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 창문 유리의 조절을 위한 차량 창문 리프터이고, 이는 한 클램핑부를 위한 회전 축선을 규정하는 베어링부를 갖는 캐리어 및 두 클램핑부 사이의 틈 안으로 들어가는 회전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제안된 해결 방안의 추가 양태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에 창문 유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문 유리를 캐리어에 적절히 조립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의 두 클램핑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 안으로 창문 유리의 일부분이 예컨대 유리 하측 가장자리의 영역에서 삽입된다. 그런 다음에, 램핑부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창문 유리의 상기 일부분을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두 클램핑부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를 통해 서로에 연결된다. 캐리어의 베어링부에는 상기 클램핑부 중의 하나를 위한 회전 축선이 규정되며, 상기 창문 유리를 틈안으로 삽입하면, 상기 한 클램핑부는 다른 클램핑부의 방향으로 그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된다.
제안된 조립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전술한 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설계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캐리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캐리어의 설계예에 대한 전술한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특징과 이점은, 제안된 조립 방법의 설계예에도 해당되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조립 방법의 일 변형예에서, 틈 안으로 삽입되는 창문 유리의 상기 일부분은 틈 안으로 들어가 있는 상기 베어링부의 회전 요소에 작용하며, 그리하여 한 클램핑부는 다른 클램핑부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창문 유리를 틈 안으로 적절히 삽입하는 것만으로, 한 클램핑부가 특정된 회전 축선 주위로 변위될 수 있다.
예컨대, 창문 유리의 삽입 후에, 체결 요소가 부착된다. 이는, 2개의 (제 1 및 2) 클램핑부를 서로에 연결하여 창문 유리를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해, 예컨대 (제 2) 비회전 클램핑부로부터 이 (제 2) 클램핑부의 제 1 체결 개구를 통과해 창문 유리의 개구 안으로 들어가 (제 1) 회전 클램핑부의 제 2 체결 개구 안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이 제 2 체결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예컨대, 캐리어와 함께 차량 도어에 이미 사전에 장착된 차량 창문 리프터에 창문 유리가 장착될 때, 차량 창문 리프터를 차량 도어에 조립하는 동안에, 회전될 클램핑부는 차량 도어의 외부를 향하고, 다른 비회전 클램핑부는 차량 도어의 내부로부터 여전히 접근 가능하다. 따라서, 두 클램핑부 사이의 틈 안으로 창문 유리를 삽입하면, 거의 접근이 불가능한 외측 클램핑부가 변위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의 다음 부착을 위해 이 클램핑부는 다른 내측 클램핑부에 대해 정렬된다.
첨부된 도면은 제안된 해결 방안의 가능한 설계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제안된 캐리어의 일 설계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캐리어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캐리어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두 클램핑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두 클램핑부를 서로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 요소가 제공되어 있다.
도 4는 창문 유리가 고정되어 있는 캐리어를 부분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4a는 도 4의 A-A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 8은 창문 유리가 고정되어 있는 캐리어의 서로 다른 도를 나타낸다.
도 9a - 9c는 창문 유리를 캐리어에 조립할 때 클램핑부 중의 하나를 캐리어의 다른 클램핑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다르게 구성된 베어링부를 갖는 제안된 캐리어의 다른 설계의 서로 다른 도를 나타낸다.
도 10a - 10b는 제안된 캐리어의 다른 설계예를 나타내고, 여기서 2개의 클램핑부를 갖는 유리 홀더가 캐리어 본체에 몰딩되어 있다.
도 11a - 11b는 다부분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제안된 캐리어의 다른 설계예를 나타내고, 여기서 유리 홀더의 다른 클램핑부가 몰딩되어 있는 별도의 부분의 일 구성품으로서 캐리어 본체에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가 장착되어 있다.
도 1 내지 8 및 9a 내지 11b는, 예컨대 무프레임 차량 도어용 차량 창문 리프터에 사용될 수 있는 캐리어(1)에 대한 설계 예의 상이한 도를 나타낸다.
캐리어(1)는 캐리어 본체(2)를 가지며, 차량 창문 리프터의 안내 레일(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 상에서 캐리어(1)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20)가 캐리어 본체 위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차량 창문 리프터의 보우덴(Bowden) 케이블에 연결되는 연결부(21)가 캐리어 본체(2)에 제공되어 있다. 이를 위해 그 연결부(21)는 2개의 니플(nipple) 챔버를 포함하고, 보우덴 케이블을 통해 조절력을 캐리어(1)에 전달하거나 조절력을 안내 레일을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보우덴 케이블의 케이블 니플이 니플 챔버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캐리어(1)의 끝 위치(이 위치에서 캐리어(1)에 연결되는 창문 유리(F)가 완전히 내려감)를 특정하기 위해, 캐리어 본체(2)는 스탑(22)을 포함하고, 이 스탑을 통해 캐리어(1)는, 예컨대 안내 레일 또는 안내 레일을 형성하거나 안내 레일을 지탱하는 캐리어 부품에 있는 상대 스탑에 접촉할 수 있다.
캐리어(1)의 캐리어 본체(2)는 유리 홀더(3)를 캐리어 본체(2)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23)를 포함한다. 유리 홀더(3)를 캐리어 본체(2)에 고정하기 위해, 유리 홀더(3)는 연결부(32)를 형성하고, 이 연결부는 클램핑부(3a, 3b)를 지탱하고 캐리어 본체(2)의 홀더부(23)로 에워싸여 있다. 클램핑부(3a, 3b)를 갖는 캐리어(1)의 유리 홀더(3)는 조절될 창문 유리(F)(도 4 내지 8에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음)에 캐리어(1)를 확고하게 클램핑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유리 홀더(3)는 서로 대향하는 두 클램핑부(3a, 3b)를 형성하고, 이들 클램핑부 사이에는 틈(g)이 형성되어 있다. 창문 유리(F)의 일부분이 유리 하측 가장자리(U)의 영역에서 이 틈 안으로 적절히 삽입되어 두 클램핑부(3a, 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창문 유리(F)를 캐리어(1)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 요소(여기서는 스크류(5)의 형태임)가 일측으로부터 클램핑부(3a, 3b) 중 하나의 체결 개구(35b)및 창문 유리(F)에 있는 대응하는 개구를 통과해 반대편 클램핑부(3a)의 체결 개구(35a)를 통해 안내된다. 클램핑부(3a, 3b) 중의 하나 둘 모두에서, 체결 개구(35a 또는 35b)에 내부 나사산이 제공될 수 있고, 스크류(5)의 외부 나사산이 회전되어 그 내부 나사산 안으로 들어간다. 내부 나사산은 체결 개구(35a)에 배치되는 나사산 슬리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나사산 슬리브를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3a)에 고정하기 위해, 예컨대 헬리컬 기어(4)의 형태로 되어 있는 스크류 요소가 한 클램핑부(3a)에 부착된다(특히, 도 1 및 2 참조). 창문 유리(F)를 삽입하고 스크류(5)를 부착하기 전에, 체결 개구(35a) 안에 확고하게 유지되는 헤드(예컨대, 외부 육각을 가짐)를 통해 나사산 슬리브를 클램핑부(3a)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이 헬리컬 기어(4)는 클램핑부(3)로부터 돌출하는 나사산 슬리브의 일 단부 상으로 회전된다.
창문 유리(F)를 캐리어(1)에 조립하기 위해, 두 클램핑부(3a, 3b)는 충분히 서로 이격되어 있어야 하고 또한 두 클램핑부 사이의 틈(g)은 가능하다면 깔대기형이어야 한다. 그러나, 창문 유리(F)를 삽입 방향(E)을 따라 틈(g) 안으로 삽입한 후에, 유리 홀더(3)의 두 클램핑부(3a, 3b)의 체결 개구(35a, 35b)가 서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더욱 심각한데, 왜냐하면, 창문 유리(F)를 캐리어(1)에 조립하는 동안에, 캐리어(1)는 차량 도어에 있는 차량 창문 리프터에 이미 일반적으로 미리 장착되어 있고 그래서 스크류(5)가 내부에서 내측 클램핑부(3b)에 조여지면 한 외측 클램핑부(3b)는 더 이상 쉽게 접근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클램핑부(3a, 3b)가 서로에 대해 또는 스크류(5)의 나사 결합 방향에 대해 잘못 위치되면, 정확한 스크류 연결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방해된다. 이렇게 되면, 스크류(5)가 회전하여 들어가는 내부 나사산이 손상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 창문 리프터의 작동시 캐리어가 파손될 위험이 커지게 된다.
도 1 내지 8(및 도 9a 내지 11b)의 도시된 캐리어(1)에서는, 외부(외측) 클램핑부(3a)를 위한 유리 홀더(3)의 베어링부(30)에 회전 축선(S)을 규정하고 또한 틈(g) 안으로 들어가는 회전 요소(301)를 제공함으로써, 스크류 연결이 잘 못 될 그러한 위험이 거의 완전히 배제되며, 창문 유리(F)를 틈(g) 안으로 삽입하면, 그 회전 요소에 의해 외측 클램핑부(3a)는 회전 축선(S) 주위로 다른 내부(내측) 클램핑부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U-형 베어링 브라켓(300)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부(30)는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3a) 및 회전 요소(30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베어링 브라켓(300)의 두 다리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베어링 브라켓(30)의 기부가 회전 축선(S)을 규정하고, 창문 유리(F)가 삽입 방향(E)을 따라 캐리어(1)에 장착될 때 한 외측 클램핑부(3a)가 그 회전 축선 주위로 다른 내측 클램핑부(3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외측 클램핑부(3a)는 하향 삽입 방향(E)에 대해 회전 축선(S) 위쪽에 배치되고, 회전 요소(301)는 회전 축선(S) 아래의 틈(g) 안으로 들어간다. 도 1 내지 8에 나타나 있는 설계예에서, 회전 요소(301)는 불룩한 단부를 갖는 핀형으로 그래서 피봇 핀(301)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피봇 핀(301)은 창문 유리(F)의 삽입 방향(E)에 대해 횡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베어링 브라켓(300)의 절취부(3000) 내부에 배치된다.
베어링 브라켓(300)을 갖는 베어링부(30)는 회전 축선(S)을 규정하는 베어링 브라켓(300)의 기부의 영역에서 선택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틈(g) 안으로 삽입되는 창문 유리(F)는 틈(g) 안으로 들어가 있는 피봇 핀(301)을 변위시켜 베어링 브라켓(300)의 기부를 변형시킬 수 있다. 피봇 핀(301)이 변위되면, 피봇 핀(301) 및 이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외측 클램핑부(3a)가 회전 방향(R)을 따라 회전 축선(S) 주위로 반대편의 내측 클팸핑부(3b)의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축선(S) 주위로 회전 방향(R)을 따라 창문 유리(F)를 틈(g) 안으로 삽입하기만 해도, 외측 클램핑부(3a)는 예비 조립 위치로부터 반대편의 클램핑부(3b)의 방향으로 조립 위치로 변위된다.
조립 위치에서, 외측 클램핑부(3a)는 내측 클램핌부(3b)에 대해 적절히 정렬되어, 두 클램핑부(3a, 3b)가 서로에 대해 잘못 위치되는 일이 없어 스크류(5) 및 헬리컬 기어(4)를 통한 스크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창문 유리(F)의 결합시 외측 클램핑부(3a)를 다른 내측 클램핑부(3b)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유리 홀더(3)의 베어링부(30)를 통해 일종의 레버 기구가 캐리어(1)에 제공된다. 이를 위해 특정된 회전 축선(S)의 영역에서 베어링부(30)에서 변형이 선택적으로 허용되므로, 그를 위한 외측 클램핑부(3b)는 큰 지출 비용으로 지지될 필요가 없다. 창문 유리(F)의 삽입시 피봇 핀(301)이 변위되어 외측 클램핑부(3a)가 회전될 수 있는 가능성은, 유리 홀더(3)의 형상 및 재료만으로 얻어진다.
도 9a, 9b 및 9c는 유리 홀더(3) 및 이 유리 홀더(3)와 캐리어 본체(2)(도 도 9a 내지 9c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는 캐리어(1)에 대한 추가 설계예의 서로 다른 도를 나타낸다.
도 9a 내지 9c의 설계예에서도, 외측 클램핑부(3a)의 회전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베어링 브라켓(300) 및 피봇 핀(301)을 갖는 베어링부(30)가 제공된다. 유리 하측 가장자리(U)로 틈(g) 안으로 삽입되는 창문 유리(F)가 피봇 핀(301)을 회전 축선(S) 아래로 변위시키고 그래서 외측 클램핑부(3a)가 회전 방향(R)을 따라 반대편의 내측 클램핑부(3b)의 방향으로 변위할 때 기부 및 베어링부(300)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도 1 내지 8의 설계예와 달리 베어링부(30)의 베어링 브라켓(300)의 기부는 더 작은 강성을 가지고 형성된다.
도 10a 및 10b는, 유리 홀더(3)가 캐리어 본체(2)에 몰딩되어 있는 제안된 캐리어(1)의 추가 설계예의 2개의 다른 도를 나타낸다. 캐리어 본체(2)의 안내부(20) 및 연결부(21)는 유리 홀더(3)의 한 (고정된) 클램핑부(3b)의 옆에 위치하고 그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다른 클램핑부(3a)를 피봇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피봇 핀(301)을 갖는 베어링부(30)의 베어링 브라켓(300) 및 다른 클램핑부(3a)는 캐리어 본체(2)에 일체적으로 몰딩된다. 도 10a 및 10b의 설계예에서, 그래서 캐리어 본체(2)와 유리 홀더(3)는 단일체로 형성되고 그래서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11a 및 11b에 나타나 있는 추가 설계예에서, 한편 캐리어(1)는 다부분 설계로 되어 있다. 여기서 캐리어(1)는 2개의 부분, 즉, 한편으로, (고정된) 클팸핑부(3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캐리어 본체(2), 및 다른 한편으로는, 캐리어 본체(2)에 장착되는 추가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베어링 브라켓(300)을 갖는 베어링부(30) 및 피봇 핀(301)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3a)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베어링부(30)와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3a)를 포함하는 2-부분 캐리어(1)의 제 2 부분은 유리 홀더(3)의 두 클램핑측 중의 하나를 형성한다.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3a)를 갖는 이 부분은, 클램핑부(3b)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리 홀더(3)의 다른 클램핑측을 갖는 캐리어 본체(2)와는 다른 재료로 개별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설계에서, 캐리어(1)에 연결되는 창문 유리(F)를 위한 틈(g)은 캐리어(1)의 부품을 조립하고 그런 다음에 두 부품을 결합하여 얻어지며, 각 부품은 클램핑부(3a, 3b)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3a)를 포함하는 부품을 캐리어 본체(2)에 연결하기 위해, 도 11a 및 11b에 나타나 있는 설계예의 캐리어 본체(2)는 복수의 돌출 연결 핀(23a, 23b)을 형성한다. 이들 연결 핀(23a, 23b)은, 캐리어(1)가 적절히 조립될 때 베어링부(30)의 기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 개구 안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캐리어(1)를 제조하기 위해, 캐리어 본체(2),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3) 및 베어링부(30)를 포함하는 캐리어(1)의 부분은 개별적으로 제조된 다음에 결합될 수 있다. 각기 클램핑부(3a, 3b)를 포함하는 캐리어(1)의 두 부품의 연결은, 연결 핀(23a, 23b)과 같은 서로 확고히 결합하는 연결 요소를 통해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개별적으로 제조된 부품의 결합적인 연결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창문 리프터는 도시된 캐리어(1)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스트랜드 창문 리프터의 설계(두 캐리어(1)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안내 레일 상에 이동하게 유지됨)에서, 다르게 설계된 캐리어(1)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그러한 2-스트랜드 창문 리프터에서, 도 1 내지 8 또는 9a 내지 9b에 따른 캐리어(1)(캐리어 본체(2)에 고정된 유리 홀더(3)를 포함함)는 제 1 안내 레일에 배치되고, 도 10a 내지 10b 또는 11a 내지 11b의 설계예 중의 하나에 따른 캐리어(1)(적어도 하나의 클램핑부(3a)가 캐리어 본체(2)에 몰딩되고 그에 따라 캐리어 본체(2)의 일체적인 구성품이 됨)는 다른 제 2 안내 레일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2-스트랜드 창문 리프터에서, 제안된 캐리어의 다른 설계예들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1 캐리어
2 캐리어 본체
20 안내부
21 연결부
22 스탑
23 홀더부
23a, 23b 연결 핀
3 유리 홀더
3a, 3b 클램핑부
30 베어링부
300 베어링 브라켓
3000 절취부
301 피봇 핀(회전 요소)
32 연결부
35a, 35b 스크류 개구(체결 개구)
4 헬리컬 기어
5 스크류(체결 요소)
E 삽입 방향
F 창문 유리
g 틈
R 회전 방향
S 회전 축선
U 유리 하측 가장자리

Claims (12)

  1.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로서, 2개의 대향하는 클램핑부(3a, 3b)를 포함하는 유리 홀더(3)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 사이에는 창문 유리(F)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틈(g)이 제공되어 있고, 창문 유리(F)가 상기 틈(g)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클램핑부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5)를 통해 서로에 연결되고,
    상기 유리 홀더(3)는 상기 클램핑부(3a, 3b) 중의 하나를 위한 베어링부(30)를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부에는 한 클램핑부(3a)를 위한 회전 축선(S)이 규정되며, 상기 틈(g) 안으로 들어가는 회전 요소(301)가 제공되고, 상기 창문 유리(F)를 틈(g) 안으로 삽입하면, 상기 한 클램핑부(3a)는 상기 회전 요소에 의해 다른 클램핑부(3b)의 방향으로 상기 회전 축선(S) 주위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부(30)에는, 절취부(3000)를 규정하는 베어링 브라켓(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요소(301)는 상기 절취부(3000)에 배치되며,
    상기 클램핑부(3a, 3b)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g) 안으로 상기 창문 유리(F)를 삽입하면, 상기 회전 요소(301)는 상기 베어링부(30)의 탄성 및/또는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한 클램핑부(3a)를 다른 클램핑부(3b)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어링부(30)에 몰딩되어 있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 유리(F)가 상기 틈(g) 안으로 적절히 삽입될 수 있는 삽입 방향(E)에 근거하여, 상기 회전 요소(301)는 상기 회전 축선(S) 아래에 배치되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클램핑부(3a, 3b)에는 상기 체결 요소(5)를 위한 체결 개구(35a, 35b)가 제공되어 있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요소는 스크류(5)를 포함하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1)는 상기 유리 홀더(3)의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되는 캐리어 본체(2)를 포함하고, 캐리어 본체는 차량 창문 리프터의 안내 레일 상에서 상기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1)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20)를 포함하는,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
  6. 창문 유리를 조절하기 위한 차량 창문 리프터로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1)를 포함하는 차량 창문 리프터.
  7. 차량 창문 리프터용 캐리어(1)에 창문 유리(F)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창문 유리(F)를 캐리어(1)에 적절히 조립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1)의 두 클램핑부(3a, 3b)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g) 안으로 창문 유리(F)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그런 다음에, 상기 클램핑부(3a, 3b)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창문 유리(F)의 상기 일부분을 캐리어(1)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두 클램핑부(3a, 3b)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5)를 통해 서로에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1)의 베어링부(30)에는 상기 클램핑부(3a, 3b) 중의 하나를 위한 회전 축선(S)이 규정되며, 상기 창문 유리(F)를 틈(g) 안으로 삽입하면, 상기 한 클램핑부(3a)는 다른 클램핑부(3b)의 방향으로 상기 회전 축선(S) 주위로 회전되며,
    상기 베어링부(30)에는, 절취부(3000)를 규정하는 베어링 브라켓(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요소(301)는 상기 절취부(3000)에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부(30)에 몰딩되어 있으며, 상기 틈(g) 안으로 삽입되는 창문 유리(F)의 상기 일부분은 틈(g) 안으로 들어가 있는 상기 베어링부(30)의 회전 요소(301)에 작용하며, 그리하여 상기 한 클램핑부(3a)는 다른 클램핑부(3b)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66173A 2018-01-22 2018-12-20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를 갖는 캐리어 및 조립 방법 KR102263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0925.2 2018-01-22
DE102018200925.2A DE102018200925A1 (de) 2018-01-22 2018-01-22 Mitnehmer mit schwenkbarem Klemmteil und Montageverfah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714A KR20190089714A (ko) 2019-07-31
KR102263440B1 true KR102263440B1 (ko) 2021-06-09

Family

ID=6314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173A KR102263440B1 (ko) 2018-01-22 2018-12-20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를 갖는 캐리어 및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377892B2 (ko)
EP (2) EP3743579B1 (ko)
JP (1) JP6774510B2 (ko)
KR (1) KR102263440B1 (ko)
CN (2) CN111630242B (ko)
DE (1) DE102018200925A1 (ko)
MA (1) MA51656A (ko)
WO (1) WO2019141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6107095U1 (de) * 2016-12-19 2018-03-2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chienengleiter für einen Seilfensterheber eines Kraftfahrzeugs
EP3724435A1 (de) * 2017-12-12 2020-10-21 Saint-Gobain Glass France Halteelement für eine heb- und senkbare fahrzeug-seitenscheibe
DE102018200925A1 (de) * 2018-01-22 2019-07-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Mitnehmer mit schwenkbarem Klemmteil und Montageverfahren
US11499361B2 (en) * 2019-02-05 2022-11-15 Magna Closures Inc. Lightweight lifter plate assembly for vehicle window
US11208838B2 (en) * 2019-05-22 2021-12-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Window clip release system
CN112431504A (zh) * 2020-11-03 2021-03-02 柳州莫森泰克汽车科技有限公司 新型玻璃升降器玻璃托架
DE102021115188A1 (de) 2021-06-11 2022-12-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ensterheber für eine Seitenscheibe eines Kraftfahrzeuges
US11674347B2 (en) * 2021-07-26 2023-06-13 Hi-Lex Controls, Inc. Glass lift plate assembly for window regulator
US20230151664A1 (en) * 2021-11-12 2023-05-18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lider for window regulator with adjustment mechanism
WO2023180589A1 (es) * 2022-03-23 2023-09-28 Inertim Research S.L. Carros de arrastre y sistemas de elevalunas
DE102022207657A1 (de) 2022-07-26 2024-02-0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ensterheberbaugruppe und Klemmteil für eine Fensterscheib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8640A (ja) * 2002-05-08 2003-11-19 Nippon Cable Syst Inc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キャリアプレート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5282B (sv) * 1984-02-08 1991-08-19 Gunnar Liljedahl Laassprint
DE3419542A1 (de) * 1984-05-25 1985-11-28 Audi AG, 8070 Ingolstadt Fuehrung fuer versenkbare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US4866895A (en) * 1989-03-06 1989-09-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Glass to sash channel attachment
JP3273690B2 (ja) * 1994-03-24 2002-04-08 株式会社ニフコ ガラスホルダー
DE4426670A1 (de) 1994-07-28 1996-02-01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Fensterscheibe mit einem Fensterheber
DE4433052A1 (de) * 1994-09-16 1996-03-21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Fensterscheibe mit einem Fensterheber
DE29503036U1 (de) * 1995-02-23 1995-04-20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Fensterscheibe mit einem Fensterheber
JP3355863B2 (ja) 1995-04-20 2002-12-09 株式会社ニフコ ガラスホルダー及び該ガラスホルダーを用いた窓ガラスの取付方法
JPH09323542A (ja) * 1996-06-07 1997-12-16 Nifco Inc ガラスホルダー
US5966872A (en) * 1997-08-08 1999-10-19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door glass liftplate assembly with frangible sleeve
DE19734995B4 (de) * 1997-08-13 2004-03-25 Kiekert Ag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Fensterscheibe, insbesondere der Fensterscheibe einer Kraftfahrzeugtür, an einem Scheibenträger
DE19860715A1 (de) * 1998-12-23 2000-06-29 Brose Fahrzeugteile Kraftfahrzeugfensterheber
DE19943717A1 (de) * 1999-09-02 2001-03-15 Brose Fahrzeugteile Fensterheber zum Verstellen einer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US6125588A (en) 1999-10-25 2000-10-0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Glass attachment system for window regulator systems
DE10005759A1 (de) * 2000-02-09 2001-08-16 Volkswagen Ag Mitnehmer zur Anbindung einer Fensterscheibe an einem Fensterheber
FR2830894B1 (fr) * 2001-10-16 2004-04-16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eve-vitre avec blocage de curseur et procede d'assemblage correspondant
US6966149B2 (en) * 2003-03-27 2005-11-22 Fenelon Paul J Window bracket for a window lift mechanism
ITTO20020615A1 (it) * 2002-07-15 2004-01-15 Lames Spa Pattino di sollevamento per alzacristalli di autoveicoli ed alzacristallo comprendente tale pattino
JP3998182B2 (ja) 2002-07-31 2007-10-24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ポレ−ション キャリアプレートおよ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DE10239779A1 (de) * 2002-08-29 2004-03-11 Arvinmeritor Gmbh Schlitten für einen Fensterheber
DE102004034144B4 (de) * 2003-07-16 2008-09-04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Mitnehmer zur Befestigung einer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es an einer Führungseinrichtung eines Fensterhebers
ES1055444Y (es) * 2003-08-26 2004-03-01 Castellon Melchor Daumal Pinza de sujecion para cristales en elevalunas de automoviles.
DE102005025281B4 (de) 2004-06-03 2011-09-29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Mitnehmer für einen Fensterheber, insbesondere Seilzug-Fensterheber für Fahrzeuge
DE102005004000A1 (de) * 2005-01-27 2006-08-03 Magna Closures (Germany) Gmbh Mitnehmer
JP4754891B2 (ja) * 2005-07-08 2011-08-24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ガラスホルダー
US20070006533A1 (en) * 2005-07-11 2007-01-11 Faurecia Interior Systems U.S.A., Inc. Vehicle window lift plate
DE102005035197A1 (de) * 2005-07-27 2007-02-01 Arvinmeritor Gmbh Glashaltebaugruppe für einen Fensterheber
KR20080016075A (ko) * 2006-08-17 2008-02-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구조
US20080244981A1 (en) * 2007-04-09 2008-10-09 Hi-Lex Controls, Inc. Window clamp assembly for window regulator
US8096080B2 (en) * 2007-07-04 2012-01-17 Magna Closures Inc. Adjustable window regulator lifter plate assembly for a vehicle window
US8453383B2 (en) * 2008-08-20 2013-06-04 Inteva Products, Llc Adjustable glass clamp for cable drive window regulators
DE102008060407A1 (de) * 2008-12-01 2010-06-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ensterheberbaugruppe
US8146293B2 (en) * 2009-06-16 2012-04-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uble acting snap-in glass retention for a vehicle door
DE102009033466B4 (de) * 2009-07-10 2015-10-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Mitnehmer für eine Verstellvorrichtung, Verstell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Verstellvorrichtung
DE102009052569A1 (de) * 2009-11-10 2011-05-12 Arvinmeritor Gmbh Schlitten für einen Fahrzeugfensterheber und Fahrzeugstruktur mit einem Fensterheber
DE102010043047B4 (de) * 2010-10-28 2013-04-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Mitnehmer für eine Fensterhebervorrichtung
US8381446B2 (en) * 2011-03-29 2013-02-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Device for connecting a window pane to a motor vehicle window lifter
DE102011110168A1 (de) * 2011-08-13 2013-02-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r Fensterscheibe an einem Fensterheber eines Fahrzeugs sowie Scheibenhalter dazu.
WO2013064255A1 (de) * 2011-11-04 2013-05-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Lageranordnung für eine verstell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S8739467B2 (en) * 2011-12-19 2014-06-03 Chrysler Group Llc Window regulator glass attachment guide cover
DE102012102795B4 (de) * 2012-03-30 2013-11-21 Küster Holding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Fensterscheibe innerhalb einer Fahrzeug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es
KR101383000B1 (ko) * 2012-09-27 201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글라스 클램프장치
DE202012104557U1 (de) 2012-11-23 2014-02-2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Mitnehmer
US9822571B2 (en) * 2016-02-19 2017-11-21 Hi-Lex Controls Inc. Window clamp and assembly for window regulator
US10273733B2 (en) * 2017-05-15 2019-04-30 Hsin Chong Machinery Works Co. Ltd. Adjustable glass gripping device for a vehicle window regulator
IT201700110189A1 (it) * 2017-10-02 2019-04-02 Hi Lex Italy S P A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a posizione del vetro di un alzacristallo di un autoveicolo.
DE102018200925A1 (de) * 2018-01-22 2019-07-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Mitnehmer mit schwenkbarem Klemmteil und Montageverfahren
US11168501B2 (en) * 2018-11-29 2021-11-09 Magna Closures Inc. Adjustable lifter plate for frameless door
WO2020220021A1 (en) * 2019-04-26 2020-10-29 Inteva Products, Llc Pivoting cursor for frameless glass in a vehicle
US11162291B2 (en) * 2019-06-05 2021-11-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djustable slider for window regul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8640A (ja) * 2002-05-08 2003-11-19 Nippon Cable Syst Inc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キャリアプレ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4308B1 (de) 2022-08-03
KR20190089714A (ko) 2019-07-31
EP3743579B1 (de) 2022-02-16
EP3514308A1 (de) 2019-07-24
JP2019127821A (ja) 2019-08-01
MA51656A (fr) 2020-12-02
DE102018200925A1 (de) 2019-07-25
US11377892B2 (en) 2022-07-05
CN110067462B (zh) 2021-06-08
US20210071455A1 (en) 2021-03-11
CN111630242A (zh) 2020-09-04
CN111630242B (zh) 2022-03-04
EP3743579A1 (de) 2020-12-02
WO2019141387A1 (de) 2019-07-25
JP6774510B2 (ja) 2020-10-28
CN110067462A (zh) 2019-07-30
US20190226261A1 (en) 2019-07-25
US10876344B2 (en)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440B1 (ko) 회전 가능한 클램핑부를 갖는 캐리어 및 조립 방법
US8069610B2 (en) Adjustable window lifter guide rail
US20060174543A1 (en) Engaging piece for window regulator
US8857867B2 (en) Outside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US8950782B2 (en) Mounting device for securing a seat belt buckle
KR101962462B1 (ko) 어댑터,어댑터를 포함하는 조립 유닛,및 이런 조립 유닛을 설치하는 방법
CN113906192B (zh) 用于车窗调节器的可调节滑块
CN102138011A (zh) 具有公差补偿的紧固装置
US9254733B2 (en) Automotive glass channel and method
JP2002520519A (ja) 自動車両のドア用の窓リフト装置
JP2020516792A (ja) 牽引手段を拘束するための拘束要素および拘束部を有するウィンドウリフタアセンブリ
US11225820B2 (en) Roller unit
US20100032988A1 (en) Fastening device for hinges of a motor vehicle door
US8341890B2 (en) Dual channel cable drive window lift system
US8001726B2 (en) Fixing system
US9033354B2 (en) Step device for vehicle
RU24419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тли для дверей, окон и т.п.
US5392563A (en) Clamping device for vehicle winder mechanism
RU2526543C1 (ru) 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механизмом привода шпинделя
KR20200129238A (ko)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US4593952A (en) Articulated fitting for vehicle seats
EP2862998A1 (en) Device for pivoting a vehicle door
WO2015032892A1 (en) Device for pivoting a vehicle door
CN117881867A (zh) 用于车窗升降器的带动件
US20240110642A1 (en) Retainer for Holding a Line, Fastening Arrangement for Fastening a Line to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Fastening a Line to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