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330B1 -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 Google Patents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330B1
KR102255330B1 KR1020187016379A KR20187016379A KR102255330B1 KR 102255330 B1 KR102255330 B1 KR 102255330B1 KR 1020187016379 A KR1020187016379 A KR 1020187016379A KR 20187016379 A KR20187016379 A KR 20187016379A KR 102255330 B1 KR102255330 B1 KR 10225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able
stretchable conductive
film
conductive layer
mel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832A (ko
Inventor
아키오 다카하시
쓰네히코 데라다
Original Assignee
타츠타 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7970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5533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타츠타 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츠타 전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88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with fibres or particles being present as additives in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125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carrier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은 스트레처블 도전층(3)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일표면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4)을 포함한다.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은,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층(4)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제1 박리 필름(2)과, 핫멜트 접착제층(4)에서의 스트레처블 도전층(3)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2 박리 필름(5)을 더 포함해도 된다.

Description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본 발명은, 생체 정보 계측용 전극·배선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導電性) 필름에 관한 것이다.
텍스타일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인간의 생체 정보를 전자적으로 계측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여기에서, 텍스타일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란, 의류로서 입으면서 계측이나 조작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말한다. 텍스타일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소재로서는, 고도전성 수지로 코팅한 섬유가 개발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4-162124호 공보
본 발명은, 텍스타일 천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또한 도전성 및 신축성을 가지는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은 신축성을 가지는 스트레처블 도전층과,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일(一)표면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은 엘라스토머와, 상기 엘라스토머 중에 충전되어 있는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는 도전성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이하,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이라고 함)을 텍스타일 천에 부착할 수 있다. 즉, 먼저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을 사용 목적에 따라 형상으로 절단한다. 다음에,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을, 그 핫멜트 접착제층 측 표면이 텍스타일 천에 대향하게 하여, 텍스타일 천 위에 놓는다. 그리고, 다리미 등을 사용하여,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을 텍스타일 천에 열압착한다. 이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층과 핫멜트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이 텍스타일 천에 부착된 상태로 된다.
즉, 상기 구성에서는, 텍스타일 천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스트레처블 도전층은 엘라스토머와, 엘라스토머 중에 충전되어 있는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는 도전성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텍스타일 천에 부착된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은 도전성 및 신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에서의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박리 필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에서의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1 박리 필름과,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에서의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2 박리 필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에서의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신축성을 가지는 스트레처블 보호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에서의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신축성을 가지는 스트레처블 보호층과,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에서의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박리 필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에서의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신축성을 가지는 스트레처블 보호층과,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에서의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상기 스트레처블 보호층을 덮도록 형성된 제1 박리 필름과,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에서의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2 박리 필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도전성 필러가 덴드라이트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도전성 필러가 덴드라이트형의 은 분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도전성 필러가 덴드라이트형의 구리 분말에 은이 코팅된, 은 코팅 구리 분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도전성 필러가 코일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특징 및 효과, 또는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진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샘플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3a] 주로, 샘플 a1, b1, c1에 대하여, 20% 인장 변형을 주파수 1.0Hz에서 100회 반복하여 가했을 때의, 각각의 샘플 a1, b1, c1의 저항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 도 3a의 절선(折線) A1, B1 및 C1에 있어서의 저항값 0Ω∼50Ω 범위 내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c] 주로, 샘플 d1, e1, f1, g1에 대하여, 20% 인장 변형을 주파수 1.0Hz에서 100회 반복하여 가했을 때, 각각의 샘플 d1, e1, f1, g1의 저항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주로, 샘플 a2, b2, c2에 대하여, 40% 인장 변형을 주파수 1.0Hz에서 100회 반복하여 가했을 때의, 각각의 샘플 a2, b2, c2의 저항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 샘플 a3, b3, c3, d3, e3, f3 및 g3을 복수의 상이한 신장률로 신장 시킨 경우의, 각각의 샘플 a3, b3, c3, d3, e3, f3 및 g3의 신장률에 대한 저항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 도 5a에 나타낸 그래프 중, 샘플 b3, d3 및 e3에 대한 그래프만을 추출한 그래프이다.
[도 5c] 도 5a에 나타낸 그래프 중, 샘플 d3, e3, f3 및 g3에 대한 그래프만을 추출한 그래프이다.
[도 6] 도 6의 (a)∼도 6의 (c)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7] 도 7의 (a)∼도 7의 (c)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다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8] 도 8의 (a)∼도 8의 (d)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9]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이 심전 계측용 전극·배선재로서 사용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이 근전(筋電) 계측용 전극·배선재로서 사용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 도 11의 (a)는, 시험용 샘플의 구성을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의 (b)는, 시험용 샘플의 구성을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 시험용 샘플에 대한 평가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 도 13의 (a)∼도 13의 (e)는, 각각 제2 실시형태∼제6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도 14의 (a)는,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의 (b)는,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사용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이하, 단지,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1」이라고 함)은, 제1 박리 필름(전사 필름)(2)과, 제1 박리 필름(2)의 일표면에 형성된 스트레처블 도전층(3)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의 제1 박리 필름(2)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4)과, 핫멜트 접착제층(4)에서의 스트레처블 도전층(3)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2 박리 필름(보호 필름)(5)을 포함하고 있다.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은 시트형이다.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은 일방향으로 긴 장척(長尺)형이어도 된다.
제1 박리 필름(2)으로서는 박리지[이형(離型)지], 불소 필름, 편면 또는 양면에 실리콘계 또는 비실리콘계(멜라민계, 아크릴계 등)의 이형제를 도포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이 사용된다. 제2 박리 필름(5)으로서도, 제1 박리 필름(2)과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핫멜트 접착제층(4)에 사용되는 핫멜트 접착제의 재질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올레핀계,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의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융점이 130℃ 이하, 듀로미터 경도가 95A 이하, 파단 신도(伸度)가 3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융점이 120℃ 이하, 듀로미터 경도가 85A 이하, 파단 신도가 5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핫멜트 접착제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다무 가부시키가이샤(Sheedom CO., LTD.) 제조의 제품명 「SHM101-PUR」등의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스트레처블 도전층(3)은 엘라스토머와, 엘라스토머 중에 충전되어 있는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는 도전성 조성물로 구성된다.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수지다.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로 구성되고, 소프트 세그먼트로서는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등이 있고, 물성으로서는 100% 모듈러스가 2∼20MPa, 파단 강도가 40∼90MPa, 파단 신도가 300∼500%, 영구 변형이 20% 이하, 열 연화점이 1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모듈러스가 3∼10MPa, 파단 강도가 50∼75MPa, 파단 신도가 350∼450%, 영구 변형이 10% 이하, 열 연화점이 1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이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제조의 NE-8880, MAU-9022, NE-310, NE-302HV, CU-8448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로서, DI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판덱스 372E를 사용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는 단일의 수지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복수 종류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엘라스토머는 제조성(가공성), 유연성 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가소제, 가공조제, 가교제, 가황촉진제, 가황조제, 노화 예방제, 연화제,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도전성 필러의 형상은 덴드라이트형, 코일 형상, 괴형, 구형, 플레이크형, 침형, 섬유형 등이어도 된다. 덴드라이트형이란, 봉형의 주지(主枝)로부터 봉형의 분지(分枝)가 2차원 방향 또는 3차원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말한다. 또한, 덴드라이트형에는 상기 분지가 도중에 절곡된 형상이나, 상기 분지의 도중으로부터 봉형의 분지가 더 연장되어 있는 형상도 포함된다.
덴드라이트형 도전성 필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덴드라이트형 도전성 필러는 예를 들면, 덴드라이트형의 구리 분말 또는 은 분말이어도 되고, 덴드라이트형의 구리 분말에 은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은 코팅 구리 분말 또는 덴드라이트형의 구리 분말에 금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금 코팅 구리 분말이어도 된다. 도전성 필러가 덴드라이트형의 은 코팅 구리 분말로 이루어지는 경우, 비교적 저가이면서도, 은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필러에 가까운 저항값을 가지고, 또한 우수한 도전성 및 내마이그레이션(anti-migration)성을 가지는 도전성 필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필러가 덴드라이트형의 구리 분말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저가이면서도, 낮은 저항값을 가지는 도전성 필러를 실현할 수 있다.
도전성 필러가 덴드라이트형의 은 코팅 구리 분말로 이루어지는 경우, 엘라스토머로서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는 부피 저항율이 10E+11∼13Ωcm이고, 다른 엘라스토머보다 2자릿수 정도 낮고, 은을 포함하는 도전성 필러에 대하여 높은 친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전성 조성물을 양호하게 신장시킬 수 있다.
도전성 필러의 입경은 하한은 1㎛, 바람직하게는 2㎛이다. 하한이 1㎛ 이상이면, 도전성 필러끼리 접촉하기 쉽고, 도전성 조성물의 도전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도전성 필러의 입경의 상한은 20㎛, 바람직하게는 10㎛이다. 상한이 20㎛ 이하이면, 도전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전층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도전성 필러가 코일 형상(나선 형상, 스파이럴 형상을 포함함)이면, 엘라스토머가 신장한 경우, 도전성 필러는 코일이 팽팽해졌을 때처럼 늘어난다. 따라서, 엘라스토머가 신장한 경우에도, 도전성 조성물의 저항값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신축성을 가지고 또한 신장 시의 저항값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도전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실시예]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 1은,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실시예 1∼실시예 7을 나타내고 있다.
[표 1]
Figure 112018056502652-pct00001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실시예 1]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DI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판덱스 372E)에, 평균 입경 5㎛로 덴드라이트형의 은 코팅 구리 분말[미쓰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제조]을, 은 코팅 구리 분말의 충전율(도전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도전성 필러의 충전율)이 80 질량%로 되도록 배합하였다. 이어서,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톨루엔의 혼합 용매(이소프로필 알코올과 톨루엔의 중량비가 5:5)를 40 질량부 첨가하고, 유성 교반기에 의해 교반하였다. 이에 의해,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와 은 코팅 구리 분말과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용액(이하, 「도전성 용액」이라고 함)을 얻었다.
이어서,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막 두께가 80㎛로 되도록, 도전성 용액을 박리 필름의 일표면에 도포하고, 가열 건조하였다. 이 가열 건조 공정에 있어서는, 60℃의 열풍에 의한 가열 건조, 100℃의 열풍에 의한 가열 건조 및 120℃의 열풍에 의한 가열 건조를 2분간씩 행하였다. 이에 의해, 박리 필름의 일표면에 박막형 도전성 조성물(이하, 「도전층」이라고 함)이 형성되었다.
다음에, 도전층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도전층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하는 것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샘플 b1, b2 및 b3을 얻었다.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실시예 2]
은 코팅 구리 분말의 충전율이 90 질량%로 되도록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에 덴드라이트형의 은 코팅 구리 분말을 배합하는 점 및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혼합 용제를 164 질량부로 하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필름의 일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도전층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도전층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하는 것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샘플 c1, c2 및 c3을 얻었다.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실시예 3]
은 코팅 구리 분말의 충전율이 60 질량%로 되도록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에 덴드라이트형의 은 코팅 구리 분말을 배합하는 점 및 혼합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필름의 일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도전층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도전층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하는 것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샘플 a1, a2 및 a3을 얻었다.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실시예 4]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다이이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NE-310)에, 평균 입경 5㎛로 덴드라이트형의 은 코팅 구리 분말(미쓰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은 코팅 구리 분말의 충전율(도전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도전성 필러의 충전율)이 80 질량%로 되도록 배합하였다. 이어서,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톨루엔의 혼합 용매(이소프로필 알코올과 톨루엔의 중량비가 5:5)를 40 질량부 첨가하고, 유성 교반기에 의해 교반하였다. 이에 의해,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와 은 코팅 구리 분말과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용액(이하, 「도전성 용액」이라고 함)을 얻었다.
이어서,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막 두께가 60㎛로 되도록, 도전성 용액을 박리 필름의 일표면에 도포하고, 가열 건조하였다. 이 가열 건조 공정에 있어서는, 60℃의 열풍에 의한 가열 건조, 100℃의 열풍에 의한 가열 건조 및 120℃의 열풍에 의한 가열 건조를 2분간씩 행하였다. 이에 의해, 박리 필름의 일표면에 박막형 도전성 조성물(이하, 「도전층」이라고 함)이 형성되었다.
다음에, 도전층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도전층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샘플 d1, d3을 얻었다.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실시예 5]
건조 후의 막 두께가 40㎛로 되도록 도전성 용액을 박리 필름의 일표면에 도포하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박리 필름의 일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도전층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도전층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샘플 e1, e3을 얻었다.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실시예 6]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다이이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NE-310)에, 평균 입경 5㎛로 덴드라이트형의 은 분말(미쓰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은 분말의 충전율(도전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도전성 필러의 충전율)이 80 질량%로 되도록 배합하였다. 이어서,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톨루엔의 혼합 용매(이소프로필 알코올과 톨루엔의 중량비가 5:5)를 40 질량부 첨가하고, 유성 교반기에 의해 교반하였다. 이에 의해,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와 은 분말과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용액(이하, 「도전성 용액」이라고 함)을 얻었다.
이어서,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막 두께가 60㎛로 되도록, 도전성 용액을 박리 필름의 일표면에 도포하고, 가열 건조하였다. 이 가열 건조 공정에 있어서는, 60℃의 열풍에 의한 가열 건조, 100℃의 열풍에 의한 가열 건조 및 120℃의 열풍에 의한 가열 건조를 2분간씩 행하였다. 이에 의해, 박리 필름의 일표면에 박막형 도전성 조성물(이하, 「도전층」이라고 함)이 형성되었다.
다음에, 도전층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도전층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하는 것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샘플 f1, f3을 얻었다.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실시예 7]
건조 후의 막 두께가 40㎛로 되도록 도전성 용액을 박리 필름의 일표면에 도포하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필름의 일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도전층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도전층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샘플 g1, g3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각각의 샘플에서의 도전성 필러의 충전율과, 각각의 샘플의 길이 L, 폭 W 및 두께 T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샘플의 형상의 모식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샘플의 형상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띠형이다. 그리고, 도 2에 있어서, L은 샘플의 길이를 나타내고, W는 샘플의 폭을 나타내며, T는 샘플의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제1 평가 실험]
샘플 a1, b1, c1, d1, e1, f1, g1에 대하여, 제1 평가 실험을 행하였다. 제1 평가 실험에서는, 먼저 샘플을 자작의 피로 시험기에 장착하였다. 여기에서, 자작의 피로 시험기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사방이 30cm인 한 쌍 아크릴판을 설치한 것이다. 이 아크릴판의 표면에, 샘플의 양단을 각각 고착시키고, 또한 양단을 악어 클립으로 협지하여 전기 저항 측정 장치와 접속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10초간 자연 상태로 유지한다. 이 기간을 제1 기간 P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 후, 샘플에 대하여 20% 인장 변형을 주파수 1.0Hz에서 100회 반복하여 가한다. 이 기간을 제2 기간 P2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제2 기간 P2는 100초다. 마지막으로, 샘플을 120초 동안, 다시 자연 상태로 유지한다. 이 기간을 제3 기간 P3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기간 중에, 샘플의 양단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였다.
20% 인장 변형이란, 샘플의 신장률 r이 20%로 되는 인장 변형이다. 샘플의 신장 전의 길이를 L1, 샘플의 신장 후의 길이를 L2, 샘플의 신장 전의 길이 L1에 대한 신장 후의 길이 L2의 증가분을 ΔL(=L2-L1)로 하면, 신장률 r은 다음 식(1)로 나타낸다.
r=(ΔL/L1)×100 … (1)
각각의 샘플 a1, b1, c1, d1, e1, f1, g1의 신장 전의 길이 L1은 15cm이므로, 20% 인장 변형이 가해졌을 때의 각각의 샘플 a1, b1, c1, d1, e1, f1, g1의 신장 후의 길이는 18cm로 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제1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의 절선 A1, B1 및 C1은, 각각의 샘플 a1, b1 및 c1의 저항값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도 3a의 절선 A1, B1 및 C1에서의 저항값 0Ω∼50Ω 범위 내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c의 절선 D1, E1, F1 및 G1은, 각각의 샘플 d1, e1, f1 및 g1의 저항값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3c의 가로축 및 세로축의 눈금 폭은, 각각 도 3b의 가로축 및 세로축의 눈금 폭과 동등하다. 도 3a, 도 3b 및 도 3c의 그래프에 있어서, P1, P2 및 P3은 각각 제1 기간 P1, 제2 기간 P2 및 제3 기간 P3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3c의 그래프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 기간 P2에 있어서는, 각각의 샘플 a1, b1, c1, d1, e1, f1, g1의 저항값은 인장 변형을 가한 회수가 많아질수록 커졌다. 각각의 샘플 a1, b1, c1, d1, e1, f1, g1로의 주기적인 인장 변형의 부가를 정지하면, 각각의 샘플 a1, b1, c1, d1, e1, f1, g1의 저항값은 급격하게 작아지고, 그 후, 서서히 이들의 저항값은 감소하였다(제3 기간 P3 참조).
또한, 도 3a, 도 3b 및 도 3c의 그래프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 기간 P2에 있어서, 각각의 샘플 a1, b1, c1, d1, e1, f1, g1의 저항값의 증가율은 상이하다. 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a1에서는, 제2 기간 P2의 개시 시점에서의 저항값은 0.8Ω이고, 제2 기간 P2에서의 저항값의 최대값은 178.6Ω였다. 샘플 b1에서는, 제2 기간 P2의 개시 시점에서의 저항값은 1.2Ω이고, 제2 기간 P2의 종료 직전의 저항값 최대값은 17.8Ω였다. 샘플 c1에서는, 제2 기간 P2의 개시 시점에서의 저항값은 2.0Ω이고, 제2 기간 P2의 저항값 최대값은 22.9Ω였다.
즉, 각각의 샘플 a1, b1, c1에 대하여, 20% 인장 변형을 주파수 1.0Hz에서 100회 반복하여 가한 경우, 샘플 a1에서는 저항값이 30Ω 이상으로 되지만, 샘플 b1 및 샘플 c1에서는 저항값이 30Ω 이하로 되었다. 따라서, 덴드라이트형 도전성 필러의 충전율은, 도전성 조성물 중 7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이면, 20% 인장 변형을 주파수 1.0Hz에서 100회 반복하여 가한 경우의 저항값의 증가가 작아진다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덴드라이트형 도전성 필러의 충전율은, 도전성 조성물 중 75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이면, 20% 인장 변형을 주파수 1.0Hz에서 100회 반복하여 가한 경우의 저항값의 증가가 보다 작아지게 된다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d1에서는, 제2 기간 P2의 개시 시점에서의 저항값은 1.4Ω이고, 제2 기간 P2의 저항값 최대값은 18.0Ω였다. 샘플 e1에서는, 제2 기간 P2의 개시 시점에서의 저항값은 5.8Ω이고, 제2 기간 P2의 저항값 최대값은 40.6Ω였다. 샘플 f1에서는, 제2 기간 P2의 개시 시점에서의 저항값은 0.8Ω이고, 제2 기간 P2의 저항값 최대값은 8.4Ω였다. 샘플 g1에서는, 제2 기간 P2의 개시 시점에서의 저항값은 1.8Ω이고, 제2 기간 P2의 저항값 최대값은 18.2Ω였다. 이로부터, 샘플의 두께가 같으면, 은 분말을 사용한 샘플 f1, g1 쪽이, 은 코팅 구리 분말을 사용한 샘플 d1, e1에 비하여, 제2 기간 P2에서의 저항값의 증가율 및 제2 기간 P2에서의 저항값의 최대값이 모두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샘플의 길이 및 폭이 같다고 하면, 제2 기간 P2에서의 저항값의 최대값을 소정값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은 분말을 사용한 샘플 f1, g1에서는, 은 코팅 구리 분말을 사용한 샘플 d1, e1에 비하여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제2 평가 실험]
샘플 a2, b2, c2에 대하여 제2 평가 실험을 행하였다. 제2 평가 실험에서는, 먼저 샘플을 10초간 자연 상태로 유지한다. 이 기간을 제1 기간 P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 후, 샘플에 대하여, 40% 인장 변형을 주파수 1.0Hz에서 100회 반복하여 가한다. 이 기간을 제2 기간 P2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제2 기간 P2는 100초다. 마지막으로, 샘플을 120초 동안 다시 자연 상태로 유지한다. 이 기간을 제3 기간 P3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기간 중에, 샘플의 양단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였다.
도 4는 제2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에 있어서, 절선 A2, B2 및 C2는, 각각 샘플 a2, b2 및 c2의 저항값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의 그래프에 있어서, P1, P2 및 P3은 각각 제1 기간 P1, 제2 기간 P2 및 제3 기간 P3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그래프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 기간 P2에 있어서는, 각각의 샘플 a2, b2, c2의 저항값은, 인장 변형을 가한 회수가 많아질수록 커졌다. 샘플로의 주기적인 인장 변형의 부가를 정지하면, 각각의 샘플 a2, b2, c2의 저항값은 급격하게 작아지고, 그 후, 서서히 이들의 저항값은 감소하였다(제3 기간 P3 참조).
또한, 도 4의 그래프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 기간 P2에 있어서, 각각의 샘플 a2, b2, c2의 저항값의 증가율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샘플 a2에서는, 제2 기간 P2의 개시 시점에서의 저항값은 0.3Ω이고, 제2 기간 P2의 저항값 최대값은 200Ω 이상(측정 한계)이었다. 샘플 b2에서는, 제2 기간 P2의 개시 시점에서의 저항값은 0.3Ω이고, 제2 기간 P2의 저항값 최대값은 31.4Ω였다. 샘플 c2에서는, 제2 기간 P2의 개시 시점에서의 저항값은 1.4Ω이고, 제2 기간 P2의 저항값 최대값은 41.9Ω였다.
즉, 각각의 샘플 a2, b2, c2에 대하여, 40% 인장 변형을 주파수 1.0Hz에서 100회 반복하여 가한 경우, 샘플 a2에서는 저항값의 최대값이 50Ω 이상으로 되지만, 샘플 b2 및 샘플 c2에서는, 저항값의 최대값이 50Ω 이하로 된다. 따라서, 덴드라이트형 도전성 필러의 충전율은, 도전성 조성물 중 70 중량% 이상 95 중량% 이하이면, 40% 인장 변형을 주파수 1.0Hz에서 100회 반복하여 가한 경우의 저항값의 증가가 작아지게 된다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덴드라이트형 도전성 필러의 충전율은, 도전성 조성물중 75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이면, 40% 인장 변형을 주파수 1.0Hz에서 100회 반복하여 가한 경우의 저항값 증가가 보다 작아지게 된다고 예측할 수 있다.
[제3 평가 실험]
샘플 a3, b3, c3, d3, e3, f3, g3에 대하여, 제3 평가 실험을 행하였다. 제3 평가 실험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먼저, 신장 전의 샘플의 양단부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이 후, 샘플을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소정 길이까지 신장시키고, 신장 후의 샘플의 양단부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이와 같은 저항값의 측정을, 신장률 0%에서 200%까지의 범위에서, 신장률이 20%씩 상이한 복수 종류의 신장률에 대하여 행하였다.
표 2는 샘플 a3에 대한 제3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3은 샘플 b3에 대한 제3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4는 샘플 c3에 대한 제3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5는 샘플 d3에 대한 제3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6은 샘플 e3에 대한 제3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7은 샘플 f3에 대한 제3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8은 샘플 g3에 대한 제3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제3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의 그래프에 있어서, 절선 A3, B3, C3, D3, E3, F3 및 G3은, 각각 샘플 a3, b3, c3, d3, e3, f3 및 g3의 신장률에 대한 저항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도 5a에서의 절선 A3∼G3 중, B3, D3 및 E3만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c는, 도 5a에서의 절선 A3∼G3 중, D3, E3, F3 및 G3만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표 2]
Figure 112018056502652-pct00002
[표 3]
Figure 112018056502652-pct00003
[표 4]
Figure 112018056502652-pct00004
[표 5]
Figure 112018056502652-pct00005
[표 6]
Figure 112018056502652-pct00006
[표 7]
Figure 112018056502652-pct00007
[표 8]
Figure 112018056502652-pct00008
표 2∼표 8에 있어서, 길이 L1은 샘플의 신장 전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샘플 a3, b3, c3, d3, e3, f3 및 g3의 신장 전의 길이 L1은 5cm이다. 길이 L2는 샘플의 신장 후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신장률 r은 상기 식(1)에 기초하여 연산된 값이다. 저항값 R1은 샘플의 신장 전의 저항값을 나타내고 있다. 저항값 R2는 샘플의 신장 후의 저항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떠한 샘플 a3, b3, c3, d3, e3, f3 및 g3에 있어서도, 신장률 120%의 신장 시의 저항값 R2는 50Ω 이하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시예 1∼실시예 7은 신장 가능하며 또한 신장 시의 저항율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도전성 조성물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c3에서는, 신장률 140%의 신장 시에 샘플 c3이 절단되어, 비도통(非導通) 상태로 되었다(표 4도 함께 참조). 또한, 샘플 a3에서는, 신장률 160%의 신장 시에, 샘플 a3은 절단되지 않지만, 비도통 상태로 되었다(표 2도 함께 참조). 이에 대하여, 샘플 b3, d3, e3, f3 및 g3에서는,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장률 200%의 신장 시에 있어서도 비도통 상태로 되지 않았다. 샘플 b3, d3, e3, f3 및 g3의 신장률 200%의 신장 시의 저항값 R2는, 각각 203Ω, 481Ω, 641Ω, 420Ω, 520Ω였다(표 3∼표 8도 함께 참조).
이로부터, 도전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도전성 필러의 충전율이 7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이면, 신축성이 높고 또한 신장 시의 저항값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도전성 필러의 충전율이 75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이면, 신축성이 보다 높고 또한 신장 시의 저항값의 증가를 보다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도전성 필러의 충전율이 75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이면, 신축성이 매우 높고 또한 신장 시의 저항값의 증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도 5b로부터, 샘플의 두께가 얇을수록 신장률 200%의 신장 시의 저항값 R2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c의 절선 D3과 F3의 비교 및 절선 E3과 G3의 비교로부터, 샘플의 두께가 같은 경우에는, 도전성 필러로서 은 분말을 사용한 쪽이, 은 코팅 구리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신장률 200%의 신장 시의 저항값 R2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1∼실시예 7에서는, 엘라스토머로서 DI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판덱스 372E 또는 다이이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NE-310이 사용되고 있지만, 엘라스토머로서 다이이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NE-8880, MAU-9022, NE-302HV, CU-8448 등을 사용해도 된다.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제조 방법]
도 6의 (a)∼도 6의 (c)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먼저,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박리 필름(2)의 일표면에 스트레처블 도전층(3)을 형성함으로써, 제1 적층 필름(21)을 작성한다.
다음에,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박리 필름(5)의 일표면에 핫멜트 접착제층(4)을 형성함으로써, 제2 적층 필름(22)을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적층 필름(21)에서의 스트레처블 도전층(3) 측의 표면과, 제2 적층 필름(22)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층(4) 측의 표면을 라미네이트 접착한다. 이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을 얻을 수 있다.
도 7의 (a)∼도 7의 (c)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의 다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먼저,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박리 필름(2)의 일표면에 스트레처블 도전층(3)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의 제1 박리 필름(2)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핫멜트 접착제층(4)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핫멜트 접착제층(4)에서의 스트레처블 도전층(3)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제2 박리 필름(5)을 붙인다. 이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을 얻을 수 있다.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사용 방법]
도 8의 (a)∼도 8의 (d)를 참조하여,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을 사용 목적에 따른 형상으로 절단한다.
다음에,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으로부터 제2 박리 필름(5)을 벗긴다.
그 후에,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박리 필름(5)이 벗겨진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이하,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그 핫멜트 접착제층(4) 측의 표면이 텍스타일 천(50)에 대향하게 하여, 텍스타일 천(50) 위에 놓는다. 그리고, 다리미 등을 사용하여,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1)을 텍스타일 천(50)에 열압착한다.
그 후에,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1)으로부터 제1 박리 필름(2)을 벗긴다. 이에 의해, 도 8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처블 도전층(3)과 핫멜트 접착제층(4)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 (이하,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2)」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이, 텍스타일 천(50)에 부착된 상태로 된다.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사용 형태]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은 심전 계측, 근전 계측 등의 생체 정보 계측용 전극·배선재로서 사용된다.
도 9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이 심전 계측용 전극·배선재로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신축성이 있는 천으로 만들어진 셔츠(60)의 앞쪽 이면에,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2)으로 구성된 심전 계측용 배선 패턴이 부착되어 있다. 심전 계측용 배선 패턴은 제1 배선(61)과, 제2 배선(62)과, 제3 배선(63)을 포함한다. 각 배선(61, 62, 63)은, 전극부(61a, 62a, 63a)와, 단자부(61b, 62b, 63b)와, 이들을 접속하는 배선부(61c, 62c, 63c)로 이루어진다. 전극부(61a, 62a, 63a)는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이고, 심전 계측용 전극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배선(61) 및 제2 배선(62)의 전극부(61a, 62a)는, 셔츠(60)의 앞쪽 이면의 흉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배선(63)의 전극부(63a)는 셔츠(60)의 앞쪽 이면의 측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부(61b, 62b, 63b)는 배선(61, 62, 63)을 심전 계측기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구성하고 있다. 단자부(61b, 62b, 63b)는 셔츠(60)의 앞쪽 이면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셔츠(60)의 앞쪽 이면에는, 각 배선(61, 62, 63)의 배선부(61c, 62c, 63c)를 피복하는 장척형의 스트레처블 보호 필름(64)이 붙어 있다. 스트레처블 보호 필름(64)은 배선부(61c, 62c, 63c)의 표면[스트레처블 도전층(3)]을 절연하거나, 배선부(61c, 62c, 63c)의 표면[스트레처블 도전층(3)]에 스크래치(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거나 하는 역할을 갖는다. 스트레처블 보호 필름(64)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 사용하고 있는 엘라스토머에, 카본블랙을 충전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가소제, 가공조제, 가교제, 가황촉진제, 가황조제, 노화 예방제, 연화제,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도 10은,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이 근전 계측용 전극·배선재로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전완부에 장착되는 암 커버(70)의 이면(내주면)에,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2)으로 구성된 근전 계측용 배선 패턴이 부착되어 있다. 암 커버(70)는 신축성이 있는 천으로 제작되어 있다. 근전 계측용 배선 패턴은 제1 배선(71)과, 제2 배선(72)과, 제3 배선(73)을 포함한다. 각 배선(71, 72, 73)은 전극부(71a, 72a, 73a)와, 단자부(71b, 72b, 73b)와, 이들을 접속하는 배선부(71c, 72c, 73c)로 이루어진다. 전극부(71a, 72a, 73a)는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이고, 근전 계측용 전극을 구성하고 있다. 전극부(71a, 72a, 73a)는 암 커버(70)의 이면에 있어서의 전완 근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부(71b, 72b, 73b)는 배선(71, 72, 73)을 근전 계측기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구성하고 있다. 단자부(71b, 72b, 73b)는 암 커버(70)의 일단부(一端部)에 배치되어 있다.
암 커버(70)의 이면에는, 각 배선(71, 72, 73)의 배선부(71c, 72c, 73c)를 피복하는 장척형의 스트레처블 보호 필름(74)이 붙어 있다. 스트레처블 보호 필름(74)은 전술한 스트레처블 보호 필름(64)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평가 시험]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의 샘플을 복수 종류 작성하고, 이들의 샘플을 도 8의 (a)∼도 8의 (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신축성 섬유천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복수 종류의 시험용 샘플 h, i, j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의 신축성 섬유천으로 부착은, 다리미를 사용하여 120℃에서 열압착함으로써 행하였다. 그리고, 각 시험용 샘플 h, i, j에 대하여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 시험의 내용 및 평가 결과에 대하여 후술한다.
도 11의 (a)는 시험용 샘플의 구성을 도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의 (b)는 시험용 샘플의 구성을 도해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각 시험용 샘플 h, i, j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의 신축성 섬유천(80)과, 신축성 섬유천(80)의 표면 중앙부에 부착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의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2(1)]으로 이루어진다. 신축성 섬유천(80)에 부착된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2)은, 신축성 섬유천(80) 측의 핫멜트 접착제층(4)과, 핫멜트 접착제층(4) 상에 형성된 스트레처블 도전층(3)로 이루어진다.
각 시험용 샘플 h, i, j에 있어서, 신축성 섬유천(80)의 형상, 크기, 재료 등은 동일하다. 신축성 섬유천(80)의 길이 L1 및 폭 W1은, 각각 L1=100㎜ 및 W1=30㎜이다. 신축성 섬유천(80)의 두께는 0.37㎜이다.
각 시험용 샘플 h, i, j에 있어서,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2)의 평면 형상 및 크기는 같다.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2)의 길이 L2 및 폭 W2는, 각각 L2=50㎜ 및 W2=10㎜이다. 평면에서 볼 때, 신축성 섬유천(80)의 각각의 긴 변과, 그 긴 변에 대응하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2)의 긴 변과의 간격(D1)은 10㎜이다. 신축성 섬유천(80)의 각각의 짧은 변과, 그 짧은 변에 대응하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2)의 짧은 변과의 간격(D2)은 25㎜이다.
각 시험용 샘플 h, i, j에 있어서,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도전성 조성물의 재질 및 두께는 같다.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필러는 평균 입경 5㎛로 덴드라이트형의 은 코팅 구리 분말(미쓰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이다. 은 코팅 구리 분말의 충전율(도전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도전성 필러의 충전율)은 80 질량%이다. 엘라스토머는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다이이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NE-310)이다.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두께는 60㎛이다.
각 시험용 샘플 h, i, j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층(4)의 재질은 동일하지만, 그 두께가 상이하다. 핫멜트 접착제층(4)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시다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SHM101-PUR 융점 : 115℃, 듀로미터 경도 : 75A, 파단 신도 : 800%)이다. 다만, 시험용 샘플 h의 두께는 30㎛이고, 시험용 샘플 i의 두께는 70㎛이며, 시험용 샘플 j의 두께는 100㎛이다.
각 시험용 샘플 h, i, j를 3개씩 작성하였다. 그리고, 각 시험용 샘플에 대하여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 시험에서는 시험용 샘플의 일단을 고정하고, 다른 쪽을 일정 속도(본 예에서는, 200㎜/sec)로 잡아당기고, 일정 시간마다 시험용 샘플의 신장률[%]과,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2)의 양단 사이의 저항값[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3개의 시험용 샘플 h의 시간마다의 저항값의 중간값을, 시험용 샘플 h의 시간마다의 저항값으로 하였다. 또한, 3개의 시험용 샘플 i의 시간마다의 저항값의 중간값을, 시험용 샘플 i의 시간마다의 저항값으로 하였다. 또한, 3개의 시험용 샘플 j의 시간마다의 저항값의 중간값을, 시험용 샘플 j의 시간마다의 저항값으로 하였다.
도 12는 시험용 샘플에 대한 평가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의 곡선 H, I 및 J는 각각 시험용 샘플 h, i 및 j의 저항값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그래프로부터, 핫멜트 접착제층(4)의 두께가 클수록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2)의 최대 신장률은 작아지지만,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2)의 신장률에 대한 저항값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또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은 제1 박리 필름(2)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과, 핫멜트 접착제층(4)과, 제2 박리 필름(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은 스트레처블 도전층과,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일표면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있으면, 전술한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하, 도 13의 (a)∼도 13의 (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제6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A)은 스트레처블 도전층(3)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일표면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4)과, 핫멜트 접착제층(4)에서의 스트레처블 도전층(3)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박리 필름(5)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의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B)은, 스트레처블 도전층(3)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일표면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4)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층(4)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박리 필름(2)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의 (c)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C)은 스트레처블 도전층(3)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일표면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4)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층(4)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스트레처블 보호층(6)과, 핫멜트 접착제층(4)에서의 스트레처블 도전층(3)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박리 필름(8)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레처블 보호층(6)은,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층(4)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절연하거나,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층(4)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스크래치(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거나 하는 역할을 갖는다. 스트레처블 보호층(6)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 사용하고 있는 엘라스토머에, 카본블랙을 충전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가소제, 가공조제, 가교제, 가황촉진제, 가황조제, 노화 예방제, 연화제,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도 13의 (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D)은 스트레처블 도전층(3)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일표면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4)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층(4)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스트레처블 보호층(6)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층(4)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스트레처블 보호층(6)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박리 필름(7)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의 (e)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E)은 스트레처블 도전층(3)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일표면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4)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층(4)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스트레처블 보호층(6)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층(4)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스트레처블 보호층(6)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제1 박리 필름(7)과, 핫멜트 접착제층(4)에서의 스트레처블 도전층(3)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2 박리 필름(8)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의 (a)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E)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E)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E)을 사용 목적에 따른 형상으로 절단한다. 다음에,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E)으로부터 제2 박리 필름(8)을 벗긴다. 이 후, 제2 박리 필름(8)이 벗겨진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E)을, 그 핫멜트 접착제층(4) 측의 표면이 텍스타일 천(50)에 대향하도록 하여, 텍스타일 천(50) 위에 놓는다. 그리고, 다리미 등을 사용하여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E)을 텍스타일 천(50)에 열압착한다. 그 후에,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E)으로부터 제1 박리 필름(7)을 벗긴다. 이에 의해,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처블 보호층(6)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과 핫멜트 접착제층(4)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E)[도 14의 (a)에 도면부호 "12Ea"로 나타냄]이, 텍스타일 천(50)에 부착된 상태로 된다.
도 14의 (b)는,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표면의 일부에만 스트레처블 보호층(6)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E)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표면의 일부에만 스트레처블 보호층(6)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처블 도전층(3)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한쪽 표면의 일부에만 형성된 스트레처블 보호층(6)과,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다른 쪽 표면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4)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1E)[도 14의 (b)에 도면부호 "12Eb"로 나타냄)이, 텍스타일 천(50)에 부착된 상태로 된다.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표면의 일부에만 스트레처블 보호층(6)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노출된 스트레처블 도전층은 전극 또는 배선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표면의 일부에만 스트레처블 보호층(6)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은, 스트레처블 보호층(6)이 스트레처블 도전층(3) 상에 사전에 패터닝된 것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텍스타일 천에 핫멜트 접착제층을 통하여 부착된 스트레처블 도전층 상의 일부에 스트레처블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스트레처블 도전층(3)의 표면의 일부에만 스트레처블 보호 필름이 형성된 구성을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명백하게 하기 위해 이용된 구체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출원은, 2015년 11월 30일에 일본특허청에 제출된 특허출원 제2015-233710호에 대응하고 있고, 그 출원의 전체 개시는 여기에 인용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 1A∼1E :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2, 5, 7, 8 : 박리 필름
3 : 스트레처블 도전층
4 : 핫멜트 접착제층
6 : 스트레처블 보호층

Claims (10)

  1. 신축성을 가지는 스트레처블 도전층; 및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의 일표면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
    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은, 엘라스토머와 상기 엘라스토머 중에 충전되어 있는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는 도전성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에서의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신축성을 가지는 스트레처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에서의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박리 필름을 더 포함하는,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에서의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1 박리 필름; 및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에서의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2 박리 필름을 더 포함하는,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에서의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상기 스트레처블 보호층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제1 박리 필름; 및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에서의 상기 스트레처블 도전층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2 박리 필름을 더 포함하는,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필러가 덴드라이트형인,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필러가 덴드라이트형의 은 분말인,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필러가, 덴드라이트형의 구리 분말에 은이 코팅된 은 코팅 구리 분말인,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필러가 코일 형상인,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9. 삭제
  10. 삭제
KR1020187016379A 2015-11-30 2016-10-19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KR102255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33710A JP6660542B2 (ja) 2015-11-30 2015-11-30 テキスタイル用ストレッチャブル導電性フィルム
JPJP-P-2015-233710 2015-11-30
PCT/JP2016/080986 WO2017094384A1 (ja) 2015-11-30 2016-10-19 テキスタイル用ストレッチャブル導電性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832A KR20180088832A (ko) 2018-08-07
KR102255330B1 true KR102255330B1 (ko) 2021-05-21

Family

ID=5879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379A KR102255330B1 (ko) 2015-11-30 2016-10-19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64701B2 (ko)
EP (1) EP3385348A4 (ko)
JP (1) JP6660542B2 (ko)
KR (1) KR102255330B1 (ko)
CN (1) CN108291119B (ko)
TW (1) TWI712055B (ko)
WO (1) WO2017094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7163B2 (ja) * 2016-03-31 2020-09-16 タツタ電線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
JP7161738B2 (ja) * 2018-02-08 2022-10-27 ナミックス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硬化物、導電性パターン、衣服及びストレッチャブルペースト
TWI816005B (zh) * 2018-12-27 2023-09-21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伸縮性導體形成用導電糊劑、伸縮性導體層、伸縮性導體層之製造方法、伸縮性電氣配線構成體及生物體資訊量測裝置
FI3960260T3 (fi) * 2019-11-04 2023-08-30 Boreal Tech & Investment S L Puettava laite ja menetelmä siihen
EP3822328A1 (en) 2019-11-12 2021-05-19 Nanoleq AG Elongated elastic seam tape with electrical conductor
TW202145951A (zh) 2020-05-20 2021-12-16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衣服型生物體資訊測量裝置及其製造方法
CN114214020A (zh) * 2021-12-27 2022-03-22 无锡帝科电子材料股份有限公司 可伸缩导电胶及其制备方法、用于制备可伸缩导电胶的原料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484B2 (ja) * 1995-07-13 2001-03-0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導電性銅ペースト組成物
US6265460B1 (en) 1998-06-29 2001-07-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heat-bonding film adhesive and adhering method using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JP2000017242A (ja) * 1998-06-29 2000-01-1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熱圧着性フィルムおよび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を用いた接着方法
US7033668B2 (en) * 2001-08-23 2006-04-25 Tesa Ag Electrically conductive, preferably unbacked adhesive tape with permanent full-area pressure sensitive adhesion, composed of a film of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hich is preferably coated onto an antiadhesive medium and has an alkaline surface
JP2004176005A (ja) * 2002-11-29 2004-06-24 Kinugawa Rubber Ind Co Ltd 導電性弾性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095406A1 (en) * 2003-10-31 2005-05-05 Gunzel Edward C. Attachment of cables to flexible fabrics
JP5630959B2 (ja) * 2006-02-08 2014-11-26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表面を電気伝導性又は生物膜形成に対して耐性にする方法及び該方法によって作成される物品
US8048690B2 (en) * 2007-11-08 2011-11-01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ame
JP2009138141A (ja) * 2007-12-07 2009-06-25 Hitachi Cable Ltd 導電性ゴム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ゴム
KR20110044732A (ko) * 2008-07-25 2011-04-29 가부시키가이샤 엔에스케이 에코 마크 마크용 직물 및 그것을 사용한 마크 형성방법
JP5678773B2 (ja) * 2011-03-31 2015-03-04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導電性樹脂組成物および導電性接着シ−ト
DE102011101579B4 (de) * 2011-05-12 2015-03-05 Otto Bock Healthcare Gmbh Verwendung eines leitfähigen Polymermaterials für medizinische und orthopädietechnische Anwendungen
JP2013057296A (ja) * 2011-09-08 2013-03-28 Canon Inc 屈曲型アクチュエータ
JPWO2014080470A1 (ja) 2012-11-21 2017-01-05 住友理工株式会社 柔軟導電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トランスデューサ
JP5984645B2 (ja) * 2012-11-30 2016-09-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感圧センサー、及び感圧センサー装置
JP6323982B2 (ja) 2013-02-26 2018-05-16 株式会社フジクラ 伸縮性基板を備える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164223B (zh) 2013-04-19 2018-05-29 Dic株式会社 导电性粘合片、其制造方法和使用其的电子终端
EP3021329B1 (en) * 2013-07-08 2017-09-06 Toyobo Co., Ltd.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KR20160146839A (ko) * 2014-04-22 2016-12-21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집적 플랙서블 투명 전도성 필름
US9460824B2 (en) 2014-04-23 2016-10-04 Xerox Corporation Stretchable conductive film based on silver nanoparticles
JP6938152B2 (ja) * 2014-07-31 2021-09-22 タツタ電線株式会社 導電膜およびそれを備えた導電性シート
CN104538088A (zh) 2014-12-30 2015-04-22 江南石墨烯研究院 一种导电弹性复合材料的构建及制备方案
JP6551422B2 (ja) 2015-01-14 2019-07-31 東洋紡株式会社 伸縮性電極および配線シート、生体情報計測用インターフェス
JP2016141713A (ja) * 2015-01-30 2016-08-08 タツタ電線株式会社 導電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備えた導電性シー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txon Santamaria et. al.,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s with a Focus on Adhesives that Contain Carbon Nanotubes, J. APPL. POLYM. SCI. 2013, 1643-1652 1부.*
Yin Cheng et. al., Copper nanowire bas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with high stability and superior stretchability, J. Mater. Chem. C, 2014, 2, 5309-531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01124A (ja) 2017-06-08
EP3385348A4 (en) 2019-07-10
US20200086606A1 (en) 2020-03-19
TWI712055B (zh) 2020-12-01
CN108291119B (zh) 2021-07-27
KR20180088832A (ko) 2018-08-07
EP3385348A1 (en) 2018-10-10
US10864701B2 (en) 2020-12-15
CN108291119A (zh) 2018-07-17
TW201727673A (zh) 2017-08-01
JP6660542B2 (ja) 2020-03-11
WO2017094384A1 (ja)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330B1 (ko) 텍스타일용 스트레처블 도전성 필름
EP3273754B1 (en) Stretchable cable and stretchable circuit board
JP5993493B1 (ja) 導電用ハーネス
CN1984770B (zh) 功能性弹性纺织结构
KR102564763B1 (ko) 전자파 차폐 필름
JPWO2017010236A1 (ja) 電気抵抗の可変特性を備えた導電性伸縮編地及び導電パーツ
KR20170037878A (ko) 도전성 조성물 및 이것을 포함한 도전성 시트
TW201735807A (zh) 導電性伸縮紗線、導電性伸縮布料及導電性伸縮針織物
US20210267519A1 (en) Garment-typ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8080417A (ja) 導電性ストレッチ連続状体
JP6963326B2 (ja) テキスタイル用伸縮性配線テープ、及び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及び配線付きテキスタイルの製造方法
WO2020095833A1 (ja) 伸縮配線部材
JP6896967B2 (ja) 人体動作検出用ウェア
JP2018184687A (ja) 導電層付きニット、歪みセンサおよびウェアラブルセンサ並びに導電層付き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8116786A (ja) 伸縮配線及び伸縮配線の製造方法
JP6407209B2 (ja) 導電性ハーネス及び導電性伸縮編地
JP2015222626A (ja) シールド電線、ハーネス、電気回路、布地、衣服及びシート
WO2018012142A1 (ja) 生体信号検出装具
JP6678927B2 (ja) 導電用ハーネス、導電用ハーネス構造および導電用ハーネス取付構造
JP2018150648A (ja) 導電性部材の衣類へ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備えた衣類
WO201710261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 of fabric and kit for creating a wearable electronic item
JP7144163B2 (ja) 伸縮性配線板
JP7000697B2 (ja) ウェアラブルスマートデバイス
JP2016216886A5 (ko)
JP6078197B2 (ja) 導電性伸縮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