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645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645B1
KR102254645B1 KR1020197001363A KR20197001363A KR102254645B1 KR 102254645 B1 KR102254645 B1 KR 102254645B1 KR 1020197001363 A KR1020197001363 A KR 1020197001363A KR 20197001363 A KR20197001363 A KR 20197001363A KR 102254645 B1 KR102254645 B1 KR 102254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flow path
fine bubble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684A (ko
Inventor
요시노리 우스이
사토시 나가이
히로시 니시무라
카츠노리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5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B01F3/04248
    • B01F5/0413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1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gases, e.g. air or steam, introduced into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세탁기(1)는 의류가 수용되는 세탁조(10)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급수 경로(27, 28)를 통하여 상기 세탁조(10) 내에 급수하는 급수 기구(25)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기구(25)는 상기 급수 경로(27, 28)를 개폐하는 급수 밸브(29, 30, 63)와, 상기 세탁조(10) 내에 주수를 실시하는 주수 케이스(32, 61, 71)와, 상기 급수 밸브(29,63)와 유입 케이스(32, 61, 71)사이에 설치되고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는 파인 버블 발생 장치(31, 5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중에 형성되는 예를 들면 직경이 수십 ㎚ ~ 수백 ㎚의 파인 버블(울트라 파인 버블 또는 마이크로 버블)이 주목받아 오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세탁기에서 급수로에 파인 버블 발생 장치(UFB 유닛)를 설치하여, 다수의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고 그 파인 버블을 포함하는 파인 버블수를 세탁에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파인 버블수를 이용함으로써 세제의 분산성이나 의류에 대한 침투성을 높일 수 있어, 우수한 세정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6-7308호 공보
상기한 파인 버블 발생 장치는 유체 역학의 이른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물의 유속을 높여 압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고 수중에 용존되어 있는 공기를 미세한 기포로서 다량으로 석출시키는 것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탁기에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간단한 구성으로 파인 버블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요망된다.
그래서,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파인 버블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실시 형태의 세탁기는 의류가 수용되는 세탁조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급수 경로를 통하여 상기 세탁조 내에 급수하는 급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기구는 상기 급수 경로를 개폐하는 급수 밸브와, 상기 세탁조 내에 주수를 실시하는 주수 케이스와, 상기 급수 밸브와 주수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는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의 파인 버블은, 예를 들면 직경이 1 ㎛ ~ 수백 ㎛ 정도의 마이크로 버블, 및 직경이 50 ㎚ ~ 1 ㎛ 정도의 울트라 파인 버블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고,
도 2는 급수 기구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UFB 유닛의 조립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UFB 유닛의 조립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하류측에서 본 UFB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UFB 유닛의 하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UFB 유닛의 상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UFB 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X9-X9 선을 따른 확대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UFB 유닛의 조립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소위 종축형 세탁기에 적용한 몇 가지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실시 형태간에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새로운 도시나 반복의 설명을 생략한다.
(1)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세탁기(1)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우선, 세탁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세탁기(1)는 예를 들어 강판으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구성된 외부 상자(2)의 상부에, 합성 수지제의 탑커버(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부 상자(2) 내에는 세탁수를 모으는 것이 가능한 수조(4)가, 주지 구성의 탄성 매달림 기구(5)에 의해 탄성적으로 매달려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4)의 저부에는 배수구(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수구(6)에는 전자 제어식 배수 밸브(7)를 구비한 배수로(8)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수조(4)의 저부에는 에어 트랩이 설치되고, 이 에어 트랩에 접속된 에어 튜브를 통하여, 수조(4) 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4) 내에는 탈수조를 겸용하는 종축형 세탁조(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세탁조(10)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둘레벽부에는 다수개의 탈수 구멍(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세탁조(10)의 상단부에는, 예를 들면 액체 봉입형 회전 밸런서(1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세탁조(10)의 내저부에는 교반 장치를 구성하는 펄세이터(12)가 배치되어 있다. 세탁조(10) 내에는 도시하지 않는 의류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의류의 세탁, 헹굼, 탈수 등의 행정으로 이루어진 세탁 운전이 실시된다.
이 때, 상기 수조(4)의 상부에는 수조 커버(13)가 장착되어 있다. 이 수조 커버(13)에는 거의 중앙부에 세탁물 출입용 개구부(13a)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개구부(13a)를 개폐하는 내부 덮개(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조 커버(13)의 후부 근처 부분에는 후술하는 급수 기구에 의해, 수조(4) 내에 급수를 실시하기 위한 급수구(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조(4)의 외저부에는 주지 구성의 구동 기구(15)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 구동 기구(15)는 예를 들어 아우터 로터형의 DC 3상 브러시리스 모터로 이루어진 세탁기 모터(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구동 기구(15)는 중공의 조축(18), 상기 조축(18)을 관통하는 교반축(19), 상기 세탁기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그들 축(18, 19)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축(18)의 상단에는 상기 세탁조(1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교반축(19)의 상단에는 상기 펄세이터(1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기구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를 구동원으로 하고 있고,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된 제어 장치(21)에 의해 제어된다. 이것에서, 클러치 기구는 세탁시 및 헹굼시(세탁 행정)에는 세탁조(10)의 고정(정지) 상태에서 세탁기 모터의 구동력을, 교반축(19)을 통하여 펄세이터(12)에 전달하여 펄세이터(12)를 직접 정역회전 구동한다. 또한, 탈수시(탈수 행정) 등에는, 클러치 기구는 조축(18)과 교반축(19)의 연결 상태에서, 세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조축(18)을 통하여 세탁조(10)에 전달하고, 세탁조(10)(및 펄세이터(12))를 한 방향으로 고속으로 직접 회전 구동한다.
상기 탑 커버(3)는 하면이 개구되고, 또한 그 상면이 전방을 향하여 하강 경사지는 박형의 중공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탑 커버(3)의 중앙부에는 상기 세탁조(10)의 상방(수조 커버(13)의 개구부(13a)의 상방)에 위치하고, 거의 원형의 세탁물 출입구(3a)가 형성되어 있다. 탑 커버(3)의 상면에는 전체으로서 직사각형 패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출입구(3a)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탑 커버(3)의 상면의 전방 변부에는 가로로 긴 형상의 조작 패널(24)이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이 조작 패널(24)은 사용자가 세탁기(1)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나 각종 설정·지시 등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부나 필요한 표시를 실시하는 표시부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작 패널(24)의 이면측에는 상기 제어 장치(21)(전자 유닛)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탑 커버(3)의 후부에는 급수원 이 경우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급수 경로를 통하여 수조(4)(세탁조(10)) 내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기구(2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기구(25)는 접속구(26), 이 접속구(26)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하여 연장되는 제1 및 제2 2개의 급수 경로(27 및 28), 각 급수 경로(27 및 28)를 각각 개폐하는 제1 및 제2 급수 밸브(29 및 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급수 기구(25)는 제1 급수 경로(27)에 설치된 파인 버블 발생 장치로서의 UFB 유닛(31), 주수 케이스(32)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 중 접속구(26)는 도시하지 않은 수도꼭지에 접속된 접속 호스의 선단부가 접속되고, 가정용의 소정의 수도 수압(예를 들면, 1.0 ~ 3.0 ㎏f/㎠ (0.1 ~ 0.29 ㎫) 정도)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급수 경로(27) 및 제2 급수 경로(28)는 각각 선단부가 상기 주수 케이스(32)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주수 케이스(32)에는 물의 입구부로서 제1 입구관(35) 및 제2 입구관(36)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급수 경로(27)(제1 급수 밸브(29)의 출구 부로서의 출구관(37))가 제1 입구관(35)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급수 경로(28)(제2 급수 밸브(30)의 출구부(30a))가 제2 입구관(36)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 제1 입구 관(35)의 구경과, 제2 입구관(36)의 구경은 다르고, 예를 들면 제2 입구관(36)의 구경쪽이 제1 입구관(35)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제1 급수 밸브(29) 및 제2 급수 밸브(30)는 전자적으로 개폐 동작하는 개폐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장치(21)에 의해 제어되며, 각각 상기 제1 급수 경로(27) 및 제2 급수 경로(28)를 개폐한다. 상기 주수 케이스(32)는 주지와 같이, 상자 형상을 이루고, 그 내부에는 세제 수용 케이스(33)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주수 케이스(32)의 하부의 출구부(32a)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급수 호스(34)의 기단측이 접속되고, 급수 호스(34)의 선단부가 상기 수조 커버(13)의 급수구(20)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서, 제1 급수 밸브(29)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제1 급수 경로(27)를 통하여 제1 입구관(35)으로부터 주수 케이스(32)에 공급된다. 세제 수용 케이스(33) 내에 세제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세제를 용해시키면서 흐르고, 출구부(32a)로부터 급수 호스(34)를 통하여 수조(4) 내에 공급된다.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급수 경로(27)를 흐르는 물이, UFB 유닛(31)을 통과함으로써 다량의 파인 버블을 포함하는 파인 버블수로 되어, 주수 케이스(32) 내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제2 급수 밸브(30)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제2 급수 경로(28)를 통하여 제2 입구관(36)으로부터 주수 케이스(32)에 공급된다. 세제 수용 케이스(33) 내에 세제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세제를 용해시키면서 흐르고, 출구부(32a)로부터 급수 호스(34)를 통하여 수조(4) 내에 공급된다. 이 경우, 제2 급수 경로(28)을 통하여, 파인 버블을 포함하지 않는 수돗물이 그대로 수조(4) 내에 공급된다. 또한 이 때, 제2 급수 경로(28)의 물의 유량은 제1 급수 경로(27)의 물의 유량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급수 경로(27)의 제1 급수 밸브(29)와 주수 케이스(32)의 입구부 사이에 위치하여, 벤츄리관의 원리를 이용한 파인 버블 발생 장치인 UFB 유닛(31)이 설치된다. 이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UFB 유닛(31)은 제1 급수 밸브(29)의 출구관(37)과, 주수 케이스(32)의 제1 입구관(35) 사이에 위치하고, 그 사이에 끼워지도록 조립되어 있다. 즉, UFB 유닛(31)은 제1 급수 밸브(29)의 출구부에 설치되고, 또한 UFB 유닛(31)의 유출구가 주수 케이스(32)의 물의 입구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UFB 유닛(31)에 대해 설명한다.
즉, 제1 급수 밸브(29)의 출구관(37)은 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주수 케이스(32)의 제1 입구관(35)측(도면에서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출구관(37)의 선단부는 그 외주면이 2 단계로 직경이 작아지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을 우측(직경이 큰 측)부터 차례로, 제1 소직경부(37a), 제2 소직경부(37b)라고 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주수 케이스(32)의 제1 입구관(35)은, 상기 제1 급수 밸브(29)측을 향하여 도면에서 우측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 내주부에는 선단측에 위치하고, 내경이 약간 커지는(두께가 얇아지는) 박육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입구관(35)의 내주부 중, 상기 박육부(35a)보다 내측은 단부(35b)를 개재하여 소직경부(35c)로 되어 있다.
이 때, 박육부(35a)의 내경 치수는 상기 출구관(37)의 제1 소직경부(37a)의 외경 치수에 대응하고 있다. 소직경부(35c)의 내경 치수는 UFB 유닛(31)의 유출구 측의 외형 치수에 대응하고 있다. 주수 케이스(32)의 제1 입구관(35) 내에 UFB 유닛(31)이 도면에서 우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에서, 박육부(35a)의 내주면에, 제1 소직경부(37a)의 외주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하고, 제1 급수 밸브(29)의 출구관(37)이 접속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출구관(37)의 제2 소직경부(37b)의 외주면과, 박육부(35a)의 내주면 사이에는 O 링(3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UFB 유닛(31)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전체적으로 축 방향을 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그 중심부(축심부)에는, 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39) 내를, 물이 화살표 A방향(도면에서 우측부터 좌측을 향하여)으로 흐른다. UFB 유닛(31)의 외경 치수는 상기 제1 입구관(35)의 내경 치수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 함께, UFB 유닛(31)의 외주벽의 도중부 우측 근처 부위에는, 축 방향으로 약간의 간격으로 2군데에 위치하고 링 형상의 볼록부(41, 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UFB 유닛(31)은 제1 입구관(35) 내에 개구측(도면에서 우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부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 때, 한쪽(도면에서 좌측)의 볼록부(41)가 제1 입구관(35) 내의 단차(35b) 부분에 걸림 고정되어 스토퍼가 된다. 또한 이 때, UFB 유닛(31)의 외주면과, 제1 입구관(35)의 박육부(35a) 내주면 사이에는, 2 개의 볼록부(41, 41) 사이에 위치하여 O 링(42)이 설치된다.
상기 유로(39)는 UFB 유닛(31)의 도면의 좌우 양단면에서 개구하고 도면에서 우측의 개구부가 유입구(39a)로 되며, 도면에서 좌측의 개구부가 유출구(39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39)의 중간부에, 유로 단면적이 가장 작아지는 스로틀부(39c)가 일정 길이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유로(39)는 유입구(39a)로부터 스로틀부(39c)까지의 사이가, 유로 단면적이 점차 작아져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고, 스로틀부(39c)에서 유출구(39b)까지의 사이가 유로 단면적이 점차 완만하게 커져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UFB 유닛(31)에는 스로틀부(39c)의 유로를 더 좁히도록 하고, 4 개의 돌출부(40)(2개만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40)는 90도 간격으로 스로틀부(39c)의 외주측에서 내측으로 볼록이 되도록 설치되고, 이에 의해 스로틀부(39c)의 단면이 열십자(Χ자형)의 슬릿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40)는 합성수지제이고 UFB 유닛(31)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40)를 별도 부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UFB 유닛(31)에서는 제1 급수 밸브(29)의 개방에 의해 물이 유입구(39a)로부터 유로(39) 내로 유입되면, 스로틀부(39c)까지 유로 단면적이 좁혀짐으로써, 유체 역학의 이른바 벤츄리 효과에 의해 유속이 높아지고, 압력이 급격히 저하된다. 이에 의해, 수중에 용존되어 있는 공기를 미세한 기포로서 다량으로 석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급수 밸브(29)의 출구관(37)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흐름 방향과, UFB 유닛(31)의 유로(39)에서의 물의 흐름 방향이 동일한 방향(화살표 A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UFB 유닛(31)에 의해 직경이 50 ㎚ ~ 1 ㎛ 정도의 울트라 파인 버블, 및 직경이 1 ㎛ ~ 수백 ㎛ 정도의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하는 파인 버블을 다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UFB 유닛(31)을 통과함으로써 다량의 파인 버블을 포함하는 물(이하, 파인 버블수라고 부름)이 유출구(39b)로부터 유출된다. 그리고, 그 파인 버블수가 주수 케이스(32)(세제 수용 케이스(33)) 내에 유입되고, 세제를 용해시키면서 급수구(20)로부터 수조(4) 내에 주수된다. 또한, 이 UFB 유닛(31)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관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29097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 때, 다음의 작용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1)는 주로 그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세탁 행정 개시시의 급수시에서, 제1 급수 밸브(29)를 개방시키고(제2 급수 밸브(30)는 폐색), UFB 유닛(31)을 통하여 파인 버블수를 공급한다. 이것에서, 파인 버블수에 세제가 녹아 들어간 세탁수가, 수조(4)(세탁조(10)) 내에 모이고 세탁 행정이 실행된다. 또한, 제어 장치(21)는 세탁 행정 후의 헹굼 행정 등에서는 제2 급수 밸브(30)를 개방시키고(제1 급수 밸브(29)는 폐색), 급수를 실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세탁기(1)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세탁 운전을 개시하는 데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세탁조(10) 내에 세탁하는 의류를 수용하고, 또한 주수 케이스(32)의 세제 수용 케이스(33)에 소요량의 세제를 수용시켜 둔다. 그 상태에서, 조작 패널(24)에서 개시 조작을 실시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21)는 세탁, 헹굼, 탈수 등의 행정으로 이루어진 세탁 운전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이 때, 먼저 세탁 행정 개시시의 급수시에서는 제1 급수 밸브(29)가 개방된다.
상기 제1 급수 밸브(29)의 개방에 의해, 수도로부터의 물은 UFB 유닛(31)을통과하고, 그 때 다량의 파인 버블이 발생하여 파인 버블수가 되어 주수 케이스 (32)에 공급된다. 그리고, 파인 버블수가 세제 수용 케이스(33) 내의 세제를 용해시키면서 흐르고, 수조(4) 내에 공급된다. 수조(4) 내의 소정 수위의 급수가 실시되면, 제1 급수 밸브(29)가 폐색되고 펄세이터(12)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는 세탁 행정이 개시된다. 소정 시간의 세탁 행정이 종료되면, 펄세이터(12)가 정지됨과 함께 수조(4)로부터의 배수가 실시되고, 계속해서 헹굼이나 탈수 행정이 실행된다. 이들 헹굼이나 탈수 행정에서는 제2 급수 밸브(30)가 개방되고, 수도로부터의 물이, 제2 급수 경로(28)를 통하여 주수 케이스(32)로부터 수조(4) 내에 공급된다.
상기 파인 버블은 액체 중 예를 들어 수중에서, 불규칙한 운동을 발생하는 브라운 운동을 일으키고, 그 속도는 부상 속도보다 빠르므로, 장시간에 걸쳐 액체중에 그치는 성질을 갖는다. 그리고, 파인 버블의 표면은 마이너스로 대전되어 있으므로,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덩어리로 되어 있던 세제 분말(계면활성제)를 흩어지게 하면서 흡착하여, 세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인 버블 끼리는 서로 반발하여, 결합되는 일이 없다. 또한, 그와 같이 세제 분말을 흡착한 파인 버블은 의류의 섬유 간극(예를 들어, 10 ㎛) 중에 용이하게 들어가고, 효율 좋게 세제를 의류의 내부에 운반하여 오염 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그 오염 물질의 의류에 대한 재부착을 억제한다.
이 경우, UFB 유닛(31)에 의해 파인 버블수로 된 후에, 그 파인 버블수에 세제가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파인 버블 농도가 높은 상태의 세탁수 중에, 세제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그와는 반대로, 세제를 물에 투입한 후에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세탁수가 과잉으로 거품을 일으켜 미세한 파인 버블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파인 버블 농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벤츄리 효과를 이용한 파인 버블 발생 장치로서의 UFB 유닛(31)에 있어서는,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높은 수압을 가한 상태에서 물을 흐르게 할 필요가 있다. 세탁기(1)의 급수원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수도가 사용된다. 이 수도 수압을, 최대한 낮추는 일 없이 이용함으로써, 특별한 가압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UFB 유닛(31)에 의해 효과적으로 다량의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급수 밸브(29)의 출구관(37)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흐름 방향과, UFB 유닛(31)의 유로(39)의 물의 흐름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UFB 유닛(31)까지의 제1 급수 경로(27)에서의 유로의 저항이 적게 그치고, 수압의 저하를 억제하여 파인 버블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인 버블의 기능에 의해, 무수한 파인 버블이 포함된 파인 버블수에 세제를 용해시킨 세탁수를 사용하여 세탁 행정이 실시된다. 이에 의해, 뛰어난 세정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급수 기구(25)에 UFB 유닛(31)을 통하지 않는 제2 급수 경로(28)를 설치했으므로, 헹굼시 등에서는 UFB 유닛(31)을 통하지 않고 파인 버블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물을 수조(4) 내에 급수할 수 있다. 따라서, 헹굼시 등의 급수시에는 물의 유량을 비교적 크게 하여 단시간에 급수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UFB 유닛(31)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UFB 유닛(31)을 제1 급수 밸브(29)와 주수 케이스(32) 사이에 배치했다. 이에 의해, 제1 급수 밸브(29)로부터 배출된 비교적 수압이 높은 상태의 물을, UFB 유닛(31)에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압을 높이기위한 별도의 가압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UFB 유닛(31)에 의해 파인 버블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UFB 유닛(31)을 주수 케이스(32)의 세제 수용 케이스(33)의 상류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가장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수압이 가해지는 UFB 유닛(31)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인 버블 발생 장치로서,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성의 UFB 유닛(31)을 채용했다. 이와 함께, 그 UFB 유닛(31)을 제1 급수 밸브(29)의 출구관(39)과, 주수 케이스(32)의 제1 입구관(35)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의해, 비교적 높은 수압을 이용하여 파인 버블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UFB 유닛(31)의 조립성도 양호해진다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주수 케이스(32)의 제1 입구관(35)과 제2 입구관(36)의 구경을 다르게 했으므로, UFB 유닛(31)의 오삽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벤츄리관의 원리를 이용한 파인 버블 발생 장치인 UFB 유닛(51)의 구성에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UFB 유닛(31)을,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일체물로서 구성했다. 이에 대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UFB 유닛(51)을 상류측 유로 부재(52)와, 하류측 유로 부재(53)의 2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구성하고 있다.
즉, UFB 유닛(51)은 도 8,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축 방향을 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하고, 후단부(도면에서 우단부)에 플랜지부(54)를 갖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UFB 유닛(51)의 중심부(축심부)에는 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물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르는 유로(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55)는 도면에서 우측의 개구부가 유입구(55a)로 되고, 도면에서 좌측의 개구부가 유출구(55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55)의 중간부에, 내주측에 돌출되는 돌출부(56)에 의해 스로틀부(55c)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55)는 유입구(55a)로부터 전체의 1/4 정도의 길이의 범위가, 유로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스로틀부(55c)를 제외하고 거의 일정한 내경의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UFB 유닛(51)은 전체를 이분할한 것처럼, 상류측 유로 부재 (52)와 하류측 유로 부재(53)를 갖고, 그들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상류측 유로 부재(52)는 UFB 유닛(51) 중 유로(55)의 상류측을 구성하고 스로틀부(55c)의 유로 단면적을 좁히는 돌출부(56)를 일체로 갖고 있다. 하류측 유로 부재(53)는 UFB 유닛(51) 중 유로(55)의 상기 돌출부(56)보다 하류측을 구성한다. 도 5 내지 도 7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 상류측 유로부(52)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54)의 선단측(도면에서 좌측)에 약간 직경이 작은 몸통부(57)를 일체로 구비하고, 또한 그 몸통부(57)의 선단측에 더욱 직경이 작은 소직경부(5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류측 유로부(52)의 내부에는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로(55) 중 상류측 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소직경부(58)의 선단부에는 유로(55)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56)는 도면에서 상하 좌우(90도 간격)의 4군데에 위치하고 내주측(유로의 중심)을 향하여 선단이 뾰족한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로(55)가 좁혀지고, 스로틀부(55c)의 유로 단면적의 가장 작은 부분이 X 자형(열십자형)의 슬릿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하류측 유로 부재(53)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57)와 동등한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류측 유로 부재(53)의 기단측(도면에서 우단측)에, 상기 상류측 유로부(52)의 소직경부(58)가 끼워 맞추어지는 원형 오목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류측 유로 부재(53)의 내부(중심부)에는 상기 유로(55)의 하류측 반부를 구성하는 스트레이트한 구멍이, 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형 오목부(59)의 내경 치수는 상기 소직경부(58)의 외형 치수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어 있다. 도 7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오목부(59)의 내주면에는 복수개 예를 들어 각도 90도 간격으로 4 개의 압입용 리브(60)가 축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유로 부재(52)의 소직경부(58)를, 하류측 유로 부재(53)의 원형 오목부(59) 내에 삽입(압입)함에 따라, 압입용 리브(60)가 찌그러지도록 변형되고, 소직경부(58)와 원형 오목부(59)가 강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수 케이스(61)에는 물의 입구부로서의 입구관(제1 입구관)(62)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입구관(62)에는 급수 밸브 (제1 급수 밸브)(63)의 출구관(64)이 접속된다. 출구관(64)은 원형관 형상을 이루고, 그 선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외주면이 직경이 작아지는 소직경부(6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UFB 유닛(51)은 급수 밸브(63)의 출구관(64)과, 주수 케이스(61)의 입구관(62) 사이에 끼워지도록 조립된다.
상기 입구관(62)은 그 내경이 입구측(도면에 우측)으로부터 차례로 3단계로 작아져 가는 형상을 이루고, 제1 대직경부(62a), 제2 대직경부(62b), 소직경부(62c)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대직경부(62a)의 내경 치수는 상기 출구관(64)의 외경 치수에 대응(끼워 맞춤 가능)하고 있다. 제2 대직경부(62b)의 내경 치수는 출구관(64)의 소직경부(64a) 및 상기 UFB 유닛(51)의 플랜지부(54)의 외경 치수에 대응(끼워 맞춤 가능)하고 있다. 소직경부(62c)의 내경 치수는 UFB 유닛(51)의 외경 치수에 대응(끼워 맞춤 가능)하고 있다. 입구관(62)의 내측(도면에서 좌측)의 단부에는 UFB 유닛(51)의 선단면이 걸림 고정되는 리브(65)가 설치되어 있다. 그 리브(65)의 중심부에는 유로(55)의 유출구(55b)와 동등한 직경으로 연속되고, 주수 케이스(61) 내(세제 수용 케이스)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65a)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UFB 유닛(51)은 상류측 유로 부재(52)와 하류측 유로 부재(53)를 조합한 상태에서 입구관(62) 내의 내측에 삽입된다. 이것에서, UFB 유닛(51)(하류측 유로 부재(53))의 선단면이 리브(65)에 맞닿는다. 이와 함께 UFB 유닛(51)의 후단부를 제외한 외주(주로 하류측 유로 부재(53)의 외주)가 소직경부(62c)의 내주에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UFB 유닛(51)(상류측 유로 부재 (52))의 플랜지부(54)의 외주가 제2 대직경부(62b)의 내주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 때, 상류측 유로 부재(52)의 몸통부(57)의 외주면과 입구관(62)의 제2 대직경부(62b)의 내주면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고 있지만, 이 부분에 상기 간극을 기밀하게 시일하기 위한 시일 부재로서의 O 링(66)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입구관(62) 내의 개구단부측에, 상기 급수 밸브(63)의 출구관(64)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접속된다. 이 경우, 출구관(64)의 선단부의 외주가 입구관(62)의 제1 대직경부(62a)의 내주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와 함께, 출구관(64)의 선단면이 UFB 유닛(51)(상류측 유로 부재(52))의 후단면에 맞닿는다. 또한, 출구관(64)의 소직경부(64a)의 외주면과, 입구관(62)의 제1 대직경부(62a)의 내주면 사이에도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O링(67)이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어 세탁 행정의 개시시에, 급수 밸브(63)가 개방되고 출구관(64)으로부터 비교적 고압의 수돗물이 UFB 유닛(51)에 공급되어, 유입구(55a)로부터 유로(55)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른다. UFB 유닛(51)에서는 유로(55)의 도중에 돌출부(56)에 의한 스로틀부(55c)가 설치되어 있어, 수중에 용존 되어 있는 공기를 미세한 기포로서 다량으로 석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서 다량의 파인 버블을 포함하는 파인 버블수를 유출구(55b)로부터 연통 구멍(65a)을 통하여 주수 케이스(61)(세제 수용 케이스) 나아가 수조(4) 내에 주수할 수 있다. 또한, 헹굼 행정 등에서도, 급수 밸브(63)를 개방시켜 급수를 실시함으로써 파인 버블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UFB 유닛(51)을, 급수 밸브(63)와 주수 케이스(61) 사이에 배치했다. 이에 의해, 급수 밸브(63)로부터 배출된 비교적 수압이 높은 상태의 물을, UFB 유닛(51)에 공급할 수 있고 파인 버블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등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그에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UFB 유닛(51)을, 돌출부(56)를 갖는 상류측 유로 부재(52)와, 돌출부(56)보다 하류측을 구성하는 하류측 유로 부재(53)를 조합하여 구성했다. 여기에서, UFB 유닛을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경우, 특히 돌출부(스로틀부) 부분의 형상이 가늘고 복잡한 것이 되므로, 관리가 어렵고 고품질로의 제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UFB 유닛(51)을, 상류측 유로 부재(52)와 하류측 유로 부재(53)를 조합하여 구성하면, 개개의 부품(52, 53)의 형상을 비교적 간단하게 끝낼 수 있다. 따라서, 성형틀의 형상, 구조의 간단화나, 제조의 간이화,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파인 버블의 발생에 관한 성능을 결정하는 상에서, 돌출부(56) 부분의 치수 관리는 중요해지지만, 상류측 유로 부재(52)의 단부에 돌출부(56)를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돌출부(56) 부분의 치수 관리도 용이해지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그치면서 고품질, 고성능의 UFB 유닛(51)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 유로 부재(52)의 몸통부(57)의 외주면과, 입구관(62)의 제2 대직경부(62b)의 내주면 사이를 기밀하게 시일하는 O링(66)을 설치하도록 했다. O링(66)을 설치함으로써, 상류측 유로 부재(52)와 하류측 유로 부재(53)의 맞댐 부분에 간극이 생겨도, 발생한 기포(기포를 포함하는 물)가 그 간극을 통하여 상류측 유로 부재(52)의 외주부터 입구관(62)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간단한 구성으로, 파인 버블이 유출되거나 압력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UFB 유닛(51)을 입구관(62)에 확실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관(62)에, UFB 유닛(51)의 선단면이 걸림 고정되는 리브(65)를 설치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리브(65)에 의해 UFB 유닛(51)의 조립시의 선단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류측 유로 부재(62)와 하류측 유로 부재(53) 사이에서 끼워 맞춤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도, 리브(65)에 의해 UFB 유닛(51)의 선단부가 그 위치에 유지되어 유로(55)를 확보할 수 있다.
(3) 제3 실시 형태, 그 밖의 실시 형태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서, 주수 케이스(71)의 입구관(72) 부분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파인 버블 발생 장치(UFB 단위)를 삽입 상태로 조립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제 3 실시 형태가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다른 바는, 입구관(72) 부분에 하류측 유로 부재로서 기능하는 연통부(73)를 일체로 설치하고, 그 연통부(73)와 상류측 유로 부재(74)로부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구성한 점에 있다. 즉,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하류측 유로 부재를, 입구관(72)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상류측 유로 부재(74)의 상류측 유로와, 연통부(73)의 하류측 유로로, 파인 버블 발생 장치의 유로가 구성된다.
즉, 상류측 유로 부재(74)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게,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기단부(도면에서 우단부)에 플랜지부(75)를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플랜지부(75)를 제외한 외주부가 일정한 외경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상류측 유로 부재(74)의 내부에는 유로의 상류측 거의 반부를 구성하는 상류측 유로(76)가 형성되어 있다. 상류측 유로(76)는 기단측의 직경이 큰 입구부(76a)로부터 테이퍼 형상으로 직경이 축소되고, 그 후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류측 유로 부재(74)의 선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돌출부(77)에 의해, 상류측 유로(76)에 스로틀부(76b)가 구성된다.
한편, 주수 케이스(71)의 입구관(72)에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급수 밸브(제1 급수 밸브)(63)의 출구관(64)이 접속된다. 입구관(72)은 그 내경이 입구측(도면에서 우측)으로부터 차례로 3단계로 작아져 가는 형상을 이루고, 제1 대직경부(72a), 제2 대직경부(72b), 소직경부(72c)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대직경부(72a)의 내경 치수는 상기 출구관(64)의 외경 치수에 대응하고 있다. 제2 대직경부(72b)의 내경 치수는 출구관(64)의 소직경부(64a) 및 상기 상류측 유로 부재(74)의 플랜지부(74)의 외경 치수에 대응하고 있다. 소직경부(72c)의 내경 치수는 상류측 유로 부재(74)의 외경 치수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73)는 입구관(72)의 내측(도면에서 좌측)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류측 유로 부재(74)의 선단면이 맞닿는 접촉면(73a)을 갖고 있다. 이와 함께, 연통부(73)는 접촉면(73a)의 중앙부로부터 도면에서 좌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로의 하류측 거의 반부를 구성하는 하류측 유로(78)를 갖고 있다. 하류측 유로(78)는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선단부(도면에서 좌단부)가 주수 케이스(61)내(세제 수용 케이스)에 연통되는 유출구(78a)로 되어 있다.
상기 상류측 유로 부재(74)는 입구관(72) 내의 내측에 삽입되고, 급수 밸브(63)의 출구관(64)과, 입구관(62) 사이에 끼워지도록 조립된다. 이 때, 상류측 유로 부재(74)의 선단면이, 연통부(73)의 접촉면(73a)에 맞닿고, 또한 상류측 유로 부재(74)의 선단측 거의 반부의 외주가 소직경부(72c)의 내주에 끼워 맞추어진다. 플랜지부(54)의 외주가, 제2 대직경부(62b)의 내주에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상류측 유로 부재(74)의 외주면과, 입구관(72)의 제2 대직경부(72b)의 내주면 사이에는 시일 부재로서의 O링(66)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입구관(72) 내의 개구단부측에 급수 밸브(63)의 출구관 (64)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접속된다. 이 경우, 출구관(64)의 선단부의 외주가 입구관(72)의 제1 대직경부(72a)의 내주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와 함께, 출구관 (64)의 선단면이 상류측 유로 부재(64)의 후단면에 맞닿는다. 또한, 출구관(64)의 소직경부(64a)의 외주면과, 입구관(72)의 제1 대직경부(72a)의 내주면 사이에도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O링(67)이 설치된다. 이에 의해, 상류측 유로 부재(74)의 상류측 유로(76)와, 연통부(73)의 하류측 유로(78)가 연속되고, 파인 버블 발생 장치의 유로가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급수 밸브(63)로부터 배출 된 비교적 수압이 높은 상태의 물을, 파인 버블 발생 장치에 공급할 수 있고, 파인 버블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상류측 유로 부재(74)와, 하류측 유로 부재의 기능을 수행하는 연통부(73)를 조합하여 구성했다. 이에 의해, 금형틀의 형상, 구조의 간단화나 제조의 간이화, 안정화 등을 도모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끝나게 하면서 고품질, 고성능의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구성하는 하류측 유로 부재(연통부(73))를, 입구관(72)에 일체로 형성했으므로, 별도의 하류측 유로 부재가 불필요해진다. 그 결과,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한층 더한 구성의 간단화나 조립성의 향상, 한층 더한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는 생략하지만,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확장, 변경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세탁 행정에 파인 버블수를 이용하여, 헹굼 행정에서는 UFB 유닛(31)을 통과하지 않는 물을 사용하도록 했지만,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 패널(24)에서의 지정 조작에 기초하여, 사용하는 급수 밸브(29,30)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2종류의 물(파인 버블수 또는 일반의 물)을, 필요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UFB 유닛을 제1 급수 밸브와 주수 케이스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했지만, 급수 밸브로부터 주수 케이스까지의 급수 경로(관로)의 도중의 어느 부위에,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종축형의 세탁기에 적용했지만, 종축형의 세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드럼식 세탁기 등 세탁기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주수 케이스(세제 수용 케이스)의 구성이나 급수 기구의 전체 구성 등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러한 신규한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 및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의류가 수용되는 세탁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세탁조 내로 공급되는 물을 통과시키는 급수 경로를 개폐하는 급수 밸브,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 케이스, 및
    상기 급수 밸브와 상기 세제 수용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파인 버블을 발생시키는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는, 내부에 물이 흐르는 유로가 설치된 유로 부재를 가지고,
    상기 유로 부재는 상기 유로의 내주면에서 중심 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유로의 단면적을 좁히는 스로틀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 케이스는 상기 세탁조 내에 주수를 실시하는 주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것이고,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는 상기 급수 밸브와 상기 주수 케이스 사이에 있고 상기 주수 케이스 내의 상기 급수 경로에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는 상기 급수 밸브의 출구부의 하류에서, 상기 주수 케이스의 물의 입구관 내에 배치되어 있는, 세탁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 케이스의 물의 입구관 내에는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의 유출구측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접속되는 소직경부가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는 상기 급수 밸브와 상기 주수 케이스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경로는 상기 급수 밸브의 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흐름 방향과,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에서의 물의 흐름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세탁기.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구비한 급수 경로와는 별도로, 파인 버블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제2 급수 경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 케이스에는 상기 제2 급수 경로가 접속되는 제2 입구관이 설치되고, 이 제2 입구관의 구경은,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가 접속되는 입구관의 구경과 다른, 세탁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는 유입구부터 유출구까지 연장되는 유로의 중간부에 상기 스로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는 상기 유로의 상류측을 구성하고, 상기 돌출부를 갖는 상류측 유로 부재와, 상기 유로의 상기 돌출부보다 하류측을 구성하는 하류측 유로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 케이스에는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가 삽입 상태로 접속되는 물의 입구관이 설치되고,
    상기 입구관에는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의 선단면이 걸림 고정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 케이스에는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의 상류측 유로 부재가 삽입 상태로 접속되는 물의 입구관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하류측 유로 부재를, 상기 입구관에 일체로 형성한, 세탁기.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 케이스에는 상기 파인 버블 발생 장치가 삽입 상태로 접속되는 물의 입구관이 설치되고,
    상기 상류측 유로 부재의 외면과, 상기 입구관의 내면 사이를 기밀하게 시일하는 시일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
KR1020197001363A 2016-09-09 2017-06-01 세탁기 KR102254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6642 2016-09-09
JP2016176642 2016-09-09
JPJP-P-2017-012076 2017-01-26
JP2017012076A JP6251425B1 (ja) 2016-09-09 2017-01-26 洗濯機
PCT/JP2017/020465 WO2018047423A1 (ja) 2016-09-09 2017-06-01 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684A KR20190035684A (ko) 2019-04-03
KR102254645B1 true KR102254645B1 (ko) 2021-05-21

Family

ID=6068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363A KR102254645B1 (ko) 2016-09-09 2017-06-01 세탁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97109B2 (ko)
JP (2) JP6251425B1 (ko)
KR (1) KR102254645B1 (ko)
CN (1) CN108603325B (ko)
DE (1) DE112017004531B4 (ko)
MY (1) MY195296A (ko)
TW (2) TWI664335B (ko)
WO (1) WO2018047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665B1 (ko) * 2018-03-28 2023-02-22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발생기
JP7025267B2 (ja) * 2018-04-02 2022-02-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JP7323270B2 (ja) * 2018-04-23 2023-08-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の注水ケース、及び洗濯機
CN111206383A (zh) * 2018-11-21 2020-05-2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CN111206380A (zh) * 2018-11-21 2020-05-2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微气泡发生器的空化件、微气泡发生器及洗涤装置
WO2020177346A1 (zh) * 2019-03-01 2020-09-1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投放装置以及衣物处理设备
CN111764095B (zh) * 2019-03-12 2021-12-2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注水控制方法、装置和衣物处理装置
CN113026298A (zh) * 2019-12-24 2021-06-2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微气泡喷头、微气泡处理剂盒组件及洗涤设备
CN113026305A (zh) * 2019-12-24 2021-06-2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微气泡处理剂盒组件及具有其的洗涤设备
CN112899992B (zh) * 2019-12-04 2024-06-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CN112899991B (zh) * 2019-12-04 2024-06-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微气泡处理剂盒组件及具有其的洗涤设备
JP7506377B2 (ja) * 2020-12-25 2024-06-26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洗濯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1173A (ja) * 2004-08-11 2006-02-23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2009178195A (ja) * 2008-01-29 2009-08-13 Sharp Corp 洗濯機
JP2012161588A (ja) * 2011-07-27 2012-08-30 Nakajima Shoji Kk 洗濯装置および洗濯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050B1 (ko) * 1991-01-12 1995-06-30 대우전자주식회사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세탁기 및 기포를 이용한 피세탁물의 세탁방법
JPH08206390A (ja) * 1995-02-02 1996-08-13 Toshiba Corp 洗濯機の洗剤投入装置
KR0126711Y1 (ko) * 1995-11-22 1998-12-15 배순훈 세탁기의 공기방울 발생기
KR20000010032A (ko) * 1998-07-29 2000-02-15 전주범 공기방울 드럼 세탁기
JP3734969B2 (ja) * 1998-11-04 2006-01-11 株式会社大宇エレクトロニクス 中細ノズル状の噴出孔付き気泡発生装置
WO2002081808A1 (fr) * 2001-04-05 2002-10-17 Sanyo Electric Co., Ltd. Machine a laver electrique
US6662600B1 (en) * 2002-08-07 2003-12-16 Tennant Company Foamed cleaning liquid dispensing system
US6868701B2 (en) * 2002-06-14 2005-03-22 Yong Mi Lee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means for generating microbubbles of air
JP4439386B2 (ja) * 2004-12-16 2010-03-24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EP1932962B1 (en) * 2005-10-07 2012-10-24 Sanyo Electric Co., Ltd. Clothes drier
KR101287532B1 (ko) * 2007-04-11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2009226208A (ja) * 2008-02-29 2009-10-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洗濯装置
KR20100056005A (ko) * 2008-11-19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2389470A1 (en) * 2009-01-23 2011-11-30 Tennant Company Washing systems incorporating charged activated liquids
US8418510B2 (en) * 2009-04-15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JP2011030973A (ja) * 2009-08-06 2011-02-17 Panasonic Corp 洗濯機
KR101416693B1 (ko) * 2009-09-10 2014-07-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088979A (ja) * 2009-10-21 2011-05-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洗浄液、洗浄方法、洗浄液製造装置
JP2011115359A (ja) * 2009-12-03 2011-06-16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20120043932A (ko) * 2010-10-27 2012-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1528A (ko) * 2010-12-23 2012-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4796205B1 (ja) * 2011-02-06 2011-10-19 中島商事株式会社 洗濯システムおよび洗濯方法
KR101820662B1 (ko) * 2011-12-07 201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1649669B1 (ko) * 2013-12-23 2016-08-3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세탁기의 버블생성장치 및 세탁방법
KR102280205B1 (ko) * 2014-01-22 2021-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2014129097A (ja) 2014-04-07 2014-07-10 Kubota Corp トラクタのキャビン
JP6388380B2 (ja) * 2014-06-24 2018-09-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KR102350317B1 (ko) * 2014-12-01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2016176642A (ja) 2015-03-20 2016-10-06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装置
JP6466791B2 (ja) 2015-06-30 2019-02-06 株式会社 伊藤園 飲料用ショウガ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474164B (zh) * 2015-12-25 2020-06-16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洗衣机
JP6346164B2 (ja) * 2015-12-25 2018-06-2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CN105544147A (zh) * 2016-02-22 2016-05-04 苏州黄章妹族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含有微气泡水功能的洗衣机
JP6290334B2 (ja) 2016-08-18 2018-03-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1173A (ja) * 2004-08-11 2006-02-23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2009178195A (ja) * 2008-01-29 2009-08-13 Sharp Corp 洗濯機
JP2012161588A (ja) * 2011-07-27 2012-08-30 Nakajima Shoji Kk 洗濯装置および洗濯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43033A (ja) 2018-03-22
DE112017004531B4 (de) 2023-04-20
WO2018047423A1 (ja) 2018-03-15
DE112017004531T5 (de) 2019-06-19
US20190177903A1 (en) 2019-06-13
JP6948233B2 (ja) 2021-10-13
TW201812133A (zh) 2018-04-01
TWI664335B (zh) 2019-07-01
US10697109B2 (en) 2020-06-30
JP6251425B1 (ja) 2017-12-20
CN108603325B (zh) 2019-11-26
JP2018042989A (ja) 2018-03-22
CN108603325A (zh) 2018-09-28
TW201840925A (zh) 2018-11-16
TWI638925B (zh) 2018-10-21
KR20190035684A (ko) 2019-04-03
MY195296A (en)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645B1 (ko) 세탁기
US10988887B2 (en) Washing machine
US10844973B2 (en) Liquid electromagnetic valve,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electromagnetic valve, and washing machine
JP6918573B2 (ja) 洗濯機
JP7021901B2 (ja) 洗濯機
JP7268954B2 (ja) 洗濯機
CN111417455B (zh) 细微气泡产生器、洗衣机以及家用电器
US10385496B2 (en) Washing machine
US10422066B2 (en) Washing machine
JP7169801B2 (ja) 微細気泡発生器、及び家電機器
US20180087202A1 (en) Washing machine
US20180087203A1 (en) Washing machine
JP2019103988A (ja) 注水装置、及び洗濯機
JP6251349B1 (ja) 洗濯機
JP7248388B2 (ja) 微細気泡発生器、及び家電機器
JP6449419B2 (ja) 洗濯機
JP2018038695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