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475B1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475B1
KR102240475B1 KR1020140101198A KR20140101198A KR102240475B1 KR 102240475 B1 KR102240475 B1 KR 102240475B1 KR 1020140101198 A KR1020140101198 A KR 1020140101198A KR 20140101198 A KR20140101198 A KR 20140101198A KR 102240475 B1 KR102240475 B1 KR 10224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thickness
club head
to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443A (ko
Inventor
히로시 아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8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7Heads with special crown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8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2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sl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중공형 골프 클럽 헤드가 페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좋은 볼 타구음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크라운 부분을 구비한다. 크라운 부분은, 제1 두께를 구비하는 제1 구역, 제2 두께를 구비하는 제2 구역 및 제3 두께를 구비하는 제3 구역을 구비하며, 제3 두께는, 제1 두께 보다 작은, 제2 두께보다 작다. 제1 구역은 크라운 부분의 페이스 부분측에 배치되고 토-힐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구역은 제1 구역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2 구역은 제3 구역을 둘러싼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본 발명은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좋은 볼 타구음을 생성할 수 있는 크라운 부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 제5142486호는, 크라운 부분이 그의 후방 구역에서 보다 그의 전방 구역에서 더 작은 두께를 구비하는, 중공형 골프 클럽 헤드를 개시한다. 그로 인해, 전방 구역은, 볼을 타격할 때, 편향될 수 있고, 볼의 발사각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골프 클럽 헤드에서, 볼 타구음은 고려되지 않으며, 여기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좋은 볼 타구음을 생성할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골프 클럽 헤드가,
볼을 타격하기 위한 클럽 페이스를 구비하는 페이스 부분, 및
클럽 헤드의 상측 표면을 형성하도록 페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두께를 구비하는 제1 구역,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구비하는 제2 구역, 및 제2 두께보다 작은 제3 두께를 구비하는 제3 구역을 포함하는, 크라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크라운 부분의 페이스 부분측에 배치되고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1 구역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3 구역을 둘러싼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는 뒤따르는 특징 (1) 내지 특징 (12)를 구비할 수 있다:
(1) 크라운 부분은 단지 하나의 제3 구역을 구비한다;
(2) 크라운 부분은 복수의 제3 구역을 구비한다;
(3) 크라운 부분은, 가장 토측의 제3 구역, 가장 힐측의 제3 구역 및 토-힐 방향에서 이들 사이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제3 구역인, 복수의 제3 구역을 구비한다;
(4) 기준 상태 하에서의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에서 측정했을 때, 제1 구역의 면적은 크라운 부분의 면적의 8% 내지 30% 이다;
(5) 기준 상태 하에서의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에서 측정했을 때, 제2 구역의 면적은 크라운 부분의 면적의 40% 내지 80% 이다;
(6) 기준 상태 하에서의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에서 측정했을 때, 제3 구역의 면적은 크라운 부분의 면적의 10% 내지 25% 이다;
(7) 제1 두께는 0.6 내지 1.7mm 이고, 제2 두께는 0.5 내지 0.9mm 이며 그리고 제3 두께는 0.3 내지 0.6mm 이다;
(8) 제1 두께는 일정하고, 제2 두께는 일정하며, 제1 구역으로부터 제2 구역까지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제1 전이 영역이 제1 구역과 제2 구역 사이에 형성된다;
(9) 제2 두께는 일정하고, 제3 두께는 일정하며, 제2 구역으로부터 제3 구역까지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제2 전이 영역이 제2 구역과 제3 구역 사이에 형성된다;
(10) 복수의 제3 구역이 배치되며,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의 평면도에서, 제3 구역들은 헤드의 무게 중심의 근처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개별적인 방향들을 따라 연장되고, 개별적인 방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된 제3 구역들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11) 복수의 제3 구역이 배치되며,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의 평면도에서, 제3 구역들은 페이스 부분의 근처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개별적인 방향들을 따라 연장되고, 개별적인 방사 방향에 수직으로 측정되는 제3 구역들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12) 복수의 제3 구역이 헤드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며,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의 평면도에서, 제3 구역들의 면적들은 헤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큰 충격력이 볼을 타격함에 의해 페이스 부분 근처의 제1 구역에 인가될 때, 더 높은 강성을 구비하는 제1 구역은 더 낮은 진폭을 갖는 더 높은 주파수로 진동하여 높은 음조의 볼 타구음을 생성하며, 더 작은 두께 및 더 낮은 강성을 구비하는 제3 구역은 더 큰 진폭을 갖는 더 낮은 주파수로 진동하여 낮은 음조의 볼 타구음을 생성한다. 또한, 제2 구역은 중간 진폭을 갖는 중간 주파수로 진동하여 중간 음조의 볼타구음을 생성한다. 따라서, 볼을 타격할 때의 진동은, 제1 구역으로부터 제3 구역을 둘러싸는 제2 구역을 통해 제3 구역으로, 즉 더 작은 진폭으로 진동하는 제1 구역으로부터 제3 구역으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제3 구역으로부터의 낮은 음조의 큰 볼 타구음의 생성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의 진동음들로부터 합성된 음은, 바람직한 감쇠 시간(decay time)을 갖는 잔향음(reverberant sound)을 구비함에 따라, 사람의 귀에 의해 인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는,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진동음으로부터 합성된 좋은 볼 타구음을 생성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볼 타구음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약 3500Hz 내지 약 4500Hz의 범위 이내의 구별되는 피크 또는 피크들을 갖는다.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출원에서, 클럽 헤드에 관련되는 치수들, 위치들, 방향들 및 이와 유사한 것은 달리 알려지지 않는 한 클럽 헤드의 기준 상태 하에서의 그것들을 언급한다.
여기서, 클럽 헤드의 기준 상태는, 클럽 샤프트(미도시)의 축선(CL)이, 수직면(VP) 상에 축선을 유지하는 가운데, 특정 라이각(α)으로 경사지게 되고, 페이스가 수평면(HP)에 대해 특정 로프트각을 형성하도록, 클럽 헤드가 수평면(HP) 상에 놓이는 상태이다. 부수적으로, 클럽 헤드만의 경우에, 샤프트 삽입 홀의 중심선(CL)이 클럽 샤프트의 축선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전후 방향"은 수평면(HP) 상에 투영되는 직선(N)과 평행한 방향(FR)이고, 여기서 직선(N)은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G)을 통과하도록 페이스(2a)에 수직으로 그려진다.
"토-힐 방향"은, 수평면(HP)과 평행하고 전후 방향(FR)에 수직인, 방향(TH)이다.
"스윗 스팟(SS)"은 클럽 페이스 및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G)을 통과하도록 클럽 페이스에 수직으로 그려지는 직선(N) 사이의 교차 지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골프 클럽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클럽 페이스의 둘레 가장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골프 클럽 헤드의 정면도 및 페이스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지금부터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모든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한 부재들 또는 부분들이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지시된다.
뒤따르는 실시예에서, 각 클럽 헤드(1)는 우드형 클럽을 위한 것이다.
용어 "우드형 클럽"은 적어도 드라이버(#1 우드)에 대한 것을 의미하며, 브라시(#2 우드), 스푼(#3 우드), 배피(#4 우드) 및 클리크(#5 우드)와 같은 페어웨이 우드들이 포함된다. 부가적으로, 클럽의 번호와 명칭이 이상과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우드형 클럽 헤드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구비하는 클럽 헤드들이 포함된다.
클럽 헤드(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유틸리티 클럽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클럽 헤드(1)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합금, 마레이징강, 티타늄, 티타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알루미늄 합금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종류의 금속재료로 제작된다.
클럽 헤드(1)는 페이스 부분(2), 크라운 부분(3), 솔 부분(4) 및 사이드 부분(5)을 포함한다. 클럽 헤드(1)는 그 내부에 중공부(i)를 구비한다.
페이스 부분(2)은 볼 타격을 위한 클럽 페이스(F)를 구비한다.
크라운 부분(3)은 페이스 부분(2)으로부터 연속되며 클럽 헤드의 상측 표면을 형성한다.
솔 부분(4)은 페이스 부분(2)으로부터 연속되며 클럽 헤드의 바닥 표면을 형성한다.
사이드 부분(5)은 크라운 부분(3)과 솔 부분(4) 사이에서 연장된다. 사이드 부분(5)은 토측에서 그리고 힐측에서 페이스 부분(2)에 연결된다.
호젤 부분(6)이 크라운 부분의 힐측에 형성된다. 호젤 부분(6)은, 튜브형이며, 골프 클럽 샤프트(미도시)에 고정될 샤프트 삽입 홀을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럽 헤드(1)는 헤드 본체 부재(9) 및 페이스 부재(10)를 포함한다. 페이스 부재(10)는 클럽 헤드(1)의 전방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의 페이스 부재(10)는 컵형이며, 페이스 부분(2)의 전체 및 클럽 페이스(F)의 둘레 가장자리(2A)로부터 클럽 헤드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절곡부(12: turnback)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페이스 부재(10)는 클럽 헤드의 후방으로 개방된 캐비티를 구비하고, 개구부를 둘러싸는 후방 가장자리(01)를 구비한다.
후방절곡부(12)는 개구부 둘레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크라운측 후방절곡부(12a), 솔측 후방절곡부(12b), 토측 후방절곡부(12c) 및 힐측 후방절곡부(12d)를 포함한다.
상기한 헤드 본체 부재(9)는, 호젤 부분(6), 크라운 부분(3)의 후방 주요부(13a), 솔 부분(4)의 후방 주요부(13b) 및 사이드 부분(5)의 후방 주요부(13c)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헤드 본체 부재(9)는, 또한 클럽 헤드의 전방으로 개방된 캐비티를 갖는 컵형이며, 개구부를 둘러싸는 전방 가장자리(02)를 구비한다.
헤드 본체 부재(9)의 전방 가장자리(02)는 페이스 부재(10)의 후방 가장자리(01)와 부딪히게 되고, 이들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헤드 본체 부재(9) 및 페이스 부재(10)는 그러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수정들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 부분(3)은 제1 두께(t1)를 구비하는 제1 구역(15),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2 두께(t2)를 구비하는 제2 구역(16), 제2 두께(t2)보다 작은 제3 두께(t3)를 구비하는 제3 구역(17)을 구비한다. 즉, t1 > t2 > t3 이다. 도 4에서, 구역들 사이의 경계들은 가상선으로 지시된다.
크라운 부분(3)의 내측 표면은 패턴화된 들쑥날쑥한 표면인 반면, 그의 외측 표면은 부드러운 표면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역(15)은 크라운 부분(3)의 페이스 부분(2) 측에 배치되며 토-힐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구역(17)은 제1 구역(15)의 후방으로 배치된다. 제2 구역(16)은, 제1 구역(15) 및 제3 구역(17)이 서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제3 구역(17)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볼을 타격할 때, 큰 충격력이 페이스 부분(2)에 작용하게 되고, 페이스 부분(2) 근처에 위치하게 되는 크라운 부분(3)의 제1 구역(15)으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제1 구역(15)은 크라운 부분(3) 내에서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가지며, 제1 구역(15)은 작은 진폭을 갖는 비교적 높은 주파수로 진동하여 높은 음조의 작은 음을 생성한다.
다른 한편, 비교적 얇은 제3 구역(17)이 비교적 낮은 강성을 가짐에 따라, 제3 구역은 더 큰 진폭을 갖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로 진동하여 낮은 음조의 음을 생성한다. 중간 두께(t2)를 갖는 제2 구역(16)은 중간 진폭을 갖는 중간 주파수로 진동하여 중간 음조의 음을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클럽 헤드(1)는,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의 진동음들이 합성된, 좋은 볼 타구음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은, 볼 타구음에 대한 주파수 스펙트럼이 약 3000Hz 내지 약 5000Hz의 범위 이내의, 더욱 바람직하게 약 3500Hz 내지 약 4500Hz의 범위 이내의 구별되는 피크 또는 피크들을 갖도록, 구성된다. 볼을 타격할 때의 진동이 제1 구역(15)으로부터 제2 구역(16)을 통해 제3 구역(17)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볼 타구음의 잔향 시간(reverberation time)은 전파 경로의 길이를 변경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크라운 부분(3)은 단지 하나의 제1 구역(15)을 구비한다. 제1 구역(15)은 토측 단부(15a) 및 힐측 단부(15b)를 구비하고, 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제1 구역(15)의 길이 방향은 토-힐 방향과 일치한다. 토측 단부(15a)는 크라운 부분(3)의 토측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힐측 단부(15b)는 호젤(6)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구역은 클럽 페이스(F)의 실질적으로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며, 따라서, 볼 타격 위치가 중심에서 크게 벗어나는 경우에도, 진동은 한결같이 생성된다.
제1 구역(15)이 페이스 부분(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제1 구역(15)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역(15)은 페이스 부분(2)으로부터 후방으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부가적인 제2 구역(16)이 제1 구역(15)의 클럽 페이스 측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위치에 부가적인 제2 구역(16)을 제공함에 의해, 크라운 부분(3)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배열은, 볼을 타격할 때 페이스 부분(2)이 후방으로 편향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제1 구역(15)이 클럽 페이스(F)로부터 후방으로 멀리 떨어진다면, 예상만큼 진동을 획득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1 구역(15)은, 클럽 샤프트의 축선(CL)을 포함하는 수직면(VP)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역(15)의 전후 방향(FR)으로의 폭(Wa)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폭(Wa)은 제1 구역(15)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그러나, 토-힐 방향에서 폭(Wa)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폭(Wa)은 토-힐 방향으로 클럽 페이스(F)의 중간 부분에서 더 크고, 토측 및 힐측에서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구역(15)의 제1 두께(t1)는, 개선된 볼 타구음을 획득하는 가운데 크라운 부분(3)의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0.6mm 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 0.7mm 이상의, 더욱 더 바람직하게 0.9mm 이상의, 그러나 1.7mm 이하의, 더욱 바람직하게 1.5mm 이하의, 더욱 더 바람직하게 1.3mm 이하의 범위 이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두께(t1)는 일정하다. 그러나, 제1 두께(t1)는 상기한 범위 이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제1 구역(15)의 면적(A1)은, 개선된 볼 타구음을 획득하는 가운데 크라운 부분(3)의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크라운 부분(3)의 면적(Ac)의 8% 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 10% 이상의, 더욱 더 바람직하게 12% 이상의, 그러나 30% 이하의, 더욱 바람직하게 28% 이하의, 더욱 더 바람직하게 22% 이하의 범위 이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1)의 평면도에서, 크라운 부분(3)의 면적(Ac)은, 도 5에 해칭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 부분(2)의 클럽 페이스(F)의 둘레 가장자리(2A), 페이스 부분(2)을 제외한 클럽 헤드(1)의 윤곽(1E), 및 15mm의 반경(r1)을 구비하고 호젤 부분(6)의 샤프트 삽입 홀(6a)의 중심(CP)에 중심을 둔 원호(20)에 의해 둘러싸이는 면적으로서 정의된다. 만약 면적(A1)이 면적(Ac)의 8% 미만이라면, 제1 구역(15)으로부터 생성되는 높은 음조의 음은 작게 되고, 편안한 높은 음조의 볼 타구음을 획득하기 어렵다. 만약 면적(A1)이 면적(Ac)의 30% 초과라면, 강성의 제1 구역(15)은 진동하기 어렵게 되고 제1 구역으로부터 생성되는 높은 음조의 음은 충분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클럽 페이스(F)의 둘레 가장자리(2A)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에서의 부드러운 변화로 인해 불분명하다면, 곡률 변화에 근거하여 규정되는 가상의 가장자리선(Pe)이 뒤따르는 바와 같이 대신 사용된다. 스윗 스팟(SS) 및 헤드의 무게 중심(G)을 포함하는 각각의 절단 평면(E1, E2 ---)에서, 스윗 스팟(SS)으로부터 클럽 페이스의 둘레까지의 경로에서 페이스 부분의 윤곽선(Lf)의 곡률 반경(r2)이 처음으로 200mm 이하가 되는 지점(Pe)이 결정된다. 이어서, 가상의 가장자리선이 그러한 지점들(Pe)의 궤적으로서 규정된다.
제3 구역(17)의 윤곽의 전체가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1)의 평면도에 나타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크라운 부분(3)은 계란형 윤곽 형상을 구비하는 단지 하나의 제3 구역(17)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계란 형상은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축을 구비한다. 그러한 제3 구역(17)은 볼 타격 위치가 토측 또는 힐측으로 중심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잔향음을 제공하도록 효과적으로 진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제3 구역(17)은,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1)의 평면도에서, 제3 구역(17)이 헤드의 무게 중심(G)을 포함하도록, 즉 무게 중심(G)이 제3 구역(17)의 윤곽선 내부에 있도록,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클럽 헤드(1)의 평면도에서 헤드의 무게 중심(G)의 근처에 있는 크라운 부분(3)의 위치는 크게 진동하기 쉽다. 따라서, 그러한 위치에 얇은 제3 구역(17)을 배열하는 것은, 제3 구역(17)이 이상에서 언급한 좋은 볼 타구음을 구성하는 낮은 음조의 음을 생성하는 것을, 확실하게 만든다.
바람직하게, 제2 구역(17)은 제1 구역의 후방에, 둘 사이의 최단 거리(L)가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1)의 평면도에서 5.0 내지 20.0mm 범위 이내가 되도록, 배치된다. 최단 거리(L)가 20.0mm 를 초과한다면, 제3 구역(17)이 효과적으로 진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최단 거리(L)가 5.0mm 미만이라면, 크라운 부분(3)의 내구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제3 구역(17)의 제3 두께(t3)는, 개선된 타구음을 달성하는 가운데 크라운 부분(3)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0.30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0.35mm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 0.40mm 이상, 그러나 0.60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0.55mm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 0.50mm 이하의 범위 이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3 두께(t3)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그러나, 제3 두께(t3)는 상기한 범위 이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제3 구역(17)의 면적(A3)은, 개선된 타구음을 달성하는 가운데 크라운 부분(3)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크라운 부분(3)의 면적(Ac)의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12%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 15% 이상, 그러나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23%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 20%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A3)이 면적(Ac)의 10% 미만이라면, 제3 구역(17)으로부터 생성되는 음의 주파수가 증가하게 되고, 잔향음이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면적(A3)이 면적(Ac)의 25% 를 초과한다면, 제3 구역(17)으로부터 생성되는 음의 주파수가 감소하게 되고, 잔향음이 원치 않게 증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제2 구역(16)은 실질적으로 제1 구역(15) 및 제3 구역(17)을 제외한 크라운 부분(3)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2 구역(16)은, 두께들(t1 및 t2) 사이의 차이로 인한 크라운 부분(3)에서의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구역(15)과 제3 구역(17)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을 방지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2 구역(16)은 볼을 타격할 때의 제1 구역(15)의 진동을 제2 구역(16)을 통해 제3 구역(17)의 둘레 전체로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위해 제3 구역(17) 둘레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제3 구역(17)은 상기한 음을 효과적으로 생성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2 구역(16)의 제2 두께(t2)는, 0.50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0.55mm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 0.60mm 이상, 그러나 0.90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0.80mm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 0.70mm 이하의 범위 이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두께(t2)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그러나 제2 두께(t2)는 상기한 범위 이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비록 제2 구역(16)의 면적(A2)이 제1 구역(15)의 면적(A1) 및 제3 구역(17)의 면적(A3)에 의존하여 결정되지만, 면적(A2)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크라운 부분(3)의 면적(Ac)의 40% 내지 80% 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라운 부분(3)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이 영역(18) 및 제2 전이 영역(19)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이 구역(18)은 제1 구역(15) 및 제2 구역(16) 사이에 형성되고, 그의 두께는 제1 구역(15)(제1 두께: t1)으로부터 제2 구역(16)(제2 두께: t2)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제2 전이 구역(19)은 제1 구역(16) 및 제2 구역(17) 사이에 형성되고, 그의 두께는 제2 구역(16)(제1 두께: t2)으로부터 제3 구역(17)(제2 두께: t3)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각각 그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제1 전이 구역(18)의 폭(W1) 및 제2 전이 구역(19)의 폭(W2)은, 0.5 내지 10.0mm 범위 이내이다.
그러한 전이 구역들(18, 19)은 진동의 전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클럽 헤드(1)가 크라운 부분(3) 내에 제2 구역(16)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복수의 제3 구역(17)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구역(17)은, 가장 토측의 제3 구역(17t), 가장 힐측의 제3 구역(17h), 및 이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 제3 구역(17s)을 포함한다(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중간 제3 구역(17s)). 따라서, 크라운 부분(3)의 내구성의 감소 없이 크라운 부분(3)의 토-힐 방향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제3 구역들(17)을 형성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특히 잔향음에서 볼 타구음을 제어하기 위해 제3 구역들(17)로부터 생성되는 음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1)의 평면도에서, 가장 토측의 제3 구역(17t), 가장 힐측의 제3 구역(17h) 및 중간 제3 구역들(17s)은, 즉 모든 제3 구역들(17)은 개별적으로 무게 중심(G)의 근처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모든 제3 구역(17)은 방사 방향으로의 그들의 길이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방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각 제3 구역(17t, 17h, 17s)의 폭(Wb)은 방사 방향 외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그러한 제3 구역(17)은 바람직한 감쇠 시간을 구비하는 잔향음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구역들(17)은 가장 토측의 제3 구역(17t), 가장 힐측의 제3 구역(17h), 및 이들 사이의 6개의 중간 제3 구역(17s)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앞선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3 구역들(17t, 17h, 17s)은 토-힐 방향에서 더 넓은 범위에 걸쳐 배열되고, 상이한 크기를 구비하는 제3 구역들은 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3 구역들로부터 생성되는 음의 종류가 증가하게 된다. 달리 표현하면, 볼 타구음의 음 요소들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볼 타구음을 제어 또는 변경하기 쉽게 된다.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1)의 평면도에서, 모든 제3 구역(17)은 개별적으로 스윗 스팟 근처의 위치 또는 스윗 스팟 약간 뒤의 위치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방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제3 구역들(17t, 17h, 17s) 각각의 폭(Wc)은 방사 방향 외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구역(15)이 크라운 부분(3)에 배치된다. 제 1구역들(15)은, 토측 제1 구역(15t), 힐측 제1 구역(15h) 및 중간 제1 구역(15s)을 포함한다. 따라서, 크라운 부분(3)의 토측단의 토측 단부(15a)와 호젤 부분(6) 근처의 힐측 단부(15b)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 구역(15)을 구비하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헤드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낮추도록 제1 구역들(15)의 전체 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제3 구역들(17)은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1)의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스윗 스팟(SS)과 무게 중심(G) 사이에서 연장되는 직선(N) 상에 놓이는 지점 근처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방향을 따라 개별적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3 구역들(17)은 직선(N)을 따라 전후 방향(FR)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구역들(17)은 전방 제3 구역(17a), 후방 제3 구역(17b) 및 이들 사이의 중앙 제3 구역(17c)을 포함한다.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1)의 평면도에서, 전방 제3 구역(17a), 중앙 제3 구역(17c) 및 후방 제3 구역(17b)의 면적들은 이러한 순서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3 구역들(17a, 17c, 17b)로부터 생성되는 음의 주파수는 전방 제3 구역(17a)으로부터 후방 제3 구역(17b)으로 갈수록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볼 타구음은 시간과 더불어 높은 음조로부터 낮은 음조로 부드럽게 변화한다. 나아가, 작은 제3 구역(17a)이 크라운 부분의 전방 부분에 배치되기 때문에, 그러한 전방 부분의 강성의 감소가 최소화되고, 클럽 헤드(1)가 양호한 내구성을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수정으로서, 전방 제3 구역(17a), 중앙 제3 구역(17c) 및 후방 제3 구역(17b)의 면적들은 이러한 순서로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방 제3 구역(17a) 또는 복수의 후방 제3 구역(17b)이 헤드의 토-힐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중앙 제3 구역(17c)이 헤드의 토-힐 방향으로 또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구역들(17)은 하나의 전방 제3 구역(17a), 토-힐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3개의 후방 제3 구역(17b) 및 토-힐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중앙 제3 구역(17c)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든 제3 구역(17a, 17b, 17c)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구비한다. 그러한 배열은, 제3 구역들(17)의 큰 전체 면적을 달성하는 가운데, 크라운 부분(3)의 강성이 부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해 이루어졌지만, 예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다양한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3 구역(17)의 윤곽 형상은 계란형 및 삼각형 외에도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3 구역들(17)의 경우에, 상이한 종류의 형상들이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비교 시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조에 기초하여, 클럽 헤드들이 실험적으로 제작되었다. 모든 클럽 헤드는 표 1에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사양을 구비한다.
뒤따르는 사양들은 모든 클럽 헤드에 대해 공통적이다.
라이각: 58.0°
로프트각: 12.0°
클럽 헤드 질량: 194.0g
헤드 본체 부재 재료: Ti-8Al-1Mo-1V(티타늄 합금)
페이스 부재 재료: TIX-51AF(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사에 의해 제조되는 티타늄 합금)
클럽 헤드들은 이하와 같이 볼 타구음의 주파수 스펙트럼 및 잔향 시간에 관해 측정되었다.
<볼 타구음의 주파수 스펙트럼>
클럽 헤드들은, 45인치 우드형 골프 클럽들을 제작하기 위해 동일한 클럽 샤프트(Dunlop Sports Co. Ltd. 사의 MP700, 플렉스 R)에 부착되었고, 5 내지 15 핸디캡을 갖는 20명의 골퍼에 의해 골프공(Dunlop Sports Co. Ltd. 사의 DDH TOURSPECIAL)을 타격했다. 각 헤드의 볼 타구음은 소음계(noise meter)의 사용에 의해 기록되었다. 기록된 볼 타구음은 FFT 분석기(ONO SOKKI Co.,Ltd. 사의 CF-4220) 및 지원 소프트웨어의 사용에 의해 분석되었고, 볼 타구음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획득되었다. 이어서, 4000Hz 에 가장 가까운 주파수 스펙트럼의 구별되는 피크의 주파수가 확인되었다. 그러한 주파수는, 볼 타구음의 주파수로서, 표 1에 나타난다.
<볼 타구음의 잔향 시간>
< Reverberation time of Ball hitting sound >
이상에서 언급된 20명의 골퍼들이 각 클럽 헤드의 볼 타구음의 잔향 시간을, 등급이 더 높을수록 잔향 시간이 더 길고, 5등급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 10등급으로 평가했다. 따라서, 5 등급에 더 가까울수록, 더 양호한 잔향 시간이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난다.
헤드 기준 예1 예2 예3 예4 예5 예6
크라운 부분의 구조(도면 번호) 1 1 1 1 1 1 1
제1 구역의 면적/크라운 부분의 면적(%) 0 20 5 8 30 35 20
제2 영역의 면적/크라운 부분의 면적(%) 0 50 65 52 43 40 60
제3 영역의 면적/크라운 부분의 면적(%) 0 15 15 15 12 10 5
볼 타구음
주파수(Hz) 2500 4000 3300 3500 4400 4600 4700
잔향음 9 5 8 7 4 3 3
헤드 예7 예8 예9 예10 예11 예12 예13
크라운 부분의 구조(도면 번호) 1 1 1 7 8 9 10
제1 구역의 면적/크라운 부분의 면적(%) 20 15 10 20 20 20 20
제2 영역의 면적/크라운 부분의 면적(%) 55 45 45 50 50 50 50
제3 영역의 면적/크라운 부분의 면적(%) 10 25 30 15 15 15 15
볼 타구음
주파수(Hz) 4100 3800 3200 4100 4200 3800 3900
잔향음 4.5 6 9 4 3.5 6 5.5
볼 타격 시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클럽 헤드들이 볼 타구음에서 개선되었다는 것이 골퍼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Claims (17)

  1.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골프 클럽 헤드로서,
    볼을 타격하기 위한 클럽 페이스를 구비하는 페이스 부분, 및
    클럽 헤드의 상측 표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페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크라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크라운 부분은, 제1 두께를 구비하는 제1 구역,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구비하는 제2 구역, 및 상기 제2 두께보다 작은 제3 두께를 구비하는 제3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크라운 부분의 페이스 부분측에 배치되고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1 구역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3 구역을 둘러싸며,
    상기 제1 구역은 토측 단부 및 힐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 부분을 따라서 토측 단부로부터 힐측 단부까지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일정하고,
    상기 제2 두께는 일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3 두께는 일정한, 골프 클럽 헤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부분은 단지 하나의 제3 구역을 구비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부분은 복수의 제3 구역을 구비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부분은, 가장 토측의 제3 구역, 가장 힐측의 제3 구역 및 토-힐 방향에서 이들 사이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제3 구역인, 복수의 제3 구역을 구비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6. 제 1항에 있어서,
    기준 상태 하에서의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에서, 상기 제1 구역의 면적은 상기 크라운 부분의 면적의 8% 내지 30% 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7. 제 1항에 있어서,
    기준 상태 하에서의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에서, 상기 제2 구역의 면적은 상기 크라운 부분의 면적의 40% 내지 80% 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8. 제 1항에 있어서,
    기준 상태 하에서의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에서, 상기 제3 구역의 면적은 상기 크라운 부분의 면적의 10% 내지 25% 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0.6 내지 1.7mm 이고, 상기 제2 두께는 0.5 내지 0.9mm 이며 그리고 상기 제3 두께는 0.3 내지 0.6mm 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일정하고, 상기 제2 두께는 일정하며,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상기 제2 구역까지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제1 전이 영역이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사이에 형성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두께는 일정하고, 상기 제3 두께는 일정하며, 상기 제2 구역으로부터 상기 제3 구역까지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제2 전이 영역이 상기 제2 구역과 상기 제3 구역 사이에 형성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2.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골프 클럽 헤드로서,
    볼을 타격하기 위한 클럽 페이스를 구비하는 페이스 부분, 및
    클럽 헤드의 상측 표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페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크라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크라운 부분은, 제1 두께를 구비하는 제1 구역,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구비하는 제2 구역, 및 상기 제2 두께보다 작은 제3 두께를 구비하는 복수의 제3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크라운 부분의 페이스 부분측에 배치되고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1 구역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3 구역들 각각을 둘러싸며,
    상기 제1 구역은 토측 단부 및 힐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 부분을 따라서 토측 단부로부터 힐측 단부까지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고,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의 평면도에서, 상기 제3 구역들은 헤드의 무게 중심의 근처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개별적인 방향들을 따라 연장되고, 개별적인 방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상기 제3 구역들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일정하고,
    상기 제2 두께는 일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3 두께는 일정한, 골프 클럽 헤드.
  14.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골프 클럽 헤드로서,
    볼을 타격하기 위한 클럽 페이스를 구비하는 페이스 부분, 및
    클럽 헤드의 상측 표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페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크라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크라운 부분은, 제1 두께를 구비하는 제1 구역,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구비하는 제2 구역, 및 상기 제2 두께보다 작은 제3 두께를 구비하는 복수의 제3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크라운 부분의 페이스 부분측에 배치되고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1 구역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3 구역들 각각을 둘러싸며,
    상기 제1 구역은 토측 단부 및 힐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 부분을 따라서 토측 단부로부터 힐측 단부까지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고,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의 평면도에서, 상기 제3 구역들은 상기 페이스 부분의 근처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개별적인 방향들을 따라 연장되고, 개별적인 방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상기 제3 구역들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일정하고,
    상기 제2 두께는 일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3 두께는 일정한, 골프 클럽 헤드.
  16.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골프 클럽 헤드로서,
    볼을 타격하기 위한 클럽 페이스를 구비하는 페이스 부분, 및
    클럽 헤드의 상측 표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페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크라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크라운 부분은, 제1 두께를 구비하는 제1 구역,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구비하는 제2 구역, 및 상기 제2 두께보다 작은 제3 두께를 구비하는 복수의 제3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크라운 부분의 페이스 부분측에 배치되고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1 구역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3 구역들 각각을 둘러싸며,
    상기 제1 구역은 토측 단부 및 힐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 부분을 따라서 토측 단부로부터 힐측 단부까지 토-힐 방향으로 연장되고,
    기준 상태 하에서의 클럽 헤드의 평면도에서, 상기 제3 구역들은 헤드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3 구역들의 면적들이 헤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일정하고,
    상기 제2 두께는 일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3 두께는 일정한, 골프 클럽 헤드.
KR1020140101198A 2013-08-08 2014-08-06 골프 클럽 헤드 KR102240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5482A JP5576971B1 (ja) 2013-08-08 2013-08-08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JP-P-2013-165482 2013-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443A KR20150018443A (ko) 2015-02-23
KR102240475B1 true KR102240475B1 (ko) 2021-04-14

Family

ID=5157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198A KR102240475B1 (ko) 2013-08-08 2014-08-06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2310B2 (ko)
JP (1) JP5576971B1 (ko)
KR (1) KR102240475B1 (ko)
CN (1) CN1043383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4100B2 (en) * 2012-06-22 2015-11-03 Bridgestone Sports Co., Ltd. Hollow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077820B2 (ja) * 2012-10-17 2017-02-08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7536156A (ja) * 2014-10-24 2017-12-07 カーステン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ネルギ貯蔵特性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230014268A1 (en) * 2014-10-24 2023-01-19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s with energy storage characteristics
JP6417213B2 (ja) * 2014-12-25 2018-10-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417212B2 (ja) * 2014-12-25 2018-10-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N105727527B (zh) 2014-12-25 2019-08-09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高尔夫球杆头
JP5830622B1 (ja) * 2015-06-10 2015-12-09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848840B1 (ja) * 2015-06-05 2016-01-2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240051332A (ko) * 2015-07-27 2024-04-19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가변적인 페이스 기하학적 구조 및 재료 특성을 갖는 골프 클럽 헤드
JP6753060B2 (ja) * 2015-12-26 2020-09-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892217B2 (ja) * 2015-12-26 2021-06-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024852B1 (ja) * 2016-07-08 2016-11-16 株式会社プロギア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283445B1 (ja) * 2017-07-06 2018-02-21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069785B2 (ja) * 2018-02-09 2022-05-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376A (ja) * 2002-07-10 2004-02-12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5312942A (ja) * 2004-03-30 2005-11-10 Mizuno Corp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
JP2009153802A (ja) * 2007-12-27 2009-07-16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120021849A1 (en) * 2004-10-07 2012-01-26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head with variable face thicknes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9972A (en) * 1957-06-26 1958-11-11 Milton B Reach Golf club
US3997170A (en) * 1975-08-20 1976-12-14 Goldberg Marvin B Golf wood, or iron, club
CN1163157A (zh) * 1996-01-22 1997-10-29 卡拉韦·高尔夫公司 选择平衡的高尔夫球杆头部及头部选择方法
JP3211755B2 (ja) * 1997-11-28 2001-09-25 株式会社遠藤製作所 ウッド形ゴルフクラブ
JP2000005357A (ja) * 1998-06-17 2000-01-11 Mizuno Corp アイアン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4784027B2 (ja) * 2001-09-20 2011-09-28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4089268A (ja) * 2002-08-29 2004-03-25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157830B2 (en) * 2003-04-02 2007-01-02 Piezomotor Uppsala Ab Near-resonance wide-range operating electromechanical motor
JP2005111172A (ja) * 2003-10-10 2005-04-28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322104B2 (ja) * 2003-12-09 2009-08-26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050159245A1 (en) * 2004-01-21 2005-07-21 Chen Archer C. Golf club head having thin crown
US7445564B2 (en) * 2004-03-30 2008-11-04 Daiwa Seiko, Inc. Golf club head
JP4482387B2 (ja) * 2004-07-13 2010-06-16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142486B2 (ja) 2005-08-23 2013-02-13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中空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769517B2 (ja) * 2005-08-23 2011-09-07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中空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758177B2 (ja) * 2005-08-23 2011-08-24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448964B2 (en) * 2005-09-20 2008-11-11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having a crown with thin regions
JP4886284B2 (ja) * 2005-12-02 2012-02-29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206242B2 (en) * 2006-07-31 2012-06-26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with reinforced crown
JP2008148762A (ja) * 2006-12-14 2008-07-03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308582B2 (en) * 2007-02-20 2012-11-13 E & F Co., Ltd. Golf club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olf club head
JP5260182B2 (ja) * 2008-08-22 2013-08-14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828669B1 (en) * 2009-05-12 2010-11-09 Nike, Inc. Visual swing indicator golf club head
US8172697B2 (en) * 2009-08-17 2012-05-08 Callaway Golf Company Selectively lightened wood-type golf club head
US9174100B2 (en) * 2012-06-22 2015-11-03 Bridgestone Sports Co., Ltd. Hollow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077820B2 (ja) * 2012-10-17 2017-02-08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037862B2 (ja) * 2013-01-31 2016-12-0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9144721B2 (en) * 2013-09-12 2015-09-29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variable thickness face to body trans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376A (ja) * 2002-07-10 2004-02-12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5312942A (ja) * 2004-03-30 2005-11-10 Mizuno Corp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
US20120021849A1 (en) * 2004-10-07 2012-01-26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head with variable face thickness
JP2009153802A (ja) * 2007-12-27 2009-07-16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38303B (zh) 2019-05-07
US20150045147A1 (en) 2015-02-12
CN104338303A (zh) 2015-02-11
JP5576971B1 (ja) 2014-08-20
JP2015033463A (ja) 2015-02-19
KR20150018443A (ko) 2015-02-23
US9522310B2 (en)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475B1 (ko) 골프 클럽 헤드
US7390271B2 (en) Golf club head
US7056228B2 (en) Golf club head providing enhanced acoustics
JP5989509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US5967903A (en) Golf club head with sandwich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678948B2 (en) Golf club head
KR102081048B1 (ko) 골프 클럽 헤드
US9586105B1 (en) Weighted golf club head
US9168430B2 (en) Golf club head
US20110014995A1 (en) Golf club head
US11565156B2 (en) Golf club heads with ribs and related methods
JP2002052099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H11155982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WO2004022172A1 (en) Golf club head
JP2001054596A (ja) ゴルフクラブ
JP4996560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4049733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210154537A1 (en) Golf club head
JP5075047B2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212613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9106650A (ja) ゴルフクラブ
JP2005143591A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433636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JP5779497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6191949A (ja) ゴルフパター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たゴルフパ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