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739B1 - 차량용 필러 구조 및 차량 측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필러 구조 및 차량 측부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5739B1 KR102195739B1 KR1020190000233A KR20190000233A KR102195739B1 KR 102195739 B1 KR102195739 B1 KR 102195739B1 KR 1020190000233 A KR1020190000233 A KR 1020190000233A KR 20190000233 A KR20190000233 A KR 20190000233A KR 102195739 B1 KR102195739 B1 KR 1021957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pillar
- skeleton
- front side
- bulk hea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21189 garn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977 PC-GF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필러 구조는, 차량 측부에 있어서 기둥 형상의 필러(30)의 일부로서 도어 개구부(40)의 상반부측의 가장자리측에 배치되며,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마련되며, 상하 단부가 상기 차량 측부의 골격 부재(24,30)에 고정된 복수의 필러 골격 구성부(50,60)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50,60)끼리의 사이에 걸쳐 놓은 투명 부재(70,72)와,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50,60)를 구성하는 부재, 상기 골격 부재(24,30) 및 상기 투명 부재(70,72)와는 별체로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50,60)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80,82)를 가진다.
Description
2018년 1월 16일자 일본국 특허 출원2018-005153호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요약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차량용 필러 구조 및 차량 측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필러에 있어서는, 탑승자의 시계(視界)를 확보하기 위해서 창부(窓部)가 마련된 구조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12077,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실개소63-142276 참조). 예를 들면, 하기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12077에는, 프론트 필러의 상반부(上半部)에 창틀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이 창틀에 코너 창 글라스가 마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 선행 기술에서는, 창틀의 차체 전방측의 세로변부(긴 변부)는 프론트 필러 어퍼로 구성되며, 창틀의 차체 후방측의 세로변부(긴 변부)가 서브 필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필러 어퍼의 상단부 및 서브 필러의 상단부가 루프 사이드 레일의 레일 전측부에 접합되며, 프론트 필러 어퍼의 하단부 및 서브 필러의 하단부가 프론트 필러 로어에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탑승자는 코너 창 글라스로부터 차량 외측을 시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관련 기술에 의한 경우, 프론트 필러 어퍼 및 서브 필러는, 예를 들면, 창틀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의 프론트 필러 상반부의 굵기에 비하여 가늘게 되어 있으므로, 필러의 강성, 나아가서는 차체 강성의 저하에 연결되는 것이 우려된다.
본 발명은, 필러의 창부의 긴 변부를 구성하는 필러 골격 구성부의 굵기를 억제하여도, 필러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필러 구조 및 차량 측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차량용 필러 구조는, 차량 측부에 있어서 기둥 형상의 필러의 일부로서 도어 개구부의 상반부측의 가장자리측에 배치되며, 차실 내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필러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마련되며,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서 중공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하 단부가 상기 차량 측부의 골격 부재에 고정된 복수의 필러 골격 구성부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끼리의 사이에 걸쳐 놓은 투명 부재와,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를 구성하는 부재, 상기 골격 부재 및 상기 투명 부재와는 별체로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가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필러 골격 구성부는, 차량 측부에 있어서 기둥 형상의 필러의 일부로서 도어 개구부의 상반부측의 가장자리측에 배치되며, 차실 내측에서 보았을 때 필러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필러 골격 구성부는,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필러 골격 구성부가 동일부재로 구성되는 대비 구조와 비교하여, 만들기 쉽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필러 골격 구성부끼리의 사이에 투명 부재가 걸쳐 놓아져 있으므로, 차실 내의 탑승자는, 필러 골격 구성부끼리의 사이로부터 차량 외측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필러 골격 구성부는, 각각 중공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 폐단면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각각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강성은 확보된다. 여기에서, 서로 이웃하는 필러 골격 구성부끼리는, 필러 골격 구성부를 구성하는 부재, 차량 측부의 골격 부재 및 투명 부재와는 별체로 된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필러에 하중이 입력된 경우, 복수의 필러 골격 구성부끼리의 상대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로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의 하부끼리를 연결하는 하측 연결 부재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의 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상측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측 연결 부재와, 상기 상측 연결 부재와,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로, 프레임 형상의 구조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필러 골격 구성부의 하부끼리는, 하측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는 필러 골격 구성부의 상부끼리는, 상측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연결 부재와, 상측 연결 부재와, 필러 골격 구성부로, 프레임 형상의 구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하중이 입력된 경우, 필러 골격 구성부끼리의 상대 이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차실 내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골격 부재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차실 내측으로부터의 시계와 동등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차량 측부 구조는, 상기 1 양태의 차량용 필러 구조가 적용된 프론트 필러와, 상기 프론트 필러가 전연측(前緣側)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 개구부로서의 프론트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어서 벨트 라인을 따라 배치된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를 가지고, 상기 연결 부재로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의 하부끼리를 연결하는 하측 연결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하측 연결 부재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도어의 폐지(閉止) 상태에서 상기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의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며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을 상기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의 전단부측으로 전달가능한 하중 전달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하측 연결 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필러 골격 구성부의 하부끼리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전면(前面) 충돌 시의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의 일부는, 차량 전방측의 필러 골격 구성부로부터 하측 연결 부재를 개재하여 차량 후방측의 필러 골격 구성부에 전달된다. 또한, 하측 연결 부재의 하중 전달부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의 폐지 상태에서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의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면 충돌 시의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의 일부는, 하측 연결 부재의 하중 전달부로부터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의 전단부측으로 전달된다. 이들에 의해, 전면 충돌 시의 충돌 안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에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도어의 폐지 상태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 1 능선이 형성되며, 상기 하중 전달부에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 2 능선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제 2 능선의 후단부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도어의 폐지 상태에서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을 상기 제 1 능선의 전단부측으로 전달가능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의 제 1 능선은, 프론트 사이드 도어의 폐지 상태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하측 연결 부재의 하중 전달부에 형성된 제 2 능선도,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능선의 후단부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의 폐지 상태에서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을 제 1 능선의 전단부측으로 전달가능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면 충돌 시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하측 연결 부재에 작용된 하중의 일부는, 하중 전달부의 제 2 능선을 따라 전달된 후,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의 제 1 능선을 따라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양태의 차량용 필러 구조 및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필러의 창부의 긴 변부를 구성하는 필러 골격 구성부의 굵기를 억제하여도, 필러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차량용 필러 구조를 구비한 차량 측부 구조가 적용된 차량 측부의 일부를 차량 폭방향 내측에서 본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측부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론트 필러의 상부측의 주요부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하측 벌크 헤드와 제 1 골격 구성부 및 제 2 골격 구성부 등과의 접합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의 상측 벌크 헤드와 제 1 골격 구성부 및 제 2 골격 구성부 등과의 접합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차량용 필러 구조를 구비한 차량 측부 구조가 적용된 차량 측부의 일부를 차량 폭방향 내측에서 본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측부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론트 필러의 상부측의 주요부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하측 벌크 헤드와 제 1 골격 구성부 및 제 2 골격 구성부 등과의 접합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의 상측 벌크 헤드와 제 1 골격 구성부 및 제 2 골격 구성부 등과의 접합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차량용 필러 구조를 구비한 차량 측부 구조에 대해서 도 1~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도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UP은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RH는 차량 우방측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의 구성)
도 2에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차량용 필러 구조를 구비한 차량 측부 구조가 적용된 차량(10)의 외관이 사시도로 나타나있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량(10)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파워 유닛 등이 수용된 차량 전측부(12)와, 이 차량 전측부(12)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된 캐빈(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량 전측부(12)와 캐빈(14)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대시 패널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차량 상부(16)에는, 캐빈(14)의 상부에 있어서 루프를 구성하는 루프 패널(2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루프 패널(22)의 차량 폭방향 양측(즉 루프 사이드(20)측)에는, 중공 폐단면 구조의 좌우 한 쌍의 루프 사이드 레일(24)이 배치되어 있다. 루프 사이드 레일(24)은, 차량 측부(18)의 상부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루프 패널(22)의 전단부의 이면측에는, 한 쌍의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전단부끼리의 사이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프론트 루프 헤더가 차량 폭방향으로 걸쳐 놓아져 있다. 또한, 루프 패널(22)의 후단부의 이면측에는, 한 쌍의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후단부끼리의 사이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리어 루프 헤더가 차량 폭방향으로 걸쳐 놓아져 있다.
차량 측부(18)의 하부에는, 중공 폐단면 구조의 로커(26)가 배치되어 있다. 이 로커(26)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로커(26)의 전단부로부터는 기둥 형상의 필러로서의 프론트 필러(30)가 차량 상방측으로 세워 마련되어 있으며, 프론트 필러(30)의 상단부는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프론트 필러(30)는, 상기 서술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대시 패널의 차량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필러(30)의 상부를 구성하는 필러 어퍼(30A)는, 차량 상방측을 향하여 차량 후방측으로 경사져 있다. 한 쌍의 필러 어퍼(30A)간에는 프론트 글라스(2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필러(30)의 하부를 구성하는 필러 로어(30B)는, 필러 어퍼(30A)의 하단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대략 수직하게 수하(垂下)되어 있다.
로커(26)의 길이 방향 중간부로부터는 기둥 형상의 센터 필러(32)가 차량 상방측으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센터 필러(32)의 상단부는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센터 필러(32)의 차량 후방측에는, 기둥 형상의 리어 필러(34)가 차량 상방측으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리어 필러(34)의 상단부는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루프 사이드 레일(24), 로커(26), 프론트 필러(30), 센터 필러(32) 및 리어 필러(34)는, 모두 차체 골격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 측부(18)의 전측부측에는, 루프 사이드 레일(24)과 프론트 필러(30)와 로커(26)와 센터 필러(32)로 둘러싸여진 도어 개구부로서의 프론트 도어 개구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 측부(18)의 후측부측에는, 루프 사이드 레일(24)과 센터 필러(32)와 로커(26)와 리어 필러(34)를 포함하는 차체 골격 부재로 둘러싸여진 도어 개구부로서의 리어 도어 개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루프 사이드 레일(24)은, 프론트 도어 개구부(40)의 상연측(上緣側) 및 리어 도어 개구부(42)의 상연측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로커(26)는, 프론트 도어 개구부(40)의 하연측(下緣側) 및 리어 도어 개구부(42)의 하연측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필러(30)는, 프론트 도어 개구부(40)의 전연측에 있어서 대략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센터 필러(32)는, 프론트 도어 개구부(40)의 후연측(後緣側)이면서 또한 리어 도어 개구부(42)의 전연측에 있어서 대략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어 필러(34)는, 리어 도어 개구부(42)의 후연측에 있어서 대략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도어 개구부(40) 및 리어 도어 개구부(42)는, 차실 외와 차실 내를 연통(連通)시키고 있다. 프론트 도어 개구부(40)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어 도어 개구부(42)는, 리어 사이드 도어(48)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도어(44)는, 차실 내측에 배치되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도어 이너 패널과,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차실 외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도어 이너 패널로 도어 본체부를 형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44A)을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사이드 도어(44)의 내부에는, 벨트 라인(BL)을 따라 차량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서 배치된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46)(이하, 「벨트 라인 RF(46)」이라고 약칭한다)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라인 RF(46)은, 일례로서,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모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개구부를 향하고 있다. 벨트 라인 RF(46)에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의 폐지 상태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 1 능선으로서의 상측 능선(46L) 및 하측 능선(46M)(모두 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필러 어퍼(30A) 및 그 주변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차량용 필러 구조를 구비한 차량 측부 구조가 적용된 차량 측부(18)의 일부가 차량 폭방향 내측에서 본 상태의 측면도로 나타나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상기 서술한 프론트 사이드 도어(44)(도 2 참조)가 폐지된 상태에서의 벨트 라인 RF(46)의 배치 위치를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프론트 도어 개구부(40)의 상반부측의 전연측에 배치된 필러 어퍼(30A)는, 모두 필러 골격 구성부로서의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는,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중공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상세 후술).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는, 차실 내측에서 보았을 때 필러 어퍼(30A)(프론트 필러(30)의 상부)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 1 골격 구성부(50)는, 프론트 글라스(28)(도 2 참조)의 측연부(側緣部)를 따라 연장하고, 제 2 골격 구성부(60)는, 제 1 골격 구성부(50)에 대하여 차량 후방측이면서 또한 차량 폭방향 외측에 마련되며, 제 1 골격 구성부(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있다.
제 1 골격 구성부(50)의 하단부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의 하단부는, 차량 측부(18)의 골격 부재로서의 필러 로어(30B)의 아우터 패널(30X)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필러 로어(30B)의 아우터 패널(30X)은, 필러 로어(30B)의 차실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고, 차량 상하 방향 및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벽부(30S)를 구비하고 있다. 필러 로어(30B)의 아우터 패널(30X)과, 필러 로어(30B)의 차실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이너 패널은, 각각의 전후 플랜지부끼리가 접합됨으로써, 대략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 1 골격 구성부(50)의 상단부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상단부는, 차량 측부(18)의 골격 부재로서의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아우터 패널(24X)에 고정되어 있다.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아우터 패널(24X)은,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아우터 패널(24X)과,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이너 패널은, 각각의 상하 플랜지부끼리가 접합됨으로써, 대략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가 각각 필러 로어(30B)의 아우터 패널(30X) 및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아우터 패널(24X)에 고정됨으로써, 필러 어퍼(3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창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골격 구성부(50)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아우터 리인포스먼트(52)(이하, 「제 1 아우터 RF(52)」라고 약칭한다.)와, 제 1 이너 리인포스먼트(54)(이하, 「제 1 이너 RF(54)」라고 약칭한다.)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골격 구성부(60)(도 1 참조)는, 제 2 아우터 리인포스먼트(62)(이하, 「제 2 아우터 RF(62)」라고 약칭한다.)의 일부와, 제 2 이너 리인포스먼트(64)(이하, 「제 2 이너 RF(64)」라고 약칭한다.)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아우터 RF(52), 제 1 이너 RF(54), 제 2 아우터 RF(62) 및 제 2 이너 RF(64)는, 일례로서 강판(더 구체적으로는 고장력강판)이 프레스 가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가 확대된 단면도로 나타나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아우터 RF(52)는, 전체로서 차량 후하방측이면서 또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개(開)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아우터 RF(52)는, 그 차량 폭방향 외측의 부분에 있어서 제 1 아우터 RF(52)의 전면측을 형성하는 전측벽(52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아우터 RF(52)는, 그 차량 폭방향 내측의 부분에 도 5에 나타내는 단면에서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약간 경사져서 연장되는 내측벽(52C)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측벽(52C)은, 차량 전하방측을 향함에 따라 면방향이 서서히 바뀌어서 약간 비틀어진 상태가 되어 있으며, 하단부(52C1)에서는 대체로 차량 상하 방향 및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아우터 RF(52)는, 그 상단부측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부위에 있어서 차량 후하방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상외측 플랜지부(52F)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아우터 RF(52)는, 전측벽(52A)의 차량 폭방향 내측 단부와 내측벽(52C)의 차량 전상방측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중간벽부(52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간벽부(52B)는, 차량 후하방측으로 볼록한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벽부(52B)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부분에는, 프론트 글라스(28)의 측연부(28A)가, 접착층(A1)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글라스(28)에 있어서 접착층(A1)보다도 차량 폭방향 내측의 부위에는, 쿠션 고무(B1)가 장착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이너 RF(54)는, 전체로서 차량 전상방측이면서 또한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개방된 개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이너 RF(54)는, 그 전면측을 형성하는 전측벽(54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측벽(54A)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단부는, 제 1 아우터 RF(52)의 전측벽(52A)의 일부에 차량 후하방측으로부터 겹쳐져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1 이너 RF(54)는, 그 차량 폭방향 내측의 부분에 있어서 제 1 아우터 RF(52)의 내측벽(52C)의 단말측의 부분에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겹쳐져 접합된 내측 플랜지(54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이너 RF(54)는, 전측벽(54A)의 차량 폭방향 외측 단부와 내측 플랜지(54C)의 차량 전상방측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중간벽부(54B)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중간벽부(54B)는, 차량 후하방측으로 볼록한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아우터 RF(52) 및 제 1 이너 RF(54)는, 전측벽(52A)과 전측벽(54A)이 접합되는 것과 함께 내측벽(52C)과 내측 플랜지(54C)가 접합됨으로써, 제 1 골격 구성부(50)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폐단면(56)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폐단면(56)의 단면 외측에는, 중간벽부(54B)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부분으로부터 전측벽(54A)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부분까지의 범위에 내장 필름(59)이 붙여져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아우터 RF(62)는,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골격 아우터부(62B)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골격 아우터부(62B)는, 세로 단면으로 보았을 때에 일례로서 삼각파상(三角波狀)으로 절곡된 곡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골격 아우터부(62B)는, 그 차량 폭방향 외측의 부분에 있어서 제 2 골격 아우터부(62B)의 전단측을 형성하는 전측벽(62B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골격 아우터부(62B)는, 그 차량 폭방향 내측의 부분에 있어서 차량 후하방측을 향하여 약간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경사져서 연장되는 내측벽(62B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골격 아우터부(62B)는, 전측벽(62B1)의 차량 후하방측 단부와 내측벽(62B3)의 차량 전상방측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중간벽부(62B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중간벽부(62B2)는, 삼각파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골격 아우터부(62B)는, 차량 측부(18)의 외판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사이멘 아우터 패널」이라고도 한다.)(36)의 일부의 차량 전상방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2 골격 아우터부(62B)의 전측벽(62B1) 및 내측벽(62B3)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36)의 일부에 접합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이너 RF(64)는, 차량 후하방측이면서 또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대략 V자 형상의 개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이너 RF(64)는, 전면측을 형성하는 전측벽(64A)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측벽(64A)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단부가 제 2 골격 아우터부(62B)의 전측벽(62B1)의 차량 전상방측의 단부에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부터 맞닿아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전측벽(64A)의 차량 전상방측에는 내장 필름(68)이 붙여져 있다.
또한, 제 2 이너 RF(64)는, 도 5에 나타내는 단면에서 전측벽(64A)의 차량 폭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약간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경사져서 연장하여 돌출된 내측벽(64B)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측벽(64B)은, 차량 전하방측을 향함에 따라 면방향이 서서히 바뀌어서 약간 비틀어진 상태가 되어 있으며, 하단부(64B1)에서는 대체로 차량 상하 방향 및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측벽(64B)의 차량 후하방측의 단부는, 제 2 골격 아우터부(62B)의 내측벽(62B3)에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부터 겹쳐져 접합되어 있다.
제 2 골격 아우터부(62B) 및 제 2 이너 RF(64)는, 전측벽(62B1)과 전측벽(64A)이 접합되는 것과 함께 내측벽(62B3)과 내측벽(64B)이 접합됨으로써, 제 2 골격 구성부(60)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폐단면(66)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 2 골격 구성부(60)와 프론트 사이드 도어(44)의 사이에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의 전단측에 웨더 스트립(38A)이 부착되고, 제 2 골격 구성부(60)에 있어서의 내측벽(62B3)과 내측벽(64B)의 맞닿음부에 웨더 스트립(38B)이 부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아우터 RF(62)는, 제 2 골격 아우터부(62B)보다도 차량 상방측 및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상측 연장 돌출부(62A)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연장 돌출부(62A)는, 도 1에 나타내는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아우터 패널(24X)에 차실 내측으로부터 겹쳐져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 상측 연장 돌출부(62A)에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아우터 RF(52)의 상외측 플랜지부(52F)가 차실 내측으로부터 겹쳐져 있다(도 4b 참조).
또한, 도 1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아우터 RF(62)는, 제 2 골격 아우터부(62B)보다도 차량 하방측 및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하측 연장 돌출부(62C)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측 연장 돌출부(62C)는, 필러 로어(30B)의 아우터 패널(30X)의 상부에 차실 내측으로부터 겹쳐져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 하측 연장 돌출부(62C)에는, 제 1 이너 RF(54)(도 3 참조)의 하단부가 차실 내측으로부터 겹쳐져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러 어퍼(30A)에는, 모두 투명 부재로서의 제 1 투명 부재(70) 및 제 2 투명 부재(72)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투명 부재(70) 및 제 2 투명 부재(72)는, 예를 들면, 무기 글라스 또는 고강도 투명 수지 등의 투명한 재료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강도 투명 수지로서는, 글라스 섬유에 의해 강화된 폴리카보네이트(PC-GF)나, 셀룰로오스·나노·파이버에 의해 강화된 폴리카보네이트(PC-CNF)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제 1 투명 부재(70) 및 제 2 투명 부재(72)는, 서로 이웃하는 제 1 골격 구성부(50)와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사이에 걸쳐져 있으며, 필러 어퍼(3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투명 부재(70)는, 필러 어퍼(30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가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에 대하여 차량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필러 어퍼(30A)의 차량 외측의 의장면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투명 부재(70)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단부에는, 그 차실 내측 및 차량 폭방향 내측에 제 1 비투명 부재(74)가 2색 성형에 의해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제 1 비투명 부재(74)는, 제 1 골격 구성부(50)의 전측벽(52A)에 접착층(A2)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1 비투명 부재(74)에는 몰(B2)이 접합되며, 이 몰(B2)의 선단은, 프론트 글라스(28)의 측연부(28A) 부근에 접하고 있다. 또한, 제 1 투명 부재(70)의 차량 후하방측의 단부에는, 그 차실 내측 및 차량 후하방측으로 제 2 비투명 부재(75)가 2색 성형에 의해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제 2 비투명 부재(75)는,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전측벽(62B1)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부위에 겹쳐진 사이드 아우터 패널(36)에 접착층(A3)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2 투명 부재(72)는, 필러 어퍼(30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가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에 대하여 차실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필러 어퍼(30A)의 차실 내측의 의장면을 형성하고 있다. 제 2 투명 부재(72)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단부는, 제 1 골격 구성부(50)의 중간벽부(54B)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부위에 접착층(A4)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2 투명 부재(72)의 차량 후하방측의 단부는, 제 2 골격 구성부(60)의 내측벽(64B)의 차량 전상방측의 부위에 접착층(A5)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1 골격 구성부(50)에는, 제 1 필러 가니쉬(76)가 클립(76A)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이 제 1 필러 가니쉬(76)는, 제 1 골격 구성부(50)를 차실 내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필러 가니쉬(76)와 제 1 골격 구성부(50)의 사이의 공간에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는 와이어하니스나 안테나 등의 장척재가 배치된다. 또한, 제 2 골격 구성부(60)에는, 제 2 필러 가니쉬(78)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부착 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이 제 2 필러 가니쉬(78)는, 제 2 골격 구성부(60)를 차실 내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필러 가니쉬(78)와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사이의 공간에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는 커튼 에어백 등이 배치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제 1 골격 구성부(50)의 하부와 제 2 골격 구성부(60)의 하부는, 하측 연결 부재로서의 하측 벌크 헤드(8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제 1 골격 구성부(50)의 상부와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상부는, 상측 연결 부재로서의 상측 벌크 헤드(8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벌크 헤드(80)와, 상측 벌크 헤드(82)와, 제 1 골격 구성부(50)와, 제 2 골격 구성부(60)로, 프레임 형상의 구조부(9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는,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를 구성하는 부재와는 별체로 이루어지는 것과 함께, 필러 로어(30B), 루프 사이드 레일(24), 제 1 투명 부재(70) 및 제 2 투명 부재(72)와도 별체로 이루어져 있다.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는, 모두 금속제의 굴곡 판재이다.
도 4a에는, 하측 벌크 헤드(80)와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 등의 접합 상태가 확대된 사시도로 나타나있다. 도 1 및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측 벌크 헤드(80)는,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의 각 하단부에 부착되어서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의 각 차량 하방측에 배치되는 부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벌크 헤드(80)는, 차실 내측에서 보았을 때 도 1에 나타내는 필러 로어(30B)의 아우터 패널(30X)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측 벌크 헤드(80)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그 차량 전후 방향 중간부가 세로 단면으로 보았을 때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개구부를 향한 대략 모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측 벌크 헤드(80)는, 그 차량 폭방향 외측의 부위를 구성하는 상(上)플랜지부(80A) 및 하(下)플랜지부(80E)가 제 2 아우터 RF(62)의 하측 연장 돌출부(62C)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하측 벌크 헤드(80)는, 그 차량 폭방향 내측의 부위를 구성하며 차량 상하 방향 및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내측 세로벽부(80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내측 세로벽부(80C)는, 상측 연결부(80B)에 의해 상플랜지부(80A)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과 함께, 하측 연결부(80D)에 의해 하플랜지부(80E)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내측 세로벽부(80C)의 후측 상부(80C1)는, 제 2 이너 RF(64)의 내측벽(64B)의 하단부(64B1)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하측 벌크 헤드(80)의 내측 세로벽부(80C)의 전측 상부(80C2)는, 제 1 아우터 RF(52)의 내측벽(52C)의 하단부(52C1)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측 연결부(80B)의 전단부에는, 차량 상방측으로 구부러져 연장하여 돌출된 전(前)플랜지부(80B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전플랜지부(80B1)는, 제 1 이너 RF(54)의 중간벽부(54B)의 후측 하단부(54B1)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측 연결부(80B)의 후단부에는, 차량 하방측이면서 또한 경사져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져 연장하여 돌출된 후(後)플랜지부(80B2)가 마련되어 있다. 이 후플랜지부(80B2)는, 제 2 이너 RF(64)의 전측벽(64A)의 하단부(64A1)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측 벌크 헤드(80)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도 2 참조)의 폐지 상태에서 벨트 라인 RF(46)의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며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F)을 벨트 라인 RF(46)의 전단부(46A)측으로 전달가능한 하중 전달부(80X)를 구비하고 있다. 하중 전달부(80X)에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 2 능선으로서의 상측 능선(80L)이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능선(80L)은, 내측 세로벽부(80C)와 상측 연결부(80B)의 경계부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능선(80L)의 후단부(80Z)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도 2 참조)의 폐지 상태에서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F)을 벨트 라인 RF(46)의 상측 능선(46L)의 전단부(46X)측으로 전달가능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즉, 상측 능선(80L)의 후단부(80Z)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도 2 참조)의 폐지 상태에서의 벨트 라인 RF(46)의 상측 능선(46L)의 전단부(46X)의 차량 전방측에 대응하는 위치(상측 능선(46L)의 전단부(46X)와 차량 상하 방향 위치 및 차량 폭방향 위치가 동등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중 전달부(80X)에 있어서, 내측 세로벽부(80C)와 하측 연결부(80D)의 경계부가 되는 하측 능선(80M)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차량 후방측을 향해서 약간 차량 상방측으로 경사져있다.
도 4b에는, 상측 벌크 헤드(82)와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 등의 접합 상태가 확대된 사시도로 나타나있다. 또한, 도 4b에서는, 도면 중의 지면에 수직한 안쪽이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후상방측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벌크 헤드(82)는,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의 각 상단부측의 부위끼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의 각 연장방향과 직교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측 벌크 헤드(82)는, 차실 내측에서 보았을 때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아우터 패널(24X)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벌크 헤드(82)는,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의 각 연장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개구부를 향한 대략 모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벌크 헤드(82)는, 그 차량 폭방향 외측의 부위를 구성하는 전측 플랜지부(82A) 및 후측 플랜지부(82E)를 구비하고 있다. 전측 플랜지부(82A)는, 차량 전하방측으로 돌출한 돌출부(82A1)를 구비하며, 후측 플랜지부(82E)는, 차량 후상방측으로 돌출한 돌출부(82E1)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벌크 헤드(82)에 있어서의 전측 플랜지부(82A)의 돌출부(82A1) 및 후측 플랜지부(82E)의 돌출부(82E1)는, 제 1 아우터 RF(52)의 상외측 플랜지부(52F) 및 제 2 아우터 RF(62)의 상측 연장 돌출부(62A)에 겹쳐져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측 벌크 헤드(82)는, 상기 서술한 대략 모자 형상의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부위를 구성하는 내측 벽부(82C)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벽부(82C)는, 전체로서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후하방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측 벽부(82C)는, 제 1 골격 구성부(50)와 제 2 골격 구성부(60)를 상측 벌크 헤드(82)에 의해 연결되는 방향(이하, 「상측 벌크 헤드(82)에 의한 연결 방향(X)」이라고 약칭한다.)을 따르면서 또한 그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벽부(82C)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하는 보강 비드(82C1)를 구비하고 있다. 보강 비드(82C1)는, 내측 벽부(82C)에 있어서 상측 벌크 헤드(82)에 의한 연결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를 분단하는 것 같은 위치로 설정되며, 상측 벌크 헤드(82)에 의한 연결 방향(X)으로 연장하는 2개의 능선(82X)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강 비드(82C1)의 정상부(82T)에는, 용접 작업용의 구멍(82Z)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내측 벽부(82C)는, 전측 연결부(82B)에 의해 전측 플랜지부(82A)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과 함께 후측 연결부(82D)에 의해 후측 플랜지부(82E)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전측 연결부(82B)에는, 상측 벌크 헤드(82)에 의한 연결 방향(X)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보강 비드(82B1)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 비드(82B1)는, 내측 벽부(82C)와 전측 플랜지부(82A)를 전측 연결부(82B)에 의해 연결하는 방향을 따르면서 또한 그 방향에 있어서의 전측 연결부(82B)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후측 연결부(82D)에는, 상측 벌크 헤드(82)에 의한 연결 방향(X)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보강 비드(82D1)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 비드(82D1)는, 내측 벽부(82C)와 후측 플랜지부(82E)를 후측 연결부(82D)에 의해 연결하는 방향을 따르면서 또한 그 방향에 있어서의 후측 연결부(82D)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내측 벽부(82C)의 하단측으로부터는 하측 플랜지부(82F)가 차량 후하방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하측 플랜지부(82F)는, 제 2 이너 RF(64)의 내측벽(64B)의 상단부측의 부위에 차실측으로 겹쳐져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전측 플랜지부(82A)와 하측 플랜지부(82F)와 전측 연결부(82B)는 전하측 플랜지부(82G)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전하측 플랜지부(82G)는, 제 2 이너 RF(64)의 전측벽(64A)의 상단부측의 부위에 겹쳐져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후측 플랜지부(82E)와 하측 플랜지부(82F)와 후측 연결부(82D)는 후하측 플랜지부(82H)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후하측 플랜지부(82H)는, 제 2 이너 RF(64)의 전측벽(64A)의 상단부측의 부위에 겹쳐져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내측 벽부(82C)의 상단측으로부터는 상측 플랜지부(82J)(도 3 참조)가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측 플랜지부(82J)는, 제 1 이너 RF(54)의 중간벽부(54B)의 상단부측의 부위에 차량 후하방측으로 경사져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겹쳐져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전측 플랜지부(82A)와 상측 플랜지부(82J)와 전측 연결부(82B)는 전상측 플랜지부(82K)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전상측 플랜지부(82K)의 일부는, 제 1 이너 RF(54)의 중간벽부(54B)의 상단부측의 부위에 차량 후하방측으로 경사져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겹쳐져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후측 플랜지부(82E)와 상측 플랜지부(82J)와 후측 연결부(82D)는 후상측 플랜지부(82L)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후상측 플랜지부(82L)의 일부는, 제 1 이너 RF(54)의 중간벽부(54B)의 상단부측의 부위에 차량 후하방측으로 경사져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겹쳐져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아우터 RF(52), 제 1 이너 RF(54), 제 2 아우터 RF(62), 제 2 이너 RF(64),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는, 도 1에 나타내는 필러 로어(30B)나 루프 사이드 레일(24)에 접합하기 전에 미리 접합에 의해 서브 어셈블리화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서브 어셈블리화해두지 않고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를 최후에 접합시키는 것 같은 순서를 취하면, 조립 오차 등에 의해,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의 각 접합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지만, 미리 서브 어셈블리화해두면 그러한 사태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측 벌크 헤드(80)의 차량 하방측에 벌크 헤드(84)가 병설되어 있다. 벌크 헤드(84)는, 세로 단면으로 보았을 때가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개구부를 향한 대략 모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아우터 RF(62)의 하측 연장 돌출부(62C)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벌크 헤드(84)의 상플랜지부는, 하측 벌크 헤드(80)의 상플랜지부(80A)(도 4a 참조)와 제 2 아우터 RF(62)의 하측 연장 돌출부(62C)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를 포함하는 부재를 서브 어셈블리화해둘 경우에는, 벌크 헤드(84)도 하측 벌크 헤드(80) 등과 일체화시켜 두게 된다.
벌크 헤드(84)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도 2 참조)의 폐지 상태에서 벨트 라인 RF(46)의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며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F)을 벨트 라인 RF(46)의 전단부(46A)측으로 전달가능한 부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벌크 헤드(84)의 하부측에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차량 후방측을 향해서 약간 차량 상방측으로 경사진 하측 능선(84L)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능선(84L)의 후단부(84Z)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도 2 참조)의 폐지 상태에서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F)을 벨트 라인 RF(46)의 하측 능선(46M)의 전단부(46Y)측으로 전달가능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즉, 하측 능선(84L)의 후단부(84Z)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도 2 참조)의 폐지 상태에서의 벨트 라인 RF(46)의 하측 능선(46M)의 전단부(46Y)의 차량 전방측에 대응하는 위치(하측 능선(46M)의 전단부(46Y)와 차량 상하 방향 위치 및 차량 폭방향 위치가 동등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는, 차량 측부(18)에 있어서 기둥 형상의 프론트 필러(30)의 일부로서 프론트 도어 개구부(40)의 상반부측의 전연측에 배치되며, 차실 내측에서 보았을 때 필러 어퍼(30A)(프론트 필러(30)의 상부)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는,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그들이 동일 부재로 구성되는 대비 구조와 비교하여, 만들기 쉽다. 또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제 1 골격 구성부(50)와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사이에 제 1 투명 부재(70) 및 제 2 투명 부재(72)가 걸쳐 놓아져 있으므로, 차실 내의 탑승자는, 제 1 골격 구성부(50)와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사이로부터 차량 외측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는, 각각 중공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 폐단면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각각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강성은 확보된다. 여기에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제 1 골격 구성부(50)와 제 2 골격 구성부(60)는,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를 구성하는 부재, 필러 로어(30B), 루프 사이드 레일(24), 및 제 1 투명 부재(70) 및 제 2 투명 부재(72)(모두 도 5 참조)와는 별체로 된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전면 충돌 시나 롤오버 시 등과 같이 , 외부로부터 프론트 필러(30)에 하중이 입력된 경우, 제 1 골격 구성부(50)와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상대 이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제 1 골격 구성부(50)와 제 2 골격 구성부(60)가 일체화된 골격부로서 하중을 받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제 1 골격 구성부(50)의 하부와 제 2 골격 구성부(60)의 하부는, 하측 벌크 헤드(80)에 의해 연결되며, 서로 이웃하는 제 1 골격 구성부(50)의 상부와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상부는, 상측 벌크 헤드(8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벌크 헤드(80)와, 상측 벌크 헤드(82)와,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로, 프레임 형상의 구조부(9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하중이 입력된 경우, 제 1 골격 구성부(50)와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상대 이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벌크 헤드(80)는, 차실 내측에서 보았을 때 필러 로어(30B)의 아우터 패널(30X)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측 벌크 헤드(82)는, 차실 내측에서 보았을 때 루프 사이드 레일(24)의 아우터 패널(24X)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차실 내측으로부터의 시계와 동등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면 충돌 시의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F)은, 제 1 골격 구성부(50)에 전달되는(화살표 f1 참조) 것과 함께, 제 1 골격 구성부(50)로부터 하측 벌크 헤드(80)를 개재하여 제 2 골격 구성부(60)에 전달된다(화살표 f2 참조). 또한, 하측 벌크 헤드(80)의 하중 전달부(80X)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도 2 참조)의 폐지 상태에서 벨트 라인 RF(46)의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면 충돌 시의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F)의 일부는, 하측 벌크 헤드(80)의 하중 전달부(80X)로부터 벨트 라인 RF(46)의 전단부(46A)측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하측 벌크 헤드(80)의 하중 전달부(80X)가, 벨트 라인 RF(46)에 하중(F)을 전달시키는 경로(로드 패스)로서 기능함으로써, 부품수를 억제하면서 전면 충돌 시의 충돌 안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라인 RF(46)의 상측 능선(46L)은, 프론트 사이드 도어(44)(도 2 참조)의 폐지 상태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하측 벌크 헤드(80)의 하중 전달부(80X)에 형성된 상측 능선(80L)도,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측 능선(80L)의 후단부(80Z)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도 2 참조)의 폐지 상태에서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F)을 벨트 라인 RF(46)의 상측 능선(46L)의 전단부(46X)측으로 전달가능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면 충돌 시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하측 벌크 헤드(80)에 작용된 하중(F)의 일부는, 하중 전달부(80X)의 상측 능선(80L)을 따라 전달된 후, 벨트 라인 RF(46)의 상측 능선(46L)을 따라 효율적으로 전달된다(화살표 f3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벌크 헤드(84)의 하측 능선(84L)의 후단부(84Z)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도 2 참조)의 폐지 상태에서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F)을 벨트 라인 RF(46)의 하측 능선(46M)의 전단부(46Y)측으로 전달가능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면 충돌 시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벌크 헤드(84)에 작용된 하중(F)의 일부는, 하측 능선(84L)을 따라 전달된 후, 벨트 라인 RF(46)의 하측 능선(46M)을 따라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차량용 필러 구조 및 차량 측부 구조에 의하면,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의 굵기가 억제되어도, 프론트 필러(3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차체의 비틀림 강성을 나타내는 값인 Kt값이 확보됨으로써 조종 안정성이나 승차감이 유지되면서, 전방 시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골격 구성부(50)와 제 2 골격 구성부(60)가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충돌 시에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일방이 좌굴(座屈)하여 파단되어버리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의 일방에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에,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의 타방에도 양호하게 하중을 담당시킬 수 있으며, 충돌 시에 있어서의 프론트 필러(30)의 강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충돌 안전성능도 양호하게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골격 구성부(50)와 제 2 골격 구성부(60)의 굵기를 억제할 수 있음으로써, 경량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과 함께, 코너링에서 핸들을 틀었을 경우의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필러(30)에 본 발명의 차량용 필러 구조(제 1 골격 구성부(50), 제 2 골격 구성부(60),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 등을 포함하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리어 필러(34) 등과 같이 프론트 필러(30) 이외의 필러에 본 발명의 차량용 필러 구조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필러(30)의 양방에 본 발명의 차량용 필러 구조가 적용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운전석측의 프론트 필러(30)에만 본 발명의 차량용 필러 구조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필러 골격 구성부로서, 도 1에 나타내는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의 2개의 골격부가 설정되어 있지만, 필러 골격 구성부가 예를 들면, 3개 등과 같이 3개 이상의 복수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골격 구성부(50) 및 제 2 골격 구성부(60)는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지만, 용접 대신에, 볼트나 리벳 등을 이용한 기계 체결에 의해 접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이 바람직하지만, 하측 벌크 헤드(80) 및 상측 벌크 헤드(82)의 일방만을 가지는 구성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연결 부재는, 차실 내측에서 보았을 때 차량 측부의 골격 부재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일례로서 필러 창부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하측 벌크 헤드(80)가 프론트 사이드 도어(44)의 폐지 상태에서 벨트 라인 RF(46)의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하측 벌크 헤드(80)의 상측 능선(80L)이, 하측 벌크 헤드(80)의 차량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형상으로, 하측 연결 부재로서의 하측 벌크 헤드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로서, 하측 벌크 헤드(80)에 상당하는 부분과 벌크 헤드(84)에 상당하는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여 하측 연결 부재로서의 하측 벌크 헤드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로서, 하측 벌크 헤드(80)의 하중 전달부(80X)에, 상측 능선(80L)과 마찬가지로 기능하는 능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상기 서술의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되어서 실시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이외에도,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 변형하여 실시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5)
- 차량 측부에 있어서 기둥 형상의 필러(30)의 일부로서 도어 개구부(40)의 상반부측의 가장자리측에 배치되며, 차실 내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필러(30)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마련되며,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서 중공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하 단부가 상기 차량 측부의 골격 부재(24,30)에 고정된 복수의 필러 골격 구성부(50,60);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50,60)끼리의 사이에 걸쳐 놓은 투명 부재(70,72); 및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50,60)를 구성하는 부재, 상기 골격 부재(24) 및 상기 투명 부재(70,72)와는 별체로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50,60)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80,82)를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 구조가 적용된 프론트 필러(30);
상기 프론트 필러(30)가 전연측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 개구부로서의 프론트 도어 개구부(40)를 개폐하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44); 및
상기 프론트 사이드 도어(44)의 내부에 마련되어서 벨트 라인을 따라 배치된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46)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50,60)의 하부끼리를 연결하는 하측 연결 부재(80)를 가지고, 상기 하측 연결 부재(80)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도어(44)의 폐지 상태에서 상기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46)의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며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을 상기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46)의 전단부측으로 전달가능한 하중 전달부(80X)를 구비하는 차량 측부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50,60)의 하부끼리를 연결하는 하측 연결 부재(80)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50,60)의 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상측 연결 부재(8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측 연결 부재(80)와, 상기 상측 연결 부재(82)와, 상기 필러 골격 구성부(50,60)에 의해, 프레임 형상의 구조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 측부 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80,82)는, 차실 내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골격 부재(24,30)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 측부 구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46)에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도어(44)의 폐지 상태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 1 능선(46L,46M)이 형성되며,
상기 하중 전달부(80X)에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 2 능선(80L)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제 2 능선(80L)의 후단부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도어(44)의 폐지 상태에서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하중을 상기 제 1 능선(46L)의 전단부측으로 전달가능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차량 측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005153 | 2018-01-16 | ||
JP2018005153A JP6927055B2 (ja) | 2018-01-16 | 2018-01-16 | 車両側部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7297A KR20190087297A (ko) | 2019-07-24 |
KR102195739B1 true KR102195739B1 (ko) | 2020-12-28 |
Family
ID=6500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0233A KR102195739B1 (ko) | 2018-01-16 | 2019-01-02 | 차량용 필러 구조 및 차량 측부 구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857859B2 (ko) |
EP (1) | EP3511230B1 (ko) |
JP (1) | JP6927055B2 (ko) |
KR (1) | KR102195739B1 (ko) |
CN (1) | CN110040183B (ko) |
BR (1) | BR102018077180A2 (ko) |
RU (1) | RU2695710C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77488B2 (ja) * | 2017-11-02 | 2021-12-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自動車用ピラー構造 |
JP6977496B2 (ja) * | 2017-11-14 | 2021-12-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ピラー構造 |
JP6962207B2 (ja) * | 2018-01-16 | 2021-11-0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ピラー構造 |
JP6992549B2 (ja) * | 2018-01-30 | 2022-01-1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フロントピラー構造 |
JP6988554B2 (ja) * | 2018-02-20 | 2022-01-0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ピラー構造及び車両用ピラーの製造方法 |
IT201800006199A1 (it) * | 2018-06-11 | 2019-12-11 | Abitacolo di automobile sportiva | |
JP7139826B2 (ja) * | 2018-09-21 | 2022-09-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フロントピ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
JP7074021B2 (ja) * | 2018-10-26 | 2022-05-2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ピラー構造 |
JP7155908B2 (ja) * | 2018-11-13 | 2022-10-1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フロントピラー構造 |
JP7110952B2 (ja) * | 2018-12-03 | 2022-08-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フロントピラー構造 |
JP7338498B2 (ja) * | 2020-02-10 | 2023-09-0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ピラー構造 |
JP7298507B2 (ja) * | 2020-02-25 | 2023-06-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乗降口構造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48525A1 (en) | 2010-04-07 | 2011-10-13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Partially transparent vehicle body component |
KR101123514B1 (ko) | 2009-11-25 | 2012-03-12 |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 차량의 프런트 도어와 로어 프런트 필러 보강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774173A (ko) | 1934-11-30 | |||
JPS63142276U (ko) * | 1987-03-12 | 1988-09-20 | ||
JP3776003B2 (ja) * | 2001-05-23 | 2006-05-17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部構造 |
JP4147797B2 (ja) * | 2002-03-26 | 2008-09-10 | マツダ株式会社 | 車両のフロントピラー構造 |
JP4489551B2 (ja) * | 2004-09-30 | 2010-06-2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のボディー構造 |
JP2006273057A (ja) * | 2005-03-28 | 2006-10-12 | Toyota Motor Corp | ピラー構造 |
JP2007216788A (ja) * | 2006-02-15 | 2007-08-30 | Toyota Motor Corp | 車体側面構造 |
CN201347129Y (zh) * | 2009-01-15 | 2009-11-18 | 胡向阳 | 汽车上边框 |
DE102009059825A1 (de) * | 2009-12-21 | 2011-06-22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Mich. | Kraftfahrzeug aufweisend eine Karosseriestruktursäule mit einem Strukturbauteil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Strukturbauteils einer Karosseriestruktursäule |
JP5096535B2 (ja) * | 2010-08-06 | 2012-12-1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自動車の車体側部構造 |
EP2371678B1 (en) * | 2010-03-17 | 2012-08-22 | Honda Motor Co., Ltd. | Automotive vehicle body side structure |
JP5455954B2 (ja) * | 2011-03-22 | 2014-03-26 | 豊田鉄工株式会社 | 車両前部構造 |
JP5785483B2 (ja) * | 2011-11-25 | 2015-09-3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体側部構造 |
JP6056543B2 (ja) * | 2013-02-25 | 2017-01-11 | スズキ株式会社 | 車両用フロントピラー構造 |
JP5929788B2 (ja) * | 2013-03-08 | 2016-06-08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車両用ウィンドシールド構造体 |
US9227673B2 (en) * | 2013-12-03 | 2016-01-05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Vehicle pillar |
CN203780613U (zh) * | 2014-04-18 | 2014-08-20 | 王朗 | 一种汽车a柱结构 |
AT15717U1 (de) * | 2015-07-30 | 2018-04-15 | Zkw Group Gmbh | Kraftfahrzeug mit A-Säulen umfassend Fahrtrichtungsanzeigevorrichtungen |
JP6380369B2 (ja) * | 2015-12-25 | 2018-08-2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ピラー構造 |
-
2018
- 2018-01-16 JP JP2018005153A patent/JP6927055B2/ja active Active
- 2018-12-27 BR BR102018077180A patent/BR102018077180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8-12-27 RU RU2018146936A patent/RU2695710C1/ru active
- 2018-12-29 CN CN201811628656.2A patent/CN11004018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9
- 2019-01-02 KR KR1020190000233A patent/KR1021957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1-02 US US16/237,773 patent/US10857859B2/en active Active
- 2019-01-07 EP EP19150517.1A patent/EP35112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3514B1 (ko) | 2009-11-25 | 2012-03-12 |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 차량의 프런트 도어와 로어 프런트 필러 보강구조 |
US20110248525A1 (en) | 2010-04-07 | 2011-10-13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Partially transparent vehicle body compon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7297A (ko) | 2019-07-24 |
BR102018077180A2 (pt) | 2019-08-27 |
CN110040183A (zh) | 2019-07-23 |
CN110040183B (zh) | 2021-09-14 |
JP2019123368A (ja) | 2019-07-25 |
RU2695710C1 (ru) | 2019-07-25 |
US20190217899A1 (en) | 2019-07-18 |
EP3511230B1 (en) | 2021-03-10 |
US10857859B2 (en) | 2020-12-08 |
EP3511230A1 (en) | 2019-07-17 |
JP6927055B2 (ja) | 2021-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5739B1 (ko) | 차량용 필러 구조 및 차량 측부 구조 | |
EP2740651B1 (en) | Vehicle body lateral structure | |
CN105882760B (zh) | 车辆的上部车身结构 | |
US9487239B2 (en) | Vehicle structure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 |
JP6965766B2 (ja) | 車両用フロントピラー構造及び車両側部構造 | |
JP4900147B2 (ja) | 車両の車体後部構造 | |
EP2412612B1 (en) | Side sill structure for automobile | |
JP2010125870A (ja) | 車体下部構造 | |
WO2015025572A1 (ja) | 自動車のセンターピラー構造 | |
JP5040722B2 (ja) |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 |
CN109591892B (zh) | 车辆的车身侧部的上部拱形构造 | |
JP6237669B2 (ja) | 車両の上部車体構造 | |
JP6229675B2 (ja) | 車両の上部車体構造 | |
JP3791049B2 (ja) | 自動車のピラーとサイドシルとの接続部構造 | |
JP6107209B2 (ja) | ルーフサイドレール構造 | |
JP2020183220A (ja) | 車両のフロントボディ | |
JP6597670B2 (ja) | 車両の側部車体構造 | |
JP2003025842A (ja) | 自動車のドア構造 | |
JP6194901B2 (ja) | 自動車のドア構造 | |
JP6734334B2 (ja) | 車両の下部構造 | |
JP7347242B2 (ja) | 車両の後部車体構造 | |
JPH11291947A (ja) | 自動車の車体構造 | |
JP3315915B2 (ja) | 自動車車体の下側部補強構造 | |
JP3330703B2 (ja) |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 |
JPH08230714A (ja) | トラックのキャブ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