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887B1 - 듀얼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887B1
KR102186887B1 KR1020150095136A KR20150095136A KR102186887B1 KR 102186887 B1 KR102186887 B1 KR 102186887B1 KR 1020150095136 A KR1020150095136 A KR 1020150095136A KR 20150095136 A KR20150095136 A KR 20150095136A KR 102186887 B1 KR102186887 B1 KR 10218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haft
pressing member
disposed
outer ring
way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754A (ko
Inventor
다카노리 마루오카
아쓰시 야가라
센멩 순
춘위 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60042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3Devices for transferring line to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Brakes connected to the spool by one-way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45Spool bearing bra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7Axially engaged
    • A01K89/058Coaxial with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스풀축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에 있어서,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낚싯줄 권취 시에 스풀축에 대한 회전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원웨이 클러치(40)와, 조작 부재(42)와, 압압 부재(44)를 가진다. 원웨이 클러치는, 스풀축(16)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제1 내륜(50), 제1 내륜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외륜(52), 및 제1 내륜과 제1 외륜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전동체(54)를 가지고, 스풀축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만이 제1 외륜에 전달된다. 조작 부재는, 스풀축의 제1 단 외주측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에 의해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릴 본체에 걸어맞추어진다. 압압 부재는, 제1 외륜을 압압한다. 제1 외륜은, 릴 본체에 대하여, 압압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스풀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듀얼 베어링 릴, 특히,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spool shaft)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에는, 스풀축의 양단에 접촉하여 스풀축을 제동하는 캐스팅(casting) 컨트롤 기구(機構)라는 제동 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캐스팅 컨트롤용의 제동 장치는, 낚싯줄 권취 시에도 작용하므로, 와이어 권취 시에 회전 저항이 발생한다. 그래서,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ch)를 사용하여 권취 시에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는 제동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제동 장치는, 기어에 병설되고 스풀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테이퍼통과, 테이퍼통의 외주부에 접촉 가능한 테이퍼형의 코일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을 신축시키는 조작 부재를 구비한다.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조작 부재에 걸리고 타단은 기어에 접촉되고 있다. 종래의 제동 장치에서는, 스풀축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코일 스프링의 권경(捲徑)이 작아져, 코일 스프링이 테이퍼통에 감겨 테이퍼통을 통하여 스풀축이 제동된다. 또한, 스풀축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코일 스프링의 권경이 커져, 코일 스프링이 테이퍼통으로부터 멀어져, 스풀축의 제동이 해제된다. 여기서는, 코일 스프링이 원웨이 클러치 및 제동 부재로서 기능한다.
일본 공개특허 평10―174540호 공보
종래의 원웨이 클러치를 사용한 제동 장치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시단부(始端部)가 브레이크 조정 손잡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작용 시에 브레이크 조정 손잡이에 회전력이 작용해 버려, 조정 위치가 어긋나 브레이크력이 안정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스프링의 종단부(終端部)는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에 접촉하므로, 브레이크 조정 손잡이를 느슨하게 해도 반드시 기어와 원웨이 클러치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제동 장치가 낚싯줄 권취 시에 스풀축에 대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원웨이 클러치를 사용하여 스풀축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동 장치에 의해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제동 장치가 낚싯줄 권취 시에 스풀축에 대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과, 스풀축과, 제동 장치를 구비한다.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은,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스풀축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풀과 일체로 회전한다. 제동 장치는, 스풀축을 제동한다. 제동장치는, 원웨이 클러치와, 조작 부재와, 압압(押壓; pressing) 부재를 가진다. 원웨이 클러치는, 제1 내륜과, 제1 외륜과, 제1 전동체(轉動體)를 가진다. 제1 내륜은, 스풀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제1 외륜은, 제1 내륜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1 전동체는, 제1 내륜과 제1 외륜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원웨이 클러치는, 스풀축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만이 제1 외륜에 전달된다. 조작 부재는, 스풀축의 제1 단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에 의해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릴 본체에 걸어맞추어진다. 압압 부재는, 조작 부재의 이동에 따라 제1 외륜을 압압한다. 제1 외륜은, 릴 본체에 대하여, 압압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스풀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축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내륜이 아이들링 회전하고, 스풀축의 회전은 제1 외륜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동 장치가 스풀축에 회전 저항을 주지 않는다. 또한, 스풀축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내륜으로부터 제1 전동체를 통하여 제1 외륜에 스풀축의 회전이 전달된다. 제1 외륜에 회전이 전달되면, 압압 부재에 의해 압압되고, 또한 릴 본체에 대하여, 압압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스풀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제1 외륜이 제동되어 스풀축이 제동된다. 여기서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낚싯줄 권취 시에, 제동 장치가 낚싯줄 권취 시에 스풀축에 대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1 외륜을 제동하므로, 제동력이 발생하는 직경이 커지고, 제동 장치에 의해, 큰 제동력이 얻어지는 동시에, 마찰 면적이 커지고, 제동력이 안정되어, 내구성(耐久性)이 증가된다.
제1 내륜은 스풀축과 일체로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원웨이 클러치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압압 부재는, 조작 부재에 장착되는 마찰 플레이트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 부재가 배치되는 측에서 제1 외륜을 제동할 수 있다.
스풀축은, 원웨이 클러치를 협지(sandwich)하여 조작 부재와는 반대측에서 릴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외륜과, 스풀축의 제1 측에 장착되고, 스풀축의 외주(外周)에 배치되는 제2 내륜과, 제2 외륜과 제2 내륜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전동체를 가지는 롤링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도 된다. 제2 내륜은, 스풀축에 대하여 압압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풀축에 대하여 압압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롤링 베어링과, 압압 부재에 의해 제1 외륜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제1 외륜을 제동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원웨이 클러치와 롤링 베어링과의 사이에 배치된 가압(urging) 부재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 부재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범위가 넓어지므로,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원웨이 클러치를 협지하여 조작 부재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릴 본체에 압압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와셔 부재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원웨이 클러치를 릴 본체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제1 외륜을 양호한 정밀도로 제동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원웨이 클러치와 와셔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된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 부재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범위가 넓어지므로,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조작 부재는, 스풀축의 제1 단측을 압압하고, 원웨이 클러치는, 스풀축의 제1 단과 반대의 제2 단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압압 부재는, 스풀축에 원웨이 클러치를 제2 단 측으로 압압 가능하게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듀얼베어링 릴의 조작 부재가 배치되는 측(예를 들면, 핸들측)과는 반대측에 원웨이 클러치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방향의 치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압압 부재와 원웨이 클러치의 사이에 배치된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 부재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범위가 넓어지므로,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가압 부재는, 압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접시 스프링이다. 이 경우에는, 스풀축 방향의 근소한 간극에 가압 부재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가압 부재를 설치해도, 제동 장치의 스풀축 방향의 치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낚싯줄 권취 시에, 제동 장치가 낚싯줄 권취 시에 스풀축에 대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1 외륜을 제동하므로, 제동력이 발생하는 직경이 커지는 동시에, 마찰 면적이 커져, 제동 장치에 의해,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듀얼 베어링 릴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단면(斷面)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2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단면 확대도이다.
<듀얼 베어링 릴의 개략적인 구성>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핸들(2)과, 스풀(12)과, 스풀축(16)과, 캐스팅 컨트롤 기구(제동 장치의 일례)(24)를 구비한다.
릴 본체(1)는,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쪽에 장착된 제1 측커버(6) 및 제2 측커버(7)와, 기구 장착판(13)을 가진다. 프레임(5)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과, 이들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을 연결하는 전방 연결부(10a) 및 하부 연결부(10b)를 가진다. 하부 연결부(10b)에는, 낚싯대 장착용의 로드(rod) 장착 다리부(4)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측커버(6)는, 스풀축 방향 외측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이며, 제2 측커버(7)는, 외경(外徑)이 상이한 편심된 2개의 외주원(外周圓)으로 구성된다. 제1 측커버(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판(8)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측판(8)의 중심에는, 베어링(29a)이 수용되는, 통형(筒形)의 베어링 수용부(8a)가 형성된다.
제2 측커버(7)는, 예를 들면, 3개의 나사에 의해 제2 측판(9)에 고정된다. 제2 측커버(7)는, 후술하는 스풀축(16)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보스부(boss)(7a)와, 후술하는 구동축(30)을 지지하기 위한 제2 보스부(7b)를 가진다. 제1 보스부(7a)는, 제2 보스부(7b)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위쪽에 설치된다. 제1 보스부(7a)의 외주면(外周面)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나사부(7c)와, 수나사부(7c)에 인접하는 환형(環形) 홈(7d)이 형성된다. 수나사부(7c)에는, 후술하는 조작 부재(42)가 나사결합된다. 환형 홈(7d)에는, 예를 들면, O링의 형태의 탄성을 가지는 실링 부재(36)가 장착된다.
기구 장착판(13)은, 후술하는 구동축(30), 피니언 기어(32) 및 스풀축(16)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기구 장착판(13)은, 제2 측커버(7)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제2 측판(9)에 대하여 제2 측커버(7)와 일체로 착탈 가능하다. 기구 장착판(13)은, 피니언 기어(32) 및 스풀축(1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통형으로 양면으로 돌출하는 지지부(13a)를 가진다.
핸들(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30)(도 2 참조)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암(handle arm)(2a)과, 핸들 암(2a)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2b)를 가진다. 핸들 암(2a)은, 스타 드래그(star drag)(3)의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 내에는, 스풀(12)과, 써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가 닿는 클러치 레버(17)와,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8)가 배치된다. 프레임(5)과 제2 측커버(7)와의 사이에는, 회전 전달 기구(19)와, 클러치 기구(21)와, 클러치 제어 기구(22)와, 드래그 기구(23)와,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배치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본 발명의 제동 장치의 일례이다. 또한, 프레임(5)과 제1 측커버(6)와의 사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遠心) 브레이크 기구(25)가 배치된다.
회전 전달 기구(19)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8)에 전달한다. 회전 전달 기구(19)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30)과, 구동축(30)에 고정된 구동 기어(31)와, 구동 기어(31)에 맞물리는 통형의 피니언 기어(32)를 가진다. 구동축(30)의 선단에는 핸들(2)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기어(31)는, 드래그 기구(23)를 통하여 구동축(3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드래그 기구(23)가 작동하면, 구동 기어(31)는, 구동축(30)에 대하여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32)는, 스풀축(16)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클러치 기구(21)로서도 기능한다. 피니언 기어(32)는, 릴 본체(1)에 베어링(34a, 3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34a)은, 기구 장착판(13)의 지지부(13a)에 장착되고, 베어링(34b)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보스부(7a)에, 후술하는 베어링(29b)과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장착된다.
클러치 기구(2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전달 기구(19)의 도중에 설치되고, 구동축(30)과 스풀(12)을 연결하는 클러치 온 상태와, 차단하는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클러치 기구(21)가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되면, 스풀(12)이 자유 회전 가능해져, 낚싯줄을 송출 가능(releasable)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 온 상태로 되면, 핸들(2)의 회전에 의해 낚싯줄을 스풀(12)에 권취 가능(windable)하게 된다.
스풀(12)은, 릴 본체(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와이어 권취용의 것이다. 스풀(12)은, 스풀축(16)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풀(12)은, 낚싯줄이 권취되는 낚싯줄 권취 보디부(12a)와, 낚싯줄 권취 보디부(12a)의 양측에 대경(大徑)으로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12b)를 가진다. 스풀(12)의 낚싯줄 권취 보디부(12a)의 내주측에 스풀축(16)이 연결된다.
스풀축(16)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16)은, 3개의 베어링(29a, 29b, 29c)에 의해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16)의 핸들(2) 측의 제1 단(16c) 및 제1 단(16c)과는 반대측의 제2 단(16d)은,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베어링(29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측판(8)의 베어링 수용부(8a)에 수용된다. 베어링(29b)은, 제2 측커버(7)의 제1 보스부(7a)에 수용된다. 베어링(29a) 및 베어링(29b)은, 예를 들면, 롤링베어링이다. 제1 보스부(7a)에 배열되어 배치되는 베어링(29b) 및 베어링(34b)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탈 방지 부재(38a, 38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베어링(29c)은, 기구 장착판의 지지부(13a)에 장착된다. 베어링(29c)은, 예를 들면, 슬라이딩 베어링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의 양단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스풀축(16)의 베어링(29a) 및 베어링(29b)의 장착 부분에는, 스풀축(16)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1 단차부(段差部)(16a)(도 2 참조) 및 제2 단차부(16b)(도 3 참조)가 별개로 설치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구성>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스풀축(16)을 제동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클러치의 형태의 원웨이 클러치(40)와, 조작 부재(42)와, 압압 부재(44)와, 가압 부재(46)와, 와셔 부재(48)를 가진다.
원웨이 클러치(40)는, 제1 보스부(7a) 내에서, 베어링(29b)과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원웨이 클러치(40)는, 스풀축(16)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제1 내륜(50), 제1 외륜(52), 및 제1 전동체(54)를 가진다. 제1 외륜(52)은, 제1 내륜(50)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릴 본체(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1 전동체(54)는, 제1 내륜(50)과 제1 외륜(5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전동체(54)는, 예를 들면, 원통 롤러이다. 원웨이 클러치(40)에서는, 스풀축(16)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만이 제1 외륜(52)에 전달된다. 제1 내륜(50)은, 제1 실시형태에서는 스풀축(16)과 일체로 설치된다. 제1 외륜(52)은, 릴 본체(1)에 대하여, 압압 부재(44)로부터 멀어지는 스풀축(16)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제1 외륜(52)은, 제1 보스부(7a)의 내주면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외륜(52)은, 와셔 부재(48)를 통하여, 가압 부재(46)에 의해 압압 부재(44)로부터 멀어지는 스풀축(16)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베어링(29b)은, 스풀축(16)의 제1 단[도 2의 우측단 측이며, 스풀축(16)의 핸들 측의 단부(端部)](16c) 측에 장착된다. 베어링(29b), 원웨이 클러치(40)를 협지하여 조작 부재(42)와는 반대측에서 릴 본체(1)의 제1 보스부(7a)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외륜(29d)과, 제2 내륜(29e)과, 제2 전동체(29f)를 가진다. 제2 내륜(29e)은, 스풀축(16)의 외주에 배치된다. 제2 전동체(29f)는, 제2 외륜(29d)과 제2 내륜(29e)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내륜(29e)은, 제2 단차부(16b)에 의해, 스풀축(16)에 대하여 압압 부재(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스풀축(16)은, 제1 단차부(16a)에 의해, 압압 부재(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조작 부재(42)는, 스풀축(16)의 제1 단(16c)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에 의해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릴 본체(1)의 제1 보스부(7a)에 걸어맞추어진다. 조작 부재(42)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부재이며, 제1 보스부(7a)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조작 부재(42)는, 수나사부(7c)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42a)와 실링 부재(36)에 접촉 가능한 실링 접촉부(42b)를 내주면에 가진다. 또한, 조작 부재(42)는, 바닥부에 압압 부재(44)가 장착되는 원형의 장착 오목부(42c)를 가진다. 실링 부재(36)는, 릴 본체(1)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조작 부재(42)가 낚시꾼의 의사에 반해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저항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된다.
압압 부재(44)는, 조작 부재(42)의 회전에 따라 제1 외륜(52)을 압압한다. 압압 부재(44)는, 예를 들면, 카본 크로스(carbon cloth)제이다. 압압 부재(44)는, 조작 부재(42)의 장착 오목부(42c)에 장착되는 와셔 형상의 환형의 마찰 플레이트이다.
가압 부재(46)는, 원웨이 클러치(40)와 베어링(29b)과의 사이에 압축 및 신장(伸長) 가능하게 배치되는, 예를 들면, 접시 스프링이다. 가압 부재(46)는, 외주측이, 와셔 부재(48)를 통하여 제1 외륜(52)에 접촉하고, 내주측이 제2 내륜(29e)에 접촉한다. 가압 부재(46)는, 조작 부재(42)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범위를 넓게 하여,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여기서, 스풀축(16)의 제1 단(16c)과 조작 부재(42)의 장착 오목부(42c)와의 거리 L1은, 압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와 최대 압축된 상태 사이의 가압 부재(46)의 이동 거리 L2보다 크다(L1>L2). 이로써, 가압 부재(46)가 완전히 압축해도, 스풀축(16)의 제1 단(16c)이 장착 오목부(42c)에 접촉하지 않는다. 와셔 부재(48)는, 예를 들면, 예를 들면, 카본 크로스제의 슬라이딩 이동 성능이 높은 부재이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동작>
도구(terminal tackle)의 자중(自重)에 의해 낚싯줄을 스풀로부터 송출하는 캐스팅 시에는, 스풀축(16)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풀축(16)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40)의 제1 전동체(54)를 통하여 제1 외륜(52)에 전달되고, 제1 외륜(52)이 회전한다. 제1 외륜(52)은, 압압 부재(44)에 의해 압압되고, 조작 부재(42)의 조작 위치에 따른 제동력으로 제동된다. 이 때의 제동력은, 제1 외륜(52)의 양 측면을 협지함으로써 생기므로,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낚싯줄을 권취할 때는, 스풀축(16)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은, 제1 외륜(52)에 전달되지 않고, 스풀축(16)은 공전(空轉)하므로, 낚싯줄 권취 시에는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낚싯줄 권취 시에 스풀축(16)에 대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부재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상이한 구성이며 대응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아래 2자릿수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3자릿수의 부호로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서는, 스풀축(116)은, 원웨이 클러치(140)와, 베어링(29a)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132)는, 베어링(34a)에 의해 지지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124)는, 원웨이 클러치(140)와, 조작 부재(42)와, 압압 부재(144)와, 가압 부재(146)와, 와셔 부재(148)를 가진다. 원웨이 클러치(140)는, 내륜 회전형(回轉型)의 롤러 클러치이며, 스풀축(116)과 일체로 설치되는 제1 내륜(150)과, 제1 외륜(152)과, 제1 전동체(154)를 가진다. 제1 외륜(152)은, 제1 내륜(150)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제1 보스부(7a)의 내주면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제1 보스부(7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1 전동체(154)는, 제1 내륜(150)과 제1 외륜(152)의 사이에 배치된다.
조작 부재(42)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원형으로 오목한 장착 오목부(42c)를 가진다.
압압 부재(144)는, 조작 부재(42)의 장착 오목부(42c)에 장착되는 제1 압압 부재(144a)와, 제1 압압 부재(144a)와 제1 외륜(152)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압압 부재(144b)를 가진다. 제1 압압 부재(144a) 및 제2 압압 부재(144b)는, 예를 들면, 카본 크로스제의 원판형의 부재이다.
가압 부재(146)는, 제1 외륜(152)과 와셔 부재(148)의 사이에 압축 및 신장 가능하게 배치되는, 예를 들면, 접시 스프링이다. 가압 부재(146)는, 외주측이, 와셔 부재(148)를 통하여 제1 보스부(7a)의 벽면(7e)에 접촉하고, 내주측이 제1 외륜(152)의 측면에 접촉한다.
여기서, 스풀축(116)의 제1 단(116c)과 제2 압압 부재(144b)와의 거리 L1은, 압축하고 있지 않은 상태와 최대 압축한 상태와의 사이의 가압 부재(146)의 이동 거리 L2보다 크다(L1>L2). 이로써, 가압 부재(146)가 완전히 압축해도, 스풀축(116)의 제1 단(116c)이 제2 압압 부재(144b)에 접촉하지 않는다.
와셔 부재(148)는, 예를 들면, 카본·그래파이트(graphite)·크로스제의 부재이다. 와셔 부재(148)는, 제1 보스부(7a)의 벽면(7e)에 접촉하여 압압 부재(1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변형예 1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124)에서는, 스풀축(116)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140)의 제1 전동체(154)를 통하여 제1 외륜(152)에 전달되고, 제1 외륜(152)이 회전한다. 제1 외륜(152)은, 압압 부재(144)에 의해 압압되고, 조작 부재(42)의 조작 위치에 따른 제동력으로 제동된다. 이 때의 제동력은, 제1 외륜(152)의 양 측면을 협지함으로써 생기므로,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낚싯줄을 권취할 때는, 스풀축(116)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은, 제1 외륜(152)에 전달되지 않아, 스풀축(116)은 공전하므로, 낚싯줄 권취 시에는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캐스팅 컨트롤 기구(124)가, 낚싯줄 권취 시에 스풀축(116)에 대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2>
변형예 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변형예 1과 같은 구성이지만, 가압 부재(146) 대신에, 2개의 와셔 부재(148)가 설치된다. 그 외의 설명은, 변형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가압 부재가 없기 때문에, 변형예 2에서는, 제동력의 조정 범위가 좁아져,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어렵다.
<제2 실시형태>
도 7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24)는, 원웨이 클러치(240)와, 조작 부재(42)와, 압압 부재(244)와, 가압 부재(246)와, 와셔 부재(248)를 구비한다. 조작 부재(42)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핸들(2) 측에 설치된다. 조작 부재(42)에는, 종래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와 마찬가지로 2개의 원판형의 마찰 플레이트(152a, 152b)가 장착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4)의 조작 부재(42) 이외의 구성은 핸들(2)과는 반대측의 제1 측커버(206) 측의 제1 측판(208)의 베어링 수용부(208a)에 설치된다. 베어링 수용부(208a)는, 제1 실시형태의 베어링 수용부(8a)보다 축 방향의 길이가 길다.
스풀축(216)의 제1 단(216c)은, 조작 부재(42)에 설치되는 마찰 플레이트(152a, 152b)에 의해 압압된다. 따라서, 스풀축(216)은 축 방향으로 조작 부재(42)의 이동량에 따라 이동 가능하다. 스풀축의 제2 단(216d)은 베어링 수용부(208a)와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240)는, 스풀축(216)의 제2 단(216d) 측에서, 베어링(29a)보다 제1 측커버(206) 측에 배치된다. 원웨이 클러치(240)는, 내륜 회전형의 롤러 클러치이며, 스풀축(216)과 일체로 설치되는 제1 내륜(250)과, 제1 외륜(252)과, 제1 전동체(254)를 가진다. 제1 외륜(252)은, 베어링 수용부(208a)의 내주면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베어링 수용부(208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1 외륜(252)은, 와셔 부재(248)에 의해 압압 부재(2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압압 부재(244)는, 스풀축(216)의 베어링(29a)의 제2 단(216d) 측에 형성된 환형의 장착홈(216e)에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스프링재제의 스냅링(244a)과, 스냅링(244a)에 접촉하여 배치된 본체 부재(244b)를 가진다. 본체 부재(244b)는, 예를 들면, 카본 크로스제의 와셔 형상의 부재이다.
가압 부재(246)는, 압압 부재(244)와 제1 외륜(252)과의 사이에 압축 및 신장(伸張) 가능하게 배치된 접시 스프링이다. 와셔 부재(248)는, 예를 들면, 카본크로스제의 와셔 형상의 부재이다. 와셔 부재(248)는, 가압 부재(246)와 제1 외륜(252)을 협지하여 배치되고, 베어링 수용부(208a)의 바닥부에 접촉한다.
여기서, 스풀축(216)의 제2 단(216d)과 와셔 부재(248)와의 거리 L1은, 압축하고 있지 않은 상태와 최대 압축한 상태와의 사이의 가압 부재(246)의 이동 거리 L2보다 크다(L1>L2). 이로써, 가압 부재(246)가 완전히 압축해도, 스풀축(216)의 제2 단(216d)이 와셔 부재(248)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실시형태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224)에서는, 스풀축(216)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240)의 제1 전동체(254)를 통하여 제1 외륜(252)에 전달되고, 제1 외륜(252)이 회전한다. 제1 외륜(252)은, 압압 부재(244)에 의해 압압되고, 조작 부재(42)의 조작 위치에 따른 제동력으로 제동된다. 이 때의 제동력은, 제1 외륜(252)의 양 측면을 협지함으로써 생기므로,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낚싯줄을 권취할 때는, 스풀축(216)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은, 제1 외륜(252)에 전달되지 않아, 스풀축(216)은 공전하므로, 낚싯줄 권취 시에는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캐스팅 컨트롤 기구(224)가, 낚싯줄 권취 시에 스풀축(216)에 대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특징>
상기 실시형태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듀얼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12)과, 스풀축(16)과, 캐스팅 컨트롤 기구(제동 장치의 일례)(24)를 구비한다.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12)은, 릴 본체(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스풀축(16)은, 릴 본체(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풀(12)과 일체로 회전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스풀축을 제동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원웨이 클러치(40)와, 조작 부재(42)와, 압압 부재(44)를 가진다. 원웨이 클러치(40)는, 스풀축(16)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제1 내륜(50), 제1 내륜(50)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릴 본체(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제1 외륜(52), 및 제1 내륜(50)과 제1 외륜(52)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전동체(54)를 가지고, 스풀축(16)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만이 제1 외륜(52)에 전달된다. 조작 부재(42)는, 스풀축(16)의 제1 단(16c) 외주측에 배치되고, 회전조작에 의해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릴 본체(1)에 나사결합된다. 압압 부재(44)는, 조작 부재(42)의 이동에 따라 제1 외륜(52)을 압압한다. 제1 외륜(52)은, 릴 본체(1)에 대하여, 압압 부재(44)로부터 멀어지는 스풀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듀얼 베어링 릴(100)에서는, 스풀축(16)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내륜(50)이 아이들링 회전하고, 스풀축(16)의 회전은 제1 외륜(52)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스풀축(16)에 회전 저항을 주지 않는다. 또한, 스풀축(16)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내륜(50)으로부터 제1 전동체(54)를 통하여 제1 외륜(52)에 스풀축(16)의 회전이 전달된다. 제1 외륜(52)에 회전이 전달되면, 압압 부재(44)에 의해 압압되고, 또한 릴 본체(1)에 대하여, 압압 부재(44)로부터 멀어지는 스풀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제1 외륜(52)이 제동되어 스풀축(16)이 제동된다. 여기서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낚싯줄 권취 시에,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낚싯줄 권취 시에 스풀축(16)에 대한 회전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1 외륜(52)을 제동하므로, 제동력이 발생하는 직경이 커져, 캐스팅 컨트롤 기구(24)에 의해,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찰 면적이 커짐으로써 제동력이 안정되어, 내구성이 증가된다.
(B) 제1 내륜(50)은 스풀축(16)과 일체로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원웨이 클러치(40)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C) 압압 부재(44)는, 조작 부재(42)에 장착되는 마찰 플레이트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 부재(42)가 배치되는 측에서 제1 외륜(52)을 제동할 수 있다.
(D) 스풀축(16)은, 원웨이 클러치(40)를 협지하여 조작 부재(42)와는 반대측에서 릴 본체(1)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외륜(29d)과, 스풀축(16)의 제1 단(16c) 측에 장착되고, 스풀축(16)의 외주에 배치되는 제2 내륜(29e)과, 제2 외륜(29d)과 제2 내륜(29e)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전동체(29f)를 가지는 베어링(29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도 된다. 제2 내륜(29e)은, 스풀축(16)에 대하여 압압 부재(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풀축(16)에 대하여 압압 부재(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베어링(29b)과 압압 부재(44)에 의해 제1 외륜(52)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제1 외륜(52)을 제동할 수 있다.
(E)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원웨이 클러치(40)와 베어링(29b)과의 사이에 배치된 가압 부재(46)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 부재(42)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범위가 넓어지므로,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F) 캐스팅 컨트롤 기구(124)는, 원웨이 클러치(140)를 협지하여 조작 부재(42)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릴 본체(1)에 압압 부재(1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와셔 부재(148)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원웨이 클러치(140)를 릴 본체(1)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제1 외륜(152)을 양호한 정밀도로 제동할 수 있다.
(G) 캐스팅 컨트롤 기구(124)는, 원웨이 클러치(140)와 와셔 부재(148)와의 사이에 배치된 가압 부재(146)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 부재(42)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범위가 넓어지므로,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H) 조작 부재(42)는, 스풀축(216)의 제1 단(216c) 측을 압압하고, 원웨이 클러치(240)는, 스풀축(216)의 제1 단(216c)과 반대의 제2 단(216d)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압압 부재(244)는, 스풀축(216)에 원웨이 클러치(240)를 제2 단(216d) 측으로 압압 가능하게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듀얼 베어링 릴(100)의 조작 부재(42)가 배치되는 측(예를 들면, 핸들측)과는 반대측에 원웨이 클러치(240)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듀얼 베어링 릴(100)의 스풀축 방향의 치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I) 캐스팅 컨트롤 기구(224)는, 압압 부재(244)와 원웨이 클러치(240)의 사이에 배치된 가압 부재(246)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 부재(42)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범위가 넓어지므로,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J) 가압 부재(46)는, 압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접시 스프링이다. 이 경우에는, 스풀축 방향의 근소한 간극에 가압 부재(46, 146, 246)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가압 부재(46, 146, 246)를 설치해도, 캐스팅 컨트롤 기구(24, 124, 224)의 스풀축 방향의 치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수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내륜(50, 150, 250)이 스풀축(16, 116, 216)과 일체로 설치되지만, 제1 내륜이 스풀축과 별개로 설치되어도 된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42)가 핸들 측의 제2 측커버(7)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 부재가 핸들과는 반대측의 제1 측커버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c)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부재(246)가 압압 부재(244)와 제1 외륜(25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압 부재(246)는, 제1 외륜(252)과 와셔 부재(248)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가압 부재(246)는, 스풀축(216)의 제1 단(216c)과 조작 부재(42)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부재(46, 146, 246)로서, 접시 스프링을 예시했지만, 가압 부재는 접시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파판(波板; wave) 스프링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공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가압 부재를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해도 된다. 또한, 핸들(2) 측에 캐스팅 컨트롤 기구가 있는 경우, 가압 부재를 압압 부재와 원웨이 클러치의 사이에 배치해도 된다.
1; 릴 본체
12; 스풀
16, 116, 216; 스풀축
16c, 116c, 216c; 제1 단
24, 124, 224; 캐스팅 컨트롤 기구
29b; 베어링
29d; 제2 외륜
29e; 제2 내륜
29f; 제2 전동체
40, 140, 240; 원웨이 클러치
42; 조작 부재
44, 144, 244; 압압 부재
46, 146, 246; 가압 부재
48, 148, 248; 와셔 부재
50, 150, 250; 제1 내륜
52, 152, 252; 제1 외륜
54, 154, 254; 제1 전동체
100; 듀얼 베어링 릴
216d; 제2 단

Claims (10)

  1. 릴 본체;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spool);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풀축;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과 상기 스풀을 연결하는 클러치 온 상태와, 차단하는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 가능한 클러치 기구; 및
    상기 클러치 오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스풀축의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만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스풀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제1 내륜, 상기 제1 내륜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제1 외륜, 및 상기 제1 내륜과 상기 제1 외륜 사이에 배치된 제1 전동체(轉動體)를 구비하고, 상기 스풀축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만이 상기 제1 외륜에 전달되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ch);
    상기 스풀축의 제1 단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걸어맞추어지는 조작 부재; 및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외륜을 압압(押壓; pressing)하는 압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륜은,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상기 압압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스풀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듀얼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륜은, 상기 스풀축과 일체로 설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에 장착되는 마찰 플레이트인, 듀얼 베어링 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축은, 상기 원웨이 클러치를 협지하여 상기 조작 부재와는 반대측에 상기 릴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외륜과, 상기 스풀축의 상기 제1 단 측에 장착되고, 상기 스풀축의 외주(外周)에 배치되는 제2 내륜과, 상기 제2 외륜과 상기 제2 내륜 사이에 배치된 제2 전동체를 구비하는 롤링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 내륜은, 상기 스풀축에 대하여 상기 압압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듀얼 베어링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롤링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urging)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원웨이 클러치를 협지하여 상기 조작 부재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릴 본체에 상기 압압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와셔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와셔 부재 사이에 배치된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스풀축의 상기 제1 단측을 압압하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스풀축의 상기 제1 단과 반대의 제2 단 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압 부재는, 상기 스풀축에 상기 원웨이 클러치를 상기 제2 단 측으로 압압 가능하게 배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압압 부재와 상기 원웨이 클러치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압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접시 스프링인, 듀얼 베어링 릴.
KR1020150095136A 2014-10-10 2015-07-03 듀얼 베어링 릴 KR102186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9304 2014-10-10
JP2014209304A JP6488098B2 (ja) 2014-10-10 2014-10-10 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754A KR20160042754A (ko) 2016-04-20
KR102186887B1 true KR102186887B1 (ko) 2020-12-07

Family

ID=5353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136A KR102186887B1 (ko) 2014-10-10 2015-07-03 듀얼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61085B2 (ko)
EP (1) EP3005870B1 (ko)
JP (1) JP6488098B2 (ko)
KR (1) KR102186887B1 (ko)
CN (1) CN105494278B (ko)
MY (1) MY174257A (ko)
TW (1) TWI6577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0904B2 (ja) *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560903B2 (ja) *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649801B2 (ja) * 2016-02-26 2020-02-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1884236B1 (ko) * 2017-02-03 2018-08-01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텐션 너트 이탈 방지수단을 구비한 낚시 릴
JP6829654B2 (ja) * 2017-06-05 2021-02-1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KR102083429B1 (ko) * 2017-10-26 2020-03-0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프론트커버의 탈착이 편리한 낚시 릴
JP7262167B2 (ja) * 2017-11-22 2023-04-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00990B2 (ja) 2018-02-26 2022-07-14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JP7122897B2 (ja) * 2018-07-19 2022-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CN112192778A (zh) * 2020-09-17 2021-01-08 丘群香 一种拖鞋制造用混合下料装置
JP2022167022A (ja) * 2021-04-22 2022-11-04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120A (ja) 1998-11-27 2000-06-1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機構
JP2009124942A (ja) 2007-11-19 2009-06-1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2050398A (ja) 2010-09-02 2012-03-15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13000085A (ja) 2011-06-20 2013-01-0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4224C (de) * 1945-12-19 1953-04-20 Urfabriken Ab Vorrichtung an Angelwinden
JPS59139072U (ja) * 1983-03-08 1984-09-1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JPH0418377Y2 (ko) * 1986-09-22 1992-04-23
US5161750A (en) 1989-12-05 1992-11-10 Shimano Industrial Co., Ltd. Fishing reel with transmission switching mechanism
JP2562712Y2 (ja) * 1989-12-05 1998-02-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2502204Y2 (ja) * 1990-11-13 1996-06-19 リョービ株式会社 両軸受リ―ルのブレ―キ機構
JPH10174540A (ja) * 1996-12-18 1998-06-30 Mamiya Op Co Ltd 両軸受リール
US6053444A (en) * 1997-03-18 2000-04-25 Diawa Seiko, Inc. Fishline guide device for double bearing type reel
JPH10327722A (ja) * 1997-05-30 1998-12-15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H11215940A (ja) 1997-11-28 1999-08-10 Mamiya Op Co Ltd 両軸受リール
JPH11276034A (ja) * 1998-03-27 1999-10-1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3562976B2 (ja) * 1998-10-07 2004-09-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01025341A (ja) * 1999-07-14 2001-01-30 Mamiya Op Co Ltd 釣用リール
US6354525B1 (en) * 1999-11-05 2002-03-12 Shin A Sports Co., Ltd. Spinning reel with drag brake mechanism and clutch
US6530535B2 (en) * 2000-03-16 2003-03-11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US6896216B2 (en) * 2001-08-27 2005-05-24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JP2003079294A (ja) * 2001-09-10 2003-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3339283A (ja) * 2002-05-30 2003-12-02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2007029015A (ja) * 2005-07-28 2007-02-08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4916696B2 (ja) * 2005-10-13 2012-04-1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TW200930289A (en) * 2008-01-08 2009-07-16 wen-xiang Li Fishing reel with second brake device
EP2143329B1 (en) * 2008-07-08 2011-12-28 Shimano, Inc. Drag mechanism for dual-bearing reel
JP5143648B2 (ja) * 2008-07-08 2013-02-13 株式会社シマノ レバードラグ型の両軸受リール
JP5097630B2 (ja) * 2008-07-08 2012-12-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JP5159479B2 (ja) * 2008-07-08 2013-03-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5590986B2 (ja) * 2010-06-23 2014-09-1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MY164166A (en) * 2010-09-02 2017-11-30 Shimano Kk Dual-bearing reel
JP5718119B2 (ja) * 2011-03-29 2015-05-1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5926564B2 (ja) * 2012-01-18 2016-05-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6200287B2 (ja) * 2013-11-14 2017-09-20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JP6352756B2 (ja) * 2014-09-30 2018-07-04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120A (ja) 1998-11-27 2000-06-1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機構
JP2009124942A (ja) 2007-11-19 2009-06-1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2050398A (ja) 2010-09-02 2012-03-15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13000085A (ja) 2011-06-20 2013-01-0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77174A (ja) 2016-05-16
TW201616963A (zh) 2016-05-16
EP3005870B1 (en) 2018-05-02
US9861085B2 (en) 2018-01-09
EP3005870A1 (en) 2016-04-13
MY174257A (en) 2020-04-01
CN105494278A (zh) 2016-04-20
CN105494278B (zh) 2020-05-05
KR20160042754A (ko) 2016-04-20
JP6488098B2 (ja) 2019-03-20
US20160100563A1 (en) 2016-04-14
TWI657738B (zh) 201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887B1 (ko) 듀얼 베어링 릴
JP2016077174A5 (ko)
KR102502467B1 (ko) 양 베어링 릴
JP6649699B2 (ja) 両軸受リール
US9901084B2 (en) Dual-bearing reel
KR20110006601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
JP5047889B2 (ja) 魚釣用リール
CN107801700B (zh) 双轴承绕线轮
US10966418B2 (en) Fishing reel
CN108967378B (zh) 钓用绕线轮
JP2006238727A (ja) 魚釣用リ−ル
KR100310260B1 (ko) 낚시릴
JP6235446B2 (ja) 魚釣用リール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JP2019115360A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JP6235445B2 (ja) 魚釣用リール
JP7245799B2 (ja) 魚釣用リール及びその制動力調節具
JP4108659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19170221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19170219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20054397A (ja) 両軸受リール及び制動力調整用の操作レバー
JP2019170220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4275616B2 (ja) 魚釣用リ−ル
JP2019115359A (ja) 両軸受リール
JP2002165544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