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260B1 - 낚시릴 - Google Patents

낚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260B1
KR100310260B1 KR1019980044815A KR19980044815A KR100310260B1 KR 100310260 B1 KR100310260 B1 KR 100310260B1 KR 1019980044815 A KR1019980044815 A KR 1019980044815A KR 19980044815 A KR19980044815 A KR 19980044815A KR 100310260 B1 KR100310260 B1 KR 100310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spool
members
forc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378A (ko
Inventor
슈이찌 마쯔자와
하루미찌 오오이시
다께노리 오오쯔
나오유끼 에즈까
Original Assignee
마쯔이 요시유끼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151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815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893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250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113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25059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이 요시유끼,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이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3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7Centrifugal

Abstract

낚시 릴은 릴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과,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제동 부재와, 릴 본체 내에 제공되고 제동 부재들과 활주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는 제동 표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스풀의 회전에 따라 제동 부재들이 제동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제동 부재들에 압착력이 가해지고, 소정치 이상의 원심력이 스풀에 가해질 때 제동 부재들은 압착력을 극복하여 제동 표면과 활주식으로 접촉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 릴
본 발명은 스풀이 회전하는 중에 스풀에 제동력을 가할 수 있는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낚시 릴에 관한 것이다.
투척 작업에서는, 말단 태클(terminal tackle)의 중량, 낚싯대의 작용, 바람등 때문에, 스풀의 회전 속도가 낚시줄의 풀림(play-out) 속도보다 빠르게 될 수 있도록 스풀이 갑자기 회전될 수 있어서 낚시줄의 백래시(backlash)를 발생시킨다.백래시는 몇 가지 문제를 발생시키는 데, 예를 들면 낚싯줄의 여러 부분이 서로 얽히게 하거나, 스풀의 플랜지의 외주연부 및 릴 본체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원심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낚시 릴이 일반적으로 공지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2,535,505호, 일본 특허 공개 제(평)9-275,860호 등에서는 제동 블록들 각각의 제동 작업 위치와 비제동 작업 위치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는 다수의 제동 블록을 포함하는 원심 제동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원심 제동 장치에서, 제동 블록은 스풀이 회전될 때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스풀 내에서 방사상으로 각각 활주될 수 있어서 릴 본체에 고정된 제동 슈우(shoe)와 마찰 접촉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스풀에 마찰 접촉 압력에 대응하는 제동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제동 블록은 제동 블록 각각이 제동 슈유와 마찰 접촉해서 스풀에 소정의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 작업 위치와 제동 블록 각각이 제동 슈우로부터 떨어져 있어서 스풀이 자유 회전하도록 하는 비제동 작업 위치 사이에서 기존의 원심 제동 장치에 구비된 억제 장치에 의해 절환될 수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원심 제동 장치는 제동 블록이 제동 슈우와 마찰 접촉하는 제동 작업 위치와 제동 블록이 제동 슈우로부터 떨어져 있는 비제동 작업 위치 사이에서 제동 블록을 단순 절환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제동 작업에서는, 제동 블록이 제동 슈우와 순간적으로 동일한 힘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스풀에 가해지는 제동력은 잘 조절될 수 없다. 결국, 실제 낚시 장소에서 [말단 태클의 중량, 낚시 지점(flshing point)까지의 거리, 풍향, 낚시꾼의 기술 등과 같이] 변화하는 조건에 충분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그런 투척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원심 제동 장치에서는, 제동력을 요하지 않는 스풀 저속 회전에서도 스풀 회전 작업에서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인해 제동 블록이 제동 슈우와 마찰 접촉될 수 있으며, 이것은 스풀이 매끄럽고 경쾌하게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것 때문에 투척 사업의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 공개제(소)56-100187호에서 개재된 바와 같은 다른 수단에서와 같이, 제동 부재가 지지대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동 부재가 스풀축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하는 지지대에 배열되어서 스풀이 원심력을 이용해서 제동될 수 있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소)57-202234호에서 개재된 바와 같이 중속 내지 고속의 스풀 회전 범위뿐만 아니라 투척 작업의 초기 단계에서 저속 내지 고속 스풀 회전 범위의 회전 영역에서 스풀에 보다 강한 제동력을 가함으로써 백래시를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소)56-100187호의 구조물이 제1 제동 구조물로서 사용되고, 제1 제동 구조물에 제2 구조물이 부가되어 회전수에 따라 연속적으로 스풀에 제동력이 가해질 수 있는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두개의 공보에서 개재된 구조에서는, 스풀의 회전이 스풀의 고속 회전 초기 단계에서부터 제동되기 때문에 스풀 회전이 투척 잡업 초기 단계(즉, 스풀 영역의 상승 영역)의 고속 회전에 도달하기 전에 스풀에 가해져셔, 스풀의 회전을 억제, 즉 스풀의 초기 회전을 억제해서, 말단 태클의 이동거리가 연장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이들 구조물이 말단 태클의 이동 거리를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풀에서의 백래시를 방지할 수 있는 스풀 제동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을 떼, 이들 구조물에서는 해결 되어야 할 문제가 남아 있다.
상술한 두 개의 종래 구조물에서는, 스풀의 회전이 스풀의 고속 회전 초기 단계로부터 제동되기 때문에, 스풀의 회전은 투척 작업 초기 단계에서 고속 회전 속도에 도달할 수 없어서, 말단 태클의 이동 거리는 연장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낚시 릴에서 발견되는 문제점들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의 회전 중에 스풀이 가해지는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 릴을 제공하여 투척 작업에 있어서 뛰어난 효율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투척 작업에 있어서 뛰어난 효율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투척 작업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스풀의 고속 회전에 까지 걸친 스풀의 회전 상승 영역에서 스풀의 회전에 제동을 걸지 않는 낚시 릴을 제공하여 스풀 내에 백래시의 발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말단 태클의 이동 거리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릴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과,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의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제동 부재와, 릴 본체 내에 제공되고 제동 부재들과 활주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는 제동 표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스풀의 회전에 따라 제동 부재들이 제동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제동 부재들에 압박력이 가해지고, 소정치 이상의 원심력이 스풀에 가해질 때 제동 부재들은 압박력을 극복하여 제동 표면과 활주식으로 접촉할 수 있는 낚시 릴이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종 베어링형 낚시 릴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종 베어링형 낚시 릴의 좌측 주요 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중 베어링형 낚시 릴의 좌측 주요 부분을 도시한 확대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2중 베어링형 낚시 릴의 좌측 주요 부분을 도시한 확대 측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2중 베어링형 낚시 릴의 좌측 주요 부분을 도시한 확대 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2중 베어링형 낚시 릴의 좌측 주요 부분을 도시한 확대 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 릴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8a는 원심 제동 장치가 스풀축 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8b는 원심 제동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9a 및 도9b는 원심 제동 장치를 지지 부재와 제한 부재로 나누어 도시한 확대도로서, 도9a는 다수의 제동 부재가 지지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 부재 상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9b는 다수의 돌출 부분이 다수의 제동 부재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제한 부재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배치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10a는 도9b에 도시된 제한 부재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10b는 도9a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11a 내지 도11e는 제한 부재의 회전 작동에 따른 제동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11a는 모든 제동 부재가 환형 제동 본체의 제동면에 대해서 각각 접촉되지 않게 절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1b는 하나의 제동 부재만이 환형 제동 본체의 제동면에 대해서 접촉되게 절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1c는 2개의 제동 부재가 환형 제동 본체의 제동면에 대해서 각각 접촉되게 절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1d는 3개의 제동 부재가 환형 제동 본체의 제동면에 대해서 접촉되게 절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1e는 모든 제동 부재가 환형 제동 본체의 제동면에 대해서 접촉되게 절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시 릴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
도13a는 원심 제동 장치가 스풀축 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13b는 원심 제동 장치의 구조에 대한 확대 측단면도.
도14a 및 도14b는 제동 부재들이 이들에 대응하는 탄성 유지 부재의 연장 단부 상에 탄성적으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원심 제동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14a는 원심 제동 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14b는 제동 부재와 탄성 유지 부재 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5a 및 도15b는 제동 부재들이 그 대응하는 탄성 유지 부재의 중간부 상에 탄성 보유된 원심 제동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자세하게는 도15a는 원심 제동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15b는 제동 부재 및 탄성 유지 부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16a 및 도16b는 제동 부재들이 그 대응하는 탄성 유지 부재들의 기단부 부분에 탄성 보유된 원심 제동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자세하게는 도16a는 원심 제동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16b는 제동 부재 및 탄성 유지 부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17a는 제3 실시예의 제1 수정예에 적용된 원심 제동 장치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17b는 제동 부재 및 탄성 유지 부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 평면도.
도18a는 제3 실시예의 제2 수정예에 적용된 원심 제동 장치의 일부의 확대단면도이고, 도18b는 판 쪽에서 보았을 때의 그 단면도이고, 도18c는 제동 부재 및 탄성 유지 부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 평면도.
도19a는 제3 실시예의 제3 수정예에 적용된 원심 제동 장치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19b는 제동 부재 및 탄성 유지 부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릴 본체
7 : 지지 부체
8 : 제동 부재
16 : 스풀
194 : 제동 본체
194a : 제동 표면
첨부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일관되게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낚시 릴의 제2 실시예가 이하에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낚시 릴로서 2중 베어링형 릴이 설명된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1은 2중 베어링형 낚시 릴의 주요부의 평단면도이고, 도2는 2중 베어링형 낚시 릴의 좌측의 주요부의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3은 2중 베어링형 낚시 릴의 좌측의 주요부의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1의 2중 베어링형 낚시 릴에서, 릴 본체(A)를 함께 형성하도록 협동하는 좌측 및 우측 측면 프레임(1 및 2)이 (도시되지 않은) 지지 칼럼, 릴 레그 고정판(10) 및 손가락 위치판(11)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보유되고, 반면 릴 측면판(12 및 3)이 좌측 및 우측 측면 프레임(1 및 2)의 외측부에 장착된다.
좌측 측면 프레임(1)에는 관통 구멍(1a)이 형성되고, 베어링 유지부(4b) 및 원통형 제동부(4c)를 포함하는 제동 디스크 본체(4)의 플랜지부(4a)가 좌측 측면 프레임(1)의 관통 구멍(1a)으로 제거 가능하게 끼워지고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해 그곳에 고정된다.
베어링(13) 및 추력판(14)이 베어링 유지부(4b)에 각각 장착되고, 동시에 스풀축(5)의 한 단부(5a)가 베어링 유지부(4b)에 의해 지지된다.
스풀축(5)의 다른 단부(5b)는 우측 측면 프레임(2)의 베어링 유지부(2a)가 장착되는 베어링(15)에 의해 지지된다.
스풀축(5)에 고정된 스풀(16)이 좌측 측면 프레임(1) 및 우측 측면 프레임(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개재된다.
낚싯줄(17)이 스풀(16)의 권취 배럴부의 외주연에 권취된다.
제동 링(18)이 제동 디스크 본체(4)의 원통형 제동부(4c)의 내부에 끼워지고 그에 고정된다.
스풀측(5)은 그 우측부 상에 각각 위치한 소직경부(5e)와 결합부(5d)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풀축(5) 소직경부(5e)의 우측에 위치한 스풀축 단부 부분(5f)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스풀축 단부 부분(5f)은 릴 측면판(3)에 제공된 베어링(19)상에 지지될 뿐만 아니라, 릴 측면판(3)의 원통부(3a)의 외주연과 나사 결합하는 제공 노브(20) 내에 배치된 추력 수용 부재(21)와 접촉한다.
피니언(6)이 릴 측면판(3) 내의 스풀축(5)의 소직경부(5e)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지며, 반면 스풀축(5)의 결합부(5d) 및 피니언(6)의 결합부(6a)는 클러치 레버(22)의 작동에 의해 서로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피니언(6)은 핸들 구동축(23)에 마찰 결합된 구동 기어(24)와 맞물림 결합한다.
핸들 구동축(23)은 우측 프레임(2)상에 장착된 베어링(25)과 릴 측면판(3)상에 장착된 베어링(26)에 의해 지지되고, 제동 조절 핸드(27)이 핸들 구동축(23)과 나사 결합하여, 핸들 구동축(23)과 구동 기어(24)의 제동력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핸들(28)이 핸들 구동축(23)의 단부 부분 상에 장착된다.
스풀축(5)의 한 단부(5a) 측 외주연 상에는 복수의 막대형 지지 부재(7)가 스풀축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막대형 지지 부재(7)의 작동 구조를 보면, 칼라(29)가 스풀축(5)의 한 단부(5a)측 외주연에 끼워진 후, 지지 부재(7)가 칼라(29)에 형성된 대응 관통 구멍들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스풀축(5)에 형성된 그 대응 구멍(5g) 내로 각각 가압 삽입되면 칼라(29)는 지지 부재(7)에 의해 스풀축(5)에 고정 가능하다.
복수의 입방체형 제동 부재(8)가 스풀(16)의 스풀축(5)의 반경 방향으로 자유로이 각각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대응 지지 부재(7)가 헐겁게 끼워 맞춰진다.
각 제동 부재(8)는 경질 고무 등으로 형성되고, 스프링 히치판(spring hitch plate; 30)이 제동 부재(8)에 파묻힌다.
필요에 따라 납 등이 제동 부재(8)에 포함되어 그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각 지지 부재(7)에 스프링 히치 횡방향 구멍(7a)이 개방된다.
제동 부재(8)보다 스풀축(5)에 더 가까운 지지 부재(7)의 각 부분에는 스프링(a, b, c, d)이 헐겁게 끼워지고, 한편 각 스프링(a, b, c, d)의 2개 단부는 스프링 히치판(30)과 스프링 히치 횡방향 구멍(7a) 주위로 히치된다.
제동 부재(8)는 그 대응 스프링(a, b, c, d)에 의해 스풀축(5)을 향해 각각 가압된다.
제동 부재(8)의 무게 및 스프링(a, b, c, d)의 압박력은 스풀(16)의 회전이 낚싯줄(17)의 풀림 속도보다 빨라지기 전에 제동 부재(8)가 원심력에 기인하여 제동 디스크 본체(4)의 제동 링(18)의 각 제동면()과 활주 접촉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각각 설정되며, 한편 스풀(16)의 회전이 낚싯줄(17)의 풀림 속도보다 빨라지기 직전에 그 영역에서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를 갖는 스풀(16)의 회전 영역에서 제동 부재(8)는 제동 링(18)의 환형 제동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프링(a, b, c, d)의 압박력은 a < b < c < d가 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경우 실제 낚시 장소에서의 다양한 조건과 다양한 낚시꾼의 상이한 숙련 정도에 대응할 수 있는 제동 특성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방식으로 구성된 낚시 릴에서, 핸들(28)이 회전되며, 구동 기어(24)가 제동 조절 핸들(27)에 의해 설정된 제동력으로 회전되어 피니언(6)을 회전시키고, 동시에 스풀축(5)이 제동 노브(20)에 의해 설정된 제동력으로 회전되어 스풀(16)을 회전시킨다.
낚싯줄의 드리우는 작업에 의해 물 속의 소정 지점에 말단 태클을 던지려고 할 때, 피니언(6)의 결합부(6a)는 크러치 레버(22)의 작동에 의해 스풀축(5)의 결합부(5b)로부터 분리되어 스풀(16)을 자유롭게 설정하고, 그후 낚싯대는 던져지거나 회전되어 (도시되지 않은) 말단 태클을 드리운다.
말단 태클이 드리워지면, 스풀(16)이 말담 태클의 무게, 낚싯대 등의 반작용에 기인해 갑자기 회전하여, 스풀(16)의 회전을 낚싯줄(17)의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빨라지게 하여, 백래시가 스풀(16)에 발생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스풀(16)의 회전이 낚싯줄(17)의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빨라지기 전에, 제동 부재(8)가 원심력에 기인해 스프링(a, b, c, d)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동 디스크 본체(4)의 제동 링(18)의 환형 제동면()과 활주 접촉하여, 스풀(16)의 백래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하도록 스풀(16)의 회전을 제동한다.
낚싯줄(17)이 서로 결합된 스풀축(5)의 결합부(5b)와 피니언(6)의 결합부(6a)에 의해 풀려나갈 때, 제동 노브(20)는 회전되어 스풀축(5)의 회전을 제동하고, 동시에 구동 기어(24), 피니언(6) 및 스풀(16)이 제동 조절 핸들(27)에 의해 설정된 제동력으로 각각 회전한다.
낚실 릴이 전술한 방식으로 구성되면, 스풀(16)의 회전이 낚싯줄(17)의 풀림 속도보다 빨라지기 전에, 제동 부재(8)가 원심력에 기인해 스프링(a, b, c, d)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동 디스크 본체(4)에 제공된 제동 링(18)의 환형 제동면()과 활주 접촉하여, 스풀(16)의 백래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하도록 스풀(16)의 회전을 제동하고, 제동 부재(8)는 스풀(16)의 회전이 낚싯줄(17)의 풀림 속도보다 빨라지기 전에 그 영역에서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회전 속도를 갖는 스풀(16)의 회전영역에서 환형 제동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스풀(16)의 회전은 드리우는 작업의 초기 단계로부터 스풀(16)의 고속 회전에 이르기까지 스풀(16)의 회전 영역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스풀(16)의 회전 상승 단계에서 스풀(16)의 회전에 제동력이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스풀 회전 속도는 더 빨라지게 허용되고 말단 태클의 이동 거리는 증가될 수 있어, 말단 태클의 이동 거리가 연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풀의 백래시가 방지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수정예를 도시하고, 자세하게는 도4는 2중 베어링형의 낚시 릴의 좌측의 주요부의 확대 측단면도이다.
제1 수정예에서 복수의 막대형 지지 부재(7)의 각 선단 단부에는 주연 홈(7b)이 형성된다.
각 지지 부재(7)상에는 스풀축 또는 스풀의 반경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는 방식으로 그 상부면상에 플랜지부를 각각 갖는 리세스형 제동 부재(8`)들이 헐겁게 끼워진다. 또한 스프링(31)이 지지 부재(7)에 끼워지고 E 링(32)이 주연 홈(7b)과 결합하여 제동 부재(8`)가 지지 부재(7)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제동 부재(8`)의 구조를 참조하면, 그 상부면 상에 형성된 그 리세스부(8a)와 그 플랜지부(8b)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31)은 리세스부(8a)내에 배치되고, 제동 부재(8`)는 스풀축(5) 방향으로 압박된다.
제1 수정예의 나머지 부분은 전술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실제로 동일하다.
이제,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제2 수정예를 도시한 것이고, 특히 도5는 2중 베어링 형태의 낚시 릴의 좌측면에 주요 부분의 확대 측면 단면도이다.
제2 수정예에서, 주연 홈(7b)은 다수의 로드형 지지 부재(7)의 각각의 선행단에 형성된다.
그 상부면 상에 플랜지부를 각각 구비한 느슨하게 끼워 맞춰진 리세스 형태의 제동 부재(8`)가 각각의 지지 부재(7) 상에 마련되어, 그 제동 부재들은 그 방사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게 된다. 또한, 탄성 연성 부재(33)는 지지 부재(7)에 끼워 맞춰지고 E링(32)은 주연 홈(7b)에 결합되어, 제동 부재(8`)가 지지 부재(7)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제동 부재(8`)의 구조를 참조하면, 그 상부면 상에 형성된 그 리세스부(8a)와 그 플랜지부(8b)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연성 부재(33)는 리세스부(8a) 내에 배치되고, 제동 부재(8`)는 스풀축(5) 방향으로 압박된다.
제2 수정예의 나머지 부분은 전술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실제로 동일하다.
이제,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제3 수정예를 도시한 것이고, 특히 도6은 2중 베러링 형태의 낚시 릴의 좌측면의 주요 부분의 확대 측면 단면도이다.
제5 실시예에서, 주연 홈(7b)은 다수의 로드형 지지 부재(7)의 각각의 선행단에 형성된다.
그 상부면 상에 플랜지부를 각각 구비한 느슨하게 끼워 맞춰진 리세스 형태의 제동 부재(8")가 각각의 지지 부재(7)상에 마련되어, 그 제동 부재들은 스풀축 또는 스풀의 방사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35)은 지지 부재(7)에 끼워 맞춰지고 E 링(32)은 주연 홈(7b)에 결합되어, 제동 부재(8")가 지지부재(7)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제동 부재(8")의 구조를 참조하면, 그 상부면 상에 형성된 그 리세스부(8a)와 그 플랜지부(8b) 및 리세스부(8a)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8c)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35)는 리세스부(8a) 내에 배치되고, 제동 부재(8")는 스풀축(5) 방향으로 압박되고 E 링(32)과의 결합으로 인해 환상 제동 본체의 제동면으로부터 주어진 거리만큼 이격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제3 수정예의 나머지 부분은 전술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실제로 동일하다.
선행 설명에서, 지지 부재(7)로서, 4 개의 지지 부재(7)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지 부재(7)의 수는 2 개, 3 개, 5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선행 설명에서, 낚시 릴로서, 2중 베어링 형태의 낚시 릴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다른 형태의 낚시 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낚시 릴로서 2중 베어링 형태의 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7에 도시된 대로, 2중 베어링 형태의 릴(101)은 좌측 및 우측 프레임(102a, 102b)과 좌측 및 우측 프레임(102a, 102b)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도시 되지 않은) 로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102)과, 좌측 및 우측 프레임(102a, 102b) 상에 각각 장착된 좌측판 및 우측판(103a, 103b)을 포함하는 릴 본체(104)로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 프레임(102a, 102b)(좌측판 및 우측판(103a, 103b)) 사이에, 베어링(107a, 107b)을 통해 회전식으로 지지된 스풀축(106)이 존재하고, 낚싯줄이 그 주위로 감겨질 수 있는 스풀(106a)이 스풀축(106) 상에 장착된다.
스풀(106a)은 우측판(103b)으로부터 돌출하는 핸들축(110a)의 단부 상에 장착된 핸들(110)을 조작하거나 회전시킴으로서 스풀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핸들축(110a)은 우측 프레임(102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세트판(115) 상에 마련되어 그로부터 돌출된 원통형부(115a) 내에 배치되고, 핸들축(110a)은 그것이 우측 프레임(102b)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세트판(115)의 원통형부(115a)에 대해서도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116a, 116b)을 통해 지지될 뿐만 아니라, 일방향 클러치(117)에 의해 낚싯줄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핸들(110)의 회전 운동을 스풀축(106)에 전달하는 데 이용되는 구동 기구(120)와, 낚싯줄이 낚시 중에 스풀(106a)로부터 풀려있을 때 스풀(106a)에 견인력을 인가하는 견인 기구(140)는 우측 프레임(120b)과 우측판(103b) 사이에 놓여 있다.
구동 기구(120)는 핸들축(110a) 상에 회전식으로 지지된 구동 기어(21)와 구동 기어(121)에 결합될 수 있는 피니언(122)을 포함한다.
피니언(122)은 우측 프레임(102b)과 세트판(115)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123, 125)에 의해 지지된다. 베어링(125)은 세트판(115) 상에 마련되어 그로부터 돌출된 원통형부(115b) 내에 배치된다.
또한, 주변 홈(122a)이 피니언(122)의 외주부 상에 형성되고, 그리고 (도시 되지 않은) 클러치 작동 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클러치판(126)이 주변 홈(122a)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클러치 작동 부재가 작동되어 피니언(122)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면, 그후 구동 기구(120)는 낚시 릴을 도7에 도시된 구동력 전달 상태(즉, 클러치-온 상태) 또는 피니언(122)이 스풀축(106)으로부터 분리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즉, 클러치-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런데, 낚시 릴을 클러치-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온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클러치 작동 부재가 작동되어 낚시 릴을 클러치-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방법뿐만 아니라, 핸들(110)이 낚싯줄을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작동되어 낚시 릴을 클러치-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온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제, 견인 기구(140)는 마찰판과 라이닝 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견인 기구(140)는 핸들축(110a) 상에 장착된 견인 작동 부재(141)를 작동시키거나 회전시킴으로서, 주어진 압력으로 구동 기어(121)에 대해 압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압력은 핸들축(110a)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래치트(ratchet; 143)상에 인가되어, 핸들축(110a)과 구동 기어(121)사이에 견인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스풀축(106)의 추력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스풀축(106)의 회전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데 이용되는 압력 기구(150)가 스풀축(106)에 결합된다. 압력 기구(150)는 피니언(122) 내에 삽입되고 스풀축(106)의 단부면과 접촉하는 추력축(151)과, 세트판(115)의 원통형부(115b)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추력축(151)에 대해 추력 방향으로 압축되는 캡(15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캡(152)이 밀착된 상태에 있게 되면, 그후 추력축(151)은 캡(152)의 밀착된 양에 해당하는 양만큼 스풀축(106)의 단부면에 대해 압축되어, 그 결과 스풀축(106)의 추력 방향으로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스풀축(106)에 인가될 수 있는 소정의 마찰력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레벨 권취(level wind) 장치(160)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102a, 102b)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레벨 권취 장치(160)는 (도시되지 않은) 긴 구멍이 그 우측 및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안내 실린더(161)와, 안내실린더(161) 내에 회전식으로 지지된 워엄축(162)과, 안내 실린더(161)를 둘러싸도록 안내 실린더(161) 상에 장착되고 전술된 긴 구멍을 통해 워엄축(162)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163)와, 결합 부재(163) 상에 장착된 (도시되지 않은) 낚싯줄 안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어(167)는 워엄축(162) 상에 장착되고, 기어(167)는 중간 기어(168)를 통해 스풀축(106) 상에 장착된 기어(17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핸들(110)이 작동 또는 회전되어 스풀축(106)과 함께 스풀(106a)을 회전 시킨다면, 그후 스풀축(106)의 회전 운동은 기어(170, 168, 167)를 통해 워엄축(162)에 전달되어, 워엄축(162)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 전달에 있어서, 레벨 권취 장치(160)의 결합 부재(163)는 워엄축(162)의 회전 운동에 따라 우측 및 좌측으로 미끄러져, 낚싯줄은 결합 부재(163)의 낚싯줄 안내부를 통해 스풀(160a) 주위로 균일하게 감겨질 수 있다.
여기에서, 좌측판 및 우측판(103a, 103b) 뿐만 아니라 세트판(115, 175)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에 대해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우측판(103b)은 우측 프레임(102b)에 나사 결합되는 세트판(115)을 덮도록 우측 프레임(102b)상에 장착된다. 세트판(115)의 원통형부(115a, 115b)에 해당하는 각각의 위치에서 (도시되지 않은) 구멍이 우측판(103b)에 형성되어, 원통형부(115a, 115b)는 우측판(103b)의 표면으로부터 각각 이러한 구멍을 통해 돌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칼라(180)와 0 링(181)이 원통형부(115b)의 외주부에 각각 결합하게 되면, 그후 우측판(103b)은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좌측판(103a)은 세트판(175)에 일체로 연결되는 동안 좌측 프레임(102a)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좌측판(103a)과 세트판(175)이 좌측 프레임(102a)의 외부 모서리(102e) 및 좌측 프레임(102a) 내에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102f) 내에 각각 장착되기 때문에, 그들은 장착될 때 서로에 대해 정밀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그들을 구성함으로서, 그 장착 오류를 없앨 수 있다.
즉, 고정판(175)은 좌측 프레임(102a)의 결합 구멍(102f)에 끼워지는 주본체(175a)와 좌측판에 결합되는 커버 본체(175b)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좌측판(103a)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본체(175a)의 후방면에 마련된 돌출부(175c)가 좌측판(103a)의 구멍에 삽입되는 반면에, 주본체(175a) 및 돌출부(175c)는 나사(195)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이 경우에, 좌측판(103a) 및 커버 본체(175b)는 커버 본체(175b)의 외주연부와 좌측판(103a)의 결합부 사이에 약간의 틈(G1)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좌측판(103a)과 돌출부(175c) 사이에도 약간의 틈(G2)이 존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앞에서 설명한 장착상의 실수는 좌측판(103a) 및 고정판(175)을 좌측 프레임(102a) 상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해주는 약간의 틈(G1, G2)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 릴에 따르면 스풀축(106)의 좌측판(103a) 상에는 백래시 방지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기구는 낚싯줄이 풀리는 작동 중에 스풀(106a)의 지나찬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백래시 방지 기구로서 제동 기구, 즉 스풀[106a, 스풀축(106)]의 회전 이동에 기인하여 발생된 원심력을 사용하는 원심 제동 장치가 사용되었다.
도7 내지 도8b에 도시된 것처럼, 원심 제동 장치(190)는 스풀축(106)에 회전 방지 방식으로 고정된 지지 부재(192)와, 릴 본체(104)에 그리고 제동 표면(194a)이 형성되어 있는 내주연에 고정된 환형 제동 본체(194)와, 지지 부재 상에 회전 방지 방식으로 각각 지지되고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 표면(194a)에 접근하는 방향 및 제동 표면(194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제동 부재(196)와, 제동 부재(196)들을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 표면(194a)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각각 이격되는 방식으로 고정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제동 부재(196)를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 표면(194a)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데 사용되는 다수의 압박 스프링(198)을 포함한다. 또한, 원심 제동 장치(190)는 원심력이 제동 부재(196)에 인가될 때 스풀(106a)의 회전 작동시에 재동 부재(196)를 압박 스프링(198)의 압박력에 대하여 제동 표면(194a)에 활주 접촉 상태로 이동시켜서 스풀(106a)에 인가되는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원심 제동 장치(190)에는 각각의 제동 부재(296)를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 표면(194a)에 대하여 각각 접촉 가능한 상태 또는 접촉 불가능한 상태로 선택적으로 절환할 수 있도록 제동 부재(196)들을 개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제한 부재(200)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제동 부재(196)의 수는 이들의 사용 용도 등에 따라 가감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192)의 주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지지 부재(192)상에 지지되어 있은 4개의 제동 부재(196)가 마련되어 있다.
도8b내지 도10b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부재(192)는 실질적으로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4개의 제동 부재(196)는 지지 부재(192)의 주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디스크 형상인 지지 부재(192) 상에 지지되어 지지 부재(192)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압박 스프링(198)은 대응 제동 부재(196)의 플랜지부(202)와 지지 부재(192)의 외측벽(192a) 사이에 나선 방식으로 각각 배열되고, 압박 스프링(198)은 플랜지(202)들이 외측 벽(192a)으로부터 멀리 이동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압박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각각의 제동 부재(196)는 프랜지(202)들이 각각의 압박 스프링(198)의 압박력에 기인하여 지지 부재(192)의 접촉 표면(192b)에 대하여 가압되는 방식으로 고정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제동 부재(196)는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 표면(194a)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방식으로 고정 유지될 수 있다(도7 참조).
또한, 제한 부재(200)는 실질적으로 디스크 형상을 갖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지지 부재(192)에 회전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한 부재(200)가 지지 부재(192)에 끼워진 후에, 제거 방지 링(204)이 스풀축(106) 상에 장착되면 제한 부재(200)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지지 부재(192)에 제거 방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그런데, 제한 부재(20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작업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제한 부재(200)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 손가락 접촉부(200a) 상에 위치시켜 제한 부재(200)를 작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각각의 제동 부재(196)에서, 특히 이의 하단부들에는 리세스부(206)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제한 부재에는 돌출부(208)가 4개의 제동 부재(196)의 각각의 리세스부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들에서 4개의 돌출부(208)가 마련되어 있다. 4개의 돌출부(208) 각각은 제한 부재(200)의 주연 방향을 따라 상이한 길이를 갖고 있으며, 제한 부재(200)를 작동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돌출부(208)는 이들의 대응 제동부재(196)의 리세스부(206)에 또는 이로부터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92)의 외측 벽(192a)에는 이의 주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방식으로 안내 홈(210)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제한 부재(200)의 외주연에는 안내 홈(210)에 결합될 수 있는 안내편(212)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지지 부재(192)에 제거 방지 방식으로 끼워져 있는 제한 부재(200)를 개방 또는 회전시킬 때 안내편(212)이 안내 홈(210)을 따라 안내되며, 이로써 제한 부재(200)를 유격 없이 고정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 부개(192)의 외측 벽(192a)에는 다수의 (이 실시예에서는 5개, 즉 제1 내지 제5의 ) 클릭 홈(214a, 214b, 214c, 214d, 214e)이 외측 벽(192)의 주연 방향을 따라 각각 배열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한 부재(200)의 외주연에는 제1 내지 제5 클릭 홈(214a, 214b, 214c, 214d, 214e)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클릭 편(216)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한 부재(200)의 회전 작동양은 제한 부재(200)의 4개의 돌출부(208)가 대응 제동 부재(196)의 리세스부(206)에 또는 이로부터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동안에 제한 부제(200)가 이의 비회전 상태(즉, 휴지 상태)에 임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절환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한 부재(200)를 작동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4개의 제동 부재(196)를 환형 제동 부재(194)의 제동 표면(194a)에 대하여 각각의 접촉 가능 상태 또는 접촉 불가능 상태로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게 된다.
그런데, 다음의 작동에 관한 설명에서는 편이성을 위하여 4개의 제동 부재(196)를 제1 내지 제4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로 표현하고, 제한 부재(200)의 4개의 돌출부(208)를 제1 내지 제4 돌출부(208a, 208b, 208c, 208d)로 각각 표현한다.
여기서, 도11a는 제한 부재(200)가 작동 또는 회전하여 제한 부재(200)의 클릭 편(216)이 지지 부재(192)의 제1 클릭 홈(214a)에 결합되게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한 부재(200)의 4개의 돌출부(208a, 208b, 208c, 208d) 모두는 제1 내지 제4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의 리세스부(206)에 결합되어 있다. 즉, 제1 내지 제4동 부재(196a, 196b, 196c, 196d) 모두는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 표면(194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고정 유지된다. 그 다음에, 원심 제동 장치(190)는 낚싯줄 풀림 작동시에 제동력이 스풀(106a)에 전혀 인가되지 않는 상태로 절환된다. 그 결과, 스풀(106a)은 항상 자유 회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도11b에는 제한 부재(200)가 작동 또는 회전하여 이의 클릭 편(216)이 지지 부재(192)의 제2 클릭 홈(214a)에 결합되게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한 부재(200)의 제2 내지 제4 돌출부(208b, 208c, 208d)는 제2 내지 제4 제동 부재(196b, 196c, 196d)의 리세스부(206)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반면에, 게 1 돌출부(208a)와 제1제동 부태(106a)의 레세스부(106) 사이의 결합만이 해제되어 있다. 즉, 제2 내지 제4 제동 부재(196b, 196c, 196d) 모두는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 표면(194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고정 유지되어 있는 반면에, 제1 제동 부재(196a) 만이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 표면(194a)에 대하여 이의 접촉 가능 상태로 절환되어 있다.
그 다음에, 원심 제동 장치(190)는 낚싯줄 풀림 작동시에 제1 제동 부재(196a)만을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 표면(194a)에 활주 접촉 상태로 이동시켜서 활주 접촉력에 대응하는 제동력을 스풀(106a)에 인가할 수 있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 경우에, 원심력[즉, 압박 스프링(198)의 압박력을 초과하는 원심력]이 스풀(106a)의 회전 중에 제1 제동 부재(196a)에 인가되면, 가장 약한 제동력이 스풀(106a)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제1 제동 부재(196a)만이 제동 표면(194a)에 활주 접촉 상태로 압박 스프링(198)의 압박력에 대하여 이동된다.
여기서, 도11c에는 제한 부재(200)가 작동 또는 회전되어 이의 클릭 편(216)이 지지 부재(192)의 제3 클릭 홈(214c)에 결합되게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한 부재(200)의 제3 및 제4 돌출부(208c, 208d)가 제3 및 제4 제동 부재(196c, 196d)의 리세스부(206)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반면에, 돌출부(208a)와 제1 제동 부재(196a)의 리세스(206) 사이의 결합 및 제2 돌출부(208b)와 제2 제동 부재(196b)의 리세스부(206) 사이의 결합은 제거되어 있다. 즉, 제3 및 제4 제동 부재(196c,196d)는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 표면(194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고정 유지되는 반면에, 제1 및 제2 제동 부재(196a, 196b)는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 표면(194a)에 대하여 접촉 가능한 상태로 각각 절환되어 있다.
그 때에, 낚싯줄 마무리 조작에서 원심 제동 장치(190)는 제1 및 제2 제동 부재(196a, 196b)가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면(194a)과 미끄럼 접촉될 수 있게 하여 스풀(106a)에 활주 접촉력에 대응되는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원심력[즉, 압박 스프링(198)의 압박력을 초과하는 원심력]이 스풀(106a)의 회전 중에 제1 및 제2 제동 부재(196a, 196b)에 인가될 때, 제1 및 제2 제동 부재(196a, 196b)는 각각 압박 스프링(198)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이동되어 제동면(194a)과 활주 접촉됨으로써, 중간 정도의 강동의 제동력이 스풀(106a)에 인가될 수 있다.
도11d에서, 제한 부재(200)가 조작 또는 회전되어서 클릭 편(216)이 지지 부재(192)의 제4 클릭 홈(214d)과 결합되는 상태가 도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한 부재(200)의 단지 제4 돌출부(108d)만이 제4 제동 부재(196d)의 리세스부(206)에 결합되고, 반면에 제1 제동 부재(196a)의 제1 돌출부(208a)와 리세스부(206) 사이의 결합과, 제2 제동 부재(196b)의 리세스부(206)와 제2 돌출부(208d) 사이의 결합과, 제3 제동 부재(196c)의 리세스부(206)와 제3 돌출부(208c) 사이의 결합이 각각 제거된다. 즉, 단지 제4 제동 부재(196c)는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면(194a)으로부터 분리 이격되는 방식으로 보유되고, 반면 제1 내지 제3 제동 부재(196a, 196b, 196c)는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면(194a)에 대해 각각 접촉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그 때에, 낚싯줄 마무리 조작에서 원심 제동 장치(190)는 제1 내지 제3 제동부재(196a, 196b, 196c)가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면(194a)과 활주 접촉될 수 있게 하여 스풀(106a)에 활주 접촉력에 대응되는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원심력[즉, 압박 스프링(198)의 압박력을 초과는 원심력]이 스풀(106a)의 회전 중에 제1 내지 제3 제동 부재(196a, 196b, 196c)에 인가될 때, 제1 내지 제3 제동 부재(196a, 196b, 196c)는 각각 압박 스프링(198)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이동되어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면(194a)과 활주 접촉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강한 제동력이 스풀(106a)에 인가될 수 있다.
도11d에서, 제한 부재(200)가 조작 또는 회전되어서 클릭 편(216)이 지지 부재(192)의 제5 클릭 홈(214e)과 결합되는 상태가 도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돌출부(208a, 208b, 208c, 208d)모두가 제1 내지 제4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의 리세스부(206)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즉, 제1 내지 제4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 모두는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면(194a)과 접촉 가능한 방식으로 보유된다.
그 때에, 낚싯줄 마무리 조작에서 원심 제동 장치(190)는 제1 내지 제4 제동부재(196a, 196b, 196c, 196d)가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면(194a)과 활주 접촉 될 수 있게 하여 스풀(106a)에 활주 접촉력에 대응되는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원심력[즉, 압박 스프링(198)의 압박력을 초과하는 원심력]이 스풀(106a)의 회전 중에 제1 내지 제4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에 인가 될 때, 제1 내지 제4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는 각각의 압박 스프링(198)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제한 부재(200)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어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면(194a)과 활주 접촉됨으로써, 가장 강한 제동력이 스풀(106a)에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원심 제동 장치에 의하면, 제1 내지 제4 돌출부(208a, 208b, 208c, 208d)가 제1 내지 제4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 각각의 리세스부(206)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제한 부재(200)가 조작 또는 회전되면, 원하는 개수의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가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면(194a)에 대해 그 각각의 접촉 가능한 상태 또는 그 각각의 접촉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선택적으로 변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 낚싯줄 마무리 조작에서 하나 이상의 선택된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가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면(194a)과 활주 접촉될 수 있고, 그 활주 접촉력에 대응되는 제동력이 스풀(106a)의 인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에 의해 스풀(106a)에 인가되는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원심 제동 장치(190)에서, 선택된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는 원심력에 기인한 동일한 힘에 의해 즉각적으로 환형 제동 본체(194)에 제동면(194a)과 활주 접촉되지 않았으나,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는 압박 스프링(198)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점진적이고 지속적으로 환형제동 본체의 제동면(194a)과 각각 활주 접촉된다. 즉, 환형 제동 본체(104)의 제동면(194a)에 대한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의 활주 접촉력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즉 원심력의 강도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으므로 스풀(106a)에 인가된 제동력이 정밀하게 한층 더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적용된 원심 제동 장치(190)에 의하면, 압박 스프링(198)의 압박력을 초과하는 원심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는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면(194a)으로부터 분리 이격되는 방식으로 보유됨으로써, 낚싯줄 마무리 조작에서 스풀(106a)의 회전 속도(특히, 저 회전 속도)에 대응되는 스풀(106a)의 자유로운 회전을 유지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원심 제동 장치(190)가 합체된 낚시 릴에 의하면, 실제 낚시 지점에서 다양한 조건들(예를 들어, 말단 태클의 중량, 낚시 위치 이상의 거리, 바람, 낚시꾼의 기술 등)에서 적절히 처리될 수 있는 투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전술된 실시예에서, 제동 부재(196a, 196b, 196c, 196d)는 환형 제동 본체(194)의 제동면(194a)에 대해 각각 접촉 가능한 상태로 이러한 순서를 거쳐 순차적으로 절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208)의 형상 치수 및 구성이 제1 내지 제4 제동 부태(196a, 196b, 196c, 196d)의 절환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변환된다 하더라도, 유사한 조작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낚시 릴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낚시 릴로서 2중 베어링형 릴에 대해 설명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에서의 구조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하게 표시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도12 내지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 제동 장치(290)는 회전 방지식으로 스풀축(106)에 고정된 지지 부재(292)와, 릴 본체(104)에 고정되고 제동면(294a)이 형성된 내주 내에 있는 환형 제동 본체(294)와, 제거 방지식으로 지지 부재(292) 상에 각각 지지되고 환형 제동 본체(294)의 제동면(294a)에 접근하는 방향 뿐만 아니라 제동면(294a)으로부터 멀어져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제동부재(296)가 소정거리로 환형 제동 본체(294)의 제동면(294a)으로부터 분리 이격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제동 부재(296)를 보유하고 또한 스풀(106a)이 회전되는 동안에 제동 부재(296) 상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대항하여 환형 제동 본체(294)의 제동면(294a)으로부터 제동 부재(296)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동 부재(296)를 압박하는 복수의 압박 수단과, 스풀(106a)이 회전되는 동안에 각각의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제동 부재(296)가 환형 제동 본체(294)의 제동면(294a)과 활주 접촉되게 하기 위해 이용되는 활주 접촉력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동 부재(296)의 수는 그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간격으로 지지 부재(292)의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 되는 방식으로 지지 부재(292) 상에 지지된 4개의 제동 부재(296)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압박 수단의 각각은 자유단 및 고정단을 갖는 외팔보 부재이다. 이 외팔보 부재는 탄성 유지 부재(300)를 포함하고, 탄성 유지 부재는 소정의 거리로 지지 부재(29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판(298)으로부터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탄성력으로 그 대응 제동 부재(296)를 탄성적으로 보유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14a 내지 도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298)에서는 그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방식으로 아크 홈(302)이 형성되고, 반면에 지지 부재(292)에는 그로부터 돌출되는 방식으로 멈춤쇠 부재(304)가 제공된다. 즉, 멈춤쇠 부재(304)가 아크 홈(302)으로 결합되므로, 판(298)이 지지 부재(292)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탄선 유지 부재(300)의 각각은 판(298) 상에 일체로 지지된 기단부(300a)와 소정 거리로 기단부(300a)로부터 연장 단부(300b)를 포함하고, 탄성 유지부재(300)의 탄성유지력은 기단부(300a)로부터 연장 단부(300b)로 감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각각의 탄성 유지 부재(300)에서는 기단부(300a)로부터 연장 단부(300b)로 연장되는 방식의 실질적인 U형 결합 홈(306)이 형성된다. 특히, 제동 부태(296)가 이러한 결합 홈(306)과 결합되면, 이 때에 탄성 유지 부재(300)는 제동 부재(296)가 소정 거리로 환형 제동 본체(294)의 제동면(294a)으로부터 분리 이격되는 방식으로 제동 부재(296)를 보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제동 부재(296)는 탄성 유지 부재(300)가 활주 접촉될 수 있는 활주 접촉부(108)와, 지지 부재(292)와 판(298) 내에 각각 형성된 유지부(292a, 298a)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310)를 포함한다.(특히, 도13b 참조). 즉, 제동 부재(296)가 탄성 유지 부재(300)의 결합 홈(306)과 결합되면 제동 부재(296)의 활주 접촉부(308)는 탄성 유지 부재(300)와 활주 접촉될 수 있는 동시에, 그 접촉부(310)는 지지 부재(292) 및 판(298)의 유지부(292a, 298a)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 유지 부재(300)의 고정 작용으로 인해, 제동 부재(296)의 접촉부(310)는 탄성 유지 부재(300)의 탄성력이 지지 부재(292) 및 판(298)의 유지부(292a, 298a) 상에 작용함으로써 접촉부(310)가 유지부(292a, 298a)와 접촉되는 상태, 또는 그러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게 됨으로써 제동 부재(269)의 접촉부(310)가 제동 부재(296)를 환형 제동 본체(294)의 제동면(294a)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하는 방식으로 유지하는 상태로 위치가 제한된다[이러한 위치 제한 상태에서, 접촉부(310)와 유지부(292a, 298a)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적용된 조절 수단은 지지 부재(292)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 리세스부(312)와, 판(298) 상에 마련되고 결합 리세스부(312)와 결합될 수 있는 단일 결합 돌출부(314)를 포함하며, 이 조절 수단은 또한 판(298)이 회전됨으로써 결합 리세스부(312)에 대한 결합 돌출부(314)의 결합 위치를 절환시키는 경우 제동 부재(296)의 유지부가 탄성 유지 부재(300)에 대해 변경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동 부재(296)의 유지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탄성 유지 부재(300)의 탄성 유지력이 조절될 수 있다.
판(298)에는 복수개의 손가락 안내부(316)가 형성된다. 즉, 손가락을 손가락 안내부(316) 상에 놓음으로써 판(298)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판(298)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회전 조작 상태에 있는 판(298)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조절 수단은 판(298) 상에 마련되고 그로부터 돌출된 안내 돌출부(318)와, 지지 부재(292)에 형성되고 또 안내 돌출부(318)가 자유롭게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는 소정 길이의 안내 홈(320)을 더 포함한다. 안내 홈(320)을 제공함으로써, 판(298)은 안내 홈(320)의 길이에 등가하는 양만큼 회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판(298)이 회전될 때 제동 부재(296)가 탄성 유지 부재(300)의 결합 홈(306)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조절 수단에 의하면, 판(298)이 지지 부재(292)에 대해 어떠한 유격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면서, 탄성 유지 부재(300)에 대한 제동 부재(296)의 유지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지 위치 변경 조작 시에, 판(298)의 결합 돌출부(314)를 지지 부재(292)의 리세스부(312)와 결합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제동 부재(296)가 탄성 유지 부재(300)에 대해 소정의 유지 위치에서 확실하게 위치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탄성 유지 부재(300)의 탄성 유지력이 그 기단부(300a)로부터 연장 단부(300b)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조절 수단을 통해 탄성 유지 부재(300)에 대한 제동 부재(296)의 유지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실제 낚시터에서의 (말단 태클의 중량, 낚시 지점까지의 거리, 바람, 낚시꾼의 숙련도 등과 같은) 변동 조건에 대응하는 탄성 유지력이 제동 부재(296)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4a 및 도14b에는 제동 부재(296)가 대응 탄성 유지 부재(300)의 연장 단부(300b)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탄성 유지 부재(300)의 연장 단부(300b)는 탄성 유지력이 가장 약한 부분이며, 스풀(106a)이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 중일 때 제동 부재(296) 상에 작용하는 원심력(비교적 작은 원심력)에 의해 탄성적으로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풀(106a)의 저속 회전 중에 탄성 유지 부재(300)의 탄성 유지력을 초과하는 원심력이인가되면, 제동 부재(296)는 최적 미끄럼 접촉력으로 환형 제동 본체(294)의 제동면(294a)과 활주 접촉될 수 있다. 이것은 스풀(106a)이 최저 속도로 회전 중일 때 이 스풀(106a)의 자유 회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도15a 및 도15b에는 제동 부재(296)가 대응 탄성 유지 부재(300)의 중간부(300c)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되는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탄성 유지 부재(300)의 중간부(300c)는 중간 수준의 탄성 유지력을 갖게 되는 방식으로형성되며, 이에 따라 중간부는 스풀(106a)이 중속으로 회전 중일 때 제동 부재(296) 상에 작용하는 원심력(비교적 중간수준의 원심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풀(106a)의 중속 회전 중에 탄성 유지 부재(300)의탄성 유지력을 초과하는 원심력이 인가되면 제동 부재(296)는 최적 미끄럼 접촉력으로 환형 제동 본체(294)의 제동면(294a)과 활주 접촉될 수 있다. 이것은 스풀(106a)이 저속으로 회전 중일 때 이 스풀(106a)의 자유 회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도16a 및 도16b에는 제동 부재(296)가 대응 탄성 유지 부재(300)의 기단부(300a)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되는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탄성 유지 부재(300)의 기단부(300a)는 가장 강한 유지력을 갖게 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기단부는 스풀(106a)이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 중일 때 제동 부재(296) 상에 작용하는 원심력(비교적 큰 수준의 원심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풀(106a)의 고속 회전 중에 탄성 유지 부재(300)의 탄성유지력을 초과하는 원심력이 인가되면 제동 부재(296)는 최적 활주 접촉력으로 환형 제동 본체(294)의 제동면(294a)과미끄럼 접촉될 수 있다. 이것은 스풀(106a)이 저속 및 중속으로 회전 중일 때 이 스풀(106a)의 자유 회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순히 판(298)을 회전시켜 탄성 유지 부재(300)에 대해 제동 부재(296)의 유지위치를 변경시키는 것만으로, 예를 들어 실제 낚시터에서의 (말단 태클의 중량, 낚시 지점까지의 거리, 바람, 낚시꾼의숙련도 등과 같은) 변동 조건에 대응하는 탄성 유지력이 제동 부재(296)에 인가될 수 있다. 이 덕택에, 스풀(106a)의 회전력에 대응하는 스풀 자유 회전을 유지하면서 스풀(106a)의 회전 중에 스풀(106a)에 제공된 제동력이 양호하게 조정될수 있다. 이 결과, 말단 태클이 원하는 지점까지 원활하고 확실하게 투척될 수 있어서 투척 조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92)가 스풀축(296)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제동 부재(296)를 방사상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지만 제거는 방지되는 방식으로 지지하고, 지지 부재(29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판(298)이 조작될 수 있는, 즉 회전될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제한적이 아니며, 대안으로서 상기 구조와는 반대로 판(298)이 스풀축(106)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제동 부재(296)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292)가 조작 또는 회전되는 다른 구조를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상기 구조와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으며, 또 이러한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지지 부재(292)는 그 외주부를 파지하면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조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로서, 도17a 및 도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판형 탄성 유지 부재(300)를 포함하는 압박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동 부재(296)가 탄성 유지 부재(300)의 한 측면 모서리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동 부재(296)는 환형 제동 본체(294)의 제동면(294a)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그런데, 이 제1 변형예에 있어서 나머지 부분들은 제3 실시예와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이들 부분에는 동일한 표시가 부여되고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이 생략된다.
제1 변형예에 의하면 단순화된 형태의 탄성 유지 부재(300)가 탄성 유지 부재(300)의 성형뿐만 아니라, 원심 제동 장치(29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그런데, 제1 변형예의 다른 작동 및 효과는 제3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제3 실시예 및 제1 변형예에 있어서, 압박 수단은 판(298)과 일체식으로 형성된 탄성 유지 부재(300)를 포함하도록구성된다. 그러나, 압박 수단은 다른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로서 도18a 내지도1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수단은 나사(324)를 통해 판(29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강체(326)와, 이 강체(326)를 그 받침대로서의 나사(324)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코일형 압축 스프링(328)을 포함한다. 강체(326)는 그 받침대로서의 나사(324)에 의해 한 단부측 상에서 연장되는 유지부(330)와, 다른 단부측 상에서연장되는 지지부(332)로 구성된다.
유지부(330)는 긴 판형으로 형성되며, 나사(324)를 통해 판(298)에 연결된 기단부(330a)와, 기단부(330a)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연장 단부(330b)를 포함한다. 한편, 지지부(332)에는 판(298)에 고정된 코일형 압축 스프링(328)이 연결된다.
유지부(330)는 제동 부재(296)가 유지부(330)의 한 측면 모서리부(334)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유지부(330)로는 예를 들어 도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부재(296)가 사실상 U자형인 결합 홈과 결합되는 구조도 채택될 수있다.
그와 같이 구성된 압박 수단에 있어서, 코일형 압축 스프링(328)의 압축력은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나사(324)) 상에중심 설정되는 유지부(330) 상에 작용하며, 이에 따라 기단부(330a)로부터 연장 단부(330b) 쪽으로 가면서 탄성 유지력이계속적으로 감소한다. 그런데, 본 변형예의 다른 부분들은 제3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들 부분에는 동일한 표시가 부여되고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이 생략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변형예에 의하면, 판(298)을 회전시켜서 각각의 유지부(330)에 대해 제동 부재(296)의 유지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실제 낚시터에서의 다양한 조건에 해당되는 탄성 유지력은 제동 부재(296)에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 스풀(106a)의 회전 중에 스풀(106a)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아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즉 투척 작동 효율이 향상되는 낚시 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19A 및 도19B에는 제3 실시예의 제3 변형예가 도시되며, 특히 제3 변형예에서는 압박 수단이 지지 부재 내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판(336) 내에 배치된 압박 기구를 포함하고 소정의 압박력으로 대응되는 제동 부재(296)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압박 기구에는 제동 부재(296)가 환형 제동 본체(294)의 제동 표면(294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동 부재(296)를 유지시키는 코일형 인장 스프링(338)을 구비하며, 즉 코일형 인장 스프링(338)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제동 부재(296)의 베이스 단부(296a)는 지지 부재(292) 및 판(336)의 접촉부(292a, 336a)와 접촉하여 제동 부재(296)가 환형 제동본체(294)의 제동 표면(294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동 부재(296)를 유지시킬 수 있다. 코일형 인장 스프링(338)에 관해서는, 한 단부는 제동 부재(296)의 베이스 단부(296a)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후술하는 조절 수단에 연결된다.
제3 변형예에 사용되는 조절 수단에 관해서는, 회전 본체(342)가 판(336)의 외부에 노출된 조절 손잡이(344)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코일형 인장 스프링(338)의 다른 단부가 연결되는 지지 칼럼(340)과 선회 가능한 방법으로 지지 칼럼(340)을지지하는 회전 본체(342)를 포함한다. 그런데, 회전 본체(342)는 판(336) 내에 형성된 원형 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조절 손잡이(344)는 손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즉 조절 손잡이(344)가 (도19b에 이점 쇄선 도시된 바와 같이)수동으로 회전 가능하여 지지 칼럼(340)을 선회시킨다면 코일형 인장 스프링(338)은 신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절 수단에는 소정의 회전 위치에 조절 손잡이[344; 회전 본체(342)]를 정지시키도록 제조된 클릭 기구(348; click mechanism)가 구비된다. 그런데, 클릭 기구(348)로서 회전 본체(342)의 외부 원주 내의 하나의 클릭 폴(click pawl)과 원형 홈(346)의 내부 원주 내에서 클릭 폴과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클릭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는, 조절 손잡이(344)가 작동 또는 회전되어 소정량만큼 지지 칼럼(340)을 선회시킨다면 코일형 인장 스프링(338)은 소정량만큼 신축되고, 그 결과 제동 부재(296)는 소정의 인장력으로 압착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변형예에 의하면, 조절 손잡이(344)를 소정량만큼 단순히 회전시킴으로써 제동 부재(296)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미세하게 변화하도록 제조될 수 있고 이럼으로써 스풀(106a)의 회전 중에 코일형 인장 스프링(338)의 인장력에 대해제동 부재(296)를 환형 제동 본체(294)의 제동 표면(294a)과 활주 접촉하게 하기에 필요한 활주 접촉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결과, 스풀(106a)의 회전 중에 스풀(106a)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즉 투척 작동 효율이 향상된 낚시 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 변형예에 의하면, 인장력은 다수의 제동 부재(296)에 대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스풀(106a)에 가해지는 제동력은 더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풀의 회전 중에 스풀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미세하게 제어 또는 조절하여 높은 효율로 투척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낚시 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출원에서 해외 우선권 주장된 모든 각각의 해외 특허의 전체 개시 내용은 충분히 개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서 참고 자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만이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전술한 본원 발명의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스풀의 회전 중에 스풀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 릴이 제공되어 투철 작업에 있어서 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투척 작업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스풀의 고속 회전에까지 걸친 스풀의 회전 상승 영역에서 스풀의 회전에 제동을 걸지 않는 낚시 릴을 제공하여 스풀내에 백래시의 발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말단 태클의 이동 거리를 연장 할 수 있다.

Claims (8)

  1. 릴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제동 부재와,
    상기 릴 본체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동 부재들과 활주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는 제동 표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스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동 부재들이 상기 제동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동 부재들에 압박력이 가해지고, 소정치 이상의 원심력이 상기 스풀에 가해질 때 상기 제동 부재들은 상기 압박력을 극복하여 상기 제동 표면과 활주식으로 접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들은 상기 제동 부재들이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제동 표면을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가 상기 제동 표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 상태와 상기 제동 부재가 상기 제동 표면과 접촉할 수 없는 비접촉 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동 부재들을 절환시키기 위해 상기 제동 부재들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이 낚시줄의 풀림 속도보다 빨리 회전하기 전에 상기 제동 부재들은 상기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동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스풀을 지지하는 스풀축 내로 끼워지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제공되고 상기 스풀축의 반경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원통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들이 상기 압박력을 극복하여 상기 제동 표면과 활주 가능하게 접촉할 때 작용하는 상기 제동 부재들과 상기 제동 표면 사이의 활주 접촉력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7. 릴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제동 부재들과,
    상기 릴 본체 내에 제공되고, 상기 스풀이 회전할 때 상기 제동 부재에 가해지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동 부재들과 함께 활주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는 원형의 제동 표면과,
    상기 제동 부재들이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제동 표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동 부재들을 유지시키고 상기 제동 부재들이 상기 스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동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동 부재들을 압박하는 다수의 압박 수단과,
    상기 제동 부재가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을 극복하여 상기 제동 표면과 활주 접촉할 때 작용하는 상기 제동 부재와 상기 제동 표면 사이의 활주 접촉력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스풀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 되기 위해 상기 지지 부재 내에 구비되고 자유단 및 고정단을 갖는 외팔보 부재이고, 상기 조절 수단을 상기 제동 부재들이 상기 압박 수단의 상기 자유단 및 고정단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방향으로 상기 압박 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KR1019980044815A 1997-10-27 1998-10-26 낚시릴 KR100310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151597A JP3581544B2 (ja) 1997-10-27 1997-10-27 魚釣用リ−ル
JP97-311515 1997-10-27
JP21893698A JP3525056B2 (ja) 1998-08-03 1998-08-03 魚釣用リール
JP98-218936 1998-08-03
JP25113898A JP3525059B2 (ja) 1998-09-04 1998-09-04 魚釣用リール
JP98-251138 1998-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378A KR19990037378A (ko) 1999-05-25
KR100310260B1 true KR100310260B1 (ko) 2001-12-28

Family

ID=2733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815A KR100310260B1 (ko) 1997-10-27 1998-10-26 낚시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86621B1 (ko)
EP (1) EP0910946A3 (ko)
KR (1) KR100310260B1 (ko)
CN (1) CN121471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3027B2 (ja) * 2004-06-25 2010-01-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5350881B2 (ja) * 2009-05-15 2013-11-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CN102180388B (zh) * 2011-04-15 2013-01-30 马鞍山鼎泰稀土新材料股份有限公司 离心式收线轮
KR101510728B1 (ko) * 2012-05-04 2015-04-1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정밀 원심 제동시스템을 구비한 낚시릴
JP6267937B2 (ja) * 2013-11-08 2018-01-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6979785B2 (ja) * 2017-04-26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11974558B2 (en) * 2021-12-21 2024-05-07 Accurate Grinding and Mfg. Corp. Star drag fish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849A (en) * 1892-01-26 Fishing-reel
US871167A (en) * 1906-09-28 1907-11-19 David F Anderson Fishing-reel.
US948026A (en) * 1909-07-14 1910-02-01 John H Scotchmer Fishing-reel.
GB191405531A (en) * 1914-03-04 1914-11-05 Hardy Brothers Alnwick Ltd Improvements in Fishing Reels.
US1347529A (en) * 1919-03-18 1920-07-27 John A Wherry Fishing-reel
US2967676A (en) * 1955-12-15 1961-01-10 Klingberg Anders Ingemar Braking device for fishing reels
US3477659A (en) * 1965-04-28 1969-11-11 K P Morritt Ltd Rotatable spool fishing reel
DE2966777D1 (en) 1978-05-19 1984-04-19 Faigle Heinz Kg Tribological systems composed of sliding surfaces consisting of plastics
JPS56100187U (ko) 1979-12-28 1981-08-07
JPS57202234A (en) 1981-06-04 1982-12-11 Shimano Industrial Co Fishing reel
HU188150B (en) * 1981-10-19 1986-03-28 Magyar Optikai Muevek,Hu Automatic anti-runback device e.g. for fishing reels
US4601438A (en) * 1985-04-29 1986-07-22 Charles C. Worth Corporation Bait casting reel with braking device
JP2535505Y2 (ja) * 1991-06-19 1997-05-14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のブレーキ構造
JP2572090Y2 (ja) * 1991-12-18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572095Y2 (ja) * 1992-01-28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5542619A (en) * 1994-12-01 1996-08-06 Abu Ab Fishing reel of the multiplier type
JP3159625B2 (ja) * 1995-05-24 2001-04-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制動装置
JPH09275860A (ja) 1996-04-12 1997-10-28 Isuzu Kogyo Kk 釣り用リールのブレーキ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5551A (zh) 1999-05-05
US7086621B1 (en) 2006-08-08
EP0910946A3 (en) 2000-02-02
EP0910946A2 (en) 1999-04-28
KR19990037378A (ko) 1999-05-25
CN1214713C (zh)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2693A (en) Backflash preventive device for preventing over rotation of a spool for a fishing reel
KR102186887B1 (ko) 듀얼 베어링 릴
US6286773B1 (en) Double bearing reel having improved drag mechanism configuration
US5921492A (en) Large arbor fishing reel embodying recessed drag control knob and zero backlash drag engagement clutch
CN107801700B (zh) 双轴承绕线轮
US2648506A (en) Fishing reel
US20170245484A1 (en) Dual-bearing reel
US4422600A (en) Fishing reel
KR100310260B1 (ko) 낚시릴
KR100546242B1 (ko) 낚시용 스피닝릴
US6530535B2 (en) Fishing reel
CN108967378B (zh) 钓用绕线轮
US20080041999A1 (en) Dra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KR100671948B1 (ko)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KR910002679Y1 (ko) 양베아링 릴의 드랙기구
JPH08242730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KR101869962B1 (ko) 낚시용 릴의 스풀 브레이크장치
JP3581544B2 (ja) 魚釣用リ−ル
US2853252A (en) Anti-backlash mechanism for fishing reels
JP3525056B2 (ja) 魚釣用リール
JP3504555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H0928241A (ja) 魚釣用リール
KR200263651Y1 (ko) 양베어링 릴의 백래쉬 방지장치
JPS5923508Y2 (ja) 魚釣用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